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10049B1 - 방해판을 공유하는 냉각식 제습장치의 열교환기의 구조 - Google Patents

방해판을 공유하는 냉각식 제습장치의 열교환기의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10049B1
KR101110049B1 KR1020110074861A KR20110074861A KR101110049B1 KR 101110049 B1 KR101110049 B1 KR 101110049B1 KR 1020110074861 A KR1020110074861 A KR 1020110074861A KR 20110074861 A KR20110074861 A KR 20110074861A KR 101110049 B1 KR101110049 B1 KR 10111004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t exchanger
inner shell
baffle plate
refrigerant
inl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748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흥석
Original Assignee
(주)지에스에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지에스에이 filed Critical (주)지에스에이
Priority to KR102011007486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1004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1004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1004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53/00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 B01D53/26Drying gases or vapours
    • B01D53/265Drying gases or vapours by refrigeration (condens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DHEAT-EXCHANGE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ANOTHER SUBCLASS, IN WHICH THE HEAT-EXCHANGE MEDIA DO NOT COME INTO DIRECT CONTACT
    • F28D7/00Heat-exchange apparatus having stationary tubular conduit assemblies for both heat-exchange media, the media being in contact with different sides of a conduit wall
    • F28D7/02Heat-exchange apparatus having stationary tubular conduit assemblies for both heat-exchange media, the media being in contact with different sides of a conduit wall the conduits being helically coile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DHEAT-EXCHANGE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ANOTHER SUBCLASS, IN WHICH THE HEAT-EXCHANGE MEDIA DO NOT COME INTO DIRECT CONTACT
    • F28D7/00Heat-exchange apparatus having stationary tubular conduit assemblies for both heat-exchange media, the media being in contact with different sides of a conduit wall
    • F28D7/10Heat-exchange apparatus having stationary tubular conduit assemblies for both heat-exchange media, the media being in contact with different sides of a conduit wall the conduits being arranged one within the other, e.g. concentricall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Drying Of Ga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산업전반에 걸쳐 사용되는 냉각식 제습장치의 열교환기의 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압축공기나 가스 등의 유체 내에 포함된 수분을 냉각하여 제습하는 냉각식 제습장치의 성능을 좌우하는 핵심 장치인 열교환기의 효율을 극대화하기 위한 방해판을 공유하는 냉각식 제습장치의 열교환기의 구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방해판을 공유하는 냉각식 제습장치의 열교환기의 구조에 있어서, 열교환기는 원통형의 일측이 열교환기출구와 타측이 내부쉘입구가 형성된 열교환기출구측 상부와 하부에 일정간격으로 다수의 상부홈과 하부홈을 형성한 내부쉘과, 상기 내부쉘의 상부홈에 삽입되어 고정된 열전도율이 우수한 상부 방해판과, 상기 내부쉘의 하부홈에 삽입되어 고정된 열전도율이 우수한 하부 방해판과, 상기 내부쉘의 중앙에 코일의 형태로 감아 냉매와 유체가 열교환 하도록 일측이 냉매출구관과 타측이 냉매입구관이 형성된 에어로 핀튜브와, 상기 내부쉘의 타측에 설치하여 응축수 분리효율을 극대화 시키는 사이클론 방해판과, 상기 내부쉘를 감싸며 상부 일측에 열교환기입구가 형성된 원통형의 외부쉘과, 상기 외부쉘의 타측에 일체로 결합된 하부에 응축수배출구가 형성된 세퍼레이터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방해판을 공유하는 냉각식 제습장치의 열교환기의 구조{Heat exchanger structure shared baffle plates for Refrigerated dehumidification unit}
본 발명은 산업전반에 걸쳐 사용되는 냉각식 제습장치의 열교환기의 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압축공기나 가스 등의 유체 내에 포함된 수분을 냉각하여 제습하는 냉각식 제습장치의 성능을 좌우하는 핵심 장치인 열교환기의 효율을 극대화하기 위한 방해판을 공유하는 냉각식 제습장치의 열교환기의 구조에 관한 것이다.
기존의 냉각식 제습장치의 가장 기본적인 시스템을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냉매를 압축시키는 냉매압축기(1)와, 상기 냉매압축기(1)로 부터 토출되는 고온 고압의 기체냉매를 액화시키는 응축기(2)와, 상기 응축기(2)와 연결되어 냉매 내의 수분과 불순물 제거를 위한 필터드라이어(3)와, 상기 응축기(2)에서 나온 액냉매를 단열팽창 시키는 팽창장치(4)와, 상기 팽창장치(4)에서 나온 냉매를 냉매가 증발하며 유체를 냉각하고 제습하는 과정이 이루어지는 열교환기(5)와, 상기 열교환기(5)에서 냉각되어 제습하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응축수의 배출을 위한 응축수 배출장치(6)와, 냉각과 제습 과정에서 발생되는 응축수의 결빙 및 부하 조절을 위한 핫가스 바이패스 밸브(7)로 구성된다.
기존의 열교환기는 1차 열교환기와 2차 열교환기로 구분되어 있으며, 각각의 고유한 열교환 면적을 가지고 있다. 1차 열교환기는 입구를 통해 들어온 고온의 유체와 2차 열교환기에서 냉매에 의해 냉각되어 출구를 통해 나가는 유체와의 열교환을 통해 입구를 통해 들어오는 유체를 예냉시켜 2차 열교환기에서의 냉각용량을 감소시켜 냉매 압축기의 용량을 줄이는 역할을 하게 된다. 2차 열교환기에서는 팽창장치를 거쳐 들어온 냉매의 증발이 이루어지며, 이 과정에서 1차 열교환기를 거치면서 예냉된 유체를 냉각하여 제습시키게 된다. 2차 열교환기에서 냉각되면서 제습된 유체는 1차 열교환기를 통해 흐르면서 1차 열교환기 입구를 통해 들어온 고온의 유체와 열교환 되어 온도가 상승하는 재열 과정을 거친 후 건조한 상태로 토출된다. 열교환기 입구에서부터 유체는 예냉, 냉각과 제습, 재열이라는 일련의 과정을 거치게 되고, 이 과정에서 열교환 효율을 높이기 위한 많은 방법이 제시되고 있다.
대부분의 열교환기에서 방해판은 유체의 유로를 형성하고, 유체의 속도를 조정하는 간접적인 역할에 국한되어 있다.
상기 열교환기는 하나의 용기 안에 1차 열교환기와 2차 열교환기를 분리하여 구성하거나, 혹은 1차 열교환기와 2차 열교환기를 별도의 용기로 분리하고 배관으로 연결하여 구성하는 형태를 취하고 있으며, 그 형태는 매우 다양하다. 그러나 이러한 열교환기들의 공통된 특징은 1차 열교환기와 2차 열교환기가 분리되어 각각의 독립체로 구성되며, 열교환 효율을 위해 부착된 방해판 또한 1차열교환기와 2차 열교환기 모두에 각각 부착되어 있다는 것이다. 기존의 열교환기에서 1차 열교환기와 2차 열교환기에 부착된 방해판의 역할은 열교환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치지 않고, 방해판의 간격 조정을 통해 단순히 유체의 속도를 높여 열교환 효율을 상승시키는 간접적인 역할에 국한되어 있는 단순한 형태를 취하고 있다. 그러나 방해판의 간격을 통해 유체의 속도를 높일 경우에도 열교환 효율은 조금씩 상승하지만, 유체의 속도가 일정 수준에 도달하게 되면 열교환 효율은 더 이상 상승하지 않게 되는 한계를 가지고 있으며, 유체의 속도 증가분은 압력강하를 유발하는 원인으로 작용한다.
본원출원인은 냉각식 제습장치의 성능을 좌우하는 핵심 장치인 열교환기의 효율을 극대화하기 위한 열교환기의 구조를 개발하게 되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열교환기에서 방해판의 국한된 기능에서 벗어나 열교환 과정에 직접 관여함으로써 열교환 효율을 극대화 시키고자 하는 방해판을 공유하는 냉각식 제습장치의 열교환기의 구조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방해판의 기능을 대폭 확장하여 기존의 열교환기에서 1차 열교환기와 2차 열교환기에 각각 설치되었던 방해판을 1차 열교환기와 2차 열교환기가 공유하며, 방해판과는 별도의 열교환 면적이 존재했던 기존의 열교환기에서 벗어나 방해판 자체에서 열교환이 이루어지게 함으로써 열교환 효율을 극대화 할수 있는 방해판을 공유하는 냉각식 제습장치의 열교환기의 구조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열교환기는 열교환 효율의 극대화를 위해 방해판의 경우 열전도율이 우수한 재질을 사용하여, 방해판의 일부분은 열교환기 입구에서 들어오는 고온의 유체와 접촉시키고, 방해판의 또다른 일부분은 2차 열교환기에서 냉매와 열교환하여 냉각 및 제습된 후 열교환기 출구로 토출되어지는 저온의 유체와 접촉시킴으로써 열교환을 극대화 할수 있는 방해판을 공유하는 냉각식 제습장치의 열교환기의 구조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방해판을 공유하는 냉각식 제습장치의 열교환기의 구조에 있어서, 열교환기는 원통형의 일측이 열교환기출구와 타측이 내부쉘입구가 형성된 열교환기출구측 상부와 하부에 일정간격으로 다수의 상부홈과 하부홈을 형성한 내부쉘과, 상기 내부쉘의 상부홈에 삽입되어 고정된 열전도율이 우수한 상부 방해판과, 상기 내부쉘의 하부홈에 삽입되어 고정된 열전도율이 우수한 하부 방해판과, 상기 내부쉘의 중앙에 코일의 형태로 감아 냉매와 유체가 열교환 하도록 일측이 냉매출구관과 타측이 냉매입구관이 형성된 에어로 핀튜브와, 상기 내부쉘의 타측에 설치하여 응축수 분리효율을 극대화 시키는 사이클론 방해판과, 상기 내부쉘를 감싸며 상부 일측에 열교환기입구가 형성된 원통형의 외부쉘과, 상기 외부쉘의 타측에 일체로 결합된 하부에 응축수배출구가 형성된 세퍼레이터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외부쉘의 중앙에는 냉매출구관와 냉매입구관이 결합되게 이격된 위치에 홀이 형성되고, 상기 외부쉘의 일측면에는 중앙에 내부쉘이 돌출되게 전면판가 설치되며, 상기 세퍼레이터의 후면에는 후면판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상부 방해판과 하부 방해판은 반원형 판으로 상기 열교환기입구를 통해 들어오는 고온의 유체와 열교환기출구를 통해 외부로 토출되기 전의 냉각, 제습된 유체가 직접적으로 열교환 하도록 내부쉘의 상부홈과 하부홈에 누설이 없도록 용접하여 열교환을 극대화 시킨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열교환기는 외부쉘의 열교환기입구를 통해 유입된 유체가 내부쉘에 부착된 상부 방해판과 하부 방해판을 거쳐 내부쉘에 설치된 에어로 핀튜브에서 냉매와 유체가 2차 열교환 하고, 상기 사이클론 방해판에서 응축수 분리효율을 극대화 시키고, 상기 세퍼레이터에서 효과적으로 응축수가 분리된 유체가 내부쉘입구를 통해 내부쉘의 내부로 유입되어 상기 내부쉘의 내부에 위치한 상부 방해판과 하부 방해판을 거치면서 재열되어 열교환기출구로 토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외부쉘은 2등분하고 열교환기 입구와 냉매배관 입구 홀과 냉매배관 출구 홀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열교환기는 방해판이 단순하고 국한된 기능에서 벗어나 1차 열교환기와 2차 열교환기가 방해판을 공유함으로써, 방해판을 통한 직접적인 열교환이 이루어지게 함으로써 기존의 열교환기에 비해 열교환 효율을 극대화시키고, 기존 열교환기에서 유체의 유로 형성과 열교환기를 통과하는 유체의 속도에만 관여한 방해판의 기능을 확장하여 방해판의 면적을 증가시킴으로써, 열교환 효율을 더 극대화 시킬 수 있는 장점을 가지고 있다.
또한 열교환기는 열교환 효율의 극대화를 위해 방해판의 경우 열전도율이 우수한 재질을 사용하여, 방해판의 일부분은 열교환기 입구에서 들어오는 고온의 유체와 접촉시키고, 방해판의 또다른 일부분은 2차 열교환기에서 냉매와 열교환하여 냉각 및 제습된 후 열교환기 출구로 토출되어지는 저온의 유체와 접촉시킴으로써 열교환을 극대화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열교환기는 유량, 유체의 사용 용도나 사용 온도에 따라 방해판의 접촉 면적을 고온의 유체나 저온의 유체에 다르게 배분함으로써 토출되는 유체의 열교환율을 변화시켜 다양한 용도로 사용가능 하도록 발명된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냉각식 제습기의 제습 시스템을 설명한 흐름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냉각식 제습장치의 열교환기를 나타내는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냉각식 제습장치의 열교환기 분리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냉각식 제습장치의 열교환기가 조립된 사시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가 도시된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그러나 본 발명은 다수의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고, 기술된 실시예에 제한되지 않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냉각식 제습장치의 열교환기를 나타내는 구성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냉각식 제습장치의 열교환기 분리 사시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냉각식 제습장치의 열교환기가 조립된 사시도이다.
본 발명은 산업전반에 걸쳐 사용되는 냉각식 제습장치의 열교환기의 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압축공기나 가스 등의 유체 내에 포함된 수분을 냉각하여 제습하는 냉각식 제습장치의 성능을 좌우하는 핵심 장치인 열교환기의 효율을 극대화하기 위한 방해판을 공유하는 냉각식 제습장치의 열교환기의 구조에 관한 것이다.
도 2 내지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방해판을 공유하는 냉각식 제습장치의 열교환기의 구조에 있어서, 열교환기는 원통형의 일측이 열교환기출구(9)와 타측이 내부쉘입구(20)가 형성된 열교환기출구측 상부와 하부에 일정간격으로 다수의 상부홈(21)과 하부홈(22)을 형성한 내부쉘(11)과, 상기 내부쉘(11)의 상부홈(21)에 삽입되어 고정된 열전도율이 우수한 상부 방해판(12)과, 상기 내부쉘(11)의 하부홈(22)에 삽입되어 고정된 열전도율이 우수한 하부 방해판(13)과, 상기 내부쉘(11)의 중앙에 코일의 형태로 감아 냉매와 유체가 열교환 하도록 일측이 냉매출구관(15)과 타측이 냉매입구관(16)이 형성된 에어로 핀튜브(14)와, 상기 내부쉘(11)의 타측에 설치하여 응축수 분리효율을 극대화 시키는 사이클론 방해판(17)과, 상기 내부쉘(11)를 감싸며 상부 일측에 열교환기입구(8)가 형성된 원통형의 외부쉘(10)과, 상기 외부쉘(10)의 타측에 일체로 결합된 하부에 응축수배출구(18)가 형성된 세퍼레이터(19)로 구성된 것이다.
상기 외부쉘(10)의 중앙에는 냉매출구관(15)와 냉매입구관(16)이 결합되게 이격된 위치에 홀(23,24)이 형성되고, 상기 외부쉘(10)의 일측면에는 중앙에 내부쉘(11)이 돌출되게 전면판(25)가 설치되며, 상기 세퍼레이터(19)의 후면에는 후면판(26)이 설치된 것이다.
상기 상부 방해판(12)과 하부 방해판(13)은 반원형 판으로 상기 열교환기입구(8)를 통해 들어오는 고온의 유체와 열교환기출구(9)를 통해 외부로 토출되기 전의 냉각, 제습된 유체가 직접적으로 열교환 하도록 내부쉘(11)의 상부홈(21)과 하부홈(22)에 누설이 없도록 용접하여 열교환을 극대화 시킨 것이다.
상기 열교환기는 외부쉘(10)의 열교환기입구(8)를 통해 유입된 유체가 내부쉘(11)에 부착된 상부 방해판(12)과 하부 방해판(13)을 거쳐 내부쉘(11)에 설치된 에어로 핀튜브(14)에서 냉매와 유체가 2차 열교환 하고, 상기 사이클론 방해판(17)에서 응축수 분리효율을 극대화 시키고, 상기 세퍼레이터(19)에서 효과적으로 응축수가 분리된 유체가 내부쉘입구(20)를 통해 내부쉘(11)의 내부로 유입되어 상기 내부쉘(11)의 내부에 위치한 상부 방해판(12)과 하부 방해판(13)을 거치면서 재열되어 열교환기출구(9)로 토출되는 것이다.
상기 외부쉘(10)은 2등분하고 열교환기 입구(8)와 냉매배관 입구 홀(24)과 냉매배관 출구 홀(23)을 형성한다.
본 발명은 외부쉘(10)의 열교환기입구(8)를 통해 들어온 고온의 유체는 원통 모양의 외부쉘(10) 내부와 내부쉘(11)의 외부 공간에 설치된 상부 방해판(12)과 하부 방해판(13)을 번갈아 접촉하면서 1차 열교환하며, 2차 열교환을 상기 에어로 핀튜브(14)를 통과 하면서 냉각 및 제습되고, 상기 사이클론 방해판(17)에 의해 회전력이 발생하며, 상기 세퍼레이터(19)에서 냉각 및 제습과정 중에 발생된 응축수가 효율적으로 분리된다. 응축수가 분리된 유체는 내부쉘입구(20)을 통해 열교환기출구(9) 방향으로 이동하는 과정에서 내부쉘(11)의 외부와 공유된 내부쉘(11) 내부의 상부 방해판(12)과 하부 방해판(13)을 번갈아 접촉하면서 열교환 하게 된다.
이때 상부 방해판(12)과 하부 방해판(13)은 내부쉘(11)의 표면을 기준으로 외부는 열교환기입구(8)에서 들어온 고온의 유체와 접촉되며, 내부쉘(11)의 내부는 2차 열교환에서 냉각 및 제습된 저온의 유체와 접촉되어 열교환 효율이 극대화 되는 것이다.
상기 상부 방해판(12)과 하부 방해판(13)은 반원형 모양의 형태로 상부 방해판(12)의 모양은 둥근 부분이 위로 향하며, 하부 방해판(13)의 모양은 둥근 모양이 아래로 향하는 형태로 내부쉘(11)에 부착된다. 상기 상부 방해판(12)과 하부 방해판(13)의 재질은 열전도율이 좋은 물질로 사용하며, 고정 방식은 원통형의 내부 쉘(11)에 길이방향과 직각으로 윗부분과 아랫부분에 방해판의 두께보다 조금 더 두꺼운 상부홈(21)과 하부홈(22)을 만들어 상부 방해판(12)와 하부 방해판(13)을 삽입한 후 유체가 누설되지 않도록 용접하여 고정시킨다.
이로 인해 상부 방해판(12)과 하부 방해판(13)은 내부쉘(11)의 표면을 기준으로 외부의 방해판은 입구로부터 유입된 고온의 유체와 접촉하게 되며, 내부 쉘(11)의 표면을 기준으로 내부의 방해판은 2차 열교환기인 에어로 핀튜브(14)를 거쳐 냉각 및 제습된 유체와 접촉하게 된다. 열교환기입구(8)를 통해 들어온 고온의 유체와 2차 열교환기인 에어로 핀튜브(14)에서 냉각 및 제습된 저온의 유체는 열전도율이 좋은 방해판을 공유함으로써 효율이 극대화 되는 것이다.
상기 외부쉘(10)의 열교환기입구(8)를 통해 들어온 고온의 유체는 외부쉘(10)의 내부와 내부쉘(11)의 외부에 위치한 상부 방해판(12)과 하부 방해판(13)을 통과하면서 1차 열교환하며, 2차 열교환기인 에어로 핀튜브(14)로 이동하여 냉각 및 제습된다. 2차 열교환기인 에어로 핀튜브(14)는 동관에 원형 알루미늄이 부착된 형태의 열교환기로, 상기 내부쉘(11)을 따라 코일의 형태로 감겨지게 되며, 에어로 핀튜브(14) 내에서는 냉매가 증발하며 열교환기입구(8)를 통해 유입된 후, 상,하부방해판(12,13)을 거치면서 예냉된 유체를 냉각하고 제습시키게 된다.
2차 열교환기인 에어로 핀튜브(14)를 통과하면서 냉각 및 제습된 유체는 사이클론 방해판(17)을 통해 회전을 일으키며 세퍼레이터(19)로 유입되고, 냉각되는 과정에서 발생된 응축수는 유체의 회전력을 통해 더욱 효율적으로 분리된 후, 세퍼레이터(19)의 하부에 위치한 응축수 배출구(18)를 통해서 외부로 배출되게 된다.
응축수가 분리된 유체는 내부쉘입구(20)를 통해 이동하여 내부쉘(11)의 상부홈(21)과 하부홈(22)에 삽입된 후 누설이 없도록 용접되어 고정된 상부 방해판(12)과 하부 방해판(13)을 거치면서 재열되어 건조한 상태로 배관과 연결된 열교환기 출구(9)를 통해 외부로 토출된다.
냉각식 제습장치의 기본 흐름도인 도 1에 도시된 팽창장치(4)를 거쳐 냉매 입구관(16)을 통해 들어온 냉매는 유체를 냉각하여 제습시킨 후 기체냉매 상태로 증발되어 냉매출구관(15)를 통해 냉매압축기(1)로 유입된다.
상기 상부 방해판(12)과 하부 방해판(13)을 고정시키는 내부쉘(11)의 상부 홈(21)과 하부 홈(22)의 간격을 조절하여 유체의 속도를 조절함으로써 열교환 효율을 높일 수 있으며, 내부쉘(11)에 가공되는 상부 홈(21)과 하부 홈(22)의 깊이를 열교환기 마다 다르게 함으로써, 홈의 깊이에 따라 내부쉘(11)의 표면을 기준으로, 고온의 유체와 열교환 되는 열교환 면적과 저온의 유체와 열교환 되는 면적을 변화 시켜 다양한 용도의 열교환기 설계가 가능하게 된다. 즉 내부쉘(11)의 상부홈(21)과 하부 홈(22)의 깊이가 깊을수록 저온의 유체와 열교환 되는 면적이 커지고, 고온의 유체와 열교환 되는 면적은 작아지며, 반대로 상부홈(21)과 하부홈(22)의 깊이가 얕을수록, 저온의 유체와 열교환 되는 면적이 작아지고, 고온의 유체와 열교환 되는 면적은 커지게 되는 것이다.
이상의 과정에서 알 수 있듯이 고온의 유체와 저온의 유체가 방해판을 공유함으로써 열교환 효율이 극대화 될 뿐만 아니라, 내부쉘(11)의 상부홈(21)과 하부홈(22)의 간격 및 깊이를 조절함으로써 유체의 사용 용도에 따라 다양한 열교환기의 제작이 가능해지는 획기적인 구조를 가지는 것이다.
도 4과 같이 내부쉘(11)의 상부홈(21)에 상부 방해판(12)를 끼우고, 하부홈(22)에 하부 방해판(13)을 끼우고 누설이 발생하지 않도록 용접한다. 냉매가 증발하여 유체를 냉각 및 제습시키는 2차열교환기인 에어로 핀튜브(14)는 내부쉘(11)에 코일의 형태로 감은 후 냉매 배관을 할 수 있도록 냉매입구관(16)과 냉매출구관(15)를 홀(23,24)을 형성한다.
상기 에어로 핀튜브(14)의 후단에는 사이클론식 방해판(17)을 설치하여, 2차 열교환기인 에어로 핀튜브(14)를 통과하면서 냉매에 의해 냉각 및 제습되는 과정에서 발생된 응축수의 분리 효율을 높이게 된다. 유체의 회전에 의해 세퍼레이터(19)내에서 응축수가 분리된 후, 유체는 내부쉘입구(20)를 통해 내부쉘(11)의 내부를 통과하면 상부 방해판(12)과 하부 방해판(13)을 거쳐 열교환함으로써, 재열되어 열교환기 출구를 통해 토출되어 진다.
이때 냉매입구관(16)와 냉매출구관(15)의 냉매배관 작업을 위하여 외부 쉘(10)을 도 3에서와 같이 2등분하고, 냉매배관 입구 홀(24)과 냉매배관 출구 홀(23)을 가공한다. 상기 내부 쉘(11)에 누설없이 용접된 상,하부 방해판(12,13)과, 상기 내부쉘(11)에 코일 형태로 감은 에어로 핀튜브(14)와, 사이클론 방해판(17)을 조립한 상태로 외부쉘(10)에 끼우고, 각 부분을 누설없이 용접한 후, 전면판(25)과 후면판(26)을 누설없이 용접한다. 끝으로 열교환기입구(8)와 열교환기 출구(9)에는 연결 배관에 부합하는 연결 부품을 용접하여 설치하는 것이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화와 변경 및 균등물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를 적절히 변형하여 동일하게 응용할 수 있음이 명확하다. 따라서 상기 기재 내용은 하기 특허청구범위의 한계에 의해 정해지는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이 아니다.
한편,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을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하다 할 것이다.
(1) : 냉매압축기 (2) : 응축기
(3) : 필터드라이어 (4) : 팽창 장치
(5) : 열교환기 (6) : 응축수 배출장치
(7) : 핫가스 바이패스 밸브 (8) : 열교환기입구
(9) : 열교환기출구 (10) : 외부쉘
(11) : 내부쉘 (12) : 상부 방해판
(13) : 하부 방해판 (14) : 에어로 핀튜브
(15) : 냉매출구관 (16) : 냉매입구관
(17) : 사이클론 방해판 (18) : 응축수 배출구
(19) : 세퍼레이터 (20) : 내부쉘입구
(21) : 상부 홈 (22) : 하부 홈
(23) : 홀 (24) : 홀
(25) : 전면 판 (26) : 후면 판

Claims (5)

  1. 방해판을 공유하는 냉각식 제습장치의 열교환기의 구조에 있어서,
    열교환기는 원통형의 일측이 열교환기출구(9)와 타측이 내부쉘입구(20)가 형성된 열교환기출구측 상부와 하부에 일정간격으로 다수의 상부홈(21)과 하부홈(22)을 형성한 내부쉘(11)과, 상기 내부쉘(11)의 상부홈(21)에 삽입되어 고정된 열전도율이 우수한 상부 방해판(12)과, 상기 내부쉘(11)의 하부홈(22)에 삽입되어 고정된 열전도율이 우수한 하부 방해판(13)과, 상기 내부쉘(11)의 중앙에 코일의 형태로 감아 냉매와 유체가 열교환 하도록 일측이 냉매출구관(15)과 타측이 냉매입구관(16)이 형성된 에어로 핀튜브(14)와, 상기 내부쉘(11)의 타측에 설치하여 응축수 분리효율을 극대화 시키는 사이클론 방해판(17)과, 상기 내부쉘(11)를 감싸며 상부 일측에 열교환기입구(8)가 형성된 원통형의 외부쉘(10)과, 상기 외부쉘(10)의 타측에 일체로 결합된 하부에 응축수배출구(18)가 형성된 세퍼레이터(19)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해판을 공유하는 냉각식 제습장치의 열교환기의 구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쉘(10)의 중앙에는 냉매출구관(15)와 냉매입구관(16)이 결합되게 이격된 위치에 홀(23,24)이 형성되고, 상기 외부쉘(10)의 일측면에는 중앙에 내부쉘(11)이 돌출되게 전면판(25)가 설치되며, 상기 세퍼레이터(19)의 후면에는 후면판(26)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해판을 공유하는 냉각식 제습장치의 열교환기의 구조.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방해판(12)과 하부 방해판(13)은 반원형 판으로 상기 열교환기입구(8)를 통해 들어오는 고온의 유체와 열교환기출구(9)를 통해 외부로 토출되기 전의 냉각, 제습된 유체가 직접적으로 열교환 하도록 내부쉘(11)의 상부홈(21)과 하부홈(22)에 누설이 없도록 용접하여 열교환을 극대화 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해판을 공유하는 냉각식 제습장치의 열교환기의 구조.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열교환기는 외부쉘(10)의 열교환기입구(8)를 통해 유입된 유체가 내부쉘(11)에 부착된 상부 방해판(12)과 하부 방해판(13)을 거쳐 내부쉘(11)에 설치된 에어로 핀튜브(14)에서 냉매와 유체가 2차 열교환 하고, 상기 사이클론 방해판(17)에서 응축수 분리효율을 극대화 시키고, 상기 세퍼레이터(19)에서 효과적으로 응축수가 분리된 유체가 내부쉘입구(20)를 통해 내부쉘(11)의 내부로 유입되어 상기 내부쉘(11)의 내부에 위치한 상부 방해판(12)과 하부 방해판(13)을 거치면서 재열되어 열교환기출구(9)로 토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해판을 공유하는 냉각식 제습장치의 열교환기의 구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쉘(10)은 2등분하고 열교환기 입구(8)와 냉매배관 입구 홀(24)과 냉매배관 출구 홀(23)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해판을 공유하는 냉각식 제습장치의 열교환기의 구조.
KR1020110074861A 2011-07-28 2011-07-28 방해판을 공유하는 냉각식 제습장치의 열교환기의 구조 KR10111004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74861A KR101110049B1 (ko) 2011-07-28 2011-07-28 방해판을 공유하는 냉각식 제습장치의 열교환기의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74861A KR101110049B1 (ko) 2011-07-28 2011-07-28 방해판을 공유하는 냉각식 제습장치의 열교환기의 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10049B1 true KR101110049B1 (ko) 2012-02-15

Family

ID=458399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74861A KR101110049B1 (ko) 2011-07-28 2011-07-28 방해판을 공유하는 냉각식 제습장치의 열교환기의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10049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10252B1 (ko) * 2015-05-28 2016-04-18 장현수 건조도를 줄인 에너지 절약형 냉동·냉장 장치
KR101648025B1 (ko) * 2015-08-21 2016-08-12 주식회사 동화엔텍 배플 및 간격유지판이 구비된 열교환기 및 그 제조방법
CN109990637A (zh) * 2019-05-03 2019-07-09 周封 废汽废水冷凝降温及分离的一体化余热回收装置
KR20230014957A (ko) 2021-07-22 2023-01-31 주식회사 신성이엔지 냉각 제습기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2213687A (ja) * 1986-03-14 1987-09-19 Mitsubishi Heavy Ind Ltd 給水加熱器
KR19980012685U (ko) * 1996-08-28 1998-06-05 오길수 압축공기제습기용 열교환장치
KR19980024690U (ko) * 1996-10-30 1998-07-25 이병승 압축공기용 제습기
KR100491229B1 (ko) * 2005-02-02 2005-05-24 서동숭 유압기계 작동오일의 오일냉각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2213687A (ja) * 1986-03-14 1987-09-19 Mitsubishi Heavy Ind Ltd 給水加熱器
KR19980012685U (ko) * 1996-08-28 1998-06-05 오길수 압축공기제습기용 열교환장치
KR19980024690U (ko) * 1996-10-30 1998-07-25 이병승 압축공기용 제습기
KR100491229B1 (ko) * 2005-02-02 2005-05-24 서동숭 유압기계 작동오일의 오일냉각기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10252B1 (ko) * 2015-05-28 2016-04-18 장현수 건조도를 줄인 에너지 절약형 냉동·냉장 장치
KR101648025B1 (ko) * 2015-08-21 2016-08-12 주식회사 동화엔텍 배플 및 간격유지판이 구비된 열교환기 및 그 제조방법
CN109990637A (zh) * 2019-05-03 2019-07-09 周封 废汽废水冷凝降温及分离的一体化余热回收装置
KR20230014957A (ko) 2021-07-22 2023-01-31 주식회사 신성이엔지 냉각 제습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235081A (en) Compressed air dryer
KR100765557B1 (ko) 열교환기
JP6403703B2 (ja) 圧縮空気の冷却乾燥方法およびその冷却乾燥装置
JP5620710B2 (ja) 車両空調システム用エバポレータ組立品、車両用空調システムおよび車両用hvacシステム
WO2010140334A1 (ja) 乾燥装置
KR101110049B1 (ko) 방해판을 공유하는 냉각식 제습장치의 열교환기의 구조
WO2020093713A1 (zh) 热交换装置及冷冻干燥机
BR112014015074B1 (pt) aparelho de ar-condicionado
US20090178426A1 (en) Evaporative heat exchanger for cooling a refrigerant
KR101173157B1 (ko) 수냉식 응축기 및 과냉각용 수냉식 열교환기를 구비하는 차량용 공조 시스템
KR101233098B1 (ko) 에어 드라이어
JP5891523B2 (ja) 圧縮空気除湿装置
KR20040027813A (ko) 판형열교환기에 세퍼레이터가 내장된 에어드라이어
JP4423321B2 (ja) 冷凍機内蔵型ショーケース
EP2124010A2 (en) Refrigeration-based compressed-gas dryer with improved heat exchangers
KR100763554B1 (ko) 고온다습한 압축공기의 제습성능을 향상시킨 냉동식압축공기 제습장치
JP4717794B2 (ja) 真空装置における蒸気凝結器
KR102101185B1 (ko) 축냉 고온 제습장치
CN101451788A (zh) 一种冷凝净化器
JP2017003189A (ja) シェルアンドチューブ式熱交換器
KR20180005429A (ko) 증발냉각기능을 구비한 제습장치
KR101080308B1 (ko) 흡수식 냉동시스템의 흡수기 및 이를 포함하는 공냉식 흡수식 냉동기
KR100864841B1 (ko) 열교환기 조립체
KR101071938B1 (ko) 흡수식 냉동시스템의 재생기 및 이를 포함하는 흡수식 냉동기
KR101090227B1 (ko) 흡수식 냉동기를 이용한 공기조화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3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2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1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19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21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20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