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99805B1 - 광 경화형 하드 코팅 조성물, 이를 이용한 필름, 시트, 전자부품용 트레이 및 디스플레이 글래스용 적층 지지체 - Google Patents

광 경화형 하드 코팅 조성물, 이를 이용한 필름, 시트, 전자부품용 트레이 및 디스플레이 글래스용 적층 지지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99805B1
KR101099805B1 KR1020090049019A KR20090049019A KR101099805B1 KR 101099805 B1 KR101099805 B1 KR 101099805B1 KR 1020090049019 A KR1020090049019 A KR 1020090049019A KR 20090049019 A KR20090049019 A KR 20090049019A KR 101099805 B1 KR101099805 B1 KR 10109980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hard coating
coating composition
photocurable
oligom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490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130367A (ko
Inventor
장관식
Original Assignee
장관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장관식 filed Critical 장관식
Priority to KR102009004901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99805B1/ko
Publication of KR2010013036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3036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9980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9980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5/00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characterised by their physical nature or the effects produced; Filling pastes
    • C09D5/24Electrically-conducting paint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7/00Chemical treatment or coating of shaped articles made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7/04Coating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2Elements
    • C08K3/04Carbon
    • C08K3/041Carbon nanotube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133/00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of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D13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4/00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based on organic non-macromolecular compounds having at least one polymerisable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 ; 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monomer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of groups C09D183/00 - C09D183/16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7/00Features of coating compositions, not provided for in group C09D5/00; Processes for incorporating ingredients in coating compositions
    • C09D7/20Diluents or solvent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7/00Features of coating compositions, not provided for in group C09D5/00; Processes for incorporating ingredients in coating compositions
    • C09D7/40Additives
    • C09D7/60Additives non-macromolecular
    • C09D7/61Additives non-macromolecular inorganic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7/00Features of coating compositions, not provided for in group C09D5/00; Processes for incorporating ingredients in coating compositions
    • C09D7/40Additives
    • C09D7/66Additives characterised by particle size
    • C09D7/69Particle size larger than 1000 nm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7/00Features of coating compositions, not provided for in group C09D5/00; Processes for incorporating ingredients in coating compositions
    • C09D7/40Additives
    • C09D7/70Additives characterised by shape, e.g. fibres, flakes or microsphere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30Polarising elements
    • G02B5/3025Polarisers, i.e. arrangements capable of producing a definite output polarisation state from an unpolarised input state
    • G02B5/3033Polarisers, i.e. arrangements capable of producing a definite output polarisation state from an unpolarised input state in the form of a thin sheet or foil, e.g. Polaroid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2201/00Specific properties of additives
    • C08K2201/001Conductive additiv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2201/00Specific properties of additives
    • C08K2201/011Nanostructured additiv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977/00Nanotechnology
    • Y10S977/70Nanostructure
    • Y10S977/734Fullerenes, i.e. graphene-based structures, such as nanohorns, nanococoons, nanoscrolls or fullerene-like structures, e.g. WS2 or MoS2 chalcogenide nanotubes, planar C3N4, etc.
    • Y10S977/742Carbon nanotubes, CNT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anotechn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Laminated Bodies (AREA)
  • Paints Or Remov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광 경화형 하드 코팅 조성물, 이를 이용한 필름, 시트 및 전자부품용 트레이에 관한 것으로, 상기 광 경화형 하드 코팅 조성물은 아크릴계 모노머 또는 올리고머; 알킬-알콕시 아크릴계 모노머 또는 올리고머; 무기 산화물; 실란 화합물 및 콜로이드 안정제를 포함하는 유-무기 하이브리드형 혼합물 5 내지 40 중량%; 탄소나노튜브 0.1 내지 20 중량%; 광 개시제 0.1 내지 5 중량%; 분산제, 슬립제, 블로킹 방지제 및 자외선 안정제 중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첨가제 0.1 내지 5 중량% ; 및 유기용매 40 내지 80 중량% 를 포함한다. 상기 광 경화형 하드 코팅 조성물은 표면 저항이 작고 우수한 막 경도 및 투명성을 제공할 뿐만 아니라, 내후성이 우수하여 자외선에 노출되어도 황변 현상이 일어나지 않으며 기타 물성의 저하가 나타나지 않는다.
광 경화, 하드 코팅, 탄소나노튜브

Description

광 경화형 하드 코팅 조성물, 이를 이용한 필름, 시트, 전자부품용 트레이 및 디스플레이 글래스용 적층 지지체{Radiation curable hard coating composition and film, sheet, tray and piling support for display glass using it}
본 발명은 광 경화형 하드 코팅 조성물, 이를 이용한 필름, 시트 및 전자부품용 트레이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우수한 막경도와 전도성을 나타내고 헤이즈 현상 없이 투명할 뿐만 아니라, 자외선에 노출시 황변 현상으로 투명성이 감소하고 표면 저항이 급격이 증가하는 점을 개선하여 내후성이 향상된 광경화형 하드 코팅 조성물, 이를 이용한 필름, 시트 및 전자부품용 트레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대전방지 시트(sheet)는 절연체인 기저 플라스틱 표면에 대전방지 조성물을 코팅한 후 열 경화 또는 광 경화에 의해 건조시키는 방법에 의해 제조된다. 상기 열 경화 코팅 방식은 기저 플라스틱 위에 그라비아 코팅, 롤 코팅, 바 코팅, 스프레이 코팅 등 다양한 코팅 방식을 사용하여 대전방지용 필름 및 시트를 제조하므로, 생산성이 우수할 뿐만 아니라, 표면저항을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고, 액 안정성이 우수한 장점이 있다. 그러나, 일부 기저 플라스틱에 대하여 접착력, 내용제성 및 막 경도가 떨어지는 단점이 있다. 이에 반해, 광 경화형 코팅 방식은 저온에서 경화할 수 있고 경화 속도가 빠른 장점이 있을 뿐 아니라, 열 경화형 코팅 방식에 비해 우수한 막 경도, 내용제성, 내마모성 및 접착력 등의 성질을 갖는다.
상기 열 경화형 또는 광 경화형 코팅 조성물에 전도성 고분자를 사용한 예는이미 공지되어 있다. 미국특허 제5,372,924호 및 제5,792,558호에서는 전도성 폴리티오펜(polythiophene)을 주원료로 하는 대전방지 조성물을 공개하고 있고, 또한 바이엘 기술 정보서(Bayer Technical Information, 독일 H. C. Starck사, 1996)에서는 다양한 구성의 조성물을 보다 쉽게 사용할 수 있도록 소개하고 있다.
미국특허 제5,732,924호 및 제6,004,483호와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2001-69253호 및 제2001-58446호는 전도성 고분자를 이용한 광 경화형 대전방지 코팅 조성물의 제조 방법을 게시하고 있는데 상기 광 경화형 대전방지 코팅 조성물은 아크릴 계통의 바인더를 사용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 아크릴 계통의 바인더로 코팅된 대전방지용 시트는 절곡시 기판 플라스틱의 코팅층 부분이 끊어져 표면 저항이 크게 증가하여 대전 기능을 상당히 상실하게 될 뿐 아니라, 막 경도 및 내마모성이 크게 감소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절곡에 의한 굽힘 작업 시 플라스틱이 흐리게 변하는 헤이즈(haze) 현상이 발생하면서 투명성을 잃게 되어 상품으로서의 가치가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본 발명의 목적은 우수한 막경도와 전도성을 나타내고 헤이즈 현상 없이 투명할 뿐만 아니라, 자외선에 노출시 황변 현상으로 투명성이 감소하고 표면 저항이 급격이 증가하는 점을 개선하여 내후성이 향상된 광경화형 하드 코팅 조성물, 이를 이용한 필름, 시트 및 전자부품용 트레이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고자 본 발명은,
광 경화형 모노머 또는 올리고머를 포함하는 혼합물 5 내지 40 중량%;
탄소나노튜브 0.1 내지 20 중량%;
광 개시제 0.1 내지 5 중량%;
분산제, 슬립제, 블로킹 방지제 및 자외선 안정제 중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첨가제 0.1 내지 5 중량% ; 및
유기용매 40 내지 80 중량% 를 포함하는 광 경화형 하드 코팅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탄소나노튜브는 길이가 1 내지 60㎛ 이고, 직경이 0.1 내지 50nm 일 수 있다.
상기 광 경화형 모노머 또는 올리고머는 아크릴계 모노머 또는 올리고머일 수 있다.
상기 광 경화형 모노머 또는 올리고머를 포함하는 혼합물은 알킬-알콕시 아크릴계 모노머 또는 올리고머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광 경화형 모노머 또는 올리고머 혼합물은 아크릴계 모노머 또는 올리고머 10 내지 60 중량%, 알킬-알콕시 아크릴계 모노머 또는 올리고머 5 내지 15 중량%, 무기 산화물 20 내지 50 중량%, 실란 화합물 5 내지 20 중량% 및 콜로이드 안정제 5 내지 20 중량% 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을 달성하고자 본 발명은,
기저 플라스틱의 적어도 일 면에 상기 본 발명의 광 경화형 하드 코팅 조성물이 코팅된 시트 또는 필름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을 달성하고자 본 발명은,
상기 시트 또는 필름을 절곡 또는 진공성형하여 제조되는 전자부품용 트레이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광 경화형 하드 코팅 조성물을 이용하여 막 경도 및 전도성이 향상된 대전방지 시트 또는 필름을 제조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시트 또는 필름을 이용하여 전자부품용 트레이등을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광 경화형 하드 코팅 조성물을 이용하여 제조된 제품은 헤이즈 현상없이 투명하여 외관이 우수하다.
본 발명의 광 경화형 하드 코팅 조성물을 이용하여 제조된 제품은 자외선에 노출시 황변 현상이 감소된다. 또한, 표면 저항의 급격한 증가가 나타나지 않는다.
본 발명의 광 경화형 하드 코팅 조성물을 이용하여 제조된 제품은 내후성이 증가한다.
이하, 당업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광 경화형 하드 코팅 조성물은 광 경화형 모노머 또는 올리고머 를 포함하는 혼합물; 탄소나노튜브; 광 개시제; 유기용매; 및 첨가제를 포함한다. 상기 광 경화형 하드 코팅 조성물을 이용하여 제조되는 제품은 막 경도 및 전도성이 우수하면서도 투명하고 내후성이 개선되어 자외선에 장시간 노출되어도 황변 현상 및 이로 인한 표면 저항의 증가 현상이 감소된다.
상기 탄소나노튜브는 탄소 6 개로 이루어진 육각형 고리가 서로 연결되어 이루어진 흑연판상을 둥글게 말아서 생긴 튜브 형태의 분자이다. 상기 탄소나노튜브는 강성 및 전기전도성이 우수하므로 막 경도가 증가하고 대전방지 기능이 향상된다. 또한, 자외선 또는 열 등에 노출시에 분해되지 않으므로 전도성 고분자를 사용하는 경우보다 내후성이 증가한다.
상기 탄소나노튜브는 화학 증착법, 아크 방전법, 플라즈마 토치법 및 이온 충격법등 당업계에 공지된 방법으로 제조될 수 있으며, 그 제조 방법에 제한받지 않는다. 상기 탄소나노튜브는 단일벽 구조를 갖는 단일벽 탄소나노튜브(single-walled carbon nanotube;SWNT) 또는 다중벽 구조를 갖는 다중벽 탄소나노튜브(multi-walled carbon nanotube;MWNT)가 사용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상기 탄소나노튜브는 당업계에 공지된 통상의 방법으로 전처리 단계를 거칠 수 있으나, 전처리 단계를 거치지 않아도 무방하다. 상기 탄소 나노튜브는 바람직하게는 길이가 1 내지 60㎛ 이고, 직경이 0.1 내지 50nm 인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범위 이내에서 투명성 또는 분산성이 우수하다. 상기 탄소나노튜브는 0.1 내지 20 중량% 로 포함될 수 있다. 0.1 중량% 미만으로 포함되는 경우 막 경도 및 내후성 향상 효과가 미미하며, 20 중량% 를 초과하여 포함되는 경우 분산성이 좋지 않을 수 있다.
상기 광 경화형 모노머 또는 올리고머를 포함하는 혼합물은 5 내지 40 중량% 로 포함될 수 있다. 5 중량% 미만으로 포함되는 경우 내마모성 및 내스크래치성이 감소할 수 있으며, 40 중량% 를 초과하여 포함되는 경우 기본 물성은 증가하나 표면 저항이 감소할 수 있다.
상기 광 경화형 모노머 또는 올리고머는 아크릴계 모노머 또는 올리고머일 수 있다. 상기 아크릴계 모노머 또는 올리고머는 아크릴레이트기 또는 메타아크릴레이트기를 포함한다. 상기 아크릴계 모노머 또는 올리고머는 상기 혼합물에 대하여 10 내지 60 중량% 로 포함될 수 있다. 10 중량% 미만으로 포함되면 졸-겔제조시 점도가 증가하여 합성이 용이하지 않으며, 60 중량%를 초과하여 포함되면 내스크래치성이 감소할 수 있다. 상기 아크릴계 모노머 또는 올리고머는 하이드록시에틸 (메타)아크릴레이트, 하이드록시프로필 (메타)아크릴레이트, 하이드록시부틸 (메타)아크릴레이트, 하이드록시펜틸 (메타)아크릴레이트, 하이드록시헥실 (메타)아크릴레이트 등의 단관능성 모노머; 1,6-헥산디올 디(메타)아크릴레이트, 트리페닐글리콜 디아크릴레이트, 부탄디올 디아크릴레이트, 1,3-부틸렌글리콜 디메타크릴레이트, 네오펜틸글리콜 디아크릴레이트, 에틸렌글리콜 디메타크릴레이트, 디에틸렌글리콜 디(메타)아크릴레이트, 트리에틸렌글리콜 디아크릴레이트, 폴리에틸렌글리콜 디(메타)아크릴레이트, 디프로필렌글리콜디아크릴레이트, 메톡시레이티드네오펜틸글리콜 디아크릴레이트 등의 2관능성 모노머; 트리메틸올프로판 트리(메타)아크릴레이트, 펜타에리스리톨 트리아크릴레이트, 에톡시레이티드트리메틸올프로판 트리아크릴레이트, 프로필레이티드트리메틸올프로판 트리아크릴레이트, 글리세릴프로필레이티드 트리아크릴레이트, 트리스(2-하이드록시에틸)이소시아누레이트 트리아크 릴레이트, 디펜타에리스리톨 하이드록시펜타아크릴레이트, 트리메틸올프로판 메톡시화 트리아크릴레이트, 트리메틸올프로판 에톡시화 트리아크릴레이트 등의 다관능성 모노머; 및 상기 아크릴레이트의 올리고머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단독 또는 이들의 혼합물일 수 있다.
상기 광 경화형 모노머 또는 올리고머를 포함하는 혼합물은 알킬-알콕시 아크릴계 모노머 또는 올리고머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알킬-알콕시 아크릴계 모노머 또는 올리고머는 본 발명의 광 경화형 하드 코팅 조성물에 연신성을 부여한다. 상기 알킬-알콕시 아크릴계 모노머 또는 올리고머는 2중 결합을 가진 작용기인 (메타)아크릴레이트기를 도입하여 만든 광 경화형 프리 폴리머일 수 있다. 상기 알킬-알콕시 아크릴계 모노머 또는 올리고머는 폴리에스테르 알킬-알콕시 아크릴레이트, 에폭시 알킬-알콕시 아크릴레이트, 우레탄 알킬-알콕시 아크릴레이트, 스피란 수지 알킬-알콕시 아크릴레이트 및 실리콘 수지 알킬-알콕시 아크릴레이트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단독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사용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우레탄 알킬-알콕시 아크릴레이트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알킬-알콕시 아크릴계 모노머 또는 올리고머는 디알킬에리스리톨 알킬-알콕시 아크릴레이트(알킬 및 알콕시기는 C1 내지 C10)의 모노머 또는 디알킬에리스리톨 알킬 아크릴레이트(알킬기는 C1 내지 C10) 와 이소시아네이트가 반응하여 합성된 올리고머일 수 있다. 상기 알킬-알콕시 아크릴계 모노머 또는 올리고머의 구체적인 예로, 디펜타에리스티톨 헥사에톡시 아크릴레이트, 디펜타에리스리톨 펜타에톡시 아크릴레이트 등의 모노 머, 디펜타에리스리톨 펜타아크릴레이트와 이소시아네이트가 반응하여 합성된 우레탄 디펜타에리스리톨 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 등이 있다. 상기 알킬-알콕시 아크릴계 모노머 또는 올리고머는 본 발명의 광 경화형 하드 코팅 조성물에 대하여 5 내지 15 중량% 로 포함될 수 있다. 5 중량% 미만으로 포함되는 경우 연신성 부여 효과가 미미하며, 15 중량% 를 초과하여 포함되는 경우 막 경도가 약하고 표면 물성이 감소할 수 있다.
상기 광 경화형 모노머 또는 올리고머를 포함하는 혼합물은 아크릴계 모노머 또는 올리고머 10 내지 60 중량%, 알킬-알콕시 아크릴계 모노머 또는 올리고머 5 내지 15 중량%, 무기 산화물 20 내지 50 중량%, 실란 화합물 5 내지 20 중량% 및 콜로이드 안정제 5 내지 20 중량% 를 포함할 수 있다. 무기 산화물, 실란 화합물 및 안정제등을 포함하여 광 경화형 하드 코팅 조성물의 막 경도 및 열안정성을 비롯한 물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무기 산화물은 콜로이드성 무기 산화물을 사용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실리카를 사용할 수 있다. 가장 바람직하게는, 수용액중에 졸로서 분산된 콜로이드성 실리카를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실리카는 콜로이드성 금속 산화물과 혼용하여 사용될 수 있다. 상기 무기 산화물은 분말, 겔 또는 졸 어느 상태나 사용할 수 있으나, 졸 상태가 가장 바람직하다. 졸 상태에서 상기 무기 산화물 입자는 액상 매질 내에 분산된다. 본 발명을 수행하는데 유용한 졸은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서 잘 알려진 통상의 방법에 의해 제조할 수 있으며, 시판품을 이용할 수도 있다. 상기 무기 산화물은 유-무기 하이브리드형 혼합물에 대하여 20 내지 50 중 량% 로 포함될 수 있다. 20 중량% 미만으로 포함되면 내마모성 및 내스크래치성이 감소할 수 있으며, 50 중량%를 초과하여 포함되면 물성은 증가하나 점도가 증가하여 합성이 용이하지 않을 수 있다.
상기 실란 화합물은 가수분해성 실란 잔기 및 실란 잔기 이외의 중합성 잔기를 함유한다. 상기 실란 화합물의 구체적인 예로, 메틸트리메톡시실란, 디메틸메톡시실란, 3-아미노프로필트리에톡시실란, 3-아미노프로필디에톡시메틸실란, 3-아미노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 비닐트리스(β-메톡시)실란, 비닐트리스(2-메톡시에톡시)실란, N-(2-아미노에틸)-3-아미노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 알콕시 작용기가 치환된 실리콘 등이 있다. 상기 실란 화합물은 유-무기 하이브리드형 혼합물에 대하여 5 내지 20 중량% 로 포함될 수 있다. 5 중량% 미만으로 포함되면 막 경도가 저하될 수 있으며, 20 중량% 를 초과하여 포함되면 표면에 크랙이 발생하는 등 표면 물성이 저하될 수 있다.
상기 콜로이드 안정제는 본 발명의 광 경화형 하드 코팅 조성물의 상 안정성을 개선시킨다. 또한, 상기 콜로이드 안정제는 표면 슬립(slip)성을 약간 부여하여 내마모도와 내스크래치성을 좀 더 개선해주는 역할도 한다. 상기 콜로이드 안정제의 구체적인 예로는, 아크릴로일 몰포린(acryloyl mrpholine), 디메틸(메타)아크릴 아마이드(N,N'-dimethyl(meta)acrylamide: DMA)등이 있다. 상기 콜로이드 안정제는 유-무기 하이브리드형 혼합물에 대하여 5 내지 20 중량% 로 포함될 수 있다. 5 중량% 미만으로 포함되면 졸-겔 상태의 응집 및 침전이 생길 수 있으며, 20 중량%를 초과하여 포함되면, 하드 코팅의 물성이 저하될 수 있다.
상기 광 개시제는 에너지를 흡수하여 상기 아크릴레이트계 모노머 또는 올리고머의 광 중합을 개시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광 개시제는 본 발명의 광 경화형 하드 코팅 조성물에 대하여 0.1 내지 5 중량% 로 포함될 수 있다. 0.1 내지 5 중량% 로 포함될 때에 다른 물성에 영향을 미치지 않으면서 광 중합을 효과적으로 개시한다. 상기 광 개시제의 구체적인 예로는, 벤조인메틸에테르, 벤조인이소프로필에테르 등의 벤조인에테르, 아니솔메틸에테르 등의 치환 벤조인에테르, 2,2-디에톡시아세토페논, 2,2-디메톡시-2-페닐아세토페논 등의 치환 아세토페논, 1-하이드록시-시클로헥실-페닐-케톤, 2-메틸-2-하이드록시프로피오페논 등의 치환 α-케톨, 2-나프탈렌설포닐클로라이드 등의 방향족 설포닐 클로라이드, 1-페닐-1,1-프로판디온-2-(o-에톡시카보닐)-옥심 등의 광 활성 옥심 등이 있다.
상기 첨가제는 분산제, 슬립제, 블로킹 방지제, 자외선 안정제 또는 자외선 흡수제 중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이외에도 당업자의 필요에 따라 습윤제, 내스크레치제 또는 방오-방습제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자외선 안정제 또는 자외선 흡수제는 광 경화형 하드 코팅 조성물의 내후성을 개선시키고 자외선의 영향에 의한 황변현상을 감소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자외선 흡수제는 시너메이트등을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자외선 안정제는 벤조페놀계 또는 벤조트리아졸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자외선 안정제 또는 자외선 흡수제는 광 경화형 하드 코팅 조성물에 대하여 0.1 내지 5 중량% 로 포함될 수 있 다. 0.1 중량% 미만으로 포함되면 내후성 향상 효과가 미미하고 5 중량% 를 초과하여 포함되면 코팅막의 물성저하를 가져올 수 있다.
상기 분산제는 당업계에 공지된 것이 제한없이 사용될 수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고분자 음이온계 계면활성제, 저분자 불포화 카르복실산 또는 폴리 실록산 공중합체, 불포화 폴리아민 아미드염, 폴리에틸렌글리콜, 에틸셀루솔브등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슬립제로는 실리콘계 물질을 사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실록산 공중합체(polyether siloxane copolymer), 변성 폴리실록산(modified polysiloxane)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습윤제는 글리세린, 프로필렌글리콜, 소르비톨, 인산 트리크레질에스테르, 인산 트리페닐 및 겔 타입의 실리카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단독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방오-방습제는 과불소-우레탄 공중합체, 적어도 하나 이상의 불소함유 말단기를 가진 화합물 또는 올리고머 및 이들의 연속 단위인 고분자를 포함하는 불소 조성물로 구성되는 일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한다. 상기 과불소-우레탄 공중합체는 불소-우레탄 공중합 고분자 형태로 과불소 알킬 알코올과 관능성 이소시아네이트 공단량체가 자유라디칼 중합 반응에 의해 수산기와 이소시아네이트기의 우레탄 반응으로 중합하여 제조될 수 있다.
상기 유기용매는 유-무기 하이브리드형 혼합물, 탄소나노튜브, 광 개시제 및 첨가제를 분산 또는 용해시키는 것이라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바람직하게는, 디메틸설폭사이드(DMSO), 디메틸포름아미드(DMF), N-메틸-2-피롤리디논(NMP), 에틸렌글리콜(EG), 프로필렌글리콜메틸에테르, 2-부탄온, 4-메틸-2-펜탄온, 에틸셀로솔브(ethyl cellosolve), 메틸셀로솔브, 메틸알코올, 에틸알코올, 이소프로필알코올, 이소부틸알코올, t-부틸알코올, 벤질알코올 및 디-아세톤알코올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단독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유기용매는 광 경화형 하드 코팅 조성물에 대하여 40 내지 80 중량% 로 포함될 수 있다. 40 중량% 미만으로 포함되면 투명성 및 작업성에 어려움이 있을 수 있으며, 80 중량% 를 초과하여 포함되면 내마모성등 물성 저하를 일으킬 수 있다.
본 발명은 기저 플라스틱의 적어도 일 면에 상기 본 발명의 광 경화형 하드 코팅 조성물을 코팅하여 제조한 시트 또는 필름을 제공한다. 도 1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시트 또는 필름을 나타낸다. 도 1 에 의하면, 기저 플라스틱(110)의 적어도 일 면에 광 경화형 하드 코팅 조성물을 코팅하여 대전방지층(120)을 형성한다. 상기 본 발명의 광 경화형 하드 코팅 조성물을 사용하여 제조된 시트 또는 필름은 대전 방지 성능이 우수하면서도 투명하고, 막 경도 및 내후성이 향상된다. 따라서, 각종 전자부품 관련 제품의 제조 및 사용등에 이용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시트 또는 필름은 디스플레이 편광판 보호 필름의 제조에 이용될 수 있다.
기저 플라스틱의 적어도 일 면에 상기 본 발명의 광 경화형 하드 코팅 조성물을 그라비아 코팅, 콤마 코팅, 롤 코팅, 바 코팅, 딥 코팅, 플로우 코팅, 스프레 이 코팅 등의 방식으로 코팅한 후, 60 내지 90℃ 온도 범위에서 1 내지 10분간 열 경화 건조시켜 코팅 조성물 내의 유기용매를 완전히 제거하고 250 내지 600 mJ/㎤ 광량의 자외선을 조사 경화하여 대전방지 시트 또는 필름을 제조할 수 있다.
상기 기저 플라스틱은 고분자 합성수지를 의미하며, 구체적인 예로, 폴리에스테르(PET A, PET G, PET G-PET A-PET G), 스티렌-부타디엔 공중합체, 폴리스티렌, 폴리이미드, 폴리아미드, 폴리설포네이트, 폴리카보네이트, 폴리아크릴레이트, 폴리염화비닐,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변형된 폴리페닐렌옥사이드(Modified-Polyphenylene Oxide), 이들의 블랜드 또는 공중합체, 페놀수지, 에폭시 수지, 우레탄 수지 및 ABS 수지 등이 있다. 상기 기저 플라스틱은 단일 또는 둘 이상의 복수층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본 발명의 광 경화형 하드 코팅 조성물을 코팅하여 제조한 시트 또는 필름을 절곡 또는 진공 성형하여 제조한 대전 방지 트레이를 제공한다. 트레이는 전자부품을 수납하여 반송이나 검사를 행하는 데 사용된다. 상기 시트 또는 필름은 투명하고 표면 저항이 작아 대전 방지 효과가 우수하므로 이를 이용해 전자 부품등의 취급 과정에서 사용되는 트레이를 제조할 수 있다. 상기 트레이의 형상에는 제한이 없으며, 당업계에 공지된 어떠한 형상으로도 제조가능하며, 전자부품의 종류, 크기 등을 고려하여 적절히 디자인하여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은 폴리올레핀 폼 또는 폴리우레탄 폼의 적어도 일 면에 상기 본 발 명의 광 경화형 하드 코팅 조성물을 코팅하여 제조한 시트 또는 필름을 합지하여 제조한 디스플레이 글래스용 적층 지지체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디스플레이 글래스용 적층 지지체는 폴리올레핀 폼 또는 폴리우레탄 폼의 적어도 일 면에 본 발명의 광 경화형 하드 코팅 조성물을 코팅하여 제조할 수도 있다. 도 2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해 제조된 디스플레이 글래스용 적층 지지체를 나타낸다. 본 발명의 디스플레이 글래스용 적층 지지체는 본 발명의 광 경화형 하드 코팅 조성물을 이용하여 제조된 시트 또는 필름을 포함하여 대전방지 성능이 우수하며 막 경도도 향상되어 전자제품의 취급 및 운반과정에서 제품의 손상 및 불량을 최소화할 수 있다. 도 2 는 본 발명의 시트 또는 필름을 합지하여 제조한 디스플레이 글래스용 적층 지지체를 나타낸다.
상기 대전방지 필름은 열용융, 접착제에 의한 접착 및 압출라미네이션등을 통해 폴리올레핀 또는 폴리우레탄 폼에 합지될 수 있다.
상기 폴리올레핀 폼은 무가교, 화학가교, 전자선 가교로 제조된 PE 폼, 전자선 가교로 형성된 PP 폼, 가압가교로 제조된 EVA 폼일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 글래스용 적층 지지체의 형상은 제한되지 않으며 당업자에 필요에 따라 임의의 형상으로 제조할 수 있다.
이하, 실시예 및 비교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이는 본 발명의 설명을 위한 것일 뿐, 이로 인해 본 발명의 범위가 제한되지 않는다.
< 실시예 1> 광 경화형 하드 코팅 조성물의 제조
1-1. 아크릴계 모노머(Dipentaerythritol hexaacrylate 20 중량%, Pentaerythritol triacrylate 30 중량%, 미원상사) 50 중량%, 알킬-알콕시 아크릴계 모노머(Dipentaerythritol hexaetoxyacrylate: DPHEA, SATOMER Co.) 10 중량%, 무기 산화물인 수 분산 실리카 졸(Nalco 2327, NALCO Co.) 25 중량%, 실란 화합물(3-methacrylocxa propyl trimethoxy silane, Shin-etsu chemical Co.) 5 중량%, 콜로이드 안정제(아크릴로일 몰포린, SATOMER Co.) 10 중량% 의 혼합물을 55℃ 에서 진공 감압하여 반응을 완결하여 유-무기 하이브리드형 혼합물을 제조하였다.
1-2. 상기 실시예 1-1 에서 제조된 유-무기 하이브리드형 혼합물 15 중량%, 탄소나노튜브(길이가 30㎛, 폭이 10nm 인 다중벽) 1 중량%, 광 개시제(Igacure 184, Ciba Geigy Co.) 1 중량%, 슬립제(Tego glide 450, Tego Co.) 0.2 중량%, 자외선 안정제(BYK-307, BYK Co.) 0.5 중량%, 자외선 흡수제(Tinubin 3270, Ciba Geigy Co.) 0.3 중량% 및 유기용매(이소프로필알코올 40 중량%, 메틸셀로솔브 20 중량%, 에틸렌글리콜 22 중량%) 82 중량% 를 첨가하여 광 경화형 하드 코팅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 실시예 2> 시트의 제조
상기 실시예 1 에서 제조된 광 경화형 하드 코팅 조성물을 PET 기저 플라스틱에 그라비아 코팅방식에 의해 코팅한 후, 60℃ 에서 1분간 열 경화 건조시켜 용매를 제거한 후 500 mJ/㎤ 광량의 자외선을 조사하여 시트를 제조하였다.
< 실시예 3> 전자부품 운반용 트레이
상기 실시예 2 에서 제조한 시트를 200% 연신하여 전자부품 운반용 트레이를 제조하였다.
< 실시예 4> 사출물의 제조
상기 실시예 1 에서 제조한 광 경화형 하드 코팅 조성물을 LCD 디스플레이 운반용 사출물인 ABS 수지에 스프레이 코팅법을 사용하여 코팅한 후, 60℃ 에서 1분간 열 경화 건조시켜 용매를 제거한 후 500 mJ/㎤ 광량의 자외선을 조사하여 대전방지 사출물을 제조하였다.
< 실시예 5> 디스플레이 글래스용 적층 지지체의 제조
PE폼 양면에 상기 실시예 2 에서 제조한 시트를 그라비아 코팅방식에 의해 코팅한 후 50℃ 온도에서 1분간 열 경화 건조시켜 용매를 제거한 후 500 mJ/㎤ 광량의 자외선을 조사하여 디스플레이 글래스용 적층 지지체를 제조하였다.
< 비교예 1> 광 경화형 하드 코팅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시트
1-1. 상기 실시예 1 에서 탄소나노튜브대신 전도성 고분자 PEDOT(Baytron PH) 20 중량% 을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 과 동일하게 광 경화형 하드 코팅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1-2. 상기 비교예 1-1 에서 제조한 광 경화형 하드 코팅 조성물을 이용하여 상기 실시예 2 와 동일한 방법으로 시트를 제조하였다.
< 비교예 2> 전자부품 운반용 트레이의 제조
상기 비교예 1 에서 제조한 시트를 200% 연신하여 전자부품 운반용 트레이를 제조하였다.
< 비교예 3> 대전방지 사출물의 제조
상기 비교예 1-1 에서 제조한 광 경화형 하드 코팅 조성물을 실시예 4 와 동일하게 실시하여 대전방지 사출물을 제조하였다.
< 실험예 1> 표면 저항의 측정
상기 실시예 2 내지 5 및 비교예 1 내지 3 에서 제조한 시트, 트레이, 사출물 및 적층 지지체의 표면 저항을 ASTM D257 측정방법에 의하여 55% RH, 23℃, 인가 전압 500V 의 조건으로 측정하였다. 그 결과는 하기 표 1 과 같다.
실시예 2 실시예 3 실시예 4 실시예 5 비교예 1 비교예 2 비교예 3
표면저항
(Ω/sq)
2×104 1×106 3×105 2×106 3×106 8×1010 5×106
상기 표 1 에 나타난 바와 같이 탄소나노튜브를 포함하는 실시예 1 의 광 경화형 하드 코팅 조성물을 이용한 실시예 2 내지 5 의 시트, 트레이, 사출물 및 적층 지지체는 전도성 고분자를 이용한 비교예보다 표면 저항이 낮았다. 따라서, 대전 방지 효과가 우수함을 알 수 있다. 또한, 시트를 200% 연신하여 제조한 비교예 2 의 트레이의 경우 연신 후 표면 저항이 급격히 증가함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탄소나노튜브가 포함된 광 경화형 하드 코팅 조성물을 이용할 경우 연신하는 경우에도 급격한 표면 저항의 증가가 감소하여 전자제품관련 부품을 제조하는데 유용하게 이용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 실험예 2> 투명도 측정
상기 실시예 2 내지 5 및 비교예 1 내지 3 에서 제조한 시트, 트레이, 사출물 및 적층 지지체의 투명도를 UV 포토미터(Simazu Co.)를 이용하여 가시광선(550nm) 영역에서 측정하였다. 그 결과는 하기 표 2 와 같다.
실시예 2 실시예 3 실시예 4 실시예 5 비교예 1 비교예 2 비교예 3
투명도
(%)
85 82 불투명 불투명 84 78 불투명
상기 표 2 에 의하면, 시트를 200% 연신하여 제조한 트레이의 경우 비교예 2 의 트레이는 연신후 투명도가 급격히 저하됨을 알 수 있다.
< 실험예 3> 막 경도 측정
상기 실시예 2 내지 5 및 비교예 1 내지 3 에서 제조한 시트, 트레이, 사출물 및 적층 지지체의 막 경도를 연필경도 측정법에 의해(ASTM D3502) 측정하였다. 그 결과는 하기 표 3 과 같다.
실시예 2 실시예 3 실시예 4 실시예 5 비교예 1 비교예 2 비교예 3
막 경도
(H)
6 5 6 B 4 3 4
상기 표 3 에 나타난 바와 같이, 실시예의 시트, 트레이, 사출물 및 적층 지지체의 경우 비교예보다 막 경도가 우수함을 알 수 있다.
< 실험예 4> 내후성 측정
내후성 시험은 WeatherOmeter 를 이용하여 280nm 에서 500W/㎡ 의 세기로 40℃ 에서 12 시간동안 실시하였으며, 이후 황변 정도 및 표면 저항 및 투명도를 측정하였다. 그 결과는 하기 표 4 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2 실시예 3 실시예 4 실시예 5 비교예 1 비교예 2 비교예 3
황변현상 없음 없음 없음 없음 있음 있음 있음
표면저항
(Ω/sq)
초기 2×104 1×106 3×105 2×106 3×106 8×1010 5×106
시험후 2×104 2×106 5×104 5×106 6×108 8×1012 7×108
투명도
(%)
초기 85 82 불투명 불투명 84 78 불투명
시험후 85 82 불투명 불투명 80 74 불투명
상기 표 4 에 나타난 바와 같이, 탄소나노튜브가 포함된 광 경화형 하드 코팅 조성물을 이용한 실시예의 시트, 트레이, 사출물 및 적층지지체의 경우 전도성 고분자를 포함한 비교예에 비해 내후성 실험후 황변현상이 나타나지 않았다. 또한, 자외선 조사후에도 표면 저항이 증가하지 않았으며, 투명도가 그대로 유지되었다. 반면에, 비교예의 경우 표면 저항이 급격히 증가하였으며, 투명도도 감소하여 전반적으로 물성이 감소함을 알 수 있다.
상기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탄소나노튜브를 광 경화형 하드 코팅 조성물은 표면 저항이 작아 대전방지 효과가 우수하며, 우수한 막 경도 및 투명성을 제공할 뿐만 아니라 내후성이 우수하여 자외선등에 노출되어도 표면 저항이 증가하지 않고 투명성도 감소하지 않는다. 따라서, 전자제품등의 운반 및 보관등에 이용될 수 있는 각종 제품 및 도막 형성시 박막으로 제조할 수 있으며, 유용하게 이용될 수 있다.
도 1 은 본 발명의 광 경화형 하드 코팅 조성물이 코팅된 시트 또는 필름을 나타낸다.
도 2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제조된 디스플레이 글래스용 적층 지지체를 나타낸다.

Claims (12)

  1. 광 경화형 모노머 또는 올리고머를 포함하는 혼합물 5 내지 40 중량%;
    탄소나노튜브 0.1 내지 20 중량%;
    광 개시제 0.1 내지 5 중량%;
    분산제, 슬립제, 블로킹 방지제 및 자외선 안정제 중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첨가제 0.1 내지 5 중량% ; 및
    유기용매 40 내지 80 중량% 를 포함하고,
    상기 탄소나노튜브의 길이가 1 내지 60㎛ 이고, 직경이 0.1 내지 50nm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 경화형 하드 코팅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광 경화형 모노머 또는 올리고머가 아크릴계 모노머 또는 올리고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 경화형 하드 코팅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광 경화형 모노머 또는 올리고머를 포함하는 혼합물이 알킬-알콕시 아크릴계 모노머 또는 올리고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 경화형 하드 코팅 조성물.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광 경화형 모노머 또는 올리고머를 포함하는 혼합물이 아크릴계 모노머 또는 올리고머 10 내지 60 중량%, 알킬-알콕시 아크릴계 모노머 또는 올리고머 5 내지 15 중량%, 무기 산화물 20 내지 50 중량%, 실란 화합물 5 내지 20 중량% 및 콜로이드 안정제 5 내지 20 중량%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 경화형 하드코팅 조성물.
  5. 삭제
  6. 기저 플라스틱의 적어도 일 면에 제1항 또는 제4항의 광 경화형 하드 코팅 조성물이 코팅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
  7. 기저 플라스틱의 적어도 일 면에 제1항 또는 제4항의 광 경화형 하드 코팅 조성물이 코팅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름.
  8. 기저 플라스틱의 적어도 일 면에 제1항 또는 제4항의 광 경화형 하드 코팅 조성물이 코팅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출물.
  9. 무가교, 화학가교, 전자선가교 형태인 폴리올레핀 폼 또는 폴리우레탄 폼의 적어도 일 면에 제1항 또는 제4항의 광 경화형 하드 코팅 조성물이 코팅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글래스용 적층 지지체.
  10. 제6항의 시트를 절곡 또는 진공성형하여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부품용 트레이.
  11. 제6항의 시트를 무가교, 화학가교, 전자선가교 형태인 폴리올레핀 폼 또는 폴리우레탄 폼의 적어도 일 면에 합지하여 제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글래스용 적층 지지체.
  12. 제6항의 시트를 이용하여 제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편광판 보호 필름.
KR1020090049019A 2009-06-03 2009-06-03 광 경화형 하드 코팅 조성물, 이를 이용한 필름, 시트, 전자부품용 트레이 및 디스플레이 글래스용 적층 지지체 KR10109980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49019A KR101099805B1 (ko) 2009-06-03 2009-06-03 광 경화형 하드 코팅 조성물, 이를 이용한 필름, 시트, 전자부품용 트레이 및 디스플레이 글래스용 적층 지지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49019A KR101099805B1 (ko) 2009-06-03 2009-06-03 광 경화형 하드 코팅 조성물, 이를 이용한 필름, 시트, 전자부품용 트레이 및 디스플레이 글래스용 적층 지지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30367A KR20100130367A (ko) 2010-12-13
KR101099805B1 true KR101099805B1 (ko) 2011-12-27

Family

ID=435066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49019A KR101099805B1 (ko) 2009-06-03 2009-06-03 광 경화형 하드 코팅 조성물, 이를 이용한 필름, 시트, 전자부품용 트레이 및 디스플레이 글래스용 적층 지지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99805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34024B1 (ko) * 2011-12-28 2013-12-02 웅진케미칼 주식회사 고경도 하드코팅 필름 제조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고경도 하드코팅 필름
KR20200014678A (ko) * 2018-08-01 2020-02-11 (주)고려소재연구소 고성능 대전방지성 광경화형 수지 조성물, 이를 이용한 무정전 판넬 및 이들의 제조방법
KR102101447B1 (ko) * 2019-05-16 2020-04-16 신지원 제전성 투명 그레이팅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79491B1 (ko) 2012-05-31 2014-04-01 주식회사 엘지화학 하드코팅 필름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436617B1 (ko) 2012-05-31 2014-09-02 주식회사 엘지화학 하드코팅 필름
KR101501686B1 (ko) 2012-05-31 2015-03-11 주식회사 엘지화학 하드코팅 필름
KR101362475B1 (ko) * 2012-08-30 2014-02-14 충북대학교 산학협력단 탄소나노튜브를 이용한 하이브리드 내오존성 코팅제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1443845B1 (ko) 2012-09-03 2014-09-23 주식회사 엘지화학 하드코팅 필름을 포함하는 편광판
KR101442396B1 (ko) * 2013-02-27 2014-09-17 세메스 주식회사 반도체 소자들을 지지하기 위한 테이블 조립체
KR101447280B1 (ko) * 2013-05-29 2014-10-08 대흥화학공업주식회사 단열성을 지닌 태양열차단 코팅제
KR101726407B1 (ko) * 2014-02-21 2017-04-13 주식회사 엘지화학 편광판, 이를 포함하는 터치 패널, 및 디스플레이 장치
JP6398639B2 (ja) * 2014-11-14 2018-10-03 大日本印刷株式会社 位相差フィルム
KR102362884B1 (ko) 2015-04-08 2022-02-14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커버 윈도우, 커버 윈도우의 제조 방법 및 커버 윈도우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KR101596647B1 (ko) * 2015-10-06 2016-02-23 (주)제욱 표시 소자 기판용 지지체 및 이의 제조방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201444A (ja) 2001-10-09 2003-07-18 Mitsubishi Chemicals Corp 活性エネルギー線硬化性の帯電防止性コーティング組成物
KR100650152B1 (ko) * 2005-11-02 2006-11-27 나노캠텍주식회사 광경화형 대전방지 하드코팅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대전방지 시트 및 전자부품용 대전방지 트레이
KR100869161B1 (ko) * 2007-07-13 2008-11-19 한국전기연구원 탄소나노튜브를 함유하는 투명전도성 필름용 바인더 조성물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201444A (ja) 2001-10-09 2003-07-18 Mitsubishi Chemicals Corp 活性エネルギー線硬化性の帯電防止性コーティング組成物
KR100650152B1 (ko) * 2005-11-02 2006-11-27 나노캠텍주식회사 광경화형 대전방지 하드코팅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대전방지 시트 및 전자부품용 대전방지 트레이
KR100869161B1 (ko) * 2007-07-13 2008-11-19 한국전기연구원 탄소나노튜브를 함유하는 투명전도성 필름용 바인더 조성물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34024B1 (ko) * 2011-12-28 2013-12-02 웅진케미칼 주식회사 고경도 하드코팅 필름 제조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고경도 하드코팅 필름
KR20200014678A (ko) * 2018-08-01 2020-02-11 (주)고려소재연구소 고성능 대전방지성 광경화형 수지 조성물, 이를 이용한 무정전 판넬 및 이들의 제조방법
KR102112598B1 (ko) 2018-08-01 2020-06-02 (주)고려소재연구소 고성능 대전방지성 광경화형 수지 조성물, 이를 이용한 무정전 판넬 및 이들의 제조방법
KR102101447B1 (ko) * 2019-05-16 2020-04-16 신지원 제전성 투명 그레이팅
WO2020231233A1 (ko) * 2019-05-16 2020-11-19 신지원 제전성 투명 그레이팅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30367A (ko) 2010-12-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99805B1 (ko) 광 경화형 하드 코팅 조성물, 이를 이용한 필름, 시트, 전자부품용 트레이 및 디스플레이 글래스용 적층 지지체
KR101415840B1 (ko) 하드코팅 필름
TWI388426B (zh) 高耐磨損性以及高透明性之水溶性光硬化型抗靜電組成物以及塗佈此之傳導性磚材
CN103732391B (zh) 透明层叠膜
KR100661806B1 (ko) 대전방지 폴리에스테르필름
KR101590147B1 (ko) 대전방지 폼 간지
KR101737156B1 (ko) 투명 도전체 및 이를 포함하는 장치
CN104969305B (zh) 透明层叠膜、透明导电性膜和气体阻隔性层叠膜
JP2013173871A (ja) 組成物、帯電防止性コート剤及び帯電防止性積層体
KR100650152B1 (ko) 광경화형 대전방지 하드코팅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대전방지 시트 및 전자부품용 대전방지 트레이
KR101028463B1 (ko) 광 경화형 유기-무기 하이브리드 하드코팅용 조성물
KR101151243B1 (ko) 음료 및 식품 용기 적층용 대전방지 시트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1176709B1 (ko) 디스플레이 글래스용 대전방지 수평 적층 지지체
CN103552334A (zh) 一种防静电垫、托盘及其制造方法
KR101784002B1 (ko) 하드코팅 조성물, 이를 이용한 하드코팅 필름, 편광판 및 표시 장치
KR20100133075A (ko) 대전방지 코팅액, 이를 이용한 대전방지 시트,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대전방지 제품
KR102112598B1 (ko) 고성능 대전방지성 광경화형 수지 조성물, 이를 이용한 무정전 판넬 및 이들의 제조방법
KR20070105869A (ko) 대전방지성 고경도 하드코팅 필름 및 그 제조방법
KR100662179B1 (ko) 유기-무기 하이브리드 하드 코팅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기재의 코팅 방법
JP6248471B2 (ja) 透明積層フィルム及び透明基板
KR101908129B1 (ko) 대전방지 Al 간지
KR102238878B1 (ko) 배리어 필름
JP5141581B2 (ja) 組成物、帯電防止性コート剤及び帯電防止性積層体
KR101656103B1 (ko) 반사 방지 필름, 이를 포함하는 편광판 및 표시 장치
JP2005313450A (ja) 反射防止フィル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1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2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0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04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