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41959B1 - 책상용 전선캡 - Google Patents

책상용 전선캡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41959B1
KR101241959B1 KR1020120066928A KR20120066928A KR101241959B1 KR 101241959 B1 KR101241959 B1 KR 101241959B1 KR 1020120066928 A KR1020120066928 A KR 1020120066928A KR 20120066928 A KR20120066928 A KR 20120066928A KR 101241959 B1 KR101241959 B1 KR 10124195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pening
desk
closing cover
cap
wi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669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병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우드메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우드메탈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우드메탈
Priority to KR102012006692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4195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4195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4195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13/00Details of tables or desks
    • A47B13/08Table tops; Rims therefor
    • A47B13/14Detachable serving plat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21/00Tables or desks for office equipment, e.g. typewriters, keyboards
    • A47B21/06Tables or desks for office equipment, e.g. typewriters, keyboards characterised by means for holding, fastening or concealing cabl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2200/00General construction of tables or desks
    • A47B2200/008Tables or desks having means for applying electronic or electric devices

Landscapes

  • Tables And Desks Characterized By Structural Shap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책상용 전선캡에 관한 것으로, 절개홈을 형성한 책상 상판에 결합되며 전선이 통과하도록 일정 크기의 개구부를 형성한 캡본체; 상기 캡본체에 설치되며, 전선의 수에 따라 상기 개구부의 개폐넓이를 단속하는 개폐커버; 상기 개폐커버를 전후방향에 대하여 탄력적으로 슬라이드 이동가능하게 하는 스프링; 및 상기 캡본체를 책상 상판에 고정시키는 체결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따라, 전선캡의 개구부가 불필요하게 노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책상의 외관상 이미를 한층 높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책상 위에 놓여지는 다수의 전자기기에 각각 연결된 전선들을 일방향으로 깔끔하게 배선정리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책상용 전선캡{ELECTRIC WIRE CAP FOR DESK}
본 발명은 책상용 전선캡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책상 위에 놓여지는 다수의 전자기기에 각각 연결된 전선들을 일방향으로 깔끔하게 배선정리할 수 있는 책상용 전선캡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사무실이나 가정에서 사용하는 책상은, 그 상면이나 하측에 컴퓨터나 프린트, 전기스탠드와 같은 각종 전기,전자제품들을 배치하여 사용하고 있는데, 이들 각종 전기, 전자제품들은 거의 모두가 책상의 후방으로 전선을 길게 늘어뜨려 놓은 상태로 배선하였기 때문에 외관상 매우 좋지 못하였을 뿐만 아니라, 사람들의 왕래시 전선이 걸리적 거리게 되는 등 상당히 번잡스럽고 컴퓨터등의 사용중에 플러그가 빠지면서 전원이 일시에 차단되어 귀중한 자료를 잃거나 재작성 하여야 하는 등의 여러가지 문제점이 있었다.
최근에는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방안으로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책상(10) 모서리 부분에 구멍(11)을 형성하고, 상기 구멍(11)을 개폐가능하게 단속하는 전선캡(20)을 설치하여 전선을 한곳으로 모으는 책상용 전선캡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종래기술에 따른 책상용 전선캡은 다수의 전자기기로부터 연결된 다수의 전선들을 한곳에 묶음 상태로 모아둘 뿐, 배선정리가 깔끔하게 이루어지지 못하는 단점이 있었다.
또한, 책상의 모서리 부분에 형성된 구멍(11)은 제한적인 직경 크기로 형성됨에 따라, 그에 따른 전선을 수용할 수 있는 갯 수도 제한적일 수밖에 없는 구조적인 단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실용신안등록 제0267081호 : 전선캡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발명의 목적은 책상 위에 놓여지는 다수의 전자기기에 각각 연결된 전선들을 일방향으로 깔끔하게 배선정리 할 수 있는 책상용 전선캡을 제공하는데 있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책상용 전선캡은,
절개홈을 형성한 책상 상판에 결합되며 전선이 통과하도록 일정 크기의 개구부를 형성한 캡본체;
상기 캡본체에 설치되며, 전선의 수에 따라 상기 개구부의 개폐넓이를 단속하는 개폐커버;
상기 개폐커버를 전후방향에 대하여 탄력적으로 슬라이드 이동가능하게 하는 스프링; 및
상기 캡본체를 책상 상판에 고정시키는 체결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캡본체의 양측에는 상기 개폐커버가 결합되어 직선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가능하게 하는 슬라이드홈 또는 슬라이드 구멍이 형성되고, 상기 개폐커버의 양측에는 상기 슬라이드홈 또는 슬라이드 구멍에 대응하여 결합되는 결합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슬라이드홈 또는 슬라이드 구멍의 일단에는 상기 슬라이드홈 또는 슬라이드 구멍과 연통하여 개폐커버가 착탈결합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안내하는 착탈용 가이드홈 또는 착탈용 가이드 구멍이 형성되며,
상기 개폐커버는 캡본체의 개구부 내에 배치되는 다수의 전선들을 일방향으로 나란하게 정렬시키는 정렬플레이트를 형성하고, 상기 정렬플레이트는 상기 전선들을 개구부 바깥쪽으로 미는 가압력을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또한, 상기 정렬플레이트에는 전선을 고정시키기 위한 전선 수용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또한, 상기 스프링은 일단이 상기 개폐커버의 결합돌기에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캡본체에 형성된 걸림돌기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상기 절개홈은 책상 후단부 길이방향 중앙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전술한 바와 같은 구성의 본 발명에 따르면, 캡본체의 개구부의 개폐넓이를 단속할 수 있는 개폐커버와 상기 개폐커버에 형성되는 정렬플레이트를 구성함으로써, 전선캡의 개구부가 불필요하게 노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책상의 외관상 이미를 한층 높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책상 위에 놓여지는 다수의 전자기기에 각각 연결된 전선들을 일방향으로 깔끔하게 배선정리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책상에 적용된 책상용 전선캡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책상에 적용된 책상용 전선캡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책상용 전선캡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4는 도 2의 책상용 전선캡을 저면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책상용 전선캡의 작용을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6은 도 2의 책상용 전선캡의 개폐커버에 대한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 2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책상용 전선캡은 절개홈(11)을 형성한 책상 상판(10)에 결합되며 전선이 통과하도록 일정 크기의 개구부(101)를 형성한 캡본체(100)와, 상기 캡본체(100)에 설치되며, 전선의 수에 따라 상기 개구부(101)의 개폐넓이를 단속하는 개폐커버(200)와, 상기 개폐커버(200)를 전후방향에 대하여 탄력적으로 슬라이드 이동가능하게 하는 스프링(300)과, 상기 캡본체(100)를 책상 상판(10)에 고정시키는 체결수단(40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먼저, 상기 책상 상판(10)에는 컴퓨터 또는 각종 전자기기에 연결된 각각의 전선들을 한 곳에 모인 상태로 수용할 수 있도록 일정 크기의 절개홈(11)이 형성된다.
즉, 상기 절개홈(11)은 책상 상판(10)의 테두리면 일부분이 내측으로 소정 깊이 함몰된 구조이다.
여기서, 상기 절개홈(11)은 책상 상판(10) 후단부 길이방향 중앙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캡본체(100)는 절개홈(11)을 형성한 책상 상판(10)에 결합되는 것으로, 일측에 개구부(101)를 형성한 육면체의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캡본체(100)의 상면과 하면에는 상기 책상 상판(10)의 절개홈(11) 테두리 둘레를 따라 감싸는 형태로 결합되는 결합돌출부(110)가 형성된다.
즉, 상기 결합돌출부(110)는 캡본체(100)와 절개홈(11) 테두리면 사이에 틈새가 발생하지 않도록 면밀하게 밀착고정시키는 역할을 수행한다.
그리고, 상기 캡본체(100)의 하면에 형성된 결합돌출부(110)에는 수평으로 연장되는 체결 플랜지(111)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체결 플랜지(111)에는 후술할 체결수단(400)이 결합되는 체결구멍(111a)이 형성된다.
아울러, 상기 캡본체(100)의 양측에는 후술할 개폐커버(200)가 결합되는 슬라이드홈(120) 또는 슬라이드구멍이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슬라이드홈(120) 또는 슬라이드구멍은 캡본체(100)를 측면에서 바라볼 때, 상부와 하부에 각각 형성된 2개의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한편, 상기 개폐커버(200)는 상기 캡본체(100)의 개구부(101)에 설치되는 것으로, 전선의 수에 따라 상기 개구부(101)의 개폐넓이를 단속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본 발명에 따른 개폐커버(200)는 상기 캡본체(100)의 개구부(101)로 출입하는 전선의 개수에 따라 상기 개구부의 넓이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예컨대, 상기 캡본체(100)의 개구부(101)로 수용된 전선 수가 작을 경우, 개구부의(101) 개방된 넓이를 줄여 외관상 보여지는 책상 상판(10)의 이미지를 한층 향상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특히, 상기 개폐커버(200)에는 다수의 전선을 일방향으로 나란하게 정렬시키는 정렬플레이트(210)가 형성된다.
즉, 상기 정렬플레이트(210)는 다수의 전선을 길이방향을 따라 면접하는 상태로 가지런히 일방향으로 정렬시킨다.
그리고, 상기 정렬플레이트(210)는 상기 전선들을 개구부(101) 바깥쪽으로 미는 가압력을 전달한다.
또한,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정렬플레이트(210)에는 전선을 고정시키기 위한 전선 수용홈(211)을 추가적으로 형성할 수 있다.
즉, 상기 전선 수용홈(211)은 각각의 전선을 끼움식으로 고정시켜 유동현상 없이 보다 견고하게 고정시키는 역할을 수행하다.
아울러, 상기 개폐커버(200)의 양측에는 상기 슬라이드홈(120) 또는 슬라이드구멍에 대응하여 결합되는 결합돌기(220)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슬라이드홈(120) 또는 슬라이드구멍의 일단에는 상기 슬라이드홈(120) 또는 슬라이드구멍과 연통하여 개폐커버(200)가 용이하게 착탈결합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안내하는 착탈용 가이드홈(130) 또는 착탈용 가이드 구멍이 형성된다.
이는, 상기 개폐커버(200)를 캡본체(200)로부터 찰탈결합시 별도의 결합도구를 사용하지 않고 간편한 조립식 구성으로 착탈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한편, 상기 스프링(300)은 상기 개폐커버(200)를 전후방향에 대하여 탄력적으로 슬라이드 이동가능하게 하는 것으로, 이를 위해 상기 스프링(300)은 일단이 상기 개폐커버(200)의 결합돌기(220)에 연결되고, 타단은 캡본체(100)에 형성된 걸림돌기(140)에 연결된다.
따라서, 상기 캡본체(100)의 개구부(101) 내로 전선이 인입하지 않은 경우에는 스프링(300)에 의해 폐쇄된 상태를 유지하며 상기 개구부(101)에 전선이 인입되면 상기 개폐커버(200)가 전방향으로 이동하는 과정에서 상기 스프링(300)을 인장시키게 된다. 이후 상기 스프링(300)을 인장시키던 전선을 제거하면 스프링(300)은 원래의 위치로 탄성 복원되는 과정에서 상기 개폐커버(200)와 함께 이동하여 개구부(101)를 자연스럽게 닫는다.
아울러, 상기 체결수단(400)은 나사, 볼트, 리벳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진 구성으로 상기 캡본체(100)를 책상 상판(10)에 견고히 고정시키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와 같은 구성의 본 발명에 따르면, 캡본체(100)의 개구부(101)의 개폐넓이를 단속할 수 있는 개폐커버(200)와 상기 개폐커버(200)에 형성되는 정렬플레이트(210)를 구성함으로써, 전선캡의 개구부(101)가 불필요하게 노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책상의 외관상 이미를 한층 높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책상 위에 놓여지는 다수의 전자기기에 각각 연결된 전선들을 일방향으로 깔끔하게 배선정리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10 : 책상 상판
11 : 절개홈
100 : 캡본체
101 : 개구부
110 : 결합돌출부
111 : 체결 플랜지
120 : 슬라이드홈
130 : 착탈용 가이드홈
200 : 개폐커버
210 : 정렬플레이트
211 : 전선 수용홈
220 : 결합돌기
300 : 스프링
400 : 체결수단

Claims (9)

  1. 절개홈을 형성한 책상 상판에 결합되며 전선이 통과하도록 일정 크기의 개구부를 형성한 캡본체;
    상기 캡본체에 설치되며, 전선의 수에 따라 상기 개구부의 개폐넓이를 단속하는 개폐커버;
    상기 개폐커버를 전후방향에 대하여 탄력적으로 슬라이드 이동가능하게 하는 스프링; 및
    상기 캡본체를 책상 상판에 고정시키는 체결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캡본체의 양측에는 상기 개폐커버가 결합되어 직선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시키는 슬라이드홈 또는 슬라이드 구멍이 형성되고, 상기 개폐커버의 양측에는 상기 슬라이드홈 또는 슬라이드 구멍에 대응하여 결합되는 결합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슬라이드홈 또는 슬라이드 구멍의 일단에는 상기 슬라이드홈 또는 슬라이드 구멍과 연통하여 개폐커버가 착탈결합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안내하는 착탈용 가이드홈 또는 착탈용 가이드 구멍이 형성되며,
    상기 개폐커버는 캡본체의 개구부 내에 배치되는 다수의 전선들을 일방향으로 나란하게 정렬시키는 정렬플레이트를 형성하고, 상기 정렬플레이트는 상기 전선들을 개구부 바깥쪽으로 미는 가압력을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책상용 전선캡.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정렬플레이트에는 전선을 고정시키기 위한 전선 수용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책상용 전선캡.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은 일단이 상기 개폐커버의 결합돌기에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캡본체에 형성된 걸림돌기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책상용 전선캡.
  9. 제1항, 제3항,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절개홈은 책상 후단부 길이방향 중앙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책상용 전선캡.
KR1020120066928A 2012-06-21 2012-06-21 책상용 전선캡 KR10124195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66928A KR101241959B1 (ko) 2012-06-21 2012-06-21 책상용 전선캡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66928A KR101241959B1 (ko) 2012-06-21 2012-06-21 책상용 전선캡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41959B1 true KR101241959B1 (ko) 2013-03-11

Family

ID=481815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66928A KR101241959B1 (ko) 2012-06-21 2012-06-21 책상용 전선캡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41959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93475B1 (ko) 2013-04-11 2013-08-06 (주)한비오피스 전선의 정리가 용이하도록 개폐판이 구비된 책상
KR101394021B1 (ko) 2013-04-30 2014-05-12 주식회사 니프코코리아 책상용 전선 정리커버의 슬라이딩 장치
JP2018075113A (ja) * 2016-11-07 2018-05-17 株式会社岡村製作所 天板付什器
JP2018075114A (ja) * 2016-11-07 2018-05-17 株式会社岡村製作所 開閉蓋装置、天板付什器、オプション部材の取り付け方法
KR102350754B1 (ko) * 2021-09-14 2022-01-14 (주)베스툴 책상용 덕트 어셈블리 및 이를 구비한 책상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76885Y1 (ko) * 2002-01-28 2002-05-27 송진태 책상의 전선 배선장치
KR20110072860A (ko) * 2009-12-23 2011-06-29 주식회사 니프코코리아 와이어 캡
KR101099006B1 (ko) * 2011-09-29 2011-12-28 주식회사 코아스 슬라이딩 개폐식 전선캡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76885Y1 (ko) * 2002-01-28 2002-05-27 송진태 책상의 전선 배선장치
KR20110072860A (ko) * 2009-12-23 2011-06-29 주식회사 니프코코리아 와이어 캡
KR101099006B1 (ko) * 2011-09-29 2011-12-28 주식회사 코아스 슬라이딩 개폐식 전선캡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93475B1 (ko) 2013-04-11 2013-08-06 (주)한비오피스 전선의 정리가 용이하도록 개폐판이 구비된 책상
KR101394021B1 (ko) 2013-04-30 2014-05-12 주식회사 니프코코리아 책상용 전선 정리커버의 슬라이딩 장치
WO2014178534A1 (en) * 2013-04-30 2014-11-06 Nifco Korea Inc. A sliding device for a desk cable arrangement cover
JP2018075113A (ja) * 2016-11-07 2018-05-17 株式会社岡村製作所 天板付什器
JP2018075114A (ja) * 2016-11-07 2018-05-17 株式会社岡村製作所 開閉蓋装置、天板付什器、オプション部材の取り付け方法
KR102350754B1 (ko) * 2021-09-14 2022-01-14 (주)베스툴 책상용 덕트 어셈블리 및 이를 구비한 책상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41959B1 (ko) 책상용 전선캡
MX2010000303A (es) Montaje de escritorio desarmado.
KR101821907B1 (ko) 케이블 덕트 내장형 전기 기기
US20120056520A1 (en) Front panel assembly having a sliding door mechanism
EP3037736B1 (en) Air conditioner and outdoor unit thereof
KR100924603B1 (ko) 책상 매립형 이중 콘센트
JP2016051475A (ja) メモリー装置
KR101263748B1 (ko) 다량의 전선 배선을 위한 공동 주택 전용 배전함
JP3172236U (ja) 家具用電源コンセント
TW201510403A (zh) 顯示裝置支架
WO2015135347A1 (zh) 管线安装挡板组件及空调器
JP6403501B2 (ja) 開口部の防水装置
JP2007287492A (ja) 埋込型電気配線接続装置
KR101165035B1 (ko) 데스크의 전선 배선안내장치
RU2008145015A (ru) Предмет мебели
KR200442106Y1 (ko) 책상 일체형 의자
KR200415692Y1 (ko) 책상의 수직전선 안내장치
JP6257384B2 (ja) 会議室などの部屋入口に設置される端末ホルダー
KR200476183Y1 (ko) 분리형 배선분기장치
KR101268527B1 (ko) 푸쉬형 절전 콘센트 장치
US20160105977A1 (en) Unit for attaching and distribution of multimedia peripherals
JP2010130769A (ja) 電設用取付体
CN203056394U (zh) 一种开关柜双门联锁机构
JP6052678B2 (ja) コンセント
JP6206812B2 (ja) 床配線装置用のプレート部材及びそれを用いた床配線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0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1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2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16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29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