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96730B1 - 터치패널 상에서의 입력좌표 판단방법 및 판단장치 - Google Patents

터치패널 상에서의 입력좌표 판단방법 및 판단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96730B1
KR101596730B1 KR1020130032938A KR20130032938A KR101596730B1 KR 101596730 B1 KR101596730 B1 KR 101596730B1 KR 1020130032938 A KR1020130032938 A KR 1020130032938A KR 20130032938 A KR20130032938 A KR 20130032938A KR 101596730 B1 KR101596730 B1 KR 10159673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uch
input
area
touch area
reg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329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117951A (ko
Inventor
강모관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인프라웨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인프라웨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인프라웨어
Priority to KR102013003293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96730B1/ko
Publication of KR2014011795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1795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9673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9673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6Control or interface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digitisers
    • G06F3/0418Control or interface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digitisers for error correction or compensation, e.g. based on parallax, calibration or alignment
    • G06F3/04186Touch location disambigu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8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8
    • G06F2203/04808Several contacts: gestures triggering a specific function, e.g. scrolling, zooming, right-click, when the user establishes several contacts with the surface simultaneously; e.g. using several fingers or a combination of fingers and pe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osition Input By Display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터치패널 상에서의 입력좌표 판단방법 및 판단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입력좌표 판단방법은 터치입력수단에 의해 터치패널 상에 인가된 제1 터치입력으로부터 제1 터치영역을 검출하는 단계, 제1 터치입력 이후에 인가된 제2 터치입력으로부터 제2 터치영역을 검출하는 단계 및 제1 터치영역과 제2 터치영역을 이용하여 터치영역신호의 크기가 문턱값 이상인 범위에서 최종입력좌표를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터치패널로부터 손가락이 떼어지는 시간 동안 발생할 수 있는 오류를 감소시킴으로써 사용자가 의도한 입력좌표를 최종입력좌표로 판단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터치패널 상에서의 입력좌표 판단방법 및 판단장치{METHOD AND APPARATUS FOR DETERMINING AN INPUT COORDINATE ON A TOUCH-PANEL}
본 발명은 터치패널 상에서의 입력좌표 판단방법 및 판단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터치패널로부터 손가락이 떼어지는 터치입력이 인가된 경우, 입력좌표 판단에 있어 발생하는 오차를 감소시킬 수 있는 방법 및 그 장치에 관한 것이다.
터치패널은 터치패드나 터치 스크린 디스플레이에 탑재되어 터치패널 상에 손가락 또는 스타일러스 펜과 같은 물체가 접촉되면, 그 위치를 파악하여 전자기기가 특정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구현된 입력장치이다.
터치패드의 경우 디스플레이 상의 포인터는 터치패드와 접촉된 손가락 또는 스타일러스 펜의 상대적인 움직임에 따라 움직이는 반면, 터치 스크린 디스플레이의 경우 디스플레이 상의 특정 지점에 터치입력이 인가되면 해당 지점에서 포인터가 동작한다는 차이점이 있다. 특히, 터치패드나 터치 스크린 디스플레이 상에서 손가락 등을 통해 터치입력이 인가된 경우 터치입력을 감지하는 민감도 (sensitivity) 가 매우 중요한데, 최근 들어 터치입력에 대한 민감도가 뛰어나고 소형화가 가능한 정전식 터치패널이 개발되어, 각종 소형화된 전자장치에 정전식 터치패널이 탑재하게 되었다. 나아가, 터치 스크린 디스플레이를 탑재한 모바일 기기의 사용이 보편화됨에 따라 과거 컴퓨터를 통해서 수행되던 프로그램들 중 상당수가 모바일 기기를 통해서도 구현되기에 이르렀다.
스타일러스 펜과 달리 손가락은 터치패널과 접촉하는 면적이 넓어서, 손가락과 터치패널이 접촉된 면적에 대응되는 터치영역이 검출되고, 검출된 터치영역 내에서 판단된 입력좌표에서 특정 명령이 수행된다. 이와 관련하여, 터치패널 상에서 사용자가 의도한 입력좌표와 입력좌표로 판단된 좌표가 서로 불일치하는 문제가 있어 왔는데, 특히, 사용자가 컴퓨팅 장치에서 오브젝트 (object) 의 위치나 크기를 조절하는 정밀한 작업을 수행함에 있어서 상기와 같은 불일치 문제는 매우 중요한 문제점으로 인식되고 있다.
사용자가 마우스를 이용하는 경우, 사용자는 디스플레이 되는 커서의 움직임을 통해 입력이 이루어지는 지점을 쉽게 확인할 수 있는 반면, 사용자가 터치 스크린 디스플레이를 이용하는 경우, 터치 스크린 디스플레이에 커서가 디스플레이 되지 않거나, 커서가 디스플레이 되더라도 터치 스크린 디스플레이와 접촉된 손가락에 의해 커서가 가려져서, 사용자 입장에서 터치 스크린 디스플레이에서 작업이 수행될 정확한 위치를 파악하기 어렵다. 특히, 터치패널로부터 손가락이 떼어지는 시간 동안 검출된 터치영역에서 입력좌표를 판단함에 있어, 터치패널 상에서 사용자가 의도한 입력좌표와 입력좌표로 판단된 좌표가 서로 불일치하는 문제가 있어왔다.
도 1a 및 도 1b는 터치패널에 손가락이 접촉되는 동안 검출된 터치영역 내에서 입력좌표를 판단하는 방법을 나타내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 1a는 터치패널 (110) 에 손가락이 접촉되면서 터치패널 (110) 과 손가락의 접촉면적이 점차 확대됨에 따라 확대된 터치영역 (121a, 121b, 121c, 121d) 을 도시한 것이고, 도 1b는 최종적으로 검출된 터치영역의 X축상 터치영역신호 (131d) 를 도시한 것이다.
도 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터치패널 (110) 상에 손가락을 접촉시키는 터치입력, 즉 프레스입력 (press input) 이 인가된 경우, 터치패널 (110) 에 손가락이 접촉되면서 터치패널 (110) 과 손가락의 접촉면적이 점차 확대됨에 따라 검출되는 터치영역 (121a, 121b, 121c, 121d) 도 확대된다. 이때, 최종적으로 검출된 터치영역의 가장자리에서 중심부로 갈수록, 도 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터치영역신호 (131d) 의 크기는 커지고, 터치영역신호 (131d) 의 최대값이 문턱값 (Vth; threshold value) 이상인 경우, 최대값이 검출된 입력좌표 (X1) 가 최종입력좌표로 판단될 수 있다. 설명의 편의상 X축만을 도시하였으나, 터치패널의 Y축상 입력좌표도 검출된다.
프레스입력이 인가된 경우, 터치패널 상에서 프레스입력이 계속 유지되는 이상, 사용자가 터치영역을 이동시켜 최종입력좌표를 조정할 수 있다. 따라서, 터치패널로부터 손가락이 떼어지는 시간 동안 인가된 터치입력, 즉 릴리즈입력 (release input) 이 인가된 경우와 달리 터치영역 내에서 판단된 최종입력좌표와 사용자가 의도한 입력좌표가 불일치하더라도, 사용자가 터치영역을 이동시켜 최종입력좌표를 조정할 수 있어 문제되지 않는다. 그러나 릴리즈입력의 경우, 프레스입력이 인가된 경우처럼 사용자가 터치입력을 계속 인가하여 터치영역을 이동시킬 수 없으므로, 사용자가 의도한 입력좌표와 최종입력좌표로 판단된 입력좌표가 불일치하는 문제가 빈번하게 발생할 수 있다.
도 2a 및 도 2b는 터치패널로부터 손가락이 떼어지는 시간 동안 검출된 터치영역에서 입력좌표를 판단하는 방법을 나타내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 2a는 터치패널 (110) 로부터 손가락이 떼어지는 시간 동안 터치패널 (110) 과 손가락의 접촉면적이 점차 축소됨에 따라 축소된 터치영역 (122a, 122b, 122c, 122d) 을 도시한 것이고, 도 2b는 터치패널로부터 손가락이 떼어지는 시간 동안 검출된 터치영역들의 X축상 터치영역신호들 (132a, 132d) 을 도시한 것이다.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레스입력에 이어서 터치패널 (110) 로부터 손가락이 떼어지는 시간 동안 인가된 릴리즈입력이 터치패널 (110) 상에 인가된 경우, 터치패널 (110) 로부터 손가락이 떼어지면서 터치패널 (110) 과 손가락의 접촉면적이 점차 축소됨에 따라 검출되는 터치영역 (122a, 122b, 122c, 122d) 이 축소되고, 터치패널로 (110) 부터 손가락이 떼어지면서 사용자의 의식하지 못하는 동안 터치영역 (122d) 이 이동될 수 있다. 이는 사용자가 손가락을 들어올릴 때, 손가락이 터치패널로부터 수직으로 떼어지지 않기 때문에 발생한다.
터치패널로부터 손가락이 떼어진 경우,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손가락이 떼어지기 전에 최종적으로 검출된 터치영역 (122d, 도 2a 참조) 에 의한 터치영역신호 (132d) 의 크기는 손가락이 터치패널과 접촉되어 있는 동안 검출된 터치영역 (122a, 도 2a 참조) 에 의한 터치영역신호 (132a) 의 크기보다 작다. 다만, 최종적으로 검출된 터치영역 (122d, 도 2a 참조) 에 의한 터치영역신호 (132d) 의 최대값은 적어도 문턱값 (Vth) 이상인 경우 최종입력좌표가 판단될 수 있으므로, 터치영역신호 (132d) 의 최대값이 문턱값 (Vth) 에 도달한 때의 입력좌표 (X2) 가 최종입력좌표로 판단될 수 있다. 따라서, 터치패널로부터 손가락이 떼어지는 시간 동안 최종적으로 검출되는 터치영역이 이동됨으로써, 사용자가 의도한 입력좌표 (X1) 로부터 △X 만큼의 오차가 발생한 입력좌표 (X2) 가 최종입력좌표로 판단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릴리즈입력이 인가되는 경우 발생할 수 있는 오차를 없애거나 감소시킬 수 있는 방법 및 장치의 개발이 요구되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터치패널로부터 손가락을 떼어지는 터치입력이 인가된 경우 입력좌표 판단에 있어 발생하는 오차를 감소시킬 수 있는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전술한 바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입력좌표 판단방법은 터치입력수단에 의해 터치패널 상에 인가된 제1 터치입력으로부터 제1 터치영역을 검출하는 단계, 제1 터치입력 이후에 인가된 제2 터치입력으로부터 제2 터치영역을 검출하는 단계 및 제1 터치영역과 제2 터치영역을 이용하여 문턱값을 기초로 최종입력좌표를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제2 터치영역의 크기가 제1 터치영역의 크기보다 작은 경우의 문턱값은 제2 터치영역의 크기가 제1 터치영역의 크기보다 큰 경우의 문턱값보다 크고, 최종입력좌표는 제2 터치영역 내에서 판단된 입력좌표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최종입력좌표는, 제2 터치영역이 미리 결정된 시간보다 짧은 시간 동안 검출된 경우, 제1 터치영역 내에서 판단된 입력좌표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최종입력좌표는, 제1 터치영역이 미리 결정된 시간보다 긴 시간 동안 검출된 경우, 제1 터치영역 내에서 판단된 입력좌표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제1 터치영역과 제2 터치영역 내에서 각각 판단된 입력좌표들의 중간좌표를 산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최종입력좌표는 중간좌표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중간좌표의 산출은 제1 터치영역과 제2 터치영역이 검출된 시간을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중간좌표의 산출은 제1 터치영역과 제2 터치영역의 크기를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전술한 바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컴퓨터 판독가능매체는 터치입력수단에 의해 터치패널 상에 인가된 제1 터치입력으로부터 제1 터치영역을 검출하고, 제1 터치입력 이후에 인가된 제2 터치입력으로부터 제2 터치영역을 검출하고, 제1 터치영역과 제2 터치영역을 이용하여 문턱값을 기초로 최종입력좌표를 판단하게 하는 명령어들의 세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제2 터치영역의 크기가 제1 터치영역의 크기보다 작은 경우의 문턱값은 제2 터치영역의 크기가 제1 터치영역의 크기보다 큰 경우의 문턱값보다 크고, 최종입력좌표는 제2 터치영역 내에서 판단된 입력좌표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최종입력좌표는, 제2 터치영역이 미리 결정된 시간보다 짧은 시간 동안 검출된 경우, 제1 터치영역 내에서 판단된 입력좌표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최종입력좌표는, 제1 터치영역이 미리 결정된 시간보다 긴 시간 동안 검출된 경우, 제1 터치영역 내에서 판단된 입력좌표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제1 터치영역과 제2 터치영역 내에서 각각 판단된 입력좌표들의 중간좌표를 산출하게 하는 명령어들의 세트를 더 포함하고, 최종입력좌표는 중간좌표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중간좌표의 산출은 제1 터치영역과 제2 터치영역이 검출된 시간을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중간좌표의 산출은 제1 터치영역과 제2 터치영역의 크기를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전술한 바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입력좌표 판단장치는 터치패널, 터치입력수단에 의해 터치패널 상에 인가된 제1 터치입력으로부터 제1 터치영역을 검출하고, 제1 터치입력 이후에 인가된 제2 터치입력으로부터 제2 터치영역을 검출하는 터치영역 검출부 및 제1 터치영역과 제2 터치영역을 이용하여 문턱값을 기초로 최종입력좌표를 판단하는 입력좌표 판단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기타 실시예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은 터치패널로부터 손가락을 떼어지는 터치입력이 인가된 경우 입력좌표 판단에 있어 발생하는 오차를 감소시킴으로써 사용자가 의도한 입력좌표를 최종입력좌표로 판단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효과는 이상에서 예시된 내용에 의해 제한되지 않으며, 더욱 다양한 효과들이 본 명세서 내에 포함되어 있다.
도 1a 및 도 1b는 터치패널에 손가락이 접촉되는 동안 검출된 터치영역 내에서 입력좌표를 판단하는 방법을 나타내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 2a 및 도 2b는 터치패널로부터 손가락이 떼어지는 시간 동안 검출된 터치영역에서 입력좌표를 판단하는 방법을 나타내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터치패널 상에 검출된 터치영역에서 입력좌표를 판단하는 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입력좌표 판단장치가 입력좌표를 판단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터치패널로부터 손가락이 떼어지는 시간 동안 검출된 터치영역에서 입력좌표를 판단하는 방법을 나타내기 위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소자 (elements) 또는 층이 다른 소자 또는 층 위 (on) 로 지칭되는 것은 다른 소자 바로 위에 또는 중간에 다른 층 또는 다른 소자를 개재한 경우를 모두 포함한다.
비록 제1, 제2 등이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서술하기 위해서 사용되나, 이들 구성요소들은 이들 용어에 의해 제한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하에서 언급되는 제1 구성요소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제2 구성요소일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본 발명의 여러 실시예들의 각각 특징들이 부분적으로 또는 전체적으로 서로 결합 또는 조합 가능하며, 당업자가 충분히 이해할 수 있듯이 기술적으로 다양한 연동 및 구동이 가능하며, 각 실시예들이 서로에 대하여 독립적으로 실시 가능할 수도 있고 연관 관계로 함께 실시 가능할 수도 있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는 어느 하나의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로 데이터 또는 신호를 '전송'하는 경우에는 구성요소는 다른 구성요소로 직접 상기 데이터 또는 신호를 전송할 수 있고, 적어도 하나의 또 다른 구성요소를 통하여 데이터 또는 신호를 다른 구성요소로 전송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터치패널 상에 검출된 터치영역에서 입력좌표를 판단하는 장치의 블록도이다. 설명의 편의상 도 2a 및 도 2b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입력좌표 판단장치 (100) 는 터치패널 (110), 터치영역 검출부 (120) 및 입력좌표 판단부 (130) 를 포함한다.
입력좌표 판단장치 (100) 는 터치입력수단에 의해 터치패널 (110) 상에 인가된 입력으로부터 터치영역을 검출하여, 터치영역으로부터 입력좌표를 판단할 수 있도록 구현된 장치이다. 이러한 입력좌표 판단장치 (100) 는 터치패드나 터치 스크린 디스플레이를 탑재한 컴퓨팅 장치로서 프로세서 및 메모리를 포함하는 컴퓨터, 스마트폰, 노트패드, 노트북, 태블릿 PC 등의 단말 그 자체일 수 있으며, 전술한 단말에 탑재되는 모듈일 수도 있다.
터치패널 (110) 은 가로선과 세로선이 교차하도록 구성된 센서 그리드 (grid) 를 포함하며, 터치패널 (110) 상에 손가락 또는 스타일러스 펜 (stylus pen) 과 같은 터치입력수단이 접촉되는 터치입력이 인가된 경우, 터치입력수단과 터치패널 (110) 의 접촉 면적에 대응되는 그리드의 각 지점들이 접촉에 의한 압력 또는 정전기량 변화를 감지하여 고유 신호를 발생시키고, 그리드의 각 지점들에서 발생한 고유 신호를 터치영역 검출부 (120) 로 전송하는 입력장치이다. 따라서, 터치패널 (110) 은 터치패널 (110) 상에 인가된 터치입력의 감도 및 터치입력이 인가된 위치를 감지할 수 있고, 사용자가 터치패널 (110) 상에 터치입력수단을 물리적으로 접촉시킨 상태뿐만 아니라, 접촉하지 않더라도 근접한 거리에 접근시켜 전기적인 접촉이 이루어진 상태 (floating touch) 에서도 터치입력을 감지할 수 있다.
터치영역 검출부 (120) 는 터치패널 (110) 의 그리드의 각 지점들로부터 발생한 고유 신호를 터치패널 (110) 로부터 수신하고, 그 고유 신호를 분석하여, 터치입력수단과 터치패널 (110) 의 접촉면적에 대응되는 터치영역을 검출한다. 또한, 터치패널 (110) 상에 터치입력이 계속 유지되는 경우, 터치영역 검출부 (120) 는 계속하여 터치영역을 검출한다.
터치영역 검출부 (120) 는,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터치패널 (110) 로부터 손가락이 떼어지는 시간 동안 인가된 터치입력, 즉 릴리즈입력 (release input) 이 인가된 경우, 터치패널 (110) 로부터 손가락이 떼어지면서 접촉면적이 점차 축소됨에 따라 축소되는 터치영역 (122a, 122b, 122c, 122d) 을 검출할 수 있다.
입력좌표 판단부 (130) 는 터치영역 검출부 (120) 에 의해 검출된 터치영역에 걸쳐 검출되는 터치영역신호에 근거하여 입력좌표를 판단한다. 즉, 터치영역신호는 터치영역의 가장자리에서 중심부로 갈수록 크기가 커지고, 터치영역신호의 최대값이 입력좌표로 판단될 수 있다. 다만, 터치영역신호의 크기가 적어도 문턱값 (threshold value) 이상인 경우 입력좌표로 판단된다. 또한, 터치패널 (110) 상에 릴리즈입력이 인가된 경우, 입력좌표 판단부 (130) 는 터치패널 (110) 상에 터치입력이 계속 유지되는 동안 검출된 터치영역 (122a, 122b, 122c, 122d 도 2a 참조) 을 이용하여 최종입력좌표를 판단하는데, 이러한 입력좌표 판단방법은 도 4에서 상세히 설명한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입력좌표 판단장치 (100) 는 터치패널 (110) 에 접촉되었던 손가락이 떼어지는 시간 동안 인가된 릴리즈입력에 있어서 발생할 수 있는 오차를 줄이기 위해 구현된 장치므로, 터치패널 (110) 상에 손가락을 접촉시키는 터치입력, 즉 프레스입력 (press input) 이 인가되어 손가락과 터치패널 (110) 의 접촉이 일정한 오차범위 내에서 유지되는 경우,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입력좌표 판단방법이 적용되지 않도록 구현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입력좌표 판단장치가 입력좌표를 판단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도 2a, 도 2b 및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먼저, 터치영역 검출부 (120) 를 통해 터치입력수단에 의해 터치패널 (110) 상에 인가된 제1 터치입력으로부터 제1 터치영역이 검출되고 (S100), 제1 터치입력 이후에 인가된 제2 터치입력으로부터 제2 터치영역이 검출된다 (S110).
도 2a를 참조하면, 제1 터치영역 (122a) 은 손가락이 터치패널 (110) 과 접촉되어 있던 동안 검출된 터치영역이고, 제2 터치영역 (122d) 은 터치패널 (110) 로부터 손가락이 떼어지는 시간 동안 검출된 터치영역 중 터치영역신호 (132d, 도 2b 참조) 의 최대값이 적어도 문턱값 (Vth, 도 2b 참조) 이상인 터치영역일 수 있다.
제1 터치영역과 제2 터치영역이 검출되면, 입력좌표 판단부 (130) 를 통해 제1 터치영역과 제2 터치영역이 이용되어 문턱값을 기초로 최종입력좌표가 판단된다 (S130).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2 터치영역이 미리 결정된 시간보다 짧은 시간 동안 검출된 경우, 제1 터치영역 내에서 판단된 입력좌표가 최종입력좌표로 판단될 수 있다. 이때, 미리 결정된 시간은 예시적으로 0.1초일 수 있다.
도 2a를 참조하면, 제2 터치영역 (122d) 이 미리 결정된 시간보다 짧은 시간 동안 검출된 경우, 즉 제1 터치영역 (122a) 이 검출되고 손가락이 터치패널 (110) 로부터 0.1초 이내에 떼어진 경우, 입력좌표 판단장치 (100) 는 터치패널 (110) 상에 릴리즈입력이 인가된 것으로 판단하여, 손가락이 터치패널 (110) 로부터 떼어지는 시간 동안 검출된 터치영역들 (122b, 122c, 122d) 로부터의 입력좌표들을 최종입력좌표로 판단하지 않고, 손가락이 터치패널 (110) 과 접촉되어 있던 동안 검출된 제1 터치영역 (122a) 에 의한 터치영역신호 (132a, 도 2b 참조) 의 최대값이 검출된 입력좌표 (X1) 를 최종입력좌표로 판단할 수 있다. 다만, 터치영역신호 (132a, 도 2b 참조) 의 최대값은 적어도 문턱값 (Vth, 도 2b 참조) 이상일 것이 요구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1 터치영역이 미리 결정된 시간보다 긴 시간 동안 검출된 경우, 제1 터치영역 내에서 판단된 입력좌표가 최종입력좌표로 판단될 수 있다. 이때, 미리 결정된 시간은 예시적으로 1초일 수 있다.
도 2a를 참조하면, 제1 터치영역 (122a) 이 미리 결정된 시간보다 긴 시간 동안 검출된 경우, 즉 손가락과 터치패널 (110) 이 1초 이상 접촉되었다가 손가락이 터치패널 (110) 로부터 떼어진 경우, 제1 터치영역 (122a) 에 의한 터치영역신호 (132a, 도 2b 참조) 의 최대값이 검출된 입력좌표 (X1) 가 사용자가 의도한 입력좌표로 보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입력좌표 판단장치 (100) 는 손가락이 터치패널 (110) 로부터 떼어지는 시간 동안 검출된 터치영역들 (122b, 122c, 122d) 로부터의 입력좌표들을 최종입력좌표로 판단하지 않고, 손가락이 터치패널 (110) 과 1초 이상 접촉되어 있던 동안 검출된 제1 터치영역 (122a) 에 의한 터치영역신호 (132a, 도 2b 참조) 의 최대값이 검출된 입력좌표 (X1) 를 최종입력좌표로 판단할 수 있다. 다만, 터치영역신호 (132a, 도 2b 참조) 의 최대값은 적어도 문턱값 (Vth, 도 2b 참조) 이상일 것이 요구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1 터치영역에서 판단된 입력좌표와 제2 터치영역에서 판단된 입력좌표의 중간좌표가 최종입력좌표로 판단될 수 있다.
도 2a를 참조하면, 제1 터치영역 (122a) 에 의한 터치영역신호 (132a, 도 2b 참조) 의 최대값이 검출된 입력좌표 (X1) 와 제2 터치영역 (122d) 에 의한 터치영역신호 (132d, 도 2b 참조) 의 최대값이 검출된 입력좌표 (X2) 의 중간좌표가 최종입력좌표로 판단될 수 있다. 다만, 각 터치영역신호 (132a, 132b 도 2b 참조) 의 최대값은 적어도 문턱값 (Vth, 도 2b 참조) 이상일 것이 요구된다.
또한, 중간좌표의 산출에 있어, 터치영역들에 가중치가 부여되어 특정 입력좌표에 더 가까운 좌표가 중간좌표로 산출될 수도 있다. 예컨대, 제1 터치영역 (122a) 에 의한 터치영역신호 (132a, 도 2b 참조) 의 최대값이 검출된 입력좌표 (X1) 에 가중치 a1이, 제2 터치영역 (122d) 에 의한 터치영역신호 (132d, 도 2b 참조) 의 최대값이 검출된 입력좌표 (X2) 에 가중치 a2가 부여되고, 가중치 a1이 가중치 a2보다 큰 경우, 산출된 중간좌표 (Xf) 는 X1과 X2의 중간이 아닌, X1에 더 가까운 좌표로 산출될 수 있고, 이는 수학식 1과 같이 나타낼 수 있다.
Figure 112013026612993-pat00001
이때, 중간좌표는 Xf에 대응되고, Xf는 X1과 X2 사이에 위치하는 좌표로서 정수로 반올림된 값일 수 있고, 터치패널의 Y축상의 중간좌표 역시 같은 방식으로 산출될 수 있다.
한편, 가중치는 각 터치영역이 인가된 시간 또는 터치영역의 크기에 비례할 수 있다. 이때, 터치영역의 크기는 X축이나 Y축상 터치영역신호의 폭에 대응되어, X축상 입력좌표와 Y축상 입력좌표에 각각 다른 값이 곱해질 수 있다. 또한, 터치영역의 크기는 터치영역의 면적에 대응되어, X축상 입력좌표와 Y축상 입력좌표에 동일한 값이 곱해질 수도 있다.
따라서, 손가락과 터치패널이 접촉된 시간이 긴 터치영역 내에서 판단된 입력좌표 또는 손가락과 터치패널의 접촉면적이 넓은 터치영역 내에서 판단된 입력좌표에 가까운 좌표가 최종입력좌표로 판단될 수 있어, 손가락이 터치패널로부터 떼어지는 시간 동안 발생하는 오차가 감소할 수 있다.
나아가, 가중치가 복수의 인자 (an, bn, cn, … , n=1, 2) 로 구성된 경우, 복수의 인자를 모두 고려하기 위해 하기의 수학식 2에 따라 중간좌표가 산출될 수 있다. 따라서, 손가락이 터치패널로부터 떼어지는 시간 동안 발생하는 오차를 복수의 인자들을 이용하여 감소시킬 수 있다.
Figure 112013026612993-pat00002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2 터치영역의 크기가 제1 터치영역의 크기보다 작은 경우의 문턱값은 제2 터치영역의 크기가 제1 터치영역의 크기보다 큰 경우의 문턱값보다 크고, 최종입력좌표는 제2 터치영역 내에서 판단된 입력좌표로 판단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도 5에서 상세히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터치패널로부터 손가락이 떼어지는 시간 동안 검출된 터치영역에서 입력좌표를 판단하는 방법을 나타내기 위한 도면이다. 설명의 편의상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5는 터치패널 (110) 로부터 손가락이 떼어지는 시간 동안 검출된 터치영역들의 X축상 터치영역신호들 (132a, 132b, 132d) 을 도시한 것으로서, 제2 터치영역의 크기가 제1 터치영역의 크기보다 작은 경우, 즉, 터치패널 (110) 로부터 손가락이 떼어지는 릴리즈입력이 인가된 경우의 문턱값 (Vth2) 은 제2 터치영역의 크기가 제1 터치영역의 크기보다 큰 경우, 즉, 프레스입력이 인가된 경우의 문턱값 (Vth1) 보다 크게 설정될 수 있다. 이는 일반적으로 손가락이 터치패널로부터 떼어지는 경우, 손가락이 터치패널로부터 떼어질수록 오차가 커지므로, 손가락이 터치패널로부터 덜 떼어진 때 검출된 터치영역으로부터 최종입력좌표를 판단함으로써 발생하는 오차를 감소시키기 위함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문턱값이 Vth2인 경우 최종적으로 검출된 터치영역 (122b, 도 2a 참조) 에 의한 터치영역신호 (132b) 로부터 판단된 최종입력좌표와 문턱값이 Vth1인 경우 최종적으로 검출된 터치영역 (122d, 도 2a 참조) 에 의한 터치영역신호 (132d) 로부터 판단된 최종입력좌표가 상이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릴리즈입력이 인가된 경우의 문턱값 (Vth2) 이 프레스입력이 인가된 경우의 문턱값 (Vth1) 보다 크게 설정된 경우, 최종적으로 검출된 터치영역 (122b, 도 2a 참조) 에 의한 터치영역신호 (132b) 의 최대값이 검출된 좌표 (X3) 가 최종입력좌표로 판단됨으로써, 손가락이 터치패널로부터 떼어지는 시간 동안 발생하는 오차가 감소할 수 있다.
첨부된 블록도의 각 블록과 흐름도의 각 단계의 조합들은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에 의해 수행될 수도 있다. 이들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은 범용 컴퓨터, 특수용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의 프로세서에 탑재될 수 있으므로,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의 프로세서를 통해 수행되는 그 인스트럭션들이 블록도의 각 블록 또는 흐름도의 각 단계에서 설명된 기능들을 수행하는 수단을 생성하게 된다. 이들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은 특정 방식으로 기능을 구현하기 위해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를 지향할 수 있는 컴퓨터 이용 가능 또는 컴퓨터 판독 가능 메모리에 저장되는 것도 가능하므로, 그 컴퓨터 이용가능 또는 컴퓨터 판독 가능 메모리에 저장된 인스트럭션들은 블록도의 각 블록 또는 흐름도 각 단계에서 설명된 기능을 수행하는 인스트럭션 수단을 내포하는 제조 품목을 생산하는 것도 가능하다.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은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 상에 탑재되는 것도 가능하므로,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 상에서 일련의 동작 단계들이 수행되어 컴퓨터로 실행되는 프로세스를 생성해서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를 수행하는 인스트럭션들은 블록도의 각 블록 및 흐름도의 각 단계에서 설명된 기능들을 실행하기 위한 단계들을 제공하는 것도 가능하다.
본 명세서에서, 각 블록은 특정된 논리적 기능 (들) 을 실행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실행 가능한 인스트럭션들을 포함하는 모듈, 세그먼트 또는 코드의 일부를 나타낼 수 있다. 또, 몇 가지 대체 실행 예들에서는 블록들에서 언급된 기능들이 순서를 벗어나서 발생하는 것도 가능함을 주목해야 한다. 예컨대, 잇달아 도시되어 있는 두 개의 블록들은 사실 실질적으로 동시에 수행되는 것도 가능하고 또는 그 블록들이 때때로 해당하는 기능에 따라 역순으로 수행되는 것도 가능하다.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들과 관련하여 설명된 방법 또는 알고리즘의 단계는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는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모듈 또는 그 2 개의 결합으로 직접 구현될 수도 있다. 소프트웨어 모듈은 RAM 메모리, 플래시 메모리, ROM 메모리, EPROM 메모리, EEPROM 메모리, 레지스터, 하드 디스크, 착탈형 디스크, CD-ROM 또는 당업계에 알려진 임의의 다른 형태의 저장 매체에 상주할 수도 있다. 예시적인 저장 매체는 프로세서에 커플링 되며, 그 프로세서는 저장 매체로부터 정보를 판독할 수 있고 저장 매체에 정보를 기입할 수 있다. 다른 방법으로, 저장 매체는 프로세서와 일체형일 수도 있다. 프로세서 및 저장 매체는 주문형 집적회로 (ASIC) 내에 상주할 수도 있다. ASIC는 사용자 단말기 내에 상주할 수도 있다. 다른 방법으로, 프로세서 및 저장 매체는 사용자 단말기 내에 개별 컴포넌트로서 상주할 수도 있다.
이상으로 실시예를 들어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반드시 이러한 실시예로 국한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 실시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입력좌표 판단장치
110: 터치패널
120: 터치영역 검출부
121a, 121b, 121c, 121d, 122a, 122b, 122c, 122d: 터치영역
130: 입력좌표 판단부
131d, 132a, 132b, 132d: 터치영역신호

Claims (15)

  1. 터치입력수단에 의해 터치패널 상에 인가된 제1 터치입력으로부터 제1 터치영역을 검출하는 단계;
    상기 제1 터치입력 이후에 인가된 제2 터치입력으로부터 제2 터치영역을 검출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터치영역과 상기 제2 터치영역을 이용하여, 터치영역신호의 크기가 문턱값 (threshold value) 이상인 범위에서 최종입력좌표를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2 터치영역의 크기가 상기 제1 터치영역의 크기보다 작은 경우의 문턱값은 상기 제2 터치영역의 크기가 상기 제1 터치영역의 크기보다 큰 경우의 문턱값보다 크고, 상기 최종입력좌표는 상기 제2 터치영역 내에서 판단된 입력좌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력좌표 판단방법.
  2. 삭제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최종입력좌표는, 상기 제2 터치영역이 미리 결정된 시간보다 짧은 시간 동안 인가된 경우, 상기 제1 터치영역 내에서 판단된 입력좌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력좌표 판단방법.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최종입력좌표는, 상기 제1 터치영역이 미리 결정된 시간보다 긴 시간 동안 인가된 경우, 상기 제1 터치영역 내에서 판단된 입력좌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력좌표 판단방법.
  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터치영역과 상기 제2 터치영역 내에서 각각 판단된 입력좌표들의 중간좌표를 산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최종입력좌표는 상기 중간좌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력좌표 판단방법.
  6.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중간좌표의 산출은 상기 제1 터치영역과 상기 제2 터치영역이 인가된 시간을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력좌표 판단방법.
  7.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중간좌표의 산출은 상기 제1 터치영역과 상기 제2 터치영역의 크기를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력좌표 판단방법.
  8. 터치입력수단에 의해 터치패널 상에 인가된 제1 터치입력으로부터 제1 터치영역을 검출하고,
    상기 제1 터치입력 이후에 인가된 제2 터치입력으로부터 제2 터치영역을 검출하고,
    상기 제1 터치영역과 상기 제2 터치영역을 이용하여 터치영역신호의 크기가 문턱값 이상인 범위에서 최종입력좌표를 판단하게 하는 명령어들의 세트를 포함하고,
    상기 제2 터치영역의 크기가 상기 제1 터치영역의 크기보다 작은 경우의 문턱값은 상기 제2 터치영역의 크기가 상기 제1 터치영역의 크기보다 큰 경우의 문턱값보다 크고, 상기 최종입력좌표는 상기 제2 터치영역 내에서 판단된 입력좌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매체.
  9. 삭제
  10.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최종입력좌표는, 상기 제2 터치영역이 미리 결정된 시간보다 짧은 시간 동안 인가된 경우, 상기 제1 터치영역 내에서 판단된 입력좌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매체.
  11.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최종입력좌표는, 상기 제1 터치영역이 미리 결정된 시간보다 긴 시간 동안 인가된 경우, 상기 제1 터치영역 내에서 판단된 입력좌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매체.
  12.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터치영역과 상기 제2 터치영역 내에서 각각 판단된 입력좌표들의 중간좌표를 산출하게 하는 명령어들의 세트를 더 포함하고,
    상기 최종입력좌표는 상기 중간좌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매체.
  13. 제12 항에 있어서,
    상기 중간좌표의 산출은 상기 제1 터치영역과 상기 제2 터치영역이 인가된 시간을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매체.
  14. 제12 항에 있어서,
    상기 중간좌표의 산출은 상기 제1 터치영역과 상기 제2 터치영역의 크기를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매체.
  15. 터치패널;
    터치입력수단에 의해 상기 터치패널 상에 인가된 제1 터치입력으로부터 제1 터치영역을 검출하고, 상기 제1 터치입력 이후에 인가된 제2 터치입력으로부터 제2 터치영역을 검출하는 터치영역 검출부; 및
    상기 제1 터치영역과 상기 제2 터치영역을 이용하여 터치영역신호의 크기가 문턱값 이상인 범위에서 최종입력좌표를 판단하는 입력좌표 판단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 터치영역의 크기가 상기 제1 터치영역의 크기보다 작은 경우의 문턱값은 상기 제2 터치영역의 크기가 상기 제1 터치영역의 크기보다 큰 경우의 문턱값보다 크고, 상기 최종입력좌표는 상기 제2 터치영역 내에서 판단된 입력좌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력좌표 판단장치.
KR1020130032938A 2013-03-27 2013-03-27 터치패널 상에서의 입력좌표 판단방법 및 판단장치 KR10159673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32938A KR101596730B1 (ko) 2013-03-27 2013-03-27 터치패널 상에서의 입력좌표 판단방법 및 판단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32938A KR101596730B1 (ko) 2013-03-27 2013-03-27 터치패널 상에서의 입력좌표 판단방법 및 판단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17951A KR20140117951A (ko) 2014-10-08
KR101596730B1 true KR101596730B1 (ko) 2016-02-26

Family

ID=519909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32938A KR101596730B1 (ko) 2013-03-27 2013-03-27 터치패널 상에서의 입력좌표 판단방법 및 판단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9673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61584B1 (ko) * 2015-11-20 2022-11-02 삼성전자주식회사 입력 처리 방법 및 장치
CN110162230B (zh) * 2019-05-24 2021-11-02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触摸位置的识别方法、装置及存储介质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243181A (ja) * 2010-05-14 2011-12-01 Alcor Micro Corp タッチパネルにおけるタッチポイントの判断方法およびそのシステム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32901A (ko) * 2006-10-11 2008-04-16 삼성전자주식회사 멀티 터치 판단 장치 및 방법
KR20090124086A (ko) * 2008-05-29 2009-12-03 주식회사 케이티테크 터치 위치 결정 방법 및 그 방법을 적용한 터치 패널 장치
KR20130030168A (ko) * 2011-09-16 2013-03-26 주식회사 아이피시티 사용자 입력 감지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243181A (ja) * 2010-05-14 2011-12-01 Alcor Micro Corp タッチパネルにおけるタッチポイントの判断方法およびそのシステ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17951A (ko) 2014-10-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402042B2 (en) Force vector cursor control
KR101359699B1 (ko) 터치-트레일에 따른 속도 혹은 압력 등과 같은 특성의 변동에 기초한 터치-입력의 명확화
US10545604B2 (en) Apportionment of forces for multi-touch input devices of electronic devices
KR101642621B1 (ko) 2개의 레벨을 갖는 터치 감지식 버튼
EP2820511B1 (en) Classifying the intent of user input
US8970528B2 (en) Information input device, information input method, and program
US20120013571A1 (en) Three-dimensional touch sensor
WO2015048114A1 (en) Methods and apparatus for click detection on a force pad using dynamic thresholds
US9423883B2 (en) Electronic apparatus and method for determining validity of touch key input used for the electronic apparatus
US10620758B2 (en) Glove touch detection
JP2008165575A (ja) タッチパネル装置
KR101596730B1 (ko) 터치패널 상에서의 입력좌표 판단방법 및 판단장치
CN106155437B (zh) 操作模式判断方法、触碰点位置判断方法以及触控控制电路
CN108427534B (zh) 控制屏幕返回桌面的方法和装置
JP6150712B2 (ja) 情報処理装置およびプログラム
KR20150122021A (ko) 디스플레이 대상의 이동 방향 조절 방법 및 단말기
KR100859882B1 (ko) 터치 기반 사용자 입력 장치상의 듀얼 포인트 사용자입력을 인지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KR101468970B1 (ko) 터치 스크린 디스플레이 입력을 통한 객체 스크롤 방법 및 장치
JP6559045B2 (ja) 情報処理装置、方法、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及び記憶媒体
TW202113565A (zh) 觸控裝置及其操作方法
US8896568B2 (en) Touch sensing method and apparatus using the same
KR20150060476A (ko) 터치스크린 상의 명령입력영역 제어 방법 및 장치
EP3317754B1 (en) Position-filtering for land-lift events
US20130154967A1 (en) Electronic device and touch control method thereof
JP2017076217A (ja) 電子機器、その制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並びに記憶媒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2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11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