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06759B1 - 태양전지 모듈의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태양전지 모듈의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06759B1
KR101106759B1 KR1020090113067A KR20090113067A KR101106759B1 KR 101106759 B1 KR101106759 B1 KR 101106759B1 KR 1020090113067 A KR1020090113067 A KR 1020090113067A KR 20090113067 A KR20090113067 A KR 20090113067A KR 101106759 B1 KR101106759 B1 KR 10110675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lar cell
laser
bus line
solder cream
metal ribb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1130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56653A (ko
Inventor
박홍진
조윤채
선상필
김종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티에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티에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티에스
Priority to KR102009011306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06759B1/ko
Publication of KR2011005665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5665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0675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0675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31/00Semiconductor device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and specially adapted either for the conversion of the energy of such radiation into electrical energy or for the control of electrical energy by such radiat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 H01L31/18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thes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31/1876Particular processes or apparatus for batch treatment of the devices
    • H01L31/188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automatic interconnection of solar cells in a modul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31/00Semiconductor device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and specially adapted either for the conversion of the energy of such radiation into electrical energy or for the control of electrical energy by such radiat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 H01L31/02Details
    • H01L31/02002Arrangements for conducting electric current to or from the device in operations
    • H01L31/02005Arrangements for conducting electric current to or from the device in operations for device characterised by at least one potential jump barrier or surface barrier
    • H01L31/02008Arrangements for conducting electric current to or from the device in operations for device characterised by at least one potential jump barrier or surface barrier for solar cells or solar cell modules
    • H01L31/0201Arrangements for conducting electric current to or from the device in operations for device characterised by at least one potential jump barrier or surface barrier for solar cells or solar cell modules comprising specially adapted module bus-bar structur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50Photovoltaic [PV] energy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70/00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process for final industrial or consumer products
    • Y02P70/50Manufacturing or production processes characterised by the final manufactured produc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Photovoltaic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태양전지 모듈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태양전지 모듈의 제조 방법은 솔라셀의 버스라인이 형성될 위치에 솔더크림(solder cream)을 도포하는 솔더크림 도포단계; 제1레이저공급부로부터 발생되는 연속파 레이저를 비초점화된(defocused) 상태로 상기 솔더크림에 조사하면서, 상기 솔더크림을 경화시켜 버스라인을 형성하는 버스라인 형성단계; 인접배치되는 한 쌍의 솔라셀들의 버스라인 사이에 메탈리본을 배치하는 메탈리본 배치단계; 및 제2레이저공급부로부터 발생되는 펄스파 레이저를 초점화된(focused) 상태로 상기 메탈리본에 조사하면서, 상기 메탈리본과 버스라인의 중첩부분을 스폿용접하여 상기 버스라인과 메탈리본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중첩부 접합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하여, 버스라인 형성과정 및 메탈리본의 접합과정에서 발생하는 열에 의해 솔라셀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태양전지 모듈의 제조 방법이 제공된다.
태양전지, 모듈, 솔더크림, 솔더 디스펜서, 연속파 레이저, 펄스파 레이저

Description

태양전지 모듈의 제조 방법{Method for manufacturing a solar cell module}
본 발명은 태양전지 모듈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버스라인 형성과정 및 메탈리본의 접합과정에서 발생하는 열에 의해 솔라셀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태양전지 모듈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태양전지는 광기전력효과 (Photo Voltanic Effect)를 이용하여 빛 에너지를 직접 전기 에너지로 변환시키는 반도체 소자다. 광기전력 효과란 반도체의 P-N 접합부나 정류작용이 있는 금속과 반도체의 경계면에 강한 빛을 입사시키면, 반도체 중에 만들어진 전자와 전자핵이 전위차 때문에 분리되어 양쪽 물질에서 서로 다른 종류의 전기가 나타나는 현상이다.
태양전지 중 일부는 실리콘에 붕소를 첨가한 P형 반도체 위에 인을 확산시켜 N형 실리콘 반도체 층을 형성해서 만들어진다. 표면과 후면에 전극이 있는데 후면 전극은 전체에 걸쳐 형성되어 있고 전면 전극은 빛이 통과 할 수 있도록 총 면적의 5~15%정도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일반적으로 전극 위에는 빛 반사를 방지하는 반사방지용 산화막이 코팅되어 있다. 태양전지에 빛이 입사되면 반도체 내의 전자와 전자핵이 여기되어 반도체 내 부에서 자유롭게 이동한다. 이동하다가 PN 접합에 의해 생긴 전계에 들어오면 전자는 N형반도체에, 전자핵은 P형 반도체에 이르고 전극을 통해 내부의 전자가 외부 회로로 흐르면 전류가 발생된다.
도 1은 일반적인 태양전지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태양전지는 P형 반도체 위에 N형 반도체가 형성된다. 그리고, P형 반도체의 후면(하부면)에는 후면전극이 형성되고 N형 반도체의 전면으로는 전면전극과 반사방지막이 형성된다.
상기와 같이 제조된 태양전지들은 일정한 규격(예를 들어, 가로 156mm × 156mm)을 갖는데, 일반적으로 광효율이 20% 이내이기 때문에 이를 실제로 이용하기 위해서는 여러 장의 태양전지셀들을 서로 접합하여 하나의 태양전지 모듈로 이용하여야 한다.
이러한 태양전지모듈의 전기생산효율을 높이기 위한 여러 가지 연구가 진행되고 있으며, 그 중 하나는 태양전지셀을 접합하는 기술이다. 특히 태양전지셀이 300 내지 400 ㎛ 정도의 두께보다 얇은 200 ㎛ 이하의 두께를 가지는 기판을 사용하기 때문에 접합하는데 여러 가지 문제점이 발생한다.
특히, 200 ㎛ 이하의 얇은 두께의 기판을 이용하여 태양전지셀을 제조하는 경우에 태양전지셀상에 형성되는 전면 및 후면 전극도 마이크로 사이즈를 가져서 종래의 납땜을 통해서는 주변에 열영향을 주어 광효율을 떨어뜨릴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전극과 전극 사이를 정확하게 연결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전극과 전극 사이의 접합부위가 열영향에 의하여 울퉁불퉁하게 된 경 우 햇빛을 산란시켜 태양전지의 효율을 떨어뜨릴 수 있다. 그리고, 직사광선을 받는 부분이기 때문에 열변형으로 인하여 접합부위가 쉽게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200 ㎛ 이하의 얇은 두께의 기판을 이용하는 태양전지셀은 열에 특히 취약하기 때문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접합방식(예를 들어, 가스 용접, 납땜 등)을 사용하기 어렵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이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솔라셀의 상측면의 버스라인이 형성될 위치에 솔더크림을 도포하고, 이를 레이저를 이용하여 경화시켜 버스라인을 형성함으로써 버스라인 주변의 솔라셀의 온도가 과도하게 상승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태양전지 모듈의 제조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은 솔더크림을 경화시키기 위한 레이저로 연속파 레이저를 사용함으로써 전체적으로 균등한 품질의 버스라인을 형성할 수 있는 태양전지 모듈의 제조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또한, 메탈리본과 버스라인의 중첩부를 스폿용접하는 과정에서 접합부위를 향해 짧은 시간에 높은 에너지를 공급하는 것이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종래와 같이 접합부위 주변의 솔라셀이 높은 온도에 의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태양전지 모듈의 제조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솔라셀의 버스라인이 형성될 위치에 솔더크림(solder cream)을 도포하는 솔더크림 도포단계; 제1레이저공급부로부터 발생되는 연속파 레이저를 비초점화된(defocused) 상태로 상기 솔더크림에 조사하면서, 상기 솔더크림을 경화시켜 버스라인을 형성하는 버스라인 형성단계; 인접배치되는 한 쌍의 솔라셀들의 버스라인 사이에 메탈리본을 배치하는 메탈리본 배치단계; 및 제2레이저공급부로부터 발생되는 펄스파 레이저를 초점화된(focused) 상태로 상기 메탈리본에 조사하면서, 상기 메탈리본과 버스라인의 중첩부분을 스폿용접하여 상기 버스라인과 메탈리본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중첩부 접합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버스라인 형성단계에서, 비초점화된 상태로 상기 솔더크림에 조사되는 레이저의 직경은, 상기 솔더크림의 폭과 동일하게 되도록 설정하는 태양전지 모듈의 제조 방법에 의해 달성된다.
여기서, 상기 버스라인 형성단계의 레이저는 700nm 내지 1000nm 파장의 연속파 레이저(continuous wave laser)이며, 상기 중첩부 접합단계의 레이저는 700nm 내지 1200nm 파장의 펄스파 레이저(pulsed laser)인 것이 바람직하다.
삭제
본 발명에 따르면, 솔라셀상에 도포된 솔더크림을 레이저를 이용해 경화시켜 버스라인을 형성하므로, 솔더크림의 주변부 온도가 지나치게 상승하지 않아 솔라셀이 높은 온도에 의해 파손되는 것이 방지되며, 연속파 레이저를 사용하여 솔더크림을 경화시킴으로써 전체적으로 균등한 품질의 버스라인을 형성할 수 있는 태양전지 모듈의 제조 방법이 제공된다.
또한, 펄스형 레이저를 이용하여 메탈리본과 버스라인의 중첩부를 스폿용접하므로, 접합부위를 향해 짧은 시간에 높은 에너지를 공급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며, 종래와 같이 접합부위 주변의 솔라셀이 높은 온도에 의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태양전지 모듈의 제조 방법이 제공된다.
설명에 앞서, 여러 실시예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을 가지는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사용하여 대표적으로 제1실시예에서 설명하고, 그 외의 실시예에서는 제1실시예와 다른 구성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태양전지 모듈의 제조 방법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첨부도면 중 도 2는 본 발명 태양전지 모듈 제조방법의 공정 순서도이고, 도 3 내지 도 6은 본 발명 태양전지 모듈 제조방법의 각 공정별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들이다.
상기 도면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솔더크림 도포단계(S10)와, 버스라인 형성단계(S20)와, 메탈리본 배치단계(S30) 및, 메탈리본(120)과 버스라인(112)의 중첩부 접합단계(S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솔더크림 도포단계(S10)는 도 3과 같이 솔더 디스펜서(D)(Solder Dispenser)를 이용해 미세한 솔더입자를 액상의 플럭스와 섞어 만든 솔더크림(SC)(Solder Cream)을 솔라셀(110)의 상면 중 버스라인(112)이 형성될 위치에 도포하는 것이다.
이러한 솔더크림(SC)의 솔더입자는 은(Ag),구리(Cu),주석(Sn),납(Pb)의 조합 또는 어느 하나의 성분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버스라인 형성단계(S20)는 도 4와 같이 제1레이저공급부(L1)로부터 발생되는 레이저를 솔라셀(110)의 상면에 도포된 솔더크림(SC)을 향해 주사하여 솔더크림(SC)을 경화시키는 것으로서, 경화된 솔더크림(SC)은 솔라셀(110)에서 생산된 전기에너지를 전달하는 버스라인(112)의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이러한 버스라인 형성단계(S20)에서는 균등한 레벨의 레이저가 연속적으로 출력되는 연속파 레이저(continuous wave laser)를 사용함으로써, 솔더크림(SC)이 전체적으로 동일한 조건으로 경화되므로, 버스라인(112)의 품질이 향상된다.
또한, 솔더크림(SC)의 경화속도를 고려한 레이저의 파장은 700nm 내지 1000nm인 것이 바람직하고, 808nm 또는 970nm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이때, 레이저의 파장이 700nm보다 작으면 빠른 진행 속도에서 경화가 완전히 이루어지지 않는 등의 문제가 생겨 불량률이 증가할 우려가 있고, 레이저의 파장이 1000nm을 초과하면 솔더크림(SC)의 주변부 온도가 지나치게 상승하여 솔라셀(110)의 불량이 발생할 우려가 있다.
상기와 같은 레이저의 초점 설정에 있어서, 초점화된 레이저(focused laser)를 사용하여 수행할 경우에는 솔더크림(SC)에 가해지는 에너지가 지나치게 높아 주변부의 변형 등 솔라셀(110)의 불량이 발생할 우려가 있으므로, 비초점화 레이저(defocused laser)를 사용한다.
여기서, 레이저에 의한 직접 가열 영역은 솔더크림(SC)의 경화에 필요한 최소한의 영역으로 국한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비초점화된 레이저가 대상면에서 확산되는 코어의 직경이 솔더크림(SC)의 폭 보다 작으면 도포된 솔더크림(SC)을 골고루 경화시키는 것이 어려워 버스라인(112)의 품질이 저하되고, 솔더크림(SC)의 폭보다 크면 솔더크림(SC) 주변의 솔라셀(110) 표면에 레이저가 직접 조사되어 솔라셀(110)이 손상될 우려가 있으므로, 비초점화된 레이저 코어의 직경은 상기 솔더크림(SC)의 폭과 동일하게 되도록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메탈리본 배치단계(S30)는 도 5와 같이 상면에 버스라인(112)이 형성된 한 쌍의 솔라셀(110)들 간의 버스라인(112)들을 전기적으로 연결하기 위해 양측 버스라인(112)들 사이에 메탈리본(120)(metal ribbon)을 배치하는 것으로서, 메탈리 본(120)의 양 단부가 양측 솔라셀(110)의 버스라인(112) 단부에 소정길이 중첩되도록 한다.
상기와 같은 메탈리본(120)은 양측 버스라인(112)을 전기적으로 연결하기 위한 도전성 외에도 신장율, 신장 강도, 연질, 및 가공성이 우수한 은(Ag),구리(Cu),주석(Sn),납(Pb)의 합금 또는 어느 하나의 금속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메탈리본(120)과 버스라인(112)의 중첩부 접합단계(S40)는 도 6과 같이 레이저를 이용해 상기 메탈리본(120)과 버스라인(112)의 중첩부분을 스폿용접하여 상기 버스라인(112)과 메탈리본(120)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것으로서, 용접부위에 높은 에너지를 집중시키기 위해 700nm 내지 1200nm의 파장, 바람직하게는 808nm, 970nm, 1064nm의 파장의 펄스파 레이저(pulsed laser)를 사용하고, 한 지점에 에너지를 집중시켜 스폿용접을 수행하는 것이므로 초점화된 레이저(focused laser)를 사용한다.
지금부터는 상술한 태양전지 모듈의 제조 방법의 제1실시예의 작동에 대하여 설명한다.
먼저, 도 3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솔라셀(110)의 면 부위 중에서 전기에너지를 전달하기 위한 버스라인(112)이 형성될 위치에 솔더 디스펜서(D)를 이용해 솔더크림(SC)을 도포하고, 도 4와 같이 솔라셀(110)의 상측면에 도포된 페이스트 상태의 솔더크림(SC)에 제1레이저공급부(L1)로부터 발생되는 레이저를 주사하여 솔더크림(SC)을 경화시킴으로써 전기에너지의 전달을 위한 버스라인(112)을 형성한다.
이어서 도 5와 같이 메탈리본(120)의 양단부가 서로 인접 배치된 한 쌍의 솔라셀(110)들의 버스라인(112)에 중첩되도록 배치한 다음, 제2레이저공급부(L2)로부터 발생되는 레이저를 상기 메탈리본(120)과 버스라인(112)의 중첩부분에 주사하면 메탈리본(120)과 버스라인(112)의 중첩부분이 스폿용접(S)되면서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은 솔라셀(110)의 상측면에 버스라인(112)을 형성하고, 메탈리본(120)을 이용해 각각의 솔라셀(110)들을 전기적으로 연결하여 태양전지 모듈을 제조하는 과정에서 레이저를 이용함으로써 작업이 진행되는 해당 부분의 주위에 위치한 솔라셀(110)이 공정의 진행과정에서 발생하는 과열되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즉, 솔라셀(110)상에 도포된 솔더크림(SC)을 레이저를 이용해 경화시켜 버스라인(112)을 형성하므로, 솔더크림(SC)의 주변부 온도가 지나치게 상승하지 않아 솔라셀(110)이 높은 온도에 의해 파손되는 것이 방지된다. 또한, 808nm 또는 970nm 파장의 연속파 레이저를 사용하여 솔더크림(SC)을 경화시킴으로써 전체적으로 균등한 품질의 버스라인(112)을 형성할 수 있게 된다.
또한, 808nm, 970nm, 1064nm의 파장의 펄스형 레이저를 이용하여 메탈리본(120)과 버스라인(112)의 중첩부를 스폿용접(S)하므로, 접합부위를 향해 짧은 시간에 높은 에너지를 공급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따라서, 종래와 같이 접합부위 주변의 솔라셀(110)이 높은 온도에 의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첨부된 특허청구범위 내에서 다양한 형태의 실시예로 구현될 수 있다.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변형 가능한 다양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는 것으로 본다.
도 1은 일반적인 태양전지의 개략적인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 태양전지 모듈 제조방법의 공정 순서도이고,
도 3 내지 도 6은 본 발명 태양전지 모듈 제조방법의 각 공정별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들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0:솔라셀, 112:버스라인, 120:메탈리본, D:솔더 디스펜서,
L1:제1레이저공급부, L2:제2레이저공급부

Claims (4)

  1. 솔라셀의 버스라인이 형성될 위치에 솔더크림(solder cream)을 도포하는 솔더크림 도포단계;
    제1레이저공급부로부터 발생되는 연속파 레이저를 비초점화된(defocused) 상태로 상기 솔더크림에 조사하면서, 상기 솔더크림을 경화시켜 버스라인을 형성하는 버스라인 형성단계;
    인접배치되는 한 쌍의 솔라셀들의 버스라인 사이에 메탈리본을 배치하는 메탈리본 배치단계; 및
    제2레이저공급부로부터 발생되는 펄스파 레이저를 초점화된(focused) 상태로 상기 메탈리본에 조사하면서, 상기 메탈리본과 버스라인의 중첩부분을 스폿용접하여 상기 버스라인과 메탈리본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중첩부 접합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버스라인 형성단계에서, 비초점화된 상태로 상기 솔더크림에 조사되는 레이저의 직경은, 상기 솔더크림의 폭과 동일하게 되도록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전지 모듈의 제조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버스라인 형성단계의 레이저는 700nm 내지 1000nm 파장의 연속파 레이저(continuous wave laser)이며,
    상기 중첩부 접합단계의 레이저는 700nm 내지 1200nm 파장의 펄스파 레이저(pulsed laser)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전지 모듈의 제조 방법.
  3. 삭제
  4. 삭제
KR1020090113067A 2009-11-23 2009-11-23 태양전지 모듈의 제조 방법 KR10110675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13067A KR101106759B1 (ko) 2009-11-23 2009-11-23 태양전지 모듈의 제조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13067A KR101106759B1 (ko) 2009-11-23 2009-11-23 태양전지 모듈의 제조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56653A KR20110056653A (ko) 2011-05-31
KR101106759B1 true KR101106759B1 (ko) 2012-01-18

Family

ID=443649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113067A KR101106759B1 (ko) 2009-11-23 2009-11-23 태양전지 모듈의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0675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44935B1 (ko) * 2011-11-11 2012-05-11 (주)미르솔라 적층 구조로 형성된 pcb 타입의 태양전지 모듈용 버스바
KR101459099B1 (ko) * 2012-07-30 2014-11-13 주식회사 가이아에너지 태양전지 모듈 및 이의 제조 장치
US9997651B2 (en) * 2015-02-19 2018-06-12 Sunpower Corporation Damage buffer for solar cell metallization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74233A (ko) * 2000-12-07 2002-09-28 코닌클리케 필립스 일렉트로닉스 엔.브이. 보조 배선을 구비하는 액정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US20050217718A1 (en) * 2002-05-21 2005-10-06 Otb Group B.V. Method and tabbing station for fitting tabs to a solar cell, and method and apparatus for manufacturing a solar panel
KR20090046368A (ko) * 2007-11-06 2009-05-11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레이저 솔더링 장치 및 방법과 이를 이용한 전력용 반도체모듈의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74233A (ko) * 2000-12-07 2002-09-28 코닌클리케 필립스 일렉트로닉스 엔.브이. 보조 배선을 구비하는 액정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US20050217718A1 (en) * 2002-05-21 2005-10-06 Otb Group B.V. Method and tabbing station for fitting tabs to a solar cell, and method and apparatus for manufacturing a solar panel
KR20090046368A (ko) * 2007-11-06 2009-05-11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레이저 솔더링 장치 및 방법과 이를 이용한 전력용 반도체모듈의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56653A (ko) 2011-05-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7078213B2 (ja) 太陽電池および太陽光発電モジュール
US9040409B2 (en) Methods of forming solar cells and solar cell modules
JP7300245B2 (ja) 太陽電池、太陽電池モジュール及びその製造方法
CN101971351B (zh) 连接薄金属层的装置和方法
TWI524393B (zh) 製造電子元件接觸區的方法
EP1737048A1 (en) Method for manufacturing solar cell
JP5140133B2 (ja) 配線シート付き太陽電池セルの製造方法、太陽電池モジュールの製造方法、配線シート付き太陽電池セルおよび太陽電池モジュール
KR20160061368A (ko) 금속 포일을 사용하는 태양 전지의 금속화
US20140230878A1 (en) Method for electrically connecting several solar cells and photovoltaic module
TW201115766A (en) Method of monolithic photo-voltaic module assembly
WO2005041312A1 (ja) 受光又は発光モジュールシート及びその製造方法
KR20180014172A (ko) 후면 접촉식 태양 전지들에 대한 금속화 및 스트링 방법
KR102633537B1 (ko) 슁글드 태양 전지 모듈의 리워킹을 위한 시스템 및 방법
TWI440196B (zh) 背電極太陽能電池模組及其電極焊接方法
KR102625414B1 (ko) 태양 전지의 포일 기반 금속화를 위한 두꺼운 손상 버퍼
US20160190363A1 (en) Solar cell modul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JP6486219B2 (ja) 太陽電池の製造方法
KR101106759B1 (ko) 태양전지 모듈의 제조 방법
JP2009130118A (ja) 半導体装置およびその製造方法ならびに太陽電池
JP2009105266A (ja) 半導体装置の製造方法
JP2009130117A (ja) 太陽電池セルおよび半導体装置連結体ならびにその接続配線
CN112136218A (zh) 用于太阳能电池电路形成的激光辅助金属化工艺
JP5162052B2 (ja) 太陽電池モジュール
KR101890291B1 (ko) 태양 전지
TWI705659B (zh) 太陽能電池模組的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