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06863B1 - 금융자동화기기 및 그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금융자동화기기 및 그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06863B1
KR101106863B1 KR1020090136164A KR20090136164A KR101106863B1 KR 101106863 B1 KR101106863 B1 KR 101106863B1 KR 1020090136164 A KR1020090136164 A KR 1020090136164A KR 20090136164 A KR20090136164 A KR 20090136164A KR 101106863 B1 KR101106863 B1 KR 10110686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rriage
media
guide
rotor
loading sp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1361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79184A (ko
Inventor
차진환
이원준
이동식
Original Assignee
노틸러스효성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노틸러스효성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노틸러스효성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13616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06863B1/ko
Priority to US13/519,524 priority patent/US8814041B2/en
Priority to EP10841326.1A priority patent/EP2511884B1/en
Priority to PCT/KR2010/009609 priority patent/WO2011081494A2/ko
Publication of KR2011007918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7918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0686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0686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9/00Delivering or advancing articles from machines; Advancing articles to or into piles
    • B65H29/58Article switches or divert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31/00Pile receivers
    • B65H31/30Arrangements for removing completed piles
    • B65H31/3027Arrangements for removing completed piles by the nip between moving belts or roller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DHANDLING OF COINS OR VALUABLE PAPERS, e.g. TESTING, SORTING BY DENOMINATIONS, COUNTING, DISPENSING, CHANGING OR DEPOSITING
    • G07D11/00Devices accepting coins; Devices accepting, dispensing, sorting or counting valuable papers
    • G07D11/10Mechanical details
    • G07D11/14Inlet or outlet port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DHANDLING OF COINS OR VALUABLE PAPERS, e.g. TESTING, SORTING BY DENOMINATIONS, COUNTING, DISPENSING, CHANGING OR DEPOSITING
    • G07D11/00Devices accepting coins; Devices accepting, dispensing, sorting or counting valuable papers
    • G07D11/10Mechanical details
    • G07D11/16Handling of valuable papers
    • G07D11/18Diverting into different paths or container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19/00Complete banking systems; Coded card-freed arrangements adapted for dispensing or receiving monies or the like and posting such transactions to existing accounts, e.g. automatic teller machines
    • G07F19/20Automatic teller machines [ATMs]
    • G07F19/201Accessories of AT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405/00Parts for holding the handled material
    • B65H2405/30Other features of supports for sheets
    • B65H2405/35Means for moving suppor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701/00Handled material; Storage means
    • B65H2701/10Handled articles or webs
    • B65H2701/19Specific article or web
    • B65H2701/1912Banknotes, bills and cheques or the like

Abstract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금융자동화기기 및 그 제어 방법은, 캐리지에 구비된 매체 가이드에 의해 캐리지의 적재 공간에 이송되는 종이매체의 적재가 안내될 수 있으며, 다양한 종류의 종이매체에 대응하여 매체 가이드의 위치가 로터의 가이드 조절 기구에 의해 조절될 수 있다.
Figure R1020090136164
금융자동화기기, 매체 이송 유닛, 캐리지, 로터, 매체 가이드, 가이드 조절 기구

Description

금융자동화기기 및 그 제어 방법{AUTOMATIC TELLER MACHINE AND CONTROL METHOD FOR THE SAME}
본 발명은 금융자동화기기 및 그 제어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캐리지의 내부로 이송되는 종이매체들을 효과적으로 적재할 수 있고, 뿐만 아니라 다양한 종이매체들을 안정적으로 적재할 수 있는 금융자동화기기 및 그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금융자동화기기(Automatic Teller Machine, ATM)는 금융서비스와 관련하여 시간 및 장소에 구애를 받지 않고 은행 직원 없이도 카드나 통장을 이용하여 현금 및 수표의 입출금과 같은 기본적인 금융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자동화 장치이다. 최근에는 은행과 같은 금융기관뿐만 아니라 편의점, 백화점, 및 공공장소 등에서도 금융자동화기기의 사용이 확대되고 있는 추세이다.
금융자동화기기는 입출금 여부에 따라 출금기와 입금기 및 입출금기로 구분될 수 있으며, 최근 들어 금융자동화기기는 현금의 입출금은 물론 수표(Check)의 입출금, 통장 정리, 지로요금 납부, 티켓 발매 등 여러 용도로 사용되고 있다.
이와 같은 금융자동화기기의 내부에는 현금, 수표, 티켓, 상품권 등과 같은 종이매체를 이송하기 위한 매체 이송 경로가 형성되어 있다. 통상적으로 매체 이송 경로는 복수개의 롤러와 벨트의 조합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와 같은 매체 이송 경로의 구조는 매우 복잡할 뿐만 아니라, 매체 이송 경로의 전체적인 크기도 큰 편이다. 그로 인하여, 종이매체의 이송 경로를 증가시키는 데 한계가 있고, 이송부에 종이매체가 걸리는 잼(jam) 현상도 빈번하게 발생되고 있으며, 종이매체의 출금 동작 또는 입금 동작이 매우 복잡하게 제어되고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종이매체들이 일시 스택된 캐리지를 출금부로 직접 이송시켜 종이매체들을 신속하고 간편하게 출금시킬 수 있는 금융자동화기기 및 그 제어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는, 캐리지가 삽입된 로터를 회전시켜 캐리지의 진행 방향을 간편하게 변경할 수 있고, 복수개의 출금부들 중 어느 하나로 캐리지를 간편하게 이송시킬 수 있는 금융자동화기기 및 그 제어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는, 캐리지의 내부로 이송된 다양한 종류의 종이매체들을 캐리지의 내부에 안정적으로 원활하게 적재할 수 있는 금융자동화기기 및 그 제어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출금부가 구비된 케이스, 상기 케이스에 구비된 매체 저장 유닛들로부터 종이매체들을 이송하는 매체 이송 유닛, 상기 매체 이송 유닛에 의해 종이매체들이 적재되는 적재 공간이 내부에 형성되고 상기 출금부와 연결된 이동 경로를 따라 이동되는 캐리지, 상기 캐리지가 인출 또는 수납 가능하도록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종이매체들이 상기 캐리지에 적재되는 제1 포지션 및 상기 캐리지가 상기 이동 경로로 이동되는 제2 포지션으로 상기 캐리지와 함께 회전되는 로터, 상기 캐리지에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고 상기 적재 공간으로 이송되는 종이매체들의 크기에 따라 상기 적재 공간의 크기를 조절하는 매체 가이드, 및 상기 로터에 구비되고, 상기 로터의 내부에 수납된 상기 캐리지의 상기 매체 가이드와 연결되어 상기 매체 가이드의 위치를 조절하는 가이드 조절 기구를 포함하는 금융자동화기기를 제공한다.
즉, 상기 종이매체들은 상기 매체 이송 유닛에 의해 상기 캐리지의 적재 공간으로 이송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종이매체들은 상기 매체 가이드에 의해 상기 적재 공간 내의 적정 위치에 안정적으로 적재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매체 가이드가 상기 종이매체들의 크기에 따라 상기 가이드 조절 기구에 의해 위치가 조절될 수 있으므로, 상기 매체 이송 유닛에 의해 이송된 다양한 크기의 종이매체들이 상기 적재 공간에 원활하게 적재될 수 있다.
상기 로터 또는 상기 캐리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는, 상기 캐리지의 내부에 적재된 종이매체의 유무를 감지하는 제1 캐리지 센서, 상기 캐리지가 상기 로터 내의 정위치에 배치되었는지를 감지하는 제2 캐리지 센서, 및 상기 매체 가이드가 상기 캐리지 내의 정위치에 배치되었는지를 감지하는 제3 캐리지 센서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매체 가이드는, 상기 캐리지의 하부에 상기 종이매체의 폭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구비된 이동 플레이트, 상기 이동 플레이트에 돌출되게 형성되고 상기 적재 공간으로 이송되는 상기 종이매체의 적재 위치를 안내하는 복수개의 매체 가이드 돌기들, 및 상기 캐리지와 상기 이동 플레이트에 연결되어 상기 이동 플레이트에 상기 적재 공간이 증가되는 제1 방향으로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부재를 포함 할 수 있다. 즉, 상기 적재 공간의 크기는 상기 매체 가이드 돌기들의 위치에 따라 조절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매체 가이드 돌기들의 전면에는, 상기 적재 공간으로 이송되는 상기 종이매체와의 충격을 흡수하기 위하여 댐핑부가 탄성적으로 누름 가능하게 각각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매체 이송 유닛에 의해 이송된 상기 종이매체가 상기 매체 가이드 돌기들에 충돌되는 과정에서, 상기 종이매체가 튕겨 나오거나 구겨지는 문제를 해소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캐리지는, 상기 로터의 회전시 상기 로터와 함께 회전되는 제1 캐리지부, 상기 제1 캐리지부와의 사이에 상기 적재 공간이 형성되도록 상기 제1 캐리지부의 상측에 서로 마주보게 배치된 제2 캐리지부, 및 상기 제1 캐리지부와 상기 제2 캐리지부를 서로 접철 가능하게 연결시키고 상기 캐리지를 구동시키는 캐리지 구동부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이동 플레이트는 상기 제1 캐리지부에 구비될 수 있고, 상기 매체 가이드 돌기들은 상기 제2 캐리지부에 형성된 슬릿홀에 관통되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 조절 기구는, 상기 로터에 직선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고 상기 이동 플레이트에 형성된 걸림부에 걸림되어 상기 적재 공간의 크기가 감소되는 제2 방향으로 상기 이동 플레이트를 이동시키는 스토퍼, 상기 로터에 구비되어 상기 스토퍼에 구동력을 제공하는 스토퍼 구동부, 및 상기 스토퍼 구동부와 상기 스토퍼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스토퍼 구동부의 구동력을 상기 스토퍼에 전달하는 동력전달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스토퍼 구동부의 구동력이 상기 동력전달부 재를 통해 상기 스토퍼에 전달될 수 있고, 상기 스토퍼의 이동력에 의해 상기 이동 플레이트가 상기 제2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동력전달부재는, 상기 로터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된 동력전달축, 상기 동력전달축의 일단에 상기 스토퍼 구동부의 구동력을 전달하는 기어부, 및 상기 동력전달축의 타단과 상기 스토퍼에 연결되고 상기 동력전달축의 회전력을 전달받아 상기 스토퍼의 직선 이동력으로 전환하는 링크부를 구비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기어부는, 상기 스토퍼 구동부에 연결된 구동 기어, 상기 동력전달축의 일단에 연결된 종동 기어, 및 상기 로터에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고 상기 구동 기어와 상기 종동 기어 사이에 연동 가능하게 구비된 적어도 하나의 중계 기어를 구비할 수 있다. 즉, 상기 구동 기어와 상기 종동 기어 및 적어도 하나의 상기 중계 기어를 조합하면, 상기 동력전달축에 전달되는 구동력의 크기와 방향이 간편하게 변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구동 기어와 상기 종동 기어 및 적어도 하나의 상기 중계 기어 중 어느 하나에는 호 형상으로 형성된 위치 설정 리브가 둘레를 따라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3 캐리지 센서는 상기 위치 설정 리브를 감지하여 상기 매체 가이드의 정위치 여부를 검출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위치 설정 리브와 상기 제3 캐리지 센서를 이용하여 상기 매체 가이드가 정위치에 배치되었는지를 정확히 검출될 수 있다. 만약 위치 설정 리브의 형상과 상기 제3 캐리지 센서의 위치를 조정하면, 상기 매체 가이드의 정위치가 다양한 위치에 설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로터는, 상기 케이스의 양측면에 각각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고 상기 캐리지의 양측을 이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회전부, 및 상기 케이스의 양측면에 각각 배치된 회전부에 양측이 연결되고 상기 캐리지가 안착되는 연결부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스토퍼와 상기 동력전달축 및 상기 링크부는 상기 연결부에 구비될 수 있고, 상기 스토퍼 구동부와 상기 기어부 및 상기 제3 캐리지 센서는 상기 회전부의 외부 측면에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제2 캐리지 센서를 이용하여 캐리지가 로터 내부의 정위치에 배치되었는지를 감지하고 상기 캐리지가 정위치에 배치되지 않은 것으로 감지되면 상기 캐리지를 구동시켜 상기 로터 내의 정위치에 상기 캐리지를 배치시키는 캐리지 정위치 단계, 제1 캐리지 센서를 이용하여 상기 캐리지의 적재 공간에 잔류된 종이매체의 존재 여부를 감지하고 상기 적재 공간에 잔류된 종이매체가 감지되면 상기 종이매체를 제거하는 잔류 매체 제거 단계, 제3 캐리지 센서를 이용하여 상기 캐리지의 정위치에 매체 가이드가 배치되었는지를 감지하고 상기 매체 가이드가 정위치에 배치되지 않은 것으로 감지되면 가이드 조절 기구가 상기 매체 가이드를 상기 캐리지의 정위치로 이동시키는 가이드 정위치 단계, 상기 가이드 조절 기구가 상기 적재 공간에 적재될 종이매체들의 폭에 따라 상기 매체 가이드를 이동시켜 상기 적재 공간의 크기를 조절하는 적재 공간 조절 단계, 및 상기 가이드 조절 기구에 의해 크기가 조절된 상기 적재 공간에 상기 종이매체들을 매체 이송 유닛이 적재하는 매체 적재 단계를 포함하는 금융자동화기기의 제어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즉, 상기 캐리지가 정위치에 배치됨과 아울러 상기 캐리지의 내부에 종이매 체가 잔류되지 않은 경우, 상기 매체 가이드가 정위치에 설정된 후 상기 적재 공간에 적재되는 종이매체의 폭에 따라 상기 매체 가이드의 위치가 조절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매체 가이드의 위치를 조절하기 이전에 상기 매체 가이드를 정위치에 배치시키면, 상기 매체 가이드의 작동 안전성 및 신뢰성이 향상될 수 있고, 상기 매체 가이드의 작동도 더욱 정확하게 제어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 정위치 단계는, 상기 제3 캐리지 센서에 상기 매체 가이드가 감지되는지를 판단하는 과정, 상기 제3 캐리지 센서에 상기 매체 가이드가 미감지되면 상기 가이드 조절 기구는 상기 적재 공간이 증가되는 제1 방향으로 상기 매체 가이드를 이동시켜 상기 제3 캐리지 센서에 감지되는 지점에 상기 매체 가이드를 정위치시키는 과정, 및 상기 제3 캐리지 센서에 상기 매체 가이드가 감지되면 상기 가이드 조절 기구는 상기 적재 공간이 감소되는 제2 방향으로 상기 매체 가이드를 이동시켜 상기 제3 캐리지 센서에 미감지되는 지점에 상기 매체 가이드를 정위치시키는 과정을 구비할 수 있다. 즉, 상기 매체 가이드가 상기 제3 캐리지 센서에 감지되거나 또는 미감지되는 경계 위치를 상기 매체 가이드의 정위치로 설정할 수 있다.
상기 적재 공간 조절 단계에서는, 상기 적재 공간에 적재될 종이매체들의 폭이 다양한 크기로 형성된 경우, 상기 적재 공간이 증가되는 제1 방향을 향해 단계적으로 증가되도록 조절될 수 있다. 상기 매체 적재 단계에서는, 상기 매체 이송 유닛에 의해 폭이 작은 종이매체부터 폭이 큰 종이매체 순으로 상기 적재 공간에 차례로 적재될 수 있다.
만약, 상기 적재 공간에 폭이 큰 종이매체들이 먼저 적재되면, 나중에 적재될 폭이 작은 종이매체들에 대응하여 상기 매체 가이드의 위치 조절이 불가능하므로, 상기 적재 공간에 이송되는 모든 종이매체들에 대응하기 위하여 상기 캐리지의 내부에 폭이 작은 종이매체부터 적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금융자동화기기 및 그 제어 방법은, 캐리지에 의해 종이매체들이 번들 형태로 출금부에 직접 이송되므로, 종이매체들을 이송하는 구조를 간소화시킬 수 있다. 그리고, 종이매체들의 이송시 발생되는 종이매체의 잼 현상을 감소시킬 수 있고, 종이매체들의 잼 현상으로 인한 금융자동화기기의 효율 저하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금융자동화기기 및 그 제어 방법은, 종이매체를 적재한 캐리지가 케이스의 이동 경로들을 따라 복수개의 출금부들로 직접 이동되는 구조이므로, 금융자동화기기의 출금 제어가 단순해질 수 있고, 종이매체의 출금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으며, 종이매체들의 출금 동작을 매우 신속하게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금융자동화기기 및 그 제어 방법은, 매체 가이드에 의해 캐리지의 내부로 이송된 종이매체들을 안정적으로 적재할 수 있으며, 가이드 조절 기구에 의해 매체 가이드의 위치를 종이매체들의 크기에 따라 변경하여 다양한 종류의 종이매체들을 원활하게 적재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금융자동화기기 및 그 제어 방법은, 캐리지의 적재 공간에 종이매체들을 적재하기 이전에 매체 가이드를 정위치에 배치시켜 매체 가이드의 작동을 효과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매체 가이드를 정위치에 배치하기 이전에 캐리지를 정위치에 배치함과 아울러 캐리지 내에 잔류된 종이매체를 제거하므로, 매체 가이드의 정위치 설정시 발생될 수 있는 작동 오류를 최소화시킬 수 있다.
이하에서,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이 실시예들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 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금융자동화기기가 개략적으로 도시된 구성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금융자동화기기의 주요부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3과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캐리지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3에 도시된 캐리지의 일부분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또한, 도 6은 도 2에 도시된 로터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7은 도 6에 도시된 로터의 가이드 조절 기구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금융자동화기기(100)는 케이스(110), 매체 저장 유닛(120), 매체 이송 유닛(130), 매체 검사 유닛(140), 캐리지(150), 로터(160), 및 매체 회수 유닛(170)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 본 실시예 에서는 금융자동화기기(100)가 출금기인 것으로 한정하여 설명한다. 하지만, 본 실시예의 기술적 사상은 입금기 및 입출금기에도 적용될 수 있다.
상기 케이스(110)의 하부에는 상기 매체 저장 유닛(120)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케이스(110)의 상부에는 상기 매체 이송 유닛(130), 매체 검사 유닛(140), 캐리지(150), 로터(160), 매체 회수 유닛(170), 출금부(111)(112)(113)들, 및 이동 경로(114)(115)(116)들이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출금부(111)(112)(113)들은 케이스(110)의 상부에 각각 서로 다른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즉, 출금부(111)(112)(113)들은, 케이스(110)의 전면에 배치된 전면 출금부(111), 케이스(110)의 후면에 배치된 후면 출금부(112), 및 케이스(110)의 상면에 배치된 상면 출금부(113)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이동 경로(114)(115)(116)들은, 전면 출금부(111)와 로터(160) 사이에 형성된 전면 이동 경로(114), 후면 출금부(112)와 로터(160) 사이에 형성된 후면 이동 경로(115), 및 상면 출금부(113)와 로터(160) 사이에 형성된 상면 이동 경로(116)를 포함할 수 있다. 하지만, 상기와 같이 출금부(111)(112)(113)들과 이동 경로(114)(115)(116)들의 개수와 위치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금융자동화기기(100)의 설계 조건 및 상황에 따라 출금부(111)(112)(113)와 이동 경로(114)(115)(116)의 개수 및 위치는 다양하게 결정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이동 경로(114)(115)(116)들은 케이스(110)의 양측면에 각각 형성되어 캐리지(150)의 이동 방향을 안내하는 가이드 레일(114a)(115a)(116a), 및 가이드 레일(114a)(115a)(116a)에 길이 방향을 따라 형성된 레일 기 어(114b)(115b)(116b)로 형성될 수 있다. 가이드 레일(114a)(115a)(116a)은 후술하는 캐리지(150)의 가이드 롤러(157)가 이동 가능하게 삽입될 수 있다. 레일 기어(114b)(115b)(116b)는 가이드 레일(114a)(115a)(116a)을 따라 형성된 렉기어로 형성될 수 있고, 후술하는 캐리지(150)의 이동 기어(158)와 연결될 수 있다.
도 1를 참조하면, 상기 매체 저장 유닛(120)는 종이매체(P)들을 저장하는 장치이다. 종이매체(P)들로는 지폐, 수표, 상품권, 티켓 등이 대표적이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종이매체(P)들이 지폐인 것으로 한정하여 설명한다.
또한, 매체 저장 유닛(120)는 케이스(110)의 하부에 일체로 형성될 수 있지만, 본 실시예에서는 케이스(110)의 하부에 착탈 가능하게 배치되는 것으로 설명한다. 예들 들면, 매체 저장 유닛(120)은 카세트와 같이 착탈 가능한 박스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매체 저장 유닛(120)의 내부에는 종이매체(P)들이 저장될 수 있다.
또한, 매체 저장 유닛(120)은 케이스(110)의 하부에 복수개가 착탈 가능하게 배치될 수 있다. 매체 저장 유닛(120)들의 내부에는 동일한 종류의 종이매체(P)가 저장되거나, 또는 서로 다른 종류의 종이매체(P)가 각각 저장될 수 있다. 이하, 본 실시예에서는 매체 저장 유닛(120)들에 서로 다른 크기의 종이매체(P)들이 저장된 것으로 설명한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매체 이송 유닛(130)은 매체 저장 유닛(120)들에 저장된 종이매체(P)들 중 어느 하나에 저장된 종이매체(P)들을 선택적으로 한 장씩 이송하는 장치이다. 매체 이송 유닛(130)는 매체 저장 유닛(120)과 로터(160) 사이에 형성될 수 있으며, 로터(160)에 배치된 캐리지(150)의 내부로 종이매체(P)들을 공급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매체 이송 유닛(130)은 복수개의 롤러와 벨트로 구성될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상기 매체 검사 유닛(140)은 매체 이송 유닛(130)에 의해 이송되는 종이매체(P)가 정상 상태인지를 감지하는 장치이다. 매체 검사 유닛(140)은 다양한 방식으로 종이매체(P)의 정상 상태를 감지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매체 검사 유닛(140)은 초음파 센서 또는 복수개의 광센서들을 이용할 수 있다.
도 1 및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캐리지(150)는 매체 검사 유닛(140)에 의해 정상으로 판정된 종이매체(P)들을 출금부(111)(112)(113)들로 운반하는 장치이다. 즉, 캐리지(150)의 내부에는 매체 이송 유닛(130)에 의해 이송되는 종이매체(P)들 중 매체 검사 유닛(140)에 의해 정상으로 판정된 종이매체(P)들이 일시적으로 적재될 수 있다. 그리고, 캐리지(150)의 내부에 종이매체(P)들의 적재가 완료되면, 이동 경로(114)(115)(116)들 중 어느 하나를 따라 캐리지(150)가 이동된 후 출금부(111)(112)(113)들 중 어느 하나를 통해 캐리지(150)가 종이매체(P)들을 출금시킬 수 있다. 이하, 본 실시예에서는 캐리지(150)의 내부에 적재된 종이매체(P)들이 번들(bundle) 형상으로 출금되는 것으로 설명한다.
캐리지(150)는 제1 캐리지부(152), 제2 캐리지부(154), 및 캐리지 구동부(156)를 구비할 수 있다.
제1 캐리지부(152)는 종이매체(P)들의 일면에 밀착 가능한 패널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캐리지(150)가 로터(160)의 내부에 배치된 경우, 로터(160)의 회전 시 제1 캐리지부(152)는 로터(160)와 함께 회전된다. 그리고, 매체 이송 유닛(130)의 작동시에는 제1 캐리지부(152)의 일면에 종이매체(P)들이 적재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제1 캐리지부(152)의 일면에는 적재된 종이매체(P)들을 번들 형상으로 이동시키기 위하여 제1 이송 벨트(152a)와 제1 이송 풀리(152b)가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제1 캐리지부(152)의 양측면에는 가이드 롤러(157)와 이동 기어(158)가 양측면에 각각 형성될 수 있다. 가이드 롤러(157)는 가이드 레일(114a)(115a)(116a)의 내부에 배치되어 가이드 레일(114a)(115a)(116a)을 따라 이동되는 롤러 부재이고, 이동 기어(158)는 레일 기어(114b)(115b)(116b)와 결합되어 회전시 레일 기어(114b)(115b)(116b)를 따라 이동되는 부재이다.
제2 캐리지부(154)는 종이매체(P)들의 타면에 밀착 가능한 패널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2 캐리지부(154)는 제1 캐리지부(152)의 일면에 밀착될 수 있도록 캐리지 구동부(156)에 접철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제2 캐리지부(154)의 일면은 제1 캐리지부(152)의 일면에 적재된 종이매체(P)들의 타면에 밀착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제2 캐리지부(154)의 일면에는 제1 캐리지부(152)의 일면에 적재된 종이매체(P)들을 번들 형상으로 이동시키기 위하여 제2 이송 벨트(154a)와 제2 이송 풀리(154b)가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제2 캐리지부(154)의 일측에는 개방 돌기(159)가 형성될 수 있다. 개방 돌기(159)는 로터(160)의 회전시 케이스(110) 또는 매체 이송 유닛(130)에 걸려 제2 캐리지부(154)의 회전을 구속하는 부재이다. 즉, 로터(160)가 매체 이송 유닛(130)의 방향으로 캐리지(150)와 함께 회전되면, 개방 돌기(159)가 케이스(110) 또는 매체 이송 유닛(130)에 걸려 제2 캐리지부(154)의 회전이 구속될 수 있다.
상기 캐리지 구동부(156)는 제1 캐리지부(152)와 제2 캐리지부(154)를 접철 가능하게 지지하도록 제1 캐리지부(152)와 제2 캐리지부(154)에 연결될 수 있다. 즉, 제1 캐리지부(152)와 제2 캐리지부(154)가 벌어지면, 매체 이송 유닛(130)에 의해 이송된 종이매체(P)들이 제1 캐리지부(152)의 일면에 적재될 수 있다. 반면에, 제1 캐리지부(152)와 제2 캐리지부(154)가 접히면, 제1 캐리지부(152)와 제2 캐리지부(154)의 일면 사이에 종이매체(P)들이 번들 형상으로 안정적으로 고정될 수 있다.
또한, 캐리지 구동부(156)는 이동 기어(158)와 제1 이송 벨트(152a) 및 제2 이송 벨트(154a)에 구동력을 제공할 수 있다. 즉, 캐리지 구동부(156)는, 이동 기어(158)에 연결되어 이동 기어(158)를 구동시키는 제1 캐리지 구동부(156a), 및 제1 이송 풀리(152b) 및 제2 이송 풀리(154b)에 연결되어 제1 이송 벨트(152a) 및 상기 제2 이송 벨트(154a)를 구동시키는 제2 캐리지 구동부(156b)를 구비할 수 있다. 따라서, 제1 캐리지부(152)와 제2 캐리지부(154)가 접힌 상태에서 캐리지 구동부(156)에 의해 제1 이송 벨트(152a)와 제2 이송 벨트(154a)가 구동되면, 제1 캐리지부(152)와 제2 캐리지부(154) 사이에 배치된 종이매체(P)들이 캐리지(150)의 외측으로 일정 길이로 인출될 수 있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로터(160)는 케이스(110)의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어 캐리지(150)의 인출되는 방향을 변경하는 장치이다. 즉, 로터(160)의 내부에는 캐리지(150)가 인출 또는 수납 가능하게 배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로터(160)는 매체 이송 유닛(130), 전면 이동 경로(114), 후면 이동 경로(115), 상면 이동 경로(116), 또는 후술하는 리트렉트 박스(176) 중 어느 하나를 향하여 캐리지(150)의 위치를 변경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은 로터(160)는 제1 포지션, 제2 포지션들, 또는 제3 포지션 중 어느 하나의 포지션으로 회전될 수 있다. 즉, 제1 포지션은 매체 이송 유닛(130)에 의해 종이매체(P)들이 캐리지(150)의 내부에 적재될 수 있는 위치이고, 제2 포지션들은 전면 이동 경로(114), 후면 이동 경로(115), 또는 상면 이동 경로(116) 중 어느 하나로 캐리지(150)가 인출될 수 있는 위치들이며, 제3 포지션은 캐리지(150)에 의해 종이매체(P)들이 리트렉트 박스(176)의 입구로 삽입될 수 있는 위치이다.
여기서, 로터(160)가 제1 포지션에 배치되면, 제1 캐리지부(152)와 제2 캐리지부(154)가 서로 벌어질 수 있다. 즉, 로터(160)가 제1 포지션을 향해 회전되면, 개방 돌기(159)가 케이스(110) 또는 매체 이송 유닛(130)에 걸려 제2 캐리지부(154)의 회전이 구속될 수 있다. 이 로터(160)가 제1 포지션으로 더 회전되면, 제2 캐리지부(154)의 회전이 구속된 상태에서 제1 캐리지부(152)가 로터(160)와 함께 계속 회전되므로, 제1 캐리지부(152)와 제2 캐리지부(154)가 벌어지면서 종이매체(P)들이 적재되는 적재 공간(S)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로터(160)가 제1 포지션 이외의 위치에 배치되면, 제1 캐리지부(152)와 제2 캐리지부(154)가 서로 접힐 수 있다. 즉, 로터(160)가 제1 포지션에서부터 다른 포지션으로 회전되면, 제1 캐리지부(152)가 제2 캐리지부(154)와 밀착된 후 제1 캐리지부(152)와 제2 캐리지부(154)는 서로 접힌 상태로 회전될 수 있 다. 제1 캐리지부(152)와 제2 캐리지부(154)에 의해 적재 공간(S)에 적재된 종이매체(P)들이 안정적으로 고정될 수 있다.
또한, 로터(160)는 회전부(162)와 연결부(164)로 형성될 수 있다. 하지만, 로터(160)는 금융자동화기기(100)의 설계 조건 및 상황에 따라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회전부(162)는 케이스(110)의 양측면에 각각 회전 가능하게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회전부(162)는 원판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회전부(162)의 내측면에는 이동 경로(114)(115)(116)들과 동일 유사한 형상으로 캐리지(150)의 양측면을 지지하는 캐리지 이동 경로(162a)가 형성될 수 있다. 캐리지 이동 경로(162a)에는 캐리지(150)의 양측면에 형성된 가이드 롤러(157)와 이동 기어(158)가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캐리지 이동 경로(162a)는 로터(160)의 외측으로 캐리지(150)가 인출될 수 있도록 회전부(162)의 외주를 향해 개구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로터(160)가 제2 포지션들에 배치되면, 캐리지 이동 경로(162a)는 전면 이동 경로(114), 상면 이동 경로(116), 또는 후면 이동 경로(115) 중 어느 한 경로와 일치되어 캐리지(150)가 이동될 수 있다.
연결부(164)는 케이스(110)의 양측면에 각각 배치된 회전부(162)들에 양측이 연결된 판 형상의 부재이다. 따라서, 케이스(110)의 양측면에 각각 배치된 회전부(162)들은 연결부(164)에 의해 일체로 회전될 수 있고, 로터(160)의 내부에 배치된 캐리지(150)가 안정적으로 안착될 수 있다.
도 1를 참조하면, 로터(160) 또는 캐리지(150) 중 어느 하나에는, 캐리 지(150)의 내부에 적재된 종이매체(P)의 유무를 감지하는 제1 캐리지 센서(150a), 캐리지(150)가 로터(160) 내의 정위치에 배치되었는지를 감지하는 제2 캐리지 센서(150b), 및 후술하는 매체 가이드(180)가 캐리지(150) 내의 정위치에 배치되었는지를 감지하는 제3 캐리지 센서(150c)가 구비될 수 있다.
이하, 본 실시예에서는 제1 캐리지 센서(150a)의 발광부와 수광부가 로터(160)와 캐리지(150)에 배치된 것으로 설명하며, 제2 캐리지 센서(150b)와 제3 캐리지 센서(150c)가 로터(160)에 구비된 것으로 설명한다. 하지만, 제1 캐리지 센서(150a)와 제2 캐리지 센서(150b) 및 제3 캐리지 센서(150c)의 배치 구조 및 배치 개수는 금융자동화기기(100)의 설계 조건 및 상황에 따라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
도 1을 참조하면, 상기 매체 회수 유닛(170)은 매체 검사 유닛(140)에 의해 비정상으로 판정된 종이매체(P)들을 캐리지(150)와 로터(160)를 우회하는 경로를 따라 회수하는 장치이다. 매체 회수 유닛(170)은, 매체 검사 유닛(140)에 의해 비정상으로 판정된 종이매체(P)를 수용하는 리젝트 박스(172), 및 리젝트 박스(172)와 매체 이송 유닛(130) 사이에 로터(160)와 캐리지(150)를 우회하는 경로로 형성되고 리젝트 박스(172)로 종이매체(P)를 이송하는 리젝트 이송부(174)를 구비할 수 있다.
리젝트 박스(172)는 매체 검사 유닛(130)에 의해 비정상으로 판정된 복수매의 종이매체(P)들을 저장하는 박스 형상의 부재이다. 리젝트 박스(172)의 입구는 로터(160)를 향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리젝트 박스(172)의 입구(172a)에는 종이매체(P)들을 내부로 안내하기 위한 롤러 부재(172b)들이 회전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리젝트 이송부(174)는 매체 검사 유닛(140)에서 비정상으로 판정된 종이매체(P)를 매체 이송 유닛(130)에서 리젝트 박스(172)로 안내하는 장치이다. 리젝트 이송부(174)는 로터(160) 및 캐리지(150)의 동작을 방해하지 않도록 로터(160) 및 이동 경로(114)(115)(116)들을 우회하는 경로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도 1을 참조하면, 금융자동화기기(100)는 출금부(111)(112)(113)로 출금된 종이매체(P)들의 미수취시 출금부(111)(112)(113)로부터 회수한 종이매체(P)들을 저장하는 리트렉트 박스(176)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리트렉트 박스(176)는 로터(160)를 향해 입구가 형성되도록 케이스(110)내부에 구비될 수 있다. 이하, 본 실시예에서는 리젝트 박스(172)의 내부에 리트렉트 박스(176)가 배치된 것으로 설명한다. 따라서, 케이스(110) 내의 공간 활용도를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로터(160)가 리트렉트 박스(176)의 입구를 향해 회전되어 제3 포지션에 배치되면, 리트렉트 박스(176)의 입구로 캐리지(150)가 인출될 수 있고, 캐리지(150)에 의해 종이매체(P)들이 리트렉트 박스(176)의 내부로 삽입될 수 있다.
리트렉트 박스(176)는 리젝트 박스(172)의 입구(172a)를 향해 이동 또는 회전 가능하도록 리젝트 박스(172)에 배치될 수 있다. 즉, 출금부(111)(112)(113)에서 수취되지 않은 번들 형상의 종이매체(P)들이 리젝트 박스(172)의 입구(172a)에 투입되면, 리트렉트 박스(176)의 입구(176a)가 리젝트 박스(172)의 입구(172a)를 향해 이동 또는 회전되어 리젝트 박스(172)의 입구(172a)를 통해 들어온 종이매체(P)들이 리트렉트 박스(176)의 내부에 적재될 수 있다. 이하, 본 실시예에서는 리트렉트 박스(176)의 하부가 리젝트 박스(172)의 하부에 회전 가능하게 힌지 연결된 것으로 설명하며, 별도의 구동부(미도시)에 의해 리트렉트 박스(176)가 힌지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것으로 설명한다.
도 1를 참조하면, 금융자동화기기(100)는, 케이스(110)에 구비되어 매체 이송 유닛(130)와 매체 회수 유닛(170)에 구동력을 제공하는 메인 구동부(117)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즉, 매체 이송 유닛(130)과 리젝트 이송부(174) 및 리젝트 박스(172)의 리젝트 롤러(172b)는, 메인 구동부(117)의 구동력을 전달받아 함께 구동되는 구조이다. 반면에, 로터(160)는 별도의 구동부(166)에 의해 독립적으로 제어될 수 있다.
한편 도 1, 도 3 내지 도 7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금융자동화기기(100)는 매체 가이드(180) 및 가이드 조절 기구(19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 가이드(180)는 캐리지(150)의 적재 공간(S)에 적재되는 종이매체(P)들의 크기에 따라 적재 공간(S)의 크기를 조절하는 장치이다. 매체 가이드(180)는 캐리지(150)에 적재 공간(S)의 내부로 투입되는 종이매체(P)들의 이송 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매체 이송 유닛(130)에 의해 캐리지(150)의 적재 공간(S)으로 이송된 종이매체(P)들은, 매체 가이드(180)에 일단부가 걸려 적재 공간(S) 내의 적정 위치에 안정적으로 적재될 수 있다.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매체 가이드(180)는, 제1 캐리지부(152)의 하부에 종이매체(P)의 폭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구비된 이동 플레이트(182), 이동 플레이트(182)에 돌출되게 형성되고 적재 공간(S)으로 이송되는 종이매체(P)의 적재 위치를 안내하는 복수개의 매체 가이드 돌기(184)들, 및 캐리지(150)와 이동 플레이트(182)에 연결되어 이동 플레이트(182)에 적재 공간(S)이 증가되는 제1 방향(S1)으로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부재(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이동 플레이트(182)는 제1 캐리지부(152)의 하부에 종이매체(P)의 폭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 가능한 구조로 배치될 수 있다. 이하, 본 실시예에서 종이매체(P)의 폭 방향은 종이매체(P)의 이송 방향과 동일한 것으로 설명한다. 이와 같은 이동 플레이트(182)의 하부에는 걸림부(182a)가 하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될 수 있다.
매체 가이드 돌기(184)들은, 이동 플레이트(182)의 상부에 상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되며, 좌우 방향으로 서로 이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제1 캐리지부(152)와 제2 캐리지부(154)에는 매체 가이드 돌기(184)가 관통되게 배치되는 슬릿홀(151)(153)이 형성될 수 있다. 슬릿홀(151)(153)은 매체 가이드 돌기(184)들의 이동 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매체 가이드 돌기(184)들의 전면에는, 적재 공간(S)으로 이송되는 종이매체(P)와의 충격을 흡수하는 댐핑부(184a)가 각각 구비될 수 있다. 댐핑부(184a)는 매체 가이드 돌기(184)들의 전면에 배치되며, 제1 방향(S1)을 향해 탄성적으로 누름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매체 이송 유닛(130)에 의해 소정의 속도로 이송된 종이매체(P)가 매체 가이드 돌기(184)들의 전면에 충돌되더라도, 종이매체(P)가 튕겨져 나오거나, 종이매체(P)가 충격에 의해 접히거나 구겨지는 현상도 방지할 수 있다.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가이드 조절 기구(190)는 캐리지(150)의 적재 공간(S)으로 이송되는 종이매체(P)들의 폭에 따라 매체 가이드(180)를 이동시켜 적재 공간(S)의 크기를 조절하는 장치이다. 이 가이드 조절 기구(190)는 로터(160)의 내부에 수납된 캐리지(150)의 매체 가이드(180)와 연결될 수 있도록 로터(160)에 구비될 수 있다. 즉, 가이드 조절 기구(190)가 종이매체(P)들의 크기에 따라 매체 가이드(180)의 위치를 조절할 수 있으므로, 매체 이송 유닛(130)에 의해 이송된 다양한 크기의 종이매체(P)들이 적재 공간(S)에 원활하게 적재될 수 있다.
가이드 조절 기구(190)는, 로터(160)에 직선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고 걸림부(182a)에 걸려 적재 공간(S)의 크기가 감소되는 제2 방향(S2)으로 이동 플레이트(182)를 이동시키는 스토퍼(191), 로터(160)에 구비되어 스토퍼(191)에 구동력을 제공하는 스토퍼 구동부(192), 및 스토퍼 구동부(192)와 스토퍼(191) 사이에 구비되어 스토퍼 구동부(192)의 구동력을 스토퍼(191)에 전달하는 동력전달부재(193)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스토퍼 구동부(192)에서 생성된 구동력은 동력전달부재(193)를 통해 스토퍼(191)에 전달될 수 있고, 스토퍼(191)의 이동력에 의해 이동 플레이트(182)가 제2 방향(S2)으로 이동될 수 있다.
스토퍼(191)는 로터(160)의 연결부(164)에 종이매체(P)의 이송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스토퍼(191)의 상부에는 이동 플레이트(182)의 걸림부(182a)에 걸리는 걸림돌기(191a)가 구비될 수 있다.
스토퍼 구동부(192)는 로터(160)의 회전부(162)의 외부 측면에 장착될 수 있다. 스토퍼 구동부(192)는 모터로 형성될 수 있다. 이 스토퍼 구동부(192)의 회전 량을 조절하면, 스토퍼(191)에 의한 이동 플레이트(182)의 위치를 제어할 수 있다.
동력전달부재(193)는, 로터(160)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된 동력전달축(194), 동력전달축(194)의 일단에 스토퍼 구동부(192)의 구동력을 전달하는 기어부(195), 및 동력전달축(194)의 타단과 스토퍼(191)에 연결되고 동력전달축(194)의 회전력을 스토퍼(191)의 직선 이동력으로 전환하는 링크부(196)를 구비할 수 있다.
여기서, 동력전달축(194)의 일단은 스토퍼 구동부(192)가 장착된 회전부(162)에 배치될 수 있고, 동력전달축(194)의 타단은 스토퍼(191)가 배치된 연결부(164)에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기어부(195)는, 스토퍼 구동부(192)의 회전축에 연결된 구동 기어(195a), 동력전달축(194)의 일단에 연결된 종동 기어(195b), 및 회전부(162)에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고 구동 기어(195a)와 종동 기어(195b) 사이에 연동 가능하게 구비된 적어도 하나의 중계 기어(195c)를 구비할 수 있다. 즉, 구동 기어(195a)와 종동 기어(195b) 및 적어도 하나의 중계 기어(195c)를 적절히 조합하면, 동력전달축(194)에 전달되는 구동력의 크기와 방향이 간편하게 변환될 수 있다. 이하, 본 실시예에서는 단수개의 중계 기어(195c)가 구동 기어(195a)와 종동 기어(195b)의 사이에 배치된 것으로 설명한다.
한편, 구동 기어(195a)와 종동 기어(195b) 및 중계 기어(195c) 중 어느 하나에는 호 형상으로 형성된 위치 설정 리브(197)가 둘레를 따라 형성될 수 있다. 제3 캐리지 센서(150c)는 위치 설정 리브(197)를 감지하여 매체 가이드(180)의 정위치를 검출할 수 있다. 따라서, 위치 설정 리브(197)와 제3 캐리지 센서(150c)를 이용 하여 매체 가이드(180)가 정위치에 배치되었는지를 정확히 검출할 수 있다. 따라서, 위치 설정 리브(197)의 형상과 제3 캐리지 센서(150c)의 위치를 변경하면, 매체 가이드(180)의 정위치도 다양한 위치에 설정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금융자동화기기(100)의 작동 과정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금융자동화기기에서 리트렉트 박스로 종이매체들을 회수하는 동작을 나타낸 작동 상태도이며,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금융자동화기기의 제어 방법이 도시된 순서도이다.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금융자동화기기(100)의 제어 방법은 캐리지 정위치 단계(1~3), 잔류 매체 제거 단계(4~6), 가이드 정위치 단계(7~12), 적재 공간 조절 단계(13~14), 및 매체 적재 단계(15)를 포함한다.
상기 캐리지 정위치 단계(1~3)에서는 제2 캐리지 센서(150b)를 이용하여 캐리지(150)가 로터(160) 내부의 정위치에 배치되었는지를 감지할 수 있다. 만약 캐리지(150)가 정위치에 배치되지 않은 것으로 감지되면, 캐리지(150)를 구동시켜 로터(160) 내의 정위치에 캐리지(150)를 다시 배치시킬 수 있다. 즉, 제2 캐리지 센서(150b)에 캐리지(150)가 감지되는 위치까지 캐리지(150)가 이동될 수 있다.
상기 잔류 매체 제거 단계(4~6)에서는 제1 캐리지 센서(150a)를 이용하여 캐리지(150)의 적재 공간(S)에 잔류된 종이매체(P)의 존재 여부를 감지할 수 있다. 만약 적재 공간(S)에 잔류된 종이매체(P)가 감지되면, 종이매체(P)를 제거할 수 있다. 즉, 캐리지(150)의 적재 공간(S)에 잔류된 종이매체(P)를 제거하기 위한 메시지를 외부로 출력하여 종이매체(P)를 수작업으로 제거하거나, 또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캐리지(150)와 로터(160)를 작동시켜 리젝트 박스(172)의 내부로 종이매체(P)를 회수할 수 있다.
상기 가이드 정위치 단계(7~12)에서는 제3 캐리지 센서(150c)를 이용하여 캐리지(150)의 정위치에 매체 가이드(180)가 배치되었는지를 감지할 수 있다. 만약 매체 가이드(180)가 정위치에 배치되지 않은 것으로 감지되면, 가이드 조절 기구(190)를 구동시켜 매체 가이드(180)를 정위치로 이동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가이드 정위치 단계(7~12)는, 제3 캐리지 센서(150c)에 매체 가이드(180)가 감지되는지를 판단하는 과정(7~8), 제3 캐리지 센서(150c)에 매체 가이드(180)가 미감지되면 가이드 조절 기구(190)가 제1 방향(S1)으로 매체 가이드(180)를 이동시켜 제3 캐리지 센서(150c)가 매체 가이드(180)를 감지하는 지점에 매체 가이드(180)를 정위치시키는 과정(9~10), 및 제3 캐리지 센서(150c)에 매체 가이드(180)가 감지되면 가이드 조절 기구(190)가 제2 방향(S2)으로 매체 가이드(180)를 이동시켜 제3 캐리지 센서(150c)에 매체 가이드(180)가 미감지되는 지점에 매체 가이드(180)를 정위치시키는 과정(11~12)을 구비할 수 있다. 즉, 매체 가이드(180)의 정위치는 제3 캐리지 센서(150c)에 매체 가이드(180)가 감지되거나 또는 미감지되는 경계 지점으로 설정할 수 있다.
상기 적재 공간 조절 단계(13~14)에서는 가이드 조절 기구(190)가 적재 공 간(S)에 적재될 종이매체(P)들의 폭에 따라 매체 가이드(180)를 이동시켜 적재 공간(S)의 크기를 조절할 수 있다. 즉, 적재 공간 조절 단계(13~14)에서는, 적재 공간(S)에 적재될 종이매체(P)들의 폭이 다양한 크기로 형성된 경우, 적재 공간(S)이 증가되는 제1 방향(S1)을 향해 단계적으로 증가되도록 조절될 수 있다. 따라서, 매체 이송 유닛(130)은 캐리지(150)에 폭이 좁은 종이매체(P)들부터 이송할 수 있다.
왜냐하면, 폭이 큰 종이매체들이 먼저 적재되면 매체 가이드(180)가 제2 방향(S2)으로 위치 조절이 불가능하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매체 가이드(180)가 적재 공간(S)에 이송되는 모든 종이매체(P)들에 대응하기 위해선 캐리지(150)의 적재 공간(S)에 폭이 작은 종이매체(P)부터 먼저 적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매체 적재 단계(15)에서는 가이드 조절 기구(190)에 의해 크기가 조절된 적재 공간(S)의 내부에 매체 이송 유닛(130)이 종이매체(P)들을 적재할 수 있다. 이때, 매체 적재 단계(15)에서는, 매체 이송 유닛(130)에 의해 폭이 작은 종이매체(P)부터 폭이 큰 종이매체(P) 순으로 적재 공간(S)에 차례로 공급될 수 있다.
매체 적재 단계(15)에서 캐리지(150)의 내부에 종이매체(P)들이 적재되면, 캐리지(150)와 로터(160)를 구동시켜 출금부(111)(112)(113)들 중 어느 하나로 종이매체(P)들을 출금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로터(160)가 제1 포지션에서 제2 포지션들로 회전하고, 로터(160)와 함께 회전되는 제1 캐리지부(152)는 제2 캐리지부(154)에 접힌다. 따라서, 제1 캐리지부(152)와 제2 캐리지부(154)는 적재 공간(S)에 적재된 종이매체(P)들을 안정적으로 고정할 수 있다. 이후, 종이매체(P)들이 출금될 출금 부(111)(112)(113)의 위치에 따라 제2 포지션들 중 어느 하나로 로터(160)를 회전시킨다.
즉, 로터(160)의 캐리지 이동 경로(162a)와 이동 경로(114)(115)(116)들 중 어느 하나가 연통되는 위치로 로터(160)가 회전되면, 로터(160) 내의 캐리지(150)가 캐리지 이동 경로(162a)와 이동 경로(114)(115)(116)들 중 어느 하나를 따라 출금부(111)(112)(113)들로 이동되고, 출금부(111)(112)(113)들로 이동된 캐리지(150)의 제1 이송 벨트(152a)와 제2 이송 벨트(154a)가 작동되어 전면 출금부(111)를 통해 종이매체(P)가 케이스(110)의 외부로 인출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구체적인 구성 요소 등과 같은 특정 사항들과 한정된 실시예 및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하거나 등가적 변형이 있는 모든 것들은 본 발명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금융자동화기기가 개략적으로 도시된 구성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금융자동화기기의 주요부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과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캐리지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3에 도시된 캐리지의 일부분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2에 도시된 로터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6에 도시된 로터의 가이드 조절 기구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금융자동화기기에서 리트렉트 박스로 종이매체들을 회수하는 동작을 나타낸 작동 상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금융자동화기기의 제어 방법이 도시된 순서도이다.
삭제
<도면의 주요 부분에 관한 부호의 간단한 설명>
100: 금융자동화기기 110: 케이스
120: 매체 저장 유닛 130: 매체 이송 유닛
140: 매체 검사 유닛 150: 캐리지
160: 로터 170: 매제 회수 유닛
180: 매체 가이드 190: 가이드 조절 기구

Claims (13)

  1. 출금부가 구비된 케이스;
    상기 케이스에 구비된 매체 저장 유닛들로부터 종이매체들을 이송하는 매체 이송 유닛;
    상기 매체 이송 유닛에 의해 종이매체들이 적재되는 적재 공간이 내부에 형성되고, 상기 출금부와 연결된 이동 경로를 따라 이동되는 캐리지;
    상기 캐리지가 인출 또는 수납 가능하도록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종이매체들이 상기 캐리지에 적재되는 제1 포지션 및 상기 캐리지가 상기 이동 경로로 이동되는 제2 포지션으로 상기 캐리지와 함께 회전되는 로터;
    상기 캐리지에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고, 상기 적재 공간으로 이송되는 종이매체들의 크기에 따라 상기 적재 공간의 크기를 조절하는 매체 가이드; 및
    상기 로터에 구비되고, 상기 로터의 내부에 수납된 상기 캐리지의 상기 매체 가이드와 연결되어 상기 매체 가이드의 위치를 조절하는 가이드 조절 기구;
    를 포함하는 금융자동화기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로터 또는 상기 캐리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는, 상기 캐리지의 내부에 적재된 종이매체의 유무를 감지하는 제1 캐리지 센서, 상기 캐리지가 상기 로터 내의 정위치에 배치되었는지를 감지하는 제2 캐리지 센서, 및 상기 매체 가이드가 상기 캐리지 내의 정위치에 배치되었는지를 감지하는 제3 캐리지 센서가 구비된 금융자동화기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매체 가이드는,
    상기 캐리지의 하부에 상기 종이매체의 폭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구비된 이동 플레이트;
    상기 이동 플레이트에 돌출되게 형성되고, 상기 적재 공간으로 이송되는 상기 종이매체의 적재 위치를 안내하는 복수개의 매체 가이드 돌기들; 및
    상기 캐리지와 상기 이동 플레이트에 연결되어 상기 이동 플레이트에 상기 적재 공간이 증가되는 제1 방향으로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부재;
    를 포함하는 금융자동화기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매체 가이드 돌기들의 전면에는, 상기 적재 공간으로 이송되는 상기 종이매체와의 충격을 흡수하기 위하여 댐핑부가 탄성적으로 누름 가능하게 각각 구비된 금융자동화기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캐리지는, 상기 로터의 회전시 상기 로터와 함께 회전되는 제1 캐리지부; 상기 제1 캐리지부와의 사이에 상기 적재 공간이 형성되도록 상기 제1 캐리지부의 상측에 서로 마주보게 배치된 제2 캐리지부; 및 상기 제1 캐리지부와 상기 제2 캐리지부를 서로 접철 가능하게 연결시키고, 상기 캐리지를 구동시키는 캐리지 구동부;를 구비하고,
    상기 이동 플레이트는 상기 제1 캐리지부에 구비되고, 상기 매체 가이드 돌기들은 상기 제2 캐리지부에 형성된 슬릿홀에 관통되게 배치된 금융자동화기기.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조절 기구는,
    상기 로터에 직선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고, 상기 이동 플레이트에 형성된 걸림부에 걸림되어 상기 적재 공간의 크기가 감소되는 제2 방향으로 상기 이동 플레이트를 이동시키는 스토퍼;
    상기 로터에 구비되어 상기 스토퍼에 구동력을 제공하는 스토퍼 구동부; 및
    상기 스토퍼 구동부와 상기 스토퍼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스토퍼 구동부의 구동력을 상기 스토퍼에 전달하는 동력전달부재;
    를 포함하는 금융자동화기기.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동력전달부재는,
    상기 로터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된 동력전달축;
    상기 동력전달축의 일단에 상기 스토퍼 구동부의 구동력을 전달하는 기어부; 및
    상기 동력전달축의 타단과 상기 스토퍼에 연결되고, 상기 동력전달축의 회전력을 전달받아 상기 스토퍼의 직선 이동력으로 전환하는 링크부;
    를 구비한 금융자동화기기.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기어부는,
    상기 스토퍼 구동부에 연결된 구동 기어;
    상기 동력전달축의 일단에 연결된 종동 기어; 및
    상기 로터에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고, 상기 구동 기어와 상기 종동 기어 사이에 연동 가능하게 구비된 적어도 하나의 중계 기어;
    을 구비한 금융자동화기기.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 기어와 상기 종동 기어 및 적어도 하나의 상기 중계 기어 중 어느 하나에는 호 형상으로 형성된 위치 설정 리브가 둘레를 따라 형성되고,
    상기 제3 캐리지 센서는 상기 위치 설정 리브를 감지하여 상기 매체 가이드의 정위치 여부를 검출하는 금융자동화기기.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로터는, 상기 케이스의 양측면에 각각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고 상기 캐리지의 양측을 이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회전부; 및 상기 케이스의 양측면에 각각 배치된 회전부에 양측이 연결되고 상기 캐리지가 안착되는 연결부;를 구비하고,
    상기 스토퍼와 상기 동력전달축 및 상기 링크부는 상기 연결부에 구비되고, 상기 스토퍼 구동부와 상기 기어부 및 상기 제3 캐리지 센서는 상기 회전부의 외부 측면에 구비된 금융자동화기기.
  11. 제2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금융자동화기기의 제어 방법에 있어서,
    제2 캐리지 센서를 이용하여 캐리지가 로터 내부의 정위치에 배치되었는지를 감지하고, 상기 캐리지가 정위치에 배치되지 않은 것으로 감지되면 상기 캐리지를 구동시켜 상기 로터 내의 정위치에 상기 캐리지를 배치시키는 캐리지 정위치 단계;
    제1 캐리지 센서를 이용하여 상기 캐리지의 적재 공간에 잔류된 종이매체의 존재 여부를 감지하고, 상기 적재 공간에 잔류된 종이매체가 감지되면 상기 종이매체를 제거하는 잔류 매체 제거 단계;
    제3 캐리지 센서를 이용하여 상기 캐리지의 정위치에 매체 가이드가 배치되었는지를 감지하고, 상기 매체 가이드가 정위치에 배치되지 않은 것으로 감지되면 가이드 조절 기구가 상기 매체 가이드를 상기 캐리지의 정위치로 이동시키는 가이드 정위치 단계;
    상기 가이드 조절 기구가 상기 적재 공간에 적재될 종이매체들의 폭에 따라 상기 매체 가이드를 이동시켜 상기 적재 공간의 크기를 조절하는 적재 공간 조절 단계; 및
    상기 가이드 조절 기구에 의해 크기가 조절된 상기 적재 공간에 상기 종이매체들을 매체 이송 유닛이 적재하는 매체 적재 단계;
    을 포함하는 금융자동화기기의 제어 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정위치 단계는,
    상기 제3 캐리지 센서에 상기 매체 가이드가 감지되는지를 판단하는 과정;
    상기 제3 캐리지 센서에 상기 매체 가이드가 미감지되면, 상기 가이드 조절 기구는 상기 적재 공간이 증가되는 제1 방향으로 상기 매체 가이드를 이동시켜 상기 제3 캐리지 센서에 감지되는 지점에 상기 매체 가이드를 정위치시키는 과정; 및
    상기 제3 캐리지 센서에 상기 매체 가이드가 감지되면, 상기 가이드 조절 기구는 상기 적재 공간이 감소되는 제2 방향으로 상기 매체 가이드를 이동시켜 상기 제3 캐리지 센서에 미감지되는 지점에 상기 매체 가이드를 정위치시키는 과정;
    를 구비한 금융자동화기기의 제어 방법.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적재 공간 조절 단계에서는, 상기 적재 공간에 적재될 종이매체들의 폭이 다양한 크기로 형성된 경우, 상기 적재 공간이 증가되는 제1 방향을 향해 단계적으로 증가되도록 조절되고,
    상기 매체 적재 단계에서는, 상기 매체 이송 유닛에 의해 폭이 작은 종이매체부터 폭이 큰 종이매체 순으로 상기 적재 공간에 차례로 적재되는 금융자동화기기의 제어 방법.
KR1020090136164A 2009-12-31 2009-12-31 금융자동화기기 및 그 제어 방법 KR101106863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36164A KR101106863B1 (ko) 2009-12-31 2009-12-31 금융자동화기기 및 그 제어 방법
US13/519,524 US8814041B2 (en) 2009-12-31 2010-12-31 Automatic financial automation equipment and control method thereof
EP10841326.1A EP2511884B1 (en) 2009-12-31 2010-12-31 Automatic financial automation equipment and control method thereof
PCT/KR2010/009609 WO2011081494A2 (ko) 2009-12-31 2010-12-31 금융자동화기기 및 그 제어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36164A KR101106863B1 (ko) 2009-12-31 2009-12-31 금융자동화기기 및 그 제어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79184A KR20110079184A (ko) 2011-07-07
KR101106863B1 true KR101106863B1 (ko) 2012-01-19

Family

ID=442270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136164A KR101106863B1 (ko) 2009-12-31 2009-12-31 금융자동화기기 및 그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8814041B2 (ko)
EP (1) EP2511884B1 (ko)
KR (1) KR101106863B1 (ko)
WO (1) WO2011081494A2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98358B1 (ko) * 2013-04-24 2015-03-03 주식회사 엘지씨엔에스 매체 처리 장치 및 금융기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159180B2 (en) * 2011-12-20 2015-10-13 Ncr Corporation Media conveying
CN103832866B (zh) * 2012-11-22 2016-08-03 山东新北洋信息技术股份有限公司 薄片类介质堆叠输送装置和方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72666A (ko) * 2007-12-28 2009-07-02 노틸러스효성 주식회사 금융자동화기기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1549281A (en) * 1976-06-25 1979-08-01 Xerox Corp Sheet handling apparatus
JPS5911491A (ja) * 1982-07-12 1984-01-21 株式会社東芝 入出金装置
US4726474A (en) * 1984-05-08 1988-02-23 Laurel Bank Machines Co., Ltd. Circulating-type bill depositing and disbursing machine
US5240368A (en) * 1989-12-04 1993-08-31 Diebold, Inc. Sheet handling apparatus
JP2667739B2 (ja) * 1990-08-16 1997-10-27 沖電気工業株式会社 紙幣自動入出金装置
ATE171293T1 (de) 1995-02-24 1998-10-15 Ascom Autelca Ag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gesicherten ablage und ausgabe von banknoten
JP3086167B2 (ja) * 1996-02-29 2000-09-11 ローレルバンクマシン株式会社 紙幣処理機
KR200392317Y1 (ko) 2005-05-30 2005-08-18 노틸러스효성 주식회사 금융자동화기기의 출금장치
KR20060129647A (ko) 2005-06-13 2006-12-18 노틸러스효성 주식회사 금융자동화기기의 출금장치
KR101099900B1 (ko) 2005-11-16 2011-12-28 노틸러스효성 주식회사 금융자동화기기의 출금장치
US8146804B2 (en) 2007-12-21 2012-04-03 Nautilus Hyosung Inc. Cash transaction machine
KR100973873B1 (ko) * 2008-02-26 2010-08-03 노틸러스효성 주식회사 매체입금장치 및 그 제어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72666A (ko) * 2007-12-28 2009-07-02 노틸러스효성 주식회사 금융자동화기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98358B1 (ko) * 2013-04-24 2015-03-03 주식회사 엘지씨엔에스 매체 처리 장치 및 금융기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511884B1 (en) 2015-09-30
WO2011081494A3 (ko) 2011-12-08
US20120279982A1 (en) 2012-11-08
EP2511884A4 (en) 2013-07-17
KR20110079184A (ko) 2011-07-07
US8814041B2 (en) 2014-08-26
EP2511884A2 (en) 2012-10-17
WO2011081494A2 (ko) 2011-07-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600804B2 (ja) 紙幣収納庫および紙幣取扱装置
EP2511886B1 (en) Automatic teller machine
KR101732795B1 (ko) 매체 집적 장치 및 금융 기기
KR100711316B1 (ko) 지폐류 자동수납처리기의 카세트장치
KR101016245B1 (ko) 금융자동화기기의 출금장치
KR20110079092A (ko) 금융 자동화기기용 회수매체 저장 카세트
KR101106863B1 (ko) 금융자동화기기 및 그 제어 방법
KR101508339B1 (ko) 금융자동화기기의 매체 이송 장치
KR101508792B1 (ko) 금융자동화기기의 반송모듈
KR101280658B1 (ko) 매체보관함 및 금융기기
KR101106794B1 (ko) 금융자동화기기
KR200411493Y1 (ko) 금융자동화기기의 출금장치
KR100610998B1 (ko) 지폐류 입출금기에서 입금기의 입금제어장치 및 그 방법
KR101102676B1 (ko) 금융자동화기기 및 그 제어 방법
KR200389004Y1 (ko) 금융자동화기기의 출금장치
KR101049321B1 (ko) 금융자동화기기
KR101609455B1 (ko) 매체 보관함 및 금융기기
KR101120867B1 (ko) 금융자동화기기
KR20110079266A (ko) 금융자동화기기의 초기화 방법
KR101077317B1 (ko) 금융자동화기기의 리젝트 박스
KR100610999B1 (ko) 지폐류 입출금기에서 출금기의 출금제어장치 및 그 방법
KR101123683B1 (ko) 금융자동화기기의 출금장치
KR20110079263A (ko) 금융자동화기기 및 그 작동 방법
KR101673384B1 (ko) 금융자동화기기의 매체 분리 장치
KR101145052B1 (ko) 금융 자동화기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2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2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1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03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