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03980B1 - 발전기 하부 실케이싱 회전장치 - Google Patents

발전기 하부 실케이싱 회전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03980B1
KR101103980B1 KR1020100076237A KR20100076237A KR101103980B1 KR 101103980 B1 KR101103980 B1 KR 101103980B1 KR 1020100076237 A KR1020100076237 A KR 1020100076237A KR 20100076237 A KR20100076237 A KR 20100076237A KR 101103980 B1 KR101103980 B1 KR 10110398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re
generator
casing
rotor shaft
winding ro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762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종주
Original Assignee
한전케이피에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전케이피에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전케이피에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07623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0398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0398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0398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21NUCLEAR PHYSICS; NUCLEAR ENGINEERING
    • G21DNUCLEAR POWER PLANT
    • G21D1/00Details of nuclear power plant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15/00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dynamo-electric machin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30/00Energy generation of nuclear origi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30/00Energy generation of nuclear origin
    • Y02E30/30Nuclear fission react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Plasma & Fus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igh Energy & Nuclear Physic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anufacture Of Motors, Genera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발전기 하부실케이싱 회전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발전기의 실 케이싱 분해를 위한 하부실케이싱의 회전작업이 좁은 공간에서도 신속하고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함으로 작업효율을 향상시킴과 함께 안전사고 발생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의 회전장치는, 발전기 내부에 설치된 로터축(2)을 중심으로 하여 하부실케이싱(3)과 반대측에서 결합이 이루어지도록 반원 형태를 이루며, 상기 로터축(2)을 지지하는 가운데 회전이 이루어지도록 다수의 지지구(11)가 일정 간격을 유지하며 방사방향으로 구성된 회전프레임(10)과; 발전기 하우징(1)에 고정 설치되며, 일측의 권취롤(21)에 와이어(W)가 권취되어져 있고, 상기 권취롤(21)에 구동력을 전달하기 위한 구동모터(22)가 함께 구비된 동력부(20)와; 상기 동력부(20)에 동작전원을 인가하기 위한 제어부(30)와; 상기 발전기 하우징(1)에 고정 설치되어 상기 와이어(W)를 안내하는 가이드롤러(40)와; 상기 가이드롤러(40)를 통해 안내된 와이어(W)의 단부가 연결되어질 수 있도록 하부실케이싱(3)에 고정 설치되는 와이어 연결구(50);를 포함하는 구성을 이룸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발전기 하부 실케이싱 회전장치{A BOTTOM SEAL CASING ROTATION DEVICE}
본 발명은 발전기의 하부 실케이싱 회전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발전기의 분해, 조립시 하부실케이싱의 회전작업이 보다 효과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한 회전장치 구조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원자력 발전소에 설치되는 주 발전기는 정기적인 계획정비기간에 부품을 분해하여 정비작업을 수행하게 되며, 이때에는 발전기 하우징 내부에 장착되어져 있는 상부 케이싱을 분리시킨 후 하부 실케이싱을 로터축을 중심으로 하여 회전시키는 작업을 실시하게 된다.
이때, 종래에는 작업자가 수작업으로 레버블럭을 교대로 잡아 당기고, 레버블럭의 위치를 이동하면서 반복적으로 작업을 수행하고 있는 바, 많은 인력과 시간이 소요되고 씰 링과 저어널의 손상 가능성이 상존하고 복잡한 절차로 작업이 난해하여 협소한 장소에서 제한적인 행동으로 불안전한 작업이 이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하부실케이싱 회전작업에 있어서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서, 동력장치를 이용하여 협소한 작업공간에서 하부실케이싱의 회전작업이 효과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여 작업효율을 향상시킴과 함께 안전사고 발생을 방지토록 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이루기 위한 본 발명은, 발전기의 로터축을 중심으로 하여 하부실케이싱과 반대측에서 결합이 이루어지도록 반원 형태를 이루며, 상기 로터축을 지지하는 가운데 회전이 이루어지도록 다수의 지지구가 일정 간격을 유지하며 방사방향으로 구성된 회전프레임과; 발전기 하우징에 고정 설치되며, 일측의 권취롤에 와이어가 권취되어져 있고, 상기 권취롤에 구동력을 전달하기 위한 구동모터가 함께 구비된 동력부와; 상기 동력부에 동작전원을 인가하기 위한 제어부와; 상기 발전기 하우징에 고정 설치되어 상기 와이어를 안내하는 가이드롤러와; 상기 가이드롤러를 통해 안내된 와이어의 단부가 연결되어질 수 있도록 하부실케이싱에 고정 설치되는 와이어 연결구;를 포함하는 구성을 이룸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본 발명은, 발전기 하우징의 분해를 위한 하부실케이싱의 회전작업이 좁은 공간에서도 신속하고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됨으로 작업효율을 향상시킴과 함께 안전사고 발생을 방지하는 효과를 나타낸다.
특히, 하부실케이싱의 회전시 로터축을 중심으로 반대측에서 회전프레임이 함께 회전되어짐으로 안정적인 작업이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회전장치가 발전기에 설치된 상태 정면 구조도.
도 2는 본 발명의 회전장치 설치상태 측면 구조도.
도 3은 본 발명에서의 회전프레임 구조를 나타낸 것으로서,
3a는 외관 사시도.
3b는 평면도.
3c는 측면도.
도 4는 본 발명에서의 동력부 구조를 나타낸 것으로서,
4a는 정면도.
4b는 평면도.
4c는 측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하부실케이싱 회전과정 모식도.
이하,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 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살펴보기로 한다.
먼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하부실케이싱 회전장치의 전체적인 구성을 살펴보면, 발전기 내부 중앙에 설치된 로터축(2)을 중심으로 하여 하부실케이싱(3)과 반대측에서 결합이 이루어지도록 반원 형태를 이루며, 상기 로터축(2)을 지지하는 가운데 회전이 이루어지도록 다수의 지지구(11)가 일정 간격을 유지하며 방사방향으로 구성된 회전프레임(10)과, 발전기 하우징(1)에 고정 설치되며, 일측의 권취롤(21)에 와이어(W)가 권취되어져 있고, 상기 권취롤(21)에 구동력을 전달하기 위한 구동모터(22)가 함께 구비된 동력부(20)와, 상기 동력부(20)에 동작전원을 인가하기 위한 제어부(30)와, 상기 발전기 하우징(1)에 고정 설치되어 상기 와이어(W)를 안내하는 가이드롤러(40)와, 상기 가이드롤러(40)를 통해 안내된 와이어(W)의 단부가 연결되어질 수 있도록 하부실케이싱(3)에 고정 설치되는 와이어 연결구(50)로 구성되어진다.
특히, 회전프레임(10)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양측 플랜지면(12)에 하부실케이싱(3)과의 결합을 위한 체결볼트가 삽입되는 체결공(13)이 일정 길이를 이루는 장공형태로 형성되었으며, 각각의 지지구(11)는 높낮이 조절을 위한 회전프레임(10)과의 스크류 결합이 이루어지도록 스크류봉(11a)으로 이루어지고, 스크류봉(11a)의 후단부에는 회전을 위한 핸들(11b)이 구비되었으며, 스크류봉(11a)의 선단부에는 로터축(2) 표면과의 선접촉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원판형태의 지지플레이트(11c)가 구성되었다.
또한, 지지플레이트(11c)에는 로터축(2)과 직접 접촉에 따른 마찰력 감쇠를 위한 동판(11d)이 착탈가능하게 구비됨으로서, 일정 주기별로 동판(11d)만을 교체하여 사용이 가능하게 된다.
한편, 동력부(20)는 도 4에서와 같이 권취롤(21)에는 와이어(W)가 감겨지는 가이드홈(21a)이 나선형태로 형성되어져 있으며, 상기 권취롤(21) 주변에는 와이어(W)를 압착시키기 위한 압착롤(23)이 다수개 구성되었다.
이와 같은 구조를 이루는 본 발명 하부실케이싱 회전장치의 사용에 따른 작용효과를 살펴보기로 한다.
먼저, 발전기 하우징(1) 내의 상부케이싱(미도시)을 분리시킨 상태에서 상부공간에 본 발명의 회전장치를 설치하게 된다.
즉, 로터축(2) 상부에 회전프레임(10)을 하부실케이싱(3)과 대칭되는 위치에 장착하고, 발전기 하우징(1) 내벽면에는 동력부(20)와 가이드롤러(40)를 고정 설치한다. 이때, 회전프레임(10)과 하부실케이싱(3)간의 결합은 먼저 장공형태를 이루는 체결공(13)과 대응되는 하부실케이싱(3)의 볼트공(미도시)을 일치시켜서 볼트를 체결한 후, 작업자가 지지구(11)의 핸들(11b)을 서서히 돌려주면 프레임과 나사 결합되어져 있는 스크류봉(11a)이 점차 하강되어지면서 동판(11d)이 로터축(2)과 접촉되어 조여주는 위치까지 위치를 조절하여 안정적인 지지상태를 이루도록 하게 된다.
이후, 하부실케이싱(3)에 와이어 연결구(50)를 고정핀을 이용하여 고정시키고 동력부(20)의 권취롤(21)에 감겨져 있는 와이어(W)를 가이드롤러(40)를 경유시켜 와이어 연결구(50)에 연결 설치한다.
그리고, 제어부(30)를 이용하여 동작신호를 인가하면 구동모터(22)에 전원이 인가됨으로서 권취롤(21)이 감겨지게 되고, 이에 따라 와이어(W)에 인장력이 작용함으로서 하부실케이싱(3)이 회전프레임(10)에 의해 지지되는 가운데 로터축(2)을 중심으로 회동되어지게 된다.
따라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실케이싱(3)이 점차 회동되어 분해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상향된 위치로 이동되어지면, 작업자가 하부실케이싱(3)을 용이하게 분해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에서 본 발명의 특정한 실시 예가 설명 및 도시되었지만 본 발명의 케이싱 회전장치 구조가 당업자에 의해 다양하게 변형되어 실시될 수 있음은 자명한 일이다.
그러나, 이와 같은 변형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범위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되며, 이와 같은 변형된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첨부된 특허청구범위 내에 포함된다 해야 할 것이다.
1 : 발전기 하우징 2 : 로터축
3 : 하부실케이싱 10 : 회전프레임
11 : 지지구 11a: 스크류봉
11b: 핸들 11c: 지지플레이트
11d: 동판 12 : 플랜지면
13 : 체결공 20 : 동력부
21 : 권취롤 21a: 가이드홈
22 : 구동모터 23 : 압착롤
30 : 제어부 40 : 가이드롤러
50 : 와이어 연결구

Claims (5)

  1. 발전기 내부 중앙에 설치된 로터축(2)을 중심으로 하여 하부실케이싱(3)과 반대측에서 결합이 이루어지도록 반원 형태를 이루며, 상기 로터축(2)을 지지하는 가운데 회전이 이루어지도록 다수의 지지구(11)가 일정 간격을 유지하며 방사방향으로 구성된 회전프레임(10)과;
    발전기 하우징(1)에 고정 설치되며, 일측의 권취롤(21)에 와이어(W)가 권취되어져 있고, 상기 권취롤(21)에 구동력을 전달하기 위한 구동모터(22)가 함께 구비된 동력부(20)와;
    상기 동력부(20)에 동작전원을 인가하기 위한 제어부(30)와;
    상기 발전기 하우징(1)에 고정 설치되어 상기 와이어(W)를 안내하는 가이드롤러(40)와;
    상기 가이드롤러(40)를 통해 안내된 와이어(W)의 단부가 연결되어질 수 있도록 하부실케이싱(3)에 고정 설치되는 와이어 연결구(50);
    를 포함하는 구성을 이룸을 특징으로 하는 발전기 하부실케이싱 회전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회전프레임(10)의 양측 플랜지면(12)에는 하부실케이싱(3)과의 결합을 위한 체결볼트가 삽입되는 체결공(13)이 일정 길이를 이루는 장공형태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전기 하부실케이싱 회전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지지구(11)는 높낮이 조절을 위한 회전프레임(10)과의 스크류 결합이 이루어지도록 스크류봉(11a)으로 이루어지며, 스크류봉(11a)의 후단부에는 회전을 위한 핸들(11b)이 구비되었고, 스크류봉(11a)의 선단부에는 로터축(2) 표면과의 선접촉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원판형태의 지지플레이트(11c)가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전기 하부실케이싱 회전장치.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지지플레이트(11c)에는 로터축(2)과 직접 접촉에 따른 마찰력 감쇠를 위한 동판(11d)이 착탈가능하게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전기 하부실케이싱 회전장치.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동력부(20)는 권취롤(21)에는 와이어(W)가 감겨지는 가이드홈(21a)이 나선형태로 형성되어져 있으며, 상기 권취롤(21) 주변에는 와이어(W)를 압착시키기 위한 압착롤(23)이 다수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전기 하부실케이싱 회전장치.
KR1020100076237A 2010-08-09 2010-08-09 발전기 하부 실케이싱 회전장치 KR10110398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76237A KR101103980B1 (ko) 2010-08-09 2010-08-09 발전기 하부 실케이싱 회전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76237A KR101103980B1 (ko) 2010-08-09 2010-08-09 발전기 하부 실케이싱 회전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03980B1 true KR101103980B1 (ko) 2012-01-06

Family

ID=456139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76237A KR101103980B1 (ko) 2010-08-09 2010-08-09 발전기 하부 실케이싱 회전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0398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96968Y1 (ko) 2022-11-14 2023-06-21 한전케이피에스 주식회사 발전기의 씰 하부 하우징 회전 가이드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89848A (ko) * 2002-05-20 2003-11-2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의 실린더헤드커버 구조
KR200389848Y1 (ko) 2005-04-15 2005-07-14 조인철 원자력 발전소용 증기발생기의 맨홀커버 분리조립장치
KR20100063922A (ko) * 2008-12-04 2010-06-14 한전케이피에스 주식회사 발전기 공극감시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89848A (ko) * 2002-05-20 2003-11-2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의 실린더헤드커버 구조
KR200389848Y1 (ko) 2005-04-15 2005-07-14 조인철 원자력 발전소용 증기발생기의 맨홀커버 분리조립장치
KR20100063922A (ko) * 2008-12-04 2010-06-14 한전케이피에스 주식회사 발전기 공극감시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96968Y1 (ko) 2022-11-14 2023-06-21 한전케이피에스 주식회사 발전기의 씰 하부 하우징 회전 가이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5071614A (zh) 用于高铁牵引电机线圈的包带机
CN202076729U (zh) 带制动装置的牵引绳放线架
CN103465346A (zh) 一种离心球墨铸铁管水泥涂衬装置
KR101103980B1 (ko) 발전기 하부 실케이싱 회전장치
KR101620316B1 (ko) 디스크형 드럼을 이용한 바튼 승강 안전구동장치
CN104505198A (zh) 一种导体用阻水带便携式绕包器
CN104526514A (zh) 钢管内壁除锈装置
KR101307762B1 (ko) 터빈 로터 작업대
CN109335851A (zh) 一种导向稳定性好的电缆干燥绕线装置
CN103850890A (zh) 一种风力发电机组塔筒内的防过扭缆结构
CN106710735B (zh) 一种绞线机及其线盘锁紧装置
JP2011155805A (ja) 回転電機の巻線導体取り外し方法および装置
CN109353885A (zh) 一种线缆排线机
CN103659153B (zh) 一种风力发电机的现场维护方法
CN212954056U (zh) 一种具有排线装置的卷扬机
CN103414142A (zh) 大型矿用挖掘机及其电缆卷筒装置
CN108792795B (zh) 绝缘绳绝缘试验用绕线机
CN209306728U (zh) 一种线缆排线机
CN103956676B (zh) 防跑磨装置
CN203221456U (zh) 一种轴承座压套装置
WO2011140162A1 (en) Dual drive winch and nuclear reactor vessel maintenance apparatus employing same
CN111017633A (zh) 一种二次导线放线装置
CN212477013U (zh) 长丝整经机经轴安装结构
CN209199677U (zh) 一种铜芯卷绕的管绞机
CN218434331U (zh) 一种电缆放线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1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1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0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26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19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23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