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85740A - 단말 장치, 기지국, 방법 및 기록 매체 - Google Patents

단말 장치, 기지국, 방법 및 기록 매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85740A
KR20200085740A KR1020207011457A KR20207011457A KR20200085740A KR 20200085740 A KR20200085740 A KR 20200085740A KR 1020207011457 A KR1020207011457 A KR 1020207011457A KR 20207011457 A KR20207011457 A KR 20207011457A KR 20200085740 A KR20200085740 A KR 2020008574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source
srs
slot
control signal
terminal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70114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히로아키 다카노
Original Assignee
소니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소니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소니 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20008574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8574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20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 H04W72/21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in the uplink direction of a wireless link, i.e. towards the network
    • H04W72/1284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01Arrangements for dividing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03Two-dimensional division
    • H04L5/0005Time-frequency
    • H04L5/0007Time-frequency the frequencies being orthogonal, e.g. OFDM(A), DMT
    • H04L5/001Time-frequency the frequencies being orthogonal, e.g. OFDM(A), DMT the frequencies being arranged in component carri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01Arrangements for dividing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03Two-dimensional division
    • H04L5/0005Time-frequency
    • H04L5/0007Time-frequency the frequencies being orthogonal, e.g. OFDM(A), DM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3Arrangements for allocating sub-channels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48Allocation of pilot signals, i.e. of signals known to the receiver
    • H04L5/0051Allocation of pilot signals, i.e. of signals known to the receiver of dedicated pilots, i.e. pilots destined for a single user or termina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14Two-way operation using the same type of signal, i.e. duplex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14Two-way operation using the same type of signal, i.e. duplex
    • H04L5/1469Two-way operation using the same type of signal, i.e. duplex using time-shar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04Wireless resource allocation
    • H04W72/044Wireless resource allocation based on the type of the allocated resource
    • H04W72/0446Resources in time domain, e.g. slots or fram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04Wireless resource allocation
    • H04W72/044Wireless resource allocation based on the type of the allocated resource
    • H04W72/0453Resources in frequency domain, e.g. a carrier in FDMA
    • H04W72/1257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50Allocation or scheduling criteria for wireless resources
    • H04W72/535Allocation or scheduling criteria for wireless resources based on resource usage polici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3Arrangements for allocating sub-channels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48Allocation of pilot signals, i.e. of signals known to the receiv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3Arrangements for allocating sub-channels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78Timing of allocation
    • H04L5/0082Timing of allocation at predetermined interv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91Signaling for the administration of the divided path
    • H04L5/0094Indication of how sub-channels of the path are allocate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91Signaling for the administration of the divided path
    • H04L5/0096Indication of changes in allocation
    • H04L5/0098Signalling of the activation or deactivation of component carriers, subcarriers or frequency band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04Wireless resource allocation
    • H04W72/044Wireless resource allocation based on the type of the allocated resourc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NR에 있어서의 주기적인 UL 제어 신호의 송수신을 보다 적절하게 실현하는 구조를 제공한다. TDD(Time Division Duplex) 방식을 사용하여 기지국과 통신하는 단말 장치이며, 컴포넌트 캐리어에 포함되는 복수의 대역폭 부분의 각각에 주기적으로 배치되는, 업링크 제어 신호의 송신에 사용되어야 할 제1 리소스를 나타내는 설정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업링크 제어 신호를 송신하는 제어부를 구비하는 단말 장치.

Description

단말 장치, 기지국, 방법 및 기록 매체
본 개시는 단말 장치, 기지국, 방법 및 기록 매체에 관한 것이다.
셀룰러 이동 통신의 무선 액세스 방식 및 무선 네트워크(이하, 「Long Term Evolution(LTE)」, 「LTE-Advanced(LTE-A)」, 「LTE-Advanced Pro(LTE-A Pro)」, 「5G(제5 세대)」 「New Radio(NR)」, 「New Radio Access Technology(NRAT)」, 「Evolved Universal Terrestrial Radio Access(EUTRA)」 또는 「Further EUTRA(FEUTRA)」라고도 칭함)가, 제3 세대 파트너십 프로젝트(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3GPP)에 있어서 검토되고 있다. 또한,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 LTE는 LTE-A, LTE-A Pro 및 EUTRA를 포함하고, NR은 NRAT 및 FEUTRA를 포함한다. LTE 및 NR에서는, 기지국 장치(기지국)는 LTE에 있어서 eNodeB(evolved NodeB) 및 NR에 있어서 gNodeB라고도 칭해지고, 단말 장치(이동국, 이동국 장치, 단말기)는 UE(User Equipment)라고도 칭해진다. LTE 및 NR은, 기지국이 커버하는 에어리어를 셀형으로 복수 배치하는 셀룰러 통신 시스템이다. 단일의 기지국은 복수의 셀을 관리해도 된다.
NR에서는, 업링크(Uplink: UL) 통신 및 다운링크(Downlink: DL) 통신의 양쪽에 관하여, 새로운 사양이 검토되고 있다. 특히, NR에서는, SRS(Sounding Reference Symbol 또는 Sounding Reference Signal)라고 칭해지는 UL 제어 신호의 도입이 검토되고 있다. SRS는 기지국에 의해 측정되고, 그 측정 결과는 빔 매니지먼트(beam management) 및 CSI의 취득(Channel State Information-Acquisition)에 사용된다. 하기 비특허문헌 1에 나타내는 3GPP의 기술 사양서의 섹션 8.2에서는, SRS의 표준 사양에 대하여 기재되어 있다.
NR에서는, 주파수 리소스 및 시간 리소스가, LTE와 달리 가변으로 설정 가능하다. 상세하게는, NR에서는, 서브캐리어 간격 및 슬롯 수가 가변으로 설정 가능하다. UL 제어 신호는, UL 리소스를 사용하여 송신되는 것이기 때문에, 이러한 자유도가 높은 리소스 구성의 영향을 받는다. 상기 비특허문헌 1에서는, SRS의 주기적인 송신에 대하여 기재되어 있기는 하지만, NR에 있어서의 유연한 리소스 설정에 대한 대응은 충분하지는 못하였다.
그래서, 본 개시에서는, NR에 있어서의 주기적인 UL 제어 신호의 송수신을 보다 적절하게 실현하는 구조를 제공한다.
본 개시에 따르면, TDD(Time Division Duplex) 방식을 사용하여 기지국과 통신하는 단말 장치이며, 컴포넌트 캐리어에 포함되는 복수의 대역폭 부분의 각각에 주기적으로 배치되는, 업링크 제어 신호의 송신에 사용되어야 할 제1 리소스를 나타내는 설정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업링크 제어 신호를 송신하는 제어부를 구비하는 단말 장치가 제공된다.
또한, 본 개시에 따르면, TDD 방식을 사용하여 단말 장치와 통신하는 기지국이며, 컴포넌트 캐리어에 포함되는 복수의 대역폭 부분의 각각에 주기적으로 배치되는, 업링크 제어 신호의 송신에 사용되어야 할 제1 리소스를 나타내는 설정 정보를 상기 단말 장치에 송신하는 제어부를 구비하는 기지국이 제공된다.
또한, 본 개시에 따르면, TDD 방식을 사용하여 기지국과 통신하는 단말 장치에 의해 실행되는 방법이며, 컴포넌트 캐리어에 포함되는 복수의 대역폭 부분의 각각에 주기적으로 배치되는, 업링크 제어 신호의 송신에 사용되어야 할 제1 리소스를 나타내는 설정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업링크 제어 신호를 송신하는 것을 포함하는 방법이 제공된다.
또한, 본 개시에 따르면, TDD 방식을 사용하여 단말 장치와 통신하는 기지국에 의해 실행되는 방법이며, 컴포넌트 캐리어에 포함되는 복수의 대역폭 부분의 각각에 주기적으로 배치되는, 업링크 제어 신호의 송신에 사용되어야 할 제1 리소스를 나타내는 설정 정보를 상기 단말 장치에 송신하는 것을 포함하는 방법이 제공된다.
또한, 본 개시에 따르면, 컴퓨터를, TDD 방식을 사용하여 기지국과 통신하고, 컴포넌트 캐리어에 포함되는 복수의 대역폭 부분의 각각에 주기적으로 배치되는, 업링크 제어 신호의 송신에 사용되어야 할 제1 리소스를 나타내는 설정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업링크 제어 신호를 송신하는 제어부로서 기능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 매체가 제공된다.
또한, 본 개시에 따르면, 컴퓨터를, TDD 방식을 사용하여 단말 장치와 통신하고, 컴포넌트 캐리어에 포함되는 복수의 대역폭 부분의 각각에 주기적으로 배치되는, 업링크 제어 신호의 송신에 사용되어야 할 제1 리소스를 나타내는 설정 정보를 상기 단말 장치에 송신하는 제어부로서 기능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 매체가 제공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개시에 따르면, NR에 있어서의 주기적인 UL 제어 신호의 송수신을 보다 적절하게 실현하는 구조가 제공된다. 또한, 상기 효과는 반드시 한정적인 것은 아니며, 상기 효과와 함께, 또는 상기 효과 대신에, 본 명세서에 나타난 어느 효과, 또는 본 명세서로부터 파악될 수 있는 다른 효과가 발휘되어도 된다.
도 1은, NR에 있어서의 SRS에 관한 처리의 흐름의 일례를 도시하는 시퀀스도이다.
도 2는, LTE에 있어서의 링크 방향 컨피규레이션의 표준 사양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3은, NR에 있어서의 서브캐리어 간격이 15kHz인 경우의 프레임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4는, NR에 있어서의 서브캐리어 간격이 30kHz인 경우의 프레임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5는, NR에 있어서의 서브캐리어 간격이 60kHz인 경우의 프레임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6은, NR에 있어서의 UL 슬롯의 구성의 일례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7은, NR에 있어서의 DL 슬롯의 구성의 일례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8은, NR에 있어서의 DL-UL 슬롯의 구성의 일례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9는, NR에 있어서의 동적인 링크 방향 컨피규레이션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0은, NR에 있어서의 SRS의 송신에 사용되는 OFDM 심볼의 일례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1은, NR에 있어서의 SRS의 송신에 사용되는 OFDM 심볼의 일례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2는, NR에 있어서의 SRS의 송신에 사용되는 OFDM 심볼의 일례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3은, NR에 있어서의 SRS의 송신에 사용되는 OFDM 심볼의 일례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4는, 본 실시 형태에 관한 시스템의 전체 구성의 일례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5는, 본 실시 형태에 관한 기지국의 구성의 일례를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16은, 본 실시 형태에 관한 단말 장치의 구성의 일례를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17은, 본 실시 형태에 관한 제1 리소스의 설정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8은, 본 실시 형태에 관한 제1 리소스의 설정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9는, 본 실시 형태에 관한 제1 리소스의 설정에 기초하는 적응적인 처리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0은, 본 실시 형태에 관한 제1 리소스의 설정에 기초하는 적응적인 처리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1은, 본 실시 형태에 관한 제1 리소스의 설정에 기초하는 적응적인 처리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2는, 본 실시 형태에 관한 준정적인 SRS 컨피규레이션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3은, 본 실시 형태에 관한 준정적인 SRS 컨피규레이션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4는, 본 실시 형태에 관한 DL-UL 슬롯에 대한 SRS의 송신 가부 판단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5는, 본 실시 형태에 관한 DL-UL 슬롯에 대한 SRS의 송신 가부 판단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6은, 본 실시 형태에 관한 동적인 링크 방향 컨피규레이션에 기초하는 SRS의 송신 제어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7은, 본 실시 형태에 관한 동적인 링크 방향 컨피규레이션에 기초하는 SRS의 송신 제어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8은, 본 실시 형태에 관한 동적인 링크 방향 컨피규레이션에 기초하는 SRS의 송신 제어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9는, 본 실시 형태에 관한 시스템에 있어서 실행되는 SRS의 주기적인 송신을 위한 제어 처리의 흐름의 일례를 도시하는 시퀀스도이다.
도 30은, eNB의 개략적인 구성의 제1 예를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31은, eNB의 개략적인 구성의 제2 예를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32는, 스마트폰의 개략적인 구성의 일례를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33은, 카 내비게이션 장치의 개략적인 구성의 일례를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이하에 첨부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개시의 적합한 실시 형태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또한, 본 명세서 및 도면에 있어서, 실질적으로 동일한 기능 구성을 갖는 구성 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번호를 부여함으로써 중복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설명은 이하의 순서로 행하기로 한다.
1. 서언
2. 구성예
3. 기술적 특징
4. 응용예
5. 결론
<<1. 서언>>
(1) SRS의 용도
SRS는, UL 제어 신호이다. SRS는, 참조 신호라고도 파악될 수 있다. SRS의 목적으로서는, 빔 매니지먼트 및 CSI의 취득을 들 수 있다.
ㆍ빔 매니지먼트
빔 매니지먼트란, 기지국과 단말 장치의 사이에서 사용되는 적절한 빔을 동정하기 위한 프로시저이다. 특히, SRS에 기초하는 UL 빔 매니지먼트에서는, UL 송신에 관하여 적절한 빔이 동정된다. 상세하게는, UL 빔 매니지먼트에서는, UL 신호의 송신을 위해 단말 장치가 사용하는 송신 빔(TX 빔), 및 UL 신호의 수신을 위해 기지국이 사용하는 수신 빔(RX 빔)의, 적절한 조합이 동정된다. 여기서, 적절한 빔이란, 단말 장치가 송신한 신호를 기지국이 최대의 수신 전력으로 수신하는 것이 가능한 빔을 가리킨다.
UL 빔 매니지먼트는, TX 빔 및 RX 빔의 지향성을 다른 방향을 향하면서 SRS를 송수신하는, 빔 스위핑이라고 칭해지는 프로시저를 포함한다. 단말 장치는, TX 빔을 스위핑하면서 SRS를 송신하고, 기지국은, RX 빔을 스위핑하면서 SRS를 수신한다. 그리고, 단말 장치가 송신한 SRS를 기지국이 최대의 수신 전력으로 수신하는 것이 가능한 빔의 조합이, 적절한 빔의 조합으로서 동정된다. 또한, SRS는 기지 신호이다.
ㆍCSI의 취득
CSI의 취득은, 채널 상태에 따른 통신 제어를 위해 행해진다. 특히, SRS에 기초하는 UL의 CSI의 취득은, 채널 상태에 따른 UL 통신의 제어를 위해 행해진다. 예를 들어, 기지국은, 수신한 SRS에 기초하여 UL 채널의 상태를 측정하고, 채널 상태에 따른 MCS(Modulation Coding Scheme)를 결정한다. SRS가 상술한 빔 매니지먼트에 의해 동정된 빔을 사용하여 송수신되는 경우에는, 기지국은, 당해 빔을 사용한 통신에 관하여 적절한 MCS를 결정할 수 있다. 또한, MCS란, 변조 방식 및 부합화 레이트의 조합이다.
또한, 빔 매니지먼트는 빔의 방향을 알기 위한 프로시저이기 때문에, SRS의 송신에 사용되는 안테나 포트(즉, 가상적인 안테나)는 하나나 2개로 충분하였다. 한편, UL의 CSI의 취득에 관해서는, 예를 들어 4레이어의 MIMO(multiple-input and multiple-output)가 행해질 때에는, SRS는 네 안테나 포트를 사용하여 송신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실제로 유저 데이터가 송신될 때와 동일한 환경에서, 채널 상태가 측정되는 것이 바람직하기 때문이다.
ㆍSRS에 관한 처리의 흐름
도 1은, NR에 있어서의 SRS에 관한 처리의 흐름의 일례를 도시하는 시퀀스도이다.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본 시퀀스에는 기지국 및 단말 장치가 관여한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빔 매니지먼트를 위해 송수신되는 SRS를, BM-SRS라고도 칭한다. 또한, CSI의 취득을 위해 송수신되는 SRS를, CSI-SRS라고도 칭한다.
우선, 기지국은, 빔 매니지먼트를 위한 SRS 컨피규레이션을 단말 장치에 송신한다(스텝 S12). 빔 매니지먼트를 위한 SRS 컨피규레이션은, BM-SRS에 관한 설정 정보이다. 단말 장치는, 빔 매니지먼트를 위한 SRS 컨피규레이션에 기초하여, TX 빔 스위핑을 행하면서 BM-SRS를 송신한다(스텝 S14). 한편, 기지국은, RX 빔 스위핑을 행하면서 BM-SRS를 수신한다(스텝 S16). 그리고, 기지국은, 최적의 TX 빔 및 RX 빔을 동정한다(스텝 S18).
이어서, 기지국은, CSI의 취득을 위한 SRS 컨피규레이션을 단말 장치에 송신한다(스텝 S20). CSI의 취득을 위한 SRS 컨피규레이션은, CSI-SRS에 관한 설정 정보이다. 이어서, 단말 장치는, CSI의 취득을 위한 SRS 컨피규레이션에 기초하여, CSI-SRS를 송신한다(스텝 S22). 이어서, 기지국은, 수신한 CSI-SRS에 기초하여 채널 상태를 측정하고, 최적의 MCS를 동정한다(스텝 S24). 이어서, 기지국은, 최적의 MCS를 나타내는 정보를 단말 장치에 송신한다(스텝 S26). 그리고, 단말 장치는, 최적의 빔 및 최적의 MCS를 사용하여, UL 트래픽(데이터 신호 또는 제어 신호)을 송신한다(스텝 S28).
빔 매니지먼트를 위한 SRS 컨피규레이션 및 CSI의 취득을 위한 SRS 컨피규레이션은, SRS의 송신에 사용해야 할 주파수 리소스 및 시간 리소스를 설정하는 정보 등을 포함한다. CSI의 취득을 위한 SRS 컨피규레이션은, 빔 매니지먼트에 의해 동정된 최적의 TX 빔을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하고 있어도 되며, 그 경우, 단말 장치는 최적의 TX 빔을 사용하여 CSI-SRS를 송신할 수 있다.
BM-SRS와 CSI-SRS는, 기본적으로는 동일한 구조를 갖기는 하지만, 송신에 사용해야 할 주파수 리소스 및 시간 리소스에 관한 요건이 다르다. 예를 들어, 빔 매니지먼트는 최적의 빔을 동정하는 것이 목적이므로, BM-SRS의 주파수 대역폭은 좁아도 된다. 또한, 단말 장치의 이동에 빔을 추종시키는 빔 트래킹을 위해, BM-SRS는 주기적으로 송신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CSI의 취득은 최적의 MCS를 동정하는 것이 목적이므로, CSI-SRS의 주파수 대역폭은 UL 트래픽의 송신에 사용되는 주파수 대역폭을 커버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CSI-SRS는, UL 트래픽이 주기적으로 송신되는 경우에는 주기적으로 송신되는 것이 바람직한 한편, UL 트래픽이 단발적으로 송신되는 경우에는 UL 트래픽의 송신에 따라 비주기적으로 송신되면 충분하다.
(2) SRS의 주기적인 송신
SRS는, 주기적으로 송신되어도 되고, 비주기적으로 송신되어도 된다.
SRS의 주기적인 송신은, 전형적으로는 준정적인(quasistatic) 설정에 기초하여 행해진다. 예를 들어, 단말 장치는, SRS를 송신해야 할 주기가 RRC(Radio Resource Control) 시그널링 등에 의해 준정적으로 설정되면, 그 후 반영속적으로, 주기적으로 SRS를 기지국에 송신한다.
SRS의 비주기적인 송신은, 전형적으로는 동적인 설정에 기초하여 행해진다. 예를 들어, 단말 장치는, SRS를 송신해야 할 타이밍이 제어 채널 또는 시스템 정보 등에 의해 동적으로 설정될 때마다, 설정된 타이밍에 SRS를 송신한다.
(3) 링크 방향 컨피규레이션
NR에서는, 복신 방식으로서, 주파수 분할 복신(FDD; Frequency Division Duplex) 또는 시분할 복신(TDD; Time Division Duplex)의 채용이 검토되고 있다. FDD에서는, UL 및 DL이 서로 다른 주파수대 상에서 운용된다. 한편, TDD에서는, UL 및 DL이 동일한 주파수대 상에서 다른 시간 리소스를 사용하여 운용된다.
FDD의 경우에는, 상시 UL 통신이 가능하므로, 단말 장치는 SRS를 임의의 타이밍에 송신할 수 있다. 따라서, FDD의 경우에는 SRS의 주기적인 송신 및 비주기적인 송신은 용이하게 실현된다.
TDD의 경우에는, UL 통신은 UL 통신이 가능한 시간 리소스에 있어서만 가능하므로, 단말 장치는, 당해 UL 통신이 가능한 시간 리소스에 있어서 SRS를 송신할 것이 요구된다. 그러나, SRS의 송신 주기가 반드시 UL 통신이 가능한 시간 리소스에 도래한다고는 할 수 없으므로, SRS의 주기적인 송신이 곤란해질 수 있다.
ㆍLTE의 경우
LTE에 있어서는, 이러한 곤란함은 생기지 않았다. LTE에서는, TDD 방식에 있어서 UL 통신이 가능한 시간 리소스의 위치가 고정적이기 때문이다. 이하, 이 점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LTE의 통신 방식은, 복신 방식으로서 FDD를 채용하는 FD-LTE, 및 복신 방식으로서 TDD를 채용하는 TD-LTE로 분류된다. FD-LTE 및 TD-LTE의 양쪽 모두, 각각 1msec의 시간 길이를 갖는 10개의 서브프레임으로(10msec의 시간 길이를 가짐) 하나의 무선 프레임이 구성된다고 하는 프레임 포맷을 사용한다. FD-LTE에서는, 동일한 주파수대에 있어서 링크 방향이 시간적으로 변화하지 않는 것에 비해, TD-LTE에서는, 서브프레임 단위로 링크 방향이 변화할 수 있다.
TD-LTE에 있어서, 각 무선 프레임에 대한 서브프레임 단위의 링크 방향의 세트(즉, 10개의 서브프레임의 링크 방향의 조합)를, 링크 방향 컨피규레이션(혹은 UL-DL 컨피규레이션)이라고 한다. LTE에 관한 표준 사양에서는, 도 2에 도시하는 컨피규레이션 0부터 컨피규레이션 6까지의 7종류의 링크 방향 컨피규레이션이 정의되어 있다.
도 2는, LTE에 있어서의 링크 방향 컨피규레이션의 표준 사양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하나의 무선 프레임(radio frame)은, 10개의 서브프레임(#0 내지 #9)을 포함한다. 각 서브프레임의 시간 길이는 1msec이고, 하나의 무선 프레임의 시간 길이는 10msec이다. 링크 방향은, 서브프레임 단위로 설정된다. 도 2에 있어서, 「D」라고 라벨링된 서브프레임의 링크 방향은 다운링크이며, 당해 서브프레임을 다운링크 서브프레임이라고 한다. 「U」라고 라벨링된 서브프레임의 링크 방향은 업링크이며, 당해 서브프레임을 업링크 서브프레임이라고 한다. 「S」라고 라벨링된 서브프레임은, TD-LTE에 특유한 스페셜 서브프레임이다. 기지국으로부터 송신되는 다운링크 신호는, 지연과 함께 단말 장치에 도달한다. 단말 장치는, 기지국에 도달하는 업링크 신호의 지연을 고려하여, 기지국의 업링크 서브프레임의 타이밍보다 선행하여 업링크 신호를 송신한다. 스페셜 서브프레임은, 다운링크 서브프레임으로부터 업링크 서브프레임으로의 전환 타이밍에 삽입되며, 단말 장치에서의 다운링크 신호의 수신 및 업링크 신호의 송신의 타이밍이 겹치지 않도록 하는 완충 기간으로서의 역할을 갖는다. 스페셜 서브프레임은, UE에 의해 다운링크 신호가 수신되는 다운링크 파일럿 타임 슬롯과, 가드 기간(Guard Period)과, UE에 의해 업링크 신호가 송신되는 업링크 파일럿 타임 슬롯을 포함한다.
LTE에 있어서의 링크 방향 컨피규레이션에 따르면, 어느 컨피규레이션에 있어서도, 하나의 무선 프레임에 적어도 하나의 업링크 서브프레임이 포함된다. 따라서, SRS의 송신 주기가 업링크 서브프레임에 있어서 도래하도록, 링크 방향 컨피규레이션에 기초하여 SRS의 주기성을 설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LTE의 표준 사양에 따르면, 하기 표 1에 나타내는 테이블을 참조하여, SRS의 주기성이 설정된다.
Figure pct00001
표 1은, 인덱스와, SRS의 송신 주기와, 송신 주기의 기점이 되는 서브프레임의 오프셋이 대응지어진 테이블이다. 예를 들어, 도 2에 도시한 컨피규레이션 5의 경우, 업링크 서브프레임인 서브프레임 #2를 기준으로 하여, 10ms의 주기로 SRS를 송신하도록 설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세하게는, 도 2에 도시한 링크 방향 컨피규레이션 5의 경우에는, 서브프레임 #2가 업링크 서브프레임이다. 그 때문에, SRS의 주기를 10ms로 설정하는 경우에는, 표 1에 기초하여 예를 들어 I_SRS가 17로 설정된다. 이에 의해, 단말 장치는, 서브프레임 #2부터 10ms의 주기로 SRS를 송신할 수 있다.
ㆍNR의 경우
-프레임 구성
NR에서도, LTE와 마찬가지로, 하나의 무선 프레임은 10개의 서브프레임(#0 내지 #9)을 포함하고, 각 서브프레임의 시간 길이는 1msec이고, 하나의 무선 프레임의 시간 길이는 10msec이다.
한편, NR에서는, LTE와는 달리, 하나의 서브프레임 중에 하나 이상의 슬롯이 포함되고, 하나의 서브프레임에 포함되는 슬롯의 수는 서브캐리어 간격에 따라 변화한다. 검토 중인 NR의 표준 사양에 따르면, 서브캐리어 간격과 슬롯 설정의 대응 관계는 하기 표 2와 같이 정의되어 있다.
Figure pct00002
표 2는, 서브캐리어 간격마다의, 하나의 슬롯에 포함되는 OFDM(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 심볼의 수, 하나의 무선 프레임에 포함되는 슬롯의 수 및 하나의 서브프레임에 포함되는 슬롯의 수를 나타내는 테이블이다. 표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하나의 슬롯에 포함되는 OFDM 심볼의 수는 서브캐리어 간격에 구애되지 않고 일정하다. 한편, 하나의 서브프레임에 포함되는 슬롯의 수는 서브캐리어 간격이 커질수록 많아져, 그 결과, 하나의 무선 레임에 포함되는 슬롯의 수도 서브캐리어 간격이 커질수록 많아진다. 일례로서,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면서, 표 2에 나타낸 테이블에 기초하는 프레임 구성을 설명한다.
도 3은, NR에 있어서의 서브캐리어 간격이 15kHz인 경우의 프레임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하나의 무선 프레임은 10개의 서브프레임(#0 내지 #9)을 포함한다. 하나의 서브프레임(#0)은 하나의 슬롯(#0)을 포함하며, 그 결과, 하나의 무선 프레임은 10개의 슬롯을 포함한다. 하나의 슬롯(#0)은 14개의 OFDM 심볼(#0 내지 #13)을 포함한다.
도 4는, NR에 있어서의 서브캐리어 간격이 30kHz인 경우의 프레임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하나의 무선 프레임은 10개의 서브프레임(#0 내지 #9)을 포함한다. 하나의 서브프레임(#0)은 2개의 슬롯(#0 내지 #1)을 포함하며, 그 결과, 하나의 무선 프레임은 20개의 슬롯을 포함한다. 하나의 슬롯(#0)은 14개의 OFDM 심볼(#0 내지 #13)을 포함한다.
도 5는, NR에 있어서의 서브캐리어 간격이 60kHz인 경우의 프레임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하나의 무선 프레임은 10개의 서브프레임(#0 내지 #9)을 포함한다. 하나의 서브프레임(#0)은 네 슬롯(#0 내지 #3)을 포함하며, 그 결과, 하나의 무선 프레임은 40개의 슬롯을 포함한다. 하나의 슬롯(#0)은 14개의 OFDM 심볼(#0 내지 #13)을 포함한다.
또한, 서브캐리어 간격은 정적 또는 준정적으로 설정되며, 빈번하게 전환되지는 않는 것이 상정된다.
-링크 방향의 설정
NR에 있어서는, 링크 방향의 전환은 슬롯 단위로 행해진다. NR에 있어서는, 표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링크 방향이 다른 복수 종류의 슬롯이 정의되어 있다.
Figure pct00003
표 3에 따르면, 하나의 슬롯에 포함되는 OFDM 심볼의 링크 방향이 모두 UL인 슬롯이 정의된다. 이러한 슬롯을, 이하에서는 UL 슬롯이라고도 칭한다. 도 6은, NR에 있어서의 UL 슬롯의 구성의 일례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6에 도시하는 예에서는, 서브캐리어 간격은 60kHz이며, 하나의 서브프레임은 네 슬롯을 포함한다. 도 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UL 슬롯(#0)에 포함되는 14개의 OFDM 심볼(#0 내지 #13)의 모든 링크 방향은 UL이다. 이러한, 링크 방향이 UL인 OFDM 심볼을, 이하에서는 UL 심볼이라고도 칭한다.
표 3에 따르면, 하나의 슬롯에 포함되는 OFDM 심볼의 링크 방향이 모두 DL인 슬롯이 정의된다. 이러한 슬롯을 DL 슬롯이라고도 칭한다. 도 7은, NR에 있어서의 DL 슬롯의 구성의 일례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7에 도시하는 예에서는, 서브캐리어 간격은 60kHz이며, 하나의 서브프레임은 네 슬롯을 포함한다. 도 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DL 슬롯(#0)에 포함되는 14개의 OFDM 심볼(#0 내지 #13)의 모든 링크 방향은 DL이다. 이러한, 링크 방향이 DL인 OFDM 심볼을, 이하에서는 DL 심볼이라고도 칭한다.
표 3에 따르면, 하나의 슬롯에 포함되는 OFDM 심볼의 링크 방향이 DL로부터 UL로 전환되는 슬롯이 정의된다. 이러한 슬롯을 DL-UL 슬롯이라고도 칭한다. 도 8은, NR에 있어서의 DL-UL 슬롯의 구성의 일례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8에 도시하는 예에서는, 서브캐리어 간격은 60kHz이며, 하나의 서브프레임은 네 슬롯을 포함한다. 도 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DL 슬롯(#0)에 포함되는 14개의 OFDM 심볼(#0 내지 #13) 중, 전반의 9개의 OFDM 심볼(#0 내지 #8)의 링크 방향은 DL이고, 후반의 5개의 OFDM 심볼(#9 내지 #13)의 링크 방향은 UL이다. 또한, 전환 포인트는 임의로 설정 가능하며, 전환 포인트는 둘 설정되어도 된다.
표 3에 따르면, 하나의 슬롯에 포함되는 OFDM 심볼의 링크 방향이 불분명한 슬롯이 정의된다. 이러한 슬롯을 unknown 슬롯이라고도 칭한다. 단말 장치는, unknown 슬롯을 UL 송신에 사용할 수는 없다. 기지국이, 후술하는 SFI를 사용하여unknown 슬롯의 일부 또는 전부의 링크 방향을 UL로 동적으로 설정한 경우, 단말 장치는 당해 슬롯을 UL 송신에 사용할 수 있다.
NR에서는, 링크 방향 컨피규레이션으로서, 상기 표 3에 나타낸 슬롯의 종류, 및 DL-UL 슬롯의 경우에는 전환 포인트가 설정된다. 기지국은, RRC 시그널링 등의 상위 레이어의 시그널링을 사용하여, 준정적으로 링크 방향 컨피규레이션을 단말 장치에 설정한다. 이러한 준정적으로 설정되는 링크 방향 컨피규레이션을, 준정적인 링크 방향 컨피규레이션이라고도 칭한다.
또한, NR에서는, 하나 또는 복수의 슬롯의 링크 방향을 동적으로 설정하는 것도 가능하다. 기지국은, PDCCH(Physical Downlink Control Channel) 또는 시스템 정보(예를 들어, MIB(Master Information Block) 또는 SIB(System Information Block)) 등의 DL 제어 신호에 의해, 슬롯의 링크 방향을 동적으로 설정한다. 이러한 동적으로 설정되는 링크 방향 컨피규레이션을, 동적인 링크 방향 컨피규레이션이라고도 칭한다.
예를 들어, NR에서는, PDCCH는 SFI(Slot Format Indicator)를 포함한다. SFI는, 동적인 링크 방향 컨피규레이션에 상당한다. 기지국은, SFI를 포함하는 PDCCH를, 하나 또는 복수의 슬롯을 사용하여 DL 송신하고, 단말 장치는, 수신한 SFI에 기초하여 링크 방향 컨피규레이션을 재설정한다. 즉, 준정적인 링크 방향 컨피규레이션이, 동적인 링크 방향 컨피규레이션에 의해 덮어쓰기된다. 이 점에 대하여, 도 9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9는, NR에 있어서의 동적인 링크 방향 컨피규레이션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에 도시하는 예에서는, 서브캐리어 간격은 60kHz이며, 하나의 서브프레임은 네 슬롯을 포함한다. 슬롯 #0 및 슬롯 #1은, 준정적인 링크 방향 컨피규레이션에 의해 DL 슬롯으로서 설정되어 있는 것으로 한다. 도 9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슬롯 #0의 전반의 3개의 OFDM 심볼(#0 내지 #2)에 있어서, SFI를 포함하는 PDCCH가 DL 송신된다. 이 SFI는, 슬롯 #0의 9개째 OFDM 심볼(#8)을 링크 방향의 전환 포인트로서 설정하고, 슬롯 #1을 UL 슬롯으로서 설정하는 정보를 포함한다. 그 경우, 도 9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슬롯 #0의 9개째 OFDM 심볼(#8)로부터 뒤의 OFDM 심볼(#8 내지 #13)의 링크 방향이 UL로 되고, 슬롯 #1이 UL 슬롯으로 된다. 또한, UL 슬롯에는 DL 심볼이 포함되지 않으므로, 도 9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SFI를 사용하여 대상의 슬롯을 UL 슬롯으로서 재설정하는 경우에는, 대상 슬롯보다 전의 슬롯에 있어서 SFI를 DL 송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SRS의 송신에 필요한 OFDM 심볼
NR에서는, SRS는, 하나의 OFDM 심볼, 두 연속되는 OFDM 심볼, 또는 네 연속되는 OFDM 심볼을 사용하여 송신된다. 전형적으로는, SRS는, 하나의 슬롯 중 후단 또는 후반의 OFDM 심볼을 사용하여 송신된다. 이 점에 대하여, 도 10 내지 도 13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0은, NR에 있어서의 SRS의 송신에 사용되는 OFDM 심볼의 일례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0에 도시하는 예에서는, 서브캐리어 간격은 60kHz이며, 하나의 서브프레임은 네 슬롯을 포함한다. 슬롯 #0에 포함되는 14개의 OFDM 심볼(#0 내지 #13) 중, 전반의 13개의 OFDM 심볼(#0 내지 #12)의 링크 방향의 DL 또는 UL 중 어느 것이며, 적어도 최후의 하나의 OFDM 심볼(#13)의 링크 방향은 UL이다. 도 10에 도시하는 예에 있어서, SRS에 사용되는 UL 심볼의 수가 1인 경우, 링크 방향이 UL인 최후의 하나의 OFDM 심볼(#13)을 사용하여, SRS가 송신된다.
도 11은, NR에 있어서의 SRS의 송신에 사용되는 OFDM 심볼의 일례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1에 도시하는 예에서는, 서브캐리어 간격은 60kHz이며, 하나의 서브프레임은 네 슬롯을 포함한다. 슬롯 #0에 포함되는 14개의 OFDM 심볼(#0 내지 #13) 중, 전반의 12개의 OFDM 심볼(#0 내지 #11)의 링크 방향의 DL 또는 UL 중 어느 것이며, 적어도 최후의 두 OFDM 심볼(#12 내지 #13)의 링크 방향은 UL이다. 도 11에 도시하는 예에 있어서, SRS에 사용되는 UL 심볼의 수가 2인 경우, 링크 방향이 UL인 최후의 두 OFDM 심볼(#12 내지 #13)을 사용하여, SRS가 송신된다.
도 12는, NR에 있어서의 SRS의 송신에 사용되는 OFDM 심볼의 일례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2에 도시하는 예에서는, 서브캐리어 간격은 60kHz이며, 하나의 서브프레임은 네 슬롯을 포함한다. 슬롯 #0에 포함되는 14개의 OFDM 심볼(#0 내지 #13) 중, 전반의 10개의 OFDM 심볼(#0 내지 #9)의 링크 방향의 DL 또는 UL 중 어느 것이며, 적어도 최후의 네 OFDM 심볼(#10 내지 #13)의 링크 방향은 UL이다. 도 12에 도시하는 예에 있어서, SRS에 사용되는 UL 심볼의 수가 4인 경우, 이 링크 방향이 UL인 최후의 네 OFDM 심볼(#10 내지 #13)을 사용하여, SRS가 송신된다.
여기서, UL 심볼의 수는, 도 10 내지 도 1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SRS의 송신에 사용되는 UL 심볼의 수와 동일하거나, 또는 그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슬롯에 포함되는 UL 심볼의 수가 SRS의 송신에 사용되는 UL 심볼의 수보다 적으면, 당해 슬롯에 있어서의 SRS의 송신은 곤란해지기 때문이다.
또한, 슬롯에 포함되는 UL 심볼의 수는, SRS의 송신에 사용되는 UL 심볼의 수와 소정 수의 합과 동일하거나, 또는 그 이상인 것이 바람직한 경우가 있다. 이러한 소정 수는, SRS의 송신에 사용되는 UL 심볼의 위치의 조정을 위해 설정된다. 즉, SRS의 송신에 필요한 UL 심볼의 수는, 실제로 SRS의 송신에 사용되는 UL 심볼의 수보다 많은 경우가 있다. 이 경우에 대하여, 도 13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3은, NR에 있어서의 SRS의 송신에 사용되는 OFDM 심볼의 일례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3에 도시하는 예에서는, 서브캐리어 간격은 60kHz이며, 하나의 서브프레임은 네 슬롯을 포함한다. 슬롯 #0에 포함되는 14개의 OFDM 심볼(#0 내지 #13) 중, 전반의 8개의 OFDM 심볼(#0 내지 #7)의 링크 방향의 DL 또는 UL 중 어느 것이며, 후반의 여섯 OFDM 심볼(#8 내지 #13)의 링크 방향은 UL이다. 도 13에 도시하는 예에 있어서, SRS에 사용되는 UL 심볼의 수가 4인 경우, 후반의 여섯 UL 심볼(#8 내지 #13) 중, 최초의 네 UL 심볼(#8 내지 #11)을 사용하여, SRS가 송신된다. 또한, SRS의 송신 위치는 본 예에 한정되지 않고, 후반의 여섯 UL 심볼(#8 내지 #13) 중 임의의 연속되는 네 UL 심볼을 사용하여, SRS가 송신될 수 있다. SRS의 송신에 사용되지 않는 나머지 UL 심볼은, 예를 들어 인접하는 다른 OFDM 심볼에 있어서 송신되는 신호와의 충돌 방지를 위해, 또는 다른 UL 신호를 송신하기 위한, 여유 기간으로서 기능한다.
(4) SRS에 관한 LTE와 NR의 상이
ㆍ제1 상이
제1 상이는, 무선 프레임의 구성에 관한 것이다. LTE에서는 하나의 서브프레임에 포함되는 슬롯 수가 고정이었지만, NR에서는 하나의 서브프레임에 포함되는 슬롯 수가 가변이다. NR에서 향상된 프레임 구성의 자유도에 따라, SRS의 주기적인 송신의 곤란함은 늘어 버린다.
ㆍ제2 상이
제2 상이는, 준정적인 링크 방향 컨피규레이션의 자유도에 관한 것이다. LTE에는, 7종류의 링크 방향 컨피규레이션이 정의되어 있고, 그 7종류의 링크 방향 컨피규레이션 모두, 적어도 하나의 무선 프레임에 하나의 업링크 서브프레임이 포함되어 있었다. 그러나, NR에서는, 링크 방향 컨피규레이션은 슬롯 단위로 설정되는 데다가, 슬롯의 링크 방향은 유연하게 설정된다. 그 때문에, 예를 들어 하나의 무선 프레임에 포함되는 슬롯 모두가 DL 슬롯으로 설정되어, 하나의 무선 프레임 내에서 UL 송신이 불가능한 경우가 있다. 그러한 무선 프레임에서는 SRS를 송신할 수 없으므로, SRS의 주기적인 송신이 저해될 수 있다.
ㆍ제3 상이
제3 상이는, 동적인 링크 방향 컨피규레이션의 유무에 관한 것이다. LTE에서는, 7종류의 링크 방향 컨피규레이션 중 하나가, 준정적으로 설정된다. 한편, NR에서는, 링크 방향 컨피규레이션의 준정적인 설정이, 동적인 설정에 의해 덮어쓰기될 수 있다. 그 때문에, 준정적으로 설정된 UL 슬롯을 사용한 SRS의 주기적인 송신이 가령 가능하다고 해도, 당해 UL 슬롯이 동적으로 DL 슬롯으로 재설정되어, SRS의 주기적인 송신이 저해될 수 있다.
ㆍ제4 상이
제4 상이는, SRS의 송신 위치에 관한 것이다. LTE에서는, SRS는 최후의 하나의 UL 심볼만을 사용하여 송신되고 있었다. 한편, NR에서는, SRS의 송신에 사용되는 UL 심볼의 수는 하나로 한정되어 있지 않으며, 연속되는 복수의 UL 심볼에 있어서의 SRS의 송신 위치도 임의이다.
(5) 기술적 과제
본 개시에서는, 상기 설명한 제1 내지 제4 상이에 관하여, 이하의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는 기술을 제안한다.
ㆍ제1 과제
제1 과제는, 상기 제1 상이에 관한 것이다. SRS의 주기적인 송신을 실현하기 위해서는, NR에 있어서의 프레임 구성의 자유도의 높이에 대응한 구조가 제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ㆍ제2 과제
제2 과제는, 상기 제2 상이에 관한 것이다. SRS의 주기적인 송신을 실현하기 위해서는, 준정적인 링크 방향 컨피규레이션의 자유도의 높이에 대응한 구조가 제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3 과제는, 상기 제3 상이에 관한 것이다. SRS의 주기적인 송신을 실현하기 위해서는, 동적인 링크 방향 컨피규레이션에 대응한 구조가 제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4 과제는, 상기 제4 과제에 관한 것이다. SRS의 주기적인 송신을 실현하기 위해서는, SRS의 송신에 사용되는 UL 심볼의 수 및 위치의 자유도에 대응한 구조가 제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에서는,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는 것이 가능한, 본 개시의 일 실시 형태에 관한 시스템에 대하여 설명한다.
<<2. 구성예>>
<2.1. 시스템 구성예>
도 14는, 본 실시 형태에 관한 시스템(1)의 전체 구성의 일례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시스템(1)은, 기지국(100(100A 및 100B)), 단말 장치(200(200A 및 200B)), 코어 네트워크(Core Network)(20) 및 PDN(Packet Data Network)(30)을 포함한다.
기지국(100)은, 셀(11)을 운용하고, 셀(11)의 내부에 위치하는 하나 이상의 단말 장치에 무선 서비스를 제공한다. 예를 들어, 기지국(100A)은, 단말 장치(200A)에 무선 서비스를 제공하고, 기지국(100B)은 단말 장치(200B)에 무선 서비스를 제공한다. 셀(11)은, 예를 들어 LTE 또는 NR(New Radio) 등의 임의의 무선 통신 방식에 따라 운용될 수 있다. 기지국(100)은, 코어 네트워크(20)에 접속된다. 코어 네트워크(20)는, PDN(30)에 접속된다.
코어 네트워크(20)는, 예를 들어 MME(Mobility Management Entity), S-GW(Serving gateway), P-GW(PDN gateway), PCRF(Policy and Charging Rule Function) 및 HSS(Home Subscriber Server)를 포함할 수 있다. MME는, 제어 플레인의 신호를 취급하는 제어 노드이며, 단말 장치의 이동 상태를 관리한다. S-GW는, 유저 플레인의 신호를 취급하는 제어 노드이며, 유저 데이터의 전송 경로를 전환하는 게이트웨이 장치이다. P-GW는, 유저 플레인의 신호를 취급하는 제어 노드이며, 코어 네트워크(20)와 PDN(30)의 접속점으로 되는 게이트웨이 장치이다. PCRF는, 베어러에 대한 QoS(Quality of Service) 등의 폴리시 및 과금에 관한 제어를 행하는 제어 노드이다. HSS는, 가입자 데이터를 취급하여, 서비스 제어를 행하는 제어 노드이다.
단말 장치(200)는, 기지국(100)에 의한 제어에 기초하여 기지국(100)과 무선 통신한다. 단말 장치(200)는, 소위 유저 단말기(User Equipment: UE)여도 된다. 예를 들어, 단말 장치(200)는, 기지국(100)에 UL 신호를 송신하여, 기지국(100)으로부터 다운링크 DL 신호를 수신한다.
특히, 본 실시 형태에서는, 기지국(100)과 단말 장치(200)는, 서로 TDD 방식을 사용하여 통신한다.
<2.2. 기지국의 구성예>
도 15는, 본 실시 형태에 관한 기지국(100)의 구성의 일례를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15를 참조하면, 기지국(100)은, 안테나부(110), 무선 통신부(120), 네트워크 통신부(130), 기억부(140) 및 제어부(150)를 구비한다.
(1) 안테나부(110)
안테나부(110)는, 무선 통신부(120)에 의해 출력되는 신호를 전파로서 공간에 방사한다. 또한, 안테나부(110)는, 공간의 전파를 신호로 변환하여, 당해 신호를 무선 통신부(120)에 출력한다.
(2) 무선 통신부(120)
무선 통신부(120)는, 신호를 송수신한다. 예를 들어, 무선 통신부(120)는, 단말 장치로의 다운링크 신호를 송신하고, 단말 장치로부터의 업링크 신호를 수신한다.
(3) 네트워크 통신부(130)
네트워크 통신부(130)는, 정보를 송수신한다. 예를 들어, 네트워크 통신부(130)는, 다른 노드로의 정보를 송신하고, 다른 노드로부터의 정보를 수신한다. 예를 들어, 상기 다른 노드는, 다른 기지국 및 코어 네트워크 노드를 포함한다.
(4) 기억부(140)
기억부(140)는, 기지국(100)의 동작을 위한 프로그램 및 여러 가지 데이터를 일시적으로 또는 항구적으로 기억한다.
(5) 제어부(150)
제어부(150)는, 기지국(100) 전체의 동작을 제어하여, 기지국(100)의 여러 가지 기능을 제공한다. 제어부(150)는, 설정부(151) 및 통신 처리부(153)를 포함한다.
설정부(151)는, 단말 장치(200)와의 통신에 관한 설정을 행하는 기능을 갖는다. 예를 들어, 설정부(151)는, 링크 방향에 관한 컨피규레이션을 단말 장치(200)에 설정 및 송신한다. 또한, 설정부(151)는, SRS에 관한 컨피규레이션을 단말 장치(200)에 설정 및 송신한다.
통신 처리부(153)는, 단말 장치(200)와의 통신 처리를 행하는 기능을 갖는다. 예를 들어, 통신 처리부(153)는, 단말 장치(200)로부터의 SRS를 수신 및 측정하여, 측정 결과에 기초하여 빔 매니지먼트 및 CSI의 취득을 행한다.
제어부(150)는, 이들 구성 요소 이외의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즉, 제어부(150)는, 이들 구성 요소의 동작 이외의 동작도 행할 수 있다.
<2.3. 단말 장치의 구성예>
도 16은, 본 실시 형태에 관한 단말 장치(200)의 구성의 일례를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16을 참조하면, 단말 장치(200)는, 안테나부(210), 무선 통신부(220), 기억부(230) 및 제어부(240)를 구비한다.
(1) 안테나부(210)
안테나부(210)는, 무선 통신부(220)에 의해 출력되는 신호를 전파로서 공간에 방사한다. 또한, 안테나부(210)는, 공간의 전파를 신호로 변환하고, 당해 신호를 무선 통신부(220)에 출력한다.
(2) 무선 통신부(220)
무선 통신부(220)는, 신호를 송수신한다. 예를 들어, 무선 통신부(220)는, 기지국으로부터의 다운링크 신호를 수신하고, 기지국으로의 업링크 신호를 송신한다.
(3) 기억부(230)
기억부(230)는, 단말 장치(200)의 동작을 위한 프로그램 및 여러 가지 데이터를 일시적으로 또는 항구적으로 기억한다.
(4) 제어부(240)
제어부(240)는, 단말 장치(200) 전체의 동작을 제어하여, 단말 장치(200)의 여러 가지 기능을 제공한다. 제어부(240)는, 설정부(241) 및 통신 처리부(243)를 포함한다.
설정부(241)는, 기지국(100)과의 통신에 관한 설정을 행하는 기능을 갖는다. 예를 들어, 설정부(241)는, 링크 방향에 관한 컨피규레이션을 기지국(100)으로부터 수신하고, 통신 처리에 반영한다. 또한, 설정부(241)는, SRS에 관한 컨피규레이션을 기지국(100)으로부터 수신하고, 통신 처리에 반영한다.
통신 처리부(243)는, 기지국(100)과의 통신 처리를 행하는 기능을 갖는다. 예를 들어, 통신 처리부(243)는, 링크 방향에 관한 컨피규레이션에 기초하여, DL 통신 또는 UL 통신을 행한다. 또한, 통신 처리부(243)는, SRS에 관한 컨피규레이션에 기초하여, SRS를 주기적으로 송신하고, 주기적인 송신이 저해되는 경우에는 대체 슬롯을 사용하여 SRS를 송신하거나 한다.
제어부(240)는, 이들 구성 요소 이외의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즉, 제어부(240)는, 이들 구성 요소의 동작 이외의 동작도 행할 수 있다.
<<3. 기술적 특징>>
본 실시 형태에서는, SRS의 송신에 사용되어야 할 리소스가 준정적으로 또는 동적으로 설정된다.
SRS의 송신에 사용되어야 할 리소스의 준정적인 설정을 위해, 기지국(100)으로부터 단말 장치(200)로 준정적으로 송신되는 설정 정보를, 이하에서는 준정적인 SRS 컨피규레이션이라고도 칭한다. 준정적인 SRS 컨피규레이션은, 예를 들어 RRC 시그널링을 사용하여 송신된다.
SRS의 송신에 사용되어야 할 리소스의 동적인 설정을 위해, 기지국(100)으로부터 단말 장치(200)로 동적으로 송신되는 설정 정보를, 이하에서는 동적인 SRS 컨피규레이션이라고도 칭한다. 동적인 SRS 컨피규레이션은, 예를 들어 PDCCH(Physical Downlink Control Channel) 또는 시스템 정보(예를 들어, MIB(Master Information Block) 또는 SIB(System Information Block)) 등의 다운링크 제어 신호를 사용하여 송신된다. 특히, 동적인 SRS 컨피규레이션은, PDCCH 내의 SFI를 사용하여 송신될 수 있다.
또한, 이들을 특별히 구별할 필요가 없는 경우, 이들을 SRS 컨피규레이션이라고도 총칭한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SRS 컨피규레이션은, 상술한 빔 매니지먼트를 위해 사용되어도 되고, CSI의 취득을 위해 사용되어도 된다.
<3.1. 준정적인 SRS 컨피규레이션>
기지국(100)은, 단말 장치(200)에 준정적인 SRS 컨피규레이션을 송신한다. 준정적인 SRS 컨피규레이션은, 주기적으로 배치되는, SRS의 송신에 사용되어야 할 제1 리소스를 나타내는 설정 정보이다. 단말 장치(200)는, 준정적인 SRS 컨피규레이션에 기초하여, SRS의 송신에 사용되어야 할 리소스로서 설정된 제1 리소스에 있어서, SRS를 송신한다. 이에 의해, 단말 장치(200)는, 기지국(100)으로부터 설정된 주기로, 주기적으로 SRS를 송신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준정적인 SRS 컨피규레이션에 의해 설정된 제1 리소스에 있어서, 단말 장치(200)가 반드시 SRS를 송신할 수 있는 것만은 아님에 유의해야 한다. 예를 들어, 제1 리소스가 DL 슬롯인 경우에는, 단말 장치(200)는 SRS를 송신할 수 없다. 또한, 준정적인 링크 방향 컨피규레이션이 동적인 링크 방향 컨피규레이션(즉, SFI)에 의해 덮어쓰기되어, 예를 들어 제1 리소스가 DL 슬롯으로 된 경우에는, 단말 장치(200)는 SRS를 송신할 수 없다.
준정적인 SRS 컨피규레이션은, 제1 리소스가 배치되는 무선 프레임을 나타내는 정보와, 무선 프레임에 있어서 제1 리소스가 배치되는 슬롯을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한다. 즉, 준정적인 SRS 컨피규레이션에 의한 제1 리소스의 설정은, 무선 프레임 단위의 제1 리소스의 위치의 설정, 및 무선 프레임에 있어서의 슬롯 단위의 제1 리소스의 위치의 설정을 포함한다. 전자에 의해 제1 리소스의 위치가 대략적으로 설정되고, 후자에 의해 제1 리소스의 위치가 상세하게 설정된다.
(1) 무선 프레임 단위의 제1 리소스의 위치의 설정
무선 프레임 단위의 제1 리소스의 위치의 설정은, 제1 리소스의 주기를 무선 프레임에 포함되는 슬롯 수의 단위로 설정함으로써 행해져도 된다. 여기서, 무선 프레임에 포함되는 슬롯의 수는, 서브캐리어 간격에 따라 다르다. 따라서, 제1 리소스(보다 정확하게는, 제1 리소스를 포함하는 무선 프레임)는, 서브캐리어 간격에 따른 무선 프레임당 슬롯 수의, 정수배의 주기로 배치된다. 제1 리소스의 주기의 일례를, 하기 표 4에 나타낸다.
Figure pct00004
표 4는, 서브캐리어 간격마다의, 하나의 무선 프레임에 포함되는 슬롯의 수, 하나의 서브프레임에 포함되는 슬롯의 수 및 제1 리소스의 주기성의 후보를 나타내는 테이블이다. 표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서브캐리어 간격이 15kHz인 경우, 하나의 무선 프레임에 포함되는 슬롯 수는 10개이다. 그리고, 제1 리소스의 주기성의 후보는, 10 슬롯, 20 슬롯, 30 슬롯, 40 슬롯 및 50 슬롯 등의, 하나의 무선 프레임에 포함되는 슬롯 수의 정수배이다. 예를 들어, 제1 리소스의 주기가 10 슬롯으로서 설정된 경우, 매 무선 프레임에 있어서 SRS가 송신된다. 또한, 제1 리소스의 주기가 20 슬롯으로서 설정된 경우, 두 무선 프레임마다(즉, 하나 거른 무선 프레임에 있어서) SRS가 송신된다.
준정적인 SRS 컨피규레이션은, 상술한 서브캐리어 간격에 따른 무선 프레임당 슬롯 수의 정수배의 주기를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한다. 이에 의해, 단말 장치(200)는, 매 무선 프레임에, 두 무선 프레임마다, 또는 세 무선 프레임마다, 등의 무선 프레임 단위의 주기로, SRS를 송신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2) 무선 프레임에 있어서의 슬롯 단위의 제1 리소스의 위치의 설정
무선 프레임에 있어서의 슬롯 단위의 제1 리소스의 위치의 설정은, 제1 리소스를 포함하는 무선 프레임(즉, 제1 리소스의 주기에 상당하는 무선 프레임)에 있어서의 제1 리소스의 위치를, 슬롯 단위로 설정함으로써 행해진다. 설정 방법으로서, 룩업 테이블을 이용하는 방법과 이용하지 않는 방법의 2종류를 들 수 있다. 이하, 이들의 설정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2.1) 룩업 테이블을 이용하는 방법
룩업 테이블은, 무선 프레임에 포함되는 복수의 슬롯 중 어느 것이 제1 리소스인지를 나타내는 테이블이다. 단말 장치(200)는, 제1 리소스를 포함하는 무선 프레임에 있어서의, 룩업 테이블에 의해 제1 리소스로서 설정된 슬롯에 있어서, SRS를 송신한다. 룩업 테이블을 이용함으로써, 제1 리소스의 위치를 상세하게 설정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특히, 룩업 테이블은, 준정적인 링크 방향 컨피규레이션에 기초하여, SRS의 송신이 가능한 리소스를 제1 리소스로서 설정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제1 리소스가 SRS의 송신이 가능한 리소스에 배치되므로, SRS의 주기적인 송신이 가능하게 된다. 즉, 단말 장치(200)는, 상기 제2 과제에 관하여, 준정적인 링크 방향 컨피규레이션에 의해 설정된 SRS의 송신이 가능한 리소스에 있어서, SRS를 주기적으로 송신할 수 있다.
또한, SRS의 송신이 가능한 리소스로서는, UL 슬롯을 들 수 있다. 한편, SRS의 송신이 불가능한 리소스로서는, DL 슬롯 및 unknown 슬롯을 들 수 있다. 또한, 후술하는 바와 같이, DL-UL 슬롯은, UL 심볼의 수 및 위치에 따라서는, SRS의 송신이 가능한 리소스로도, SRS의 송신이 불가능한 리소스로도 될 수 있다.
룩업 테이블의 일례를 하기 표 5에 나타낸다.
Figure pct00005
표 4는, 서브캐리어 간격이 60kHz인 경우의 룩업 테이블의 일례가 나타나 있다. 하나의 무선 프레임에 포함되는 슬롯 수는 40개이며, 표 4에 나타내는 룩업 테이블의 40행의 각각은 하나의 무선 프레임에 포함되는 각 슬롯에 대응한다. 룩업 테이블의 행수는, 하나의 무선 프레임에 포함되는 슬롯 수에 대응한다. 예를 들어, 서브캐리어 간격이 480kHz이면, 룩업 테이블의 행수는 320으로 된다. 표 4에 나타내는 룩업 테이블에 따르면, 2번째 슬롯(#2), 3번째 슬롯(#3), 5번째 슬롯(#5) 및 38번째 슬롯(#38)에 있어서 SRS가 송신된다.
이상 설명한, 룩업 테이블을 이용한 제1 리소스의 설정의 일례를, 도 17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7은, 본 실시 형태에 관한 제1 리소스의 설정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7에 도시하는 예에서는, 서브캐리어 간격이 60kHz인 것으로 한다. 즉, 하나의 무선 프레임에는 40개의 슬롯이 포함된다. 도 17의 상단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1 리소스의 주기가, 무선 프레임당 슬롯 수의 3배, 즉 120 슬롯으로서 설정된 경우, 세 무선 프레임마다 SRS가 송신된다. 구체적으로는, 0번째 무선 프레임(#0), 3번째 무선 프레임(#3), 6번째 무선 프레임(#6)에 있어서 SRS가 송신된다. 또한, 이들 제1 리소스를 포함하는 무선 프레임에 있어서의 구체적인 제1 리소스의 위치의 설정은, 도 17의 하단에 도시하는 룩업 테이블에 의해 행해진다. 도 17의 하단에 도시하는 룩업 테이블에 따르면, 2번째 슬롯(#2), 3번째 슬롯(#3), 5번째 슬롯(#5) 및 38번째 슬롯(#38)에 있어서 SRS가 송신된다.
이상, 룩업 테이블을 이용한 제1 리소스의 설정 방법에 대하여 설명하였다.
준정적인 SRS 컨피규레이션은, 제1 리소스를 포함하는 무선 프레임에 있어서의 제1 리소스의 위치를 설정하는 정보로서, 룩업 테이블을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한다. 이에 의해, 단말 장치(200)는, 기지국(100)으로부터 설정된 슬롯에 있어서, 주기적으로 SRS를 송신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준정적인 SRS 컨피규레이션은, 룩업 테이블 그 자체를 포함해도 된다. 한편, 단말 장치(200)는, 미리 복수의 룩업 테이블의 후보를 기억하고 있어도 되고, 준정적인 SRS 컨피규레이션에 의해 어느 후보를 이용해야 할지가 설정되어도 된다.
(2.2) 룩업 테이블을 이용하지 않는 방법
단말 장치(200)는, 무선 프레임에 있어서의 슬롯 단위의 제1 리소스의 위치를, 소정의 룰에 기초하여 인식해도 된다. 소정의 룰은 다양하게 고려된다. 예를 들어, 제1 리소스는, 무선 프레임에 있어서 소정의 슬롯 수의 주기의 슬롯에 배치될 수 있다. 단말 장치(200)는, 제1 리소스를 포함하는 무선 프레임에 있어서의, 상기 소정의 슬롯 수의 주기의 슬롯에 있어서, SRS를 송신할 수 있다. 또한, 무선 프레임 내에 복수개의 제1 리소스를 배치하는 경우, 무선 프레임에 있어서의 제1 리소스의 주기는, 서브캐리어 간격에 따른 무선 프레임당 슬롯 수보다 적은 슬롯 수의 주기인 것이 바람직하다.
제1 리소스의 주기의 도달 판단을 위한 슬롯 수의 카운트는, 슬롯의 종류를 불문하고 행해져도 되고, SRS의 송신이 가능한 슬롯만을 대상으로 행해져도 된다. 전자의 경우, DL 슬롯 등의 SRS의 송신이 불가능한 슬롯도 카운트된다. 후자의 경우, UL 슬롯 등의 SRS의 송신이 가능한 슬롯만이 카운트된다. 이하, 이들 각각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ㆍ제1 카운트 방법
이하, 제1 리소스의 주기의 도달 판단을 위한 슬롯 수의 카운트가, 슬롯의 종류를 불문하고 행해지는 경우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8은, 본 실시 형태에 관한 제1 리소스의 설정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8에서는, 어떤 무선 프레임에 포함되는 복수의 슬롯의, 슬롯 번호가 1단째에 나타나고, 준정적인 링크 방향 컨피규레이션이 2단째에 나타나고, 준정적인 SRS 컨피규레이션이 3단째에 나타나고, 실제의 SRS의 송신 유무가 4단째에 나타나 있다. 2단째에 있어서 「UL」이라고 라벨링된 슬롯은 UL 슬롯이다. 2단째에 있어서 「DL」이라고 라벨링된 슬롯은 DL 슬롯이다. 2단째에 있어서 「DL-UL」이라고 라벨링된 슬롯은 DL-UL 슬롯이다. 2단째에 있어서 「unknown」이라고 라벨링된 슬롯은 unknown 슬롯이다. 3단째에 있어서 「SRS」라고 라벨링된 슬롯은, 제1 리소스로서 설정된 슬롯이다. 3단째에 있어서 「-」이라고 라벨링된 슬롯은, 제1 리소스로서 설정되지 않은 슬롯이다. 4단째에 있어서 「SRS」라고 라벨링된 슬롯은, 실제로 SRS가 송신되는 슬롯이다. 4단째에 있어서 「-」이라고 라벨링된 슬롯은, 실제로는 SRS가 송신되지 않는 슬롯이다. 도 18에 도시하는 예에서는, 3단째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1 리소스는, 5 슬롯의 주기로, 보다 상세하게는 0번째 슬롯(#0), 5번째 슬롯(#5) 및 10번째 슬롯(#)에 배치되어 있다. 2단째를 참조하면, 제1 리소스가 배치된 이들 슬롯은 모두, SRS를 송신 가능한 UL 슬롯이다. 따라서, 단말 장치(200)는, 설정된 모든 제1 리소스에 있어서, SRS를 송신한다.
여기서, NR에서는, 준정적인 링크 방향 컨피규레이션의 자유도가 LTE와 비교하여 높으므로, 제1 리소스로서 설정된 슬롯이, DL 슬롯 등의 SRS의 송신이 불가능한 슬롯인 경우가 있다. 그 경우, 단말 장치(200)는, 설정된 주기에 상당하는 슬롯에서의 SRS의 송신을 스킵하거나(즉, 송신하지 않거나), 또는 스킵한 후에 대체 슬롯을 사용하여 SRS를 송신하는 등의 적응적인 처리를 행한다. 이하, 단말 장치(200)가 행할 수 있는 적응적인 처리의 일례를 설명한다.
-적응적인 처리의 제1 예
단말 장치(200)는, 제1 리소스에 있어서 SRS를 송신할 수 없는 경우, 제1 리소스에 있어서의 SRS의 송신을 스킵해도 된다. 이 경우, 단말 장치(200)는, SRS의 송신에 관한 처리 부하를, 스킵한 만큼 경감시킬 수 있다. 또한, 기지국(100)도, 설정한 제1 리소스에 있어서의 SRS의 수신 및 측정을 스킵하는 것이 가능하기 때문에, 기지국(100)의 처리 부하도, 스킵한 만큼 경감시킬 수 있다. 이하, 본 예의 구체예를, 도 19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9는, 본 실시 형태에 관한 제1 리소스의 설정에 기초하는 적응적인 처리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9에 있어서의 각 단의 의미 및 각 슬롯에 첨부된 라벨의 의미는, 도 18과 마찬가지이다. 도 19에 도시하는 예에서는, 3단째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1 리소스는, 5 슬롯의 주기로, 보다 상세하게는 0번째 슬롯(#0), 5번째 슬롯(#5) 및 10번째 슬롯(#)에 배치되어 있다. 2단째를 참조하면, 제1 리소스가 배치된 이들 슬롯 중, 5번째 슬롯(#5)은, SRS를 송신 불가능한 DL 슬롯이다. 따라서, 4단째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단말 장치(200)는, 5번째 슬롯(#5)에 있어서의 SRS의 송신을 스킵한다.
-적응적인 처리의 제2 예
단말 장치(200)는, 상술한 적응적인 처리의 제1 예에 의해 제1 리소스에 있어서의 SRS의 송신을 스킵한 경우, 스킵한 제1 리소스보다 후의 SRS의 송신이 가능한 리소스에 있어서 SRS를 송신해도 된다. 즉, 단말 장치(200)는, 스킵한 슬롯의 직후의 대체 슬롯에 있어서 SRS를 송신한다. 그 때문에, 본 예 3에서는, 상술한 적응적인 처리의 제1 예와 비교하여, SRS의 주기성의 붕괴를 경감시킬 수 있다. 이하, 본 예의 구체예를, 도 20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20은, 본 실시 형태에 관한 제1 리소스의 설정에 기초하는 적응적인 처리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0에 있어서의 각 단의 의미 및 각 슬롯에 첨부된 라벨의 의미는, 도 18과 마찬가지이다. 도 20에 도시하는 예에서는, 3단째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1 리소스는, 5 슬롯의 주기로, 보다 상세하게는 0번째 슬롯(#0), 5번째 슬롯(#5) 및 10번째 슬롯(#)에 배치되어 있다. 2단째를 참조하면, 제1 리소스가 배치된 이들 슬롯 중, 5번째 슬롯(#5)은, SRS를 송신 불가능한 DL 슬롯이다. 또한, 2단째를 참조하면, 5번째 슬롯(#5) 후의 SRS의 송신이 가능한 리소스로서는, UL 슬롯인 8번째 슬롯(#8)을 들 수 있다. 따라서, 4단째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단말 장치(200)는, 5번째 슬롯(#5)에 있어서의 SRS의 송신을 스킵하고, 8번째 슬롯(#8)에 있어서 SRS를 송신한다.
-적응적인 처리의 제3 예
단말 장치(200)는, 상술한 적응적인 처리의 제1 예에 의해 SRS의 송신을 스킵한 횟수가 소정의 상한값에 도달한 경우, 최후에 스킵한 제1 리소스보다 후의 SRS의 송신이 가능한 리소스에 있어서, SRS를 송신해도 된다. 즉, 단말 장치(200)는, 스킵한 횟수가 소정의 상한값에 도달한 경우, 최후에 스킵한 슬롯의 직후의 대체 슬롯에 있어서 SRS를 송신한다. 그 때문에, 본 예에서는, 상술한 적응적인 처리의 제1 예와 비교하여, SRS의 주기성의 붕괴를 경감시킬 수 있다. 또한, 본 예에서는, 상술한 적응적인 처리의 제2 예와 비교하여, SRS의 송신 횟수를 삭감할 수 있으므로, 기지국(100) 및 단말 장치(200)의 처리 부하를 경감시킬 수 있다. 또한, 단말 장치(200)는, 스킵한 횟수에 따른 수(예를 들어, 동수)의 대체 슬롯에 있어서 SRS를 송신해도 된다.
-적응적인 처리의 제4 예
단말 장치(200)는, 상술한 적응적인 처리의 제1 예에 의해 SRS의 송신을 스킵한 경우, 스킵한 제1 리소스보다 후의, DL 제어 신호에 의해 SRS의 송신이 가능하게 전환된 리소스에 있어서, SRS를 송신해도 된다. 예를 들어, SFI에 의해 DL 슬롯이 UL 슬롯으로 전환된 경우, 단말 장치(200)는, 전환된 UL 슬롯에 있어서 SRS를 송신한다. 그 때문에, 본 예에서는, 대체 슬롯을, 다른 예보다 유연하게 설정할 수 있다. 본 예의 구체예를, 도 21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21은, 본 실시 형태에 관한 제1 리소스의 설정에 기초하는 적응적인 처리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1에 있어서의 각 단의 의미 및 각 슬롯에 첨부된 라벨의 의미는, 도 18과 마찬가지이다. 단, 도 21의 3단째는, 도 18에는 없는 새로운 단이며, 제어 신호에 의해 설정되는 동적인 링크 방향 컨피규레이션이다. 도 21에 도시하는 예에서는, 4단째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1 리소스는, 5 슬롯의 주기로, 보다 상세하게는 0번째 슬롯(#0), 5번째 슬롯(#5) 및 10번째 슬롯(#)에 배치되어 있다. 2단째를 참조하면, 제1 리소스가 배치된 이들 슬롯 중, 5번째 슬롯(#5)은, SRS를 송신 불가능한 DL 슬롯이다. 여기서, 3단째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SFI에 의해, 7번째 슬롯(#7)은, unknown 슬롯으로부터 SRS의 송신이 가능한 UL 슬롯으로 동적으로 전환된다. 또한, SFI는, 예를 들어 6번째 슬롯(#6)의 PDCCH에 포함된다. 따라서, 5단째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단말 장치(200)는, 5번째 슬롯(#5)에 있어서의 SRS의 송신을 스킵하고, 7번째 슬롯(#7)에 있어서 SRS를 송신한다.
이상, 적응적인 처리의 예에 대하여 설명하였다.
제1 카운트 방법이 채용되는 경우, 준정적인 SRS 컨피규레이션은, 무선 프레임에 있어서의 제1 리소스의 주기를 나타내는 슬롯의 수를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한다. 또한, 준정적인 SRS 컨피규레이션은, 어느 적응적인 처리를 채용할지를 나타내는 정보, 및 적응적인 처리에 관한 설정 정보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적응적인 처리의 제3 예가 채용되는 경우에는, 준정적인 SRS 컨피규레이션은, 스킵 횟수의 상한값을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한다.
ㆍ제2 카운트 방법
이하, 제1 리소스의 주기의 도달 판단을 위한 슬롯 수의 카운트가, UL 슬롯 등의 SRS의 송신이 가능한 슬롯을 대상으로 하여 행해지는 경우에 대하여 설명한다.
이 경우, 제1 리소스는, 무선 프레임에 있어서 SRS의 송신이 가능한 슬롯의 수의 주기의 슬롯에 배치된다. 또한, 무선 프레임당 SRS의 송신 횟수의 상한값, 환언하면, 무선 프레임당 제1 리소스의 수의 상한값이 설정되어도 된다. 이에 의해, SRS가 불필요하게 송신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예에 있어서의 컨피규레이션의 일례를, 하기 표 6에 나타낸다.
Figure pct00006
표 6은, 컨피규레이션마다의, 주기성 및 반복 송신 횟수를 나타내는 테이블이다. 예를 들어, 컨피규레이션 0의 경우, 어떤 무선 프레임에 있어서 2개의 UL 슬롯마다(즉, 하나 거른 UL 슬롯에 있어서) SRS가 송신되고, SRS가 3회 송신되면 당해 무선 프레임에 있어서의 SRS의 송신이 종료된다. 표 6에 있어서의 컨피규레이션 0이 채용되는 경우의 SRS 송신의 유무의 일례를, 표 7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Figure pct00007
표 7에서는, 어떤 무선 프레임에 있어서의 슬롯마다의, 슬롯 번호, 링크 방향, 당해 무선 프레임에 있어서의 UL 슬롯의 번호, 및 표 6의 컨피규레이션 0이 채용되는 경우의 SRS의 송신 유무의 일례가 나타나 있다. 표 6의 컨피규레이션 0을 참조하면, 2개의 UL 슬롯마다 SRS가 송신된다. 따라서, 표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1번째 슬롯(#1)은 0번째 UL 슬롯이기 때문에, 1번째 SRS가 송신된다. 3번째 슬롯(#3)은 2번째 UL 슬롯이기 때문에, 2번째 SRS가 송신된다. 6번째 슬롯(#6)은 4번째 UL 슬롯이기 때문에, 3번째 SRS가 송신된다. 또한, 표 6의 컨피규레이션 0을 참조하면, SRS가 3회 송신되면 당해 무선 프레임에 있어서의 SRS의 송신이 종료된다. 따라서, 8번째 슬롯(#8)은 6번째 UL 슬롯이지만, SRS는 송신되지 않는다.
제2 카운트 방법이 채용되는 경우, 준정적인 SRS 컨피규레이션은, 무선 프레임에 있어서의 제1 리소스의 주기를 나타내는, SRS의 송신이 가능한 슬롯의 수를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한다. 또한, 준정적인 SRS 컨피규레이션은, 무선 프레임당 SRS의 송신 횟수의 상한값, 또는 무선 프레임당 제1 리소스의 수의 상한값을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한다. 즉, 준정적인 SRS 컨피규레이션은, 상기 표 6에 나타낸 컨피규레이션을 포함한다.
ㆍ결론
이상, 룩업 테이블을 이용하지 않는 방법에 대하여 설명하였다. 본 방법에 따르면, 단말 장치(200)는, 룩업 테이블을 사용하지 않아도, 주기적으로 SRS를 송신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세하게는, 단말 장치(200)는, 상기 제2 과제에 관하여, 준정적인 링크 방향 컨피규레이션에 의해 설정된 SRS의 송신이 가능한 리소스에 있어서, SRS를 주기적으로 송신할 수 있다. 또한, 룩업 테이블을 이용하지 않는 방법에서는, 룩업 테이블이 기지국(100)으로부터 단말 장치(200)로 송신되지 않는다. 따라서, 룩업 테이블을 이용하지 않는 방법은, 룩업 테이블을 이용하는 경우와 비교하여, 기지국(100) 및 단말 장치(200)의 처리 부하, 그리고 준정적인 SRS 컨피규레이션의 송수신에 관한 통신 부하를 경감시킬 수 있다.
특히, 제1 카운트 방법은, 슬롯의 종류를 불문하고 제1 리소스의 주기의 도달 판단을 위한 카운트가 행해지므로, 제2 카운트 방법과 비교하여, 제1 리소스의 주기성의 붕괴를 경감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카운트 방법에 있어서 적응적인 처리의 제1 예가 채용되는 경우, SRS가 송신될 수 있는 슬롯은 어느 무선 프레임에 있어서도 동일하다. 이에 비해, 제2 카운트 방법에서는, SRS의 송신이 가능한 슬롯의 위치에 따라 SRS가 송신되는 슬롯의 위치는 크게 변동될 수 있다.
제2 카운트 방법에서는, SRS의 송신이 가능한 리소스가 제1 리소스로서 설정되므로, 제1 카운트 방법과 비교하여, 적응적인 처리를 실행할 필요가 없는 만큼, 처리 부하가 경감된다.
<3.2. 대역폭 부분마다의 SRS 컨피규레이션>
NR에서는, 컴포넌트 캐리어는, 복수의 대역폭 부분(Bandwidth part)을 포함할 수 있다. 그 경우, 대역폭 부분마다 다른 서브캐리어 간격을 설정 가능하다. 즉, 대역폭 부분마다, 하나의 서브프레임에 포함되는 슬롯 수가 다를 수 있다.
그래서, 본 실시 형태에서는, 제1 리소스는, 컴포넌트 캐리어에 포함되는 복수의 대역폭 부분의 각각에 있어서, 대역폭 부분의 서브캐리어 간격에 따른 무선 프레임당 슬롯 수에 기초하여, 주기적으로 배치된다.
상세하게는, 무선 프레임 단위의 제1 리소스의 위치의 설정은, 대역폭 부분의 서브캐리어 간격에 따른 무선 프레임당 슬롯 수에 기초하여 행해진다. 예를 들어, 제1 리소스는, 대역폭 부분의 서브캐리어 간격에 따른 무선 프레임당 슬롯 수의, 정수배의 주기로 배치된다.
또한, 무선 프레임에 있어서의 슬롯 단위의 제1 리소스의 위치의 설정은, 대역폭 부분의 서브캐리어 간격에 따른 무선 프레임당 슬롯 수에 기초하여 행해진다. 예를 들어, 룩업 테이블은, 대역폭 부분마다 설정되며, 대역폭 부분의 서브캐리어 간격에 따른 행수를 갖는다.
상기 대역폭 부분마다의 제1 리소스의 배치를 감안하여, SRS 컨피규레이션은, 대역폭 부분마다 설정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준정적인 SRS 컨피규레이션은, 복수의 대역폭 부분의 각각에 있어서의, 제1 리소스가 배치되는 무선 프레임을 나타내는 정보와, 무선 프레임에 있어서 제1 리소스가 배치되는 슬롯을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한다. 또한, 복수의 대역폭 부분의 각각에 있어서의 제1 리소스의 주기성은 다를 수 있다.
단말 장치(200)는, SRS 컨피규레이션에 기초하여, 대역폭 부분마다 주기적으로 배치된 제1 리소스에 있어서, SRS를 송신한다. 이에 의해, 단말 장치(200)는, 상기 제1 과제에 관하여, 프레임 구성에 따른 주기적인 SRS의 송신을 실현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컴포넌트 캐리어에 복수의 대역폭 부분이 포함되는 경우의, 준정적인 SRS 컨피규레이션의 구체예를 설명한다.
-룩업 테이블을 이용하는 방법이 채용되는 경우
도 22는, 본 실시 형태에 관한 준정적인 SRS 컨피규레이션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2에서는, 무선 프레임에 있어서의 슬롯 단위의 제1 리소스의 위치의 설정에, 룩업 테이블을 이용하는 방법이 채용되는 경우의 예가 도시되어 있다. 도 22에 도시하는 바 같이, 컴포넌트 캐리어는, 서브캐리어 간격이 15kHz인 제1 대역폭 부분, 서브캐리어 간격이 30kHz인 제2 대역폭 부분 및 서브캐리어 간격이 60kHz인 제3 대역폭 부분을 포함한다.
그 때문에, 준정적인 SRS 컨피규레이션에 의해, 3개의 대역폭의 각각에 있어서, 무선 프레임 단위로 제1 리소스의 위치가 설정되고, 무선 프레임에 있어서의 슬롯 단위의 제1 리소스의 위치가 설정된다. 또한, 3개의 대역폭의 각각에서 이용해야 할 룩업 테이블이 설정된다.
서브캐리어 간격이 15kHz인 경우, 무선 프레임당 슬롯 수는 10개이다. 따라서, 도 2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1 대역폭 부분에 있어서는, 제1 리소스는 N×10개의 슬롯마다 배치된다. 즉, N개의 무선 프레임마다 SRS가 송신된다. 또한, 도 2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1 대역폭 부분에 있어서 이용되는 룩업 테이블의 행수는 10이다.
서브캐리어 간격이 30kHz인 경우, 무선 프레임당 슬롯 수는 20개이다. 따라서, 도 2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2 대역폭 부분에 있어서는, 제1 리소스는 M×20개의 슬롯마다 배치된다. 즉, M개의 무선 프레임마다 SRS가 송신된다. 또한, 도 2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2 대역폭 부분에 있어서 이용되는 룩업 테이블의 행수는 20이다.
서브캐리어 간격이 60kHz인 경우, 무선 프레임당 슬롯 수는 40개이다. 따라서, 도 2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3 대역폭 부분에 있어서는, 제1 리소스는 L×40개의 슬롯마다 배치된다. 즉, L개의 무선 프레임마다 SRS가 송신된다. 또한, 도 2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3 대역폭 부분에 있어서 이용되는 룩업 테이블의 행수는 40이다.
-룩업 테이블을 이용하지 않는 방법이 채용되는 경우
도 23은, 본 실시 형태에 관한 준정적인 SRS 컨피규레이션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3에서는, 무선 프레임에 있어서의 슬롯 단위의 제1 리소스의 위치의 설정에, 룩업 테이블을 이용하지 않는 방법이 채용되는 경우의 예가 도시되어 있다. 도 23에 도시하는 바 같이, 컴포넌트 캐리어는, 서브캐리어 간격이 15kHz인 제1 대역폭 부분, 서브캐리어 간격이 30kHz인 제2 대역폭 부분 및 서브캐리어 간격이 60kHz인 제3 대역폭 부분을 포함한다. 그 때문에, 준정적인 SRS 컨피규레이션에 의해, 세 대역폭의 각각에 있어서, 무선 프레임 단위로 제1 리소스의 위치가 설정되고, 무선 프레임에 있어서의 슬롯 단위의 제1 리소스의 위치가 설정된다.
도 2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1 대역폭 부분에 있어서는, 제1 리소스의 주기에 상당하는 무선 프레임에 있어서, 제1 리소스가 10개의 슬롯마다 배치된다. 제2 대역폭 부분에 있어서는, 제1 리소스의 주기에 상당하는 무선 프레임에 있어서, 제1 리소스가 5개의 슬롯마다 배치된다. 제3 대역폭 부분에 있어서는, 제1 리소스의 주기에 상당하는 무선 프레임에 있어서, 제1 리소스가 20개의 슬롯마다 배치된다.
<3.3. DL-UL 슬롯에 있어서의 SRS의 송신 가부 판단>
상술한 바와 같이, SRS의 송신이 가능한 리소스로서는, UL 슬롯을 들 수 있다. 또한, DL-UL 슬롯은, UL 심볼의 수 및 위치에 따라서는, SRS의 송신이 가능한 리소스로도, SRS의 송신이 불가능한 리소스로도 될 수 있다. 이하, 이 점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단말 장치(200)는, 슬롯당, 업링크 통신이 가능한 연속되는 심볼의 수가 SRS의 송신에 필요한 심볼의 수 이상인 경우, 당해 슬롯을, SRS를 송신 가능한 슬롯으로서 인식한다. 즉, 단말 장치(200)는, 슬롯에 포함되는 연속되는 UL 슬롯의 수가 SRS의 송신에 필요한 OFDM 심볼의 수와 동수 이상인 경우에, 당해 슬롯을, SRS를 송신 가능한 리소스로서 인식한다. 여기서, SRS의 송신에 필요한 OFDM 심볼은, 상술한 바와 같이, SRS의 송신에 사용되는 UL 심볼 외에, 도 13을 참조하여 상기 설명한 여유 기간으로서 기능하는 UL 심볼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단말 장치(200)는, 당해 연속되는 UL 슬롯의 위치를 고려해도 된다. 그 경우, 단말 장치(200)는, 슬롯의 최후의 OFDM 심볼이 UL 심볼이며, 당해 UL 심볼을 포함하여 연속되는 UL 심볼의 수가 SRS의 송신에 필요한 OFDM 심볼의 수와 동수 이상인 경우에, 당해 슬롯을, SRS를 송신 가능한 리소스로서 인식한다.
예를 들어, SRS의 송신에 필요한 UL 심볼의 수가 4인 경우를 상정하자. 그 경우, 도 10에 도시한 구성을 갖는 슬롯(#0)의 최후에 연속되는 UL 슬롯의 수는 1이기 때문에, 단말 장치(200)는, 당해 슬롯을, SRS를 송신 불가능한 슬롯으로서 인식한다. 한편, 도 12에 도시한 구성을 갖는 슬롯(#0)의 최후에 연속되는 UL 슬롯의 수는 4이기 때문에, 단말 장치(200)는, 당해 슬롯을, SRS를 송신 가능한 슬롯으로서 인식한다.
단말 장치(200)는, 이와 같이 하여 SRS를 송신 가능한 슬롯으로서 인식한 DL-UL 슬롯에 있어서, SRS 컨피규레이션에 기초하여 SRS를 송신할 수 있다. UL 슬롯뿐만 아니라, DL-UL 슬롯에 있어서도 SRS의 송신이 가능해질 수 있으므로, SRS의 송신이 가능한 리소스가 증가한다. 그 때문에, SRS의 주기성의 붕괴를 경감시킬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단말 장치(200)는, 상기 제4 과제에 관하여, SRS의 송신에 사용되는 UL 심볼의 수 및 위치의 자유도에 대응한, DL-UL 슬롯에 있어서의 SRS의 송신 가부의 판단을 행할 수 있다.
이하, 도 24 및 도 25를 참조하여, DL-UL 슬롯에 대한 송신 가부 판단의 구체예를 설명한다.
도 24는, 본 실시 형태에 관한 DL-UL 슬롯에 대한 SRS의 송신 가부 판단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4에서는, 어떤 무선 프레임에 포함되는 복수의 슬롯의, 슬롯 번호가 1단째에 나타나고, 준정적인 링크 방향 컨피규레이션이 2단째에 나타나고, 준정적인 SRS 컨피규레이션이 3단째에 나타나고, 실제의 SRS의 송신 유무가 4단째에 나타나 있다. 각각의 라벨의 의미는, 도 18과 마찬가지이다. 2단째와 3단째의 사이에는, DL-UL 슬롯인 5번째 슬롯(#5)의, OFDM 심볼마다의 링크 방향 컨피규레이션이 나타나 있다. DL-UL 슬롯(#5)에 포함되는, 전반의 9개의 OFDM 심볼(#0 내지 #8)의 링크 방향은 DL이고, 후반의 5개의 OFDM 심볼(#9 내지 #13)의 링크 방향은 UL이다. SRS의 송신에 필요한 UL 심볼의 수가 4라고 하면, 당해 DL-UL 슬롯(#5)의 최후에 연속되는 UL 슬롯의 수는 5이기 때문에, 단말 장치(200)는, 당해 DL-UL 슬롯(#5)을, SRS의 송신이 가능한 슬롯으로서 인식한다. 3단째에 나타내는 준정적인 SRS 컨피규레이션에 따르면, 당해 DL-UL 슬롯(#5)이 제1 리소스로서 설정되어 있다. 따라서, 4단째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단말 장치(200)는, 당해 DL-UL 슬롯(#5)에 있어서 SRS를 송신한다.
도 25는, 본 실시 형태에 관한 DL-UL 슬롯에 대한 SRS의 송신 가부 판단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5에 있어서의 각 단의 의미 및 각 슬롯 또는 각 OFDM 심볼에 첨부된 라벨의 의미는, 도 24와 마찬가지이다. DL-UL 슬롯인 5번째 슬롯(#5)에 포함되는, 전반의 13개의 OFDM 심볼(#0 내지 #12)의 링크 방향은 DL이고, 후반의 1개의 OFDM 심볼(#13)의 링크 방향은 UL이다. SRS의 송신에 필요한 UL 심볼의 수가 2라고 하면, 당해 DL-UL 슬롯(#5)의 최후에 연속되는 UL 슬롯의 수는 1이기 때문에, 단말 장치(200)는, 당해 DL-UL 슬롯(#5)을, SRS의 송신이 불가능한 슬롯으로서 인식한다. 3단째에 나타내는 준정적인 SRS 컨피규레이션에 따르면, 당해 DL-UL 슬롯(#5)이 제1 리소스로서 설정되어 있다. 그러나, 당해 DL-UL 슬롯(#5)은, SRS의 송신이 불가능한 슬롯으로서 인식되었으므로, 4단째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단말 장치(200)는, 당해 DL-UL 슬롯(#5)에 있어서의 SRS의 송신을 스킵한다.
<3.4. 동적인 링크 방향 컨피규레이션에 대한 대처>
NR에서는, 준정적인 링크 방향 컨피규레이션은, 동적인 링크 방향 컨피규레이션에 의해 덮어쓰기될 수 있다. 그래서, 단말 장치(200)는, 제1 리소스에 있어서의 SRS의 송신 가부가 DL 제어 신호에 의해 전환된 경우, 당해 전환에 따라 SRS의 송신을 제어한다. 상세하게는, 단말 장치(200)는, 제1 리소스로서 설정된 슬롯이, SFI 등의 DL 제어 신호에 의해, SRS의 송신이 가능한 슬롯 또는 불가능한 슬롯으로 전환된 경우, 당해 전환에 따라 SRS의 송신을 제어한다. 이에 의해, 단말 장치(200)는, 상기 제3 과제에 관하여, 준정적인 링크 방향 컨피규레이션이 동적인 링크 방향 컨피규레이션에 의해 덮어쓰기된 경우에 대처할 수 있다.
(1) 제1 전환
단말 장치(200)는, DL 제어 신호에 의한 전환에 의해 제1 리소스에 있어서의 SRS의 송신이 가능하게 된 경우, 당해 제1 리소스에 있어서 SRS를 송신한다. 상세하게는, 단말 장치(200)는, 제1 리소스로서 설정된 슬롯이, SRS의 송신이 불가능한 슬롯으로부터 SRS의 송신이 가능한 슬롯으로 전환된 경우, 당해 슬롯에 있어서 SRS를 송신한다. 전환원은, DL 슬롯, unknown 슬롯, 또는 상술한 SRS의 송신이 불가능한 리소스로서 인식되는 DL-UL 슬롯이다. 전환처는, UL 슬롯, 또는 상술한 SRS의 송신이 가능한 리소스로서 인식되는 DL-UL 슬롯이다. 전환원과 전환처의 조합은 임의이다. 어느 조합의 전환이라도, 단말 장치(200)는, 제1 리소스에 있어서, 본래는 송신할 수 없었던 SRS를 송신할 수 있게 되므로, SRS의 주기성을 유지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26을 참조하여, 제1 리소스로서 설정된 슬롯이, unknown 슬롯으로부터 UL 슬롯으로 전환되는 경우의 구체예를 설명한다.
도 26은, 본 실시 형태에 관한 동적인 링크 방향 컨피규레이션에 기초하는 SRS의 송신 제어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6에 있어서의 각 단의 의미 및 각 슬롯에 첨부된 라벨의 의미는, 도 21과 마찬가지이다. 도 26의 4단째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1 리소스는, 5 슬롯의 주기로, 보다 상세하게는 0번째 슬롯(#0), 5번째 슬롯(#5) 및 10번째 슬롯(#)에 배치되어 있다. 2단째를 참조하면, 제1 리소스가 배치된 이들 슬롯 중, 5번째 슬롯(#5)은, SRS를 송신 불가능한 unknown 슬롯이다. 그러나, 3단째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SFI에 의해, 5번째 슬롯(#5)은, unknown 슬롯으로부터 SRS의 송신이 가능한 UL 슬롯으로 동적으로 전환된다. 또한, SFI는, 예를 들어 4번째 슬롯(#4)의 PDCCH에 포함된다. 따라서, 5단째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단말 장치(200)는, 5번째 슬롯(#5)에 있어서 SRS를 송신한다.
(2) 제2 전환
단말 장치(200)는, DL 제어 신호에 의한 전환에 의해 제1 리소스에 있어서의 SRS의 송신이 불가능하게 된 경우, 당해 제1 리소스에 있어서의 SRS의 송신을 스킵한다. 상세하게는, 단말 장치(200)는, 제1 리소스로서 설정된 슬롯이, SRS의 송신이 가능한 슬롯으로부터 SRS의 송신이 불가능한 슬롯으로 전환된 경우, 당해 슬롯에 있어서의 SRS의 송신을 스킵한다. 전환원은, UL 슬롯, 또는 상술한 SRS의 송신이 가능한 리소스로서 인식되는 DL-UL 슬롯이다. 전환처는, DL 슬롯, unknown 슬롯, 또는 상술한 SRS의 송신이 불가능한 리소스로서 인식되는 DL-UL 슬롯이다. 전환원과 전환처의 조합은 임의이다. 이하에서는, 도 27을 참조하여, 제1 리소스로서 설정된 슬롯이, UL 슬롯으로부터 DL 슬롯으로 전환되는 경우의 구체예를 설명한다.
도 27은, 본 실시 형태에 관한 동적인 링크 방향 컨피규레이션에 기초하는 SRS의 송신 제어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7에 있어서의 각 단의 의미 및 각 슬롯에 첨부된 라벨의 의미는, 도 21과 마찬가지이다. 도 27의 4단째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1 리소스는, 5 슬롯의 주기로, 보다 상세하게는 0번째 슬롯(#0), 5번째 슬롯(#5) 및 10번째 슬롯(#)에 배치되어 있다. 2단째를 참조하면, 제1 리소스가 배치된 이들 슬롯 중, 5번째 슬롯(#5)은, SRS를 송신 가능한 UL 슬롯이다. 그러나, 3단째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SFI에 의해, 5번째 슬롯(#5)은, UL 슬롯으로부터 SRS의 송신이 불가능한 DL 슬롯으로 동적으로 전환된다. 또한, SFI는, 예를 들어 4번째 슬롯(#4)의 PDCCH에 포함된다. 따라서, 5단째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단말 장치(200)는, 5번째 슬롯(#5)에 있어서의 SRS의 송신을 스킵한다.
ㆍ대체 슬롯을 사용한 SRS의 송신
여기서, 단말 장치(200)는, 제1 리소스에 있어서의 SRS의 송신을 스킵할 뿐만 아니라, 대체 슬롯에 있어서 SRS를 송신해도 된다. 대체 슬롯에 있어서 SRS가 송신됨으로써, SFI에 의한 동적인 링크 방향의 전환에 기인하는 SRS의 주기성의 붕괴를 경감시킬 수 있다.
대체 슬롯의 선택은, 상술한 룩업 테이블을 이용하지 않는 방법에 있어서의 적응적인 처리와 마찬가지로 하여 행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단말 장치(200)는, 적응적인 처리의 제2 예와 마찬가지로, SFI에 의해 제1 리소스에 있어서의 SRS의 송신을 스킵한 경우, 스킵한 제1 리소스보다 후의 SRS의 송신이 가능한 리소스에 있어서 SRS를 송신해도 된다. 또한, 단말 장치(200)는, 적응적인 처리의 제3 예와 마찬가지로, SFI에 의해 제1 리소스에 있어서의 SRS의 송신을 스킵한 횟수가 소정의 상한값에 도달한 경우, 최후에 스킵한 제1 리소스보다 후의 SRS의 송신이 가능한 리소스에 있어서, SRS를 송신해도 된다. 또한, 단말 장치(200)는, 적응적인 처리의 제4 예와 마찬가지로, SFI에 의해 제1 리소스에 있어서의 SRS의 송신을 스킵한 경우, 스킵한 제1 리소스보다 후의, DL 제어 신호에 의해 SRS의 송신이 가능하게 전환된 리소스에 있어서, SRS를 송신해도 된다.
ㆍ제2 카운트 방법에 대하여
여기서, 준정적인 SRS 컨피규레이션에 있어서의, 무선 프레임에 있어서의 슬롯 단위의 제1 리소스의 위치의 설정이, 룩업 테이블을 이용하지 않는 방법으로 행해지고, 또한 상술한 제2 카운트 방법이 채용되는 경우에 대하여 설명한다. 반복하여 설명하면, 제2 카운트 방법에서는, 제1 리소스의 주기의 도달 판단을 위한 슬롯 수의 카운트가, UL 슬롯 등의 SRS의 송신이 가능한 슬롯을 대상으로 하여 행해진다.
제2 카운트 방법이 채용되는 경우, 단말 장치(200)는, SFI에 의한 전환을 반영하여, 제1 리소스의 주기의 도달 판단을 위한 슬롯 수를 카운트한다. 이에 의해, 제2 카운트 방법이 채용되는 경우라도, SFI에 의한 전환에 따라 적응적으로 SRS를 송신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상세하게는, SFI에 의한 전환에 의해 SRS의 송신이 가능하게 된 슬롯은, 제2 카운트 방법에 있어서의 카운트 대상의 슬롯으로서 취급된다. 즉, 제1 리소스의 주기의 도달 판단을 위한 카운트 대상의 슬롯은, SFI에 의해 SRS의 송신이 가능하게 전환된 슬롯을 포함한다. 따라서, 단말 장치(200)는, 준정적인 링크 컨피규레이션에 있어서 SRS의 송신이 가능한 슬롯과 SFI에 의한 전환에 의해 SRS의 송신이 가능하게 된 슬롯을, 제1 리소스의 주기의 도달 판단을 위해 카운트한다.
한편, SFI에 의한 전환에 의해 SRS의 송신이 불가능하게 된 슬롯은, 제2 카운트 방법에 있어서의 카운트 대상 외의 슬롯으로서 취급된다. 즉, 제1 리소스의 주기의 도달 판단을 위한 카운트 대상의 슬롯은, SFI에 의해 SRS의 송신이 불가능하게 전환된 슬롯을 포함하지 않는다. 따라서, 단말 장치(200)는, 준정적인 링크 컨피규레이션에 있어서 SRS의 송신이 가능한 슬롯으로부터, SFI에 의한 전환에 의해 SRS의 송신이 불가능하게 된 슬롯을 제외하여, 제1 리소스의 주기의 도달 판단을 위해 슬롯 수를 카운트한다.
(3) 동적인 SRS 컨피규레이션
동적인 링크 방향 컨피규레이션에 따라, 동적인 SRS 컨피규레이션이 설정되어도 된다. 기지국(100)은, 동적인 SRS 컨피규레이션을 포함하는 다운링크 제어 신호를 단말 장치(200)에 송신하고, 단말 장치(200)는, 당해 동적인 SRS 컨피규레이션에 따라 동작한다.
동적인 SRS 컨피규레이션은, 동적인 링크 방향 컨피규레이션에 대하여 어떻게 대처해야 할지를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동적인 SRS 컨피규레이션은, 상술한 제2 전환에 관하여, 대체 슬롯을 사용한 SRS의 송신을 행해야 할지 여부, 및 대체 슬롯의 선택 방법을 설정하는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동적인 SRS 컨피규레이션은, 상술한 제2 전환에 관하여, 제2 카운트 방법에 SFI에 의한 전환을 반영할지 여부를 설정하는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나아가, 동적인 SRS 컨피규레이션은, 제1 리소스 대신에 SRS의 송신에 사용되어야 할 제2 리소스(즉, 대체 슬롯)를 설정하는 설정 정보를 포함하고 있어도 된다. 이 경우, 단말 장치(200)는, 설정된 제2 리소스에 있어서, SRS를 송신한다. 제2 리소스의 설정 방법은 다양하게 고려된다. 예를 들어, 제2 리소스는, 무선 프레임 내의 슬롯 번호에 의해 설정되어도 되고, 제1 리소스와의 오프셋에 의해 설정되어도 된다. 또한, 동적인 SRS 컨피규레이션에 의한 제2 리소스의 설정은, 상술한 적응적인 처리의 제4 예와 비교하여, 어느 슬롯을 제2 리소스로 해야 할지가 설정 가능하다는 점에서 자유도가 높다.
동적인 SRS 컨피규레이션은, 동적인 링크 방향 컨피규레이션과 관련지어져도 된다. 예를 들어, SFI는, 동적인 링크 방향 컨피규레이션과 동적인 SRS 컨피규레이션을 포함하고 있어도 된다. 그 경우, 단순하게 시그널링 횟수가 삭감되므로, 기지국(100) 및 단말 장치(200)의 통신 부하가 경감된다. 예를 들어, SFI는, 제1 리소스에 있어서의 SRS의 송신을 불가능하게 하는 링크 방향의 전환을 지시하는 정보와 함께, 제2 리소스를 설정하는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그 경우, 단말 장치(200)는, 당해 SFI에 기초하여 제1 리소스에 있어서의 SRS의 송신을 스킵하고, 제2 리소스에 있어서 SRS를 송신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28을 참조하여, 동적인 SRS 컨피규레이션에 기초하여 제2 리소스에 있어서 SRS가 송신되는 경우의 구체예를 설명한다.
도 28은, 본 실시 형태에 관한 동적인 링크 방향 컨피규레이션에 기초하는 SRS의 송신 제어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8에 있어서의 각 단의 의미 및 각 슬롯에 첨부된 라벨의 의미는, 도 26과 마찬가지이다. 단, 도 28의 5단째는, 도 26에는 없는 새로운 단이며, 동적인 SRS 컨피규레이션을 나타낸다. 5단째에 있어서 「SRS」라고 라벨링된 슬롯은, 동적인 SRS 컨피규레이션에 의해, 제2 리소스로서 설정된 슬롯이다. 도 28의 4단째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1 리소스는, 5 슬롯의 주기로, 보다 상세하게는 0번째 슬롯(#0), 5번째 슬롯(#5) 및 10번째 슬롯(#)에 배치되어 있다. 2단째를 참조하면, 제1 리소스가 배치된 이들 슬롯 중, 5번째 슬롯(#5)은, SRS를 송신 불가능한 unknown 슬롯이다. 한편, 3단째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SFI에 의해, 7번째 슬롯(#7)은, unknown 슬롯으로부터 SRS의 송신이 가능한 UL 슬롯으로 동적으로 전환된다. 또한, SFI는, 예를 들어 4번째 슬롯(#4)의 PDCCH에 포함된다. 또한, 5단째를 참조하면, 당해 SFI에 의해, 7번째 슬롯(#7)이 제2 리소스로서 동적으로 설정된다. 따라서, 6단째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단말 장치(200)는, 5번째 슬롯(#5)에 있어서의 SRS를 스킵하고, 동적으로 제2 리소스로서 설정된 7번째 슬롯(#7)에 있어서 SRS를 송신한다.
<3.5. 처리의 흐름>
본 실시 형태에 관한 시스템(1)에 있어서 실행되는 SRS에 관한 처리의 흐름은,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같다. 이하에서는, SRS에 관한 처리 중, 특히 준정적인 SRS 컨피규레이션 및 동적인 SRS 컨피규레이션에 관한 처리를, 도 29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29는, 본 실시 형태에 관한 시스템(1)에 있어서 실행되는 SRS의 주기적인 송신을 위한 제어 처리의 흐름의 일례를 도시하는 시퀀스도이다. 도 29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본 시퀀스에는 기지국(100) 및 단말 장치(200)가 관여한다.
도 29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우선, 기지국(100)은, 준정적인 링크 방향 컨피규레이션, 및 준정적인 SRS 컨피규레이션을 단말 장치(200)에 송신한다(스텝 S102). 준정적인 SRS 컨피규레이션은, 적어도 컴포넌트 캐리어에 포함되는 복수의 대역폭 부분의 각각에 있어서 주기적으로 배치되는 제1 리소스를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한다. 이어서, 단말 장치(200)는, 수신한 준정적인 링크 방향 컨피규레이션 및 준정적인 SRS 컨피규레이션에 기초하여, 설정된 제1 리소스를 사용하여 SRS를 주기적으로 송신한다(스텝 S104).
그 후, 기지국(100)은, 동적인 링크 방향 컨피규레이션을 단말 장치(200)에 송신한다(스텝 S106). 동적인 링크 방향 컨피규레이션에 의해, 제1 리소스에 있어서의 SRS의 송신이 불가능하게 된 경우, 단말 장치(200)는, 당해 제1 리소스에 있어서의 SRS의 송신을 스킵하거나, 또는 스킵한 후에 대체 리소스를 선택하여, SRS를 송신한다(스텝 S108). 동적인 링크 방향 컨피규레이션의 대상인 무선 프레임보다 후에는, 단말 장치(200)는, 상기 스텝 S104와 마찬가지로, 설정된 제1 리소스를 사용하여 SRS를 주기적으로 송신한다(스텝 S110).
그 후, 기지국(100)은, 동적인 링크 방향 컨피규레이션 및 동적인 SRS 컨피규레이션을 단말 장치(200)에 송신한다(스텝 S112). 동적인 링크 방향 컨피규레이션에 의해, 제1 리소스에 있어서의 SRS의 송신이 불가능하게 된 경우, 단말 장치(200)는, 당해 제1 리소스에 있어서의 SRS의 송신을 스킵하거나, 또는 스킵한 후에 동적인 SRS 컨피규레이션에 의해 설정된 제2 리소스를 사용하여 SRS를 송신한다(스텝 S114). 동적인 링크 방향 컨피규레이션 및 동적인 SRS 컨피규레이션의 대상인 무선 프레임보다 후에는, 단말 장치(200)는, 상기 스텝 S104와 마찬가지로, 설정된 제1 리소스를 사용하여 SRS를 주기적으로 송신한다(스텝 S116).
<<4. 응용예>>
본 개시에 관한 기술은, 여러 가지 제품에 응용 가능하다. 예를 들어, 기지국(100)은, 매크로 eNB 또는 스몰 eNB 등의 어느 종류의 eNB(evolved Node B)로서 실현되어도 된다. 스몰 eNB는, 피코 eNB, 마이크로 eNB 또는 홈(펨토) eNB 등의, 매크로 셀보다 작은 셀을 커버하는 eNB여도 된다. 그렇지 않으면, 기지국(100)은, NodeB 또는 BTS(Base Transceiver Station) 등의 다른 종류의 기지국으로서 실현되어도 된다. 기지국(100)은, 무선 통신을 제어하는 본체(기지국 장치라고도 함)와, 본체와는 다른 장소에 배치되는 하나 이상의 RRH(Remote Radio Head)를 포함해도 된다. 또한, 후술하는 여러 종류의 단말기가 일시적으로 또는 반영속적으로 기지국 기능을 실행함으로써, 기지국(100)으로서 동작해도 된다.
또한, 예를 들어 단말 장치(200)는, 스마트폰, 태블릿 PC(Personal Computer), 노트북 PC, 휴대형 게임 단말기, 휴대형/동글형의 모바일 라우터 혹은 디지털 카메라 등의 모바일 단말기, 또는 카 내비게이션 장치 등의 차량 탑재 단말기로서 실현되어도 된다. 또한, 단말 장치(200)는, M2M(Machine To Machine) 통신을 행하는 단말기(MTC(Machine Type Communication) 단말기라고도 함)로서 실현되어도 된다. 또한, 단말 장치(200)는, 이들 단말기에 탑재되는 무선 통신 모듈(예를 들어, 하나의 다이로 구성되는 집적 회로 모듈)이어도 된다.
<4.1. 기지국에 관한 응용예>
(제1 응용예)
도 30은, 본 개시에 관한 기술이 적용될 수 있는 eNB의 개략적인 구성의 제1 예를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eNB(800)는, 하나 이상의 안테나(810) 및 기지국 장치(820)를 갖는다. 각 안테나(810) 및 기지국 장치(820)는, RF 케이블을 통하여 서로 접속될 수 있다.
안테나(810)의 각각은, 단일의 또는 복수의 안테나 소자(예를 들어, MIMO 안테나를 구성하는 복수의 안테나 소자)를 가지며, 기지국 장치(820)에 의한 무선 신호의 송수신을 위해 사용된다. eNB(800)는, 도 30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복수의 안테나(810)를 가지며, 복수의 안테나(810)는, 예를 들어 eNB(800)가 사용하는 복수의 주파수 대역에 각각 대응해도 된다. 또한, 도 30에는 eNB(800)가 복수의 안테나(810)를 갖는 예를 도시하였지만, eNB(800)는 단일의 안테나(810)를 가져도 된다.
기지국 장치(820)는, 컨트롤러(821), 메모리(822), 네트워크 인터페이스(823) 및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825)를 구비한다.
컨트롤러(821)는, 예를 들어 CPU 또는 DSP여도 되며, 기지국 장치(820)의 상위 레이어의 여러 가지 기능을 동작시킨다. 예를 들어, 컨트롤러(821)는,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825)에 의해 처리된 신호 내의 데이터로부터 데이터 패킷을 생성하고, 생성된 패킷을 네트워크 인터페이스(823)를 통하여 전송한다. 컨트롤러(821)는, 복수의 기저 대역 프로세서로부터의 데이터를 번들링함으로써 번들 패킷을 생성하고, 생성된 번들 패킷을 전송해도 된다. 또한, 컨트롤러(821)는, 무선 리소스 관리(Radio Resource Control), 무선 베어러 제어(Radio Bearer Control), 이동성 관리(Mobility Management), 유입 제어(Admission Control) 또는 스케줄링(Scheduling) 등의 제어를 실행하는 논리적인 기능을 가져도 된다. 또한, 당해 제어는, 주변의 eNB 또는 코어 네트워크 노드와 제휴하여 실행되어도 된다. 메모리(822)는, RAM 및 ROM을 포함하고, 컨트롤러(821)에 의해 실행되는 프로그램, 및 여러 가지 제어 데이터(예를 들어, 단말기 리스트, 송신 전력 데이터 및 스케줄링 데이터 등)를 기억한다.
네트워크 인터페이스(823)는, 기지국 장치(820)를 코어 네트워크(824)에 접속하기 위한 통신 인터페이스이다. 컨트롤러(821)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823)를 통하여, 코어 네트워크 노드 또는 다른 eNB와 통신해도 된다. 그 경우에, eNB(800)와, 코어 네트워크 노드 또는 다른 eNB는, 논리적인 인터페이스(예를 들어, S1 인터페이스 또는 X2 인터페이스)에 의해 서로 접속되어도 된다. 네트워크 인터페이스(823)는, 유선 통신 인터페이스여도 되고, 또는 무선 백홀을 위한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여도 된다. 네트워크 인터페이스(823)가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인 경우, 네트워크 인터페이스(823)는,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825)에 의해 사용되는 주파수 대역보다 보다 높은 주파수 대역을 무선 통신에 사용해도 된다.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825)는, LTE(Long Term Evolution) 또는 LTE-Advanced 등의 어느 셀룰러 통신 방식을 서포트하며, 안테나(810)를 통하여, eNB(800)의 셀 내에 위치하는 단말기에 무선 접속을 제공한다.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825)는, 전형적으로는 기저 대역(BB) 프로세서(826) 및 RF 회로(827) 등을 포함할 수 있다. BB 프로세서(826)는, 예를 들어 부호화/복호, 변조/복조 및 다중화/역다중화 등을 행해도 되며, 각 레이어(예를 들어, L1, MAC(Medium Access Control), RLC(Radio Link Control) 및 PDCP(Packet Data Convergence Protocol))의 여러 가지 신호 처리를 실행한다. BB 프로세서(826)는, 컨트롤러(821) 대신에, 상술한 논리적인 기능의 일부 또는 전부를 가져도 된다. BB 프로세서(826)는, 통신 제어 프로그램을 기억하는 메모리, 당해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프로세서 및 관련된 회로를 포함하는 모듈이어도 되며, BB 프로세서(826)의 기능은, 상기 프로그램의 업데이트에 의해 변경 가능해도 된다. 또한, 상기 모듈은, 기지국 장치(820)의 슬롯에 삽입되는 카드 혹은 블레이드여도 되고, 또는 상기 카드 혹은 상기 블레이드에 탑재되는 칩이어도 된다. 한편, RF 회로(827)는, 믹서, 필터 및 증폭기 등을 포함해도 되며, 안테나(810)를 통하여 무선 신호를 송수신한다.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825)는, 도 30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복수의 BB 프로세서(826)를 포함하고, 복수의 BB 프로세서(826)는, 예를 들어 eNB(800)가 사용하는 복수의 주파수 대역에 각각 대응해도 된다. 또한,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825)는, 도 30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복수의 RF 회로(827)를 포함하고, 복수의 RF 회로(827)는, 예를 들어 복수의 안테나 소자에 각각 대응해도 된다. 또한, 도 30에는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825)가 복수의 BB 프로세서(826) 및 복수의 RF 회로(827)를 포함하는 예를 도시하였지만,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825)는 단일의 BB 프로세서(826) 또는 단일의 RF 회로(827)를 포함해도 된다.
도 30에 도시한 eNB(800)에 있어서, 도 15를 참조하여 설명한 제어부(150)에 포함되는 하나 이상의 구성 요소(설정부(151) 및/또는 통신 처리부(153))는,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825)에 있어서 실장되어도 된다. 혹은, 이들 구성 요소의 적어도 일부는, 컨트롤러(821)에 있어서 실장되어도 된다. 일례로서, eNB(800)는,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825)의 일부(예를 들어, BB 프로세서(826)) 혹은 전부, 및/또는 컨트롤러(821)를 포함하는 모듈을 탑재하고, 당해 모듈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구성 요소가 실장되어도 된다. 이 경우에, 상기 모듈은, 프로세서를 상기 하나 이상의 구성 요소로서 기능시키기 위한 프로그램(환언하면, 프로세서에 상기 하나 이상의 구성 요소의 동작을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억하며, 당해 프로그램을 실행해도 된다. 다른 예로서, 프로세서를 상기 하나 이상의 구성 요소로서 기능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이 eNB(800)에 인스톨되고,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825)(예를 들어, BB 프로세서(826)) 및/또는 컨트롤러(821)가 당해 프로그램을 실행해도 된다. 이상과 같이, 상기 하나 이상의 구성 요소를 구비하는 장치로서 eNB(800), 기지국 장치(820) 또는 상기 모듈이 제공되어도 되고, 프로세서를 상기 하나 이상의 구성 요소로서 기능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이 제공되어도 된다. 또한, 상기 프로그램을 기록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가 제공되어도 된다.
또한, 도 30에 도시한 eNB(800)에 있어서, 도 15를 참조하여 설명한 무선 통신부(120)는,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825)(예를 들어, RF 회로(827))에 있어서 실장되어도 된다. 또한, 안테나부(110)는, 안테나(810)에 있어서 실장되어도 된다. 또한, 네트워크 통신부(130)는, 컨트롤러(821) 및/또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823)에 있어서 실장되어도 된다. 또한, 기억부(140)는, 메모리(822)에 있어서 실장되어도 된다.
(제2 응용예)
도 31은, 본 개시에 관한 기술이 적용될 수 있는 eNB의 개략적인 구성의 제2 예를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eNB(830)는, 하나 이상의 안테나(840), 기지국 장치(850) 및 RRH(860)를 갖는다. 각 안테나(840) 및 RRH(860)는, RF 케이블을 통하여 서로 접속될 수 있다. 또한, 기지국 장치(850) 및 RRH(860)는, 광섬유 케이블 등의 고속 회선으로 서로 접속될 수 있다.
안테나(840)의 각각은, 단일의 또는 복수의 안테나 소자(예를 들어, MIMO 안테나를 구성하는 복수의 안테나 소자)를 가지며, RRH(860)에 의한 무선 신호의 송수신을 위해 사용된다. eNB(830)는, 도 3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복수의 안테나(840)를 가지며, 복수의 안테나(840)는, 예를 들어 eNB(830)가 사용하는 복수의 주파수 대역에 각각 대응해도 된다. 또한, 도 31에는 eNB(830)가 복수의 안테나(840)를 갖는 예를 도시하였지만, eNB(830)는 단일의 안테나(840)를 가져도 된다.
기지국 장치(850)는, 컨트롤러(851), 메모리(852), 네트워크 인터페이스(853),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855) 및 접속 인터페이스(857)를 구비한다. 컨트롤러(851), 메모리(852) 및 네트워크 인터페이스(853)는, 도 30을 참조하여 설명한 컨트롤러(821), 메모리(822) 및 네트워크 인터페이스(823)와 마찬가지의 것이다.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855)는, LTE 또는 LTE-Advanced 등의 어느 셀룰러 통신 방식을 서포트하며, RRH(860) 및 안테나(840)를 통하여, RRH(860)에 대응하는 섹터 내에 위치하는 단말기에 무선 접속을 제공한다.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855)는, 전형적으로는 BB 프로세서(856) 등을 포함할 수 있다. BB 프로세서(856)는, 접속 인터페이스(857)를 통하여 RRH(860)의 RF 회로(864)와 접속되는 것을 제외하고, 도 30을 참조하여 설명한 BB 프로세서(826)와 마찬가지의 것이다.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855)는, 도 3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복수의 BB 프로세서(856)를 포함하고, 복수의 BB 프로세서(856)는, 예를 들어 eNB(830)가 사용하는 복수의 주파수 대역에 각각 대응해도 된다. 또한, 도 31에는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855)가 복수의 BB 프로세서(856)를 포함하는 예를 도시하였지만,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855)는 단일의 BB 프로세서(856)를 포함해도 된다.
접속 인터페이스(857)는, 기지국 장치(850)(무선 통신 인터페이스(855))를 RRH(860)와 접속하기 위한 인터페이스이다. 접속 인터페이스(857)는, 기지국 장치(850)(무선 통신 인터페이스(855))와 RRH(860)를 접속하는 상기 고속 회선에서의 통신을 위한 통신 모듈이어도 된다.
또한, RRH(860)는, 접속 인터페이스(861) 및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863)를 구비한다.
접속 인터페이스(861)는, RRH(860)(무선 통신 인터페이스(863))를 기지국 장치(850)와 접속하기 위한 인터페이스이다. 접속 인터페이스(861)는, 상기 고속 회선에서의 통신을 위한 통신 모듈이어도 된다.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863)는, 안테나(840)를 통하여 무선 신호를 송수신한다.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863)는, 전형적으로는 RF 회로(864) 등을 포함할 수 있다. RF 회로(864)는, 믹서, 필터 및 증폭기 등을 포함해도 되며, 안테나(840)를 통하여 무선 신호를 송수신한다.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863)는, 도 3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복수의 RF 회로(864)를 포함하고, 복수의 RF 회로(864)는, 예를 들어 복수의 안테나 소자에 각각 대응해도 된다. 또한, 도 31에는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863)가 복수의 RF 회로(864)를 포함하는 예를 도시하였지만,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863)는 단일의 RF 회로(864)를 포함해도 된다.
도 31에 도시한 eNB(830)에 있어서, 도 15를 참조하여 설명한 제어부(150)에 포함되는 하나 이상의 구성 요소(설정부(151) 및/또는 통신 처리부(153))는,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855) 및/또는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863)에 있어서 실장되어도 된다. 혹은, 이들 구성 요소의 적어도 일부는, 컨트롤러(851)에 있어서 실장되어도 된다. 일례로서, eNB(830)는,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855)의 일부(예를 들어, BB 프로세서(856)) 혹은 전부, 및/또는 컨트롤러(851)를 포함하는 모듈을 탑재하고, 당해 모듈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구성 요소가 실장되어도 된다. 이 경우에, 상기 모듈은, 프로세서를 상기 하나 이상의 구성 요소로서 기능시키기 위한 프로그램(환언하면, 프로세서에 상기 하나 이상의 구성 요소의 동작을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억하며, 당해 프로그램을 실행해도 된다. 다른 예로서, 프로세서를 상기 하나 이상의 구성 요소로서 기능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이 eNB(830)에 인스톨되고,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855)(예를 들어, BB 프로세서(856)) 및/또는 컨트롤러(851)가 당해 프로그램을 실행해도 된다. 이상과 같이, 상기 하나 이상의 구성 요소를 구비하는 장치로서 eNB(830), 기지국 장치(850) 또는 상기 모듈이 제공되어도 되고, 프로세서를 상기 하나 이상의 구성 요소로서 기능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이 제공되어도 된다. 또한, 상기 프로그램을 기록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가 제공되어도 된다.
또한, 도 31에 도시한 eNB(830)에 있어서, 예를 들어 도 15를 참조하여 설명한 무선 통신부(120)는,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863)(예를 들어, RF 회로(864))에 있어서 실장되어도 된다. 또한, 안테나부(110)는, 안테나(840)에 있어서 실장되어도 된다. 또한, 네트워크 통신부(130)는, 컨트롤러(851) 및/또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853)에 있어서 실장되어도 된다. 또한, 기억부(140)는, 메모리(852)에 있어서 실장되어도 된다.
<4.2. 단말 장치에 관한 응용예>
(제1 응용예)
도 32는, 본 개시에 관한 기술이 적용될 수 있는 스마트폰(900)의 개략적인 구성의 일례를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스마트폰(900)은, 프로세서(901), 메모리(902), 스토리지(903), 외부 접속 인터페이스(904), 카메라(906), 센서(907), 마이크로폰(908), 입력 디바이스(909), 표시 디바이스(910), 스피커(911),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912), 하나 이상의 안테나 스위치(915), 하나 이상의 안테나(916), 버스(917), 배터리(918) 및 보조 컨트롤러(919)를 구비한다.
프로세서(901)는, 예를 들어 CPU 또는 SoC(System on Chip)여도 되며, 스마트폰(900)의 애플리케이션 레이어 및 그 밖의 레이어의 기능을 제어한다. 메모리(902)는, RAM 및 ROM을 포함하고, 프로세서(901)에 의해 실행되는 프로그램 및 데이터를 기억한다. 스토리지(903)는, 반도체 메모리 또는 하드 디스크 등의 기억 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외부 접속 인터페이스(904)는, 메모리 카드 또는 USB(Universal Serial Bus) 디바이스 등의 외장형 디바이스를 스마트폰(900)에 접속하기 위한 인터페이스이다.
카메라(906)는, 예를 들어 CCD(Charge Coupled Device) 또는 CMOS(Complementary Metal Oxide Semiconductor) 등의 촬상 소자를 가지며, 촬상 화상을 생성한다. 센서(907)는, 예를 들어 측위 센서, 자이로 센서, 지자기 센서 및 가속도 센서 등의 센서군을 포함할 수 있다. 마이크로폰(908)은, 스마트폰(900)에 입력되는 음성을 음성 신호로 변환한다. 입력 디바이스(909)는, 예를 들어 표시 디바이스(910)의 화면 상에의 터치를 검출하는 터치 센서, 키패드, 키보드, 버튼 또는 스위치 등을 포함하며, 유저로부터의 조작 또는 정보 입력을 접수한다. 표시 디바이스(910)는, 액정 디스플레이(LCD) 또는 유기 발광 다이오드(OLED) 디스플레이 등의 화면을 가지며, 스마트폰(900)의 출력 화상을 표시한다. 스피커(911)는, 스마트폰(900)으로부터 출력되는 음성 신호를 음성으로 변환한다.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912)는, LTE 또는 LTE-Advanced 등의 어느 셀룰러 통신 방식을 서포트하며, 무선 통신을 실행한다.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912)는, 전형적으로는 BB 프로세서(913) 및 RF 회로(914) 등을 포함할 수 있다. BB 프로세서(913)는, 예를 들어 부호화/복호, 변조/복조 및 다중화/역다중화 등을 행해도 되며, 무선 통신을 위한 여러 가지 신호 처리를 실행한다. 한편, RF 회로(914)는, 믹서, 필터 및 증폭기 등을 포함해도 되며, 안테나(916)를 통하여 무선 신호를 송수신한다.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912)는, BB 프로세서(913) 및 RF 회로(914)를 집적한 원칩의 모듈이어도 된다.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912)는, 도 3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복수의 BB 프로세서(913) 및 복수의 RF 회로(914)를 포함해도 된다. 또한, 도 32에는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912)가 복수의 BB 프로세서(913) 및 복수의 RF 회로(914)를 포함하는 예를 도시하였지만,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912)는 단일의 BB 프로세서(913) 또는 단일의 RF 회로(914)를 포함해도 된다.
또한,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912)는, 셀룰러 통신 방식에 추가하여, 근거리 무선 통신 방식, 근접 무선 통신 방식 또는 무선 LAN(Local Area Network) 방식 등의 다른 종류의 무선 통신 방식을 서포트해도 되며, 그 경우에, 무선 통신 방식마다의 BB 프로세서(913) 및 RF 회로(914)를 포함해도 된다.
안테나 스위치(915)의 각각은,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912)에 포함되는 복수의 회로(예를 들어, 다른 무선 통신 방식을 위한 회로)의 사이에서 안테나(916)의 접속처를 전환한다.
안테나(916)의 각각은, 단일의 또는 복수의 안테나 소자(예를 들어, MIMO 안테나를 구성하는 복수의 안테나 소자)를 가지며,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912)에 의한 무선 신호의 송수신을 위해 사용된다. 스마트폰(900)은, 도 3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복수의 안테나(916)를 가져도 된다. 또한, 도 32에는 스마트폰(900)이 복수의 안테나(916)를 갖는 예를 도시하였지만, 스마트폰(900)은 단일의 안테나(916)를 가져도 된다.
또한, 스마트폰(900)은, 무선 통신 방식마다 안테나(916)를 구비해도 된다. 그 경우에, 안테나 스위치(915)는, 스마트폰(900)의 구성으로부터 생략되어도 된다.
버스(917)는, 프로세서(901), 메모리(902), 스토리지(903), 외부 접속 인터페이스(904), 카메라(906), 센서(907), 마이크로폰(908), 입력 디바이스(909), 표시 디바이스(910), 스피커(911),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912) 및 보조 컨트롤러(919)를 서로 접속한다. 배터리(918)는, 도면 중에 파선으로 부분적으로 나타낸 급전 라인을 통하여, 도 32에 도시한 스마트폰(900)의 각 블록에 전력을 공급한다. 보조 컨트롤러(919)는, 예를 들어 슬립 모드에 있어서, 스마트폰(900)의 필요 최저한의 기능을 동작시킨다.
도 32에 도시한 스마트폰(900)에 있어서, 도 16을 참조하여 설명한 제어부(240)에 포함되는 하나 이상의 구성 요소(설정부(241) 및/또는 통신 처리부(243))는,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912)에 있어서 실장되어도 된다. 혹은, 이들 구성 요소의 적어도 일부는, 프로세서(901) 또는 보조 컨트롤러(919)에 있어서 실장되어도 된다. 일례로서, 스마트폰(900)은,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912)의 일부(예를 들어, BB 프로세서(913)) 혹은 전부, 프로세서(901), 및/또는 보조 컨트롤러(919)를 포함하는 모듈을 탑재하고, 당해 모듈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구성 요소가 실장되어도 된다. 이 경우에, 상기 모듈은, 프로세서를 상기 하나 이상의 구성 요소로서 기능시키기 위한 프로그램(환언하면, 프로세서에 상기 하나 이상의 구성 요소의 동작을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억하며, 당해 프로그램을 실행해도 된다. 다른 예로서, 프로세서를 상기 하나 이상의 구성 요소로서 기능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이 스마트폰(900)에 인스톨되고,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912)(예를 들어, BB 프로세서(913)), 프로세서(901) 및/또는 보조 컨트롤러(919)가 당해 프로그램을 실행해도 된다. 이상과 같이, 상기 하나 이상의 구성 요소를 구비하는 장치로서 스마트폰(900) 또는 상기 모듈이 제공되어도 되고, 프로세서를 상기 하나 이상의 구성 요소로서 기능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이 제공되어도 된다. 또한, 상기 프로그램을 기록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가 제공되어도 된다.
또한, 도 32에 도시한 스마트폰(900)에 있어서, 예를 들어 도 16을 참조하여 설명한 무선 통신부(220)는,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912)(예를 들어, RF 회로(914))에 있어서 실장되어도 된다. 또한, 안테나부(210)는, 안테나(916)에 있어서 실장되어도 된다. 또한, 기억부(230)는, 메모리(902)에 있어서 실장되어도 된다.
(제2 응용예)
도 33은, 본 개시에 관한 기술이 적용될 수 있는 카 내비게이션 장치(920)의 개략적인 구성의 일례를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카 내비게이션 장치(920)는, 프로세서(921), 메모리(922),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모듈(924), 센서(925), 데이터 인터페이스(926), 콘텐츠 플레이어(927), 기억 매체 인터페이스(928), 입력 디바이스(929), 표시 디바이스(930), 스피커(931),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933), 하나 이상의 안테나 스위치(936), 하나 이상의 안테나(937) 및 배터리(938)를 구비한다.
프로세서(921)는, 예를 들어 CPU 또는 SoC여도 되며, 카 내비게이션 장치(920)의 내비게이션 기능 및 그 밖의 기능을 제어한다. 메모리(922)는, RAM 및 ROM을 포함하고, 프로세서(921)에 의해 실행되는 프로그램 및 데이터를 기억한다.
GPS 모듈(924)은, GPS 위성으로부터 수신되는 GPS 신호를 사용하여, 카 내비게이션 장치(920)의 위치(예를 들어, 위도, 경도 및 고도)를 측정한다. 센서(925)는, 예를 들어 자이로 센서, 지자기 센서 및 기압 센서 등의 센서군을 포함할 수 있다. 데이터 인터페이스(926)는, 예를 들어 도시하지 않은 단자를 통하여 차량 탑재 네트워크(941)에 접속되며, 차속 데이터 등의 차량측에서 생성되는 데이터를 취득한다.
콘텐츠 플레이어(927)는, 기억 매체 인터페이스(928)에 삽입되는 기억 매체(예를 들어, CD 또는 DVD)에 기억되어 있는 콘텐츠를 재생한다. 입력 디바이스(929)는, 예를 들어 표시 디바이스(930)의 화면 상에의 터치를 검출하는 터치 센서, 버튼 또는 스위치 등을 포함하며, 유저로부터의 조작 또는 정보 입력을 접수한다. 표시 디바이스(930)는, LCD 또는 OLED 디스플레이 등의 화면을 가지며, 내비게이션 기능 또는 재생되는 콘텐츠의 화상을 표시한다. 스피커(931)는, 내비게이션 기능 또는 재생되는 콘텐츠의 음성을 출력한다.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933)는, LTE 또는 LTE-Advanced 등의 어느 셀룰러 통신 방식을 서포트하며, 무선 통신을 실행한다.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933)는, 전형적으로는 BB 프로세서(934) 및 RF 회로(935) 등을 포함할 수 있다. BB 프로세서(934)는, 예를 들어 부호화/복호, 변조/복조 및 다중화/역다중화 등을 행해도 되며, 무선 통신을 위한 여러 가지 신호 처리를 실행한다. 한편, RF 회로(935)는, 믹서, 필터 및 증폭기 등을 포함해도 되며, 안테나(937)를 통하여 무선 신호를 송수신한다.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933)는, BB 프로세서(934) 및 RF 회로(935)를 집적한 원칩의 모듈이어도 된다.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933)는, 도 3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복수의 BB 프로세서(934) 및 복수의 RF 회로(935)를 포함해도 된다. 또한, 도 33에는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933)가 복수의 BB 프로세서(934) 및 복수의 RF 회로(935)를 포함하는 예를 도시하였지만,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933)는 단일의 BB 프로세서(934) 또는 단일의 RF 회로(935)를 포함해도 된다.
또한,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933)는, 셀룰러 통신 방식에 추가하여, 근거리 무선 통신 방식, 근접 무선 통신 방식 또는 무선 LAN 방식 등의 다른 종류의 무선 통신 방식을 서포트해도 되며, 그 경우에, 무선 통신 방식마다의 BB 프로세서(934) 및 RF 회로(935)를 포함해도 된다.
안테나 스위치(936)의 각각은,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933)에 포함되는 복수의 회로(예를 들어, 다른 무선 통신 방식을 위한 회로)의 사이에서 안테나(937)의 접속처를 전환한다.
안테나(937)의 각각은, 단일의 또는 복수의 안테나 소자(예를 들어, MIMO 안테나를 구성하는 복수의 안테나 소자)를 가지며,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933)에 의한 무선 신호의 송수신을 위해 사용된다. 카 내비게이션 장치(920)는, 도 3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복수의 안테나(937)를 가져도 된다. 또한, 도 33에는 카 내비게이션 장치(920)가 복수의 안테나(937)를 갖는 예를 도시하였지만, 카 내비게이션 장치(920)는 단일의 안테나(937)를 가져도 된다.
또한, 카 내비게이션 장치(920)는, 무선 통신 방식마다 안테나(937)를 구비해도 된다. 그 경우에, 안테나 스위치(936)는, 카 내비게이션 장치(920)의 구성으로부터 생략되어도 된다.
배터리(938)는, 도면 중에 파선으로 부분적으로 나타낸 급전 라인을 통하여, 도 33에 도시한 카 내비게이션 장치(920)의 각 블록에 전력을 공급한다. 또한, 배터리(938)는, 차량측으로부터 급전되는 전력을 축적한다.
도 33에 도시한 카 내비게이션 장치(920)에 있어서, 도 16을 참조하여 설명한 제어부(240)에 포함되는 하나 이상의 구성 요소(설정부(241) 및/또는 통신 처리부(243))는,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933)에 있어서 실장되어도 된다. 혹은, 이들 구성 요소의 적어도 일부는, 프로세서(921)에 있어서 실장되어도 된다. 일례로서, 카 내비게이션 장치(920)는,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933)의 일부(예를 들어, BB 프로세서(934)) 혹은 전부 및/또는 프로세서(921)를 포함하는 모듈을 탑재하고, 당해 모듈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구성 요소가 실장되어도 된다. 이 경우에, 상기 모듈은, 프로세서를 상기 하나 이상의 구성 요소로서 기능시키기 위한 프로그램(환언하면, 프로세서에 상기 하나 이상의 구성 요소의 동작을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억하며, 당해 프로그램을 실행해도 된다. 다른 예로서, 프로세서를 상기 하나 이상의 구성 요소로서 기능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이 카 내비게이션 장치(920)에 인스톨되고,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933)(예를 들어, BB 프로세서(934)) 및/또는 프로세서(921)가 당해 프로그램을 실행해도 된다. 이상과 같이, 상기 하나 이상의 구성 요소를 구비하는 장치로서 카 내비게이션 장치(920) 또는 상기 모듈이 제공되어도 되고, 프로세서를 상기 하나 이상의 구성 요소로서 기능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이 제공되어도 된다. 또한, 상기 프로그램을 기록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가 제공되어도 된다.
또한, 도 33에 도시한 카 내비게이션 장치(920)에 있어서, 예를 들어 도 16을 참조하여 설명한 무선 통신부(220)는,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933)(예를 들어, RF 회로(935))에 있어서 실장되어도 된다. 또한, 안테나부(210)는, 안테나(937)에 있어서 실장되어도 된다. 또한, 기억부(230)는, 메모리(922)에 있어서 실장되어도 된다.
또한, 본 개시에 관한 기술은, 상술한 카 내비게이션 장치(920)의 하나 이상의 블록과, 차량 탑재 네트워크(941)와, 차량측 모듈(942)을 포함하는 차량 탑재 시스템(또는 차량)(940)으로서 실현되어도 된다. 차량측 모듈(942)은, 차속, 엔진 회전수 또는 고장 정보 등의 차량측 데이터를 생성하고, 생성된 데이터를 차량 탑재 네트워크(941)에 출력한다.
<<5. 결론>>
이상, 도 1 내지 도 33을 참조하여, 본 개시의 일 실시 형태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다. 상기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에 관한 기지국(100)은, TDD 방식을 사용하여 단말 장치(200)와 통신하고, 컴포넌트 캐리어에 포함되는 복수의 대역폭 부분의 각각에 주기적으로 배치되는, 업링크 제어 신호의 송신에 사용되어야 할 제1 리소스를 나타내는 설정 정보를 단말 장치(200)에 송신한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관한 단말 장치(200)는, TDD 방식을 사용하여 기지국과 통신하고, 상기 설정 정보에 기초하여, 업링크 제어 신호를 송신한다. NR에서는, 대역폭 부분마다 서브캐리어 간격 및 무선 프레임당 슬롯 수가 다를 수 있다. 이 점, 본 실시 형태에서는, 제1 리소스가 대역폭 부분마다 주기적으로 배치되는 데다가, 이러한 배치를 나타내는 정보가 설정 정보로서 단말 장치(200)에 통지된다. 따라서, 단말 장치(200)는, 이러한 설정 정보에 기초하여, 서브캐리어 간격 및 무선 프레임당 슬롯 수에 따라 주기적으로 업링크 제어 신호를 기지국(100)에 송신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하여, NR에 있어서의 주기적인 UL 제어 신호의 송수신이 적절하게 실현된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따르면, 비주기적인 송신과 비교하여, 업링크 제어 신호의 송신 요구가 불필요하므로, 업링크 제어 신호를 효율적으로 송신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제1 리소스에 있어서의 업링크 제어 신호의 송신이 불가능한 경우라도, 단말 장치(200)는, 대체 리소스를 사용하여 업링크 제어 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 그 때문에, 업링크 제어 신호의 주기적인 송신이 저해되는 것에 기인하여, 통신이 도중에 끊기는 일이 적어진다. 예를 들어, 기지국(100)은, 계속적으로 빔 트래킹할 수 있다. 따라서, 본 기술은 시스템 스루풋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또한, 저지연 및 고신뢰성이 요구되는 구하는 사용례에 있어서는, 본 기술은 저지연 및 고신뢰성의 담보에 기여할 수 있다.
이상, 첨부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개시의 적합한 실시 형태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개시의 기술적 범위는 이러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개시의 기술 분야에 있어서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청구범위에 기재된 기술적 사상의 범주 내에 있어서, 각종 변경예 또는 수정예에 상도할 수 있는 것은 명확하며, 이들에 대해서도, 당연히 본 개시의 기술적 범위에 속하는 것이라고 이해된다.
예를 들어,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단말 장치(200)로부터 기지국(100)으로 주기적으로 송신되는 UL 제어 신호의 일례로서 SRS를 예로 들어 설명하였지만, 본 기술은 이러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본 기술은, PUCCH(Physical Downlink Control Channel)에 적용되어도 된다. 5G에서는, PUCCH가, 특정한 슬롯에 있어서의 특정한 OFDM 심볼을 사용하여 송신된다. 즉, 당해 특정한 슬롯에 있어서의 특정한 OFDM 심볼의 링크 방향이 UL이 아닌 경우, 단말 장치(200)는 PUCCH를 송신할 수 없다. 그 때문에, PUCCH를 주기적으로 송신하도록 기지국(100)이 단말 장치(200)에 설정된 경우, PUCCH의 주기적인 송신에 관하여, 상기 설명한 SRS의 주기적인 송신과 마찬가지의 과제가 생긴다.
그래서, 기지국(100)은, PUCCH의 송신에 사용되어야 할 제1 리소스를 지정하는 준정적인 컨피규레이션을 단말 장치(200)에 송신해도 된다. 그 경우, 단말 장치(200)는, 이러한 컨피규레이션에 기초하여 PUCCH를 주기적으로 송신한다. 물론, 단말 장치(200)는, 제1 리소스에 있어서의 PUCCH의 송신이 불가능한 경우에는, 스킵하거나, 또는 스킵한 후에 대체 슬롯으로 PUCCH를 송신해도 된다.
또한, 기지국(100)은, 제1 리소스 대신에 PUCCH의 송신에 사용해야 할 제2 리소스를 지정하는 정보를 포함하는 동적인 컨피규레이션을 단말 장치(200)에 송신해도 된다. 그 경우, 단말 장치(200)는, 제1 리소스 대신에 동적인 컨피규레이션에 의해 설정된 제2 리소스를 사용하여 PUCCH를 송신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 있어서 흐름도 및 시퀀스도를 사용하여 설명한 처리는, 반드시 도시된 순서로 실행되지는 않아도 된다. 몇 개의 처리 스텝은 병렬적으로 실행되어도 된다. 또한, 추가적인 처리 스텝이 채용되어도 되고, 일부 처리 스텝이 생략되어도 된다.
또한, 본 명세서에 기재된 효과는, 어디까지나 설명적 또는 예시적인 것으로서 한정적인 것은 아니다. 즉, 본 개시에 관한 기술은, 상기 효과와 함께, 또는 상기 효과 대신에, 본 명세서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는 명확한 다른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또한, 이하와 같은 구성도 본 개시의 기술적 범위에 속한다.
(1)
TDD(Time Division Duplex) 방식을 사용하여 기지국과 통신하는 단말 장치이며,
컴포넌트 캐리어에 포함되는 복수의 대역폭 부분의 각각에 주기적으로 배치되는, 업링크 제어 신호의 송신에 사용되어야 할 제1 리소스를 나타내는 설정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업링크 제어 신호를 송신하는 제어부
를 구비하는 단말 장치.
(2)
상기 설정 정보는, 상기 복수의 대역폭 부분의 각각에 있어서의, 상기 제1 리소스가 배치되는 무선 프레임을 나타내는 정보와, 무선 프레임에 있어서 상기 제1 리소스가 배치되는 슬롯을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하는, 상기 (1)에 기재된 단말 장치.
(3)
상기 제1 리소스는, 상기 대역폭 부분의 서브캐리어 간격에 따른 무선 프레임당 슬롯 수의, 정수배의 주기로 배치되고,
상기 설정 정보는 상기 주기를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하는, 상기 (2)에 기재된 단말 장치.
(4)
상기 설정 정보는, 무선 프레임에 포함되는 복수의 슬롯 중 어느 것이 상기 제1 리소스인지를 나타내는 테이블을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하는, 상기 (2) 또는 (3)에 기재된 단말 장치.
(5)
상기 제1 리소스는, 무선 프레임에 있어서 소정의 슬롯 수의 주기의 슬롯에 배치되고,
상기 설정 정보는 상기 주기를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하는, 상기 (2)에 기재된 단말 장치.
(6)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리소스에 있어서 상기 업링크 제어 신호를 송신할 수 없는 경우, 상기 제1 리소스에 있어서의 상기 업링크 제어 신호의 송신을 스킵하는, 상기 (5)에 기재된 단말 장치.
(7)
상기 제어부는, 상기 업링크 제어 신호의 송신을 스킵한 경우, 스킵한 상기 제1 리소스보다 후의 상기 업링크 제어 신호의 송신이 가능한 리소스에 있어서, 상기 업링크 제어 신호를 송신하는, 상기 (6)에 기재된 단말 장치.
(8)
상기 제어부는, 상기 업링크 제어 신호의 송신을 스킵한 횟수가 소정의 상한값에 도달한 경우, 최후에 스킵한 상기 제1 리소스보다 후의 상기 업링크 제어 신호의 송신이 가능한 리소스에 있어서, 상기 업링크 제어 신호를 송신하는, 상기 (6)에 기재된 단말 장치.
(9)
상기 제어부는, 상기 업링크 제어 신호의 송신을 스킵한 경우, 스킵한 상기 제1 리소스보다 후의, 다운링크 제어 신호에 의해 상기 업링크 제어 신호의 송신이 가능하게 전환된 리소스에 있어서, 상기 업링크 제어 신호를 송신하는, 상기 (6)에 기재된 단말 장치.
(10)
상기 제1 리소스의 상기 주기의 도달 판단을 위한 슬롯 수의 카운트는, 상기 업링크 제어 신호의 송신이 가능한 슬롯을 대상으로 하여 행해지는, 상기 (5)에 기재된 단말 장치.
(11)
상기 설정 정보는, 무선 프레임당 상기 제1 리소스의 수의 상한값을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하는, 상기 (10)에 기재된 단말 장치.
(12)
상기 제1 리소스의 상기 주기의 도달 판단을 위한 카운트 대상의 슬롯은, 다운링크 제어 신호에 의해 상기 업링크 제어 신호의 송신이 가능하게 전환된 슬롯을 포함하고, 다운링크 제어 신호에 의해 상기 업링크 제어 신호의 송신이 불가능하게 전환된 슬롯을 포함하지 않는, 상기 (10) 또는 (11)에 기재된 단말 장치.
(13)
상기 제어부는, 슬롯당 업링크 통신이 가능한 연속되는 심볼의 수가 상기 업링크 제어 신호의 송신에 필요한 심볼의 수 이상인 슬롯을, 상기 업링크 제어 신호를 송신 가능한 슬롯으로서 인식하는, 상기 (1) 내지 (12)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단말 장치.
(14)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리소스에 있어서의 상기 업링크 제어 신호의 송신 가부가 다운링크 제어 신호에 의해 전환된 경우, 상기 전환에 따라 상기 업링크 제어 신호의 송신을 제어하는, 상기 (1) 내지 (13)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단말 장치.
(15)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전환에 의해 상기 업링크 제어 신호의 송신이 가능하게 된 경우에 상기 제1 리소스에 있어서 상기 업링크 제어 신호를 송신하고, 상기 전환에 의해 상기 업링크 제어 신호의 송신이 불가능하게 된 경우에 상기 제1 리소스에 있어서의 상기 업링크 제어 신호의 송신을 스킵하는, 상기 (14)에 기재된 단말 장치.
(16)
상기 제어부는, 상기 다운링크 제어 신호에 의해, 상기 제1 리소스 대신에 상기 업링크 제어 신호를 송신하도록 설정된 제2 리소스에 있어서, 상기 업링크 제어 신호를 송신하는, 상기 (15)에 기재된 단말 장치.
(17)
TDD 방식을 사용하여 단말 장치와 통신하는 기지국이며,
컴포넌트 캐리어에 포함되는 복수의 대역폭 부분의 각각에 주기적으로 배치되는, 업링크 제어 신호의 송신에 사용되어야 할 제1 리소스를 나타내는 설정 정보를 상기 단말 장치에 송신하는 제어부
를 구비하는 기지국.
(18)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리소스 대신에 상기 업링크 제어 신호의 송신에 사용되어야 할 제2 리소스를 설정하는 정보를 포함하는 다운링크 제어 정보를 상기 단말 장치에 송신하는, 상기 (17)에 기재된 기지국.
(19)
TDD 방식을 사용하여 기지국과 통신하는 단말 장치에 의해 실행되는 방법이며,
컴포넌트 캐리어에 포함되는 복수의 대역폭 부분의 각각에 주기적으로 배치되는, 업링크 제어 신호의 송신에 사용되어야 할 제1 리소스를 나타내는 설정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업링크 제어 신호를 송신하는 것
을 포함하는 방법.
(20)
TDD 방식을 사용하여 단말 장치와 통신하는 기지국에 의해 실행되는 방법이며,
컴포넌트 캐리어에 포함되는 복수의 대역폭 부분의 각각에 주기적으로 배치되는, 업링크 제어 신호의 송신에 사용되어야 할 제1 리소스를 나타내는 설정 정보를 상기 단말 장치에 송신하는 것
을 포함하는 방법.
(21)
컴퓨터를,
TDD 방식을 사용하여 기지국과 통신하고, 컴포넌트 캐리어에 포함되는 복수의 대역폭 부분의 각각에 주기적으로 배치되는, 업링크 제어 신호의 송신에 사용되어야 할 제1 리소스를 나타내는 설정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업링크 제어 신호를 송신하는 제어부
로서 기능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 매체.
(22)
컴퓨터를,
TDD 방식을 사용하여 단말 장치와 통신하고, 컴포넌트 캐리어에 포함되는 복수의 대역폭 부분의 각각에 주기적으로 배치되는, 업링크 제어 신호의 송신에 사용되어야 할 제1 리소스를 나타내는 설정 정보를 상기 단말 장치에 송신하는 제어부
로서 기능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 매체.
1: 시스템
11: 셀
20: 코어 네트워크
30: PDN
100: 기지국
110: 안테나부
120: 무선 통신부
130: 네트워크 통신부
140: 기억부
150: 제어부
151: 설정부
153: 통신 처리부
200: 단말 장치
210: 안테나부
220: 무선 통신부
230: 기억부
240: 제어부
241: 설정부
243: 통신 처리부

Claims (22)

  1. TDD(Time Division Duplex) 방식을 사용하여 기지국과 통신하는 단말 장치이며,
    컴포넌트 캐리어에 포함되는 복수의 대역폭 부분의 각각에 주기적으로 배치되는, 업링크 제어 신호의 송신에 사용되어야 할 제1 리소스를 나타내는 설정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업링크 제어 신호를 송신하는 제어부
    를 구비하는, 단말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설정 정보는, 상기 복수의 대역폭 부분의 각각에 있어서의, 상기 제1 리소스가 배치되는 무선 프레임을 나타내는 정보와, 무선 프레임에 있어서 상기 제1 리소스가 배치되는 슬롯을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하는, 단말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리소스는, 상기 대역폭 부분의 서브캐리어 간격에 따른 무선 프레임당 슬롯 수의, 정수배의 주기로 배치되고,
    상기 설정 정보는 상기 주기를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하는, 단말 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설정 정보는, 무선 프레임에 포함되는 복수의 슬롯 중 어느 것이 상기 제1 리소스인지를 나타내는 테이블을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하는, 단말 장치.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리소스는, 무선 프레임에 있어서 소정의 슬롯 수의 주기의 슬롯에 배치되고,
    상기 설정 정보는 상기 주기를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하는, 단말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리소스에 있어서 상기 업링크 제어 신호를 송신할 수 없는 경우, 상기 제1 리소스에 있어서의 상기 업링크 제어 신호의 송신을 스킵하는, 단말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업링크 제어 신호의 송신을 스킵한 경우, 스킵한 상기 제1 리소스보다 후의 상기 업링크 제어 신호의 송신이 가능한 리소스에 있어서, 상기 업링크 제어 신호를 송신하는, 단말 장치.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업링크 제어 신호의 송신을 스킵한 횟수가 소정의 상한값에 도달한 경우, 최후에 스킵한 상기 제1 리소스보다 후의 상기 업링크 제어 신호의 송신이 가능한 리소스에 있어서, 상기 업링크 제어 신호를 송신하는, 단말 장치.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업링크 제어 신호의 송신을 스킵한 경우, 스킵한 상기 제1 리소스보다 후의, 다운링크 제어 신호에 의해 상기 업링크 제어 신호의 송신이 가능하게 전환된 리소스에 있어서, 상기 업링크 제어 신호를 송신하는, 단말 장치.
  10.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리소스의 상기 주기의 도달 판단을 위한 슬롯 수의 카운트는, 상기 업링크 제어 신호의 송신이 가능한 슬롯을 대상으로 하여 행해지는, 단말 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설정 정보는, 무선 프레임당 상기 제1 리소스의 수의 상한값을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하는, 단말 장치.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리소스의 상기 주기의 도달 판단을 위한 카운트 대상의 슬롯은, 다운링크 제어 신호에 의해 상기 업링크 제어 신호의 송신이 가능하게 전환된 슬롯을 포함하고, 다운링크 제어 신호에 의해 상기 업링크 제어 신호의 송신이 불가능하게 전환된 슬롯을 포함하지 않는, 단말 장치.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슬롯당 업링크 통신이 가능한 연속되는 심볼의 수가 상기 업링크 제어 신호의 송신에 필요한 심볼의 수 이상인 슬롯을, 상기 업링크 제어 신호를 송신 가능한 슬롯으로서 인식하는, 단말 장치.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리소스에 있어서의 상기 업링크 제어 신호의 송신 가부가 다운링크 제어 신호에 의해 전환된 경우, 상기 전환에 따라 상기 업링크 제어 신호의 송신을 제어하는, 단말 장치.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전환에 의해 상기 업링크 제어 신호의 송신이 가능하게 된 경우에 상기 제1 리소스에 있어서 상기 업링크 제어 신호를 송신하고, 상기 전환에 의해 상기 업링크 제어 신호의 송신이 불가능하게 된 경우에 상기 제1 리소스에 있어서의 상기 업링크 제어 신호의 송신을 스킵하는, 단말 장치.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다운링크 제어 신호에 의해, 상기 제1 리소스 대신에 상기 업링크 제어 신호를 송신하도록 설정된 제2 리소스에 있어서, 상기 업링크 제어 신호를 송신하는, 단말 장치.
  17. TDD 방식을 사용하여 단말 장치와 통신하는 기지국이며,
    컴포넌트 캐리어에 포함되는 복수의 대역폭 부분의 각각에 주기적으로 배치되는, 업링크 제어 신호의 송신에 사용되어야 할 제1 리소스를 나타내는 설정 정보를 상기 단말 장치에 송신하는 제어부
    를 구비하는, 기지국.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리소스 대신에 상기 업링크 제어 신호의 송신에 사용되어야 할 제2 리소스를 설정하는 정보를 포함하는 다운링크 제어 정보를 상기 단말 장치에 송신하는, 기지국.
  19. TDD 방식을 사용하여 기지국과 통신하는 단말 장치에 의해 실행되는 방법이며,
    컴포넌트 캐리어에 포함되는 복수의 대역폭 부분의 각각에 주기적으로 배치되는, 업링크 제어 신호의 송신에 사용되어야 할 제1 리소스를 나타내는 설정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업링크 제어 신호를 송신하는 것
    을 포함하는, 방법.
  20. TDD 방식을 사용하여 단말 장치와 통신하는 기지국에 의해 실행되는 방법이며,
    컴포넌트 캐리어에 포함되는 복수의 대역폭 부분의 각각에 주기적으로 배치되는, 업링크 제어 신호의 송신에 사용되어야 할 제1 리소스를 나타내는 설정 정보를 상기 단말 장치에 송신하는 것
    을 포함하는, 방법.
  21. 컴퓨터를,
    TDD 방식을 사용하여 기지국과 통신하고, 컴포넌트 캐리어에 포함되는 복수의 대역폭 부분의 각각에 주기적으로 배치되는, 업링크 제어 신호의 송신에 사용되어야 할 제1 리소스를 나타내는 설정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업링크 제어 신호를 송신하는 제어부
    로서 기능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 매체.
  22. 컴퓨터를,
    TDD 방식을 사용하여 단말 장치와 통신하고, 컴포넌트 캐리어에 포함되는 복수의 대역폭 부분의 각각에 주기적으로 배치되는, 업링크 제어 신호의 송신에 사용되어야 할 제1 리소스를 나타내는 설정 정보를 상기 단말 장치에 송신하는 제어부
    로서 기능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 매체.
KR1020207011457A 2017-11-15 2018-10-16 단말 장치, 기지국, 방법 및 기록 매체 KR20200085740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7220050 2017-11-15
JPJP-P-2017-220050 2017-11-15
PCT/JP2018/038386 WO2019097929A1 (ja) 2017-11-15 2018-10-16 端末装置、基地局、方法及び記録媒体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85740A true KR20200085740A (ko) 2020-07-15

Family

ID=665394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7011457A KR20200085740A (ko) 2017-11-15 2018-10-16 단말 장치, 기지국, 방법 및 기록 매체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11516780B2 (ko)
EP (1) EP3713358B1 (ko)
JP (1) JP7287278B2 (ko)
KR (1) KR20200085740A (ko)
RU (1) RU2768273C2 (ko)
WO (1) WO201909792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803383B (zh) * 2017-11-16 2021-05-25 华为技术有限公司 发送和接收信息的方法及装置
US11424793B2 (en) * 2018-07-13 2022-08-23 Lenovo (Beijing) Limited SRS configurations and SRS transmission
JP2022505472A (ja) * 2018-10-26 2022-01-14 テレフオンアクチーボラゲット エルエム エリクソン(パブル) 暗黙的サウンディング参照信号非周期的トリガリングオフセット
US11503649B2 (en) * 2020-06-12 2022-11-15 Ahmad Jalali Uplink-initiated fast and low overhead initial access for MU MIMO systems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SG184358A1 (en) * 2010-04-02 2012-11-29 Interdigital Patent Holdings Uplink sounding reference signals configuration and transmission
WO2013005377A1 (ja) * 2011-07-01 2013-01-10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受信装置、送信装置、設定方法、及び特定方法
US9019856B2 (en) 2012-01-27 2015-04-28 Samsung Electronics Co., Ltd. Reporting of multiple processes for aperiodic channel state information
US8923880B2 (en) * 2012-09-28 2014-12-30 Intel Corporation Selective joinder of user equipment with wireless cell
WO2015037250A1 (en) 2013-09-16 2015-03-19 Nec Corporation Methods and apparatus relating to lte fdd-tdd inter-system carrier aggregation in advanced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s
JP6425662B2 (ja) * 2013-12-27 2018-11-21 シャープ株式会社 端末装置、基地局装置および方法
EP3139684B1 (en) 2014-04-28 2020-08-19 Sharp Kabushiki Kaisha User equipment and communication method
KR102081939B1 (ko) * 2015-04-10 2020-02-26 엘지전자 주식회사 기계타입통신을 지원하는 무선 접속 시스템에서 사운딩 참조 신호의 전송을 제어하는 방법 및 장치
CN106257955B (zh) 2015-06-23 2021-12-14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Mac流量调度方法、装置及基站
ES2914649T3 (es) * 2016-04-01 2022-06-15 Huawei Tech Co Ltd Sistema y método de conmutación, transmisión y mejoras SRS
US10873911B2 (en) * 2017-03-23 2020-12-22 Ofinno, LCC Uplink transmission power adjustment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3GPP TS 36.213 V14.4.0(2017-09), "Evolved Universal Terrestrial Radio Access(E-UTRA); Physical layer procedures," Release 14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WO2019097929A1 (ja) 2020-11-19
US11516780B2 (en) 2022-11-29
RU2020115031A (ru) 2021-10-29
EP3713358A4 (en) 2020-12-16
RU2020115031A3 (ko) 2021-10-29
WO2019097929A1 (ja) 2019-05-23
US20210195582A1 (en) 2021-06-24
EP3713358A1 (en) 2020-09-23
RU2768273C2 (ru) 2022-03-23
JP7287278B2 (ja) 2023-06-06
EP3713358B1 (en) 2023-08-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206573B2 (en) Terminal apparatus, communication control method and communication control apparatus
US20210360689A1 (en) Communication apparatus, base station apparatus, method, and recording medium
US10749586B2 (en) Terminal device,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and communication method
US10383125B2 (en) Terminal device and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WO2018142784A1 (ja) リレー通信装置、基地局、方法及び記録媒体
US11025329B2 (en) Communication apparatus, communication control method, and computer program
JP7287278B2 (ja) 端末装置、基地局、方法及び記録媒体
US11258483B2 (en) Communication device, communication method, and recording medium
US11711702B2 (en) Communication device, communication method, and recording medium
US20220094501A1 (en) Terminal device, base station device, method, and recording medium
US10897296B2 (en) Terminal apparatus, base station, method and recording medium
US11387874B2 (en) Communication device, communication control method and recording medium
WO2020196279A1 (ja) 通信装置、基地局装置、通信方法、及び基地局装置の制御方法
CN115362736A (zh) 用于无线通信的电子设备和方法、计算机可读存储介质
JP2024012672A (ja) 通信装置、及び通信制御装置
US11849471B2 (en) Communication device, communication method, and recording medium
US10028256B2 (en) Apparatus
KR20210111753A (ko) 통신 장치, 통신 제어 장치, 통신 방법 및 통신 제어 방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