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80137B1 - 실시간 동기화된 로봇 공연 시스템 - Google Patents

실시간 동기화된 로봇 공연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80137B1
KR101280137B1 KR1020120032176A KR20120032176A KR101280137B1 KR 101280137 B1 KR101280137 B1 KR 101280137B1 KR 1020120032176 A KR1020120032176 A KR 1020120032176A KR 20120032176 A KR20120032176 A KR 20120032176A KR 101280137 B1 KR101280137 B1 KR 10128013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rol
midi
robot
control device
sig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321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전병삼
Original Assignee
전병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병삼 filed Critical 전병삼
Priority to KR102012003217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8013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8013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8013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JMANIPULATORS; CHAMBERS PROVIDED WITH MANIPULATION DEVICES
    • B25J11/00Manipulato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5J11/003Manipulators for entertainment
    • B25J11/004Playing a music instrument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JDEVICES FOR THEATRES, CIRCUSES, OR THE LIKE; CONJURING APPLIANCES OR THE LIKE
    • A63J5/00Auxiliaries for producing special effects on stages, or in circuses or arena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JMANIPULATORS; CHAMBERS PROVIDED WITH MANIPULATION DEVICES
    • B25J9/00Programme-controlled manipulators
    • B25J9/16Programme controls
    • B25J9/1602Programme controls characterised by the control system, structure, architecture
    • B25J9/161Hardware, e.g. neural networks, fuzzy logic, interfaces, process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JMANIPULATORS; CHAMBERS PROVIDED WITH MANIPULATION DEVICES
    • B25J9/00Programme-controlled manipulators
    • B25J9/16Programme controls
    • B25J9/1656Programme controls characterised by programming, planning systems for manipulators
    • B25J9/1664Programme controls characterised by programming, planning systems for manipulators characterised by motion, path, trajectory planning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JDEVICES FOR THEATRES, CIRCUSES, OR THE LIKE; CONJURING APPLIANCES OR THE LIKE
    • A63J5/00Auxiliaries for producing special effects on stages, or in circuses or arenas
    • A63J2005/001Auxiliaries for producing special effects on stages, or in circuses or arenas enhancing the performance by involving senses complementary to sight or hearing

Abstract

본 발명은 동작 제어를 위한 시퀀스 파일들을 저장하고 있으며, 미디 신호에 포함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 1 채널에 저장된 키 값에 의해 상기 시퀀스 파일의 선택에 따라 인간형 로봇을 제어하기 위한 제 1 제어장치와, 상기 미디 신호에 포함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 2 채널에 저장된 키 값에 따라 복수개의 연주 로봇들을 제어하기 위한 제 2 제어장치와, 동영상, 음향 및 조명을 제공하기 위한 데이터 파일들을 저장하고 있으며, 상기 미디 신호에 포함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 3 채널에 저장된 키 값에 의해 조명, 음향 및 동영상 제어를 실시하기 위한 무대 제어 장치들과, 상기 미디 신호를 생성하고, 생성된 미디 신호를 채널별로 편집하여 출력하기 위한 미디 장치 및 상기 미디 장치에서 출력하는 미디 신호를 복제하여 상기 제 1 제어장치, 제 2 제어장치 및 무대 제어장치들로 제공하기 위한 미디 신호 분배기를 포함하는 실시간 동기화된 로봇 공연 시스템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실시간 동기화된 로봇 공연 시스템{Real-time synchronized robot performance system}
본 발명은 실시간 동기화된 공연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세트 장치가 설치된 무대에서 배우가 시나리오에 따라 공연을 수행하는 것처럼, 배우에 해당하는 캐릭터 로봇이 세트 장치가 설치된 무대에서 동작하고, 음악을 연주하여 공연을 하도록 하는 로봇을 이용한 로봇 공연이 개발되었다.
로봇 공연에서는 캐릭터 로봇이나 세트 장치를 사용자가 직접 무대의 특정 위치에 배치시키고 공연을 시작하면, 원격 서버나 공연장 내의 제어서버에 의해 캐릭터 로봇, 연주 로봇, 조명 및 디스플레이 장치들이 제어되어 다양한 동작, 음악 및 공연을 제공하게 된다. 또한, 디스플레이 장치 및 관객 반응 센서 등을 이용하여 관객이 직접적으로 공연에 참여하게 함으로써 더욱더 많은 재미를 제공한다.
예를 들면 어린이를 위한 로봇 공연에서는 공연 스토리의 진행, 관객의 호응을 이끌어가기 위한 캐릭터 로봇과, 스토리에 맞는 음악을 연주하는 연주 로봇들, 다양한 영상을 제공하기 위한 디스플레이장치 및 관객의 박수, 몸짓, 손짓 또는 함성 등을 센싱하여 스토리를 이어갈 수 있도록 하는 게임 장치 등이 사용되고 있으며, 이들 각 장치들이 각각 공연 스토리에 맞게 정확한 시간에 움직임으로써 공연의 효과를 극대화 시킬 수 있다.
이를 위해서 각 장치들을 제어하는 제어장치가 필요하며, 각 제어장치의 동작을 공연 스토리에 맞게 동기화 시키기 위한 다양한 기술이 필요하다.
본 발명은 로봇 공연에 사용되는 다양한 장치들의 동작을 동기화 하기 위하여 미디 파일의 특성을 이용함으로써 여러 개의 공연 장치들을 실시간으로 자유롭게 동기화시킬 수 있으므로 로봇 공연 제어를 쉽게 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양질의 로봇 공연을 제공할 수 있는 미디파일을 이용한 실시간 동기화된 로봇 공연 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실시간 동기화된 로봇 공연 시스템은,
동작 제어를 위한 시퀀스 파일들을 저장하고 있으며, 미디 신호에 포함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 1 채널에 저장된 키 값에 의해 상기 시퀀스 파일의 선택에 따라 인간형 로봇을 제어하기 위한 제 1 제어장치; 상기 미디 신호에 포함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 2 채널에 저장된 키 값에 따라 복수개의 연주 로봇들을 제어하기 위한 제 2 제어장치; 동영상, 음향 및 조명을 제공하기 위한 데이터 파일들을 저장하고 있으며, 상기 미디 신호에 포함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 3 채널에 저장된 키 값에 의해 조명, 음향 및 동영상 제어를 실시하기 위한 무대 제어 장치들; 상기 미디 신호를 생성하고, 생성된 미디 신호를 채널별로 편집하여 출력하기 위한 미디 장치 및
상기 미디 장치에서 출력하는 미디 신호를 복제하여 상기 제 1 제어장치, 제 2 제어장치 및 무대 제어장치들로 제공하기 위한 미디 신호 분배기를 포함한다.
상기 미디 장치에서 상기 미디 신호의 각 채널의 키 값을 변경하고, 상기 제 1 내지 제 4 채널의 키 값이 동일한 타임라인 상에 동기화 되어 입력됨으로써 상기 제 1 제어장치, 상기 제 2 제어장치 및 상기 무대 제어장치들이 실시간으로 동기화되어 동작 제어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무대 제어 장치들은,
상기 로봇 공연에 제공되는 배경 음악 등을 제공하기 위한 음향 콘솔과 무대 조명과 영상 제공을 위한 빔 프로젝트를 제어하기 위한 제 3 제어장치와,
상기 로봇 공연의 전체 스토리를 나타내는 동영상을 제공하고, 관객의 움직임, 관객으로부터의 소리 정보를 적용한 스토리 진행을 위한 영상 제어를 실시하는 제 4 제어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실시간 동기화된 로봇 공연 시스템은 로봇 공연에서 사용되는 복수개의 공연 장치들을 하나의 미디 파일을 이용하여 실시간 동기화 시킬 수 있으며, 원하는 공연 장치의 동작 타이밍 및 재생 순서를 쉽게 조절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로봇 공연 시스템을 나타낸다.
도 2는 도1의 로봇 공연 시스템의 제어를 위한 미디 신호 매커니즘을 나타낸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실시 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로봇 공연 시스템을 나타낸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로봇 공연 시스템은 공연 무대 위에 설치되는 무대 장치(100)와, 상기 무대 장치(100)의 각 장치들의 제어를 위한 제어장치들(210 내지 260)을 포함한다.
무대 장치(100)로는 로봇 데스피안(110), 복수개의 연주 로봇(120), 조명용 빔 프로젝트(130), 영상용 빔 프로젝트(140) 및 음향콘솔(150)을 포함한다.
그리고 제어장치들(210 내지 250)로는 미디 장치(210), 미디 신호 분배기(220), 데스피안 제어장치(230), 연주로봇 제어장치(240), 영상 제어장치(250)와 음향 및 조명 제어장치(260)를 포함한다.
로봇 데스피안(110)은 인간형 로봇 장치로서 무대 위에서의 스토리 진행과 관객의 호응 유도 등의 역할을 하는 로봇이고, 복수개의 연주 로봇(120)들은 각각 다양한 형태의 악기 모형으로 구성되거나 각 연주 로봇(120)이 연주하는 악기의 특성을 나타내는 화면을 제공하며, 제어신호에 따라서 각각이 자동 연주를 실시한다.
상기 연주 로봇(120)의 한 예로서, 실로폰 모형의 로봇 형태가 제공되고, 제어신호에 따른 실로폰 연주 모습과 소리를 제공하도록 설계된 로봇 장치가 있을 수 있다.
조명용 빔 프로젝트(130)는 공연을 하는 동안 스토리 진행에 맞도록 무대 위의 조명을 제공한다.
그리고 영상용 빔 프로젝트(140)는 무대위 대형 화면을 통해서 공연 스토리에 따른 다양한 영상을 제공하고, 또한 관객의 호응에 따라 스토리 진행을 달리 제공하게 되는 게임 모드 실행을 위한 화면을 제공한다.
음향 콘솔(150)은 공연에 필요한 효과 음향 등을 제공한다.
상기의 무대장치(100)의 동작을 위한 제어장치들(210 내지 260)의 주요 기능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미디장치(210)는 미디(MIDI; Musical Instrument Digital Interface) 규약에 따라 생성된 미디 파일을 이용한 미디 신호를 발생시킬 수 있는 미디 인터페이스가 부착된 전자 악기의 일종이다.
미디 규약은 신시사이저, 리듬 머신, 시퀀스, 컴퓨터 등의 연주 정보를 상호 전달하기 위해 정해진 데이터 전송 규격이다. 오랜기간 동안 공개되어 실무에 사용되었기 때문에 대부분의 음악, 영상, 공연 관련 기기 또는 소프트웨어(S/W) 등에 쉽게 호환되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미디 규약에 메타 파일이라는 공학적 개념을 활용하여 무대장치(100)의 다양한 장치들의 동작을 동기화 시키는 신호 발신용으로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메타파일(metafile)은 다른 파일을 설명하거나 정의 하는 정보를 담고 있는 파일을 말한다.
미디장치(210)에서 동작하는 소프트웨어로서는 Winamp와 같은 미디 인터페이스가 부탁된 전자 악기 동작하는 소프트웨어 등이 있다.
미디신호 분배기(220)는 미디 장치(210)가 발생시키는 미디 신호를 복제하여 여러개의 포트로 전달한다.
데스피안 제어장치(230)는 미디신호 분배기(220)가 복제하여 제공하는 미디 파일을 이용하여 로봇 데스피안(110)의 동작 제어를 위한 제어신호를 출력한다.
데스피안 제어장치(230)는 제어신호 수신PC(231)와 제어PC(232)를 포함한다. 상기 제어신호 PC(231)는 미디신호를 수신할 수 있는 포트가 장착된 PC로서, 데스피안 제어S/W를 탑재하고 있다. 그리고 상기 데스피안 제어S/W를 구동하여 수신되는 미디 신호에서 로봇 데스피안 제어를 위한 제어신호를 추출하여 제어PC(232)로 제공한다.
제어 PC(232)는 제어신호 수신PC(231)에서 제공하는 제어신호에 따라서 로봇 데스피안(110)의 동작을 제어한다. 상기 로봇 데스피안(110)의 동작에는 몸체의 동작 뿐만 아니라, 음성 출력 등의 로봇 데스피안(100)의 모든 기능 동작 제어를 포함한다.
한편, 연주로봇 제어장치(240)는 미디신호에 응답하여 복수개의 연주로봇(120)을 제어하는 신호를 출력한다.
연주 로봇 제어신호(240)는 로봇제어PC(241)와 통신모듈(242)을 포함한다.
로봇제어PC(241)는 통합제어S/W를 이용하여 미디신호를 연주로봇(120)들이 인식할 수 있는 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한다. 이를 위해 로봇 제어PC(241)에도 미디 신호 수신을 위한 미디포트가 연결된다.
로봇제어PC(241)가 출력하는 변환된 신호는 통신모듈(242)을 통해서 각각의 연주로봇(120)으로 전달된다.
상기 통신모듈(242)로는 RS-485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영상 제어장치(250)는 미디신호를 이용하여 영상용 빔 프로젝트(140)의 동작 제어를 위한 제어신호를 출력한다.
영상 제어장치(250)는 영상제어PC(251), 게임제어PC(252) 및 VGA(Video Graphics Array) 선택기(253)를 포함한다. 상기 영상제어PC(251), 게임제어PC(252)에도 미디신호 수신을 위한 미디포트가 연결된다.
영상 제어PC(251)는 VDMX라는 맥(MAC) 기반의 프로 DJ 소프트웨어를 이용하여 미디신호를 수신하여 특정 메시지에 준비된 시퀀스를 빔 프로젝트를 통해 대형 화면에 재생하도록 한다.
상기 VDMX는 다중 채널 실시간 영상 믹싱, 각종 마스트, 시각화 라이브러리 등을 활용할 수 있는 소프트 웨어로서, 로봇 공연 시스템에서 실시간 영상 믹싱 기능을 이용하여 미디어 파사드 연출을 위해 사용하게 된다.
VDMX는 4포트(port) 이상의 미디신호 분배 출력이 가능한 장치로서, 다중 영상의 다이나믹한 매핑과 외부 동기신호에 반응한 영상 제작이 가능하도록 해준다.
그리고 게임 제어PC(252)는 공연 중에 관객의 호응에 따라 스토리를 진행할 수 있는 게임 제어를 위한 프로세싱이 가능한 것으로, 관객의 몸짓이나 환호, 박수소리 등을 감지하는 센서 기능을 포함하고 있으며, 각각 센싱되는 관객의 몸짓, 환호 또는 박수소리 등에 따라서 영상용 빔 프로젝트(140)에 제공되는 영상을 변경하거나 제어할 수 있다.
상기 게임제어PC(252)에서의 프로세싱 과정은 오픈 소스 기반의 수준 높은 체험형 컨텐츠 제작을 손쉽게 만들어 낼 수 있으며, 기본적으로는 자바(JAVA) 기반의 언어를 사용하여 다양한 컴퓨터(PC)에서의 적응이 가능하고, 공연의 컨셉이나 상황에 따라서 능동적으로 프로그램 설정 및 대응이 가능하게 한다.
그리고 VGA 선택기(253)는 영상제어PC(251), 게임제어PC(252)에서 제공하는 영상 정보를 상기 영상용 빔 프로젝트(140)의 규격에 맞게 제공한다.
음향 및 조명 제어장치(260)의 영상 제어PC(261) 역시 미디신호를 수신할 수 있는 미디 포트에 연결되며, VDMX 에 따라 미디 신호에서 음향 및 조명 신호 등을 음향콘솔(150) 및 조명용 빔프로젝트(130)에 제공한다.
상기의 로봇 공연 시스템에서 제어장치들(210 내지 260)은 각각 미디신호 분배기(220)가 복제하여 제공하는 동일한 미디 신호를 이용하여 무대 장치(100)를 제어한다.
미디신호는 기본적으로 메타 신호의 집합이므로, 신호를 전달받는 제어장치들(230 내지 260)의 종류에 따라서 채널 및 타임라인에 표시된 신호를 다양하게 해석하여 동작 제어에 적용한다.
따라서 공연중에 무대장치(100)의 각 장치들의 동작을 동기화 시키기 위한 동기화 신호를 하나의 미디파일 안에 표시할 수 있다.
다음은 하나의 미디 파일에 적용시키는 미디 신호 매커니즘의 예를 나타낸다.
도 2는 도1의 로봇 공연 시스템의 제어를 위한 미디 신호 매커니즘을 나타낸다.
도 2를 참조하며, 각 채널 및 타임라인에서 키(key) 값에 따라 각 제어장치(230 내지 260)들이 어떻게 신호를 해석하는지를 간략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를 참조하면, 미디 신호에 7개의 채널(CH1 내지 CH7)이 포함되어 있을때, 동일한 타임라인을 사용하며 각 타임라인에서의 채널별로 다양한 키 값이 저장되어 있다.
도 2에서 채널1(CH1)은 음향 및 조명 제어장치(260)의 영상제어PC(261)의 VDMX가 동작 제어를 위한 신호로 인식한다.
VDMX는 채널(CH1)의 타임라인에 나타나는 '1'키값을 첫 번째 영상을 시작하라는 신호로 해석하게 된다. 여기서 조명 역시 일종의 영상을 출력하는 것과 유사하므로 영상 데이터에 의해서 조명 제어하는 것으로 설명하였다. 그밖에 조명장치의 온/오프를 제어하는 신호로 사용되는 것도 가능하다.
그리고 첫번째 영상 재생을 위한 제어신호를 출력하게 된다. 이를 위해서는 영상 제어PC(261)에 영상 재생을 위한 영상이나 음향 데이터를 막 단위로 구성하여 저장시켜야 한다. 즉, 공연을 위한 음향, 영상의 데이터 파일은 영상제어PC(261)에 미리 저장되어 있으며, 미디 신호를 통해서 각 음향 또는 조명에 관련된 영상 데이터의 실행만을 제어한다.
따라서 영상, 음향 파일을 수정하는 것이 아니라, 각 재생순서와, 타이밍 조절을 미디신호를 통해 실시하게 된다.
마찬가지로, 채널1(Ch1)의 '2' 킷값은 두 번째 영상 파일을 재생하라는 의미로 해석하게 되고, 이에 따라 영상제어PC(261)가 두 번째로 저장된 영상 재생을 위한 제어신호를 출력한다.
또한 영상 제어장치(250)의 영상제어PC(251)는 채널2(Ch2)의 키 값에 따라 제어신호를 출력한다고 하면, 채널2(Ch2)의 타임라인에 나타나는 키 값 '1', '2'등에 따라서 첫 번째, 두 번째 영상을 재생하도록 한다.
이를 위해서 상기 영상 제어PC(251)에도 내부적으로 막단위로 재생해야 하는 동영상이 차례로 저장되어 있다.
또한 게임제어PC(252)는 채널3(Ch3)의 키 값에 따라 제어신호를 출력한다고 할때, 게임제어PC(252)이 프로세싱 소프트웨어는 채널3(Ch3)의 타임라인에 '3' 키 값을 게임 시작의 신호로 인식하고 관객의 호응에 따른 스토리 진행을 위한 게임을 시작하도록 영상을 제공할 수 있다.
그리고 연주로봇 제어장치(240)의 로봇 제어 PC(241)는 채널5(Ch5)의 키 값에 따라 연주 로봇(120)들의 동작을 제어한다.
즉, 채널5(Ch5)의 타임라인에 '10'이라는 키 값을 두 번째 곡의 재생을 준비하라는 신호로 해석하여 연주로봇(120)이 연주할 두 번째 곡을 준비하고, '2' 키 값이 입력되는 타임라인에 맞추어 두 번째 곡의 연주를 시작하도록 연주로봇(120)들을 제어한다.
이때, 연주로봇(120)들의 연주를 위한 연주 파일들은 미디파일에 모두 저장시킬 수 있으며, 미디 파일내의 음계정보에 따라서 연주로봇(120)들은 다양한 악기연주를 제공한다.
채널7(Ch7)이 로봇 데스피안(110) 제어를 위해 사용된다면, 제어신호 수신 PC(231)의 데스피안 제어S/W가 미디신호의 채널7(Ch7)의 키 값에 따라서 로봇 데스피안(110)의 목소리 출력, 손짓, 발짓, 몸짓 등의 동작 제어를 위한 제어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이때 로봇 데스피안(110)의 동작을 일정 분량이 시퀀스로 나누고, 영상과 유사하게 각 시퀀스 별로 제어동작에 대한 데이터를 미리 데스피안 저장장치(230)에 저장해 두고, 미디 신호의 채널7(Ch7)의 키 값에 따라 동작을 제어하도록 한다.
또한, 배경 음악의 경우에는 영상 파일과 함께 인코딩하여 배경이 되는 영상이 제공되는 시점에 함께 제공될 수 있게 할 수 있다.
상기의 미디신호의 특징을 이용함으로써, 다양한 무대 장치(100)들의 동작이 동일 타임라인에서 동기화 되어 제어될 수 있고, 영상이나 음악파일 자체를 수정하는 것이 아니므로 공연 기획자의 의도에 따라 미디 신호의 키 값 조절만으로 다양한 공연 스토리의 제공이 보다 쉬워지게 된다.
상기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바람직한 실시 예에서 구체적으로 기술되었으나, 상기한 실시 예는 그 설명을 위한 것이며 그 제한을 위한 것이 아님을 주의하여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본 발명의 기술분야의 통상의 전문가라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다양한 실시예가 가능함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0 : 무대장치 110 : 로봇 데스피안
120 : 연주로봇 130 : 조명용 빔 프로젝트
140 : 영상용 빔 프로젝트 150 : 음향콘솔
210 : 미디장치 220 : 미디신호 분배기
230 : 데스피안 제어장치
240 : 연주로봇 제어장치
250 : 영상 제어장치
260 : 음향 및 조명 제어장치

Claims (5)

  1. 로봇 공연 시스템에 있어서,
    동작 제어를 위한 시퀀스 파일들을 저장하고 있으며, 미디 신호에 포함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 1 채널에 저장된 키 값에 의해 상기 시퀀스 파일의 선택에 따라 인간형 로봇을 제어하기 위한 제 1 제어장치, 상기 미디 신호에 포함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 2 채널에 저장된 키 값에 따라 복수개의 연주 로봇들을 제어하기 위한 제 2 제어장치, 동영상, 음향 및 조명을 제공하기 위한 데이터 파일들을 저장하고 있으며, 상기 미디 신호에 포함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 3 채널에 저장된 키 값에 의해 조명, 음향 및 동영상 제어를 실시하기 위한 무대 제어 장치들, 상기 미디 신호를 생성하고, 생성된 미디 신호를 채널별로 편집하여 출력하기 위한 미디 장치 및상기 미디 장치에서 출력하는 미디 신호를 복제하여 상기 제 1 제어장치, 제 2 제어장치 및 무대 제어장치들로 제공하기 위한 미디 신호 분배기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내지 제 3 채널의 키 값은 각각 상기 제 1 제어장치, 상기 제 2 제어장치 및 상기 무대 제어장치들에 따라서 서로 다른 신호로 인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시간 동기화된 로봇 공연 시스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미디 신호의 적어도 하나의 제 4 채널을 통해서 상기 연주 로봇의 연주 동작을 위한 음계 정보가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시간 동기화된 로봇 공연 시스템.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미디 장치에서 상기 미디 신호의 각 채널의 키 값을 변경하고, 상기 제 1 내지 제 4 채널의 키 값이 동일한 타임라인 상에 동기화 되어 입력됨으로써 상기 제 1 제어장치, 상기 제 2 제어장치 및 상기 무대 제어장치들이 실시간으로 동기화되어 동작 제어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시간 동기화된 로봇 공연 시스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무대 제어 장치들은,
    상기 로봇 공연에 제공되는 배경 음악 등을 제공하기 위한 음향 콘솔과 무대 조명과 영상 제공을 위한 빔 프로젝트를 제어하기 위한 제 3 제어장치와,
    상기 로봇 공연의 전체 스토리를 나타내는 동영상을 제공하고, 관객의 움직임, 관객으로부터의 소리 정보를 적용한 스토리 진행을 위한 영상 제어를 실시하는 제 4 제어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시간 동기화된 로봇 공연 시스템.
  5. 삭제
KR1020120032176A 2012-03-29 2012-03-29 실시간 동기화된 로봇 공연 시스템 KR10128013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32176A KR101280137B1 (ko) 2012-03-29 2012-03-29 실시간 동기화된 로봇 공연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32176A KR101280137B1 (ko) 2012-03-29 2012-03-29 실시간 동기화된 로봇 공연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80137B1 true KR101280137B1 (ko) 2013-06-28

Family

ID=488678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32176A KR101280137B1 (ko) 2012-03-29 2012-03-29 실시간 동기화된 로봇 공연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80137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12202A (ko) 2015-03-18 2016-09-28 코이안(주) 악기 연주 로봇 통합 제어 장치
KR101768633B1 (ko) * 2015-04-08 2017-08-17 (주)이산솔루션 로봇을 이용한 공연 시스템
KR101768614B1 (ko) * 2015-04-08 2017-08-18 (주)이산솔루션 로봇 통합 공연을 위한 프로토콜 처리 방법
CN114559443A (zh) * 2022-02-28 2022-05-31 林楚强 吉他机器人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182683A (ja) * 1992-12-18 1994-07-05 Koichi Wada Midiによるロボット制御装置及び方法
KR101107600B1 (ko) * 2009-12-29 2012-01-25 한국생산기술연구원 공연용 로봇의 통신 장치 및 방법, 그리고 이를 행하는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매체, 그리고 그 로봇 공연 시스템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182683A (ja) * 1992-12-18 1994-07-05 Koichi Wada Midiによるロボット制御装置及び方法
KR101107600B1 (ko) * 2009-12-29 2012-01-25 한국생산기술연구원 공연용 로봇의 통신 장치 및 방법, 그리고 이를 행하는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매체, 그리고 그 로봇 공연 시스템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12202A (ko) 2015-03-18 2016-09-28 코이안(주) 악기 연주 로봇 통합 제어 장치
KR101768633B1 (ko) * 2015-04-08 2017-08-17 (주)이산솔루션 로봇을 이용한 공연 시스템
KR101768614B1 (ko) * 2015-04-08 2017-08-18 (주)이산솔루션 로봇 통합 공연을 위한 프로토콜 처리 방법
CN114559443A (zh) * 2022-02-28 2022-05-31 林楚强 吉他机器人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779708B2 (en) Networks of portable electronic devices that collectively generate sound
US9808724B2 (en) Music game software and input device utilizing a video player
US11178457B2 (en) Interactive music creation and playback method and system
KR101280137B1 (ko) 실시간 동기화된 로봇 공연 시스템
US20110095874A1 (en) Remote switch to monitor and navigate an electronic device or system
KR100320036B1 (ko) 디지털 음악 파일을 악기별로 연주가 가능한 연주용파일로 변환하는 방법 및 그를 이용한 음악 연주시스템
TWI559299B (zh) 演唱視覺特效系統及演唱視覺特效處理方法
KR101260017B1 (ko) 오디오 채널 간의 동기화를 위한 오디오 재생 장치
KR102087491B1 (ko) 반주기와 연결되는 악보영상출력장치 및 이를 이용한 악보영상출력방법
US7760991B2 (en) Multimedia data reproducing apparatus
Wagner et al. Introducing the zirkonium MK2 system for spatial composition
JP2016071433A (ja) コンテンツ生成装置、コンテンツ生成方法、コンテンツ生成プログラム、及びコンテンツ生成システム
JP2009005012A (ja) データ配信装置、データ配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WO2017119115A1 (ja) 音響制御システム
WO2018016008A1 (ja) 音響機器制御操作入力装置、および音響機器制御操作入力プログラム
EP3518230A1 (en) Generation and transmission of musical performance data
JP7434083B2 (ja) カラオケ装置
KR102524870B1 (ko) 미디 음악 기반의 안무 영상 콘텐츠 서비스 장치 및 방법과, 이를 기록한 컴퓨팅 장치에 의해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KR20040104200A (ko) 상이한 드라이버의 오디오데이터를 내부 소프트웨어만으로제어하는 장치 및 이를 제어하는 방법
JP5111422B2 (ja) コンテンツ制作システム及びコンテンツ制作プログラム
JP4306410B2 (ja) 汎用入出力ポート制御情報作成装置
KR101268994B1 (ko) 외부 장치와 연동할 수 있는 미디 재생 장치 및 미디 재생 방법
US20230269435A1 (en) System and method for the creation and management of virtually enabled studio
JP2017015957A (ja) 演奏記録装置およびプログラム
JP5800155B2 (ja) カラオケ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15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