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73159A - 자외선 감응 직물 라벨을 이용한 패브릭 문양 팬시 제조방법 및 그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패브릭 문양 팬시 - Google Patents

자외선 감응 직물 라벨을 이용한 패브릭 문양 팬시 제조방법 및 그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패브릭 문양 팬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73159A
KR20140073159A KR1020120140988A KR20120140988A KR20140073159A KR 20140073159 A KR20140073159 A KR 20140073159A KR 1020120140988 A KR1020120140988 A KR 1020120140988A KR 20120140988 A KR20120140988 A KR 20120140988A KR 20140073159 A KR20140073159 A KR 2014007315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abric
label
sensitive
ultraviolet
fanc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409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한상성
Original Assignee
한상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상성 filed Critical 한상성
Priority to KR102012014098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40073159A/ko
Publication of KR2014007315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7315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4DECORATIVE ARTS
    • B44FSPECIAL DESIGNS OR PICTURES
    • B44F1/00Designs or pictures characterised by special or unusual light effects
    • B44F1/08Designs or pictures characterised by special or unusual light effects characterised by colour effect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3/00Labels, tag tickets, or similar identification or indication means; Seals; Postage or like stamp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lor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외선 감응 직물 라벨을 이용한 패브릭 문향 팬시 제조방법 및 그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패브릭 문향 팬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자외선 감응 직물 라벨을 이용한 패브릭 문향 팬시 제조방법은, (a) 자외선 감응 직물로 한 면이 더한 반대로 이룬 양면의 가공된 라벨의 그림그리기 문양부 각기 반대의 문양부 뒷면을 접착제로 접착하거나 봉제하는 단계; 및 (b) 상기 (a) 단계에서 합치된 문양부를 정지할 때는 점성이 많아지다가 색체를 할 때는 점성이 낮은 젤 성분이 포함한 중성펜, 펄이 포함한 중성펜 및 색연필 중 어느 하나를 가지고 양쪽 문양부에 선택적으로 미술 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자외선 감응 직물 라벨을 이용한 패브릭 문향 팬시 제조방법 및 그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패브릭 문향 팬시{Fabric fancy manufacturing method and fabric fancy manufactured by the same}
본 발명은, 자외선 감응 직물 라벨을 이용한 패브릭 문향 팬시 제조방법 및 그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패브릭 문향 팬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자외선에 의하여 다양한 색상이 발현되는 자외선 감응 라벨에 있어서 디자인 문향이 차별적으로 장식 효과가 선택적으로 나타날 수 있게 하여 액세서리의 가치 향상을 제공할 수 있음은 물론 아이들의 창의력과 기획력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는, 자외선 감응 직물 라벨을 이용한 패브릭 문향 팬시 제조방법 및 그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패브릭 문향 팬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아이들이 체험하는 우드 팬시나 그림 그리기를 살펴보면 딱딱한 나무 디자인에 그림 색체를 한다.
그렇지만, 우드 특성상 색체 시 색체감이 어두워 밝은 색상을 나타내기에는 한계가 있을 수밖에 없다.
특히, 종전에는 디자인의 선과 선 사이에 있어서도 아주 세밀하지 못하면 색체가 번져서 고학년의 아이들이나 제한적으로 체험을 할 수 밖에 없어서 어린아이들의 교육적 측면으로 볼 때 체험연령이 제한적이고 고유의 색상에 의해 단일한 색상으로만 연출되므로 변화 있는 다양한 색상으로 연출할 수 없었다.
이처럼 색상의 변화가 불가능한 종래의 우드팬시나 그림 그리기를 통해서는 팬시 체험의 차별화 속에 아이들의 창의력 개발 기획력 발달 자기 주도성을 키우기 위해서는 한계가 있기 때문에, 태양광 조사 여부에 따라 다양한 색상과 디자인의 변화의 체험을 어린이들이 즐길 수 있게 개발이 필요 되기도 했다.
예를 들면, 대한민국특허청 출원번호 제10-2009-0058342호와 같은 기술이 공지되고 있다.
상기 문헌의 기술은 자외선에 의해서 감응하는 직물을 이용하여 자외선 감응 아동복 의류에 있어서 문양부 접기식 장식커버를 아플리켓 방법으로 의류에 접목시킨 것이다.
이와 같은 종래 기술(대한민국특허청 출원번호 제10-2009-0058342호)은 아이들의 개성적 감각을 추구하는 데는 어느 정도 효과를 기대할 수 있지만 아이들의 학습효과를 통한 창의력 과 기획력을 키어주는 데는 효과적이지 못하다는 문제점을 발생시키고 있으므로 이에 대한 개선된 연구 개발이 요구된다.
대한민국특허청 출원번호 제10-2009-0058342호
본 발명의 목적은, 자외선에 의하여 다양한 색상이 발현되는 자외선 감응 라벨에 있어서 디자인 문향이 차별적으로 장식 효과가 선택적으로 나타날 수 있게 하여 액세서리의 가치 향상을 제공할 수 있음은 물론 아이들의 창의력과 기획력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는, 자외선 감응 직물 라벨을 이용한 패브릭 문향 팬시 제조방법 및 그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패브릭 문향 팬시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은, (a) 자외선 감응 직물로 한 면이 더한 반대로 이룬 양면의 가공된 라벨의 그림그리기 문양부 각기 반대의 문양부 뒷면을 접착제로 접착하거나 봉제하는 단계; 및 (b) 상기 (a) 단계에서 합치된 문양부를 정지할 때는 점성이 많아지다가 색체를 할 때는 점성이 낮은 젤 성분이 포함한 중성펜, 펄이 포함한 중성펜 및 색연필 중 어느 하나를 가지고 양쪽 문양부에 선택적으로 미술 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외선 감응 직물 라벨을 이용한 패브릭 문향 팬시 제조방법에 의해 달성된다.
(c) 자외선 감응직물 한쪽면의 라벨 뒷면에 종이 또는 직물을 가지고 라벨과 같은 디자인을 설정하여 커팅기에 절단 가공하여 접착제로 접착하거나 봉제하여 중성펜 색연필을 가지고 문양부에 선택적으로 미술 처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반 직물을 통해 상기 (a) 내지 (c) 단계를 통해 미술 처리할 수도 있다.
중성펜 색연필을 가지고 문양부에 선택적으로 미술 처리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목적은, 자외선 감응 직물 라벨, 양면이 접착된 양면의 문양부, 양면의 디자인 속에 다양한 문향을 선택하되 선택되어 채색되는 부분과 선택되어 채색되지 않은 부분이 차별적 색상이 발현하도록 한 자외선 감응 직물 라벨을 이용한 패브릭 문향 팬시에 의해서도 달성된다.
상기 자외선 감응 직물 라벨은 자외선의 강도에 따라 색상의 강도가 변화되는 자외선 감광제가 포함된 자외선 감응 직물의 라벨이며, 상기 자외선 감광제는 황화아연계 화합물에 염료가 혼합되어 제조되거나 이산화티탄 분말을 열가수분해하는 수영합성법에 의해 제조될 수 있다.
상기 자외선 감광제가 원사를 제조하기 위한 매스터뱃치에 함량이 혼합되고 상기 자외선 감광제가 혼합된 매스터뱃치가 방사되어 자외선 감응 변색사가 제조되며, 상기 자외선 감응 변색사는 자외선이 전혀 또는 거의 없는 상태에서는 흰색으로 발현되다가 자외선이 조사되는 상태에서는 색상이 발현되며, 자외선의 강도가 강화될수록 상기 자외선 감응 변색사에서 발현되는 색상이 선명해지는 성질을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자외선에 의하여 다양한 색상이 발현되는 자외선 감응 라벨에 있어서 디자인 문향이 차별적으로 장식 효과가 선택적으로 나타날 수 있게 하여 액세서리의 가치 향상을 제공할 수 있음은 물론 아이들의 창의력과 기획력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는, 자외선 감응 직물 라벨을 이용한 패브릭 문향 팬시 제조방법 및 그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패브릭 문향 팬시가 제공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자외선 감응 직물 라벨을 이용한 패브릭 문향 팬시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패브릭 문향 팬시로서의 액세서리의 이미지이다.
도 2는 도 1의 액세서리가 자외선을 받아 밝게 표현된 상태의 이미지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자외선 감응 직물 라벨을 이용한 패브릭 문향 팬시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패브릭 문향 팬시로서의 액세서리의 이미지이다.
도 4는 도 3의 액세서리가 자외선을 받아 밝게 표현된 상태의 이미지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자외선 감응 직물 라벨을 이용한 패브릭 문향 팬시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패브릭 문향 팬시로서의 액세서리의 이미지이다.
도 6은 도 5의 액세서리가 자외선을 받아 밝게 표현된 상태의 이미지이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자외선 감응 직물 라벨을 이용한 패브릭 문향 팬시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패브릭 문향 팬시로서의 액세서리의 이미지, 도 2는 도 1의 액세서리가 자외선을 받아 밝게 표현된 상태의 이미지, 도 3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자외선 감응 직물 라벨을 이용한 패브릭 문향 팬시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패브릭 문향 팬시로서의 액세서리의 이미지, 도 4는 도 3의 액세서리가 자외선을 받아 밝게 표현된 상태의 이미지, 도 5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자외선 감응 직물 라벨을 이용한 패브릭 문향 팬시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패브릭 문향 팬시로서의 액세서리의 이미지, 그리고 도 6은 도 5의 액세서리가 자외선을 받아 밝게 표현된 상태의 이미지이다.
상기 도 1 내지 도 6의 경우, 도면 참조부호 없이 본 실시예의 자외선 감응 직물 라벨을 이용한 패브릭 문향 팬시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패브릭 문향 팬시로서의 액세서리에 대한 이미지이다.
이들 도면을 참고적으로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자외선 감응 직물 라벨을 이용한 패브릭 문향 팬시는, 자외선 감응 직물 라벨, 양면이 접착된 양면의 문양부, 양면의 디자인 속에 다양한 문향을 선택하되 선택되어 채색되는 부분과 선택되어 채색되지 않은 부분이 차별적 색상이 발현하도록 한 것으로서, 도 1 내지 도 6과 같은 다양한 제품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참고로, 도 1 내지 도 6의 경우, 제품에 대한 하나의 예일 뿐이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이들 도면에 제한될 필요는 없다.
특히, 본 발명은 패브릭 팬시에 이용할 자외선 감응 라벨에 있어서 한쪽 면을 더한 반대 방향의 디자인이 동일한 라벨을 더한 문향부 및 접착제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한쪽 면을 가진 자외선 감응 패브릭 팬시 라벨에 대한 뒷면을 접착하는 것으로 라벨 후면에 붙일 별도의 종이, 직물, 소제를 라벨과 같이 디자인하여 커터기에 절단하여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내용과 더하여 자외선에 감응하지 않는 일반 직물의 소제의 라벨을 가지고 양면 또는 한쪽면의 패브릭 팬시가 제공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양면이 접착된 라벨과 한쪽 면 라벨의 뒷면이 다른 재질로 접착된 팬시 라벨에 있어서 색체화시키는 중성펜과 색연필이 사용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대해 좀 더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우선, 본 발명은 자외선 감응 직물 라벨의 재질로서 한 면이 더한 양면의 가공된 문양부, 자외선 감응 직물 라벨의 한쪽의 문양부와 문양부 뒷면을 접착시킬 커터기에 절단된 직물, 종이, 디자인 문양부, 일반 직물을 가지고 상기내용과 같이 양면의 문양 또는 한쪽 면을 더한 문양과 커터기에 절단된 종이 직물문양부, 중성펜과 색연필을 가지고 상기 문양부에 제공하는 것을 기술사상으로 하고 있다.
부연한다. 본 발명에서 패브릭 팬시를 구성하기 위해 사용되는 자외선 감응 직물 라벨은 자외선의 강도에 따라 색상의 강도가 변화되는 자외선 감광제가 포함된 자외선 감응 직물의 라벨을 나타낸다.
자외선의 강도에 따라 색상의 선명도가 변화되는 자외선 감광제는 황화아연계 화합물에 염료가 혼합되어 제조되거나 이산화티탄 분말을 열가수분해하는 수영합성법에 의해 제조되는데 원사에 혼합되는 자외선 감광제의 생상과 혼합비에 따라 상기 감광제에 포함된 염료의 색상이 발현되며, 또한 상기 자외선 감광제에 함유된 염료의 색상을 조절하여 다양한 색상으로 표현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자외선 감광제가 원사를 제조하기 위한 매스터뱃치에 함량이 혼합되고 상기 자외선 감광제가 혼합된 매스터뱃치가 방사되어 자외선 감응 변색사가 제조된다.
이러한 자외선 감응 변색사는 자외선이 전혀 또는 거의 없는 상태, 즉 실내나 야간에서는 흰색으로 발현되다가 자외선이 조사되는 실외 주간에는 색상이 발현되며 자외선의 강도가 강화될수록 자외선 감응 변색사에서 발현되는 색상이 선명해지는 성질을 지니고 있다.
또한 일반 직물에 광호변성 분말 또는 안료침을 수지 코팅하는 것으로 자외선 감응 직물이 광호변성 분말 또는 안료침을 이용한 직물에 대한 수지 코팅된 직물이 제조된다.
본 발명은 자외선 감응 변색사로 직조된 직물의 라벨 또는 광호변성 수지 코팅되어 있는 자외선 감응 직물의 라벨을 이용하는 것으로서, 양면이 접착되거나 봉제되어 양면이 개방된 그림 그리기 라벨을 선택하고 중성펜과 색연필을 이용하여 디자인의 문향 중 어느 것을 선택할 것인가 기획을 하여 색체를 한다.
또한 우선적으로 색체를 한 양면의 라벨을 하나의 일체형을 이루기 위해 양면의 안쪽 가장자리는 접착제로 접착 또는 봉제 처리를 할 수 있다.
또한 양면의 라벨을 먼저 하나의 일체형을 이루기 위해 양면의 안쪽 가장자리에 있어서 접착제로 접착 또는 봉제처리를 하고, 양면의 자외선 감응의 라벨의 문향을 선택적으로 설정하여 그림을 그려 차별적 색상이 이루어 개성 있는 장식효과의 액세서리를 만들 수 있고 액세서리 문향의 자외선 감응 라벨 상단부분에 열고대기로 구멍을 뚫어 목걸이 핸드폰 액세서리로서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양면이 아닌 한쪽면의 자외선 감응의 라벨의 뒷면에 종이, 직물의 재료를 가지고 라벨과 똑같은 디자인을 설정하여 커팅기를 이용해 절단하여 접착제로 접착 또는 봉제처리를 할 수 있다.
또한 일반직물을 가지고 상기 내용과 같은 방법을 선택하는 방법으로 양면의 라벨을 하나의 일체형을 이루기 위해 양면의 안쪽 가장자리에 있어서 접착제 또는 봉제처리를 할 수 있고 중성펜 색연필을 이용하여 양면의 라벨에 있어서 다양한 문향 가운데 기획된 문향을 선택하여 그림을 그려 넣을 수 있다.
또한 양면이 아닌 한쪽면의 라벨의 뒷면에 종이, 직물의 재료를 가지고 라벨과 똑같은 디자인을 설정하는 방법으로 커팅기를 이용해 절단하여 접착제로 접착 또는 봉제처리를 할 수 있다.
상기 내용에 있어서 패브릭 팬시에 이용되는 양방향 일체형 라벨의 문향은 눈 코 입 볼 등 포인트 만 자수처리하고 그밖에 백색 바탕위에 그림을 그려 넣을 수 있게 직물의 나머지 백색 바탕은 모두 살려 디자인의 선만 자수 처리를 한다.
패브릭 팬시에 이용되는 직물은 자외선 변색사의 직물을 이용한 직물의 라벨을 이용할 수 있다.
패브릭 팬시에 이용되는 직물은 광호변성 분말 또는 안료침을 수지 코팅한 직물을 이용한 직물의 라벨을 이용할 수 있다.
또한 중성펜을 가지고 상기 내용과 더불어 패브릭 팬시을 제조하는 것으로서 중성펜 그 자체를 사용할 수도 있지만 펄이 들어간 중성펜을 이용할 수 있다. 이는 일반적으로 직물은 수성펜과 유성펜의 잉크가 직물에 접촉 시 염료가 퍼져나가 얼룩이 져서 패브릭 팬시에는 적합하지 않기 때문이다.
반면에 젤 성분이 들어있는 중성펜은 정지 상태에서는 안정되어 있을수록 점성이 많은 상태로 있다가 색체를 할 때는 점성이 낮아지는 특징을 지닌 특수한 성분의 잉크이다, 즉 수성잉크에 젤리와 같은 성능을 가진 고분자 물질을 첨가하였고 거기에 0.7미리 펜심을 가진 중성펜은 펜심이 가늘어 효과적으로 색 퍼짐을 막아주지만 펄이 섞인 펜심이 굵은 1.0미리를 가진 중성펜은 직물에 색이 퍼지는 것을 펄 자체가 더욱 효과적으로 막아주는 것으로 흡수력이 많은 직물원단은 가는 가닥수의 원사를 밀도화 시키는 것으로 제직으로 이루어져 흡수성이 높아도 디자인의 경계선의 색 퍼짐이 거의 없고 직물의 특성상 적당히 중성펜의 젤 성분과 포함한 잉크를 적당히 흡수하여 그로인해 칼라의 색체 광택이 매우 우수하다.
이는 물에도 잘 번지지 않는 젤성분의 고분자 중성펜과 색연필의 색 퍼짐이 없는 특성과 맞물려 있기 때문이다.
상기 사항들과 더불어 색연필을 가지고 패브릭 팬시를 하는 것으로서 색연필 그 자체를 사용할 수 있지만 밀도가 높은 샤프식 색연필을 이용할 수 있다. 샤프식 색연필은 사용하기가 편리하지만 밀도가 약한 색연필보다 색이 묻어나지 않고 색연필을 가늘게 깎아 사용할 때 섬세한 미술처리가 가능하며 패브릭 팬시의 특성상 디자인의 문향의 경계선에 색이 혼합이 되어도 표면적 얼룩이므로 자연스러우며 색감이 매우 밝고 우수하여 유아의 어린아이들도 패브릭 팬시 미술체험이 가능하다.
일반적으로 종래에 있어 직물의 색상을 나타내고자 할 때는 선염제직 염색 나염 자수로만 체색이 가능한 것으로 알고 있다. 이유는 선염제직과 자수는 염료가 미리 열과 함께 원사에 물을 드린 것을 사용하여 직물의 색체가 일정하게 표현성을 이루고 염색이나 나염은 정한 곳을 선택하여 열로 인해 색체를 굳혀 고착시킬 수 있기 때문이다.
그리고 이러한 직물은 사용용도가 설정되어 색체가 기술적으로 정해진 것이고 이러한 기술을 자외선 감응의 패브릭 팬시에 있어 디자인의 차별적 채색이 자외선 감응 부분 채색되는 부분에 적용시키는 것은 미술을 정해서 그려나가는 작업자에게는 한계가 있고 채색 시 열의 온도를 더하여 채색하는 것은 한계가 있다.
더하여 설명하면 기획 구상한 것을 정하여 임의대로 부여하며 디자인의 채색화 시키는 작업의 특성상 채색자의 의도에 따라 달라지는 것이다. 또한 일반적으로 종래에는 물감 등 미술도구를 이용하여 채색을 하는 것은 도화지 우드 등 표면이 매끄럽고 흡수성이 없는 재료를 통하여 채색을 하고 있는 것이다 직물에 있어 흡수성이 있는 수성펜 유성펜은 사용하면 직물의 밀도의 특성상 색이 퍼져 그림의 표현이 흐트러진다. 다만 중성펜 사용 시 색의 퍼짐이 미약하지만 직물에 있어 자수선이 막아주지 못하면 그 또한 채색으로서 다하지 못하는 문제가 발생되었다. 즉 자수의 디자인과 디자인의 경계 자수의 자수사 선이 받쳐주므로 디자인끼리 차별감과 함께 색체의 경계선이 자수사로인해 안정적으로 표현화할 수 있는 것이다.
밀도를 넣어 제직된 직물의 특성상 염료가 밝게 먹는 특성이 있다. 이러한 것을 종래에서는 알면서 열고착이 아닌 잉크의 재료로 그림화 작업을 못한 것은 디자인 형상라벨 직물에 그림을 그린다는 자체도 염두에 두지 않은 것은 물감이나 잉크의 재료는 직물에 있어서 색이 퍼지는 것으로 알고 있었기 때문인대 본 출원인은 이러한 것을 해결하기위해 직물의 문향 디자인에 있어 자수의 경계선을 염색이 이미 먹은 검정의 자수사로 자수하여 디자인선의 경계선이 중성펜을 사용할시 색 퍼짐의 경계선을 염색이 되어 있는 자수사가 막을 수 있는 것을 착안한 것이다.
이와 같은 구조와 작용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르면, 자외선에 의하여 다양한 색상이 발현되는 자외선 감응 라벨에 있어서 디자인 문향이 차별적으로 장식 효과가 선택적으로 나타날 수 있게 하여 액세서리의 가치 향상을 제공할 수 있음은 물론 아이들의 창의력과 기획력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는, 자외선 감응 직물 라벨을 이용한 패브릭 문향 팬시 제조방법 및 그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패브릭 문향 팬시가 제공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수정예 또는 변형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하여야 할 것이다.

Claims (8)

  1. (a) 자외선 감응 직물로 한 면이 더한 반대로 이룬 양면의 가공된 라벨의 그림그리기 문양부 각기 반대의 문양부 뒷면을 접착제로 접착하거나 봉제하는 단계; 및
    (b) 상기 (a) 단계에서 합치된 문양부를 정지할 때는 점성이 많아지다가 색체를 할 때는 점성이 낮은 젤 성분이 포함한 중성펜, 펄이 포함한 중성펜 및 색연필 중 어느 하나를 가지고 양쪽 문양부에 선택적으로 미술 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외선 감응 직물 라벨을 이용한 패브릭 문향 팬시 제조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c) 자외선 감응직물 한쪽면의 라벨 뒷면에 종이 또는 직물을 가지고 라벨과 같은 디자인을 설정하여 커팅기에 절단 가공하여 접착제로 접착하거나 봉제하여 중성펜 색연필을 가지고 문양부에 선택적으로 미술 처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외선 감응 직물 라벨을 이용한 패브릭 문향 팬시 제조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일반 직물을 통해 상기 (a) 내지 (c) 단계를 통해 미술 처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외선 감응 직물 라벨을 이용한 패브릭 문향 팬시 제조방법.
  4. 제2항에 있어서,
    중성펜 색연필을 가지고 문양부에 선택적으로 미술 처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외선 감응 직물 라벨을 이용한 패브릭 문향 팬시 제조방법.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의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자외선 감응 직물 라벨을 이용한 패브릭 문향 팬시.
  6. 자외선 감응 직물 라벨, 양면이 접착된 양면의 문양부, 양면의 디자인 속에 다양한 문향을 선택하되 선택되어 채색되는 부분과 선택되어 채색되지 않은 부분이 차별적 색상이 발현하도록 한 자외선 감응 직물 라벨을 이용한 패브릭 문향 팬시.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자외선 감응 직물 라벨은 자외선의 강도에 따라 색상의 강도가 변화되는 자외선 감광제가 포함된 자외선 감응 직물의 라벨이며,
    상기 자외선 감광제는 황화아연계 화합물에 염료가 혼합되어 제조되거나 이산화티탄 분말을 열가수분해하는 수영합성법에 의해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외선 감응 직물 라벨을 이용한 패브릭 문향 팬시.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자외선 감광제가 원사를 제조하기 위한 매스터뱃치에 함량이 혼합되고 상기 자외선 감광제가 혼합된 매스터뱃치가 방사되어 자외선 감응 변색사가 제조되며,
    상기 자외선 감응 변색사는 자외선이 전혀 또는 거의 없는 상태에서는 흰색으로 발현되다가 자외선이 조사되는 상태에서는 색상이 발현되며, 자외선의 강도가 강화될수록 상기 자외선 감응 변색사에서 발현되는 색상이 선명해지는 성질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외선 감응 직물 라벨을 이용한 패브릭 문향 팬시.
KR1020120140988A 2012-12-06 2012-12-06 자외선 감응 직물 라벨을 이용한 패브릭 문양 팬시 제조방법 및 그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패브릭 문양 팬시 KR2014007315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40988A KR20140073159A (ko) 2012-12-06 2012-12-06 자외선 감응 직물 라벨을 이용한 패브릭 문양 팬시 제조방법 및 그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패브릭 문양 팬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40988A KR20140073159A (ko) 2012-12-06 2012-12-06 자외선 감응 직물 라벨을 이용한 패브릭 문양 팬시 제조방법 및 그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패브릭 문양 팬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73159A true KR20140073159A (ko) 2014-06-16

Family

ID=511267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40988A KR20140073159A (ko) 2012-12-06 2012-12-06 자외선 감응 직물 라벨을 이용한 패브릭 문양 팬시 제조방법 및 그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패브릭 문양 팬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40073159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40182A (ko) * 2018-06-11 2019-12-19 양지윤 직물 복합체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40182A (ko) * 2018-06-11 2019-12-19 양지윤 직물 복합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2439223B (zh) 一种在织品上提供三维图案的贴花及其制作和使用方法
US10709185B2 (en) Garment with rewritable areas
KR20140073159A (ko) 자외선 감응 직물 라벨을 이용한 패브릭 문양 팬시 제조방법 및 그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패브릭 문양 팬시
EP1254985B1 (en) Water-discoloring printed matter and water-discoloring toy employing the same
Roy The National gallery Van Dycks: technique and development
Qurashi A suggested procedure for wearable art design from Paul Klee's paintings
RU139562U1 (ru) Детская раскраска из полимерного материала
CN1891877A (zh) 服装用织物
Luchtman Smart colour: Textile innovation in colouration from manufacturing techniques to applications for smart clothing and wearable technology
CN208676977U (zh) 一种激光雕刻镂空多层多色窗幔
Worbin Textile Disobedience. When textile patterns start to interact
CN207403273U (zh) 一种光感变色篷布
CN212666892U (zh) 一种可重复涂色的面料
KR20130008904A (ko) 내구성이 향상된 시광원단
KR20130008905A (ko) 내구성이 향상된 시온원단
JP2003306877A (ja) 変色性合成皮革
KR200323271Y1 (ko) 재귀 반사 기능을 가지는 원단
Leland Exploring Color Workshop: With New Exercises, Lessons and Demonstrations
CN101748572A (zh) 夜光绣花工艺
US20090146411A1 (en) Combinational articles as a pair
US20110094913A1 (en) Holiday Stocking Kits For Artists
Chudi-Duru Studio Art and Design practices: Exploration of Atypical Approaches in Mixed Media Wearable Art for Contemporary Fashion.
Fredin (Un) Perfect: Breaking the rules in textile printing
Krawczyk Intentional Printing: Simple Techniques for Inspired Fabric Art
Worbin Dynamic textile patterns: using Smart textil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