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98476B1 - 2겹 봉제 인형 - Google Patents

2겹 봉제 인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98476B1
KR101098476B1 KR1020110088174A KR20110088174A KR101098476B1 KR 101098476 B1 KR101098476 B1 KR 101098476B1 KR 1020110088174 A KR1020110088174 A KR 1020110088174A KR 20110088174 A KR20110088174 A KR 20110088174A KR 101098476 B1 KR101098476 B1 KR 10109847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wing
needle
fabrics
fabric
li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881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정순
Original Assignee
김정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정순 filed Critical 김정순
Priority to KR102011008817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9847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9847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9847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3/00Dolls
    • A63H3/02Dolls made of fabrics or stuffed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27/00Spring, stuffed or fluid mattresses or cushions specially adapted for chairs, beds or sofa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9/00Special methods or compositions for the manufacture of dolls, toy animals, toy figures, or parts thereof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HMARKING, INSPECTING, SEAMING OR SEVERING TEXTILE MATERIALS
    • D06H7/00Apparatus or processes for cutting, or otherwise severing, specially adapted for the cutting, or otherwise severing, of textile materia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Toy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2겹 봉제 인형에 관한 것으로, 안정적인 마감처리를 통해 2겹으로 이루어지는 봉제 인형의 안정된 결합력을 확보할 수 있고, 사용자의 잦은 사용과 접촉시에도 쉽게 끊어지지 않을 뿐만 아니라, 레이저 재단을 통해 테두리부를 깔끔하면서도 다채롭게 마감함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2겹 봉제 인형은, 쿠션재(20)와; 일정한 디자인으로 재단된 제1,2겉감 원단(11,12)으로 이루어지며 내부에 상기 쿠션재가 삽입되는 겉감(10)으로 구성되며, 상기 제1,2겉감 원단(11,12) 중 어느 하나의 테두리부에 접착제를 도포하여 접착층(13)을 형성한 상기 제1,2겉감 원단을 포개어 상기 접착층을 통해 1차로 접착하는 제1단계와; 상기 제1단계를 통해 접착된 제1,2겉감 원단의 테두리부로부터 일정 간격 안쪽에 테두리부를 따라 재봉하여 재봉선(15)을 형성하는 제2단계와; 상기 제2단계를 통해 재봉으로 결합된 제1,2겉감 원단의 테두리부가 벌어지지 않도록 테두리 감침선(16)으로 재봉하는 제3단계를 통해 제조되며, 상기 제3단계에서는, 바늘을 제2겉감 원단(12)의 안쪽에서 바깥쪽으로 관통시키고 상기 제2겉감 원단으로 나온 바늘을 상기 제1겉감 원단(11)의 바깥쪽에서 안쪽으로 반쯤 통과시킨 후 실을 반시계방향으로 돌려 바늘을 빼고, 상기 제1,2겉감 원단을 겹친 상태에서 바늘을 반쯤 통과시키고 실을 반시계방향으로 돌려 빼내어 테두리 감침선을 형성하되, 상기 바늘을 상기 재봉선의 구멍(15a)을 통해 통과시켜 상기 테두리 감침선이 상기 재봉선의 구멍을 따라 배열되도록 하며, 상기 제1단계에서는 상기 제1,2겉감 원단을 레이저 재단하여 상기 제1,2겉감 원단의 테두리부측 재단부를 검은색으로 변색시킨다.

Description

2겹 봉제 인형{TWO-LAYER SEWING DOLL}
본 발명은 봉제 인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2장의 원단(천이나 가죽 등) 사이에 쿠션재를 넣고 테두리부를 재봉하는 등의 방법을 통해 봉제 인형을 제조하고, 2장 원단의 테두리부가 벌어지지 않도록 마감 처리함과 아울러 테두리부를 다채로운 심미감을 줄 수 있도록 처리된 2겹 봉제 인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인 봉제 인형, 봉제 악세서리 등은 부드러운 천으로 동물 또는 각종 모양을 입체적으로 표현되도록 봉착한 후 이의 내부에 솜이나 카시밀론 또는 작은 알갱이를 충진하여 형성한 것이며, 오래 전부터 사용된 대표적인 장난감의 하나로서 각종 선물용 등으로 널리 애용되고 있다.
지금까지의 봉제인형은 고양이, 강아지, 곰 등과 같은 친근한 동물, 백설공주, 미키마우스, 포켓몬스터와 같은 유명한 애니메이션 캐릭터 등과 같이 일반 대중에게 널리 알려진 것들을 대상으로 하여 제작되었으나, 최근에는 규격화되고 정형화된 기존의 봉제인형들 보다 개성이 강하고 특이한 인형을 현대인이 많이 선호하고 있는 실정이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일반적인 봉제인형은 단순히 재봉선이 외부로 노출되는 오버로크 방법을 사용하기 때문에 사용자의 잦은 사용과 접촉시에는 재봉선이 쉽게 끊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또 다른 방법으로는 의류에서와 같이 재봉선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하는 방법이 사용되고 있으나, 이 경우 재봉선이 끊어질 경우 대상물을 뒤집어서 끊어진 부분을 다시 재봉해야 하기 때문에 매우 번거로운 불편함이 있으며, 대상물을 뒤집지 않고 끊어진 부분만 외부에서 재봉할 경우 대상물이 보기 좋지 않게 되는 문제점이 수반된다.
일본공개특허 평06-0710054호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안정적인 마감처리를 통해 2겹으로 이루어지는 봉제 인형의 안정된 결합력을 확보할 수 있고, 사용자의 잦은 사용과 접촉시에도 쉽게 끊어지지 않을 뿐만 아니라, 레이저 재단을 통해 마감처리가 깔끔하면서도 미려한 외관을 갖는 2겹 봉제 인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더한 다른 목적은 봉제 인형을 결합하기 위한 재봉실 중 일부분이 끊어졌을 경우 바늘과 실만 있으면 누구나 손쉽게 그 끊어진 부위만 손쉽게 보수할 수 있음에 따라 제품의 수명을 연장할 수 있는 2겹 봉제 인형을 제공하는 데에도 있다.
본 발명에 의한 2겹 봉제 인형은, 쿠션재와; 일정한 디자인으로 재단된 제1,2겉감 원단으로 이루어지며 내부에 상기 쿠션재가 삽입되는 겉감으로 구성된 봉제 인형으로서, 상기 제1,2겉감 원단 중 어느 하나의 테두리부에 접착제를 도포하여 접착층을 형성한 상기 제1,2겉감 원단을 포개어 상기 접착층을 통해 1차로 접착하는 제1단계와; 상기 제1단계를 통해 접착된 제1,2겉감 원단의 테두리부로부터 일정 간격 안쪽에 테두리부를 따라 재봉하여 재봉선을 형성하는 제2단계와; 상기 제2단계를 통해 재봉으로 결합된 제1,2겉감 원단의 테두리부가 벌어지지 않도록 테두리 감침선으로 재봉하는 제3단계를 통해 제조되며, 상기 제3단계에서는, 바늘을 제2겉감 원단의 안쪽에서 바깥쪽으로 관통시키고 상기 제2겉감 원단으로 나온 바늘을 상기 제1겉감 원단의 바깥쪽에서 안쪽으로 반쯤 통과시킨 후 실을 반시계방향으로 돌려 바늘을 빼고, 상기 제1,2겉감 원단을 겹친 상태에서 바늘을 반쯤 통과시키고 실을 반시계방향으로 돌려 빼내어 테두리 감침선을 형성하되, 상기 바늘을 상기 재봉선의 구멍을 통해 통과시켜 상기 테두리 감침선이 상기 재봉선의 구멍을 따라 배열되도록 하며, 상기 제1단계에서는 상기 제1,2겉감 원단을 레이저 재단하여 상기 제1,2겉감 원단의 테두리부측 재단부를 검은색으로 변색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2겹 봉제 인형에 의하면, 테두리 감침선은 2겹 봉제 인형의 가장자리 끝단과 원단의 접착부분에 동시에 재봉되기 때문에 원단의 결합력이 극대화되어 잦은 사용과 접촉시에도 쉽게 끊어지지 않는 이점이 있을 뿐만 아니라, 종래의 봉제방법이 구유하고 있는 획일적이고 정형화된 형상을 탈피하고 마감처리가 깔끔하면서도 봉제 인형의 장식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고, 더불어 미려한 재봉부 디자인을 갖도록 할 수 있으며, 테두리 감침선이 기 재봉된 재봉선의 구멍을 통해 재봉되어 테두리 감침선을 균일하게 배열하므로 제품의 상품 가치를 높이면서 불량률을 줄일 수 있다. 또한, 원단의 테두리부를 레이저 재단하여 원단에서 느낄 수 없는 새로운 분위기를 연출할 수 있다.
또한, 봉제 인형의 외부로 테두리 감침선이 노출되므로, 만약 테두리 감침선의 재봉실 중 일부분이 끊어졌을 경우 바늘과 실만 있으면 누구나 손쉽게 그 끊어진 부위만 다시 테두리 감침선 단계를 통해 손쉽게 보수할 수 있음에 따라 제품의 수명을 연장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봉제 인형의 사시도.
도 2a 내지 도 2e는 본 발명에 의한 봉제 인형의 제조 공정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봉제 인형의 테두리 감침선의 과정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봉제 인형에 적용된 쿠션재가 쿠션낭을 통해 겉감에 수납되는 예시도.
도 1과 도 2c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봉제 인형(100)은, 두께가 있는 직물이나 가죽 등의 겉감(10)과, 겉감(10)의 안에 삽입되는 쿠션재(20)로 구성되며, 가방용 액세서리, 유아용 인형 등 다양한 제품으로 제작된다.
겉감(10)은 동일한 디자인으로 재단된 2장의 겉감 원단[제1,2겉감 원단(11,12)이라 칭함]으로 이루어진다.
쿠션재(20)는 사용자가 잡거나 안았을 경우 편안한 촉감과 쿠션감(cushion)을 제공할 수 있도록 솜, 스펀지, 합성수지 펠릿, 곡식알갱이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다.
쿠션재(20)는 겉감(10)의 내부공간에 삽입되므로 인해 봉제 인형(100)의 형상유지는 물론 자세변형을 용이하게 할 수 있으며, 사용자가 봉제 인형(100)을 소장함에 있어 안전성을 제공할 수 있다.
도 4에서 보이는 것처럼, 쿠션재(20)는 형태에 따라 겉감(10) 안에 직접 충진되거나 별도의 쿠션낭(21)을 통해 충진될 수도 있다. 쿠션낭(21)은 쿠션재(20)가 담기는 주머니로서 겉감(10)이 찢어지는 등 손상되어도 쿠션재(20) 특히 작은 알갱이 형태의 쿠션재(20)가 누출되는 것을 막는다. 쿠션낭(21)은 예를 들어 겉감(10)과 동일 내지 유사한 디자인으로 재단된 2장의 원단(천, 가죽 등)의 테두리부가 접착 또는 겉감(10)과 함께 재봉되어 이루어진다. 쿠션낭(21)은 쿠션재(20)의 충진이 가능하도록 일부분이 개방되도록 접착 또는 재봉되며, 쿠션재(20)가 충진된 후 접착 또는 재봉되지 않은 개방부가 접착 내지 재봉되어 마감됨으로써 이루어지거나 겉감(10)에 접착 또는 재봉되어 사용될 수 있다.
쿠션낭(21)은 2장의 원단이 내부가 밖을 향하도록 뒤집힌 상태로 쿠션재(20)를 삽입할 수 있도록 삽입부를 남기고 테두리부가 봉제된 후 외부가 밖을 향하도록 다시 뒤집힌 후 상기 삽입부가 봉제 마감되어 이루어질 수도 있다.
쿠션낭(21)이 사용된 경우 제1,2겉감 원단(11,12)의 삽입공간(14)을 통해 쿠션낭(21)을 삽입할 수도 있고, 다르게는 쿠션낭(21)을 제1,2겉감 원단(11,12)의 사이에 넣고 제1,2겉감 원단(11,12)의 테두리부를 재봉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방법에서는 후술하는 쿠션재(20)를 충진하기 위한 삽입공간(14)이 불필요하므로 삽입공간(14)을 형성하기 위한 공정은 없어진다.
봉제 인형(100)의 제조 방법은 다음과 같다.
봉제 인형(100)은 제1,2겉감 원단(11,12)의 테두리부가 접착과 봉제를 통해 처리되어 제조된다.
도 2a 내지 도 2d에서처럼, 제1,2겉감 원단(11,12)을 재단하여 준비한다. 제1,2겉감 원단(11,12)은 일반 재단(커터방식)일 수도 있고 레이저 재단일 수도 있다. 후자인 레이저 재단의 경우 레이저의 열에 의해 제1,2겉감 원단(11,12)의 테두리 재단부는 검게(여기서 검은색은 그을음에 의한 색을 말한다) 그을리게 되며, 이와 같은 색상 변화를 통해 엔틱한 분위기를 연출할 수 있다.
도 2a에서 보이는 것처럼, 제1,2겉감 원단(11,12)을 봉제하기 전에 접착한다. 이는 봉제시 제1,2겉감 원단(11,12)이 움직이지 않도록 하여 불량률을 낮추기 위함이다.
예를 들어 제1겉감 원단(11)[또는 제2겉감 원단(12)]의 테두리부에 접착제를 도포하여 접착층(13)을 형성한다. 쿠션재(20)를 제1,2겉감 원단(11,12)의 안에 삽입할 때 접착제에 쿠션재(20)가 접착되면 쿠션재(20)를 삽입하는 것이 어려울 것이므로 쿠션재(20)를 삽입하기 위한 공간(14)(쿠션재(20)를 삽입할 수 있는 최소 크기)을 남겨두고 접착제를 도포한다.
도 2b와 같이, 제1,2겉감 원단(11,12)의 테두리부를 맞춰 일치하고 접착층(13)이 있는 테두리부를 눌러 제1,2겉감 원단(11,12)을 접착한다. 이렇게 되면 접착제가 도포되지 않은 공간(14)이 만들어지며, 이 공간을 통해 쿠션재(20)를 제1,2겉감 원단(11,12) 안에 삽입한다(도 2c).
이어서, 도 2d에서처럼, 제1,2겉감 원단(11,12)의 가장자리를 따라 재봉틀 또는 바늘(1)을 이용한 수작업을 통해 재봉하여 재봉선(15)을 형성한다. 쿠션재(20)는 재봉 이후 또는 재봉 이전에 삽입된다.
겉감(10)의 내부공간에는 쿠션재(20)가 삽입되기 때문에 봉제 인형(100)의 가장자리를 따라 계속 재봉하다가 재봉 시작 지점부터 일정 거리 이격된 위치에서 재봉을 멈춰 재봉 시작 지점과 재봉 끝 지점 사이에 삽입공간(14)을 형성하여 쿠션재(20)가 삽입되도록 한다.
재봉선(15)의 재봉 시작 지점은 겉감(10)의 가장자리 중 접착제가 도포되지 않은 일측 부분으로 정하고, 재봉 끝 지점은 겉감(10)의 가장자리 중 접착제가 도포되지 않은 타측 부분으로 정하여 접착제가 도포되지 않은 간격과 재봉이 되지 않은 간격이 동일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삽입공간(14)은 쿠션재(20)를 보다 용이하게 삽입하기 위하여 다수개로 형성될 수도 있다.
그리고, 겉감(10)의 내부공간에 쿠션재(20)를 삽입한 다음에는 재봉선(15)을 형성하는 방법과 동일한 방법으로 삽입공간(14)을 재봉하여 봉제 인형(100)의 내부공간에 삽입된 쿠션재(20)가 외부로 튀어나오지 않도록 한다.
마지막으로, 겉감(10)의 테두리부를 재봉하여 테두리 감침선(16)을 형성한다(도 2e).
테두리 감침선(16)은 제1,2겉감 원단(11,12) 사이가 벌어지는 것을 막기 위한 것으로, 제1,2겉감 원단(11,12)이 재봉[재봉선(15)]되지만 재봉선(15)은 제1,2겉감 원단(11,12)의 테두리부로부터 안쪽으로 이격된 곳에 형성되기 때문에 재봉선(15) 바깥쪽에서 제1,2겉감 원단(11,12)은 벌어짐이 발생된다. 이와 같은 벌어짐이 과도하면 재봉선(15)이 끊어지게 되어 봉제 인형(100)의 손상을 일으키게 되며 테두리 감침선(16)은 이러한 벌어짐을 막기 위한 것이며, 다음과 방법으로 형성된다.
도 3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바늘을 제2겉감 원단(12)의 안쪽에서 바깥쪽으로 관통시키고 제2겉감 원단(12)으로 나온 바늘을 상기 제1겉감 원단(11)의 바깥쪽에서 안쪽으로 반쯤 통과시킨 후 실을 반시계방향으로 돌려 바늘을 빼고, 제1,2겉감 원단(11,12)을 겹친 상태에서 바늘을 반쯤 통과시키고 실을 반시계방향으로 돌려 빼내어 테두리 감침선을 형성하되, 상기 바늘을 재봉선(15)의 구멍(15a)을 통해 통과시켜 테두리 감침선(16)이 상기 재봉선의 구멍을 따라 배열되도록 한다.
이와 같은 방식으로 겉감(10)과 재봉선(15)이 맞닿는 전체구간을 재봉하여 마감한다.
재봉선(15)을 통해 제1,2겉감 원단(11,12)이 고정된 상태에서 테두리 감침선(16)을 형성하기 때문에 수작업으로 테두리 감침선(16)을 형성하여도 제1,2겉감 원단(11,12)의 흐트러짐이 없고 또한, 테두리 감침선(16)을 형성하는 바늘이 재봉선(15)이 봉재된 구멍(15a)에 관통되어 테두리 감침선(16)의 간격이 동일하므로 제품의 불량을 막을 수 있다.
테두리 감침선(16)은 봉제 인형(100)의 가장자리와 겉감(10)의 접착 부분에 동시에 재봉되기 때문에 제1,2겉감 원단(11,12)의 결합력이 극대화되어 잦은 사용과 접촉시에도 쉽게 끊어지지 않을 뿐만 아니라, 마감처리가 깔끔하면서도 봉제 인형(100)의 장식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고, 더불어 미려한 재봉부 디자인을 갖도록 한다.
또한, 봉제 인형(100)의 외부로 테두리 감침선(16)이 노출되므로, 테두리 감침선(16)의 재봉실(1) 중 일부분이 끊어졌을 때 그 끊어진 부위만 다시 용이하게 보수할 수 있음에 따라 제품의 수명을 연장할 수 있다.
상기에서 테두리 감침선(16)의 재봉실(1)은 하나 또는 복수의 색소가 혼합되어 제작된다. 예컨대, 상기 봉제 인형(100)의 색상이 하얀색일 경우 재봉실(1)의 색상을 분홍색, 노란색, 아이보리 색상 중 어느 하나의 색상을 선택하여 혼합하거나, 하나의 재봉실(1)의 다색의 색소를 분할하여 혼합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봉제 인형(100)의 장식 효과를 극대화 할 있고, 더불어 사용자에게 미려한 재봉부 디자인을 갖는 봉제 인형(100)을 제공할 수 있다.
제1,2겉감 원단(11,12)은 레이저 재단시 테두리측 재단부가 레이저의 열에 의해 그을리게 됨으로써 제1,2겉감 원단(11,12)과 다른 색으로 변색되어 다른 분위기를 표현할 수 있다. 즉, 제1,2겉감 원단(11,12)의 재단부를 다른 색으로 표현하기 위해서 별도의 가공을 거치는 것이 아니라 재단의 공정을 통해 재단과 변색을 유도함으로써 제조 공정을 줄일 수 있다.
삭제
삭제
10 : 겉감, 11,12 : 제1,2겉감 원단
13 : 접착층, 14 : 삽입공간
15 : 재봉선, 16 : 테두리 감침선
20 : 쿠션재

Claims (4)

  1. 쿠션재(20)와;
    일정한 디자인으로 재단된 제1,2겉감 원단(11,12)으로 이루어지며 내부에 상기 쿠션재가 삽입되는 겉감(10)으로 구성된 봉제 인형에 있어서,
    상기 제1,2겉감 원단을 레이저 재단하여 상기 제1,2겉감 원단의 테두리부측 재단부가 검게 변색되도록 하고, 상기 제1,2겉감 원단(11,12) 중 어느 하나의 테두리부에 접착제를 도포하여 접착층(13)을 형성한 상기 제1,2겉감 원단을 포개어 상기 접착층을 통해 1차로 접착하는 제1단계와;
    상기 제1단계를 통해 접착된 제1,2겉감 원단의 테두리부로부터 일정 간격 안쪽에 테두리부를 따라 재봉하여 재봉선(15)을 형성하는 제2단계와;
    상기 제2단계를 통해 재봉으로 결합된 제1,2겉감 원단의 테두리부가 벌어지지 않도록 테두리 감침선(16)으로 재봉하는 제3단계를 통해 제조되며,
    상기 제3단계에서는, 바늘을 제2겉감 원단(12)의 안쪽에서 바깥쪽으로 관통시키고 상기 제2겉감 원단으로 나온 바늘을 상기 제1겉감 원단(11)의 바깥쪽에서 안쪽으로 반쯤 통과시킨 후 실을 반시계방향으로 돌려 바늘을 빼고, 상기 제1,2겉감 원단을 겹친 상태에서 바늘을 반쯤 통과시키고 실을 반시계방향으로 돌려 빼내어 테두리 감침선을 형성하되, 상기 바늘을 상기 재봉선의 구멍(15a)을 통해 통과시켜 상기 테두리 감침선이 상기 재봉선의 구멍을 따라 배열되도록 하며,
    상기 쿠션재는 쿠션낭(21)의 내부에 충진되어 상기 겉감(10) 내부에 수납되며, 상기 쿠션낭(21)은 내부에 상기 쿠션재가 충진되도록 2장의 원단의 테두리부가 접착 또는 봉제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2겹 봉제 인형.
  2. 삭제
  3. 삭제
  4. 삭제
KR1020110088174A 2011-08-31 2011-08-31 2겹 봉제 인형 KR10109847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88174A KR101098476B1 (ko) 2011-08-31 2011-08-31 2겹 봉제 인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88174A KR101098476B1 (ko) 2011-08-31 2011-08-31 2겹 봉제 인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98476B1 true KR101098476B1 (ko) 2011-12-23

Family

ID=455069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88174A KR101098476B1 (ko) 2011-08-31 2011-08-31 2겹 봉제 인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98476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40182A (ko) * 2018-06-11 2019-12-19 양지윤 직물 복합체
KR102373769B1 (ko) 2021-09-29 2022-03-17 (주)오운유 점등부재를 포함하는 디아이와이 인형 키트
WO2022232203A1 (en) * 2021-04-28 2022-11-03 Allinfun Pty Ltd. Plush toy with attached lenticular printed film
KR20220160256A (ko) 2021-05-27 2022-12-06 김정순 가죽시트를 이용한 봉제인형의 제조방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39303B1 (ko) * 2008-10-29 2010-01-28 한상성 자외선 감응 변색 의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39303B1 (ko) * 2008-10-29 2010-01-28 한상성 자외선 감응 변색 의류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40182A (ko) * 2018-06-11 2019-12-19 양지윤 직물 복합체
KR102146092B1 (ko) 2018-06-11 2020-08-19 양지윤 직물 복합체
WO2022232203A1 (en) * 2021-04-28 2022-11-03 Allinfun Pty Ltd. Plush toy with attached lenticular printed film
KR20220160256A (ko) 2021-05-27 2022-12-06 김정순 가죽시트를 이용한 봉제인형의 제조방법
KR102373769B1 (ko) 2021-09-29 2022-03-17 (주)오운유 점등부재를 포함하는 디아이와이 인형 키트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98476B1 (ko) 2겹 봉제 인형
US20060212993A1 (en) Manufacture of cap decoration of multi-layer 3D effect
US1690778A (en) Doll
CN105080146A (zh) 一种人形充棉毛绒玩具的制作方法
US4629441A (en) Fabric doll face with stuffed feature, and method
US1741620A (en) Hemstitched applique work and process of making the same
US5123870A (en) Doll face and head featuring fusible adhesive and an apertured batting module
US10874153B2 (en) Adornment assembly for an article and method of forming an adornment assembly
US10780806B2 (en) Method for assembling an upholstery for a seat or for stuffed furniture and related upholstery
US3226732A (en) Applique article and method of manufacture
CN105080147A (zh) 一种含电子元件的充棉毛绒玩具的制作方法
US20170367421A1 (en) Mask assembly and method of fabricating the same
JP2002325978A (ja) ぬいぐるみ作成方法、およびこの方法により作成されたぬいぐるみ、ならびにこのぬいぐるみを作成するためのぬいぐるみ作成セット
KR20110061395A (ko) 2겹 모형물 제조방법
US2004307A (en) Powder puff and method of making the same
JP3140324U (ja) マフラー
CN205549578U (zh) 一种布艺玩偶手工制作玩具
JP3153354U (ja) 寝袋の構造
CN202168488U (zh) 一种女靴
CN201139324Y (zh) 一种睡袋
CN202278909U (zh) 不织布缝贴画
JP2009039942A (ja) 絵画制作に使用される糸の処理方法
JP3198600U (ja) 手芸キット
KR20240056203A (ko) 봉제인형의 이마라인 형성방법
JPS629440B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1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1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0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06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21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16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