KR100959405B1 - 백 필러용 무선형 근관 충전기 - Google Patents

백 필러용 무선형 근관 충전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59405B1
KR100959405B1 KR1020060027448A KR20060027448A KR100959405B1 KR 100959405 B1 KR100959405 B1 KR 100959405B1 KR 1020060027448 A KR1020060027448 A KR 1020060027448A KR 20060027448 A KR20060027448 A KR 20060027448A KR 100959405 B1 KR100959405 B1 KR 10095940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ot canal
cordless
heating
charger
main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274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104908A (ko
Inventor
이인환
김철수
백승호
Original Assignee
이인환
백승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인환, 백승호 filed Critical 이인환
Publication of KR2006010490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10490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5940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5940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5/00Filling or capping teeth
    • A61C5/50Implements for filling root canals; Methods or instruments for medication of tooth nerve channe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2204/00Fea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1C2204/002Fea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using batteri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5/00Filling or capping teeth
    • A61C5/50Implements for filling root canals; Methods or instruments for medication of tooth nerve channels
    • A61C5/55Implements for filling root canals; Methods or instruments for medication of tooth nerve channels with heating means, e.g. for heating gutta percha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Dentistry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Dental Tools And Instruments Or Auxiliary Dental Instru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치과 치료에 있어서 근관 내에 구타 페르카(gutta-percha : 근관 충전용 고무)를 충전하는 충전기에 관한 것으로서, 스위칭 회로를 이용하여 직류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소형 건전지를 이용하여도 작동이 가능하도록 하고, 전기 용량 변화를 감지하여 열선 작동을 제어할 수 있도록 하는 백 필러용 무선형 근관 충전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시술자가 쉽게 쥘 수 있도록 펜형으로 이루어지며, 내부에 직류전원과 메인 인쇄회로기판이 구비되는 본체; 상기 본체의 전방으로 연장되며, 구타페르카를 가열 용융시켜 근관 내부를 충전하는 발열팁; 및 상기 본체 전방에 위치되며, 사용자의 손가락을 접촉시킴에 따라 변화하는 정전용량을 감지하여 이러한 정전 용량 변화에 따라 발열팁을 작동시키는 터치스위치를 포함하는 백 필러용 무선형 근관 충전기를 제공한다.
구타 페르카(gutta-percha), 핸드 피스, 스위치 회로, 근관

Description

백 필러용 무선형 근관 충전기{Wireless charger for back filler on endodontic treatment}
도1은 종래기술에 따른 근관 치료용 충전기의 일 실시예 구성을 나타낸 구성도.
도2 및 도3는 종래 기술에 따른 근관 치료용 충전기의 열선 작동을 위한 터치 감지부 구성을 나타낸 개략도.
도4는 본 발명에 따른 백 필러용 무선형 구타 페르카 충전기의 일 실시예 구성을 나타낸 측면도.
도5는 본 발명에 따른 백 필러용 무선형 구타페르카 충전기의 발열팁을 나타낸 단면도.
도6는 도5의 발열팁에 대한 다른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도.
도7는 본 발명에 따른 발열팁 작동을 위한 터치스위치의 회로를 나타낸 회로도.
도8는 도7의 터치 스위치가 장착된 상태의 내부구조를 나타낸 측면도.
도9는 본 발명에 따른 백 필러용 무선형 구타 페르카 충전기의 직류 전원부의 효율을 증가시키기 위한 스위칭 회로를 나타낸 개략도.
도10는 도9의 스위칭 회로에 의한 소모 전류와 발열체 온도의 관계를 나타낸 그래프.
도11은 본 발명에 따른 백 필러용 무선형 구타 페르카 충전기의 작동과정을 나타낸 블록도.
도12는 본 발명에 따른 백 필러용 무선형 구타 페르카 충전기에 구비되는 스위칭 회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회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설명
101 : 전원 110 : 본체
121 : 발열팁 111 : 작동상태 설정버튼
112 : 디스플레이부 122 : 터치스위치
126 : 터치판 130 : 발광체
300 : 스위칭 회로 310 : 인덕터
본 발명은 치과 치료에 있어서 근관 내에 구타 페르카(gutta-percha : 근관 충전용 고무)를 충전하는 충전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스위칭 회로를 이용하여 고 효율로 열선을 가열할 수 있어서 외부의 전원 공급없이 소형 배터리로 작동될 수 있어서, 무선형의 핸드피스로 이루어져 사용이 매우 편리한 백 필러용 무선형 구타 페르카 충전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치과병원에서 충치를 치료하는 방법으로는 치아의 썩은 부위를 천공기구를 이용하여 제거하고, 치수가 손상된 경우는 손상되거나 오염된 치수를 제거한 후 치료 부위인 근관에 충전재(근관충전용 시멘트 또는 sealer)를 채워 넣어 밀폐시킨 상태에서 보철하는 방법을 이용하고 있다. 위와 같이 근관을 충전할 때는 그 충전재가 근관에 침투하여 이를 완전히 폐 쇄할 수 있도록 보조하는 임시충전물로서 구타페르카(Gutta-Percha) 콘을 이용하게 되는데, 이는 천연의 식물성 추출물로서 상온에서는 반고체 상태이나 압을 가하거나 열을 가하여 고형화된 고무의 형태로 제공된다. 이것을 보통 화이트 구타페르카(White Gutta-Percha)라 부른다.
여기에 산화아연, 황산바륨, 왁스, 색소 등을 넣고 롤이나 믹서기 등에서 조합을 하여 판상으로 뽑아낸 후 이것을 절단하여 각 사이즈 별로 원추형의 모양으로 만들게 된다. 이렇게 만들어진 구타페르카 콘은 근관치료에 오늘날 가장 많이 사용되는 재료로서 치근단에 대한 독성이 거의 없어 생체에 가장 적합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현재 시판되고 있는 구타페르카 콘은 규격화된 콘(standardized cone)과 보조 콘(accessory cone)으로 되어 있는데, 규격화된 콘은 치과용 천공기구(file)와 동일한 형태로 만들어져 있다.
신경 치료시에는 천공기구로 치수 감염부를 천공하여 감염된 신경조직 등을 제거한 후 근관에 더이상 감염원이 생기지 않도록 근관벽에 충전재를 도포하고 상기 근관에 적합한 사이즈의 구타 페르카 콘을 삽입하여 상기 충전재를 주근관 및 부근관에 고정시킨다. 이때 상기 구타페르카 콘이 근관벽 및 근첨 측으로 완전히 밀착되도록 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렇게 해서 근관이 충전되면 X-선 촬영을 통해 충전상태를 확인한 후 상기 구타페르카 콘을 제거하며, 구타페르카 콘의 제거에는 불에 달군 엑스커베이터(excavator) 및 불에 달군 치수용 플러거(endodontic plugger) 또는 불에 달군 스프레더 등이 사용된다.
본 발명은 이러한 치과 치료 과정중 구타페르카 콘을 도포하여 근관벽에 완전히 밀착시키는 구타페르카 충전기에 관한 것이며, 특히, 백 필러(back filler : 근관 내의 1/3 가량을 채우는 것)를 위해 뷰케넌 플러거로 구타페르카를 녹여가면서 충전하는 백필러용 충전기에 관한 것이며, 이는, 종래의 Analytic 사의 System B와 관련하여 설명될 수 있다. 통상적으로 근관 치료는 System B와 같은 백 필러용 충전기를 사용하여 근관의 1/3가량을 충전한 후 Obtura Spartan 사의 제품 Obtura II와 같은 완전 가열식 충전기를 이용하여 근관의 나머지를 충전함으로써 근관 내의 구타페르카를 충전하는 방법을 사용하고 있다.
일반적으로 백 필러를 위한 근관 충전기는 핸드피스 부 및 이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와 핸드피스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구비하는 제어 박스로 이루어진다. 즉, 치료를 하기 위해 의사가 잡는 핸드피스 부분과 제어 박스가 별개로 구비되어 있으며, 이는 케이블로 연결된다.
이하, 도1 및 도2를 참조하여 종래기술에 따른 근관 치료용 충전기의 일 실시예 구성을 설명한다.
도1은 종래기술에 따른 근관 치료용 충전기의 일 실시예 구성을 나타낸 구성도이고, 도2는 종래기술에 따른 근관 치료용 충전기의 열선 작동을 위한 터치감지부 구성을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1 및 도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종래기술에 따른 근관 충전기는 전원 스위치(12), 제어판넬(11)과 작동상태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미도시)를 포함하는 제어 박스(10); 및 구타 페르카에 열을 공급하여 용융시키거나 절단시키는 열선으로 이루어진 스프레더(21)와 사용자의 터치에 의해 스프레더(21)의 열선을 작동시키는 터치스위치(22)를 구비하는 핸드피스부(20)를 포함한다.
상기 제어 박스(10)와 핸드피스부(20)는 케이블(30)로 연결되며, 상기 핸드피스부(20)에 필요한 전원이 상기 케이블(30)을 통해 제어 박스(10)로부터 공급된다.
상기 핸드피스부(20)의 터치스위치(22)는 사용자가 손가락으로 쥐는 부분을 건드림으로서 스프레더(21)의 열선을 작동시키는 구조로 이루어지는데, 이는, 도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봉 형태의 접속단자(23)와 코일 스프링 형태의 스위치(24)를 구비하고, 사용자가 상기 스프링 형태의 스위치(24)를 누르면 상기 스위치(24)가 변형하면서 접속단자(23)와 접속하게 되면, 상기 스프레더(21)의 열선이 작동하게 된다. 사용자가 손가락을 떼면, 상기 스위치(24)는 스프링의 탄성에 의해 제자리로 돌아오게 되어 스프레더(21)의 열선 작동이 중지된다.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에 따른 충전기는 스프링 형태의 스위치(24)가 눕혀진 경우에 경우 중력에 의해 오작동 할 수 있는 문제점이 있고, 사용자의 손가락 외의 다른 물체에 의해 오작동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제어박스와 핸드피스부가 별도로 구비됨으로써, 휴대와 이동이 불편한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제어박스와 핸드피스부를 연결하는 케이블이 비틀림, 구부러짐 또는 단선등에 의하여 오작동 되거나 고장날 수 있는 문제점이 있었으며, 케이블에 의해 핸드피스부의 이동 반경이 정해지기 때문에 시술범위가 제한되고, 케이블에 의해 시술시 시야가 제한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의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서, 스위칭 회로를 이용하여 직류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소형 건전지(battery)를 이용하여도 작동이 가능하도록 하고, 전기 용량 변화를 감지하여 열선 작동을 제어할 수 있도록 하는 백 필러용 무선형 근관 충전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시술자가 쉽게 쥘 수 있도록 펜형으로 이루어지며, 내부에 직류전원과 메인 인쇄회로기판이 구비되는 본체; 상기 본체의 전방으로 연장되며, 구타페르카를 가열 용융시켜 근관 내부를 충전하는 발열팁; 및 상기 본체 전방에 위치되며, 사용자의 손가락을 접촉시킴에 따라 변화하는 정전용량을 감지하여 이러한 정전 용량 변화에 따라 발열팁을 작동시키는 터치스위치를 포함하는 백 필러용 무선형 근관 충전기를 제공한다.
상기 본체는 기기의 작동상태를 설정하는 작동상태 설정버튼과, 기기의 작동상태를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부를 더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본체는 전단부에 구강내 조명을 위한 발광체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때, 상기 발광체는 LED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발열팁은, 발열코어; 상기 발열코어를 둘러싸는 절연체 막; 및 상기 절연체 외부를 둘러싸며, 발열코어의 단부로 갈수록 좁아지는 원추형으로 이루어진 저항 발열층을 포함하되, 상기 발열코어는 그 단부에서 상기 저항발열층과 접속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터치스위치는 고주파 발생장치, 상기 고주파 발생장치와 연결된 저항, 및 사용자 손가락이 위치되는 본체 전방을 둘러싸는 터치판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스위칭 회로중 하나는 두개의 스위치가 교번적으로 개방 및 접속을 반복하도록 제어되고, 하나의 스위치와 직렬로 인덕터와 저항이 연결된 구조인 동기형 버크 컨버터 스위칭 회로가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스위칭 회로의 저항은 발열팁일 수 있다.
상기 스위칭회로의 인덕터는 본체 전방의 발열팁 근방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본체의 직류전원은 충전식 배터리로 이루어져 시술후 충전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도4 내지 도10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백 필러용 무선형 근관 충 전기의 일 실시예 구성을 설명한다.
도4는 본 발명에 따른 백 필러용 무선형 근관 충전기의 일 실시예 구성을 나타낸 측면도이고, 도5는 본 발명에 따른 백 필러용 무선형 구타페르카 충전기의 발열팁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4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는, 시술자가 쉽게 쥘 수 있도록 펜형으로 이루어지며, 내부에 직류전원(101)과 메인 인쇄회로기판이 구비되는 본체(110); 상기 본체(110)의 전방으로 연장되며 열을 발생시켜 원하는 위치에 구타페르카를 녹여 근관 내부를 충전하는 발열팁(121); 상기 본체(110)의 중앙부에 위치되어, 발열팁의 온도 및 작동 상태를 설정하는 작동상태 설정버튼(111); 상기 발열팁의 작동상태를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부(112); 상기 본체(110)의 전방에 위치되며, 사용자가 손가락을 접촉시키면 그에 의해 변화되는 정전용량을 감지하여 발열팁(121)을 작동시키는 터치스위치(122)를 포함하는 백 필러용 무선형 근관 충전기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본체(110)의 전단부에 발광체(130)를 설치하여 환부를 조명할 수 있다.
도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발열팁(121)은 발열코어(1210)와, 상기 발열코어를 커버하는 절연체막(1212)과, 상기 발열코어의 단부로 갈수록 좁아지는 원추형으로 이루어진 저항발열층(1211)을 포함하고, 상기 절연체막(1212)이 발열코어(1210)의 단부는 커버하지 않음에 따라 상기 발열코어(1210)의 단부(1213)는 상기 저항발열층(1211)과 접속된다. 따라서, 상기 저항발열층(1211)과 발열코어(1210)를 통해 전류가 흐르면 상기 발열코어(1210)와 저항발열층(1211)이 접속되는 단부(1213)에서 전류밀도가 높아져서 단부(1213)에서 열이 가장 많이 발생하게 된다.
도6는 도5의 발열팁에 대한 다른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면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발열팁(2000)은 발열코어(2010), 절연체(2020), 저항발열체층(2030)을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발열코어(2010)는 구리보다 가공성이 좋은 알루미늄 또는 알루미늄합금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알루미늄합금으로는 두랄루민(Duralumin)이 있으며, 상기 발열코어(2010)는 중공파이프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절연체(2020)는 알루마이트로 형성되고, 상기 발열코어(2010)의 단부를 제외한 나머지 부분을 커버한다. 다음으로 상기 저항발열체층(2030)의 외부는 주석(Tin)으로 스퍼터링(sputtering)되고, 하부측의 소정구간으로 니켈이 스퍼터링된다. 상기 니켈의 스퍼터링으로 인해 니켈피막(2050)이 형성되고, 니켈피막은 저항온도계수가 6 ×10-3 으로 높아 온도센싱이 가능하므로 발명과 정밀온도제어용 센싱이 가능하다. 또한 상기 주석의 스퍼터링으로 인해 주석피막(2040)이 형성되고 상기 주석피막(2040)으로 니켈의 생체독성이 방지되어 안전하게 시술할 수 있다.
도7는 본 발명에 따른 발열팁 작동을 위한 터치감지부를 나타낸 회로도이고, 도8는 도7의 터치감지부가 장착된 상태의 내부구조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7 및 도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터치 스위치(122)는, 고주파 발생장치(123); 상기 고주파 발생장치와 연결된 저항(125); 및 상기 저항(125)에 연결되며 사용자의 손가락이 위치되는 본체(110) 전방 외면을 둘러싸는 터치판(126)을 포함한다.
즉, 본체(110)는 접지부가 되며, 사용자가 상기 터치판(126)에 손가락을 데면 저항(125)와 본체(110)가 손가락을 통해 연결되기 때문에, 저항(125)과 본체 사이의 구간a-b에서 교류저항의 임피던스가 감소하게 되어 전압이 변화하게 되는데, 이러한 정전용량 변화를 감지하여 손가락 접촉 여부를 판별하여 손가락이 접촉하면 상기 발열팁(121)이 작동되게 된다. 이러한 구조는 종래기술의 스프링형 스위치에 비하여 장비의 자세에 의한 오작동을 줄일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정전용량의 변화는 a-b 사이의 전압V를 측정함으로써 가능해진다. 여기서, 고주파를 사용하는 이유는 시술자가 수술장갑과 같이, 전류가 비교적 적게흐르는 물질을 착용한 경우에도, 미세한 정전용량의 변화를 감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도9는 본 발명에 따른 백 필러용 무선형 근관 충전기의 직류전원부의 효율을 증가시키기 위한 스위칭 회로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9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는 직류전원을 사용하여 무선형을 구현할 수 있도록, 동기형 버크 컨버터 스위칭 회로(300)를 사용하였다. 즉, 두개의 스위치(301, 302)가 교번적으로 개방 및 접속을 반복하도록 제어되고, 이와 직렬로 인덕터(310)와 저항(320)이 연결된다.
상기 저항은 발열체의 저항으로 사용될 수 있으며, 저항값은 0.05Ω 내지 0.1Ω으로 매우 낮다.
또한, 상기 본체의 직류전원은 충전식 배터리로 이루어져 시술 후 매번 충전할 수 있어서, 시술도중 전원을 교체할 필요가 없으며, 소모적인 배터리 사용을 줄일 수 있다.
또한, 도8에서와 같이, 스위칭 회로의 인덕터(310)가 본체(110)의 전단부, 즉, 발열팁(121) 근방에 설치되면 전력의 손실을 줄일 수 있어서, 고효율을 유지할 수 있다.
이하, 도9 내지 도11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백필러용 무선형 근관 충전기의 동작과정을 설명하고, 본 발명의 작용효과를 설명한다.
도9는 본 발명에 따른 백 필러용 무선형 구타 페르카 충전기의 직류 전원부의 효율을 증가시키기 위한 스위칭회로를 나타낸 개략도이고, 도10는 도9의 스위칭 회로에 의한 소모 전류와 발열체 온도의 관계를 나타낸 그래프이며, 도6은 본 발명에 따른 백 필러용 무선형 근관 충전기의 작동 과정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9 및 도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스위칭 회로를 이용하여 전류가 흐르는 시간 즉, 전류 제한 시간을 조절함으로써 에너지를 축적할 수 있는데, 이는 스위칭 회로의 인덕터에 전기에너지가 축적되기 때문에 가능한 것이다. 이를 통해 배터리의 효율을 증대시킬 수 있고, 사용시간을 증가시킬 수 있다.
상기 스위칭 회로가 없이 히터의 발열팁이 소정 전압을 갖는 전원에 직접 연결되는 경우 발열팁의 저항 값이 매우 작기 때문에 전류의 크기가 매우 커진다. 따라서, 히터에 흐르는 전류가 허용전류보다 크게 되고, 효율이 낮아지며, 소모전력 이 커지기 때문에 배터리의 사용시간이 짧아진다.
실제로 본 발명의 발명자의 연구결과, 발열팁이 0.05Ω인 경우 3.7V(내부저항이 0.08Ω)의 직류전원을 직접 연결하면 전류는 약 28A으로 허용전류 6A를 현저히 초과하며, 소모시간이 약4분 정도로 매우 짧고, 발열팁 보다는 오히려 전지의 발열(28*28*0.08[w]의주울 열)이 2배 가까이 되어 사용할수 없으나 본회로 사용으로 직류전원의 소모전류는 4 ~~ 1A, 발열팁에 흐르는 전류는 15 ~~ 4A 로서 전지도 안전하고 오래쓰며 발열량도 충분하여 종래의 유선형기기보다 오히려 고성능이면서 사용시간은 1시간 이상이 되며, 발열체의 온도는 도10의 그래프를 통해 알 수 있듯이 일정하게 유지될 수 있다.
도1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체 내에 구비되는 직류전원부(101)는 배터리, 충전지 등으로 이루어지며, 계속적으로 전압을 공급한다. 전술한 메인 인쇄회로기판에는 주제어부(200)가 구비되어 작동상태 설정버튼(111)을 통해 발열팁의 설정온도를 입력받고 발열팁의 온도를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디스플레이한다.
또한, 상기 터치스위치(122)에서 정전용량을 감지하여 사용자의 손가락이 접촉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하여 터치판에 사용자의 손가락이 접촉한 경우에는 상기 도9 및 도10에서 설명한 동기형 버크 컨버터 스위칭 회로(300)를 통해 발열팁에 전류를 공급하여 발열시킴으로써 시술을 수행할 수 있다. 발열팁의 온도는 실시간으로 주제어부에서 체크하여 디스플레이부에서 표시하고, 스위칭 회로에 의해 설정온도로 유지될 수 있도록 작동한다.
도12는 본 발명에 따른 백 필러용 무선형 구타 페르카 충전기에 구비되는 스 위칭 회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회로도이다. 도면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스위칭 회로는, 두개의 스위치(311,312)가 교번적으로 개방 및 접속을 반복하도록 제어되고, 그 스위치들에 고주파변압기의 1차가 연결되고, 고주파변압기의 2차에는 발열팁이 연결된 구조인 스위칭 회로가 사용된다.
이와 같이, 고효율을 구현하는 스위칭 회로를 이용하여 소형의 배터리로 무선형의 근관치료용 구타페르카 충전기를 제조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디스플레이부(113)와 작동상태 설정버튼과 같은 제어부가 본체(110)에 모두 설치되기 때문에, 시술의 집중력을 높일 수 있으며, 펜 크기로 제작되어 주머니에 휴대할 수 있어, 장비의 휴대와 이동이 편리해진다.
또한, 정전 용량을 측정하기 위한 터치스위치를 이용하여 발열팁의 작동을 제어할 수 있고 기기의 오작동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체 전방의 발광체에 의해 외부조명을 비추기 힘든 구강내를 조명하여 효과적으로 치료를 수행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이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명백할 것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스위칭 회로를 이용하여 직류 전원을 고효율로 작동시켜 발열팁을 가열할 수 있기 때문에, 무선형의 기기로도 장시간 시술을 수행할 수 있고, 펜크기로 제조됨에 따라 휴대와 이동이 편리해지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정전 용량 변화를 감지하는 센서에 의해 기기를 작동시킴으로써, 스위치의 물리적인 변형에 의한 오작동을 방지할 수 있고, 사용자가 원하는 시점에 원하는 위치에서 발열팁을 가열할 수 있는 또 다른 효과를 얻을 수 있다.

Claims (14)

  1. 시술자가 쉽게 쥘 수 있도록 펜형으로 이루어지며, 내부에 직류전원과 메인 인쇄회로기판이 구비되는 본체;
    상기 본체의 전방으로 연장되며, 구타페르카를 가열 용융시켜 근관 내부를 충전하는 발열팁; 및
    상기 본체 전방에 위치되며, 스위칭 회로를 포함하고, 사용자의 손가락을 접촉시킴에 따라 변화하는 정전용량을 감지하여 이러한 정전 용량 변화에 따라 발열팁을 작동시키는 터치스위치
    를 포함하고,
    상기 스위칭 회로는,
    두개의 스위치가 교번적으로 개방 및 접속을 반복하도록 제어되고, 하나의 스위치와 직렬로 인덕터와 저항이 연결된 구조인 동기형 버크 컨버터 스위칭 회로가 사용되거나 또는 두개의 스위치가 교번적으로 개방 및 접속을 반복하도록 제어되고, 그 스위치들에 고주파변압기의 1차가 연결되고, 고주파변압기의 2차에는 발열팁이 연결된 구조의 스위칭 회로가 사용되는
    백 필러용 무선형 근관 충전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발열팁은
    발열팁 내부에 위치되는 발열코어;
    상기 발열코어를 둘러싸는 절연체 막; 및
    상기 절연체 외부를 둘러싸며, 발열코어의 단부로 갈수록 좁아지는 원추형의 저항발열층을 포함하되,
    상기 발열코어는 그 단부에서 상기 저항발열층과 접속되는
    백 필러용 무선형 근관 충전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발열코어는
    알루미늄 및 알루미늄합금중 하나가 선택되어 중공파이프로 형성되고, 상기 절연체 막은 알루마이트로 형성되고, 상기 저항발열층의 외부는 주석(Tin)으로 스퍼터링(sputtering) 된
    백 필러용 무선형 근관 충전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저항발열층은 주석으로 스퍼터링되고, 하부측 소정구간으로 니켈이 스퍼터링된
    백 필러용 무선형 근관 충전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기기의 작동상태를 설정하는 작동상태 설정버튼과, 기기의 작동상태를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부를 더 구비하는
    백 필러용 무선형 근관 충전기.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전단부에 구강내 조명을 위한 발광체를 구비하는
    백 필러용 무선형 근관 충전기.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발광체는 LED로 이루어지는
    백 필러용 무선형 근관 충전기.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스위치는,
    고주파 발생장치;
    상기 고주파 발생장치와 연결된 저항; 및
    사용자 손가락이 위치되는 본체 전방을 둘러싸는 터치판을 포함하는
    백필러용 무선형 근관 충전기.
  9. 삭제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칭 회로의 저항은 발열팁인
    백 필러용 무선형 근관 충전기.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칭회로의 인덕터는,
    본체 전방의 발열팁 근방에 배치되는
    백 필러용 무선형 근관 충전기.
  12. 제1항 내지 제8항, 제10항 및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직류전원은 충전식 배터리로 이루어져 시술후 충전할 수 있는
    백 필러용 무선형 근관 충전기.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발열팁은 발열코어, 절연체, 저항발열체층을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발열코어는 알루미늄 및 알루미늄합금중 하나가 선택되어 이루어지고, 상기 발열코어는 중공파이프로 형성되고,
    상기 절연체는 알루마이트로 형성되고, 상기 발열코어의 단부를 제외한 나머지 부분을 커버하고, 상기 저항발열체층의 외부는 주석(Tin)으로 스퍼터링되고, 하부측의 소정구간으로 니켈이 스퍼터링되고, 상기 니켈의 스퍼터링으로 인해 니켈피막이 형성되는
    백 필러용 무선형 근관 충전기.
  14. 삭제
KR1020060027448A 2005-03-28 2006-03-27 백 필러용 무선형 근관 충전기 KR10095940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25676 2005-03-28
KR20050025676 2005-03-2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04908A KR20060104908A (ko) 2006-10-09
KR100959405B1 true KR100959405B1 (ko) 2010-05-24

Family

ID=370535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27448A KR100959405B1 (ko) 2005-03-28 2006-03-27 백 필러용 무선형 근관 충전기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20080193895A1 (ko)
EP (1) EP1863398A4 (ko)
KR (1) KR100959405B1 (ko)
WO (1) WO2006104315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44168A (ko) 2019-10-14 2021-04-22 손진경 필러 조성물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2142231A2 (en) 2011-04-15 2012-10-18 Endodontic Specialist's Advocate, Llc Endodontic obturation system and method
CN104983474B (zh) * 2015-08-05 2017-12-12 上海市奉贤区中心医院 牙胶尖切断器
US20180098823A1 (en) * 2016-10-10 2018-04-12 Kerr Corporation Dual functionality endo-instruments and methods of using the same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017318A1 (en) * 1979-02-12 1980-10-15 American Hospital Supply Corporation Capacitive switching circuit for energizing remote controlled device
KR200216665Y1 (ko) * 2000-09-25 2001-03-15 박준호 고효율의 스위칭모드 전원공급기
WO2003068102A1 (fr) 2002-01-30 2003-08-21 Duret Francois Dispositif electro-optique pour la photo polymerisation de materiaux composites
KR20040006371A (ko) * 2002-07-12 2004-01-24 주식회사 메타바이오메드 치과용 복합 근관충전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582488A (en) * 1984-04-27 1986-04-15 Newman Martin H Dental materials dispenser and applicator
EP0285069A1 (en) * 1987-04-01 1988-10-05 Dentsply International, Inc. Battery powered condenser for root canals
US4960132A (en) * 1989-09-05 1990-10-02 Habekost Charles F Self-contained periodontal probe for remote recordations
US5893713A (en) * 1997-12-04 1999-04-13 Kerr Manufacturing Company Dental probe having superelastic plugger element and method of use thereof
US6270343B1 (en) * 2000-01-07 2001-08-07 Howard Martin Endodontic thermal condenser dental instrument
NL1014480C2 (nl) * 2000-02-24 2001-08-28 Megadent Endo Products B V Inrichting voor het uitvoeren van een endodontische behandeling.
JP3936837B2 (ja) * 2000-11-09 2007-06-27 株式会社モリタ製作所 歯科用充填器および歯科用装填具
US7008222B2 (en) * 2003-06-24 2006-03-07 Suk Song Oh Root canal plugging apparatus for dental work
US7501702B2 (en) * 2004-06-24 2009-03-10 Fairchild Semiconductor Corporation Integrated transistor module and method of fabricating same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017318A1 (en) * 1979-02-12 1980-10-15 American Hospital Supply Corporation Capacitive switching circuit for energizing remote controlled device
KR200216665Y1 (ko) * 2000-09-25 2001-03-15 박준호 고효율의 스위칭모드 전원공급기
WO2003068102A1 (fr) 2002-01-30 2003-08-21 Duret Francois Dispositif electro-optique pour la photo polymerisation de materiaux composites
KR20040006371A (ko) * 2002-07-12 2004-01-24 주식회사 메타바이오메드 치과용 복합 근관충전 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44168A (ko) 2019-10-14 2021-04-22 손진경 필러 조성물
KR20220048906A (ko) 2019-10-14 2022-04-20 손진경 필러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04908A (ko) 2006-10-09
WO2006104315A1 (en) 2006-10-05
EP1863398A1 (en) 2007-12-12
US20080193895A1 (en) 2008-08-14
EP1863398A4 (en) 2008-10-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59404B1 (ko) 치아 근관충전용 근관치료기 및 그의 발열팁
KR100955616B1 (ko) 완전가열식 근관 치료용 무선형 충전기
KR100959405B1 (ko) 백 필러용 무선형 근관 충전기
KR101132750B1 (ko) 치과용 충전기
DE602005020585D1 (de) Ments an einem apikalen zahnforamen
KR20140084240A (ko) 전기 자극 장치 및 전기 자극 장치 시스템
KR100668424B1 (ko) 치과용 무선 복합 근관 충전장치
BR112014007629B1 (pt) Aparelho e método para a remoção ou redução do número de partículas em uma atmosfera encerrada durante procedimentos intracorpóreos
KR101016177B1 (ko) 치과 임플란트 픽스츄어 제거용 디바이스
KR20060122195A (ko) 완전가열식 근관 치료용 무선형 충전기
KR100317420B1 (ko) 지피포인터 컷팅용 치과기구
KR200350517Y1 (ko) 무선형 치과용 근관충전 장치
KR101110395B1 (ko) 다기능 전동식 치근관 충진장치
KR101078526B1 (ko) 근관 충전기
CN105816958B (zh) 一种脉冲高压针灸治疗仪
CN213759444U (zh) 基于石墨烯加热的水凝胶药物释控装置
CN218684661U (zh) 一种电加热扁桃体器
KR102507751B1 (ko) 저주파 뜸기 세트
EP3632506A1 (en) Active intracavitary accessory
CN100455329C (zh) 冠心病治疗仪
CN217186987U (zh) 一种可更换针头的医用电火针
CN215691080U (zh) 一种具有多功能美容及理疗的指套装置
CN207838030U (zh) 可动态调度电极板极性的三维动态治疗仪
CN218165425U (zh) 一种牙髓活力热测仪
CN210409238U (zh) 一种便携式盆底康复治疗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1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1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1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05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12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09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02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