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04497B1 - 자동 스크린 평면 날염기용 건조기 - Google Patents

자동 스크린 평면 날염기용 건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04497B1
KR101104497B1 KR1020090004026A KR20090004026A KR101104497B1 KR 101104497 B1 KR101104497 B1 KR 101104497B1 KR 1020090004026 A KR1020090004026 A KR 1020090004026A KR 20090004026 A KR20090004026 A KR 20090004026A KR 101104497 B1 KR101104497 B1 KR 10110449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yer
nozzle
chamber
duct
printing machi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040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84736A (ko
Inventor
김근목
Original Assignee
김근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근목 filed Critical 김근목
Priority to KR102009000402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04497B1/ko
Publication of KR2010008473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8473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0449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0449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FPRINTING MACHINES OR PRESSES
    • B41F16/00Transfer printing apparatus
    • B41F16/02Transfer printing apparatus for textile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FPRINTING MACHINES OR PRESSES
    • B41F23/00Devices for treating the surfaces of sheets, webs, or other articles in connection with printing
    • B41F23/04Devices for treating the surfaces of sheets, webs, or other articles in connection with printing by heat drying, by cooling, by applying powd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FPRINTING MACHINES OR PRESSES
    • B41F23/00Devices for treating the surfaces of sheets, webs, or other articles in connection with printing
    • B41F23/08Print finishing devices, e.g. for glossing pri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Supply, Installation And Extraction Of Printed Sheets Or Plates (AREA)
  • Drying Of Solid Materi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건조기의 챔버를 유니트화하고 유니트화된 챔버마다 순환 팬, 열교환기, 덕트 및, 노즐을 한 세트로 하여 각각 설치함으로써 각 챔버마다 풍류와 온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한 자동 스크린 평면 날염기용 건조기에 관한 것이다. 이 건조기는 챔버를 복수 개로 분할되어 형성된 블록화된 챔버와, 블록화된 챔버 각각은 순환 팬, 열교환기, 덕트 및, 노즐을 한 세트로 내장하기 위하여 노즐의 중앙부위에 형성된 공간부의 끝단에는 덕트가 설치되고, 덕트는 노즐의 밑면과 결합하여 상부 노즐과 하부 노즐에 각각 연통하도록 결합하고, 댐퍼는 덕트와 노즐 사이에 놓여져 있고, 덕트의 전단에는 순환 팬이 설치되며, 블록화된 챔버의 좌측 하부면에는 열교환기가 설치된다.
Figure R1020090004026
날염기, 건조기, 날염 건조기, 열교환기

Description

자동 스크린 평면 날염기용 건조기{dryer for automatic flat bed screen printing machine}
본 발명은 일정한 송출량으로 송출되어 오는 원단에 하나 이상 칼라의 인쇄날염을 자동으로 실행하는 자동 스크린 평면 날염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자동 스크린 평면 날염기에서 건조기의 챔버를 복수 개로 분할하여 각 챔버마다 풍류와 온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한 자동 스크린 평면 날염기용 건조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 스크린 평면 날염기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날염할 원단(11)을 공급하는 원단 공급 파트(12)와, 프레임(13)의 내부에서 공급되는 원단(11)을 정확하게 이송하여주는 원단 이송 파트(14)와, 상기 프레임(13)의 상방에 설치되어 공급된 원단(11)에 무늬를 날염할 수 있도록 스크린과 스퀴이지 등으로 구성되는 스크린 어셈블리(15)와, 날염 완료된 원단(11)에 묻어있는 염료를 신속하게 건조시켜 원단(11)의 오염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건조기(16)로 크게 구성되어 있어서, 원단 공급 파트(12)에서 원단(11)이 공급되면 원단 이송 파트(14)에 의하여 이송되어 지고 스크린 어셈블리(15)에 의하여 원하고자 하는 무늬가 날염되 어지도록 작동한다. 상기 스크린 어셈블리(15)는 프레임(13)의 상방에 설치되어 등 간격으로 여러 개의 스크린과 스퀴이지를 가지고 설치되며, 공급되는 원단(11)의 상면에 무늬를 날염하게 된다.
종래의 건조기(16)는 도 2에 도시되어 있다. 종래의 건조기(16)에서 챔버(10)의 상부 좌.우측에 순환 팬(1)을 각각 부착.설치하고 상부 중앙에 배기관(7)을 고정.설치한다. 순환 팬(1)의 전단에는 열교환기(2)가 각각 설치된다. 열교환기(2)는 열원 공급 장치로서 외부 보일러에서 열 매체 유를 가열한 순환공기를 통과시킴으로 인하여 순환 팬(1)에 의하여 흡입되는 순환공기를 가열시키는 역할을 한다. 열 교환기(2)는 일반적으로 라디에이터이나 열 매체 유 간접 가열 방식이 아닐 경우에는 라디에이터 대신에 가스버너 또는 전기히터로 대체 할 수 있다. 그래서 열교환기(2)는 챔버(10) 내의 순환공기를 가열시키고 가열된 순환공기는 순환 팬(1)의 흡입력에 의하여 덕트(3)를 통하여 챔버(10) 안으로 유입된다. 그리고 노즐(4)은 원단(11)을 사이에 두고 상.하로 설치되어 있다. 그리하여 노즐(4)은 챔버(10)의 전체 길이 방향으로 설치되어 있다. 또한 챔버(10) 내의 순환열은 배기관(7)을 통하여 외부로 유출된다.
챔버(10) 내에서 한 쌍의 컨베이어 롤러(8)는 전.후단부에 고정.설치된다. 이들 컨베이어 롤러(8)에는 컨베이어 네트가 장착되고 컨베이어 롤러(8)의 회전에 따라 컨베이어 네트에 의하여 원단(11)이 운반된다.
이외에도, 참조번호가 부여되어 있지 않지만 종래의 건조기(16)는 건조되어 나온 원단(11)을 일정한 진폭으로 흔들어 줌으로 인하여 구르마(Batching on truck)에 정갈하게 적재할 수 있도록 하는 후리도시(Plait down)와, 컨베이어 네트의 장력을 조절할 수 있는 컨베이어 텐션 조절 장치를 포함한다.
그리하여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종래의 건조기(16)는 건조기(16)의 챔버(10) 상부에 순환 팬(1)이 설치되어 있고 내부 순환 공기를 열교환기(2)인 라디에이터로 통과시키면서 순환 팬(1)에 흡입되어 덕트(3)에 분사시킨다. 분사된 핫 에어(Hot Air)는 덕트(3)를 통하여 노즐(4)안으로 유입되고 날염된 원단(11)에 분사됨으로 인하여 온난기류의 풍속으로 날염된 원단(11)을 건조하는 방식이었다. 따라서 종래의 건조기(16)는 건조기(16)의 길이 방향으로 전체적으로 노즐(4)이 설치되어 있음으로 인하여 입구부 또는 출구부에는 풍속이 빠르게 진행되어 과 건조를 이루고 중간부에는 풍속이 느려 건조가 잘 이루어지지 않고 건조기(16)의 길이 방향으로 일체형으로서 각 영역별 풍속 조절, 온도 조절을 하지 못하였으며, 원단(11)을 사이에 두고 상하로 나누어져 있기에 원단(11)이 초기에 투입되었을 때에 과 건조를 일으켜 인쇄용 잉크의 균열이 발생하게 하였다. 또한 종래의 건조기(16)는 건조기(16)의 길이방향 일체형 노즐(4)이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압력 손실이 커서 순환 팬(1)의 용량 증대로 인한 에너지 손실 및 열량 손실을 초래한다. 더욱이 챔버(10)의 길이 확장의 한계로 인하여 두꺼운 원단(11)을 건조할 경우에 생산 속도를 향상시킬 수 없었고 건조기(16)의 길이 방향으로 제작됨으로 인하여 챔버(10)을 유니트화 할 수 없으며 구조가 복잡하였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발명한 것으로서, 건조기의 챔버를 유니트화하고 유니트화된 챔버마다 순환 팬, 열교환기, 덕트 및, 노즐을 한 세트로 하여 각각 설치함으로써 각 챔버마다 풍류와 온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한 자동 스크린 평면 날염기용 건조기를 제공하는 것이 목적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자동 스크린 평면 날염기용 건조기는 순환 팬, 열교환기, 덕트 및, 노즐을 한 세트가 전체 챔버 하나에 내장되어 있는 자동 스크린 평면 날염기용 건조기에서, 챔버를 복수 개로 분할되어 형성된 블록화된 챔버와, 블록화된 챔버 각각은 순환 팬, 열교환기, 덕트 및, 노즐을 한 세트로 내장하고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자동 스크린 평면 날염기용 건조기에서 노즐의 중앙부위에 형성된 공간부의 끝단에는 덕트가 설치되고, 덕트는 노즐의 밑면과 결합하여 상부 노즐과 하부 노즐에 각각 연통하도록 결합하고, 댐퍼는 덕트와 노즐 사이에 놓여져 있고, 덕트의 전단에는 순환 팬이 설치되며, 블록화된 챔버의 좌측 하부면에는 열교환기
가 설치된다. 또한 두 조의 한 쌍의 연통공을 통하여 "工"자 형태로 한 쌍의 전.후부 길이 방향 배기연통과 폭 방향 배기연통으로 구성된 배기관에서 전부 길이 방향 배기연통은 그의 양단에 연통공과 연통하도록 결합하고 후부 길이 방향 배기연통은 그의 양단에 연통공과 연통하도록 결합함으로써 한 쌍의 연통공을 통하여 블록화된 챔버와 연통하는 반면에, 전부 길이 방향 배기연통은 그의 양단에 연통공과 연통하도록 결합하고 후부 길이 방향 배기연통은 그의 양단에 연통공과 연통하도록 결합 함으로써 한 쌍의 연통공을 통하여 블록화된 챔버와 연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자동 스크린 평면 날염기용 건조기에 의하면 날염기의 유효 작업 효율과 날염공정의 생산성을 향상시키는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에 의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자동 스크린 평면 날염기용 건조기의 구성과 그에 의하여 발휘되는 작용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 스크린 평면 날염기용 건조기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으로서, (a)는 본 발명 실시 예에 의하여 생성되는 자동 스크린 평면 날염기용 건조기의 내부구조를 도시한 평면도이고, (b)는 본 발명 실시 예에 의하여 생성되는 자동 스크린 평면 날염기용 건조기의 전체구성을 나타내는 정면도이며, (c)는 본 발명 실시 예에 의하여 생성되는 자동 스크린 평면 날염기용 건조기를 구체적으로 나타내는 정면도이고, (d)는 자동 스크린 평면 날염기용 건조기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구성을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3에서 도 1 및 도 2와 동일한 부분은 도 1 및 도 2와 동일한 참조번호를 부여한다.
본 발명에 따른 자동 스크린 평면 날염기용 건조기(16)는 도 3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챔버(10)가 복수 개로 분할되어 복수의 블록화된 챔버(10-1, 10-2, 10-3, 10-4)를 포함한다. 챔버(10)의 상부에는 한 쌍의 좌,우측 배기관(7)이 부착 고정된다. 하나의 배기관은 블록화된 2개의 챔버에 연통하도록 설치된다. 그리하여 블록화된 2개의 챔버(10-1, 10-2)는 우측 배기관(7)과 연통하도록 결합하고 블록화된 2개의 챔버(10-3, 10-4)는 좌측 배기관(7)과 연통하도록 결합한다.
챔버(10)의 상부와 결합한 좌,우측 배기관(7)은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工"자 형태로 한 쌍의 전.후부 길이 방향 배기연통(7-1, 7-2), (7-5, 7-6)과 폭 방향 배기연통(7-3, 7-4)으로 구성되고 또한 각각은 두 조의 한 쌍의 연통공[(71, 71'), (72, 72')], [(73, 73'), (74,74')]을 갖는다.
폭 방향 배기연통(7-3), (7-4)은 각각 전.후 길이 방향 배기연통(7-1, 7-2), (7-5, 7-6)의 중앙부위와 결합하여 전.후 길이 방향 배기연통(7-1, 7-2), (7-5, 7-6)과 각각 연통한다.
두 조의 한 쌍의 연통공[(71, 71'), (72, 72')], [(73, 73'), (74,74')]은 각각 한 쌍의 전.후 길이 방향 배기연통(7-1, 7-2), (7-5, 7-6)의 양단에 위치한다. 즉, 전부 길이 방향 배기연통(7-1)은 그의 양단에 연통공(71, 72)과 연통하도록 결합하고 후부 길이 방향 배기연통(7-2)은 그의 양단에 연통공 (71', 72')과 연통하도록 결합한다. 반면에 전부 길이 방향 배기연통(7-5)은 그의 양단에 연통공(73, 74)과 연통하도록 결합하고 후부 길이 방향 배기연통(7-6)은 그의 양단에 연통공 (73', 74')과 연통하도록 결합한다. 배기관(7)의 폭 방향 배기연통(7-3, 7-4)의 중앙부위에는 각각 배기조절밸브(75, 75')가 설치된다. 배기조절밸브(75, 75')는 챔버(10)의 배기량을 조절한다. 즉, 배기조절밸브(75)는 한 쌍의 연통공(71, 71'), (72, 72')을 통하여 블록화된 챔버((10-1, 10-2) 내에 내부 순환공기의 배기를 조절하고 배기조절밸브(75')는 한 쌍의 연통공(73, 73'), (74, 74')을 통하여 블록화된 챔버((10-3, 10-4) 내의 내부 순환공기의 배기를 조절한다.
한 쌍의 연통공(71, 71')은 블록화된 챔버(10-1)와 연통하도록 결합하고 한 쌍의 연통공(72, 72')은 블록화된 챔버(10-2)와 연통하도록, 한 쌍의 연통공(73, 73')은 블록화된 챔버(10-3)와 연통하도록 하며, 한 쌍의 연통공(74, 74')은 블록화된 챔버(10-4)와 연통하도록 결합한다. 챔버(10)의 배면에는 복수 개의 순환 팬(1)이 부착.설치된다.
도 3(c)에서 순환 팬(1)은 그의 회전 중심 축 선이 한 쌍의 컨베이어 롤러(8)의 회전 중심 축 선과 일직선상에서 컨베이어 롤러(8)의 회전 중심 축 선과 직교하도록 블록화된 챔버(10-1, 10-2, 10-3, 10-4)마다 챔버(10)의 후면에 각각 부착.설치된다. 또한 순환 팬(1)은 챔버(10)의 후면에서 블록화된 챔버(10-1 , 10-2, 10-3, 10-4)의 중앙부위에 위치한다. 컨베이어 롤러(8)에 의하여 날염 원단(11)을 운반하는 컨베이어 네트의 상.하로 노즐(4)이 설치된다. 노즐(4)에는 온난 기류의 공기를 분사하는 에어 제트(4')가 부착되어 있다. 열교환기(2)는 블록화된 챔버(10-1, 10-2, 10-3, 10-4)마다 챔버(10)의 저면에 설치된다. 도 3(d)에 도시된 건조기(16)는 도 3(c)에 도시된 건조기(16)와 대부분 동일하지만 건조완료된 날염 원단(1)을 정갈하게 적재하도록 하는 장치(60)가 챔버(10)의 하단 프레임에 부착하다는 점이 상이하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 스크린 평면 날염기용 건조기에서 블록화된 챔버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블록화된 챔버(10-1, 10-2, 10-3, 10-4)에서 노즐(4)은 블록화된 챔버(10-1, 10-2, 10-3, 10-4)의 길이 방향으로 설치되어 있다. 노즐(4)은 사다리꼴 형상을 하고 있고 그의 중앙부위에는 공간부(10')를 갖고 있다. 이 공간부(10')는 블록화된 챔버(10-1, 10-2, 10-3, 10-4)의 공간의 일부이다. 이에 따라 노즐(4)은 공간부(10')에 의하여 상부 노즐(4-1)과 하부 노즐(4-2)로 분할된다. 이 공간부(10') 내에 날염된 원단(11)이 놓이게 된다. 즉, 날염된 원단(11)은 상부 노즐(4-1)과 하부 노즐(4-2) 사이에 위치하게 된다. 공간부(10')의 끝단에는 덕트(3)가 설치되어 있다. 그러나 공간부(10')와 덕트(3)는 연통하지 못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덕트(3)는 사다리꼴 형상의 노즐(4)의 밑면과 결합되어 상부 노즐(4-1)과 하부 노즐(4-2)에 각각 연통하도록 결합한다. 그리하여 덕트(3)는 노즐(4)과 연통한다. 또한 댐퍼(4-3)는 덕트(3)와 노즐(4) 사이에 놓여져 있어서 덕트(3)를 통하여 유입되는 가열 공기의 흐름을 완충하는 역할을 한다. 덕트(3)와 마찬가지로 댐퍼(4-3)도 상부 노즐(4-1), 하부 노즐(4-2)과 연통하여 있다.
덕트(3)의 전단에는 순환 팬(1)이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블록화된 챔버(10-1, 10-2, 10-3, 10-4)의 좌측 하부면에는 열교환기(2)가 설치된다. 열교환기(2)와 덕트(3)는 서로 연통하여 있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 스크린 평면 날염기용 건조기에서 노즐의 분사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5를 보면, 노즐(4)은 상부 노즐(4-1)과 하부 노즐(4-2)을 갖는다. 상부 노즐(4-1)의 하부와 하부 노즐(4-2)의 상부에는 각각 복수 개의 에어 제트(4')가 부착되어 있다. 덕트(4)를 통하여 노즐(4)로 유입된 가열 공기는 상부 노즐(4-1)의 하부와 하부 노즐(4-2)의 상부에 부착된 에어 제트(4')로 부터 분출되어서 날염된 원단(11)에 가해진다. 이에 따라 날염된 원단(11) 상에 묻은 잉크가 건조된다.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자동 스크린 평면 날염기용 건조기(16)는 열교환기(2)에 의하여 가열된 공기를 후면에 설치된 순환 팬(1)을 이용하여 흡입하고 그 흡입된 가열 공기를 덕트(3)를 통하여 노즐(4) 속으로 분사시키며, 상.하부 노즐(4-1, 4-2)의 일부에 형성된 에어 제트(4')를 통하여 날염된 원단(11)에 분출시킴으로써 날염된 원단(11) 상에 묻은 잉크를 건조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자동 스크린 평면 날염기용 건조기에 의하면 날염기의 생산 속도는 건조기와 상당한 연관성이 있기 때문에 건조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자동 스크린 평면 날염기용 건조기(16)는 컨베이어 네트에 묻어오는 잉크를 깨끗이 제거하여 뽀송뽀송한 상태로 유지될 수 있게 한 것이다.
도 1은 일반적인 자동 스크린 평면 날염기의 구성을 간략히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2는 종래의 자동 스크린 평면 날염기용 건조기의 구성을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 스크린 평면 날염기용 건조기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으로서,
(a)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하여 생성되는 자동 스크린 평면 날염기용 건조기의 내부구조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b)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하여 생성되는 자동 스크린 평면 날염기용 건조기의 전체구성을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c)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하여 생성되는 자동 스크린 평면 날염기용 건조기를 구체적으로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d)는 자동 스크린 평면 날염기용 건조기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구성을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 스크린 평면 날염기용 건조기에서 블록화된 챔버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 스크린 평면 날염기용 건조기에서 노즐의 분사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Claims (3)

  1. 순환 팬(1), 열교환기(2), 덕트(3), 노즐(4) 및 배기관(7)이 한 세트로 구성되어 다수의 챔버(10)에 내장되고, 각각의 챔버(10)는 상단부와 하단부로 분리되어 있으며, 하단부에 설치되는 열교환기(2)에서 발생한 열이 상단부에 설치된 덕트(3)를 거쳐 노즐로 분사되는 날염기용 건조기에 있어서,
    상기 챔버(10)는 복수 개로 분할되어 블록화 형성된 챔버(10-1, 10-2, 10-3, 10-4)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스크린 평면 날염기용 건조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배기관(7)의 폭 방향으로 생성되어있는 배기연통(7-3, 7-4)의 중앙부위에 설치된 배기조절밸브(75, 75')는 블록화 형성된 각각의 챔버(10-1, 10-2, 10-3, 10-4)와 연통 되도록 설치하여 내부 순환공기의 배기를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스크린 평면 날염기용 건조기.
  3. 삭제
KR1020090004026A 2009-01-19 2009-01-19 자동 스크린 평면 날염기용 건조기 KR10110449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04026A KR101104497B1 (ko) 2009-01-19 2009-01-19 자동 스크린 평면 날염기용 건조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04026A KR101104497B1 (ko) 2009-01-19 2009-01-19 자동 스크린 평면 날염기용 건조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84736A KR20100084736A (ko) 2010-07-28
KR101104497B1 true KR101104497B1 (ko) 2012-01-12

Family

ID=426439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04026A KR101104497B1 (ko) 2009-01-19 2009-01-19 자동 스크린 평면 날염기용 건조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0449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72185B1 (ko) * 2018-05-18 2018-06-27 손은제 고주파 유도 가열을 이용한 목재 건조 및 고열처리 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73659A (ja) * 1992-08-26 1994-03-15 Wakayama Iron Works Ltd 熱風布帛乾燥装置
KR20030088051A (ko) * 2001-03-28 2003-11-15 퀄컴 인코포레이티드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방송 시그널링하는 방법 및 장치
KR100475663B1 (ko) * 2004-07-27 2005-03-14 이화기계공업(주) 텐터기 열풍 시스템
KR200388051Y1 (ko) 2005-03-24 2005-06-28 이전우 원단 다기능 복합 후가공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73659A (ja) * 1992-08-26 1994-03-15 Wakayama Iron Works Ltd 熱風布帛乾燥装置
KR20030088051A (ko) * 2001-03-28 2003-11-15 퀄컴 인코포레이티드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방송 시그널링하는 방법 및 장치
KR100475663B1 (ko) * 2004-07-27 2005-03-14 이화기계공업(주) 텐터기 열풍 시스템
KR200388051Y1 (ko) 2005-03-24 2005-06-28 이전우 원단 다기능 복합 후가공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84736A (ko) 2010-07-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94035998A (ru) Воздушная сушилка, воздушная сушилка для печатной машины, способ сушки свежеотпечатанного листа в печатной машине
JPH0781042A (ja) 印刷機の乾燥装置
WO2015055025A1 (zh) 一种谷物循环干燥机
CN109798756A (zh) 一种方便操作的苦荞麦产品加工装置
TWM527452U (zh) 染布機組之烘乾定著裝置
KR102158462B1 (ko) 스크린 인쇄기용 건조시스템
KR101104497B1 (ko) 자동 스크린 평면 날염기용 건조기
US5396716A (en) Jet tube dryer with independently controllable modules
CN109624525A (zh) 一种数码印花纸打印机的烘干装置
KR20170046414A (ko) 종횡 이송식 원단 플로팅 건조 시스템
KR101492912B1 (ko) 직물 웨브의 열처리 장치
KR101242649B1 (ko) 피혁자동도장장치의 건조기 시스템
CN109470042A (zh) 一种用于纺织印染布料清洗后的快速烘干装置
KR101796489B1 (ko) 고속 dtp 설비의 건조기용 열풍 건조노즐
KR101548652B1 (ko) 섬유 건조 및 셋팅기용 열풍 공급구조체
KR101075353B1 (ko) 텐터기용 열풍 공급장치
KR200407737Y1 (ko) 중앙열원장치를 가진 농수산물 건조기
KR200288236Y1 (ko) 텐타기의 원단 건조장치
KR20110008310U (ko) 피그먼트 코팅장치
CN220153191U (zh) 一种网带式烘干机送风装置及烘干机
KR101789228B1 (ko) 날염 공정용 건조증열장치
JP4339802B2 (ja) 穀粒乾燥機
KR20050092348A (ko) 폐열 회수 시스템을 구비한 원단 코팅기
CN110017681A (zh) 带式烘干机
JPH0623912Y2 (ja) 布帛の移動式乾燥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3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1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25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