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04377B1 - 철도차량의 전장기기용 랙프레임 모듈 - Google Patents

철도차량의 전장기기용 랙프레임 모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04377B1
KR101104377B1 KR1020100021416A KR20100021416A KR101104377B1 KR 101104377 B1 KR101104377 B1 KR 101104377B1 KR 1020100021416 A KR1020100021416 A KR 1020100021416A KR 20100021416 A KR20100021416 A KR 20100021416A KR 101104377 B1 KR101104377 B1 KR 10110437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ic equipment
frame
vertical
vertical frames
railway vehic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214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101998A (ko
Inventor
정화식
박경봉
박종천
Original Assignee
현대로템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로템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로템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02141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04377B1/ko
Publication of KR2011010199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0199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0437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0437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DBODY DETAILS OR KINDS OF RAILWAY VEHICLES
    • B61D49/00Other detail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5/00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 H05K5/02Detai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Electric Propulsion And Braking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철도차량의 복수의 전장기기가 일시에 상기 철도차량에 설치될 수 있도록 모듈화하기 위한 상기 복수의 전장기기를 실장하는 랙프레임 모듈로서, 본 발명에 따른 철도차량의 전장기기용 랙프레임 모듈은, 상기 전장기기의 소정의 표준너비만큼 이격된 상태로 서로 평행하게 수직으로 구비되는 한 쌍의 제1수직프레임; 상기 제1수직프레임과 나란하게 구비되는 복수의 제2수직프레임; 수평으로 구비되어 상기 제1ㆍ제2수직프레임을 서로 연결 지지하는 복수의 수평프레임; 상기 제1수직프레임에 높이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다수개의 설치홀; 및 상기 전장기기에 형성된 복수의 체결홀 및 상기 체결홀에 대응되는 다수개 중 일부의 상기 설치홀에 각각 설치되어 상기 전장기기를 상기 한 쌍의 제1수직프레임에 고정하는 다수의 결합부재;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표준너비만큼 이격된 한 쌍의 제1수직프레임 및 제2수직프레임ㆍ수평프레임이 결합되어 복수의 표준 전장기기들이 설치될 수 있는 하나의 모듈을 형성함으로써, 복수의 전장기기들을 한 번에 실장하여 복수의 전장기기들에 대한 배선 작업까지 완료한 후 철도차량에 신속하고 간편하게 설치할 수 있으며, 표준너비로 구비된 케이스 형태의 어댑터부재가 별도로 구비되어 이 어댑터부재를 통해 비표준 전장기기들도 표준 전장기기들과 같이 간편하게 모듈화될 수 있다.

Description

철도차량의 전장기기용 랙프레임 모듈 {Rack frame module for electronic equipment of railway vehicle}
본 발명은 철도차량의 전장기기용 랙프레임 모듈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표준 전장기기, 비표준 전장기기 등의 복수의 전장기기를 실장하여 복수의 전장기기가 일시에 철도차량에 설치될 수 있도록 모듈화하는 철도차량의 전장기기용 랙프레임 모듈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철도차량에는 다양한 기계적 구성요소들을 구동 및 제어하도록 구비되어 전원을 공급받아 작동되는 많은 전장기기들이 설치된다. 이 전장기기들은 주로 운전실을 이루는 캡 모듈 후측 부분이나 철도차량의 말단 부분에 설치된다.
종래에는 이러한 전장기기들을 해당 캡 모듈 후측 부분이나 철도차량의 말단 부분에 설치하는 설치 작업은, 이 전장기기들을 설치하기 위한 랙프레임(Rack frame)을 용접 등의 방법으로 해당 캡 모듈 후측 부분이나 철도차량의 말단 부분에 우선적으로 고정 설치한 후, 그 랙프레임에 전장기기들을 고정하는 방식으로 진행된다.
따라서 랙프레임을 용접 설치하는 작업, 전장기기들을 해당 랙프레임에 고정하는 작업, 각 전장기기들에 대한 배선작업 등이 모두 철도차량의 조립 공정 중에 이루어져야 하므로, 조립 공정에 장시간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다.
특히, 전장기기들 중에서 그 폭이 19인치 랙을 사용한 표준너비로 구비되지 않는 비표준 전장기기들의 경우에는 각 전장기기에 적합하게 랙프레임을 설계 및 설치해야 하므로 그 설치 작업이 매우 번거로운 단점이 있다.
또한, 전장기기의 변경이나 교체가 필요한 경우, 그 필요에 따라서는 용접된 랙프레임을 해체하여 위치를 옮기거나 별도의 적합한 랙프레임을 용접 설치해야 하므로, 그 해체 및 재설치 작업이 번거로워 전장기기의 변경이나 교체에 대해 유연한 대처가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복수의 전장기기들이 일시에 철도차량에 설치될 수 있도록 복수의 전장기기들을 한 번에 실장하여 모듈화하고, 특히 표준 전장기기뿐만 아니라 비표준 전장기기도 표준 전장기기와 같이 간편하게 설치할 수 있으며, 전장기기의 다양한 형태와 크기에 유연하게 대응될 수 있는 철도차량의 전장기기용 랙프레임 모듈을 제공하고자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철도차량의 전장기기용 랙프레임 모듈은, 철도차량의 복수의 전장기기가 일시에 상기 철도차량에 설치될 수 있도록 모듈화하기 위한 상기 복수의 전장기기를 실장하는 랙프레임 모듈로서, 상기 전장기기의 소정의 표준너비만큼 이격된 상태로 서로 평행하게 수직으로 구비되는 한 쌍의 제1수직프레임; 상기 제1수직프레임과 나란하게 구비되는 복수의 제2수직프레임; 수평으로 구비되어 상기 제1ㆍ제2수직프레임을 서로 연결 지지하는 복수의 수평프레임; 상기 제1수직프레임에 높이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다수개의 설치홀; 및 상기 전장기기에 형성된 복수의 체결홀 및 상기 체결홀에 대응되는 다수개 중 일부의 상기 설치홀에 각각 설치되어 상기 전장기기를 상기 한 쌍의 제1수직프레임에 고정하는 다수의 결합부재;를 포함한다.
상기 철도차량의 전장기기용 랙프레임 모듈은, 상기 제1ㆍ제2수직프레임에 수평으로 설치되어 상기 전장기기의 하측을 지지하는 지지프레임;을 더 포함하되, 상기 전장기기가 상기 제1ㆍ제2수직프레임에 의해 형성되는 내부공간의 상기 지지프레임 상에 설치되게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철도차량의 전장기기용 랙프레임 모듈은, 상기 표준너비에 대응되는 폭을 갖는 케이스로 구비되며, 그 내부에 상기 표준너비 미만 규격의 상기 전장기기를 고정하는 고정부재가 설치되고, 상기 다수의 결합부재에 의해 상기 제1수직프레임에 고정되는 어댑터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철도차량의 전장기기용 랙프레임 모듈은, 상기 제1ㆍ제2수직프레임의 상단을 연결하는 수평프레임 또는 상기 제2수직프레임의 상단부에 고정되고, 상기 표준너비만큼 이격된 상태로 서로 평행하게 수직으로 구비되는 한 쌍의 제3수직프레임; 및 상기 제3수직프레임에 높이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다수개의 고정홀;을 더 포함하되, 상기 결합부재가 상기 복수의 체결홀 및 상기 체결홀에 대응되는 다수개 중 일부의 상기 고정홀에 각각 설치되어 상기 전장기기를 상기 제3수직프레임에 전방으로 돌출되게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제1수직프레임은, 그 전방면에 설치되어 상기 전장기기에 연결되는 다수의 전선을 전방면에 고정하는 복수의 전선고정체;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철도차량의 전장기기용 랙프레임 모듈에 의하면, 표준너비만큼 이격된 한 쌍의 제1수직프레임 및 제2수직프레임ㆍ수평프레임이 결합되어 복수의 표준 전장기기들이 설치될 수 있는 하나의 모듈을 형성함으로써, 복수의 전장기기들을 한 번에 실장하여 복수의 전장기기들에 대한 배선 작업까지 완료한 후 철도차량에 신속하고 간편하게 설치할 수 있다.
따라서 철도차량의 조립 공정 중에 랙프레임 및 전장기기 설치 작업과 전장기기들에 대한 배선 작업이 매우 신속하게 간편하게 이루어질 수 있으므로 철도차량의 조립 공정에 소요되는 시간을 크게 줄여 시간당 생산량을 제고할 수 있다.
그리고 비표준 전장기기가 고정될 수 있도록 표준너비로 구비된 케이스 형태의 어댑터부재가 별도로 구비됨으로써, 이 어댑터부재를 통해 비표준 전장기기들도 표준 전장기기들과 같이 간편하게 실장되어 모듈화될 수 있다.
또한, 전장기기가 제1ㆍ제2수직프레임과 수평프레임으로 형성되는 내부 공간에 구비되는 것이 아니라, 전방으로 돌출되게 고정될 수 있도록 제3수직프레임이 구비됨으로써, 필요에 따라 전장기기의 구비 공간을 폐쇄 형태 또는 개방 형태로 선택적으로 구비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제1ㆍ제3수직프레임에 높이방향을 따라 다수개의 설치홀 또는 고정홀이 형성되고 전장기기의 크기 및 위치 변경에 따라 전장기기를 제1ㆍ제3수직프레임에 고정하는 결합부재의 위치를 간편하게 이동할 수 있어, 전장기기의 변경 및 교체에 유연하게 대처할 수 있고, 그 결합부재는 케이지 너트 및 볼트로 구비됨으로써 너트 및 볼트의 중심이 불일치하거나 결합 위치가 상, 하, 좌, 우측으로 다소 어긋난 경우에도 전장기기를 제1ㆍ제3수직프레임에 안정적으로 고정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철도차량의 전장기기용 랙프레임 모듈의 정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철도차량의 전장기기용 랙프레임 모듈의 측면도,
도 3은 도 1에 도시한 A-A에 대한 단면을 어댑터부재를 제거한 상태로 도시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철도차량의 전장기기용 랙프레임 모듈을 전장기기들이 실장된 상태로 도시한 정면도,
도 5는 도 4에 도시한 B-B에 대한 단면도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그 범위가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에 따른 철도차량의 전장기기용 랙프레임 모듈은, 철도차량에 구비되는 복수의 전장기기들이 철도차량 조립 공정 중에 일시에 철도차량에 설치될 수 있도록 모듈화하기 위해 복수의 전장기기를 실장하는 랙프레임(Rack frame)으로 형성된 모듈이다.
이하, 첨부된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철도차량의 전장기기용 랙프레임 모듈의 구성 및 작용효과를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철도차량의 전장기기용 랙프레임 모듈은, 한 쌍의 제1수직프레임(100), 한 쌍의 제2수직프레임(200), 복수의 수평프레임(300), 다수개의 설치홀(400), 복수의 지지프레임(500), 다수의 결합부재(600), 어댑터부재(700), 복수의 제3수직프레임(800) 및 다수개의 고정홀(90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한 쌍의 제1수직프레임(100)은 전장기기(EE-1)의 소정의 표준너비(SW)만큼 이격된 상태로 서로 평행하게 수직으로 구비되어 랙프레임 모듈의 기둥 역할과 동시에 전장기기(EE-1) 또는 어댑터부재(700)를 고정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이를 위해, 상기 제1수직프레임(100)에는 높이방향을 따라 다수개의 설치홀(400)이 형성되는데, 후술되는 결합부재(600)가 전장기기(EE-1)에 형성된 체결홀(미도시) 및 이에 대응되는 다수개의 설치홀(400) 중 어느 하나를 관통하여 설치됨으로써, 전장기기(EE-1)가 제1수직프레임(100)에 고정된다.
여기서 전장기기(EE-1)의 표준너비(SW)라 함은 일반적인 19인치 랙을 사용한 전장기기(EE-1)의 폭을 의미한다. 이하, 이러한 표준너비(SW)의 전장기기(EE-1)들은 표준 전장기기(EE-1)라 하고, 표준너비(SW)가 아닌 전장기기(EE-3)들은 비표준 전장기기(EE-3)라 하기로 한다.
한편, 상기 제1수직프레임(100)의 전면에는 전선고정체(110)가 구비되는데, 이 전선고정체(110)는 랙프레임 모듈에 설치된 전장기기(EE-1, EE-2, EE-3)에 대한 배선 작업을 수행할 때, 전선들을 정리하기 위해 전선들을 제1수직프레임(100)의 전면에 가압 고정하기 위해 구비되는 것이다.
이러한 전선고정체(110)와 유사하게, 후술되는 제3수직프레임(800) 및 보조프레임(810)에도 전선고정체(820, 811)가 각각 구비될 수 있는데, 그 구성 및 역할은 유사하므로 아래에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한 쌍의 제2수직프레임(200)은 제1수직프레임(100)과 나란하게 수직으로 구비되고, 제1수직프레임(100)에 각각 이격되게 구비됨으로써, 평면에서 바라보았을 때 제1ㆍ제2수직프레임(100, 200)을 연결한 선은 직사각형 내지 정사각형을 이루며, 제1ㆍ제2수직프레임(100, 200)에 의한 내부공간이 생성된다.
복수의 수평프레임(300)은 수평으로 구비되어 제1ㆍ제2수직프레임(100, 200)의 상단부와 하단부를 각각 서로 연결 지지한다. 즉, 상기 제1ㆍ제2수직프레임(100, 200)과 수평프레임(300)이 연결됨으로써, 내부공간을 갖는 일체의 랙프레임 골조를 이루는 것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2수직프레임(200)은 제1수직프레임(100)과 같이 2개, 수평프레임(300)은 제1ㆍ제2수직프레임(100, 200)의 상단부와 하단부에 각각 4개씩 8개가 구비되었으나, 그 구비 개수 및 위치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님을 밝혀둔다.
다수개의 설치홀(400)은 전술된 바와 같이, 결합부재(600)가 전장기기(EE-1) 또는 어댑터부재(700)를 제1수직프레임(100)에 고정하기 위해 형성된 홀이다. 상기 설치홀(400)은 도 1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수직프레임(100)에 높이방향을 따라 다수개가 형성되는데, 그 다수개의 설치홀(400) 중에서 전장기기(EE-1) 또는 어댑터부재(700)에 형성된 체결홀에 대응되는 것만이 그 역할을 수행하도록 사용된다.
다수개의 설치홀(400) 중에서 어떤 것이 사용되는지는 전장기기(EE-1)의 크기, 개수, 종류 및 배치에 따라 자유롭게 변경될 수 있다. 따라서 이렇게 전장기기(EE-1) 또는 어댑터부재(700)를 제1수직프레임(100)에 고정하는 방식은 전장기기(EE-1)의 변경이나 교체에 유연하게 대응할 수 있다.
복수의 지지프레임(500)은 제1ㆍ제2수직프레임(100, 200)에 수평으로 설치되어 제1수직프레임(100)에 고정 설치되는 전장기기(EE-1) 또는 어댑터부재(700)의 하측을 지지한다.
즉, 이 지지프레임(500)은 제1ㆍ제2수직프레임(100, 200)에 의해 형성되는 내부공간을 다수개의 슬롯의 형태로 형성하고, 이에 따라 전장기기(EE-1) 또는 어댑터부재(700)가 각각의 지지프레임(500) 상에 슬라이딩 안착된 상태로 제1수직프레임(100)에 고정된다. 다시 말해, 전장기기(EE-1) 또는 어댑터부재(700)가 각각의 슬롯에 삽입 위치된 형태로 제1수직프레임(100)에 고정되는 것이다.
상기 지지프레임(500)은 소정의 동일한 높이에 한 쌍씩 여러 쌍이 구비될 수 있는데, 그 설치 개수 및 위치는 설치 대상 전장기기(EE-1) 또는 어댑터부재(700)의 크기 및 개수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
다수의 결합부재(600)는 전장기기(EE-1) 또는 어댑터부재(700)에 형성된 복수의 체결홀 및 이 체결홀에 각각 대응되는 다수개의 설치홀(400) 중에서 일부의 설치홀(400)을 각각 관통하게 설치되어 전장기기(EE-1) 또는 어댑터부재(700)를 제1수직프레임(100)에 고정한다.
이 다수의 결합부재(600)는 각각 케이지 너트(Cage nut)와 볼트로 구비될 수 있는데, 이 경우 케이지 너트가 소정의 설치홀(400)에 구비되고, 볼트가 체결홀을 관통하여 해당 케이지 너트에 체결됨으로써, 전장기기(EE-1) 또는 어댑터부재(700)를 제1수직프레임(100)에 고정하게 된다.
이렇게 결합부재(600)가 케이지 너트와 볼트로 구비될 경우, 케이지 너트가 일정 범위 내에서 상, 하, 좌, 우측으로 이동할 수 있고 각도도 변형될 수 있어 볼트의 중심과 케이지 너트의 중심이 다소 불일치하거나 어긋난 경우에도 안정적으로 체결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러한 케이지 너트 및 볼트의 구성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이하, '당업자'라고 한다)에게 자명한 것이므로 그 구성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재(600)는 케이지 너트 및 볼트로 구비되었으나, 설치홀(400)을 통해 전장기기(EE-1)나 어댑터부재(700)를 제1수직프레임(100)에 고정할 수 있는 구성요소이면 족하고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어댑터부재(700)는 표준너비(SW)에 대응되는 폭을 갖는 케이스로 구비되고, 그 내부에 표준너비(SW) 미만 규격의 전장기기(EE-3)를 고정하는 고정부재(미도시)가 설치되며, 다수의 결합부재(600)에 의해 제1수직프레임(100)에 고정된다.
이렇게 어댑터부재(700)는 비표준 전장기기(EE-3)를 실장한 상태로 표준 전장기기(EE-1)와 같이 간편하게 제1수직프레임(100)에 고정될 수 있게 구비됨으로써, 비표준 전장기기(EE-3)도 용이하게 제1수직프레임(100)에 고정될 수 있도록 하는 매개체 역할을 한다.
상기 어댑터부재(700)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재는 볼트와 너트 등 다양한 결합 구성요소가 적용될 수 있고, 어댑터부재(700)의 형상도 그 폭이 표준너비(SW)에 대응되게 구비되면 족하고, 도면에 도시한 대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어댑터부재(700)는 한 개만 구비되었으나, 필요에 따라 복수가 구비될 수도 있다.
한편, 표준 전장기기(EE-1, EE-2)에 있어서, 그 형태 및 크기 또는 사용 방식이나 배선 방식에 따라 슬롯 공간에 폐쇄된 형태로 구비될 수 있는 표준 전장기기(EE-1)가 있는 반면, 개방된 형태로 구비되어야 하는 표준 전장기기(EE-2)도 있다.
이 후자의 표준 전장기기(EE-2)를 실장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철도차량의 전장기기용 랙프레임 모듈에 구비되는 구성요소가 복수의 제3수직프레임(100)과 다수개의 고정홀(900)이다.
복수의 제3수직프레임(800)은 제1ㆍ제2수직프레임(100, 200)의 상단을 연결하는 수평프레임(300) 상에 고정되고, 표준너비(SW)만큼 이격된 상태로 서로 평행하게 수직으로 구비됨으로써, 전장기기(EE-2)를 고정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이렇게 복수의 제3수직프레임(800)이 수평프레임(300) 상에 고정될 때,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내구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경사지게 보조프레임(810)이 설치될 수도 있다.
상기 다수개의 고정홀(900)은 제3수직프레임(800)의 높이방향을 따라 다수개개 형성되는데, 전장기기(EE-2)에 형성된 체결홀 및 이에 대응되는 다수개의 고정홀(900) 중 어느 하나를 관통하여 결합부재(600)가 설치됨으로써, 전장기기(EE-2)가 제3수직프레임(800)에 고정된다.
이렇게 제3수직프레임(800)에 설치된 전장기기(EE-2)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3수직프레임(800)의 전방으로 돌출되어 개방된 형태로 설치될 수 있다.
따라서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철도차량의 전장기기용 랙프레임 모듈은 제1ㆍ제2수직프레임(100, 200)에 의해 형성되는 내부 공간에 폐쇄된 형태로 전장기기(EE-1, EE-3)가 구비되는 폐쇄영역(CA) 및 제3수직프레임(800)의 전방으로 돌출 개방된 형태로 전장기기(EE-2)가 구비되는 개방영역(OA)으로 구분될 수 있다.
이러한 폐쇄영역(CA)에 대한 개방영역(OA)의 비율은 필요에 따라 가변될 수 있으며, 폐쇄영역(CA)이나 개방영역(OA) 어느 하나의 영역이 존재하지 않게 구현될 수도 있는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제3수직프레임(800)은 수평프레임(300) 상에 고정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그 설치 위치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제2수직프레임(200)의 상단부에 직접 고정될 수도 있다.
전술된 제3수직프레임(800)과 고정홀(900)은 전장기기(EE-2)를 개방된 형태로 설치할 수 있게 구비되는 점 이외에 그 구체적인 구성 및 역할은 제1수직프레임(100)과 설치홀(400)과 각각 유사하므로, 더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 도 4 및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철도차량의 전장기기용 랙프레임 모듈을 사용하여 철도차량의 전장기기(EE-1, EE-2, EE-3)들을 철도차량에 설치하는 방법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우선, 철도차량에 구비되는 전장기기(EE-1, EE-2, EE-3)들의 종류와 크기 및 사용 형태 등에 대한 정보에 따라, 폐쇄영역(CA)과 개방영역(OA)의 비율 및 어댑터부재(700)의 개수 등을 확정한다. 이 폐쇄영역(CA)과 개방영역(OA)의 비율 및 어댑터부재(700)의 개수에 따라 제1ㆍ제2수직프레임(100, 200)과 제3수직프레임(800) 간의 비율이 달라진다.
다음, 확정된 폐쇄영역(CA)과 개방영역(OA)의 비율 및 어댑터부재(700)의 개수에 따라 제1ㆍ제2ㆍ제3수직프레임(100, 200, 800), 수평프레임(300), 지지프레임(500) 및 보조프레임(810)을 연결하여 랙프레임 모듈의 골조를 형성한다.
이후, 폐쇄 공간에 설치되는 표준 전장기기(EE-1)는 폐쇄영역(CA)의 지지프레임(500)에 의해 구분된 각각의 슬롯형 공간에 위치된 상태로 결합부재(600)에 의해 제1수직프레임(100)에 고정된다. 이때, 지지프레임(500)은 해당 표준 전장기기(EE-1)의 하면을 지지하게 된다.
그리고 비표준 전장기기(EE-3)는 어댑터부재(700) 내부에 위치 고정된 후, 해당 어댑터부재(700)가 앞서 설명한 표준 전장기기(EE-1)와 같이 제1수직프레임(100)에 고정 설치된다.
한편, 개방 공간에 설치되는 표준 전장기기(EE-2)는 결합부재(600)에 의해 개방영역(OA)의 제3수직프레임(800)에 고정된다.
이렇게 모든 전장기기(EE-1, EE-2, EE-3)가 설치된 후에는 각 전장기기(EE-1, EE-2, EE-3)에 대한 배선 작업을 진행하는데, 이때 제1수직프레임(100), 제3수직프레임(800) 및 보조프레임(810)에 전선을 고정할 수 있도록 구비된 전선고정체(110, 820, 811)를 이용하여 간편하게 전선을 정리할 수 있다.
그 후, 모든 전장기기(EE-1, EE-2, EE-3)를 실장하여 하나의 모듈 형태로 완성된 철도차량의 전장기기용 랙프레임 모듈을, 그 후면에 구비된 복수의 브래킷(BR)을 이용하여 철도차량의 조립 공정에서 캡 모듈 후측 부분이나 철도차량의 말단 부분과 같은 설치 대상 위치에 설치하고, 이미 배선 작업이 이루어진 전선들에 대한 단순한 연결 작업을 통해 철도차량에 대한 복수의 전장기기(EE-1, EE-2, EE-3)의 조립 작업을 신속하게 완료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철도차량의 전장기기용 랙프레임 모듈에 의하면, 표준너비(SW)만큼 이격된 한 쌍의 제1수직프레임(100) 및 제2수직프레임(200)ㆍ수평프레임(300)이 결합되어 복수의 표준 전장기기(EE-1)들이 설치될 수 있는 하나의 모듈을 형성함으로써, 복수의 전장기기들을 한 번에 실장하여 복수의 전장기기들에 대한 배선 작업까지 완료한 후 철도차량에 신속하고 간편하게 설치할 수 있으며, 표준너비(SW)로 구비된 케이스 형태의 어댑터부재(700)가 별도로 구비되어 이 어댑터부재(700)를 통해 비표준 전장기기(EE-3)들도 표준 전장기기(EE-1)들과 같이 간편하게 실장되어 모듈화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은 기재된 구체예에 대해서만 상세히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의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수정이 가능함은 당업자에게 있어 명백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되어 있는 특허청구범위에 속함은 당연한 것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 제1수직프레임 110, 811, 820 : 전선고정체
200 : 제2수직프레임 300 : 수평프레임
400 : 설치홀 500 : 지지프레임
600 : 결합부재 700 : 어댑터부재
800 : 제3수직프레임 810 : 보조프레임
900 : 고정홀 SW : 표준너비
OA : 개방영역 CA : 폐쇄영역
EE-1, EE-2 : 표준 전장기기 EE-3 : 비표준 전장기기
BR : 브래킷

Claims (5)

  1. 철도차량의 복수의 전장기기가 일시에 상기 철도차량에 설치될 수 있도록 모듈화하기 위한 상기 복수의 전장기기를 실장하는 랙프레임 모듈로서,
    상기 전장기기의 소정의 표준너비만큼 이격된 상태로 서로 평행하게 수직으로 구비되는 한 쌍의 제1수직프레임;
    상기 제1수직프레임과 나란하게 구비되는 복수의 제2수직프레임;
    수평으로 구비되어 상기 제1ㆍ제2수직프레임을 서로 연결 지지하는 복수의 수평프레임;
    상기 제1수직프레임에 높이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다수개의 설치홀; 및
    상기 전장기기에 형성된 복수의 체결홀 및 상기 체결홀에 대응되는 다수개 중 일부의 상기 설치홀에 각각 설치되어 상기 전장기기를 상기 한 쌍의 제1수직프레임에 고정하는 다수의 결합부재;
    를 포함하는 철도차량의 전장기기용 랙프레임 모듈.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ㆍ제2수직프레임에 수평으로 설치되어 상기 전장기기의 하측을 지지하는 지지프레임;을 더 포함하되,
    상기 전장기기가 상기 제1ㆍ제2수직프레임에 의해 형성되는 내부공간의 상기 지지프레임 상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도차량의 전장기기용 랙프레임 모듈.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표준너비에 대응되는 폭을 갖는 케이스로 구비되며, 그 내부에 상기 표준너비 미만 규격의 상기 전장기기를 고정하는 고정부재가 설치되고, 상기 다수의 결합부재에 의해 상기 제1수직프레임에 고정되는 어댑터부재;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도차량의 전장기기용 랙프레임 모듈.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ㆍ제2수직프레임의 상단을 연결하는 수평프레임 또는 상기 제2수직프레임의 상단부에 고정되고, 상기 표준너비만큼 이격된 상태로 서로 평행하게 수직으로 구비되는 한 쌍의 제3수직프레임; 및
    상기 제3수직프레임에 높이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다수개의 고정홀;을 더 포함하되,
    상기 결합부재가 상기 복수의 체결홀 및 상기 체결홀에 대응되는 다수개 중 일부의 상기 고정홀에 각각 설치되어 상기 전장기기를 상기 제3수직프레임에 전방으로 돌출되게 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도차량의 전장기기용 랙프레임 모듈.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수직프레임은,
    그 전방면에 설치되어 상기 전장기기에 연결되는 다수의 전선을 전방면에 고정하는 복수의 전선고정체;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도차량의 전장기기용 랙프레임 모듈.
KR1020100021416A 2010-03-10 2010-03-10 철도차량의 전장기기용 랙프레임 모듈 KR10110437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21416A KR101104377B1 (ko) 2010-03-10 2010-03-10 철도차량의 전장기기용 랙프레임 모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21416A KR101104377B1 (ko) 2010-03-10 2010-03-10 철도차량의 전장기기용 랙프레임 모듈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01998A KR20110101998A (ko) 2011-09-16
KR101104377B1 true KR101104377B1 (ko) 2012-01-16

Family

ID=449539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21416A KR101104377B1 (ko) 2010-03-10 2010-03-10 철도차량의 전장기기용 랙프레임 모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04377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51460Y1 (ko) 1997-07-30 1999-07-15 김영창 철도차량의 배전반용 바리스터취부장치
JPH11268640A (ja) * 1998-03-23 1999-10-05 Kinki Sharyo Co Ltd 鉄道車両の製造方法と鉄道車両
KR20010051460A (ko) * 1999-11-04 2001-06-25 오히라 아끼라 이산화탄소가스 레이저를 이용한 홀 형성에 적합한구리-부착판, 상기 구리-부착판에 홀을 형성하는 방법, 및상기 구리-부착판을 포함하는 인쇄배선판
KR20040048039A (ko) * 2002-12-02 2004-06-07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반도체 소자의 제조 방법
JP2007168553A (ja) * 2005-12-21 2007-07-05 Nippon Sharyo Seizo Kaisha Ltd 鉄道車両
KR200448039Y1 (ko) 2008-04-10 2010-03-10 현대로템 주식회사 슬라이딩 타입의 철도차량 비상용품 보관구조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51460Y1 (ko) 1997-07-30 1999-07-15 김영창 철도차량의 배전반용 바리스터취부장치
JPH11268640A (ja) * 1998-03-23 1999-10-05 Kinki Sharyo Co Ltd 鉄道車両の製造方法と鉄道車両
KR20010051460A (ko) * 1999-11-04 2001-06-25 오히라 아끼라 이산화탄소가스 레이저를 이용한 홀 형성에 적합한구리-부착판, 상기 구리-부착판에 홀을 형성하는 방법, 및상기 구리-부착판을 포함하는 인쇄배선판
KR20040048039A (ko) * 2002-12-02 2004-06-07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반도체 소자의 제조 방법
JP2007168553A (ja) * 2005-12-21 2007-07-05 Nippon Sharyo Seizo Kaisha Ltd 鉄道車両
KR200448039Y1 (ko) 2008-04-10 2010-03-10 현대로템 주식회사 슬라이딩 타입의 철도차량 비상용품 보관구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01998A (ko) 2011-09-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377394B2 (en) Unit storage device and railway vehicle
CN101428381B (zh) 样车总拼夹具结构
CN112296897B (zh) 用于定位汽车部件的定位装置
EP3476017A1 (en) Cable tray assembly for a vehicle body of a rail vehicle and its method of assembly
CN107946491B (zh) 新能源车型电池模组
KR101104377B1 (ko) 철도차량의 전장기기용 랙프레임 모듈
CN105790185A (zh) 连接汇流排支承用横向构件至开关设备框架的支架元件
CN205044675U (zh) 电动汽车用高压电器支架
CN102074904A (zh) 基于模块化设计的地铁车辆通用电气柜
CN212484248U (zh) 机箱类设备安装及线缆固定用一体化支架
CN106793651B (zh) 一种飞机驾驶舱顶部控制板直插式箱体结构
CN210911984U (zh) 一种纯电动乘用车动力系统安装支架
KR101366582B1 (ko) 차량에 하부 부재를 장착하는 방법
CN210310228U (zh) 二合一电器安装支架及汽车
KR101463169B1 (ko) 자동차용 와이어하네스 지그장치
CN210062893U (zh) 一种汽车用多用途固定支架
CN105736435A (zh) 磁悬浮离心式鼓风机中一体化设计的电控组件
CN207482013U (zh) 一种半承载式纯电动客车车身与底盘的连接结构
CN205005378U (zh) 车载机柜插箱限位装置
RU2016112160A (ru) Периферийный пост централизации для управления исполнительными устройствами железнодорожного пути и способ монтажа периферийного поста
CN203020447U (zh) 汽车座舱装配工装
CN210310227U (zh) 电器左安装支架、电器右安装支架及汽车
CN103219679B (zh) 电气接线盒
CN106515604B (zh) 一种电台主机安装装置和汽车
CN103480999A (zh) 车厢总拼工装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3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2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2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2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27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