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04347B1 - 산업용 로봇의 감속기 설치구조 - Google Patents

산업용 로봇의 감속기 설치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04347B1
KR101104347B1 KR1020090066508A KR20090066508A KR101104347B1 KR 101104347 B1 KR101104347 B1 KR 101104347B1 KR 1020090066508 A KR1020090066508 A KR 1020090066508A KR 20090066508 A KR20090066508 A KR 20090066508A KR 101104347 B1 KR101104347 B1 KR 10110434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ducer
fastening
main body
base
insertion groo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665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08944A (ko
Inventor
김태현
Original Assignee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06650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04347B1/ko
Publication of KR2011000894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0894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0434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0434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JMANIPULATORS; CHAMBERS PROVIDED WITH MANIPULATION DEVICES
    • B25J9/00Programme-controlled manipulators
    • B25J9/10Programme-controlled manipulators characterised by positioning means for manipulator elements
    • B25J9/102Gears specially adapted therefor, e.g. reduction gea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JMANIPULATORS; CHAMBERS PROVIDED WITH MANIPULATION DEVICES
    • B25J9/00Programme-controlled manipulators
    • B25J9/08Programme-controlled manipulators characterised by modular construc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1/00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F16H1/28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 gears having orbital motion
    • F16H1/32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 gears having orbital motion in which the central axis of the gearing lies inside the periphery of an orbital gea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obotics (AREA)
  • Manipulator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산업용 로봇의 감속기 설치구조는, 베이스와, 상기 베이스의 상부에서 중심 축을 중심으로 수평으로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며, 회전되는 중심 축 부위에 상방으로 개방된 삽입홈이 형성되는 본체와, 상기 본체의 회전을 감속하기 위해 상기 삽입홈 내에 설치되되, 중앙 부위가 고정되고 상기 고정된 중앙 부위의 외측이 회전하는 감속기 및, 상기 감속기를 고정하거나 분리할 수 있도록 상기 삽입홈의 상부 개방부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는 교체커버를 포함한다.
산업용, 로봇, 감속기, 교체, 교체커버

Description

산업용 로봇의 감속기 설치구조{Reducer setup structure of industrial robot}
본 발명은 산업용 로봇에 관한 것으로, 특히 착·탈 가능한 교체커버를 통해 감속기를 용이하게 교체할 수 있고, 감속기 교체시 다수의 체결부재를 이용해 본체의 위치 변경을 방지할 수 있는 산업용 로봇의 감속기 설치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산업용 로봇은, 도 1에서와 같이 본체(10)와 상기 본체에 일체로 설치되는 감속기(20)와 상기 감속기(20)를 체결하기 위한 감속기 체결부(30) 등으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본체의 하부에는 베이스(40)가 구비된다.
이와 같은 종래의 산업용 로봇은, 감속기와 본체가 일체로 설치되기 때문에, 감속기를 교체하거나 수리할 경우에는 반드시 본체를 모두 분리시켜야만 하는 번거로움이 있었다.
특히, LCD 로봇의 경우에는 본체 전체를 들기 위해서 승강축 등의 부가 축 부분을 반드시 제거해야하는 작업이 필수적으로 이루어져야 하므로, 작업공정 수 증가에 따라 작업속도가 저해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와 같은 종래의 방법으로 감속기를 교체하거나 수리를 하다 보면, 본체의 위치가 변경되어 주축을 재설정하는 작업 등이 부가적으로 행해져야 하므로, 감속기의 교체 및 수리시간이 많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체를 모두 분리하지 않고서도 본체의 일부분을 분리하여 감속기 만을 용이하게 교체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감속기 교체 및 수리의 편의성이 제공되는 감속기 교체구조를 제공하고자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다수의 교체커버를 이용해 본체를 먼저 고정한 후, 착·탈 가능한 교체커버를 분리하여 감속기를 교체할 수 있도록 하고, 감속기 교체시 다수의 체결부재를 이용해 본체를 고정함으로써, 감속기 교체작업이 빠르고 감속기 교체시에도 본체의 위치 변경이 발생하지 않는 산업용 로봇의 감속기 설치구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베이스와, 상기 베이스의 상부에서 중심 축을 중심으로 수평으로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며, 회전되는 중심 축 부위에 상방으로 개방된 삽입홈이 형성되는 본체와, 상기 본체의 회전을 감속하기 위해 상기 삽입홈 내에 설치되되, 중앙 부위가 고정되고 상기 고정된 중앙 부위의 외측 회전부위가 회전하는 감속기 및, 상기 감속기를 고정하거나 분리할 수 있도록 상기 삽입홈의 상부 개방부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는 교체커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삽입홈의 바닥 면에는 가장자리를 따라 배열되는 복수의 제1고정공과, 상기 제1고정공의 사이사이에 배열되는 복수의 제2고정공과, 상기 제1고정공을 통해 삽입된 단부가 상기 베이스의 상면에 밀착되어 상기 본체의 낙하를 방지하는 제1고정부재 및, 상기 제2고정공을 통해 삽입된 단부가 상기 베이스의 상면에 체결되어 상기 본체를 하부로 잡아당기는 제2고정부재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감속기는 상기 중앙 부위의 가장자리를 따라 배열되는 복수의 제1체결공 및, 상기 제1체결공을 통해 삽입된 단부가 상기 베이스의 상면에 체결되는 제1체결부재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교체커버는 가장자리를 따라 배열되는 복수의 제2체결공과, 상기 제2체결공와 간격을 갖도록 내측을 따라 배열되는 복수의 제3체결공과, 상기 제2체결공을 통해 삽입된 단부가 상기 본체의 상부에 체결되는 복수의 제2체결부재 및, 상기 제3체결공을 통해 삽입된 단부가 상기 감속기의 회전되는 외측 회전부위 가장자리에 체결되는 복수의 제3체결부재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착·탈 가능한 교체커버를 통해 감속기를 용이하게 교체할 수 있어, 감속기를 교체하기 위해 별도의 부가적인 구조물을 설치하지 않아도 되므로 교체작업을 단순하고 작업속도가 빠른 장점이 있다.
또한, 다수의 체결부재를 이용해 본체를 고정한 후 감속기의 교체작업을 실시할 수 있어, 본체의 위치 변경에 따른 조절 작업을 필요로 하지 않는 장점이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산업용 로봇의 감속기 설치구조의 분리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산업용 로봇의 감속기 설치구조의 설치구조를 보여주기 위해 일부분을 단면 한 결합 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산업용 로봇의 감속기 설치구조는, 베이스(100), 본체(200), 감속기(300) 및, 교체커버(400)를 포함한다.
상기 베이스(100)는 바닥에 고정적으로 설치되는 것으로, 그 상부 면에는 로봇의 본체(200)가 수평으로 회전가능하게 축 체결된다.
본체(200)는 베이스(100)의 상부에서 중심 축을 중심으로 수평으로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으로, 상기 본체(200)의 중심 축 부위에는 상방으로 개방된 원통형 삽입홈(210)이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삽입홈(210)의 바닥 면은 베이스(100)의 상부 면으로 관통되도록 중공부(210a)를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삽입홈(210)의 바닥 면에는 가장자리를 따라 원주를 이루면서 배열되는 복수의 제1고정공(220a)과, 상기 제1고정공(220a)의 사이사이에 원주를 이루며 배열되는 복수의 제2고정공(230a)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제1고정공(220a)을 통해 삽입된 단부가 베이스(100)의 상면에 밀착되어 본체(200)의 낙하를 방지하는 제1고정부재(220b)와, 상기 제2고정공(230a)을 통해 삽입된 단부가 상기 베이스(100)의 상면에 체결되어 상기 본체(200)를 하부로 잡아당기는 제2고정부재(230b)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제1고정부재(220b)는 본체(200)를 일정 높이로 위치될 수 있도록 상부로 지지하는 역할을 하고, 반대로 상기 제2고정부재(230b)는 단부가 베이스(100)의 상면에 체결되어 상기 본체(200)가 상방으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상기 본체(200)를 상·하로 대응 방향으로 고정하기 때문에, 감속기(300) 교체시 본체(200)의 위치가 가변 되는 것이 방지된다.
감속기(300)는 본체(200)의 회전을 감속하기 위해 삽입홈(210) 내에 설치되는 것으로, 중앙 부위(301)가 고정되고 상기 고정된 중앙 부위의 외측 회전부위(302)가 회전가능하게 설치된다.
또한, 감속기(300)는 고정되는 중앙 부위(301)의 가장자리를 따라 원주를 이루며 배열되는 복수의 제1체결공(310a)과, 상기 제1체결공(310a)을 통해 삽입된 단부가 베이스(100)의 상면에 체결되는 제1체결부재(310b)가 구비된다.
교체커버(400)는 상기 감속기(300)를 고정하거나 분리할 수 있도록, 상기 삽입홈(210)의 상방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된다.
여기서, 상기 교체커버(400)에는 가장자리를 따라 원주를 이루면서 배열되는 복수의 제2체결공(410a)과, 상기 제2체결공(410a)와 간격을 갖도록 내측 부위를 따라 원주를 이루면서 배열되는 복수의 제3체결공(420a)과, 상기 제3체결공(420a)을 통해 삽입된 단부가 본체(200)의 상부에 체결되는 제2체결부재(410b) 및, 상기 제3체결공(420a)을 통해 삽입되는 단부가 감속기(300)의 회전되는 외측 회전부위(302)의 가장자리에 체결되는 제3체결부재(420b)를 구비한다.
여기서, 상기 제2체결공(410a)은 상기 교체커버(400)의 외측 가장자리를 따라 복수로 배열되며, 상기 제3체결공(430a)은 상기 제2체결공(410a)과 간격을 갖도록 상기 교체커버(400)의 중심 방향에 복수로 배열된다.
여기서, 제3체결부재(420b)의 삽입되는 단부가 상기 제3체결공(420a)을 통해 감속기(300)의 고정된 중앙 부위(301)를 관통한다. 즉, 제3체결부재(420b)의 관통된 단부가 상기 감속기(300)의 고정된 중앙 부위(301)와 베이스(100)를 일체로 고정한다.
또한, 상기 제2체결부재(410b)의 삽입되는 단부가 제2체결공(410a)과 삽입홈(210)의 중공부(210a) 측 단부를 통해 감속기(300)의 회전되는 외측 회전부위(302)에 밀착된다. 즉, 상기 제2체결부재(410b)의 단부가 교체커버(400), 본체(200) 및 감속기(300)의 회전되는 외측 회전부위(302)를 일체로 고정한다.
따라서, 교체커버(400), 본체 및 감속기(300)의 외측 회전부위(302)가 상기 감속기(300)의 고정되는 중앙 부위(301)를 중심으로 함께 회전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감속기(300)의 외측 회전부위(302)에 상기 제 2 체결부재(402b)가 체결된다라는 것은, 상기 제 2 체결부재(402b)의 단부가 상기 외측 회전부위(302)의 외주면에 밀착되어, 상기 외측 회전부위(302)를 가압하는 것을 의미하는 것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산업용 로봇의 감속기 설치구조의 감속기(300) 교체순서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제1고정부재(220b)와 제2고정부재(230b)를 제1고정공(220a)과 제2고정공(230a)에 각각 체결한다. 이때, 상기 제1고정부재(220b)가 본체(200)의 낙하를 방지하면서 지지하는 상태가 되고, 반대로 상기 제2고정부재(230b)가 상기 본체(200)를 하부로 잡아당기는 상태가 된다.
이와 같이, 본체(200)를 고정한 상태에서 제2체결부재, 제3체결부재(420b) 및 제1체결부재(310b)를 분리시킨다. 이 상태에서 상기 교체커버(400)를 상방으로 분리한 후 기존의 감속기(300)를 다른 것으로 교체한다.
반면, 감속기(300)를 교체한 후 결합하기 위해서는 상기 설명한 순서와 역순으로 실시한다.
결과적으로, 착·탈 가능한 교체커버(400)를 이용해 감속기(300)를 용이하게 교체할 수 있고, 감속기(300)를 교체하기 위해 별도의 부가적인 구조물을 설치하지 않아도 되므로 교체작업을 단순하고 작업속도가 빠르다. 또한, 다수의 체결부재를 이용해 본체(200)를 고정한 후 감속기(300)의 교체작업을 실시할 수 있어, 본체(200)의 위치 변경에 따른 별도의 조절작업을 필요로 하지 않는다.
이상에서 본 발명에 따른 산업용 로봇의 감속기 설치구조에 대한 기술사상을 첨부도면과 함께 서술하였지만, 이는 본 발명의 가장 양호한 실시 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이지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이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이면 누구나 본 발명의 기술사상의 범위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치수 및 모양 그리고 구조 등의 다양한 변형 및 모방할 수 있음은 명백한 사실이며 이러한 변형 및 모방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에 포함된다.
도 1은 종래의 감속기 설치구조를 보여주기 위해 일부분을 단면 한 결합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산업용 로봇의 감속기 설치구조의 분리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산업용 로봇의 감속기 설치구조의 설치구조를 보여주기 위해 일부분을 단면 한 결합 사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베이스 200: 본체
210: 삽입홈 210a: 중공부
220a: 제1고정공 220b: 제1고정부재
230a: 제2고정공 230b: 제2고정부재
300: 감속기 310a: 제1체결공
310b: 제1체결부재 400: 교체커버
410a: 제2체결공 410b: 제2체결부재
420a: 제3체결공 420b: 제3체결부재

Claims (4)

  1. 베이스;
    상기 베이스의 상부에서 중심 축을 중심으로 수평으로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며, 회전되는 중심 축 부위에 상방으로 개방된 삽입홈이 형성되는 본체;
    상기 본체의 회전을 감속하기 위해 상기 삽입홈 내에 설치되되, 가장자리를 따라 복수의 제 1 체결공이 형성되는 중앙부위와, 상기 중앙부위의 외측에 형성되어 회전하는 회전부위를 포함하고, 상기 중앙부위는 상기 제 1 체결공을 통해 상기 베이스에 체결되는 제 1 체결부재에 의해 고정되도록 구성한 감속기;
    가장자리측과 내측에 각각 복수의 제 2,3 체결공을 형성하고, 상기 제 2 체결공으로 체결되는 복수의 제 2 체결부재가 본체와 감속기의 회전부위에 체결되도록 하고, 상기 제 3 체결공으로 체결되는 복수의 제 3 체결부재가 상기 감속기의 중앙부위를 관통하여 상기 베이스에 체결되도록 하면서, 상기 감속기를 고정하거나 분리할 수 있도록 상기 제 2,3 체결부재의 체결 또는 분리상태에 따라 상기 삽입홈의 상부 개방부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는 교체커버; 를 포함하여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산업용 로봇의 감속기 설치구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홈의 바닥 면에는 가장자리를 따라 배열되는 복수의 제1고정공;
    상기 제1고정공의 사이사이에 배열되는 복수의 제2고정공;
    상기 제1고정공을 통해 삽입된 단부가 상기 베이스의 상면에 밀착되어 상기 본체의 낙하를 방지하는 제1고정부재; 및
    상기 제2고정공을 통해 삽입된 단부가 상기 베이스의 상면에 체결되어 상기 본체를 하부로 잡아당기는 제2고정부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산업용 로봇의 감속기 설치구조.
  3. 삭제
  4. 삭제
KR1020090066508A 2009-07-21 2009-07-21 산업용 로봇의 감속기 설치구조 KR10110434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66508A KR101104347B1 (ko) 2009-07-21 2009-07-21 산업용 로봇의 감속기 설치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66508A KR101104347B1 (ko) 2009-07-21 2009-07-21 산업용 로봇의 감속기 설치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08944A KR20110008944A (ko) 2011-01-27
KR101104347B1 true KR101104347B1 (ko) 2012-01-16

Family

ID=436148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66508A KR101104347B1 (ko) 2009-07-21 2009-07-21 산업용 로봇의 감속기 설치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0434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26838B1 (ko) * 2010-12-28 2013-01-25 삼익티에이치케이 주식회사 기판이송장치
CN113696170B (zh) * 2021-10-13 2022-02-08 思岚机器人(南通)有限公司 一种工业机器人减速装置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52074A (ja) * 1993-08-19 1995-02-28 Fanuc Ltd 産業用ロボットの手首装置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52074A (ja) * 1993-08-19 1995-02-28 Fanuc Ltd 産業用ロボットの手首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08944A (ko) 2011-01-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080033B1 (en) Hoisting crane and method for refurbishing such a hoisting crane
KR101104347B1 (ko) 산업용 로봇의 감속기 설치구조
KR20150004552U (ko) 선박용 맨홀 커버장치
KR101109806B1 (ko) 밸브 조작 장치
US7596971B2 (en) Circular knitting machine with a replaceable needle cylinder
JPH10195742A (ja) 交換可能なニードル・キャリア、特にニードル・シリンダを備えた丸編み機
KR20090054783A (ko) 맨홀
JP6159499B2 (ja) ヘルド枠と枠駆動機構を接続するための接続装置
JP3153555U (ja) パルセータ取外し用工具セット、及び取外し用工具
JP2011189426A (ja) バルブコッター嵌込方法
KR102092202B1 (ko) 항공기의 연료 탱크 점검구 커버 분해조립장치
JP5592156B2 (ja) 版胴及び版胴装置
JP2005290710A (ja) 排水器具
KR101565274B1 (ko) 베어링 장치
RU2372013C2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натирания на терке пищевых продуктов
KR102210157B1 (ko) 와이어로프 세척장치
RU2404328C1 (ru) Крышка колодца
WO2019119068A1 (en) Grinding mill liner
CN215650803U (zh) 一种上盖可快速拆装的马桶盖板
RU88034U1 (ru) Крышка колодца
JP4971033B2 (ja) ワンサイドボルトの撤去工具
KR200427238Y1 (ko) 회전식 캐리어로울러 스탠드
CN114981552B (zh) 对容器组件执行操作的方法以及容器组件
US11850600B2 (en) Gyratory crusher with self-aligning mainshaft features and method of assembly thereof
JP4066163B2 (ja) 立軸ポンプ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3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0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0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26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26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