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46092B1 - 직물 복합체 - Google Patents

직물 복합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46092B1
KR102146092B1 KR1020180066649A KR20180066649A KR102146092B1 KR 102146092 B1 KR102146092 B1 KR 102146092B1 KR 1020180066649 A KR1020180066649 A KR 1020180066649A KR 20180066649 A KR20180066649 A KR 20180066649A KR 102146092 B1 KR102146092 B1 KR 10214609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yer
fabric
paper
composite
paper lay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666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140182A (ko
Inventor
양지윤
Original Assignee
양지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양지윤 filed Critical 양지윤
Priority to KR102018006664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46092B1/ko
Publication of KR2019014018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4018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4609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4609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7/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on between layer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ve orientation of features between layers, or by the relative values of a measurable parameter between layers, i.e. products comprising layers having different 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04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08Interconnection of layers by mechanical means
    • B32B7/09Interconnection of layers by mechanical means by stitching, needling or sewing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33/00Other toys
    • A63H33/006Infant exercisers, e.g. for attachment to a crib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9/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paper or cardboard
    • B32B29/02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paper or cardboard next to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8/00Ancillary operations in connection with laminating processes
    • B32B38/08Impregna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5/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 B32B5/02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structural features of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 B32B5/024Woven fabric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5/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 B32B5/22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the presence of two or more layers which are next to each other and are fibrous, filamentary, formed of particles or foamed
    • B32B5/24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the presence of two or more layers which are next to each other and are fibrous, filamentary, formed of particles or foamed one layer being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 B32B5/26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the presence of two or more layers which are next to each other and are fibrous, filamentary, formed of particles or foamed one layer being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another layer next to it also being fibrous or filamentary
    • B32B5/262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the presence of two or more layers which are next to each other and are fibrous, filamentary, formed of particles or foamed one layer being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another layer next to it also being fibrous or filamentary characterised by one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being a woven fabric lay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7/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on between layer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ve orientation of features between layers, or by the relative values of a measurable parameter between layers, i.e. products comprising layers having different 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04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08Interconnection of layers by mechanical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8/00Ancillary operations in connection with laminating processes
    • B32B2038/0052Other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32B2038/008Sewing, stitch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5/00Condition, form or state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5/10Fibres of continuous length
    • B32B2305/18Fabrics, texti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ediatric Medicine (AREA)
  • Laminated Bod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직물 복합체가 개시된다. 상기 직물 복합체는, 굴곡 가능한 직물층; 상기 직물층 보다 큰 강성을 갖는 종이층; 및 상기 직물층과 상기 종이층을 결합하는 결합부를 포함하고, 상기 결합부는 서로 적층된 상기 직물층 및 상기 종이층의 표면 상의 결합선을 따라 봉제(sewing)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Description

직물 복합체{FABRIC COMPOSITE}
본 발명은 직물 복합체에 관한 것으로서, 봉제(sewing)를 통해 직물층과 종이층을 결합하는 직물 복합체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직물 및 직물 모빌을 도시한다.
도 1의 (a)에서 도시되는 바와 같이, 비침이 있고, 얇고 성긴 구조의 직물, 예를 들어, 한복천, 망사 등은 빛이 자연스럽게 투과하면서 아름다운 미감을 형성할 수 있지만, 자체 강성이 부족하여 그 형태를 유지하기 어려운 문제가 있었다.
따라서 직물을 활용하여 모빌을 구현하는 경우, 도 1의 (b)에서 도시되는 바와 같이, 대응하는 직물 한 쌍을 서로 덧데어 가장자리를 둘러 꼬메어 솜으로 속을 채워 입체로 방식으로 구성된다. 그러나 이와 같이 구성할 경우, 직물 특유의 하늘거리는 느낌이 사라지고 아름다운 투명성도 사라지게 되는 문제가 있었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기술이 요구된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봉제를 통해 직물층과 종이층을 결합하는 직물 복합체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들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직물 복합체가 개시된다. 상기 직물 복합체는, 굴곡 가능한 직물층; 상기 직물층 보다 큰 강성을 갖는 종이층; 및 상기 직물층과 상기 종이층을 결합하는 결합부를 포함하고, 상기 결합부는 서로 적층된 상기 직물층 및 상기 종이층의 표면 상의 결합선을 따라 봉제(sewing)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결합선은 상기 직물층 및 상기 종이층의 내측 표면 상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결합선은 상기 직물 복합체의 일 단부에서 타단부로 길이 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직물층과 상기 종이층은 상기 결합선을 따라 절첩될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직물층과 상기 종이층은 서로 반대 방향으로 절첩될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직물 복합체에 강성을 부여하기 위해 상기 결합선은 소정의 각도로 굴곡된 선일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결합선은 종이층의 절첩선의 적어도 일부과 중첩할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직물층과 상기 종이층은 서로 대응하는 형상일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직물층은 비침이 있는 직물 재질일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직물층은 복수 개로 구성되어 상기 결합부에 의해 결합할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종이층에는 방향제가 함침되고, 상기 직물층을 통해 방사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다중 레이어 복합체가 개시된다. 상기 다중 레이어 복합체는, 굴곡 가능한 재질의 제 1 레이어; 상기 제 1 레이어보다 큰 강성을 갖는 제 2 레이어; 및 상기 제 1 레이어와 상기 제 2 레이어를 결합하는 결합부를 포함하고, 상기 결합부는 서로 적층된 상기 제 1 레이어 및 상기 제 2 레이어의 내측 표면의 결합선을 따라 봉제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봉제를 통해 직물층과 종이층을 결합함으로써, 기존의 화학물질을 이용한 접착부재를 통한 레이어 간의 결합에 비하여 친환경적이고, 보다 견고한 결합을 유지하도록 할 수 있다. 특히, 곡선의 결합선을 통해 직물 복합체에 보다 큰 강성을 부여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직물 복합체는 결합선을 따라 절첩되어, 절첩선을 중심으로 강성이 형성되어, 직물 복합체의 형상을 보다 안정적이고 견고하게 유지하도록 할 수 있으며, 직물층 및 종이층이 서로 일정 각도 이격함으로써, 비침이 있는 직물층을 빛이 투과하고, 투과한 빛이 종이층에 인쇄된 색상과 중첩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결합부가 봉제에 의하기 때문에, 직물층 및 종이층 중 적어도 하나가 복수 개로 구성되더라도, 용이하게 결합이 가능하여, 보다 다양한 형상을 제조할 수 있다. 특히, 복수의 직물층은 서로 어긋나게 배치하여 종이층과 직물층의 단순 적층에서 오는 단조로움을 탈피하고, 시각적인 신선함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직물층과 종이층의 평면적인 적층 조합을 입체적으로 변경하여 보다 생동감 있는 움직임과 이미지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직물 복합체에는 방향제가 함침되어 디퓨져로서 기능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종이층은 절첩 가능한 카드나 엽서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직물 복합체 또는 직물 복합체의 조합은 공중이나 천장에 매달리는 모빌(mobile)로 구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 인용되는 도면을 보다 충분히 이해하기 위하여 각 도면의 간단한 설명이 제공된다.
도 1은 종래의 직물 및 직물 모빌을 도시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직물 복합체를 도시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직물 복합체를 도시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직물 복합체를 도시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직물 복합체를 도시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직물 복합체를 도시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직물 복합체를 도시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직물 복합체를 도시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직물 복합체를 도시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은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이하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할 것이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이에 한정되거나 제한되지 않고 당업자에 의해 변형되어 다양하게 실시될 수 있다. 한편, 이하에서 기재되는 편의상 상하좌우의 방향은 도면을 기준으로 한 것이며, 해당 방향으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반드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은 서로 상이한 재질의 레이어로 구성되는 다중 레이어 복합체에 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 굴곡 가능한 재질의 제 1 레이어; 제 1 레이어보다 큰 강성을 갖는 제 2 레이어; 및 제 1 레이어와 제 2 레이어를 결합하는 결합부를 포함하고, 결합부는 서로 적층된 제 1 레이어 및 제 2 레이어 상의 결합선을 따라 봉제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제 1 레이어는 직물 재질로 이루어지는 직물층일 수 있으며, 제 2 레이어는 종이 재질로 이루어지는 종이층일 수 있다.
이하에서는 직물층 및 종이층을 대상으로 하여 본 발명을 설명하나, 레이어의 재질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직물층 및 종이층이 아닌 레이어에 대해서도 적용 가능하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직물 복합체를 도시한다.
구체적으로, 도 2의 (a)는 직물 복합체의 평면을 도시하고, 도 2의 (b)는 직물 복합체의 저면을 도시한다.
도시되는 바와 같이, 직물 복합체(200)는 상이한 재질의 레이어가 적층 및 결합된 것으로서, 직물층(210), 종이층(230) 및 결합부(250)를 포함할 수 있다.
직물층(210)은, 직물(fabric) 재질로 이루어지는 레이어일 수 있다. 직물층(210)은 복수 개로 구성될 수 있으며, 이들은 서로 동일하거나 상이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또한, 복수 개의 직물층(210) 중 일부는 서로 적층되거나, 동일한 평면 상에(즉, 동일한 직물층(210) 또는 종이층(230)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직물 재질은 천연섬유, 인조섬유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천연섬유는, 실크, 면화, 케이폭면, 코이어, 마닐라삼, 사이잘삼, 아마, 저마, 대마, 케나프, 아바카, 사이설삼, 카폭, 모시풀, 황마, 삼, 양모, 산양모, 캐시미어, 낙타모, 낙타털, 알파카, 모섬유, 가잠견, 야잠견, 석면, 셀룰로오스계 섬유 등을 포함할 수 있고, 인조섬유는, 합성 실크, 폴리노직 레이온, 비스코스 레이온, 류프라 레이온, 아세테이트, 트라이아세테이트, 폴리에스터계 섬유, 폴리우레탄계 섬유, 폴리에틸렌계 섬유, 폴리염화비닐계 섬유, 폴리비닐리덴계 섬유,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계 섬유, 폴리올리펜계 섬유, 폴리아미드계 섬유, 카제인 섬유, 알긴산 섬유, 셀루로오스계 섬유, 고무 섬유, SBR, NR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직물층(210)은 굴곡 가능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한복천, 시스루천 등과 같이 비침이 있도록 성긴 구조를 가지는 직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종이층(230)은 종이 재질로 이루어지는 레이어로서, 직물층(210)과 결합하여 배치될 수 있다. 종이층(230)은 직물층(210)보다 더 큰 강성을 가질 수 있다. 즉, 종이층(230)은 직물층(210)에 비하여 굴곡의 정도가 약하거나 없을 수 있으며, 따라서, 종이층(230)은 직물 복합체(200)의 베이스로 기능할 수 있다. 종이층(230)은 예를 들어, 마닐라지, 스노우지, 아트지, 모조지, 한지, 각종 수입지 등의 종이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종이층(230)은 직물층(210)에 대응하는 형상일 수 있으며, 특히, 직물층(210)이 복수의 레이어로 이루어지는 경우, 복수의 레이어 중 하나의 형상에 대응할 수 있다.
결합부(250)는, 직물층(210)과 종이층(230)을 결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결합부(250)는 직물층(210) 및 종이층(230)을 적층한 상태에서 소정의 결합선을 따라 봉제(sewing)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즉, 결합부(250)는 직물층(210) 및 종이층(230)에 동시에 박음질된 재봉실로 구현되며, 특히, 결합선은, 직물층(210) 및 종이층(230)의 가장자리(또는 테두리)에 형성되는 것이 아니라, 내측 표면에 형성될 수 있다. 또는, 결합선은 직물 복합체(200)의 일 단부에서 타단부로 길이 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결합선은 직선, 곡선 또는 이들이 조합일 수 있다. 이때, 곡선의 결합선은, 직물 복합체(200)에 보다 큰 강성을 부여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봉제에 의한 결합부(250)는, 기존의 화학물질을 이용한 접착부재를 통한 레이어 간의 결합에 비하여 친환경적이고, 보다 견고한 결합을 유지하도록 할 수 있다. 특히, 결합부(250)가 봉제에 의하기 때문에, 직물층(210) 및 종이층(230) 중 적어도 하나가 복수 개로 구성되더라도, 용이하게 결합이 가능하여, 보다 다양한 형상을 제조할 수 있다.
또한, 하기 더 상세히 설명할 바와 같이, 직물 복합체(200)는 결합부(250)의 결합선을 중심으로 절첩될 수 있다. 즉, 결합선을 따라 박음질되는 재봉실에 의해 직물층(210) 및 종이층(230)은 용이하게 절첩될 수 있으며, 이때, 결합선은 절첩선으로 기능할 수 있다. 따라서 직물층(210)과 종이층(230)의 평면적인 적층 조합을 입체적으로 변경하여 보다 생동감 있는 움직임과 이미지를 제공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본 발명의 직물 복합체(200)가 공중이나 천장에 매달리는 모빌(mobile)로 구현될 수 있는데, 이 경우 직물층(210)과 종이층(230)과 같이 가벼운 소재로 이루어져, 바람이나 외부 자극에 민감하게 반응할 수 있다. 특히, 비침이 있는 직물층(210)을 통해 빛이 자연스럽게 투과하고, 직물층(210)과 결합한 종이층(230)에 인쇄된 색상과 중첩되면서 신비롭고 아름다운 미감을 연출할 수 있다.
또한, 실시예에 따라, 직물 복합체(200)에는 방향제가 함침될 수 있다. 직물 복합체(200)의 종이층(230) 및 직물층(210)은, 그 재질의 고유의 뛰어난 함침 성능을 가진다는 점에서 디퓨져로서 기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종이층(230)에는 주로 방향제가 함침되고, 종이층(230)에 함침된 방향제가 주로 직물층(210)을 통해 방사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직물 복합체를 도시한다.
도시되는 바와 같이, 직물 복합체(300)는 결합부(250)의 결합선(252)을 중심으로 절첩될 수 있다. 이때 결합선(252)을 따라 박음질되는 재봉실에 의해 직물층(210) 및 종이층(230)은 용이하게 절첩될 수 있으며, 따라서 결합선(252)은 절첩선으로 기능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결합선(252)을 따라 박음질되는 재봉실이 직물층(210) 및 종이층(230)의 절첩 상태를 보다 안정적으로 유지하도록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절첩선을 중심으로 강성이 형성되어, 직물 복합체(300)의 형상을 보다 안정적이고 견고하게 유지하도록 할 수 있다.
특히, 직물층(210)과 종이층(230)은 서로 반대 방향으로 절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직물층(210)과 종이층(230)은 서로 상이한 방향으로 절첩되고, 따라서 직물층(210)은 결합선(252)을 중심으로 양 측이 서로 마주보는 방향으로 절첩되고, 마찬가지로 종이층(230) 또한, 결합선(252)을 중심으로 양 측이 서로 마주보는 방향으로 절첩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절첩에 의해, 직물층(210) 및 종이층(230)이 서로 인접하거나 밀착하지 않고, 결합선(252)을 따라 서로 일정 각도 이격함으로써, 비침이 있는 직물층(210)을 빛이 투과하고, 투과한 빛이 종이층(230)에 인쇄된 색상과 중첩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직물층(210)이 복수 개로 구성되는 경우, 직물층(210) 중 적어도 일부만이 결합선(252)을 따라 절첩될 수 있으며,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직물 복합체를 도시한다.
도시되는 바와 같이, 직물 복합체(400, 500)의 직물층(210)은 복수 개로 구성될 수 있으며, 이들은 동일한 결합부(250)의 결합선(252)을 통해 연결될 수 있다. 결합선(252)은 직물 복합체(400)(특히 종이층(23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일 단부에서 타 단부로 형성되되, 곡률이 가미되어, 직물 복합체(400, 500)에 더 큰 강성을 부여할 수 있다.
또한, 직물층(210)은 종이층(230)과 서로 대응하는 형상을 갖되, 서로 어긋나게 배치된 상태에서 결합부(250)에 의해 결합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직물층(210)과 종이층(230)의 형상을 통일하여 안정감을 주면서도, 동일성에서 오는 단조로움을 탈피하고, 시각적인 신선함을 제공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직물 복합체를 도시한다.
도시되는 바와 같이, 종이층(230')은 예를 들어, 카드나 엽서 등으로 구현될 수 있으며, 소정의 절첩선(212)에 따라 절첩 가능할 수 있다. 이때, 결합부(250)의 결합선(252)은 종이층(230')의 절첩선(212)의 적어도 일부과 중첩될 수 있다. 즉 절첩선(212)을 따라 결합선(252)이 형성됨으로써, 결합선(252)이 외부에서 시각적으로 인식되기 어렵게 할 수 있으며, 특히 직물층(210')은 결합선(252)을 중심으로 소정의 이격 각도를 갖는데, 종이층(230')의 절첩에 따라 자연스럽게 직물층(210')이 벌어지거나 오므러 들면서 이러한 이격 각도가 변화하여 동적이면서도 자연스러운 미감인 창출해낼 수 있다. 또한, 하측에서 도시되는 바와 같이, 종이층(230')의 일부가 자연스럽게 절개되어, 직물층(210')과 연속적인 미감을 형성할 수 있다.
한편, 실시예에 따라, 직물 복합체(600)에는 방향제가 함침될 수 있는데, 종이층(230')의 절첩 및 이에 따른 직물층(210')의 이격 각도 변화에 따라 보다 자연스럽고 원활하게 함침된 방향제가 방사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직물 복합체를 도시한다.
도 7을 참조하면, 복수 개로 직물 복합체로 구성된 직물 복합체의 조합이 도시된다. 각각의 직물 복합체는 소정의 연결부를 통해 서로 연결될 수 있다. 이때, 연결부는 직물 복합체에서 상대적으로 강한 강성을 갖는 부위인 결합부의 결합선으로부터 연장하여 형성될 수 있으며, 직물 복합체의 종이층 및/또는 직물층이 용이하게 연결될 수 있도록 후크(hook) 형상을 가질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에 따라 이러한 직물 복합체의 조합은 공중이나 천장에 매달리는 모빌(mobile)로 구현될 수 있다. 복수 개의 직물 복합체가 조합되더라도 가벼운 소재로 이루어져 바람이나 외부 자극에 민감하게 반응할 수 있다. 특히, 직물 복합체를 연결하는 연결부 또한 후크 등으로 구성되어 각 직물 복합체의 흔들림을 억제하지 않고, 자연스럽게 살릴 수 있다.
또한, 비침이 있는 직물층을 통해 빛이 자연스럽게 투과하고, 직물층과 결합한 종이층에 인쇄된 색상과 중첩되면서 신비롭고 아름다운 미감을 연출할 수 있다. 특히, 직물 복합체에 방향제가 함침되는 경우, 바람에 따른 흔들림, 빛에 의한 시각적인 연출과 동시에 방향제가 방사되어 신비롭고 아름다운 분위기를 자아낼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직물 복합체를 도시한다.
도시되는 바와 같이, 직물 복합체의 조합은 조명 장치의 하단에 연결될 수 있다. 즉, 조명 장치에서 발광되는 빛이 직물 복합체의 조합으로 인가됨으로써, 보다 적극적을 빛에 의한 시각적인 효과를 연출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직물 복합체에 방향제가 함침되는 경우, 빛에 의해 방향제가 보다 원활히 방사되도록 하여 디퓨져로 기능하도록 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직물 복합체를 도시한다.
도 9에서 도시되는 바와 같이, 복수 개로 직물 복합체로 구성된 직물 복합체의 조합이 복수 개가 형성되되, 각각의 조합이 천장에 매달리는 모빌(mobile)로 구현될 수 있다.
각 직물 복합체의 직물층과 종이층이 서로 결합하되, 가벼운 소재로 이루어져 바람이나 외부 자극에 민감하게 반응할 수 있으며, 직물 복합체를 연결하는 연결부 또한 후크 등으로 구성되어 각 직물 복합체의 흔들림을 억제하지 않고, 자연스럽게 살릴 수 있다. 특히, 직물층과 종이층의 평면적인 적층 조합을 입체적으로 변경하여 보다 생동감 있는 움직임과 이미지를 제공할 수 있다.
이때, 천장에는, 조명 장치가 배치되어, 조명 장치에서 발광되는 빛이 직물 복합체의 조합으로 인가됨으로써, 보다 적극적을 빛에 의한 시각적인 효과를 연출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비침이 있는 직물층을 통해 빛이 자연스럽게 투과하고, 직물층(210)과 결합한 종이층에 인쇄된 색상과 중첩되면서 신비롭고 아름다운 미감을 연출할 수 있으며, 또한, 직물 복합체의 그림자가 바닥이나 벽면에 형성되어, 보다 다채로운 이미지를 형성할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도면과 명세서에서 최적 실시예가 개시되었다. 여기서 특정한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에서 사용된 것이지 의미한정이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하여 사용된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200, 400, 500, 600: 직물 복합체 210, 210': 직물층
212: 절첩선 230, 230': 종이층
250: 결합부 252: 결합선

Claims (12)

  1. 굴곡 가능한 직물층;
    상기 직물층보다 큰 강성을 갖는 종이층; 및
    상기 직물층과 상기 종이층을 결합하는 결합부를 포함하고,
    상기 결합부는 서로 적층된 상기 직물층 및 상기 종이층의 표면 상의 결합선을 따라 봉제(sewing)에 의해 형성되고,
    상기 결합선은 상기 직물층 및 상기 종이층의 내측 표면 상에 형성되고,
    상기 봉제에 의해 상기 결합선을 따라 상기 직물층과 상기 종이층이 서로 반대 방향으로 절첩되는, 직물 복합체.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선은 상기 직물 복합체의 일 단부에서 타단부로 길이 방향으로 형성되는, 직물 복합체.
  4. 삭제
  5. 삭제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직물 복합체에 강성을 부여하기 위해 상기 결합선은 소정의 각도로 굴곡된 선인, 직물 복합체.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선은 종이층의 절첩선의 적어도 일부과 중첩하는, 직물 복합체.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직물층과 상기 종이층은 서로 대응하는 형상인, 직물 복합체.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직물층은 비침이 있는 직물 재질인, 직물 복합체.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직물층은 복수 개로 구성되어 상기 결합부에 의해 결합하는, 직물 복합체.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종이층에는 방향제가 함침되고, 상기 직물층을 통해 방사되는, 직물 복합체.
  12. 굴곡 가능한 재질의 제 1 레이어;
    상기 제 1 레이어보다 큰 강성을 갖는 제 2 레이어; 및
    상기 제 1 레이어와 상기 제 2 레이어를 결합하는 결합부를 포함하고,
    상기 결합부는 서로 적층된 상기 제 1 레이어 및 상기 제 2 레이어의 내측 표면의 결합선을 따라 봉제에 의해 형성되고,
    상기 결합선은 상기 제 1 레이어 및 상기 제 2 레이어의 내측 표면 상에 형성되고,
    상기 봉제에 의해 상기 결합선을 따라 상기 제 1 레이어와 상기 제 2 레이어는 서로 반대 방향으로 절첩되는, 다중 레이어 복합체.
KR1020180066649A 2018-06-11 2018-06-11 직물 복합체 KR10214609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66649A KR102146092B1 (ko) 2018-06-11 2018-06-11 직물 복합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66649A KR102146092B1 (ko) 2018-06-11 2018-06-11 직물 복합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40182A KR20190140182A (ko) 2019-12-19
KR102146092B1 true KR102146092B1 (ko) 2020-08-19

Family

ID=690562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66649A KR102146092B1 (ko) 2018-06-11 2018-06-11 직물 복합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46092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190413A (ja) * 1998-12-28 2000-07-11 Sanwa Engineering:Kk 和紙複合材料
KR101098476B1 (ko) 2011-08-31 2011-12-23 김정순 2겹 봉제 인형
KR101789993B1 (ko) 2016-09-28 2017-11-20 김대종 의류 원단의 봉제 방법
JP6326640B1 (ja) 2016-12-04 2018-05-23 智宏 澁木 生地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73159A (ko) * 2012-12-06 2014-06-16 한상성 자외선 감응 직물 라벨을 이용한 패브릭 문양 팬시 제조방법 및 그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패브릭 문양 팬시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190413A (ja) * 1998-12-28 2000-07-11 Sanwa Engineering:Kk 和紙複合材料
KR101098476B1 (ko) 2011-08-31 2011-12-23 김정순 2겹 봉제 인형
KR101789993B1 (ko) 2016-09-28 2017-11-20 김대종 의류 원단의 봉제 방법
JP6326640B1 (ja) 2016-12-04 2018-05-23 智宏 澁木 生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40182A (ko) 2019-12-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744030B2 (ja) 改善された光拡散を備える発光電子テキスタイル
US8230969B2 (en) Acoustic panels, apparatus and assemblies with airflow-resistive layers attached to sound incident surfaces
TW397771B (en) Complex fabric having layers made from glass fibers and tissue paper
CN104802464A (zh) 用于形成三维物体的多层化纺织品材料
JP2007523773A5 (ko)
JP2016536483A5 (ko)
JP4028799B2 (ja) 強化物品及び製造方法
CN105592744B (zh) 拉链牙链带及其制造方法
KR102146092B1 (ko) 직물 복합체
EP3095901B1 (en) Gap-free woven fabric composed of tape-like warps and wefts
EP1577430A1 (en) Stuffing material of down stems for thermal protection
KR20160098680A (ko) 농축산용 보온피복재
CN105644078A (zh) 带阻燃功能的吸湿闪光面料
JP2012211697A (ja) 断熱体
US20180347085A1 (en) Process for making non-woven insulating sheeting and products of such process
TWM581603U (zh) Braided structure
US1096865A (en) Strip for weaving and like purposes.
CN114086294B (zh) 一种变形易于调控的纤维织物及模具组件
US1458008A (en) Filler form
CN107891642A (zh) 抗菌无纺布
JP5988016B2 (ja) ガラス織布を使用し、広告パネルに用いられる不燃性シート
JP2869655B2 (ja) 不織布およびそれを用いた合成樹脂製床材
CN105667021A (zh) 带阻燃功能的吸湿结构合理面料
JP3114973U (ja) 竹皮製容器
KR200214549Y1 (ko) 브래지어 컵의 충전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