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74236A - 주사기 - Google Patents

주사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74236A
KR20230074236A KR1020237013854A KR20237013854A KR20230074236A KR 20230074236 A KR20230074236 A KR 20230074236A KR 1020237013854 A KR1020237013854 A KR 1020237013854A KR 20237013854 A KR20237013854 A KR 20237013854A KR 20230074236 A KR20230074236 A KR 2023007423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eedle
base
segment
unit
outpu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70138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친-민 예
핀-한 우
Original Assignee
씨씨 바이오테크놀로지 코포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씨씨 바이오테크놀로지 코포레이션 filed Critical 씨씨 바이오테크놀로지 코포레이션
Publication of KR2023007423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7423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4Infusion devices, e.g. infusing by gravity; Blood infusion; Accessories therefor
    • A61M5/142Pressure infusion, e.g. using pumps
    • A61M5/14244Pressure infusion, e.g. using pumps adapted to be carried by the patient, e.g. portable on the bod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78Syringes
    • A61M5/20Automatic syringes, e.g. with automatically actuated piston rod, with automatic needle injection, filling automatically
    • A61M5/204Automatic syringes, e.g. with automatically actuated piston rod, with automatic needle injection, filling automatically connected to external reservoirs for multiple refill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78Syringes
    • A61M5/31Details
    • A61M5/315Pistons; Piston-rods; Guiding, blocking or restricting the movement of the rod or piston; Appliances on the rod for facilitating dosing ; Dosing mechanisms
    • A61M5/31565Administration mechanisms, i.e. constructional features, modes of administering a dose
    • A61M5/31576Constructional features or modes of drive mechanisms for piston ro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4Infusion devices, e.g. infusing by gravity; Blood infusion; Accessories therefor
    • A61M5/1413Modular systems comprising interconnecting elem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78Syringes
    • A61M5/31Details
    • A61M5/32Needles; Details of needles pertaining to their connection with syringe or hub; Accessories for bringing the needle into, or holding the needle on, the body; Devices for protection of needles
    • A61M5/3205Apparatus for removing or disposing of used needles or syringes, e.g. containers; Means for protection against accidental injuries from used needles
    • A61M5/321Means for protection against accidental injuries by used needles
    • A61M5/322Retractable needles, i.e. disconnected from and withdrawn into the syringe barrel by the pist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4Infusion devices, e.g. infusing by gravity; Blood infusion; Accessories therefor
    • A61M5/142Pressure infusion, e.g. using pumps
    • A61M5/14244Pressure infusion, e.g. using pumps adapted to be carried by the patient, e.g. portable on the body
    • A61M5/14248Pressure infusion, e.g. using pumps adapted to be carried by the patient, e.g. portable on the body of the skin patch type
    • A61M2005/14252Pressure infusion, e.g. using pumps adapted to be carried by the patient, e.g. portable on the body of the skin patch type with needle insertion mea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4Infusion devices, e.g. infusing by gravity; Blood infusion; Accessories therefor
    • A61M5/142Pressure infusion, e.g. using pumps
    • A61M5/14244Pressure infusion, e.g. using pumps adapted to be carried by the patient, e.g. portable on the body
    • A61M2005/14268Pressure infusion, e.g. using pumps adapted to be carried by the patient, e.g. portable on the body with a reusable and a disposable compone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05/00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 A61M2205/27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preventing use
    • A61M2205/273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preventing use preventing reuse, e.g. of disposabl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05/00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 A61M2205/82Internal energy supply devices
    • A61M2205/8206Internal energy supply devices battery-operate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4Infusion devices, e.g. infusing by gravity; Blood infusion; Accessories therefor
    • A61M5/142Pressure infusion, e.g. using pumps
    • A61M5/14212Pumping with an aspiration and an expulsion action
    • A61M5/14216Reciprocating piston typ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78Syringes
    • A61M5/31Details
    • A61M5/32Needles; Details of needles pertaining to their connection with syringe or hub; Accessories for bringing the needle into, or holding the needle on, the body; Devices for protection of needles
    • A61M5/3205Apparatus for removing or disposing of used needles or syringes, e.g. containers; Means for protection against accidental injuries from used needles
    • A61M5/321Means for protection against accidental injuries by used needles
    • A61M5/322Retractable needles, i.e. disconnected from and withdrawn into the syringe barrel by the piston
    • A61M5/3232Semi-automatic needle retraction, i.e. in which triggering of the needle retraction requires a deliberate action by the user, e.g. manual release of spring-biased retraction mean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matology (AREA)
  • Anesthesi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Infusion, Injection, And Reservoir Apparatuses (AREA)

Abstract

주사기는 약물 용기(10), 주사 모듈(2) 및 구동 메커니즘(40)을 포함한다. 주사 모듈(2)은 서로 연결된 변환 메커니즘(20)과 바늘 출력 메커니즘(30)을 포함하며, 변환 메커니즘(20)은 약물 용기(10)에 조립 및 연결되고, 변환 메커니즘(20) 내의 구동 피스톤 세트(22)는 구동 메커니즘(40)에 조립 및 연결된다. 바늘 출력 메커니즘(30) 내의 바늘 세트(33)는 인체를 찌르는데 사용되며, 구동 메커니즘(40)은 구동 피스톤 세트(22)를 구동하여 약물 용기(10) 내의 약물을 바늘 세트(33)로 전달하여 약물 주사를 실행하도록 함으로써, 주사기에서 안전 및 위생과 관련된 약물 용기(10) 및 주사 모듈(2)은 일회용이며 사용 후 분해하여 폐기되며, 변환 메커니즘(20)은 구동 메커니즘(40)의 외부에 연결되어 있으므로 구동 메커니즘(40)은 약물 주사 과정에서 약물과 전혀 접촉하지 않고 재사용이 가능하여 주사기의 불필요한 재료 낭비를 줄일 수 있다.

Description

주사기
본 발명은 인체에 약제를 피하 주사하는 데 사용되는 주사기에 관한 것이다.
약제를 인체에 피하 주사하는 종래의 주사기는 약물 용기에 연결된 수동 또는 전기 작동식 주사 모듈을 구비함으로써 주사 모듈의 바늘 어셈블리가 피하 주사를 위해 인체를 관통할 수 있다.
약물 액체 주사의 안전 규정으로 인해, 기존 주사기는 재사용 횟수가 제한되며, 기존 주사기의 사용 횟수가 한계에 도달하면, 기존 주사기 전체를 폐기해야 하며 기존 주사기를 더 이상 재사용할 수 없다. 또한, 기존 주사기는 분리할 수 없는 구조로 설계되고 구동 메커니즘이 주사 모듈에 직접 연결되어 약액과 접촉한다. 따라서, 안전 및 보건상의 이유로, 기존 주사기의 부품은 분리되어 재사용될 수 없다.
또한, 인체에 여러 번 피하 주사를 수행해야 할 때 바늘을 여러 번 찌르고 빼는 것에서 발생하는 인체의 불편함을 방지하기 위해, 기존 주사기의 바늘 어셈블리는 연침(soft needle)과 경침(hard needle)을 구비한다. 연침은 부드러워 인체를 직접 관통하기 어렵기 때문에, 연침 내에 경침이 장착된 상태에서 연침이 인체를 관통한다. 이후, 주사를 위해 경침이 연침으로부터 인출되고 연침이 주사 모듈과 약물 용기에 연결된다. 연침은 여러 번의 주사를 위해 인체 내에 더 오래 유지될 수 있다. 그러나, 주사 모듈에서는 바늘 어셈블리가 연침과 경침을 가지고 있으므로, 작업자가 2개의 단계로 바늘을 설정해야 하므로 불편하고 추가 개선이 필요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기존 주사기가 안전상의 문제로 인해 사용 후 폐기되어야 하는 문제점을 해결한 주사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주사기는 약물 용기, 주사 모듈, 및 구동 메커니즘을 포함한다. 약물 용기는 약물을 수용하는 용기 본체와 용기 본체의 측면에 장착된 용기 연결 포트를 구비한다. 주사 모듈은 변환 메커니즘과 바늘 출력 메커니즘을 구비한다. 변환 메커니즘은 약물 용기에 연결된다. 변환 메커니즘은 변환 연결 베이스와 변환 연결 베이스에 장착된 구동 피스톤 세트를 구비한다. 변환 연결 베이스는 입력 어댑터와 출력 어댑터를 구비한다. 변환 연결 베이스는 입력 어댑터를 통해 약물 용기의 용기 연결 포트에 연결된다. 바늘 출력 메커니즘은 변환 메커니즘에 연결된다. 바늘 출력 메커니즘은 바늘 세트를 구비한다. 바늘 세트는 출력 어댑터를 통과할 수 있다. 구동 메커니즘은 주사 모듈의 변환 메커니즘에 분리 가능하게 연결된다. 구동 메커니즘은 케이스와 케이스에 장착되어 가동되도록 조정된 구동 유닛을 구비한다. 케이스는 변환 메커니즘의 변환 연결 베이스에 분리 가능하게 연결된다. 구동 유닛은 구동 피스톤 세트에 연결되고 구동 피스톤 세트를 구동하여 약물 용기로부터 바늘 출력 메커니즘으로 약품을 인출하여 이송할 수 있으며, 그런 다음 바늘 출력 메커니즘의 바늘 세트에 의해 약물이 주사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장점은 다음과 같다. 주사 모듈은 서로 연결된 변환 메커니즘과 바늘 출력 메커니즘을 가진다. 변환 메커니즘은 약물 용기에 분리 가능하게 연결된다. 변환 메커니즘의 구동 피스톤 세트는 구동 메커니즘에 분리 가능하게 연결된다. 구동 메커니즘은 구동 피스톤 세트를 구동하여 약물 용기 내의 약물을 주사용 바늘 세트로 이송할 수 있다. 전술한 모듈식 구성에 의해, 안전 및 위생과 관련된 주사기의 약물 용기 및 주사 모듈은 일회용이며 사용 후 분리하여 폐기될 수 있다. 또한, 구동 메커니즘이 변환 메커니즘에 장착되므로 주사 중에 구동 메커니즘이 약물과 접촉하지 않아 재사용이 가능하므로 불필요한 낭비를 줄일 수 있다.
바늘 출력 메커니즘은 베이스, 연결 부재, 바늘 세트, 바늘 출력 작동 어셈블리 및 바늘 후퇴 작동 부재를 포함한다. 연결 부재는 베이스에 이동 가능하게 장착된다. 바늘 세트는 연결 부재에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며, 연침, 바늘 플러그 및 경침을 구비한다. 바늘 플러그는 연침의 단부에 장착된다. 경침은 연침 내에 장착될 수 있다. 바늘 출력 작동 어셈블리는 베이스에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며 바늘 세트에 연결된다. 바늘 출력 작동 어셈블리는 연결 부재 내에 위치된 바늘 세트를 구동시켜 연침 내에 장착된 경침이 베이스 외부로 돌출되게 한 후, 경침을 구동시켜 연침으로부터 분리되게 작동될 수 있다. 바늘 후퇴 작동 부재는 베이스 내에 이동 가능하게 장착된다. 바늘 후퇴 작동 부재는 바늘 출력 상태에서 연결 부재와 연침을 구동시켜 베이스로 다시 후퇴되게 작동될 수 있다. 주사기에 의해 인체에 주사되는 동안, 돌출 작동 부재가 작동되어 연결 부재 내에 위치된 바늘 세트를 구동시키고 바늘 세트의 연침이 인체를 관통할 수 있도록 연침 내에 장착된 경침이 베이스에서 돌출되도록 바늘 세트를 작동시킨다. 바늘 출력 작동 어셈블리에 적용되는 동작 중에 경침이 구동되어 연침으로부터 분리 된 다음, 구동 모듈이 어댑터 메커니즘의 구동 피스톤 어셈블리를 구동시켜 약제 주사를 실행한다. 주사 후, 바늘 후퇴 작동 부재가 작동되어 연침을 후퇴시킨다. 따라서, 본 발명의 바늘 출력 메커니즘은 조작이 용이하다.
또한, 베이스는 동작 공간(action room)을 가진다. 베이스의 후면에는 베이스 보드와 베이스 보드에 형성되고 동작 공간에 연결된 관통 구멍이 제공된다. 베이스의 측면에는 동작 공간에 연결된 동작 개구가 제공된다. 고정 버클링 후크가 베이스에 장착되고 동작 공간 외부에 위치된다. 연결 부재는 베이스의 동작 동간 내에 이동 가능하게 장착된다. 연결 부재는 연결 베이스 세그먼트와 연결 헤드를 구비한다. 연결 베이스 세그먼트는 베이스 환형 벽과 베이스 환형 벽 내에 장착된 바늘 세트 장착 세그먼트를 구비한다. 바늘 세트 장착 세그먼트는 바늘 세트 장착 세그먼트 내에 형성된 바늘 공간과 바늘 세트 장착 세그먼트에서 베이스 기판을 향하는 단부에 형성되어 바늘 공간에 연결된 바늘 플러그 구멍을 포함한다. 바늘 플러그 구멍은 베이스 보드의 관통 구멍에 대응한다. 연결 헤드는 연결 베이스에 장착되며 바늘 세트 장착 세그먼트의 바늘 공간에 연결된다. 연결 헤드는 베이스의 동작 개구를 통해 장착된다. 베이스 환형 벽에는 적어도 하나의 절단 블레이드 세그먼트가 제공된다. 바늘 세트의 연침은 바늘 세트 장착 세그먼트의 바늘 공간에 이동 가능하게 장착된다. 연침 상에 장착된 바늘 플러그는 바늘 플러그 구멍에 고정될 수 있다. 바늘 출력 작동 어셈블리는 바늘 출력 작동 유닛, 바늘 베이스, 밀봉 유닛 및 탄성 유닛을 구비한다. 바늘 출력 작동 유닛은 베이스에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고, 바늘 출력 작동 유닛은 베이스의 고정 버클링 후크에 의해 고정 및 버클링될 수 있다. 바늘 출력 작동 유닛은 버튼 세그먼트와 버튼 세그먼트의 측면에 위치된 수용 공간을 구비한다. 수용 공간은 동작 공간에 대응한다. 바늘 베이스는 바늘 출력 작동 유닛의 수용 공간 내에 위치되며 바늘 출력 작동 유닛에 연결된다. 바늘 베이스는 바늘 베이스 헤드 단부와 바늘 베이스 연결 로드(rod)를 가진다. 연결 세그먼트가 바늘 베이스 헤드 단부의 주변부와 수용 공간의 내벽 사이에 장착되며, 절단 블레이드 세그먼트에 의해 절단될 수 있다. 바늘 베이스 연결 로드는 경침에 연결되며 바늘 세트의 바늘 플러그를 밀어넣을 수 있다. 탄성 유닛과 조립된 밀봉 유닛은 연결 부재 내에 위치된다. 밀봉 유닛은 바늘 세트 장착 세그먼트 외부에 위치되며 바늘 공간을 덮는다. 밀봉 유닛은 바늘 베이스 연결 로드의 바깥쪽에 단단히 슬리빙되어 있다. 탄성 유닛은 바늘 베이스 연결 로드의 외측에 슬리부 피복되어 있다. 탄성 유닛의 2개의 단부는 각각 바늘 베이스의 바늘 베이스 헤드 단부와 밀봉 유닛에 연결된다. 이에 따라, 바늘 출력 메커니즘에 한 번의 가압이 이루어지면 바늘 세트에서 연침에 장착된 경침이 베이스로부터 돌출된다. 또한, 연결 부재의 절단 블레이드 세그먼트는 바늘 베이스와 바늘 출력 작동 유닛 사이의 연결 세그먼트를 절단하고 탄성 유닛은 바늘 베이스를 푸싱하여 경침을 연침으로부터 분리되게 구동시킴으로써 연침이 바늘 공간과 연결 헤드를 통해 출력 어댑터에 연결되므로 바늘 세트 돌출 조작이 용이해진다.
또한, 연결 부재의 연결 헤드에서 연결 베이스 세그먼트에 연결되는 단부에 직경 감소 세그먼트가 직경이 감소된 상태로 형성되어 절단 제거될 수 있다. 절단 나이프 세그먼트가 바늘 출력 작동 유닛에서 연결 헤드에 해당하는 측면에 장착된다. 절단 나이프 세그먼트는 연결 부재의 연결 헤드의 직경 감소 세그먼트를 절단 제거하도록 작동될 수 있다. 이에 의해, 바늘 출력 메커니즘의 바늘 후퇴 작동 부재의 인접한 경사면이 베이스에 위치된 연결 부재에서 베이스로부터 멀리 있는 후면에 위치된 베이스 보드를 밀어내면, 인접한 경사면이 연결 부재와 연결 부재에 장착된 연침을 베이스로 후퇴되게 동시에 구동시킨다. 또한, 베이스에 고정된 바늘 출력 작동 유닛의 절단 나이프 세그먼트는 어댑터 메커니즘에 연결된 연결 부재의 연결 헤드의 직경 감소 세그먼트를 절단하여 바늘 출력 메커니즘을 재사용할 수 없게 함으로써 사용 중 안전을 보장한다.
바늘 출력 메커니즘은 안전 커버와 안전 볼트를 추가로 구비할 수 있다. 안전 커버는 바늘 출력 작동 어셈블리의 외측을 덮고 베이스와 결합할 수 있다. 안전 볼트는 안전 커버와 바늘 출력 작동 어셈블리의 바늘 출력 작동 유닛에 장착된다. 안전 커버와 바늘 출력 작동 유닛 사이에는 푸시 탄성 유닛이 장착된다. 따라서, 바늘 출력 메커니즘은 안전 볼트를 빼고 안전 커버를 분리한 후에만 바늘을 돌출시키도록 작동되어 사용 중 안전을 보장할 수 있다. 또한, 안전 볼트가 뽑힌 후, 푸시 탄성 유닛이 자동으로 안전 커버를 베이스로부터 멀어지게 밀어냄으로써 작동 편의성을 향상시킨다.
이하의 도면은 본 발명을 예시하고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도면에서: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주사기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주사기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부분 분해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1 및 도 2의 주사기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약물 용기의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1 및 도 2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주사 모듈의 작동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1, 도 2 및 도 4의 주사기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주사 모듈의 변환 메커니즘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6은 도 1, 도 2 및 도 4의 주사기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주사 모듈의 변환 메커니즘을 다른 시야각에서 바라본 분해 사시도이고;
도 7은 도 1 및 도 2의 주사기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부분 측면도이고;
도 8은 도 7의 A-A 라인을 따라 절단된 측단면도이고;
도 9는 도 7의 B-B 라인을 따라 절단된 측단면도이고;
도 10은 도 1, 도 2 및 도 4의 주사 모듈의 바늘 출력 메커니즘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11은 도 1, 도 2 및 도 4의 주사 모듈의 바늘 출력 메커니즘을 다른 시야각에서 바라본 분해 사시도이고;
도 12는 도 1, 도 2 및 도 4의 주사 모듈의 바늘 출력 메커니즘의 평면도이고;
도 13은 도 12의 C-C 라인을 따라 절단된 측단면도이고;
도 14는 도 12의 D-D 라인을 따라 절단된 측단면도이고;
도 15는 도 1 및 도 2의 주사기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구동 메커니즘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16은 도 1 및 도 2의 주사기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구동 메커니즘을 다른 시야각에서 바라본 분해 사시도이고;
도 17은 주사 모듈에 조립된 약물 용기를 보여주는 도 1 및 도 2의 주사기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작동도이고;
도 18은 구동 메커니즘에 조립된 약물 용기 및 주사 모듈의 조합을 보여주는 도 1 및 도 2의 주사기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작동도이고;
도 19는 안전 커버 및 안전 볼트가 없는 주사 모듈의 바늘 출력 메커니즘을 보여주는 도 1 및 도 2의 주사기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측단면도이고;
도 20은 바늘 출력 작동 어셈블리를 눌러 연결 부재에 위치된 바늘 세트를 구동시켜 연침 내에 장착된 경침이 베이스로부터 돌출되는 것을 보여주는 도 19의 바늘 출력 메커니즘의 작동도이고;
도 21은 베이스에 고정된 바늘 출력 작동 어셈블리와 바늘 출력 작동 어셈블리로부터 분리되어 경침을 연침으로부터 분리되게 구동시키는 바늘 베이스를 보여주는 도 20의 바늘 출력 메커니즘의 작동도이고;
도 22는 주사 후 연침을 후퇴되게 구동시키는 바늘 후퇴 작동 부재를 보여주는 도 19의 바늘 출력 메커니즘의 작동도이고;
도 23은 바늘 세트의 후퇴 중에 연결 부재의 연결 헤드 세그먼트의 직경 감소 세그먼트를 절단하는 바늘 출력 메커니즘을 보여주는 도 21의 바늘 출력 메커니즘의 작동도(1)이고; 그리고
도 24는 바늘 세트의 후퇴 중에 연결 부재의 연결 헤드 세그먼트의 직경 감소 세그먼트를 절단하는 바늘 출력 메커니즘을 보여주는 도 21의 바늘 출력 메커니즘의 작동도(2)이다.
본 발명의 첨부 도면 및 바람직한 실시예와 함께, 본 발명은 발명의 의도된 목적에 도달하기 위해 채택된 기술적 수단에 대해 더 상세하게 설명된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주사기가 개시된다. 주사기는 X-축, Y-축 및 Z-축을 갖는 3차원 공간에 위치된다. 주사기는 서로 반대되는 전방면과 후방면을 가지며, X-축을 따라 배열된다. 주사기는 약물 용기(10), 주사 모듈(2) 및 구동 메커니즘(40)을 구비한다. 이들 부품은 아래에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약물 용기(10)는 일정 용량의 약물을 수용하고 밀봉하도록 조정된다. 약물 용기(10)는 용기 본체(11)와 용기 연결 포트(12)를 구비한다. 용기 본체(11)는 약물을 수용하고 밀봉할 수 있도록 조정된 공간을 형성한다. 용기 연결 포트(12)는 Z-축 방향을 따라 용기 본체(11)의 측면에 위치되며 용기 본체(11)의 내측면에 연결된다. 용기 본체(11)에 충전된 약품은 용기 연결 포트(12)를 통해 출력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약물 용기(10)는 용기 본체(11)의 후방면에 장착되고 이형지를 갖는 후면 스티커(13)를 구비하고 있으므로, 약물 용기(10)는 이형지를 제거한 후 후면 스티커(13)를 통해 물품 또는 인체에 부착될 수 있다. 또는, 후면 스티커(13)는 밴드로 대체될 수 있으므로, 약물 용기(10)는 밴드를 통해 물품 또는 인체에 장착될 수 있다. 약물 용기(10)는 용기 연결 포트(12)를 통해 주사 모듈(2)과 조립할 수 있다.
도 1, 도 2 및 도 4를 참조하면, 주사 모듈(2)은 변환 메커니즘(20)과 바늘 출력 메커니즘(30)을 구비한다. 변환 메커니즘(20) 및 바늘 출력 메커니즘(30)은 약물 용기(10)를 구동 메커니즘(40) 및 주사 모듈(2)과 용이하게 조립하기 위해 모듈형일 수 있다. 주사 모듈(2)의 후방면은 이형지를 갖는 후면 스티커로 구현될 수 있으므로, 주사 모듈(2)은 이형지를 제거한 후 후면 스티커를 통해 물품 또는 인체에 부착될 수 있거나, 그렇지 않으면, 후면 스티커는 또한 밴드로 대체될 수 있으므로, 주사 모듈(2)은 밴드에 의해 물품 또는 인체에 장착된다.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변환 메커니즘(20)은 약물 용기(10)와 구동 메커니즘(40)에 연결된다. 변환 메커니즘(20)은 변환 연결 베이스(21)와 구동 피스톤 세트(22)를 구비한다. 변환 연결 베이스(21)는 입력 어댑터(213)와 출력 어댑터(214)를 가지며, 입력 어댑터(213)를 통해 약물 용기(10)에 연결되고, 출력 어댑터(214)를 통해 바늘 출력 메커니즘(30)에 연결된다. 이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변환 연결 베이스(21)는 베이스 본체(211)와 밸브 베이스 세그먼트(212)를 포함한다. 밸브 베이스 세그먼트(212)는 베이스 본체(211)에 장착된다. 밸브 베이스 세그먼트(212)는 외부 측의 슬리브형 개구를 가진다. 슬리브형 개구는 구동 피스톤 세트(22)와 조립된다. 입력 어댑터(213)는 슬리브형 개구에 반대되는 밸브 베이스 세그먼트(212)의 측면에 장착된다. 출력 어댑터(214)는 베이스 본체(211) 내에 장착된다. 입력 어댑터(213) 및 출력 어댑터(214)는 밸브 베이스 세그먼트(212)의 슬리브형 개구에 연결된다. 입력 어댑터(213)는 약물 용기(10)의 용기 연결 포트(12)에 탈착 가능하게 연결된다. 출력 어댑터(214)는 바늘 출력 메커니즘(30)에 연결된다.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이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밸브 베이스 세그먼트(212)의 슬리브형 개구는 Y-축을 따라 외측을 향한다. 입력 어댑터(213)는 Y-축을 따라 향한다. 출력 어댑터(214)는 Z-축을 따라 향한다. 구동 피스톤 세트(22)는 밸브 베이스 세그먼트(212)의 슬리브형 개구에 장착된다. 구동 피스톤 세트(22)는 이동되게 제어될 수 있고, 약물 용기(10)로부터 구동 피스톤 세트(22)로 약물을 인출하여 이송할 수 있으며, 그런 다음 출력 어댑터(214)로부터 약물이 출력된다. 베이스 본체(211)는 연결 보드(215)를 가지며, 연결 보드(215)를 통해 바늘 출력 메커니즘(30)에 연결된다. 연결 보드(215)는 Y-축에서 연결 보드(215)의 2개의 대향 측면에 각각 배치된 2개의 클램핑 세그먼트(216)를 가진다. 연결 보드(215)는 후크 세그먼트(217)를 가지므로, 연결 보드(215)는 바늘 출력 메커니즘(30)과 맞물릴 수 있다.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이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변환 메커니즘(20)의 입력 어댑터(213)는 수형 연결 포트(2131)와 적어도 하나의 버클링 후크(2132)를 구비한다. 약물 용기(10)의 용기 연결 포트(12)는 암형 연결 포트(121)와 적어도 하나의 버클링 홈(122)을 구비한다. 입력 어댑터(213)의 수형 연결 포트(2131)는 용기 연결 포트(12)의 암형 연결 포트(121)와 정합되어 조립된다. 입력 어댑터(213)의 버클링 후크(2132)는 용기 연결 포트(12)의 버클링 홈(122)과 정합되어 조립된다. 수형 연결 포트(2131) 및 암형 연결 포트(121)는 조립 후 누출을 방지하는 표준 수형 및 암형 루어 테이퍼(luer taper)로 구현될 수 있다.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이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변환 연결 베이스(21)의 베이스 본체(211)의 연결 보드(215)의 후방면이 이형지를 갖는 후면 스티커(218)로 구현될 수 있으므로, 연결 보드(215)는 이형지를 제거한 다음 후면 스티커를 통해 물품 또는 인체에 부착될 수 있거나, 후면 스티커가 또한 밴드로 대체될 수 있으므로, 연결 보드(215)는 밴드에 의해 물품 또는 인체에 장착된다.
도 2, 도 4-6 및 도 7-9를 참조하면, 이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구동 피스톤 세트(22)는 피스톤 실린더(221), 밸브(222) 및 피스톤 실린더(221)에 장착되어 Y-축을 따라 선형 이동이 가능한 피스톤 로드(223)를 구비한다. 피스톤 실린더(221)의 단부에는 밸브 연결 단부 세그먼트(2211)가 구비되어 있다. 피스톤 실린더(221)는 피스톤 공간을 갖는다. 피스톤 공간은 Y-축을 따라 피스톤 실린더(221)의 다른 단부까지 연장되어 개구를 형성한다. 피스톤 실린더(221)는 밸브 연결 단부 세그먼트(2211)를 통해 밸브(222)에 조립되고 밸브 베이스 세그먼트(212) 내에 장착된다. 밸브(222)는 단방향 입력 밸브(2221)와 단방향 출력 밸브(2222)를 갖는다. 단방향 입력 밸브(2221)는 입력 어댑터(213)에 연결된다. 단방향 입력 밸브(2221)는 입력 어댑터(213)로부터 밸브 베이스 세그먼트(212)로의 방향으로만 개방된다. 단방향 출력 밸브(2222)는 출력 어댑터(214)에 연결된다. 단방향 출력 밸브(2222)는 밸브 베이스 세그먼트(212)로부터 출력 어댑터(214)로의 방향으로만 개방된다. 변환 연결 베이스(21)의 입력 어댑터(213) 및 출력 어댑터(214)는 밸브(222)의 단방향 입력 밸브(2221) 및 단방향 출력 밸브(2222)를 통해 각각 피스톤 실린더(221)의 피스톤 공간에 제어 가능하게 연결된다. 피스톤 로드(223)는 피스톤 실린더(221) 내에 장착되며, Y-축을 따라 선형으로 이동할 수 있다. 피스톤 로드(223)는 구동 메커니즘(40)에 탈착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으므로, 피스톤 로드(223)는 구동 메커니즘(40)에 의해 구동될 수 있다.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이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피스톤 실린더(221)의 내부 실린더 벽은 Y-축을 따라 연장되는 적어도 하나의 슬라이딩 홈(2212)을 구비한다. 피스톤 로드(223)의 환형 외부 표면에는 적어도 하나의 슬라이딩 블록(2231)이 제공된다. 적어도 하나의 슬라이딩 블록(2231) 각각은 피스톤 로드(223)를 피스톤 실린더(221) 내에서 Y-축을 따라 선형 이동되게 안내하기 위해 슬라이딩 홈(2212)에 위치가 대응한다. 또한, 피스톤 로드(223)는 중공 로드이고 적어도 하나의 L-형 버클링 홈(2232)을 가지므로, 피스톤 로드(223)와 구동 메커니즘(40)은 회전하여 맞물려 조립될 수 있고, 따라서 피스톤 로드(223)는 구동 메커니즘(40)에 의해 구동될 수 있다.
도 2, 도 4 및 도 10-14를 참조하면, 바늘 출력 메커니즘(30)은 변환 메커니즘(20)에 연결되어 약물 주입에 사용된다. 바늘 출력 메커니즘(30)은 베이스(31), 연결 유닛(32), 바늘 세트(33), 바늘 출력 작동 어셈블리(34) 및 바늘 복귀 작동 유닛(35)을 포함한다.
도 10 내지 도 14를 참조하면, 베이스(31)는 변환 메커니즘(20)의 베이스 본체(211)와 조립될 수 있다. 베이스(31)는 X-축을 따라 전방면을 향하는 개구를 갖는 작동 공간(311)을 구비한다. 작동 공간(311)은 X-축을 따라 후방면을 향하는 베이스 보드(312)를 갖는다. 베이스 보드(312)는 작동 공간(311)에 연결된 관통 구멍(313)을 갖는다. 베이스(31)는 Y-축을 따라 작동 공간(311)의 측면에 형성되고 작동 공간(311)에 연결된 관통 구멍(314)을 갖는다. 베이스(31)는 변환 메커니즘(20)을 향하는 측면에 형성되고 작동 공간(311)에 연결된 작동 개구(315)를 갖는다. 베이스 보드(312)는 베이스 보드(312)의 Y-축을 따라 2개의 대향편에 위치된 2개의 조립 세그먼트(3121)를 갖는다. 변환 메커니즘(20)의 변환 연결 베이스(21)의 연결 보드(215)의 클램핑 세그먼트(216)는 조립 세그먼트(3121)와 조립된다. 연결 보드(215)의 후크 세그먼트(217)는 베이스 보드(312)와 맞물릴 수 있다. 베이스(31)는 작동 공간(311)의 외측에 장착된 고정 버클링 후크(316)를 갖는다.
도 10 내지 도 14를 참조하면, 연결 유닛(32)은 베이스(31)의 작동 공간(311)에 장착되며, X-축을 따라 이동 가능하다. 연결 유닛(32)은 연결 베이스 세그먼트(321) 및 연결 헤드(322)를 갖는다. 연결 베이스 세그먼트(321)는 연결 베이스 환형 벽(3211)과 연결 베이스 환형 벽(3211)에 장착된 바늘 세트 장착 세그먼트(3212)를 갖는다. 바늘 세트 장착 세그먼트(3212)는 내부에 바늘 공간(3213)을 갖는다. 베이스(31)의 베이스 보드(312)를 향하는 바늘 세트 장착 세그먼트(3212)의 단부에는 바늘 플러그 구멍(3214)이 제공된다. 바늘 플러그 구멍(3214)은 베이스 보드(312)의 관통 구멍(313)에 대응한다. 한편, 바늘 플러그 구멍(3214)은 관통 구멍(313)에 위치가 대응한다. 연결 헤드(322)는 연결 베이스 세그먼트(321)에 장착되고, 바늘 세트 장착 세그먼트(3212)의 바늘 공간(3213)에 연결된다. 연결 헤드(322)는 Z-축을 따라 연장된다. 이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연결 베이스 세그먼트(321)에 연결된 연결 헤드(322)의 단부는 감소된 직경을 가지고 절제되도록 조정된 직경 감소 세그먼트(3221)를 형성한다. 연결 유닛(32)의 연결 헤드(322)는 베이스(31)의 작동 개구(315)를 통해 장착되고 변환 메커니즘(20)의 출력 어댑터(214)에 연결된다. 연결 베이스 환형 벽(3211)은 베이스(31)의 베이스 보드(312)로부터 떨어진 연결 베이스 환형 벽(3211)의 측면에 적어도 하나의 절단 블레이드 세그먼트(3215)를 갖는다.
도 10 내지 도 14를 참조하면, 바늘 세트(33)는 연결 유닛(32)의 바늘 세트 장착 세그먼트에 장착되고, X-축을 따라 이동될 수 있으며, 바늘을 출력 및 후퇴시키도록 작동될 수 있다. 바늘 세트(33)는 연침(331), 바늘 플러그(332), 경침(333)을 포함한다. 연침(331)은 바늘 세트 장착 세그먼트(3212)의 바늘 공간(3213)에 장착되며, X-축을 따라 이동될 수 있다. 연침(331)의 단부는 바늘 플러그 구멍(3214)을 향한다. 연침(331)의 다른 단부는 바늘 플러그(332)에 고정된다. 연침(331)이 베이스(31)의 베이스 보드(312)로부터 돌출되도록 구동될 때, 바늘 플러그(332)는 바늘 플러그 구멍(3214)에 끼워진다. 경침(333)은 바늘 플러그(332)와 연침 내에 장착되도록 구동될 수 있고, 연침(331)과 함께 돌출될 수 있다. 연침(331)이 출력된 후, 경침(333)은 연침(331)으로부터 분리되도록 구동될 수 있고, 그런 다음 연침(331)은 바늘 공간(3213) 및 연결 헤드(322)를 통해 변환 메커니즘(20)에 연결되어 약물의 유동 경로를 제공한다. 연침(331)은 연결 유닛(32)과 함께 베이스(31)로 후퇴될 수 있다.
도 10 내지 도 14를 참조하면, 바늘 출력 작동 어셈블리(34)는 베이스(31) 내에 장착되어 바늘 세트(33)를 구동하여 바늘을 출력할 수 있다. 바늘 출력 작동 어셈블리(34)는 바늘 출력 작동 유닛(341), 바늘 베이스(342), 밀봉 유닛(343) 및 탄성 유닛(344)을 포함한다.
도 10 내지 도 14를 참조하면, 바늘 출력 작동 유닛(341)은 베이스(31)에 장착되어 X-축을 따라 이동이 가능하다. 바늘 출력 작동 유닛(341)은 베이스(31)의 고정 버클링 후크(316)에 의해 버클링되고 고정될 수 있다. 바늘 출력 작동 유닛(341)은 버튼 세그먼트(3411)와 버튼 세그먼트(3411)의 측면에 위치된 수용 공간을 갖는다. 수용 공간은 베이스(31)의 작동 공간(311)에 대응한다. 한편, 수용 공간은 작동 공간(311)에 위치가 대응한다. 연결 헤드(322)에 대응하는 바늘 출력 작동 유닛(341)의 측면에는 절단 나이프 세그먼트(3412)가 제공된다. 절단 나이프 세그먼트(3412)는 연결 유닛(32)의 연결 헤드(322)의 직경 감소 세그먼트(3221)를 절단하도록 작동될 수 있다.
도 10 내지 도 14를 참조하면, 바늘 베이스(342)는 바늘 출력 작동 유닛(341)의 작동 공간(311)에 장착되고 바늘 출력 작동 유닛(341)에 연결된다. 바늘이 출력된 후, 바늘 베이스(342)는 바늘 출력 작동 유닛(341)으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바늘 베이스(342)는 바늘 베이스 헤드 단부(3421) 및 바늘 베이스 연결 로드(3422)를 갖는다. 바늘 베이스 헤드 단부(3421)는 바늘 출력 작동 유닛(341)에 연결된다. 바늘 베이스 연결 로드(3422)는 바늘 베이스 헤드 단부(3421) 상에 형성된다. 바늘 베이스 연결 로드(3422)는 경침(333)에 연결되고, 바늘 세트(33)의 바늘 플러그(332)를 밀어낼 수 있다.
도 10 내지 도 14를 참조하면, 이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바늘 베이스(342)와 바늘 출력 작동 유닛(341)은 일체로 형성된다. 절단되도록 조정된 연결 세그먼트(3423)는 바늘 베이스 헤드 단부(3421)의 엣지와 바늘 출력 작동 유닛(341) 사이에 형성된다. 베이스(31) 내에 장착된 연결 유닛(32)의 절단 블레이드 세그먼트(3215)에 의해 연결 세그먼트(3423)가 절단됨으로써, 바늘 베이스(342)와 바늘 출력 작동 유닛(341)이 분리된다.
도 10 내지 도 14를 참조하면, 밀봉 유닛(343)은 탄성 유닛(344)과 조립되어 연결 유닛(32)에 장착된다. 밀봉 유닛(343)은 바늘 세트 장착 세그먼트(3212) 외부에 장착되고 바늘 공간(3213)을 덮는다. 밀봉 유닛(343)은 바늘 베이스 연결 로드(3422)를 슬리브 피복하여 이를 장착한다. 탄성 유닛(344)은 바늘 베이스 연결 로드(3422)를 슬리브 피복한다. 탄성 유닛(344)의 양 단부는 각각 바늘 베이스(342)의 바늘 베이스 헤드 단부(3421) 및 밀봉 유닛(343)에 연결된다. 이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밀봉 유닛(343)은 밀봉 개스킷(3431) 및 밀봉 개스킷(3431)을 슬리브 피복하는 슬리브형 커버(3432)를 포함한다. 탄성 유닛(344)은 슬리브형 커버(3432)에 접한다. 밀봉 개스킷(3431)은 바늘 베이스 연결 로드(3422)를 슬리브 피복하여 이를 장착한다.
도 10 내지 14를 참조하면, 바늘 출력 작동 유닛(341)이 베이스(31) 측으로 눌려진 후, 바늘 세트(33)의 경침(333)이 연침(331)에 장착되므로, 바늘 출력 작동 유닛(341)은 바늘 베이스(342)를 구동하여 바늘 세트가 베이스(31)의 베이스 보드(312) 외부로 돌출되도록 밀어내고 탄성 유닛(344)을 통해 연결 유닛(32)을 눌러서 연결 유닛(32)이 베이스(31) 후방면에 위치된 베이스 보드(312)에 접하도록 하여, 연침(331)이 경침(333)을 내부에 장착한 상태로 인체에 관통하도록 할 수 있다. 바늘 플러그(332)가 바늘 세트 장착 세그먼트(3212)의 바늘 플러그 구멍(3214)에 끼워진 후, 바늘 출력 작동 유닛(341)은 베이스(31)의 고정 버클링 후크(316)에 의해 버클링되어 고정된다. 바늘 베이스(342)의 엣지 상의 연결 세그먼트(3423)는 연결 유닛(32)의 절단 블레이드 세그먼트(3215)에 의해 절단된다. 바늘 베이스(342)는 탄성 유닛(344)에 의해 밀려나고, 그런 다음 경침(333)이 바늘 베이스(342)의 바늘 베이스 연결 로드(3422)에 의해 연침(331)으로부터 당겨지도록 구동되어 연침(331)이 연결 유닛의 바늘 공간(3213) 및 연결 헤드(322)를 통해 변환 메커니즘(20)에 연결된다.
도 10 내지 도 14를 참조하면, 바늘 복귀 작동 유닛(35)은 관통 구멍을 통해 베이스(31)의 외측으로부터 작동 공간(311) 내로 연장된다. 바늘 복귀 작동 유닛(35)은 누름 세그먼트(351), 인접 경사면(352) 및 연장 세그먼트(353)를 갖는다. 누름 세그먼트(351)는 베이스(31) 외부에 위치된다. 인접하는 경사면(352)은 누름 세그먼트(351)가 작동 공간(311) 내로 연장되는 측면에 위치된다. 인접한 경사면(352)은 연결 유닛(32)의 연결 베이스 환형 벽(3211)에 접한다. 연장 세그먼트(353)는 누름 세그먼트(351)가 작동 공간(311)으로 연장되는 측면에 위치되며, 연결 유닛(32)의 바늘 세트 장착 세그먼트(3212)를 우회한다. 위치 제한 후크가 연장 세그먼트(353)의 단부에 형성된다. 베이스(31)는 바늘 복귀 작동 유닛(35)이 베이스(31) 내에 장착되어 베이스(31)를 분리하지 않고 제한된 거리 내에서 이동되게 제한되도록 위치 제한 후크의 위치를 제한한다. 바늘 복귀 작동 유닛(35)의 누름 세그먼트(351)가 눌리면, 인접 경사면(352)이 베이스(31) 내의 연결 유닛(32)을 베이스(31) 후면의 베이스 보드(312)로부터 멀어지게 밀어내어, 연결 유닛(32)과 연결 유닛(32)에 장착된 바늘 세트(33)의 연침(331)을 다시 베이스(31) 내로 후퇴시키게 된다.
도 10, 도 11 및 도 14를 참조하면, 바늘 출력 메커니즘(30)은 바늘 출력 메커니즘(30)의 안전을 보장하기 위해 안전 커버(36) 및 안전 볼트(37)가 추가로 구현될 수 있다. 안전 커버(36)는 바늘 출력 작동 어셈블리(34)를 덮고 베이스(31)와 맞물려 고정할 수 있다. 안전 볼트(37)는 안전 커버(36)와 바늘 출력 작동 어셈블리(34)의 바늘 출력 작동 유닛(341)에 장착된다. 따라서, 바늘 출력 메커니즘(30)은 안전 볼트(37)와 안전 커버(36)가 제거된 후에만 바늘을 출력할 수 있도록 하여 사용의 안전성을 확보한다. 또한, 안전 커버(36)와 바늘 출력 작동부(341) 사이에는 푸시 탄성 유닛(38)이 장착되어 있어서, 안전 볼트(37)를 빼낸 후 푸시 탄성 유닛(38)에 의해 안전 커버(36)가 베이스(31)로부터 자동으로 밀려날 수 있어 작동이 용이하다.
도 1, 도 2, 도 15, 도 16을 참조하면, 구동 메커니즘(40)은 주사 모듈의 변환 메커니즘(20)과 조립되어, 변환 메커니즘(20)에서 피스톤 로드(223)의 이동을 구동할 수 있다. 구동 메커니즘(40)은 수동 구동 메커니즘 또는 전기 구동 메커니즘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구동 메커니즘(40)은 주사 모듈의 변환 메커니즘(20)에 탈착 가능하게 연결되므로, 구동 메커니즘(40)은 재사용될 수 있다. 구동 메커니즘(40)은 케이스(41)와 케이스(41) 내에 장착된 구동 유닛(42)을 갖는다. 케이스(41)는 변환 메커니즘(20)의 변환 연결 베이스(21)에 탈착 가능하게 연결된다. 구동 유닛(42)은 피스톤 로드(223)에 탈착 가능하게 연결된다. 구동 유닛(42)은 피스톤 로드(223)의 이동을 수동 또는 전기적으로 구동할 수 있다.
도 15 내지 도 16에 도시된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면, 케이스(41)는 내부에 공간이 있는 중공체이다. 케이스(41)의 측면에는 연결 슬리브 세그먼트(411)가 제공된다. 연결 슬리브 세그먼트(411)는 외측으로부터 케이스(41) 내로 연장되는 샤프트 구멍을 갖는다. 연결 슬리브 세그먼트(411)는 변환 메커니즘(20)의 피스톤 실린더(221)에 탈착 가능하게 슬리브 피복된다.
도 15 내지 도 16을 참조하면, 이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케이스(41)는 나사 잠금, 클리핑 또는 본딩 방식으로 복수의 케이스 본체 세그먼트(412, 413)로 구성된다. 연결 슬리브 세그먼트(411)는 피스톤 실린더(221)와 회전 가능하게 조립된다. 피스톤 실린더(221)의 외주면은 버클링 블록(2213)으로 구현되고, 연결 슬리브 세그먼트(411)는 L-형 버클링 홈(4111)으로 구현된다. 버클링 블록(2213) 및 L-형 버클링 홈(4111)에 의해, 연결 슬리브 세그먼트(411)와 피스톤 실린더(221)는 서로 회전 가능하게 조립된다.
도 15-16, 도 8 및 도 9를 참조하면, 구동 유닛(42)은 연결 슬리브 세그먼트(411)에 장착되어 직선형으로 이동 가능하다. 연결 슬리브 세그먼트(411)를 향하는 구동 유닛(42)의 단부는 연결 단부 세그먼트(420)를 형성한다. 연결 단부 세그먼트(420)는 피스톤 로드(223)에 탈착 가능하게 연결된다. 이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구동 유닛(42)의 연결 단부 세그먼트(420)의 외주면은 적어도 하나의 결합 돌출부(421)를 구비한다. 구동 유닛(42)은 피스톤 로드(223) 내에 장착될 수 있고, 피스톤 로드(223)와 구동 메커니즘(40)이 서로 회전 가능하게 조립되도록 결합 돌출부(421)를 통해 결합 돌출부(421)의 L-형 버클링과 일치시킬 수 있다.
도 15 내지 도 16을 참조하면, 이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구동 메커니즘(40)은 전기 구동 메커니즘이지만,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구동 메커니즘(40)이 전기 구동 메커니즘인 경우, 구동 메커니즘(40)은 케이스(41)와 케이스(41) 내에 장착된 구동 유닛(42)을 가지며, 추가로 전기 구동 유닛(43)과 제어 유닛(44) 또는 전력 저장 유닛(45)을 포함한다.
도 15 내지 도 16을 참조하면, 전기 구동 유닛(43)은 케이스(41) 내에 장착되고, 케이스(41)의 연결 슬리브 세그먼트(411)에 있는 구동 유닛(42)에 연결될 수 있다. 전기 구동 유닛(43)은 구동 어셈블리(431) 및 변속기 어셈블리(432)를 구비한다. 구동 어셈블리(431)는 모터 및 펌프 또는 다른 전기 회전 구동 메커니즘을 포함하는 전기 구동 메커니즘일 수 있다. 변속기 어셈블리(432)는 구동 어셈블리(431)와 구동 유닛(42)을 연결하여, 구동 어셈블리(431)가 변속기 어셈블리(432)를 통해 구동 유닛(42)을 구동할 수 있도록 한다. 이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변속기 어셈블리(432)는 변속기 로드(4321) 및 기어 어셈블리(4322)를 포함한다. 변속기 로드(4321)는 케이스(41) 내에 피봇 가능하게 장착된다. 변속기 로드(4321)는 적어도 하나의 편심 캠(4323)을 갖는다. 기어 어셈블리(4322)는 서로 맞물리는 다수의 기어를 갖는다. 기어 어셈블리(4322)는 구동 어셈블리(431)와 변속기 로드(4321) 사이에 연결된다. 변속기 로드(4321)의 편심 캠(4323)은 케이스(41)에 위치된 구동 유닛(42)의 다른 단부에 연결된다. 복원 탄성 유닛(422)이 구동 유닛(42)과 케이스(41) 사이에 장착되어 구동 유닛(42) 및 연결 피스톤 로드(223)를 선형적으로 왕복동하도록 구동한다. 이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복원 탄성 유닛(422)은 압축 탄성 유닛이다. 복원 탄성 유닛(422)은 구동 유닛(42)에 슬리브 피복된다. 케이스(41) 내에 위치된 구동 유닛(42)의 단부에는 인접 플랜지가 제공된다. 복원 탄성 유닛(422)의 양 단부는 각각 케이스(41)와 구동 유닛(42)의 인접 플랜지에 접한다.
도 15 내지 도 16을 참조하면, 제어 유닛(44)은 케이스(41) 내에 장착되고, 제어 유닛(44)은 제어 회로 기판(441)과 디스플레이 패널(442)을 구비한다. 디스플레이 패널(442)은 제어 회로 기판(441)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디스플레이 패널(442)은 케이스(41)의 전방면으로부터 노출된다. 디스플레이 패널(442)은 디스플레이 기능을 갖는 통상적인 디스플레이 패널일 수 있다. 제어 유닛(44)은 또한 적어도 하나의 제어 버튼(443)을 갖는다. 제어 버튼(443)은 케이스(41)의 전방면에 위치되며, 디스플레이 패널(442)의 측면에 위치된다. 제어 버튼(443)은 제어 회로 기판(441)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으므로, 사용자는 제어 버튼(443)을 통해 전환, 설정 및 작동을 행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디스플레이 패널(442)은 터치 감지 디스플레이 패널일 수도 있다. 터치 감지 디스플레이 패널은 작동 상태를 표시할 뿐만 아니라 사용자가 디스플레이 패널에서 설정 및 조작을 행하도록 하는 사용자 조작 정의를 가진다.
도 15 내지 도 16을 참조하면, 제어 유닛(44)은 또한 적어도 하나의 접점 스위치(444)를 갖는다. 접점 스위치(444)는 바늘 출력 메커니즘(30)에 인접한 케이스(41)의 측면에 장착되며, 제어 회로 기판(441)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구동 메커니즘(40)이 주사 모듈(2)의 변환 메커니즘(20)에 연결되면, 주사 모듈(2)의 바늘 출력 메커니즘(30)이 접점 스위치(444)와 접촉하여 제어 유닛(44)이 오프-상태로부터 온-상태로 전환될 수 있다. 구동 메커니즘(40)은 또한 접점 스위치(444)에 인접한 위치에서 케이스(41) 상에 고정 후크(414)로 구현될 수 있다. 바늘 출력 메커니즘(30)의 베이스(31)는 고정 후크(414)에 의해 케이스(41)에 고정될 수 있으므로, 구동 메커니즘(40)과 주사 모듈(2)은 견고하게 조립될 수 있다.
도 15 내지 도 16을 참조하면, 제어 유닛(44)은 외부 전원 공급 장치 또는 전력 저장 장치(45)에 연결될 수 있고, 외부 전원 공급 장치 또는 전력 저장 장치(45)는 구동 메커니즘(40)이 작동하는 데 필요한 전기 에너지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5 내지 도 16에 도시된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구동 메커니즘(40)은 또한 케이스(41) 내에 장착되고 제어 회로 기판(441)의 제어 회로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전력 저장 유닛(45)을 갖는다. 전력 저장 유닛(45)은 무선 충전식 전력 저장 유닛, 유선 충전식 전력 저장 유닛 또는 임의의 다른 비충전식 전력 저장 유닛(예컨대, 배터리)일 수 있다. 도 15 내지 도 16에 도시된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전력 저장 유닛(45)은 리튬 배터리와 같은 재충전 가능한 전력 저장 유닛이다. 전력 저장 유닛(45)은 전기 연결 유닛(46)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전기 연결 유닛(46)은 케이스(41)로부터 노출되어 있으며, 충전을 위해 연결 라인을 통해 외부 전원에 연결될 수 있다. 전기 연결 유닛(46)은 범용 시리얼 버스(범용 시리얼 버스, USB) 타입의 전기 연결 유닛 또는 다른 타입의 전기 연결 유닛일 수 있다.
도 17 및 도 18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주사기의 사용에 관하여 설명한다. 변환 메커니즘(20) 및 바늘 출력 메커니즘(30)은 출하시 주사 모듈(2)에 미리 조립되어 있다. 사용자가 피하주사를 실시하기 전에, 주사약물이 담긴 약물 용기(10)와 구동 메커니즘(40)이 순차적으로 주사 모듈(2)의 변환 메커니즘(20)에 조립된다. 여기서, 약물 용기(10)는 용기 연결 포트(12)를 통해 주사 모듈(2)의 변환 메커니즘(20)의 입력 어댑터(213)와 조립된 후, 구동 메커니즘(40)이 변환 메커니즘(20)에 연결된다. 여기서, 구동 메커니즘(40)의 연결 슬리브 세그먼트(411)는 회전 결합에 의해 변환 메커니즘(20)의 피스톤 실린더(221)에 연결된다. 동시에, 구동 유닛은 피스톤 로드(223)에 연결된다. 주사 모듈(2)이 소정의 위치로 회전한 후, 바늘 출력 메커니즘(30)은 구동 메커니즘(40)의 접점 스위치(444)에 접촉하여 구동 메커니즘(40)의 제어 유닛(44)이 오프-상태로부터 온-상태로 전환되도록 한다.
도 18 내지 도 21을 참조하면, 주사 전에 약물 용기(10)와 주사 모듈(2)은 후면 스티커(13) 또는 스트랩에 의해 인체의 주사 예정 부위에 고정된 후, 주사 모듈(2)의 바늘 출력 기구(30)의 안전 볼트(37) 및 안전 커버(36)가 제거된다. 그럼 다음, 바늘 출력 기구(30)의 바늘 출력 작동 유닛(341)를 눌러 바늘 출력 작동 유닛(341)을 베이스(31)에 고정시키고, 바늘 베이스(342)를 통해 바늘 세트(33)를 밀어주면, 바늘 세트(33)에서 연침(331)에 장착된 경침(333)이 돌출되어 인체에 직접 관통하게 한다. 한편, 바늘 베이스(342)와 바늘 출력 작동 유닛(341) 사이의 연결 세그먼트(3423)는 연결 유닛(32)의 절단 블레이드 세그먼트(3215)에 의해 절단된다. 탄성 유닛(344)은 바늘 베이스(342)를 밀고 연침(331)으로부터 경침(333)을 당겨 빼낸다. 연침(331)은 인체 내에 남아 있으며 바늘 공간(3213) 및 연결 헤드(322)를 통해 변환 메커니즘(20)의 출력 어댑터(214)에 연결된다. 이후, 사용자는 구동 메커니즘(40)을 조작하여 전환 메커니즘(20)의 구동 피스톤 세트(22)를 구동하여 약물 용기(10)로부터 약물을 인출하고 바늘 출력 메커니즘(30)으로 이송하고 연침(331)을 통해 인체에 주사할 수 있다. 주사가 완료된 후, 구동 메커니즘(40)에 의한 전환 메커니즘(20)의 구동 피스톤 세트(22)의 구동을 중지한다. 이러한 방식으로, 주사기가 인체에 고정되고 연침(331)이 인체를 관통하는 상태를 유지됨으로써, 사용자는 구동 메커니즘(40)을 통해 정기적으로 여러 번의 주사를 수행할 수 있다.
도 2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약물 용기(10) 내의 약물이 소진된 후, 사용자는 바늘 출력 메커니즘(30)의 바늘 복귀 작동 유닛(35)를 누르고, 바늘 복귀 작동 유닛(35)의 인접 경사면(352)을 이용하여 베이스(31)의 연결 유닛(32)을 베이스(31) 후면의 베이스 보드(312)로부터 멀리 밀어내는 동시에 연결 유닛(32) 내의 바늘 세트(33)의 연침(331)을 인체로부터 빠져나와 함께 베이스(31) 내로 후퇴되도록 구동시킬 수 있다. 도 23 및 도 24를 참조하면, 이때 바늘 복귀 작동 유닛(35)의 인접 경사면(352)이 연결 유닛(32)을 밀어내는 동안, 연결 유닛(32)에 연결된 연결 헤드(322)의 직경 감소 세그먼트(3221)는 베이스(31)에 고정된 바늘 출력 작동 유닛(341)의 절단 나이프 세그먼트(3412)에 의해 절단되어 주사 모듈(2)을 재사용할 수 없도록 하여 주입기의 안전을 확보할 수 있다. 주사기를 사용한 후, 구동 메커니즘(40)은 다른 사용을 위해 주사 모듈(2)로부터 제거될 수 있다.
전술한 설명에서 본 발명의 구조 및 특징의 상세와 함께 본 발명의 다수의 특징 및 장점이 설명되었지만, 본 개시 내용은 단지 예시적인 것이다. 본 발명의 원리 내에서 세부 사항, 특히 부품의 형상, 크기 및 배열에 관한 사항은 첨부된 청구범위에 표현된 용어의 광범위한 일반적 의미에 의해 표시되는 전체 범위 내에서 변경될 수 있다.
10: 약물 용기
11: 용기 본체
12: 용기 연결 포트
121: 암형 연결 포트
122: 버클링 홈
13: 후면 스티커
2: 주사 모듈
20: 변환 메커니즘
21: 변환 연결 베이스
211: 베이스 본체
212: 밸브 베이스 세그먼트
213: 입력 어댑터
2131: 수형 연결 포트
2132: 버클링 후크
214: 출력 어댑터
215: 연결 보드
216: 클램핑 세그먼트
217: 후크 세그먼트
218: 후면 스티커
22: 구동 피스톤 세트
221: 피스톤 실린더
2211: 연결 단부 세그먼트 밸브 연결 단부 세그먼트
2212: 슬라이딩 홈
2213: 버클링 블록
222: 밸브
2221: 단방향 입력 밸브
2222: 단방향 출력 밸브
223: 피스톤 로드
2231: 슬라이딩 블록
2232: L-형 버클링 홈
30: 바늘 출력 메커니즘
31: 베이스
311: 작동 공간
312: 베이스 보드
3121: 조립 세그먼트
313: 관통 구멍
314: 관통 구멍
315: 작동 개구
316: 고정 버클링 후크
32: 연결 부재
321: 연결 베이스 세그먼트
3211: 연결 베이스 환형 벽
3212: 바늘 세트 장착 세그먼트
3213: 바늘 공간
3214: 바늘 플러그 구멍
3215: 절단 블레이드 세그먼트
322: 연결 헤드
3221: 직경 감소 세그먼트
33: 바늘 세트
331: 연침
332: 바늘 플러그
333: 경침
34: 바늘 출력 작동 어셈블리
341: 바늘 출력 작동 유닛
3411: 버튼 세그먼트
3412: 절단 나이프 세그먼트
342: 바늘 베이스
3421: 바늘 베이스 헤드 단부
3422: 바늘 베이스 연결 로드
3423: 연결 세그먼트
343: 밀봉 유닛
3431: 밀봉 개스킷
3432: 슬리브형 커버
344: 탄성 유닛
35: 바늘 복귀 작동 유닛
351: 누름 세그먼트
352: 인접 경사면
353: 연장 세그먼트
36: 안전 커버
37: 안전 볼트
38: 푸시 탄성 유닛
40: 구동 메커니즘
41: 케이스
411: 연결 슬리브 세그먼트
4111: L-형 버클링 홈
412: 케이스 본체 세그먼트
413: 케이스 본체 세그먼트
414: 고정 후크
42: 구동 유닛
420: 연결 단부 세그먼트
421: 결합 돌출부
422: 복원 탄성 유닛
43: 전기 구동 유닛
431: 구동 어셈블리
432: 변속기 어셈블리
4321: 변속기 로드
4322: 기어 어셈블리
4323: 편심 캠
44: 제어 유닛
441: 제어 회로 기판
442: 디스플레이 패널
443: 제어 버튼
444: 접점 스위치
45: 전력 저장 장치
46: 전기 연결 부재

Claims (10)

  1. 주사기로서:
    약물을 수용하는 용기 본체와 해당 용기 본체의 측면에 장착된 용기 연결 포트를 갖는 약물 용기;
    주사 모듈; 및
    구동 메커니즘
    을 포함하고, 상기 주사 모듈은:
    상기 약물 용기에 연결된 변환 메커니즘 - 상기 변환 메커니즘은 변환 연결 베이스 및 해당 변환 연결 베이스에 장착된 구동 피스톤 세트를 구비하고, 상기 변환 연결 베이스는 입력 어댑터 및 출력 어댑터를 구비하고, 상기 변환 연결 베이스는 상기 입력 어댑터를 통해 상기 약물 용기의 상기 용기 연결 포트에 연결됨 -; 및
    상기 변환 메커니즘에 연결된 바늘 출력 메커니즘 - 상기 바늘 출력 메커니즘은 바늘 세트를 구비하고, 상기 바늘 세트는 상기 출력 어댑터에 연결되도록 조정됨 -
    을 포함하고,
    상기 구동 메커니즘은 상기 주사 모듈의 상기 변환 메커니즘에 분리 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구동 메커니즘은 케이스와 해당 케이스 내에 장착되어 이동하도록 작동되게 조정된 구동 유닛을 구비하고, 상기 케이스는 상기 변환 메커니즘의 상기 변환 연결 베이스에 분리 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구동 유닛은 상기 구동 피스톤 세트에 연결되고 상기 약물 용기로부터 상기 바늘 출력 메커니즘으로 약물을 인출 및 이송한 다음 상기 바늘 출력 메커니즘의 상기 바늘 세트에 의해 상기 약물이 주사되도록 상기 구동 피스톤 세트를 구동할 수 있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주사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바늘 출력 메커니즘은 베이스, 연결 부재, 바늘 출력 작동 부재 및 바늘 후퇴 작동 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베이스는 상기 변환 연결 베이스에 연결되고, 상기 연결 부재는 상기 베이스에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고, 상기 연결 부재는 상기 변환 메커니즘의 상기 출력 어댑터에 연결되고, 상기 바늘 세트는 상기 연결 부재에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고, 상기 바늘 세트는 연침, 상기 연침의 단부에 장착된 바늘 플러그 및 상기 연침 내에 장착될 수 있는 경침을 포함하며, 상기 바늘 출력 작동 어셈블리는 상기 베이스에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고 상기 바늘 세트에 연결되고, 상기 바늘 출력 작동 어셈블리는 상기 연결 부재에 위치된 상기 바늘 세트를 구동하여 상기 연침 내에 장착된 경침을 상기 베이스 외부로 돌출시킨 후, 상기 경침을 상기 연침으로부터 분리하도록 구동하여 상기 연침을 상기 연결 부재를 통해 상기 변환 메커니즘의 상기 출력 어댑터에 연결되도록 하며, 상기 바늘 후퇴 작동 부재는 상기 베이스에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고, 상기 바늘 후퇴 작동 부재는 상기 연결 부재와 상기 연결 부재에 장착된 상기 연침을 상기 베이스로 다시 복귀되게 구동하도록 작동 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사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바늘 출력 메커니즘의 상기 베이스는 작동 공간을 가지며, 상기 베이스의 후면에는 베이스 보드와 해당 베이스 보드에 형성되어 상기 작동 공간에 연결된 관통 구멍이 제공되며, 상기 베이스에서 상기 변환 메커니즘을 향하는 측면에는 상기 작동 공간에 연결된 작동 개구가 제공되며, 고정 버클링 후크가 상기 베이스에 장착되고 상기 작동 공간 외부에 위치되며,
    상기 연결 부재는 상기 베이스의 상기 작동 공간에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고, 상기 연결 부재는 연결 베이스 세그먼트와 연결 헤드를 구비하고, 상기 연결 베이스 세그먼트는 베이스 환형 벽과 해당 베이스 환형 벽에 장착되는 바늘 세트 장착 세그먼트를 구비하고, 상기 바늘 세트 장착 세그먼트는 상기 바늘 세트 장착 세그먼트에 형성되는 바늘 공간과 상기 바늘 세트 장착 세그먼트에서 상기 베이스 보드를 향하는 단부에 형성되고 상기 바늘 공간에 연결된 바늘 플러그 구멍을 구비하고, 상기 바늘 플러그 구멍은 상기 베이스 보드의 상기 관통 구멍에 대응하고, 상기 연결 헤드는 상기 연결 베이스에 장착되고 상기 바늘 세트 장착 세그먼트의 상기 바늘 공간에 연결되고, 상기 연결 헤드는 상기 베이스의 상기 작동 개구를 통해 장착되고 상기 변환 메커니즘의 상기 출력 어댑터에 연결되고, 상기 베이스 환형 벽은 적어도 하나의 절단 블레이드 세그먼트를 구비하고,
    상기 바늘 세트의 상기 연침은 상기 바늘 세트 장착 세그먼트의 상기 바늘 공간에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고, 상기 연침에 장착되는 상기 바늘 플러그는 상기 바늘 플러그 구멍에 고정될 수 있으며,
    상기 바늘 출력 작동 어셈블리는 바늘 출력 작동 유닛, 바늘 베이스, 밀봉 유닛 및 탄성 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바늘 출력 작동 유닛은 상기 베이스에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고, 상기 바늘 출력 작동 유닛은 상기 베이스의 고정 버클링 후크에 의해 고정 및 버클링될 수 있고, 상기 바늘 출력 작동 유닛은 버튼 세그먼트와 해당 버튼 세그먼트의 측면에 위치된 수용 공간을 가지며, 상기 수용 공간은 상기 작동 공간에 대응하고, 상기 바늘 베이스는 상기 바늘 출력 작동 유닛의 상기 수용 공간에 위치되고 상기 바늘 출력 작동 유닛에 연결되며, 상기 바늘 베이스는 바늘 베이스 헤드 단부 및 해당 바늘 베이스 헤드 단부에 형성된 바늘 베이스 연결 로드를 구비하며, 연결 세그먼트가 상기 바늘 베이스 헤드 단부의 주변부와 상기 바늘 출력 작동 유닛의 수용 공간의 내벽 사이에 장착되어 상기 절단 블레이드 세그먼트에 의해 절단될 수 있고, 상기 바늘 베이스 연결 로드는 상기 경침에 연결되고 상기 바늘 세트의 상기 바늘 플러그를 밀어낼 수 있고, 상기 탄성 유닛과 조립된 상기 밀봉 유닛은 상기 연결 부재에 위치되며, 상기 밀봉 유닛은 상기 바늘 세트 장착 세그먼트 외부에 위치되어 상기 바늘 공간을 덮고, 상기 밀봉 유닛은 상기 바늘 베이스 연결 로드의 외측면에 견고하게 슬리브 피복되고, 상기 탄성 유닛은 상기 바늘 베이스 연결 로드의 상기 외측면에 슬리브 피복되고, 상기 탄성 유닛의 2개의 단부는 각각 상기 바늘 베이스의 상기 바늘 베이스 헤드 단부와 상기 밀봉 유닛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사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부재의 상기 연결 헤드에서 상기 연결 베이스 세그먼트에 연결되는 단부에 직경 감소 세그먼트가 직경이 감소된 상태로 형성되어 절단될 수 있으며, 상기 바늘 출력 작동 유닛에서 상기 연결 헤드에 대응하는 측면에 절단 나이프 세그먼트가 장착되고, 상기 절단 나이프 세그먼트는 상기 연결 부재의 상기 연결 헤드의 상기 직경 감소 세그먼트를 절단하도록 작동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사기.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에서 상기 작동 공간에 인접한 측면에 관통 구멍이 형성되어 상기 작동 공간에 연결되고, 상기 바늘 후퇴 작동 부재는 상기 관통 구멍을 통해 상기 베이스의 외측면으로부터 상기 작동 공간 내로 연장되고, 상기 바늘 후퇴 작동 부재는 누름 세그먼트, 인접한 경사면 및 연장 세그먼트를 포함하며, 상기 가압 세그먼트는 상기 베이스의 외측면으로 연장되고, 상기 인접하는 경사면은 상기 가압 세그먼트에서 상기 동작 공간 내로 연장되는 측면에 위치되며, 상기 인접하는 경사면은 상기 연결 부재의 상기 베이스 환형 벽에 접하고, 상기 연장 세그먼트는 상기 가압 세그먼트에서 상기 동작 공간 내로 연장되는 측면에 위치되고 상기 연결 부재의 상기 바늘 세트 장착 부재를 우회하며,
    상기 연결 부재의 상기 연결 헤드에서 상기 연결 베이스 세그먼트에 연결되는 단부에 직경 감소 세그먼트가 감소된 직경으로 형성되어 절단될 수 있고, 상기 바늘 출력 작동 유닛에서 상기 연결 헤드에 대응하는 측면에 절단 나이프 세그먼트가 장착되고, 상기 절단 나이프 세그먼트는 상기 연결 부재의 상기 연결 헤드의 상기 직경 감소 세그먼트를 절단하도록 작동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사기.
  6. 제2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바늘 출력 메커니즘은 안전 커버와 안전 볼트를 더 포함하고, 상기 안전 커버는 상기 바늘 출력 작동 어셈블리의 외측면을 덮고 상기 베이스와 맞물릴 수 있고, 상기 안전 볼트는 상기 바늘 출력 작동 어셈블리의 상기 바늘 출력 작동 유닛과 상기 안전 커버에 장착되고, 푸시 탄성 유닛이 상기 안전 커버와 상기 바늘 출력 작동 유닛 사이에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사기.
  7.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변환 연결 베이스는 베이스 본체와 해당 베이스 본체에 장착된 밸브 베이스 세그먼트를 구비하고, 상기 밸브 베이스 세그먼트는 슬리브형 개구를 가지며, 상기 입력 어댑터는 상기 밸브 베이스 세그먼트에 장착되고 상기 슬리브형 개구와 반대측에 위치되며, 상기 출력 어댑터는 상기 베이스 본체에 장착되고, 상기 입력 어댑터와 상기 출력 어댑터는 상기 슬리브형 개구에 연결되고, 상기 구동 피스톤 세트는 피스톤 공간, 밸브 및 상기 피스톤 실린더 내에서 선형으로 이동 가능한 피스톤 로드를 가지며, 상기 피스톤 실린더는 해당 피스톤 실린더의 단부에 위치된 밸브 연결 단부 세그먼트를 가지며, 상기 밸브 연결 단부 세그먼트는 상기 밸브와 조립되어 상기 밸브 베이스 세그먼트에 장착되고, 상기 밸브는 상기 입력 어댑터에 연결된 단방향 입력 밸브와 상기 출력 어댑터에 연결된 단방향 출력 밸브를 가지며, 상기 피스톤 로드는 상기 피스톤 실린더에 장착되고 선형으로 이동할 수 있으며, 상기 피스톤 로드는 상기 구동 메커니즘의 상기 구동 유닛에 분리 가능하게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사기.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는 해당 케이스의 측면에 위치된 연결 슬리브 세그먼트를 가지며, 상기 연결 슬리브 세그먼트는 상기 변환 메커니즘의 상기 피스톤 실린더에 분리 가능하게 슬리브 피복되고, 상기 구동 유닛은 상기 연결 슬리브 세그먼트에 장착되고 선형으로 이동할 수 있으며,
    상기 구동 메커니즘은 전기 구동 유닛과 제어 유닛을 구비하며, 상기 전기 구동 유닛은 상기 케이스에 장착되고, 상기 전기 구동 유닛은 구동 어셈블리와 변속기 어셈블리를 가지며, 상기 변속기 어셈블리는 상기 구동 어셈블리 및 상기 구동 유닛에 연결되고, 상기 제어 유닛은 상기 케이스에 장착되고, 상기 제어 유닛은 제어 회로 기판과 해당 제어 회로 기판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디스플레이 패널을 가지며,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은 상기 케이스의 외부에 노출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사기.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변속기 어셈블리는 변속기 로드와 기어 어셈블리를 구비하고, 상기 변속기 로드는 상기 케이스에 피봇 가능하게 장착되고, 상기 변속기 로드는 적어도 하나의 편심 캠을 구비하고, 상기 기어 어셈블리는 상기 구동 어셈블리와 상기 변속기 로드 사이에 연결되고, 상기 변속기 로드의 상기 편심 캠은 상기 구동 유닛에 연결되고, 복원 탄성 유닛이 상기 구동 유닛과 상기 케이스 사이에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사기.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 메커니즘은 전력 저장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전력 저장 유닛은 상기 케이스에 장착되고 상기 제어 유닛의 상기 제어 회로 기판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사기.
KR1020237013854A 2020-09-25 2020-09-25 주사기 KR20230074236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CN2020/117746 WO2022061715A1 (zh) 2020-09-25 2020-09-25 注射器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74236A true KR20230074236A (ko) 2023-05-26

Family

ID=808460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7013854A KR20230074236A (ko) 2020-09-25 2020-09-25 주사기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20230330342A1 (ko)
EP (2) EP4374893A2 (ko)
JP (1) JP2023543000A (ko)
KR (1) KR20230074236A (ko)
WO (1) WO202206171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7138165B (zh) * 2023-10-27 2024-01-23 江苏万海医疗器械有限公司 预制物料推送装置、输送器以及使用方法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7131367A1 (de) * 2006-05-15 2007-11-22 Tecpharma Licensing Ag Vorrichtung zur verabreichung eines fluiden produkts
EP2276527B1 (en) * 2008-05-20 2018-02-28 Avant Medical Corp. Autoinjector system
FR2969507B1 (fr) * 2010-12-24 2014-07-11 Eveon Dispositif pour melanger deux constituants
US9629901B2 (en) * 2014-07-01 2017-04-25 Bigfoot Biomedical, Inc. Glucagon administration system and methods
CN207804718U (zh) * 2017-06-09 2018-09-04 台湾创达富科技股份有限公司 软性针头结构
HRP20220763T1 (hr) * 2017-07-07 2022-09-16 Neuroderm Ltd Uređaj za supkutani unos tekućeg medikamenta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4374893A2 (en) 2024-05-29
EP4218858A1 (en) 2023-08-02
US20230330342A1 (en) 2023-10-19
JP2023543000A (ja) 2023-10-12
WO2022061715A1 (zh) 2022-03-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40100254A1 (en) Electronic auto-injection device
CN102686255B (zh) 具有自动针保护功能的自动注射器
AU2018200240B2 (en) Drive control mechanisms and automatic injectors for injectable cartridges
KR101136115B1 (ko) 손에 들고 사용하며, 전자적으로 제어되어 액체 약물을주사하기 위한 주사장치
JP4377880B2 (ja) 薬剤を自動的に注射するための装置
CN101454032B (zh) 自动注射装置
EP2180912B1 (en) Injection system with base station
JP6436397B2 (ja) 自動薬物送達装置
JP4339260B2 (ja) 針保護装置を有する注射装置
EP1843809B1 (en) An automatic injection device with a top release mechanism
US7060054B2 (en) Suction piece for or on a device administering an injectable product
JP6195793B2 (ja) 自動注射器
CN103282067B (zh) 药物输送设备
KR102102176B1 (ko) 니들 프리 피내 주입 장치
JP2009514572A (ja) 自動注射器を作動させるトリガ要素
CN105662483A (zh) 活检装置和操作活检装置的方法
JP2014506159A (ja) 自動注射器
EP3202445B1 (en) Pharmaceutical syringe unit, pharmaceutical injection device equipped with said unit, injection needle attachment and removal fixture, and storage case
KR20140050034A (ko) 니들 없는 주사 디바이스
CN110292683B (zh) 被动触发装置的自动注射笔
KR20230074236A (ko) 주사기
CN115445030A (zh) 注射器的驱动活塞组和转换机构
TWI748665B (zh) 注射器
WO2018180758A1 (ja) バレル組立体、シリンジの使用方法、薬液投与装置及びその組立方法
CN211798041U (zh) 一种防止血管内误注射的安全注射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