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09923B1 - 잉크젯 인쇄 장치 및 인쇄 방법 - Google Patents

잉크젯 인쇄 장치 및 인쇄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09923B1
KR101109923B1 KR1020050009624A KR20050009624A KR101109923B1 KR 101109923 B1 KR101109923 B1 KR 101109923B1 KR 1020050009624 A KR1020050009624 A KR 1020050009624A KR 20050009624 A KR20050009624 A KR 20050009624A KR 101109923 B1 KR101109923 B1 KR 10110992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quid
inkjet head
substrate
jetting
inkj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096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88699A (ko
Inventor
김민주
김정현
이명호
Original Assignee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00962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09923B1/ko
Publication of KR2006008869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8869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0992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0992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1/00Machines for cleaning floors, carpets, furniture, walls, or wall coverings
    • A47L11/40Parts or details of machin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7L11/02 - A47L11/38, or not restricted to one of these groups, e.g. handles, arrangements of switches, skirts, buffers, levers
    • A47L11/4052Movement of the tools or the like perpendicular to the cleaning surface
    • A47L11/4058Movement of the tools or the like perpendicular to the cleaning surface for adjusting the height of the tool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1/00Machines for cleaning floors, carpets, furniture, walls, or wall coverings
    • A47L11/34Machines for treating carpets in position by liquid, foam, or vapour, e.g. by steam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1/00Machines for cleaning floors, carpets, furniture, walls, or wall coverings
    • A47L11/40Parts or details of machin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7L11/02 - A47L11/38, or not restricted to one of these groups, e.g. handles, arrangements of switches, skirts, buffers, levers
    • A47L11/4036Parts or details of the surface treating tools

Landscapes

  • Application Of Or Painting With Fluid Materials (AREA)
  • Liquid Crystal (AREA)
  • Coating Apparatu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잉크젯(Ink-Jet) 헤드 영역에 분사액이 잔존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잉크젯 인쇄 장치 및 인쇄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잉크젯 인쇄 장치는 헤드의 분사면이 분사액과 반대의 극성을 갖도록 자기 조립 단분자막(Self Assembled Monolayer, SAM)으로 표면 처리되어, 분사액이 상기 분사면 상에 잔존하는 것을 방지하는 잉크젯 헤드부; 및 상기 잉크젯 헤드부로 분사액을 공급하는 분사액 공급부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잉크젯, 분사면, 자기 조립 단분자막, 극성, 젖음성

Description

잉크젯 인쇄 장치 및 인쇄 방법{INK-JET APPARATUS AND THE PRINTING METHOD}
도 1은 종래 잉크젯 인쇄 장치를 통해 피기록재에 분사액을 분사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도면.
도 2a는 본 발명의 잉크젯 인쇄 장치 및 이를 통해 피기록재에 분사액을 분사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도면.
도 2b는 잉크젯 헤드의 분사면을 나타내는 도면.
도 3a 및 3b는 잉크젯 헤드에 잔류하는 분사액을 나타내는 도면.
도 4는 자기 조립 단분자막이 형성된 헤드 분사면을 나타내는 도면.
도 5a 및 5b는 본 발명의 잉크젯 인쇄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20, 120, 220: 잉크젯 헤드부 120a: 잉크젯 헤드
120', 220' 320': 분사면 25, 125, 225: 노즐
50, 150, 250a: 분사액 60, 160: 분사액 공급부
380: 자기 조립 단분자막 380a: 반응기
380b: 알칸 사슬 380c: 작용기
본 발명은 잉크젯(Ink-Jet) 인쇄 장치 및 인쇄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분사하고자 하는 물질이 상기 잉크젯 인쇄 장치의 헤드 영역에 잔존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잉크젯 인쇄 장치 및 인쇄 방법 관한 것이다.
잉크젯 인쇄 장치에 있어서, 분사액 공급장치에 함유되어 있던 분사액은 분사액 공급관을 통하여 잉크젯 헤드부에 공급되고, 잉크젯 헤드부는 공급된 분사액을 피기록재에 분사하여 인쇄를 행한다. 이때, 분사액은 잉크젯 헤드부의 헤드 분사면에 형성된 노즐을 통하여 피기록재에 분사된다.
분사액은 액적의 형태로 분사되는데, 잉크젯 인쇄 장치의 분사능을 높이기 위해서는 분사액이 완전한 액적의 형태로 안정하게 분사되어야 한다.
도 1은 종래 잉크젯 인쇄 장치를 통해 피기록재에 분사액을 분사하는 과정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으로서,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잉크젯 인쇄 장치(10)는 분사시키고자 하는 물질이 담긴 분사액 공급장치(60)와, 분사액 공급장치(60)로부터 분사액(50)을 외부로 분사시키기 위한 잉크젯 헤드부(20)로 구성된다.
잉크젯 인쇄 장치(10)는 분사액(50)이 인쇄될 위치에 대응하여 정렬되며, 이러한 정렬 상태에서 잉크젯 헤드부(20)로부터 분사액(50)이 피기록재(70) 상으로 분사된다.
분사액 공급장치(60)에는 분사하고자 하는 분사액(50)이 채워지며, 잉크젯 헤드부(20)에는 압전소자(미도시)와 상기 분사액(50)을 분사하는 노즐(Nozzle, 25) 이 형성된다. 압전소자에 전압이 인가되면 물리적인 압력이 발생되어 분사액 공급장치(60)와 노즐(25) 사이의 유로가 수축, 이완을 반복하는 현상이 나타난다. 이 현상에 의히 분사액(50)이 노즐(25)을 통해 분사된다.
그런데,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잉크젯 인쇄 장치에서는 노즐을 통한 분사액의 토출 후, 헤드 분사면 상부에 분사액이 잔존하여 경화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다시 말해, 분사액의 분사가 반복될 때, 잉크젯 헤드부의 분사면 표면이 분사액으로 젖어 굳어지는 것이다. 이와 같은 현상은 분사면 상에 원하지 않는 축적물이 형성시켜, 이후에 분사될 분사액이 완전한 액적의 형태를 가지지 못한 채 흘러내리게 하며, 심할 경우 노즐을 막아버리는 결과를 초래한다. 그 결과, 인쇄의 상태가 나빠지게 되고, 제품의 품질이 떨어지게 된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잉크젯 헤드의 분사면을 주기적으로 분사액과 동일한 극성을 갖는 용매에 디핑(Dipping)시켜, 클리닝하는 방법을 채택해 왔다. 하지만, 이와 같은 클리닝법은 단지 분사액의 경화를 방지하는 역할만을 수행할 뿐이며, 분사액이 노즐 표면에 잔존하게 되는 현상을 근본적으로 해결할 수는 없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은 분사액의 토출 후 분사면 상에 분사액이 잔존하지 않는 잉크젯 인쇄 장치 및 인쇄방법을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이루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잉크젯 인쇄 방법은 크게 잉크젯 헤드를 준비하는 단계; 상기 잉크젯 헤드를 자기 조립 단분자막으로 표면 처리하는 단계; 상기 표면 처리된 잉크젯 헤드를 잉크젯 인쇄 장치에 장착하는 단계; 분사액을 준비하는 단계; 액정표시소자용 기판을 준비하는 단계; 상기 기판을 잉크젯 인쇄장치의 스테이지 상에 로딩하는 단계; 및 상기 헤드의 분사면을 통해 상기 분사액을 상기 액정표시소자용 기판에 토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잉크젯 헤드를 자기 조립 단분자막으로 표면 처리하는 단계는, 폴리다이메틸실록세인(polydimethylsiloxane, PDMS) 몰드로 도장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도장 상에 자기 조립 단분자막(SAM)을 이루는 유기화합물 용액을 도포하는 단계; 상기 유기화합물 용액이 도포된 도장을 상기 잉크젯 헤드의 분사면에 접촉시켜, 상기 유기화합물 용액을 상기 분사면 상에 전가하는 단계; 상기 도장을 상기 분사면으로부터 제거하는 단계; 및 분사면 상에 전가된 유기화합물 용액의 용매를 건조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분사액을 상기 기판 상에 토출하는 단계는, 상기 잉크젯 헤드 또는 상기 스테이지의 이동에 의해서 이루어진다.
상기 액정표시소자용 기판은 컬러필터 기판이고, 상기 액정표시소자용 기판은 박막트렌지스터 어레이 기판이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잉크젯 인쇄 장치 및 그 인쇄방법을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술하겠다.
먼저, 도 2a는 본 발명의 잉크젯 인쇄 장치 및 이를 통해 피기록재에 분사액을 토출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본 발명의 잉크젯 인쇄 장치(100)는 피기록재(170)에 분사액(150)을 분사하는 잉크젯 헤드부(120)와 상기 잉크젯 헤드부(120)에 분사액을 공급하는 분사액 공급부(160)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잉크젯 헤드부(120)와 분사액 공급부(160)를 기구적으로 연결하여 잉크젯 헤드부(120)에 분사액(150)을 공급하는 분사액 공급관(161)을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잉크젯 헤드부(120)를 구성하는 복수의 잉크젯 헤드(120a)에는 복수의 노즐(Nozzle, 미도시)이 피기록재(170)에 대향하는 방향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노즐이 열리고 닫힘에 의해서 피기록재(170)에 도포되는 분사액(150)의 공급량 및 적하 위치가 조절된다. 또한, 상기 잉크젯 헤드(120a) 및 노즐의 수를 조절함으로써 잉크젯 프린팅 공정시간을 조절할 수도 있다.
분사액(150)이 저장된 상기 분사액 공급부(160)에 질소 가스(N2)가 공급되 면, 상기 질소 가스에 의해서 분사액 공급부(160)의 압이 높아지고 이 압에 의해서 분사액(150)은 분사액 공급관(161)을 통하여 각각의 잉크젯 헤드(120a)로 유입된다. 잉크젯 헤드(102a)에는 압전소자(미도시)와 상기 분사액(150)을 분사하는 노즐이 형성된다. 압전소자에 전압이 인가되면 물리적인 압력이 발생되어 분사액 공급장치(160)와 노즐 사이의 유로가 수축, 이완을 반복하는 현상이 나타나며, 이러한 과정을 통해 유입된 분사액(150)이 노즐을 통해 분사된다.
잉크젯 인쇄는 피기록재(170)가 배치되는 스테이지(170a) 또는 잉크젯 헤드부(120)가 이동하면서 이루어지며, 잉크젯 헤드부(120)가 지나간 피기록재(170) 영역에 선택적 프린팅이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잉크젯 헤드부(120)는 피기록재 (170)상에 분사액(150)을 공급하면서 스테이지(170a)의 이동 도중 잉크젯 헤드부(120)에 형성된 노즐의 일부를 닫음으로써, 피기록재 상에 선택적으로 프린팅(130)을 시행할 수 있다. 이러한 잉크젯 인쇄를 실시할 수 있는 피기록재로는 액정표시소자 용 박막트랜지스터 어레이 또는 칼라필터 기판 등이 적용될 수 있다.
상기 잉크젯 헤드부(120)는 피기록재(170)의 크기에 따라 분사액의 적하면적을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도록 복수의 노즐을 가지는 적어도 한개 이상의 헤드(120a)로 구성되어 있다. 즉, 피기록재(170)가 대형화됨에 따라, 상기 헤드(120a)의 수를 증가시켜 피기록재(170)의 크기에 용이하게 대처할 수가 있으며, 필요한 양의 분사액(150)만을 직접 피기록재(170) 상에 적하하기 때문에 분사액(150) 소모를 최소화할 수 있게 되므로 액정표시소자의 제조비용을 대폭 절감할 수 있다는 장점을 가진다.
도 2b는 피기록재(미도시)에 대향되는 잉크젯 헤드(120a)의 분사면(120')을 도시한 것으로, 복수의 노즐(125)이 형성된 면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잉크젯 헤드(120a)에는 일정간격(d1)으로 이격된 복수의 노즐(125)이 형성되며, 상기 노즐(125)을 통하여 토출되는 분사액이 피기록재에 적하된다. 이때, 상기 분사면(120')은 잉크젯 프린팅될 분사액의 극성과 반대되는 극성을 갖도록 표면처리되어 형성된다. 즉, 친수성 분사액을 토출하여야 하는 경우, 헤드의 분사면은 소수화 처리시키고, 소수성 분사액을 토출해야 하는 경우, 헤드의 분사면을 친수화 표면 처리하는 것이다.
이와 같이, 잉크젯 헤드의 분사면과 분사액과의 극성이 반대가 되도록 표면 특성을 변환시키는 것은, 분사면과 분사액과의 극성 반발력을 이용해 상기 분사액의 계면 장력을 증가시킴으로써, 분사액 액적의 크기, 형태 및 방향성을 최상의 상태로 유지하기 위해서이다. 분사액과 분사면의 극성이 반대일 경우, 분사면 상에 분사액의 젖음성(wettability)이 현저히 감소하여, 분사액이 분사면 상에 잔존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실질적으로, 종래 잉크젯 인쇄 장치에서는 잉크젯 헤드의 분사면에 소수화 또는 친수화의 표면처리가 이루어지지 않아, 분사액 적하후, 분사액의 일부가 분사면 상에 남게 되고 이 분사액이 굳어져 노즐이 막히는 등의 문제가 종종 발생하였었다. 이와 같이 노즐이 막히게 되면 원하는 위치에 분사액을 정확하게 적하할 수 없으며, 분사액이 피기록재에 제대로 공급되지 않아 인쇄 불량을 야기하였었다. 특히, 분사액 교체 및 분사액 공급부에 분사액을 충진해야하는 경우 장시간 공정이 이루어지지 않기 때문에 잉크젯 헤드부에 잔류하는 분사액을 매번 깨끗하게 세정해 주어야 하는 단계가 요구되었다.
도 3a 및 3b는 잉크젯 헤드의 분사면에 잔류하는 분사액을 나타낸 것으로, 도 3a는 잔류 분사액을 보여주는 단면도이고, 도 3b는 분사액이 잔존하는 분사면을 보여주는 평면도이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잉크젯 헤드부(220)의 노즐(225) 및 분사면(220') 상에 분사액(250a)의 일부가 남게 된다. 이것은 분사액이 점성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나타나는 현상으로, 상기 노즐(225)을 통하여 기판 위에 적하된 후, 그 일부가 분사면(220')에 남게 되는 것이다. 이렇게 분사면(220')에 잔류하는 배향액(160a)은 언급한 바와 같이, 시간이 지남에 따라 굳어져 분사액이 토출되어 나오는 노즐(225)을 막을 수 있다. 이와 같이 노즐(225)이 막히게 되면 잉크젯 프린팅이 정상적으로 형성될 수가 없기 때문에 분사액의 원활한 공급을 위해서는 분사면(220') 상에 잔존하는 분사액(250a)이 없어야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특히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잉크젯 헤드의 분사면 상에 분사액이 잔존하는 것을 근본적으로 방지하기 위한 표면 개질을 실시함으로써, 별도의 분사액 제거 작업 없이도 잔류 분사액으로 인한 불량을 방지하게 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헤드 분사면의 표면 개질은 기질의 표면 특성을 선택적으로 변환시킬 수 있는 자기 조립 단분자막(SAM)의 형성을 통해 얻어질 수 있다.
자기 조립 단분자막은 주어진 기질의 표면에 자발적으로 입혀진 규칙적으로 잘 정렬된 유기 분자막으로서, 도 4에 자기 조립 단분자막이 형성된 헤드 분사면의 표면을 도시하였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자기 조립 단분자막(380)의 제조에 이용되는 계면활성제 분자는 크게 세 개의 부분으로 이루어져 있다. 먼저 기질과 결합하는 머리 부분의 반응기(Reaction Group, 380a), 규칙적인 분자 막 형성을 가능하게 하는 몸통 부분의 긴 알칸 사슬(380b), 그리고 분자 막의 기능을 좌우하는 꼬리 부분의 작용기(Functional Group, 380c)로 이루어진다.
이때, 반응기(380a)는 분사면(320') 표면과의 친화력에 의해 분사면(320') 상에 흡착되며, 알칸 사슬(380b) 사이의 친화력으로 분자들이 촘촘히 늘어서게 된다. 자기조립되는 분자 말단의 작용기(380c)에 따라 표면의 젖음성(wettability)이 변하고, 알칸 사슬(380b)의 길이에 따라서 성질이 변하므로 목적에 따라 쌓임 구조와 성격의 조절이 가능하다.
적용가능한 가장 간단한 작용기로는 알킬 그룹이 있으며, 상기 작용기에 의해 고체 기질 표면에는 소수성의 균일한 단분자막이 형성될 수 있다. 분자 막에 친수성을 부여하기 위해서는 작용기에 하이드록시기 또는 아민기 또는 카르복실기 등 여러 가지 다른 그룹들이 적용될 수 있다.
다시 말해, 본 발명의 잉크젯 인쇄 장치를 액정표시장치의 스페이서(spacer)를 형성하는 과정에 이용할 경우, 상기 분사면이 친수성 스페이서 용액과 반대의 극성을 갖도록 알킬 작용기를 통해 소수화 표면 개질을 실시하며, 상기 잉크젯 인쇄 장치가 액정표시장치의 배향막을 도포하는 과정에 이용될 경우, 상기 분사면이 소수성 배향액과 반대의 극성을 갖도록 하이드록시기 또는 아민기 또는 카르복실기 등을 적용한 친수화 표면 개질을 실시할 수 있다.
결국, 본 발명의 잉크젯 인쇄 장치는 잉크젯 헤드의 분사면을 상기와 같은 자기 조립 단분자막을 형성함으로써, 분사면과 분사액이 반대의 극성을 갖도록 상기 분사면을 표면 개질한다.
다음은 도 5a 및 5b를 참조하여, 상기한 바와 같이 자기 조립 단분자막으로 헤드 분사면의 표면 특성이 변환되는 본 발명의 잉크젯 인쇄 장치를 이용하여 액정표시소자 용 기판에 잉크젯 인쇄를 실시하는 예를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잉크젯 인쇄 방법은 크게 잉크젯 헤드를 준비하는 단계(ST1)와, 상기 잉크젯 헤드를 자기 조립 단분자막으로 표면 처리하는 단계(ST2)와, 상기 표면 처리된 잉크젯 헤드를 잉크젯 인쇄 장치에 장착하는 단계(ST3)와, 분사액을 준비하는 단계(ST4)와, 액정표시소자용 기판을 준비하는 단계(ST5)와, 상기 기판을 잉크젯 인쇄장치의 스테이지 상에 로딩하는 단계(ST6), 및 상기 헤드의 분사면을 통해 상기 분사액을 상기 액정표시소자용 기판에 토출하는 단계(ST7)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잉크젯 헤드를 준비하는 단계(ST1)에서는 특히 헤드의 분사면을 재질을 실리콘, 산화실리콘, 보로실리케이트 유리, 스테인레스 합금강, 사파이어, 인듐-주석-산화물, 질화 티타늄, SIMOX 등 자기 조립 단분자막 형성용 유기화합물이 결합될 수 있는 재질을 사용하여 구성한다.
다음으로, 상기 잉크젯 헤드를 자기 조립 단분자막으로 표면 처리하는 단계(ST2)는, 폴리다이메틸실록세인(polydimethylsiloxane, PDMS) 몰드로 도장을 형성 하는 단계(ST2-1)와, 상기 도장 상에 자기 조립 단분자막(SAM)을 이루는 유기화합물 용액을 도포하는 단계(ST2-2)와, 상기 유기화합물 용액이 도포된 도장을 상기 잉크젯 헤드의 분사면에 접촉시켜, 상기 유기화합물 용액을 상기 분사면 상에 전가하는 단계(ST2-3)와, 상기 도장을 상기 분사면으로부터 제거하는 단계(ST2-4), 및 분사면 상에 전가된 유기화합물 용액의 용매를 건조하는 단계(ST2-5)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실질적으로, PDMS 고분자로 제작된 몰드는 표면 에너지가 낮고 화학적으로 안정하여 여러 가지 모양으로 성형이 가능하며, 기판과의 흡착력이 우수하고, 코팅하고자 하는 용액에 대한 젖음성(wettability)이 적기 때문에, 용액의 코팅 후 몰드를 기판으로부터 제거 시에 어떠한 결함도 주지 않아, 몰드 재료로 주로 이용되고 있다.
그리고, 상기 유기 화합물 용액은 박막이 형성될 대상 헤드의 분사면과 화학결합을 할 수 있는 자기 조립 단분자막 형성용 용액으로서, 옥타데실트리클로로실레인(octa-decyltriclorosilne, OTS) 또는 알콕시 실레인(alkoxy silane) 화합물 또는 씨올(thiol) 화합물 등 표면에너지가 매우 낮은 유기화합물을 헥산(hexane) 등의 용매, 즉 상기 분사액에 대한 비친화성 용매에 녹여 형성한다.
결국, 준비된 PDMS 도장을 상기 분사면에 접촉시켜, 유기화합물 용액이 헤드의 분사면 상에 전가되도록 한 후, 상기 도장을 다시 잉크젯 헤드로부터 제거하며, 이후, 상기 분사면 상에 전가된 유기화합물 용액에서 용매를 증발시켜 건조한다. 이때, 용매 건조 후 상기 분사면 상에 남은 단분자들은 서로 결합되어 자기조립 단 분자막을 형성하게 된다. 즉, 분사면 표면과 결합할 수 있는 작용기를 포함하는 유기분자를 미세 접촉 인쇄 방식으로 분사면 상에 전가시켜, 자기 조립 단분자막을 형성하는 것이다.
다음은 액정표시소자용 기판 및 상기 기판 상에 토출될 분사액을 준비하는 단계로서, 상기 기판은 박막트랜지스터 어레이 기판 또는 컬러필터 기판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분사액으로는 액정 배향막 형성을 위한 배향액이 준비될 수 있으며, 스페이서 용액이 사용될 수도 있다.
상기 분사액을 상기 기판 상에 토출하는 단계는 상기 잉크젯 헤드 또는 상기 스테이지의 이동에 의해서 이루어지며, 상기 잉크젯 헤드와 기판이 로딩된 스테이지가 동시에 이동되면서 상기 액정표시소자용 기판 상의 선택 영역에 인쇄가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상기 잉크젯 헤드 또는 스테이지의 이동 중 잉크젯 헤드에 형성된 노즐의 일부를 닫음으로써, 기판 상에 선택적으로 인쇄를 실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요지는 잉크젯 헤드의 분사면을 자기 조립 단분자막(Self Asembled Monolayer)으로 표면 개질하여, 잉크젯 헤드 상에 원하지 않는 분사액 축적물이 형성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인쇄 품질 및 생산성을 향상시키고자 하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요지 내에서, 본 발명의 잉크젯 인쇄 장치는 액정표시소자의 제조를 포함하는 다양한 분야에서의 이용이 가능하다. 다시 말해, 본 명세서 상에 기록되지는 않았지만, 본 발명의 잉크젯 인쇄 장치는 단지 액정표시소자의 배향막 형성과 스페이서 용액 도포에만 그 이용이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그러므로, 명세서에 설명하지 않았어도, 본 발명의 잉크젯 인쇄 장치는 본 발명의 사상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분야로의 응용이 가능하며, 본 발명의 권리의 범위는 상술한 상세한 설명에 의해 결정되는 것이 아니라 첨부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결정되어야만 할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잉크젯 인쇄 장치는 헤드의 분사면을 자기 조립 단분자막(Self Asembled Monolayer)으로 표면 개질하여, 잉크젯 헤드부 상에 원하지 않는 축적물이 형성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분사액 액적의 형태 및 방향성 등을 용이하게 제어함으로써 잉크젯 인쇄 장치의 분사 능력을 향상시키고, 생산성을 증가시킬 수 있다.

Claims (14)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잉크젯 헤드를 준비하는 단계;
    상기 잉크젯 헤드를 자기 조립 단분자막으로 표면 처리하는 단계;
    상기 표면 처리된 잉크젯 헤드를 잉크젯 인쇄 장치에 장착하는 단계;
    분사액을 준비하는 단계;
    액정표시소자용 기판을 준비하는 단계;
    상기 기판을 잉크젯 인쇄장치의 스테이지 상에 로딩하는 단계; 및
    상기 헤드의 분사면을 통해 상기 분사액을 상기 액정표시소자용 기판에 토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잉크젯 헤드를 자기 조립 단분자막으로 표면 처리하는 단계는,
    폴리다이메틸실록세인(polydimethylsiloxane, PDMS) 몰드로 도장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도장 상에 자기 조립 단분자막(SAM)을 이루는 유기화합물 용액을 도포하는 단계;
    상기 유기화합물 용액이 도포된 도장을 상기 잉크젯 헤드의 분사면에 접촉시켜, 상기 유기화합물 용액을 상기 분사면 상에 전가하는 단계;
    상기 도장을 상기 분사면으로부터 제거하는 단계; 및
    분사면 상에 전가된 유기화합물 용액의 용매를 건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잉크젯 인쇄 방법.
  11. 삭제
  12.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분사액을 상기 기판 상에 토출하는 단계는, 상기 잉크젯 헤드 또는 상기 스테이지의 이동에 의해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잉크젯 인쇄 방법.
  13.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액정표시소자용 기판은 컬러필터 기판임을 특징으로 하는 잉크젯 인쇄 방법.
  14.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액정표시소자용 기판은 박막트렌지스터 어레이 기판임을 특징으로 하는 잉크젯 인쇄 방법.
KR1020050009624A 2005-02-02 2005-02-02 잉크젯 인쇄 장치 및 인쇄 방법 KR10110992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09624A KR101109923B1 (ko) 2005-02-02 2005-02-02 잉크젯 인쇄 장치 및 인쇄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09624A KR101109923B1 (ko) 2005-02-02 2005-02-02 잉크젯 인쇄 장치 및 인쇄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88699A KR20060088699A (ko) 2006-08-07
KR101109923B1 true KR101109923B1 (ko) 2012-02-29

Family

ID=371770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09624A KR101109923B1 (ko) 2005-02-02 2005-02-02 잉크젯 인쇄 장치 및 인쇄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09923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899714B2 (en) 2012-11-19 2014-12-02 Samsung Display Co., Ltd. Inkjet apparatus for depositing liquid crystal
US9139001B2 (en) 2012-06-21 2015-09-22 Samsung Display Co., Ltd. Inkjet print head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30037161A1 (en) * 2011-08-11 2013-02-14 Aculon, Inc. Treating fluidic channels
US11867342B2 (en) 2011-08-11 2024-01-09 Aculon Inc. Fluidic channels and methods of altering the surface energy of components thereof
KR102016579B1 (ko) * 2012-06-19 2019-09-02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잉크젯 프린트 헤드 및 이의 제조 방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325490B1 (en) * 1998-12-31 2001-12-04 Eastman Kodak Company Nozzle plate with mixed self-assembled monolayer
KR100477703B1 (ko) * 2003-01-30 2005-03-18 삼성전자주식회사 잉크젯 프린트헤드 및 그 제조방법
KR100597515B1 (ko) * 2002-07-08 2006-07-10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액체 토출 방법 및 장치와 디스플레이 장치 패널 제조방법 및 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325490B1 (en) * 1998-12-31 2001-12-04 Eastman Kodak Company Nozzle plate with mixed self-assembled monolayer
KR100597515B1 (ko) * 2002-07-08 2006-07-10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액체 토출 방법 및 장치와 디스플레이 장치 패널 제조방법 및 장치
KR100477703B1 (ko) * 2003-01-30 2005-03-18 삼성전자주식회사 잉크젯 프린트헤드 및 그 제조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139001B2 (en) 2012-06-21 2015-09-22 Samsung Display Co., Ltd. Inkjet print head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US8899714B2 (en) 2012-11-19 2014-12-02 Samsung Display Co., Ltd. Inkjet apparatus for depositing liquid crystal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88699A (ko) 2006-08-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09923B1 (ko) 잉크젯 인쇄 장치 및 인쇄 방법
EP1568500B1 (en) Method of forming hydrophobic coating layer on surface of nozzle plate for inkjet printhead
US5378504A (en) Method for modifying phase change ink jet printing heads to prevent degradation of ink contact angles
EP2732973A1 (en) Non-wetting coating on a fluid ejector
CA2713810C (en) Self-assembly monolayer modified printhead
US7846495B2 (en) Method of forming hydrophobic coating layer on surface of nozzle plate of inkjet head
JP2593922B2 (ja) インクジエット記録ヘッド
JP2010099997A (ja) 液体噴射ヘッド、液体吐出方法、およびメンテナンス方法
EP1693204B1 (en) Liquid droplet jetting apparatus and nozzle plate used in the same
CN102582250B (zh) 液体喷射装置
US20070182767A1 (en) Method of forming hydrophobic coating layer on surface of nozzle plate of inkjet head
CN112743985A (zh) 液体喷出头及喷墨装置
JP4565590B2 (ja) 液体吐出記録ヘッド、および液体吐出ヘッド内面の表面改質方法、液体吐出ヘッドの製造方法
JP2010181674A (ja) 配向膜の成膜方法
JP4641247B2 (ja) 塗装装置
JPS63122557A (ja) 吐出口を有する端面の処理方法
TW202116572A (zh) 液體吐出頭及噴墨裝置
JP2009166002A (ja) 溶液の塗布装置及び塗布方法
JP2023180762A (ja) 液体吐出ヘッド、液体吐出装置
JP2017189969A (ja) ノズル板、液体吐出ヘッド、液体吐出ユニット、液体を吐出する装置、ノズル板の製造方法
US20220097377A1 (en) Inkjet head, inkjet image forming apparatus, nozzle plate manufacturing method, and inkjet head manufacturing method
JP2004058386A (ja) レンズアレイ用型製造方法
JP2004223356A (ja) 溶液の塗布装置及び塗布方法
JP2023180764A (ja) 液体吐出ヘッド、液体吐出装置
JP2024005923A (ja) 液体噴霧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3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2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1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1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26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12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