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99006B1 - 슬라이딩 개폐식 전선캡 - Google Patents

슬라이딩 개폐식 전선캡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99006B1
KR101099006B1 KR1020110098968A KR20110098968A KR101099006B1 KR 101099006 B1 KR101099006 B1 KR 101099006B1 KR 1020110098968 A KR1020110098968 A KR 1020110098968A KR 20110098968 A KR20110098968 A KR 20110098968A KR 101099006 B1 KR101099006 B1 KR 10109900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sliding
cover member
wire cap
wi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989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노재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코아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코아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코아스
Priority to KR102011009896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9900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9900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9900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22Installations of cables or lines through walls, floors or ceilings, e.g. into building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21/00Tables or desks for office equipment, e.g. typewriters, keyboards
    • A47B21/06Tables or desks for office equipment, e.g. typewriters, keyboards characterised by means for holding, fastening or concealing cabl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02Details
    • H02G3/08Distribution boxes; Connection or junction boxes
    • H02G3/081Bases, casings or cover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02Details
    • H02G3/08Distribution boxes; Connection or junction boxes
    • H02G3/14Fastening of cover or lid to box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7/00Furniture or accessories for furniture,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A47B2097/003Cable holders; cable organis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Tables And Desks Characterized By Structural Shape (AREA)

Abstract

슬라이딩 개폐식 전선캡에 대한 발명이 개시된다. 개시된 슬라이딩 개폐식 전선캡는: 책상 상판의 설치공에 장착되는 프레임과, 프레임으로부터 전선이 인출되는 일부공간을 제외한 나머지를 개폐할 수 있는 커버부재 및 커버부재가 프레임에서 슬라이딩되어 개폐범위를 확장할 수 있는 슬라이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슬라이딩 개폐식 전선캡{SLIDING OPENING AND SHUTTING TYPE CAP FOR WIRING}
본 발명은 슬라이딩 개폐식 전선캡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책상의 상부로 인출되는 전선이 정렬될 수 있고, 설치가 용이하며, 파손을 방지할 수 있는 슬라이딩 개폐식 전선캡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는 일반 사무실에 업무용 컴퓨터와 그 주변기기들이 널리 보급되어 있고 이러한 기기들이 책상이나 그 주변에 배치되어 사용되고 있기 때문에, 책상의 주위에는 기기에 전원을 공급하거나 기기 상호간의 결선을 위한 전선들이 배선되고 있다.
이러한 기기들에 연결되는 전선은 책상 위나 사무실 바닥에 늘어진 상태로 복잡하게 얽혀 있어 사무환경에 커다란 지장을 주고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책상에는 전선 배선처리를 위한 전선캡이 장착되고 있다.
한편, 국내 등록실용신안 제20-0240901호(등록일:2001.07.20)에는 "책상용 전선정렬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종래의 전선캡은 케이스를 덮는 덮개부재가 상부로 회동되는 구조에 의해 과격한 회동에 의해 힌지축이 부러져 파손되는 문제점이 있으며, 케이스의 착탈이 용이하지 못하며, 책상 상판의 두께에 따른 호환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이를 개선할 필요성이 요청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필요성에 의해 창출된 것으로서, 책상의 상부로 인출되는 전선들을 가지런히 정돈된 상태에서 안정적으로 지지될 수 있도록 함은 물론, 책상 상판의 다양한 규격에 적용될 수 있고, 파손을 방지할 수 있는 슬라이딩 개폐식 전선캡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슬라이딩 개폐식 전선캡은: 책상 상판의 설치공에 장착되는 프레임과, 프레임으로부터 전선이 인출되는 일부공간을 제외한 나머지를 개폐할 수 있는 커버부재 및 커버부재가 프레임에서 슬라이딩되어 개폐범위를 확장할 수 있는 슬라이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프레임은 내면에 전선을 가지런히 정렬하여 고정할 수 있는 정렬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슬라이딩부는 커버부재의 양측면에 형성되는 가이드홈부 및 가이드홈부에 삽입되도록 프레임의 양측면에 형성되는 가이드돌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가이드홈부와 가이드돌기부는 각각 상하로 이격되는 한 쌍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프레임의 장착시 상판의 두께에 대응되어 고정되는 고정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고정부는 프레임의 상단부 둘레면에 형성되어 상판의 상면에 접하는 지지플랜지 및 프레임의 양측면에 결합되고, 프레임이 설치공의 상부로 이탈되지 않도록 상판의 전면에 접하는 지지편이 형성되는 이탈방지블럭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이탈방지블럭은 상기 프레임의 양측면에서 위치가 가변되도록 가변부에 의해 결합되고, 가변부는 프레임의 양측면에 각각 형성되고, 이탈방지블럭이 슬라이딩 삽입되는 수용홈부와, 수용홈부의 내측면에 형성되는 제1기어부 및 제1기어부와 치합되도록 이탈방지블럭에 형성되는 제2기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슬라이딩 개폐식 전선캡은 책상의 상부로 인출되는 전선들을 가지런히 정리할 수 있어 사무실의 미관이 향상되며, 전선의 유동 방지를 통해 전선을 보다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는 효과를 지닌다.
또한, 본 발명은 프레임의 상부를 커버하는 커버가 슬라이딩방식에 의해 개폐되므로 파손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지닌다.
또한, 본 발명은 프레임의 고정시 책상 상판의 두께에 대응되도록 가변되는 고정부에 의해 다양한 규격의 상판에 적용 가능하며, 설치가 용이한 효과를 지닌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딩 개폐식 전선캡의 정면 분해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딩 개폐식 전선캡의 배면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딩 개폐식 전선캡의 결합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딩 개폐식 전선캡의 커버부재가 열린상태를 보인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딩 개폐식 전선캡의 고정을 보인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딩 개폐식 전선캡의 커버부재 이동을 보인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딩 개폐식 전선캡의 조립을 보인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딩 개폐식 전선캡의 사용상태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슬라이딩 개폐식 전선캡의 일 실시예를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딩 개폐식 전선캡의 정면 분해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딩 개폐식 전선캡의 배면 분해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딩 개폐식 전선캡의 결합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딩 개폐식 전선캡의 커버부재가 열린상태를 보인 도면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딩 개폐식 전선캡의 고정을 보인 단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딩 개폐식 전선캡의 커버부재 이동을 보인 단면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딩 개폐식 전선캡의 조립을 보인 도면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딩 개폐식 전선캡의 사용상태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딩 개폐식 전선캡(100)은 프레임(110), 커버부재(120) 및 슬라이딩부(130)를 포함한다.
프레임(110)은 책상 상부의 사무기기로 인출되는 전선이 통과할 수 있도록 상부와 하부가 개방된 'ㄷ'자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이는 후술되는 커버부재(120)의 슬라이딩 결합을 위함이다.
프레임(110)은 책상 상판의 설치공(h)에 장착된다. 그리고, 프레임(110)의 내면에는 전선을 가지런히 정렬하여 고정할 수 있도록 정렬부(115)가 구비된다.
정렬부(115)는 프레임(110)의 전측 내측면에 형성되며, 복수개의 정렬편(116)이 일정 간격 이격되어 돌출 형성되고, 단부에는 삽입된 전선의 이탈을 방지하는 걸림턱(117)이 형성된다.
그리고, 커버부재(120)는 프레임(110)에 장착되며, 프레임(110)으로부터 전선이 인출되는 일부공간을 제외한 나머지를 개폐한다.
프레임(110)과 커버부재(120)의 결합은 후술되는 슬라이딩부(130)에 의해 슬라이딩 결합된다.
커버부재(120)의 전측에는 전선이 통과할 수 있도록 개구홈(123)이 형성되고, 개구홈(123)의 위치는 커버부재(120)의 닫힘시 정렬부(115)와 동일 선상에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커버부재(120)는 프레임(110)의 개방된 부위를 덮는 커버판(122)과, 커버판(122)의 하부에 절곡 형성되어 커버판(122)의 강도를 보강하는 보강부(124)를 포함한다.
보강부(124)에는 복수개의 보강리브(125)가 형성되어 지지강성을 향상시킨다.
또한, 보강부(124)는 커버판(122)의 하부에 'ㄴ'자 형상으로 절곡되어 커버부재(120)의 슬라이딩 이동시 상판의 두께를 수용할 수 있다.
슬라이딩부(130)는 커버부재(120)가 프레임(110)에서 슬라이딩되게 하여 개폐범위를 확장시킨다.
슬라이딩부(130)는 커버부재의 양측면에 형성되는 가이드홈부(132) 및 가이드홈부(132)에 삽입되도록 프레임(110)의 양측면에 형성되는 가이드돌기부(134)를 포함한다.
가이드홈부(132)와 가이드돌기부(134)는 각각 상하로 이격되는 한 쌍으로 형성된다. 즉 도 2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가이드홈부(132)는 커버부재(120)의 양측면 상하부에 각각 형성되고, 가이드돌기부(134)는 프레임(110)의 양내측면 상하부에 각각 형성된다.
가이드홈부(132)와 가이드돌기부(134)는 위치가 상호 바뀌어도 무방하며, 한 쌍으로 이루어짐에 따라 커버부재(120)의 슬라이딩 이동시 유동없이 안정적으로 이동될 수 있다.
그리고, 프레임(110)은 장착시 고정부(140)에 의해 상판의 두께에 대응되어 고정될 수 있다.
고정부(140)는 프레임(110)의 상단부 둘레에 형성되어 상판의 상면에 접하는 지지플랜지(142) 및 프레임(110)의 양측면에 결합되고, 프레임(110)이 설치공(h)의 상부로 이탈되지 않도록 상판의 전면에 접하는 지지편(147)이 형성되는 이탈방지블럭(145)을 포함한다.
그리고, 이탈방지블럭(145)은 프레임(110)의 양측면에서 위치가 가변되도록 가변부(150)에 의해 결합된다. 가변부(150)는 프레임(110)의 양측면에 각각 형성되고, 이탈방지블럭(145)이 슬라이딩 삽입되는 수용홈부(152)와, 수용홈부(152)의 내측면에 형성되는 제1기어부(154) 및 제1기어부(154)와 치합되도록 이탈방지블럭(145)에 형성되는 제2기어부(156)를 포함한다.
수용홈부(152)는 하부가 개방되어 이탈방지블럭(145)은 하측에서 상측으로 삽입되고, 제1기어부(154)와 제2기어부(156)의 치합에 의해 위치가 고정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딩 개폐식 전선캡의 작용 및 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슬라이딩 개폐식 전선캡(100)의 설치를 살펴보면, 도 1 또는 도 2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프레임(110)과 커버부재(120)를 결합한다.
프레임(110)과 커버부재(120)의 결합은 'ㄷ'자 형상으로 이루어진 프레임(110)의 후측에서 전측방향으로 커버부재(120)를 밀어 삽입시킨다.
프레임(110)의 양 내측면 상하부에는 가이드돌기부(134)가 형성되고, 커버부재(120)의 양 외측면에는 가이드돌기부(134)에 대응되는 가이드홈부(132)가 형성되어 커버부재(120)는 슬라이딩 삽입되어 결합될 수 있다.
그리고, 도 7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커버부재(120)가 결합된 프레임(110)은 책상 상판의 설치공(h)에 끼워져 결합된다. 이후, 이탈방지블럭(145)을 프레임(110)에 결합하여 프레임(110)을 고정한다.
설치공(h)에 끼워지는 프레임(110)의 상단부 둘레에는 지지플랜지(142)가 형성되어 프레임(110)이 설치공(h)의 하방으로 이탈되는 것이 방지되며, 프레임(110)의 양 외측면에 형성되는 수용홈부(152)에 이탈방지블럭(145)이 슬라이딩 결합되어 이탈방지블럭(145)의 지지편(147)이 상판의 저면에 접하게 되므로 프레임(110)은 고정된다.
이때, 도 5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수용홈부(152)에 형성되는 제1기어부(154)가 이탈방지블럭(145)의 제2기어부(156)와 치합되므로 상호 결합되며, 이탈방지블럭(145)은 제1기어부(154)와 제2기어부(156)에 의해 위치가 조절될 수 있어 상판의 두께에 대응되어 고정될 수 있다.
이후, 커버부재(120)의 슬라이딩 작동을 설명한다. 도 6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책상 상판의 하부에서 상측으로 인출되는 전선의 선단에는 부피가 큰 커넥터가 마련되므로 인출공간을 확보하기 위해 커버부재(120)를 프레임(110)으로부터 슬라이딩 이동시켜 인출공간을 확보한다.
즉, 가이드돌기부(134)와 가이드홈부(132)에 의해 커버부재(120)를 후측으로 이동시키게 되는데, 가이드돌기부(134)와 가이드홈부(132)는 상하 이격되는 한 쌍으로 이루어져 유동없이 안정적으로 이동될 수 있다.
그리고, 커버부재(120)는 프레임(110)의 상부를 커버하는 커버판(122)과 커버판(122)을 보강하는 보강부(124)로 이루어지는데, 보강부(124)에 의해 커버판(122)의 강도를 보강할 수 있으며, 보강부(124)가 'ㄴ'자 형상으로 절곡 형성되어 커버부재(120)의 이동공간을 확보할 수 있다.
이처럼 커버부재(120)가 프레임(110)을 개방하게 되면, 도 8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전선이 상판의 상측으로 인출되고, 전자기기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그리고, 프레임(110)의 내측면에 형성되는 정렬부(115)에 고정되어 전선은 가지런히 정렬될 수 있다.
이후, 커버부재(120)는 전측으로 슬라이딩 이동되어 개방된 프레임(110)을 커버하게 된다. 이때, 커버부재(120)의 전측에는 전선이 통과할 수 있는 개구홈(123)이 형성되어 커버부재(120)는 전선과 간섭되지 않는다.
상기한 본 발명에 따르면, 책상의 상부로 인출되는 전선들을 가지런히 정돈된 상태에서 안정적으로 지지하고, 그 설치가 용이하며, 책상 상판의 다양한 규격에 적용될 수 있어 호환성이 향상되는 효과를 지닌다.
또한, 커버부재가 슬라이딩 이동되어 프레임을 개방할 수 있어 파손을 방지할 수 있어 제품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00 : 슬라이딩 개폐식 전선캡 110 : 프레임
115 : 정렬부 116 : 정렬편
117 : 걸림턱 120 : 커버부재
122 : 커버판 123 : 개구홈
124 : 보강부 125 : 보강리브
130 : 슬라이딩부 132 : 가이드홈부
134 : 가이드돌기부 140 : 고정부
142 : 지지플랜지 145 : 이탈방지블럭
147 : 지지편 150 : 가변부
152 : 수용홈부 154 : 제1기어부
156 : 제2기어부

Claims (7)

  1. 책상 상판의 설치공에 장착되는 프레임;
    상기 프레임으로부터 전선이 인출되는 일부공간을 제외한 나머지를 개폐할 수 있는 커버부재; 및
    상기 커버부재가 상기 프레임에서 슬라이딩되어 개폐범위를 확장할 수 있는 슬라이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딩 개폐식 전선캡.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은 내면에 전선을 가지런히 정렬하여 고정할 수 있는 정렬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딩 개폐식 전선캡.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딩부는 상기 커버부재의 양측면에 형성되는 가이드홈부; 및
    상기 가이드홈부에 삽입되도록 상기 프레임의 양측면에 형성되는 가이드돌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딩 개폐식 전선캡.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홈부와 상기 가이드돌기부는 각각 상하로 이격되는 한 쌍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딩 개폐식 전선캡.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의 장착시 상기 상판의 두께에 대응되어 고정되는 고정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딩 개폐식 전선캡.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는 상기 프레임의 상단부 둘레면에 형성되어 상기 상판의 상면에 접하는 지지플랜지; 및
    상기 프레임의 양측면에 결합되고, 상기 프레임이 상기 설치공의 상부로 이탈되지 않도록 상기 상판의 전면에 접하는 지지편이 형성되는 이탈방지블럭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딩 개폐식 전선캡.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이탈방지블럭은 상기 프레임의 양측면에서 위치가 가변되도록 가변부에 의해 결합되고;
    상기 가변부는 상기 프레임의 양측면에 각각 형성되고, 상기 이탈방지블럭이 슬라이딩 삽입되는 수용홈부;
    상기 수용홈부의 내측면에 형성되는 제1기어부; 및
    상기 제1기어부와 치합되도록 상기 이탈방지블럭에 형성되는 제2기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딩 개폐식 전선캡.
KR1020110098968A 2011-09-29 2011-09-29 슬라이딩 개폐식 전선캡 KR10109900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98968A KR101099006B1 (ko) 2011-09-29 2011-09-29 슬라이딩 개폐식 전선캡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98968A KR101099006B1 (ko) 2011-09-29 2011-09-29 슬라이딩 개폐식 전선캡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99006B1 true KR101099006B1 (ko) 2011-12-28

Family

ID=455070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98968A KR101099006B1 (ko) 2011-09-29 2011-09-29 슬라이딩 개폐식 전선캡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99006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41959B1 (ko) * 2012-06-21 2013-03-11 주식회사 우드메탈 책상용 전선캡
KR101518493B1 (ko) * 2014-11-06 2015-05-11 장근대 전선캡
KR101897125B1 (ko) * 2018-04-12 2018-09-11 (주)선명테크 거치 가압형 케이블 코드커버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219019U (ko) 1985-07-18 1987-02-04
JPH10117419A (ja) 1996-10-08 1998-05-06 Kokuyo Co Ltd 配線装置
JPH11178176A (ja) 1997-12-05 1999-07-02 Kokuyo Co Ltd 配線装置
JP2002138610A (ja) 2000-10-30 2002-05-17 Comany Inc 配線ケーブルの取り入れ基板及び基板を取付けたローパーティション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219019U (ko) 1985-07-18 1987-02-04
JPH10117419A (ja) 1996-10-08 1998-05-06 Kokuyo Co Ltd 配線装置
JPH11178176A (ja) 1997-12-05 1999-07-02 Kokuyo Co Ltd 配線装置
JP2002138610A (ja) 2000-10-30 2002-05-17 Comany Inc 配線ケーブルの取り入れ基板及び基板を取付けたローパーティション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41959B1 (ko) * 2012-06-21 2013-03-11 주식회사 우드메탈 책상용 전선캡
KR101518493B1 (ko) * 2014-11-06 2015-05-11 장근대 전선캡
KR101897125B1 (ko) * 2018-04-12 2018-09-11 (주)선명테크 거치 가압형 케이블 코드커버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806765B1 (en) Reduced profile pop-up electrical receptacle assembly
KR101116862B1 (ko) 양방향 회동장치 및 이를 구비한 가구
KR101099006B1 (ko) 슬라이딩 개폐식 전선캡
KR200440437Y1 (ko) 책상 매립형 멀티콘센트
CN103534543A (zh) 用于在家具本体的侧壁上的内置冰箱的固定组件
CN105299399A (zh) Led支架、led屏模块及led屏幕
US20190364681A1 (en) Panel door for a network enclosure box
KR101934289B1 (ko) 개폐식 선반 고정클램프
WO2019137255A1 (zh) 一种洗衣机
KR100924603B1 (ko) 책상 매립형 이중 콘센트
US20150048227A1 (en) Rail bracket securing structure
KR200445612Y1 (ko) 전선캡
JP5937046B2 (ja) 係止手段を備えたコネクタ装置及びこれに用いるコネクタ
US10274204B2 (en) Food cooking oven
CN109965709B (zh) 一种家用电器的门体结构
KR101518493B1 (ko) 전선캡
KR102005774B1 (ko) 슬라이드형 덮개가 구비된 바닥 매설형 시스템 박스
US7820929B2 (en) Electrical interface shield and method
CN205226778U (zh) Led屏模块支架、led屏模块及led屏幕
CN209786531U (zh) 一种后装替换式家居电箱
KR101382698B1 (ko) 자동 개폐 매립형 멀티 콘센트장치
CN110874120B (zh) 机箱
KR20170001284U (ko) 통합 단자함 커버
CN104936393A (zh) 电子装置
KR20150091560A (ko) 상하슬라이딩 인출캡이 구비된 시스템 박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1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1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05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07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