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07600B1 - 공연용 로봇의 통신 장치 및 방법, 그리고 이를 행하는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매체, 그리고 그 로봇 공연 시스템 - Google Patents

공연용 로봇의 통신 장치 및 방법, 그리고 이를 행하는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매체, 그리고 그 로봇 공연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07600B1
KR101107600B1 KR1020090133122A KR20090133122A KR101107600B1 KR 101107600 B1 KR101107600 B1 KR 101107600B1 KR 1020090133122 A KR1020090133122 A KR 1020090133122A KR 20090133122 A KR20090133122 A KR 20090133122A KR 101107600 B1 KR101107600 B1 KR 10110760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bot
performance
wireless communication
communication method
opera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1331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76420A (ko
Inventor
이덕연
이동욱
이호길
박현섭
김홍석
Original Assignee
한국생산기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생산기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생산기술연구원
Priority to KR102009013312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07600B1/ko
Publication of KR2011007642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7642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0760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0760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JMANIPULATORS; CHAMBERS PROVIDED WITH MANIPULATION DEVICES
    • B25J13/00Controls for manipulators
    • B25J13/006Controls for manipulators by means of a wireless system for controlling one or several manipulator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JDEVICES FOR THEATRES, CIRCUSES, OR THE LIKE; CONJURING APPLIANCES OR THE LIKE
    • A63J5/00Auxiliaries for producing special effects on stages, or in circuses or arena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Robo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nipulato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공연용 로봇의 통신 장치 및 방법, 그리고 이를 행하는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매체, 그리고 그 로봇 공연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제1 무선 통신 방식에 따라 로봇 모니터링 정보를 송신하거나 로봇 컨트롤 정보를 수신하고, 제2 무선 통신 방식에 따라 로봇 음성 데이터를 송신하는 공연용 로봇과, 상기 제1 무선 통신 방식에 따라 상기 로봇 모니터링 정보를 상기 공연용 로봇으로부터 수신하여 모니터링하거나 상기 로봇 컨트롤 정보를 상기 공연용 로봇으로 송신하여 상기 공연용 로봇을 제어하고, 상기 제2 무선 통신 방식에 따라 상기 로봇 음성 데이터를 상기 공연용 로봇으로부터 수신하는 오퍼레이터와, 상기 오퍼레이터에서 수신된 로봇 음성 데이터를 출력하는 공연 장비를 포함하는 로봇 공연 시스템을 구성한다. 상기와 같은 로봇 공연 시스템에 따르면, 로봇 음성 데이터의 송수신을 위한 통신 방식과 로봇 컨트롤 정보 및 로봇 모니터링 정보의 송수신을 위한 통신 방식을 별도로 분리하여 운용하여 무선 통신 부하을 줄임으로써, 공연용 로봇의 제스처와 음성의 불일치, 동작 지연, 음성 출력 지연, 상대방 배우와의 의사 소통 문제 등을 해결하는 효과가 있다.
공연, 로봇, 안드로이드, 컨트롤, 모니터링, 제어, IEEE, 802, 음성

Description

공연용 로봇의 통신 장치 및 방법, 그리고 이를 행하는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매체, 그리고 그 로봇 공연 시스템{COMMUNICATING APPARATUS AND COMMUNICATING METHOD OF ROBOT FOR PUBLIC PERFORMANCE, AND COMPUTER READABLE MEDIUM RECORDING PROGRAM FOR PERFORMING THE COMMUNICATING METHOD, AND SYSTEM OF THE ROBOT FOR PUBLIC PERFORMANCE}
본 발명은 통신 장치 및 방법, 그리고 이를 행하는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매체, 그리고 그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공연용 로봇의 통신 장치 및 방법, 그리고 이를 행하는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매체, 그리고 그 로봇 공연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는 로봇 제작 기술의 발전에 따라 다양한 공연 무대에 로봇이 등장하고 있다. 아직까지는 이러한 로봇의 기술 수준이 미미한 편이며, 공연 무대 밖의 오퍼레이터에 의한 원격 제어에 많이 의존하고 있다.
이러한 공연용 로봇은 오퍼레이터뿐만 아니라 다양한 공연 장비와도 연계되어 이용되고 있다. 공연용 로봇은 오퍼레이터와 무선 연결되어 다양한 제어 명령을 수신할 뿐만 아니라 공연용 로봇 자체의 상태에 대한 모니터링 정보를 오퍼레이 터로 송신한다. 아울러 대형 스피커나 전광판과 같은 다양한 공연 장비를 통해 공연용 로봇의 음성 등을 출력하도록 연계되어 이용되고 있다. 대개는 하나의 무선 통신 방식을 이용하여 이러한 모든 데이터의 송수신이 수행된다.
공연용 로봇의 무선 통신 방식은 대개 IEEE 802.11b, IEEE 802.11g, IEEE 802.11n과 같은 무선 랜 방식이 주를 이루고 있다. 블루투스 방식이 이용될 수도 있으나, 비교적 넓은 무대에 위치하는 공연용 로봇과 원거리의 오퍼레이터 간의 통신에는 적합하지 않은 경우가 많다.
그런데, 공연용 로봇이 여러 대가 동시에 공연하는 경우에는 무선 부하가 증가하여 오퍼레이터의 원격 제어에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더군다나 비교적 데이터 양이 적은 제어 명령이나 모니터링 정보와 달리 공연용 로봇의 음성 데이터가 함께 전송되는 경우에는 공연용 로봇의 음성 출력 지연이나 동작 지연이 발생할 수 있으며, 상대방 배우와의 소통에 있어서도 지연이 발생하여 원활한 공연에 방해를 받는다. 특히나, 공연장이 그 주변 환경이 좋지 않은 상황에서는 이러한 문제가 더욱 심각해 진다.
본 발명의 목적은 로봇 공연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공연용 로봇의 통신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공연용 로봇의 통신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공연용 로봇의 통신 방법을 행하는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매체에 관한 것이다.
상술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로봇 공연 시스템은, 제1 무선 통신 방식에 따라 로봇 모니터링 정보를 송신하거나 로봇 컨트롤 정보를 수신하고, 제2 무선 통신 방식에 따라 로봇 음성 데이터를 송신하는 공연용 로봇과, 상기 제1 무선 통신 방식에 따라 상기 로봇 모니터링 정보를 상기 공연용 로봇으로부터 수신하여 모니터링하거나 상기 로봇 컨트롤 정보를 상기 공연용 로봇으로 송신하여 상기 공연용 로봇을 제어하고, 상기 제2 무선 통신 방식에 따라 상기 로봇 음성 데이터를 상기 공연용 로봇으로부터 수신하는 오퍼레이터와, 상기 오퍼레이터에서 수신된 로봇 음성 데이터를 출력하는 공연 장비를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제1 무선 통신 방식은 IEEE 802.11a 표준에 따른 무선 통신 방식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1 무선 통신 방식은 HYPERLAN 1 표준 또는 HYPERLAN 2 표준에 따른 무선 통신 방식인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제2 무선 통신 방식은 400 MHz 내지 800 MHz 대역의 무선 주파수를 이용하는 무선 통신 방식인 것이 바람 직하다. 다른 한편, 상기 로봇 컨트롤 정보는, 상기 공연용 로봇의 동작 컨트롤 정보 및 시나리오 컨트롤 정보가 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로봇 모니터링 정보는, 상기 공연용 로봇의 상태 모니터링 정보, 움직임 모니터링 정보, 전원 모니터링 정보, 통신 모니터링 정보, 비젼 로봇 모니터링 정보가 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공연용 로봇은 안드로이드 로봇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술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공연용 로봇의 통신 장치는, 외부의 오퍼레이터로부터 제1 무선 통신 방식에 따라 로봇 컨트롤 정보를 수신하거나 상기 오퍼레이터로 상기 제1 무선 통신 방식에 따라 로봇 모니터링 정보를 송신하기 위한 제어 통신부와, 상기 외부의 오퍼레이터에 연결된 공연 장비를 통해 출력하기 위한 로봇 음성 데이터를 제2 무선 통신 방식에 따라 상기 오퍼레이터로 송신하는 음성 통신부를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공연용 로봇의 통신 방법은, 공연용 로봇의 로봇 모니터링 정보를 제1 무선 통신 방식에 의해 외부의 오퍼레이터로 송신하는 단계와, 상기 오퍼레이터로부터 상기 공연용 로봇을 제어하기 위한 로봇 컨트롤 정보를 상기 제1 무선 통신 방식에 의해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공연용 로봇이 상기 수신된 로봇 컨트롤 정보에 따라 로봇 음성 데이터를 출력하는 경우, 상기 오퍼레이터에 연결된 공연 장비를 통해 상기 로봇 음성 데이터가 출력될 수 있도록 제2 무선 통신 방식에 의해 상기 로봇 음성 데이터를 상기 오퍼레이터로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공연용 로봇의 통신 방법을 행하는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매체는, 공연용 로봇의 로봇 모니터링 정보를 제1 무선 통신 방식에 의해 외부의 오퍼레이터로 송신하는 단계와, 상기 오퍼레이터로부터 상기 공연용 로봇을 제어하기 위한 로봇 컨트롤 정보를 상기 제1 무선 통신 방식에 의해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공연용 로봇이 상기 수신된 로봇 컨트롤 정보에 따라 로봇 음성 데이터를 출력하는 경우, 상기 오퍼레이터에 연결된 공연 장비를 통해 상기 로봇 음성 데이터가 출력될 수 있도록 제2 무선 통신 방식에 의해 상기 로봇 음성 데이터를 상기 오퍼레이터로 송신하는 단계를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공연용 로봇의 통신 장치 및 방법, 그리고 이를 행하는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매체, 그리고 그 로봇 공연 시스템에 따르면, 로봇 음성 데이터의 송수신을 위한 통신 방식과 로봇 컨트롤 정보 및 로봇 모니터링 정보의 송수신을 위한 통신 방식을 별도로 분리하여 운용하여 무선 통신 부하을 줄임으로써, 공연용 로봇의 제스처와 음성의 불일치, 동작 지연, 음성 출력 지연, 상대방 배우와의 의사 소통 문제 등을 해결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 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제1, 제2, A, B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 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본 발명의 구성을 간략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로봇 공연 시스템은, 제1 무선 통신 방식에 따라 로봇 모니터링 정보를 송신하거나 로봇 컨트롤 정보를 수신하고, 제2 무선 통신 방식에 따라 로봇 음성 데이터를 송신하는 공연용 로봇과, 상기 제1 무선 통신 방식에 따라 상기 로봇 모니터링 정보를 상기 공연용 로봇으로부터 수신하여 모니터링하거나 상기 로봇 컨트롤 정보를 상기 공연용 로봇으로 송신하여 상기 공연용 로봇을 제어하고, 상기 제2 무선 통신 방식에 따라 상기 로봇 음성 데이터를 상기 공연용 로봇으로부터 수신하는 오퍼레이터와, 상기 오퍼레이터에서 수신된 로봇 음성 데이터를 출력하는 공연 장비를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제1 무선 통신 방식은 IEEE 802.11a 표준에 따른 무선 통신 방식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1 무선 통신 방식은 HYPERLAN 1 표준 또는 HYPERLAN 2 표준에 따른 무선 통신 방식인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제2 무선 통신 방식은 400 MHz 내지 800 MHz 대역의 무선 주파수를 이용하는 무선 통신 방식인 것이 바람직하다. 다른 한편, 상기 로봇 컨트롤 정보는, 상기 공연용 로봇의 동작 컨트롤 정보 및 시나리오 컨트롤 정보가 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로봇 모니터링 정보는, 상기 공연용 로봇의 상태 모니터링 정보, 움직임 모니터링 정보, 전원 모니터링 정보, 통신 모니터링 정보, 비젼 로봇 모니터링 정보가 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공연용 로봇은 안드로이드 로봇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공연용 로봇의 통신 장치는, 외부의 오퍼레이터로부터 제1 무선 통신 방식에 따라 로봇 컨트롤 정보를 수신하거나 상기 오퍼레이터로 상기 제1 무선 통신 방식에 따라 로봇 모니터링 정보를 송신하기 위한 제어 통신부와, 상기 외부의 오퍼레이터에 연결된 공연 장비를 통해 출력하기 위한 로봇 음성 데이터를 제2 무선 통신 방식에 따라 상기 오퍼레이터로 송신하는 음성 통신부를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공연용 로봇의 통신 방법은, 공연용 로봇의 로봇 모니터링 정보를 제1 무선 통신 방식에 의해 외부의 오퍼레이터로 송신하는 단계와, 상기 오퍼레이터로부터 상기 공연용 로봇을 제어하기 위한 로봇 컨트롤 정보를 상기 제1 무선 통신 방식에 의해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공연용 로봇이 상기 수신된 로봇 컨트롤 정보에 따라 로봇 음성 데이터를 출력하는 경우, 상기 오퍼레이터에 연결된 공연 장비를 통해 상기 로봇 음성 데이터가 출력될 수 있도록 제2 무선 통신 방식에 의해 상기 로봇 음성 데이터를 상기 오퍼레이터로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공연용 로봇의 통신 방법을 행하는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매체는, 공연용 로봇의 로봇 모니터링 정보를 제1 무선 통신 방식에 의해 외부의 오퍼레이터로 송신하는 단계와, 상기 오퍼레이터로부터 상기 공연용 로봇을 제어하기 위한 로봇 컨트롤 정보를 상기 제1 무선 통신 방식에 의해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공연용 로봇이 상기 수신된 로봇 컨트롤 정보에 따라 로봇 음성 데이터를 출력하는 경우, 상기 오퍼레이터에 연결된 공연 장비를 통해 상기 로봇 음성 데이터가 출력될 수 있도록 제2 무선 통신 방식에 의해 상기 로봇 음성 데이터를 상기 오퍼레이터로 송신하는 단계를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될 수 있다.
여기에서, 로봇 공연 시스템에 대하여 먼저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로봇 공연 시스템은 대개 공연용 로봇과, 이를 무선으로 원격 제어하는 오퍼레이터와, 공연용 로봇의 음성을 출력하기 위한 공연 장비를 포함한다. 공연용 로봇의 음성은 주로 오퍼레이터를 통하여 공연 장비로 전달되며, 공연 장비에는 대형 스피커나 대형 스크린 등이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연용 로봇 시스템의 개략 블록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공연용 로봇 시스템(100)은 공연용 로봇(200), 오퍼레이터(300), 공연 장비(400)를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여기에서, 본 발명의 공연용 로봇 시스템(100)은 로봇 컨트롤 정보 및 로봇 모니터링 정보의 송수신을 위한 제1 무선 통신 방식과 로봇 음성 데이터의 송수신을 위한 제2 무선 통신 방식을 서로 다른 무선 통신 방식으로 채택하여 이용함으로써, 무선 부하를 줄인다. 이에, 공연용 로봇의 제스처와 로봇 음성의 불일치, 동작의 지연, 음성 출력의 지연, 상대방 배우와의 의사 소통 불일치의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특히, 제1 무선 통신 방식은 IEEE 802.11a, HYPERLAN 1 또는 HYPERLAN 2 중 어느 하나의 방식이 바람직하며, 제2 무선 통신 방식은 400 MHz 내지 800 MHz의 주파수 변조 방식이 바람직하다.
이하, 공연용 로봇 시스템(100)의 세부적인 구성에 대하여 좀 더 상세하게 설명한다.
먼저, 공연용 로봇(200)은 제1 무선 통신 방식에 따라 로봇 모니터링 정보를 송신하거나 로봇 컨트롤 정보를 수신하고, 제2 무선 통신 방식에 따라 로봇 음성 데이터를 송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여기에서, 공연용 로봇(200)의 종류에는 그 제한이 없으며, 안드로이드 로봇이 하나의 예가 될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로봇 컨트롤 정보는, 상기 공연용 로봇(200)의 동작 컨트롤 정보 및 시나리오 컨트롤 정보가 될 수 있다. 로봇 컨트롤 정보는 오퍼레이터(300)가 공연용 로봇(200)을 제어하기 위하여 공연용 로봇(200)으로 송신하는 컨트롤 정보이다. 이때, 동작 컨트롤 정보는 공연용 로봇(200)의 동작을 직접 제어하기 위한 컨트롤 정보로서, 상기 동작은 공연용 로봇(200)의 걷기, 손 흔들기, 다양한 제스처 등을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동작 컨트롤 정보는 오퍼레 이터(300)에 의해 직접 공연용 로봇(200)을 제어하기 위한 정보이다. 그리고 시나리오 컨트롤 정보는 공연용 로봇(200)에 기저장된 다양한 시나리오에 따른 선택을 위한 컨트롤 정보이다. 이를 위해서는, 공연용 로봇(200)의 상대방 배우의 말이나 행동에 대하여 반응하기 위한 다양한 시나리오가 미리 공연용 로봇(200)에 설정되어 있어야 하며, 사용자는 오퍼레이터(300)를 통해 이러한 시나리오에 따른 선택을 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로봇 모니터링 정보는 상기 공연용 로봇의 상태 모니터링 정보, 움직임 모니터링 정보, 전원 모니터링 정보, 통신 모니터링 정보, 비젼 로봇 모니터링 정보가 그 예가 될 수 있다. 로봇 모니터링 정보는 공연용 로봇(200)의 상태를 비롯한 다양한 정보로서, 공연용 로봇(200)이 오퍼레이터(300)로 주기적 또는 비주기적으로 송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사용자는 오퍼레이터(300)를 통해 로봇 모니터링 정보를 수신하고, 로봇 모니터링 정보를 이용하여 공연용 로봇(200)을 조종한다. 이때, 상태 모니터링 정보는 로봇이 제스쳐 동작 중인지 이동 중인지, 로봇 음성 출력 중인지 등의 정보와 로봇 구동기의 전압, 전류, 온도 등의 상태 정보를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로봇 움직임 모니터링 정보는 공연용 로봇(200)이 제스쳐 동작이나 이동 등을 하는 경우 실시간으로 시뮬레이션한 정보이다. 로봇이 이동 등으로 사용자의 가시권을 벗어난 경우에도 사용자가 공연용 로봇(200)의 움직임을 제어하 수 있기 위한 시뮬레이션 정보이다. 그리고 전원 모니터링 정보는 공연용 로봇(200)의 전원 상태를 나타내는 정보이다. 그리고 통신 모니터링 정보는 공연용 로봇(200)의 통신 상태를 나타내는 정보이다. 그리고 비젼 로봇 모니터링 정보는 공연용 로봇(200)의 시야 내 영상을 실시간으로 나타내는 정보이다. 이를 이용하여 로봇의 움직임을 좀 더 원활하게 제어할 수 있다.
다른 한편, 상기 제1 무선 통신 방식은 IEEE 802.11a 표준에 따른 무선 통신 방식인 것이 바람직하다. 그렇지 않으면 HYPERLAN 1 표준 또는 HYPERLAN 2 표준에 따른 무선 통신 방식인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제2 무선 통신 방식은 400 MHz 내지 800 MHz 대역의 무선 주파수를 이용하는 무선 통신 방식인 것이 바람직하다. 종래에는 로봇 컨트롤 정보 및 로봇 모니터링 정보를 송수신하기 위한 제1 무선 통신 방식과 로봇 음성 데이터를 송수신하기 위한 제2 무선 통신 방식이 별도로 구별되지 않았다. 즉, 하나의 무선 통신 방식으로 모든 데이터의 송수신을 해결하였다. 이때, 주로 IEEE 802.11b, IEEE 802.11g, IEEE 802n이 이용되었다. 이들 방식들은 주로 2.4 GHz 대역의 언라이센스드(unlicensed) 주파수 영역으로서, 주변 무선 환경의 영향을 많이 받게 된다. 더군다나 로봇 음성 데이터와 같이 데이터량이 많은 경우에는 무선 부하의 부담이 매우 크다. 이러한 방식들은 채널 수에 있어서 매우 제한적이라서 로봇 음성 데이터의 양이 증가하면, 로봇 컨트를 정보의 지연이 발생하여 공연용 로봇(200)의 동작 지연, 음성 출력 지연, 상대방 배우와의 의사 소통 문제 등이 빈번히 발생하였다. 본 발명에서는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어와 관련된 통신 방식과 데이터와 관련된 통신 방식을 별도로 마련하여 무선 부하를 줄이는 것에 관건이 있다. 특히, 제어와 관련된 제1 무선 통신 방식에 있어서는 대략 5 GHz 대역의 주파수 대역을 이용하여 채널 수에 있어서 좀 더 여유가 있는 IEEE 802.11a, HYPERLA 1, HYPERLAN 2 등의 방식을 채택한다. IEEE802.11a의 경우에는 채널 당 대략 100 MHz의 대역폭이 할당되어 있다. 그리고 OFDM 방식을 채널하고 54 Mbps의 전송 속도를 지원한다. 한편, 데이터 량이 상대적으로 많이 요구되는 제2 무선 통신 방식의 경우에는 일반 주파수 변조 방식을 채택함으로써, 데이터 송수신의 지연이나 그에 따른 다양한 문제를 해결하였다.
다음으로, 오퍼레이터(300)는 상기 제1 무선 통신 방식에 따라 상기 로봇 모니터링 정보를 상기 공연용 로봇(200)으로부터 수신하여 모니터링하거나 상기 로봇 컨트롤 정보를 상기 공연용 로봇(200)으로 송신하여 상기 공연용 로봇(200)을 제어하고, 상기 제2 무선 통신 방식에 따라 상기 로봇 음성 데이터를 상기 공연용 로봇(200)으로부터 수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다음으로, 공연 장비(400)는 상기 오퍼레이터(300)에서 수신된 로봇 음성 데이터를 출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공연 장비(400)에는 대형 스피커 또는 대형 스크린 등이 있으며, 조명 장비도 그 예가 될 수 있다.
다시 도 1을 참조하여 공연용 로봇(200)의 통신 장치(210)에 대하여 좀 더 설명한다. 공연용 로봇(200)의 통신 장치(210)는 제어 통신부(211) 및 음성 통신부(212)를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종래와 달리 제어 통신부(211)와 음성 통신부(212)가 별도로 존재하는 이유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제1 무선 통신 방식과 제2 무선 통신 방식이 별도로 존재함에 따라, 각 통신 표준에 따르는 통신 수단이 공연용 로봇(200)에 별도로 존재하여야 하기 때문이다. 이는 도면에 도시하지 않았지만 제어 통신부(211) 및 음성 통신부(212)에 각각 대응되는 통신 수단이 오퍼레이터(300)에도 존재함은 자명하다. 이하, 통신 장치(210)의 각 구성에 대하여 좀 더 상세하게 설명한다.
먼저, 제어 통신부(211)는 외부의 오퍼레이터(300)로부터 제1 무선 통신 방식에 따라 로봇 컨트롤 정보를 수신하거나 상기 오퍼레이터(300)로 상기 제1 무선 통신 방식에 따라 로봇 모니터링 정보를 송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 무선 통신 방식은 IEEE 802.11a 표준에 따른 무선 통신 방식이 바람직하다. 또는 상기 제1 무선 통신 방식은 HYPERLAN 1 표준 또는 HYPERLAN 2 표준에 따른 무선 통신 방식인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제2 무선 통신 방식은 400 MHz 내지 800 MHz 대역의 무선 주파수를 이용하는 무선 통신 방식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로봇 음성 데이터가 대용량이기 때문에 넓은 대역폭을 요구하기 때문이다.
한편, 상기 로봇 컨트롤 정보는, 상기 공연용 로봇의 동작 컨트롤 정보 및 시나리오 컨트롤 정보가 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로봇 모니터링 정보는, 상기 공연용 로봇의 상태 모니터링 정보, 움직임 모니터링 정보, 전원 모니터링 정보, 통신 모니터링 정보, 비젼 로봇 모니터링 정보가 될 수 있다.
다른 한편, 상기 공연용 로봇은 안드로이드 로봇인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음성 통신부(212)는 상기 외부의 오퍼레이터(300)에 연결된 공연 장비(400)를 통해 출력하기 위한 로봇 음성 데이터를 제2 무선 통신 방식에 따라 상기 오퍼레이터(300)로 송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연용 로봇의 통신 방법의 개략 흐름도이다. 이하, 세부적인 구성에 대하여 좀 더 상세하게 설명한다.
먼저, 공연용 로봇(200)의 로봇 모니터링 정보를 제1 무선 통신 방식에 의해 외부의 오퍼레이터(300)로 송신한다(S110). 여기에서, 상기 제1 무선 통신 방식은 IEEE 802.11a 표준에 따른 무선 통신 방식인 것이 바람직하다. 대략 5 GHz 대역의 주파수를 이용하며 채널 당 대략 100 MHz의 대역폭이 제공된다. 또한, 상기 제1 무선 통신 방식은 HYPERLAN 1 표준 또는 HYPERLAN 2 표준에 따른 무선 통신 방식인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로봇 모니터링 정보는, 상기 공연용 로봇의 상태 모니터링 정보, 움직임 모니터링 정보, 전원 모니터링 정보, 통신 모니터링 정보, 비젼 로봇 모니터링 정보가 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오퍼레이터(300)로부터 상기 공연용 로봇(200)을 제어하기 위한 로봇 컨트롤 정보를 상기 제1 무선 통신 방식에 의해 수신한다(S120). 여기에서, 상기 로봇 컨트롤 정보는, 상기 공연용 로봇의 동작 컨트롤 정보 및 시나리오 컨트롤 정보가 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공연용 로봇(200)이 상기 수신된 로봇 컨트롤 정보에 따라 로봇 음성 데이터를 출력하는 경우, 상기 오퍼레이터(300)에 연결된 공연 장비(400)를 통해 상기 로봇 음성 데이터가 출력될 수 있도록 제2 무선 통신 방식에 의해 상기 로봇 음성 데이터를 상기 오퍼레이터(300)로 송신한다(S130). 이때, 상기 제2 무선 통신 방식은 400 MHz 내지 800 MHz 대역의 무선 주파수를 이용하는 무선 통신 방식인 것이 바람직하다.
다른 한편, 상기 공연용 로봇(200)은 안드로이드 로봇인 것이 바람직하다.
앞서 설명한 본 발명에 따른 공연용 로봇의 통신 방법은 프로그램으로 구현되어 플래시 롬과 같은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매체에 기록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 프로그램의 각 단계를 실행시키기 위한 공연용 로봇의 통신 방법을 설명한다.
먼저, 공연용 로봇(200)의 로봇 모니터링 정보를 제1 무선 통신 방식에 의해 외부의 오퍼레이터(300)로 송신한다(S110). 여기에서, 상기 제1 무선 통신 방식은 IEEE 802.11a 표준에 따른 무선 통신 방식인 것이 바람직하다. 대략 5 GHz 대역의 주파수를 이용하며 채널 당 대략 100 MHz의 대역폭이 제공된다. 또한, 상기 제1 무선 통신 방식은 HYPERLAN 1 표준 또는 HYPERLAN 2 표준에 따른 무선 통신 방식인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로봇 모니터링 정보는, 상기 공연용 로봇의 상태 모니터링 정보, 움직임 모니터링 정보, 전원 모니터링 정보, 통신 모니터링 정보, 비젼 로봇 모니터링 정보가 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오퍼레이터(300)로부터 상기 공연용 로봇(200)을 제어하기 위한 로봇 컨트롤 정보를 상기 제1 무선 통신 방식에 의해 수신한다(S120). 여기에서, 상기 로봇 컨트롤 정보는, 상기 공연용 로봇의 동작 컨트롤 정보 및 시나리오 컨트롤 정보가 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공연용 로봇(200)이 상기 수신된 로봇 컨트롤 정보에 따라 로봇 음성 데이터를 출력하는 경우, 상기 오퍼레이터(300)에 연결된 공연 장비(400)를 통해 상기 로봇 음성 데이터가 출력될 수 있도록 제2 무선 통신 방식에 의해 상기 로봇 음성 데이터를 상기 오퍼레이터(300)로 송신한다(S130). 이때, 상기 제2 무선 통신 방식은 400 MHz 내지 800 MHz 대역의 무선 주파수를 이용하는 무선 통신 방식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연용 로봇 시스템의 개략 블록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연용 로봇의 통신 방법의 개략 흐름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00: 공연용 로봇 210: 통신 장치
211: 제어 통신부 212: 음성 통신부

Claims (10)

  1. 제1 무선 통신 방식에 따라 로봇 모니터링 정보를 송신하거나 로봇 컨트롤 정보를 수신하고, 제2 무선 통신 방식에 따라 로봇 음성 데이터를 송신하는 공연용 로봇과,
    상기 제1 무선 통신 방식에 따라 상기 로봇 모니터링 정보를 상기 공연용 로봇으로부터 수신하여 모니터링하거나 상기 로봇 컨트롤 정보를 상기 공연용 로봇으로 송신하여 상기 공연용 로봇을 제어하고, 상기 제2 무선 통신 방식에 따라 상기 로봇 음성 데이터를 상기 공연용 로봇으로부터 수신하는 오퍼레이터와,
    상기 오퍼레이터에서 수신된 로봇 음성 데이터를 출력하는 공연 장비를 포함하는 로봇 공연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무선 통신 방식은 IEEE 802.11a 표준에 따른 무선 통신 방식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봇 공연 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무선 통신 방식은 HYPERLAN 1 표준 또는 HYPERLAN 2 표준에 따른 무선 통신 방식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봇 공연 시스템.
  4.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무선 통신 방식은 400 MHz 내지 800 MHz 대역의 무선 주파수를 이용하는 무선 통신 방식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봇 공연 시스템.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로봇 컨트롤 정보는, 상기 공연용 로봇의 동작 컨트롤 정보 및 시나리오 컨트롤 정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봇 공연 시스템.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로봇 모니터링 정보는, 상기 공연용 로봇의 상태 모니터링 정보, 움직임 모니터링 정보, 전원 모니터링 정보, 통신 모니터링 정보, 비젼 로봇 모니터링 정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봇 공연 시스템.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공연용 로봇은 안드로이드 로봇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봇 공연 시스템.
  8. 외부의 오퍼레이터로부터 제1 무선 통신 방식에 따라 로봇 컨트롤 정보를 수신하거나 상기 오퍼레이터로 상기 제1 무선 통신 방식에 따라 로봇 모니터링 정보를 송신하기 위한 제어 통신부와,
    상기 외부의 오퍼레이터에 연결된 공연 장비를 통해 출력하기 위한 로봇 음성 데이터를 제2 무선 통신 방식에 따라 상기 오퍼레이터로 송신하는 음성 통신부를 포함하는 공연용 로봇의 통신 장치.
  9. 공연용 로봇의 로봇 모니터링 정보를 제1 무선 통신 방식에 의해 외부의 오퍼레이터로 송신하는 단계와,
    상기 오퍼레이터로부터 상기 공연용 로봇을 제어하기 위한 로봇 컨트롤 정보를 상기 제1 무선 통신 방식에 의해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공연용 로봇이 상기 수신된 로봇 컨트롤 정보에 따라 로봇 음성 데이터를 출력하는 경우, 상기 오퍼레이터에 연결된 공연 장비를 통해 상기 로봇 음성 데이터가 출력될 수 있도록 제2 무선 통신 방식에 의해 상기 로봇 음성 데이터를 상기 오퍼레이터로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공연용 로봇의 통신 방법.
  10. 공연용 로봇의 통신 방법을 행하는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매체에 있어서,
    상기 공연용 로봇의 로봇 모니터링 정보를 제1 무선 통신 방식에 의해 외부의 오퍼레이터로 송신하는 단계와,
    상기 오퍼레이터로부터 상기 공연용 로봇을 제어하기 위한 로봇 컨트롤 정보를 상기 제1 무선 통신 방식에 의해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공연용 로봇이 상기 수신된 로봇 컨트롤 정보에 따라 로봇 음성 데이터 를 출력하는 경우, 상기 오퍼레이터에 연결된 공연 장비를 통해 상기 로봇 음성 데이터가 출력될 수 있도록 제2 무선 통신 방식에 의해 상기 로봇 음성 데이터를 상기 오퍼레이터로 송신하는 단계를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매체.
KR1020090133122A 2009-12-29 2009-12-29 공연용 로봇의 통신 장치 및 방법, 그리고 이를 행하는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매체, 그리고 그 로봇 공연 시스템 KR10110760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33122A KR101107600B1 (ko) 2009-12-29 2009-12-29 공연용 로봇의 통신 장치 및 방법, 그리고 이를 행하는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매체, 그리고 그 로봇 공연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33122A KR101107600B1 (ko) 2009-12-29 2009-12-29 공연용 로봇의 통신 장치 및 방법, 그리고 이를 행하는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매체, 그리고 그 로봇 공연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76420A KR20110076420A (ko) 2011-07-06
KR101107600B1 true KR101107600B1 (ko) 2012-01-25

Family

ID=449163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133122A KR101107600B1 (ko) 2009-12-29 2009-12-29 공연용 로봇의 통신 장치 및 방법, 그리고 이를 행하는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매체, 그리고 그 로봇 공연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07600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80137B1 (ko) * 2012-03-29 2013-06-28 전병삼 실시간 동기화된 로봇 공연 시스템
CN104385273A (zh) * 2013-11-22 2015-03-04 嘉兴市德宝威微电子有限公司 机器人系统及其同时表演控制方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198868A (ja) 2000-01-17 2001-07-24 Atr Media Integration & Communications Res Lab サイバー漫才用ロボットおよび支援装置
KR20080024801A (ko) * 2006-09-15 2008-03-19 남 영 김 캐릭터 영상로봇
KR20090048262A (ko) * 2007-11-09 2009-05-13 주식회사 유진로봇 다개체 상호 작용을 위한 로봇 컨트롤 시스템
KR100925707B1 (ko) 2009-07-17 2009-11-10 주식회사 로보메이션 자동 공연이 가능한 로봇용 공연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198868A (ja) 2000-01-17 2001-07-24 Atr Media Integration & Communications Res Lab サイバー漫才用ロボットおよび支援装置
KR20080024801A (ko) * 2006-09-15 2008-03-19 남 영 김 캐릭터 영상로봇
KR20090048262A (ko) * 2007-11-09 2009-05-13 주식회사 유진로봇 다개체 상호 작용을 위한 로봇 컨트롤 시스템
KR100925707B1 (ko) 2009-07-17 2009-11-10 주식회사 로보메이션 자동 공연이 가능한 로봇용 공연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80137B1 (ko) * 2012-03-29 2013-06-28 전병삼 실시간 동기화된 로봇 공연 시스템
CN104385273A (zh) * 2013-11-22 2015-03-04 嘉兴市德宝威微电子有限公司 机器人系统及其同时表演控制方法
CN104385273B (zh) * 2013-11-22 2016-06-22 嘉兴市德宝威微电子有限公司 机器人系统及其同时表演控制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76420A (ko) 2011-07-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1757410B (zh) 下行信道的接收方法、发送方法、终端和基站
CN110972171B (zh) 波束失败恢复请求传输方法、终端设备及网络设备
US11240067B2 (en) Terminal apparatus, content transmission method, and content playback system
WO2020143523A1 (zh) 天线面板控制方法、终端设备及网络侧设备
US20140064199A1 (en) Method and channel selector for selecting an operation channel, and wireless network connecting apparatus including the channel selector
CN110475283B (zh) 一种处理csi处理单元、资源的方法、装置及系统
CN111278142A (zh) 一种随机接入方法及终端
US20150061879A1 (en) Notification method, notification device, notification system, storage medium, electronic message board server, and mobile terminal
US20180027420A1 (en) Image communication system, image transmission apparatus, image transmission method, and recording medium
WO2018082693A1 (zh) Csi上报方法、装置以及设备
CN110719646B (zh) 一种上行传输方法及终端
JP2012257077A5 (ko)
WO2013179769A1 (ja) 電子機器、電子機器システム、および、電子機器制御方法
JP2014506419A (ja) 無線通信端末の設備の共存干渉を回避する方法、端末及び基地局
KR101107600B1 (ko) 공연용 로봇의 통신 장치 및 방법, 그리고 이를 행하는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매체, 그리고 그 로봇 공연 시스템
JP2014512779A (ja) 最大構成出力パワーの報告方法及び端末装置
KR20200085740A (ko) 단말 장치, 기지국, 방법 및 기록 매체
JP6424817B2 (ja) 通信制御装置、通信制御方法、端末装置及び情報処理装置
JP6388848B2 (ja) 移動端末試験装置及び移動端末試験方法
EP3270631B1 (en) Data transmission method, device and system of time division duplex wireless data transmission system
TWI617214B (zh) 電子裝置及其控制方法
CN115379472A (zh) 测量间隙的确定方法、终端及网络侧设备
CN110071788B (zh) 信道状态信息参考信号传输方法、网络设备及终端
US9350910B2 (en) Operation device, imaging device, and remote imaging system
JP2019016888A (ja) 通信装置及び通信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05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0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02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06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