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01111B1 - 전자기기 및 전자기기의 동작 방법 - Google Patents

전자기기 및 전자기기의 동작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01111B1
KR101101111B1 KR1020110017573A KR20110017573A KR101101111B1 KR 101101111 B1 KR101101111 B1 KR 101101111B1 KR 1020110017573 A KR1020110017573 A KR 1020110017573A KR 20110017573 A KR20110017573 A KR 20110017573A KR 101101111 B1 KR101101111 B1 KR 10110111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user content
location
user
navig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175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진영
조창빈
이해일
우승완
Original Assignee
팅크웨어(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팅크웨어(주) filed Critical 팅크웨어(주)
Priority to KR102011001757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0111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0111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0111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21/00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 G01C21/26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specially adapted for navigation in a road network
    • G01C21/34Route searching; Route guidance
    • G01C21/36Input/output arrangements for on-board computers
    • G01C21/3667Display of a road map
    • G01C21/367Details, e.g. road map scale, orientation, zooming, illumination, level of detail, scrolling of road map or positioning of current position marker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21/00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 G01C21/26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specially adapted for navigation in a road network
    • G01C21/34Route searching; Route guidance
    • G01C21/36Input/output arrangements for on-board computers
    • G01C21/3626Details of the output of route guidance instructions
    • G01C21/3629Guidance using speech or audio output, e.g. text-to-speech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21/00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 G01C21/26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specially adapted for navigation in a road network
    • G01C21/34Route searching; Route guidance
    • G01C21/36Input/output arrangements for on-board computers
    • G01C21/3679Retrieval, searching and output of POI information, e.g. hotels, restaurants, shops, filling stations, parking facilitie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09Arrangements for giving variable traffic instructions
    • G08G1/0962Arrangements for giving variable traffic instructions having an indicator mounted inside the vehicle, e.g. giving voice messages
    • G08G1/0968Systems involving transmission of navigation instructions to the vehicle
    • G08G1/0969Systems involving transmission of navigation instructions to the vehicle having a display in the form of a map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udiology, Speech & Language Pa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ultimedia (AREA)
  • Navig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자기기 및 전자기기의 동작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미리 정해진 키워드에 따라 획득한 사용자 콘텐츠의 출력속성을 제어함으로써, 사용자의 시인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전자기기 및 전자기기의 동작 방법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전자기기 및 전자기기의 동작 방법{Electronic Device And the Operat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전자기기 및 전자기기의 동작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획득된 사용자 콘텐츠의 출력 속성을 미리 정해진 키워드에 따라 제어하는 전자기기 및 전자기기의 동작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인터넷 망이 개방되고 위치정보와 관련된 법률이 제정됨에 따라, 위치 기반 서비스(Location Based Service: LBS)의 산업이 활성화 되고 있다. 이러한 위치 기반 서비스의 하나로서, 단말기의 현재위치를 추적하고 이에 나아가 목적지까지의 이동 경로를 파악하여 안내해주는 내비게이션 산업 또한 급격히 활성화되고 있는 상황이다.
나아가, 유/무선 통신 환경이 구축 및 개선됨에 따라, 각 종 통신 단말기를 통해 언제 어디서든지 손쉽게 다양한 정보에 엑세스(access)할 수 있게 되면서, 더욱 신속하게, 더욱 풍부한 정보를 수집하고 활용할 수 있는 방법에 대한 다양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내비게이션 단말기 분야에서도, 교통정보 및 각 종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다양한 방법에 대한 연구가 이미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으나, 이러한 정보들은 대부분 일정 시간이 지연된 후의 정보이거나, 평면적으로 구성된다는 점 때문에, 정보 송수신의 신속성 내지 정보를 사용자 중심적(User-friendly)으로 표출하지 못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의 일 과제는, 획득된 사용자 콘텐츠의 미리 정해진 키워드에 따라 출력속성을 제어하는 전자기기 및 전자기기의 동작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상술한 과제로 제한되지 아니하며, 언급되지 아니한 또 다른 과제들은 후술할 내용으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제1 양상에 따른 전자기기는, 위치 조건에 기반하여,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콘텐츠(contents)를 획득하는 통신부; 및 상기 획득된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콘텐츠 중, 키워드에 대응하는 정보를 포함하는 제1 사용자 콘텐츠와, 상기 키워드에 대응하는 정보를 포함하지 않는 제2 사용자 콘텐츠의 출력속성을 차별하여 출력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제2 양상에 따른 전자기기의 동작 방법은, 위치 조건에 기반하여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콘텐츠를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획득된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콘텐츠 중, 키워드에 대응하는 정보를 포함하는 제1 사용자 콘텐츠와 상기 키워드에 대응하는 정보를 포함하지 않는 제2 사용자 콘텐츠의 출력속성을 차별하여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본 발명에 따른 전자기기 및 전자기기의 동작 방법에 의하면, 미리 정해진 키워드에 따라서 획득한 사용자 콘텐츠의 출력속성을 제어함으로써, 미리 정해진 키워드에 해당하는 사용자 콘텐츠의 시인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 및 도2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과 관련된 시스템 환경을 개락적으로 도시한 개략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들과 관련되는 소셜 네트워크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련된 내비게이션의 개략적인 구성을 도시한 블록 구성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관련된 서버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 구성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관련된 정보 획득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관련되는 서버의 동작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관련된 정보 수신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9 내지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관련된 동적 정보 그룹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출력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출력 화면의 일 예를 도시한다.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미리 정해진 키워드의 일 예를 도시한다.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출력 속성 제어의 일 예를 도시한다.
도 1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출력 속성 제어의 일 예를 도시한다.
도 1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콘텐츠의 출력 속성을 미리 정해진 키워드에 대응되는 정보의 수에 따라 제어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콘텐츠의 출력 속성을 미리 정해진 키워드의 종류에 따라 제어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상술한 목적, 특징들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된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통해 보다 분명해질 것이다. 다만,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 예들을 가질 수 있는 바, 이하에서는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이를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서 동일한 참조번호들은 원칙적으로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 또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본 명세서의 설명 과정에서 이용되는 숫자(예를 들어, 일, 일 등)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분하기 위한 식별기호에 불과하다.
또한,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최근 트위터(twitter)나 페이스북(facebook)과 같은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Socisl Network Service)가 주목을 받고 있다.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들은 빠른 정보 파급효과를 지니고 있으며, 특히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들은 정보들이 특정한 인맥관계 또는 사회적 관계를 통해서 형성된 네트워크를 통해서 정보가 전달되는 것에 특징이 있다. 이러한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의 사용은 무선 데이터 통신망의 구축 및 스마트폰(smart phone)과 같은 무선 통신 단말들의 보급 확산과 함께 신속한 정보의 전달 및 여론 형성력 때문에, 사회의 각계 각층에서 정보의 공유를 위하여, 빠른 속도로 확산되고 있다.
본 발명에 의해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의하면, 현재 보급되어 있는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와 동일 또는 유사한 형태를 가지는 소셜 네트워크를 통하여 각종 교통정보, 관심정보 등을 수집하고, 이를 정보가 필요한 사용자(또는 사용자의 단말기)에 전송하여 줄 수 있게 될 것이다.
이하에서는, 기존의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와 본 발명에 의해 구축되는 소셜 네트워크의 차이점을 명확히 하고, 그에 따라 수집된 정보가 어떻게 정보가 필요한 단말로 정확하게 전송될 수 있는 지를 중심으로 본 발명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및 도2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과 관련된 시스템 환경을 개락적으로 도시한 개략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과 관련된 시스템 환경에는 다양한 엔터티(entity)들이 포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내비게이션(navigating electronic device, 10), 인공위성(20), 방송국(30), 각종 다양한 전자 기기(electronic device, 40,50,60,70), 서버(200) 및 네트워크(100) 등이 상기 환경에 포함될 수 있다.
내비게이션(navigator, 10)은 내비게이션의 현재 위치를 GPS신호 등에 기반하여 산출하고, 이에 기반하여 목적지까지 갈 수 있는 경로를 안내하는 등의 기능을 수행하는 전자 기기로써, 상기 네트워크(100)를 통해 상기 전자 기기(40,50,60,70)와 무선 또는 유선 방식에 의해 서로 통신할 수 있다.
본 문서에서 내비게이션(10)과 복수의 전자 기기(40,50,60,70) 또는 서버(200)가 상호 통신하는 방식은 제한되지 않는다. 본 문서의 기술적 사상은, 현존하는 전자 기기 간의 모든 무선 통신 방식과 앞으로 등장할 모든 통신 방식에서 적용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서 언급되는 내비게이션(10)은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차량용 내비게이션을 의미할 수 있으나, 내비게이션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어플리케이션(application)이 설치되어 있는 스마트 폰(smart phone) 또는 태블릿 PC(tablet PC) 등과 같이 이동성(휴대성)이 뛰어남과 동시에 다양한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될 수 있는 고성능 휴대형 전자기기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내비게이션(10)은 통신 기능을 가진 다른 전자기기를 통하여 간접적으로 네트워크(100)에 접속할 수 있으며, 상기 네트워크(100)를 통해 다양한 전자기기들, 예를 들어, 노트북(notebook, 40), 모바일 폰(mobile phone, 50), 폐쇄회로TV(70, 이하 CCTV(Closed Circuit Television)라 함) 및 서버(200) 등과 접속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스마트폰과 같은 전자기기에 의해 제공되는 테더링(tendering) 서비스등을 이용하여 네트워크(100)에 접속할 수 있으며, 또는 무선으로 네트워크(100)에 접속하기 위한 동글형태의 전자기기를 통하여 상기 네트워크(100)에 무선으로 접속할 수 있다.
내비게이션(10)은, 인공위성(20)으로부터 수신한 전파신호를 사용하여 현재의 위치를 산출할 수 있다. 각각의 인공위성(20)은 주파수 대역이 상이한 L밴드 주파수를 송신할 수 있다. 내비게이션 시스템(10)은, 각각의 인공위성(20)에서 송신된 L밴드 주파수가 내비게이션 시스템(10)에 도달하는데 까지 소요된 시간에 기초하여 현재 위치를 산출할 수 있다.
방송국(30)은 상기 네트워크(100) 또는 방송채널을 통하여 각종 정보를 상기 내비게이션(10), 상기 서버(200), 상기 전자기기들(40,50,60,70)로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내비게이션(10)은 방송국(30) 등으로부터 전송되는 방송 콘텐츠를 수신하여 재생할 수 있으며, 이와 함께 전송되는 실시간 교통 정보를 수신할 수도 있다.
상기 노트북(40), 모바일 폰(50), CCTV(70) 등은 다양한 정보를 획득하고, 이를 상기 네트워크(200)를 통해 또는 직접 상기 내비게이션(10)으로 전송할 수 있다. 또는 상기 노트북(40), 모바일 폰(50), CCTV(70) 등에 의해 획득된 정보들은 상기 네트워크(100)를 통해 또는 직접 상기 서버(200)로 전송될 수 있다.
리모트 컨트롤러(60)는 내비게이션(10)의 동작에 필요한 각종 사용자 입력 또는 명령들을 내비게이션(10)으로 전송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내비게이션(10)은 수신된 사용자 입력 또는 명령들에 대응되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들에 관련된 시스템 환경에 의하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비게이션(10)을 포함한 상기 전자기기들(40,50,60,70)은 정보를 획득하고 전송하는 전송측 전자기기들로써 동작할 수 있으며, 또는 정보를 수신하고 표시하는 수신측 전자기기들로써 동작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내비게이션(10)을 포함하는 각종 전자기기들(40,50,60,70)이 전송측 전자기기들로써 동작할 때는 제1 단말(300)이라고 언급하고, 수신측 전자기기들로써 동작할 때는 제2 단말(400)이라고 언급하기로 한다.
도 2를 참조하면, 제1 단말(300)은 네트워크(100)를 통해 서버(200) 또는 제2 단말(400)로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상기 제1 단말(300)은 도 1에 도시된 노트북(40), 모바일폰(50), CCTV(70) 또는 내비게이션(10)일 수 있다. 상기 제1 단말(300)은 텍스트 정보, 영상 정보, 음향 정보와 같은 다양한 타입의 정보들을 생성할 수 있으며, 생성된 정보는 상기 네트워크(100)를 통해 서버(200)로 전송될 수 있다.
특히, 제1 단말(300)에서 생성되는 정보를 사용자 콘텐츠(user contents)로 호칭하기로 한다. 상기 사용자 콘텐츠는 실시간 교통 관련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실시간이라는 표현은 상기 제1 단말(300)에서 생성된 정보가 상기 제2 단말(400)로 실시간으로 전송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서버(200)는, 네트워크(100)에 접속하여, 제1 단말(300)로부터 전송되는 정보를 검색/수신할 수 있다. 수신된 정보는 상기 서버(200)에 저장될 수 있다.
한편, 서버(200)는, 상기 제1 단말(300)의 위치를 계속하여 모니터링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1 단말(300)이 복수인 경우, 상기 제1 단말(300)로부터 위치정보를 주기적으로 수신하고, 수신된 위치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제1 단말(300)들의 위치를 계속하여 모니터링하고 있을 수 있다.
한편, 서버(200)는, 상기 제1 단말(300)의 위치를 모니터링하기 위하여, 상기 제1 단말(300)로부터 위치정보를 수신하되, 주기적으로 수신하는 대신, 특정 이벤트가 발생하였을 때 상기 제1 단말(300)로부터 위치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위치정보는 상기 서버(200)의 요청에 의해 전송될 수도 있다. 또는, 제1 단말(300)이 미리 정해진 이벤트의 발생을 감지한 경우에, 서버(200)의 특별한 요청 없이, 상기 제1 단말(300)의 위치정보를 서버(200)로 전송할 수 있다.
서버(200)는, 상기 제2 단말(400)의 위치도 함께 모니터링할 수 있다. 제2 단말(400)의 위치를 모니터링하는 방법은 제1 단말(300)의 위치를 모니터링 하는 방법과 동일하거나 유사하다.
제2 단말(400)은, 상기 서버(200)에 조건정보를 전송할 수 있으며, 서버(200)는 제2 단말(400)로부터 수신된 조건정보를 고려하여, 조건에 부합하는 정보를 제2 단말(400)로 전송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서버(200)는 제2 단말(400)에 대한 맞춤형 정보를 구성하여 제2 단말(400)로 전송할 수 있다. 제2 단말(400)은, 바람직하게, 상기 내비게이션(10)일 수 있다.
상기 네트워크(100)는 다양한 방식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관련된 네트워크는 소셜 네트워크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들에 관련된 소셜 네트워크를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들과 관련되는 소셜 네트워크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소셜 네트워크는, 웹 사이언스의 연구 분야 중 하나로, 웹 상에서 개인 또는 집단이 하나의 노드(node)가 되어 각 노드들 간의 상호의존적인 관계(tie)에 의해 만들어지는 사회적 관계 구조를 말한다. 이 때, 모든 노드들은 네트워크 안에 존재하는 개별적인 주체들이고, 타이(tie)는 각 노드들 간의 관계를 뜻한다(이상, 출처는 위키백과).
본 발명에 의한 소셜 네트워크는 제1 노드(node, A)를 중심으로 하여, 제1 노드(A)와 관계(relationship)를 가지는 하나 이상의 제2 노드들(B,C,D,E,F,G,H,I)을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및 제2 노드들(A,B,C,D,E,F,G,H,I)은 특정 위치, 특정 도로, 특정 건물, 특정 사용자, 특정 단말 등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1 노드(A)가 특정 사용자인 경우, 상기 사용자와 관계를 가지고 있는 다른 사용자 또는 단말들은 제2 노드로써 상기 특정 사용자와 함께 상기 소셜 네트워크(100)를 구성할 수 있다.
상기 제1 노드(A)가 특정 도로인 경우, 상기 특정 도로와 관계를 가지고 있는 다른 도로, 건물, 단말 또는 사용자들은 제2 노드로써, 상기 특정 도로와 함께 소셜 네트워크(100)를 구성할 수 있다.
상기 제1 노드(A)가 특정 건물인 경우, 상기 특정 건물과 관계를 가지고 있는 다른 건물, 도로, 단말 또는 사용자들은 제2 노드로써, 상기 특정 건물과 함께 소셜 네트워크(100)를 구성할 수 있다.
싱기 제1 노드(A)가 특정 위치인 경우, 상기 특정 위치와 관계를 가지고 있는 다른 위치, 도로, 건물, 단말 또는 사용자들은 제2 노드로써, 상기 특정 위치와 함께 소셜 네트워크(100)를 구성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소셜 네트워크(100)는 특정 노드를 중심으로 하여 형성되는 것이므로, 특정 노드에 따라 다양한 소셜 네트워크(100)가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특정 노드가 ‘남부순환도로’, 스타타워’, ‘강남역’, ‘여의도’ 등인 경우, 상기 각 특정 노드들을 중심으로 형성되는 정보 네트워크들(500)은 서로 다를 수 있다. 이 때, 각 정보 네트워크들(500)은 서로 일치하지 않을 수는 있으나, 하나의 정보 네트워크(100)에 포함되는 다른 노드들 중 일부는 다른 정보 네트워크(100)에도 포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남부순환도로’라는 노드를 중심으로 형성된 네트워크(100)에 사용자A 및 사용자 B가 포함되어 있다고 가정할 때, '스타타워'라는 노드를 중심으로 형성된 네트워크(100)에 사용자 A 및 사용자C가 포함되어 있을 수 있다. 즉, 사용자A라는 노드는 '남부순환도로'를 중심으로 형성된 네트워크와 '스타타워'를 중심으로 형성된 네트워크에 모두 포함되어 있을 수 있다.
이 때, 상기 노드들(A,B,C,D,E,F,G,H,I)은, 바람직하게는, 그에 대응되는 위치속성을 가지고 있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노드들이 특정 위치, 특정 도로 특정 건물 등인 경우, 상기 특정 위치, 특정 도로 및 특정 건물 등의 위치가 상기 노드에 대응되는 위치속성일 수 있으며, 상기 노드들이 특정 사용자 또는 특정 단말기인 경우, 상기 특정 단말기 또는 상기 특정 사용자의 현재 위치가 상기 노드에 대응되는 위치속성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노드(A)는 정적 노드와 동적 노드로 구별될 수 있는데, 정적 노드는 상기 특정 위치, 특정 도로, 특정 건물 등과 같이 그에 대응되는 위치 속성이 변경되지 않는 노드를 의미하며, 동적 노드는 상기 특정 사용자 또는 상기 특정 전자기기와 같이 그에 대응되는 위치 속성이 시간이 지남에 따라 변경될 수 있는 노드를 의미한다.
또한, 상기 제1 노드(A)와 상기 제2 노드들(B,C,D,E,F,G,H,I)은 모두 관계를 가지고 있지만, B,C,E,F,G,I 노드들은 상기 제1 노드(A)와 직접적으로 관계를 맺고 있으나, D,H 노드들은 상기 제1 노드(B)와 간접적으로 관계를 맺고 있다(도면에 노드와 노드 사이를 연결하는 선은 연결된 노드들이 직접적으로 관계를 맺고 있는 경우를 의미함). 예를 들어, 노드 D는, 노드 I 또는 노드 G를 통하여 상기 제1 노드(A)와 관계를 맺고 있으며, 노드 H는, 노드 B 또는 노드 F를 통하여 상기 제1 노드(A)와 관계를 맺고 있다.
이 때, 상기 B,C,E,F,G,I 노드들은 상기 제1 노드(A)와 1차 관계를 가지고 있다고 정의하며, 상기 D,H 노드들은 상기 제1 노드(A)와 2차 관계를 가지고 있다고 정의하기로 한다. 물론, 도면에 도시되어 있지는 않으나, 상기 B,C,E,F,G,I와는 아무런 관계를 맺고 있지 않으나, D,H 노드들 중 어느 하나와 관계를 맺고 있는 노드가 있는 경우, 이러한 노드는 상기 제1 노드(A)와 3차 관계를 가지고 있다고 정의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제1 노드(A)와 제2 노드들(B,C,D,E,F,G,H,I) 사이의 관계는 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으나, 제1 노드(A)와 제2 노드들(B,C,D,E,F,G,H,I) 사이의 위치관계 등에 따라 동적으로 변경될 수 있다. 다시 말해, B사용자(제2 노드)가 역삼역(제1 노드)을 관심 지역으로 설정한 경우, 제1 노드와 제2 노드 사이에는 B사용자의 의사에 의해 소정의 관계가 형성될 수 있다. 이와는 달리, C사용자의 단말기(제2 노드)가 강남역(제1 노드)와의 거리가 일정 범위 이내에 있는 경우, 상기 C사용자는, C사용자의 의사와 무관하게, 강남역(제2 노드)과 자연스럽게 관계를 형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들에 의하면, 제1 노드는 제1 노드와 관련있는 특정 키워드를 그 속성으로 가질 수 있으며, 제2 노드를 통하여 생성되고 업로드되는 정보에 상기 특정 키워드가 포함되어 있으면, 제1 노드와 제2 노드 사이에 관계가 형성될 수 있다. 다시 말해, D사용자가 현재 남부 순환도로에 위치하고 있지는 않지만, 집에서 뉴스를 시청하던 중, 남부순환도로의 일부 구간에 화재로 인한 차량 정체가 발생한 사실을 접하게 된 경우, 집에서 ‘남부순환도로 a-b구간 화재로 인해 양방향 정체’라고 정보를 생성하여 업로드 한 경우, 제2 노드에 의해 업로드 된 ‘남부순환도로’라는 특정 키워드로 인해 남부순환도로(제1 노드)와 관계가 형성될 수도 있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제1 노드와 제2 노드 사이의 관계는, 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서로 간의 위치관계, 키워드 관계 등에 따라 계속해서 변화되는 관계를 가짐으로써, 특정 노드를 중심으로 형성된 네트워크는 특정 노드와 매우 관련성이 높은 정보를 생성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기존의 소셜 네트워크는 사용자와 사용자 사이의 사회적 관계에 의해서 사용자와 사용자 사이의 요청에 의해서만 형성될 수 있는 반면, 본 발명에 의해 안출되는 소셜 네트워크는 이러한 관계 형성에 나아가서 각 노드들의 위치관계에 따라 관계가 형성될 수 있다. 이로써, 특정 지역에서 관심 대상이 될 수 있는 다양한 교통정보 내지는 특정 위치를 중심으로 다양한 엔터티(entity)들에 의해 생성되고 업로드 되는 각종 정보들이 소셜 네트워크를 형성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특징에 따라, 본 발명에 의한 소셜 네트워크는 그 구성하고 있는 노드들이 시간이 지남에 따라 계속하여 변경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소셜 네트워크(100)가 형성될 수 있고, 상기 소셜 네트워크(100)를 통해 상기 제2 단말(400)은 각종 정보를 수신할 수 있게 된다. 예를 들어, 상기 제1 단말(300)이 제1 노드와 관련하여 사용자 콘텐츠를 생성하여 서버(200)에 전송한 경우, 상기 제1 노드와 관계성이 부여된 제2 단말(400)은 상기 서버(200)로부터 상기 제1 단말(300)에서 생성된 사용자 콘텐츠를 획득할 수 있다.
단, 본 발명의 사상은 소셜 네트워크를 통해서 각 종 전자기기들이 통신하는 것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관련되는 시스템 환경에 대해서 구체적으로 설명하였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관련되는 내비게이션의 구성과 서버의 구성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련된 내비게이션의 구성을 설명하기로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련된 내비게이션의 개략적인 구성을 도시한 블록 구성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내비게이션(10)은 통신부(110), 입력부(120), 센싱부(130), 출력부(140), 저장부(150), 전원부(160) 및 제어부(17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구성요소들이 필수적인 것은 아니어서, 차량용 내비게이션은 그보다 많은 구성요소들을 갖거나 그보다 적은 구성요소들을 갖도록 구현될 수도 있다.
이하, 상기 구성요소들에 대해 차례로 살펴본다.
통신부(110)는 내비게이션(10)과 통신 시스템 사이 또는 내비게이션(10)과 내비게이션(10)이 위치한 네트워크 사이 또는 내비게이션(10)과 다른 전자 기기(100) 사이 와의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하나 이상의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통신부(100)는, 위치 데이터 모듈(111), 무선 인터넷 모듈(113), 방송 송수신 모듈(115), 근거리 통신 모듈(117), 유선 통신 모듈(119)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위치 데이터 모듈(111)은 내비게이션(10)의 위치 데이터를 확인하거나 얻기 위한 모듈이다. 위치 데이터 모듈(111)이 위치 데이터를 획득하는 방법으로는 GNSS(Global Navigation Satellite System)를 통하여 위치 데이터를 획득하는 방법이 사용될 수 있다. GNSS는 인공위성(20)으로부터 수신한 전파신호를 이용하여 수신 단말기의 위치를 산출할 수 있는 항법 시스템을 의미한다. GNSS의 구체적인 예로는, 그 운영 주체에 따라서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Galileo, GLONASS(Global Orbiting Navigational Satellite System), COMPASS, IRNSS(Indian Regional Navigational Satellite System), QZSS(Quasi-Zenith Satellite System) 등 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따른 내비게이션(10)의 위치 데이터 모듈(111)은, 내비게이션(10)이 사용되는 지역에서 서비스하는 GNSS 신호를 수신하여 위치 데이터를 획득할 수 있다. 위치 데이터 모듈(111)은 내비게이션(10)의 현재 위치를 실시간으로 계속 산출하고, 이를 이용하여 속도 정보가 산출될 수도 있다. 특히, 상기 위치 데이터 모듈(111)에 의해 획득되는 위치 데이터는 경도와 위도를 포함할 수 있다.
무선 인터넷 모듈(113)은 무선 인터넷에 접속하여 데이터를 획득하거나 송신하는 장치이다. 무선 인터넷 모듈(113)을 통하여 접속할 수 있는 무선 인터넷은, WLAN(Wireless LAN), Wibro(Wireless broadband),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ess),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ess) 등 일 수 있다.
방송 송수신 모듈(115)은 각종 방송 시스템을 통하여 방송 신호를 수신하는 장치이다. 방송 송수신 모듈(115)을 통하여 수신할 수 있는 방송 시스템은, DMBT(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Terrestrial), DMBS(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Satellite), MediaFLO(Media Foeward Link Only), DVBH(Digital Video Broadcast Handheld), ISDBT(Integrated Services Digital Broadcast Tereestrial) 등일 수 있다. 방송 송수신 모듈(115)을 통하여 수신되는 방송 신호에는 교통데이터, 생활데이터 등이 포함될 수 있다.
근거리 통신 모듈(117)은 근거리 통신을 위한 모듈을 말한다. 근거리 통신 기술로 블루투스(Bluetooth),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적외선 통신(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UWB(Ultra Wideband), ZigBee 등이 이용될 수 있다.
유선 통신 모듈(119)은 내비게이션(10)에 연결되는 다른 전자 기기와의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예를 들어, 유선 통신 모듈(119)은, USB Port를 통하여 통신할 수 있는 USB 모듈일 수 있다.
입력부(120)는 내비게이션(10)의 동작 제어를 위한 입력 데이터를 발생시키는 모듈로서, 외부로부터의 물리적 입력을 특정한 전기 신호로 변환하여 입력 데이터를 발생시킬 수 있다. 입력부(120)는 사용자 입력 모듈(121), 마이크(123) 및 영상 획득 모듈(125)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 입력 모듈(121)은 사용자로부터 내비게이션(10)의 동작 제어를 위한 제어 입력을 수신한다. 사용자 입력 모듈은 키 패드(key pad) 돔 스위치 (dome switch), 터치 패드(정압/정전), 조그 휠, 조그 스위치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마이크(123)는 사용자의 음성 및 차량의 내외부에서 발생한 음향을 수신하는 장치이다.
영상 획득 모듈(125)은 차량의 내외부의 영상의 획득하는 장치이다. 예를 들어, 상기 영상 획득 모듈(125)은 카메라를 포함할 수 있다. 영상 획득 모듈(125)은 반드시 내비게이션(10)에 포함되어야 하는 필수 구성요소는 아닐 수 있다. 내비게이션(10)은 필요에 따라, 차량 내외부의 영상을 획득할 수 있는 별도의 디바이스, 예를 들어, 차량용 블랙박스 등과 같은 다른 독립된 전자기기와 연동될 수 있으며, 이러한 전자기기를 통하여, 영상 획득 모듈(125)을 대신하여, 영상 정보를 획득할 수 있게 된다.
센싱부(130)는 내비게이션(10)의 현재 상태를 감지하여 내비게이션(1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센싱 신호를 발생시킨다. 센싱부(130)는 모션 센싱 모듈(131), 광 센싱 모듈(133)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모션 센싱 모듈(131)은 내비게이션(10)의 3차원 공간 상에서의 움직임을 감지할 수 있다. 모션 센싱 모듈(131)은, 3축 지자기 센서 및 3축 가속도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모션 센싱 모듈(131)을 통하여 획득한 움직임 데이터를 위치 데이터 모듈(111)을 통하여 획득한 위치 데이터와 결합하여, 내비게이션(10)을 부착한 차량의 보다 정확한 궤적을 산출할 수 있다.
광 센싱 모듈(133)은 내비게이션(10)의 주변 조도(illuminance)를 측정하는 장치이다. 광 센싱 모듈(133)을 통하여 획득한 조도 데이터를 이용하여, 디스플레이부(145)의 밝기를 주변 밝기에 대응되도록 변화시킬 수 있다.
출력부(140)는 내비게이션(10)이 데이터를 출력하는 장치이다. 출력부(140)는 디스플레이 모듈(141), 오디오 출력 모듈(143)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모듈(141)은 내비게이션(10)이 시각적으로 인식될 수 있는 데이터를 출력하는 장치이다. 한편, 디스플레이 모듈(141)이 터치스크린인 경우라면, 데이터의 출력부(140)인 동시에 입력부(120)의 역할을 동시에 할 수 있음은 전술한 바와 같다.
오디오 출력 모듈(143)은 청각적으로 인식될 수 있는 오디오 데이터를 출력한다. 오디오 출력 모듈(143)은, 내비게이션(10)에서 수행되는 기능(예를 들어, 경로 안내 기능)과 관련된 오디오 신호를 출력한다. 이러한 오디오 출력 모듈(143)에는 리시버(Receiver), 스피커(speaker), 버저(Buzzer)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저장부(150)는 내비게이션(10)의 동작을 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할 수 있고, 내비게이션(10)과 관련하여 입/출력되는 데이터(경로 데이터, 영상 데이터)들을 임시 저장할 수도 있다. 또한, 저장부(150)는 경로 안내 서비스에 사용되는 지도(map) 데이터를 저장할 수도 있다. 저장부(150)는 내비게이션(10)의 내부에 내장되거나, 탈부착이 가능하며, 플래시 메모리 타입(flash memory type), 하드디스크 타입(hard disk type), 멀티미디어 카드 마이크로 타입(multimedia card micro type), 카드 타입의 메모리(예를 들어 SD 또는 XD 메모리 등), 램(Random Access Memory, RAM), SRAM(Static Random Access Memory), 롬(ReadOnly Memory, ROM),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PROM(Programmable ReadOnly Memory), 자기 메모리, 자기 디스크, 광디스크 중 적어도 하나의 타입의 저장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내비게이션(10)은 인터넷(internet)상에서 상기 저장부(150)의 저장 기능을 수행하는 웹 스토리지(web storage)와 관련되어 동작할 수도 있다.
전원부(160)는 외부의 전원, 내부의 전원을 인가받아 내비게이션(10)의 각 구성요소들 또는 내비게이션(10)에 연결된 다른 디바이스의 동작을 위하여 필요한 전원을 공급한다.
제어부(170)는 통상적으로 내비게이션(1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나아가, 제어부(170)는 내비게이션(10)에 연결된 다른 디바이스를 제어하는 제어신호를 출력할 수도 있다. 상기 제어부(170)는 앞서 설명한 다른 모듈(즉, 통신부(110), 입력부(120), 센싱부(130), 출력부(140), 저장부(150), 전원부(160) 등)과 정보 및/또는 제어신호를 송/수신 하기 위한 입출력부(즉, 인터페이스부)를 구비할 수 있다.
이어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관련된 서버의 구성에 대해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관련된 서버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 구성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서버(200)는 통신부(210), 데이터베이스(230) 및 제어부(220)을 포함할 수 있다. 도 5에 도시된 구성요소들이 필수적인 것은 아니어서, 서버(200)는 그보다 많은 구성요소들을 갖거나 그보다 적은 구성요소들을 갖도록 구현될 수도 있다.
이하, 상기 구성요소들에 대해 차례로 살펴본다.
제2 통신부(210)는 서버(200)와 상기 네트워크(100)에 연결된 각 종 전자기기와 통신을 가능하게 한다. 예를 들어, 제2 통신부(210)는, 유/무선을 통하여 무선 통신을 할 수 있는 각종 통신 모듈들을 포함할 수 있다.
데이터베이스(230)는 상기 네트워크(100)로부터 수집된 각종 정보(예를 들어, 사용자 콘텐츠)들을 저장할 수 있다. 상기 데이터 베이스(230)는, 앞서 설명한 내비게이션(10)의 저장부(150)와 같이, 다양한 타입의 저장매체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상기 데이터베이스(230)는 예를 들어, 상기 제1 단말(300)에서 생성된 사용자 콘텐츠를 저장할 수 있다.
제2 제어부(220)는 통상적으로 서버(2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상기 제2 제어부(220)는, 위치정보 처리 모듈(221), 정보 수집 모듈(222), 조건 처리 모듈(224) 및 정보 전송 모듈(226)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위치정보 처리모듈(221)은, 상기 제1 단말(300) 및/또는 상기 제2 단말(400)로부터 상기 제1 단말(300) 및/또는 상기 제2 단말(400)에 대응되는 위치정보를, 상기 제2 통신부(210)를 통하여,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위치정보에 근거하여 필요한 정보를 산출한다.
상기 필요한 정보는 상기 제1 단말(300) 및/또는 상기 제2 단말(400)이 위치하는 구간 정보, 상기 제1 단말(300) 및/또는 상기 제2 단말(400)의 이동속도 정보, 상기 제1 단말(300) 및/또는 상기 제2 단말(400)의 이동방향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서버(200)는 상기 제1 단말(300)의 위치 정보를 복수 회 획득함으로써, 상기 제1 단말(300)의 시간에 따른 위치의 변화를 기초로 이동속도 정보, 이동방향 정보 등을 획득할 수 있다.
동일한 방식으로 상기 서버(200)는 상기 제2 단말(400)의 위치 정보를 복수 회 획득함으로써, 상기 제2 단말(400)의 이동속도 정보, 이동방향 정보 등을 획득할 수 있다.
상기 위치정보 처리 모듈(221)은, 상기 산출된 정보들을, 상기 제2 통신부(210)를 통하여, 상기 제1 단말(300) 및/또는 상기 제2 단말(400)로 전송할 수 있다.
상기 정보 수집 모듈(222)은, 상기 제2 통신부(210)를 통하여, 네트워크(100)로부터 필요한 정보들을 수집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한편, 상기 정보 수집 모듈(222)은, 상기 제2 통신부(210)를 통하여 수집된 정보들 중, 미리 정해진 조건에 부합하는지 판단하고, 상기 조건에 부합하지 않는 경우, 수집된 정보를 상기 데이터베이스(230)에 저장하지 않고 폐기하거나 또는 데이터베이스(230)에 일시적으로 저장하였다가 폐기하는 필터링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수집된 정보들 중 동일한 구간 및/또는 위치에 대응되는 정보들(이하, 동일 구간 정보라 함)을 고려하여, 동일 구간 정보들로부터 획득되는 정보들의 평균값 및/또는 편차 등을 산출한 후, 미리 정해진 기준 범위를 벗어나는 정보는 상기 데이터베이스(230)에 저장하지 않고 필터링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제어부(220)는, 수집된 정보에 평가 정보를 부여하는 동작을 수행할 수도 있다. 수집된 정보에 부여되는 평가 정보는 다양한 기준에 의해 산출될 수 있다.
상기 조건 처리 모듈(224)은, 상기 제2 통신부(210)를 통하여, 상기 제2 단말(400)로부터 수신된 조건 정보를 처리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하에서 구체적으로 설명하겠지만, 특히, 조건 처리 모듈(224)은, 상기 조건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데이터베이스(230)에 저장되어 있는 정보들 중, 혹은 상기 네트워크(100) 상의 정보들로부터 조건에 부합하는 정보들을 검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조건 처리 모듈(224)은 상기 데이터 베이스(230)에 저장되어 있는 정보들 중 상기 조건 정보에 부합하는 정보들을 추출한다. 상기 조건 처리 모듈(224)에 의해 추출된 정보들은 상기 조건을 구성하는 내용에 따라 서로 달라질 수 있다.
전술한 바에 따라 추출된 정보들을, 본 문서에서 동적 정보 그룹이라고 정의하기로 한다.
조건 처리 모듈(224)이 조건 정보에 기반하여 동적 정보 그룹을 생성하는 것에 대해서는, 후에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정보 전송 모듈(226)은, 상기 동적 정보 그룹을 참조하여, 소정의 정보를 상기 제2 단말(400)로 전송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정보 전송 모듈(226)은, 정보를 상기 제2 단말(400)로 전송할 때, 만약 상기 제2 단말(400)로 전송하여야 할 정보(동적 정보 그룹에 포함된 정보)의 양이 미리 정해진 기준을 초과하는 경우, 그 중 일부만 상기 제2 단말(400)로 전송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정보 전송 모듈(226)은 다양한 기준에 기반하여 먼저 전송할 정보의 일부를 선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정보 전송 모듈(226)은, 상기 정보에 부여된 평가 정보 등을 고려하여 먼저 전송할 정보를 선택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전술한 시스템 환경 하에서 정보를 제1 단말과 서버의 상호 작용에 의해 사용자 콘텐츠를 획득하고 수집하는 방법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이하에서는, 도 2 를 참조하여 설명한 제1 단말(300) 및 제2 단말(400)은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 내비게이션(10)에 의해 구현되는 것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나아가,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한 제1 노드 및 제2 노드에 대응되는 특정 전자기기가 있는 경우, 상기 특정 전자기기 또한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 내비게이션(10)에 의해 구현되는 것을 상정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사상은 상기 제1 및 제2 단말(300,400) 및/또는 상기 제1 노드 및 제2 노드들에 대응되는 전자기기가 상기 내비게이션(10)에 의해 구현되는 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관련된 정보 획득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상기 내비게이션(10, 300)은 상기 입력부(120)를 통해 다양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S100).
예를 들어, 상기 사용자 입력 모듈(121)에 의해 사용자로부터 직접 입력되는 정보들이 획득될 수 있다. 또는, 상기 마이크(123)를 통해 사용자의 육성 또는 상기 내비게이션(10,300)이 부착 또는 설치되어 있는 차량 내외부에서 발생하는 음향이 획득될 수 있다. 또는 상기 영상 획득 모듈(125)를 통해 상기 내비게이션(10,300)이 부착 또는 설치되어 있는 차량 내외부의 영상이 획득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내비게이션(10,300)의 입력부(120)를 통해 획득된 정보를 사용자 컨테츠라고 언급할 수 있다.
상기 내비게이션(10,300)은 위치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S110).
예를 들어, 상기 내비게이션(10,300)은 상기 위치데이터 모듈(111)에 의해 수신되는 GPS신호를 이용하여, 상기 내비게이션(10,300)이 현재 위치하고 있는 좌표값(예를 들어, 경도 및 위도 좌표)을 산출할 수 있다.
이어서, 내비게이션(10,300)은 상기 사용자 콘텐츠를 서버(200)로 전송할 수 있다(S120).
이 때, 내비게이션(10,300)은 상기 획득된 위치정보를 상기 서버(200)로 전송할 수 있다.
나아가 내비게이션(10,300)은 상기 사용자 콘텐츠에 대응되는 사용자 콘텐츠 생성 시각 정보, 사용자 콘텐츠 생성자 식별자, 사용자 콘텐츠 생성 단말기 식별자 중 적어도 하나를 더 서버(200)로 전송할 수 있다. 이러한 정보들은 후술할 부가 정보로서 이용될 수 있다.
상기 위치 정보는 상기 사용자 콘텐츠가 획득되는 시점을 전후로 하여 산출된 위치 정보일 수 있다.
상기 위치 정보는 상기 사용자 콘텐츠가 획득되는 동안 상기 서버(200)로 전송될 수 있으며, 상기 사용자 콘텐츠가 상기 서버(200)로 전송되는 동안 함께 전송될 수 있으며, 상기 사용자 콘텐츠가 상기 서버(200)로 전송된 후에 전송될 수 있다.
상기 위치 정보는 상기 사용자 콘텐츠에 대응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내비게이션(10,300)에 의해 획득되는 제1 사용자 콘텐츠는 A 위치에서 생성되었고, 제2 사용자 콘텐츠는 B 위치에서 생성된 경우, 제1 사용자 콘텐츠는 A 위치에 대응될 수 있으며, 상기 제2 사용자 콘텐츠는 B 위치에 대응될 수 있다.
한편, 하나의 콘텐츠에 대응되는 위치정보는 복수일 수 있다. 제3 사용자 콘텐츠를 획득하는 동안 내비게이션(10,300)의 위치는 시간에 따라 변경될 수 있는데, 이에 따라 제3 사용자 콘텐츠에는 복수의 위치정보가 대응될 수 있는 것이다. 예를 들어, 상기 제3 사용자 콘텐츠가 도로 주행 중 획득된 주행 영상인 경우, 주행 영상을 획득하기 시작한 시점에서 내비게이션(10,300)이 C 위치에 위치하였었고, 주행 영상을 획득하기 시작한 시점에서 일정시간이 지나간 시점에서 내비게이션(10,300)이 D 위치에 위치하였엇고, 주행 영상 획득을 종료한 시점에서 내비게이션(10,300)이 E 위치에 위치하였던 경우, 상기 제3 사용자 콘텐츠에 대응되는 위치 정보는 C 위치, D 위치, E 위치가 될 수 있다. 물론, 하나의 콘텐츠에 3개 이상의 위치정보가 대응될 수도 있으며, 또는 1개의 위치정보가 대응될 수 있는 것은 자명하다.
전술한 바와 같이, 사용자 콘텐츠에는 시각 정보가 대응될 수 있다. 시각 정보가 대응되는 방법은 위치 정보가 사용자 콘텐츠에 대응되는 방법과 동일하거나 유사하다.
상기 내비게이션(10,300)은, 상기 사용자 콘텐츠에 대응되는 속도 정보, 방향 정보, 구간 정보 등을 더 산출할 수도 있다. 속도 정보, 방향 정보 및 구간 정보 등이 더 산출된 경우, 산출된 정보들은 상기 서버(200)로 전송될 수 있다.
상기 콘텐츠에 대응되는 속도 정보, 방향 정보 및 구간 정보 등은, 각각 사용자 콘텐츠가 획득하고 있는 동안 산출되는 내비게이션(10,300)의 이동 속도, 이동 방향 및 내비게이션(10,300)의 위치가 속해 있는 특정 도로 구간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1 단말(300)이 ‘양재역’에 위치하고 있는 때, 상기 제1 단말(300)의 사용자가 ‘양재역에서 강남역 방면으로 서행 중’이라고 정보를 입력한 경우, 사용자가 입력한 정보와 함께 ‘양재역’이라는 위치정보가 함께 상기 서버(200)로 전송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위치 정보는, 앞서 설명한, 위치 데이터 모듈(111)에 의해 획득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위치 정보는 ‘양재역’이라는 텍스트의 형태로 전송될 수도 있으나, 상기 위치 데이터 모듈(111)에 의해 획득되는 경도좌표와 위도좌표의 형태로 전송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제1 단말(300)은, 상기 정보를 상기 서버(200)로 전송할 때, 상기 획득된 정보에 관련된 방향정보를 함께 전송할 수 있다. 상기 방향 정보는, 상기 제1 단말(300)에 의해 정보가 획득될 당시에 상기 제1 단말(300)이 진행하고 있는 방향을 반영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1 단말(300)이 강남대로 상에서 ‘양재역’에서 ‘강남역’ 방면으로 진행하고 있는 때, 상기 제1 단말(300)의 마이크(123)를 통해 사용자가 ‘양재역에서 강남역 방면으로 소통원활’이라고 말하는 육성이 획득된 경우, 상기 획득된 사용자의 육성(즉, 음성 정보)을 상기 방향정보와 함께 상기 서버(200)로 전송될 수 있다.
상기 속도 정보는 전술한 바에 따라 획득된 복수의 위치정보에 의해 산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위치정보가 주기적으로 획득되고 있는 경우, 복수의 위치정보 간의 거리와 미리 설정되어 있는 획득 주기를 이용하여, 내비게이션(10)의 이동속도가 산출될 수 있다. 상기 속도 정보는, 이와는 달리, 상기 내비게이션(10,300)이 설치되어 있는 차량으로부터 직접 획득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차량에 설치되어 있는 엔진 제어 유닛(Engine Control Unit, ECU)으로부터 상기 차량의 속도 정보가 획득될 수 있다.
상기 방향 정보는 전술한 바에 따라 획득된 복수의 위치정보에 의해 산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콘텐츠를 획득하고 있는 동안 복수의 위치정보가 획득된 경우, 복수의 위치 정보에 의해 형성되는 궤적의 방향에 의해 상기 방향 정보가 산출될 수 있다.
상기 구간 정보는 전술한 바에 따라 획득된 복수의 위치정보에 의해 산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복수의 위치정보가 지도 데이터 상의 도로 구간(예를 들어, 테헤란로 역삼역-강남역 구간)에 포함되는 경우, 상기 지도 데이터 상의 도로 구간이 상기 구간 정보가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위치정보 및/또는 상기 방향정보는 전송할 정보(즉, 사용자 콘텐츠)에서부터 추출되는 정보일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제1 단말(300)을 통해 사용자가 ‘양재대로 과천방면 소통원활’이라고 입력한 경우, 상기 제1 단말(300)은 사용자가 입력한 정보로부터 위치정보 및/또는 방향정보를 추출할 수 있다. 즉, 위치정보로써 ‘양재대로’가 추출될 수 있으며, 방향정보로써 ‘과천방면’이 추출될 수 있다.
또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위치정보는 입력되는 정보(즉, 사용자 콘텐츠)와 관련되는 노드에 부여된 위치속성을 반영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 노드로써 ‘강남역’이 존재하는 경우, 상기 제1 단말(300)은 상기 ‘강남역’과 관계를 가지는 제2 노드로써, 상기 ‘강남역’이라는 노드에 대해 ‘사거리 신호고장’이라고 입력한 경우, 입력된 정보는 그에 관련된 위치정보인 ‘강남역’과 함께 상기 서버(200)로 전송될 수 있다. 만약, 상기 제1 노드에 방향속성도 부여되어 있는 경우에는, 상기 제1 노드에 부여된 방향속성을 반영하는 방향정보가 상기 서버(200)로 전송될 수 있다.
전술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해 산출된 정보는 상기 사용자 콘텐츠가 획득되는 동안 상기 서버(200)로 전송될 수 있으며, 상기 사용자 콘텐츠가 상기 서버(200)로 전송되는 동안 함께 전송될 수 있으며, 상기 사용자 콘텐츠가 상기 서버(200)로 전송된 후에 전송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내비게이션(10,300)은 상기 서버(200)로 사용자 콘텐츠 및 위치 정보를 전송함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콘텐츠에 대응되는 사용자 콘텐츠 생성 시각 정보, 사용자 콘텐츠 생성자 식별자, 사용자 콘텐츠 생성 단말기 식별자 중 적어도 하나를 전송할 수 있다. 즉, 상기 내비게이션(10, 300)은 속도 정보, 방향 정보, 구간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상기 서버(200)로 전송하지 않을 수 있다.
이 경우, 전술한 속도 정보, 방향 정보, 구간 정보 등은 서버에 의해 산출될 수 있다. 상기 서버(200)에 의해 속도 정보, 방향 정보, 및 구간 정보가 산출되는 방법은 앞서 내비게이션(10,300)에 의해 산출되는 방법과 동일하거나 유사하다. 즉, 서버(200)는 상기 내비게이션(10,300)으로부터 수신되는 복수의 위치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속도 정보, 방향 정보, 구간 정보 등을 산출할 수 있다.
또는, 서버(200)는, 상기 내비게이션(10,300)으로부터 수신된 사용자 콘텐츠로부터 상기 방향 정보, 위치 정보 또는 구간 정보를 추출할 수 있다.
또는 서버(200)는, 상기 내비게이션(10,300)으로부터 수신된 사용자 콘텐츠와 관련되는 노드에 부여된 위치속성으로부터 상기 위치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전술한 바에 따라, 상기 제1 단말(300)에 의해 정보(사용자 콘텐츠)가 획득될 수 있으며, 획득된 정보는 상기 서버(200)로 전송될 수 있다. 또한, 정보(사용자 콘텐츠)는 위치 정보, 속도 정보, 방향 정보 및 구간 정보 중 어느 하나 이상에 대응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전술한 시스템 환경 하에서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관련되는 서버의 동작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먼저, 서버(200)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각종 정보(예를 들어, 사용자 콘텐츠 등)를 네트워크(100)로부터 수신한다(S200).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서버(200)는 상기 제1 단말(300)에서 생성된 사용자 콘텐츠 및 상기 사용자 콘텐츠에 대응하는 위치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나아가, 상기 서버(200)는 상기 제1 단말(300)로부터 사용자 콘텐츠 생성 시각 정보, 사용자 콘텐츠 생성자 식별명, 사용자 콘텐츠 생성 단말기 식별자, 이동 방향 정보, 구간 정보, 속도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더 획득할 수 있다.
이어서, 서버(200)는, 수신된 정보를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한다(S210).
한편, 상기 서버(200)는 상기 구간 정보, 이동 방향 정보, 속도 정보를 상기 제1 단말(10, 300)로부터 제공받지 못한 경우, 전술한 방법으로 위치 정보에 기반하여 직접 산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서버(200)는 상기 산출한 결과를 상기 사용자 콘텐츠에 대응하여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수신된 정보는 선택적으로 저장될 수 있다. 즉, 수신된 정보는 모두 저장될 수도 있으며, 수신된 정보의 일부만 저장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서버(200)는 소셜 네트워크(100)를 통하여 수신된 정보의 내용을 미리 정해진 기준에 따라 평가한 후에, 상기 기준에 부합되는 정보만을 선택적으로 저장할 수 있다. 이러한 미리 정해진 기준은 서버(200)에서 내비게이션(10)으로 제공하고자 하는 정보의 목적을 반영하여 결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내비게이션(10)으로 교통관련정보를 전송하고자 하는 경우, 상기 서버(200)는 수신된 정보가 교통관련정보를 포함하고 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으며, 교통관련정보가 포함되어 있지 않다고 판단되는 경우, 수신된 정보는 저장하지 않고 폐기할 수 있다. 이하에서, 수신된 정보를 선택적으로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서버(200)의 동작을 ‘필터링 동작’ 또는 ‘필터링’이라고 포괄적으로 언급하기로 한다.
서버(200)는 수신된 정보(즉, 사용자 콘텐츠)를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함에 있어서, 내비게이션용 지도 데이터에 매핑하여 저장할 수 있다. 서버(200)는 상기 사용자 콘텐츠가 대응되는 위치정보 및/또는 구간 정보를 이용하여 수신된 정보를 지도 데이터에 매핑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서버(200)는 상기 제1 단말(300)로부터 획득된 위치 정보가 차량이 진입할 수 없는 지역 예를 들어, 호수 내에 위치한 경우, 차량이 주행할 수 있는 가장 인접 위치로 획득된 위치 정보를 수정하여 맵 매핑 시킬 수 있다.
상기 정보는 위치정보 및/또는 구간 정보에 따라 분류되어 저장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정보는, 시/군/구와 같은 행정구역별로 분류되어 저장될 수 있고, 외곽순환도로, 남부순환도로, 올림픽도로와 같은 도로별로 구분되어 저장될 수 있다. 또는 더 세분화 되어 외곽순환도로의 A-B구간, 남부순환도로의 C-D구간과 같이 미리 정해진 도로의 구간에 대해 분류되어 저장될 수 있다.
나아가, 상기 정보는 정보에 포함되어 있는 방향정보를 더 고려하여 분류하여 저장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외곽순환도로의 A-B구간의 A방향 또는 외곽순환도로의 A-B구간의 B방향으로 분류되어 저장될 수 있다.
서버(200)는, 상기 정보에 대응되어 있는 속도 정보를 더 고려하여 분류하여 저장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서버(200)는, 상기 정보에 평가 정보를 부가하여 함께 저장할 수 있다. 상기 평가 정보는 상기 정보의 신뢰성을 대표하는 것일 수 있다. 예를 들어, 평가 정보의 등급이 높을수록 신뢰도 높은 정보임을 나타낼 수 있고, 반대로 평가 정보의 등급이 낮을수록 신뢰도 낮은 정보임을 나타낼 수 있다.
상기 정보에 평가 정보를 부여하는 방식을 매우 다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정보를 전송한 사용자 또는 단말기에 부여된 평가정보를 고려하여 산출할 수 있다. 또는 상기 정보가 교통관련정보를 포함하고 있는 경우, 다른 교통정보제공 서버로부터 제공되는 교통정보등과 비교한 결과를 고려하여 상기 평가 정보가 산출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서버(200)는, 상기 정보에 대응되어 있는 시각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정보가 획득된 후 일정 시간이 지난 후에 상기 정보를 폐기할 수 있다.
이어서, 서버(200)는, 제2 단말(400)로부터 조건을 수신한다(S220).
상기 조건은 상기 제2 단말(400)에서 생성된 것으로써, 내비게이션(10)은 다양한 알고리즘에 의해 생성될 수 있다. 제2 단말(400)이 조건을 생성하는 것에 대한 구체적인 실시예는 후술하기로 한다.
상기 조건은 특정 사용자, 특정 단말, 위치, 시각 및 방향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서버(200)는, 상기 수신된 조건을 고려하여, 몇몇 정보를 선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조건 정보가 위치 및 방향을 포함하고 있는 경우, 상기 서버(200)는, 상기 위치 및 방향에 대응되는 제1 단말들(예를 들어, 상기 위치를 상기 방향으로 통과한 제1 단말들)로부터 전송된 정보를 선택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서버에 저장되어 있는 복수의 정보들로부터, 또는 상기 소셜 네트워크(100)를 통해 억세스가 가능한 복수의 정보들로부터 적어도 하나 이상이 선택된 동적 정보 그룹을 구성할 수 있다. 동적 정보 그룹은 상기 제2 단말(400)에서 생성되어 전송되는 조건과 밀접한 관련이 있으므로, 이에 대해서는 제2 단말(400)이 조건을 생성하는 구체적인 실시예를 후술하면서 함께 설명하기로 한다.
서버(200)는, 수신된 조건을 고려하여, 수집된 정보 중 일부를 선택해 상기 제2 단말로 전송한다(S230).
서버(200)는, 수신된 조건을 고려하여, 수집된 정보 중 일부를 선택해 동적 정보 그룹을 생성할 수 있다. 이어서, 서버(200)는, 동적 정보 그룹에 포함된 정보를 상기 제2 단말(400)로 전송할 수 있다. 즉, 서버(200)는, 수집된 정보로부터 구성된 동적 정보 그룹에 포함되는 정보를 제2 단말(400)으로 전송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서버(200)는 상기 제1 단말(300)에 의해 획득된 정보를 그대로 저장하고 있다가, 상기 제2 단말(400)로 별다른 가공 없이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단말(300)에 의해 차량 운행 중에 획득된 운행영상이 촬영된 경우, 서버(200)는 상기 촬영된 영상을 수신/저장하고 있다가, 상기 운행 영상이 수신된 조건에 부합하는 경우, 상기 영상을 별다른 가공 없이 그대로 제2 단말(400)로 전송할 수 있다.
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서버(200)는, 상기 제1 단말(300)에 의해 획득된 정보를 저장하고 있다가, 상기 제2 단말(400)로 전송하기 전에 상기 정보를 가공한 후, 가공된 정보를 제2 단말(400)로 전송할 수 있다. 정보를 가공하는 방법은 다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서버(200)는 사용자 콘텐츠를 상기 제2 단말(400)로 전송함에 있어서, 사용자 콘텐츠에 대한 부가 정보를 더 포함시켜 전송할 수 있다. 이러한 부가 정보에는 사용자 콘텐츠 생성 시각 정보, 사용자 콘텐츠 생성자의 식별 정보, 사용자 콘텐츠 생성 단말의 이동 방향, 사용자 콘텐츠의 생성 단말의 위치정보, 사용자 콘텐츠 생성 단말의 이동 속도 정보, 사용자 콘텐츠가 생성된 구간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부가 정보 중 일부는 상기 제1 단말(300)로부터 상기 서버(200)가 획득한 것일 수 있고, 상기 부가 정보 중 또 다른 일부는 상기 제1 단말(300)로부터 획득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서버(200)가 생성한 것일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하면, 서버(200)는 다양한 관계에 의해서 형성되는 소셜 네트워크(100)로부터 각종 사용자 콘텐츠들을 수집할 수 있으며, 이러한 정보들 중, 제2 단말(400)로부터 수신된 조건 정보를 고려하여, 몇몇 정보들을 선별한 후, 선별된 정보를 제2 단말(400)로 전송함으로써 제2 단말(400)에 꼭 필요한 정보만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사용자 콘텐츠에 대응되는 부가 정보를 함께 전송함으로써, 상기 제2 단말(400)은 보다 풍부한 정보를 하게 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관련된 정보 수신 방법을 설명하기로 한다. 특히, 상기 제2 단말(400) 측에서, 상기 서버(200)와의 상호작용에 의해, 정보를 수신하는 방법을 설명하기로 한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제2 단말(400)이 앞서 설명한 내비게이션(10)에 의해 구현되는 것을 가정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관련된 정보 수신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내비게이션(10, 400)은 이벤트를 획득할 수 있다(S300).
상기 이벤트는 다양할 수 있다. 상기 이벤트는 경로 설정과 관련될 수 있으며, 상기 이벤트는 현재의 내비게이션(10,400)의 위치와 관련될 수 있으며, 상기 이벤트는 사용자의 요청과 관련될 수 있다. 즉, 상기 내비게이션(10, 400)의 현재 위치가 변경되는 경우가 이벤트가 될 수 있으며, 상기 내비게이션(10, 400)의 현재 위치가 변경되지 않더라도, 시간의 경과도 이벤트가 될 수 있다.
이벤트가 발생하면, 조건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S310).
상기 조건 정보는 위치와 관련하여, 상기 내비게이션(10, 400)의 현재 위치와 관련된 제1 위치 정보, 상기 내비게이션(10, 400)에 설정된 목적지까지의 경로 상의 위치와 관련된 제2 위치 정보, 사용자 관심 위치와 관련된 제3 위치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위치 조건과 관련하여, 상기 내비게이션(10, 400)이 제1 위치에 위치하는 경우, 상기 제1 위치에 대한 위치 정보가 조건 정보가 되며, 상기 내비게이션(10, 400)이 제2 위치에 위치하는 경우, 상기 제2 위치에 대한 위치 정보가 조건 정보가 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위치 조건과 관련하여, 상기 내비게이션(10, 400)은 상기 내비게이션(10, 400)의 현재 위치(current position)와 목적지 위치(destination position)에 기반하여 조건 정보로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3 위치 조건과 관련하여, 상기 내비게이션(10, 400)은 사용자로부터 입력받은 관심 위치의 위치 정보를 조건 정보로 생성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내비게이션(10,400)은 사용자로부터 조건 생성에 관련된 입력을 수신하여, 수신된 입력에 기반한 조건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현재 운행하고 있는 도로, 현재 설정된 경로, 현재 위치 등과 무관하게 특정 위치에 대한 교통정보 또는 다양한 정보를 확인하고 싶은 경우, 특정 위치 등에 대한 입력을 하고, 내비게이션(10)은 입력된 정보에 기반하여 조건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현재 내비게이션(10)이 장착된 차량을 이용해 테헤란로를 주행하고 있는 도중, 양재역 부근의 교통관련 정보를 알고 싶은 경우, 입력창(IW)에 ‘양재역’이라고 입력하고, 특정 기능키(FK)를 선택하면, 양재역을 포함하는 조겅정보가 생성될 수 있다.
사용자가 위치를 입력할 수 있는 방법도 다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주행하던 중, 주변에 있는 식당에 대한 정보를 알고 싶은 경우, 해당 식당을 터치할 수 있고, 이에 따라 내비게이션(10)은 해당 식당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여 표시할 수 있다.
나아가, 상기 내비게이션(10, 400)은 상기 내비게이션(10, 400)의 현재 위치 뿐 만 아니라 상기 내비게이션(10, 400)의 이동 방향에 대한 정보에 기반하여 조건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상기 조건 정보는 방향과 관련하여, 상기 내비게이션(10, 400)의 이동방향을 기준으로 하는 제1 방향 조건, 목적지까지의 설정된 경로를 기준으로 하는 제2 방향 조건 및 사용자 관심 이동 방향을 기준으로 하는 제3 방향 조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방향 조건은 상기 내비게이션(10, 400)이 이동하는 방향을 말하는 것으로서, 상기 내비게이션(10, 400)은 시간에 따른 위치 변화 또는 지자기 센서 등을 이용하여 상기 내비게이션(10, 400)의 이동방향 조건을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내비게이션(10, 400)이 이동방향을 획득하는 방법은 전술한 사용자 콘텐츠 생성 단말기(300)가 이동방향을 산출하는 방법과 동일할 수 있으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상기 제2 방향 조건은, 상기 내비게이션(10, 400)에 사용자가 설정한 경로에 기반하여 생성되는 조건 정보이다.
또한, 제3 방향 조건은 상기 내비게이션(10, 400)이 사용자로부터 입력받은 방향을 말하는 것으로, 상기 내비게이션(10, 400)은 사용자로부터 입력받은 방향에 기초하여 조건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내비게이션(10)은 다양한 이벤트를 획득하고, 이벤트에 기반하여 다양한 종류의 조건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하면, 조건 정보에는 위치정보, 방향정보 외에도 시각 정보, 특정 사용자 정보, 특정 단말 정보 등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는데, 조건 정보가 어떠한 정보를 이용하여 구성될 지 여부는 상기 이벤트의 종류에 의해 결정될 수 있는 것이다.
전술한 방법에 따라 상기 내비게이션(10, 400)은 조건 정보를 구성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생성된 조건정보를 서버(200)로 전송하고(S320), 서버로부터 조건에 부합하는 정보를 수신한다(S330).
상기 서버(200)는 조건 정보에 부합하는 정보를 상기 내비게이션(10, 400)으로 전송하기 위하여 동적 정보 그룹을 구성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 서버(200)가 획득한 조건 정보에 기반하여 어떻게 상기 내비게이션(10, 400)으로 전송할 동적 정보 그룹을 생성하는지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9 내지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관련된 동적 정보 그룹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네트워크(100)를 통하여 수집된 정보(예를 들어, 상기 제1 단말(300)이 생성한 정보)들은 그에 대응되는 위치 정보에 기반하여 지도 데이터에 매핑되어 저장될 수 있음은 이미 설명한 바 있다. 도 9에 도시된 A,B,C,D,E,F는 도 9에 도시된 도로들을 표시하는 것이며, a,b,c,d,e,f,g,h,i는 도 9에 도시된 각 교차점을 표시하는 것이다. 또한, 도 9에 도시된 점은 네트워크(100)를 통하여 수집된 정보들이 매핑되어 있는 위치를 나타낸다. 그리고, 각 점들에 표시된 화살표는 정보에 대응되어 있는 방향 정보를 나타낸다.
앞서, 도 8의 S310단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서버(200)는 상기 내비게이션(10, 400)에서 생성된 조건 정보로서, 상기 내비게이션(10, 400)의 현재 위치 정보, 상기 내비게이션(10, 400)의 현재 위치에서 목적지까지에 대한 정보, 사용자 관심 위치에 대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획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서버(200)가 내비게이션(10, 400)으로부터, 조건정보로써, 상기 내비게이션(10, 400)의 현재 위치에 대한 정보를 수신한 경우를 먼저 설명하기로 한다.
만약, 상기 서버(200)가 내비게이션(10, 400)으로부터, 상기 내비게이션(10, 400)의 현재 위치인 e교차로에 대응되는 위치정보가 수신된 경우,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e교차로에서 특정 반경 이내를 동적 정보 영역(DA1)으로 설정하고, 상기 동적 정보 영역(DA1) 내에 매핑되어 있는 정보들을 동적 정보 그룹으로 구성할 수 있다.
이에 앞서, 상기 서버(200)가 상기 내비게이션(10, 400)으로부터 획득한 위치 정보가 차량이 주행할 수 없는 EP지점(도 9 참조)에 대응되는 경우, 상기 서버(200)는 EP 지점을 기초하여 차량이 주행할 수 있는 위치로 맵매칭시키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즉, 상기 서버(200)는 상기 내비게이션(10, 400)의 현재 위치를 EP 지점에서 도 9에 도시된 화살표 방향으로 수정하여 인식할 수 있다.
또한, 도 10에 도시된 동적 정보 영역(DA1)은 e교차로에 대한 위치 정보를 중심으로 원 형상을 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 동적 정보 영역(DA1)이 원에만 한정 되는 것은 아니며, 보다 다양한 형상, 타원, 원뿔 등이 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서버(200)가 내비게이션(10, 400)으로부터 상기 내비게이션(10, 400)의 현재 위치인 e교차로에 대응되는 위치정보와 함께, 상기 내비게이션(10, 400)의 이동 방향 정보 예를 들어, 상기 내비게이션(10, 400)이 e교차로에서 b, d, f, h 교차로 중 어느 방향으로 향하고 있는지에 대한 정보에 기반하여 동적 정보 그룹을 생성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내비게이션(10, 400)의 이동 방향 정보는 상기 서버(200)에서 산출된 것일 수도 있고, 상기 내비게이션(10, 400)에서 산출되어 상기 서버(200)로 전송된 것일 수도 있다.
또한,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상기 내비게이션(10, 400)이 e 교차로에서 b 교차로 방향으로 이동하고 있다고 상정한다.
이 경우, 상기 서버(200)는 상기 서버(200)의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사용자 콘텐츠의 이동 방향 정보에 기초하여 데이터베이스에 e교차로에서 b교차로 방향에 대응되는 사용자 콘텐츠가 저장되어 있는지 판단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서버(200)는 상기 내비게이션(10, 400)의 현재 위치인 e 교차로와 b 교차로 방향으로 이동한다는 이동 방향 정보에 부합하는 사용자 콘텐츠를 데이터베이스로부터 독출하여 동적 정보 그룹으로 구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내비게이션(10, 400)의 이동 방향 정보에 기반하는 경우, 상기 동적 정보 영역(DA1)은 이동 방향으로 꼭지점이 향하는 원뿔 형상이 바람직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서버(200)는 내비게이션(10, 400)으로부터, 조건정보로써, 목적지까지의 경로가 수신할 수 있다.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목적지까지의 경로는 P 경로이고 상기 내비게이션(10, 400)은 a 교차로에 위치한 것을 상정하기로 한다.
이 경우, 상기 서버(200)는 상기 P 경로 상에 위치하고, 상기 경로의 방향과 일치하는 방향을 가지고 있는 정보들을 동적 정보 그룹(DA2,DA3,DA4,DA5)으로 구성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동적 정보 그룹(DA2,DA3,DA4,DA5)에 포함되어 있는 정보 중, 제2 단말(400)의 위치 및 경로를 고려하여 각 정보 그룹들에 포함된 메시지들이 순차적으로 전송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비게이션(10)이 C에 위치하고 있는 경우, 동적 정보 그룹 전체(DA2,DA3,DA4,DA5) 중에서, 현재 위치(C)에 가장 가까이 있는 동적 정보 그룹(DA2)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정보가 내비게이션(10)으로 전송될 수 있으며, 내비게이션(10)의 위치가 경로를 따라 이동함에 따라, 그 다음 동적 정보 그룹(DA3)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정보가, 그 이후에는 또 그 다음 동적 정보 그룹(DA4)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정보가 순차적으로 내비게이션(10)으로 전송될 수 있다.
상기 서버(200)가 상기 내비게이션(10, 400)으로부터 사용자 관심 위치를 획득하여 동적 정보 그룹을 생성하는 방법은 전술한 상기 서버(200)가 상기 내비게이션(10, 400)으로부터 상기 내비게이션(10, 400)의 현재 위치를 획득하여 동적 정보 그룹을 생성하는 방법과 동일하므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상기 서버(200)는 상기 내비게이션(10, 400)으로 동적 정보 그룹을 전송함에 있어서 상기 동적 정보 그룹에 포함된 각각의 사용자 콘텐츠에 대한 부가 정보를 함께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부가 정보는 상기 사용자 콘텐츠의 생성자의 이미지, 상기 사용자 콘텐츠 생성 시의 생성 단말기의 위치 정보(예를 들어, 도로 명, 도로 구간), 상기 사용자 콘텐츠 생성 시의 생성 단말기의 이동 방향 정보, 상기 사용자 콘텐츠가 생성된 위치와 수신 단말기의 상대적인 위치(예를 들어, 방향, 거리) 상기 사용자 콘텐츠의 생성 시각, 상기 사용자 콘텐츠 생성 시의 생성 단말의 이동 속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부가 정보는, 상기 서버(200)가 사용자 콘텐츠 생성 단말(300)로부터 획득한 정보에 기반하여 생성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상기 내비게이션(10, 400)은 사용자 콘텐츠와 함께 상기 부가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부가 정보를 상기 사용자 콘텐츠와 함께 출력함으로써, 상기 내비게이션(10, 400)의 사용자에게 보다 풍부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다시 도 8을 참조하면, 상기 내비게이션(10, 400)은 상기 서버(200)로부터 획득한 사용자 콘텐츠를 출력할 수 있다[S340]. 이하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도 13을 참고하기로 한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출력 화면의 일 예를 도시한다.
도 13을 참고하면, 상기 내비게이션(10, 400)은 현재 위치인 A위치에서 목적지인 B위치로 이동하는 경우, 상기 서버(200)로부터 A에서 B방향으로 A위치에서 B 위치까지의 경로를 조건 정보로 하여 대응되는 사용자 콘텐츠를 획득할 수 있다. 여기서, ① 위치에 대응된 사용자 콘텐츠는 UC1(user contents 1) ② 위치에 대응된 사용자 콘텐츠는 UC2, ③ 위치에 대응된 사용자 콘텐츠는 UC3, ④ 위치에 대응된 사용자 콘텐츠는 UC4인 것을 상정하기로 한다. 즉, 상기 내비게이션(10, 400)은 서버(200)로부터 A에서 B방향으로 A위치에서 B위치까지의 경로 내 사용자 콘텐츠 UC1, UC2, UC3, UC4를 획득하여 출력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내비게이션(10, 400)은 UC1, UC2, UC3, UC4 각각에 대한 부가 정보 예를 들어, 상기 사용자 콘텐츠의 생성자의 이미지, 상기 사용자 콘텐츠 생성 시의 생성 단말기의 위치 정보(예를 들어, 도로 명, 도로 구간), 상기 사용자 콘텐츠 생성 시의 생성 단말기의 이동 방향 정보, 상기 사용자 콘텐츠가 생성된 위치와 수신 단말기의 상대적인 위치(예를 들어, 방향, 거리)상기 사용자 콘텐츠의 생성 시각, 상기 사용자 콘텐츠 생성 시의 생성 단말의 이동 속도 중 적어도 하나를 획득하여 사용자 콘텐츠와 함께 출력(도 13에 일부 도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내비게이션(10, 400)은 획득한 사용자 콘테츠(UC1, UC2, UC3, UC4)를 출력하기 위한 사용자 콘텐츠 창(W)을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도 정보와 함께 출력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내비게이션(10, 400)은 상기 사용자 콘텐츠 창(W)을 지도 정보의 일 영역에 중첩되도록 출력할 수도 있고, 상기 지도 정보가 출력되는 영역을 축소하고, 축소에 따라 생성된 영역에 출력할 수도 있다.
이때, 상기 내비게이션(10, 400)은 상기 사용자 콘텐츠의 출력 속성을 미리 정해진 키워드에 따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내비게이션(10, 400)은 상기 사용자 콘텐츠 중에서 상기 미리 정해진 키워드를 포함하는 제1 사용자 콘텐츠와 상기 미리 정해진 키워드를 포함하지 않는 제2 사용자 콘텐츠의 출력 속성을 차별하여 출력할 수 있다.
이하, 상기 내비게이션(10, 400)의 출력 단계(S340)를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하여 도 12는 참조하기로 한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출력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2는 참고하면, 상기 내비게이션(10, 400)은 상기 획득된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콘텐츠에 미리 정해진 키워드에 대응되는 정보가 포함되었는지를 판단할 수 있다[S400].
상기 미리 정해진 키워드는 상기 입력부(120)를 통하여 사용자가 입력할 수도 있고, 외부 서버로부터 수신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미리 정해진 키워드는 업데이트에 따라 가변될 수 있다.
이하 미리 정해진 키워드에 대하여 도 14를 참고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미리 정해진 키워드의 일 예를 도시한다.
도 14를 참고하면, 상기 미리 정해진 키워드는, 교통 관련 정보 및 사용자 관심 정보 중 적어도 하나와 관련될 수 있다. 이는 일 예일 뿐이며, 상기 미리 정해진 키워드는 보다 다양한 키워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미리 정해진 키워드의 일 예인 교통 관련 키워드는 다시 하위 카테고리로서, 예를 들어, 소통 상태 정보, 노면 상태 정보, 교통 관련 이벤트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 상기 미리 정해진 키워드의 각각의 예에 대해서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소통 상태 정보는 교통의 원활 정도를 나타내는 것으로서, 예를 들어, 원활, 서행, 지체, 정체 등 다양할 수 있다.
상기 노면 상태 정보는 도로의 상태를 나타내는 것으로서, 예를 들어, 빗길, 빙판길 등 다양할 수 있다.
상기 교통 관련 이벤트는 교통과 관련하여 발생할 수 있는 각 종 이벤트를 포괄적으로 나타내는 것으로서, 예를 들어, 사고 발생, 신호 고장, 도로 공사, 도로 파손, 음주 단속, 폭설 등 다양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사용자 관심 정보는 사용자의 기호에 따라 설정된 키워드를 말하는 것으로서 예를 들어, 할인, 공연 등 다양할 수 있다.
상기 미리 정해진 키워드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일 예일 뿐이므로 본 발명의 권리 범위가 상기 열거한 특정 키워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내비게이션(10, 400)은 앞서 획득한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콘텐츠에 상기 미리 정해진 키워드에 대응되는 정보가 포함되어 있는지 판단할 수 있다.
여기서 미리 정해진 키워드에 대응되는 정보라 함은, 미리 정해진 키워드와 동일한 문자로 표현되지는 않았지만, 실질적으로 동일한 의미를 가진 정보를 말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키워드 중 일 예인 지체의 경우, 지체에 대응되는 정보로서 지체와 동일한 문자로 표현되지는 않았지만, 동일한 의미를 가지는 차량이 많아요, 차가 움직이질 않아요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즉, 상기 내비게이션(10, 400)은 획득한 사용자 콘텐츠에 '지체'라고 표현되어 있지 않더라도 '지체'에 대응되는 정보 예를 들어 '차량 많습니다' 라는 정보가 포함된 경우에 미리 정해진 키워드에 대응되는 정보가 포함되어 있다고 판단할 수 있다.
앞서 미리 설정된 키워드에는 교통 관련 정보, 사용자 관심 정보 등이 포함될 수 있으나,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상기 미리 설정된 키워드는 교통 관련 정보만을 포함하는 것을 상정하기로 한다. 이는 단지 설명의 편의를 위한 것일 뿐이므로 상기 미리 설정된 키워드가 교통 관련 정보 외인 경우에도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설명하는 동작 방법이 적용되는 것은 자명하다.
도 13을 참고하면, 상기 내비게이션(10, 400)은, 사용자 콘텐츠(UC1)에는 미리 설정된 키워드에 대응되는 정보가 없고, 사용자 콘텐츠(UC2)에는 키워드인 지체에 대응하는 '차량 많습니다' 라는 정보가 포함되어 있고, 사용자 콘텐츠(UC3)에는 '난폭 운전'이라는 미리 설정된 키워드가 포함되어 있고, 사용자 콘텐츠(UC4)에는 '사고 발생', '정체'라는 두 개의 미리 설정된 키워드가 포함되어 있다고 판단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상기 내비게이션(10, 400)은 획득한 사용자 콘텐츠(UC1) 내지 사용자 콘텐츠(UC4) 중에서 사용자 콘텐츠(UC2, UC3, UC4)는 상기 미리 설정된 키워드에 대응하는 정보를 포함하는 제1 사용자 콘텐츠이고 사용자 콘텐츠(UC1)는 상기 미리 설정된 키워드에 대응하는 정보를 포함하지 않는 제2 사용자 콘텐츠라고 판단할 수 있다.
다시 도 12를 참고하면, 상기 내비게이션(10, 400)은 미리 정해진 키워드에 대응되는 정보를 포함하는 제1 사용자 콘텐츠와 미리 정해진 키워드에 대응되는 정보를 포함하지 않는 제2 사용자 콘텐츠를 다른 방식으로 상기 출력부(140)를 통하여 출력할 수 있다[S410].
이 경우, 상기 내비게이션(10, 400)은 미리 설정된 키워드에 대응하는 정보를 포함하는 상기 제1 사용자 콘텐츠(ex. UC2, UC3, UC4)와 상기 미리 설정된 키워드에 대응하는 정보를 포함하지 않는 상기 제2 사용자 콘텐츠(ex. UC1)의 출력 속성을 달리하여 상기 출력부(140)를 통하여 출력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내비게이션(10, 400)은 상기 제1 사용자 콘텐츠의 시인성이 상기 제2 사용자 콘텐츠보다 높도록 상기 제1 사용자 콘텐츠의 출력 속성을 제어하여 출력할 수 있다.
여기서 출력 속성은 두께, 색상, 음영, 밝기, 하이라이트, 반짝임, 아이콘, 크기, 테두리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고, 이 외에도 제1 사용자 콘텐츠의 시인성을 높일 수 있는 다른 속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즉, 상기 내비게이션(10, 400)은 상기 제1 사용자 콘텐츠 및 상기 제2 사용자 콘텐츠를 출력함에 있어서, 상기 제1 사용자 콘텐츠의 출력 두께, 색상, 음영, 밝기, 하이라이트, 반짝임, 아이콘, 크기, 테두리 중 적어도 하나를 제어함으로써, 상기 제2 사용자 콘텐츠보다 상기 제1 사용자 콘텐츠가 강조되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3에 도시된 사용자 콘텐츠 창(W)을 참고하면, 상기 내비게이션(10, 400)은 상기 미리 설정된 키워드에 대응되는 정보를 포함하지 않는 사용자 콘텐츠(UC1)와 달리 상기 미리 설정된 키워드에 대응되는 정보를 포함하는 사용자 콘텐츠(UC2, UC3, UC4)는 해당 키워드인 차량 많습니다, 난폭 운행, 교통 사고, 정체의 시인성이 향상되도록 테두리 박스를 표시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내비게이션(10, 400)은 키워드에 따라 색상을 달리하여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소통 상태와 관련된 키워드인 원활이 포함된 경우, 녹색으로 색상을 제어하고, 적체가 포함된 경우, 붉은 색으로 색상을 제어할 수 있다. 나아가, 상기 내비게이션(10, 400)은 키워드의 색상을 제어할 수도 있고, 테두리 박스의 색상을 제어할 수도 있다.
또한, 다른 예를 들어, 상기 내비게이션(10, 400)은 상기 미리 정해진 키워드를 포함하는 사용자 콘텐츠(UC2, UC3, UC4)를 출력함에 있어서, 미리 정해진 객체 예를 들어 아이콘을 함께 출력할 수 있다. 이하 도 15를 참고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출력 속성 제어의 일 예를 도시한다.
도 15를 참고하면, 상기 내비게이션(10, 400)은 상기 사용자 콘텐츠(UC4)를 출력함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콘텐츠(UC4)에 포함된 미리 정해진 키워드인 교통 사고에 대한 객체(i1), 정체에 대한 객체(i2)를 함께 출력할 수 있다.
이로써, 상기 내비게이션(10, 400)의 사용자는 획득된 사용자 콘텐츠 중에서 미리 정해진 키워드에 대응하는 정보를 보다 정확하고 신속하게 인식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내비게이션(10, 400)은 상기 제1 사용자 콘텐츠에 포함된 미리 설정된 키워드에 대응되는 정보를 강조할 수도 있고, 상기 제1 사용자 콘텐츠 전체를 강조하여 출력할 수도 있다. 이하 도 16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콘텐츠의 출력의 일 예를 도시한다.
도 16을 참고하면, 상기 내비게이션(10, 400)은 상기 사용자 콘텐츠(UC3)를 도 16(a) 또는 도 16(b)의 방식으로 출력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내비게이션(10, 400)은 도 1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 콘텐츠(UC3)에 포함된 미리 설정된 키워드에 대응되는 정보에 테두리 박스를 같이 표시함으로써, '난폭 운행 '이라는 정보를 강조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내비게이션(10, 400)은 도 1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난폭 운행 '이라는 미리 설정된 키워드를 포함하는 사용자 콘텐츠(UC3) 전체의 테두리 박스를 같이 표시함으로써, 사용자 콘텐츠(UC3)를 강조할 수 있다.
상기 미리 설정된 키워드에 따라 강조 범위가 선택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콘텐츠에 소통 상태 정보에 해당하는 미리 설정된 키워드에 대응하는 정보가 포함된 경우, 미리 설정된 키워드에 해당하는 정보를 강조하고, 노면 상태 정보에 해당하는 미리 설정된 키워드에 대응하는 정보가 포함된 경우, 사용자 콘텐츠 자체를 강조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내비게이션(10, 400)은 미리 정해진 키워드에 대응되는 정보를 포함하는 사용자 콘텐츠의 출력 속성을 보다 다양한 방법으로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내비게이션(10, 400)은 사용자 콘텐츠에 포함된 미리 정해진 키워드에 대응되는 정보의 수에 따라서 출력 속성을 달리 제어할 수 있다.
이하 도 17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콘텐츠의 출력 속성을 미리 정해진 키워드에 대응되는 정보의 수에 따라 제어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7(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내비게이션(10, 400)은 사용자 콘텐츠를 출력함에 있어서, 사용자 콘텐츠에 미리 설정된 키워드에 대응되는 정보가 0개 인 경우 출력 속성을 제어하지 않고, 1개인 경우, 테두리를 표시하고, 2개인 경우, 테두리 및 하이라이트를 같이 표시하고, 3개인 경우 테두리, 하이라이트 및 두께를 제어하여 출력할 수 있다.
즉, 도 1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내비게이션(10, 400)은 미리 설정된 키워드에 대응되는 정보가 1개(ex, 차량이 많습니다) 포함된 사용자 콘텐츠(UC2)는 테두리를 함께 표시하고, 미리 설정된 키워드에 대응되는 정보가 2개(ex. 교통 사고, 정체) 포함된 사용자 콘텐츠(UC4)는 테두리 및 하이라이트를 함께 표시할 수 있다.
이로써, 사용자는 미리 설정된 키워드의 수에 따라서 보다 중요한 정보를 즉시적으로 인식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내비게이션(10, 400)은 미리 설정된 키워드에 대응하는 정보를 포함하는 사용자 콘텐츠를 출력함에 있어서 각각의 키워드에 대한 종류에 기초하여 출력 속성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내비게이션(10, 400)은 키워드마다 종류를 부여하고 부여된 종류에 따라서 출력 속성의 제어 방법을 달리할 수 있다.
도 1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콘텐츠의 출력 속성을 미리 정해진 키워드의 종류에 따라 제어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8(a)은 미리 정해진 키워드의 종류에 따라 출력 속성을 어떻게 제어할지에 대한 테이블을 도시한다. 도 18(a)를 참고하면, 미리 정해진 키워드의 종류가 소통 상태 정보인 경우, 출력 속성 제어를 위하여 테두리를 표시하고, 미리 정해진 키워드의 종류가 노면 상태 정보인 경우, 출력 속성 제어를 위하여 밑줄을 표시하고, 미리 정해진 키워드의 종류가 교통 관련 이벤트인 경우, 출력 속성 제어를 위하여 하이라이트를 표시할 수 있다. 이는 일 예일 뿐이므로 당업자의 설계 변경에 따라 다양한 실시예가 가능할 수 있다.
미리 정해진 키워드의 종류에 따라 출력 속성을 어떻게 제어할지는 사용자가 입력할 수도 있고 외부로부터 수신될 수 있다.
도 18(b)은 도 18(a)에 도시된 테이블에 기초하여 사용자 콘텐츠(UC3) 및 사용자 콘텐츠(UC4)가 출력되는 일 양태를 도시한다.
도 18(b)를 참고하면, 사용자 콘텐츠(UC3)는 난폭 운행이라는 교통 관련 이벤트 정보를 포함하고 있으므로, 도 18(a)에 도시된 테이블에 따라 난폭 운행이라는 키워드에 테두리가 표시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콘텐츠(d)는 '교통 사고 '라는 교통 관련 이벤트 정보 및 '정체 '라는 소통 상태 정보를 포함하고 있으므로, 도 18(a)에 도시된 테이블에 따라 '교통 사고 '라는 키워드에는 하이라이트를 표시하고, '정체 '라는 키워드에는 테두리를 표시할 수 있다.
이로써, 사용자는 상기 메시지 창(W)을 통하여 출력 속성을 인식함으로써, 어떤 종류의 공유 사용자 콘텐츠에 대한 것인지를 즉각적으로 인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내비게이션(10, 400)은 상기 미리 정해진 키워드에 대응하는 정보를 포함하는 제1 사용자 콘텐츠(UC2, UC3, UC4)를 출력함에 있어서, 음성 출력을 병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내비게이션(10, 400)은 상기 미리 정해진 키워드에 대응되는 정보 또는 사용자 콘텐츠 전체를 상기 오디오 출력 모듈(143)을 통하여 출력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네비게이션(10, 400)은 사용자 콘텐츠(UC2)를 출력함에 있어서, 미리 정해진 키워드에 대응하는 정보인 '차량 많습니다 '를 음성으로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콘텐츠(UC2) 전체인 '방이동 방면 좌회전 차량 많습니다'를 음성으로 출력할 수 있다.
이로써, 상기 내비게이션(10, 400)의 사용자는 운전 중에 사용자 콘텐츠를 눈으로 읽지 않아도, 중요한 사용자 콘텐츠를 청각으로 인식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내비게이션(10, 400)은 미리 정해진 키워드를 포함하는 사용자 콘텐츠(UC2, UC3, UC4)와 미리 정해진 키워드를 포함하지 않는 사용자 콘텐츠(UC1)의 출력 지속 시간을 상이하게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내비게이션(10, 400)은 상기 사용자 콘텐츠(UC2, UC3, UC4)를 상기 사용자 콘텐츠(UC1) 보다 장시간 출력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내비게이션(10, 400)은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사용자 콘텐츠를 출력함에 있어서, 부가 정보를 함께 출력할 수 있다. 상기 부가 정보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사용자 콘텐츠 생성 시각 정보, 사용자 콘텐츠 생성자의 식별 정보, 사용자 콘텐츠 생성 단말의 이동 방향, 사용자 콘텐츠의 생성 단말의 위치정보, 사용자 콘텐츠 생성 단말의 이동 속도 정보, 사용자 콘텐츠가 생성된 구간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내비게이션(10, 400)은 상기 부가 정보의 출력 속성도 제어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예를 들어, 상기 내비게이션(10, 400)은 상기 부가 정보의 일 예인 사용자 콘텐츠 생성 단말의 이동 속도 정보를 출력하는 경우, 출력 속성을 제어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이동 속도가 특정 속도 이하인 경우, 이동 속도를 붉은 색으로 하이라이팅하고, 이동 속도가 특정 속도 이상인 경우, 이동 속도를 녹색으로 하이라이팅하여 출력할 수 있는 것이다.
전술한 실시예에 따라 내비게이션(10, 400)이 획득한 사용자 콘텐츠의 출력 속성을 미리 정해진 키워드의 포함여부에 따라 제어함으로써, 운전자가 운전 중에도 보다 신속하고 정확하게 사용자 콘텐츠의 핵심 내용을 인식할 수 있다. 따라서, 운전 중 주의를 분산시키지 않으므로 사고를 예방할 수 있으며, 운전자는 사용자 콘텐츠에 기초한 필요한 정보를 실시간으로 습득할 수 있다.
본 문서에서 개시한 다양한 실시예들은 서로 개별적으로 또는 조합되어 실시될 수 있다. 또한 각 실시예를 구성하는 단계들은 다른 실시예를 구성하는 단계들과 조합되어 실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출력 속성을 제어하는 각각의 방법들은 서로 조합되어 실시될 수 있다. 즉, 미리 정해진 키워드의 수에 따라 출력속성을 제어함과 동시에 미리 정해진 키워드의 종류에 따라 출력속성을 제어할 수 있다. 이 외에도 전술한 실시예들은 서로 다양하게 조합될 수 있다.
또한, 다양한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 콘텐츠가 텍스트 인 경우를 상정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사용자 콘텐츠가 텍스트가 아닌 다양한 콘텐츠 예를 들어, 이미지, 영상인 경우에도 미리 설정된 키워드에 상응하는 이미지, 영상이 포함된 경우 출력 속성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시스템 환경을 설명함에 있어서, 제1 단말(300)이 생성한 사용자 콘텐츠를 서버(200)가 획득하고, 제2 단말(400)은 서버(200)를 통하여 제1 단말(300)이 생성한 사용자 콘텐츠를 획득하는 것을 상정하였다.
그러나, 이와 달리 본 발명의 시스템 환경은 서버(200)를 거치지 않고도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2 단말(400)은 상기 사용자 콘텐츠를 생성한 제1 단말(300)로부터 직접 사용자 콘텐츠를 획득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상기 서버(200)는 상기 제2 단말(400)로부터 조건 정보를 획득한 경우, 상기 획득한 조건 정보에 부합하는 사용자 콘텐츠를 상기 제2 단말(400)로 전송한다고 설명하였다.
이와 달리, 상기 서버(200)는 제2 단말(400)을 하나의 노드로 하고, 제2 단말(400)과 관계성이 부여된 노드와 관련하여 생성된 사용자 콘텐츠를 상기 제2 단말(400)로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1 단말(400)에서 특정 노드인 테헤란로에 대한 사용자 콘텐츠를 생성한 경우, 상기 서버(200)는 테헤란로와 관계성이 부여된 제2 단말(400)을 검색하고, 검색된 제2 단말(400)에 테헤란로에 대한 사용자 콘텐츠를 푸쉬(push)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매체(media)에 의하여 구현될 수 있다. 상기 매체는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실시예를 구현하기 위한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hard disk), 플로피 디스크(floppy disk) 및 자기 테이프(magnetic tape)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 및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recording media),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flash memory)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될 수 있다. 프로그램 코드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기계어 코드뿐 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므로 발명의 권리범위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문서에서 설명한 실시예들은 한정되어 적용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각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성될 수 있다.
10: 내비게이션 200: 서버
300: 제1 단말 400: 제2 단말
W: 사용자 콘텐츠 창

Claims (20)

  1. 위치 조건에 기반하여 상기 위치 조건에 부합하는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콘텐츠(contents)를 획득하는 통신부; 및
    상기 획득된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콘텐츠 중, 키워드에 대응하는 정보를 포함하는 제1 사용자 콘텐츠와, 상기 키워드에 대응하는 정보를 포함하지 않는 제2 사용자 콘텐츠의 출력속성을 차별하여 출력함으로써, 상기 키워드에 대응하는 정보에 대하여 시인성을 부여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되,
    상기 사용자 콘텐츠는 동적으로 위치가 가변하는 이동 단말에서 특정 위치와 관련하여 상기 이동 단말의 사용자가 생성한 실시간 교통 관련 정보인,
    전자기기.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 조건은 상기 전자기기의 현재 위치를 기준으로 하는 제1 위치 조건, 상기 전자기기에 설정된 목적지까지의 경로 상의 위치를 기준으로 하는 제2 위치 조건, 미리 설정된 관심 위치를 기준으로 하는 제3 위치 조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전자기기.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부는, 방향 조건을 기반으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콘텐츠를 획득하며, 상기 방향 조건은 상기 전자기기의 이동 방향을 기준으로 하는 제1 방향 조건, 목적지까지의 설정된 경로를 기준으로 하는 제2 방향 조건 및 미리 설정된 관심 방향을 기준으로 하는 제3 방향 조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전자기기.
  4. 삭제
  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키워드는 교통 관련 정보 및 사용자 관심 정보 중 적어도 하나와 관련된
    전자기기.
  6.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교통 관련 정보는 소통 상태 정보, 교통 사고 정보, 노면 상태 정보, 교통 관련 이벤트 정보 중 적어도 하나인 전자기기.
  7.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획득된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콘텐츠와 지도정보를 함께 출력하는
    전자기기.
  8. 삭제
  9.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속성은 두께, 색상, 음영, 밝기, 하이라이트, 크기, 테두리, 아이콘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전자기기.
  10.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사용자 콘텐츠에 포함된 상기 키워드에 대응하는 정보에 따라, 상기 제1 사용자 콘텐츠의 일부 또는 전체의 출력속성을 강조하여 출력하는
    전자기기.
  11.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사용자 콘텐츠에 포함된 키워드에 대응하는 정보의 개수가 증가할수록 상기 출력속성의 차별 정도를 달리하는
    전자기기.
  1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사용자 콘텐츠에 포함된 키워드 정보의 종류에 따라 상기 제1 사용자 콘텐츠의 출력속성의 차별 방법을 달리하는
    전자기기.
  1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사용자 콘텐츠의 일부 또는 전체를 음성으로 출력하는
    전자기기.
  1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사용자 콘텐츠를 상기 제2 사용자 콘텐츠보다 장시간 출력하는
    전자기기.
  15. 위치 조건에 기반하여 상기 위치 조건에 부합하는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콘텐츠를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획득된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콘텐츠 중, 키워드에 대응하는 정보를 포함하는 제1 사용자 콘텐츠와 상기 키워드에 대응하는 정보를 포함하지 않는 제2 사용자 콘텐츠의 출력속성을 차별하여 출력함으로써, 상기 키워드에 대응하는 정보에 대하여 시인성을 부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사용자 콘텐츠는 동적으로 위치가 가변하는 이동 단말에서 특정 위치와 관련하여 상기 이동 단말의 사용자가 생성한 실시간 교통 관련 정보인
    전자기기의 동작 방법.
  16. 제15 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 조건은, 상기 전자기기의 현재 위치를 기준으로 하는 제1 위치 조건, 상기 전자기기에 설정된 목적지까지의 경로 상의 위치를 기준으로 하는 제2 위치 조건, 미리 설정된 관심 위치를 기준으로 하는 제3 위치 조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전자기기의 동작 방법.
  17. 제15 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하는 단계는 상기 획득된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콘텐츠와 지도정보를 함께 출력하는
    전자기기의 동작 방법.
  18. 삭제
  19. 제15 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하는 단계는, 상기 제1 사용자 콘텐츠의 일부 또는 전체를 음성으로 출력하는
    전자기기의 동작 방법.
  20. 제15, 16, 17 또는 제19 항 중 어느 한 항의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KR1020110017573A 2011-02-28 2011-02-28 전자기기 및 전자기기의 동작 방법 KR10110111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17573A KR101101111B1 (ko) 2011-02-28 2011-02-28 전자기기 및 전자기기의 동작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17573A KR101101111B1 (ko) 2011-02-28 2011-02-28 전자기기 및 전자기기의 동작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01111B1 true KR101101111B1 (ko) 2011-12-30

Family

ID=455072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17573A KR101101111B1 (ko) 2011-02-28 2011-02-28 전자기기 및 전자기기의 동작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01111B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03661B1 (ko) * 2012-12-11 2014-06-09 현대건설주식회사 차량내 단말기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 표시 장치 및 방법
KR101448264B1 (ko) * 2013-04-29 2014-10-13 경일대학교산학협력단 위치 정보 기반의 유고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KR20160110879A (ko) * 2015-03-13 2016-09-22 팅크웨어(주) Cctv 정보의 제공을 위한 시스템 및 방법
US10567326B2 (en) 2013-02-26 2020-02-18 Kt Corporation Interworking of social media service and machine to machine service
KR20210134867A (ko) * 2020-04-29 2021-11-11 엠랩 주식회사 스마트경로 생성방법 및 장치
KR20220113330A (ko) * 2015-03-13 2022-08-12 팅크웨어(주) Cctv 정보의 제공을 위한 시스템 및 방법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03661B1 (ko) * 2012-12-11 2014-06-09 현대건설주식회사 차량내 단말기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 표시 장치 및 방법
US10567326B2 (en) 2013-02-26 2020-02-18 Kt Corporation Interworking of social media service and machine to machine service
KR101448264B1 (ko) * 2013-04-29 2014-10-13 경일대학교산학협력단 위치 정보 기반의 유고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KR20160110879A (ko) * 2015-03-13 2016-09-22 팅크웨어(주) Cctv 정보의 제공을 위한 시스템 및 방법
KR102430774B1 (ko) 2015-03-13 2022-08-10 팅크웨어(주) Cctv 정보의 제공을 위한 시스템 및 방법
KR20220113330A (ko) * 2015-03-13 2022-08-12 팅크웨어(주) Cctv 정보의 제공을 위한 시스템 및 방법
KR102558397B1 (ko) 2015-03-13 2023-07-24 팅크웨어(주) Cctv 정보의 제공을 위한 시스템 및 방법
KR20210134867A (ko) * 2020-04-29 2021-11-11 엠랩 주식회사 스마트경로 생성방법 및 장치
KR102369324B1 (ko) * 2020-04-29 2022-03-04 엠랩 주식회사 스마트경로 생성방법 및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01111B1 (ko) 전자기기 및 전자기기의 동작 방법
KR101451768B1 (ko) 주행 영상 획득을 위한 전자 기기 및 전자 기기의 주행 영상 획득 방법 및 주행 영상 제공을 위한 서버 및 서버의 주행 영상 제공 방법
KR101874072B1 (ko)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서버 및 서버의 정보 제공 방법, 서버로부터 정보를 수신하는 전자기기 및 전자기기의 정보 수신 방법
US9361794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a mixed mode traffic map display
KR101953556B1 (ko) 전자기기, 그 제어방법 및 전자기기와 통신하는 서버
KR101440334B1 (ko) 교통 정보 제공 서버, 전자 기기 및 교통 정보 제공 방법
KR101854663B1 (ko) 정보 제공을 위한 서버 및 서버의 정보 제공 방법 및 서버로부터 수신되는 정보를 이용하는 전자 기기 및 전자 기기의 정보 이용 방법
KR20120122424A (ko) 전자기기, 그 제어방법 및 전자기기와 통신하는 서버
KR102269223B1 (ko)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정보 제공 서버 및 서버의 정보 제공 방법 및 서버로부터 정보를 수신하는 전자기기
KR101126516B1 (ko) 정보를 수신하는 전자기기 및 방법, 정보를 수신하는 방법을 수행하는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매체
KR101123579B1 (ko) 전자기기 및 전자기기의 동작 방법
KR102313071B1 (ko)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정보 제공 서버 및 서버의 정보 제공 방법 및 서버로부터 정보를 수신하는 전자기기
KR101421613B1 (ko) 전자 기기, 서버, 전자 기기의 제어 방법 및 교통 정보 제공 방법
KR102117243B1 (ko)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정보 제공 서버 및 서버의 정보 제공 방법 및 서버로부터 정보를 수신하는 전자기기
KR102332165B1 (ko)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정보 제공 서버 및 서버의 정보 제공 방법 및 서버로부터 정보를 수신하는 전자기기
KR101117485B1 (ko) 사용자 컨텐츠 입력방법, 이를 수행하는 전자기기 및 이를 수행하는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
KR102337483B1 (ko)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정보 제공 서버 및 서버의 정보 제공 방법 및 서버로부터 정보를 수신하는 전자기기
KR101952341B1 (ko) 전자 기기, 서버 및 교통 정보 제공 방법
KR101989146B1 (ko)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정보 제공 서버 및 서버의 정보 제공 방법 및 서버로부터 정보를 수신하는 전자기기
KR101910828B1 (ko) 교통 관련 컨텐츠 생성방법, 이를 수행하는 전자기기 및 이를 수행하는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
KR101861355B1 (ko) 교통 정보 제공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전자 기기, 서버 및 시스템
KR102335466B1 (ko) 전자 기기, 서버 및 교통 정보 제공 방법
KR102057933B1 (ko) 전자 기기, 서버 및 교통 정보 제공 방법
KR102219901B1 (ko) 전자 기기, 서버 및 교통 정보 제공 방법
KR20120107671A (ko) 전자 기기, 교통 관련 컨텐츠 제공 방법 및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1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2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2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26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19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24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