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00472B1 - 자동 위치 고정식 권선기 - Google Patents

자동 위치 고정식 권선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00472B1
KR101100472B1 KR1020107023915A KR20107023915A KR101100472B1 KR 101100472 B1 KR101100472 B1 KR 101100472B1 KR 1020107023915 A KR1020107023915 A KR 1020107023915A KR 20107023915 A KR20107023915 A KR 20107023915A KR 101100472 B1 KR101100472 B1 KR 10110047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aking device
guide groove
lower cover
groove
directional gui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70239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136524A (ko
Inventor
지징 홍
리즈히 헤
Original Assignee
지징 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40014371&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101100472(B1)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지징 홍 filed Critical 지징 홍
Publication of KR2010013652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3652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0047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0047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10Earpieces; Attachments therefor ; Earphones; Monophonic headphones
    • H04R1/1033Cables or cables storage, e.g. cable ree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75/00Storing webs, tapes, or filamentary material, e.g. on reels
    • B65H75/02Cores, formers, supports, or holders for coiled, wound, or folded material, e.g. reels, spindles, bobbins, cop tubes, cans, mandrels or chucks
    • B65H75/34Cores, formers, supports, or holders for coiled, wound, or folded material, e.g. reels, spindles, bobbins, cop tubes, cans, mandrels or chucks specially adapted or mounted for storing and repeatedly paying-out and re-storing lengths of material provided for particular purposes, e.g. anchored hoses, power cables
    • B65H75/38Cores, formers, supports, or holders for coiled, wound, or folded material, e.g. reels, spindles, bobbins, cop tubes, cans, mandrels or chucks specially adapted or mounted for storing and repeatedly paying-out and re-storing lengths of material provided for particular purposes, e.g. anchored hoses, power cables involving the use of a core or former internal to, and supporting, a stored package of material
    • B65H75/44Constructional details
    • B65H75/4418Arrangements for stopping winding or unwinding; Arrangements for releasing the stop means
    • B65H75/4428Arrangements for stopping winding or unwinding; Arrangements for releasing the stop means acting on the reel or on a reel blocking mechanism
    • B65H75/4434Arrangements for stopping winding or unwinding; Arrangements for releasing the stop means acting on the reel or on a reel blocking mechanism actuated by pulling on or imparting an inclination to the material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72Means for accommodating flexible lead within the holder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1/00Arrangement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between relatively-movable parts
    • H02G11/02Arrangement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between relatively-movable parts using take-up reel or dru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701/00Handled material; Storage means
    • B65H2701/30Handled filamentary material
    • B65H2701/34Handled filamentary material electric cords or electric power cabl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Braking Arrangements (AREA)
  • Storing, Repeated Paying-Out, And Re-Storing Of Elongated Articles (AREA)
  • Operating, Guiding And Securing Of Roll- Type Closing Members (AREA)

Abstract

자동 위치 고정식 권선기(捲線機)로, 하부 덮개(1), 이 하부 덮개와 연접하여 고정시킨 상부 덮개(2), 하부 덮개와 상부 덮개 사이에 설치한 권선(捲線) 장치, 하부 덮개와 상부 덮개의 측면 벽 양쪽에 각각 따로 설치한 선(線) 출입구(10,11)가 포함되는데, 권선 장치는 하부 덮개 위쪽 중심에 설치한 중심축(34)과 이 중심축 위에 세트가 되도록 맞춰서 설치한 날개바퀴(4), 하부 덮개 위쪽에 장착한 제동장치(5), 그리고 날개바퀴(4) 내부에 설치한 소용돌이 스프링(6)으로 구성된다. 날개바퀴의 바닥 부분에는 한 개의 고리형 오목홈(7)을 구비하였는데, 이 고리형 오목홈의 바닥 부분은 하나의 평면으로 되어 있으며, 고리형 오목홈 내부에는 이 고리형 오목홈을 분할 격리하는 위치 고정 장치(8)를 설치하였다. 이 위치 고정 장치는 고리형 오목홈을 분할 격리하여서 방향 유도홈(9)을 형성하게 되며, 제동장치는 방향 유도홈 안으로 삽입될 수 있어서, 날개바퀴가 회전할 때 방향 유도홈을 따라서 반대 운동할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자동 위치 고정식 권선기{Automatic Positioning Winder}
본 발명은, 수동 방식으로 선을 끌어당겨 꺼내고, 아울러 자동 방식으로 선을 감아 들이도록 장치한, 일종의 자동 위치 고정식 권선기(捲線機)에 관한 것이다.
나날이 증가하는 전자 제품들은 사람들의 생활에 새로운 기쁨을 제공하는데, 대다수의 전자 제품들은 거의 모두 전송선이 구비되어 있다. 이들 전자 제품의 전송선들은 정리하여 휴대할 경우에 쉽게 꼬이거나 뒤엉키는 현상이 발생하여 사용자로 하여금 불편함을 느끼게 한다. 이를 정연하고 안전하게 보관하기 위해서는 항상 전송선의 길이를 조정할 필요가 있는데, 이런 경우에 권선기(捲線機)를 사용함으로써 이런 상황을 비교적 쉽게 개선할 수가 있게 되었다.
현재 사용되고 있는 자동 권선기는 모두 다 소용돌이 스프링을 채택하여 사용함으로써, 태엽방식으로 자동 감기를 실현하는 동력 부품으로 하고 있다. 다만 손으로 당겨서 작동시키는 방식에서 어떻게 위치 고정을 실현시키느냐에 따라 각기 다른 구조를 갖추게 된다. 전통적인 위치고정 방식은 래치트(ratchet) 구조를 채택하였는데, 이 래치트 구조를 통해서 위치 고정이 실현된다. 또 다른 방식으로는 탄성을 지닌 갈고리 단추 방식으로 위치 고정을 실현하였는데, 이는 중국 특허 제200520018519.9호의 실용신안특허 설명서에 나와 있는 바와 같다.
현재 대부분의 경우에 채택하고 있는 것은 일종의 궤도 위치 고정 방식인데, 그 원리는 전선을 감아 들이거나 혹은 당겨낼 때, 날개바퀴가 함께 회전하고, 제동장치도 예정된 궤도를 따라 운행하도록 하는 것이다. 그런데 궤도의 어느 한 위치에 걸림점을 설치하여 놓고, 일정한 상황 하에서 제동장치가 해당 걸림점에 걸려 들어가도록 하여 날개바퀴의 회전을 정지시킴으로써 권선기의 위치 고정이 실현되도록 하는 방법이다. 다만 이런 정지 상태가 아주 쉽게 흐트러짐으로써 제동장치를 궤도 내에서 다시 움직이도록 하게 된다. 이에 관해서는 중국 특허 제200420102869.9 및 200720181531.0호의 중국 실용신안특허 설명서에 나와 있다.
유감스럽게도 위에서 설명한 권선기는 모두 다 여러 가지 부족한 점이 있는데, 위에서 설명한 200720181531.0호 특허를 예로 들면, 채택한 기술 방안에 다음과 같은 부족한 점이 존재한다. 즉, 제동장치로 쓰이는 쇠구슬은, 방향 유도홈 역할을 하는 쇠구슬홈 안에서 움직일 때, 쇠구슬의 운동 방향에 대해 변환을 진행하는 것이, 결코 쇠구슬홈 자체에만 의지하는 것이 아니고, 쇠구슬홈 바닥 부분의 돌출 계단의 보조 작용도 받아야만 비로소 완성될 수가 있는데, 돌출 계단을 통해서 쇠구슬의 운행 궤적에 대해 간여함으로써 그 방향이 변화하도록 하는 것이다. 다만 쇠구슬홈의 바닥면이 동일한 평면에 놓여 있지 않기 때문에, 쇠구슬이 운행과정 중에 서로 다른 평면 사이를 지나면서 빈번한 충격이 발생함과 동시에 규칙적인 충격음이 발생하게 되는데, 이런 종류의 빈번한 충격이 일으키는 순간 충격의 스트레스는 방향 유도홈과 제동장치를 쉽게 손상시키거나 파괴하게 되어, 권선기의 사용 수명을 크게 단축시키게 되는 바, 이는 원래 설계자가 원하지 않았던 바이지만 또한 피하거나 해결할 방법이 없는 문제점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현재의 기술이 안고 있는 위와 같은 결함을 극복하려는데 있다. 즉, 제동장치와 방향 유도홈에서 발생하는 빈번한 충격을 피하고, 권선기의 사용 수명을 효과적으로 연장함과 아울러 사용이 편리한 일종의 자동 위치 고정식 권선기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위에서 설명한 목적을 실현하기 위해서 본 발명이 채택한 제1종의 기술방안은 다음과 같다. 본 자동 위치 고정식 권선기에는, 하부 덮개, 하부 덮개와 고정시켜 연접한 상부 덮개, 하부 덮개와 상부 덮개 사이에 설치한 권선 장치, 하부 덮개와 상부 덮개의 한쪽 측면 벽에 설치한 선 출입구, 또 다른 쪽 측면 벽의 선 출입구 등을 포함하는데, 해당 권선 장치는, 하부 덮개 위쪽 중심에 설치한 중심축, 이 중심축 위에 세트로 맞춰서 설치한 날개바퀴, 하부 덮개 위쪽에 장치한 제동장치, 그리고 날개바퀴 속에 설치한 소용돌이 스프링으로 구성되며, 날개바퀴의 바닥부분에는 한 개의 고리형 오목홈을 구비해 놓았는데, 이 고리형 오목홈의 바닥은 하나의 평면으로 되어 있고, 이 고리형 오목홈 안에는 해당 고리형 오목홈을 분할 격리하는 위치 고정 장치를 설치하였으며, 해당 위치 고정 장치는 고리형 오목홈을 분할 격리하여 방향 유도홈을 형성하도록 했는데, 이미 말한 제동장치는 방향 유도홈 안으로 삽입될 수 있으며, 아울러 날개바퀴가 회전할 때 방향 유도홈을 따라서 반대 운동을 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이 채택한 제2종의 기술방안은 다음과 같다. 본 자동 위치 고정식 권선기는, 하부 덮개, 하부 덮개와 고정시켜 연접한 상부 덮개, 하부 덮개와 상부 덮개 사이에 설치한 권선 장치, 하부 덮개와 상부 덮개의 한쪽 측면 벽에 설치한 선 출입구, 또 다른 쪽 측면 벽의 선 출입구 등을 포함하는데, 이미 말한 권선 장치는 하부 덮개 위쪽 중심에 설치한 중심축과 이 중심축 위에 세트가 되도록 맞춰서 설치한 날개바퀴, 그리고 날개바퀴 바닥면에 장착한 제동장치, 그리고 날개바퀴 속에 설치한 소용돌이 스프링으로 구성된다. 하부 덮개 안쪽 표면에는 모형 세트로 만든 한 개의 고리형 오목홈이 있는데, 이 고리형 오목홈 바닥 부분은 하나의 평면으로 되어 있고, 고리형 오목홈 안에는 해당 고리형 오목홈을 분할 격리하는 위치 고정 장치를 설치하였으며, 이 위치 고정 장치는 고리형 오목홈을 분할 격리하여 방향 유도홈을 형성하게 되는데, 이미 말한 제동장치의 갈고리 부분은 방향 유도홈 안으로 삽입될 수 있으며, 아울러 날개바퀴가 회전할 때 방향 유도홈을 따라 반대 운동을 할 수 있게 된다.
본(제2종) 기술 방안과 앞에서 말한(제1종) 기술 방안 사이에 존재하는 차이점은 다음과 같다. 본 기술 방안의 제동장치는 날개바퀴에 장착하였고, 방향 유도홈은 하부 덮개 안쪽 표면에 설치하였는데, 이는 앞에서 말한 기술 방안과 완전히 상반된다. 그밖에도, 본 기술 방안은 이후에 특수 구조의 제동장치를 채택하였다.
위에서 설명한 내용을 종합하면, 본 발명에서 설명한 자동 위치 고정식 권선기의 효과는 다음과 같다.
해당 권선기의 권선 장치는 하부 덮개 위쪽 중심에 설치한 중심축, 이 중심축 위에 세트가 되도록 맞추어 설치한 날개바퀴, 하부 덮개 위쪽에 장착한 제동장치, 날개바퀴 내부에 설치한 소용돌이 스프링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날개바퀴의 바닥 부분에는 한 개의 고리형 오목홈을 구비하였는데, 해당 고리형 오목홈의 바닥은 하나의 평면으로 되어 있고, 고리형 오목홈 안에는 해당 고리형 오목홈을 분할 격리시키는 위치 고정 장치가 설치되어 있으며, 해당 위치 고정 장치는 이 고리형 오목홈을 분할 격리시켜서 방향 유도홈을 형성하도록 하였는데, 이미 말한 제동 장치가 방향 유도홈 안으로 삽입될 수 있도록 하고, 아울러 날개바퀴가 회전할 때 방향 유도홈을 따라서 반대로 움직일 수 있게 한다. 고리형 오목홈의 바닥 부분은 하나의 평면으로 되어 있기 때문에, 제동장치는 방향 유도홈을 따라서 방향 유도홈의 측면 벽에 작용하는 힘과 관성력에 의해서 반대 운동을 하게 되므로, 방향 유도홈에다 돌출 계단을 설치할 필요 없이 제동장치의 운동 방향을 전환킴으로써, 제동장치가 방향 유도홈과 빈번한 충격을 일으키는 것을 피할 수 있고, 권선기의 사용 수명을 효과적으로 연장할 수 있으며, 아울러 사용하기에도 편리하고, 선을 늘이거나 줄이는 작업을 할 때에도 부드럽고 원활하며 엉키지 않아서 촉감이 좋음은 물론 무소음의 효과도 갖추고 있으며, 안정되고 정확한 여러 지점의 위치고정 작용과 내구성이 뛰어나서 특히 긴 사용 수명 등의 장점을 갖고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1의 입체도이다.
도 2는 도면1의 종단면도이다.
도 3은 도면1의 각 구조에 대한 분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1에서 날개바퀴가 회전할 때, 제동장치가 방향 유도홈을 따라 반대 운동을 할 때의 설명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1 중, 날개바퀴의 입체구조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2 중, 날개바퀴의 정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2 중, 날개바퀴의 종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예2 중, 하부 덮개의 정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 예2 중, 방향 유도홈의 정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동장치가 ‘L’자 형태일 때의 입체구조를 확대한 도면 중의 첫째 경우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동장치가 ‘L’자 형태일 때의 입체구조를 확대한 도면 중의 둘째 경우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제동장치가 돌출대 형태일 때의 입체구조를 확대한 도면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제동장치가 막대기 형태일 때의 입체구조를 확대한 도면이다.
도 1 - 5에서 보이는 실시 방식의 예에는, 하부 덮개(1)와 상부 덮개(2) 및 하부 덮개(1)와 상부 덮개(2) 사이에 설치한 권선 장치가 포함된다. 그 중에서, 하부 덮개(1)는 상부 덮개(2)와 고정시켜서 연접하였다. 하부 덮개(1)와 상부 덮개(2)의 한쪽 측면 벽에 있는 선 출입구(10) 및 다른 쪽 측면 벽에 있는 선 출입구(11)는, 돌돌 감긴 전선이나 신호선 등과 같은 각종 선이 해당 선 출입구(10,11)를 통해서 출입하게 된다. 권선 장치는 하부 덮개(1) 위쪽 중심에 설치한 중심축(34)과 이 중심축(34) 위에 세트가 되도록 맞춰서 설치한 날개바퀴(4), 하부 덮개(1) 위쪽에 장착한 제동장치(5), 그리고 날개바퀴(4) 내부에 설치한 소용돌이 스프링(6) 등으로 구성된다. 날개바퀴(4)의 바닥 부분에는 한 개의 고리형 오목홈(7)을 구비하였으며, 이 고리형 오목홈(7)의 바닥 부분은 하나의 평면으로 되어 있고, 고리형 오목홈(7) 안에는 해당 고리형 오목홈(7)을 분할 격리하는 위치 고정 장치(8)를 설치하였는데, 해당 위치 고정 장치(8)는 고리형 오목홈(7)을 분할 격리하여 방향 유도홈(9)을 형성하며, 앞에서 말한 제동장치(5)는 방향 유도홈(9) 안으로 삽입될 수 있고, 아울러 날개바퀴(4)가 회전할 때 방향 유도홈(9)을 따라서 반대 운동을 할 수가 있게 된다.
본 실시 방식 예의 제동장치(5)는 한 개의 구슬 모양인데, 일반적으로 쇠구슬을 주로 사용한다. 하부 덮개(1)의 위쪽에는 한 개의 방향 유도용 미끄럼홈(32)을 설치하여서, 제동장치(5)의 아랫부분은 방향 유도용 미끄럼홈(32) 속에 삽입됨과 동시에 해당 방향 유도용 미끄럼홈(32)을 따라서 미끄러지며 움직일 수 있도록 하고, 제동장치(5)의 윗부분은 방향 유도홈(9) 안에 삽입될 수 있도록 하였다.
앞에서 말한 위치 고정 장치(8)는, 고리형 오목홈(7)에 설치한, 반원보다 크도록 절단 고리형 돌출체(14) 한 개와 쐐기형 돌출체(15) 한 개 및 날개바퀴(4) 바닥 부분 중심에 설치한 돌출대(16)로 구성된다. 절단 고리형 돌출체(14)와 쐐기형 돌출체(15) 및 돌출대(16)는 고리형 오목홈(7)을 분할 격리하여서 외부 방향 유도홈(17)과 내부 방향 유도홈(18)을 형성하고, 절단 고리형 돌출체(14)와 쐐기형 돌출체(15)가 서로 대응되는 한쪽 끝에는 한 개의 제동 장치 진입구(19)를 설치하였고, 절단 고리형 돌출체(14)와 쐐기형 돌출체(15)가 서로 대응되는 다른 한쪽 끝에는 한 개의 제동 장치 출구(20)를 설치하였는데, 쐐기형 돌출체(15)의 한쪽 끝은 절단 고리형 돌출체(14)와 상응되도록 오목부위(21)로 만들었고, 날개바퀴(4)가 회전할 때 제동장치(5)는 외부 방향 유도홈(17) 안에서 하부 덮개(1) 위쪽 중심이 원의 중심이 되는 원주 위를 따라서, 외부 방향 유도홈(17) 측면 벽의 작용력을 통해 반대운동을 함으로써, 제동장치(5)는 위치一(22)에서 위치二(23)까지 270도 회전운동을 하는 것과 아울러 제동 장치 진입구(19)에서부터 내부 방향 유도홈(18) 내부까지 진입하게 된다. 그리고 또다시 90도 회전할 경우에, 제동장치(5)는 내부 방향 유도홈(18)을 따라서 위치二(23)에서부터 제동 장치 진입구(19) 아래쪽에 있는 위치三(24)까지 움직이게 된다. 그리고, 관성의 작용으로 인해서 제동장치(5)는 다시 90도 회전하여 내부 방향 유도홈(18)을 따라서 위치三(24)에서부터 위치四(25)까지 움직이게 된다. 그리고, 내부 방향 유도홈(18) 측면 벽의 작용으로 인해서 제동장치(5)는 위치四(25)에서부터 위치五(26)까지 움직이게 되는데, 위치四(25)와 위치五(26)는 하부 덮개(1) 위쪽 중심이 원의 중심이 되는 동일 원주 상에 위치하게 된다. 그리고, 오목부위(21)의 첨단부가 해당 원주 속으로 삽입되어 다시 -90도를 회전함으로써, 제동장치(5)를 위치四(25)에서부터 위치五(26)을 거쳐 오목부위(21) 바닥의 위치六(27)까지 움직이게 된다. 그리고, 관성의 작용으로 인해서 다시 90도를 회전함으로써, 제동장치(5)를 위치六(27)에서부터 절단 고리형 돌출체(14)의 첨단부에 있는 위치七(28)을 거쳐서 절단 고리형 돌출체(14) 꼭대기에 있는 위치八(29)까지 움직이게 되며, 위치六(27)과 위치七(28)은 하부 덮개(1) 위쪽 중심이 원의 중심이 되는 동일 원주 위에 위치하게 되고, 절단 고리형 돌출체(14)의 첨단부가 해당 원주 속에 삽입된다. 그리고, 관성의 작용으로 인해서 또다시 -90도를 회전함으로써, 제동장치(5)를 위치八(29)에서부터 외부 방향 유도홈(17)을 따라 움직여서 위치一(22)로 되돌아가도록 하게 되는데, 이처럼 제동장치(5)를 방향 유도홈(9)을 따라서 계속 순환하며 움직이도록 하게 된다.
이미 말한 소용돌이 스프링(6)은 날개바퀴(4) 안에 둘둘 감아놓았으며, 중심축(34)의 측면 벽에 한 개의 고정홈(12)을 설치하였고, 날개바퀴(4)의 측면 벽에 또 하나의 고정홈(13)을 설치하였는데, 소용돌이 스프링(6)의 한쪽 끝과 중심축(34) 측면 벽의 고정홈(12)은 고정시켜 연접하였으며, 소용돌이 스프링(6)의 다른 쪽 끝은 날개바퀴(4) 측면 벽의 고정홈(13)과 고정시켜 연접하였다.
이미 말한 중심축(34) 상단에는 나선형 구멍을 만들어 놓았고, 상부 덮개(2) 위에는 이 나선형 구멍과 대응하여 통하도록 연결 구멍을 만들어서 나선형 못(30)이 상부 덮개(2)의 연결 구멍을 통해 중심축(34)과 고정시켜서 연접됨으로써, 하부 덮개(1)와 상부 덮개(2)를 고정시켜 연접하게 된다.
이미 말한 상부 덮개(2)의 판 위에는 또 한 개의 장식판(31)을 장치해 놓았다.
제품을 사용할 경우에는, 날개바퀴(4) 위에 둘둘 감겨져 있는 전선(33) 한쪽 끝을 하부 덮개(1)와 상부 덮개(2) 측면 벽에 설치해 놓은 선 출입구(10)를 통해서 당겨서 끌어내고, 다른 한쪽 끝은 다른 쪽 측면 벽의 선 출입구(11)를 통해서 당겨서 끌어내게 되는데, 나선형 못(30)을 상부 덮개(2)의 연결 구멍을 통해 삽입하여 중심축(34)과 고정시켜 연접함으로써, 하부 덮개(1)와 상부 덮개(2)가 고정 방식으로 연접되도록 하여, 전선(33)의 양쪽 끝을 잡아당겨서 전선(33)을 밖으로 끌어 당겨내는데 사용한다. 전선을 끌어내는 과정에서는, 위에서 서술한 내용에서 알 수 있듯이, 제동장치(5)는 내부 방향 유도홈(18)으로 들어가게 되어, 전선을 끌어내는 과정에 제동이 걸리지 않도록 한다. 이때, 만약 손을 가볍게 놓으면, 날개바퀴(4)가 소용돌이 스프링(6)의 움직임에 의해서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게 되고, 제동장치(5) 역시 반대 방향으로 내부 방향 유도홈(18)을 따라 회전하게 된다.
오목부위(21)의 첨단부분은 내부 방향 유도홈(18)의 원주 안으로 삽입되어, 제동장치(5)가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여 이 위치까지 도달하게 될 경우에는, 제동장치(5)는 위치四(25)에서부터 위치五(26)를 거쳐서 오목부위(21) 바닥의 위치六(27)까지 움직인 다음, 이 오목부위(21)에 의해 걸려서 억제되는데, 이렇게 해서 제동이 되고 위치 고정이 이루어진다.
만약 계속해서 전선을 당겨서 끌어내야 할 경우에는, 계속 밖으로 당겨서 끌어낼 수가 있으며, 곧바로 최장 길이까지 전선(33)을 끌어낼 수 있다. 만약 전선(33)을 감아 넣으려고 할 경우에는, 전선(33)을 조금씩 조금씩 당기면서 움직여서, 제동장치(5)가 관성의 작용으로 인해 위치六(27)에서부터 절단 고리형 돌출체(14) 첨단 부분에 있는 위치七(28)을 지나서 절단 고리형 돌출체(14) 꼭대기 부분에 있는 위치八(29)까지 움직이도록 한다. 그리고 난 후 손을 가볍게 놓으면, 날개바퀴(4)가 회전 방향을 바꾸게 됨으로써, 제동장치(5)의 운행 궤적도 또한 반대 방향으로 향하게 되어, 제동장치(5)로 하여금 위치八(29)에서부터 외부 방향 유도홈(17)을 따라서 움직이게 하고, 아울러 내부 방향 유도홈(18) 속으로 다시 들어갈 수 없도록 함으로써 곧바로 전선(33)이 전부 다 말려 들어가도록 해준다.
본 발명을 사용함에 있어서, 전선을 감아 들이는 과정은 유연하고 원활한데, 더욱이 전선이 뒤엉키지 않아서 훌륭한 촉감도 가지고 있고, 아주 조용하여 무소음의 효과까지도 구비하고 있다.
도 6 - 8에서 보이는 바는 본 발명의 실시 예2이다. 본 예와 위에서 설명한 실시 예1이 서로 다른 점은 다음과 같다. 즉, 제동장치의 구조가 서로 다른데, 본 예에서는 쇠구슬이 아니라 막대형 제동장치(50)를 채택하였다. 그리고 방향 유도홈(9)의 설치 위치도 서로 다른데, 본 예에서는 제동장치(50)를 날개바퀴(4)의 바닥면에 설치하였고, 고리형 오목홈(7)과 위치 고정 장치(8), 그리고 방향 유도홈(9)은 하부 덮개(1) 내부 표면에 만들어 놓았다.
구체적으로 말하자면, 날개바퀴(4)의 바닥면 내부에다 모형 세트로 만든 하나의 이중 공간(41)을 두었는데, 제동장치(50)가 이 이중 공간(41) 안쪽에 위치하게 되면, 해당 제동장치(50)의 갈고리 부분(500)이 날개바퀴(4) 바닥면에 있는 원호형 홈(42)으로 뻗어 나와서 방향 유도홈(9) 안으로 삽입되어 들어가게 된다. 본 실시 예의 제동장치(50)는, 중간의 막대 부분(501)과 고리 부분(502), 그리고 갈고리 부분(500)을 포함하는데, 그 중에서 고리 부분(502)은 갈고리 부분(500)과 축선으로 수직을 이룬다.
해당 갈고리 부분(500)의 기능과 효과는 위에서 설명한 실시 예1 중의 쇠구슬의 효과와 같으며, 날개바퀴를 제동시키는데 사용된다. 그 작동 원리와 운행 궤적은 모두 위의 실시 예1과 동일하므로 여기서 또 다시 일일이 설명하지는 않겠다.
도 9에서 보이는 바는, 본 실시 예2 중에서, 이미 말한 방향 유도홈(9)의 바닥면이 평면으로 되어 있으며, 갈고리 부분(500)이 방향 유도홈(9)의 측면을 통과하면서 운동 궤적을 변경하는 것인데, 그 중 방향 유도홈(9) 중에서 절단 고리형 돌출체(14)와 쐐기형 돌출체(15)를 분할하여 외부 방향 유도홈(17)과 내부 방향 유도홈(18)을 만들었는데, 쐐기형 돌출체(15)의 한쪽 끝에 한 개의 제동 장치 진입구(19)와 제동 장치 출구(20) 및 위치 고정 용의 오목부위(21)을 설치하였으며, 그 가운데의 회전 중심(0)에 대하여, 내부 방향 유도홈(18)의 회전 반경(R1)은 쐐기형 돌출체(15)의 오목부위(21) 내측 첨단 부분의 회전 반경(R2)보다 크게 하고, 해당 오목부위(21)의 회전 반경(R3)은 제동 장치 출구(20)가 있는, 절단 고리형 돌출체(14) 내측 첨단의 회전 반경(R4)보다 크게 한다. 이처럼 회전반경의 변화를 통해서 갈고리 부분(500)은 방향 유도홈(9) 안에서의 운행 궤적을 변경할 수 있고, 이를 통해서 회전 운동과 위치 고정 효과를 제고시킬 수가 있다.
본 실시 예2에서 채택해서 사용한 것은 철사를 이용하여 모형 세트로 만든 제동장치(50)인데, 이는 제동장치(50)가 운행 과정에서 뜻밖의 진동이나 요동 현상 등이 나타나서 갈고리 부분(500)이 궤적을 벗어나 제품 사용에 이상 현상이 일어나지 않도록 하기 위함이다.
본 실시 예2 중의 이중 공간(41)의 측면 및 상하 표면은 제동장치(50)의 고리 부분(502)에 대해서 제한을 가하게 되는바, 이중 공간(41)이 고리 부분(502)에 대해서 일정한 제한을 가함으로써, 자체 중력이나 기타 이유로 인해서 운행 궤적을 벗어나게 되는 문제를 방지하게 된다.
도 10 - 11을 참조하면, 이미 설명했던 바, 하부 덮개(1) 위쪽에 장착하는 제동장치(5)의 형태는 또한 ‘L’자 형으로 할 수도 있다.
도 12를 참조하면, 이미 설명했던 바, 하부 덮개(1) 위쪽에 장착하는 제동장치(5)의 형태는 또한 돌출대 형상으로 할 수도 있다.
도 13을 참조하면, 이미 설명했던 바, 하부 덮개(1) 위쪽에 장착하는 제동장치(5)의 형태는 또한 막대형으로 할 수도 있다.
이상이 본 발명의 우수한 실시 예들인데, 본 발명에서 날개바퀴(4) 바닥 부분의 방향 유도홈(9)의 설계는 관성 운동의 원리를 교묘하게 운용하여, 제동장치로 하여금 방향 유도홈(9) 측면의 작용을 받지 않을 때는, 동일 원주 상에 위치하는 임의의 한 위치에서 동심원 운동을 하도록 하는데, 서로 다른 원주의 회전 중심은 하부 덮개(1) 위쪽의 중심이 원의 중심이 되는바, 이로써 제동장치(5)가 방향 유도홈(9)을 따라 반복적인 회전 운동을 할 수 있도록 보장이 되며, 외부 방향 유도홈(17)과 내부 방향 유도홈(18)의 궤적 모양은 제품 설계의 필요에 따라 원형이나 타원형, 혹은 기하학적 형상이 될 수 있고, 제동장치(5)의 모양은 필요에 따라 각기 다른 형상으로 설계할 수가 있으며, 하부 덮개(1) 위쪽의 방향 유도용 미끄럼홈(32) 역시 제동장치(5)의 모양에 따라 필요로 하는 기하학적 형상으로 설계할 수가 있다.
본 발명에서 설명한 구조 원리를 채택한 권선기는, 모두 본 발명의 보호범위 안에 속한다.
1: 하부 덮개 2: 상부 덮개
4: 날개바퀴 5: 제동장치
6: 소용돌이 스프링 7: 고리형 오목홈
8: 위치 고정 장치 9: 방향 유도홈
10, 11: 선 출입구

Claims (10)

  1. 하부 덮개(1), 상기 하부 덮개(1)와 고정시켜 연접한 상부 덮개(2), 상기 하부 덮개(1)와 상부 덮개(2) 사이에 설치한 권선 장치, 상기 하부 덮개(1)와 상부 덮개(2)의 한쪽 측면 벽에 설치한 선 출입구(10) 및 또 다른 쪽 측면 벽에 설치한 선출입구(11)를 포함하며,
    상기 권선 장치는, 상기 하부 덮개(1) 위쪽 중심에 설치한 중심축(34), 상기 중심축(34) 위에 세트가 되도록 맞춰서 설치한 날개바퀴(4), 상기 하부 덮개(1) 위쪽에 장착한 제동장치(5), 상기 날개바퀴(4) 안쪽에 설치한 소용돌이 스프링(6)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날개바퀴(4)의 바닥에는 한 개의 고리형 오목홈(7)을 구비해 놓았고, 상기 고리형 오목홈(7)의 바닥은 하나의 평면으로 구성되고, 상기 고리형 오목홈(7) 안쪽에는 상기 고리형 오목홈(7)을 분할 격리하는 위치 고정 장치(8)를 설치하였고, 상기 위치 고정 장치(8)는 고리형 오목홈(7)을 분할 격리하여 방향 유도홈(9)을 만드는데, 상기 제동장치(5)는 방향 유도홈(9) 안에 삽입됨과 아울러 날개바퀴(4)가 회전할 때 방향 유도홈(9)을 따라서 반대 운동을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위치 고정식 권선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소용돌이 스프링(6)은 날개바퀴(4) 안에 둥글게 감겨 있으며, 중심축(34)의 측면 벽에는 한 개의 고정홈(12)을 개설해 놓았고, 날개바퀴(4)의 측면 벽에는 또 한 개의 고정홈(13)을 개설해 놓았는데, 상기 소용돌이 스프링(6)의 한쪽 끝은 중심축(34) 측면 벽의 고정홈(12)과 고정시켜 연접해 놓았고, 상기 소용돌이 스프링(6)의 다른 쪽 끝은 날개바퀴(4) 측면 벽의 고정홈(13)과 고정시켜 연접해 놓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위치 고정식 권선기.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위치 고정 장치(8)는, 반원보다 큰 모양으로 고리형 오목홈(7)에 설치한 한 개의 절단 고리형 돌출체(14), 한 개의 쐐기형 돌출체(15), 날개바퀴(4) 바닥부분 중심에 설치한 돌출대(16)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절단 고리형 돌출체(14)와 쐐기형 돌출체(15) 및 돌출대(16)는 고리형 오목홈(7)을 분할 격리시켜서 외부 방향 유도홈(17)과 내부 방향 유도홈(18)을 만들고, 상기 절단 고리형 돌출체(14)와 쐐기형 돌출체(15)가 서로 대응되는 한쪽 끝에는 한 개의 제동 장치 진입구(19)를 설치하고, 상기 절단 고리형 돌출체(14)와 쐐기형 돌출체(15)가 서로 대응하는 다른 쪽 끝에는 한 개의 제동 장치 출구(20)를 설치하였으며, 상기 쐐기형 돌출체(15)의 한쪽 끝에는 절단 고리형 돌출체(14)와 상응되도록 하는 한 개의 오목부위(21)를 구비해 놓았고, 상기 날개 바퀴(4)가 회전할 때 제동장치(5)는 외부 방향 유도홈(17) 안에서 하부 덮개(1) 위쪽 중심이 원의 중심이 되는 원주 위를 따라서 외부 방향 유도홈(17) 측면 벽의 작용력을 통해 반대 운동을 하게 되며, 상기 제동장치(5)는 위치一(22)에서부터 270도 회전 운동을 하여 위치二(23)까지 움직임과 아울러 제동 장치 진입구(19)로부터 내부 방향유도홈(18) 안으로 진입하게 되며, 또다시 90도를 회전할 경우에, 상기 제동장치(5)는 내부 방향 유도홈(18)을 따라서 위치二(23)에서부터 제동 장치 진입구(19) 아래쪽의 위치三(24)까지 움직이게 되며, 관성의 작용에 의해서 상기 제동장치(5)는 다시 90도를 회전하게 되는데, 내부 방향 유도홈(18)을 따라서 위치三(24)에서부터 위치四(25)까지 움직이게 되며, 상기 내부 방향 유도홈(18) 측면 벽의 작용으로 인해서 제동장치(5)는 위치四(25)에서부터 위치五(26)까지 움직이게 되는데, 상기 위치四(25)와 위치五(26)는 하부 덮개(1) 위쪽 중심이 원의 중심이 되는 동일 원주상에 위치하게 되며, 오목부위(21)의 첨단부분은 상기 원주 안으로 삽입되고, 다시 90도를 회전하여 제동장치(5)가 위치四(25)에서부터 위치五(26)를 지나서 오목부위(21) 바닥에 있는 위치六(27)까지 움직이게 되며, 관성의 작용으로 인해 다시 90도를 회전하여 제동장치(5)로 하여금 위치六(27)에서부터 절단 고리형 돌출체(14) 첨단부에 있는 위치七(28)을 지나서 절단 고리형 돌출체(14) 꼭지부분에 있는 위치八(29)까지 움직이도록 하는데, 위치六(27)과 위치七(28)은 하부 덮개(1) 위쪽 중심이 원의 중심이 되는 동일 원주 상에 위치하게 되고, 절단 고리형 돌출체(14) 첨단부가 상기 원주 속으로 삽입되며, 관성의 작용으로 인해서 다시 90도를 회전하여 제동장치(5)로 하여금 위치八(29)에서부터 외부 방향 유도홈(17)을 따라서 위치一(22)로 되돌아오도록 움직이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위치 고정식 권선기.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하부덮개(1) 위쪽에 장착한 제동장치(5)의 형상은 '구슬형', 'L'자형, '돌출대형', '막대형' 중의 하나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위치 고정식 권선기.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중심축(34) 상단에는 나선형 구멍을 만들었고, 상부 덮개(2) 위에는 상기 나선형 구멍과 대응되도록 뚫린 구멍을 개설하였으며, 나선형 못(30)은 상부 덮개(2)에 있는 뚫린 구멍을 통해서 중심축(34)과 고정시켜 연접되도록 삽입함으로써, 상기 하부 덮개(1)는 상부 덮개(2)와 고정 방식으로 연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위치 고정식 권선기.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상부 덮개(2)의 판면 위쪽에 한 개의 장식판(31)을 덧대어 장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위치 고정식 권선기.
  7. 하부 덮개(1), 상기 하부 덮개(1)와 고정시켜 연접한 상부 덮개(2), 상기 하부 덮개(1)와 상부 덮개(2) 사이에 설치한 권선 장치, 상기 하부 덮개(1)와 상부 덮개(2) 한쪽 측면 벽에 설치한 선출입구(10) 및 또 다른 측면 벽에 설치한 선 출입구(11)를 포함하며,
    상기 권선 장치는, 상기 하부 덮개(1) 위쪽 중심에 설치한 중심축(34), 이 중심축(34) 위에 세트가 되도록 맞춰서 설치한 날개바퀴(4), 상기 날개바퀴(4) 바닥면에 장착한 제동장치(50), 그리고 상기 날개바퀴(4) 안쪽에 설치한 소용돌이 스프링(6)으로 구성되며,
    상기 하부 덮개(1) 안쪽 표면에는 한 개의 고리형 오목홈(7)을 만들어 놓았고, 상기 고리형 오목홈(7)의 바닥부분은 하나의 평면이 되도록 했으며, 고리형 오목홈(7) 안쪽에는 상기 고리형 오목홈(7)을 분할 격리하여 방향 유도홈(9)을 만드는데, 상기 제동장치(50)의 갈고리 부분(500)이 방향 유도홈(9) 안으로 삽입되도록 하여서 날개바퀴(4)가 회전할 때 방향 유도홈(9)을 따라서 반대 운동을 할 수 있도록 하며, 상기 방향 유도홈(9) 바닥면은 평면으로 되어 있으며, 갈고리 부분(500)이 방향 유도홈(9)의 측면을 통해서 운동궤적을 변경하게 되는데, 그 중 방향 유도홈(9) 중의 절단 고리형 돌출체(14)와 쐐기형 돌출체(15)에 의해서 외부 방향 유도홈(17)과 내부 방향 유도홈(18)이 분할해서 만들어지고, 상기 쐐기형 돌출체(15)의 끝에는 한 개의 제동 장치 진입구(19)와 제동 장치 출구(20) 및 위치 고정에 사용할 한 개의 오목부위(21)를 설치하며, 그 중, 회전 중심에 대해서, 내부 방향 유도홈(18)의 회전 반경(R1)은 쐐기형 돌출체(15)의 오목부위(21) 내측 첨단의 회전 반경(R2)보다 크게 하였고, 상기 오목 부위(21)의 회전 반경(R3)은 제동 장치 출구(20) 쪽에 있는 절단 고리형 돌출체(14) 내측 첨단의 회전 반경(R4)보다 크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위치 고정식 권선기.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날개바퀴(4)의 바닥면 안쪽에 모형 세트로 만든 한 개의 이중 공간(41)을 만들어 넣었는데, 상기 제동장치(50)가 상기 이중 공간(41) 안쪽에 위치하게 되며, 상기 제동장치(50)의 갈고리 부분(500)은 날개바퀴(4) 바닥면 위의 원호형 홈(42)에서 뻗어 나와서 방향 유도홈(9) 안에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위치 고정식 권선기.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제동장치(50)는, 중간의 막대 부분(501)과 고리 부분(502), 그리고 갈고리 부분(500)을 포함하는데, 그 중에서 고리 부분(502)은 갈고리 부분(500)과 축선이 수직을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위치 고정식 권선기.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이중 공간(41)의 측면 및 상하 표면은 제동장치(50) 중의 고리 부분(502)에 대해 제한을 가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위치 고정식 권선기.
KR1020107023915A 2008-05-20 2009-05-20 자동 위치 고정식 권선기 KR10110047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08100281832A CN101282032B (zh) 2008-05-20 2008-05-20 自动定位卷线器
CN200810028183.2 2008-05-20
PCT/CN2009/000551 WO2009140860A1 (zh) 2008-05-20 2009-05-20 自动定位卷线器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36524A KR20100136524A (ko) 2010-12-28
KR101100472B1 true KR101100472B1 (ko) 2011-12-29

Family

ID=400143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7023915A KR101100472B1 (ko) 2008-05-20 2009-05-20 자동 위치 고정식 권선기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110031341A1 (ko)
JP (1) JP5314130B2 (ko)
KR (1) KR101100472B1 (ko)
CN (1) CN101282032B (ko)
DE (1) DE212009000066U1 (ko)
WO (1) WO2009140860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674084A (zh) * 2012-03-27 2012-09-19 东莞达电电子有限公司 一种线材卷放装置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1282032B (zh) * 2008-05-20 2010-06-23 洪子敬 自动定位卷线器
US8387763B2 (en) * 2010-11-22 2013-03-05 Telefonix, Inc. Retractable cord reel
CN102110943A (zh) * 2011-01-21 2011-06-29 广东志高空调有限公司 用于空调室内机的电源线自动收藏装置
GB2487570A (en) * 2011-01-27 2012-08-01 Arthur Leslie Tomlinson Earphone cable winding device
US11432641B2 (en) 2012-03-30 2022-09-06 Advanced Access Technologies Llc Retractable storage system
US10237990B2 (en) 2012-03-30 2019-03-19 Advanced Access Technologies Llc Retractable storage system
US11412627B2 (en) 2012-03-30 2022-08-09 Advanced Access Technologies Llc Multipurpose accessory and storage system
US9392349B2 (en) 2012-03-30 2016-07-12 Hybrid Skillz Inc. Cable retraction system
US10225639B2 (en) 2012-03-30 2019-03-05 Advanced Access Technologies Llc Cable retraction system
US8774446B2 (en) 2012-03-30 2014-07-08 Hybrid Skillz Inc. Retractable storage system for handheld electronic device
CN104671013B (zh) * 2013-11-26 2017-05-24 富士康(昆山)电脑接插件有限公司 一种改进的卷线器组件
FR3046601B1 (fr) * 2016-01-08 2019-03-29 Pascal Roussel Enrouleur cordon specifique pour epi antibruit
CN105905696A (zh) * 2016-06-16 2016-08-31 苏州华驰机械有限公司 一种出线口组件
IT201700085973A1 (it) * 2017-07-27 2019-01-27 Luciana Mastrolonardo Parete scorrevole sospesa cablata elettricamente per la flessibilità degli ambienti interni.
CN110282565A (zh) * 2019-05-05 2019-09-27 河北艾普达起重设备制造有限公司 承导盘及其助力器
CN112103728B (zh) * 2020-08-29 2021-09-03 吉安市联基电子有限公司 一种双屏蔽层的usb连接器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80064262A1 (en) 2006-07-20 2008-03-13 Sung Chiang Wu Cable winder

Family Cites Families (2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364237B1 (en) * 2000-06-16 2002-04-02 Perfect Promotional Products Retractable badgeholder with spinning display
CN2650352Y (zh) * 2003-11-28 2004-10-20 东莞松懿特种电线制造有限公司 一种收缩型电气连接线
US6803525B1 (en) * 2004-01-05 2004-10-12 Sheng Hsin Liao Retractable cable device
JP3106584U (ja) * 2004-07-14 2005-01-06 郭進昌 ケーブル巻き戻し装置
US7364109B2 (en) * 2004-07-14 2008-04-29 First Class Electrical Co., Ltd. Cable reel
CN2737004Y (zh) * 2004-08-04 2005-10-26 吴淞江 一种改进的卷线器结构
JP3107040U (ja) * 2004-08-05 2005-01-27 淞江 呉 伝送線コード巻取り・収納リールの改良構造
US7222812B2 (en) * 2004-11-12 2007-05-29 Wen-Han Chang Positioning shaft of a dual direction cable reel
JP3109435U (ja) * 2004-12-16 2005-05-19 文漢 張 多段位置決め式コードリール装置
CN2767396Y (zh) 2004-12-23 2006-03-29 李明词 一种自动卷线器
CN2831565Y (zh) 2005-05-12 2006-10-25 昆盈企业股份有限公司 双向卷线器
CN2817432Y (zh) * 2005-06-28 2006-09-20 吴淞江 一种卷线器改进结构
US20070001046A1 (en) * 2005-07-01 2007-01-04 Sung-Jiang Wu Wire winding device with decorating sheet
US7384013B2 (en) * 2006-02-07 2008-06-10 Hsu-Li Yen Cord retriever
CN2904412Y (zh) * 2006-04-11 2007-05-23 林耀诚 具有弹性设置的滚动双向收线盒
CN2904411Y (zh) * 2006-04-11 2007-05-23 林耀诚 具有弹性设置的滚动单向收线盒
CN200947535Y (zh) * 2006-09-14 2007-09-12 喻建东 双向伸缩器
US7523883B2 (en) * 2007-07-10 2009-04-28 Hung-Wen Cheng Dual roll-up wire reel device with resilient positioning
CN201113360Y (zh) 2007-10-17 2008-09-10 东莞常平木声亿电子塑胶制品厂 一种卷线器
JP3139352U (ja) * 2007-11-27 2008-02-14 世洋科技股▲分▼有限公司 単一方向のリールのほぞ針定位構造
JP3139353U (ja) * 2007-11-27 2008-02-14 世洋科技股▲分▼有限公司 単一方向のリールの定位改良構造
CN201199624Y (zh) * 2008-05-20 2009-02-25 洪子敬 自动定位卷线器
CN101282032B (zh) * 2008-05-20 2010-06-23 洪子敬 自动定位卷线器
US7784727B1 (en) * 2009-05-06 2010-08-31 Sheng-Hsin Liao Cable reel mechanism
JP3157820U (ja) * 2009-12-15 2010-03-04 益成 陳 単一自由端コードの巻取り器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80064262A1 (en) 2006-07-20 2008-03-13 Sung Chiang Wu Cable winder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674084A (zh) * 2012-03-27 2012-09-19 东莞达电电子有限公司 一种线材卷放装置
CN102674084B (zh) * 2012-03-27 2014-08-27 东莞达电电子有限公司 一种线材卷放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10031341A1 (en) 2011-02-10
DE212009000066U1 (de) 2011-02-10
WO2009140860A1 (zh) 2009-11-26
CN101282032A (zh) 2008-10-08
JP2011521615A (ja) 2011-07-21
KR20100136524A (ko) 2010-12-28
JP5314130B2 (ja) 2013-10-16
CN101282032B (zh) 2010-06-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00472B1 (ko) 자동 위치 고정식 권선기
US9033375B1 (en) Anti-ligature lockset
US9366076B2 (en) Cord winding structure for window blind
US9101120B2 (en) Fishing reel having centrifugal brake system
WO2019007265A1 (zh) 冰箱
CN202664579U (zh) 箱包轮组制动系统及其控制装置
US20150014460A1 (en) Fishing reel having centrifugal brake system
US20140262063A1 (en) Curtain structure without drawstring
US20140014760A1 (en) Slowing device for slowing scrolling speed of belt of barrier pole
CN204151576U (zh) 晾衣架升降装置
JP6993454B2 (ja) 移動式慣性力ブレーキを備えた釣り用リール
CN205757626U (zh) 一种弹簧拉头
CN108590397A (zh) 非接触式磁门吸
CH707720B1 (it) Crochet rotativo con capsula per macchina per cucire a punto annodato comprendente mezzi per ridurre i giochi tra capsula e cestello e ridurne la rumorosità.
TWM511239U (zh) 可煞車式輪座
CN210007273U (zh) 一种通讯线走线机构
KR200352688Y1 (ko) 전선 정리기
CN220828132U (zh) 一种便于拉动的门把手
JP4106658B2 (ja) 家具等の転倒防止装置
KR200497850Y1 (ko) 휴대용 케이블 타이 고정장치
JP6505892B2 (ja) 間仕切り装置
ITCO20100012U1 (it) Dispositivo per consentire di sollevare / abbassare ed orientare una veneziana
JP4017328B2 (ja) コード巻取装置
CN209059019U (zh) 一种马桶盖铰链结构
CN207776305U (zh) 一种滑道楼梯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05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