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62869A - 프런트 서스펜션의 차고 조절 장치 - Google Patents

프런트 서스펜션의 차고 조절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62869A
KR20090062869A KR1020070130331A KR20070130331A KR20090062869A KR 20090062869 A KR20090062869 A KR 20090062869A KR 1020070130331 A KR1020070130331 A KR 1020070130331A KR 20070130331 A KR20070130331 A KR 20070130331A KR 20090062869 A KR20090062869 A KR 2009006286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uid
front suspension
spring
height
spring sea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303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광호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13033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90062869A/ko
Publication of KR2009006286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6286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17/00Resilient suspensions having means for adjusting the spring or vibration-damper characteristics, for regulating the distance between a supporting surface and a sprung part of vehicle or for locking suspension during us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surface conditions, e.g. due to speed or load
    • B60G17/02Spring characteristics, e.g. mechanical springs and mechanical adjusting means
    • B60G17/027Mechanical springs regulated by fluid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17/00Resilient suspensions having means for adjusting the spring or vibration-damper characteristics, for regulating the distance between a supporting surface and a sprung part of vehicle or for locking suspension during us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surface conditions, e.g. due to speed or load
    • B60G17/02Spring characteristics, e.g. mechanical springs and mechanical adjusting means
    • B60G17/04Spring characteristics, e.g. mechanical springs and mechanical adjusting means fluid spring characteristics
    • B60G17/052Pneumatic spring characteristics
    • B60G17/0523Regulating distributors or valves for pneumatic springs
    • B60G17/0525Height adjusting or levelling val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206/00Indexing codes related to the manufacturing of suspensions: constructional features, the materials used, procedures or tools
    • B60G2206/01Constructional features of suspension elements, e.g. arms, dampers, springs
    • B60G2206/012Hollow or tubular el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206/00Indexing codes related to the manufacturing of suspensions: constructional features, the materials used, procedures or tools
    • B60G2206/01Constructional features of suspension elements, e.g. arms, dampers, springs
    • B60G2206/40Constructional features of dampers and/or springs
    • B60G2206/42Spr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500/00Indexing codes relating to the regulated action or device
    • B60G2500/30Height or ground clearanc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Vehicle Body Suspens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프런트 서스펜션의 차고 조절 장치에 관한 것으로, 스토퍼 체결 프레임에 의해 차량의 서브 프레임에 장착되며, 내부에 유체가 충진되는 범프 스토퍼; 및 아우터 튜브와, 상기 아우터 튜브의 외측에 설치되는 스프링과, 상기 아우터 튜브의 외측을 감싸는 형태로 설치되어 내부에 유체를 수용하는 유압관과, 상기 유압관의 상단부에 설치되어 상기 스프링의 하단부를 지지하는 스프링 시트가 구비된 쇽업소버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범프 스토퍼는 차량의 범프시 하중이 입력되면 내부에 충진된 유체가 상기 유압관으로 이동하여 상기 스프링 시트의 높이를 가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프런트 서스펜션, 쇽업소버, 유압관, 피스톤, 범프 스토퍼, 유체, 유압, 차고 조절

Description

프런트 서스펜션의 차고 조절 장치{Height adjusting device of front suspension}
본 발명은 프런트 서스펜션의 차고 조절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쇽업소버의 스프링 시트 하단부 높이를 변경함으로써 차고를 조절할 수 있는 프런트 서스펜션의 차고 조절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쇽업소버(Shock upsorber)는 스프링이 받는 진동을 흡수, 완화하여 승차감을 향상시키기 위해 설치되는 것으로, 스프링의 피로를 작게 하고, 스프링의 상하 운동 에너지를 열로 변환시키 진동을 감쇄하며, 고속 주행지 정지성을 증가시켜 조종 안정성을 준다. 쇽업소버는 작동 원리에 따라 고체 마찰식과 유압식으로 나뉘며, 최근에는 유압식을 주로 사용하고 있다.
서스펜션 스프링을 사용하는 종래의 프런트 서스펜션의 경우, 험로 주행으로 인한 휠 범프 등의 경우 셀프 레벨라이저 및 에어 스프링의 두 가지 구조로 차고를 조절하였으나, 이러한 차고 조절 구조의 경우 가격이 높은 단점이 있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쇽업소버의 스프링 시트 하단부 높이를 변경함으로써 차고를 조절할 수 있는 프런트 서스펜션의 차고 조절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스토퍼 체결 프레임에 의해 차량의 서브 프레임에 장착되며, 내부에 유체가 충진되는 범프 스토퍼; 및 아우터 튜브와, 상기 아우터 튜브의 외측에 설치되는 스프링과, 상기 아우터 튜브의 외측을 감싸는 형태로 설치되어 내부에 유체를 수용하는 유압관과, 상기 유압관의 상단부에 설치되어 상기 스프링의 하단부를 지지하는 스프링 시트가 구비된 쇽업소버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범프 스토퍼는 차량의 범프시 하중이 입력되면 내부에 충진된 유체가 상기 유압관으로 이동하여 상기 스프링 시트의 높이를 가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런트 서스펜션의 차고 조절 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범프 스토퍼의 일측에는 상기 유압관에 연결되어 유체의 이동 통로가 되는 유체 이송관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유압관은 내측에 상기 범프 스토퍼로부터 이송된 유체가 수용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유압관에는 일단이 상기 유압관에 삽입되고 타단이 상기 스프링 시트와 접촉하여 유체의 유입시 유압에 의해 상기 스프링 시트를 상승시키는 피스톤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프런트 서스펜션의 차고 조절 장치는 범프 스토퍼의 압축 에너지에 의한 유압을 통해 쇽업소버의 스프링 시트 하단부 높이를 변경함으로써 차고를 조절할 수 있어 부품의 단순화 및 가격 경쟁력의 향상 효과가 있다.
이하에서는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프런트 서스펜션의 차고 조절 장치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첨부된 도 1은 본 발명의 프런트 서스펜션의 차고 조절 장치를 도시한 전체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프런트 서스펜션의 차고 조절 장치를 도시한 부분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프런트 서스펜션의 차고 조절 장치를 도시한 단면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프런트 서스펜션의 차고 조절 장치에 따른 유체 이동을 도시한 모식도이다.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프런트 서스펜션의 차고 조절 장치는 아우터 튜브(130) 및 그 외측에 설치되는 스프링(110)과, 스프링(110)의 하단부를 지지하는 스프링 시트(120)와, 아우터 튜브(130)의 외측에 설치된 유압관(140)이 구비된 쇽업소버(100)와, 내부에 유체가 충진되어 유압관(140)에 유압을 제공하는 범프 스토퍼(200)에 의해 구현되며, 유압관(140)에 의해 스프링 시트(120)의 높이가 가변됨으로써 차고를 조절하는 구조이다.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범프 스토퍼(200)는 스토퍼 체결 프레임(202)에 의해 차량의 서브 프레임(202)에 장착되며, 내부에 유체가 충진된다. 범프 스토퍼(200)는 현가장치가 작동범위(스트로크)의 한계까지 휘었을 때 휠(wheel)로부터의 충격이 차체에 직접 전달되지 않도록 충격을 흡수하는 것으로, 외력에 의해 압축되면서 내부에 충진된 유체가 유체 이송관(210)을 통해 유압관(140)으로 이송된다.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압관(140)은 아우터 튜브(130)의 하부를 외측에서 감싸는 형태로 설치되며, 내부에 유체 이송관(210)을 통해 범프 스토퍼(200)로부터 이송된 유체가 충진된다.
유압관(140)의 상단부에는 피스톤(142)이 삽입되며, 피스톤(142)은 일단이 유압관(140)에 삽입되고 타단은 스프링 시트(120)와 접촉하도록 설치된다.
유체 이송관(210)을 통해 범프 스토퍼(200)로부터 이송된 유체가 유압관(140)의 내부로 유입되면, 유체의 유압에 의해 피스톤(142)이 가압되어 스프링 시트(120)를 향해 상향 이동한다.
피스폰()에 의해 스프링 시트(120)가 가압되어 상향 이동하면서 스프링(110)의 하중 값을 증가시켜 차고를 상승시킨다.
즉, 스프링 시트(120)가 상승하면서 동일 하중에 대한 스프링 반력()이 커지게 되므로 차체의 높이가 상승하게 된다.
반대로 범프 스토퍼(200)에 가해지는 외력이 제거되면 범프 스토퍼(200)가 압축된 상태에서 원래의 형상으로 복귀되면서 유압관(140) 내부의 유체가 다시 유 체 이송관(210)을 통해 범프 스토퍼(200)로 유입된다.
유체가 유압관(140)의 내부에서 빠져나가면서 피스톤(142)이 원래의 위치로 복귀되고, 피스톤(142)이 하강하면서 스프링 시트(120)도 하강하므로 동일 하중에 대한 스프링 반력이 작아져 차체의 높이는 하강하게 된다.
이러한 원리로 험로 주행 등으로 인한 휠 범프(bump) 시 범프 스토퍼의 압축 에너지를 유압을 통해 유압관으로 전달해 스프링 시트의 높이를 변경함으로써 차고를 조절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적용시 피료한 부품이 적고 단순하여 종래에 비해 가격 면에서 경쟁력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한편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된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하게 변형 실시할 수 있는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기재된 청구범위 내에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프런트 서스펜션의 차고 조절 장치를 도시한 전체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프런트 서스펜션의 차고 조절 장치를 도시한 부분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프런트 서스펜션의 차고 조절 장치를 도시한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프런트 서스펜션의 차고 조절 장치에 따른 유체 이동을 도시한 모식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쇽업소버 110 : 스프링
120 : 스프링 시트 130 : 아우터 튜브
140 : 유압관 142 : 피스톤
200 : 범프 스토퍼 202 : 스토퍼 체결 프레임
210 : 유체 이송관

Claims (4)

  1. 스토퍼 체결 프레임(202)에 의해 차량의 서브 프레임(202)에 장착되며, 내부에 유체가 충진되는 범프 스토퍼(200); 및
    아우터 튜브(130)와, 상기 아우터 튜브(130)의 외측에 설치되는 스프링(110)과, 상기 아우터 튜브(130)의 외측을 감싸는 형태로 설치되어 내부에 유체를 수용하는 유압관(140)과, 상기 유압관(140)의 상단부에 설치되어 상기 스프링(110)의 하단부를 지지하는 스프링 시트(120)가 구비된 쇽업소버(100)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범프 스토퍼(200)는 차량의 범프시 하중이 입력되면 내부에 충진된 유체가 상기 유압관(140)으로 이동하여 상기 스프링 시트(120)의 높이를 가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런트 서스펜션의 차고 조절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범프 스토퍼(200)의 일측에는 상기 유압관(140)에 연결되어 유체의 이동 통로가 되는 유체 이송관(210)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런트 서스펜션의 차고 조절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압관(140)은 내측에 상기 범프 스토퍼(200)로부터 이송된 유체가 수 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런트 서스펜션의 차고 조절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유압관(140)에는 일단이 상기 유압관(140)에 삽입되고 타단이 상기 스프링 시트(120)와 접촉하여 유체의 유입시 유압에 의해 상기 스프링 시트(120)를 상승시키는 피스톤(142)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런트 서스펜션의 차고 조절 장치.
KR1020070130331A 2007-12-13 2007-12-13 프런트 서스펜션의 차고 조절 장치 KR2009006286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30331A KR20090062869A (ko) 2007-12-13 2007-12-13 프런트 서스펜션의 차고 조절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30331A KR20090062869A (ko) 2007-12-13 2007-12-13 프런트 서스펜션의 차고 조절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62869A true KR20090062869A (ko) 2009-06-17

Family

ID=409920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30331A KR20090062869A (ko) 2007-12-13 2007-12-13 프런트 서스펜션의 차고 조절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90062869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923680A (zh) * 2020-08-21 2020-11-13 三一机器人科技有限公司 车轮压力调整装置、悬挂装置、车轮总成和车辆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923680A (zh) * 2020-08-21 2020-11-13 三一机器人科技有限公司 车轮压力调整装置、悬挂装置、车轮总成和车辆
CN111923680B (zh) * 2020-08-21 2021-12-14 三一机器人科技有限公司 车轮压力调整装置、悬挂装置、车轮总成和车辆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978845B2 (en) Frequency/pressure sensitive shock absorber
CN104154170B (zh) 一种基于并联机构的多维减振平台
US8215620B2 (en) Self-pumping ride level control system
CN106763441B (zh) 一种阻力自动可调的汽车减震器
CN206439333U (zh) 一种阻力自动可调的汽车减震器
CN212272918U (zh) 一种双弹簧减振器
WO2015014183A1 (zh) 一种矿用自卸车动力总成隔振器
CN1095530C (zh) 两级液压阻尼式减震器
KR20090062869A (ko) 프런트 서스펜션의 차고 조절 장치
CN202955172U (zh) 减震器
CN201202762Y (zh) 带有九档可调机构的减震器
CN109307034A (zh) 车用避震器
CN108488297A (zh) 一种油气弹簧
CN211343836U (zh) 一种电动车用的液压减震器
CN211343837U (zh) 一种电动车用的稳定液压减震器
CN202955168U (zh) 减震器
KR101724736B1 (ko) 자동차용 쇼크업소버
CN202992004U (zh) 一种减震装置
CN207539249U (zh) 一种汽车减振器
CN202955170U (zh) 减震器
KR101162323B1 (ko) 차량용 현가장치의 차고 조절형 탑 마운트
KR102175412B1 (ko) 리프 스프링 충격 저감 장치
CN202560923U (zh) 减震器底座
KR101662223B1 (ko) 주파수 감응형 쇽업소버
CN203239845U (zh) 一种轻型减震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