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05054B1 - 공작기계용 파렛트 반입 및 반출 장치 - Google Patents

공작기계용 파렛트 반입 및 반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05054B1
KR101105054B1 KR1020090073669A KR20090073669A KR101105054B1 KR 101105054 B1 KR101105054 B1 KR 101105054B1 KR 1020090073669 A KR1020090073669 A KR 1020090073669A KR 20090073669 A KR20090073669 A KR 20090073669A KR 101105054 B1 KR101105054 B1 KR 10110505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ok
pallet
hydraulic cylinder
machine tool
sp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736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16126A (ko
Inventor
이상춘
Original Assignee
현대위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위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위아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07366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05054B1/ko
Publication of KR201100161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1612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0505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0505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QDETAILS, COMPONENTS, OR ACCESSORIES FOR MACHINE TOOLS, e.g. ARRANGEMENTS FOR COPYING OR CONTROLLING; MACHINE TOOLS IN GENERAL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OF PARTICULAR DETAILS OR COMPONENTS; COMBINATIONS OR ASSOCIATIONS OF METAL-WORKING MACHINES, NOT DIRECTED TO A PARTICULAR RESULT
    • B23Q7/00Arrangements for handling work specially combined with or arranged in,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machine tools, e.g. for conveying, loading, positioning, discharging, sorting
    • B23Q7/02Arrangements for handling work specially combined with or arranged in,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machine tools, e.g. for conveying, loading, positioning, discharging, sorting by means of drums or rotating tables or disc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QDETAILS, COMPONENTS, OR ACCESSORIES FOR MACHINE TOOLS, e.g. ARRANGEMENTS FOR COPYING OR CONTROLLING; MACHINE TOOLS IN GENERAL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OF PARTICULAR DETAILS OR COMPONENTS; COMBINATIONS OR ASSOCIATIONS OF METAL-WORKING MACHINES, NOT DIRECTED TO A PARTICULAR RESULT
    • B23Q7/00Arrangements for handling work specially combined with or arranged in,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machine tools, e.g. for conveying, loading, positioning, discharging, sorting
    • B23Q7/04Arrangements for handling work specially combined with or arranged in,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machine tools, e.g. for conveying, loading, positioning, discharging, sorting by means of grippers
    • B23Q7/043Construction of the gripp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QDETAILS, COMPONENTS, OR ACCESSORIES FOR MACHINE TOOLS, e.g. ARRANGEMENTS FOR COPYING OR CONTROLLING; MACHINE TOOLS IN GENERAL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OF PARTICULAR DETAILS OR COMPONENTS; COMBINATIONS OR ASSOCIATIONS OF METAL-WORKING MACHINES, NOT DIRECTED TO A PARTICULAR RESULT
    • B23Q7/00Arrangements for handling work specially combined with or arranged in,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machine tools, e.g. for conveying, loading, positioning, discharging, sorting
    • B23Q7/04Arrangements for handling work specially combined with or arranged in,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machine tools, e.g. for conveying, loading, positioning, discharging, sorting by means of grippers
    • B23Q7/046Handling workpieces or too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QDETAILS, COMPONENTS, OR ACCESSORIES FOR MACHINE TOOLS, e.g. ARRANGEMENTS FOR COPYING OR CONTROLLING; MACHINE TOOLS IN GENERAL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OF PARTICULAR DETAILS OR COMPONENTS; COMBINATIONS OR ASSOCIATIONS OF METAL-WORKING MACHINES, NOT DIRECTED TO A PARTICULAR RESULT
    • B23Q7/00Arrangements for handling work specially combined with or arranged in,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machine tools, e.g. for conveying, loading, positioning, discharging, sorting
    • B23Q7/14Arrangements for handling work specially combined with or arranged in,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machine tools, e.g. for conveying, loading, positioning, discharging, sorting co-ordinated in production li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QDETAILS, COMPONENTS, OR ACCESSORIES FOR MACHINE TOOLS, e.g. ARRANGEMENTS FOR COPYING OR CONTROLLING; MACHINE TOOLS IN GENERAL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OF PARTICULAR DETAILS OR COMPONENTS; COMBINATIONS OR ASSOCIATIONS OF METAL-WORKING MACHINES, NOT DIRECTED TO A PARTICULAR RESULT
    • B23Q2707/00Automatic supply or removal of metal workpie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eeding Of Workpieces (AREA)

Abstract

이 발명은, 파렛트를 상승시키지 않고도 후크를 분리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안전성을 높일 수 있으며, 유압 실린더의 수를 줄임으로써 상대적으로 제작원가를 싸게 할 수 있는, 공작기계용 파렛트 반입 및 반출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파렛트의 일측에 형성되어 있는 제1 후크와, 상기한 제1 후크와 회동가능하게 결합되기 위한 제2 후크와, 상기한 제2 후크를 록킹 해제시키기 위한 제3 후크와, 상기한 제2 후크를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동시키기 위한 탄성력을 제공하는 스프링과, 상기한 제2 후크를 전후진 운동시키기 위한 제1 유압 실린더와, 상기한 제3 후크를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동시키기 위한 제2 유압 실린더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파렛트, 후크, 유압 실린더, 회전축, 탄성력, 스프링

Description

공작기계용 파렛트 반입 및 반출 장치{Pallet changer for machine tool}
이 발명은 공작기계에 관한 것으로서, 좀더 세부적으로 말하자면 파렛트를 상승시키지 않고도 후크를 분리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안전성을 높일 수 있으며, 유압 실린더의 수를 줄임으로써 상대적으로 제작원가를 싸게 할 수 있는, 공작기계용 파렛트 반입 및 반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공작기계에는 공작물을 파렛트의 위에 올려 놓고 이동시킬 수 있도록 공작기계용 파렛트 반입 및 반출 장치가 설치된다.
도 1은 일반적인 공작기계용 파렛트 반입 및 반출 장치의 설치상태를 나타내는 정면도이고, 도 2는 일반적인 공작기계용 파렛트 반입 및 반출 장치의 설치상태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일반적인 공작기계용 파렛트 반입 및 반출 장치(2)는 공작기계(1)의 전단에 설치되어, 공작물을 올려 놓은 파렛트를 공구가 있는 곳으로 반입시키고, 가공작업이 끝난 공작물이 실려 있는 파렛트를 반출시키는 역할을 담당한다.
도 3은 종래의 공작기계용 파렛트 반입 및 반출 장치의 요부 구조도이다.
도 3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종래의 공작기계용 파렛트 반입 및 반출 장치는, 파렛트(11)의 일측에 형성되어 있는 제1 후크(12)와, 상기한 제1 후크(12)와 결합되기 위한 제2 후크(13)와, 상기한 제2 후크(13)를 전후진 운동시키기 위한 제1 유압 실린더(14)와, 상기한 파렛트(11)를 상하 운동 시키기 위한 제2 유압 실린더(15) 및 제3 유압 실린더(16)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한 구성에 의한 종래의 공작기계용 파렛트 반입 및 반출 장치의 작용은 다음과 같다.
이송하고자 하는 파렛트(11)의 제1 후크(12)에 제2 후크(13)를 연결시킨 후, 제1 유압 실린더(14)를 동작시킴으로써 파렛트(11)를 PPL(Pallet Pool Line) 측에서 공작기계(1) 측으로 이송시킨다.
공작기계(1) 측으로 파렛트(11)가 반입되고 나면, 제2 유압 실린더(15)와 제3 유압 실린더(16)를 상승시켜서 파렛트(11)를 위로 올려줌으로써 제1 후크(12)와 제2 후크(13)가 분리되도록 한다.
제1 후크(12)와 제2 후크(13)가 분리된 것을 확인한 후, 제1 유압 실린더(14)를 다시 PPL 측으로 이송시킨다.
제1 유압 실린더(14)가 완전히 PPL 측으로 후퇴한 것을 확인한 후, 제2 유압 실린더(15)와 제3 유압 실린더(16)를 이송시켜 파렛트(11)를 다시 아래로 하강시킨다.
그러나, 종래의 공작기계용 파렛트 반입 및 반출 장치는, 파렛트(11)를 공작기계(1) 측에서 상승시킬 때 제2 유압 실린더(15)와 제3 유압 실린더(16)가 동기되 어 동시에 움직여야 하는데, 조금이라도 차이가 있을 경우에 파렛트 상부의 공작물이 흔들리면서 이탈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파렛트를 상승시키지 않고도 후크를 분리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안전성을 높일 수 있는, 공작기계용 파렛트 반입 및 반출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유압 실린더의 수를 줄임으로써 상대적으로 제작원가를 싸게 할 수 있는, 공작기계용 파렛트 반입 및 반출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이 발명의 구성은, 파렛트의 일측에 형성되어 있는 제1 후크와, 제1 유압실린더의 끝단에 연결되어 회전축을 중심으로 상기한 제1 후크와 회동가능하게 결합되기 위한 제2 후크와, 제2 유압실린더의 끝단에 연결되어 회전축을 중심으로 상기한 제2 후크를 록킹 해제시키기 위한 제3 후크와, 제1 유압실린더와 일체로 설치되어 상기한 제2 후크를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동시키기 위한 탄성력을 제공하는 스프링과, 상기한 제2 후크를 전후진 운동시키기 위한 제1 유압 실린더와, 상기한 제3 후크를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동시키기 위한 제2 유압 실린더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 발명의 구성은, 상기한 스프링은 압축 스프링으로 이루어지면 바람직하다.
이 발명의 구성은, 상기한 스프링의 탄성력에 의해 제1 후크와 제2 후크가 결합상태를 유지하면 바람직하다.
이 발명의 구성은, 상기한 제2 유압 실린더는 수직 상승 및 하강운동을 하면 바람직하다.
이 발명은, 파렛트를 상승시키지 않고도 후크를 분리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안전성을 높일 수 있으며, 유압 실린더의 수를 줄임으로써 상대적으로 제작원가를 싸게 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이하, 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이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히 설명하기 위하여, 이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 발명의 목적, 작용, 효과를 포함하여 기타 다른 목적들, 특징점들, 그리고 동작상의 이점들이 바람직한 실시예의 설명에 의해 보다 명확해질 것이다.
참고로, 여기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는 여러가지 실시가능한 예중에서 당업자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가장 바람직한 실시예를 선정하여 제시한 것일 뿐, 이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반드시 이 실시예에만 의해서 한정되거나 제한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다양한 변화와 부가 및 변경이 가능함은 물론, 균등한 타의 실시예가 가능함을 밝혀 둔다.
도 4는 이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공작기계용 파렛트 반입 및 반출 장치의 요부 구조도이다.
도 4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이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공작기계용 파 렛트 반입 및 반출 장치의 구성은, 파렛트(21)의 일측에 형성되어 있는 제1 후크(22)와, 상기한 제1 후크(22)와 회동가능하게 결합되기 위한 제2 후크(24)와, 상기한 제2 후크(24)를 록킹 해제시키기 위한 제3 후크(23)와, 상기한 제2 후크(24)를 회전축(28)을 중심으로 회동시키기 위한 탄성력을 제공하는 스프링(25)과, 상기한 제2 후크(24)를 전후진 운동시키기 위한 제1 유압 실린더(26)와, 상기한 제3 후크(23)를 회전축(29)을 중심으로 회동시키기 위한 제2 유압 실린더(27)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한 스프링(25)은 압축 스프링으로 이루어지며, 상기한 스프링(25)의 탄성력에 의해 제1 후크(22)와 제2 후크(24)가 결합상태를 유지한다.
상기한 제2 유압 실린더(27)는 수직 상승 및 하강운동을 한다.
상기한 구성에 의한, 이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공작기계용 파렛트 반입 및 반출 장치의 작용은 다음과 같다.
스프링(25)의 탄성력에 의해 제1 후크(22)와 제2 후크(24)가 결합되어 있는 상태에서 제1 유압 실린더(26)를 동작시킴으로써 파렛트(21)를 PPL(Pallet Pool Line) 측에서 공작기계(1) 측으로 이송시킨다.
공작기계(1) 측으로 파렛트(21)가 반입되고 나면, 제2 유압 실린더(27)를 상승시켜서 제3 후크(23)가 회전축을 중심으로 반시계 방향으로 회동되도록 함으로써 제3 후크(23)의 누르는 힘에 의해 제2 후크(24)가 회전축(28)을 중심으로 시계방향으로 회동되도록 한다. 이와 같이 제2 후크(24)가 회전축(28)을 중심으로 시계방향으로 회동되면 스프링(25)의 탄성력에 의해 결합상태를 유지하고 있던 제2 후 크(24)와 제1 후크(22)의 록킹상태가 해제된다.
제1 후크(22)와 제2 후크(24)가 분리된 후에, 제1 유압 실린더(26)는 다시 PPL 측으로 이송된다.
제1 유압 실린더(26)가 완전히 PPL 측으로 후퇴한 것을 확인한 후, 제2 유압 실린더(27)를 원위치로 이송시켜서 제3 후크(23)가 회전축(29)을 중심으로 시계 방향으로 회동되도록 한다.
따라서, 파렛트(21)를 상승시키지 않고도 제1 후크(22)와 제2 후크(24)후크를 분리시킬 수가 있으며, 유압 실린더의 수를 3개에서 2개로 줄임으로써 상대적으로 제작원가를 싸게 할 수가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공작기계용 파렛트 반입 및 반출 장치의 설치상태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2는 일반적인 공작기계용 파렛트 반입 및 반출 장치의 설치상태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3은 종래의 공작기계용 파렛트 반입 및 반출 장치의 요부 구조도이다.
도 4는 이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공작기계용 파렛트 반입 및 반출 장치의 요부 구조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21 : 파렛트 22 : 제1 후크
23 : 제3 후크 24 : 제2 후크
25 : 스프링 26 : 제1 유압 실린더
27 : 제2 유압 실린더 28, 29 : 회전축

Claims (4)

  1. 파렛트(21)의 일측에 형성되어 있는 제1 후크(22)와,
    제1 유압실린더(26)의 끝단에 연결되어 회전축(28)을 중심으로 상기한 제1 후크(22)와 회동가능하게 결합되기 위한 제2 후크(24)와,
    제2 유압실린더(27)의 끝단에 연결되어 회전축(29)을 중심으로 상기한 제2 후크(24)를 록킹 해제시키기 위한 제3 후크(23)와,
    제1 유압실린더(26)와 일체로 설치되어 상기한 제2 후크(24)를 회전축(28)을 중심으로 회동시키기 위한 탄성력을 제공하는 압축 스프링(25)과,
    상기한 제2 후크(24)를 전후진 운동시키기 위한 제1 유압 실린더(26)와,
    상기한 제3 후크(23)를 회전축(29)을 중심으로 회동시키기 위한 제2 유압 실린더(27)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파렛트(21)를 상승시키지 않고도 제1 후크(22)와 제2 후크(24)후크를 분리시킬 수가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작기계용 파렛트 반입 및 반출 장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한 제1 후크(22)와 제2 후크(24)는 상기한 압축 스프링(25)의 탄성력에 의해 결합상태를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작기계용 파렛트 반입 및 반출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한 제2 유압 실린더(27)는 수직 상승 및 하강운동을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작기계용 파렛트 반입 및 반출 장치.
KR1020090073669A 2009-08-11 2009-08-11 공작기계용 파렛트 반입 및 반출 장치 KR10110505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73669A KR101105054B1 (ko) 2009-08-11 2009-08-11 공작기계용 파렛트 반입 및 반출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73669A KR101105054B1 (ko) 2009-08-11 2009-08-11 공작기계용 파렛트 반입 및 반출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16126A KR20110016126A (ko) 2011-02-17
KR101105054B1 true KR101105054B1 (ko) 2012-01-16

Family

ID=437746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73669A KR101105054B1 (ko) 2009-08-11 2009-08-11 공작기계용 파렛트 반입 및 반출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0505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475895B (zh) * 2014-11-10 2016-10-05 宁波市博虹机械制造开发有限公司 一种电火花机床笔模专用夹具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168451A (ja) 1985-01-22 1986-07-30 Toyoda Mach Works Ltd パレツト搬入搬出装置
JPH03196933A (ja) * 1989-12-22 1991-08-28 Seibu Electric & Mach Co Ltd 加工機のパレット搬出入装置
JPH05345249A (ja) * 1992-06-12 1993-12-27 Honda Motor Co Ltd パレット交換装置
JPH0731946A (ja) * 1993-07-23 1995-02-03 Sintokogio Ltd 乾式脱脂方法
JPH0731946Y2 (ja) * 1990-07-27 1995-07-26 豊田工機株式会社 パレット搬入搬出装置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168451A (ja) 1985-01-22 1986-07-30 Toyoda Mach Works Ltd パレツト搬入搬出装置
JPH03196933A (ja) * 1989-12-22 1991-08-28 Seibu Electric & Mach Co Ltd 加工機のパレット搬出入装置
JPH0731946Y2 (ja) * 1990-07-27 1995-07-26 豊田工機株式会社 パレット搬入搬出装置
JPH05345249A (ja) * 1992-06-12 1993-12-27 Honda Motor Co Ltd パレット交換装置
JPH0731946A (ja) * 1993-07-23 1995-02-03 Sintokogio Ltd 乾式脱脂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16126A (ko) 2011-02-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3568018B (zh) 用于夹持多筐件翻转的机器人抓手
AU2014202386A1 (en) Automatic drill pipe add and remove system
CN101740149A (zh) 机械自锁式燃料组件抓具
CN101200269A (zh) 带电池块的锁定装置的提升车
CN108247247A (zh) 一种用于工程机械装备的水平支腿的自动焊接装置及自动焊接方法
KR101105054B1 (ko) 공작기계용 파렛트 반입 및 반출 장치
CN107585568A (zh) 一种用于砂型制造的自动上下料装置及其方法
CN205032705U (zh) 一种翻转机构
CN104959974A (zh) 一种液压双悬臂式机械臂
CN204675369U (zh) 机械手和带有机械手的机械装置
CN103707034A (zh) 装配用翻转机及工程机械底座装配装置
CN106002134A (zh) 一种集装箱扭锁自动装卸机
CN107043068A (zh) 立式自动锁孔吊具
CN203495969U (zh) 用于夹持多筐件翻转的机器人抓手
CN104909269A (zh) 一种起重机起吊装置
CN106744541B (zh) 一种水下节流阀的下放回收机具
CN207058562U (zh) 用于注塑成型机的自动化机械手装置
KR20110013591A (ko) 자동 팔레트 교환장치
KR101247560B1 (ko) 소재 이송로봇의 그리퍼 자동교체장치
CN105415351A (zh) 工业机械手
CN203699707U (zh) 起重机及其锚定装置
CN211769784U (zh) 堆垛机用抓钩和堆垛机
CN201169077Y (zh) 冲床的移送机械手连结装置
CN209289328U (zh) 一种主从机械手护套夹钳远程更换装置
CN102107531A (zh) 一种翻转式液压模架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0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2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13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11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12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