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07118B1 - 모바일 단말기의 터치 입력부 위치 설정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모바일 단말기의 터치 입력부 위치 설정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07118B1
KR101107118B1 KR1020100094499A KR20100094499A KR101107118B1 KR 101107118 B1 KR101107118 B1 KR 101107118B1 KR 1020100094499 A KR1020100094499 A KR 1020100094499A KR 20100094499 A KR20100094499 A KR 20100094499A KR 101107118 B1 KR101107118 B1 KR 10110711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put unit
touch input
touch
user
set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944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강우
Original Assignee
(주)블루지앤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블루지앤씨 filed Critical (주)블루지앤씨
Priority to KR102010009449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0711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0711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0711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2Digitisers structurally integrated in a displa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6Control or interface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digitisers
    • G06F3/04164Connections between sensors and controllers, e.g. routing lines between electrodes and connection pad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06F3/04886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by partitioning the display area of the touch-screen or the surface of the digitising tablet into independently controllable areas, e.g. virtual keyboards or menu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40Circuits
    • H04B1/401Circuits for selecting or indicating operating mod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터치 패널을 구비한 모바일 단말기상에서 게임 애플리케이션을 실행시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는 입력부의 위치를 사용자의 요구에 따라 변화시킬 수 있는 터치 입력부 위치 설정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은 모바일 단말기의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함에 있어, 터치스크린 상에 터치 입력부의 위치를 설정하는 터치 입력부 위치 설정 장치에 있어서, 사용자로부터 터치 입력부의 위치 설정을 실행하도록 하는 설정명령을 입력받고, 사용자에 의해 지정된 위치에 상기 터치 입력부의 위치를 설정하는 제어부와; 사용자에게 터치 입력부를 표시하고, 해당 위치의 터치를 감지하여 이를 상기 제어부로 전달하는 터치스크린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표시부와; 애플리케이션 실행시 저장된 위치에 상기 터치 입력부를 설정하도록, 상기 터치 입력부의 설정된 위치를 저장하는 저장부; 그리고 사용자로부터 키 입력을 입력받기 위한 키입력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본 발명에 따르면, 모바일 단말기를 이용하여 게임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경우, 터치 입력부의 위치/배열/형태를 사용자가 원하는 대로 설정하여, 게임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모바일 단말기의 터치 입력부 위치 설정 방법 및 장치 {SETTING APPARATUS AND METHOD FOR TOUCH INPUT LOCATION OF MOBILE TERMINAL}
본 발명은 터치 패널을 구비한 모바일 단말기상에서 게임 애플리케이션을 실행시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는 입력부의 위치를 사용자의 요구에 따라 변화시킬 수 있는 터치 입력부 위치 설정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휴대폰이나 PDA 등과 같은 모바일 단말기에는 사용자의 조작을 위한 각종 버튼이 마련된 키패드가 구비되어 있고 또한 문자ㆍ화상ㆍ동영상 등을 표시하기 위한 표시부가 구비되어 있다. 이러한 모바일 단말기를 이용하여, 사용자는 외부의 무선 인터넷 포털 사이트 등에 접속하여 다양한 컨텐츠를 전송받아볼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무선 인터넷 등에 접속하여 온라인 게임을 즐기거나 또는 게임 소프트웨어를 다운로드 받아 모바일 단말기에 설치한 후에 모바일 단말기의 키패드를 조작하여 게임을 즐긴다.
그런데, 최근 모바일 단말기는 별도의 키 버튼이 구비되지 않고, 전면에 터치 스크린이 구비되어, 터치 패널 상에 키패드를 구비하여, 해당위치의 터치 입력에 따라 사용자 명령을 입력받는 단말기의 형태가 주종을 이루고 있다.
이에 따라, 터치 입력 방식의 모바일 단말기 상에서 게임 애플리케이션을 구동하는 경우, 해당 게임의 실행에 필요한 조작키에 따라 별도의 입력부를 터치 패널상에 제공하여 이를 통해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는 단말기가 개발되어 제공된다.
대한민국 특허 공개 제10-2005-0016149호(종래기술 1)에는 터치 패널 상에 사용자 입력부 UI(조작영상)를 제공하고, 이를 통해 게임 진행을 위한 사용자 명령을 입력받는 내용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종래 기술 1에서는, 제공되는 사용자 입력부의 위치/배열/형태가 게임상에서 설정된 것으로 제한되므로, 사용자의 다양한 기호에 따라 터치 입력부를 재구성하여 다양하게 사용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대한민국 특허 공개 제10-2007-0052583호(종래 기술 2)에서는 사용자가 터치 입력부의 배열을 다양하게 변화시킬 수 있는 내용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종래기술 2에서는 모바일 단말기가 기 설정된 복수 개의 템플릿을 제공하고, 제공된 템플릿 중 어느 하나의 배열을 선택하여 터치 입력부를 설정하도록 하고 있어, 이 역시 개인별로 다양한 기호에 따라 원하는 위치 배열에 따라 터치 입력부를 설정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터치 입력 방식의 모바일 단말기에서 다양한 게임을 즐길 경우, 사용자가 원하는 위치/배열/형태의 터치 입력부를 제공하는 모바일 단말기의 터치 입력부 위치 설정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은 모바일 단말기의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함에 있어, 터치스크린 상에 터치 입력부의 위치를 설정하는 터치 입력부 위치 설정 장치에 있어서, 사용자로부터 터치 입력부의 위치 설정을 실행하도록 하는 설정명령을 입력받고, 사용자에 의해 지정된 위치에 상기 터치 입력부의 위치를 설정하는 제어부와; 사용자에게 터치 입력부를 표시하고, 해당 위치의 터치를 감지하여 이를 상기 제어부로 전달하는 터치스크린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표시부와; 애플리케이션 실행시 저장된 위치에 상기 터치 입력부를 설정하도록, 상기 터치 입력부의 설정된 위치를 저장하는 저장부; 그리고 사용자로부터 키 입력을 입력받기 위한 키입력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모바일 단말기의 터치 입력부 위치 설정 장치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설정명령은, 상기 터치 입력부 중 사용자에 의해 기 설정된 특정 위치에 입력이 이루어지는 것일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설정명령은, 사용자에 의해 상기 터치 입력부에 기 설정된 형태의 입력이 이루어지는 것이고; 상기 기 설정된 형태는, 터치 입력의 회수 및 시간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것일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설정명령은, 상기 키입력부의 입력과 터치 입력부의 터치 입력이 동시에 이루어지는 것일 수도 있다.
한편, 본 발명은 모바일 단말기의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함에 있어, 터치스크린 상에 터치 입력부의 위치를 설정하는 터치 입력부 위치 설정하는 방법에 있어서, (A) 애플리케이션 실행시 기 저장된 위치에 상기 터치 입력부를 설정하는 단계와; (B) 사용자로부터 터치 입력부의 위치 설정을 실행하도록 하는 설정명령을 입력받는 단계와; (C) 사용자에 의해 지정된 위치에 상기 터치 입력부의 위치를 설정하는 단계; 그리고 (D) 설정된 터치 입력부의 위치를 메모리에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수행되는 모바일 단말기의 터치 입력부 위치 설정 방법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모바일 단말기를 이용하여 게임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경우, 터치 입력부의 위치/배열/형태를 사용자가 원하는 대로 설정하여, 게임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모바일 단말기를 이용하여 게임 애플리케이션이 실행 중인 경우, 상기 애플리케이션의 실행 상태 및 사용자의 상태에 따라 터치 입력부의 위치/배열/형태를 사용자가 원하는 대로 설정하여, 실행 애플리케이션에 최적화된 터치 입력부를 제공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모바일 단말기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모바일 단말기에서 터치 입력부의 위치를 설정하는 제1실시예를 도시한 예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모바일 단말기에서 터치 입력부의 위치를 설정하는 제2실시예를 도시한 예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모바일 단말기에서 터치 입력부의 위치를 설정하는 제3실시예를 도시한 예시도.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의한 모바일 단말기의 터치 입력부 위치 설정 장치의 구성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모바일 단말기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이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기존의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 제공되는 구성인 제어부(100)와 카메라부(103)와 같은 각종 부속회로들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다만, 그 구성들은 선택적인 것으로 본 발명의 필수적인 구성은 아니며, 실시예에 따라서는 동일한 명칭의 기능 블록에서 새로운 역할(기능)을 추가적으로 실시할 수 있다.
상기 부속회로에는 사이드 키와 같이 단말기 측면 등의 외부에 부착된 키의 입력을 검출하는 키 입력부(104)와 안테나를 통해 송수신되는 무선신호로부터 음성 및 데이터 신호를 추출하는 무선 통신부(102)와, 상기 무선 통신부로부터의 음성 통화 신호를 마이크 및 스피커를 통해 입출력하는 음성 입출력부(101)를 포함한다.
아울러, 본 발명에서는 특징적으로 메뉴 및 동작상태를 표시와 입력 수단으로 사용하는 표시부(105)를 구비하는데, 상기 표시부(105)는 키패드 기능과 디스플레이 기능을 동시에 수행한다.
즉, 상기 표시부(105)는 터치스크린(105a)을 구비하여 키 입력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제어부(100)는 상기 표시부(105)를 제어하여 통화와 관련된 각종 정보의 표시 및 통화 중 상태에서 사용자의 키 입력을 받아 해당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기능 이외에, 본 발명에서 추가적으로 표시부(105)를 제어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위치 및 배열로 터치 입력부를 이동시켜 디스플레이하고, 그 화면으로부터 사용자의 키 입력을 검출하여 처리할 수 있도록 한다.
즉, 상기 제어부(100)는 사용자가 터치 입력부의 위치를 변경(설정)하고자 하는 경우, 사용자로부터 설정신호를 입력받고, 상기 설정신호가 입력된 경우, 사용자가 지정한 위치로 상기 터치 입력부의 위치를 변경하여 설정한다.
이때, 상기 설정신호는 다양한 방법으로 입력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상기 터치 입력부의 특정위치를 입력하는 것을 상기 설정신호의 입력으로 인식하도록 할 수도 있고, 상기 터치 입력부를 지정된 방법(회수/시간)으로 터치하는 것을 상기 설정신호의 입력으로 인식하도록 할 수도 있으며, 또 다르게는 상기 키 입력부의 키입력을 상기 설정신호의 입력으로 인식하도록 할 수도 있다.
아울러, 본 발명에 의한 모바일 단말기는 사용자가 이전에 설정한 터치 입력부의 위치를 저장하기 위한 메모리(107)를 추가로 구비한다.
여기서 상기 터치 입력부란, 실행되는 애플리케이션에 따라 사용자로부터 터치 입력을 받을 부분으로, 상기 사용자입력의 종류를 해당 부분에 디스플레이 하고, 사용자의 터치 위치를 인식하여 해당 실행명령을 실행하도록 하는 부분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상기 실행 애플리케이션이 게임인 경우, 이동을 위한 4방향의 이동 키 입력 위치와 기능 입력을 위한 입력키 위치가 터치 입력부가 될 수 있다.
이하,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의한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의 터치 입력부를 설정하는 방법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 제 1 실시예 -
도 2에는 본 발명에 의한 모바일 단말기에서 터치 입력부의 위치를 설정하는 제1실시예가 예시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실시예는, 사용자가 게임 애플리케이션을 실행시에 사용자가 표시부(105) 상에 표시된 터치 입력부(200) 중 특정 위치를 터치하는 경우, 이를 상기 제어부(100)가 설정신호로 인식한다.
즉, 상기 터치 입력부(200) 중 방향 입력부(210) 중심의 원형부를 터치하는 경우, 이를 상기 방향 입력부(210)의 위치를 재설정하고자 하는 설정신호로 인식한다.
그리고 사용자가 상기 방향 입력부(210) 중 중심의 원형부를 터치한 상태에서 원하는 위치로 드래그한 후, 상기 터치를 해제하면, 상기 제어부(100)는 터치가 해제된 위치로 상기 방향 입력부(210)의 터치 입력위치를 설정하고, 이를 메모리(107)에 저장한다.
- 제 2 실시예 -
도 3에는 본 발명에 의한 모바일 단말기에서 터치 입력부의 위치를 설정하는 제2실시예가 예시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2실시예는, 사용자가 게임 애플리케이션을 실행시에 사용자가 표시부(105) 상에 표시된 터치 입력부(200)를 특정 형태로 터치하는 경우, 이를 상기 제어부(100)가 설정신호로 인식한다. 이때 상기 특정 형태라 함은, 터치의 연속된 회수 또는 숏터치와 롱터치의 조합 등을 말하는 것으로 터치의 회수 및 시간의 조합에 따라 설정된 특정 형태를 의미한다.
즉, 상기 터치 입력부(200) 중 방향 입력부(210) 또는 기능 키 입력부(220)(A 또는 B)을 연속하여 3회 터치하는 경우(이 경우, 연속된 3회의 터치입력이 설정신호로 설정된 경우이다), 이를 상기 터치 입력부(200)의 위치를 재설정하고자 하는 설정신호로 인식한다.
그리고 사용자가 상기 터치 입력부(200)를 터치한 상태에서 원하는 위치로 드래그한 후, 터치를 해제하면, 상기 제어부(100)는 터치가 해제된 위치에 상기 터치 입력부(200)를 설정하고, 이를 메모리(107)에 저장한다.
- 제 3 실시예 -
도 4에는 본 발명에 의한 모바일 단말기에서 터치 입력부의 위치를 설정하는 제3실시예가 예시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3실시예는, 사용자가 게임 애플리케이션을 실행시에 사용자가 키입력부(104)에 키 입력을 가하고, 이와 동시에 터치 입력부(200)에 터치 입력이 이루어지는 경우, 이를 상기 제어부(100)가 설정신호로 인식한다.
즉, 상기 키입력부(104)를 누른 상태에서, 터치 입력부(200) 중 방향 입력부(210)을 터치하는 경우, 이를 상기 방향 입력부(210)의 위치를 재설정하고자 하는 설정신호로 인식한다.
그리고 사용자가 상기 방향 입력부(210)를 터치한 상태에서 원하는 위치로 드래그한 후, 터치를 해제하고, 이와 더블어 상기 키입력부(104)의 키 입력이 해제되면, 상기 제어부(100)는 터치가 해제된 위치에 상기 방향 입력부(210)의 터치 입력 위치를 설정하고, 이를 메모리(107)에 저장한다.
전술한 상기 제1실시예 및 제2실시예의 경우, 터치 입력만으로 터치 입력부의 위치를 재설정(변경)할 수 있는 장점이 있지만, 실행되는 애플리케이션의 입력형태와 중복되어 사용자가 의도하지 않은 실행이 이루어질 수 있고, 제3실시예의 경우, 키입력부(104)를 사용하여야 하는 단점은 있으나, 애플리케이션 실행 상에 혼등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의 권리는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청구범위에 기재된 바에 의해 정의되며, 본 발명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청구범위에 기재된 권리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과 개작을 할 수 있다는 것은 자명하다.
예를 들어, 본 명세서에서는 상기 애플리케이션을 설명의 편의상 게임 애플리케인션인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다양한 애플리케이션이 적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은 터치 패널을 구비한 모바일 단말기상에서 게임 애플리케이션을 실행시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는 입력부의 위치를 사용자의 요구에 따라 변화시킬 수 있는 터치 입력부 위치 설정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의하면, 본 발명에 따르면, 모바일 단말기를 이용하여 게임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경우, 터치 입력부의 위치/배열/형태를 사용자가 원하는 대로 설정하여, 게임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100 : 제어부 101 : 음성 입출력부
102 : 무선 통신부 103 : 카메라부
104 : 키 입력부 105 : 표시부
105a : 터치스크린 107 : 메모리
200 : 터치 입력부 210 : 방향 입력부
220 : 기능키 입력부

Claims (8)

  1. 모바일 단말기의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함에 있어, 터치스크린 상에 터치 입력부의 위치를 설정하는 터치 입력부 위치 설정 장치에 있어서,
    사용자로부터 터치 입력부의 위치 설정을 실행하도록 하는 설정명령을 입력받고, 사용자에 의해 지정된 위치에 상기 터치 입력부의 위치를 설정하는 제어부와;
    사용자에게 터치 입력부를 표시하고, 해당 위치의 터치를 감지하여 이를 상기 제어부로 전달하는 터치스크린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표시부와;
    애플리케이션 실행시 상기 터치 입력부의 위치를 설정하도록, 상기 터치 입력부의 설정된 위치를 저장하는 저장부; 그리고
    사용자로부터 키 입력을 입력받기 위한 키입력부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단말기의 터치 입력부 위치 설정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설정명령은,
    상기 터치 입력부 중 사용자에 의해 기 설정된 특정 위치에 입력이 이루어지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단말기의 터치 입력부 위치 설정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설정명령은,
    사용자에 의해 상기 터치 입력부에 기 설정된 형태의 입력이 이루어지는 것이고;
    상기 기 설정된 형태는, 터치 입력의 회수 및 시간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단말기의 터치 입력부 위치 설정 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설정명령은,
    상기 키입력부의 입력과 터치 입력부의 터치 입력이 동시에 이루어지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단말기의 터치 입력부 위치 설정 장치.
  5. 모바일 단말기의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함에 있어, 터치스크린 상에 터치 입력부의 위치를 설정하는 터치 입력부 위치 설정하는 방법에 있어서,
    (A) 애플리케이션 실행시 기 저장된 위치에 상기 터치 입력부를 설정하는 단계와;
    (B) 사용자로부터 터치 입력부의 위치 설정을 실행하도록 하는 설정명령을 입력받는 단계와;
    (C) 사용자에 의해 지정된 위치에 상기 터치 입력부의 위치를 설정하는 단계; 그리고
    (D) 설정된 터치 입력부의 위치를 메모리에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수행됨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단말기의 터치 입력부 위치 설정 방법.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설정명령은,
    상기 터치 입력부 중 사용자에 의해 기 설정된 특정 위치에 입력이 이루어지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단말기의 터치 입력부 위치 설정 방법.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설정명령은,
    사용자에 의해 상기 터치 입력부에 기 설정된 형태의 입력이 이루어지는 것이고;
    상기 기 설정된 형태는, 터치 입력의 회수 및 시간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단말기의 터치 입력부 위치 설정 방법.
  8.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설정명령은,
    상기 키입력부의 입력과 터치 입력부의 터치 입력이 동시에 이루어지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단말기의 터치 입력부 위치 설정 방법.
KR1020100094499A 2010-09-29 2010-09-29 모바일 단말기의 터치 입력부 위치 설정 방법 및 장치 KR10110711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94499A KR101107118B1 (ko) 2010-09-29 2010-09-29 모바일 단말기의 터치 입력부 위치 설정 방법 및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94499A KR101107118B1 (ko) 2010-09-29 2010-09-29 모바일 단말기의 터치 입력부 위치 설정 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07118B1 true KR101107118B1 (ko) 2012-01-30

Family

ID=456144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94499A KR101107118B1 (ko) 2010-09-29 2010-09-29 모바일 단말기의 터치 입력부 위치 설정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07118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217815A (ja) 2008-03-07 2009-09-24 Samsung Electronics Co Ltd タッチスクリーンを備える携帯端末機のユーザインターフェース装置及びその方法{userinterfaceapparatusofmobilestationhavingtouchscreenandmethodthereof}
KR20100023637A (ko) * 2008-08-22 2010-03-04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그 메뉴 표시 방법
KR20100053093A (ko) * 2008-11-12 2010-05-20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이를 위한 명력 입력 방법
KR20110053014A (ko) * 2009-11-13 2011-05-19 삼성전자주식회사 터치스크린을 포함하는 전자 기기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 및 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217815A (ja) 2008-03-07 2009-09-24 Samsung Electronics Co Ltd タッチスクリーンを備える携帯端末機のユーザインターフェース装置及びその方法{userinterfaceapparatusofmobilestationhavingtouchscreenandmethodthereof}
KR20100023637A (ko) * 2008-08-22 2010-03-04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그 메뉴 표시 방법
KR20100053093A (ko) * 2008-11-12 2010-05-20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이를 위한 명력 입력 방법
KR20110053014A (ko) * 2009-11-13 2011-05-19 삼성전자주식회사 터치스크린을 포함하는 전자 기기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 및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76894B1 (ko) 이동통신단말기의 다이얼링 방법 및 터치스크린을 구비한이동통신단말기
KR101515050B1 (ko) 터치 스크린을 갖는 휴대 단말기 및 그의 잠금 및 해제방법
JP4955505B2 (ja) 携帯端末機及びその画面表示方法
KR20120079707A (ko) 휴대 단말기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 및 장치
KR20110040110A (ko) 휴대단말기의 바탕화면 표시 방법
US20120297339A1 (en) Electronic device, control method, and storage medium storing control program
KR20110045138A (ko) 터치스크린 기반의 ui 제공방법 및 이를 이용한 휴대 단말기
WO2010008078A1 (ja) 情報端末
JP5413688B2 (ja) 画像区画プログラム、及び、表示装置
KR20120121149A (ko) 터치스크린 단말기에서 아이콘 배치 방법 및 장치
JP5729756B2 (ja) 携帯電子機器、そ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2007188265A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装置の制御方法、制御プログラム
WO2007086371A1 (ja) 文字入力装置
JP6102474B2 (ja) 表示装置、入力制御方法、及び入力制御プログラム
KR101759537B1 (ko) 화면터치식 버튼의 키매핑방법
KR101608799B1 (ko) 객체 출력이 가능한 다이얼을 구비한 휴대용 단말기의 장치 및 방법
JP2009025848A (ja) 入力手段を有する表示装置及びそれを備えた情報機器装置、ならびに入力手段を有する表示装置の駆動方法
KR101107118B1 (ko) 모바일 단말기의 터치 입력부 위치 설정 방법 및 장치
KR20080049696A (ko) 전면 터치스크린을 구비한 휴대용 단말기에서의 향상된 게임 방법
KR101907450B1 (ko) 휴대용 단말기에서의 메뉴 구성 방법
JP2011060166A (ja) 携帯端末装置
JP2013210802A (ja) 端末装置及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KR20080077474A (ko) 단말기의 화면 설정 방법 및 이를 이용한 단말기
KR101330942B1 (ko) 이동통신단말기의 메뉴표시방법 및 그 이동통신단말기
JP7273291B2 (ja) ゲームプログラム、方法、および、情報処理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3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0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30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