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99871B1 - 피복제 및 광활제를 안정화시키기 위한 고농축 저장 안정성수분산액 - Google Patents

피복제 및 광활제를 안정화시키기 위한 고농축 저장 안정성수분산액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99871B1
KR101099871B1 KR1020057019016A KR20057019016A KR101099871B1 KR 101099871 B1 KR101099871 B1 KR 101099871B1 KR 1020057019016 A KR1020057019016 A KR 1020057019016A KR 20057019016 A KR20057019016 A KR 20057019016A KR 101099871 B1 KR101099871 B1 KR 10109987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queous dispersion
butyl
weight
aqueous
bi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70190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118720A (ko
Inventor
칼 베흐톨드
Original Assignee
클라리언트 파이넌스 (비브이아이)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클라리언트 파이넌스 (비브이아이)리미티드 filed Critical 클라리언트 파이넌스 (비브이아이)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05011872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11872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9987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99871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KMATERIALS FOR MISCELLANEOUS APPLICATIONS, NOT PROVIDED FOR ELSEWHERE
    • C09K15/00Anti-oxidant compositions; Compositions inhibiting chemical change
    • C09K15/04Anti-oxidant compositions; Compositions inhibiting chemical change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167/00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polyester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xylic ester link in the main chain; 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167/00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polyester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xylic ester link in the main chain; 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D167/08Polyesters modified with higher fatty oils or their acids, or with natural resins or resin acid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175/00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polyureas or polyurethanes; 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D175/04Polyurethane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7/00Features of coating compositions, not provided for in group C09D5/00; Processes for incorporating ingredients in coating compositions
    • C09D7/40Additives
    • C09D7/48Stabilisers against degradation by oxygen, light or heat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7/00Features of coating compositions, not provided for in group C09D5/00; Processes for incorporating ingredients in coating compositions
    • C09D7/40Additives
    • C09D7/66Additives characterised by particle size
    • C09D7/68Particle size between 100-1000 nm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7/00Features of coating compositions, not provided for in group C09D5/00; Processes for incorporating ingredients in coating compositions
    • C09D7/40Additives
    • C09D7/66Additives characterised by particle size
    • C09D7/69Particle size larger than 1000 nm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Nanotechnology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 Paints Or Removers (AREA)
  • Agricultural Chemicals And Associated Chemic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47중량% 초과의 활성 물질 함량을 갖고, 분산제로서 하나 이상의 비이온성 습윤제, 가용화제로서 폴리글리콜 및 유동 개선제로서 0.2 내지 5중량%의 올레산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 안정화제 또는 광 안정화제와 산화방지제의 혼합물의 고농축 저장 안정성 수분산액에 관한 것이다. 추가의 성분은 음이온성 습윤제 및 살생물제일 수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분산액은 피복 조성물, 예를 들어 가교결합성 알키드 수지, 아크릴 수지, 폴리에스터 수지 또는 폴리유레테인 수지를 기재로 하는 결합제의 수분산액, 수유화액 또는 수용액에 쉽게 도입될 수 있다.

Description

피복제 및 광활제를 안정화시키기 위한 고농축 저장 안정성 수분산액{HIGHLY CONCENTRATED, STORAGE STABLE AQUEOUS DISPERSIONS FOR STABILISING COATINGS AND GLAZES}
여론 및 법률은 용매의 방사를 감소시키는 피복제 물질에 대한 취급자의 요건을 크게 강요하고 있다. 이러한 제한이 이루어지게 된 근거중 하나는 증가된 환경적 부담에 있으며, 다른 한편으로는 직업적 위생 상황에 있다. 최근 수성 피복제 물질은 시장에서 계속적으로 성장적인 입지를 수득하고 있다. 전기이동성 딥 기폭제(cataphoretic dip priming) 및 수인성 표면화제는 현재 당업계에서 자동차의 피복제로 사용되고 있는 실정이다. 수계 피복제는 최근 작업 인가를 수득하였으며, 심지어 수계 투명피복제는 이미 작업에 사용되고 있다. 현재 수송 밀봉 시스템 및 보호성 왁스에서도 수성 기재에 사용되고 있다. 플라스틱 또는 금속으로 제조되는 외부적으로 배치된 성분의 피복제의 분야에서도 농업 및 건축 기기의 피복제, 사무용 가구, 전기 또는 전자 장치, 쉘빙(shelving) 성분, 램프, 등 수계 피복제 물질이 현재 사용되고 있다.
수용성 결합제(binder) 또는 수희석성 결합제, 또는 수용성 및 수희석성 결합제의 혼합물이 사용되는 수계 피복제 시스템 및 광활제는 일반적으로 단지 본래 액체인 안정화제와 혼합될 수 있다. 그러나, 상업적으로 입수가능한 안정화제의 대부분은 고체, 분말성(pulverulent)이며, 물에서 불용성이지 않다면 불량한 용해성을 갖는다.
액체 생성물, 용액 또는 분산액은 분말 형태에 비해 추가적으로 예를 들어 취급동안 먼지의 부재, 럼핑(lumping)으로 인한 습윤 문제의 부재, 특히 자동 설비에서 계량의 용이성과 같은 부류의 이점을 갖는다. 그러나, 장기간동안의 저장 과정중 액체 제조에 있어서 종종 불만족스러운 단점이 나타나고, 이에 따라 응어리 또는 침전물의 형성이 자주 관찰된다. 부적절하게 분산된 입자는 종종 자동화된 계량 및 혼합 시스템에서 빈번한 방해를 유발한다.
천연 또는 합성의 모든 유기 물질은 안정화제의 첨가, 특히 광 안정화제 및 산화방지제의 첨가를 통해 환경적인 영향 및 UV 광에 의한 손상으로부터 보호되어야 한다.
광 안정화제, 특히 UV 흡수제의 수분산액은 이미 이전에 공지되었다. 이들은 주로 합성 섬유, 특히 비개질되거나 산-개질된 폴리에스터 섬유의 염료화와 관련된 종래기술에서 사용된다. 상응하는 상업적인 형태로 존재하는 활성 성분의 농도는 일반적으로 40중량% 미만의 영역이다. 추가로, 분산액의 저장 안정성은 활성 물질의 침전에 의해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적당하지 않다는 것이 빈번하게 발견되었다.
유럽 특허 제 225287 호는 소정의 점도 범위를 유지할 수 있도록 전해질-증감제를 추가의 보조제로서 안정성을 위해 포함하는 염료욕 제제를 개시하였다.
유럽 특허 제 345219 호는 합성 섬유의 염색에서 광 고정을 개선시키기 위한 2-(2'-하이드록시페닐)벤조트라이아졸의 수분산액을 개시하였다.
유럽 특허 제 354174 호는 합성 섬유 물질, 특히 비개질되거나 산-개질된 폴리에스터 섬유의 염색에서 광 고정을 개선시키기 위한 2-(2'-하이드록시페닐)벤조트라이아졸의 수성 조성물을 개시하였다. 이러한 제제는 비-에터-가교 방향족 설폰산 및 포름알데하이드의 축합 생성물을 추가의 성분으로서 포함한다.
유럽 특허 제 468921 호는 합성 섬유 물질, 특히 폴리에스터 섬유의 염색에서 광 고정을 개선시키기 위한 o-하이드록시페닐-트라이아진의 수성 제제의 제조방법을 개시하였다.
유럽 특허 제 474595 호는 합성 섬유 물질, 특히 비개질되거나 산-개질된 폴리에스터 섬유의 염색에서 사용하기 위한 특별히 치환된 2-(2'-하이드록시페닐)벤조트라이아졸 단독 또는 벤조페논과의 혼합물의 수분산액을 개시하였다.
유럽 특허 제 490819 호는 합성 섬유 물질, 특히 비개질되거나 산-개질된 폴리에스터 섬유의 염색에서 사용하기 위한 벤조트라이아졸 화합물과 2-하이드록시벤조페논 화합물의 혼합물의 수성 제제를 개시하였다.
유럽 특허 제 820978 호는 광 안정성을 개선시키기 위해 2-하이드록시벤조페논 화합물의 수성 제제를 사용하여 직물 물질을 처리하는 것을 개시하였다.
독일 특허 출원 공개 제 3511924 호는 피복제 분야에서 사용하기 위한 입체 장애 아민 광 안정화제(HALS)의 수성 제제를 개시하였으며, 이러한 제제는 일반적으로 5 내지 50중량%, 바람직하게는 15 내지 40중량%의 HALS 및 2 내지 30중량%, 바람직하게는 3 내지 20중량%의 비이온성 분산제를 포함한다. 예로서 사용되는 활성 물질의 함량은 32중량%이다.
그러나, 이러한 공개 명세서에 따라 제조된 분산액, 특히 비교적 고활성 물질 함량을 갖는 분산액은 질적인 손상 없이 연장된 저장 기간동안 저장 안정성을 보장하기에 불충분하다.
영국 특허 제 2 187 746 호는 20 내지 45중량%의 활성 물질 함량 및 7 내지 15중량%의 비이온성 분산제를 포함하는 2-(2'-하이드록시페닐)벤조트라이아졸의 안정성 수분산액을 개시하였다. UV 흡수제의 입경은 바람직하게 1㎛ 미만이다. 예로서 사용되는 활성 물질 함량은 40중량%이다.
독일 특허 출원 공개 제 19946519 호는 매우 일반적으로 중합체 분산액을 안정화시키기 위한 수분산액 및 이의 제조방법을 개시하였다. 활성 물질 함량(페놀성 산화방지제의 양)은 0.1 내지 59.9중량%로서 정의되어 있으며, 분산을 위한 표면-활성 물질 분획은 0.5 내지 15중량%로서 정의되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광 안정화제 또는 광 안정화제와 산화방지제의 혼합물의 고농축 수분산액의 저장 안정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것이다.
이러한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47중량% 이상의 활성 물질 함량을 갖고, 분산제로서 하나 이상의 비이온성 습윤제, 가용화제로서 폴리글리콜 및 유동 개선제로서 0.2 내지 5중량%의 올레산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 안정화제 또는 광 안정화제와 산화방지제의 혼합물의 수분산액에 의해 달성된다.
본 발명의 목적은 또한, 전술된 성분을 사용하여 수분산액을 안정화시키는 방법에 의해 달성된다.
본 발명은 개별 또는 혼합된 광 안정화제 및 산화방지제의 분산액을 제공하고, 또한 피복제 또는 광활제, 특히 수계 염기피복제, 투명피복제 및 광활제의 안정화를 위한 이들의 용도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특히 수계 피복제 시스템 및 광활제를 안정화시키기 위해 D50이 5㎛ 미만인 입경을 갖는 광 안정화제 또는 산화방지제로서 사용되는, 물에서 0의 불량한 용해성 고체의 저장 안정성 수성 제제에 관한 것이다. 활성 물질은 바람직하게 D50이 0.5 내지 2㎛이고, D90이 3.5㎛ 미만인 입경을 갖는다.
본 발명은 47중량% 이상, 바람직하게 47 내지 57중량%, 보다 바람직하게 47 내지 54중량%, 매우 바람직하게 50중량% 이상 54중량% 이하의 활성 물질 함량을 갖는 고농축 저장 안정성 수분산액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고농축 수분산액은 과도한 희석 없이 적절한 점도를 유지하기 위해 유동 개선제로서 0.2 내지 5.0중량%의 올레산을 함유한다. 바람직한 예로는 0.2 내지 4.0중량%, 특히 바람직하게는 0.2 내지 3.0중량%의 양을 사용하는 것을 들 수 있다.
수분산액은 바람직하게 0.01 내지 2Pa s의 점도를 갖는다.
비이온성 습윤제 이외에, 본 발명의 고농축 수분산액은 바람직하게 음이온성 습윤제도 포함하며, 이는 활성 물질의 적정 분산을 유지시켜 개선된 저장 안정성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광 안정화제 또는 광 안정화제와 산화방지제의 혼합물은 수분산액으로의 가공과정중에 승온에서 종종 발생되는 용융이 일어나지 않도록 35℃ 이상의 융점을 가져야 한다.
바람직한 광 안정화제는 하기 화학식 Ia, Ib, II 내지 VIII의 생성물이다.
Figure 112005056539007-pct00001
Figure 112005056539007-pct00002
(미국 특허 제 4853471 호에서 실시예에 대해 기재된 고체 생성물)
Figure 112005056539007-pct00003
Figure 112005056539007-pct00004
Figure 112005056539007-pct00005
Figure 112005056539007-pct00006
Figure 112005056539007-pct00007
(유럽 특허 제 820 978 A1 호에서 실시예에 대해 기재됨)
Figure 112005056539007-pct00008
Figure 112005056539007-pct00009
Figure 112005056539007-pct00010
상기 식에서,
R30은 H, n-알킬, 아이소알킬, 비치환되거나 치환된 아릴, OR35이거나 또는 하기 화학식의 성분이고:
Figure 112005056539007-pct00011
[상기 식에서,
R35는 H, n-알킬, 아이소알킬, 비치환되거나 치환된 아릴이다];
R31은 H, n-알킬, 아이소알킬이거나 또는 하기 화학식의 성분이고;
Figure 112005056539007-pct00012
X는 -O- 또는 -(NR36)-이고;
R36은 H, n-알킬 또는 아이소알킬이고;
R33은 H, n-알킬, 아이소알킬, CN 또는 기
Figure 112005056539007-pct00013
(여기서, X는 상기에서 정의된 바와 같다)이고;
R32 및 R38은 독립적으로 H, n-알킬, 아이소알킬, 비치환되거나 치환된 아릴이거나 또는 하기 화학식의 성분이고:
Figure 112005056539007-pct00014
[상기 식에서,
R39는 H, C1-C18 알킬, C7-C18 알킬아릴, -O-C1-C18 알킬 또는 아세틸이다];
R1 내지 R16은 하기 정의를 갖는다:
R1, R2 및 R3은 서로 독립적으로 수소, 선형 또는 분지형 C1-C12 알킬, 사이클로알킬 또는 아르알킬이고; 바람직하게 메틸, s-뷰틸, t-뷰틸, t-아밀, t-옥틸, 사이클로헥실 또는 기
Figure 112005056539007-pct00015
또는
Figure 112005056539007-pct00016
(여기에서 R'는 수소 또는 C1-C12 알킬이다)이고;
R4는 수소, 할로겐, 예컨대 Cl 또는 Br, 카복실 또는 설폰산 기, 선형 또는 분지형 C1-C12 알킬, 사이클로알킬 또는 저급 알콕시이고;
R3', R3" 및 R3"'는 서로 독립적으로 수소, 선형 또는 분지형 C1-C12 알킬, 사이클로알킬 또는 아르알킬이고;
T는 수소, C1-C12 알킬 또는 옥소 기이고;
R5, R6, R7 및 R8은 서로 독립적으로 수소, 선형 또는 분지형 C1-C8 알킬, 비치환된 아릴 또는 저급 알킬 치환된 아릴이고;
R9는 수소, 또는 선택적으로 하나 이상의 OH 기 또는 하나 이상 알콕시 기로 치환되거나 또는 OH 기 및 알콕시 기에 의해 혼합적으로 치환될 수 있는 C1-C12의 선형 또는 분지형 지방족 또는 지환족 알킬 기이고;
R10은 OH, C1-C12 알콕시, 하이드록시에톡시 또는 하기 기이고:
Figure 112005056539007-pct00017
[상기 식에서,
Y는 직접 결합(direct bond)이거나 또는 하기 기이고:
Figure 112005056539007-pct00018
R"는 수소, 메틸 또는 메톡시이다];
R11은 수소, 할로겐, 시아노, C1-C8 알킬, 사이클로알킬, 알콕시, 펜옥시, 페닐, 하이드록시 또는 하이드록시에톡시이고;
R12는 수소, 할로겐, 시아노, C1-C8 알킬, 사이클로알킬, 알콕시, 펜옥시, 페닐, 하이드록시, 하이드록시에톡시, 또는 하기 기이고;
Figure 112005056539007-pct00019
R13, R14, R15 및 R16은 동일하거나 또는 서로 독립적으로 수소, 선형 또는 분지형 알킬, OH 또는 알콕시이다.
본 발명에 따라 사용되는 입체 장애 피페리딘 유도체(HA(L)S)는 광 견뢰도 또는 기계적 성질을 개선시키기 위해 이미 사용되고 있는 공지된 안정화제 군에 포함된다. 이러한 종류의 입체 장애 피페리딘 유도체의 예로는 하기 화학식 IXa, IXb, 또는 IXb와 IXc의 반응 생성물을 들 수 있다:
Figure 112005056539007-pct00020
Figure 112005056539007-pct00021
Figure 112009019610640-pct00023
삭제
상기 식에서,
서로 독립적으로,
A는 -O- 또는 -NR20-이고;
R20은 H, C1-C18 알킬이거나 하기 기중 하나이고:
Figure 112005056539007-pct00024
R17은 H 또는 C1-C18 알킬이고;
R18은 H, 또는 지방족, 지환족, 방향족 또는 헤테로방향족 라디칼이고;
R21은 C1-C18 알킬이거나, 또는 연결된 탄소 원자에 부착된 두 개의 라디칼 R21은 C4-C8 사이클로알킬 라디칼이고;
R22는 H, C1-C18 알킬 또는 C7-C18 알킬아릴이고;
R23은 H, 또는 n-가 지방족, 지환족, 방향족 또는 헤테로방향족 라디칼이고;
R24는 C1-C18 알킬 또는 -C(O)-C1-C18 알킬이고:
R25는 H, C1-C18 알킬, C4-C18 사이클로알킬이거나, 또는 동일한 탄소 원자에 부착된 두 개의 라디칼 R25는 C4-C8 사이클로알킬 라디칼이고;
n은 0보다 큰 정수이다.
추가의 첨가제로서 하기 산화방지제가 본 발명의 분산액에 존재할 수 있다:
1.1. 알킬화 모노페놀, 예를 들어, 2,6-다이-t-뷰틸-4-메틸페놀, 2-뷰틸-4,6-다이 메틸페놀, 2,6-다이-t-뷰틸-4-에틸페놀, 2,6-다이-t-뷰틸-4-n-뷰틸페놀, 2,6-다이-t-뷰틸-4-아이소뷰틸페놀, 2,6-다이사이클로펜틸-4-메틸페놀, 24a-메틸사이클로헥실)-4,6-다이메틸페놀, 2,6-다이옥타데실-4-메틸페놀, 2,4,6-트라이사이클로헥실페놀, 2,6-다이-t-뷰틸-4-메톡시메틸페놀, 2,6-다이논일-4-메틸페놀, 2,4-다이메틸-6-(1'-메틸운데크-l'-일)페놀, 2,4-다이메틸-6-(1'-메틸헵타데실)페놀, 2,4-다이메틸-6-(1'-메틸트라이데크-l'-일)페놀 및 이들의 혼합물.
1.2. 알킬티오메틸페놀, 예를 들어, 2,4-다이옥틸티오메틸-6-t-뷰틸페놀, 2,4-다이옥틸티오메틸-6-메틸페놀, 2,4-다이옥틸티오메틸-6-에틸페놀, 2,6-다이도데실티오메틸-4-논일페놀.
1.3. 하이드로퀴논 및 알킬화 하이드로퀴논, 예를 들어, 2,6-다이-t-뷰틸-4-메톡시페놀, 2,5-다이-t-뷰틸하이드로퀴논, 2,5-다이-t-아밀하이드로퀴논, 2,6-다이페닐-4-옥타데실옥시페놀, 2,6-다이-t-뷰틸하이드로퀴논, 2,5-다이-t-뷰틸-4-하이드록시아니솔, 3,5-다이-t-뷰틸-4-하이드록시아니솔, 3,5-다이-t-뷰틸-4-하이드록시페닐 스테아레이트, 비스(3,5-다이-t-뷰틸-4-하이드록시페닐)아디페이트.
1.4. 토코페롤, 예를 들어, α-토코페롤, β-토코페롤, γ-토코페롤, δ-토코페롤 및 이들의 혼합물(바이타민 E).
1.5. 하이드록실화 티오다이페닐 에터, 예를 들어 2,2'-티오비스(6-t-뷰틸-4-메틸페놀), 2,2'-티오비스(4-옥틸페놀), 4,4'-티오비스(6-t-뷰틸-3-메틸페놀), 4,4'-티오비스(6-t-뷰틸-2-메틸페놀), 4,4'-티오비스(3,6-다이-s-아밀페놀), 4,4'-비스(2,6-다이메틸-4-하이드록시페닐)다이설파이드.
1.6. 알킬리덴 비스페놀, 예를 들어, 2,2'-메틸렌비스(6-t-뷰틸-4-메틸페놀), 2,2'-메틸렌비스(6-t-뷰틸-4-에틸페놀), 2,2'-메틸렌비스[4-메틸-6-(α-메틸사이클로헥실)페놀], 2,2'-메틸렌비스(4-메틸-6-사이클로헥실페놀), 2,2'-메틸렌비스(6-논일-4-메틸페놀), 2,2'-메틸렌비스(4,6-다이-t-뷰틸페놀), 2,2'-에틸리덴비스(4,6-다이-t-뷰틸페놀), 2.2'-에틸리덴비스(6-t-뷰틸-4-아이소뷰틸페놀), 2,2'-메틸렌비스[6-(α-메틸벤질)-4-논일페놀], 2,2'-메틸렌비스[6-(α,α-다이메틸벤질)-4-논일페놀], 4,4'-메틸렌비스(2,6-다이-t-뷰틸페놀), 4,4'-메틸렌비스(6-t-뷰틸-1-2-메틸페놀), 1,1-비스(5-t-뷰틸-4-하이드록시-2-메틸페닐)부테인, 2,6-비스(3-t-뷰틸-5-메틸-2-하이드록시벤질)-4-메틸페놀, 1,1,3-트리스(5-t-뷰틸-4-하이드록시-2-메틸페닐)부테인, 1,1-비스(5-t-뷰틸-4-하이드록시-2-메틸페닐)-3-n-도데실머캅토부테인, 에틸렌 글리콜 비스[3,3-비스(3'-t-뷰틸-4'-하이드록시페닐)부티레이트], 비스(3-t-뷰틸-4-하이드록시-5-메틸페닐)다이사이클로펜타디엔, 비스[2-(3'-t-뷰틸-2'-하이드록시-5'-메틸벤질)-6-t-뷰틸-4-메틸페닐]테레프탈레이트, 1,1-비스(3,5-다이메틸-2-하이드록시페닐)부테인, 2,2-비스(3,5-다이-t-뷰틸-4-하이드록시페닐)프로페인, 2,2-비스(5-t-뷰틸-4-하이드록시-2-메틸페닐)-4-n-도데실머캅토부테인, 1,1,5,5-테트라(5-t-뷰틸-4-하이드록시-2-메틸페닐)펜테인.
1.7. O-, N- 및 S-벤질 화합물, 예를 들어, 3,5,3',5'-테트라-t-뷰틸-4,4'-다이하이드록시다이벤질 에터, 옥타데실 4-하이드록시-3,5-다이메틸벤질머캅토아세테이트, 트리스(3,5-다이-t-뷰틸-4-하이드록시벤질)아민, 비스(4-t-뷰틸-3-하이드록시-2,6-다이메틸벤질) 다이티오테레프탈레이트, 비스(3,5-다이-t-뷰틸-4-하이드록시벤 질)설파이드, 아이소옥틸 3,5-다이-t-뷰틸-4-하이드록시벤질머캅토아세테이트.
1.8. 하이드록시벤질화 말로네이트, 예를 들어 다이옥타데실 2,2-비스(3,5-다이-t-뷰틸-2-하이드록시벤질)말로네이트, 다이옥타데실 2-(3-t-뷰틸-4-하이드록시-5-메틸벤질)말로네이트, 다이도데실 머캅토에틸-2,2-비스(3,5-다이-t-뷰틸-4-하이드록시벤질)말로네이트, 다이[4-(1,1,3,3-테트라메틸뷰틸)페닐] 2,2-비스(3,5-다이-t-뷰틸-4-하이드록시벤질)말로네이트.
1.9. 방향족 하이드록시벤질 화합물, 예를 들어 1,3,5-트리스(3,5-다이-t-뷰틸-4-하이드록시벤질)-2,4,6-트라이메틸벤젠, 1,4-비스(3,5-다이-t-뷰틸-4-하이드록시벤질)-2,3,5,6-테트라메틸벤젠, 2,4,6-트리스(3,5-다이-t-뷰틸-4-하이드록시벤질)페놀.
1.10. 트라이아진 화합물, 예를 들어, 2,4-비스옥틸머캅토-6-(3,5-다이-t-뷰틸-4-하이드록시아닐리노)-1,3,5-트라이아진, 2-옥틸머캅토-4,6-비스(3,5-다이-t-뷰틸-4-하이드록시아닐리노)-1,3,5-트라이아진, 2-옥틸머캅토-4,6-비스(3,5-다이-t-뷰틸-4-하이드록시펜옥시)-1,3,5-트라이아진, 2,4,6-트리스(3,5-다이-t-뷰틸-4-하이드록시펜옥시)-1,2,3-트라이아진, 1,3,5-트리스(3,5-다이-t-뷰틸-4-하이드록시벤질)아이소시아누레이트, 1,3,5-트리스(4-t-뷰틸-3-하이드록시-2,6-다이메틸벤질)아이소시아누레이트, 2,4,6-트리스(3,5-다이-t-뷰틸-4-하이드록시페닐에틸)-1,3,5-트라이아진, 1,3,5-트리스(3,5-다이-t-뷰틸-4-하이드록시페닐프로피온일)헥사하이드로-1,3,5-트라이아진, 1,3,5-트리스(3,5-다이사이클로헥실-4-하이드록시벤질)아이소시아누레이트.
1.11. 벤질포스포네이트, 예를 들어 다이메틸 2,5-다이-t-뷰틸-4-하이드록시벤질포스포네이트, 다이에틸 3,5-다이-t-뷰틸-4-하이드록시벤질포스포네이트, 다이옥타데실 3,5-다이-t-뷰틸-4-하이드록시벤질 포스포네이트, 다이옥타데실 5-t-뷰틸-4-하이드록시-3-메틸벤질포스포네이트, 모노에틸 3,5-다이-t-뷰틸-4-하이드록시벤질포스포네이트의 Ca 염.
1.12. 아실아미노페놀, 4-하이드록시라우라마이드, 4-하이드록시스테아라닐라이드, 옥틸 N-(3,5-다이-t-뷰틸-4-하이드록시페닐)카바메이트.
1.13. 일가 또는 다가 알콜, 예를 들어 메탄올, 에탄올, 옥탄올, 옥타데칸올, 1,6-헥세인다이올, 1,9-논에인다이올, 에틸렌 글리콜, 1,2-프로페인다이올, 네오펜틸 글리콜, 티오다이에틸렌 글리콜, 다이에틸렌 글리콜, 트라이에틸렌 글리콜, 펜타에리트리톨, 트리스(하이드록시에틸)아이소시아누레이트, N,N'-비스(하이드록시에틸)옥살아마이드, 3-티아운데칸올, 3-티아펜타데칸올, 트라이메틸헥세인다이올, 트라이메틸롤프로페인, 4-하이드록시메틸-1-포스파-2,6,7-트라이옥사바이사이클로[2.2.2]옥테인과 β-(3,5-다이-t-뷰틸-4-하이드록시페닐)프로피온산의 에스터.
1.14. 일가 또는 다가 알콜, 예를 들어 메탄올, 에탄올, 옥탄올, 옥타데칸올, 1,6-헥세인다이올, 1,9-논에인다이올, 에틸렌 글리콜, 1,2-프로페인다이올, 네오펜틸 글리콜, 티오다이에틸렌 글리콜, 다이에틸렌 글리콜, 트라이에틸렌 글리콜, 펜타에리트리톨, 트리스(하이드록시에틸)아이소시아누레이트, N,N'-비스(하이드록시에틸)옥살아마이드, 3-티아운데칸올, 3-티아펜타데칸올, 트라이메틸헥세인다이올, 트라이메틸롤프로페인, 4-하이드록시메틸-1-포스파-2,6,7-트라이옥사바이사이클로[2.2.2]옥테인과 β-(5-t-뷰틸-4-하이드록시-3-메틸페닐)프로피온산의 에스터.
1.15. 일가 또는 다가 알콜, 예를 들어 메탄올, 에탄올, 옥탄올, 옥타데칸올, 1,6-헥세인다이올, 1,9-논에인다이올, 에틸렌 글리콜, 1,2-프로페인다이올, 네오펜틸 글리콜, 티오다이에틸렌 글리콜, 다이에틸렌 글리콜, 트라이에틸렌 글리콜, 펜타에리트리톨, 트리스(하이드록시에틸)아이소시아누레이트, N,N'-비스(하이드록시에틸)옥살아마이드, 3-티아운데칸올, 3-티아펜타데칸올, 트라이메틸헥세인다이올, 트라이메틸롤프로페인, 4-하이드록시메틸-1-포스파-2,6,7-트라이옥사바이사이클로[2.2.2]옥테인과 β-(3,5-다이사이클로헥실-4-하이드록시페닐)프로피온산의 에스터.
1.16. 일가 또는 다가 알콜, 예를 들어 메탄올, 에탄올, 옥탄올, 옥타데칸올, 1,6-헥세인다이올, 1,9-논에인다이올, 에틸렌 글리콜, 1,2-프로페인다이올, 네오펜틸 글리콜, 티오다이에틸렌 글리콜, 다이에틸렌 글리콜, 트라이에틸렌 글리콜, 펜타에리트리톨, 트리스(하이드록시에틸)아이소시아누레이트, N,N'-비스(하이드록시에틸)옥살아마이드, 3-티아운데칸올, 3-티아펜타데칸올, 트라이메틸헥세인다이올, 트라이메틸롤프로페인, 4-하이드록시메틸-1-포스파-2,6,7-트라이옥사바이사이클로[2.2.2]옥테인과 3,5-다이-t-뷰틸-4-하이드록시페닐아세트산의 에스터.
1.17. β-(3,5-다이-t-뷰틸-4-하이드록시페닐)프로피온산의 아마이드, 예컨대 N,N'-비스(3,5-다이-t-뷰틸-4-하이드록시페닐프로피온일)헥사메틸렌다이아민, N,N'-비스(3,5-다이-t-뷰틸-4-하이드록시페닐프로피온일)트라이메틸렌다이아민, N,N'-비스(3,5-다이-t-뷰틸-4-하이드록시페닐프로피온일)하이드라진.
본 발명의 분산액에 존재할 수 있는 추가의 부가제는 하기와 같다:
2. 금속 탈활성화제, 예컨대 N,N'-다이페닐옥살아마이드, N-살리실랄-N'-살리실로일하이드라진, N,N'-비스(살리실로일)하이드라진, N,N'-비스(3,5-다이-t-뷰틸-4-하이드록시페닐프로피온일)하이드라진, 3-살리실로일아미노-1,2,4-트라이아졸, 비스(벤질리덴)옥살릴 다이하이드라자이드, 옥사닐라이드, 아이소프탈로일 다이하이드라자이드, 세바코일 비스페닐하이드라자이드, N,N'-다이아세틸아디포일 다이하이드라자이드, N,N'-비스살리실로일옥살릴 다이하이드라자이드, N,N'-비스살리실로일티오프로피온일 다이하이드라자이드.
3. 포스파이트 및 포스포나이트, 예컨대 트라이페닐 포스파이트, 다이페닐알킬 포스파이트, 페닐 다이알킬 포스파이트, 트리스(논일페닐) 포스파이트, 트라이라우릴 포스파이트, 트라이옥타데실 포스파이트, 다이스테아릴 펜타에리트리톨 다이포스파이트, 트리스(2,4-다이-t-뷰틸페닐) 포스파이트, 다이아이소데실 펜타에리트리톨 다이포스파이트, 비스(2,4-다이-t-뷰틸페닐)펜타에리트리톨 다이포스파이트, 비스(2,6-다이-t-뷰틸-4-메틸페닐)펜타에리트리톨 다이포스파이트, 비스-아이소데실옥시-펜타에리트리톨 다이포스파이트, 비스(2,4-다이-t-뷰틸-6-메틸페닐) 펜타에리트리톨 다이포스파이트, 비스(2,4,6-트라이-t-뷰틸페닐)펜타에리트리톨 다이포스파이트, 트리스테아릴솔비톨 트라이포스파이트, 테트라키스(2,4-다이-t-뷰틸페닐) 4,4'-바이페닐렌 다이포스포나이트, 6-아이소옥틸옥시-2,4,8,10-테트라-t-뷰틸-12H-다이벤조[d,g]-1,3,2-다이옥사포스포신, 6-플루오로-2,4,8,10-테트라-t-뷰틸-12-메틸다이벤조[d,g]-1,3,2-다이옥사포스포신, 비스(2,4-다이-t-뷰틸-6-메틸페닐)메틸 포스파이트, 비스(2,4-다이-t-뷰틸-6-메틸페닐) 에틸 포스파이트.
4. 과산화물 스캐벤져(scavenger) 화합물, 예컨대 β-티오다이프로피온산의 에스터, 예를 들어 라우릴, 스테아릴, 미리스틸 또는 트라이데실 에스터, 머캅토벤즈이미다졸, 2-머캅토벤즈이미다졸의 아연 염, 아연 다이뷰틸다이티오카바메이트, 다이옥타데실 다이설파이드, 펜타에리트리톨 테트라키스(β-도데실머캅토)프로피오네이트.
5. 폴리아마이드 안정화제, 예컨대 요오다이드 및/또는 인 화합물의 조합물에서 구리 염 및 이가 망간 염.
6. 염기성 공-안정화제, 예컨대 멜라민, 폴리바이닐피롤리돈, 다이시안다이아마이드, 트라이알릴 시아누레이트, 유레아 유도체, 하이드라진 유도체, 아민, 폴리아마이드, 폴리유레테인, 고지방산의 알칼리 금속 염 및 알칼리 토금속 염, 예를 들어 Ca 스테아레이트, Zn 스테아레이트, Mg 베헤네이트, Mg 스테아레이트, Na 리시놀레에이트, K 팔미테이트, 안티몬 피로카테콜레이트 또는 주석 피로카테콜레이트.
7. 기핵제, 예컨대 4-t-뷰틸벤조산, 아디프산, 다이페닐 아세트산.
8. 충진제 및 강화제, 예컨대 칼슘 카보네이트, 실리케이트, 유리 섬유, 석면, 활석, 카올린, 운모, 바륨 설페이트, 금속 산화물, 금속 수산화물, 탄소 블랙, 흑연.
9. 기타 보조제, 예컨대 가소제, 윤활제, 유화제, 안료, 광학 증백제, 발화지연제, 대전방지제, 발포제.
본 발명의 고농축 수분산액은 실온에서 1년 이상의 저장성과 상응하는 것으로 실험으로 통해 입증되는, 50℃에서 4주 이상의 저장 안정성을 갖는다.
하나의 바람직한 실시태양에서, 본 발명의 수분산액은 추가 성분으로서 살생물제를 포함한다. 세균 및/또는 박테리아성 감염으로 인해 분산제 및/또는 광 안정화제의 분해(또는 부분적인 분해)가 방해되거나 적어도 크게 지연되므로, 살생물제의 존재는 추가로 저장 안정성을 상당히 증가시킨다.
살생물제는 예를 들어 유도화된 아이소티아졸린-3-온 부류의 화합물이다. 이들은 이들의 용액, 유화액의 형태 또는 기타 성분과의 합성 혼합물로서 사용된다. 바람직한 예로는 상업적으로 일반적인 살생물제, 예컨대 시판되는 제품인 ACTICIDE(등록상표, 구입처: Thor) 또는 PARMETOL(등록상표, 구입처: Schulke & Mayr)을 들 수 있다.
특히 바람직한 본 발명에 따른 수분산액은 30 내지 40중량%의 물중 47 내지 54중량%의 활성 물질, 5 내지 10중량%의 습윤제, 5 내지 10중량% 가용화제, 0.2 내지 3중량%의 올레산 및 1중량% 미만의 살생물제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안정화제 제제는 올레산, 폴리글리콜 및 분산제 및/또는 추가의 통상적인 부가제의 존재하에 안정화제를 분말, 콤팩트 또는 과립의 형태로 분산시킴으로써 제조될 수 있다. 분산제 및/또는 부가제를 바람직하게 올레산과 먼저 혼합시키고, 안정화제를 사용되는 안정화제의 특정한 성질의 정도에 따라 교반하면서 도입시키고, 혼합물을 교반기, 용해기, 회전-고정 밀, 보어(bore) 밀, 교반기-기작 보어 밀, 예컨대 모래 밀 및 비드 밀, 고속 혼합기, 혼련장치 또는 고전력 비드 밀을 사용하여 분산시킨다. 수득된 제제를 선택적으로 올레산으로 추가로 희석시킨다.
본 발명의 고농축 수분산액을 전체 제형의 0.3 내지 3중량%의 양으로 사용하여 모든 공지된 결합제 시스템에 적합한 수성 피복 조성물에 도입시킨다. 이러한 시스템의 예로는 가교결합성 알키드 수지, 아크릴 수지, 폴리에스터 수지 또는 폴리유레테인 수지를 기재로 하는 결합제의 수분산액, 수유화액 또는 수용액을 들 수 있다.
하기 실시예들은 하기 제품들을 사용한다:
UVA 1 = 티누빈(Tinuvin, 등록상표) 326: 2-(2'-하이드록시-3'-t-뷰틸-5'-메틸페닐)-5-클로로벤조트라이아졸
UVA 2 = 티누빈(등록상표) P: 2-(2'-하이드록시-5'-메틸페닐)벤조트라이아졸
UVA 3 = 티누빈(등록상표) 328: 2-(2'-하이드록시-3',5'-다이-t-아밀페닐)벤조트라이아졸
UVA 4 = 티누빈(등록상표) 329: 비스-[2-하이드록시-5-t-옥틸-3-(벤조트라이아졸-2-일)-페닐]메테인
UVA 5 = 시아소브(Cyasorb, 등록상표) 1164 P: 2-[4,6-비스(2,4-다이메틸페닐)-1,3,5-트라이아진-2-일]-5-(옥틸옥시)페놀
UVA 6 = 티누빈(등록상표) 405: 2-[4,6-비스(2,4-다이메틸페닐)-1,3,5-트리아진-2-yl]-5-[3-[(2-에틸헥실)옥시]-2-하이드록시프로폭시]페놀
UVA 7 = 티누빈(등록상표) 1577: 2-(4,6-다이페닐-1,3,5-트라이아진-2-일)-5-헥실옥시페놀
UVA 8 = 산두보(Sanduvor, 등록상표) 3041: 2-하이드록시-4-메톡시벤조펜온
UVA 9 = 우비눌(Uvinul, 등록상표) 3040: 2,2'-다이하이드록시-4-메톡시벤조페논
UVA 10 = 산두보(등록상표) 3035: 2-하이드록시-4-n-옥틸옥시벤조페논
UVA 11 = 산두보(등록상표) VSU: N-(2-에톡시페닐)-N'-(2-에틸페닐)에테인다이아마이드
UVA 12 = 산두보(등록상표) EPU: N-(2-에톡시-5-t-뷰틸페닐)-N'-(2-에틸페닐)에테인다이아마이드
UVA 13 = 시아소브(등록상표) UV-3638: 2,2'-(1,4-페닐렌)비스[4H-3,1-벤즈옥사진-4-온]
UVA 14: 메틸 신나메이트
UVA 15 = 우비눌(등록상표) 3035: 에틸 2-시아노-3,3-다이페닐아크릴레이트
UVA 16 = 호스타빈(Hostavin, 등록상표) B-CAP: 테트라에틸 2,2-비스(1,4-페닐렌다이메틸리덴)말로네이트
UVA 17 = 시아소브(등록상표) UV-3346: 폴리[(6-모르폴리노-s-트라이아진-2,4-다이일)[2,2,6,6-테트라메틸-4-피페리딜)이미노]헥사메틸렌[(2,2,6,6-테트라메틸-4-피페리딜)이미노]]
HALS 1 = 티누빈(등록상표) 770: 비스(2,2,6,6-테트라메틸-4-피페리딜)세바케이트
HALS 2 = 티누빈(등록상표) 144: 비스(1,2,2,6,6-펜타메틸-4-피페리딜)(3,5-다이-t-뷰틸-4-하이드록시벤질)뷰틸프로페인다이오에이트
HALS 3 = 산두보(등록상표) PR-31: 프로페인다이오산, [(4-메톡시페닐)메틸렌]-비스(1,2,2,6,6-펜타메틸-4-피페리딘일) 에스터
HALS 4 = 산두보(등록상표) 3051: 2,2,4,4-테트라메틸-7-옥사-3,20-다이아자다이스피로-[5.1.11.2]헤네이코산-21-온
HALS 5 = 호스타빈(등록상표) N30: 2,2,4,4-테트라메틸-7-옥사-3,20-다이아자다이스피로[5.1.11.2]헤네이코산-21-온과 에피클로로히드린의 반응 중합체
HALS 6 = 시마소브(Chimassorb, 등록상표) 944: 폴리[(6-아이소옥틸아미노-s-트라이아진-2,4-다이일)[2,2,6,6-테트라메틸-4-피페리딜)이미노]헥사메틸렌[(2,2,6,6-테트라메틸-4-피페리딜)이미노]]
HALS 7 = 시마소브(등록상표) 119: 1,3,5-트라이아진-2,4,6-트라이아민, N,N"'-[1,2-에테인다이일비스[[[4,6-비스[뷰틸(1,2,2,6,6-펜타메틸-4-피페리딘일)아미노]-1,3,5-트라이아진-2-일]이미노]-3,1-프로페인다이일]]비스[N',N"-다이뷰틸-N',N"-비스(1,2,2,6,6-펜타메틸-4-피페리딘일)
HALS 8: 4-하이드록시-2,2,6,6-테트라메틸피페리딘일-1-옥시
분산제 혼합물 M1: 올레일-8-에톡실레이트 + 테트라소듐 N-(1,2-다이카복시에틸)-N-옥타데실설포숙신나메이트
분산제 혼합물 M2: 올레일-10-에톡실레이트 + 테트라소듐 N-(1,2-다이카복시에틸)-N-옥타데실설포숙신나메이트
사용된 폴리글리콜은 470 내지 530g/몰의 평균질량을 갖는 폴리에틸렌 글리콜 모노메틸 에터이다.
실시예 1
수직 밀에서 10부의 폴리글리콜, 8.5부의 분산제 혼합물 M1, 1.0부의 올레산 및 0.2부의 살생물제를 32.3부의 물중에 혼합하였다. 이어서, 48부의 UVA 1을 첨가하고 혼합물을 입경이 5㎛ 미만이 될 때까지 5 내지 6시간동안 유리 비드(직경 1mm)로 분쇄하였다. 수득된 분산액을 여과에 의해 비드로부터 분리시켰다. 저장 안정성 분산액(점도 1.0Pa s)을 수득하였다.
실시예 2
동일한 방법을 사용하여, 20부의 폴리글리콜, 6부의 분산제 혼합물 M2, 1.0부의 올레산 및 0.2부의 살생물제를 24.8부의 물중에 혼합하고, 48부의 UVA 1을 첨가하였다. 저장 안정성 분산액(점도 1.8Pa s)을 수득하였다.
실시예 3
동일한 방법을 사용하여, 5부의 폴리글리콜, 6부의 분산제 혼합물 M2, 1.0부의 올레산 및 0.2부의 살생물제를 39.8부의 물중에 혼합하고, 48부의 UVA 1을 첨가하였다. 저장 안정성 분산액(점도 0.8Pa s)을 수득하였다.
실시예 4
동일한 방법을 사용하여, 10부의 폴리글리콜, 6부의 분산제 혼합물 M2, 1.0부의 올레산 및 0.2부의 살생물제를 30.8부의 물중에 혼합하고, 52부의 UVA 2를 첨가하였다. 저장 안정성 분산액(점도 0.7Pa s)을 수득하였다.
실시예 5
동일한 방법을 사용하여, 5부의 폴리글리콜, 6부의 분산제 혼합물 M2, 1.0부의 올레산 및 0.2부의 살생물제를 39.8부의 물중에 혼합하고, 48부의 UVA 3을 첨가하였다. 저장 안정성 분산액(점도 0.2Pa s)을 수득하였다.
실시예 6
동일한 방법을 사용하여, 5부의 폴리글리콜, 6부의 분산제 혼합물 M2, 1.0부의 올레산 및 0.2부의 살생물제를 37.8부의 물중에 혼합하고, 50부의 UVA 4를 첨가하였다. 저장 안정성 분산액(점도 0.4Pa s)을 수득하였다.
실시예 7 내지 28
각각 실시예 3 또는 5에 따라 동일한 방법을 사용하여, 5부의 폴리글리콜, 6부의 분산제 혼합물 M2, 1.0부의 올레산 및 0.2부의 살생물제를 37.8부의 물중에 혼합하고, 48부의 다음과 같은 안정화제를 첨가하였다:
실시예 7: UVA 5
실시예 8: UVA 6
실시예 9: UVA 7
실시예 10: UVA 8
실시예 11: UVA 9
실시예 12: UVA 10
실시예 13: UVA 11
실시예 14: UVA 12
실시예 15: UVA 13
실시예 16: UVA 14
실시예 17: UVA 15
실시예 18: UVA 16
실시예 19: HALS 1
실시예 20: HALS 2
실시예 21: HALS 3
실시예 22: HALS 4
실시예 23: HALS 5
실시예 24: HALS 6
실시예 25: HALS 7
실시예 26: UVA 17
실시예 27: HALS 4+HALS 8
실시예 28: HALS 4+UVA 11
개선된 저장 안정성의 입증
독일 특허 출원 공개 제 3511924 호의 실시예 1 및 2에 따라 제조된 각 분산액 시료와 각각 전술한 실시예 22 및 27에 따른 분산액의 저장 안정성에 대하여 실온 및 50℃에서 시험하였다. 저장 안정성에 대한 측정은 생성물이 침전되기 시작한 이후의 시간으로 하였다.
Figure 112009019610640-pct00028
살생물제의 첨가로 인한 개선된 저장 안정성의 입증
실시예 1 내지 6을 제형중에 살생물제 없이 반복실시하였다(실시예 1a 내지 6a).
6개월 후 실온에서 시편의 세균 및 박테리아 감염에 대한 저장성을 조사하였다.
사용되는 시험 시스템은 한면상에서 전체 미생물 수/TTC 및 다른 한면상에서 효모 및 곰팡이를 동시에 측정할 수 있으며, 바이오테스트 다이아그노스틱스(Biotest Diagnostics) GK-T/HS사로부터 입수하였다. 이러한 목적을 위해, 지표 표면의 양면에 분산액을 천천히 적가하여 표면이 젖도록 하거나 이들을 분산액중에 침지된 멸균 접종 루프로 브러싱(brushing)하였다. 이어서, 튜브를 밀봉하고 배양기에서 5 내지 5일동안 30 내지 35℃에서 배양하였다. 각 팩에 포함된 지침에 따라, 지표를 비교하여 평가하였다. 적절한 배양 시간 후, 102CFU/ml(CFU=콜로니 형성 단위) 이상이 존재할 경우 분산액이 오염된 것으로 분산액의 추가의 저장에 있어 강한 부정적인 영향을 갖게 된다(분산액의 분열).
Figure 112005056539007-pct00026
적용 실시예
스티렌-개질된 아크릴레이트 유화액으로 구성된 수계 수지 시스템을 다음과 같이 제조하였다: 106.0부의 뷰틸글리콜 및 132.1부의 탈염수로 구성된 혼합물을 교반하면서 천천히 761.9부의 네오크릴(Neocryl, 등록상표) XK-62(아베시아)에 첨가하였다.
이러한 시스템은 예를 들어 실시예에서 언급된 분산액의 양호한 적합성 및 분산성의 지표인 투명한 가용성에 대해 시험하기 위한 기본 물질로서 추가의 실시예에서 제공한다.
이러한 방법에서 안정화된 "피복 물질"은 100㎛ 습윤 필름 두께에서 닥터 블레이드(doctor blade)(필름 너비 80mm)를 사용하여 고투명성 폴리에스터 필름에 피복하고/거나 메트(matt) 블랙-안료화 LENETA 차트에 적용하고 50℃ 및 80℃에서 강화-공기 오븐에서 건조시켰다. 이후, 폴리에스터 필름의 투명성 및 피복 물질에서 부적합성 및 포화의 지표를 나타내는 임의의 블루밍(blooming)에 대해 LENETA 차트를 조사하였다.
OEM 적용을 위한 수성 2K[2-성분] PU 투명피복제에 적용
폴리올 성분을 하기 성분을 기재로 하여 함께 도입하였다:
베이하이드롤(Bayhydrol, 등록상표) VP LS 2271 28.33(베이어(Bayer))
베이하이드롤(등록상표) VP LS 2231 31.03(베이어)
공급 형태로서 Byk(등록상표) 345 0.29(Byk 케미에(Chemie))
물중 Byk(등록상표) 333 25% 0.28(Byk 케미에)
희석수 12.86
폴리올 성분을 손 또는 고속 교반기(1000rpm)를 사용하여 강하게 교반하였다. 개별 성분들이 예정된 순서로 혼합되도록 하였다.
경화 성분
데스모두어(Desmodur, 등록상표) N 3600 17.28(베이어)
뷰틸글리콜 아세테이트/솔베소(등록상표) 100(1:1) 7.33(엑손 모빌(Exxon Mobile)
경화 성분과 혼합하기 전에 실시예에 기재된 분산액을 폴리올 성분에 첨가하였다. 폴리올 성분의 제조 후 12시간 전에 경화 성분과의 혼합하면 안된다. 폴리올 성분과 경화 성분의 혼합은 하기 2단계로 이루어진다:
1) 성분들을 함께 손으로 교반함으로써 예비 유화액을 제조하는 단계; 또는
2) 실험적인 교반기에 의한 단계
최종 혼합은 50바에서 제트 분산(예를 들어 공기가 없는 펌프 머커(Merkur) 060.020-DP F, 왈터, 우퍼탈(Walther Wuppertal) 소재) 또는 디스퍼메이트(2000rpm에서 5분)를 사용하여 수행된다.
뷰틸글리콜 기재의 액체 HALS 안정화제를 수지 용액에 첨가함으로써 비교 실험을 수행하였다.
티누빈(등록상표) 292(시바) 단시간 후 상당한 젤화
산두보(등록상표) 3052(클라리안트(Clariant)) 단시간 후 상당한 젤화
유연 감촉(soft-feel) 피복제에 적용
유연 감촉 피복 물질을 하기 표 3과 같이 제조하였다:
Figure 112005056539007-pct00027
이러한 피복 물질에 전술된 분산액의 0.5중량%를 첨가하였다. 안정화된 "피복 물질"을 100㎛ 습윤 필름 두께에서 닥터 블레이드(필름 너비 80mm)를 사용하여 고투명성 폴리에스터 필름에 피복하고 실온 및 50℃에서 강화-공기 오븐에서 건조시켰다. 이후, 폴리에스터 필름의 투명성을 조사하였다.

Claims (12)

  1. 47중량% 초과의 활성 물질 함량을 갖고, 분산제로서 하나 이상의 비이온성 습윤제, 가용화제로서 폴리글리콜 및 유동 개선제로서 0.2 내지 5중량%의 올레산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 안정화제 또는 광 안정화제와 산화방지제의 혼합물의 고농축 저장 안정성 수분산액.
  2. 제 1 항에 있어서,
    광 안정화제 또는 광 안정화제와 산화방지제의 혼합물이 35℃ 이상의 융점을 갖는 수분산액.
  3. 제 1 항에 있어서,
    활성 물질 함량이 47 내지 57중량%인 수분산액.
  4. 제 1 항에 있어서,
    0.01 내지 2Pa s의 점도를 갖는 수분산액.
  5. 제 1 항에 있어서,
    비이온성 습윤제 이외에 음이온성 습윤제를 포함하는 수분산액.
  6. 제 1 항에 있어서,
    활성 물질이, D50이 5㎛ 미만인 입경을 갖는 수분산액.
  7. 제 1 항에 있어서,
    50℃에서 4주 초과의 저장 안정성을 갖는 수분산액.
  8. 제 1 항에 있어서,
    추가의 성분으로서 살생물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분산액.
  9. 제 8 항에 있어서,
    30 내지 40중량%의 물중에, 47 내지 54중량%의 활성 물질, 5 내지 10중량%의 습윤제(분산제로서), 5 내지 10중량%의 폴리글리콜(가용화제로서), 0.2 내지 3중량%의 올레산(유동 개선제로서) 및 1중량% 미만의 살생물제를 포함하는 수분산액.
  10. 광 안정화제 또는 광 안정화제와 산화방지제의 혼합물의 수분산액의 저장 안정성을 개선시키는 방법으로서,
    분산액 및/또는 하나 이상의 첨가제를 올레산과 혼합시키되, 상기 첨가제는 금속 탈활성화제, 포스파이트, 포스포나이트, 과산화물 스캐벤져 화합물, 폴리아마이드 안정화제, 염기성 공-안정화제, 기핵제, 충진제, 강화제, 가소제, 윤활제, 유화제, 안료, 광학 증백제, 발화지연제, 대전방지제 및 발포제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인 제 1 단계; 및
    광 안정화제 또는 광 안정화제와 산화방지제의 혼합물을 분말, 콤팩트(compact) 또는 과립의 형태로 첨가한 다음, 올레산, 분산제, 폴리글리콜 및 하나 이상의 상기 나열된 첨가제의 존재 하에 분산시키는 제 2 단계
    를 포함하는 방법.
  11. 제 1 항 내지 제 9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피복 조성물의 제조에 사용하기 위한 수분산액.
  12. 제 1 항 내지 제 9 항중 어느 한 항의 수분산액, 및
    가교결합성 알키드 수지, 아크릴 수지, 폴리에스터 수지 또는 폴리유레테인 수지를 기재로 하는 결합제의 수분산액, 수유화액 또는 수용액
    을 포함하는, 수분산액 형태의 피복 조성물.
KR1020057019016A 2003-04-07 2004-04-01 피복제 및 광활제를 안정화시키기 위한 고농축 저장 안정성수분산액 KR10109987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03007900A EP1466956A1 (de) 2003-04-07 2003-04-07 Hochkonzentrierte, lagerstabile wässrige Dispersionen zur Stabilisierung von Lacken und Lasuren
EP03007900.8 2003-04-07
PCT/IB2004/001172 WO2004090069A1 (de) 2003-04-07 2004-04-01 Hochkonzentrierte, lagerstabile wässrige dispersionen zur stabilisierung von lacken und lasuren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118720A KR20050118720A (ko) 2005-12-19
KR101099871B1 true KR101099871B1 (ko) 2011-12-28

Family

ID=328649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7019016A KR101099871B1 (ko) 2003-04-07 2004-04-01 피복제 및 광활제를 안정화시키기 위한 고농축 저장 안정성수분산액

Country Status (12)

Country Link
US (1) US20060287411A1 (ko)
EP (2) EP1466956A1 (ko)
JP (1) JP4680181B2 (ko)
KR (1) KR101099871B1 (ko)
CN (1) CN100406537C (ko)
DK (1) DK1615982T3 (ko)
ES (1) ES2365219T3 (ko)
HK (1) HK1088630A1 (ko)
PL (1) PL1615982T3 (ko)
RU (1) RU2348675C2 (ko)
TW (1) TWI334433B (ko)
WO (1) WO200409006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202883B2 (ja) * 2007-06-26 2013-06-05 日本乳化剤株式会社 黄変防止用エマルション
US20100266690A1 (en) * 2007-10-03 2010-10-21 Bartko Joseph P Stabilizer concentrate for matrix compositions processed at elevated temperatures
EP2161247B1 (de) * 2008-09-05 2012-10-24 Sika Technology AG Verfahren zur Stabilisierung von Polycarboxylaten
AR085378A1 (es) * 2011-02-23 2013-09-25 Omya Development Ag Composicon para recubrimiento que comprende particulas que comprenden carbonato de calcio submicron, proceso para preparar la misma y uso de particulas que comprenden carbonato de calcio submicron en composiciones para recubrimient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2223383A (ja) * 1986-03-15 1987-10-01 サンド アクチエンゲゼルシヤフト 紫外線吸収剤組成物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962123A (en) * 1974-05-20 1976-06-08 Ciba-Geigy Corporation Phenolic antioxidant aqueous dispersions
US4853471A (en) * 1981-01-23 1989-08-01 Ciba-Geigy Corporation 2-(2-Hydroxyphenyl)-benztriazoles, their use as UV-absorbers and their preparation
US5030670A (en) * 1984-04-13 1991-07-09 Sandoz Ltd. Stable aqueous dispersions of tetraalkylpiperidines
CH665216A5 (de) * 1984-04-13 1988-04-29 Sandoz Ag 2,2,6,6-tetraalkylpiperidin-stabilisatoren.
US4752298A (en) * 1985-11-25 1988-06-21 Ciba-Geigy Corporation Storage-stable formulations of water-insoluble or sparingly water-soluble dyes with electrolyte-sensitive thickeners: polyacrylic acid
JPH064128B2 (ja) * 1986-02-04 1994-01-19 小野田セメント株式会社 シリカヒユ−ムの水分散体
DE58906867D1 (de) * 1988-05-31 1994-03-17 Ciba Geigy Wässrige Dispersion von 2-(2'-Hydroxyphenyl-)benzotriazolen.
ES2074688T5 (es) * 1990-07-23 1998-11-01 Ciba Geigy Ag Dispersion acuosa de absorbentes de uv poco solubles.
DE59106479D1 (de) * 1990-12-13 1995-10-19 Ciba Geigy Ag Wässrige Dispersion schwerlöslicher UV-Absorber.
DE4242389C2 (de) * 1992-12-08 1995-09-21 Schuelke & Mayr Gmbh Wäßrige Dispersion mit fungizider und algistatischer Wirkung
US5772920A (en) * 1995-07-12 1998-06-30 Clariant Finance (Bvi) Limited U.V. absorber compositions
ATE201244T1 (de) * 1995-07-12 2001-06-15 Clariant Finance Bvi Ltd Uv-absorbierende zusammensetzungen
AU3331399A (en) * 1998-03-24 1999-10-18 Ciba Specialty Chemicals Holding Inc. Stabilisation of organic materials
DE19946519A1 (de) * 1999-09-28 2001-08-16 Basf Ag Verfahren zur kontinuierlichen Herstellung von Stabilisatordispersionen
US6444320B1 (en) * 2001-01-08 2002-09-03 Brewer Science Thermosetting anti-reflective coatings for full-fill dual damascene process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2223383A (ja) * 1986-03-15 1987-10-01 サンド アクチエンゲゼルシヤフト 紫外線吸収剤組成物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4680181B2 (ja) 2011-05-11
DK1615982T3 (da) 2011-10-10
TWI334433B (en) 2010-12-11
US20060287411A1 (en) 2006-12-21
WO2004090069A1 (de) 2004-10-21
KR20050118720A (ko) 2005-12-19
ES2365219T3 (es) 2011-09-26
TW200427802A (en) 2004-12-16
EP1615982A1 (de) 2006-01-18
JP2006523252A (ja) 2006-10-12
PL1615982T3 (pl) 2011-11-30
CN1768124A (zh) 2006-05-03
RU2005134235A (ru) 2006-03-20
EP1466956A1 (de) 2004-10-13
RU2348675C2 (ru) 2009-03-10
EP1615982B1 (de) 2011-06-29
HK1088630A1 (en) 2006-11-10
CN100406537C (zh) 2008-07-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NL1019532C2 (nl) Verbeterde weervastheid van vlamwerend polyalkeen.
DE19741777B4 (de) Monomere Bisphosphite als Stabilisatoren für halogenhaltige Polymere und für Schmierstoffe
ES2426216T3 (es) Recubrimientos y plásticos antimicrobianos
DE60303438T2 (de) Waessrige dispersionen fuer antioxidantien
ITMI950834A1 (it) Combinazione di stabilizzanti per polimeri sintetici organici
MXPA02008161A (es) Mezclas estabilizantes para poliolefinas.
US6268505B1 (en) 2-(2′Hydroxyphenyl) benzotriazoles and process for their preparation
US7560048B2 (en) Liquid stabilizing mixtures for organic polymers
DE19544134A1 (de) Silangruppen enthaltende Piperidinverbindungen als Stabilisatoren für organische Materialien
DE69816851T2 (de) 2-(2'-hydroxyphenyl)benzotriazole verwendbar als uv-stabilisatoren
JP4886519B2 (ja) ハロゲン含有ポリマーのための安定剤組成物
SK133898A3 (en) Compositions containing photoreactive, uv-light absorbing low molecular weight polyalkylpiperidines, masterbatch composition comprising the novel composition, method for the stabilisation of the natural or synthetic polymeric or pre-polymeric substrates and use
KR101099871B1 (ko) 피복제 및 광활제를 안정화시키기 위한 고농축 저장 안정성수분산액
EP1565522A2 (de) Verwendung uv-absorber enthaltender polymerpulver zur stabilisierung von polymeren gegen die einwirkung von uv-strahlung
KR20160077074A (ko) 코팅 내 uv 흡수제로서의 2-(2-히드록시페닐)벤조트리아졸 화합물의 용도
EP1458803B1 (de) Stabilisatorzusammensetzung ii
JP4856346B2 (ja) 4−ホルミルアミノ−n−メチルピペリジン誘導体、安定剤としてのその使用およびこれにより安定化された有機材料
DE19544114A1 (de) Silangruppen enthaltende Piperidintriazinverbindungen als Stabilisatoren für organische Materialien
EP1049690B1 (en) s-(2'-HYDROXYPHENYL) BENZOTRIAZOLES CONTAINING A 2,4-IMIDAZOLIDINEDIONE GROUP AND PROCESS FOR THEIR PREPARATION
JP2005511879A (ja) 安定剤組成物
GB2350838A (en) Dioxopiperazinyl derivatives; stabilizing organic materials
CA2289552A1 (en) Light-stabilized organic polymers
GB2384486A (en) Bridged hydroxyphenyl triazine compound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1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2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15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13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23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