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06825B1 - 차량용 의자의 하강조절장치 - Google Patents

차량용 의자의 하강조절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06825B1
KR101106825B1 KR1020090128449A KR20090128449A KR101106825B1 KR 101106825 B1 KR101106825 B1 KR 101106825B1 KR 1020090128449 A KR1020090128449 A KR 1020090128449A KR 20090128449 A KR20090128449 A KR 20090128449A KR 101106825 B1 KR101106825 B1 KR 10110682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air spring
chair
hook
butt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1284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71796A (ko
Inventor
이상복
Original Assignee
한일이화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일이화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일이화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12844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06825B1/ko
Publication of KR2011007179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7179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0682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0682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0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 B60N2/16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height-adjustab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50Seat suspension devices
    • B60N2/502Seat suspension devices attached to the base of the sea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0224Non-manual adjustments, e.g. with electrical operation
    • B60N2/0226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seat adjustment
    • B60N2/0228Hand-activated mechanical switch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50Seat suspension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50Seat suspension devices
    • B60N2/505Adjustable suspension including height adjust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50Seat suspension devices
    • B60N2/506Seat guided by rods
    • B60N2/508Scissors-like struct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50Seat suspension devices
    • B60N2/52Seat suspension devices using fluid means
    • B60N2/525Seat suspension devices using fluid means using ga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Fluid-Damping Devices (AREA)
  • Vehicle Body Suspens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용 의자의 하강조절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에어식 서스펜션에 구비된 에어스프링에 압축공기를 공급하는 유로를 제어하여 운전자가 하차시에 에어스프링의 공기가 배기되어 의자의 높이가 낮아지도록 함으로써 운전자의 무릎이 핸들에 닿지 않도록 하여 편리하게 승하차 할 수 있도록 하는 차량용 의자의 하강조절 장치에 관한 것이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사상으로서의 본 발명은, 의자의 시트를 지지하는 상부프레임과 상기 의자를 차체에 고정하는 하부프레임과, 상기 상부프레임 및 하부프레임을 연결하는 X자형 링크와, 의자에 가해지는 충격을 흡수하는 에어스프링 및 상기 에어스프링의 진동폭을 완화시켜주는 쇽업쇼버로 구성되며, 상기 에어스프링과 에어펌프 사이에는 벨런스밸브가 구비되어 상기 에어펌프로부터 에어스프링에 공급되는 압축공기의 양을 조절해 주고 상기 벨런스밸브와 상기 에어스프링 사이에는 릴리이프밸브가 구비되어 상기 에서스프링의 압축공기를 배기시켜주는 차량용 의자의 하강 조절장치에 있어서, 상기 릴리이프밸브를 조절하는 스위치는, 내부에는 상기 릴리이프밸브가 구비되고, 일면에는 상기 릴리이프밸브의 밸브플런저가 돌출되어 있고, 일면의 일단에는 후크래치가 구비되어 있으며, 타면에는 스프링연결포트와 배기포트와 펌프연결포트가 각각 돌출되어 있는 몸체; 및 일단이 상기 몸체의 일면의 타단에 힌지결합되고, 타단에는 상기 후크래치의 형상에 대응하는 후크가 구비되어 있는 버튼;으로 구성되어, 상기 버튼을 누르면 상기 후 크와 상기 후크래치가 결합되고 동시에 상기 플런저가 눌리면서 상기 에어스프링 내부의 압축공기가 배기되며, 상기 버튼을 다시 한번 누르면 상기 후크와 상기 후크래치가 분리되고 동시에 상기 플런저가 원위치로 복귀되어 상기 에어스프링 내부의 압축공기가 배기되는 것을 차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에어펌프, 에어스프링, 버튼, 후크, 후크래치, 탄성결합부

Description

차량용 의자의 하강조절장치{A CHAIR DOWNTURN CONTROL APPARATUS FOR VEHICLE}
본 발명은 차량용 의자의 하강조절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에어식 서스펜션에 구비된 에어스프링에 압축공기를 공급하는 유로를 제어하여 운전자가 하차시에 에어스프링의 공기가 배기되어 의자의 높이가 낮아지도록 함으로써 운전자의 무릎이 핸들에 닿지 않도록 하여 편리하게 승하차 할 수 있도록 하는 차량용 의자의 하강조절 장치에 관한 것이다.
차량용 의자의 하부에 장착되는 완충장치는 노면상태가 고르지 못한 길을 주행하는 경우에 의자로 전달되는 충격을 흡수하고, 의자의 높이를 항상 일정하게 유지시켜주는 장치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용 의자의 하부에 장착되는 완충장치는 좌석을 차체에 고정시키는 상부프레임 및 하부프레임과, 상기 상부프레임 및 하부프레임 사이를 연결하는 X자형 링크와, 의자에 전해지는 충격을 완화시키는 에어스프링 및 에어스프링의 진동폭을 완화시켜주는 쇽업쇼버로 구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차량용 의자의 완충장치는 에어스프링과 쇽업쇼버에 의하 여 주행중에 발생하는 충격을 흡수 및 완화하여 승차감을 향상시키고 운전자의 피로감을 들어준다.
그러나 에어스프링은 항상 일정한 공기압을 받고 있기 때문에 운전자가 의자에서 일어날 때 좌석이 함께 솟아오르게 되어 운전자의 무릎이 핸들에 닿게 되는 불편함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등록실용신안 제20-0293214호는 운전자가 하차시 에어스프링 내의 공기를 배기시켜 의자가 솟아오르는 것을 방지하는 장치를 제시하고 있다.
상기 등록특허 제20-0293214호는 '차량용 의자의 하강 조절장치'에 관한 것으로, 상기 등록특허의 도 4를 참조하면, 종래기술에 따른 차량용 의자의 하강 조절장치는 상부프레임(2)의 일측에 버튼(11)이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버튼(11)의 하부에는 릴리이즈밸브(10)의 플런저(10c)와 버튼(11) 하부의 돌기(12)를 잡아 버튼(12)의 누른 상태를 고정시키는 후크스위치(14)로 구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종래기술에 따른 차량용 의자의 하강 조절장치는 구조가 복잡하고, 버튼(11)과 후크스위치(14)를 상부프레임(2)에 각각 독립적으로 구비하여야하므로 설치공간을 많이 차지하며, 별도의 설치용 브래킷이 필요하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릴리이프밸브, 버튼 및 후크래치를 모듈화하여 일체화함으로써 구조가 간단하고, 협소한 공간에도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으며, 별도의 브래킷이 없이도 간단하게 설치할 수 있는 차량용 의자의 하강조절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사상으로서의 본 발명은, 의자의 시트를 지지하는 상부프레임과 상기 의자를 차체에 고정하는 하부프레임과, 상기 상부프레임 및 하부프레임을 연결하는 X자형 링크와, 의자에 가해지는 충격을 흡수하는 에어스프링 및 상기 에어스프링의 진동폭을 완화시켜주는 쇽업쇼버로 구성되며, 상기 에어스프링과 에어펌프 사이에는 벨런스밸브가 구비되어 상기 에어펌프로부터 에어스프링에 공급되는 압축공기의 양을 조절해 주고 상기 벨런스밸브와 상기 에어스프링 사이에는 릴리이프밸브가 구비되어 상기 에어스프링의 압축공기를 배기시켜주는 차량용 의자의 하강 조절장치에 있어서, 상기 릴리이프밸브를 조절하는 스위치는, 내부에는 상기 릴리이프밸브가 구비되고, 일면에는 상기 릴리이프밸브의 밸브플런저가 돌출되어 있는 몸체와, 상기 몸체의 일면 타단에 힌지 결합되는 버튼과, 상기 몸체의 일면 일단에 구비되는 후크래치와, 상기 버튼의 타단에 구비되며, 상기 후크래치의 형상에 대응하는 후크로 구성되어, 상기 버튼을 누르면 상기 후크가 상기 후크래치에 결합되고 동시에 상기 밸브플런저가 눌리면서 상기 에어스프링의 압축공기는 배기되며 상기 에어펌프에서 공급되는 압축공기는 차단하게 되며, 상기 버튼을 다시 한번 누르면 상기 후크가 상기 후크래치에서 분리됨과 동시에 상기 밸브플런저가 원위치로 복귀되어 상기 에어스프링의 압축공기가 배기되는 것을 차단하고 상기 에어펌프의 압축공기가 상기 에어스프링으로 공급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로, 상기 몸체의 측면으로서, 서로 마주보는 두 면에는 길이방향으로 연장된 띠모양으로 양단이 상기 몸체의 측면의 끝단에 결합하고 가운데 부분이 몸체로부터 이격되어 볼록하게 돌출된 탄성결합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로, 상기 탄성결합부의 외측면에는 상기 버튼방향으로 기울어진 형상의 결합턱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의자의 하강조절장치에 의하면, 릴리이프밸브, 버튼 및 후크래치를 모듈화하여 생산비가 절감되고, 협소한 공간에도 설치할 수 있으며, 별도의 브래킷이 없이도 차량용 의자에 설치할 수 있어서 설치가 용이하고 설치비용이 절감되는 효과가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의자의 하강조절장치가 차량용 의자에 설치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스위치의 내부구성을 보여주는 회로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차량용 의자의 하부에 장착되는 에어식서스펜션은 의자의 시트를 지지하는 상부프레임(10)과 의자를 차체에 고정하는 하부프레임(20)과, 상부프레임(10) 및 하부프레임(20)을 연결하는 X자형 링크(30)와, 충격을 흡수하는 에어스프링(40)과, 에어스프링(40)의 진동폭을 완화시켜주는 쇽업쇼버(50) 및 에어스프링(40)의 압축공기를 배기시키는 스위치(200)로 구성된다.
전술하여 설명한 구성요소들은 에어식서스펜션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공지의 구성요소로서 이들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에어스프링(40)은 에어펌프(60)로부터 압축공기를 공급받아 차체에 가해지는 충격을 흡수하며, 에어스프링(40)과 에어펌프(60) 사이에는 벨런스밸브(70)가 구비되어 에어펌프(60)로부터 에어스프링(40)에 공급되는 압축공기의 양을 조절해 준다.
벨런스밸브(70)에는 두 개의 플런저(75)가 구비되어, 에어스프링(40) 내의 압축공기가 일정량에 미달하여 의자가 일정높이 이하로 하강하는 경우에는 어느 하나의 플런저가 눌리면서 에어펌프(60)와 에어스프링(40)을 연결하는 유로가 개방되어 에어스프링(40) 내로 압축공기가 공급되고, 에어스프링(40) 내로 압축공기가 공급되면 의자가 상승하게 된다.
한편, 에어스프링(40) 내의 압축공기가 일정량을 초과하여 의자가 일정높이 이상으로 상승하면 다른 플런저가 눌리면서 에어스프링(40)에 연결되어 있는 배기 포트가 개방되어 에어스프링(40) 내의 압축공기가 외부로 방출되고 의자는 하강하게 된다.
이와 같은 벨런스밸브(70)는 차량이 불규칙한 노면을 주행할 때 두 개의 플런저(75)가 교대로 눌리면서 에어펌프(60)로부터 에어스프링(40)으로 압축공기가 공급되거나 에어스프링(40) 내의 공기가 배기 되면서 충격을 완화하게 된다.
릴리이프밸브(80)는 스위치(200)의 내부에 형성되며, 벨런스밸브(70)와 에어스프링(40) 사이에는 구비되어 에어스프링(40)의 압축공기를 배기시켜 의자의 높이를 낮추어 준다.
릴리이프밸브(80)는 밸브펄런저(81), 스프링연결포트(83), 배기포트(85), 펌프연결포트(87), 탄성체(89)로 구성된다.
펌프연결포트(87)는 벨런스밸브(70)와 연결되고, 배기포트(85)는 외부로 개방되며, 스프링연결포트(83)는 에어스프링(40)과 연결된다.
평상시에는 펌프연결포트(87)가 스프링연결포트(83)와 연결되어 벨런스밸브(70)의 제어에 따라 에어펌프(60)로부터 에어스프링(40)으로 압축공기가 공급되거나 에어스프링(40)으로부터 압축공기가 배기된다.
그러나 운전자가 차량으로부터 하차하기 위하여 밸브펄런저(81)를 누르면 스프링연결포트(83)와 배기포트(85)가 연결되면서 에어스프링(40) 내의 압축공기가 배기포트(85)를 통하여 외부로 배기되어 의자의 높이가 낮아지게 된다. 의자의 높이가 낮아지면 핸들과 무릎 사이의 공간이 넓어져서 운전자가 하차하기 편리하게 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의자의 하강조절장치의 스위치의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의자의 하강조절장치의 스위치(200)는 내부에 릴리이프밸브(80)가 형성되어 있으며, 일면의 일단에는 후크래치(90)가 구비되어 있는 몸체(100)와, 일단이 몸체의 일면의 타단에 힌지결합하고 타단에는 후크(115)가 구비되어 있는 버튼(110)으로 구성된다.
몸체(100)의 내부에는 도 2에 도시된 릴리이프밸브(80)가 구비되어 있다. 상기 릴리이프밸브(80)의 플런저(81)는 몸체(100)의 일면으로 돌출되어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몸체의 일면의 중앙부분에 돌출되어 있다. 또한, 펌프연결포트(81), 스프링연결포트(83) 및 배기포트(85)는 바람직하게는 몸체(100)의 타면에 각각 돌출되어 있으며, 필요에 따라서는 상기 포트의 일부 또는 전부가 상기 밸브플런저(81)가 돌출되어 있는 몸체(100)의 일면을 제외한 다른 면으로 돌출되도록 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펌프연결포트(87)는 벨런스밸브(70)와 연결되고, 배기포트(85)는 외부로 통하여 배기구의 역할을 하며, 스프링연결포트(83)는 에어스프링(40)과 연결된다.
몸체(100)의 일면의 일단에는 후크래치(90)가 구비되어 있다. 후크래치(90)는 공지의 구성요소로서, 후크래치(90)의 형상에 대응하는 후크(115)를 후크래치(90)에 맞물리도록 하여 누르면 후크(115)와 후크래치(90)가 결합한 상태로 고정되고, 다시 한번 후크(115)를 누르면 후크(115)와 후크래치(90)가 분리되는 장치이 다.
버튼(110)은 일단이 몸체(100)의 일면의 타단에 힌지결합되고, 타단에는 상기 후크래치(90)의 형상에 대응하는 후크(115)가 구비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차량용 의자의 하강조정장치는 운전자가 버튼(110)을 누르면 후크(115)와 후크래치(90)가 결합하게 되고, 이와 연동하여 버튼(110)의 하부에 돌출되어 있는 밸브플런저(81)가 눌리면서 배기포트(85)와 스프링연결포트(83)가 연결되면서 에어스프링(40) 내부의 압축공기가 배기된다.
또한 운전자가 버튼(110)을 다시 한번 누르면 후크(115)와 후크래치(90)가 분리되면서 버튼(110)이 상승하고, 이와 연동하여 버튼(110)의 하부에 구비되어 있는 밸브플런저(81)가 원위치로 복귀되면서 펌프연결포트(87)와 스프링연결포트(83)가 연결되어 에어스프링(40) 내부의 압축공기가 더 이상 배기되지 않게 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는 몸체의 측면으로서, 서로 마주보는 두 면에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의자의 하강조절장치를 차체 또는 의자의 프레임에 고정하기 위한 탄성결합부(120)가 구비된다.
탄성결합부(12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길이방향으로 길게 연장되는 띠모양으로, 양단이 몸체(100)의 측면의 양측 끝단에 결합되고 가운데 부분이 몸체(100)로부터 이격되어 볼록하게 돌출되어 있다.
또한, 탄성결합부(120)의 외측면에는 버튼방향으로 기울어진 결합턱(125)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결합턱(125)은 바람직하게는 상기 탄성결합부(120)의 돌출부의 최상부에서 버튼(110)방향으로 기울어진 면상에 형성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탄성결합부(120)는 차체 또는 의자의 프레임의 특정부분에 몸체(100)의 형상에 대응하며 몸체(100)보다는 다소 큰 절개부(미도시)를 형성하고, 절개부에 상기 몸체(100)를 끼워 맞추는 것만으로도 견고하게 고정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의자의 하강조절장치에 의하면 별도의 고정브래킷이 없이도 차체의 원하는 위치에 용이하게 결합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주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의자의 하강조절장치가 차량용 의자에 설치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스위치의 내부구성을 보여주는 회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의자의 하강조절장치의 스위치의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
<도면의 주요부에 대한 설명>
10: 상부프레임 20: 하부프레임
30: 링크 40: 에어스프링
50: 쇽업쇼바 60: 에어펌프
70: 벨런스밸브 80: 릴리이프밸브
90: 후크래치 100: 몸체
110: 버튼 115: 후크
120: 탄성결합부

Claims (3)

  1. 의자의 시트를 지지하는 상부프레임(10)과 상기 의자를 차체에 고정하는 하부프레임(20)과, 상기 상부프레임(10) 및 하부프레임(20)을 연결하는 X자형 링크(30)와, 의자에 가해지는 충격을 흡수하는 에어스프링(40) 및 상기 에어스프링(40)의 진동폭을 완화시켜주는 쇽업쇼버(50)로 구성되며, 상기 에어스프링(40)과 에어펌프(60) 사이에는 벨런스밸브(70)가 구비되어 상기 에어펌프(60)로부터 에어스프링(40)에 공급되는 압축공기의 양을 조절해 주고 상기 벨런스밸브(70)와 상기 에어스프링(40) 사이에는 릴리이프밸브(80)가 구비되어 상기 에어스프링(40)의 압축공기를 배기시켜주는 차량용 의자의 하강 조절장치에 있어서,
    상기 릴리이프밸브(80)를 조절하는 스위치(200)는,
    내부에는 상기 릴리이프밸브(80)가 구비되고, 일면에는 상기 릴리이프밸브(80)의 밸브플런저(81)가 돌출되어 있는 몸체(100);
    상기 몸체(100)의 일면 타단에 힌지 결합되는 버튼(110);
    상기 몸체(100)의 일면 일단에 구비되는 후크래치(90);
    상기 버튼(110)의 타단에 구비되며, 상기 후크래치(90)의 형상에 대응하는 후크(115);로 구성되어,
    상기 버튼(110)을 누르면 상기 후크(115)가 상기 후크래치(90)에 결합되고 동시에 상기 밸브플런저(81)가 눌리면서 상기 에어스프링(40)의 압축공기는 배기되며 상기 에어펌프(60)에서 공급되는 압축공기는 차단되고,
    상기 버튼(110)을 다시 한번 누르면 상기 후크(115)가 상기 후크래치(90)에서 분리됨과 동시에 상기 밸브플런저(81)가 원위치로 복귀되어 상기 에어스프링(40)에서 외부로 배기되는 압축공기는 차단되고, 상기 에어펌프(60)의 압축공기가 상기 에어스프링(40)으로 공급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의자의 하강조절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100)의 측면으로서, 서로 마주보는 두 면에는 길이방향으로 연장된 띠모양으로 양단이 상기 몸체(100)의 측면의 끝단에 결합하고 가운데 부분이 몸체(100)로부터 이격되어 볼록하게 돌출된 탄성결합부(120)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의자의 하강조절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결합부(120)의 외측면에는 상기 버튼(110)방향으로 기울어진 형상의 결합턱(125)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의자의 하강조절장치.
KR1020090128449A 2009-12-21 2009-12-21 차량용 의자의 하강조절장치 KR10110682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28449A KR101106825B1 (ko) 2009-12-21 2009-12-21 차량용 의자의 하강조절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28449A KR101106825B1 (ko) 2009-12-21 2009-12-21 차량용 의자의 하강조절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71796A KR20110071796A (ko) 2011-06-29
KR101106825B1 true KR101106825B1 (ko) 2012-01-19

Family

ID=444028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128449A KR101106825B1 (ko) 2009-12-21 2009-12-21 차량용 의자의 하강조절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06825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102609A (ja) * 1988-10-11 1990-04-16 Niles Parts Co Ltd 座席用ランバーサポート装置
KR200293214Y1 (ko) 2002-07-22 2002-10-25 이원컴포텍 주식회사 차량용 의자의 하강 조절장치
KR20020093214A (ko) * 2001-06-07 2002-12-16 삼성전자 주식회사 반도체 식각설비의 상부전극구조
KR100457801B1 (ko) * 2004-07-08 2004-11-18 이원컴포텍 주식회사 차량용 완충의자의 높이조절 컨트롤밸브
KR100770652B1 (ko) * 2007-08-20 2007-10-29 이원컴포텍 주식회사 차량용 완충의자의 높이조절용 밸브 집약식 조작버튼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102609A (ja) * 1988-10-11 1990-04-16 Niles Parts Co Ltd 座席用ランバーサポート装置
KR20020093214A (ko) * 2001-06-07 2002-12-16 삼성전자 주식회사 반도체 식각설비의 상부전극구조
KR200293214Y1 (ko) 2002-07-22 2002-10-25 이원컴포텍 주식회사 차량용 의자의 하강 조절장치
KR100457801B1 (ko) * 2004-07-08 2004-11-18 이원컴포텍 주식회사 차량용 완충의자의 높이조절 컨트롤밸브
KR100770652B1 (ko) * 2007-08-20 2007-10-29 이원컴포텍 주식회사 차량용 완충의자의 높이조절용 밸브 집약식 조작버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71796A (ko) 2011-06-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879944B2 (ja) 車両用緩衝椅子の高さ調節用弁集約型操作ボタン
CA2473052A1 (en) Cycle saddle assembly with pneumatic suspension
KR200293214Y1 (ko) 차량용 의자의 하강 조절장치
US9381829B2 (en) Seat elevation control apparatus for vehicle
KR101106825B1 (ko) 차량용 의자의 하강조절장치
ATE421446T1 (de) Fahrzeugsitz mit bedieneranwesenheitsschalter
KR100457801B1 (ko) 차량용 완충의자의 높이조절 컨트롤밸브
KR100451657B1 (ko) 차량용 의자의 높이 조절식 충격 완화장치
KR200432633Y1 (ko) 자전거 안장
CN112172630B (zh) 汽车座椅凸轮调节式减震装置及其减震方法以及高度调节方法
WO2006101589A1 (en) Air spring assembly with flexible can
CN206344912U (zh) 一种可调节的避震鞍座
CN201849353U (zh) 汽车座椅的防震装置
CN106005138A (zh) 摩托车脚蹬
KR200245831Y1 (ko) 유압을 이용한 쇽업쇼바
CN207901130U (zh) 一种全自动修车躺椅
KR20110010211U (ko) 시트백용 허리 지지장치
CN110696694A (zh) 一种汽车道路识别按摩腰托装置
KR102119171B1 (ko) 안티 서브마린 기능을 갖는 차량용 시트
WO2014092670A1 (en) Vehicle seat suspension
CN111419490B (zh) 减震扭转构造
WO2023157021A1 (en) Seat positioning system for seat suspension of vehicles
CN206049450U (zh) 电动充气式气囊悬浮减振座椅的刚度自动调节机构
US11229535B2 (en) Shock-absorbing twisting structure
KR100706546B1 (ko) 에어 스프링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1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2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2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11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