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02470B1 - 치과용 카메라 - Google Patents

치과용 카메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02470B1
KR101102470B1 KR1020067019710A KR20067019710A KR101102470B1 KR 101102470 B1 KR101102470 B1 KR 101102470B1 KR 1020067019710 A KR1020067019710 A KR 1020067019710A KR 20067019710 A KR20067019710 A KR 20067019710A KR 101102470 B1 KR101102470 B1 KR 10110247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am member
case
camera
sensor element
resistan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70197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130678A (ko
Inventor
필립 부와이에
알렝 마쥐르
Original Assignee
소프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소프로 filed Critical 소프로
Publication of KR2006013067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13067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0247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0247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 A61B1/04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combined with photographic or television appliances
    • A61B1/045Control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 A61B1/00002Operational features of endoscopes
    • A61B1/00039Operational features of endoscopes provided with input arrangements for the user
    • A61B1/00042Operational features of endoscopes provided with input arrangements for the user for mechanical oper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 A61B1/24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for the mouth, i.e. stomatoscopes, e.g. with tongue depressors; Instruments for opening or keeping open the mouth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9/00Dental auxiliary applianc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rge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Biophysic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Pathology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Dentistry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Epidemiology (AREA)
  • Dental Tools And Instruments Or Auxiliary Dental Instruments (AREA)
  • Camera Bodies And Camera Details Or Accessories (AREA)
  • Endoscopes (AREA)
  • Acyclic And Carbocyclic Compounds In Medicinal Compositions (AREA)
  • Details Of Cameras Including Film Mechanisms (AREA)
  • Medicines Containing Antibodies Or Antigens For Use As Internal Diagnostic Agents (AREA)

Abstract

사용자가 한 손으로 쥘 수 있고 전방 단부에 이미지 촬영 수단이 제공되는 신장된 하우징(2)을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2)은 사용자가 선택한 이미지를 디스플레이 수단(5)에서 고정시키는 센서형 제어 수단(6, 8)을 포함하고, 상기 제어 수단은 오목부 또는 융기부(11)의 불연속 표면으로 형성된 하우징(2)에 위치된 탐지영역(9)을 포함하는, 치과용 카메라. 상기 하우징(2)은 전자 구동 회로(8)와 정전기 발포부재(14)와 연결된 센서 요소(6)를 포함하고, 정전기 발포부재의 한 쪽 단부는 센서에 대해 부착되고 반대편 단부는 탐지영역(9)과 수직으로 놓인 하우징(2)의 내부면 영역에 대해 부착된다.
카메라, 케이스, 회로, 센서

Description

치과용 카메라{CAMERA FOR MEDICAL, PARTICULARLY DENTAL USE}
본 발명은 의료용 카메라, 구체적으로는 치과용 카메라에 관한 것이다.
의료 분야, 구체적으로는 치과 분야에서, 렌즈가 핸드피스(hand piece)의 단부에 설치되어 있고 또한 촬영(shot-taking)을 개시하거나 특정 이미지를 캡쳐할 수 있게 하는 제어 손잡이(knob)를 케이스 위에 포함하고 있는 마이크로 렌즈가 공지되어 있다.
이러한 마이크로 렌즈는 특히 이미지를 "고정"(freeze)할 필요가 있는 경우에 사용될 때, 사용자의 발에 의해 작동하는 특정 페달에 의해 제어된다. 사실, 이러한 유형의 장치에서, 부드럽게 해제하여도 카메라에 고정된 제어 손잡이를 단순히 작동시키는 것은 카메라의 움직임을 초래하여, "고정"되는 것이 요구되는 이미지를 흐리게 만든다. 현재, 이러한 유형의 페달 제어는 수많은 도구에, 특히 치과 수술시에 사용되며, 의사가 제어능력을 증대시키기는 어려운 결과를 초래한다.
또한, 예를 들어 사용자의 손가락에 의해 생성되는 전기장에 반응하는 용량성 센서 또는 유도성 센서로 구성되는 감도성 형태의 제어와 같이, 사용자의 손가 락을 물리적으로 이동시킬 것을 요구하지 않는 다른 형태의 릴리스 제어도 알려져 있다.
이미지를 확실히 "고정"시키기 위해 치과용 카메라에서 제어를 함에 있어서 부딪치는 어려움 중 하나는, 촉감이 있는 부위를 허용하는 일반적인 제어 손잡이와 달리, 고감도 제어가 의사에 의해 시각적으로 국한될 수 있고, 의사의 시각적인 집중이 필수적으로 수술 영역에 향해지는 한 받아들일 수 없는 것이다.
때문에, 프랑스 특허출원 02 15017이 융기부나 오목한 부분을 형성하는 표면 불연속 영역을 카메라 케이스의 외부면에 제공하는 것이고, 이는 고감도 센서와 수직으로 배치되어 있고 또한 사용자로 하여금 탐지영역에 대하여 손가락을 약간 상류로 위치시킬 수 있게 하며, 손가락을 좀 더 이동시키면 탐지를 일으킬 것이고 따라서 적절한 제어를 개시할 수 있게 된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다.
고감도 형태의 제어 시스템은 보통 센서(일반적으로 금속 알갱이)와 지지 회로에 배치된 전자 수단으로 구성된다. 여러가지 이유로, 특히 공간상의 요구사항, 카메라의 세계적인 디자인, 케이스의 심미감, 또는 지지 회로상 위에 존재하는 다양한 구성요소 때문에, 특정구조에서는 센서 및 센서와 연결된 전자회로를 카메라 케이스의 내부면과 접촉하게 배치할 수가 없다. 센서가 사용자의 손가락을 정확하게 그리고 반복적으로 탐지하는 것이 요구될 때, 센서를 탐지영역 가까이에서 케이스의 내벽에 대해 위치시키기 위해 전자회로를 센서와 분리시키는 것을 고려할 수 없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실제로, 위치와 길이가 탐지에 영향을 미치는 연결 코드가 센서와 일체를 이루게 되는 한, 두 요소 사이에 설립된 코드 연결은 결과적으로 탐지 위치의 정확성과 반복성을 파괴해야만 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센서가 매우 가까이 배치된 경우에 있을 수 있는 우수한 정확성과 반복성을 유지시키면서, 센서와, 탐지영역과 떨어져 있는 지지 회로를 배치하는 수단을 제공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러한 목적을 위해 본 발명은, 사용자가 손으로 쥘 수 있고 전방 단부에 이미지 촬영 수단이 제공되는 신장된 케이스를 포함하고, 상기 케이스는 사용자가 선택한 이미지를 디스플레이 수단에서 고정시키는 센서형 제어 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제어 수단은 오목부 또는 융기부의 불연속 표면으로 형성된 케이스에 위치된 탐지영역 포함하는, 의료용 카메라, 특히 치과용 카메라에 있어서, 전자 구동 프린트 회로와 정전기 발포부재(foam element)와 연결된 센서 요소를 포함하고, 정전기 발포부재의 한 쪽 단부는 센서 요소에 대해 부착되고 반대편 단부는 탐지영역과 수직으로 놓인 케이스의 내부면 영역에 대해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를 제공한다.
정전기 발포부재는 케이스의 내부면과 센서 요소 사이에 있을 때 약간 압축된 상태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센서 요소의 지지 회로를 케이스 내에 위치시키는 것을 수월하게 하도록 하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서, 센서 요소와 접촉하고 있는 상기 발포부재의 부분은 센서 요소보다 더 큰 표면을 가지며, 센서 요소와 접촉하고 있는 상기 발포부재의 부분은 발포부재의 중앙 부분 보다 저항이 더 크고, 케이스의 내부면과 접촉하고 있는 상기 발포부재의 부분은 발포부재의 중앙 부분 보다 저항이 더 작고, 상기 발포부재의 저항은 5 MΩ.cm 이하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 형태는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비제한적인 예에 의해 이하 설명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카메라의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카메라의 수직 및 길이방향 부분 단면도.
도 3은 도 2의 라인 II-II를 따라 취해진 도 1에 도시된 카메라의 횡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카메라의 변형 실시예의 수직 및 길이방향 부분 단면도.
도 1 내지 도 3은 실질적으로 타원형 단면을 갖는 신장된 케이스(2)로 구성되어 있고, 이 케이스는 전방 단부(4)에 촬영렌즈를 그리고 다른 단부에는 코드(7)를 포함하고 있으며, 코드에 의해 모니터(5)에 표시되는 이미지를 공급하고 관리하는 전자수단(3)에 연결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이 카메라(1)는 제어장치를 포함하고 있고, 이 제어장치에 의해 사용자는 이미지를 "고정"시킬 수 있다. 즉 모니터(5)에서 움직이지 않게 할 수 있다. 이 제어장치는 전자회로에 연결된 민감한 센서와 케이스(2)에 형성된 불연속 표면의 영역을 포함한다.
불연속 표면 영역은 C 형태의 융기부(11)에 의해 형성되고, C 형태에 있어서 개구는 카메라의 전방 단부(4) 쪽으로 향하며, 케이스(2)의 상부면에 대해 약간 튀어나와 있다. 융기부(11)는 사용자가 카메라(1)를 쥐고 있을 때 사용자의 손가락(12)의 자연스러운 이동과 관련하여, 즉 도 1의 화살표 V 로 표시되는 방향으로 영역(9)(탐지 영역이라고 불림)의 상류에 배치된다.
프린트 회로(8)는 케이스(2)의 내부에 배치되어 있고, 케이스는 금속 알갱이로 형성된 고감도 센서 요소(6)뿐만 아니라 한편으로는 센서 요소의 탐지 기능을 관리하도록 다른 한편으로는 탐지 기능에 이어지는 기능, 즉 이미지의 "고정"을 제어하도록 된 다양한 전자 구성요소를 지탱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센서 요소(6)와 탐지영역(9)과 수직으로 배열된 케이스의 내면부 사이에 소위 정전기 형태의 발포부재(foam element)(14), 즉 저항이 적어도 5 MΩ.cm 이하의 전도성 발포부재를 배치하는 것이 제공된다. 이러한 구성은 탐지영역(9)과 수직으로 위치된 카메라의 내벽 쪽으로 센서 요소(6)의 감도 영역을 어느 정도 "오프셋팅"(offsetting)함으로써 앞서 언급한 문제점들을 피할 수 있게 한다.
센서 요소(6)의 용량성 효과를 전파하기 위해, 또한 센서 요소 그 자체로 구성된 것처럼 행동하지 않도록 충분히 낮은 전도성을 제공하기 위해, 이 발포부재는 충분히 전도성이 있어야한다는 것이 인식되어 왔다.
본 발명은 특히 이러한 형태의 카메라의 설계 및 생산과 관련하여 본 발명이 제공하는 설비에 흥미가 있다. 사실, 한편으로는 센서 요소가 탐지영역으로부터 멀리 떨어져 있는 한, 그리고 탐지영역에 대해서 중심에서 벗어나 있는 한, 카메라 케이스의 모양과 관련하여 설계자에게 자유를 주고, 다른 한편으로는 조립을 수월하게 한다.
도 4에 도시된 실시예의 발포부재에서, 프린트 회로(8)와 회로와 연결된 발포부재(14)를 위치시키는 것을 쉽게 하는 것은 센서 요소(6) 보다 큰 치수의 베이스를 제공함으로써 향상될 수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발포부재의 하부면이 프린트 회로(8)의 상부면과 접촉하게 될 때 발포부재의 하부면에 의해 생성될 수 있는 단락(쇼트)의 위험을 최소화하기 위해서, 하부면의 저항이 중심보다 더 큰 발포부재(14)가 사용될 것이다.
따라서, 도 4에 도시된 본 발명의 실시예의 특정 형태에서, 6 mm의 직경을 갖는 원형의 센서 요소(6)가 이용될 것이고, 뿐만 아니라 직경이 8 mm이고 압축되지 않은 상태에서 5 mm의 높이를 갖는 원통형 발포부재가 이용될 것이며, 이 발포부재는 조립후에 2.5 mm의 두께를 가질 것이다. 상부층 및 하부층의 저항이 300 kΩ.cm 과 3000 kΩ.cm인 정전기 발포부재를 선택함으로써, 상하부층 사이의 저항은 1500 kΩ.cm이고, 프린트 회로(8)에 고정된 센서 요소(6)가 카메라 케이스의 내면에 대해 부착되는 구성에 대해서 탐지의 정확도와 신뢰도가 유지된다는 것을 볼 수 있었다.
이러한 상황에서, 본 발명에 따른 카메라는 이하 설명되는 것처럼 사용된다. 카메라(1)가 정확히 위치되면, 사용자는 손가락 중 하나, 예를 들어 엄지 손가락(12)을 정지부(11)와 만날 때까지 카메라의 케이스(2) 위에서 이동시킨다. 그 때, V 방향으로 엄지손가락을 좀 더 이동시키면 감응성 센서 요소(6)에 의해 탐지되는 효과가 생기고, 따라서 원하는 작동을 개시할 수 있다는 것을 사용자는 알게 된다.
종래의 스위치의 경우와 같이 수직이 아니고 케이스 표면을 스치면서 지나가면서 케이스(2)의 표면 위에서 사용자의 손가락을 이동시키는 한, 이러한 움직임은 갑작스럽게 카메라(1)가 진로에서 벗어나지 않게 된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Claims (7)

  1. 사용자가 손으로 쥘 수 있고 전방 단부에 이미지 촬영 수단이 제공되는 신장된 케이스(2)를 포함하고, 상기 케이스(2)는 사용자가 선택한 이미지를 디스플레이 수단(5)에서 고정시키는 센서형 제어 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제어 수단은 오목부 또는 융기부(11)의 불연속 표면으로 형성된 케이스(2)에 위치된 탐지영역(9)을 포함하는, 의료분야 치과용 카메라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2)는 프린트 회로(8) 및 정전기 발포부재(14)와 연결된 센서 요소(6)를 포함하고, 정전기 발포부재의 한 쪽 단부는 센서 요소(6)에 대해 부착되고 반대편 단부는 탐지영역(9)과 수직으로 놓인 케이스(2)의 내부면 영역에 대해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정전기 발포부재(14)는 케이스(2)의 내부면과 센서 요소(6) 사이에 있을 때 압축된 상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 요소(6)와 접촉하고 있는 상기 발포부재(14)의 부분은 센서 요소(6) 보다 더 큰 표면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 요소(6)와 접촉하고 있는 상기 발포부재(14)의 부분은 발포부재(14)의 중앙 부분 보다 저항이 더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2)의 내부면과 접촉하고 있는 상기 발포부재(14)의 부분은 발포부재(14)의 중앙 부분 보다 저항이 더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6.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발포부재(14)의 저항은 5 MΩ.cm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7.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압축 전 발포부재(14)의 두께는 5 mm 이고, 케이스(2)의 내부면과 접촉하고 있는 부분의 저항은 300 kΩ.cm 이고, 그 반대편 부분의 저항은 3000 kΩ.cm 이고, 단부층들 사이의 발포부재(14)의 중심부 저항은 1500 kΩ.cm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KR1020067019710A 2004-03-01 2005-02-25 치과용 카메라 KR10110247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FR0402090 2004-03-01
FR0402090A FR2866799B1 (fr) 2004-03-01 2004-03-01 Camera a usage medical et notamment dentaire
PCT/FR2005/000456 WO2005089631A1 (fr) 2004-03-01 2005-02-25 Camera a usage medical et notamment dentair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30678A KR20060130678A (ko) 2006-12-19
KR101102470B1 true KR101102470B1 (ko) 2012-01-05

Family

ID=348341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7019710A KR101102470B1 (ko) 2004-03-01 2005-02-25 치과용 카메라

Country Status (16)

Country Link
US (1) US8063932B2 (ko)
EP (1) EP1720442B1 (ko)
JP (1) JP4847948B2 (ko)
KR (1) KR101102470B1 (ko)
CN (1) CN100500079C (ko)
AT (1) ATE411766T1 (ko)
AU (1) AU2005224142B2 (ko)
BR (1) BRPI0508307B1 (ko)
CA (1) CA2557708C (ko)
DE (1) DE602005010555D1 (ko)
DK (1) DK1720442T3 (ko)
ES (1) ES2315860T3 (ko)
FR (1) FR2866799B1 (ko)
IL (1) IL177469A (ko)
TW (1) TWI351269B (ko)
WO (1) WO2005089631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09363A (ko) 2020-02-27 2021-09-06 오대금속 주식회사 한 손 조작 편의성을 높인 치과수술 현미경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143963A (ja) * 2005-11-29 2007-06-14 Osada Res Inst Ltd 歯科用口腔内観察装置
DE202006001898U1 (de) * 2006-02-03 2007-04-26 Mylius, Harald W., Dipl.-Ing. Hohlraumlampe
DE102006009177A1 (de) * 2006-02-24 2007-08-30 Dürr Dental GmbH & Co. KG Dentales Handstück
CN103607942A (zh) * 2011-04-08 2014-02-26 卡尔斯特里姆保健公司 具有用于图像稳定的液体透镜的口腔内窥镜
JP5796408B2 (ja) * 2011-08-24 2015-10-21 オムロンヘルスケア株式会社 口腔ケア装置
USD780182S1 (en) * 2013-03-11 2017-02-28 D4D Technologies, Llc Handheld scanner
DE202013007639U1 (de) 2013-08-27 2013-11-13 Benno Raddatz Modulare Multifunktions-Behandlungs- und Operationsleuchte für die Medizin und Zahnmedizin
USD741935S1 (en) * 2014-02-11 2015-10-27 Gregory S. Sundheim Lighted dental camera
CN106255447A (zh) * 2014-03-11 2016-12-21 克拉格·S·科勒 牙科器械相机设备及其使用方法
USD918209S1 (en) * 2019-03-08 2021-05-04 D4D Technologies, Llc Handheld scanner tip
MX2022000668A (es) * 2019-07-16 2022-05-20 Beta Bionics Inc Dispositivo ambulatorio y componentes del mismo.
USD908160S1 (en) * 2019-07-30 2021-01-19 Yingjie Sun Digital oral camera
KR102637594B1 (ko) * 2021-01-18 2024-02-16 주식회사 메디트 구강 스캐너의 모드 제어 방법 및 구강 스캐너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093418A (ja) * 2001-06-01 2003-04-02 Ivoclar Vivadent Ag 光分析装置
WO2004004554A1 (ja) * 2002-07-03 2004-01-15 Kabushiki Kaisha Shofu 歯面情報システム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861002A (en) * 1991-10-18 1999-01-19 Desai; Ashvin H. Endoscopic surgical instrument
US5771067A (en) * 1992-09-11 1998-06-23 Williams; Ronald R. Dental video camera with an electrically adjustable iris
US6249348B1 (en) * 1998-11-23 2001-06-19 Lj Laboratories, L.L.C. Integrated spectrometer assembly and methods
US6945981B2 (en) * 2000-10-20 2005-09-20 Ethicon-Endo Surgery, Inc. Finger operated switch for controlling a surgical handpiece
US7139016B2 (en) * 2001-02-28 2006-11-21 Eastman Kodak Company Intra-oral camera system with chair-mounted display
CN1275131C (zh) * 2001-08-22 2006-09-13 夏普株式会社 触摸传感器、带触摸传感器的显示装置和位置数据产生方法
JP2003297172A (ja) * 2002-03-29 2003-10-17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電子機器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093418A (ja) * 2001-06-01 2003-04-02 Ivoclar Vivadent Ag 光分析装置
WO2004004554A1 (ja) * 2002-07-03 2004-01-15 Kabushiki Kaisha Shofu 歯面情報システム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09363A (ko) 2020-02-27 2021-09-06 오대금속 주식회사 한 손 조작 편의성을 높인 치과수술 현미경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8063932B2 (en) 2011-11-22
AU2005224142B2 (en) 2010-05-27
CA2557708A1 (fr) 2006-08-28
DE602005010555D1 (de) 2008-12-04
US20070126865A1 (en) 2007-06-07
BRPI0508307B1 (pt) 2017-07-04
WO2005089631A1 (fr) 2005-09-29
FR2866799A1 (fr) 2005-09-02
EP1720442A1 (fr) 2006-11-15
TW200531673A (en) 2005-10-01
CN100500079C (zh) 2009-06-17
ATE411766T1 (de) 2008-11-15
EP1720442B1 (fr) 2008-10-22
TWI351269B (en) 2011-11-01
DK1720442T3 (da) 2009-02-16
IL177469A (en) 2010-05-31
CN1925782A (zh) 2007-03-07
IL177469A0 (en) 2006-12-10
ES2315860T3 (es) 2009-04-01
AU2005224142A1 (en) 2005-09-29
KR20060130678A (ko) 2006-12-19
CA2557708C (fr) 2013-10-01
FR2866799B1 (fr) 2006-04-21
JP4847948B2 (ja) 2011-12-28
BRPI0508307A (pt) 2007-07-17
JP2007526810A (ja) 2007-09-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02470B1 (ko) 치과용 카메라
US6762751B2 (en) Optical pointing device
KR20190092381A (ko) 햅틱 장치의 고밀도 집적
CN112119368B (zh) 脚控制的光标
JP2005509941A (ja) フィードバック発生方法及びデバイス
US6833825B1 (en) Apparatus for remotely controlling a digital processing system
CN112118799A (zh) 虚拟脚踏板
JP2022503532A (ja) 制御装置の磁気ユーザ入力アセンブリ
Schmitz et al. Liquido: Embedding liquids into 3D printed objects to sense tilting and motion
KR20160002493U (ko) 착용형 헬스케어 장치
US20070179353A1 (en) Medical probe with consistent action
CN107621698B (zh) 医疗设备的显示装置
JP2001161723A (ja) 歯科装置
US20140055414A1 (en) Touch screen using infrared ray, and touch recognition apparatus and touch recognition method for touch screen
KR101910187B1 (ko) 3차원 터치 인식을 위한 접촉 위치 및 깊이 측정 방법
JP6842281B2 (ja) X線撮影システムおよび操作パネル
EP3104388A1 (en) Input device
US20130206997A1 (en) Radiation monitor and hand-foot cloth monitor including hand monitoring unit
US20210022674A1 (en) Biological information measurement device
EP3043241A1 (en) User interaction device
CN113164051A (zh) 一种生理测量装置及其方法
KR101777731B1 (ko) 영상의 표본화 및 양자화 데이터를 이용한 접촉상태와 힘 검출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접촉상태와 힘 검출 방법
KR101691209B1 (ko) 절 계수장치
EP3144948A1 (en) Handheld push-button device
JP2003235815A (ja) 検出センサーを用いた脈拍測定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1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1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1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15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14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