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91560A - 상하슬라이딩 인출캡이 구비된 시스템 박스 - Google Patents

상하슬라이딩 인출캡이 구비된 시스템 박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91560A
KR20150091560A KR1020140011885A KR20140011885A KR20150091560A KR 20150091560 A KR20150091560 A KR 20150091560A KR 1020140011885 A KR1020140011885 A KR 1020140011885A KR 20140011885 A KR20140011885 A KR 20140011885A KR 20150091560 A KR20150091560 A KR 2015009156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cap
draw
coupled
gui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118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543283B1 (ko
Inventor
도호준도호준
도호준
Original Assignee
도호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도호준 filed Critical 도호준
Priority to KR102014001188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43283B1/ko
Publication of KR2015009156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9156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4328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4328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02Details
    • H02G3/08Distribution boxes; Connection or junction box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22Installations of cables or lines through walls, floors or ceilings, e.g. into build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onnection Or Junction Box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상하슬라이딩 인출캡이 구비된 시스템 박스에 관한 것으로, 플로아에 매설되는 베이스박스(10)와, 상기 베이스박스(10) 내에 설치되는 콘센트플레이트와, 상기 베이스박스(10) 상부에 개폐 가능한 상태로 결합되어 각종 케이블이 인입되도록 하는 커버(20)로 이루어지고, 상기 커버(20)의 중앙에 일측단이 힌지축 결합되어 상기 힌지축을 중심으로 상향식 개폐가 가능하도록 된 도어(30)를 형성하며, 상기 도어(30)의 일측 또는 양측에 형성된 인출구(32)에 결합되어 케이블의 인출을 가이드 하는 인출캡을 형성한 시스템박스에 있어서, 상기 도어(30)가 결합되는 커버(20) 내측 둘레를 따라 도어가 하향 선회되지 않도록 걸림테(100)가 형성되고, 상기 도어(30)의 일측 또는 양측에 형성된 인출구(32) 하부 둘레면에 볼트공(200)이 다수 형성되며, 상기 도어(30)의 일측 또는 양측에 형성된 인출구(32)에 결합되는 상기 인출캡(300)이 상기 볼트공(200)에 결합되는 이동거리제한수단(400)에 안내되어 인출구(32)의 상하 수직선상에서 슬라이딩 이동되어 개폐 가능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하슬라이딩 인출캡이 구비된 시스템 박스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상하슬라이딩 인출캡이 구비된 시스템 박스{Sliding down the system box is provided caps withdrawals}
본 발명은 상하슬라이딩 인출캡이 구비된 시스템 박스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시스템 박스의 커버 좌우측에 전원선이 안내 인출되도록 형성되는 인출캡을 상하슬라이딩되어 인출입되도록 형성함으로써, 사용시 편리성과 사용하지 않을 경우 별도로 인출캡의 위치를 변경하지 않아도 자연 하강하여 주변 사람들의 발걸림 등을 방지할 수 있어 안전성이 향상됨은 물론, 주변친화적인 인테리어 기능을 구현케 하여 제품의 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상하슬라이딩 인출캡이 구비된 시스템 박스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시스템박스는 고급 빌딩이나 오피스텔 등의 콘크리트 바닥 상부에 외관의 미려감 등을 감안하여 일정한 높이의 플로아를 깔고 그 위에 타일이나 카페 등을 깔아 미려감을 창출할 수 있도록 사용하고, 각 책상이나 탁자 등에 올려놓고 사용하는 사무기기나 전화기를 연결 설치하기 위한 전선 및 기타 각종 전선을 사용처 근처에서 인출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다양한 콘센트가 고정 설치된 콘센트박스 등을 매립한 후, 그 내부에 각종 콘센트에 건물 내부로 인입된 전원선, 전화선 또는 기타 전선 등과 접속 연결한 상태에서 각종 사무기기나 전화기 등의 플러그를 꽂아 실내에 배선되는 각종 전선을 정리정돈되게 사용하여 왔던 것은 주지된 사실이다.
이와 같은 주지된 사실을 근거로 종래기술에 따른 시스템 박스의 구조는 베이스박스의 양측에 각종 콘센트가 고정된 콘센트플레이트가 고정되고 상측으론 플로아의 상면에 걸려 안착될 수 있는 걸림턱 외향절곡된 상부틀부재를 나사식 결합 고정하되, 상부틀부재의 각 모서리에는 플로아의 저면을 집게로 찝어 고정할 수 있는 조절스크류가 설치되고, 상기 상부틀부재의 상측으론 힌지를 축으로 개폐될 수 있고 양측 또는 일측에서 인출캡을 끼움결합 설치할 수 있는 뚜껑을 결합한 커버를 나사식 조립하여 전선을 정리 사용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한 종래기술은 인출캡이 좌우 반체형상으로 이루어져 있고, 일측이 개방시 케이블의 인출통로를 제공하며, 타측이 케이블의 출입구를 막는 역할을 수행하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기술은 인출캡의 구조가 복잡하고, 전원선 등의 배선이 인출되기 위해서는 하향으로 내입되어 감추어진 인출캡을 커버로부터 완전분리한 후, 다시 커버측에 끼움결합하여 사용해야 하고, 반대로 사용하지 않을 경우에는 상술한 과정의 역으로 진행하여 다시 감추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었다.
더욱이, 인출캡이 커버에 바로 결합되지 않거나, 커버에 이물질 등이 잔존하게 되면 인출캡의 결합이 불안정하고, 이로 인해 커버가 시스템박스 전체의 마감불량을 초래하여 시공품질의 저하를 가져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유지 보수 등 분해 조립하는 등의 번거로움을 갖는 문제가 있으며, 커버에서 완전 분리되는 구조여서 쉽게 분실되어 별도로 인출캡을 구매해야 하는 등의 유지보수가 어려운 문제가 있었다. 또한, 종래기술의 뚜껑은 사용도중 커버와의 틈새에 이물질이 끼어 고착화 되는 경우, 이를 개방시키는 데 많은 어려움이 있어 인출캡을 제거하기에 앞서 상당한 수고가 필요하여 작업시간의 증대를 초래하는 문제가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출한 것으로, 인출캡이 도어 하부면에 결합된 이동거리 제한수단에 의해 인출구 상하로 가이드되어 슬라이딩 이동됨으로써, 인출캡의 분실방지와 과도한 인출캡의 돌출로 인한 안전사고 발생 방지 및 기존의 인출캡을 분리시켜 반대방향으로 재결합시켜야하는 번거로움 없이 간단하게 개폐조작할 수 있으며, 인출캡의 상향이동된 상태를 고정하여 외부 하중이 인가로 인한 인출캡의 하향이동이 제한됨에 따라 전원선이 압착되어 배선불량을 방지할 수 있는 상하슬라이딩 인출캡이 구비된 시스템 박스를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상하슬라이딩 인출캡이 구비된 시스템 박스는 플로아에 매설되는 베이스박스(10)와, 상기 베이스박스(10) 내에 설치되는 콘센트플레이트와, 상기 베이스박스(10) 상부에 개폐 가능한 상태로 결합되어 각종 케이블이 인입되도록 하는 커버(20)로 이루어지고, 상기 커버(20)의 중앙에 일측단이 힌지축 결합되어 상기 힌지축을 중심으로 상향식 개폐가 가능하도록 된 도어(30)를 형성하며, 상기 도어(30)의 일측 또는 양측에 형성된 인출구(32)에 결합되어 케이블의 인출을 가이드 하는 인출캡을 형성한 시스템박스에 있어서, 상기 도어(30)가 결합되는 커버(20) 내측 둘레를 따라 도어가 하향 선회되지 않도록 걸림테(100)가 형성되고, 상기 도어(30)의 일측 또는 양측에 형성된 인출구(32) 하부 둘레면에 볼트공(200)이 다수 형성되며, 상기 도어(30)의 일측 또는 양측에 형성된 인출구(32)에 결합되는 상기 인출캡(300)이 상기 볼트공(200)에 결합되는 이동거리제한수단(400)에 안내되어 인출구(32)의 상하 수직선상에서 슬라이딩 이동되어 개폐 가능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인출캡(300)은 상기 인출구(32) 내에서 상하이동가능하게 대응형성되고, 하부와 일측이 개방된 사각의 함체로 형성되되, 상기 인출캡(300)이 상기 인출구(32)를 통해 상기 도어(30) 하부로 하향이탈되지 않도록 형성되고, 상기 인출캡(300)의 개방된 일측에 상기 걸림테(100)에 걸림되도록 수직의 내측으로 단차형성된 걸림턱(320)과; 상기 인출캡(300)의 개방된 하측 외연 둘레로 형성되고, 좌우에 각각 원호상의 가이드홈(342)이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되어 대칭형성되며, 상기 도어(30)의 일측 또는 양측에 형성된 인출구(32) 하부 둘레면에 형성된 상기 볼트공(200)에 결합되는 상기 이동거리제한수단(400)의 외연에 대응되면서 수직이동되는 가이드윙(340);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 이동거리제한수단(400)은 상단이 상기 도어(30) 하부에 형성된 상기 볼트공(200)에 볼트결합되는 상부 결합볼트(420)와; 하단이 상기 가이드윙(340)이 대응되어 더 이상 하측으로 슬라이딩 이동되지 않도록 제한하는 원판형의 하부 받침단(440)과; 상기 상부 결합볼트(420)와 상기 하부 받침단(440) 사이에 원통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원호상의 가이드홈(342)이 대응되어 가이드윙(340)이 수직이동되도록 형성된 가이드샤프트(460);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나아가, 상기 상부 결합볼트(420)와 상기 하부 받침단(440) 사이에 링홈이 형성되고, 상기 링홈에 끼움결합되어 상기 가이드윙(340)이 상기 가이드샤프(460) 상에서 수직상향이동되어 최상단에 고정되도록 결합되는 스냅고정링(480)이 더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인출캡(300) 상부면에 사용자 손가락을 삽입하여 상기 인출캡(300)을 인출구(32)로부터 상향이동이 용이하도록 인출홈(360)이 더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인출캡이 도어 하부면에 결합된 이동거리 제한수단에 의해 인출구 상하로 가이드되어 슬라이딩 이동됨으로써, 인출캡의 분실방지와 과도한 인출캡의 돌출로 인한 안전사고 발생 방지 및 기존의 인출캡을 분리시켜 반대방향으로 재결합시켜야하는 번거로움 없이 간단하게 개폐조작할 수 있으며, 인출캡의 상향이동된 상태를 고정하여 외부 하중이 인가로 인한 인출캡의 하향이동이 제한됨에 따라 전원선이 압착되어 배선불량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상하슬라이딩 인출캡이 구비된 시스템 박스의 전체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상하슬라이딩 인출캡이 구비된 시스템 박스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상하슬라이딩 인출캡이 구비된 시스템 박스의 인출캡의 요부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상하슬라이딩 인출캡이 구비된 시스템 박스의 이동거리 제한볼트의 요부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상하슬라이딩 인출캡이 구비된 시스템 박스의 정면에서 바라본 정면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상하슬라이딩 인출캡이 구비된 시스템 박스의 측면에서 바라본 측면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상하슬라이딩 인출캡이 구비된 시스템 박스의 이동거리 제한수단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상하슬라이딩 인출캡이 구비된 시스템 박스의 이동거리 제한수단이 적용된 작동상태 단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상하슬라이딩 인출캡이 구비된 시스템 박스의 인출캡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는 실시예를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본 실시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따라서, 몇몇 실시예들에서, 잘 알려진 구성 요소, 잘 알려진 동작 및 잘 알려진 기술들은 본 발명이 모호하게 해석되는 것을 피하기 위하여 구체적으로 설명되지 않는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그리고,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언급된) 용어들은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결코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또한, '포함(또는, 구비)한다'로 언급된 구성 요소 및 동작은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및 동작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정의되어 있지 않은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상하슬라이딩 인출캡이 구비된 시스템 박스의 실시예에 따른 기술적 특징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상하슬라이딩 인출캡이 구비된 시스템 박스의 전체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상하슬라이딩 인출캡이 구비된 시스템 박스의 분해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상하슬라이딩 인출캡이 구비된 시스템 박스의 인출캡의 요부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상하슬라이딩 인출캡이 구비된 시스템 박스의 이동거리 제한볼트의 요부 사시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상하슬라이딩 인출캡이 구비된 시스템 박스의 정면에서 바라본 정면 단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상하슬라이딩 인출캡이 구비된 시스템 박스의 측면에서 바라본 측면 단면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상하슬라이딩 인출캡이 구비된 시스템 박스의 이동거리 제한볼트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상하슬라이딩 인출캡이 구비된 시스템 박스의 이동거리 제한수단이 적용된 작동상태 단면도이며,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상하슬라이딩 인출캡이 구비된 시스템 박스의 인출캡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상하슬라이딩 인출캡이 구비된 시스템 박스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통상의 플로아에 매설되는 베이스박스(10)와, 상기 베이스박스(10) 내에 설치되는 콘센트플레이트와, 상기 베이스박스(10) 상부에 개폐 가능한 상태로 결합되어 각종 케이블이 인입되도록 하는 커버(20)로 이루어지고, 상기 커버(20)의 중앙에 일측단이 힌지축 결합되어 상기 힌지축을 중심으로 상향식 개폐가 가능하도록 된 도어(30)를 형성하며, 상기 도어(30)의 일측 또는 양측에 형성된 인출구(32)에 결합되어 케이블의 인출을 가이드 하도록 형성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상하슬라이딩 인출캡이 구비된 시스템 박스는 통상의 상기 도어(30)가 결합되는 커버(20) 내측 둘레를 따라 도어가 하향 선회되지 않도록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걸림테(100)가 형성되고, 상기 도어(30)의 일측 또는 양측에 형성된 인출구(32) 하부 둘레면에 볼트공(200)이 다수 형성되며, 상기 도어(30)의 일측 또는 양측에 형성된 인출구(32)에 결합되는 상기 인출캡(300)이 상기 볼트공(200)에 결합되는 이동거리제한수단(400)에 안내되어 인출구(32)의 상하 수직선상에서 슬라이딩 이동되어 개폐 가능하도록 형성된다.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인출캡(300)은 상기 인출구(32) 내에서 상하이동가능하게 대응형성되고, 하부와 일측이 개방된 사각의 함체로 형성되되, 걸림턱(320), 가이드윙(340)이 구성된다.
상기 걸림턱(320)은 상기 인출캡(300)이 상기 인출구(32)를 통해 상기 도어(30) 하부로 하향이탈되지 않도록 형성되고, 상기 인출캡(300)의 개방된 일측에 상기 걸림테(100)에 걸림되도록 수직의 내측으로 단차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걸림턱(320)은 후술되는 이동거리제한수단(400)과 상호작용하여 상기 인출캡이 상하이동시 수직선상을 어긋나지 않도록 수평하게 받치도록 형성된다.
상기 가이드윙(340)은 후술되는 이동거리제한수단을 따라 상기 인출캡(300)이 상하이동되도록 형성된 것으로, 상기 인출캡(300)의 개방된 하측 외연 둘레로 형성되고, 좌우에 각각 원호상의 가이드홈(342)이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되어 대칭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도어(30)의 일측 또는 양측에 형성된 인출구(32) 하부 둘레면에 형성된 상기 볼트공(200)에 결합되는 상기 이동거리제한수단(400)의 외연에 대응되면서 수직이동된다. 한편, 상기 가이드윙(340)은 후술되는 이동거리제한수단의 하부받침단에 대응 안치되어 상기 인출캡(300)이 더 이상 하향이동되지 않도록 형성된다.
한편, 도 2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이동거리제한수단(400)은 상부 결합볼트(420), 하부 받침단(440), 가이드샤프트(460)로 구성된다.
상기 상부 결합볼트(420)는 상기 이동거리제한수단(400)의 상단측을 형성하고, 상기 도어(30) 하부에 형성된 상기 볼트공(200)에 볼트결합된다.
상기 하부 받침단(440)은 상기 이동거리제한수단(400)의 하단측에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윙(340)이 대응되어 더 이상 하측으로 슬라이딩 이동되지 않도록 제한하는 원판형으로 형성된다.
상기 가이드샤프트(460)는 상기 인출캡이 상하이동시, 수직선상에서 어긋나지 않고 안정적으로 가이드되어 이동되도록 상기 가이드윙(340)이 대응되도록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가이드샤프트(460)의 상하구간은 상기 인출캡의 상하 행정거리에 해당된다. 이와 같은 상기 가이드샤프트(460)는 상기 상부 결합볼트(420)와 상기 하부 받침단(440) 사이에 원통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원호상의 가이드홈(342)이 대응되어 가이드윙(340)이 수직이동되도록 형성된다.
즉, 앞서 상술한 바와 같이,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가이드윙의 외측 일측이 하부받침단에 대응안치되고, 걸림턱이 상기 가이드윙과 반대편측으로 걸림테에 걸림안치되어 상기 인출캡이 수평을 이룬상태로 하사점에 안치되고, 사용자에 의해 상기 인출캡이 잡아당겨지면 상기 인출캡은 상기 가이드샤프트(460)를 따라 수직선상에서 어긋나지 않은 상태로 상향 이동한다. 이때, 계속해서 상향이동되는 상기 인출캡(300)은 가이드윙(340)이 인출구(32) 외측의 도어 하부면에 걸림되어 더 이상 상향으로 이동되어 이탈되지 않는다.
한편,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가이드윙(340)이 상기 가이드샤프(460) 상에서 수직이동거리를 제한하도록 상기 상부 결합볼트(420)와 상기 하부 받침단(440) 사이에 링홈(470)이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링홈(470)에는 스냅고정링(480)이 결합된다. 여기서, 상기 스냅고정링(480)은 상기 가이드샤프트 외주연에 대응된 가이드홈이 형성된 가이드윙이 가이드샤프트상의 최상단 이동거리에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형성하여 인출캡(300)이 외부 하중에 의해 하향이동되어 전선이 눌리거나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형성된다. 즉, 상기 인출캡의 상향이동된 후, 스냅고정링(480)을 상기 링홈(470)에 고정함으로써, 인출캡의 상향고정이 가능하여 앞서 상술한 바와 같은 전선의 파손을 방지함은 물론, 가이드샤프트 상에서의 인출캡의 하향 이동을 제한함으로써, 상기 인출캡의 유동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즉,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인출캡(300)이 가이드샤프트를 따라 이동하면 가이드샤프트 외주연 상측에 형성된 링홈(470)에 끼움결합된 스냅고정링(480) 상단에 상기 가이드윙(340)이 걸림되어 인출캡이 더 이상 하향 이동되지 않게 되어 인출캡(300)의 상향이동된 상태를 고정함과 함께 하향이동이 제한되는 것이다.
한편,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인출캡(300) 상부면에 사용자 손가락을 삽입하여 상기 인출캡(300)을 인출구(32)로부터 상향이동이 용이하도록 인출홈(360)이 더 형성하여도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인출홈(360)은 사용자의 손가락 하나 정도가 삽입되어 인출캡(300)을 끌어올릴 수 있는 크기면 족하다. 즉, 단순히 인출캡의 상부면이 편평하게 이루어지게 되면 인출구(32)에 삽입된 상태의 인출캡(300)을 상향으로 끌어올리기가 상당히 힘들기 때문에 상기 인출홈(360)을 통해 보다 용이하게 인출캡(300)의 상향이동이 가능하며, 다시 원상복귀시에는 사용자가 가볍게 인출캡을 손에서 놓게 되면 자유낙하되어 인출캡이 인출구를 통해 내하향이동되는 것이다.
따라서, 이와 같은 상하이동되는 인출캡을 통해 전원선의 노출이 필요없을 때는 인출캡이 도어와 동일면을 이루어 발이 걸리는 등의 사용자 간섭없이 안전하게 사용이 가능하고, 사용시에는 도어로부터 인출캡을 별도 분리하여 결합할 필요없이 가볍게 상측으로 잡아당겨주면 전원선이 노출되어 사용이 용이하게 된다.
나아가, 인출캡을 별도로 분리할 필요가 없어 인출캡의 분실로 인한 유지보수 비용의 증가가 없고, 분실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을 하나의 실시예로서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지 않고,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다양한 변형 및 수정이 가능함은 명백한 것이며, 본 발명의 실시예와 실질적 균등범위까지 포함된다 할 것이다.
10 : 베이스박스 20 : 커버
30 : 도어 32 : 인출구
100 : 걸림테 200 : 볼트공
300 : 인출캡 320 : 걸림턱
340 : 가이드윙 342 : 가이드홈
360 : 인출홈 400 : 이동거리제한수단
420 : 상부 결합볼트 440 : 하단 받침단
460 : 가이드샤프트 480 : 스냅고정링

Claims (5)

  1. 플로아에 매설되는 베이스박스(10)와, 상기 베이스박스(10) 내에 설치되는 콘센트플레이트와, 상기 베이스박스(10) 상부에 개폐 가능한 상태로 결합되어 각종 케이블이 인입되도록 하는 커버(20)로 이루어지고, 상기 커버(20)의 중앙에 일측단이 힌지축 결합되어 상기 힌지축을 중심으로 상향식 개폐가 가능하도록 된 도어(30)를 형성하며, 상기 도어(30)의 일측 또는 양측에 형성된 인출구(32)에 결합되어 케이블의 인출을 가이드 하는 인출캡을 형성한 시스템박스에 있어서,
    상기 도어(30)가 결합되는 커버(20) 내측 둘레를 따라 도어가 하향 선회되지 않도록 걸림테(100)가 형성되고, 상기 도어(30)의 일측 또는 양측에 형성된 인출구(32) 하부 둘레면에 볼트공(200)이 다수 형성되며, 상기 도어(30)의 일측 또는 양측에 형성된 인출구(32)에 결합되는 상기 인출캡(300)이 상기 볼트공(200)에 결합되는 이동거리제한수단(400)에 안내되어 인출구(32)의 상하 수직선상에서 슬라이딩 이동되어 개폐 가능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하슬라이딩 인출캡이 구비된 시스템 박스.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인출캡(300)은 상기 인출구(32) 내에서 상하이동가능하게 대응형성되고, 하부와 일측이 개방된 사각의 함체로 형성되되,
    상기 인출캡(300)이 상기 인출구(32)를 통해 상기 도어(30) 하부로 하향이탈되지 않도록 형성되고, 상기 인출캡(300)의 개방된 일측에 상기 걸림테(100)에 걸림되도록 수직의 내측으로 단차형성된 걸림턱(320)과;
    상기 인출캡(300)의 개방된 하측 외연 둘레로 형성되고, 좌우에 각각 원호상의 가이드홈(342)이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되어 대칭형성되며, 상기 도어(30)의 일측 또는 양측에 형성된 인출구(32) 하부 둘레면에 형성된 상기 볼트공(200)에 결합되는 상기 이동거리제한수단(400)의 외연에 대응되면서 수직이동되는 가이드윙(340);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하슬라이딩 인출캡이 구비된 시스템 박스.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거리제한수단(400)은 상단이 상기 도어(30) 하부에 형성된 상기 볼트공(200)에 볼트결합되는 상부 결합볼트(420)와;
    하단이 상기 가이드윙(340)이 대응되어 더 이상 하측으로 슬라이딩 이동되지 않도록 제한하는 원판형의 하부 받침단(440)과;
    상기 상부 결합볼트(420)와 상기 하부 받침단(440) 사이에 원통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원호상의 가이드홈(342)이 대응되어 가이드윙(340)이 수직이동되도록 형성된 가이드샤프트(460);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하슬라이딩 인출캡이 구비된 시스템 박스.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결합볼트(420)와 상기 하부 받침단(440) 사이에 링홈(470)이 형성되고, 상기 링홈(470)에 끼움결합되어 상기 가이드윙(340)이 상기 가이드샤프(460) 상에서 수직상향이동되어 최상단에 고정되도록 결합되는 스냅고정링(480)이 더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하슬라이딩 인출캡이 구비된 시스템 박스.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인출캡(300) 상부면에 사용자 손가락을 삽입하여 상기 인출캡(300)을 인출구(32)로부터 상향이동이 용이하도록 인출홈(360)이 더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하슬라이딩 인출캡이 구비된 시스템 박스.
KR1020140011885A 2014-02-03 2014-02-03 상하슬라이딩 인출캡이 구비된 시스템 박스 KR10154328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11885A KR101543283B1 (ko) 2014-02-03 2014-02-03 상하슬라이딩 인출캡이 구비된 시스템 박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11885A KR101543283B1 (ko) 2014-02-03 2014-02-03 상하슬라이딩 인출캡이 구비된 시스템 박스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91560A true KR20150091560A (ko) 2015-08-12
KR101543283B1 KR101543283B1 (ko) 2015-08-13

Family

ID=540563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11885A KR101543283B1 (ko) 2014-02-03 2014-02-03 상하슬라이딩 인출캡이 구비된 시스템 박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4328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690674A (zh) * 2019-11-26 2020-01-14 合肥智瑞工程科技有限公司 一种方便布线的缆线槽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05774B1 (ko) 2018-03-14 2019-07-31 박상준 슬라이드형 덮개가 구비된 바닥 매설형 시스템 박스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690674A (zh) * 2019-11-26 2020-01-14 合肥智瑞工程科技有限公司 一种方便布线的缆线槽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43283B1 (ko) 2015-08-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416678B1 (en) Cable interface furniture for a conference table
KR101543283B1 (ko) 상하슬라이딩 인출캡이 구비된 시스템 박스
CA2963414A1 (en) Chain or cord cover for window treatments
US20190364681A1 (en) Panel door for a network enclosure box
KR200483878Y1 (ko) 커튼러너의 삽입 및 분리가 용이한 커튼레일 조립체
KR20200060205A (ko) 콘크리트 바닥 매설용 전기통신선 배선 시스템 박스
KR20170062768A (ko) 외관이 미려하고 설치가 용이한 손 끼임 방지용 안전도어
KR20160065605A (ko) 립스틱 용기
KR101518493B1 (ko) 전선캡
KR102003396B1 (ko) 지중 배전선로 인입전용 보호함체
CN202039561U (zh) 一种新型检修口
KR101571106B1 (ko) 상하, 좌우 개폐가 가능한 스마트커튼장치
US10750910B2 (en) Vertical bathtub closure systems and methods
KR100915952B1 (ko) 창문 자동 개폐장치
CN204212588U (zh) 一种淋浴房的导轨结构
GB2542330A (en) Blind box
KR20110047867A (ko) 이탈방지용 샷시문
CN202034731U (zh) 一种侧拉式电缆接线盒
US20180023339A1 (en) Cordless window covering
CN205012832U (zh) 一种导轨结构改进的淋浴房
CN205078114U (zh) 一种全隐式无框玻璃平移门
KR20120087593A (ko) 멀티탭 안전 덮개
CN206888398U (zh) 便于安装的集成吊顶用音响外壳
KR101466362B1 (ko) 책상용 전선 인출장치
KR101252724B1 (ko) 선택적 개폐가 가능한 투입구가 형성된 건축물의 도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