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06212B1 - 터치스크린을 구비한 사용자 단말 입력방법, 입력장치, 이를 위한 기록매체 및 이를 포함하는 사용자 단말 - Google Patents

터치스크린을 구비한 사용자 단말 입력방법, 입력장치, 이를 위한 기록매체 및 이를 포함하는 사용자 단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06212B1
KR101106212B1 KR1020100067022A KR20100067022A KR101106212B1 KR 101106212 B1 KR101106212 B1 KR 101106212B1 KR 1020100067022 A KR1020100067022 A KR 1020100067022A KR 20100067022 A KR20100067022 A KR 20100067022A KR 101106212 B1 KR101106212 B1 KR 10110621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ser terminal
touch
input
touch input
vertical displace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670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06343A (ko
Inventor
황성재
Original Assignee
한국과학기술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과학기술원 filed Critical 한국과학기술원
Priority to KR102010006702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06212B1/ko
Publication of KR2012000634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0634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0621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0621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6Control or interface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digitis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06F3/0354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with detection of 2D relative movements between the device, or an operating part thereof, and a plane or surface, e.g. 2D mice, trackballs, pens or puck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4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using force sensing means to determine a posi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터치스크린을 구비한 사용자 단말 입력방법, 입력장치, 이를 위한 기록매체 및 이를 포함하는 사용자 단말이 제공된다.
본 발명에 따른 터치스크린을 구비한 사용자 단말 입력방법은 터치스크린을 구비한 사용자 단말의 입력방법에 있어서, 터치입력 시 발생하는 사용자 단말의 수직 변위의 변화를 측정하는 단계; 및 상기 측정된 수직 변위 변화에 따라 상기 터치입력 강도가 연산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본 발명에 따른 사용자 단말 입력 장치 및 방법은 터치스크린 종류의 제한없이 터치스크린에서의 사용자 입력 강도를 효과적이고,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다. 또한, 외부 진동에 따른 입력 강도 오류를 방지하여, 사용자의 입력에 따른 실제 터치 강도를 효과적으로 검출, 측정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터치스크린을 구비한 사용자 단말 입력방법, 입력장치, 이를 위한 기록매체 및 이를 포함하는 사용자 단말{Input method and device for user terminal having touch screen, recording medium for the same and user terminal comprising the same}
본 발명은 터치스크린을 구비한 사용자 단말 입력방법, 입력장치, 이를 위한 기록매체 및 이를 포함하는 사용자 단말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사용자의 터치입력시 발생하는 사용자 단말의 수직 변위 변화에 대응하여 터치스크린에서의 터치입력 강도를 추출할 수 있는 사용자 단말 입력방법, 입력장치, 이를 위한 기록매체 및 이를 포함하는 사용자 단말에 관한 것이다.
터치스크린이란 키보드를 사용하지 않고 화면(스크린)에 나타난 문자나 특정 위치에 사람의 손 또는 물체가 닿으면, 그 위치를 파악하여 저장된 소프트웨어에 의해 특정 처리를 할 수 있도록, 화면에서 직접 입력자료를 받을 수 있게 한 화면을 말하며, 휴대전화, 컴퓨터 등의 사용자 단말의 입력 스크린으로 널리 활용되고 있다. 터치스크린은 일반적으로 감압식과 정전식(정전용량식)으로 나뉘는데, 감압식은 터치화면에 압력변화를 감지하는 방식으로 입력장치에 제한이 없다는 장점이 있다. 정전용량식은 신체에 흐르는 미세한 전류를 이용하여 터치를 감지하는 방식으로, 멀티터치가 가능하고, 반응이 빠르다는 장점이 있다. 하지만, 현재까지 상용화된 정전용량식 터치스크린은 터치하는 압력(강도)를 구분할 수 없기 때문에, 온-오프 방식의 터치 제어만 가능하였다. 더 나아가, 종래의 터치입력 강도 측정은 터치 패드와 전극과의 접촉에 따라 터치 강도를 측정하였으나, 이 경우 터치 패드와 전극층 사이의 이격된 공간에 따른 화질 저하 문제가 발생한다.
반면, 대한민국 공개특허 10-2009-0127544호는 가속도 센서를 이용한 접촉 시간를 측정하고, 상기 측정된 시간 동안의 가속도 센서의 신호 정보를 바탕으로 각 시간마다의 신호를 획득한 후, ontime 동안 얻어진 분산값을 모두 합산하여, 접촉 강도를 측정하는 기술을 제공한다. 하지만, 상기 기술은 측정된 모든 가속도 센서의 신호 정보를 합산하는 방식이므로, 실제 진동이 사람의 터치행위가 아닌, 외부의 진동으로부 발생한 경우(예를 들면 버스를 탄 경우) 외부 진동에 따라 발생하는 센서 신호 정보가 모두 터치입력의 강도로 합산되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이 해결하려는 과제는 보다 터치스크린 종류의 제한 없이 사용자의 터치 강도를 측정할 수 있는 사용자 단말 입력 장치, 방법 및 이를 위한 프로그램 명령어가 기록된 기록매체 및 사용자 단말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터치스크린을 구비한 사용자 단말의 입력방법에 있어서, 터치입력 시 발생하는 사용자 단말의 수직변위의 변화량을 측정하는 단계; 및 상기 측정된 수직 변위 변화에 따라 상기 터치입력 강도가 연산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단말 입력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터치입력이 시작된 제 1 시점에서의 제 1 수직 변위와 상기 제 1 시점과 상기 터치입력이 종료된 제 2 시점 사이에서 측정된 제 2 수직 변위 사이에서의 최대 변위량에 따라 상기 터치입력 강도가 연산되거나, 또는 상기 터치입력이 시작된 제 1 시점에서의 제 1 수직 변위와 상기 제 1 시점과 상기 터치입력이 종료된 제 2 시점 사이에서 측정된 제 2 수직 변위 사이에서의 변위량 평균값에 따라 상기 터치입력 강도가 연산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수직변위 변화량은 터치입력 시작 시점 및 종료 시점을 포함하는 시간 범위 동안 측정되며,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수직변위 변화량은 터치입력 시작 시점보다 앞서 측정되어, 터치입력 종료 시점 이후 측정이 종료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터치입력 강도는 상기 터치입력이 수행된 터치스크린의 일 지점 높이를 고려하여 연산되며, 상기 동일 수직 변위차에 대하여 상기 일 지점 높이가 높을수록 상기 터치입력 강도는 약하게 연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수직 변위의 변화 측정은 상기 사용자 단말에 구비된 가속도 센서에 의하여 수행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사용자 단말 입력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프로그램 명령어가 기록된, 컴퓨터가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를 제공한다.
상기 또 다른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터치스크린을 구비한 사용자 단말 입력장치에 있어서, 터치스크린에서의 터치입력을 검출하기 위한 터치 검출부; 상기 검출된 터치입력 시 발생하는 사용자 단말의 수직변위 변화량을 측정하기 위한 센서부; 및 상기 수직변위 변화에 따라 상기 터치입력 강도를 연산하기 위한 연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단말 입력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연산부는 상기 센서부에 의하여 측정된 수직변위 변화량의 최대값에 따라 상기 터치입력 강도를 연산하며, 상기 사용자 단말 입력장치는 상기 연산된 터치입력 강도에 대응하는 조작 신호를 생성시키는 제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연산부는 상기 터치입력이 수행된 터치스크린의 일 지점 높이를 고려하여 상기 터치입력 강도를 연산할 수 있으며, 상기 연산부는 동일 수직변위에 대하여 상기 일 지점의 높이가 높을수록 상기 터치입력 강도를 약하게 연산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센서부는 사용자 단말에 구비된 가속도 센서일 수 있으며, 상기 터치스크린은 정전용량식 터치스크린일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상술한 사용자 단말 입력장치를 포함하는 사용자 단말 및 상술한 사용자 단말 입력장치를 구동하기 위한 프로그램 명령어가 기록된, 컴퓨터가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사용자 단말 입력 장치 및 방법은 터치스크린 종류의 제한없이 터치스크린에서의 사용자 입력 강도를 효과적이고,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다. 또한, 외부 진동에 따른 입력 강도 오류를 방지하여, 사용자의 입력에 따른 실제 터치 강도를 효과적으로 검출, 측정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 입력방법의 단계도이다.
도 2 및 3은 사용자의 터치입력에 따라 발생하는 사용자 단말의 수직 변위 이동을 나타내는 사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터치입력 강도의 측정 방법을 나타내는 단계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터치강도 측정방법에서 시간경과에 따라 터치강도를 보정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높이에 따라 변위 변화가 달라지는 형태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KNN 알고리즘에 기반한 터치강도 매칭과정을 예시하는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3축 센서로부터의 x, y, z 축의 변위 변화 패턴에 따라 터치 강도를 추출, 연산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 입력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 입력장치의 블록도이다.
본 발명과 본 발명의 동작상의 이점 및 본 발명의 실시에 의하여 달성되는 목적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하는 첨부 도면 및 첨부 도면에 기재된 내용을 참조하여야만 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함으로서,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그리고,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되며, 도면의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부재임을 나타낸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기”, “모듈”, “블록”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 입력방법의 단계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사용자 단말 입력방법은 터치입력 시 발생하는 사용자 단말의 수직 변위의 변화량을 측정, 검출하는 단계(S110)로 개시된다. 여기에서 터치입력이란 손가락, 스타일러스 펜과 같이 입력수단으로 터치스크린을 터치하는 방식을 의미하며, 본 발명은 특히 사용자에 의한 터치가 휴대전화와 같은 사용자 단말에 수행되는 경우, 터치하는 힘에 대응하여 사용자 단말이 수직으로 이동한 후, 회복되며, 그 결과 일정한 수직 변위의 변화가 발생하는 점에 주목하였다. 즉, 상기 사용자 단말 입력방법은 수직 변위의 변화량에 대응하여 사용자의 터치입력 강도가 연산되는 단계(S120)를 더 포함하며, 상기 터치입력 강도는 터치에 의하여 발생하는 사용자 단말의 수직 변위 정도에 따라 결정된다.
도 2 및 3은 사용자의 터치입력에 따라 발생하는 사용자 단말의 수직 변위 이동을 나타내는 사진이다.
도 2 및 3을 참조하면, 사용자의 터치입력이 발생하는 경우, 터치입력에 따라 가해지는 힘의 방향에 대응하여, 휴대전화와 같은 사용자 단말이 수직으로 이동하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때 사용자 단말의 수직 변위는 터치입력에 따라 가해지는 힘에 비례하며, 만약 수직변위 변화가 크다면, 터치입력 강도는 세다는 결론을 얻을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은 터치입력이 발생한 시점(제 1 시점)과 터치가 종료된 시점(제 2 시점) 사이에서 시간 경과에 따라 변화되는 사용자 단말의 수직 변위를 측정한다. 상기 측정된 수직 변위 값들 중 초기 수직변위와 최대 차이를 나타내는 수직 변위를 선택한 후, 상기 최대 수직변위 변화(변화량)에 기반하여 사용자 터치입력에 따른 터치강도를 연산한다.
예를 들면, 제 1 시점에서 3축 센서에 의하여 검출된 z축 수직 변위가 z1, 제 2 시점에서의 수직 변위가 z3라 가정한다. 제 1 시점과 제 2 시점 사이에는 초기 z1과의 최대 수직변위 변화를 나타내는 z2가 검출될 수 있으며, 사용자 터치입력에 따라 발생하는 수직변위 변화 중 최대 수직변위 변화는 z1-z2가 된다. 본 발명은 상기 검출된 최대 수직변위 변화에 기반하여 사용자 터치 입력에 따른 터치 세기를 정량적으로 검출한다. 최대 변화량 대신 상기 터치시간에 따른 변위 변화량의 평균에 기반하여 터치강도를 측정할 수 있으며, 이 또한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한다.
도 4a 및 4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의 터치와 시간 경과에 따른 사용자 단말의 수직변위 변화를 나타낸다.
도 4a를 참조하면, 손가락으로 사용자 단말을 터치함에 따라 사용자 단말을 아래로 이동하여, 다시 위로 회복된다. 본 발명자는 이러한 수직변위 변화가 터치에 따라 필연적으로 수행되는 점을 발견하였으며, 이에 따른 수직변위는 도 4b와 같은 수직변위 변화패턴으로 추출가능하는 점을 발견하였다. 변위변화 방식에 터치강도 추출은 특히 외부 환경에 의한 터치강도 검출 오류를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데, 이하 이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4b 및 6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터치강도 측정방법에서 시간경과에 따라 터치강도를 보정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b 및 5를 참조하면, 먼저, 터치입력이 개시되는 시간(t1) 이전의 소정 시간 범위 동안 발생한 변위값 변화(제 1 변위 변화량)의 평균을 구한다. 이후 터치입력이 개시된 시간(t1)과 터치 입력이 종료된 시점(t2) 사이의 변위량 변화의 평균(제 2 변위 변화량)을 구한다. 상기 제 1 변위 변화량은 외부 진동에 의하여 발생하는 변위값 변화로 간주될 수 있으며, 제 2 변위 변화량은 외부 진동과 사용자 입력이 결합되어 발생하는 변위값 변화가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는 상기 제 2 변위 변화량에서 제 1 변위 변화량만큼을 제거함으로써 실제 사용자의 터치 입력에 따라 발생하는 변위 변화량(제 3 변위 변화량)을 추출하게 된다. 이후, 제 3 변위 변화량에 대응하는 터치 강도를 기설정된 변위 변화량와 터치 강도의 상관관계로부터 매칭시킬 수 있다. 즉, 변위 변화량에 따른 터치 강도를 미리 매칭시킨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실제 추출되는 제 3 변위 변화량을 이에 대응시켜 터치강도를 연산하게 된다. 이때 상기 제 2 변위 변화량의 측정 시간은 터치가 시작되고 종료되는 시점을 포함하는 시간 범위일 수 있다(도 4b 참조). 즉, 매우 짧은 시간 동안 진행되는 터치 특성상 변위값이 측정되는 상기 시간영역은 터치시작, 터치종료 시점 사이의 시간 범위보다 긴 범위인 것이 바람직하다. 도 4b 및 5의 경우, t1-t2 시간 영역(이것은 터치 시작과 종료 시점을 포함한다)에서의 제 2 변위 변화량이 측정된다.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제 1 변위 변화량은 외부 진동에 의하여 발생하는 변위값 변화로 간주될 수 있으며, 제 2 변위 변화량은 외부 진동과 사용자 입력이 결합되어 발생하는 변위값 변화가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는 상기 제 2 변위 변화량에서 제 1 변위 변화량만큼을 제거함으로써 실제 사용자의 터치 입력에 따라 발생하는 변위값 변화(제 3 변위 변화량)를 추출하게 된다. 더 나아가, 제 3 변위 변화량에 대응하는 터치 강도를 기설정된 변위 변화량와 터치 강도의 상관관계로부터 매칭시킬 수 있다. 즉, 미리 변위값 변화에 따른 터치 강도를 매칭시킨 데이터베이스로로부터, 실제 추출되는 제 3 변위 변화량를 이에 대응시키는 방식으로 터치 강도를 측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더 나아가, 상기 수직 변위는 터치입력이 수행되는 지점의 높이에 따라 동일 세기로 터치가 수행되더라도 상이한 수직 변위 변화가 발생하는 점에 주목하였다. 즉, 터치스크린의 윗부분(높은 높이)을 터치하는 경우와 아래 부분(낮은 높이)을 터치하는 경우 발생하는 변위 변화량은 비록 동일 힘으로 터치입력이 수행되더라도 상이하다.
도 6은 높이에 따라 변위 변화가 달라지는 형태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먼저 터치스크린의 높은 높이(윗 부분, a1)를 터치하는 경우, 사용자 단말은 수직으로 크게 이동하게 된다(h1). 반대로 낮은 높이(a2)로 터치스크린을 터치하는 경우, 사용자 단말의 수직이동거리는 짧아지게 된다(h2). 따라서, 본 발명은 터치 입력지점의 높이 차에 따른 수직 변위의 변화량을 보정하여, 일정한 수직 변위의 변화량을 얻게 된다. 예를 들면, 검출된 터치 지점의 높이가 높은 경우, 실제 측정된 수직 변위의 변화량을 일정 수준으로 차감하며, 반대로 터치 지점 높이가 낮은 경우, 실제 측정된 수직 변위의 변화량을 을 일정 수준으로 높이게 된다.
또 다른 방식으로, 높이에 따른 가중치를 검출된 수직 변위의 변화량에 부여할 수 있다. 즉, 높은 높이인 경우 낮은 가중치를, 낮은 높이인 경우 높은 가중치를 두어, 높이 차에 따른 변위 값 편차를 줄일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터치입력이 수행된 터치스크린의 일 지점 높이를 고려하여 터치 강도를 연산하며, 만약 상기 동일 수직변위 변화에 대하여 상기 일 지점 높이가 높을수록 상기 터치입력 강도는 약하게 연산된다.
본 발명은 더 나아가 수직변위(이것은 3축 센서의 경우 z축에 대응되므로, 아래에서는 z축 변위로 표현된다)뿐만 아니라 x, y 축에서의 변위를 모두 고려하여 터치 강도를 연산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는 x, y, z값의 변위 변화를 모두 고려하여 터치 강도를 연산하며, 이를 위한 3축 센서가 센서부로 사용될 수 있다. 이하 이를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먼저 사용자 터치의 반복적 수행에 따라 얻어진 터치강도 정보가 저장된다. 예를 들면, 사용자에게 무작위의 크기와 위치를 가진 오브젝트를 반복적으로 터치하는 행동을 수행하게 하되, 크기에 따라 다른 강도로 수행하게 하면, 터치스크린의 위치와 강도에 따른 정보를 기록할 수 있다. 즉, 특정 터치 위치에서의 터치 강도를 1, 2, 3 순차적으로 증가시킨 데이터가 얻어진 경우, 해당 데이터는 강도 변화에 따른 x, y, z 값을 기록한다. 이후, 이러한 위치에 따른 변위 정보를 기록한 데이터베이스에 기반하여, 사용자의 터치입력에 따른 터치 강도를 매칭, 추출하게 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기기 입력방법은 KNN(K-Nearest Neighbor) 알고리즘을 사용한다.
즉, 상기 알고리즘에 따르면, x, y, z 값을 3차원에 구축하고 각 위치에 따른 값들을 영역으로 묶어 놓은 후, 새로운 값이 들어오면 가장 짧은 거리에 있는 영역의 것으로 간주하게 된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KNN 알고리즘에 기반한 터치강도 매칭과정을 예시하는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x값, y값을 통하여 양(+), 음(-)의 값들이 분류되었다. 하지만, 이는 일 예일뿐, x, y, z 값에 기반한 터치강도로도 상기 x, y, z값은 분류될 수 있으며, 터치지점별 또는 터치 영역별로 3축 센서로부터 검출되는 x, y, z축 변위의 데이터베이스가 메모리부에 저장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7에서와 같이 검출된 x, y 값으로 8, 6이 입력되면 상기 입력된 값에 대응하는 최단 거리에 속하는 분류 영역의 터치강도가 입력 터치강도가 된다. 예를 들면, 터치 스크린을 6개 영역으로 나누고, 상기 6개의 영역별로 도 7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은 그래프를 메모리에 저장해 두고, KNN 알고리즘에 기반하여 터치강도를 추출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3축 센서로부터의 x, y, z 축의 변위 변화 패턴에 따라 터치 강도를 추출, 연산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을 참조하면, 외부 진동에 따라 발생하는 제 1 변위변화패턴을 소정 시간(t1)동안 검출하여, 이를 평균한다. 다시 터치에 따라 발생하는 제 2 변위변화패턴을 상기 t1 이후 경과되는 또 다른 소정시간(t2)동안 검출하는데, 이후 제 2 변위변화패턴에서 제 1 변위변화패턴의 평균값은 노이즈로 분류되어, 제거된다. 이후, 도 7에서 제시한 바와 같이 노이즈가 제거된 변위변화패턴과 기저장된 데이터베이스가 비교되어, 가장 유사한 패턴에 대응되는 터치강도가 검출된다. 즉, 본 발명의 상기 실시예는 사용자의 터치에 있어서 변화되는 양상을 가속도 센서에 의하여 검출가능한 x, y, z값을 각 위치별로 구분시킨 후, 해당 위치에서 검출된 패턴값을 기설정된 패턴값과 비교하여 추출해 내는 방식으로 터치강도를 연산한다.
본 발명은 상기 또 다른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터치스크린을 구비한 사용자 단말 입력장치에 있어서, 터치스크린에서의 터치입력을 검출하기 위한 터치 검출부; 상기 검출된 터치입력시 발생하는 사용자 단말의 수직 변위 변화를 측정하기 위한 센서부; 및 상기 수직변위 변화에 따라 상기 터치입력 강도를 연산하기 위한 연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단말 입력장치를 제공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 입력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입력장치는 터치스크린에서의 터치입력을 검출하기 위한 터치 검출부(910)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터치스크린은 터치가 검출되는 임의의 모든 방식이 다 가능하나, 터치강도를 구분하기 어려운 정전용량 방식의 터치스크린에서 매우 유리한 효과를 갖는다.
상기 입력장치는 상기 터치입력에 따라 발생하는 사용자 단말의 수직변위의 변화를 측정하기 위한 센서부(920)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센서부(920)는 가속도 센서로서, x, y, z축에서의 시간에 따른 변위값을 측정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사용자 단말 입력장치는 연산부(930)를 더 포함하며, 상기 연산부(930)는 상기 센서부(920)에 의하여 측정된 수직변위 변화의 최대값에 따라 상기 터치입력 강도를 연산하게 된다. 즉, 상기 연산부(930)는 최대 수직변위 변화를 터치강도에 대응시켜, 터치 강도를 연산한다.
더 나아가, 본 발명에 따른 사용자 단말 입력장치는 상기 연산된 터치입력 강도에 대응하는 조작 신호를 생성시키는 제어부(9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즉, 구분되는 터치강도로 사용자 단말을 제어하는 기능을 상기 제어부(940)가 수행하게 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연산부는 상기 터치입력이 수행된 터치스크린의 일 지점 높이를 고려하여 상기 터치입력 강도가 연산된다. 높이를 고려한 터치입력 강도 측정 방식은 상술한 바, 이하 생략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 입력장치는 수직변위, 즉, z축으로의 변위만을 고려하는 방식이 아니라, x, y, z축으로의 변위값을 모두 고려하여 터치강도를 측정한다.
도 1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 입력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상기 사용자 단말 입력장치는 터치를 검출하기 위한 터치 검출부(911) 및 상기 터치 시간 동안의 x, y, z축의 변위 변화를 검출하는 센서부(921)를 포함한다. 이때 검출된 x, y, z축 변위값은 기설정된 변위값-강도 데이터베이스와 비교되어, 가장 유사한 변위값에 대응되는 터치강도가 연산되며, 본 발명의 상기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 입력장치는 변위값과 터치강도의 상관관계를 매칭시킨 데이터 베이스가 저장된 메모리부(931)와 상기 메모리부(931)부와 상기 검출된 변위값을 비교하여, 해당되는 터치강도를 추출, 연산하는 연산부(941)를 더 포함한다.
상기 연산부(941)는 더 나아가 상기 터치에 선행하는 소정 시간 동안의 진동 변위값을 상기 터치에 따른 변위값으로부터 제거하며, 이로부터 외부 요인에 의한 진동 변위를 제거하여, 가장 유효한 터치강도를 얻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연산부(941)는 소정 시간 이내에 연속하여 터치가 수행되는 경우, 변위 변화 패턴이 오버랩되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소정 시간 이내에 연속터치가 수행되는 경우, 후행터치의 초기 변위값을 일정 시간동안 진행된 후의 변위값으로 이동(shift)시킨다.
예를 들면, 제 1 터치와 제 2 터치가 연속하여 진행되며, 각 터치마다의 변위값 검출 시간을 1초라고 한 경우, 제 1 터치와 제 2 터치는 1초 이내에 연속할 수 있다. 이때 제 1 터치가 종료된 시점부터도 제 1 터치에 의한 일정한 변위값이 여전히 유효한 변위값으로 센서부에 의하여 검출될 수 있으므로, 본 발명에서는 연속하는 터치가 소정 시간 이내에 수행되는 경우, 앞선 터치가 종료된 시점부터 일정 시간(예를 들면 0.3초) 경과된 후의 변위값을 제 2 터치의 초기 변위값으로 설정한다. 더 나아가, 터치강도가 일정 수준 이상인 경우 터치에 따라 회복되는 사용자 단말의 수직 변위가 후속하는 사용자 단말 터치에 따른 수직 변위값으로 반영되어, 비록 매우 짧은 시간에 연속적으로 터치가 수행되어도, 두 터치 사이에는 변위 변화 패턴이 오버랩되지 않는다. 이러한 방식은 상술한 사용자 단말 입력 방법에도 그대로 적용되며, 이는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한다.
본 발명은 상기 또 다른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상술한 터치스크린 제어장치를 포함하는 사용자 단말을 제공한다. 이로써 사용자 단말의 기울기에 따라 객체 변환을 위한 터치 입력영역이 생성되고, 터치 입력영역에서의 터치-드래깅에 따라 문서 페이지 등의 객체가 변환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한글 입력 방법 및 장치는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장치를 포함한다. 기록매체의 예로는 ROM, RAM, 광학 디스크, 자기 테이프, 플로피 디스크, 하드 디스크, 비휘발성 메모리 등이 있으며, 또한 캐리어 웨이브(예를 들어 인터넷을 통한 전송)의 형태로 구현되는 것도 포함한다. 또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방식으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등록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Claims (18)

  1. 터치스크린을 구비한 사용자 단말의 입력방법에 있어서,
    터치입력 시 발생하는 사용자 단말의 수직변위의 변화량을 측정하는 단계; 및
    상기 측정된 수직 변위 변화에 따라 상기 터치입력 강도가 연산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단말 입력 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입력이 시작된 제 1 시점에서의 제 1 수직 변위와 상기 제 1 시점과 상기 터치입력이 종료된 제 2 시점 사이에서 측정된 제 2 수직 변위 사이에서의 최대 변위량에 따라 상기 터치입력 강도가 연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단말 입력 방법.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입력이 시작된 제 1 시점에서의 제 1 수직 변위와 상기 제 1 시점과 상기 터치입력이 종료된 제 2 시점 사이에서 측정된 제 2 수직 변위 사이에서의 변위량 평균값에 따라 상기 터치입력 강도가 연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단말 입력 방법.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변위 변화량은 터치입력 시작 시점 및 종료 시점을 포함하는 시간 범위동안 측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단말 입력방법.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변위 변화량은 터치입력 시작 시점보다 앞서 측정되어, 터치입력 종료 시점 이후 측정이 종료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단말 입력방법.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입력 강도는 상기 터치입력이 수행된 터치스크린의 일 지점 높이를 고려하여 연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단말 입력 방법.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동일 수직 변위차에 대하여 상기 일 지점 높이가 높을수록 상기 터치입력 강도는 약하게 연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단말 입력 방법.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 변위의 변화 측정은 상기 사용자 단말에 구비된 가속도 센서에 의하여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단말 입력 방법.
  9. 청구항 9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 1항 내지 제 8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사용자 단말 입력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프로그램 명령어가 기록된, 컴퓨터가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10. 터치스크린을 구비한 사용자 단말 입력장치에 있어서,
    터치스크린에서의 터치입력을 검출하기 위한 터치 검출부;
    상기 검출된 터치입력 시 발생하는 사용자 단말의 수직변위 변화량을 측정하기 위한 센서부; 및
    상기 수직변위 변화에 따라 상기 터치입력 강도를 연산하기 위한 연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단말 입력장치.
  11.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연산부는 상기 센서부에 의하여 측정된 수직변위 변화량의 최대 값에 따라 상기 터치입력 강도를 연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단말 입력장치.
  12.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 입력장치는 상기 연산된 터치입력 강도에 대응하는 조작 신호를 생성시키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단말 입력장치.
  13.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연산부는 상기 터치입력이 수행된 터치스크린의 일 지점 높이를 고려하여 상기 터치입력 강도를 연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단말 입력장치.
  14.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연산부는 동일 수직변위에 대하여 상기 일 지점 높이가 높을수록 상기 터치입력 강도를 약하게 연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단말 입력장치.
  15.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부는 사용자 단말에 구비된 가속도 센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단말 입력장치.
  16. 청구항 16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스크린은 정전용량식 터치스크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단말 입력장치.
  17. 청구항 17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 10항 내지 제 16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사용자 단말 입력장치를 포함하는 사용자 단말.
  18. 청구항 18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 10항 내지 제 16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사용자 단말 입력장치를 구동하기 위한 프로그램 명령어가 기록된, 컴퓨터가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KR1020100067022A 2010-07-12 2010-07-12 터치스크린을 구비한 사용자 단말 입력방법, 입력장치, 이를 위한 기록매체 및 이를 포함하는 사용자 단말 KR10110621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67022A KR101106212B1 (ko) 2010-07-12 2010-07-12 터치스크린을 구비한 사용자 단말 입력방법, 입력장치, 이를 위한 기록매체 및 이를 포함하는 사용자 단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67022A KR101106212B1 (ko) 2010-07-12 2010-07-12 터치스크린을 구비한 사용자 단말 입력방법, 입력장치, 이를 위한 기록매체 및 이를 포함하는 사용자 단말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06343A KR20120006343A (ko) 2012-01-18
KR101106212B1 true KR101106212B1 (ko) 2012-01-25

Family

ID=456143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67022A KR101106212B1 (ko) 2010-07-12 2010-07-12 터치스크린을 구비한 사용자 단말 입력방법, 입력장치, 이를 위한 기록매체 및 이를 포함하는 사용자 단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06212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297300A (ja) 2001-03-30 2002-10-11 Pentel Corp 静電容量結合方式座標入力装置
KR20090005704A (ko) * 2007-07-10 2009-01-14 한국과학기술원 휴대단말기용 정보입력장치 및 정보입력방법
KR20100004324A (ko) * 2008-07-03 2010-01-13 한국과학기술원 3차원 신호 처리가 가능한 터치스크린
KR20100036850A (ko) * 2008-09-30 2010-04-08 삼성전기주식회사 접촉 감지 센서를 이용한 터치 패널 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297300A (ja) 2001-03-30 2002-10-11 Pentel Corp 静電容量結合方式座標入力装置
KR20090005704A (ko) * 2007-07-10 2009-01-14 한국과학기술원 휴대단말기용 정보입력장치 및 정보입력방법
KR20100004324A (ko) * 2008-07-03 2010-01-13 한국과학기술원 3차원 신호 처리가 가능한 터치스크린
KR20100036850A (ko) * 2008-09-30 2010-04-08 삼성전기주식회사 접촉 감지 센서를 이용한 터치 패널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06343A (ko) 2012-01-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I450148B (zh) Touch screen touch track detection method and detection device
TWI490760B (zh) A method and an apparatus for improving noise interference of a capacitive touch device
JP5232431B2 (ja) マルチタッチ判断装置、方法及び記録媒体
JP5738707B2 (ja) タッチパネル
KR102061863B1 (ko) 터치 감지 장치 및 그의 구동 방법
TWI526952B (zh) 電容式觸控裝置及其物件辨識方法
US20170090670A1 (en) Mitigating interference in capacitance sensing
WO2014109262A1 (ja) タッチパネルシステム
CN111630480A (zh) 触摸面板装置
JP6446922B2 (ja) 計測装置、計測方法及びプログラム
CN105683881A (zh) 信息处理装置、输入方法和程序
JP2014006766A (ja) 操作装置
CN104571521A (zh) 手写记录装置和手写记录方法
JP6202874B2 (ja) 電子機器、キャリブレーション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2008165575A (ja) タッチパネル装置
KR20140077000A (ko) 터치 패널 및 이에 대한 디지타이저 펜의 위치 감지 방법
KR101106212B1 (ko) 터치스크린을 구비한 사용자 단말 입력방법, 입력장치, 이를 위한 기록매체 및 이를 포함하는 사용자 단말
TWM528469U (zh) 觸控系統
KR20110072619A (ko) 터치 검출방법
JP5997842B2 (ja) タッチパネルシステム及び電子情報機器
KR20120006344A (ko) 터치스크린을 구비한 사용자 단말 입력방법, 입력장치, 이를 위한 기록매체 및 이를 포함하는 사용자 단말
JP5982951B2 (ja) 入力装置、入力プログラム及び入力方法
KR101596730B1 (ko) 터치패널 상에서의 입력좌표 판단방법 및 판단장치
KR101148233B1 (ko) 영상 기반 터치강도 측정방법, 장치, 이를 위한 기록매체 및 이를 포함하는 모바일 기기
JP2009301299A (ja) ジェスチャ判定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00712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10829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11226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20109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20110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31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41231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15

Year of fee payment: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51215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02

Year of fee payment: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70102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27

Year of fee payment: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71227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26

Year of fee payment: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81226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02

Year of fee payment: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0102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1223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0107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30102

Start annual number: 12

End annual number: 12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31220

Start annual number: 13

End annual number: 13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1226

Start annual number: 14

End annual number: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