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98839B1 - 커넥터 부재 - Google Patents

커넥터 부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98839B1
KR101098839B1 KR1020100027186A KR20100027186A KR101098839B1 KR 101098839 B1 KR101098839 B1 KR 101098839B1 KR 1020100027186 A KR1020100027186 A KR 1020100027186A KR 20100027186 A KR20100027186 A KR 20100027186A KR 101098839 B1 KR101098839 B1 KR 10109883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ct
signal
pair
connector member
number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271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109430A (ko
Inventor
마사키 야마시타
노부카즈 가토
요스케 혼다
Original Assignee
니혼 고꾸 덴시 고교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니혼 고꾸 덴시 고교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니혼 고꾸 덴시 고교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0010943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0943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9883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9883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46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specially adapted for high-frequency, e.g. structures providing an impedance match or phase match
    • H01R13/6461Means for preventing cross-talk
    • H01R13/6471Means for preventing cross-talk by special arrangement of ground and signal conductors, e.g. GSGS [Ground-Signal-Ground-Signal]

Landscapes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Abstract

인접하는 제2신호접촉부(135)를 구비하는 2개의 신호 콘택트(130)는, 1개의 콘택트 쌍(140)을 구성하고 있다. 커넥터 부재의 후단측에서 본 경우에 있어서 짝수 번째 콘택트 쌍(140E)의 제2신호접촉부(135)는 제1열(142)에 포함되어 있고, 홀수 번째 콘택트 쌍(140O)의 제2신호접촉부(135)는 제2열(144)에 포함되어 있다. 짝수 번째 콘택트 쌍(140E)의 제2신호접촉부(135)와 홀수 번째 콘택트 쌍(140O)의 제2신호접촉부(135) 사이에는 그라운드 부재(150)의 간섭방지부(151)가 형성되어 있고, 이에 따라 짝수 번째 콘택트 쌍(140E)과 홀수 번째 콘택트 쌍(140O)의 간섭이 방지된다.

Description

커넥터 부재{CONNECTOR MEMBER}
본 발명은 복수의 콘택트(contact)(핀)를 구비하는 커넥터 부재(connector 部材)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입력 핀(入力 pin)의 배치와 출력 핀(出力 pin)의 배치에 관하여 당해 커넥터 부재의 내부에 있어서 피치변환(pitch 變換) 및 배열변환(配列變換)을 하여 이루어지는 커넥터 부재에 관한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커넥터 부재로서는, 예를 들면 일본국 공개특허 특개2006-120345호 공보(특허문헌1)나 일본국 공개특허 특개2007-080782호 공보(특허문헌2)에 개시되어 있는 것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의 커넥터 부재와 비교하여 더 양호한 고주파 특성을 구비하는 커넥터 부재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하나의 측면은, 2개의 신호 콘택트(信號 contact)로 이루어지는 콘택트 쌍을 여러 쌍 구비함과 아울러 그라운드 부재(ground 部材)를 구비하는 커넥터 부재를 제공한다. 커넥터 부재에 있어서, 당해 커넥터 부재의 후단측(後端側)에서 본 경우에 가로방향에 있어서 홀수 번째가 되는 콘택트 쌍의 후단과 상기 가로방향에 있어서 짝수 번째가 되는 콘택트 쌍의 후단이 상기 가로방향과 직교하는 높이방향에 있어서 서로 떨어져서 위치하도록 콘택트 쌍이 배치되어 있다. 그라운드 부재는 적어도 간섭방지부(干涉防止部)를 구비하고 있다. 간섭방지부는, 커넥터 부재의 후단측에서 본 경우에 홀수 번째가 되는 콘택트 쌍의 후단과 짝수 번째가 되는 콘택트 쌍의 후단 사이의 모두에 위치하고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커넥터 부재의 후단측에서 본 경우에 홀수 번째 콘택트 쌍의 후단과 짝수 번째 콘택트 쌍의 후단 사이에 그라운드 부재가 구비되는 간섭방지부가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양쪽 콘택트 쌍 사이의 신호간섭을 방지할 수 있다.
도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플러그 커넥터 및 리셉터클 커넥터로 이루어지는 커넥터 조립체를 상면측에서 본 사시도이다. 여기에서 도면에 나타나 있는 플러그 커넥터와 리셉터클 커넥터는 비결합상태에 있다.
도2는 도1의 커넥터 조립체를 저면측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3은 도1의 플러그 커넥터를 저면측에서 본 사시도이다. 여기에서 플러그 커넥터를 구성하는 앞쪽 커넥터 부재와 뒤쪽 커넥터 부재는 분리되어 있다.
도4는 도3의 앞쪽 커넥터 부재를 상면측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5는 도4의 앞쪽 커넥터 부재를 나타내는 배면도이다.
도6은 도4의 앞쪽 커넥터 부재를 저면측에서 본 분해사시도이다.
도7은 도6의 앞쪽 커넥터 부재에 포함되는 하우징의 일부를 배면측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8은 도6의 앞쪽 커넥터 부재에 포함되는 신호 콘택트 및 그라운드 부재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9는 도8의 신호 콘택트 및 그라운드 부재를 분리하여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10은 도8의 신호 콘택트 및 그라운드 부재를 나타내는 배면도이다.
도11은 도3의 뒤쪽 커넥터 부재를 상면측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12는 변형예에 의한 그라운드 부재와 신호 콘택트를 분리하여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13은 도12의 그라운드 부재와 신호 콘택트를 나타내는 배면도이다.
도1 및 도2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커넥터 조립체(connector assembly)(1)는, 플러그 커넥터(plug connector)(2)와 리셉터클 커넥터(receptacle connector)(3)로 이루어진다. 플러그 커넥터(2)에는 케이블(cable)(4)이 접속되어 있고, 리셉터클 커넥터(3)는 기판(基板)(5)에 탑재되어 있다. 플러그 커넥터(2)와 리셉터클 커넥터(3)는, X방향(전후방향)에 있어서 서로 결합·분리가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도3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의한 플러그 커넥터(2)는, 앞쪽 커넥터 부재(front connector member)(본 실시예에 있어서의 「커넥터 부재」)(10)와 뒤쪽 커넥터 부재(back connector member)(20)의 2개가 부재로 이루어진다. 여기에서 뒤쪽 커넥터 부재(20)는 케이블(4)의 선단(先端)을 수용하는 것이고, 앞쪽 커넥터 부재(10)는 리셉터클 커넥터(3)에 결합되는 것이다.
도4 내지 도6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앞쪽 커넥터 부재(10)는, 하우징(housing)(110)과, 하우징(110)에 지지된 신호 콘택트(信號 contact)(130) 및 그라운드 부재(ground 部材)(150)와, 플러그 커넥터(2)와 리셉터클 커넥터(3)의 결합상태를 록(lock)하기 위한 록 부재(lock member)(170)와, 하우징(110)의 밑면을 덮는 셀(shell)(190)을 구비하고 있다. 여기에서 본 실시예에 있어서의 신호 콘택트(130), 그라운드 부재(150), 록 부재(170) 및 셀(190)은 모두 금속제(金屬製)이지만, 본 발명은 이것에 제한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록 부재(170)는, 동종의 기능(후술한다)을 구비하는 것이라면 본 실시예에 의한 것과 다른 형상이어도 좋으며, 수지(樹脂) 등의 인슐레이터(insulator)로 구성되어 있어도 좋다.
도6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하우징(110)은, Y방향(가로방향)으로 연장되는 주부(主部)(111)와, 주부(111)의 Y방향 양단으로부터 X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측부(側部)(112)를 구비하고 있다. 주부(111)와 측부(112)는, Z방향(높이방향)에서 본 경우에 대략 ㄷ자 형상을 구성하고 있다.
도6 및 도7을 참조하면 주부(111)는, 대략 판자(板子) 모양의 전부(前部)(113)와, XZ평면에 있어서 대략 ㄷ자 모양의 단면(斷面)을 구비하는 후부(後部)(114)를 구비하고 있다. 도7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전부(113)의 상면 상에는, X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콘택트 지지부(contact 支持部)(115)가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콘택트 지지부(115)는 볼록한 모양의 단면을 구비하는 홈이다. 후부(114)는, Y방향으로 연장되는 상부(上部)(116)와, Z방향에 있어서 상부(116)와 대향(對向)하는 하부(下部)(117)와, 상부(116)와 하부(117)를 그들의 전단(前端)에서 접속하는 전벽부(前壁部)(118)를 구비하고 있고, 이들 상부(116), 하부(117) 및 전벽부(118)에 의하여 후부(114) 내에는 스페이스(space)가 규정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전벽부(118)는 YZ평면과 평행하게 연장되어 있고, 콘택트 지지부(115)는 이 전벽부(118)를 X방향에 있어서 관통하고 있다. 상부(116)와 하부(117)의 서로 대향하는 면 상에는 콘택트 지지부(120 및 121)가 형성되어 있다. 여기에서 콘택트 지지부(120 및 121)는 볼록한 모양의 단면을 구비하는 홈이다. 또한 Z방향에 있어서 콘택트 지지부(115)는 콘택트 지지부(120)와 콘택트 지지부(121)의 사이에 위치하고 있다. 또한 하부(117)와 상부(116)에는, 그라운드 부재(150)의 위치결정·고정용의 오목부(122)와 고정구멍(123)이 각각 형성되어 있다. 도6 및 도7로부터 이해할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있어서, 오목부(122)와 고정구멍(123)은 후부(114)에 있어서 Y방향 양단부와 Y방향 중앙부의 3군데에 각각 형성되어 있다.
도6 및 도7을 참조하면 측부(112)에는, 각각 록 부재(170)를 수용하기 위한 수용부(收容部)(124)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측부(112)의 전단에는, 리셉터클 커넥터(3)에 플러그 커넥터(2)를 결합시킬 때(예를 들면 도2 참조)에 가이드가 되는 가이드 포스트(guide post)(125)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하우징(110)의 하면에는 복수의 압입구멍(126)이 형성되어 있다. 이 압입구멍(126)은 셀(190)을 하우징(110)의 하면에 부착할 때에 이용된다.
도6, 도8∼도10을 참조하면 신호 콘택트(130)는, 중간부(中間部)(131)와, 중간부(131)로부터 전방을 향하여(즉 X방향에 있어서 앞쪽 커넥터 부재(10)의 전단부(前端部)(10a)를 향하여 : 예를 들면 도3 참조) 연장되는 제1신호접촉부(第一信號接觸部)(133)와, 중간부(131)로부터 후방을 향하여(즉 X방향에 있어서 앞쪽 커넥터 부재(10)의 후단부(後端部)(10b)를 향하여 : 예를 들면 도3 참조) 연장되는 제2신호접촉부(135)를 구비하고 있다. 즉 제1신호접촉부(133)는 신호 콘택트(130)의 전단을 구성하고 있고, 제2신호접촉부(135)는 신호 콘택트(130)의 후단을 구성하고 있다. 도9에 가장 잘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있어서의 중간부(131)는 주로 YZ 평면과 평행하게 되도록 형성되어 있고, X방향에서 본 경우에 대략 크랭크(crank) 형상을 구비하고 있다. 제1신호접촉부(133)는 콘택트 지지부(115)에 의하여 지지되는 부위이고, 제2신호접촉부(135)는 콘택트 지지부(120) 또는 콘택트 지지부(121)에 의하여 지지되는 부위이다.
본 실시예에 의한 그라운드 부재(150)는, Y방향으로 연장되는 간섭방지부(151)와, 간섭방지부(151)로부터 전방을 향하여 연장되는 복수의 제1그라운드 접촉부(first ground 接觸部)(153)와, 간섭방지부(151)로부터 후방을 향하여 연장되는 복수의 제2그라운드 접촉부(155)와, U자 모양의 셀 접속부(shell 接續部)(157)와, 간섭방지부(151)의 상단으로부터 전방으로 연장되는 피고정부(被固定部)(159)를 구비하고 있다. 상세하게는, 셀 접속부(157)는 간섭방지부(151)의 하단으로부터 후방으로 연장된 후에 전방을 향하도록 되돌려져서 이루어지는 것이다. 따라서 셀 접속부(157)의 단부(端部)는 전방을 향하고 있다.
도8 및 도9에 가장 잘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제1신호접촉부(133) 및 제1그라운드 접촉부(153)는, Y방향으로 1열로 나란하게 되어 있다. 더 구체적으로는, 2개의 신호 콘택트(130)를 콘택트 쌍(140)으로 한 경우에 가장 근접하는 2개의 콘택트 쌍(140)(홀수 번째의 콘택트 쌍(140O)과 짝수 번째의 콘택트 쌍(140E) : 도10 참조)에 있어서 제1신호접촉부(133)의 사이에 제1그라운드 접촉부(153)가 배치되어 있다. 즉 제1그라운드 접촉부(153), 제1신호접촉부(133), 제1신호접촉부(133), 제1그라운드 접촉부(153), 제1신호접촉부(133), 제1신호접촉부(133), 제1그라운드 접촉부(153) …… 와 같이 배치되어 있다(도8 참조).
한편 도10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제2신호접촉부(135) 및 제2그라운드 접촉부(155)는, 제1열(142)과 제2열(144)의 2열로 나누어져 있다. 제1열(第一列)(142)을 구성하는 제2신호접촉부(135) 및 제2그라운드 접촉부(155)와 제2열(144)을 구성하는 제2신호접촉부(135) 및 제2그라운드 접촉부(155)는, Z방향에 있어서 상호간의 사이를 개방시키도록 배치되어 있다. 또한 도8 및 도10으로부터 이해할 수 있는 바와 같이 제1신호접촉부(133) 및 제1그라운드 접촉부(153)로 구성되는 접촉부 열은, Z방향에 있어서 제1열(142)과 제2열(144)의 사이에 위치하고 있다. 즉 제1열(142)과 제2열(144)의 쌍방과도, 제1신호접촉부(133) 및 제1그라운드 접촉부(153)로 구성되는 접촉부 열은 Z방향에 있어서 다른 위치에 위치하고 있다(즉 제1신호접촉부(133) 및 제1그라운드 접촉부(153)로 구성되는 접촉부 열은, Z방향에 있어서 제1열(142)과 제2열(144)의 쌍방과도 다른 위치에 위치하고 있다).
더 상세하게는 도8 및 도10으로부터 이해할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짝수 번째의 콘택트 쌍(140(140E))의 제2신호접촉부(135)는 제1열(142)에 포함되어 있고, 홀수 번째의 콘택트 쌍(140(140O))의 제2신호접촉부(135)는 제2열(144)에 포함되어 있고, 각 제2그라운드 접촉부(155)는, 제1열(142) 및 제2열(144)의 각 열에 있어서 가장 가까운 2개의 콘택트 쌍(140)의 사이에 삽입되어 있다. 즉 제1열(142)에 있어서는, 제2그라운드 접촉부(155), 짝수 번째의 콘택트 쌍(140E)에 포함되는 2개의 제2신호접촉부(135), 제2그라운드 접촉부(155), 짝수 번째의 콘택트 쌍(140E)에 포함되는 2개의 제2신호접촉부(135) …… 의 순서로 배열되어 있고, 마찬가지로 제2열(144)에 있어서는, 홀수 번째의 콘택트 쌍(140O)에 포함되는 2개의 제2신호접촉부(135), 제2그라운드 접촉부(155), 홀수 번째의 콘택트 쌍(140O)에 포함되는 2개의 제2신호접촉부(135), 제2그라운드 접촉부(155) …… 의 순서로 배열되어 있다.
개개의 콘택트 쌍(140)에 착안하면, 각 콘택트 쌍(140)을 구성하는 2개의 신호 콘택트(130)는, Y방향에 있어서 당해 2개의 신호 콘택트(130) 사이에 위치하는 면으로서 XZ평면과 평행한 면(Y방향과 직교하는 면)을 특정한 면으로 가정하였을 경우에, 당해 특정의 면과 거울상 관계가 되도록 배치되어 있다. 또한 상기한 바와 같이 각 콘택트(130)의 중간부(131)는, X방향에서 보았을 경우에 대략 크랭크 형상을 구비하고 있다. 따라서 각 콘택트 쌍(140)을 구성하는 2개의 신호 콘택트(130)에 있어서 제2신호접촉부(135) 사이의 거리는 제1신호접촉부(133) 사이의 거리보다 커지도록 되어 있다. 즉 신호 콘택트(130)의 앞쪽과 뒤쪽에서는, 피치변환(pitch 變換)이 되어 있다.
또한 Y방향에 있어서 이웃하는 2쌍의 콘택트 쌍(140)(즉 Y방향에 있어서 가장 가까운 홀수 번째의 콘택트 쌍(140O)과 짝수 번째의 콘택트 쌍(140E))에 착안하면, 이들 2개의 콘택트 쌍(140)은 X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가상적(假想的)인 축을 회전대상축으로 하였을 경우에 있어서, 일방(一方)의 콘택트 쌍(140)(예를 들면 홀수 번째의 콘택트 쌍(140O))을 회전대상축을 중심으로 하여 180도 회전시켰을 때에 타방(他方)의 콘택트 쌍(140)(예를 들면 짝수 번째의 콘택트 쌍(140E))과 일치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이에 따라 제1신호접촉부(133)는 1열로 나란하게 되어 있는 것에 비하여, 제2신호접촉부(135)는 2열로 나란하게 되어 있다. 즉 신호 콘택트(130)의 앞쪽과 뒤쪽에서는, 배열변환(配列變換)이 되어 있다.
신호 콘택트(130) 및 그라운드 부재(150)는, 상기한 배열조건을 충족하도록 하여 하우징(110)에 조립된다. 상세하게는, 우선 제1신호접촉부(133)를 콘택트 지지부(115)에 하우징(110)의 후방으로부터 삽입하고, 또한 상기한 요건을 충족하도록 하여 제2신호접촉부(135)를 콘택트 지지부(120) 또는 콘택트 지지부(121)에 압입한다. 이 때에 하나의 콘택트 쌍(140)의 제1신호접촉부(133)와, 이것과 이웃하는 콘택트 쌍(140)의 제1신호접촉부(133)의 사이에는, 제1신호접촉부(133)가 삽입되어 있지 않은 콘택트 지지부(115)가 남아 있도록 한다. 계속하여 제1신호접촉부(133)가 삽입되어 있지 않은 콘택트 지지부(115)에 제1그라운드 접촉부(153)를 압입하고, 또한 제2그라운드 접촉부(155)를 콘택트 지지부(120) 또는 콘택트 지지부(121)에 압입한다. 이 때에 피고정부(159)가 하우징(110)의 고정구멍(123)에 압입됨과 아울러, 셀 접속부(157)가 오목부(122)에 결합된다.
도5 및 도10으로부터 이해할 수 있는 바와 같이 하우징(110)에 신호 콘택트(130) 및 그라운드 부재(150)를 조립한 상태에 있어서, 앞쪽 커넥터 부재(10)의 후단측에서 본 경우에 그라운드 부재(150)의 중간부에 형성된 간섭방지부(151)는, 홀수 번째가 되는 콘택트 쌍(140O)의 제2신호접촉부(135)와, 이것과 이웃하는 짝수 번째가 되는 콘택트 쌍(140E)의 제2신호접촉부(135)의 사이의 모두에 위치하고 있다. 이와 같이 간섭방지부(151)가 삽입되어 있기 때문에, 이웃하는 콘택트 쌍(140)에 있어서의 제2신호접촉부(135) 사이의 상호간섭이 방지되고 있다.
도6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록 부재(170)는, 갈고랑이 모양의 록부(lock portion)(172)와, 록부(172)의 이동에 사용되는 조작부(操作部)(174)를 구비하고 있다. 록 부재(170)는, 록부(172)를 Y방향 외측을 향하여 가이드 포스트(125)로부터 돌출시키도록, 또한 조작부(174)를 Y방향 내측을 향하도록 가압(加壓)시켰을 때에 당해 가압조작에 의하여 록부(172)가 가이드 포스트(125) 내에 인입되도록 하우징(110)의 수용부(124)에 수용되어 있다.
도3 및 도6으로부터 이해할 수 있는 바와 같이 셀(190)은, XY평면과 평행한 주부(192)를 구비하고 있다. 이 주부(192)에는, Y방향으로 길이가 긴 창부(窓部)(193)가 형성되어 있다. 창부(193)는 앞쪽 커넥터 부재(10)와 뒤쪽 커넥터 부재(20)의 접속상태를 확인하기 위한 것으로서, 셀(190)이 하우징(110)에 부착되었을 때에 주부(111)의 후단(테두리 : 엣지)이 창부(193)를 통하여 보이도록 형성되어 있다. 또한 셀(190)은, 리셉터클 커넥터(3)의 셀(도면에는 나타내지 않는다)과 접속되는 접속부(接續部)(194)와, 주부(192)와 접속부(194)를 연결하는 연결부(連結部)(196)를 구비하고 있다. 접속부(194)는 대략 Y방향으로 길고 가늘게 연장되는 판자 모양의 부위이다. 주부(192)나 접속부(194)에는 복수의 피압입부(被壓入部)(197)가 형성되어 있고, 이들이 하우징(110)의 압입구멍(126)에 압입됨으로써 셀(190)이 하우징(110)에 부착된다. 셀(190)이 하우징(110)에 부착된 상태에 있어서, 주부(192)는 하우징(110)의 측부(側部)(112)와 후부(後部)(114)의 하면을 덮음과 아울러 측부(112)의 하부 사이를 덮고 있고, 한편 접속부(194)는 하우징(110)에 있어서 전부(113)의 하면 상에 위치하고 있다. 또 이 셀(190)이 하우징(110)에 부착됨으로써 그라운드 부재(150)의 셀 접속부(157)와 셀(190)의 접속도 도모된다.
도6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있어서의 셀(190)의 주부(192)에는, 뒤쪽 커넥터 부재(20)를 앞쪽 커넥터 부재(10)에 결합한 상태에서 고정시키기 위한 피압입부(198)가 더 형성되어 있다.
도3 및 도11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의한 뒤쪽 커넥터 부재(20)는, 하우징(210)과, 하우징(210)에 지지되는 케이블 콘택트(cable contact)(220)를 구비하고 있다.
도11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하우징(210)에는, 케이블 콘택트(220)를 지지하기 위한 지지구멍(212)과, 앞쪽 콘택트 부재(10)에 있어서 셀(190)의 피압입부(198)가 압입되는 압입구멍(214)이 형성되어 있다. 지지구멍(212)은 X방향에 있어서 전단(210a)으로부터 후단(210b)까지 관통하는 구멍이고, 케이블 콘택트(220)의 전단부를 하우징(210)의 전단(210a)으로부터 돌출되지 않도록 케이블 콘택트(220)를 지지하고 있다.
도11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케이블 콘택트(220)에는 케이블(4)이 접속·지지되어 있다. 또한 케이블 콘택트(220)의 전단부는, 하우징(210)에 지지된 상태에서 하우징(210)의 전단(210a)으로부터 신호 콘택트(130)의 제2신호접촉부(135)를 수납할 수 있는 형상을 구비하고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플러그 커넥터(2)를 앞쪽 커넥터 부재(10)와 뒤쪽 커넥터 부재(20)로 나누었기 때문에, 앞쪽 커넥터 부재(10)에 있어서 신호 콘택트(130)의 피치변환 및 배열변환을 할 수 있고, 또한 뒤쪽 커넥터 부재(20)를 통하여 앞쪽 커넥터 부재(10)의 신호 콘택트(130)와 케이블(4)의 접속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실시예를 들어 구체적으로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것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상기한 실시예에 있어서 그라운드 부재(150)는 하나의 부재로 이루어지는 것이었지만,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그라운드 부재로서 복수의 부재를 구비하고 있어도 좋다.
도12 및 도13에는, 복수의 그라운드 부재(150a, 150b)와 복수의 신호 콘택트(130)의 조합이 나타나 있다. 그라운드 부재(150a)는, 대략 크랭크 형상의 간섭방지부(151a)와, 간섭방지부(151a)로부터 전방으로 연장되는 제1그라운드 접촉부(153a)와, 간섭방지부(151a)로부터 후방으로 연장되는 제2그라운드 접촉부(155a)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그라운드 부재(150b)는, 대략 J자 형상의 간섭방지부(15lb)와, 간섭방지부(15lb)로부터 전방으로 연장되는 제1그라운드 접촉부(153b)와, 간섭방지부(15lb)로부터 후방으로 연장되는 제2그라운드 접촉부(155b)를 구비하고 있다. 그라운드 부재(150a)와 그라운드 부재(150b)는, Y방향에 있어서 대략 교대로 나란하게 배치되어 있다. 이러한 그라운드 부재(150a, 150b)의 형상 및 배치에 의하여 신호 콘택트(130)의 제1신호접촉부(133)와 그라운드 부재(150a, 150b)의 제1그라운드 접촉부(153a, 153b)는 1열로 나란하게 되어 있는 한편, 신호 콘택트(130)의 제2신호접촉부(135)와 그라운드 부재(150a, 150b)의 제2그라운드 접촉부(155a, 155b)는 제1열(146) 및 제2열(148)의 2열로 그룹화 되어 있다(특히 도13을 참조).
상기한 변형예에 있어서도 도13으로부터 분명하게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앞쪽 커넥터 부재(10)의 후단측에서 보았을 경우에 간섭방지부(151a) 및 간섭방지부(15lb)는, 홀수 번째가 되는 콘택트 쌍(140O)의 제2신호접촉부(135)와, 이것과 이웃하는 짝수 번째가 되는 콘택트 쌍(140E)의 제2신호접촉부(135) 사이의 모두에 위치하고 있다. 이와 같이 간섭방지부(151a) 및 간섭방지부(15lb)가 삽입되어 있기 때문에, 이웃하는 콘택트 쌍(140)의 제2신호접촉부(135) 사이의 상호간섭이 방지되고 있다.

Claims (8)

  1. 2개의 신호 콘택트(信號 contact)로 이루어지는 콘택트 쌍을 여러 쌍 구비함과 아울러 그라운드 부재(ground 部材)를 구비하는 커넥터 부재(connector 部材)로서,
    상기 커넥터 부재의 후단측에서 본 경우에, 가로방향에 있어서 홀수 번째가 되는 콘택트 쌍의 후단과 상기 가로방향에 있어서 짝수 번째가 되는 콘택트 쌍의 후단이 상기 가로방향과 직교하는 높이방향에 있어서 서로 떨어져서 위치하도록, 상기 콘택트 쌍은 배치되어 있고,
    상기 그라운드 부재는, 적어도 간섭방지부(干涉防止部)를 구비하고 있고,
    상기 간섭방지부는, 상기 커넥터 부재의 후단측에서 본 경우에, 상기 홀수 번째가 되는 콘택트 쌍의 후단과 상기 짝수 번째가 되는 콘택트 쌍의 후단 사이에 위치하고,
    각 신호 콘택트는, 중간부(中間部)와, 상기 중간부로부터 전방으로 연장되는 제1신호접촉부(第一信號接觸部)와, 상기 중간부로부터 후방으로 연장되는 제2신호접촉부를 구비하고 있고,
    상기 제1신호접촉부는, 상기 가로방향으로 1열로 나란하게 되어 있고,
    상기 제2신호접촉부는, 제1열 및 제2열로 그룹화 되어 있고,
    상기 제1열과 상기 제2열은, 상기 높이방향에 있어서 사이를 개방하도록, 또한 상기 제1신호접촉부의 열과 상기 높이방향에 있어서 다른 위치에 위치하도록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부재.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그라운드 부재는, 상기 간섭방지부로부터 전방으로 연장되는 제1그라운드 접촉부(first ground 接觸部)와, 상기 간섭방지부로부터 후방으로 연장되는 제2그라운드 접촉부를 더 구비하고 있고,
    상기 제1그라운드 접촉부는, 상기 가로방향에 있어서, 상기 홀수 번째 콘택트 쌍의 상기 제1신호접촉부와 상기 짝수 번째 콘택트 쌍의 상기 제1신호접촉부의 사이에 위치되어 있고,
    상기 제2그라운드 접촉부는, 상기 홀수 번째 콘택트 쌍 중 하나의 상기 콘택트 쌍의 상기 제2신호접촉부와 상기 하나의 콘택트 쌍에 가장 가까운 상기 홀수 번째 콘택트 쌍의 상기 제2신호접촉부의 사이, 및 상기 짝수 번째 콘택트 쌍 중 하나의 상기 콘택트 쌍의 상기 제2신호접촉부와 상기 하나의 콘택트 쌍에 가장 가까운 상기 짝수 번째 콘택트 쌍의 상기 제2신호접촉부의 사이에 위치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부재.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중간부는, 전후방향에서 보았을 경우에 크랭크와 같은 형상(crank-like shape)을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부재.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콘택트 쌍을 구성하는 상기 2개의 신호 콘택트는, 상기 가로방향에 있어서 상기 2개의 신호 콘택트 사이에 위치하고 또한 상기 가로방향과 직교하는 면을 특정한 면으로 가정하였을 경우에, 상기 특정의 면과 거울상 관계가 되도록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부재.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가로방향에 있어서 이웃하는 2쌍의 상기 콘택트 쌍은, 전방으로 연장되는 가상적인 축을 회전대상축으로 하였을 경우에 있어서 상기 2쌍의 콘택트 쌍 중 일방(一方)의 콘택트 쌍을 상기 회전대상축을 중심으로 하여 180도 회전시켰을 때에 타방(他方)의 콘택트 쌍과 일치하도록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부재.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홀수 번째가 되는 콘택트 쌍의 후단과 상기 짝수 번째가 되는 콘택트 쌍의 후단 사이의 모두에 위치하고 있는 상기 간섭방지부는, 서로 일체(一體)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부재.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간섭방지부는, 상기 홀수 번째가 되는 콘택트 쌍의 후단과 상기 짝수 번째가 되는 콘택트 쌍의 후단 사이마다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부재.
KR1020100027186A 2009-03-30 2010-03-26 커넥터 부재 KR10109883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9082825A JP4738507B2 (ja) 2009-03-30 2009-03-30 コネクタ部材
JPJP-P-2009-082825 2009-03-30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09430A KR20100109430A (ko) 2010-10-08
KR101098839B1 true KR101098839B1 (ko) 2011-12-26

Family

ID=428053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27186A KR101098839B1 (ko) 2009-03-30 2010-03-26 커넥터 부재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4738507B2 (ko)
KR (1) KR101098839B1 (ko)
CN (2) CN102751626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353726B2 (en) * 2010-11-03 2013-01-15 Hon Hai Precision Inc. Co., Ltd. Electrical connector with grounding bars therein to reduce cross talking
US8342886B2 (en) * 2011-03-14 2013-01-01 Hon Hai Precision Ind. Co., Ltd. Electrical connector with connecting bars therein to reduce cross talking
JP5748335B2 (ja) * 2011-06-08 2015-07-15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コネクタ
JP5878071B2 (ja) 2012-04-13 2016-03-08 タイコエレクトロニクスジャパン合同会社 電気コネクタ
JP6210540B2 (ja) 2013-09-13 2017-10-11 タイコエレクトロニクスジャパン合同会社 電気コネクタ
US9437988B2 (en) 2014-10-17 2016-09-06 Tyco Electronics Corporation Electrical connector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128832A (ja) 2005-11-07 2007-05-24 Japan Aviation Electronics Industry Ltd コネクタ
JP2007179970A (ja) 2005-12-28 2007-07-12 Japan Aviation Electronics Industry Ltd コネクタ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613043B2 (ja) * 2004-10-19 2011-01-12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コネクタ
JP2007080782A (ja) * 2005-09-16 2007-03-29 Japan Aviation Electronics Industry Ltd 電気コネクタ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128832A (ja) 2005-11-07 2007-05-24 Japan Aviation Electronics Industry Ltd コネクタ
JP2007179970A (ja) 2005-12-28 2007-07-12 Japan Aviation Electronics Industry Ltd コネクタ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2751626B (zh) 2015-01-14
JP2010238409A (ja) 2010-10-21
KR20100109430A (ko) 2010-10-08
JP4738507B2 (ja) 2011-08-03
CN102751626A (zh) 2012-10-24
CN101854004A (zh) 2010-10-06
CN101854004B (zh) 2013-01-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98839B1 (ko) 커넥터 부재
US6540559B1 (en) Connector with staggered contact pattern
US7651341B2 (en) Circuit board assembly with staggered cable arrangement
CN108365465B (zh) 具有配合连接器接口的电连接器
US7758357B2 (en) Receptacle backplane connector having interface mating with plug connectors having different pitch arrangement
CN102197540B (zh) 具有集成紧固装置的连接器护罩
US7811128B2 (en) Electrical connector having improved shielding plate
US8535065B2 (en) Connector assembly for interconnecting electrical connectors having different orientations
US20080214059A1 (en) Orthogonal electrical connector with increased contact density
US8241063B2 (en) Connector having a body with a positioning projection engaging a positioning depression on a shield case
US20090149065A1 (en) Electrical connector having improved shieding means
JP2001015223A (ja) 汎用コネクタおよびその結合方法
CN104779458A (zh) 背板或中板通信系统和电连接器
US20080014798A1 (en) Electrical connector having improved outer shield
JP2008041656A (ja) コネクタ
JP2003022877A (ja) 直角コネクタ
US7708567B2 (en) Connector having a plurality of connector modules and a housing that holds said plurality of connector modules with a gap between adjacent ones thereof
US8215984B2 (en) Electrical connector
JP2010153341A (ja) ショート端子およびコネクタ
TWI722581B (zh) 連接器
JP2006269107A (ja) コネクタ
US20090170351A1 (en) Electrical Connector Adapted To Isolate Mating Forces
US8183155B1 (en) Lower profile connector assembly
US20080020642A1 (en) Electrical connector having improved inner shileding plate
JP5090554B2 (ja) コネクタ部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1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18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