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04036B1 - 차량의 공기조화장치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차량의 공기조화장치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04036B1
KR101104036B1 KR1020090095508A KR20090095508A KR101104036B1 KR 101104036 B1 KR101104036 B1 KR 101104036B1 KR 1020090095508 A KR1020090095508 A KR 1020090095508A KR 20090095508 A KR20090095508 A KR 20090095508A KR 101104036 B1 KR101104036 B1 KR 10110403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temperature
evaporator
acceleration state
comf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955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38281A (ko
Inventor
권춘규
이창원
장기룡
Original Assignee
기아자동차주식회사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기아자동차주식회사,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기아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09550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04036B1/ko
Priority to US12/870,108 priority patent/US20110083451A1/en
Priority to CN2010102778692A priority patent/CN102029871A/zh
Publication of KR2011003828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3828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0403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0403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642Control systems or circuits; Control members or indication devices for 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devices
    • B60H1/00735Control systems or circuits characterised by their input, i.e. by the detection, measurement or calculation of particular conditions, e.g. signal treatment, dynamic models
    • B60H1/00764Control systems or circuits characterised by their input, i.e. by the detection, measurement or calculation of particular conditions, e.g. signal treatment, dynamic models the input being a vehicle driving condition, e.g. spe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642Control systems or circuits; Control members or indication devices for 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devices
    • B60H1/00735Control systems or circuits characterised by their input, i.e. by the detection, measurement or calculation of particular conditions, e.g. signal treatment, dynamic models
    • B60H1/00807Control systems or circuits characterised by their input, i.e. by the detection, measurement or calculation of particular conditions, e.g. signal treatment, dynamic models the input being a specific way of measuring or calculating an air or coolant temperat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642Control systems or circuits; Control members or indication devices for 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devices
    • B60H1/00814Control systems or circuit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 for controlling particular components of the 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installation
    • B60H1/00821Control systems or circuit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 for controlling particular components of the 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installation the components being ventilating, air admitting or air distributing devices
    • B60H1/00835Damper doors, e.g. position contro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642Control systems or circuits; Control members or indication devices for 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devices
    • B60H1/00814Control systems or circuit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 for controlling particular components of the 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installation
    • B60H1/00878Control systems or circuit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 for controlling particular components of the 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installation the components being temperature regulating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32Cooling devices
    • B60H1/3204Cooling devices using compression
    • B60H1/3205Control means therefor
    • B60H1/3211Control means therefor for increasing the efficiency of a vehicle refrigeration cyc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32Cooling devices
    • B60H2001/3236Cooling devices information from a variable is obtained
    • B60H2001/3255Cooling devices information from a variable is obtained related to temperature
    • B60H2001/3263Cooling devices information from a variable is obtained related to temperature of the refrigerant at an evaporating uni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32Cooling devices
    • B60H2001/3236Cooling devices information from a variable is obtained
    • B60H2001/3266Cooling devices information from a variable is obtained related to the operation of the vehic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32Cooling devices
    • B60H2001/3269Cooling devices output of a control signal
    • B60H2001/327Cooling devices output of a control signal related to a compressing uni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32Cooling devices
    • B60H2001/3269Cooling devices output of a control signal
    • B60H2001/327Cooling devices output of a control signal related to a compressing unit
    • B60H2001/3273Cooling devices output of a control signal related to a compressing unit related to the operation of the vehicle, e.g. the compressor driving torque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ir-Conditioning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 탑승자의 쾌적성을 확보할 수 있도록 안정된 냉방성능을 유지하면서도, 에어컨 압축기의 용량을 적절히 조절하여 차량의 구동성능을 확보함과 아울러 연비를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다.
온도제어도어, 증발기, 압축기, 가변용량, 가속

Description

차량의 공기조화장치 제어방법{Control Method for Air Conditioner of Vehicle}
본 발명은 차량의 공기조화장치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냉매를 압축하여 토출하는 용량이 가변되는 가변용량 압축기를 구비한 공기조화장치가 탑재된 차량에서, 탑승자의 쾌적성과 차량의 구동성능 및 연비를 동시에 추구하는 공기제어장치의 제어방법에 관련한 기술이다.
차량에는 탑승자의 쾌적한 승차 환경을 조성하기 위하여 공기조화장치가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공기조화장치는 주로 냉방을 위한 에어컨과 난방을 위한 히터를 포함하여 이루어져 있다.
상기 에어컨은 냉매를 압축기로 압축해 주어야 하는데, 상기한 바와 같이 압축기를 구동하기 위해서는 통상 엔진으로부터의 동력을 사용해야 하므로, 상기 압축기의 구동 여부와 압축기의 용량 등은 차량의 연비 및 구동성능에 큰 영향을 미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압축기 중에는 필요에 따라 그 용량을 변화시킬 수 있도록 하여, 차량의 구동성능과 연비를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경우가 있다.
그러나, 차량의 구동성능과 연비를 위해 압축기의 용량을 줄이게 되는 경우에는 에어컨의 냉방성능 저하로, 탑승자의 쾌적성이 떨어지게 될 염려가 있다.
본 발명은 차량 탑승자의 쾌적성을 확보할 수 있도록 안정된 냉방성능을 유지하면서도, 에어컨 압축기의 용량을 적절히 조절하여 차량의 구동성능을 확보함과 아울러 연비를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차량의 공기조화장치 제어방법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안출된 본 발명 차량의 공기조화장치 제어방법은
차량이 가속상태인지를 판단하는 단계와;
차량이 가속상태로 판단된 경우, 증발기 온도를 소정의 쾌적허용온도와 비교하는 단계와;
증발기 온도가 상기 쾌적허용온도보다 낮은 경우에는 압축기 용량을 감소시키는 단계와;
증발기 온도를 증발기목표온도와 비교하는 단계와;
증발기 온도가 증발기목표온도보다 높은 경우에는 증발기를 통과한 공기가 히터코어를 통과하는 양을 저감시키는 단계;
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차량 탑승자의 쾌적성을 확보할 수 있도록 안정된 냉방성능을 유지하면서도, 에어컨 압축기의 용량을 적절히 조절하여 차량의 구동성능을 확보함과 아울러 연비를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 실시예는 차량이 가속상태인지를 판단하는 단계(S10)와; 차량이 가속상태로 판단된 경우, 증발기 온도를 소정의 쾌적허용온도와 비교하는 단계(S20)와; 증발기 온도가 상기 쾌적허용온도보다 낮은 경우에는 압축기 용량을 감소시키는 단계(S30)와; 증발기 온도를 증발기목표온도와 비교하는 단계(S40)와; 증발기 온도가 증발기목표온도보다 높은 경우에는 증발기를 통과한 공기가 히터코어를 통과하는 양을 저감시키는 단계(S5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즉, 차량의 실내온도를 종래 기술과 같이 제어하다가, 차량의 가속이 이루어지는 경우에는, 그 가속상태를 파악하여, 가속의 정도에 따라 압축기의 용량을 저감시켜서 차량의 구동성능 즉, 가속성능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하고, 증발기 온도가 증발기목표온도보다 높아지면, 온도제어도어를 조작하여 히터코어를 통과하는 공기량을 줄여서 차내의 냉방성능을 유지시켜서 쾌적성을 확보하도록 한 것이다.
물론, 상기한 바와 같은 압축기 제어 및 온도제어도어의 조절로 그에 상응하는 만큼 차량의 연비를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상기 증발기목표온도는 탑승자에 의해 설정된 실내 온도에 따라 증발기가 도달하여야 하는 것으로 정해지는 온도이다.
상기 차량이 가속상태인지를 판단하는 단계(S10)는, 엔진회전수와 스로틀포지션센서의 신호를 입력 받고, 엔진회전수와 스로틀포지션센서 신호의 함수관계가 정해진 2차원 맵에서, 상기 입력 받은 엔진회전수와 스로틀포지션센서 신호의 위치에 따라 가속상태인지의 여부를 판단하도록 한다.
상기 엔진회전수와 스로틀포지션센서 신호의 함수관계가 정해진 2차원 맵에는 차량의 가속 정도에 따른 적어도 2개 이상의 함수관계가 저장되어 있어서, 상기 차량이 가속상태인지를 판단하는 단계(S10)는 상기 엔진회전수와 스로틀포지션센서의 신호에 따라 차량의 가속상태를 적어도 2가지 이상의 상태로 구분하여 판단하도록 한다.
이 경우, 상기 증발기 온도를 소정의 쾌적허용온도와 비교하는 단계(S20)는 상기 2가지 이상으로 구분된 차량의 가속상태에 따라 상기 쾌적허용온도를 달리하며, 상기 차량의 가속상태들 중 상대적으로 높은 가속상태의 쾌적허용온도는 상대적으로 낮은 가속상태의 쾌적허용온도보다 높게 설정된다.
일 예로 도 2와 같이, 상기 엔진회전수와 스로틀포지션센서 신호의 함수관계가 정해진 2차원 맵에 차량의 급가속 상태에 대한 함수관계와 완가속 상태에 따른 함수관계가 저장된 경우, 상기 차량이 가속상태인지를 판단하는 단계(S10)는 상기 엔진회전수와 스로틀포지션센서의 신호에 따라 차량의 가속상태가 급가속 상태인지 완가속 상태인지 비가속 상태인지를 구분하여 판단하며, 상기 증발기 온도를 소정의 쾌적허용온도와 비교하는 단계(S20)는 상기 차량의 가속상태가 급가속 상태인지 완가속 상태인지에 따라 상기 쾌적허용온도를 달리하며, 상기 급가속 상태의 쾌적허용온도는 상기 완가속 상태의 쾌적허용온도보다 높게 설정되도록 한다.
여기서, 상기 쾌적허용온도는 탑승자가 쾌적한 상태로 느낄 수 있을 것으로 추측되는 가급적 높은 온도로서, 예컨대 차량의 가속상태가 상기 급가속 상태인 경우에는, 상기 쾌적허용온도를 10℃로 설정하고, 차량의 가속상태가 완가속 상태인 경우에는 상기 쾌적허용온도를 8℃로 설정할 수 있다.
상기 압축기 용량을 감소시키는 단계(S30)는 상기 쾌적허용온도와 증발기 온도의 차이에 비례하여 압축기의 용량을 감소시킨다.
상기 압축기의 용량 제어가 제어전류의 듀티값에 의해 이루어지는 경우, 상기 압축기의 용량을 감소시키는 단계(S30)에서는, 종전 듀티값에서 쾌적허용온도와 증발기 온도의 차이에 듀티환산계수를 곱한 것을 뺀 값으로 상기 압축기를 제어하여 용량을 감소시킨다.
즉, 압축기 용량을 저감시키도록 압축기에 제공될 듀티 D는
D = D_OLD - a * (쾌적허용온도 - 증발기온도)
여기서, D_OLD는 이전 압축기 제어 듀티, a는 온도차를 압축기 제어 듀티로 환산하는 듀티환산계수이다.
와 같이 계산될 수 있다.
상기 증발기를 통과한 공기가 히터코어를 통과하는 양을 저감시키는 단계(S50)는, 상기 증발기목표온도와 상기 증발기 온도의 차이에 비례하여 상기 증발기를 통과한 공기가 히터코어를 통과하는 양을 저감시킨다.
도 3에 예시된 바와 같이, 상기 증발기(EV)를 통과한 공기가 히터코어(HC)를 통과하는 양을, 상기 증발기(EV)와 히터코어(HC)사이에 설치된 온도제어도어(1)가 상기 히터코어(HC)를 막도록 회동되는 각도로 조절하는 경우, 상기 증발기(EV)를 통과한 공기가 히터코어(HC)를 통과하는 양을 저감시키는 단계에서는, 상기 증발기목표온도와 증발기 온도의 차이에 각도환산계수를 곱해서 구해진 각도로, 종전 온도제어도어(1)의 회동 각도로부터 히터코어(HC)를 막는 방향으로 상기 온도제어도어(1)를 더 회동시킨다.
즉, 상기 온도제어도어(1)의 회동각도 E는
E = E_OLD + b * (증발기목표온도 - 증발기 온도)
여기서, E_OLD는 종전 온도제어도어(1)의 회동 각도, b는 온도차이를 온도제어도어(1)의 회동 각도로 환산하기 위한 각도환산계수이다.
와 같이 계산될 수 있다.
한편, 도 4에 예시한 바와 같이, 차량의 가속상태 판단에 따라 상기 압축기 용량을 감소시키는 경우에는, 차량이 외기모드 상태인지와 차량 외기의 온도가 내기의 온도보다 높은지를 비교하는 단계(S70)와, 차량이 외기모드이고 외기의 온도가 내기의 온도보다 높은 경우, 내기모드로 전환시키는 단계(S8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즉, 상기와 같이 차량이 가속 상태에 있어서, 압축기의 용량을 저감시킬 때, 압축기 용량이 저감된 상태를 가급적 오래 지속시켜, 차량의 연비를 개선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외기모드 상태인 경우에는 외기온도와 내기온도를 비교하여, 내기온도가 더 낮은 경우 내기모드로 전환하도록 하는 것이다.
물론, 상기 외기모드를 내기모드로 전환할 때에는 부분적으로만 내기모드로 전환하도록 할 수도 있을 것이며, 상기한 바와 같이 외기모드를 내기모드로 전환하면, 가급적 오랫동안 압축기 용량을 저감시킨 상태를 유지할 수 있음은 물론, 실내의 쾌적한 상태도 보다 장시간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공기조화장치 제어방법의 일 실시예의 순서도,
도 2는 엔진회전수와 스로틀포지션센서 신호의 함수관계가 정해진 2차원 맵의 일 예,
도 3은 온도제어도어의 회동을 설명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공기조화장치 제어방법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간단한 설명>
1; 온도제어도어 EV; 증발기
HC; 히터코어

Claims (10)

  1. 차량이 가속상태인지를 판단하는 단계와;
    차량이 가속상태로 판단된 경우, 증발기 온도를 소정의 쾌적허용온도와 비교하는 단계와;
    증발기 온도가 상기 쾌적허용온도보다 낮은 경우에는 압축기 용량을 감소시키는 단계와;
    증발기 온도를 증발기목표온도와 비교하는 단계와;
    증발기 온도가 증발기목표온도보다 높은 경우에는 증발기를 통과한 공기가 히터코어를 통과하는 양을 저감시키는 단계;
    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공기조화장치 제어방법.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차량이 가속상태인지를 판단하는 단계는
    엔진회전수와 스로틀포지션센서의 신호를 입력 받고, 엔진회전수와 스로틀포지션센서 신호의 함수관계가 정해진 2차원 맵에서, 상기 입력 받은 엔진회전수와 스로틀포지션센서 신호의 위치에 따라 가속상태인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공기조화장치 제어방법.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엔진회전수와 스로틀포지션센서 신호의 함수관계가 정해진 2차원 맵에는 차량의 가속 정도에 따른 적어도 2개 이상의 함수관계가 저장되어 있어서;
    상기 차량이 가속상태인지를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엔진회전수와 스로틀포지션센서의 신호에 따라 차량의 가속상태를 적어도 2가지 이상의 상태로 구분하여 판단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공기조화장치 제어방법.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증발기 온도를 소정의 쾌적허용온도와 비교하는 단계는
    상기 2가지 이상으로 구분된 차량의 가속상태에 따라 상기 쾌적허용온도를 달리하며;
    상기 차량의 가속상태들 중 상대적으로 높은 가속상태의 쾌적허용온도는 낮은 가속상태의 쾌적허용온도보다 높게 설정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공기조화장치 제어방법.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엔진회전수와 스로틀포지션센서 신호의 함수관계가 정해진 2차원 맵에는 차량의 급가속 상태에 대한 함수관계와 완가속 상태에 따른 함수관계가 저장되어 있고;
    상기 차량이 가속상태인지를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엔진회전수와 스로틀포지션센서의 신호에 따라 차량의 가속상태가 급가속 상태인지 완가속 상태인지 비가속 상태인지를 구분하여 판단하며;
    상기 증발기 온도를 소정의 쾌적허용온도와 비교하는 단계는 상기 차량의 가속상태가 급가속 상태인지 완가속 상태인지에 따라 상기 쾌적허용온도를 달리하며;
    상기 급가속 상태의 쾌적허용온도는 상기 완가속 상태의 쾌적허용온도보다 높게 설정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공기조화장치 제어방법.
  6. 청구항 1 내지 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압축기 용량을 감소시키는 단계는
    상기 쾌적허용온도와 증발기 온도의 차이에 비례하여 압축기의 용량을 감소시키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공기조화장치 제어방법.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압축기의 용량 제어가 제어전류의 듀티값에 의해 이루어지는 경우,
    상기 압축기의 용량을 감소시키는 단계에서는,
    종전 듀티값에서 쾌적허용온도와 증발기 온도의 차이에 듀티환산계수를 곱한 것을 뺀 값으로 상기 압축기를 제어하여 용량을 감소시키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공기조화장치 제어방법.
  8. 청구항 1 내지 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증발기를 통과한 공기가 히터코어를 통과하는 양을 저감시키는 단계는
    상기 증발기목표온도와 상기 증발기 온도의 차이에 비례하여 상기 증발기를 통과한 공기가 히터코어를 통과하는 양을 저감시키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공기조화장치 제어방법.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증발기를 통과한 공기가 히터코어를 통과하는 양을, 상기 증발기와 히터코어 사이에 설치된 온도제어도어가 상기 히터코어를 막도록 회동되는 각도로 조절하는 경우,
    상기 증발기를 통과한 공기가 히터코어를 통과하는 양을 저감시키는 단계에서는
    상기 증발기목표온도와 증발기 온도의 차이에 각도환산계수를 곱해서 구해진 각도로, 종전 온도제어도어의 회동 각도로부터 히터코어를 막는 방향으로 상기 온도제어도어를 더 회동시키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공기조화장치 제어방법.
  10. 청구항 1 내지 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압축기 용량을 감소시키는 경우에는,
    차량이 외기모드 상태인지와 차량 외기의 온도가 내기의 온도보다 높은지를 비교하는 단계와;
    차량이 외기모드이고, 외기의 온도가 내기의 온도보다 높은 경우, 내기모드로 전환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공기조화장치 제어방법.
KR1020090095508A 2009-10-08 2009-10-08 차량의 공기조화장치 제어방법 KR101104036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95508A KR101104036B1 (ko) 2009-10-08 2009-10-08 차량의 공기조화장치 제어방법
US12/870,108 US20110083451A1 (en) 2009-10-08 2010-08-27 Control method for air conditioner of vehicle
CN2010102778692A CN102029871A (zh) 2009-10-08 2010-09-08 车辆的空调设备的控制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95508A KR101104036B1 (ko) 2009-10-08 2009-10-08 차량의 공기조화장치 제어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38281A KR20110038281A (ko) 2011-04-14
KR101104036B1 true KR101104036B1 (ko) 2012-01-09

Family

ID=438537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95508A KR101104036B1 (ko) 2009-10-08 2009-10-08 차량의 공기조화장치 제어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20110083451A1 (ko)
KR (1) KR101104036B1 (ko)
CN (1) CN102029871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640810B2 (ja) * 2011-02-24 2014-12-17 スズキ株式会社 車両用空調制御装置
KR101326842B1 (ko) * 2011-12-07 2013-11-11 기아자동차주식회사 공조 제어 장치 및 제어 방법
CN102954561B (zh) * 2012-11-13 2015-05-20 上海德尔福汽车空调系统有限公司 一种汽车空调多温区温度补偿的方法
KR20140099721A (ko) * 2013-02-04 2014-08-13 한라비스테온공조 주식회사 차량용 공조장치와 이를 이루는 가변용량형 압축기의 운전 제어방법
CN104070959B (zh) * 2013-03-28 2017-10-24 浙江三花汽车零部件有限公司 得到环境温度的方法及其控制系统
CN103697561B (zh) * 2013-12-16 2017-07-14 上海爱斯达克汽车空调系统有限公司 自动空调温度风门控制系统及方法
US10214078B2 (en) 2016-10-20 2019-02-26 Toyota Motor Engineering & Manufacturing North America, Inc. AC cut cycles for vehicle air conditioning control based on high ambient temperature
US10632820B2 (en) 2016-10-20 2020-04-28 Toyota Motor Engineering & Manufacturing North America, Inc. AC cut cycles for vehicle air conditioning control based on high vehicle pitch conditions
US9616743B1 (en) * 2016-11-30 2017-04-11 Borgwarner Inc. Cooling air flow system
KR102474376B1 (ko) * 2018-02-12 2022-12-05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압축기 제어 장치 및 그 방법
KR20200040996A (ko) * 2018-10-11 2020-04-21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의 공조 시스템
CN115076936A (zh) * 2022-05-27 2022-09-20 北京建筑大学 一种基于学习效率与pmv关系的室内热环境调控方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90005004Y1 (ko) * 1984-04-27 1989-07-29 지이제루 기기 가부시기 가이샤 자동차용 공조장치의 콤프레서 제어장치
JP2006044408A (ja) * 2004-08-03 2006-02-16 Sanden Corp 車両用空調装置
JP2008201335A (ja) * 2007-02-22 2008-09-04 Denso Corp 車両用空調装置
KR100887883B1 (ko) 2007-10-11 2009-03-06 주식회사 두원공조 차량용 온도 제어 장치 및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546755A (en) * 1995-03-07 1996-08-20 Krieger; Todd N. Automatic air conditioner shutoff system
JP2000158939A (ja) * 1998-11-24 2000-06-13 Toyota Autom Loom Works Ltd 車輌用空調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US6688120B2 (en) * 2001-01-23 2004-02-10 Denso Corporation Vehicle air conditioner with cold storage and cold release
JP2002327686A (ja) * 2001-04-27 2002-11-15 Toyota Industries Corp 車両用空調装置及び内燃機関のアイドル回転速度制御装置
US6691523B1 (en) * 2002-10-24 2004-02-17 Delphi Technologies, Inc. Air conditioning capacity control method for reducing motor vehicle engine exhaust emissions
JP4355511B2 (ja) * 2003-04-10 2009-11-04 カルソニックカンセイ株式会社 車両用空調装置
JP4417064B2 (ja) * 2003-09-30 2010-02-17 株式会社デンソー 車両用空調装置
JP2005206014A (ja) * 2004-01-22 2005-08-04 Calsonic Kansei Corp 車両用空調装置の冷凍サイクルの制御方法及び制御装置
KR101156378B1 (ko) * 2004-10-21 2012-06-13 한라공조주식회사 차량용 공조장치의 제어방법
US7357176B2 (en) * 2004-10-21 2008-04-15 Honda Motor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mixture of fresh and recirculated air in a vehicle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90005004Y1 (ko) * 1984-04-27 1989-07-29 지이제루 기기 가부시기 가이샤 자동차용 공조장치의 콤프레서 제어장치
JP2006044408A (ja) * 2004-08-03 2006-02-16 Sanden Corp 車両用空調装置
JP2008201335A (ja) * 2007-02-22 2008-09-04 Denso Corp 車両用空調装置
KR100887883B1 (ko) 2007-10-11 2009-03-06 주식회사 두원공조 차량용 온도 제어 장치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10083451A1 (en) 2011-04-14
KR20110038281A (ko) 2011-04-14
CN102029871A (zh) 2011-04-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04036B1 (ko) 차량의 공기조화장치 제어방법
US9903628B2 (en) Method for controlling electric compressor of heat pump system for an automotive vehicle
US20130139532A1 (en) Air conditioner for vehicle
JP5446520B2 (ja) 車両用空調装置の制御方法
US9981530B2 (en)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compressor of vehicles
KR101326424B1 (ko) 차량의 에어컨 제어장치 및 그 방법
JP2014159201A (ja) 車両用空調制御装置
KR20050109622A (ko) 차량용 공조 장치
CN110513831B (zh) 一种提升化霜时制热舒适性的控制方法及空调系统
JP5585825B2 (ja) 車両の空調制御装置
KR20080040093A (ko) 하이브리드 자동차용 전동 압축기의 제어방법
KR101856360B1 (ko) 공력이득 기반 액티브 에어플랩 제어방법 및 환경 차량
KR100941217B1 (ko) 가변용량 압축기의 전기 제어 밸브의 듀티 제어방법
KR101724722B1 (ko) 연비형 에어컨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에어컨 제어방법
JP2015137032A (ja) 車両
JP6311981B2 (ja) 車両用ヒートポンプ式空調制御装置
CN111023393A (zh) 一种室外风机的控制方法、系统及空调器
KR101587658B1 (ko) 차량의 공조장치 및 그 제어방법
CN111376674B (zh) 车辆空调控制方法及系统
KR20090054689A (ko) 차량용 공조장치 제어시스템 및 제어방법
KR20200124111A (ko) 엔진 구동에 따른 공조장치 제어 시스템
JP2018083562A (ja) 車両の空調制御装置
KR100427895B1 (ko) 자동차 냉난방장치 제어방법
KR20150141818A (ko) 차량의 공조 제어방법 및 그 장치
JPH0228087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1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2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2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27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