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10828B1 - 교통 관련 컨텐츠 생성방법, 이를 수행하는 전자기기 및 이를 수행하는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 - Google Patents

교통 관련 컨텐츠 생성방법, 이를 수행하는 전자기기 및 이를 수행하는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10828B1
KR101910828B1 KR1020110017575A KR20110017575A KR101910828B1 KR 101910828 B1 KR101910828 B1 KR 101910828B1 KR 1020110017575 A KR1020110017575 A KR 1020110017575A KR 20110017575 A KR20110017575 A KR 20110017575A KR 101910828 B1 KR101910828 B1 KR 10191082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traffic
item
message
item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175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97968A (ko
Inventor
조창빈
김진영
이해일
우승완
Original Assignee
팅크웨어(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팅크웨어(주) filed Critical 팅크웨어(주)
Priority to KR102011001757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10828B1/ko
Publication of KR2012009796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9796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1082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1082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09Arrangements for giving variable traffic instructions
    • G08G1/0962Arrangements for giving variable traffic instructions having an indicator mounted inside the vehicle, e.g. giving voice messages
    • G08G1/0968Systems involving transmission of navigation instructions to the vehicle
    • G08G1/0969Systems involving transmission of navigation instructions to the vehicle having a display in the form of a map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21/00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 G01C21/26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specially adapted for navigation in a road network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21/00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 G01C21/26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specially adapted for navigation in a road network
    • G01C21/34Route searching; Route guidanc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9/00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 G06F9/06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using stored programs, i.e. using an internal store of processing equipment to receive or retain programs
    • G06Q50/40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09Arrangements for giving variable traffic instructions
    • G08G1/0962Arrangements for giving variable traffic instructions having an indicator mounted inside the vehicle, e.g. giving voice messages
    • G08G1/0968Systems involving transmission of navigation instructions to the vehicle
    • G08G1/096877Systems involving transmission of navigation instructions to the vehicle where the input to the navigation device is provided by a suitable I/O arrangement
    • G08G1/096883Systems involving transmission of navigation instructions to the vehicle where the input to the navigation device is provided by a suitable I/O arrangement where input information is obtained using a mobile device, e.g. a mobile phone, a PDA

Abstract

본 발명은, 교통 관련 컨텐츠를 생성하여 송신하는 교통 관련 컨텐츠 생성방법, 이를 수행하는 전자기기 및 이를 수행하는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에 관한 것이다. 상세하게는, 차량의 운행정보에 근거하여 상황에 맞는 아이템을 출력하고, 출력된 아이템 중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특정아이템을 이용하여 메시지를 생성하고, 생성된 메시지를 포함하는 교통 관련 컨텐츠를 송신하는 교통 관련 컨텐츠 생성방법, 이를 수행하는 전자기기 및 이를 수행하는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교통 관련 컨텐츠 생성방법, 이를 수행하는 전자기기 및 이를 수행하는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METHOD, ELECTRONIC DEVICE AND RECORDED MEDIUM FOR GENERATING TRAFFIC INFORMATION}
본 발명은, 교통 관련 컨텐츠를 생성하여 송신하는 교통 관련 컨텐츠 생성방법, 이를 수행하는 전자기기 및 이를 수행하는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에 관한 것이다. 상세하게는, 차량의 운행정보에 근거하여 상황에 맞는 아이템을 출력하고, 출력된 아이템 중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특정아이템을 이용하여 메시지를 생성하고, 생성된 메시지를 포함하는 교통 관련 컨텐츠를 송신하는 교통 관련 컨텐츠 생성방법, 이를 수행하는 전자기기 및 이를 수행하는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에 관한 것이다.
인터넷 망이 개방되고 위치정보와 관련된 법률이 제정됨에 따라, 위치 기반 서비스(LBS: location based service)의 산업이 활성화 되고 있다. 이러한 위치 기반 서비스의 하나로써, 단말기의 현재위치를 측위하고 이에 나아가 목적지까지의 이동 경로를 파악하여 안내해주는 내비게이션 산업 또한 급격히 활성화되고 있는 상황이다.
이와 함께, 무선통신에 관한 제반 환경이 구축되어, 무선통신 단말기를 통해 언제 어디서나 손쉽게 다양한 정보에 접근할 수 있게 되면서, 실시간으로 필요한 정보를 수집하여 활용하는 방법에 관한 다양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이러한 추세 속에서 내비게이션을 통해 실시간 교통 관련 컨텐츠를 수집하거나 제공하기 위한 다양한 방법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이러한 내비게이션을 통한 교통 관련 컨텐츠의 수집은 실시간으로 다양한 지역에 관한 교통 관련 컨텐츠를 파악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으나, 주로 차량의 운행 중에 이루어지므로 사용자가 교통 관련 컨텐츠를 입력하기 곤란하거나 또는 이로 인한 사고의 위험 등의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의 일 과제는, 다양한 교통상황에 따라 적절한 아이템을 제공하는 교통 관련 컨텐츠 생성방법, 이를 수행하는 전자기기 및 이를 수행하는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과제는, 사용자가 운전 중에 실시간 교통 관련 컨텐츠를 송신할 수 있도록, 최소한의 입력을 이용하여 교통 관련 컨텐츠를 생성하는 교통 관련 컨텐츠 생성방법, 이를 수행하는 전자기기 및 이를 수행하는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과제는, 다른 내비게이션이 정확한 경로안내를 수행할 수 있도록, 실시간으로 교통 관련 컨텐츠를 다른 내비게이션으로 송신하는 교통 관련 컨텐츠 생성방법, 이를 수행하는 전자기기 및 이를 수행하는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과제는, 교통상황을 고려하여 음성신호를 인식함으로써, 사용자의 음성신호를 보다 정확하게 인식하여 메시지를 생성하는 교통 관련 컨텐츠 생성방법, 이를 수행하는 전자기기 및 이를 수행하는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과제는, 운전 중 사고의 위험없이 메시지를 입력할 수 있는 교통 관련 컨텐츠 생성방법, 이를 수행하는 전자기기 및 이를 수행하는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과제는, 실제로 교통 관련 컨텐츠를 필요로 하는 다른 내비게이션으로 교통 관련 컨텐츠를 제공하는 교통 관련 컨텐츠 생성방법, 이를 수행하는 전자기기 및 이를 수행하는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과제는, 운행에 불필요한 교통 관련 컨텐츠를 제외한 실제로 운행에 필요한 교통 관련 컨텐츠만을 제공하여 보다 효과적인 경로안내를 수행하도록 하는 교통 관련 컨텐츠 생성방법, 이를 수행하는 전자기기 및 이를 수행하는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려는 과제는 상술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아니하며, 언급되지 아니한 또 다른 과제들은 후술할 내용으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양상에 따른 전자기기는, 복수의 아이템을 저장하는 저장부, 복수의 아이템 중 적어도 하나의 후보아이템을 출력하는 출력부, 출력된 적어도 하나의 후보아이템 중, 적어도 하나의 특정아이템을 이용하여 교통 관련 컨텐츠를 생성하는 제어부 및 생성된 교통 관련 컨텐츠를 송신하는 통신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양상에 따른 전자기기는, 복수의 아이템을 저장하는 저장부, 복수의 아이템 중 적어도 하나의 후보아이템을 출력하는 출력부, 출력된 적어도 하나의 후보아이템 중, 적어도 하나의 특정아이템을 이용하여 교통 관련 컨텐츠를 생성하는 제어부 및 생성된 교통 관련 컨텐츠를 송신하는 통신부를 포함한다. 여기서, 제어부는, 차량의 운행정보를 획득하고, 운행정보에 근거하여 적어도 하나의 후보아이템을 출력하도록 제어한다. 또 여기서, 차량의 운행정보는 차량의 위치, 차량의 이동방향 및 차량의 속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적어도 하나의 후보아이템은 차량의 위치를 반영하는 아이템, 차량의 위치로부터의 운행방향을 반영하는 아이템, 위치에 관련된 교통상황을 반영하는 아이템, 이동방향에 따른 운행방향을 반영하는 아이템, 속도가 해당하는 소통상황을 반영하는 아이템 및 소통상황의 원인을 반영하는 아이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양상에 따른 전자기기는, 복수의 아이템을 저장하는 저장부, 복수의 아이템 중 적어도 하나의 후보아이템을 출력하는 출력부, 출력된 적어도 하나의 후보아이템 중, 적어도 하나의 특정아이템을 이용하여 교통 관련 컨텐츠를 생성하는 제어부 및 생성된 교통 관련 컨텐츠를 송신하는 통신부를 포함한다. 여기서, 제어부는 입력된 문자 및 메시지편집신호 중 적어도 하나를 더 이용하여 메시지를 생성한다. 또 여기서, 교통 관련 컨텐츠는, 메시지를 포함하고, 제어부는 출력부를 통해 생성된 메시지를 출력하도록 제어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양상에 따른 전자기기는, 복수의 아이템을 저장하는 저장부, 복수의 아이템 중 적어도 하나의 후보아이템을 출력하는 출력부, 출력된 적어도 하나의 후보아이템 중, 적어도 하나의 특정아이템을 이용하여 교통 관련 컨텐츠를 생성하고, 생성된 교통 관련 컨텐츠에 포함된 메시지를 출력하는 제어부 및 생성된 교통 관련 컨텐츠를 송신하는 통신부를 포함한다. 여기서, 제어부는 차량의 운행정보, 메시지 중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특정단어 및 특정아이템 중 적어도 하나에 근거하여 적어도 하나의 후보아이템을 선정하여 출력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양상에 따른 전자기기는, 위치정보획득부, 복수의 아이템을 저장하는 저장부, 복수의 아이템 중 적어도 하나의 후보아이템을 출력하는 출력부, 출력된 적어도 하나의 후보아이템 중, 적어도 하나의 특정아이템을 이용하여 교통 관련 컨텐츠를 생성하는 제어부 및 생성된 교통 관련 컨텐츠를 송신하는 통신부를 포함한다. 여기서, 제어부는 위치정보획득부를 통해 차량의 위치를 획득하고, 위치를 교통 관련 컨텐츠에 매핑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양상에 따른 전자기기는, 복수의 아이템을 저장하는 저장부, 차량의 운행정보를 획득하고, 복수의 아이템 중 운행정보에 근거하여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아이템을 이용하여 메시지를 생성하는 제어부, 생성된 메시지를 출력하는 출력부 및 메시지를 포함하는 교통 관련 컨텐츠를 송신하는 통신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양상에 따른 전자기기는, 음성 신호를 입력 받는 입력부, 복수의 아이템을 저장하는 저장부, 차량의 운행정보를 획득하고, 운행정보에 근거하여 복수의 아이템 중 적어도 하나의 후보아이템을 선정하고, 선정된 후보아이템을 고려하여 음성신호에 대응되는 메시지를 생성하는 제어부, 생성된 메시지를 출력하는 출력부 및 메시지를 포함하는 교통 관련 컨텐츠를 송신하는 통신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양상에 따른 교통 관련 컨텐츠 생성방법은, 복수의 아이템을 저장하는 단계, 복수의 아이템 중 적어도 하나의 후보아이템을 출력하는 단계, 출력된 적어도 하나의 후보아이템 중, 적어도 하나의 특정아이템을 이용하여 교통 관련 컨텐츠를 생성하는 단계 및 교통 관련 컨텐츠를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양상에 따른 교통 관련 컨텐츠 생성방법은, 차량의 운행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복수의 아이템을 저장하는 단계, 운행정보에 근거하여 복수의 아이템 중 적어도 하나의 후보아이템을 출력하는 단계, 출력된 적어도 하나의 후보아이템 중, 적어도 하나의 특정아이템을 이용하여 교통 관련 컨텐츠를 생성하는 단계 및 교통 관련 컨텐츠를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양상에 따른 교통 관련 컨텐츠 생성방법은, 복수의 아이템을 저장하는 단계, 차량의 운행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복수의 아이템 중 운행정보에 관련된 적어도 하나의 아이템을 이용하여 메시지를 생성하는 단계, 메시지를 출력하는 단계 및 메시지를 포함하는 교통 관련 컨텐츠를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양상에 따른 교통 관련 컨텐츠 생성방법은, 복수의 아이템을 저장하는 단계, 차량의 운행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운행정보에 근거하여 복수의 아이템 중 적어도 하나의 후보아이템을 선정하는 단계, 음성신호를 입력받는 단계, 선정된 적어도 하나의 후보아이템 중 음성신호에 의해 대응되는 적어도 하나의 후보아이템을 고려하여 메시지를 생성하는 단계, 메시지를 출력하는 단계 및 메시지를 포함하는 교통 관련 컨텐츠를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양상에 따른 기록매체에는, 복수의 아이템을 저장하는 단계, 복수의 아이템 중 적어도 하나의 후보아이템을 출력하는 단계, 출력된 적어도 하나의 후보아이템 중, 적어도 하나의 특정아이템을 이용하여 교통 관련 컨텐츠를 생성하는 단계 및 교통 관련 컨텐츠를 송신하는 단계를 수행하는 프로그램이 기록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내비게이션이 다양한 교통상황에 따라 적절한 아이템을 제공함으로써, 사용자가 최소한의 입력으로 교통 관련 컨텐츠를 생성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내비게이션이 최소한의 입력을 이용하여 교통 관련 컨텐츠를 생성함으로써, 사용자가 운전 중에도 실시간 교통 관련 컨텐츠를 송신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내비게이션이 실시간으로 교통 관련 컨텐츠를 다른 내비게이션으로 송신함에 따라, 다른 내비게이션이 보다 정확한 경로안내를 수행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차량의 운행에 소요되는 시간 및 비용이 절감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내비게이션이 음성신호를 인식할 때 교통상황을 고려하여 인식함으로써, 보다 정확하게 사용자의 음성을 인식하여 메시지를 생성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사용자가 말로써 메시지를 입력함으로써, 운전 중 사고의 위험이 감소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교통 관련 컨텐츠를 송신함에 있어서 차량의 운행정보를 이용함으로써, 실제로 그 교통 관련 컨텐츠를 필요로 하는 다른 내비게이션에 선택적으로 교통 관련 컨텐츠가 제공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다른 내비게이션이 불필요한 교통 관련 컨텐츠를 제외한 실제로 운행할 경로 상의 교통 관련 컨텐츠를 제공함으로써, 경로안내가 보다 효과적으로 수행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내비게이션 시스템의 제1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내비게이션 시스템의 제2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소셜 네트워크의 개념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내비게이션의 구성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서버의 구성도이다.
도 6는 본 발명의 따른 정보수집방법에 관한 순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정보제공방법에 관한 순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정보수신방법에 관한 순서도이다.
도 9 내지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들에 따라 수신된 정보를 표시하고 있는 내비게이션 단말의 화면을 도시한 도면들이다.
도 14 내지 도 16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관련된 동적 정보 그룹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17 내지 도 1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들에 관련된 다양한 정보들이 제2 단말측에서 표시되는 화면을 도시한 도면들이다.
도 20은 본 발명에 따른 교통 관련 컨텐츠 생성방법의 제1실시예의 순서도이다.
도 21은 본 발명에 따른 교통 관련 컨텐츠 생성방법의 제1실시예의 복수의 아이템에 관한 도면이다.
도 22는 본 발명에 따른 교통 관련 컨텐츠 생성방법의 제1실시예의 위치에 근거하여 선정되는 후보아이템에 관한 도면이다.
도 23은 본 발명에 따른 교통 관련 컨텐츠 생성방법의 제1실시예의 이동방향에 근거하여 선정되는 후보아이템에 관한 도면이다.
도 24는 본 발명에 따른 교통 관련 컨텐츠 생성방법의 제1실시예의 속도에 근거하여 선정되는 후보아이템에 관한 도면이다.
도 25는 본 발명에 따른 교통 관련 컨텐츠 생성방법의 제1실시예의 키워드 및 아이콘을 이용한 출력되는 후보아이템에 관한 도면이다.
도 26은 본 발명에 따른 교통 관련 컨텐츠 생성방법의 제1실시예의 할당된 식별자와 같이 출력되는 후보아이템의 출력에 관한 도면이다.
도 27은 본 발명에 따른 교통 관련 컨텐츠 생성방법의 제1실시예의 분할된 화면을 통해 출력되는 후보아이템에 관한 도면이다.
도 28은 본 발명에 따른 교통 관련 컨텐츠 생성방법의 제1실시예의 경로안내를 위한 지도 상에 출력되는 후보아이템에 관한 도면이다.
도 29는 본 발명에 따른 교통 관련 컨텐츠 생성방법의 제1실시에의 후보아이템 중 선택된 특정아이템에 관한 도면이다.
도 30은 본 발명에 따른 교통 관련 컨텐츠 생성방법의 제1실시에의 특정아이템에 근거하여 선정되는 후보아이템에 관한 도면이다.
도 31은 본 발명에 따른 교통 관련 컨텐츠 생성방법의 제1실시에의 특정아이템을 이용하여 생성된 메시지에 관한 도면이다.
도 32는 본 발명에 따른 교통 관련 컨텐츠 생성방법의 제1실시예의 문자 및 메시지편집신호 중 적어도 하나에 따라 생성된 메시지에 관한 도면이다.
도 33은 본 발명에 따른 교통 관련 컨텐츠 생성방법의 제1실시에의 메시지 이외의 다른 정보를 포함하는 교통 관련 컨텐츠에 관한 도면이다.
도 34는 본 발명에 따른 교통 관련 컨텐츠 생성방법의 제1실시에의 메시지의 특정단어에 근거하여 선정되는 후보아이템에 관한 도면이다.
도 35는 본 발명에 따른 교통 관련 컨텐츠 생성방법의 제2실시예의 순서도이다.
도 36은 본 발명에 따른 교통 관련 컨텐츠 생성방법의 제3실시예의 순서도이다.
도 37은 본 발명에 따른 교통 관련 컨텐츠 생성방법의 제3실시예의 교통 관련 컨텐츠를 송신하는 영역에 관한 도면이다.
도 38은 본 발명에 따른 교통 관련 컨텐츠 생성방법의 제3실시예의 교통 관련 컨텐츠를 수신하는 다른 내비게이션에 관한 도면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본 발명을 용이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에 의해 한정되지 아니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하는 용어 중 “접속”이나 “연결”은 반드시 직접적인 접속 또는 연결만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며, 매개체를 통한 간접적인 접속 또는 연결을 포함하는 개념이다. 또한 “모듈” 또는 “부”는 설명의 편의성을 위하여 사용하는 용어이므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기능을 가지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은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아니하고 수정 또는 변형될 수 있다. 이때,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아니하는 수정 또는 변형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본 발명은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아니하는 수정예 또는 변형예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은 후술할 실시예에 의해 한정되지 아니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여기서,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도면상 동일한 도면부호가 사용되고, 중복된 설명은 생략될 수 있다.
최근 무선 데이터 통신망의 완비, 스마트폰(smart phone)과 같은 무선 통신 단말의 보편화 등의 제반 사항이 갖춰짐에 따라 트위터(twitter)나 페이스북(facebook)과 같은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social network service)가 주목을 받고 있다.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들은 빠른 정보 파급효과를 지니고 있으며, 특히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들은 정보들이 특정한 인맥관계 또는 사회적 관계를 통해서 형성된 네트워크를 통해서 정보가 전달되는 것에 특징이 있다. 이러한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는 기존의 네트워크 서비스에 비해서 정보의 전파속도가 빠르고, 여론에 큰 영향을 끼치는 특징이 있어 사회의 각계 각층에 빠른 속도로 확산되고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에 의하면, 각종 교통 관련 컨텐츠, 관심정보 등을 수집하고, 이러한 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내비게이션 시스템을 이용하여 본 발명에 따른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가 정보를 수집하고, 제공하는 방법을 중심으로 기존의 소셜 네트워크와의 차이점을 명확히 설명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네비게이션 시스템에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 및 도 2도는 각각 본 발명에 따른 내비게이션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내비게이션 시스템은 다양한 엔터티(entity)들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비게이션(10), 인공위성(20), 방송국(30), 각종 다양한 전자기기(electronic device, 40, 50, 60, 70), 서버(200) 및 네트워크(100) 등이 내비게이션 시스템에 포함될 수 있다.
내비게이션(10)은 내비게이션의 현재 위치를 GPS신호 등에 기반하여 산출하고, 이에 기반하여 목적지까지 갈 수 있는 경로를 안내하는 등의 기능을 수행하는 전자기기로써, 네트워크(100)를 통해 전자기기(40, 50, 60, 70)과 무선 또는 유선 방식에 의해 서로 통신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내비게이션(10)과 복수의 전자기기(40, 50, 60, 70) 또는 서버(200)가 상호 통신하는 방식은 제한되지 않는다. 본 명세서의 기술적 사상은, 현존하는 전자기기 간의 모든 무선 통신 방식과 앞으로 등장할 모든 통신 방식에서 적용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서 언급되는 내비게이션(10)은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차량용 내비게이션을 의미할 수 있으나, 내비게이션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어플리케이션(application)이 설치되어 있는 스마트폰나 태블릿컴퓨터(tablet computer) 등과 같이 휴대성과 이동성이 뛰어남과 동시에 다양한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될 수 있는 고성능 휴대형 전자기기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내비게이션(10)은 통신 기능을 가진 다른 전자기기를 통하여 간접적으로 네트워크(100)에 접속할 수 있으며, 네트워크(100)를 통해 다양한 전자기기들, 예를 들어, 노트북(notebook, 40), 모바일폰(mobile phone, 50), 폐쇄회로텔레비젼(CCTV: closed circuit television, 70) 및 서버(200) 등과 접속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스마트폰과 같은 전자기기에 의해 제공되는 테더링(tethering) 서비스 등을 이용하여 네트워크(100)에 접속할 수 있으며, 또는 무선으로 네트워크(100)에 접속하기 위한 동글 형태의 전자기기를 통하여 네트워크(100)에 무선으로 접속할 수 있다.
내비게이션(10)은 인공위성(20)으로부터 수신한 전파신호를 사용하여 현재의 위치를 산출할 수 있다. 각각의 인공위성(20)은 주파수 대역이 상이한 L밴드 주파수를 송신할 수 있다. 내비게이션(10)은 각각의 인공위성(20)에서 송신된 L밴드 주파수가 내비게이션(10)에 도달하는데 소요된 시간에 기초하여 현재 위치를 산출할 수 있다.
방송국(30)은 네트워크(100) 또는 방송채널을 통하여 각종 정보를 내비게이션(10), 서버(200), 전자기기들(40, 50, 60, 70)로 송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내비게이션(10)은 방송국(30) 등으로부터 전송되는 방송 콘텐츠를 수신하여 재생할 수 있으며, 이와 함께 전송되는 실시간 교통 정보를 수신할 수도 있다.
노트북(40), 모바일폰(50), CCTV(70) 등은 다양한 정보를 획득하고, 이를 네트워크(200)를 통해 또는 직접 내비게이션(10)으로 전송할 수 있다. 또는 노트북(40), 모바일폰(50), CCTV(70) 등에 의해 획득된 정보들은 네트워크(200)를 통해 또는 직접 서버로 전송될 수 있다.
리모트컨트롤러(60)는 내비게이션(10)의 동작에 필요한 각종 사용자 입력 또는 명령들을 내비게이션(10)으로 전송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내비게이션(10)은 수신된 사용자 입력 또는 명령들에 대응되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내비게이션 시스템에서 내비게이션(10)을 포함한 전자기기들(40, 50, 60, 70)은 정보를 획득하고 전송하는 전송측 전자기기들로써 동작할 수 있으며, 또는 정보를 수신하고 표시하는 수신측 전자기기들로써 동작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내비게이션(10)을 포함하는 각종 전자기기들(40, 50, 60, 70)이 전송측 전자기기들로써 동작할 때는 제1단말(300)이라고 언급하고, 수신측 전자기기들로써 동작할 때는 제2단말(400)이라고 언급하기로 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단말(300)은 네트워크(100)를 통해 서버(200) 또는 제2단말(400)로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제1단말(300)은 도 1에 도시된 노트북(40), 모바일폰(50), CCTV(70) 또는 내비게이션(10)일 수 있다. 제1단말(300)은 텍스트 정보, 영상 정보, 음향 정보와 같은 다양한 타입의 정보들을 획득할 수 있으며, 획득된 정보는 네트워크(100)를 통해 서버(200)로 전송될 수 있다. 특히, 제1단말(300)로부터 제2단말(400)로 전송되는 정보는 교통 관련 컨텐츠, 특정 관심지점(POI: point of interest)에 대한 정보, 대화 정보(chatting information)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서버(200)는, 네트워크(100)에 접속하여, 제1단말(300)로부터 전송되는 정보를 수신하고, 수신된 정보를 검색할 수 있다. 수신된 정보는 서버(200)에 저장될 수 있다.
한편, 서버(200)는 제1단말(300)의 위치를 모니터링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단말(300)이 복수인 경우, 제1단말(300)로부터 위치정보를 주기적으로 수신하고, 수신된 위치정보에 기반하여 제1단말(300)들의 위치를 계속하여 모니터링하고 있을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서버(200)는, 제1단말(300)의 위치를 모니터링하기 위하여, 제1단말(300)로부터 위치정보를 수신하되, 주기적으로 수신하는 대신, 특정 이벤트가 발생하였을 때 제1단말(300)로부터 위치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이때, 위치정보는 서버(200)의 요청에 의해 전송될 수도 있다. 또는, 제1단말(300)이 미리 정해진 이벤트의 발생을 감지한 경우에, 서버(200)의 특별한 요청 없이, 제1단말(300)의 위치정보를 서버(200)로 전송할 수 있다.
서버(200)는, 제2단말(400)의 위치를 모니터링할 수도 있다. 제2단말(400)의 위치를 모니터링하는 방법은 제1단말(300)의 위치를 모니터링하는 방법과 동일 또는 유사할 수 있다.
제2단말(400)은, 서버(200)에 조건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서버(200)는 제2단말(400)로부터 수신된 조건정보를 고려하여, 조건에 부합하는 정보를 제2단말(400)로 전송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서버(200)는 제2단말(400)에 대한 맞춤형 정보를 구성하여 제2단말(400)로 전송할 수 있다. 제2단말(400)은, 바람직하게, 내비게이션(10)일 수 있다.
네트워크(100)는 다양한 방식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이러한 네트워크(100)는 소셜 네트워크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소셜 네트워크에 관하여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소셜 네트워크의 개념도이다.
소셜 네트워크는, 웹 사이언스의 연구 분야 중 하나로, 웹 상에서 개인 또는 집단이 하나의 노드(node)가 되어 각 노드들 간의 상호의존적인 관계(tie)에 의해 만들어지는 사회적 관계 구조를 말한다. 이때, 모든 노드들은 네트워크 안에 존재하는 개별적인 주체들이고, 타이(tie)는 각 노드들 간의 관계를 뜻한다.
본 발명에 따른 소셜 네트워크(100)는 제1노드(A)를 중심으로 하여, 제1노드(A)와 관계(relationship)를 가지는 하나 이상의 제2노드들(B, C, D, E, F, G, H, I)을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제1노드(A) 및 제2노드들(B, C, D, E, F, G, H, I)은 특정 위치, 특정 도로, 특정 건물, 특정 사용자, 특정 단말 등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노드(A)가 특정 사용자인 경우, 사용자와 관계를 가지고 있는 다른 사용자 또는 단말들은 제2노드로써 특정 사용자와 함께 소셜 네트워크(100)를 구성할 수 있다.
제1노드(A)가 특정 도로인 경우, 특정 도로와 관계를 가지고 있는 다른 도로, 건물, 단말 또는 사용자들은 제2노드로써, 특정 도로와 함께 소셜 네트워크(100)를 구성할 수 있다.
제1노드(A)가 특정 건물인 경우, 특정 건물과 관계를 가지고 있는 다른 건물, 도로, 단말 또는 사용자들은 제2노드로써, 특정 건물과 함께 소셜 네트워크(100)를 구성할 수 있다.
제1노드(A)가 특정 위치인 경우, 특정 위치와 관계를 가지고 있는 다른 위치, 도로, 건물, 단말 또는 사용자들은 제2노드로써, 특정 위치와 함께 소셜 네트워크(100)를 구성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소셜 네트워크(100)는 특정 노드를 중심으로 하여 형성되는 것이므로, 특정 노드에 따라 다양한 소셜 네트워크(100)가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특정 노드가 ‘남부순환도로’, ‘스타타워’, ‘강남역’, ‘여의도’ 등인 경우, 각 특정 노드들을 중심으로 형성되는 쇼셜 네트워크들(100)은 서로 다를 수 있다. 이 때, 각 소셜 네트워크들(100)은 서로 일치하지 않을 수는 있으나, 하나의 소셜 네트워크(100)에 포함되는 다른 노드들 중 일부는 다른 소셜 네트워크(100)에도 포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남부순환도로’라는 노드를 중심으로 형성된 소셜 네트워크(100)에 노드 A에 해당하는 사용자및 노드 B에 해당하는 사용자가 포함되어 있다고 가정할 때, ‘스타타워’라는 노드를 중심으로 형성된 소셜 네트워크(100)에 노드 A에 해당하는 사용자 및 노드 C에 해당하는 사용자가 포함되어 있을 수 있다. 즉, 노드 A에 해당하는 사용자는 ‘남부순환도로’를 중심으로 형성된 소셜 네트워크(100)와 ‘스타타워’를 중심으로 형성된 소셜 네트워크(100)에 모두 포함되어 있을 수 있다.
이때, 노드들(A, B, C, D, E, F, G, H, I)은, 바람직하게는, 그에 대응되는 위치속성을 가지고 있을 수 있다. 예를 들어, 노드들이 특정 위치, 특정 도로 특정 건물 등인 경우, 특정 위치, 특정 도로 및 특정 건물 등의 위치가 노드에 대응되는 위치속성일 수 있으며, 노드들이 특정 사용자 또는 특정 단말기인 경우, 특정 단말기 또는 특정 사용자의 현재 위치가 노드에 대응되는 위치속성일 수 있다.
또한, 제1노드(A)는 정적 노드와 동적 노드로 구별될 수 있는데, 정적 노드는 특정 위치, 특정 도로, 특정 건물 등과 같이 그에 대응되는 위치 속성이 변경되지 않는 노드를 의미하며, 동적 노드는 특정 사용자 또는 특정 전자기기와 같이 그에 대응되는 위치 속성이 시간이 지남에 따라 변경될 수 있는 노드를 의미한다.
또한, 제1노드(A)와 관계를 가지고 있는 제2노드들(B, C, D, E, F, G, H, I) 중 일부 노드들(B, C, E, F, G, I)은 제1노드(A)와 직접적인 관계를 맺고 있지마, 다른 일부 노드들(D, H)은 제1노드(A)와 간접적으로 관계를 맺고 있다. 여기서, 도 3에서 노드 간을 연결하는 선은 그 노드들이 직접적인 관계를 가지고 있음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노드 D는, 노드 I 또는 노드 G를 통하여 제1노드(A)와 관계를 맺고 있으며, 노드 H는, 노드 B 또는 노드 F를 통하여 제1노드(A)와 관계를 맺고 있다.
이 때, 일부 노드들(B, C, E, F, G, I)은 제1노드(A)와 1차 관계를 가지고 있다고 정의하며, 다른 일부 노드들(D, H)은 제1노드(A)와 2차 관계를 가지고 있다고 정의하기로 한다. 물론, 도면에 도시되어 있지는 않으나, 노드 B, C, E, F, G 및 노드 I와는 아무런 관계를 맺고 있지 않으나, 노드 D 및 노드 H 중 어느 하나와 관계를 맺고 있는 노드가 있는 상태의 노드는 제1노드(A)와 3차 관계를 가지고 있다고 정의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소셜 네트워크(100)에 있어서, 제1노드(A)와 제2노드들(B, C, D, E, F, G, H, I) 사이의 관계는 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으나, 제1노드(A)와 제2노드들(B, C, D, E, F, G, H, I) 사이의 위치관계 등에 따라 동적으로 변경될 수 있다. 다시 말해, 노드 B에 해당하는 사용자가 노드 A에 해당하는 역삼역을 관심 지역으로 설정한 경우, 노드 A와 노드 B 사이에는 사용자의 의사에 의해 소정의 관계가 형성될 수 있다. 이와는 달리, 노드 C에 해당하는 단말기가 노드 A에 해당하는 강남역으로부터 거리가 일정 범위 이내에 진입한 경우, 사용자의 의사와 무관하게, 노드 A와 노드 C 사이에는 관계가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소셜 네트워크에 의하면, 제1노드는 제1노드와 관련있는 특정 키워드를 그 속성으로 가질 수 있으며, 제2노드를 통하여 생성되고 업로드되는 정보에 특정 키워드가 포함되어 있으면, 제1노드와 제2노드 사이에 관계가 형성될 수 있다.
다시 말해, 노드 D의 사용자가 현재 남부 순환도로에 위치하고 있지는 않지만, 집에서 뉴스를 시청하던 중, 남부순환도로의 일부 구간에 화재로 인한 차량 정체가 발생한 사실을 접하게 된 경우, 집에서 ‘남부순환도로 일부 구간 화재로 인해 양방향 정체’라고 정보를 생성하여 업로드 한 경우, 제2노드에 의해 업로드 된 ‘남부순환도로’라는 특정 키워드로 인해 남부순환도로(제1노드)와 관계가 형성될 수도 있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제1노드와 제2노드 사이의 관계는, 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서로 간의 위치관계, 키워드 관계 등에 따라 계속해서 변화되는 관계를 가짐으로써, 특정 노드를 중심으로 형성된 네트워크는 특정 노드와 매우 관련성이 높은 정보를 생성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기존의 소셜 네트워크는 사용자와 사용자 사이의 사회적 관계에 의해서 사용자와 사용자 사이의 요청에 의해서만 형성될 수 있는 반면, 본 발명에 의해 안출되는 소셜 네트워크는 이러한 관계 형성에 나아가서 각 노드들의 위치관계에 따라 관계가 형성될 수 있다.
이로써, 특정 지역에서 관심 대상이 될 수 있는 다양한 교통 관련 컨텐츠 내지는 특정 위치를 중심으로 다양한 엔터티(entity)들에 의해 생성되고 업로드 되는 각종 정보들이 소셜 네트워크를 형성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특징에 따라, 본 발명에 의한 소셜 네트워크는 그 구성하고 있는 노드들이 시간이 지남에 따라 계속하여 변경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소셜 네트워크(100)가 형성될 수 있고, 소셜 네트워크(100)를 통해 제2단말(400)은 각종 정보를 수신할 수 있게 된다. 그러나, 본 발명의 사상은 소셜 네트워크를 통해서 각 종 전자기기들이 통신하는 것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다.
이상에서, 본 발명에 따른 내비게이션 시스템 및 본 발명에 따른 소셜 네트워크에 관하여 설명하였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내비게이션 및 서버에 관하여 설명한다.
먼저, 본 발명에 따른 내비게이션의 구성에 관하여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내비게이션의 구성도이다.
내비게이션(10)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통신부(110), 입력부(120), 센싱부(130), 출력부(140), 저장부(150), 전원부(160) 및 제어부(170)를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구성요소들이 필수적인 것은 아니어서, 차량용 내비게이션은 그보다 많은 구성요소들을 갖거나 그보다 적은 구성요소들을 갖도록 구현될 수도 있다.
이하, 내비게이션의 구성요소들에 대해 차례로 살펴본다.
통신부(110)는 내비게이션(10)과 통신 시스템 사이 또는 내비게이션(10)과 내비게이션(10)이 위치한 네트워크 사이 또는 내비게이션(10)과 다른 전자기기 사이와의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하나 이상의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통신부(100)는, 위치 데이터 모듈(111), 무선 인터넷 모듈(113), 방송 송수신 모듈(115), 근거리 통신 모듈(117), 유선 통신 모듈(119)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위치 데이터 모듈(111)은 내비게이션(10)의 위치 데이터를 확인하거나 얻기 위한 모듈이다. 위치 데이터 모듈(111)이 위치 데이터를 획득하는 방법으로는 GNSS(Global Navigation Satellite System)를 통하여 위치 데이터를 획득하는 방법이 사용될 수 있다. GNSS는 인공위성(20)으로부터 수신한 전파신호를 이용하여 수신 단말기의 위치를 산출할 수 있는 항법 시스템을 의미한다. GNSS의 구체적인 예로는, 그 운영 주체에 따라서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Galileo, GLONASS(Global Orbiting Navigational Satellite System), COMPASS, IRNSS(Indian Regional Navigational Satellite System), QZSS(Quasi-Zenith Satellite System) 등 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따른 내비게이션(10)의 위치 데이터 모듈(111)은, 내비게이션(10)이 사용되는 지역에서 서비스하는 GNSS 신호를 수신하여 위치 데이터를 획득할 수 있다. 위치 데이터 모듈(111)은 내비게이션(10)의 현재 위치를 실시간으로 계속 산출하고, 이를 이용하여 속도 정보가 산출될 수도 있다. 특히, 위치 데이터 모듈(111)에 의해 획득되는 위치 데이터는 경도와 위도를 포함할 수 있다.
무선 인터넷 모듈(113)은 무선 인터넷에 접속하여 데이터를 획득하거나 송신하는 장치이다. 무선 인터넷 모듈(113)을 통하여 접속할 수 있는 무선 인터넷은, WLAN(Wireless LAN), Wibro(Wireless broadband),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등 일 수 있다.
방송 송수신 모듈(115)은 각종 방송 시스템을 통하여 방송 신호를 수신하는 장치이다. 방송 송수신 모듈(115)을 통하여 수신할 수 있는 방송 시스템은, DMBT(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Terrestrial), DMBS(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Satellite), MediaFLO(Media Forward Link Only), DVBH(Digital Video Broadcast Handheld), ISDBT(Integrated Services Digital Broadcast Terrestrial) 등일 수 있다. 방송 송수신 모듈(115)을 통하여 수신되는 방송 신호에는 교통데이터, 생활데이터 등이 포함될 수 있다.
근거리 통신 모듈(117)은 근거리 통신을 위한 모듈을 말한다. 근거리 통신 기술로 블루투스(Bluetooth),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적외선 통신(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UWB(Ultra Wideband), ZigBee 등이 이용될 수 있다.
유선 통신 모듈(119)은 내비게이션(10)에 연결되는 다른 전자기기와의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예를 들어, 유선 통신 모듈(119)은, USB Port를 통하여 통신할 수 있는 USB 모듈일 수 있다.
입력부(120)는 내비게이션(10)의 동작 제어를 위한 입력 데이터를 발생시키는 모듈로서, 외부로부터의 물리적 입력을 특정한 전기 신호로 변환하여 입력 데이터를 발생시킬 수 있다. 입력부(120)는 사용자 입력 모듈(121), 마이크(123) 및 영상 획득 모듈(125)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 입력 모듈(121)은 사용자로부터 내비게이션(10)의 동작 제어를 위한 제어 입력을 수신한다. 사용자 입력 모듈은 키 패드(key pad) 돔 스위치 (dome switch), 터치 패드(정압/정전), 조그 휠, 조그 스위치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마이크(123)은 사용자의 음성 및 차량의 내외부에서 발생한 음향을 수신하는 장치이다.
영상 획득 모듈(125)은 차량의 내외부의 영상의 획득하는 장치이다. 예를 들어, 영상 획득 모듈(125)은 카메라를 포함할 수 있다. 영상 획득 모듈(125)은 반드시 내비게이션(10)에 포함되어야 하는 필수 구성요소는 아니다. 내비게이션(10)은 필요에 따라, 차량 내외부의 영상을 획득할 수 있는 별도의 디바이스, 예를 들어, 차량용 블랙박스 등과 같은 다른 독립된 전자기기와 연동될 수 있으며, 이러한 전자기기를 통하여, 영상 획득 모듈(125)을 대신하여, 영상 정보를 획득할 수 있게 된다.
센싱부(130)는 내비게이션(10)의 현재 상태를 감지하여 내비게이션(1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센싱 신호를 발생시킨다. 센싱부(130)는 모션 센싱 모듈(131), 광 센싱 모듈(133)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모션 센싱 모듈(131)은 내비게이션(10)의 3차원 공간 상에서의 움직임을 감지할 수 있다. 모션 센싱 모듈(131)은, 3축 지자기 센서 및 3축 가속도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모션 센싱 모듈(131)을 통하여 획득한 움직임 데이터를 위치 데이터 모듈(111)을 통하여 획득한 위치 데이터와 결합하여, 내비게이션(10)을 부착한 차량의 보다 정확한 궤적을 산출할 수 있다.
광 센싱 모듈(133)은 내비게이션(10)의 주변 조도(illuminance)를 측정하는 장치이다. 광 센싱 모듈(133)을 통하여 획득한 조도 데이터를 이용하여, 디스플레이부(145)의 밝기를 주변 밝기에 대응되도록 변화시킬 수 있다.
출력부(140)는 내비게이션(10)이 데이터를 출력하는 장치이다. 출력부(140)는 디스플레이 모듈(141), 오디오 출력 모듈(143)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모듈(141)은 내비게이션(10)이 시각적으로 인식될 수 있는 데이터를 출력하는 장치이다. 한편, 디스플레이 모듈(141)이 터치스크린인 경우라면, 데이터의 출력부(140)인 동시에 입력부(120)의 역할을 동시에 할 수 있음은 전술한 바와 같다.
오디오 출력 모듈(143)은 청각적으로 인식될 수 있는 오디오 데이터를 출력한다. 오디오 출력 모듈(143)은, 내비게이션(10)에서 수행되는 기능(예를 들어, 경로 안내 기능)과 관련된 오디오 신호를 출력한다. 이러한 오디오 출력 모듈(143)에는 리시버(Receiver), 스피커(speaker), 버저(Buzzer)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저장부(150)는 내비게이션(10)의 동작을 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할 수 있고, 내비게이션(10)과 관련하여 입/출력되는 데이터(경로 데이터, 영상 데이터)들을 임시 저장할 수도 있다. 또한, 저장부(150)는 경로 안내 서비스에 사용되는 지도(map) 데이터를 저장할 수도 있다. 저장부(150)는 내비게이션(10)의 내부에 내장되거나, 탈부착이 가능하며, 플래시 메모리 타입(flash memory type), 하드디스크 타입(hard disk type), 멀티미디어 카드 마이크로 타입(multimedia card micro type), 카드 타입의 메모리(예를 들어 SD 또는 XD 메모리 등), 램(Random Access Memory, RAM), SRAM(Static Random Access Memory), 롬(ReadOnly Memory, ROM),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PROM(Programmable ReadOnly Memory), 자기 메모리, 자기 디스크, 광디스크 중 적어도 하나의 타입의 저장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내비게이션(10)은 인터넷(internet)상에서 저장부(150)의 저장 기능을 수행하는 웹 스토리지(web storage)와 관련되어 동작할 수도 있다.
전원부(160)는 외부의 전원, 내부의 전원을 인가받아 내비게이션(10)의 각 구성요소들 또는 내비게이션(10)에 연결된 다른 디바이스의 동작을 위하여 필요한 전원을 공급한다.
제어부(170)는 통상적으로 내비게이션(1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나아가, 제어부(170)는 내비게이션(10)에 연결된 다른 디바이스를 제어하는 제어신호를 출력할 수도 있다. 제어부(170)는 앞서 설명한 다른 모듈(즉, 통신부(110), 입력부(120), 센싱부(130), 출력부(140), 저장부(150), 전원부(160) 등)과 정보 및/또는 제어신호를 주고받기위한 입출력부(즉, 인터페이스부)를 구비할 수 있다.
이어서, 본 발명에 따른 서버의 구성에 관하여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서버의 구성도이다.
서버(20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통신부(210), 데이터베이스(230) 및 제어부(220)을 포함할 수 있다. 도 5에 도시된 구성요소들이 필수적인 것은 아니어서, 서버(200)는 그보다 많은 구성요소들을 갖거나 그보다 적은 구성요소들을 갖도록 구현될 수도 있다.
이하, 서버의 구성요소들에 대해 차례로 살펴본다.
제2 통신부(210)는 서버(200)와 네트워크(100)와 통신을 가능하게 한다. 예를 들어, 제2 통신부(210)는, 유/무선을 통하여 무선 통신을 할 수 있는 각종 통신 모듈들을 포함할 수 있다.
데이터베이스(230)는 네트워크(100)로부터 수집된 각종 정보들을 저장할 수 있다. 데이터 베이스(230)는, 앞서 설명한 내비게이션(10)의 저장부(150)와 같이, 다양한 타입의 저장매체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제2 제어부(220)는 통상적으로 서버(2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제2 제어부(220)는, 위치정보 처리 모듈(221), 정보 수집 모듈(222), 조건 처리 모듈(224) 및 정보 전송 모듈(226) 을 포함할 수 있다.
위치정보 처리모듈(221)은, 제1단말(300) 및/또는 제2단말(400)로부터 제1단말(300) 및/또는 제2단말(400)에 대응되는 위치정보를, 제2 통신부(210)를 통하여, 수신하고, 수신된 위치정보에 근거하여 필요한 정보를 산출한다.
필요한 정보는 제1단말(300) 및/또는 제2단말(400)이 위치하는 구간 정보, 제1단말(300) 및/또는 제2단말(400)의 이동속도 정보, 제1단말(300) 및/또는 제2단말(400)의 이동방향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위치정보 처리 모듈(228)은, 산출된 정보들을, 제2 통신부(210)를 통하여, 제1단말(300) 및/또는 제2단말(400)로 전송할 수 있다.
정보 수집 모듈(222)은, 제2 통신부(210)를 통하여, 네트워크(100)로부터 필요한 정보들을 수집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한편, 정보 수집 모듈(222)은, 제2 통신부(210)를 통하여 수집된 정보들 중, 미리 정해진 조건에 부합하는지 판단하고, 조건에 부합하지 않는 경우, 수집된 정보를 데이터베이스(230)에 저장하지 않고 폐기하거나 또는 데이터베이스(230)에 일시적으로 저장하였다가 폐기하는 필터링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수집된 정보들 중 동일한 구간 및/또는 위치에 대응되는 정보들(이하, 동일 구간 정보라 함)을 고려하여, 동일 구간 정보들로부터 획득되는 정보들의 평균값 및/또는 편차 등을 산출한 후, 미리 정해진 기준 범위를 벗어나는 정보는 데이터베이스(230)에 저장하지 않고 필터링할 수 있다.
또한, 제2 제어부(220)는, 수집된 정보에 평가 정보를 부여하는 동작을 수행할 수도 있다. 수집된 정보에 부여되는 평가 정보는 다양한 기준에 의해 산출될 수 있다.
조건 처리 모듈(224)은, 제2 통신부(210)를 통하여, 제2단말(400)로부터 수신된 조건 정보를 처리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하에서 구체적으로 설명하겠지만, 특히, 조건 처리 모듈(224)은, 조건 정보에 기반하여, 데이터베이스(230)에 저장되어 있는 정보들 중, 혹은 네트워크(100) 상의 정보들로부터 조건에 부합하는 정보들을 검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조건 처리 모듈(224)는 데이터 베이스(230)에 저장되어 있는 정보들 중 조건 정보에 부합하는 정보들을 추출한다. 조건 처리 모듈(224)에 의해 추출된 정보들은 조건을 구성하는 내용에 따라 서로 달라질 수 있다. 전술한 바에 따라 추출된 정보들을, 본 문서에서 동적 정보 그룹이라고 정의하기로 한다. 조건 처리 모듈(224)이 조건 정보에 기반하여 동적 정보 그룹을 생성하는 것에 대해서는, 후에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정보 전송 모듈(226)은, 동적 정보 그룹을 참조하여, 소정의 정보를 제2단말(400)로 전송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정보 전송 모듈(226)은, 정보를 제2단말(400)로 전송할 때, 만약 제2단말(400)로 전송하여야 할 정보(동적 정보 그룹에 포함된 정보)의 양이 미리 정해진 기준을 초과하는 경우, 그 중 일부만 제2단말(400)로 전송할 수 있다. 이 때, 정보 전송 모듈(226)은 다양한 기준에 기반하여 먼저 전송할 정보의 일부를 선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정보 전송 모듈(226)은, 정보에 부여된 평가 정보 등을 고려하여 먼저 전송할 정보를 선택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전술한 시스템 환경 하에서 정보를 제1단말과 서버의 상호 작용에 의해 정보를 획득하고 수집하는 방법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이하에서는, 도 2 를 참조하여 설명한 제1단말(300) 및 제2단말(400)은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 내비게이션(10)에 의해 구현되는 것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나아가,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한 제1노드 및 제2노드에 대응되는 특정 전자기기가 있는 경우, 특정 전자기기 또한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 내비게이션(10)에 의해 구현되는 것을 상정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사상은 제1 및 제2단말(300,400) 및/또는 제1노드 및 제2노드들에 대응되는 전자기기가 내비게이션(10)에 의해 구현되는 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정보수집방법에 관한 순서도이다.
내비게이션(10,300)은 입력부(120)를 통해 다양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S100).
예를 들어, 사용자 입력 모듈(121)에 의해 사용자로부터 직접 입력되는 정보들이 획득될 수 있다. 또는, 마이크(123)를 통해 사용자의 육성 또는 내비게이션(10,300)이 부착 또는 설치되어 있는 차량 내외부에서 발생하는 음향이 획득될 수 있다. 또는 영상 획득 모듈(125)를 통해 내비게이션(10,300)이 부착 또는 설치되어 있는 차량 내외부의 영상이 획득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내비게이션(10,300)의 입력부(120)를 통해 획득된 정보를 사용자 컨텐츠라고 언급할 수 있다. 이러한 사용자 컨텐츠는 교통과 관련된 교통 관련 컨텐츠를 포함할 수 있다.
내비게이션(10,300)은 위치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S110).
예를 들어, 내비게이션(10,300)은 위치데이터 모듈(111)에 의해 수신되는 GPS신호를 이용하여, 내비게이션(10,300)이 현재 위치하고 있는 좌표값(예를 들어, 경도 및 위도 좌표)을 산출할 수 있다.
이어서, 내비게이션(10,300)은 사용자 컨텐츠를 서버(200)로 전송할 수 있다(S120).
이 때, 내비게이션(10,300)은 획득된 위치정보를 서버(200)로 전송할 수 있다. 내비게이션(10,300)은 위치정보와 함께 시각정보를 서버(200)로 전송할 수 있다.
위치 정보는 사용자 컨텐츠가 획득되는 시점을 전후로 하여 산출된 위치 정보일 수 있다.
위치 정보는 사용자 컨텐츠가 획득되는 동안 서버(200)로 전송될 수 있으며, 사용자 컨텐츠가 서버(200)로 전송되는 동안 함께 전송될 수 있으며, 사용자 컨텐츠가 서버(200)로 전송된 후에 전송될 수 있다.
위치 정보는 사용자 컨텐츠에 대응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내비게이션(10,300)에 의해 획득되는 제1 사용자 컨텐츠는 A 위치에서 생성되었고, 제2 사용자 컨텐츠는 B 위치에서 생성된 경우, 제1 사용자 컨텐츠는 A 위치에 대응될 수 있으며, 제2 사용자 컨텐츠는 B 위치에 대응될 수 있다.
한편, 하나의 컨텐츠에 대응되는 위치정보는 복수일 수 있다. 제3 사용자 컨텐츠를 획득하는 동안 내비게이션(10,300)의 위치는 시간에 따라 변경될 수 있는데, 이에 따라 제3 사용자 컨텐츠에는 복수의 위치정보가 대응될 수 있는 것이다. 예를 들어, 제3 사용자 컨텐츠가 도로 주행 중 획득된 주행 영상인 경우, 주행 영상을 획득하기 시작한 시점에서 내비게이션(10,300)이 C 위치에 위치하였었고, 주행 영상을 획득하기 시작한 시점에서 일정시간이 지나간 시점에서 내비게이션(10,300)이 D 위치에 위치하였엇고, 주행 영상 획득을 종료한 시점에서 내비게이션(10,300)이 E 위치에 위치하였던 경우, 제3 사용자 컨텐츠에 대응되는 위치 정보는 C 위치, D 위치, E 위치가 될 수 있다. 물론, 하나의 컨텐츠에 3개 이상의 위치정보가 대응될 수도 있으며, 또는 1개의 위치정보가 대응될 수 있는 것은 자명하다.
전술한 바와 같이, 사용자 컨텐츠에는 시각 정보가 대응될 수 있다. 시각 정보가 대응되는 방법은 위치 정보가 사용자 컨텐츠에 대응되는 방법과 동일하거나 유사하다.
내비게이션(10,300)은, 사용자 컨텐츠에 대응되는 속도 정보, 방향 정보, 구간 정보 등을 더 산출할 수도 있다. 속도 정보, 방향 정보 및 구간 정보 등이 더 산출된 경우, 산출된 정보들은 서버(200)로 전송될 수 있다.
컨텐츠에 대응되는 속도 정보, 방향 정보 및 구간 정보 등은, 각각 사용자 컨텐츠가 획득하고 있는 동안 산출되는 내비게이션(10,300)의 이동 속도, 이동 방향 및 내비게이션(10,300)의 위치가 속해 있는 특정 도로 구간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단말(300)이 ‘양재역’에 위치하고 있는 때, 제1단말(300)의 사용자가 ‘양재역에서 강남역 방면으로 서행 중’이라고 정보를 입력한 경우, 사용자가 입력한 정보와 함께 ‘양재역’이라는 위치정보가 함께 서버(200)로 전송될 수 있는 것이다. 위치 정보는, 앞서 설명한, 위치 데이터 모듈(111)에 의해 획득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위치 정보는 ‘양재역’이라는 텍스트의 형태로 전송될 수도 있으나, 위치 데이터 모듈(111)에 의해 획득되는 경도좌표와 위도좌표의 형태로 전송될 수도 있다.
또한, 제1단말(300)은, 정보를 서버(200)로 전송할 때, 획득된 정보에 관련된 방향정보를 함께 전송할 수 있다. 방향 정보는, 제1단말(300)에 의해 정보가 획득될 당시에 제1단말(300)이 진행하고 있는 방향을 반영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단말(300)이 강남대로 상에서 ‘양재역’에서 ‘강남역’ 방면으로 진행하고 있는 때, 제1단말(300)의 마이크(123)를 통해 사용자가 ‘양재역에서 강남역 방면으로 소통원활’이라고 말하는 육성이 획득된 경우, 획득된 사용자의 육성(즉, 음성 정보)을 방향정보와 함께 서버(200)로 전송될 수 있다.
속도 정보는 전술한 바에 따라 획득된 복수의 위치정보에 의해 산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위치정보가 주기적으로 획득되고 있는 경우, 복수의 위치정보 간의 거리와 미리 설정되어 있는 획득 주기를 이용하여, 내비게이션(10)의 이동속도가 산출될 수 있다. 속도 정보는, 이와는 달리, 내비게이션(10,300)이 설치되어 있는 차량으로부터 직접 획득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차량에 설치되어 있는 엔진 제어 유닛(Engine Control Unit, ECU)으로부터 차량의 속도 정보가 획득될 수 있다.
방향 정보는 전술한 바에 따라 획득된 복수의 위치정보에 의해 산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컨텐츠를 획득하고 있는 동안 복수의 위치정보가 획득된 경우, 복수의 위치 정보에 의해 형성되는 궤적의 방향에 의해 방향 정보가 산출될 수 있다.
구간 정보는 전술한 바에 따라 획득된 복수의 위치정보에 의해 산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복수의 위치정보가 지도 데이터 상의 도로 구간(예를 들어, 테헤란로 역삼역-강남역 구간)에 포함되는 경우, 지도 데이터 상의 도로 구간이 구간 정보가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위치정보 및/또는 방향정보는 전송할 정보(즉, 사용자 컨텐츠)에서부터 추출되는 정보일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단말(300)을 통해 사용자가 ‘양재대로 과천방면 소통원활’이라고 입력한 경우, 제1단말(300)은 사용자가 입력한 정보로부터 위치정보 및/또는 방향정보를 추출할 수 있다. 즉, 위치정보로써 ‘양재대로’가 추출될 수 있으며, 방향정보로써 ‘과천방면’이 추출될 수 있다.
또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위치정보는 입력되는 정보(즉, 사용자 컨텐츠)와 관련되는 노드에 부여된 위치속성을 반영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노드로써 ‘강남역’이 존재하는 경우, 제1단말(300)은 ‘강남역’과 관계를 가지는 제2노드로써, ‘강남역’이라는 노드에 대해 ‘사거리 신호고장’이라고 입력한 경우, 입력된 정보는 그에 관련된 위치정보인 ‘강남역’과 함께 서버(200)로 전송될 수 있다. 만약, 제1노드에 방향속성도 부여되어 있는 경우에는, 제1노드에 부여된 방향속성을 반영하는 방향정보가 서버(200)로 전송될 수 있다.
전술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해 산출된 정보는 사용자 컨텐츠가 획득되는 동안 서버(200)로 전송될 수 있으며, 사용자 컨텐츠가 서버(200)로 전송되는 동안 함께 전송될 수 있으며, 사용자 컨텐츠가 서버(200)로 전송된 후에 전송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내비게이션(10,300)은 서버(200)로 사용자 컨텐츠에 대응되는 위치 정보 및/또는 시각 정보만을 전송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앞서 설명한 속도 정보, 방향 정보, 구간 정보 등은 서버에 의해 산출될 수 있다. 서버(200)에 의해 속도 정보, 방향 정보, 및 구간 정보가 산출되는 방법은 앞서 내비게이션(10,300)에 의해 산출되는 방법과 동일하거나 유사하다. 즉, 서버(200)는 내비게이션(10,300)으로부터 수신되는 복수의 위치 정보를 이용하여 속도 정보, 방향 정보, 구간 정보 등을 산출할 수 있다. 또는, 서버(200)는, 내비게이션(10,300)으로부터 수신된 사용자 컨텐츠로부터 방향 정보, 위치 정보 또는 구간 정보를 추출할 수 있다. 또는 서버(200)는, 내비게이션(10,300)으로부터 수신된 사용자 컨텐츠와 관련되는 노드에 부여된 위치속성으로부터 위치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전술한 바에 따라, 제1단말(300)에 의해 정보(사용자 컨텐츠)가 획득될 수 있으며, 획득된 정보는 서버(200)로 전송될 수 있다. 또한, 정보(사용자 컨텐츠)는 위치 정보, 속도 정보, 방향 정보 및 구간 정보 중 어느 하나 이상에 대응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전술한 시스템 환경 하에서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정보제공방법에 관한 순서도이다.
먼저, 서버(200)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각종 정보(예를 들어, 사용자 컨텐츠 등)를 네트워크(100)로부터 수신한다(S200).
수신된 각종 정보는 교통관련정보, 교통 관련 컨텐츠, 특정 POI에 대한 정보, 대화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수신된 각종 정보는 그에 관련된 시각 정보, 위치 정보, 방향 정보 및 속도 정보에 대응될 수 있다. 나아가, 각종 정보는 각종 정보를 전송한 사용자 또는 사용자의 단말기에 대한 식별정보에 대응될 수 있다. 사용자 또는 사용자의 단말기에 대한 식별 정보는 사용자 컨텐츠의 전송 시에, 내비게이션(10,300)으로부터 서버로 전송되는 것일 수 있다.
이어서, 서버(200)는, 수신된 정보를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한다(S210).
수신된 정보는 선택적으로 저장될 수 있다. 즉, 수신된 정보는 모두 저장될 수도 있으며, 수신된 정보의 일부만 저장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서버(200)는 소셜 네트워크(100)를 통하여 수신된 정보의 내용을 미리 정해진 기준에 따라 평가한 후에, 기준에 부합되는 정보만을 선택적으로 저장할 수 있다. 이러한 미리 정해진 기준은 서버(200)에서 내비게이션(10)으로 제공하고자 하는 정보의 목적을 반영하여 결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내비게이션(10)으로 교통관련정보를 전송하고자 하는 경우, 서버(200)는 수신된 정보가 교통관련정보를 포함하고 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으며, 교통관련정보가 포함되어 있지 않다고 판단되는 경우, 수신된 정보는 저장하지 않고 폐기할 수 있다. 이하에서, 수신된 정보를 선택적으로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서버(200)의 동작을 ‘필터링 동작’ 또는 ‘필터링’이라고 포괄적으로 언급하기로 한다.
서버(200)는 수신된 정보(즉, 사용자 컨텐츠)를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함에 있어서, 내비게이션용 지도 데이터에 매핑하여 저장할 수 있다. 이 때, 서버(200)는 정보가 대응되는 위치정보 및/또는 구간 정보를 이용하여 수신된 정보를 지도 데이터에 매핑할 수 있다.
정보는 위치정보 및/또는 구간 정보에 따라 분류되어 저장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정보는, 시/군/구와 같은 행정구역별로 분류되어 저장될 수 있고, 외곽순환도로, 남부순환도로, 올림픽도로와 같은 도로별로 구분되어 저장될 수 있다. 또는 더 세분화 되어 외곽순환도로의 A-B구간, 남부순환도로의 C-D구간과 같이 미리 정해진 도로의 구간에 대해 분류되어 저장될 수 있다.
나아가, 정보는 정보에 포함되어 있는 방향정보를 더 고려하여 분류하여 저장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외곽순환도로의 A-B구간의 A방향 또는 외곽순환도로의 A-B구간의 B방향으로 분류되어 저장될 수 있다.
서버(200)는, 정보에 대응되어 있는 속도 정보를 더 고려하여 분류하여 저장할 수 있다.
한편, 서버(200)는, 정보에 평가 정보를 부가하여 함께 저장할 수 있다. 평가 정보는 정보의 신뢰성을 대표하는 것일 수 있다. 예를 들어, 평가 정보의 등급이 높을수록 신뢰도 높은 정보임을 나타낼 수 있고, 반대로 평가 정보의 등급이 낮을수록 신뢰도 낮은 정보임을 나타낼 수 있다.
정보에 평가 정보를 부여하는 방식을 매우 다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정보를 전송한 사용자 또는 단말기에 부여된 평가정보를 고려하여 산출할 수 있다. 또는 정보가 교통관련정보를 포함하고 있는 경우, 다른 교통 관련 컨텐츠제공 서버로부터 제공되는 교통 관련 컨텐츠등과 비교한 결과를 고려하여 평가 정보가 산출될 수 있다.
한편, 서버(200)는, 정보에 대응되어 있는 시각 정보를 이용하여, 정보가 획득된 후 일정 시간이 지난 후에 정보를 폐기할 수 있다.
이어서, 서버(200)는, 제2단말(400)로부터 조건을 수신한다(S220).
조건은 제2단말(400)에서 생성된 것으로써, 내비게이션(10)은 다양한 알고리즘에 의해 생성될 수 있다. 제2단말(400)이 조건을 생성하는 것에 대한 구체적인 실시예는 후술하기로 한다.
조건은 특정 사용자, 특정 단말, 위치, 시각 및 방향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서버(200)는, 수신된 조건을 고려하여, 몇몇 정보를 선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조건 정보가 위치 및 방향을 포함하고 있는 경우, 서버(200)는, 위치 및 방향에 대응되는 제1단말들(예를 들어, 상기 위치를 상기 방향으로 통과한 제1 단말들)로부터 전송된 정보를 선택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서버에 저장되어 있는 복수의 정보들로부터, 또는 소셜 네트워크(100)를 통해 억세스가 가능한 복수의 정보들로부터 적어도 하나 이상이 선택된 동적 정보 그룹을 구성할 수 있다. 동적 정보 그룹은 제2단말(400)에서 생성되어 전송되는 조건과 밀접한 관련이 있으므로, 이에 대해서는 제2단말(400)이 조건을 생성하는 구체적인 실시예를 후술하면서 함께 설명하기로 한다.
서버(200)는, 수신된 조건을 고려하여, 수집된 정보 중 일부를 선택해 제2단말로 전송한다(S230).
서버(200)는, 수신된 조건을 고려하여, 수집된 정보 중 일부를 선택해 동적 정보 그룹을 생성할 수 있다. 이어서, 서버(200)는, 동적 정보 그룹에 포함된 정보를 제2단말(400)으로 전송할 수 있다. 즉, 서버(200)는, 수집된 정보로부터 구성된 동적 정보 그룹에 포함되는 정보를 제2단말(400)으로 전송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서버(200)는 제1단말(300)에 의해 획득된 정보를 그대로 저장하고 있다가, 제2단말(400)로 별다른 가공 없이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단말(300)에 의해 차량 운행 중에 획득된 운행영상이 촬영된 경우, 서버(200)는 촬영된 영상을 수신/저장하고 있다가, 운행 영상이 수신된 조건에 부합하는 경우, 영상을 별다른 가공 없이 그대로 제2단말(400)로 전송할 수 있다.
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서버(200)는, 제1단말(300)에 의해 획득된 정보를 저장하고 있다가, 제2단말(400)로 전송하기 전에 정보를 가공한 후, 가공된 정보를 제2단말(400)로 전송할 수 있다. 정보를 가공하는 방법은 다양할 수 있다. 정보를 가공하는 구체적인 방법에 대해서는 후술하기로 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하면, 서버(200)는 다양한 관계에 의해서 형성되는 소셜 네트워크(100)로부터 각종 정보들을 수집할 수 있으며, 이러한 정보들 중, 제2단말(400)로부터 수신된 조건 정보를 고려하여, 몇몇 정보들을 선별한 후, 선별된 정보를 제2단말(400)로 전송함으로써 제2단말(400)에 꼭 필요한 정보만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관련된 정보 수신 방법을 설명하기로 한다. 특히, 제2단말(400) 측에서, 서버(200)와의 상호작용에 의해, 정보를 수신하는 방법을 설명하기로 한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제2단말(400)이 앞서 설명한 내비게이션(10)에 의해 구현되는 것을 가정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정보수신방법의 순서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내비게이션(10, 400)은 이벤트를 획득한다(S300).
이벤트는 다양할 수 있다. 이벤트는 경로 설정과 관련될 수 있으며, 이벤트는 현재의 내비게이션(10,400)의 위치와 관련될 수 있으며, 이벤트는 사용자의 요청과 관련될 수 있다.
이벤트가 발생하면, 발생된 이벤트에 기반하여 조건 정보를 생성하게 된다(S310).
이에 따라, 생성된 조건정보를 서버(200)로 전송하고(S320), 서버로부터 조건에 부합하는 정보를 수신한다(S330).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내비게이션(10, 400)에서 경로가 설정된 경우(이벤트가 발생한 경우), 내비게이션(10,400)은 경로 전방의 교통 관련 정보 등을 획득하기 위하여, 현재 설정된 경로 및 진행 방향 등을 포함하는 조건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또는, 설정된 경로에 대한 목적지와 관련된 다양한 정보를 획득하기 위하여, 목적지의 위치 정보를 포함하는 조건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9를 참조하면, 내비게이션(10,400)의 현재 위치(C)에서, 목적지(T)에 대하여 경로(P)가 획득되면, 그에 따라 다양한 조건 정보가 생성될 수 있다. 생성된 정보는 서버로 전송될 수 있으며,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조건에 맞는 정보를 서버(200)가 전송하면, 도 9에 도시된 정보 영역(IA)에 소셜 네트워크(100)를 통하여 획득된 다양한 정보들(D1, D2, D3)이 표시될 수 있는데, 이 중 제1 정보(D1), 및 제2 정보(D2)는 경로 전방인 한남대교 북단의 교통상황에 대하여 다른 사용자의 단말들(즉, 제1단말)을 통해 사용자들이 입력한 교통관련 정보를 표시하고 있다. 즉, 제1 및 제2 정보(D1, D2)는 설정된 경로(P)에 기반하여 생성된 경로 및 방향 정보를 포함하는 조건정보에 부합하는 정보에 해당하는 것이다. 한편, 제3 정보(D3)는, 목적지(T)인 단국대학교의 풍경을 담은 사진으로써, 다른 사용자의 단말(즉, 제1단말)을 통해서 사용자들이 직접 획득한 정보를 표시하고 있다. 즉, 제3 정보(D3)는 설정된 목적지(T)에 기반하여 생성된 조건 정보에 부합하는 정보에 해당하는 것이다.
한편, 내비게이션(10,400)이 분기점이 나오는 도로 상을 이동하고 있는 경우(예를 들어, 교차로에 진입하게 되거나, 고속도로 상에서 IC 도달 이전), 이러한 상황을 이벤트로 감지하고, 분기점 등에서의 각 분기점 이후의 도로들에 대한 도로 정보를 조건 정보로써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0을 참조하면, 내비게이션(10,400)이 경부고속도로에서 이동하고 있다가 전방 미리 정해진 거리 이내에 분기점(도 9의 서초 IC 또는 양재 IC)에 위치하게 되는 경우, 이벤트가 발생하게 되고, 이러한 이벤트에 따라, 내비게이션(10,400)은 각 분기점들로 진입한 이후의 도로들에 대한 정보를 조건 정보로 생성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조건을 수신한 서버(200)는 조건에 부합하는 정보를 선택하여 내비게이션(10,400)으로 전송하고, 수신된 정보들(D4,D5)은 정보 영역(IA)에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표시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도 11을 참조하면, 내비게이션(10)이 양재역 사거리에 가까워지고 있는 경우, 이를 이벤트로 획득하고, 양재역 사거리를 포함하는 조건 정보를 생성하고, 서버로부터 양재역 사거리에 각 방면에 대한 도로의 교통상황 정보를 내비게이션(10)으로 제공할 수 있다. 제공된 정보들(D6,D7,D8)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정보 영역(IA)에 표시될 수 있다.
내비게이션(10,400)은 사용자로부터 조건 생성에 관련된 입력을 수신하여, 수신된 입력에 기반한 조건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현재 운행하고 있는 도로, 현재 설정된 경로, 현재 위치 등과 무관하게 특정 위치에 대한 교통 관련 컨텐츠 또는 다양한 정보를 확인하고 싶은 경우, 특정 위치 등에 대한 입력을 하고, 내비게이션(10)은 입력된 정보에 기반하여 조건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현재 내비게이션(10)이 장착된 차량을 이용해 테헤란로를 주행하고 있는 도중, 양재역 부근의 교통관련 정보를 알고 싶은 경우, 입력창(IW)에 ‘양재역’이라고 입력하고, 특정 기능키(FK)를 선택하면, 양재역을 포함하는 조건정보가 생성되고, 이에 관련된 교통관련 정보가 수신되어 정보 영역(I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표시될 수 있다.
사용자가 위치를 입력할 수 있는 방법도 다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3를 참조하면, 사용자가 주행하던 중, 주변에 있는 식당에 대한 정보를 알고 싶은 경우, 해당 식당을 터치할 수 있고, 이에 따라 내비게이션(10)은 해당 식당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여 표시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내비게이션(10)은 다양한 이벤트를 획득하고, 이벤트에 기반하여 다양한 종류의 조건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하면, 조건 정보에는 위치정보, 방향정보, 시각 정보, 특정 사용자 정보, 특정 단말 정보 등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는데, 조건 정보가 어떠한 정보를 이용하여 구성될 지 여부는 이벤트의 종류에 의해 결정될 수 있는 것이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서버(200)는 제2단말(400)로부터 조건 정보를 수신하여 동적 정보 그룹을 구성하게 되는 데, 이하에서는 이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14 내지 도 16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관련된 동적 정보 그룹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네트워크(100)를 통하여 수집된 정보들은 그에 대응되는 위치 정보에 기반하여 지도 데이터에 매핑되어 저장될 수 있음은 이미 설명한 바 있다. 도 14에 도시된 A,B,C,D,E,F는 도 14에 도시된 도로들을 표시하는 것이며, a,b,c,d,e,f,g,h,i는 도 14에 도시된 각 교차점을 표시하는 것이다. 또한, 도 14에 도시된 점은 네트워크(100)를 통하여 수집된 정보들이 매핑되어 있는 위치를 나타낸다. 그리고, 각 점들에 표시된 화살표는 정보에 대응되어 있는 방향 정보를 나타낸다.
만약, 내비게이션(10)으로부터, 조건정보로써, e교차로에 대응되는 위치정보가 수신된 경우,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e교차로에서 특정 반경 이내를 동적 정보 영역(DA1)으로 설정하고, 동적 정보 영역(DA1) 내에 매핑되어 있는 정보들을 동적 정보 그룹으로 구성할 수 있다.
즉, 조건 정보에, 방향에 대한 조건 없이, 특정 위치만 포함되어 있는 경우, 동적 정보 영역(DA1)은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방향성 없이 설정될 수 있다.
만약, 내비게이션(10)으로부터, 조건정보로써, 경로가 수신된 경우,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경로 상에 위치하고, 경로의 방향과 일치하는 방향을 가지고 있는 정보들이 동적 정보 그룹(DA2,DA3,DA4,DA5)으로 구성되게 된다. 이 때, 동적 정보 그룹(DA2,DA3,DA4,DA5)에 포함되어 있는 정보 중, 제2단말(400)의 위치 및 경로를 고려하여 각 정보 그룹들에 포함된 메시지들이 순차적으로 전송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비게이션(10)이 c에 위치하고 있는 경우, 동적 정보 그룹 전체(DA2,DA3,DA4,DA5) 중에서, 현재 위치(c)에 가장 가까이 있는 동적 정보 그룹(DA2)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정보가 내비게이션(10)으로 전송될 수 있으며, 내비게이션(10)의 위치가 경로를 따라 이동함에 따라, 그 다음 동적 정보 그룹(DA3)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정보가, 그 이후에는 또 그 다음 동적 정보 그룹(DA4)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정보가 순차적으로 내비게이션(10)으로 전송될 수 있다.
앞서 설명 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해서 수집되고 제공될 수 있는 정보의 유형은 매우 다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정보는 텍스트 정보, 영상 정보, 음향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이러한 정보들의 컨텐츠도 매우 다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정보는 교통관련 정보, 특정 관심 위치에 대한 사용자 정보 또는 광고 정보등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7 내지 도 1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들에 관련된 다양한 정보들이 제2단말측에서 표시되는 화면을 도시한 도면들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하여 텍스트 정보가 수집되고 이에 따라 제2단말에 텍스트 정보들이 표시된 것을 도시한다.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단말(400)에는 정보 영역(IA)이 제공되며, 제2단말(400)에 의해 생성된 조건정보에 의해 서버로부터 수신된 정보들이 정보 영역(IA)에 표시될 수 있다.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텍스트 정보는 교통관련 정보를 포함할 수 있으며, 특정 위치에 대한 광고 정보를 포함할 수도 있다.
제공되는 정보들은 특정 노드와 관계를 가지고 형성되는 소셜 네트워크(100)에 포함되어 있어야 하며, 제2단말(400)에 의해 생성되는 조건 정보에 부합되는 정보이어야 할 것이다.
한편, 정보 영역(IA)의 크기의 제한에 의해, 서버(200)로부터 제2단말(400)로 제공되는 정보의 일부만 정보 영역(IA)에 표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정보 영역(IA)에는 4개의 구별되는 정보가 표시되어 있는데, 실제로 조건 정보에 부합되어 서버(200)로부터 제2단말(400)로 제공된 정보의 개수는 그보다 더 많은 10개일 수 있다. 이 때, 미리 정해진 사용자 입력에 따라, 또는 미리 정해진 이벤트의 발생에 따라 아직까지 표시되지 않은 정보들은 순차적으로 정보 영역(IA)에 표시될 수 있다. 정보들을 표시하는 순서는 여러 가지 기준에 의해 정해질 수 있는데, 예를 들어, 제2단말(400)의 현재 위치와의 거리에 따른 순서, 제2단말(400)이 생성한 조건 정보에 부합하는 정도에 따른 순서, 정보들에 부여된 평가 정보에 따른 순서, 정보들이 생성된 시각에 다른 순서 등에 의해 그 순서가 결정될 수 있다.
도 18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하여 영상 정보가 수집되고 이에 따라 제2단말에 영상 정보들이 표시된 것을 도시한다.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단말(400)에 의해 생성된 조건 정보에 부합하는 영상 정보가 수신되면, 제2단말(400)의 화면 일부에 수신된 영상 정보가 표시될 수 있다. 영상 정보는 교차로에 진입하는 이벤트에 따라 발생된 조건 정보에 따라 교차로에서 좌회전을 하면 주행하게 되는 도로의 현재 교통상황을 반영하는 CCTV영상일 수 있다. 또는 영상은 CCTV에 의해 획득된 것이 아니라, 현재 좌회전을 하면 주행하게 되는 도로에 위치하고 있는 다른 단말에 의해 획득된 영상일 수 있다.
도 19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하여 각종 음성정보가 수집되고 이에 따라 제2단말에 음성정보들이 출력되는 것을 도시한다. 특히, 도 1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제2단말(400)의 사용자와 타 단말의 사용자들이 음성 채팅에 의해 정보를 교환하는 것을 도시하고 있다.
음성 채팅에 의한 정보의 교환은, 제2단말(400)이 상시 소셜 네트워크(100)를 통하여 형성되어 있는 채팅 채널에 조인함으로써 가능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채팅은 음성 채팅이 아닌 일반적인 텍스트 입력을 통한 채팅도 가능하지만, 내비게이션의 특성 상 운전자들의 차량 운행 중에 사용하는 일이 대부분이므로, 음성 채팅의 형식으로 구현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다만, 정보의 입력 단말에서는 STT(Speech-To-Text) 기술을 사용하여, 입력은 육성으로 하되, 송수신 되는 정보는 텍스트 형태로 그 포맷이 바뀔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정보를 수신하는 단말에서는 그 반대로 TTS(Text-To-Speech) 기술을 사용하여, 다시 텍스트 정보를 음성 정보로 변형하여 출력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의하면, 서버(200)는, 조건에 의해 구성된 동적 정보 그룹에 포함되는 복수의 정보들 중 연관성이 높은 두 개 이상의 정보를 서로 연계결합하여 가공한 후, 제2단말(400)로 전송할 수 있다.
연관성은, 정보에 부여되어 있는 위치 속성, 방향 속성, 정보의 소스에 대한 정보(예를 들어, 정보를 생성한 노드) 등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동적 정보 그룹에 경부고속도로 상에 위치한 휴게소A에 대한 텍스트정보가 포함되어 있고, 동적 정보 그룹에 휴게소 A에 대한 CCTV 영상이 포함되어 있는 경우, 텍스트 정보와 CCTV 영상을 결합하여 가공한 새로운 정보를 생성하고, 가공된 정보를 제2단말(400)로 전송할 수 있다. 즉, 각 정보에 부여되어 있는 위치 속성이 유사한 경우 정보들은 연관성이 있다고 판단하고 양 정보를 연계 결합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의하면, 서버(200)는, 동적 정보 그룹에 포함되는 복수의 정보와 관련성이 있으나, 동적 정보 그룹에 포함되어 있지는 않는 정보를 서로 연계결합하여 가공한 후, 제2단말(400)로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단말(400)에 의해 작성된 조건이 ‘제1 중부고속도로’인 경우, 동적 정보 그룹은 제1 중부고속도로에 관련된 정보들로 구성될 수 있는데, 서버(200)는 이 때, 제1 중부고속도로는 제2 중부고속도로와 관련성이 높다고 판단하고, 동적 정보 그룹에 포함된 정보와 제2 중부고속도로에 관련된 정보를 결합하여 제2단말(400)로 전송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의하면, 서버(200)는, 동적 정보 그룹에 포함되는 복수의 정보들 중, 중복되는 내용이 있는 경우, 중복되는 내용의 정보 중 일부의 정보만 제2단말(400)로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특정 도로의 교통상황에 대한 정보로써, 소통이 원활하다는 내용의 정보가 총 7개가 소설 네트워크(100)로부터 수집된 경우, 7개의 정보 중 하나를 선택하여 제2단말(400)로 전송할 수 있다. 이 때, 중복되는 정보 중 전송될 정보를 선택하는 기준은 랜덤일 수 있으나, 앞서 설명한, 평가 정보와 같은 다른 부가 정보를 기초로 하여 선택할 수도 있다. 이 때, 중복되는 정보의 개수를 선택된 정보와 함께 전송함으로써, 제2단말(400)의 사용자로 하여금 수신된 정보의 신뢰도를 판단할 수 있도록 도와줄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교통 관련 컨텐츠 생성방법에 관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교통 관련 컨텐츠 생성방법은 본 발명에 따른 내비게이션(10) 시스템을 이용하여 설명한다. 여기서, 내비게이션(10) 시스템은 본 발명에 따른 교통 관련 컨텐츠 생성방법을 용이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이용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교통 관련 컨텐츠 생성방법은 본 발명에 따른 내비게이션(10) 시스템에 의해 한정되지 아니한다.
본 발명에 따른 교통 관련 컨텐츠 생성방법은 본 발명에 따른 내비게이션(10) 시스템에 포함되는 내비게이션(10), 블랙박스 및 서버(200) 중 적어도 하나와 유사한 기능을 수행하는 다른 장치를 이용하여 수행될 수 있다. 여기서, 다른 장치는 스마트폰을 비롯한 이동통신단말기, 태블릿컴퓨터, PMP(potable multimedia player), PDA(personal digital assistance) 및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다른 전자기기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교통 관련 컨텐츠 생성방법에서, 교통 관련 컨텐츠는 상술한 사용자 컨텐츠에 포함되는 개념일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교통 관련 컨텐츠 생성방법의 제1실시예에 관하여 도 20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20은 본 발명에 따른 교통 관련 컨텐츠 생성방법의 제1실시예의 순서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교통 관련 컨텐츠 생성방법은 도 2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아이템을 저장하는 단계(S410), 복수의 아이템 중 적어도 하나의 후보아이템을 선정하는 단계(S420), 적어도 하나의 후보아이템을 출력하는 단계(S430), 적어도 하나의 후보아이템 중 적어도 하나의 특정아이템을 선택하는 단계(S440), 적어도 하나의 특정아이템을 이용하여 교통 관련 컨텐츠를 생성하는 단계(S450), 교통 관련 컨텐츠를 출력하는 단계(S460) 및 교통 관련 컨텐츠를 송신하는 단계(S470)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교통 관련 컨텐츠 생성방법의 제1실시예의 각 단계에 관하여 설명한다.
내비게이션(10)은 복수의 아이템을 저장할 수 있다(S410).
이하에서는 본 단계에 관하여 도 21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21는 본 발명에 따른 교통 관련 컨텐츠 생성방법의 제1실시예의 복수의 아이템에 관한 도면이다.
저장부(150)는 복수의 아이템을 저장할 수 있다. 복수의 아이템 각각은 교통 관련 컨텐츠를 이루는 다양한 정보를 반영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복수의 아이템은 도 2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위치를 반영하는 아이템, 운행방향을 반영하는 아이템 및 교통상황을 반영하는 아이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다시, 위치를 반영하는 아이템은, 장소명, 구간명, 도로명 및 관심지점(POI: point of interest) 중 하나를 반영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장소명은 세종로사거리, 구간명은 남부순환 오류 IC, 도로명은 36번 국도, 관심지역은 강남 교보타워 등과 같을 수 있다.
운행방향을 반영하는 아이템은, 특정위치 또는 특정도로에서 차량이 운행할 수 있는 방향을 반영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운행방향은 동서남북과 같은 방향, 상행 또는 하행, 서울방면, 부산방면 등과 같을 수 있다.
교통상황을 반영하는 아이템은, 소통상황, 소통상황의 원인, 노면상태, 기상상황 및 그 외의 교통에 영향을 주는 다양한 이벤트 중 적어도 하나를 반영할 수 있다. 여기서, 소통상황은, 원활, 서행, 지체 및 정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이벤트는, 사고발생, 신호고장, 도로공사, 도로파손, 음주단속, 집회나 시위 및 폭설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내비게이션(10)은 복수의 아이템 중 적어도 하나의 후보아이템을 선정할 수 있다(S420).
내비게이션(10)이 복수의 아이템 중 적어도 하나의 후보아이템을 선정하는 방법은 다양할 수 있다. 내비게이션(10)은 차량의 운행정보에 근거하여 후보아이템을 선정할 수 있다(S421). 또는 내비게이션(10)은 후보아이템 중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특정아이템에 근거하여 후보아이템을 선정할 수 있다(S422). 또는 내비게이션(10)은 특정아이템을 이용하여 생성된 메시지 중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특정단어에 근거하여 후보아이템을 선정할 수 있다(S423).
이 중 내비게이션(10)이 특정아이템에 근거하여 후보아이템을 선정하는 방법(S422)은 적어도 하나의 후보아이템 중 적어도 하나의 특정아이템을 선택하는 단계(S440)에 관한 설명에서 후술하고. 또 내비게이션(10)이 메시지의 특정단어에 근거하여 후보아이템을 선정하는 방법(S423)은 적어도 하나의 특정아이템을 이용하여 교통 관련 컨텐츠를 생성하는 단계(S450)에 관한 설명에서 후술한다.
이하에서는 내비게이션(10)이 차량의 운행정보에 근거하여 후보아이템을 선정하는 방법(S421)에 관하여 도 22, 도 23 및 도 24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22는 본 발명에 따른 교통 관련 컨텐츠 생성방법의 제1실시예의 위치에 근거하여 선정되는 후보아이템에 관한 도면이고, 도 23은 본 발명에 따른 교통 관련 컨텐츠 생성방법의 제1실시예의 이동방향에 근거하여 선정되는 후보아이템에 관한 도면이고, 도 24는 본 발명에 따른 교통 관련 컨텐츠 생성방법의 제1실시예의 속도에 근거하여 선정되는 후보아이템에 관한 도면이다.
내비게이션(10)은 차량의 운행정보에 근거하여 후보아이템을 선정할 수 있다(S421).
제어부(170)는 차량의 운행정보를 획득하여 그 운행정보에 근거하여 후보아이템을 선정할 수 잇다.
여기서, 차량의 운행정보란, 차량의 운행과 관련된 전반적인 정보를 포괄하는 의미로서, 예를 들어, 차량의 위치, 이동방향, 속도, 가속도, 충격량, 조작상태, 주행영상, 주변기온, 주변습도 및 다른 차량과의 간격 중 적어도 하나에 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70)는 통신부(110)를 통해 GNSS신호를 수신하여 GNSS신호에 따라 차량의 위치, 이동방향 및 속도 중 적어도 하나를 획득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제어부(170)는 센싱부(130)를 통해 차량의 속도, 가속도, 충격량, 주변기온, 주변습도 및 다른 차량과의 간격을 획득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제어부(170)는 통신부(110)를 통해 블랙박스로부터 주행영상을 비롯한 다양한 운행정보를 수신하여 이를 획득할 수 있다.
제어부(170)는 획득한 운행정보에 근거하여 복수의 아이템 중 후보아이템을 선정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제어부(170)는 복수의 아이템 중 운행정보에 부합하는 아이템을 후보아이템으로 선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차량의 위치를 획득한 경우, 제어부(170)는 복수의 아이템 중 그 위치를 반영하는 아이템 및 그 위치로부터 운행방향을 반영하는 아이템 중 적어도 하나를 후보아이템으로 선정할 수 있다. 도 2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량이 세종로사거리에 있는 경우, 제어부(170)는 세종로사거리라는 장소명을 반영하는 아이템, 광화문방면, 시청방면, 종각방면, 서대문방면 등과 같이 세종로사거리로부터의 운행방향을 반영하는 아이템을 후보아이템으로 선정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차량의 위치를 획득한 경우, 제어부(170)는 복수의 아이템 중 그 위치에 관련된 교통상황을 반영하는 아이템을 후보아이템으로 선정할 수 있다. 다시 도 2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량이 도로공사, 음주단속이나 집회가 빈번하게 이루어지는 구간에 위치한 경우, 제어부(170)는 도로공사, 음주단속 및 집회 중 적어도 하나에 관한 교통상황을 반영하는 아이템을 후보아이템으로 선정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를 들어, 차량의 이동방향을 획득한 경우, 제어부(170)는 복수의 아이템 중 그 이동방향에 따라 운행할 수 있는 운행방향을 반영하는 아이템을 후보아이템으로 선정할 수 있다. 도 2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량이 시청방면에서 세종로사거리로 이동하고 있는 경우, 광화문방면, 시청방면, 종각방면, 서대문방면 중 시청방면을 반영하는 아이템을 제외한 나머지 세 아이템을 후보아이템으로 선정할 수 있다. 유사하게 차량이 1번 국도 상에서 부산에서 서울방면으로 이동하고 있는 경우, 제어부(170)는, 상행 또는 서울방면을 반영하는 아이템을 후보아이템으로 선정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를 들어, 차량의 속도를 획득한 경우, 차량의 속도가 해당하는 소통상황을 반영하는 아이템 및 그 소통상황의 원인이 될 수 있는 교통상황을 반영하는 아이템 중 적어도 하나를 후보아이템으로 선정할 수 있다. 도 2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량이 시속 15km/h의 속도로 이동하는 경우, 지체 또는 서행 중 하나를 반영하는 아이템 및 그러한 지체 또는 서행의 원인이 될 수 있는 사고발생, 도로공사, 음주단속 등과 같은 교통상황을 반영하는 아이템 중 적어도 하나를 후보아이템으로 선정할 수 있다.
내비게이션(10)은 적어도 하나의 후보아이템을 출력할 수 있다(S430).
이하에서는 본 단계에 관하여 도 25, 도 26, 도 27 및 도 28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25은 본 발명에 따른 교통 관련 컨텐츠 생성방법의 제1실시예의 키워드 및 아이콘을 이용한 출력되는 후보아이템에 관한 도면이고, 도 26은 본 발명에 따른 교통 관련 컨텐츠 생성방법의 제1실시예의 할당된 식별자와 같이 출력되는 후보아이템의 출력에 관한 도면이고, 도 27은 본 발명에 따른 교통 관련 컨텐츠 생성방법의 제1실시예의 분할된 화면을 통해 출력되는 후보아이템에 관한 도면이고, 도 28는 본 발명에 따른 교통 관련 컨텐츠 생성방법의 제1실시예의 경로안내를 위한 지도 상에 출력되는 후보아이템에 관한 도면이다.
제어부(170)는 출력부(140)를 통해 복수의 아이템 중 선정된 적어도 하나의 후보아이템을 출력할 수 있다. 여기서, 후보아이템은 후보아이템이 반영하는 정보에 대응하는 키워드 및 아이콘 중 적어도 하나의 형태로 출력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출력부(140)는 디스플레이로서, 도 2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적어도 하나의 후보아이템을 키워드 및 아이콘 중 적어도 하나로써 표시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출력부(140)는 스피커로써, 후보아이템에 대응되는 키워드를 음성신호로 출력할 수 있다.
제어부(170)는 후보아이템 각각에 번호나 기호 등의 식별자를 할당하고, 출력부(140)를 통해 후보아이템과 번호를 같이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출력부(140)는 디스플레이로서, 도 2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적어도 하나의 후보아이템(L1, L2, L3, L4)을 각각 내비게이션(10)의 조작키(M1, M2, M3, M4)에 대응하는 기호와 같이 출력할 수 있다. 즉, a1, a2, a3다른 예를 들어, 출력부(140)는 스피커로써, 적어도 하나의 후보아이템 각각에 번호를 매겨 번호와 같이 음성신호로 출력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스피커는 “일 세종로사거리, 이 종각방면, 삼 시청방면, 사 정체, 오 사고발생, 육 도로공사”와 같은 음성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제어부(170)가 특정한 시기에 출력부(140)를 통해 후보아이템을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70)는 차량이 특정지점으로부터 미리 정해진 영역 안에 진입한 시점에 그 위치에 근거하여 후보아이템을 선정하여 이를 출력하도록 출력부(140)를 제어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제어부(170)는 사용자로부터 교통 관련 컨텐츠 생성을 지시하는 신호를 입력받은 시점에, 그 시점의 운행정보에 근거하여 후보아이템을 선정하여 이를 출력하도록 출력부(140)를 제어할 수 있다.
한편, 디스플레이로 구현된 출력부(140)는, 후보아이템과 다른 영상을 같이 출력할 수도 있을 것이다. 여기서 다른 정보란 경로안내를 위한 지도, 블랙박스로부터 수신하거나 직접 촬영하여 획득한 주행영상,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방송영상 및 그 외의 다른 동영상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는 도 2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논리적으로 적어도 두 개의 화면으로 분할하여 일 화면에는 후보아이템을 표시하고, 다른 화면에는 다른 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 여기서, 일 화면과 다른 화면은 PIP(picture in picture) 또는 NIP(navigation in picture) 형태로 표시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는 다른 영상 상에 후보아이템을 중첩하여 표시할 수 있다. 이때, 제어부(170)는 지도나 주행영상 상의 후보아이템이 반영하는 정보와 관련된 지점 상에 후보아이템을 표시할 수 있다. 도 2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가 세종로사거리 인근의 지도를 표시하는 경우, 세종로사거리, 종각방면, 시청방면, 광화문방면 및 서대문방면을 반영하는 후보아이템들은 각각 지도 상의 세종로사거리인 지점, 세종로사거리로부터 종각방면, 시청방면, 광화문방면 및 서대문방면의 지점 상에 표시될 수 있다.
한편, 제어부(170)는 다른 화면을 비활성화하거나 흑백영상으로 변형하거나 또는 명도를 낮추어 후보아이템과 구분하여 출력되도록 출력부(140)를 제어할 수 있다.
내비게이션(10)은 적어도 하나의 후보아이템 중 적어도 하나의 특정아이템을 선택할 수 있다(S440).
이하에서는 본 단계에 관하여 도 29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29는 본 발명에 따른 교통 관련 컨텐츠 생성방법의 제1실시에의 후보아이템 중 선택된 특정아이템에 관한 도면이다.
제어부(170)는 적어도 하나의 후보아이템으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특정아이템을 선택할 수 있다. 입력부(120)는 사용자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후보아이템으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특정아이템을 선택하는 신호를 입력받아 그 신호에 근거하여 특정아이템을 선택할 수 있다.
입력부(120)는 사용자로부터 특정아이템을 선택하는 신호를 입력받을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2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입력부(120)는 출력부(140)와 일체로 구현된 터치스크린으로써, 터치스크린 상에 표시된 후보아이템에 관한 터치신호를 입력받고, 제어부(170)는 터치신호에 따라 특정아이템을 선택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조작키를 통해 디스플레이된 후보아이템 중 특정아이템을 선택할 수 있다. 조작키는 상하좌우의 방향키 및 선택키를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여, 사용자는 이러한 조작키를 이용하여 특정아이템을 선택할 수 있다. 이때, 적어도 하나의 후보아이템은 각각 조작키에 할당되고, 사용자는 특정조작키를 이용하여 그에 할당된 후보아이템을 선택할 수도 있다.
다른 예를 들어, 입력부(120)는 마이크 또는 음성신호를 입력받는 인터페이스로 구현되어 사용자의 음성신호를 입력받아 그에 따라 후보아이템 중 특정아이템을 선택할 수 있다. 이때, 각각의 후보아이템에는 번호 등의 식별자가 할당되고, 마이크는 사용자로부터 식별자에 관한 음성신호를 입력받아, 그 식별자에 할당된 후보아이템을 특정아이템으로 선택할 수도 있다.
한편, 후보아이템 중 동일한 카테고리에 속하는 정보를 반영하는 아이템을 선택하는 신호가 중복되어 입력된 경우, 제어부(170)는 그 중 일부의 아이템만을 특정아이템으로 선정할 수 있다. 여기서, 아이템은, 위치, 운행방향, 교통상황 중 소통상황, 노면상태, 기상상황, 그 외의 교통에 영향을 주는 이벤트 등을 반영하는 카테고리들로 분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소통상황을 반영하는 아이템들 중 서행을 반영하는 아이템과 원활을 반영하는 아이템을 선택하는 신호가 같이 입력된 경우, 제어부(170)는 두 아이템 중 하나의 아이템만을 특정아이템으로 선택할 수 있다. 이 경우, 제어부(170)는 나중에 입력된 신호에 따라 특정아이템을 선정할 수도 있을 것이다.
특정아이템이 선택되면, 내비게이션(10)은 특정아이템에 근거하여 후보아이템을 선정할 수 있다(S422).
이하에서는 내비게이션(10)이 특정아이템에 근거하여 후보아이템을 선정하는 방법에 관하여 도 30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30은 본 발명에 따른 교통 관련 컨텐츠 생성방법의 제1실시에의 특정아이템에 근거하여 선정되는 후보아이템에 관한 도면이다.
제어부(170)는 복수의 아이템 중 특정아이템이 반영하는 정보에 관련된 정보를 반영하는 아이템을 후보아이템으로 선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특정아이템이 위치를 반영하는 아이템인 경우, 그 특정아이템에 관련된 아이템은 그 위치로부터 운행할 수 있는 운행방향일 수 있다. 도 3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세종로사거리를 반영하는 특정아이템이 선택된 경우, 제어부(170)는 세종로사거리로부터의 운행방향인 종각방면, 시청방면, 광화문방면 및 서대문방면을 반영하는 아이템 중 적어도 하나를 후보아이템으로 선정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특정아이템이 소통상황을 반영하는 아이템인 경우, 그 소통상황의 원인이 될 수 있는 교통상황을 반영하는 아이템을 후보아이템으로 선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정체를 반영하는 특정아이템이 선택된 경우, 제어부(170)는 사고발생, 도로공사, 음주단속 등을 반영하는 아이템 중 적어도 하나를 후보아이템으로 선정할 수 있다.
또는 제어부(170)는 복수의 아이템 중 특정아이템이 반영하는 정보와 동일한 카테고리에 속하는 정보를 반영하는 아이템을 후보아이템으로 선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지체를 반영하는 특정아이템이 선택된 경우, 제어부(170)는 지체 이외의 소통상황인 정체, 서행 및 운행을 반영하는 아이템 중 적어도 하나를 후보아이템으로 선정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170)가 특정아이템이 반영하는 정보에 관련된 정보를 반영하는 아이템 및 특정아이템이 반영하는 정보와 동일한 카테고리에 속하는 정보를 반영하는 아이템을 후보아이템으로 선정할 때, 제어부(170)는 사용자가 특정아이템을 선택하는 신호를 입력하는 방식에 따라 둘 중 어느 아이템을 후보아이템으로 선정할지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특정아이템에 관한 숏터치(short touch)신호가 입력된 경우, 제어부(170)는 특정아이템이 반영하는 정보에 관련된 정보를 반영하는 아이템을 후보아이템으로 선정하고, 특정아이템에 관한 롱터치신호(long touch)가 입력된 경우, 제어부(170)는 특정아이템에 반영하는 정보와 동일한 카테고리에 속하는 정보를 반영하는 아이템을 후보아이템으로 선정할 수 있다.
내비게이션(10)은 적어도 하나의 특정아이템을 이용하여 교통 관련 컨텐츠를 생성하고(S460), 출력할 수 있다(S460).
이하에서는 본 단계에 관하여 도 31, 도 32 및 도 33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31은 본 발명에 따른 교통 관련 컨텐츠 생성방법의 제1실시에의 특정아이템을 이용하여 생성된 메시지에 관한 도면이고, 도 32는 본 발명에 따른 교통 관련 컨텐츠 생성방법의 제1실시예의 문자 및 메시지편집신호 중 적어도 하나에 따라 생성된 메시지에 관한 도면이고, 도 33은 본 발명에 따른 교통 관련 컨텐츠 생성방법의 제1실시에의 메시지 이외의 다른 정보를 포함하는 교통 관련 컨텐츠에 관한 도면이다.
제어부(170)는 선택된 특정아이템을 이용하여 교통 관련 컨텐츠를 생성할 수 있다. 여기서, 교통 관련 컨텐츠는 교통상황을 반영하는 메시지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170)는 선택된 특정아이템이 반영하는 정보를 이용하여 교통상황을 반영하는 메시지를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특정아이템으로 세종로사거리, 시청방면, 정체 및 도로공사를 반영하는 아이템이 특정아이템으로 선택된 경우, 제어부(170)는 “세종로사거리에서 시청방면으로 도로공사로 인하여 정체 중입니다.”와 같은 메시지를 생성할 수 있다.
제어부(170)는 생성된 메시지를 출력부(140)를 통해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3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는 생성된 메시지를 표시할 수 있고, 또는 스피커가 음성신호로 메시지를 출력할 수도 있다.
이때, 제어부(170)는 특정아이템이 선택됨에 따라 메시지를 생성하여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세종로사거리를 반영하는 아이템이 선택되면, “세종로사거리”와 같은 메시지를 출력하고, 다시 시청방면을 반영하는 아이템이 선택되면, “세종로사거리에서 시청방면”와 같은 메시지를 출력하고, 다시 정체를 반영하는 아이템이 선택되면, “세종로사거리에서 시청방면 정체 중입니다.”와 같은 메시지를 출력할 수 있다
제어부(170)는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특정아이템 이외에도 차량의 운행정보를 이용하여 교통 관련 컨텐츠를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차량의 위치가 세종로사거리이고, 차량의 이동방향이 시청방면이고, 차량이 정지해 있는 경우, 제어부(170)는 “세종로사거리에서 시청방면으로 정체 중입니다.”와 같은 메시지를 생성할 수 있다. 이때, 도로공사를 반영하는 특정아이템이 선택된 경우, 제어부(170)는 “세종로사거리에서 시청방면으로 도로공사로 인하여 정체 중입니다.”와 같은 메시지를 생성할 수 있다.
이처럼 제어부(170)가 차량의 운행정보를 이용하여 교통 관련 컨텐츠를 생성하는 경우, 제어부(170)는 저장부(150)에 저장된 복수의 아이템을 이용하여 메시지를 생성할 수 있다. 즉, 제어부(170)는 운행정보에 근거하여 복수의 아이템 중 적어도 하나의 아이템을 선택하고, 선택된 아이템을 이용하여 메시지를 생성할 수 있다.
또 제어부(170)는 문자 및 메시지편집신호에 따라 메시지를 생성할 수도 있다. 입력부(120)는 사용자로부터 문자 및 메시지편집신호를 입력받고 이에 따라 메시지를 생성하거나 편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70)는 도 3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터치스크린 상에 가상키보드를 제공하고, 사용자로부터 가상키보드를 통해 문자 또는 메시지 편집신호를 입력받아 이에 따라 메시지를 생성 및 편집할 수 있다.
한편, 교통 관련 컨텐츠는 도 3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시지(W1) 이외의 다른 정보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교통 관련 컨텐츠에는 차량의 위치(W2), 이동방향(W3) 및 속도(W4)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운행정보가 매핑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교통 관련 컨텐츠에는 차량의 주행영상(W5)이 포함될 수 있다. 여기서, 주행영상은 차량의 블랙박스를 통해 촬영된 영상 또는 내비게이션(10)이 직접 촬영한 영상으로서, 정지영상 및 동영상 중 하나일 수 있다. 또 다른 예를 들어, 교통 관련 컨텐츠에는 내비게이션(10) 사용자에 관한 정보(W6)가 포함될 수도 있을 것이다.
메시지가 생성되면, 내비게이션(10)은 메시지의 특정단어에 근거하여 후보아이템을 선정할 수 있다(S423).
이하에서는 내비게이션(10)이 특정단어에 근거하여 후보아이템을 선정하는 방법에 관하여 도 34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34는 본 발명에 따른 교통 관련 컨텐츠 생성방법의 제1실시예의 메시지의 특정단어에 근거하여 선정되는 후보아이템에 관한 도면이다.
제어부(170)는 생성된 메시지 중 선택된 특정단어에 근거하여 복수의 아이템 중 후보아이템을 선정할 수 있다. 출력부(140)는 생성된 메시지를 출력하고, 입력부(120)는 그 메시지를 이루는 단어 중 특정단어를 선택하는 신호를 입력받고, 제어부(170)는 그 신호에 따른 특정단어에 근거하여 후보아이템을 선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3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터치스크린 상에 생성된 메시지가 출력되고, 메시지를 이루는 단어 중 특정단어를 선택하는 터치신호가 입력되면, 제어부(170)는 그 특정단어에 근거하여 후보아이템으로 선정할 수 있다.
제어부(170)는 특정아이템에 근거하여 후보아이템을 선정하는 방법(S422)의 설명에서 상술한 내용과 유사하게, 복수의 아이템 중 특정단어에 관련된 정보를 반영하는 아이템 및 특정단어가 속하는 카테고리와 동일한 카테고리에 속하는 정보를 반영하는 아이템 중 적어도 하나를 후보아이템으로 선정할 수 있으며, 입력방식을 고려하여 후보아이템을 선정할 수도 있다.
내비게이션(10)은 교통 관련 컨텐츠를 송신하는 할 수 있다(S460).
제어부(170)는 통신부(110)를 통해 교통 관련 컨텐츠를 외부기기로 송신할 수 있다. 여기서, 외부기기는 서버(200) 및 다른 내비게이션(10)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서버(200)는 내비게이션(10)으로부터 수신한 교통 관련 컨텐츠를 다른 내비게이션(10)으로 송신하여 사용자에게 실시간 교통 관련 컨텐츠를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본 발명에 따른 교통 관련 컨텐츠 생성방법의 제1실시예에 따르면, 내비게이션(10)이 다양한 교통상황에 따라 적절한 아이템을 제공함으로써, 사용자가 최소한의 입력으로 교통 관련 컨텐츠를 생성할 수 있다.
이처럼, 내비게이션(10)이 최소한의 입력을 이용하여 교통 관련 컨텐츠를 생성함으로써, 사용자가 운전 중에도 실시간 교통 관련 컨텐츠를 송신할 수 있다.
또한, 내비게이션(10)은 실시간으로 교통 관련 컨텐츠를 다른 내비게이션(10)으로 송신함에 따라, 다른 내비게이션(10)은 보다 정확한 경로안내를 수행할 수 있다.
결국 본 발명에 따른 교통 관련 컨텐츠 생성방법의 제1실시예에 따르면, 차량의 운행에 소요되는 시간 및 비용이 절감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교통 관련 컨텐츠 생성방법의 제2실시예에 관하여 도 35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35는 본 발명에 따른 교통 관련 컨텐츠 생성방법의 제2실시예의 순서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교통 관련 컨텐츠 생성방법은 도 3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아이템을 저장하는 단계(S510), 차량의 운행정보를 획득하는 단계(S520), 차량의 운행정보에 근거하여 복수의 아이템 중 적어도 하나의 후보아이템을 선정하는 단계(S530), 음성신호를 입력받는 단계(S540), 적어도 하나의 후보아이템을 고려하여 음성신호에 대응하는 메시지를 생성하는 단계(S550), 메시지를 출력하는 단계(S560) 및 메시지를 포함하는 교통 관련 컨텐츠를 송신하는 단계(S570)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교통 관련 컨텐츠 생성방법의 제3실시예의 각 단계에 관하여 설명한다. 여기서, 복수의 아이템을 저장하는 단계(S510), 차량의 운행정보에 근거하여 복수의 아이템 중 적어도 하나의 후보아이템을 선정하는 단계(S530), 메시지를 출력하는 단계(S560) 및 메시지를 포함하는 교통 관련 컨텐츠를 송신하는 단계(S570)는 본 발명에 따른 교통 관련 컨텐츠의 제1실시예의 설명에서 상술한 내용과 유사할 수 있다.
내비게이션(10)은 차량의 운행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S520).
제어부(170)는 차량의 운행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여기서, 차량의 운행정보란, 차량의 운행에 관련된 다양한 정보를 이르는 포괄적인 의미이다.
제어부(170)는 이러한 차량의 운행정보를 다양한 방법으로 획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70)는 센싱부(130)를 통해 차량의 운동상태, 즉 속도, 가속도, 충격량 등을 획득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제어부(170)는 통신부(110)를 통해 GNSS신호를 수신하여 GNSS신호에 따라 차량의 위치를 획득할 수 있다. 또 제어부(170)는 복수의 시점에 위치를 획득하고 그 시간간격을 이용하여 차량의 이동방향 및 속도 중 적어도 하나를 산출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를 들어, 제어부(170)는 블랙박스로부터 차량의 위치, 이동방향, 속도, 가속도, 충격량, 조작상태, 주행영상, 주변기온, 주변습도 및 다른 차량과의 간격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운행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여기서, 제어부(170)는 블랙박스로부터 주행영상을 획득하여 주행영상을 분석함으로써 다른 운행정보를 획득할 수도 있을 것이다.
또 다른 예를 들어, 제어부(170)는 통신부(110)를 통해 서버(200)나 인터넷 등으로부터 차량의 운행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내비게이션(10)은 음성신호를 입력받을 수 있다(S540).
제어부(170)는 입력부(120)를 통해 음성신호를 입력받을 수 있다. 입력부(120)는 마이크로서, 사용자로부터 음성신호를 입력받을 수 있다. 또는 입력부(120)는 음성신호를 수신하는 인터페이스로서, 사용자로부터 음성신호를 입력하는 외부 입력수단으로부터 그 음성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내비게이션(10)은 적어도 하나의 후보아이템을 고려하여 음성신호에 대응하는 메시지를 생성할 수 있다(S550).
제어부(170)는 음성신호를 분석하여 그 음성신호에 대응하는 메시지를 생성할 수 있다. 음성신호를 이용하여 메시지를 생성하기 위해서, 제어부(170)는 STT(speech to text) 기법에 따라, 음성신호를 분석하여 음소를 판별하여 그에 따라 메시지를 생성할 수 있다.
이처럼, 음성신호를 이용하여 메시지를 생성하는 경우에 있어서, 음성신호는 사용자마다 그 특징이 달라 사용자가 원하는 메시지와 다른 메시지가 생성되는 경우가 있을 수 있다.
따라서, 제어부(170)는 판별된 음소의 조합을 후보아이템이 반영하는 정보를 지시하는 단어와 우선적으로 비교하여 잘못된 메시지가 생성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각각 세종로사거리, 시청방면, 정체 및 도로공사를 반영하는 아이템이 후보아이템으로 선정된 경우, 제어부(170)는 음성신호를 분석하여 판별된 음소의 조합이 세종로사거리, 시청방면, 정체 및 도로공사 중 하나와 유사한 경우에는, 그 음소의 조합을 후보아이템이 반영하는 정보를 지시하는 단어로 인식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제어부(170)는 후보아이템으로부터 판별된 음소의 조합과 유사한 특정아이템을 선택하고, 선택된 특정아이템에 따라 메시지를 생성할 수 있다.
이처럼, 제어부(170)는 음성신호를 인식함에 있어서, 한정된 수의 후보아이템이 반영하는 키워드를 우선적으로 비교함으로써, 음성신호에 대응하는 메시지를 정확히 생성할 수 있다.
이러한 본 발명에 따른 교통 관련 컨텐츠 생성방법의 제2실시예에 따르면, 내비게이션(10)이 음성신호를 인식할 때 교통상황을 고려하여 인식함으로써, 보다 정확하게 사용자의 음성을 인식하여 메시지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음성을 통해 메시지를 입력할 수 있어, 운전 중에도 사고의 위험없이 자유로이 메시지를 입력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교통 관련 컨텐츠 생성방법의 제3실시예에 관하여 도 36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36은 본 발명에 따른 교통 관련 컨텐츠 생성방법의 제3실시예의 순서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교통 관련 컨텐츠 생성방법은 도 3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교통 관련 컨텐츠를 생성하는 단계(S610), 차량의 운행정보를 획득하는 단계(S620), 교통 관련 컨텐츠에 운행정보를 매핑하는 단계(S630) 및 교통 관련 컨텐츠를 송신하는 단계(S640)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교통 관련 컨텐츠 생성방법의 제3실시예의 각 단계에 관하여 설명한다.
내비게이션(10)은 교통 관련 컨텐츠를 생성하고(S610), 차량의 운행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S620).
내비게이션(10)이 교통 관련 컨텐츠를 생성하는 방법(S610) 및 차량의 운행정보를 획득하는 방법(S620)은 본 발명에 따른 교통 관련 컨텐츠의 제1실시예 및 제2실시예의 설명에서 상술한 내용과 유사할 수 있다.
이때, 내비게이션(10)은 교통 관련 컨텐츠를 생성한 시점의 차량의 운행정보를 획득할 수 있을 것이다.
내비게이션(10)은 교통 관련 컨텐츠에 운행정보를 매핑할 수 있다(S630).
제어부(170)는 교통 관련 컨텐츠가 생성되면, 그 교통 관련 컨텐츠에 차량의 운행정보를 매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교통 관련 컨텐츠에는 차량의 위치, 이동방향 및 속도 중 적어도 하나가 매핑될 수 있다. 제어부(170)는 교통 관련 컨텐츠에 운행정보를 포함시켜 매핑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교통 관련 컨텐츠를 이루는 데이터의 특정부위에 운행정보를 삽입되어 하나의 데이터로 매핑될 수 있다.
또는, 교통 관련 컨텐츠와 운행정보를 서로 링크된 별개의 데이터로 매핑될 수 있다. 이때, 교통 관련 컨텐츠와 운행정보는 교통 관련 컨텐츠가 생성된 시점 또는 운행정보가 획득된 시점을 이용하여 링크되거나, 또는 각각에 관해 동일한 식별자를 사용함으로써 링크될 수도 있을 것이다.
내비게이션(10)은 교통 관련 컨텐츠를 송신할 수 있다(S640).
이하에서는 본 단계에 관하여 도 37 및 도 38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37은 본 발명에 따른 교통 관련 컨텐츠 생성방법의 제3실시예의 교통 관련 컨텐츠를 송신하는 영역에 관한 도면이고, 도 38는 본 발명에 따른 교통 관련 컨텐츠 생성방법의 제3실시예의 교통 관련 컨텐츠를 수신하는 다른 내비게이션(10)에 관한 도면이다.
제어부(170)는 통신부(110)를 통해 외부기기로 교통 관련 컨텐츠를 송신할 수 있다. 여기서, 외부기기는 인터넷, 서버(200) 및 다른 내비게이션(10)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서버(200)는 내비게이션(10)으로부터 차량의 운행정보가 포함된 교통 관련 컨텐츠를 수신할 수 있다. 서버(200)는 교통 관련 컨텐츠에 매핑된 차량의 위치나 이동방향 등의 운행정보에 근거하여 수신한 교통 관련 컨텐츠를 다시 다른 내비게이션(10)으로 송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3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버(200)는 교통 관련 컨텐츠에 매핑된 차량의 위치를 기준으로 미리 정해진 영역(R1) 내에 위치한 다른 내비게이션(10)으로 교통 관련 컨텐츠를 송신할 수 있다. 이때, 서버(200)는 교통 관련 컨텐츠에 매핑된 차량의 이동방향을 더 고려하여 차량의 이동방향을 기준으로 차량이 통과한 방향 상(R2)에 위치한 다른 내비게이션(10)으로 교통 관련 컨텐츠를 송신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도 3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른 내비게이션(10)은 안내하는 경로(T1)에 관한 교통 관련 컨텐츠를 서버(200)에 요청하고, 서버(200)는 그 경로에 포함된 위치가 매핑된 교통 관련 컨텐츠(T2)를 그 다른 내비게이션(10)에 제공할 수 있다. 이때, 서버(200)는 그 경로에 따른 운행방향을 더 고려하여 운행방향과 동일한 이동방향이 매핑된 교통 관련 컨텐츠(T3)를 그 다른 내비게이션(10)에 제공할 수 있다.
또 제어부(170)는 차량의 위치를 획득하고, 위치를 기준으로 미리 정해진 영역 내에 위치한 다른 내비게이션(10)으로 교통 관련 컨텐츠를 직접 송신할 수도 있다. 이때도 마찬가지로 이동방향을 고려하여 교통 관련 컨텐츠를 송신할 수 있다.
또 제어부(170)는 다른 내비게이션(10)으로부터 직접 교통 관련 컨텐츠를 요청하는 신호를 수신하여 그에 따라 교통 관련 컨텐츠를 그 다른 내비게이션(10)으로 송신할 수도 있다, 이때 교통 관련 컨텐츠를 요청하는 신호에는 그 다른 내비게이션(10)의 경로에 관한 정보가 포함되어 있을 수 있다. 제어부(170)는 차량의 위치가 다른 내비게이션(10)의 경로 상에 포함되거나 그 경로의 이동방향이 차량의 이동방향과 일치하는 경우에 교통 관련 컨텐츠를 다른 내비게이션(10)으로 송신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에 따른 교통 관련 컨텐츠 생성방법의 제3실시예에 따르면, 교통 관련 컨텐츠를 송신함에 있어서 차량의 운행정보를 이용함으로써, 실제로 그 교통 관련 컨텐츠를 필요로 하는 다른 내비게이션(10)에 선택적으로 그 교통 관련 컨텐츠를 제공할 수 있다.
이로써, 다른 내비게이션(10)이 불필요한 교통 관련 컨텐츠를 제외한 실제로 운행할 경로 상의 교통 관련 컨텐츠를 제공함으로써, 사용자가 효과적인 경로안내를 받을 수 있다.
상술한 본 발명에 따른 교통 관련 컨텐츠 생성방법에 있어서, 각 실시예를 구성하는 단계는 필수적인 것은 아니며, 따라서 각 실시예는 상술한 단계를 선택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또 각 실시예를 구성하는 각 단계는 반드시 설명된 순서에 따라 수행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며, 나중에 설명된 단계가 먼저 설명된 단계보다 먼저 수행될 수도 있다.
또 본 발명에 따른 교통 관련 컨텐츠 생성방법에 있어서, 각 실시예들은 서로 개별적으로 또는 조합되어 이용될 수 있다. 또 각 실시예를 구성하는 단계들은 다른 실시예를 구성하는 단계들과 개별적으로 또는 조합되어 이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각 실시예에 따른 교통 관련 컨텐츠 생성방법은, 이를 수행하는 코드 또는 프로그램의 형태로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있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므로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또한 본 문서에서 설명된 실시예들은 한정되게 적용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각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
100: 네트워크 200: 서버
300: 제1단말 400: 제2단말
10: 내비게이션
110: 통신부 120: 입력부 130: 센싱부
140: 출력부 150: 저장부 160: 전원부
170: 제어부

Claims (31)

  1. 복수의 아이템들을 저장하는 저장부;
    상기 복수의 아이템들 중 차량의 운행정보에 관한 적어도 하나의 제1 후보아이템을 출력하는 출력부;
    상기 출력된 제1 후보아이템 중,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제1 특정아이템을 이용하여 제1 교통 관련 컨텐츠를 생성하는 제어부; 및
    상기 생성된 제1 교통 관련 컨텐츠를 송신하는 송신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교통 관련 컨텐츠 중 상기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특정 단어에 관한 적어도 하나의 제2 후보아이템을 생성하여, 상기 출력부를 통해 출력하고, 상기 제2 후보아이템 중 상기 사용자에 의해 제2 특정아이템이 선택되면 상기 제2 특정아이템이 포함된 제2 교통 관련 컨텐츠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차량의 운행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운행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1 후보아이템을 출력하도록 제어하는 전자기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의 운행정보는 상기 차량의 위치를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1 후보아이템은 상기 위치를 반영하는 아이템, 상기 위치로부터의 운행방향을 반영하는 아이템 및 상기 위치에 관련된 교통상황을 반영하는 아이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전자기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를 반영하는 아이템은, 상기 위치의 장소명, 구간명, 도로명 및 상기 위치 인근의 POI명 중 적어도 하나를 반영하는 전자기기.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의 운행정보는 상기 차량의 이동방향을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1 후보아이템은 상기 이동방향에 따라 운행이 가능한 방향을 반영하는 아이템을 포함하는 전자기기.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운행정보는 상기 차량의 속도를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1 후보아이템은 상기 속도가 해당하는 소통상황을 반영하는 아이템 및 상기 소통상황의 원인을 반영하는 아이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전자기기.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특정아이템에 근거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 후보아이템을 출력하도록 제어하는 전자기기.
  12. 제1항에 있어서,
    입력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출력부 및 상기 입력부는, 터치스크린으로 구현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터치스크린을 통해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1 후보아이템 또는 제2 후보아이템을 디스플레이하고, 상기 사용자로부터 상기 제1 특정아이템 또는 제2 특정아이템을 선택하는 터치신호를 입력 받는 전자기기.
  13. 제1항에 있어서,
    마이크로 구현되는 입력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마이크를 통해 상기 제1 특정아이템 또는 제2 특정아이템을 선택하는 음성신호를 입력 받는 전자기기.
  14. 복수의 아이템을 저장하는 저장부;
    차량의 운행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복수의 아이템 중 상기 운행정보에 근거하여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제1 특정아이템을 이용하여 제1 메시지를 생성하는 제어부;
    상기 생성된 제1 메시지를 출력하는 출력부; 및
    상기 제1 메시지를 포함하는 제1 교통 관련 컨텐츠를 송신하는 송신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메시지 중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특정 단어에 관한 적어도 하나의 후보 아이템 중 상기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제2 특정아이템을 이용하여 제2 메시지를 생성하여, 상기 출력부를 통해 출력하고,
    상기 송신부는 상기 제2 메시지를 포함하는 제2 교통 관련 컨텐츠를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입력된 문자, 메시지편집신호 및 상기 복수의 아이템 중,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제1 특정아이템 또는 제2 특정아이템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상기 제1 메시지 또는 제2 메시지를 수정하는 전자기기.
  16. 음성신호를 입력 받는 입력부;
    복수의 아이템들을 저장하는 저장부;
    차량의 운행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복수의 아이템들 중 상기 운행정보에 근거하여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제1 후보아이템을 선정하고, 상기 선정된 제1 후보아이템을 고려하여 상기 음성신호에 대응되는 제1 메시지를 생성하는 제어부;
    상기 생성된 제1 메시지를 출력하는 출력부; 및
    상기 제1 메시지를 포함하는 제1 교통 관련 컨텐츠를 송신하는 송신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메시지 중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특정 단어에 관한 적어도 하나의 제2 후보 아이템을 선정하고, 상기 선정된 제2 후보 아이템을 고려하여 상기 음성 신호에 대응되는 제2 메시지를 생성하여, 상기 출력부를 통해 출력하고,
    상기 송신부는 상기 제2 메시지를 포함하는 제2 교통 관련 컨텐츠를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
  17. 제1항, 제14항 및 제1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위치정보획득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위치정보획득부를 통해 차량의 위치를 획득하고, 상기 위치를 상기 제1 교통 관련 컨텐츠 또는 상기 제2 교통 관련 컨텐츠에 매핑하여 송신하는 전자기기.
  18. 제1항, 제14항 및 제1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위치정보획득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위치정보획득부를 통해 차량의 위치를 획득하고, 상기 제1 교통 관련 컨텐츠 또는 상기 제2 교통 관련 컨텐츠를 상기 차량의 위치 인근에 위치한 다른 전자기기로 송신하도록 제어하는 전자기기.
  19. 제1항, 제14항 및 제1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아이템은 위치를 반영하는 아이템, 운행방향을 반영하는 아이템 및 교통상황을 반영하는 아이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위치를 반영하는 아이템은 장소명, 구간명, 도로명 및 POI명 중 적어도 하나를 반영하고,
    상기 교통상황을 반영하는 아이템은 소통상황, 상기 소통상황의 원인, 노면상태, 기상상태 및 교통에 영향을 주는 이벤트 중 적어도 하나를 반영하는 전자기기.
  20. 제2항, 제14항 및 제1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운행정보는 차량의 위치, 이동방향, 속도, 가속도, 충격량, 조작상태, 주행영상, 주변기온 및 다른 차량과의 간격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전자기기.
  21. 복수의 아이템을 저장하는 단계;
    상기 복수의 아이템들 중 차량의 운행정보에 관한 적어도 하나의 제1 후보아이템을 출력하는 단계;
    상기 출력된 제1 후보아이템 중,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제1 특정아이템을 이용하여 제1 교통 관련 컨텐츠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생성된 제1 교통 관련 컨텐츠를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출력하는 단계가 상기 제1 교통 관련 컨텐츠 중 상기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특정 단어에 관한 적어도 하나의 제2 후보아이템을 출력하면, 상기 컨텐츠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제2 후보아이템 중 상기 사용자에 의해 제2 특정아이템이 선택되면 상기 제2 특정아이템이 포함된 제2 교통 관련 컨텐츠를 생성하고, 상기 송신하는 단계는 생성된 제2 교통관련 컨텐츠를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통 관련 컨텐츠 생성방법.
  22. 제21항에 있어서,
    차량의 운행정보를 획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운행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1 후보아이템을 출력하는 교통 관련 컨텐츠 생성방법.
  23. 삭제
  24. 삭제
  25. 삭제
  26. 삭제
  27. 삭제
  28. 복수의 아이템들을 저장하는 단계;
    차량의 운행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복수의 아이템 중 상기 운행정보에 근거하여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제1 특정아이템을 이용하여 제1 메시지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생성된 제1 메시지를 출력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메시지를 포함하는 제1 교통 관련 컨텐츠를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메시지를 생성하는 단계가 상기 제1 메시지 중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특정 단어에 관한 적어도 하나의 후보 아이템 중 상기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제2 특정아이템을 이용하여 제2 메시지를 생성하면, 상기 출력하는 단계는 상기 제2 메시지를 출력하고, 상기 송신하는 단계는 상기 제2 메시지를 포함하는 제2 교통 관련 컨텐츠를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통 관련 컨텐츠 생성방법.

  29. 제28항에 있어서,
    입력된 문자, 메시지편집신호 및 적어도 하나의 제1 특정아이템 또는 제2 특정아이템 중 적어도 하나를 더 이용하여 상기 제1 메시지 또는 상기 제2 메시지를 수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교통 관련 컨텐츠 생성방법.
  30. 복수의 아이템들을 저장하는 단계;
    차량의 운행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복수의 아이템들 중 상기 운행정보에 근거하여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제1 후보아이템을 선정하는 단계;
    음성신호를 입력 받는 단계;
    상기 선정된 제1 후보아이템을 고려하여 상기 음성신호에 의해 대응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1 메시지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생성된 제1 메시지를 출력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메시지를 포함하는 제1 교통 관련 컨텐츠를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후보아이템을 선정하는 단계가 상기 제1 메시지 중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특정 단어에 관한 적어도 하나의 제2 후보 아이템을 선정하면, 상기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선정된 제2 후보 아이템을 고려하여 상기 음성 신호에 대응되는 제2 메시지를 생성하며,
    상기 제2 메시지가 생성되면 상기 출력하는 단계는 제2 메시지를 출력하고, 상기 송신하는 단계는 상기 제2 메시지를 포함하는 제2 교통 관련 컨텐츠를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통 관련 컨텐츠 생성방법.
  31. 제21항, 제22항 및 제28항 내지 제30항 중 어느 한 항의 교통 관련 컨텐츠 생성방법을 수행하는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
KR1020110017575A 2011-02-28 2011-02-28 교통 관련 컨텐츠 생성방법, 이를 수행하는 전자기기 및 이를 수행하는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 KR10191082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17575A KR101910828B1 (ko) 2011-02-28 2011-02-28 교통 관련 컨텐츠 생성방법, 이를 수행하는 전자기기 및 이를 수행하는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17575A KR101910828B1 (ko) 2011-02-28 2011-02-28 교통 관련 컨텐츠 생성방법, 이를 수행하는 전자기기 및 이를 수행하는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97968A KR20120097968A (ko) 2012-09-05
KR101910828B1 true KR101910828B1 (ko) 2018-10-24

Family

ID=471091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17575A KR101910828B1 (ko) 2011-02-28 2011-02-28 교통 관련 컨텐츠 생성방법, 이를 수행하는 전자기기 및 이를 수행하는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10828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074584A (ja) 2000-09-01 2002-03-15 Mitsubishi Electric Corp 情報提供システム
JP2003187386A (ja) * 2001-12-18 2003-07-04 Nec Access Technica Ltd Vics情報送受信装置
JP2003346286A (ja) * 1994-12-28 2003-12-05 Omron Corp 交通情報システム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346286A (ja) * 1994-12-28 2003-12-05 Omron Corp 交通情報システム
JP2002074584A (ja) 2000-09-01 2002-03-15 Mitsubishi Electric Corp 情報提供システム
JP2003187386A (ja) * 2001-12-18 2003-07-04 Nec Access Technica Ltd Vics情報送受信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97968A (ko) 2012-09-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430945B2 (en)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route calculation and information to a vehicle
US10126142B2 (en) Methods and systems for obtaining navigation instructions
KR101451768B1 (ko) 주행 영상 획득을 위한 전자 기기 및 전자 기기의 주행 영상 획득 방법 및 주행 영상 제공을 위한 서버 및 서버의 주행 영상 제공 방법
US20130054134A1 (en) Telematics apparatus for driving assistance, system of the same, and method of the same
US20110022299A1 (en) Method and apparatus to search and process poi information
KR100627808B1 (ko) 이동통신망에서 도보 구간 또는/및 대중 교통 수단 운행구간의 연계를 통한 지리 정보 제공 방법
KR101874072B1 (ko)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서버 및 서버의 정보 제공 방법, 서버로부터 정보를 수신하는 전자기기 및 전자기기의 정보 수신 방법
KR101467298B1 (ko) 차량에서의 컨텐츠 추천 시스템 및 방법
KR101101111B1 (ko) 전자기기 및 전자기기의 동작 방법
KR20080018780A (ko) 내비게이션 시스템
KR101953556B1 (ko) 전자기기, 그 제어방법 및 전자기기와 통신하는 서버
KR101440334B1 (ko) 교통 정보 제공 서버, 전자 기기 및 교통 정보 제공 방법
KR101854663B1 (ko) 정보 제공을 위한 서버 및 서버의 정보 제공 방법 및 서버로부터 수신되는 정보를 이용하는 전자 기기 및 전자 기기의 정보 이용 방법
KR101870284B1 (ko) 전자기기, 그 제어방법 및 전자기기와 통신하는 서버
KR102269223B1 (ko)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정보 제공 서버 및 서버의 정보 제공 방법 및 서버로부터 정보를 수신하는 전자기기
KR101910828B1 (ko) 교통 관련 컨텐츠 생성방법, 이를 수행하는 전자기기 및 이를 수행하는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
KR101117485B1 (ko) 사용자 컨텐츠 입력방법, 이를 수행하는 전자기기 및 이를 수행하는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
KR101126516B1 (ko) 정보를 수신하는 전자기기 및 방법, 정보를 수신하는 방법을 수행하는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매체
KR101989146B1 (ko)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정보 제공 서버 및 서버의 정보 제공 방법 및 서버로부터 정보를 수신하는 전자기기
KR102117243B1 (ko)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정보 제공 서버 및 서버의 정보 제공 방법 및 서버로부터 정보를 수신하는 전자기기
KR102313071B1 (ko)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정보 제공 서버 및 서버의 정보 제공 방법 및 서버로부터 정보를 수신하는 전자기기
KR102332165B1 (ko)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정보 제공 서버 및 서버의 정보 제공 방법 및 서버로부터 정보를 수신하는 전자기기
KR102337483B1 (ko)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정보 제공 서버 및 서버의 정보 제공 방법 및 서버로부터 정보를 수신하는 전자기기
KR101421613B1 (ko) 전자 기기, 서버, 전자 기기의 제어 방법 및 교통 정보 제공 방법
KR101123579B1 (ko) 전자기기 및 전자기기의 동작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