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09418B1 - 디지털 방송 기반 재난/재해 지역 정보 제공 장치, 방법 및그를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되는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 Google Patents

디지털 방송 기반 재난/재해 지역 정보 제공 장치, 방법 및그를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되는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09418B1
KR101109418B1 KR1020090011469A KR20090011469A KR101109418B1 KR 101109418 B1 KR101109418 B1 KR 101109418B1 KR 1020090011469 A KR1020090011469 A KR 1020090011469A KR 20090011469 A KR20090011469 A KR 20090011469A KR 101109418 B1 KR101109418 B1 KR 10110941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aster
area information
disaster area
map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114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92200A (ko
Inventor
권기원
박경원
김현식
이경택
이연성
백종호
Original Assignee
재단법인 제주테크노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재단법인 제주테크노파크 filed Critical 재단법인 제주테크노파크
Priority to KR102009001146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09418B1/ko
Publication of KR2010009220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9220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0941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0941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78Supplemental services, e.g. displaying phone caller identification, shopping applic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6Government or public ser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HBROADCAST COMMUNICATION
    • H04H20/00Arrangements for broadcast or for distribution combined with broadcast
    • H04H20/53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e.g. for traffic information or for mobile receivers
    • H04H20/59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e.g. for traffic information or for mobile receivers for emergency or urgency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 Circuits Of Receivers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디지털 방송 기반 재난/재해 지역 정보 제공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디지털 방송망을 이용하여 재난/재해가 발생한 지역을 지도상에 효과적으로 표시하여 제공할 수 있는 디지털 방송 기반 재난/재해 지역 정보 제공 장치, 방법 및 그를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되는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방송 기반 재난/재해 지역 정보 제공 장치는 GSP 위성으로부터 송출되는 GPS 신호를 수신하여 출력하는 GPS 수신부와; 디지털 방송 신호를 수신하는 디지털 방송 수신부와; 상기 디지털 방송 수신부로부터 출력되는 디지털 방송 채널 중, 재난/재해 지역 정보가 포함되어 있는 디지털 방송 채널을 선택하여 출력하는 튜너부와; 상기 튜너부에 의해 선택 출력되는 재난/재해 지역 정보가 포함되어 있는 디지털 방송 채널을 디코딩하여 출력하는 디코딩부와; 상기 GPS 수신부를 통해 수신된 GPS 신호로부터 판단된 현재 위치를 지도상에 표시하여 출력하되, 상기 디코딩부에 의해 디코딩된 재난/재해 지역 정보 중에서 지도상에 존재하는 지역의 재난/재해 지역 정보를 추출하여 표시하도록 처리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디지털 방송 기반 재난/재해 지역 정보 제공 장치, 방법 및 그를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되는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disaster information based on digital broadcasting, and computer readable recoding medium for performing it}
본 발명은 디지털 방송 기반 재난/재해 지역 정보 제공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디지털 방송망을 이용하여 재난/재해가 발생한 지역을 지도상에 효과적으로 표시하여 제공할 수 있는 디지털 방송 기반 재난/재해 지역 정보 제공 장치, 방법 및 그를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되는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관한 것이다.
TPEG(Transport Protocol Expert Group)은 DAB와 DVB(Digital Video Broadcasting) 등과 같은 디지털 방송매체와 인터넷과 같은 멀티미디어 환경에서 응용, 서비스 및 전송 특성을 여행과 관련된 메시지 부호화, 복호화, 필터링을 포함하여 사용자에게 교통과 여행관련 정보전송을 위한 프로토콜이다. 현재 TPEG은 유럽과 국제표준화가 병행 중이며 TPEG 포럼에서 표준안 개발을 담당하고 있다.
현재까지 나와있는 표준안은 TPEG-INV(개념), TPEG-SSF(구성과 의미, 프레임 구조), TPEG-SNI(서비스와 네트워크 정보), TPEG-RTM(유고정보), TPEG-PTI(대중교통정보), TPEG-Loc(위치참조) 등이 있으며 CTI(교통 혼잡 정보), PKI(주차정보), POI(위치기반 정보), NEWS(뉴스), 기상정보 등 다른 많은 어플리케이션 서비스들이 표준 제안 및 구현되고 있다.
도 1은 교통 및 여행 정보 서비스를 위한 시스템의 네트워크 구성도이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TPEG 시스템은 CP(Contents Provider) 서버(10), TPEG 제공 서버(20), 디지털 방송 시스템(30), 전송 채널(transparent channel; 40) 및 사용자 단말기(50)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전술한 구성에서, CP 서버(10)는 로우데이터(low data)를 TPEG 제공 서버(20)에 제공한다. TPEG 제공 서버(20)는 CP 서버(10)를 제공되는 로우데이터를 취합하여 TPEG 표준화 포맷에 맞게 가공한 다음, 디지털 방송 시스템(30)으로 전달한다. 디지털 방송 시스템(30)은 전송 채널(40) 즉, DMB, DVB, DAB 혹은 인터넷으로 TPEG 데이터를 송출한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다양한 사용자 단말기(50) 예컨대, PDA, PMP, 휴대폰 혹은 셋톱박스 등을 통해 유고/뉴스/안전운전/관심지점 등의 TPEG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게 된다.
도 2는 TPEG ISO 7 계층 모델을 도시한 것이며, TPEG은 계층 3 지 7에 위치하고, 계층 1인 물리계층은 방송망 및 인터넷망의 물리계층을 이용한다.
도 3은 DMB/TPEG 데이터 전송 프로토콜 및 표준화 체계를 도시한 것이다. 다양한 통신매체 특히, 디지털 방송망에서 교통 및 여행 정보를 제공하기 위하여 개발된 TPEG 프로토콜은 도 1과 같은 형태의 전달 체계를 갖는다. TTI(Traffic & Traveler Information ; 교통 및 여행자정보)는 보통, CTI, CTI-SUM(교통 혼잡 정보 요약맵), RTM, SDI(안전운전정보), POI 및 NWS, 이렇게 6개 서비스로 구성되는 것으로, FM 라디오 방송, 인터넷, 이동통신망 등과 같이 다양한 전송 매체에 의해 전달될 수 있다. 그런데 이때 전달되는 정보는 시간적인 제약과 정확성을 확보하기 위하여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표준화된 체계로 선별되고 편집되어야 한다. 이와 같은 이유로, TPEG 제공 서버(20)는 로우데이터의 선별, 편집 및 전달하는 작업 다시 말해, 로우데이터를 TPEG 규격에 맞는 데이터 포맷으로 인코딩(encoding)하여 전송하는 작업을 하게 된다.
일반적으로, 디지털 방송(디지털 텔레비전 방송, 디지털 위성방송, 디지털 오디오 방송 등) 시스템은 TTI, 전자 프로그램 가이드(EPG: Electronic Program Guide), 게임 콘텐츠 등의 멀티미디어 데이터 방송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거나 제공할 예정에 있다. 여기서, 향후 경제적 파급효과 및 정보 활용도 측면에서 주목할만한 분야가 TTI 서비스 분야이며, 주목할만한 근거로는 자동차 수 증가와 주 5일 근무제로 인한 교통 및 여행정보에 대한 수요 증가 등이 있다. 특히, TTI 서비스분야 중에서 POI는 운전자, 보행자, 혹은 특정 목적지를 찾아가고자 하는 사람들에게 필요한 유고 정보, 여행정보, 문화정보, 공공시설, 숙박, 의료 등의 POI에 대한 고부가가치 정보 제공이 예상된다.
종래의 TTI 서비스 기술은 DMB 시스템 및 인터넷 등 다양한 전송매체를 이용한 효율적인 교통 및 여행정보의 제공하는 기술인데, 이는 이전의 수신기나 디코더 의 동작에 방해 없이 새로운 기능을 추가하거나 프로토콜을 수정하게 함으로써, 특히 방송 시스템을 통해서 일-대-다(one-to-many)를 대상으로 한 효율적인 정보전송이 요구되는 응용에 광범위하게 사용될 수 있으며, 일-대-일(one-to-one) 혹은 멀티캐스트 응용에도 적합하며, 인터넷 프로토콜과도 호환이 가능하다.
한편, 여행중 사고발생 정보나 도로 보수 공사, 집회 등 도로 위에서 발생할 수 있는 유고정보는 RTM 규격(TPEG-RTM)을 통하여 전달될 수 있다. 현재의 TPEG-RTM을 통한 유고 정보의 전달은 단순히 사고정보나 공사정보를 단순히 위치정보만으로 표시하여 제공하고 있으나, 하수범람, 화재, 지진 등으로 인한 예상치 못한 영역의 재난/재해가 발생했을 경우 종래의 방법으로는 정확한 재난/재해 영역 정보를 제공해주는 것은 한계가 있는 단점이 있다. 즉, 재난/재해가 발생한 지점만을 제공할 뿐 해당 재난/재해가 발생한 영역 정보를 정확하게 제공할 수 없는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 그 목적은 재난/재해 발생 영역을 지도상에 표시하여 사용자가 시각적으로 재난/재해 발생 지역을 확인할 수 있는 디지털 방송 기반 재난/재해 지역 정보 제공 장치, 방법 및 그를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되는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를 제공하는 데 있다.
나아가, 본 발명은 기존 TPEG 프로토콜과 호환성을 유지하면서, 재난/재해 지역 정보를 디지털 방송 채널을 통해 사용자가 제공받을 수 있는 디지털 방송 기반 재난/재해 지역 정보 제공 장치, 방법 및 그를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되는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를 제공하는 데 있다.
더 나아가, 본 발명은 재난/재해 영역 정보가 서로 다른 축적을 가지는 지도 들로 구성되는 멀티 계층으로 제공되는 디지털 방송 기반 재난/재해 지역 정보 제공 장치, 방법 및 그를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되는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술한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방송 기반 재난/재해 지역 정보 제공 장치는 GPS 위성으로부터 송출되는 GPS 신호를 수신하여 출력하는 GPS 수신부와; 디지털 방송 신호를 수신하는 디지털 방송 수신부와; 디지털 방송 수신부로부터 출력되는 디지털 방송 채널 중, 재난/재해 지역 정보가 포함되어 있는 디지털 방송 채널을 선택하여 출력하는 튜너와; 튜너부에 의해 선택 출력되는 재난/재해 지역 정보가 포함되어 있는 디지털 방송 채널을 디코딩하여 출력하는 디코딩부와; GPS 수신부를 통해 수신된 GPS 신호로부터 판단된 현재 위치를 지도상에 표시하여 출력하되, 디코딩부에 의해 디코딩된 재난/재해 지역 정보 중에서 지도상에 존재하는 지역의 재난/재해 지역 정보를 추출하여 표시하도록 처리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특징적인 양상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재난/재해 지역 정보는 재난/재해 종류, 재난/재해 지점 정보, 재난/재해 영역 정보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재난/재해 영역 정보는 서로 다른 축적을 가지는 지도에 대응되는 접점과 링크 정보들로 구성되는 멀티 계층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디지털 방송 채널에 포함된 재난/재해 정보는 TPEG(Transport Protocol Expert Group; 교통 및 여행 정보 서비스) 메시지에 포함되어 전송됨으로써, 기존 TPEG 프로토콜과 호환성을 유지하면서, 재난/재해 지역 정보를 디지털 방송 채널을 통해 사용자가 제공받을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방송 기반 재난/재해 지역 정보 제공 방법은 공중파 디지털 방송 신호에 포함된 재난/재해 지역 정보를 수신하여 지도상에 표시하여 제공하는 휴대용 디지털 방송 단말기에서 구현되며, 재난/재해 지역 정보를 포함하는 디지털 방송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와; 수신된 디지털 방송 채널에 포함된 재난/재해 지역 정보를 디코딩하는 단계와; GPS 신호로부터 판단된 현재 위치를 지도상에 표시하여 출력하되, 디코딩된 재난/재해 지역 정보 중에서 지도상에 존재하는 지역의 재난/재해 지역 정보를 추출하는 단계와; 추출된 재난/재해 지역 정보를 지도상 에 영역으로 표시하여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방송 기반 재난/재해 지역 정보 제공 장치, 방법 및 그를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되는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재난/재해 발생 영역을 지도상에 표시함으로써, 더욱 정확한 재난/재해 발생 지역을 시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는 장점을 갖는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방송 기반 재난/재해 지역 정보 제공 장치, 방법 및 그를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되는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기존 TPEG 프로토콜과 호환성을 유지하면서 제공할 수 있어, 기존의 시스템을 이용할 수 있는 장점을 갖는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방송 기반 재난/재해 지역 정보 제공 장치, 방법 및 그를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되는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재난/재해 영역 정보를 재난/재해 영역 정보가 서로 다른 축적을 가지는 지도에 대응되는 접점과 링크 정보들로 구성되는 멀티 계층으로 구성하여 제공함으로써, 구간별 지도의 축적 별로 사용자가 용이하게 재난/재해 발생 지역을 확인할 수 있는 장점을 갖는다.
전술한, 그리고 추가적인 본 발명의 양상들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되는 바람직한 실시 예들을 통하여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을 이러한 실시 예를 통해 당업자가 용이하게 이해하고 재현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 하기로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따른 TPEG RTM 어플리케이션 프레임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개요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TPEG 프레임은 프레임 동기를 잡기 위한 동기 워드(Sync Word), 전송 프레임의 길이를 나타내는 필드 길이(Field Length), 에러 유무를 검사하기 위한 CRC(Cyclic redundancy check; 주기적 덧붙임 검사), 서비스 ID 지정 프레임 혹은 데이터 전송 프레임을 구분하기 위한 프레임 타입(Frame Type), 및 서비스 프레임(Service Frame)으로 구성된다.
여기서, 서비스 프레임은 다시, 해당 서비스 제공자 정보를 나타내는 서비스 식별자(Service Identification; SID), 특정 사용자에게 정보 제공의 제한을 두기 위한 암호화 지시자(Encrption Indicator) 및 다수의 서비스 컴포넌트 프레임(Service Component Frame)을 포함하는 서비스 컴포넌트 멀티플렉스(Service Component Multiplex)로 구성된다.
다시 서비스 컴포넌트 멀티플렉스는 다수의 서비스 컴포넌트 프레임으로 구성되며, 각각의 서비스 컴포넌트 프레임은 서비스 컴포넌트 ID(Service Component Identifier), 필드 길이(Field Length), CRC 및 컴포넌트 데이터(Component Date)로 구성된다.
이러한 컴포넌트 데이터는 컴포넌트 개수 필드(Num Of Component), 유고 정보를 포함하는 RTM 컴포넌트 필드(RTM Component) 및 CRC 필드로 구분되고, RTM 컴포넌트 필드에는 재난/재해 지역 정보가 포함된다.
본 발명의 특징적인 양상에 따라 RTM 컴포넌트 필드에는 재난/재해 종류, 재 난/재해 지점 정보, 재난/재해 영역 정보를 포함하고, 재난/재해 영역 정보는 서로 다른 축적을 가지는 지도에 대응되는 접점과 링크 정보들로 구성되는 멀티 계층으로 구성된다.
또한, 재난/재해 영역 정보는 다각형의 영역 표시를 위한 접점과 접점 간 링크 정보를 포함하고 있다. 이를 통해 디지털 방송 기반 재난/재해 지역 정보 제공 장치는 지도상에 해당 접점들을 표시하고, 접점들을 링크로 연결하여 해당 재난/재해 영역을 표시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지털 방송 기반 재난/재해 지역 정보 제공 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럭도이다. 디지털 방송 기반 재난/재해 지역 정보 제공 장치(100)는 예를 들면, 휴대용 디지털 방송 수신기이면 족하며, 디지털 방송 수신 기능이 부가된 이동통신 단말기, PDA, 내비게이션으로 구현될 수 있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방송 기반 재난/재해 지역 정보 제공 장치(100)는 영상 신호를 디스플레이하는 표시부(101)와, 사용자로부터 조작 명령을 입력받는 입력부(103)와, 음성 신호를 가청음으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음성 출력부(105)와, GPS 위성으로부터 송출되는 GPS 신호를 수신하여 출력하는 GPS 수신부(107)와, 디지털 방송 신호를 수신하는 디지털 방송 수신부(109)와, 디지털 방송 수신부(109)로부터 출력되는 디지털 방송 채널 중 재난/재해 지역 정보가 포함되어 있는 디지털 방송 채널을 선택하여 출력하는 튜너부(111)와, 디지털 방송 기반 재난/재해 지역 정보 제공 장치(100)의 구동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부(185)와, 외부장치와 연결되는 인터페이스부(115)와, 튜너부(111)에 의해 선택 출력되는 재난/재해 지역 정보가 포함되어 있는 디지털 방송 채널을 디코딩하여 출력하는 디코딩부(117)와, 축적 별 지도 정보가 저장되는 지도 정보 데이터베이스(119)와, GPS 수신부(107)를 통해 수신된 GPS 신호로부터 판단된 현재 위치를 지도상에 표시하여 출력하되 디코딩부(117)에 의해 디코딩된 재난/재해 지역 정보 중에서 지도상에 존재하는 지역의 재난/재해 지역 정보를 추출하여 표시하도록 처리하는 제어부(121)를 포함한다.
표시부(101)는 예를 들면, 휴대용 디지털 방송 수신기에 장착될 수 있는 크기의 LCD이면 족하며, 디지털 방송 기반 재난/재해 지역 정보 제공 장치(100)의 상태 정보와 데이터 처리부에 의해 처리된 영상 신호를 디스플레이한다.
입력부(103)는 다수의 기능키로 구현될 수 있으며, 해당 디지털 방송 기반 재난/재해 지역 정보 제공 장치(100)가 이동통신 단말기, PDA로 구현되는 경우 다수의 숫자키와 기능 키를 포함하는 키패드로도 구현될 수 있다. 입력부(103)는 사용자로부터 조작 명령을 입력받아 제어부(121)로 출력한다.
부가적으로 표시부(101)와 입력부(103)는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방송 기반 재난/재해 지역 정보 제공 장치(100)가 휴대용 기기인 점을 감안하여 영상 데이터의 출력과 입력이 동시에 가능한 터치 스크린으로 구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음성 출력부(105)는 예를 들면, 디지털 방송 기반 재난/재해 지역 정보 제공 장치(100)에 구비되는 소형의 스피커로 구현될 수 있으며, 디지털 방송 채널에 포함된 음성 신호를 가청음으로 변화하여 출력한다.
전원 공급부(113)는 예를 들면, 배터리이면 족하며, 디지털 방송 기반 재난/ 재해 지역 정보 제공 장치(100)가 차량 등에 부착되는 경우 차량에 구비된 시거 잭을 통해 공급되는 전원을 구동 전원으로 변환하여 각 부분에 공급한다.
인터페이스부(115)는 예를 들면, 다양한 규격의 통신 포트로 구현될 수 있으며, 외부 장치와 연결되어 데이터를 송수신한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인터페이스부(115)를 통해 퍼스널 컴퓨터와 연결하여 해당 디지털 방송 기반 재난/재해 지역 정보 제공 장치(100)의 펌웨어, 지도 정보 등을 갱신할 수 있다.
GPS 수신부(107)는 GPS 위성으로부터 전송되는 GPS 신호를 수신하여 제어부(121)로 출력하는 GPS 안테나로 구현될 수 있다.
디지털 방송 수신부(109)는 위성 또는 지상의 방송 송출 시스템으로부터 에어(Air)상으로 브로드캐스팅 되는 디지털 방송 신호를 수신하여 출력하는 디지털 방송 수신 안테나로 구현될 수 있다.
튜너부(111)는 디지털 튜너로 구현될 수 있으며, 디지털 방송 수신부(109)로부터 출력되는 디지털 방송 채널 중 재난/재해 지역 정보가 포함되어 있는 디지털 방송 채널을 선택하여 디코딩부(117)로 출력한다.
디코딩부(117)는 예를 들면, DSP와 같은 신호처리 프로세서로 구현될 수 있으며, 튜너부(111)를 통해 선택되어 출력되는 디지털 방송 채널을 수신하여 해당 디지털 방송 신호에 포함된 음성 및 영상 신호를 처리하고, 처리된 음성 신호는 음성 출력부(105)로 영상 신호는 표시부(101)로 출력한다.
본 발명의 특징적인 양상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디코딩부(117)는 튜너부(111)로부터 출력되는 디지털 방송 채널을 수신하여 해당 채널에 포함된 재난/재 해 지역 정보를 디코딩하고, 디코딩된 재난/재해 지역 정보를 제어부(121)로 출력한다. 디코딩부(117)는 다수의 재난/재해 지역 정보가 포함된 컴포넌트 데이터 프레임의 오류 여부를 나타내는 CRC(Cyclic redundancy check; 주기적 덧붙임 검사)를 확인하고, 오류가 없는 프레임을 디코딩하여 출력한다.
지도 정보 데이터베이스(119)는 다수의 축적 별 디지털 지도 정보가 저장되며, 이렇게 저장된 지도 정보는 제어부(121)에 의해 액세스 제어된다.
제어부(121)는 예를 들면, 연산을 위한 마이크로 프로세서와 그 주변 회로가 하나의 칩에 집적된 마이크로 컨트롤러로 구현될 수 있으며, 디지털 방송 기반 재난/재해 지역 정보 제공 장치(100) 전반을 제어한다.
본 발명의 특징적인 양상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제어부(121)는 GPS 수신부(107)를 통해 수신되는 GPS 신호로부터 현재 위치를 판단하는 위치 산출부(121a)와, 위치 산출부(121a)에 의해 확인된 위치가 표시된 지도상에 존재하는 재난/재해 지역 정보를 디코딩부(117)로부터 출력되는 재난/재해 지역 정보 중에서 추출하는 재난/재해 지역 정보 추출부(121b)와, 재난/재해 지역 정보 추출부(121b)를 통해 추출된 재난/재해 지역을 지도상에 표시하여 출력하는 영역 표시부(121c)를 포함한다.
위치 산출부(121a)는 GPS 수신부(107)로부터 출력되는 GPS 신호로부터 디지털 방송 기반 재난/재해 지역 정보 제공 장치(100)의 현재 위치를 판단하고, 판단된 현재 위치 정보와 대응되는 지도상의 위치 좌표를 출력한다.
재난/재해 지역 정보 추출부(121b)는 디코딩부(117)로부터 출력되는 다수의 재난/재해 지역 정보 중에서 위치 산출부(121a)에 의해 산출된 디지털 방송 기반 재난/재해 지역 정보 제공 장치(100)의 현재 위치를 중심으로 표시되는 지도상에 존재하는 재난/재해 지역 정보를 추출하여 영역 표시부(121c)로 출력한다.
영역 표시부(121c)를 통해 제공되는 디지털 방송 기반 재난/재해 지역 정보 제공 장치(100)의 현재 위치와 재난/재해 지역이 표시된 지도는 디지털 방송 기반 재난/재해 지역 정보 제공 장치(100)의 현재 위치를 중심으로 지도의 축적에 따라 소정 범위를 나타내는 지역지도이다. 이에 따라 재난 재해 지역 정보 추출부는 디코딩된 재난/재해 지역 정보의 지점 정보를 확인하고, 해당 지점 정보가 지도상 범위에 포함되는 재난/재해 지역 정보만을 추출하여 영역 표시부(121c)로 출력한다.
영역 표시부(121c)는 위치 산출부(121a)로부터 출력되는 디지털 방송 기반 재난/재해 지역 정보 제공 장치(100)의 현재 위치를 중심으로 소정 범위를 가진 지도를 지도 정보 데이터베이스(119)로부터 액세스하고, 액세스 된 지도상에 현재 위치 정보를 표시한다. 현재 위치 정보가 지도상에 표시되면 영역 표시부(121c)는 재난/재해 지역 정보 추출부(121b)에 의해 출력되는 재난/재해 지역 정보를 수신하여 해당 지도상에 영역을 표시하고 이를 표시부(101)를 통해 출력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지털 방송 기반 재난/재해 지역 정보 제공 장치를 통해 제공되는 지도상에서의 재난/재해 영역 표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개요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재난/재해 영역은 다각형으로 표시된다. 재난/재해 영역 정보는 다각형의 영역 표시를 위한 접점과 접점 간 링크 정 보를 포함하고 있다. 이때 접점 정보는 디지털 지도상의 위치 좌표이며, 링크 정보는 접점 간 연결 정보이다. 이에 따라 영역 표시부(121c)는 지도상에 접점을 표시하고, 링크 정보를 통해 해당 접점들을 연결하여 재난/재해가 발생한 영역을 표시하고, 영역이 표시된 지도를 표시부(101)로 출력한다.
상술한 제어부(121)의 일련의 과정은 디지털 방송 기반 재난/재해 지역 정보 제공 장치(100)의 이동에 따라 실시간으로 갱신되어 출력된다. 따라서 디지털 방송 기반 재난/재해 지역 정보 제공 장치(100)의 위치가 변동될 때마다 제어부(121)는 해당 디지털 방송 기반 재난/재해 지역 정보 제공 장치(100)의 현재 위치를 산출하고, 산출된 위치에 따른 재난/재해 지역 정보를 갱신하여 표시부(101)를 통해 출력한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자신의 이동 경로 상으로부터 소정 범위의 지역에서 발생한 재난/재해 지역 정보를 실시간으로 제공받을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부가적인 양상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방송 기반 재난/재해 지역 정보 제공 장치(100)는 입력부(103)로부터 입력되는 지도의 확대 축소 명령에 따라 해당 축적에 대응되는 재난/재해 발생 지역을 디지털 방송 채널로부터 수신하여 제공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재난/재해 지역 정보에 포함된 재난/재해 영역 정보는 서로 다른 축적을 가지는 지도에 대응되는 접점과 링크 정보를 포함한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입력부(103)를 통해 지도의 확대 축소 명령에 따라 서로 다른 축적의 지도상에서 재난/재해가 발생한 지역을 효과적으로 확인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술한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방송 기반 재난/재해 지역 정보 제공 과정을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방송 기반 재난/재해 지역 정보 제공 방법은 공중파 디지털 방송 신호에 포함된 재난/재해 지역 정보를 수신하여 지도상에 표시하여 제공하는 휴대용 디지털 방송 단말기에서 구현되며, 재난/재해 지역 정보를 포함하는 디지털 방송 채널을 수신하는 단계와, 수신된 디지털 방송 채널에서 재난/재해 지역 정보를 디코딩하는 단계와, GPS 신호로부터 판단된 현재 위치를 지도상에 표시하여 출력하되 디코딩된 재난/재해 지역 정보 중에서 지도상에 존재하는 지역의 재난/재해 지역 정보를 추출하는 단계와, 추출된 재난/재해 지역 정보를 지도상에 영역으로 표시하여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지털 방송 기반 재난/재해 지역 정보 제공 과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의 조작명령에 따라 디지털 방송 기반 재난/재해 지역 정보 제공 장치(100)로 전원이 on되면, 전원 공급부(113)는 디지털 방송 기반 재난/재해 지역 정보 제공 장치(100)의 각 부분으로 구동 전원을 공급한다.
전원 공급부(113)로부터 구동 전원이 공급되면, GPS 수신부(107)는 GPS 위성으로부터 GPS 신호를 출력하여 제어부(121)의 위치 산출부(121a)로 출력하고(S101), 위치 산출부(121a)는 디지털 방송 기반 재난/재해 지역 정보 제공 장치(100)의 현재 위치를 산출하여 재난/재해 지역 정보 추출부(121b)와 영역 표시부(121c)로 출력한다(S103).
한편, 디지털 방송 수신부(109)는 위성 또는 지상파 디지털 방송 신호를 출 력하여 출력하고(S105), 튜너부(111)는 수신된 디지털 방송 신호에서 재난/재해 지역 정보가 포함된 디지털 방송 채널을 선택하여 디코딩부(117)로 출력한다(S107).
디코딩부(117)는 튜너부(111)를 통해 출력되는 디지털 방송 채널에 포함된 재난/재해 지역 정보를 추출하고, 디코딩하여 제어부(121)의 재난/재해 지역 정보 추출부(121b)로 출력한다(S109).
본 발명의 특징적인 양상에 따라 디코딩부(117)로부터 출력되는 재난/재해 지역 정보는 TPEG-RTM 어플리케이션을 활용하여 전송되며, 재난/재해 종류, 재난/재해 지점 정보, 재난/재해 영역 정보를 포함하고, 재난/재해 영역 정보는 서로 다른 축적을 가지는 지도에 대응되는 접점과 링크 정보들로 구성되는 멀티 계층으로 구성된다.
또한, 재난/재해 영역 정보는 다각형의 영역 표시를 위한 접점과 접점 간 링크 정보를 포함하고 있다. 이를 통해 제어부(121)는 지도상에 접점을 표시하고, 접점을 링크로 연결하여 해당 재난/재해 영역을 표시한다.
재난/재해 지역 정보를 디코딩부(117)로부터 수신한 재난/재해 지역 정보 추출부(121b)는 다수의 재난/재해 지역 정보 중에서 위치 산출부(121a)에 의해 산출된 디지털 방송 기반 재난/재해 지역 정보 제공 장치(100)의 현재 위치를 중심으로 소정 거리 예를 들면, 현재 위치 정보가 표시되는 지도상에 존재하는 재난/재해 지역 정보만을 추출하고, 추출된 재난/재해 지역 정보를 추출하여 영역 표시부(121c)로 출력한다(S111).
영역 표시부(121c)는 위치 산출부(121a)로부터 출력되는 디지털 방송 기반 재난/재해 지역 정보 제공 장치(100)의 현재 위치를 중심으로 정해진 범위의 디지털 지도를 지도 정보 데이터베이스(119)로부터 액세스하고, 액세스 된 디지털 지도상에 현재 위치 정보를 표시한다(S113).
또한, 영역 표시부(121c)는 현재 위치 정보가 지도상에 표시되면 재난/재해 지역 정보 추출부(121b)에 의해 출력되는 재난/재해 지역 정보를 수신하여 해당 지도상에 영역을 표시하는데, 이때 재난/재해 지역 정보는 다각형으로 표시될 수 있다(S115).
영역 표시부(121c)는 재난/재해 영역 정보의 다각형의 영역 표시를 위한 접점과 접점 간 링크 정보를 통해 지도상에 접점을 표시하고, 링크 정보를 통해 해당 접점들을 연결하여 재난/재해가 발생한 영역을 표시하고, 영역이 표시된 지도를 표시부(101)로 출력한다(S117).
부가적으로 디지털 방송 기반 재난/재해 지역 정보 제공 장치(100)는 디지털 방송 기반 재난/재해 지역 정보 제공 장치(100)의 이동에 따라 실시간으로 갱신되어 출력된다. 따라서 디지털 방송 기반 재난/재해 지역 정보 제공 방법은 GPS 수신부(107)로부터 수신되는 GPS 신호로부터 산출된 현재 위치가 변동될 때마다 상술한 과정을 반복하며(S119), 사용자로부터 종료 명령이 입력되면 종료한다(S121). 이에 따라, 사용자는 자신의 이동 경로 상으로부터 소정 범위의 지역에서 발생한 재난/재해 지역 정보를 실시간으로 제공받을 수 있게 된다.
도 1은 교통 및 여행 정보 서비스를 위한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네트워크 구성도이다.
도 2는 TPEG ISO 7 계층 모델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개요도이다.
도 3은 DMB/TPEG 데이터 전송 프로토콜 및 표준화 체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개요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TPEG RTM 어플리케이션 프레임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개요도이다.
도 5는 본 발며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방송 기반 재난/재해 지역 정보 제공 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럭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방송 기반 재난/재해 지역 정보 제공 장치를 통해 제공되는 지도상에서의 재난/재해 영역 표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개요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방송 기반 재난/재해 지역 정보 제공 과정을 개략적으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디지털 방송 기반 재난/재해 지역 정보 제공 장치
101. 표시부 103. 입력부
105. 음성 출력부 107. GPS 수신부
109. 디지털 방송 수신부 111. 튜너부
113. 전원 공급부 115. 인터페이스부
117. 디코딩부 119. 지도 정보 데이터베이스
121. 제어부 121a. 위치 산출부
121b. 재난/재해 지역 정보 추출부 121c. 영역 표시부

Claims (10)

  1. GPS 위성으로부터 송출되는 GPS 신호를 수신하여 출력하는 GPS 수신부와;
    디지털 방송 신호를 수신하는 디지털 방송 수신부와;
    상기 디지털 방송 수신부로부터 출력되는 디지털 방송 채널 중, 재난/재해 지역 정보가 포함되어 있는 디지털 방송 채널을 선택하여 출력하는 튜너부와;
    상기 튜너부에 의해 선택 출력되는 재난/재해 지역 정보가 포함되어 있는 디지털 방송 채널을 디코딩하여 출력하는 디코딩부와;
    상기 GPS 수신부를 통해 수신된 GPS 신호로부터 판단된 현재 위치를 지도상에 표시하여 출력하되, 상기 디코딩부에 의해 디코딩된 재난/재해 지역 정보 중에서 지도상에 존재하는 지역의 재난/재해 지역 정보를 추출하여 표시하도록 처리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재난/재해 지역 정보는 서로 다른 축척을 가지는 지도에 대응되는 접점과 링크 정보들을 포함하는 멀티 계층으로 구성되는 재난/재해 영역 정보를 포함하는 디지털 방송 기반 재난/재해 지역 정보 제공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가:
    상기 GPS 수신부를 통해 수신되는 GPS 신호로부터 현재 위치를 판단하는 위치 산출부와;
    상기 위치 산출부에 의해 확인된 위치가 표시된 지도상에 존재하는 재난/재해 지역 정보를 상기 디코딩부로부터 출력되는 재난/재해 지역 정보 중에서 추출하는 재난/재해 지역 정보 추출부와;
    상기 재난/재해 지역 정보 추출부를 통해 추출된 재난/재해 지역을 상기 지 도상에 표시하여 출력하는 영역 표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방송 기반 재난/재해 지역 정보 제공 장치.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재난/재해 지역 정보가:
    재난/재해 종류, 재난/재해 지점 정보, 재난/재해 영역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방송 기반 재난/재해 지역 정보 제공 장치.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재난/재해 영역 정보가 서로 다른 축적을 가지는 지도에 대응되는 접점과 링크 정보들로 구성되는 멀티 계층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방송 기반 재난/재해 지역 정보 제공 장치.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재난/재해 지역 정보가 TPEG(Transport Protocol Expert Group; 교통 및 여행 정보 서비스) 메시지에 포함되어 전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방송 기반 재난/재해 지역 정보 제공 장치.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KR1020090011469A 2009-02-12 2009-02-12 디지털 방송 기반 재난/재해 지역 정보 제공 장치, 방법 및그를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되는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KR10110941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11469A KR101109418B1 (ko) 2009-02-12 2009-02-12 디지털 방송 기반 재난/재해 지역 정보 제공 장치, 방법 및그를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되는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11469A KR101109418B1 (ko) 2009-02-12 2009-02-12 디지털 방송 기반 재난/재해 지역 정보 제공 장치, 방법 및그를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되는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92200A KR20100092200A (ko) 2010-08-20
KR101109418B1 true KR101109418B1 (ko) 2012-02-15

Family

ID=427571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11469A KR101109418B1 (ko) 2009-02-12 2009-02-12 디지털 방송 기반 재난/재해 지역 정보 제공 장치, 방법 및그를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되는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09418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36586A (ko) * 2005-09-29 2007-04-03 엘지전자 주식회사 티팩 메시지를 이용한 기상 관련 재난 정보 제공방법과엔코딩 및 디코딩 장치 및 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36586A (ko) * 2005-09-29 2007-04-03 엘지전자 주식회사 티팩 메시지를 이용한 기상 관련 재난 정보 제공방법과엔코딩 및 디코딩 장치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92200A (ko) 2010-08-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54168B1 (ko) 지도 데이터 업데이트 방법 및 장치와, 그 방법을수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저장된 기록 매체
EP2064646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information on availability of public transportation and method and apparatus for using said information
US8773290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and using public transportation information
CN100444212C (zh) 提供基于位置的信息的设备和方法
KR101254219B1 (ko) 링크 식별 방법 및 링크 식별 장치
US8392099B2 (en) Method of providing detail information using multimedia based traffic and travel information message and terminal for executing the same
CN105667387A (zh) 车载通讯装置及方法、车辆
US20080030379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and using public transportation information containing bus stop-connected information
KR20030084647A (ko) 운전자 지원정보 송신장치, 운전자 지원정보 수신장치 및운전자 지원정보 제공시스템
CN101155002B (zh) 用于接收交通信息的方法和终端以及用于提供交通信息的方法
KR101140415B1 (ko) 네비게이션 장치, 방법 및 기록매체
KR101128806B1 (ko) 교통정보를 수신하는 방법 및 장치, 그리고 제공하는 방법
US20080091337A1 (en) Method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traffic information and apparatus for receiving traffic information
KR101193513B1 (ko) 티팩 메시지를 이용한 식당 정보 제공방법과 엔코딩 및디코딩 장치 및 방법
KR101109418B1 (ko) 디지털 방송 기반 재난/재해 지역 정보 제공 장치, 방법 및그를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되는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JP2008111707A (ja) 移動体受信装置
KR101448895B1 (ko) Tpeg 정보에 기반을 둔 신호운영체계 시스템
KR100913391B1 (ko) 휴대단말에서 티펙 대중교통정보 서비스를 이용한 대중교통도착안내 방법과 그 방법을 제공하는 디엠비 티펙서비스이용가능한 휴대단말
KR101007364B1 (ko) 디지털 방송 기반 부동산 정보 제공 장치 및 방법
JP5685163B2 (ja) 交通情報表示システム、交通情報表示方法および交通情報表示プログラム
KR101020733B1 (ko) 교통정보 제공을 위한 하이패스 단말기 및 교통정보 제공 시스템
KR101216095B1 (ko) 교통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및 이를 이용하는 방법 및 장치
KR20090033561A (ko) Dmb 기반의 교통 정보 제공 시스템에서 광고 제공 장치및 방법
KR20080033028A (ko) 교통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그리고 이를 이용하는 방법 및장치
KR20120110363A (ko) Dmb 서버 및 이를 이용한 광고 컨텐츠 제공 방법, 그리고 사용자 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 광고 컨텐츠 표시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0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1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18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