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97902B1 - 치과용 충전기 - Google Patents

치과용 충전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97902B1
KR101097902B1 KR1020090075384A KR20090075384A KR101097902B1 KR 101097902 B1 KR101097902 B1 KR 101097902B1 KR 1020090075384 A KR1020090075384 A KR 1020090075384A KR 20090075384 A KR20090075384 A KR 20090075384A KR 101097902 B1 KR101097902 B1 KR 10109790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ttery
circuit board
main body
charger
coupl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753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17753A (ko
Inventor
신경수
정두락
Original Assignee
(주)디엑스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디엑스엠 filed Critical (주)디엑스엠
Priority to KR102009007538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97902B1/ko
Publication of KR2011001775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1775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9790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9790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5/00Filling or capping teeth
    • A61C5/50Implements for filling root canals; Methods or instruments for medication of tooth nerve channe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5/00Filling or capping teeth
    • A61C5/40Implements for surgical treatment of the roots or nerves of the teeth; Nerve needles; Methods or instruments for medication of the roo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2204/00Fea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1C2204/002Fea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using batteri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Dentistry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Neurology (AREA)
  • Neurosurger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Surgery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 Dental Tools And Instruments Or Auxiliary Dental Instruments (AREA)

Abstract

선단에 팁 조립체가 결합되는 충전기 본체와; 본체 내부에 설치되며 보호 회로기판이 연결되는 배터리와; 배터리와 나란하게 본체 내부에 설치되는 메인 회로기판과; 본체의 개방된 후방을 덮도록 결합되며, 결합시 보호 회로기판과 메인 회로기판을 전기적으로 연결시키는 캡 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충전기가 개시된다.
치과, 충전기, 베터리, 회로기판

Description

치과용 충전기{A CANAL PLUGER FOR DENTAL CLINIC}
본 발명은 치과용 충전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치과병원에서 신경을 치료할 때 시술자의 손에 작용하는 하중이 편중되는 것을 방지하여 오랜시간 편안하고 안정된 상태로 시술할 수 있는 치과용 충전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치과병원에서 썩은 치아를 치료하는 방법으로는 치아의 썩은 부위를 천공기구를 이용하여 제거하고 치료부위인 근관을 충전물질을 사용하여 충전시킨 상태 하에서 이를 밀폐시키는 방법을 이용하고 있다. 근관치료(root canal
treatment) 과정은 매우 복잡하고 어려운 분야이다. 그 중에서 근관충전(root canal filling)은 근관치료의 마지막 과정이기 때문에 근관치료의 성공과 실패가 좌우된다고 볼 수 있다. 일반적으로 근관충전은 구타-퍼차 콘(Gutta Percha Cone)
을 근관 내에 여러 개를 삽입하여 충전하게 되는데, 시간이 오래 걸리고, 스프레더(spreader) 등을 사용하여 측방(lateral)으로 과도하게 힘을 주는 과정에서 치근(root)이 파절되기도 한다.
이러한 단점을 보완하기 위하여 기구나 장비를 이용하여 짧은 시간 내에 효과적으로 근관을 충전하는 방법들이 소개되고 있다. 그 중에서 가장 효과적인 방법 으로는 펜 타입(Pen Type)을 사용하는 “Vertical Compaction”방식과 건 타입(Gun
Type)을 사용하는 “Injection Method”이 주로 임상에서 적용되고 있다.
이 중에서 펜 타입의 충전기의 경우에는, 시술자가 펜을 잡는 형태로 충전기를 잡은 상태에서 그 끝단의 팁을 치료위치에 위치되도록 하여 힘을 가하게 되는데, 치료위치나 파지자세에 따라서 팁에 제대로 힘을 주기 어려울 수 있기 때문에, 시술자가 자세를 변경하면서 시술하게 되므로 시술자가 매우 불편함을 느끼게 된다. 특히, 휴대형이 아니고 전원케이블을 이용하여 전원을 공급받아 사용하는 충전기의 경우에는, 전원케이블이 시술자나 환자에에 불편함을 주게 되고, 주변의 치료설비나 기구 등에 닿게 되는 등의 불편함이 있다.
이러한 점을 감안하여 최근에는 내부에 배터리가 내장된 휴대형 충전기가 개발되어 보급되고 있으며, 일예로서 대한민국 10-2006-0089464(이하 종래기술이라 함)가 있다. 상기 종래 기술에 개시된 충전기의 경우에는 배터리가 충전기 본체의 후방에 내장되도록 설치되어 있으며, 그 전방부분에는 각종 스위치부 및 회로기판 등이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종래의 충전기를 시술자가 펜을 잡는 형태로 잡은 상태로 시술을 하게 된다.
그런데, 시술자가 충전기의 전방을 손으로 잡고 시술을 할 때, 충전기의 대부분의 중량을 차지하는 배터리가 후방에 설치되어 있는 관계로, 하중이 뒤쪽으로 쏠리게 되어 시술자가 오랜 시간 시술시 배터리의 하중으로 인하여 불편함을 느끼게 되고, 충전기의 전체적인 균형이 이루어지지 않기 때문에, 안정된 자세로 시술을 하는 것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창안된 것으로서, 배터리의 중량을 충전기 본체의 전체 길이에 걸쳐 분산시키고, 회로기판 및 외부접속단자와의 접속 등이 용이하도록 구조가 개선된 치과용 충전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치과용 충전기는, 선단에 팁 조립체가 결합되는 충전기 본체와; 상기 본체 내부에 설치되며 보호 회로기판이 연결되는 배터리와; 상기 배터리와 나란하게 상기 본체 내부에 설치되는 메인 회로기판과; 상기 본체의 개방된 후방을 덮도록 결합되며, 결합시 상기 보호 회로기판과 상기 메인 회로기판을 전기적으로 연결시키는 캡 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배터리는 상기 본체의 길이 대비 2/3 이상의 길이로 길게 형성되어 상기 본체 내부에 수용되며, 상기 메인 회로기판은 상기 배터리보다 길게 상호 나란하게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캡 유닛은, 상기 본체의 후방을 덮도록 결합되는 캡 몸체와; 상기 캡 몸체의 내측에 설치되어 상기 메인 회로기판과 상기 보호 회로기판 각각에 결합되어 상호 전기적으로 연결시키는 접속단자;를 포함하는 것이 좋다.
또한, 상기 캡 유닛은, 상기 배터리를 수용하는 배터리 수용부와; 상기 배터리 수용부의 후단에 연결되어 상기 본체의 후방에 결합되는 캡부와; 상기 배터리 수용부에 수용된 배터리와 상기 메인 회로기판을 전기적으로 연결시키는 접속단자; 를 포함하는 것이 좋다.
본 발명의 치과용 충전기에 따르면, 배터리는 충전기 본체의 내부의 길이에 대응되는 길이로 형성시켜 설치함으로써, 충전기 전체 길이에 걸쳐 중량이 분산되도록 하여 시술자가 안정되고 편한한 자세로 시술을 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배터리의 보호 회로기판과 메인 회로기판의 전기적인 연결을 위해 별도의 공정이 필요 없고, 캡 유닛을 결합하는 동작에 의해 캡 유닛의 터미널 기판에 의해 상호 전기적으로 접속되도록 하는 구성을 가짐으로써, 교환 및 수리를 위한 해체작업 및 조립이 용이하다.
또한, 캡 유닛에 배터리를 수용하기 위한 별도의 배터리 수용부를 구비할 수 있으므로, 배터리의 교환 장착이 용이하고, 메인 회로기판과의 연결 및 분리가 용이한 이점이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치과용 충전기를 자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치과용 충전기는,
선단부에 팁 조립체(10)가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는 충전기 본체(20)와, 상기 충전기 본체(20)의 내부에 설치되는 배터리(30)와, 상기 충전기 본체(20)의 내부에 설치되는 메인 회로기판(40) 및 상기 본체(20)의 후방을 덮도록 결합되며, 상기 배터리(30)와 상기 메인 회로기판(40)을 전기적으로 연결시키는 캡 유닛(50)을 구비 한다.
상기 팁 조립체(10)는 팁(11)과, 그 팁(11)이 통과하여 결합되는 팁 홀더(12)와, 팁 홀더(12)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본체(20)의 선단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척킹부재(13)를 구비한다. 상기 팁(11)은 본체(20) 내부에 설치되는 제1 및 제2단자부재(14,15)와 각각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상기 본체(20)는 서로 마주하여 그 내부에 공간을 갖도록 후크 결합되거나 나사 결합되는 제1 및 제2커버부재(21,22)를 구비한다. 상기 제1 및 제2커버부재(21,22)는 길이가 길고 내부에 일정 공간을 갖도록 펜 형상으로 형성되며, 그 선단에 상기 팁 조립체(10)가 착탈 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배터리(30)는 본체(20) 내부의 후단에서 전방 쪽으로 전체 길이에 대응되는 길이로 형성되어, 그 본체(20) 내부에 내장된다. 이 배터리(30)의 후단에는 보호 회로기판(31)이 결합된다. 상기 보호 회로기판(31)의 단부에는 제1접속부(32)가 마련된다.
상기 메인 회로기판(40)은 본체(20) 내부에 길이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어 설치되며, 배터리(30)보다는 길게 형성되어, 상기 팁 조립체(10)와 단자부재들(14,15)을 통해 접속되게 설치된다. 이 메인 회로기판(40)에는 조작용 스위치 및 LED 등이 설치되어 본체(20) 외부에서 스위칭 온/오프하고, 작동 상태를 LED의 점등 여부를 통해 확인할 수 있다.
이러한 회로기판(40)의 후단에는 제2접속부(41)가 설치된다. 즉, 제1 및 제2접속부(32,41)는 본체(20)의 후단의 개방부로 노출되도록 위치되며, 서로 나란하게 배치된다.
상기 캡 유닛(50)은 상기 본체(20)의 개방된 후단을 폐쇄시키도록 결합된다. 이 캡 유닛(50)은 캡 본체(51)와, 캡 본체(51)의 내측에 설치되어 상기 제1 및 제2접속부(31,41) 각각에 상보적으로 결합되어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제1 및 제2연결단자(52,53)를 가지는 터미널 회로기판(55)을 구비한다. 상기 제1 및 제2연결단자(52,53)는 핀 형태로 형성되어 제1 및 제2접속부(32,41)에 결합되어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그리고 상기 캡 본체(51)의 외측 단부로 충전용 단자들(56)이 노출되게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충전용 단자들(56)은 상기 제1 및 제2연결단자(52,53)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다. 따라서, 별도의 배터리 충전기에 본 발명의 치과용 충전기를 거치시킴으로써 상기 배터리(30)를 충전시킬 수 있게 된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배터리(30)가 본체(20)의 전체 길이에 걸쳐서 설치되고, 또한 메인 회로기판(40)도 배터리(30)와 나란하게 배치됨으로써, 배터리(30)의 중량을 전체 길이에 걸쳐 분산시켜서 균형을 유지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시술시 시술자가 충전기의 앞부분을 펜을 잡는 손 모양으로 잡고 오랜 시간 사용하더라도 편중으로 인한 불편함이 발생하지 않게 된다.
또한, 배터리(30)와 메인 회로기판(40)의 제1 및 제2접속부(32,41) 각각을 본체(20)의 후단 쪽에 배치함으로써 캡 유닛(50)을 결합 및 분리하는 동작에 의해서 배터리(30)와 메인 회로기판(40)의 전기적인 접속 및 분리 가능하게 되므로, 조립이 용이하고 배터리(30) 및 메인 회로기판(40)의 분리 및 교환, 수리 등이 용이 한 이점이 있다.
또한, 메인 회로기판과 배터리를 전기적으로 연결하기 위해 별도로 케이블을 이용하여 접속시키거나, 남땜 등의 작업을 할 필요가 없으므로, 생산성이 향상되고, 전기적인 접속의 신뢰성을 높일 수 있게 된다.
또한,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치과용 충전기는, 충전기 본체(120)와, 그 충전기 본체(120) 내부에 설치되는 배터리(130)와, 메인 회로기판(140) 및 캡 유닛(150)을 구비한다.
상기 본체(120)는 후단이 개방된 구조을 가지며, 그 내부면에는 메인 회로기판(140)과, 캡 유닛(150)의 결합을 가이드하기 위한 가이드부(121,122)가 형성된다. 본체(120)의 개방된 후방에는 상기 캡 유닛(150)이 삽입되면서 결합되어 폐쇄시키게 된다.
상기 배터리(130)는 상기 캡 유닛(150)의 내부에 수용되어 설치된다.
상기 메인 회로기판(140)은 상기 캡 유닛(150)에 나란하도록 본체(120) 내부에 설치된다. 이 메인 회로기판(140)의 후단 외측 즉, 상면에는 한 쌍의 제1접속단자(141)가 형성된다.
상기 캡 유닛(150)은 배터리(130)를 수용하기 위한 배터리 수용부(151)와, 상기 배터리 수용부(151)의 후단에 마련되어 본체(120)의 개방된 후단을 덮도록 결합되는 캡부(152) 및 상기 배터리(130)와 접속되며 상기 본체(120)에 결합시 상기 메인 회로기판(140)의 제1접속단자(141)에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한 쌍의 단자부재(153)를 구비한다. 상기 배터리(130)의 제2접속단자(131)는 상기 단자부재(153) 에 접속된다.
또한, 상기 단자부재(153)는 하단의 일부분이 캡부(152)의 외측으로 노출되도록 설치된다. 따라서 외부로 노출된 단자부(153)를 통해서 외부의 충전기와 접속시킬 수 있으며, 배터리(130)를 충전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캡부(152)에는 본체(120)와의 결합시 결합상태를 유지시키는 로킹부재(155)가 더 설치된다. 이 로킹부재(155)의 로킹돌기(155)가 본체(120)의 로킹홀(124)에 탄력적으로 삽입되어 로킹된다.
상기 구성의 캡 유닛(150)은 길이 방향으로 서로 분리되는 구조를 가지며, 분리된 상태에서 그 내부에 배터리(130)가 삽입되어 수용되며, 이와 같이 배터리(130)가 수용된 상태의 캡 유닛(150)을 본체(120)의 후단을 덮도록 삽입하여 결합하게 되면, 배터리(130)와 메인 회로기판(140)이 전기적으로 접속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별도로 배터리(130)를 수용할 수 있는 배터리 수용부(151)를 구비하는 캡 유닛(150)을 구비함으로써, 배터리(130)를 장착시 메인 회로기판(140)과의 접속이 자연스럽게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고 따라서 조립이 용이하여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배터리(130)의 충전은 물론 교환 장착이 용이한 이점이 있다.
이상,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특허청구범위를 벗어남이 없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수정과 변형실시가 가능하다 할 것이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치과용 충전기를 나타내 보인 사시도.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치과용 충전기를 나타내 보인 도면.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팁 조립체 20,120..충전기 본체
30,130..배터리 40,140..메인 회로기판
50,150..캡 유닛

Claims (4)

  1. 선단에 팁 조립체가 결합되는 충전기 본체와;
    상기 본체 내부에 설치되며 보호 회로기판이 연결되는 배터리와;
    상기 배터리와 나란하게 상기 본체 내부에 설치되는 메인 회로기판과;
    상기 본체의 개방된 후방을 덮도록 결합되며, 결합시 상기 보호 회로기판과 상기 메인 회로기판을 전기적으로 연결시키는 캡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배터리는 상기 본체의 길이 대비 2/3 이상의 길이로 길게 형성되어 상기 본체 내부에 수용되며, 상기 메인 회로기판은 상기 배터리보다 길게 상호 나란하게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충전기.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캡 유닛은,
    상기 본체의 후방을 덮도록 결합되는 캡 몸체와;
    상기 캡 몸체의 내측에 설치되어 상기 메인 회로기판과 상기 보호 회로기판 각각에 결합되어 상호 전기적으로 연결시키는 접속단자;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충전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캡 유닛은,
    상기 배터리를 수용하는 배터리 수용부와;
    상기 배터리 수용부의 후단에 연결되어 상기 본체의 후방에 결합되는 캡부와;
    상기 배터리 수용부에 수용된 배터리와 상기 메인 회로기판을 전기적으로 연결시키는 접속단자;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충전기.
KR1020090075384A 2009-08-14 2009-08-14 치과용 충전기 KR10109790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75384A KR101097902B1 (ko) 2009-08-14 2009-08-14 치과용 충전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75384A KR101097902B1 (ko) 2009-08-14 2009-08-14 치과용 충전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17753A KR20110017753A (ko) 2011-02-22
KR101097902B1 true KR101097902B1 (ko) 2011-12-23

Family

ID=437756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75384A KR101097902B1 (ko) 2009-08-14 2009-08-14 치과용 충전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9790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46090B1 (ko) 2012-07-04 2013-03-20 (주)디엑스엠 치아용 디본더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549716A (zh) * 2019-01-15 2019-04-02 冯远华 一种具有压平功能的牙胶尖切断器及其头部的生产方法
KR102404233B1 (ko) 2019-11-28 2022-06-02 (주)디엑스엠 치과용 충전기의 볼발열팁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143441U (ja) 1983-03-16 1984-09-26 石川 満宏 歯科用治療器
JPH10314184A (ja) 1997-05-21 1998-12-02 J Morita Tokyo Mfg Corp 歯科用ハンドピース
KR200350517Y1 (ko) 2004-02-12 2004-05-17 비엔엘바이오테크 주식회사 무선형 치과용 근관충전 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143441U (ja) 1983-03-16 1984-09-26 石川 満宏 歯科用治療器
JPH10314184A (ja) 1997-05-21 1998-12-02 J Morita Tokyo Mfg Corp 歯科用ハンドピース
KR200350517Y1 (ko) 2004-02-12 2004-05-17 비엔엘바이오테크 주식회사 무선형 치과용 근관충전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46090B1 (ko) 2012-07-04 2013-03-20 (주)디엑스엠 치아용 디본더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17753A (ko) 2011-02-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179769C2 (ru) Батарейный источник питания с направляющим ключом и самоблокировкой для портативного дефибриллятора
CN104335385B (zh) 破坏性电池罩
CN104578231B (zh) 充电器及充电系统
US20110097923A1 (en) Extension Cord Lock and In Line Tap
KR101097902B1 (ko) 치과용 충전기
AU2010325673A1 (en) Device used for treatment of rhinitis by biostimulative illumination
WO1990005517A1 (en) Electric massager
TWI731833B (zh) 遠距醫療攜帶箱
KR20230154143A (ko) 전기 칫솔
JP2007506238A (ja) 汎用電池を使用する取り外し可能なバッテリパックを有する体外除細動器
ES2639739T3 (es) Dispositivo manual para tratamiento de la piel, accionado eléctricamente
US20100112514A1 (en) Wireless dental handpiece
CN205850244U (zh) 一种玩具
KR100614628B1 (ko) 배터리의 착탈이 용이한 치과용 근관 충전장치
AU580587B2 (en) Charging set for the regenerative recharging of dry batteries
KR102108393B1 (ko) 착용된 마스크팩의 이온 흡수를 촉진시키는 시계형 이온 도입기
CN207303603U (zh) 一种电动车用安全充电转接器
KR101097900B1 (ko) 치과용 충전기
KR101110395B1 (ko) 다기능 전동식 치근관 충진장치
CN210131253U (zh) 植入式电刺激器和电刺激系统
CN208405777U (zh) 低周波理疗仪输出线的安全连接结构
CN212879647U (zh) 一种无线可充电式电蜡勺
CN204976562U (zh) 电动工具结构
KR200350517Y1 (ko) 무선형 치과용 근관충전 장치
JP2000014021A (ja) 充電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1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1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1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18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