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98426B1 - 휴대용 정수기 - Google Patents

휴대용 정수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98426B1
KR101098426B1 KR1020100053316A KR20100053316A KR101098426B1 KR 101098426 B1 KR101098426 B1 KR 101098426B1 KR 1020100053316 A KR1020100053316 A KR 1020100053316A KR 20100053316 A KR20100053316 A KR 20100053316A KR 101098426 B1 KR101098426 B1 KR 10109842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rface portion
housing
container
water
closing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533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133745A (ko
Inventor
김광석
Original Assignee
김광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광석 filed Critical 김광석
Priority to KR102010005331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98426B1/ko
Publication of KR2011013374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3374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9842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9842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30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01/00Details relating to filtering apparatus
    • B01D2201/29Filter cartridge construc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01/00Details relating to filtering apparatus
    • B01D2201/31Other construction detai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21/00Applications of separation devices
    • B01D2221/08Mobile separation devic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Water Treatment By Sorp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휴대용 정수기에 관한 것으로서, 용기바닥면부와 상기 용기바닥면부의 둘레연부로부터 절곡 형성된 용기둘레면부를 갖는 용기바디부와; 통기관과 상기 통기관의 상단으로부터 외측을 향해 연장형성되고 일 영역에 천장통수공이 형성되어 있는 하우징천장면부와 상기 용기바닥면부에 형상 맞춤되고 상기 통기관을 둘러싸도록 상기 하우징천장면부로부터 연장형성된 하우징둘레면부와 상기 하우징둘레면부의 하단과 상기 통기관의 하단을 연결하도록 형성되고 일 영역에 바닥통수공이 형성되어 있는 하우징바닥면부를 구비한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설치된 정수필터와 상기 하우징둘레면부의 외표면에 둘레방향을 따라 설치된 밀폐링을 가지고, 상기 하우징바닥면부가 상기 용기바닥면부를 향하고 상기 밀폐링이 상기 용기둘레면부의 내표면에 밀착되도록 상기 용기바디부의 내부에 설치된 필터카트리지와; 상기 필터카트리지를 상기 용기바닥면부를 향해 가압할 수 있도록 상기 하우징에 결합된 가압봉과; 통기개폐판을 가지고, 상기 용기바닥면부에서 상기 하우징천장면부를 향하는 방향을 따라 수압이 가해질 때 상기 통기개폐판이 상기 통기관의 하측개구를 폐쇄하고 상기 용기바닥면부와 상기 하우징바닥면부의 사이에 부압이 발생할 때 상기 통기개폐판이 상기 통기관의 하측개구를 개방하도록 상기 하우징에 결합된 통기밸브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해, 정수된 물을 저장할 수 있고, 정수할 수 있는 원수의 범위를 확대할 수 있으며, 구조가 간단해 지고 정수를 용이하게 사용할 수 있다.

Description

휴대용 정수기{Portable Water Purifier}
본 발명은 휴대용 정수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집이나 사무실의 내부에서 또는 옥외로 휴대하여 이동시킬 수 있는 구조를 갖는 정수기에 관한 것이다.
수돗물, 지하수 등에 포함된 중금속, 세균, 소독약 등을 제거하기 위해 정수기가 널리 사용되고 있으며, 집이나 사무실의 내부에서 또는 옥외로 휴대하여 이동시킬 수 있는 구조를 갖는 정수기가 안출되어 사용되고 있다.
도11은 종래의 휴대용 정수기의 단면도이다.
종래의 휴대용 정수기는, 도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단이 밀폐된 관형태의 실린더부(110)와, 실린더부(110)의 하단에 결합된 하부캡(121)과, 실린더부(110)의 내부에 설치된 하부체크밸브(122)와, 실린더부(110)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할 수 있도록 실린더부(110)의 내부에 설치된 하단이 밀폐된 관형태의 피스톤부(123)와, 피스톤부(123)의 내부에 설치된 필터카트리지(140) 및 상부체크밸브(125)와, 피스톤부(123)의 상단에 결합된 상부캡(126)과, 상부캡(126)에 결합된 손잡이부(127)를 갖고 있다.
실린더부(110)는 바닥면에 하부밸브공(110a)이 관통형성되어 있고, 하부밸브공(110a)의 둘레영역에는 캡연결관(111)이 형성되어 있다.
하부밸브공(110a)은 하부캡(121)을 접근함에 따라 점점 직경이 감소하도록 형성되어 있고, 하부밸브공(110a)의 상측에는 하부이탈방지판(112)이 설치되어 있다.
하부이탈방지판(112)에는 두께방향을 따라 통공이 형성되어 있다.
하부캡(121)은 요형(凹形)으로 형성되고 바닥면 중앙에는 유입유로(121a)가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하부캡(121)은 유입유로(121a)가 하부밸브공(110a)에 연통하도록 캡연결관(111)을 통해 실린더부(110)에 결합된다.
하부체크밸브(122)는 볼형태로 형성되고 하부밸브공(110a)에 설치된다.
피스톤부(123)는 바닥면에 상부밸브공(123a)이 관통 형성되어 있다.
상부밸브공(123a)은 하부캡(121)에 접근함에 따라 점점 직경이 감소하도록 형성되어 있고, 상부밸브공(123a)의 상측에는 상부이탈방지판(124)이 설치되어 있다.
상부이탈방지판(124)에는 두께방향을 따라 통공이 형성되어 있다.
필터카트리지(140)는 하우징(150)과, 하우징(150)의 내부에 설치된 정수필터(141)를 갖고 있다.
정수필터(141)는 전처리필터, 살균필터, 탈취필터, 후처리필터 등을 순차적으로 배치하여 구현되어 있다.
상부체크밸브(125)는 볼형태로 형성되고 상부밸브공(123a)에 설치된다.
상부캡(126)은 내부에 안내유로(126a)가 형성되어 있고, 안내유로(126a)가 정수필터(141)에 연통하도록 실린더부(110)에 결합된다.
손잡이부(127)는 내부에 배출유로(127a)가 형성되어 있고, 배출유로(127a)가 안내유로(126a)에 연통하도록 상부캡(126)에 결합된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종래의 휴대용 정수기를 사용하는 방법을 도12 및 도13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유입유로(121a)를 원수(지하수 등)의 내부로 진입시킨 상태에서, 손잡이부(127)를 잡아당겨 피스톤부(123)를 실린더부(110)의 바닥면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을 따라 이동시킨다. 피스톤부(123)가 실린더부(110)의 바닥면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을 따라 이동할 때 실린더부(110)의 내부에는 부압(負壓)이 발생하고, 이에 따라 하부체크밸브(122)는 하부이탈방지판(112)에 접촉할 때까지 상방향으로 이동한다. 하부체크밸브(122)가 상방향으로 이동하면 하부밸브공(110a)은 개방된다.
실린더부(110)의 내부에 부압(負壓)이 발생하고 하부밸브공(110a)이 개방되면, 유입유로(121a), 하부밸브공(110a) 및 하부이탈방지판(112)의 통공을 순차적으로 거쳐 원수가 실린더부(110)의 내부로 유입된다(도12 참조).
다음에 손잡이부(127)를 밀어 피스톤부(123)를 실린더부(110)의 바닥면에 접근하는 방향을 따라 이동시킨다. 피스톤부(123)가 실린더부(110)의 바닥면에 접근할 때 실린더부(110)의 내부에 있는 정압(正壓)이 발생하고, 이에 따라 상부체크밸브(125)는 하방향으로 이동한다. 하부체크밸브(122)가 하방향으로 이동하면 하부밸브공(110a)은 폐쇄된다.
한편 피스톤부(123)가 실린더부(110)의 바닥면에 접근할 때 실린더부(110)의 내부에 있는 원수의 수압에 의해 상부체크밸브(125)는 상부이탈방지판(124)에 접촉할 때까지 상방향으로 이동한다. 상부체크밸브(125)가 상방향으로 이동하면 상부밸브공(123a)은 개방된다.
실린더부(110)의 내부에 정압(正壓)이 발생하고 상부밸브공(123a)이 개방되면, 상부밸브공(123a), 상부이탈방지판(124)의 통공, 정수필터(141), 안내유로(126a) 및 배출유로(127a)를 순차적으로 거쳐 정수가 외부로 배출된다(도13 참조). 여기서 원수가 정수필터(141)를 통과할 때 정수작용이 일어난다.
그런데 종래의 휴대용 정수기에 따르면, 정수된 물을 저장할 수 없기 때문에 정수된 물을 마실때 마다 정수작업을 해야 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원수(지하수 등)의 내부로 진입시켜 사용하여야 하기 때문에 정수할 수 있는 원수의 범위가 제한된다(수도관을 통해 배출되는 원수는 직접 정수할 수 없고 별도의 저장용기에 저장한 후 정수해야 함)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원수가 유입되는 방향과 정수가 배출되는 방향이 반대로 되어 있기 때문에 구조가 복잡하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정수작업시 사용되는 손잡이부(127)에 배출유로(127a)가 형성되어 있어 정수를 사용하기 어렵다(정수작업중 배출유로가 계속 이동함)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정수된 물을 저장할 수 있고, 정수할 수 있는 원수의 범위를 확대할 수 있으며, 구조가 간단하며, 정수를 용이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한 휴대용 정수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용기바닥면부와 상기 용기바닥면부의 둘레연부로부터 절곡 형성된 용기둘레면부를 갖는 용기바디부와; 통기관과 상기 통기관의 상단으로부터 외측을 향해 연장형성되고 일 영역에 천장통수공이 형성되어 있는 하우징천장면부와 상기 용기바닥면부에 형상 맞춤되고 상기 통기관을 둘러싸도록 상기 하우징천장면부로부터 연장형성된 하우징둘레면부와 상기 하우징둘레면부의 하단과 상기 통기관의 하단을 연결하도록 형성되고 일 영역에 바닥통수공이 형성되어 있는 하우징바닥면부를 구비한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설치된 정수필터와 상기 하우징둘레면부의 외표면에 둘레방향을 따라 설치된 밀폐링을 가지고, 상기 하우징바닥면부가 상기 용기바닥면부를 향하고 상기 밀폐링이 상기 용기둘레면부의 내표면에 밀착되도록 상기 용기바디부의 내부에 설치된 필터카트리지와; 상기 필터카트리지를 상기 용기바닥면부를 향해 가압할 수 있도록 상기 하우징에 결합된 가압봉과; 통기개폐판을 가지고, 상기 용기바닥면부에서 상기 하우징천장면부를 향하는 방향을 따라 수압이 가해질 때 상기 통기개폐판이 상기 통기관의 하측개구를 폐쇄하고 상기 용기바닥면부와 상기 하우징바닥면부의 사이에 부압이 발생할 때 상기 통기개폐판이 상기 통기관의 하측개구를 개방하도록 상기 하우징에 결합된 통기밸브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정수기에 의해 달성된다.
여기서 필터카트리지의 구조가 간단해지도록, 상기 통기관은 상기 하우징천장면부와 상기 하우징바닥면부의 중앙영역에 형성되고; 상기 가압봉은 상기 통기관에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정수된 물이 정수필터와 다시 접촉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통수개폐판을 가지고, 상기 용기바닥면부에서 상기 하우징천장면부를 향하는 방향을 따라 상기 통수개폐판에 수압이 가해질 때 상기 통수개폐판이 상기 천장통수공을 개방하고 상기 통수개폐판에 가해진 수압이 해제될 때 상기 통수개폐판이 상기 천장통수공을 폐쇄하도록 상기 하우징천장면부에 결합된 통수밸브체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르면, 용기바디부의 상측으로부터 원수를 담고 용기바디부의 상측으로부터 용기바닥면부를 향해 필터카트리지를 이동시켜 정수하며 용기바디부의 상측으로 정수된 물이 배출되도록 함으로써, 정수된 물을 저장할 수 있고, 정수할 수 있는 원수의 범위를 확대할 수 있으며, 구조가 간단해지며, 정수를 용이하게 사용할 수 있다.
도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정수기의 결합사시도,
도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정수기의 분해사시도,
도3 및 도4는 각각 도2에 도시된 필터카트리지의 상세도,
도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정수기의 요부단면도,
도6, 도7 및 도8은 각각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정수기의 동작상태도,
도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정수기의 결합사시도,
도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정수기의 분해사시도,
도11은 종래의 휴대용 정수기의 단면도,
도12 및 도13은 각각 종래 휴대용 정수기의 동작상태도이다.
이하에서,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정수기의 결합사시도이고, 도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정수기의 분해사시도이고, 도3 및 도4는 각각 도2에 도시된 필터카트리지의 상세도이고, 도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정수기의 요부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정수기는,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향 개구의 용기바디부(10)와, 용기바디부(10)의 개구영역을 폐쇄하도록 설치된 용기어깨부(21)와, 용기어깨부(21)에 결합된 용기캡(22) 및 봉지지블럭(30)과, 용기바디부(10)의 내부에 설치된 필터카트리지(40)와, 필터카트리지(40)에 결합된 통수밸브체(23) 및 통기밸브체(24)와, 하단이 필터카트리지(40)에 결합된 가압봉(25)을 갖고 있다.
용기바디부(10)는 용기바닥면부(11)와, 용기바닥면부(11)의 둘레연부로부터 절곡 형성된 용기둘레면부(12)를 갖고 있다.
용기둘레면부(12)는 외표면 상측 영역에 끼움돌기(12a)가 분산 형성되어 있고, 상단에는 안착리브(12b)가 둘레방향을 따라 형성되어 있다.
용기어깨부(21)는 상단에 배출공(21a)이 형성되어 있고, 내표면에는 걸림돌기(21b)가 분산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용기어깨부(21)는 하단에 안착홈(21c)이 둘레방향을 따라 형성되어 있고, 외표면에는 걸림편(21d)이 상하 방향을 따라 회동할 수 있도록 결합되어 있다.
걸림편(21d)은 하부 영역에 끼움공(21e)이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용기어깨부(21)는 안착홈(21c)에 안착리브(12b)가 진입한 상태에서 걸림편(21d)을 하방향으로 회동시켜 끼움공(21e)에 끼움돌기(12a)가 진입하도록 함으로써, 용기바디부(10)에 결합된다. 안착홈(21c)과 안착리브(12b)사이에는 오링(21f)이 설치된다.
용기캡(22)은 배출공(21a)을 폐쇄하도록 용기어깨부(21)에 나사결합된다.
봉지지블럭(30)은 봉지지관(31)과, 봉지지관(31)의 외표면에 방사상으로 배치되도록 형성된 다수의 봉지지암(32)과, 봉지지암(32)의 종단에 결합된 어깨연결관(33)을 갖고 있다.
봉지지관(31)은 내표면에 암나사부(31a)가 형성되어 있다.
어깨연결관(33)에는 니은자 형태의 걸림홈(33a)이 상단으로부터 절취 형성되어 있다.
걸림홈(33a)은 걸림돌기(21b)에 대응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봉지지블럭(30)은 걸림홈(33a)과 걸림돌기(21b)의 걸림작용을 통해 용기어깨부(21)에 결합된다.
필터카트리지(40)는 하우징(50)과, 하우징(50)의 내부에 설치된 정수필터(41)와, 하우징(50)에 설치된 밀폐링(42)을 갖고 있다.
하우징(50)은 통기관(51a)과, 통기관(51a)의 상단으로부터 외측을 향해 연장형성된 하우징천장면부(51b)와, 하우징천장면부(51b)로부터 연장형성된 하우징둘레면부(51c)와, 하우징둘레면부(51c)의 하단과 통기관(51a)의 하단을 연결하도록 형성된 하우징바닥면부(51d)와, 하우징천장면부(51b)에 형성된 통수밸브지지부(55)와, 통기관(51a)의 내표면에 형성된 봉지지암(51f)을 갖고 있다.
통기관(51a)은 하우징천장면부(51b)와 하우징바닥면부(51d)의 중앙영역에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통기관(51a)의 하단에는 안착홈부(54c)가 형성되어 있다.
안착홈부(54c)의 바닥면에는 축공(54a)가 형성되어 있고, 축공(54a)의 둘레영역에는 반원모양의 통기공(54b)이 한 쌍 형성되어 있다.
하우징천장면부(51b)에는 4개의 천장통수공(52)이 90도의 위상차를 두고 각각 장공형태로 형성되어 있다.
하우징둘레면부(51c)는 용기바닥면부(11)에 형상 맞춤되고, 통기관(51a)을 둘러싸도록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하우징둘레면부(51c)에는 한 쌍의 링홈(53a)이 높이차를 두고 둘레방향을 따라 고리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하우징바닥면부(51d)에는 다수의 바닥통수공(51e)이 분산 형성되어 있다.
통수밸브지지부(55)는 각 천장통수공(52)에 나란한 통수밸브지지홈(55a)과 통수밸브지지홈(55a)의 개구영역을 부분적으로 밀폐하는 통수밸브지지플랜지(55b)를 갖도록 형성된다.
봉지지암(51f)은 180도의 위상차를 두고 한 쌍이 형성된다.
정수필터(41)는 활성탄필터, 이온교환수지필터, 세라믹필터, 중공사막필터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밀폐링(42)은 링홈(53a)에 하나씩 설치된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필터카트리지(40)는 하우징바닥면부(51d)가 용기바닥면부(11)를 향하고 밀폐링(42)이 용기둘레면부(12)의 내표면에 밀착되도록 용기바디부(10)의 내부에 설치된다.
통수밸브체(23)는 대략 꺽쇠 형태의 지지다리부(23a)와, 지지다리부(23a)로부터 연장 형성된 통수개폐판(23b)을 갖고 있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통수밸브체(23)는 실리콘 등과 같은 탄성 재질을 사용하여 제조할 수 있고, 지지다리부(23a)가 통수밸브지지홈(55a)에 진입하고, 통수개폐판(23b)이 천장통수공(52)을 폐쇄하도록 하우징(50)에 설치된다.
이에 따라 용기바닥면부(11)에서 하우징천장면부(51b)를 향하는 방향을 따라 통수개폐판(23b)에 수압이 가해질 때 통수개폐판(23b)이 천장통수공(52)을 개방하고 통수개폐판(23b)에 가해진 수압이 해제될 때 통수개폐판(23b)이 천장통수공(52)을 폐쇄할 수 있게 된다.
통기밸브체(24)는 지지축(24a)과, 지지축(24a)과 협조하여 티(T)자 형태를 이루도록 지지축(24a)의 하단에 결합된 통기개폐판(24b)과, 지지축(24a)의 상단에 결합된 스토퍼돌기(24c)을 갖고 있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통기밸브체(24)는 실리콘 등과 같은 탄성 재질을 사용하여 제조할 수 있고, 지지축(24a)이 축공(54a)을 통과하고 통기개폐판(24b)이 안착홈부(54c)에 안착되도록 설치된다.
이에 따라 용기바닥면부(11)에서 하우징천장면부(51b)를 향하는 방향을 따라 수압이 가해질 때 통기개폐판(24b)이 통기관(51a)의 하측개구를 폐쇄하고(통기공이 폐쇄됨에 따라) 용기바닥면부(11)와 하우징바닥면부(51d)의 사이에 부압(負壓)이 발생할 때 통기개폐판(24b)이 통기관(51a)의 하측개구를 개방할 수 있게 된다(통기공이 개방됨에 따라).
가압봉(25)은 상단영역에 숫나사부(25a)가 형성되어 있으며, 하단영역에는 대략 씨(C)자 형태의 결합홈부(25b)가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가압봉(25)은 숫나사부(25a)를 통해 봉지지관(31)에 나사결합되고, 결합홈부(25b)와 봉지지암(51f)의 걸림작용을 통해 하우징(50)에 결합된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정수기를 사용하는 방법을 도6 내지 도8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용기어깨부(21), 용기캡(22), 봉지지블럭(30), 필터카트리지(40) 및 가압봉(25)이 결합된 상태로 용기바디부(10)로부터 분리되어 있는 것으로 가정한다.
먼저 원수(지하수 등)를 용기바디부(10)에 담는다(도6 참조).
다음에 용기어깨부(21)를 손으로 잡고 필터카트리지(40)를 용기바디부(10)에 진입시킨다.
다음에 용기어깨부(21)를 가압하여 필터카트리지(40)를 용기바닥면부(11)를 향해 이동시킨다. 필터카트리지(40)가 용기바닥면부(11)를 향해 이동하기 시작하면 바닥통수공(51e)과 정수필터(41)를 통과한 물의 압력에 의해 통수개폐판(23b)은 천장통수공(52)이 개방되도록 변형되고, 하우징(50)의 하측에 있는 물의 압력에 의해 통기개폐판(24b)은 통기관(51a)의 하측개구는 폐쇄되도록 원위치로 복귀한다.
필터카트리지(40)가 용기바닥면부(11)를 향해 이동하는 동안 필터카트리지(40)의 하측에 있는 원수는 바닥통수공(51e), 정수필터(41), 천장통수공(52)을 통해 필터카트리지(40)의 상측으로 이동한다. 원수가 정수필터(41)를 통과할 때 정수작용이 일어난다(도7 참조).
정수작용은 필터카트리지(40)가 용기바닥면부(11)에 도달할 때까지 일어난다. 정수작용이 완료되면 통수개폐판(23b)이 폐쇄위치로 이동하여 천장통수공(52)은 폐쇄상태가 된다.
다음에 용기캡(22)을 열고 정수된 물을 마신다.
정수된 물을 다 마시고 나면 용기어깨부(21)를 잡아당겨 필터카트리지(40)를 용기바닥면부(11)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시킨다. 필터카트리지(40)가 용기바닥면부(11)로부터 멀어지면 하우징(50)의 하측에 부압(負壓)이 발생하고 통기공(54b)이 개방되도록 통기개폐판(24b)이 변형되고 이에 따라 통기관(51a)의 하측개구는 개방된다.
통기관(51a)의 하측개구가 개방된 상태에서 통기관(51a) 및 통기공(54b)을 통해 하우징(50)의 하측으로 공기가 유입된다(도8 참조).
이와 같이 하우징(50)의 하측으로 공기가 진입함에 따라 용기어깨부(21), 용기캡(22), 봉지지블럭(30), 필터카트리지(40) 및 가압봉(25)을 결합된 상태로 용기바디부(10)로부터 분리시킬 수 있게 된다.
한편 전술한 실시예에서는 용기어깨부(21)를 통해 정수된 물을 외부로 배출하도록 구성하고 있으나, 도9와 도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용기바디부(10)를 통해 정수된 물을 외부로 배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다.
도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정수기의 결합사시도이고, 도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정수기의 분해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휴대형 정수기는,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향 개구의 용기바디부(10')와, 용기바디부(10')의 개구영역을 폐쇄하도록 설치된 용기캡(22')과, 용기바디부(10')의 내부에 설치된 필터카트리지(40')와, 필터카트리지(40')에 결합된 통수밸브체(도시되지 않음) 및 통기밸브체(24')와, 하단이 필터카트리지(40')에 결합된 가압봉(25')을 갖고 있다.
용기바디부(10')는 상단 일 영역에 배출주둥이(10'a)가 형성되어 있다.
용기캡(22')은 용기바디부(10')에 설치된 상태에서 배출주둥이(10'a)에 연통하도록 다수개의 배출슬릿(22'a)이 형성되어 있다.
필터카트리지(40'), 통수밸브체(도시되지 않음) 및 통기밸브체(24')는 각각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형 정수기의 경우와 동일한 구조와 기능을 갖고 있다.
가압봉(25')은 상단이 용기캡(22')에 나사결합된다는 점을 제외하고 각각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형 정수기의 경우와 동일한 구조와 기능을 갖고 있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정수기는 용기캡(22')을 잡고 필터카트리지(40')를 이동시키고 정수된 물이 배출슬릿(22'a)과 배출주둥이(10'a)를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는 점을 제외하고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정수기와 동일한 방법으로 사용할 수 있다.
그리고 전술한 실시예에서는 통수밸브체(23)과 통기밸브체(24)를 통수개폐판(23b)와 통기개폐판(24b)의 변형에 의해 개폐작용을 하도록 구성하고 있으나, 통수개폐판(23b)와 통기개폐판(24b)을 이동시키는 방법으로 개폐작용을 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용기바디부(10)의 상측으로부터 원수를 담고 용기바디부(10)의 상측으로부터 용기바닥면부(11)를 향해 필터카트리지(40)를 이동시켜 정수하며 용기바디부(10)의 상측으로 정수된 물이 배출되도록 함으로써, 정수된 물을 저장할 수 있고, 정수할 수 있는 원수의 범위를 확대할 수 있으며, 구조가 간단해지며, 정수의 사용이 용이해 진다(정수작업과 무관한 용기어깨부 등에 배출공이 형성됨).
여기서 하우징천장면부(51b)와 하우징바닥면부(51d)의 중앙영역에 통기관(51a)을 형성하고 통기관(51a)에 가압봉(25)을 결합함으로써, 필터카트리지(40)의 구조가 간단해진다.
그리고 통수밸브체(23)를 추가함으로써, 정수된 물이 정수필터(41)와 다시 접촉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10, 10' : 용기바디부 21 : 용기어깨부
22, 22' : 용기캡 23 : 통수밸브체
24, 24' : 통기밸브체 25, 25' : 가압봉
30 : 봉지지블럭 40, 140 : 필터카트리지
41, 141 : 정수필터 50 : 하우징
51a : 통기관 51b : 하우징천장면부
51c : 하우징둘레면부 51d : 하우징바닥면부
55 : 통수밸브지지부 110 : 실린더부
122 : 하부체크밸브 123 : 피스톤부
125 : 상부체크밸브

Claims (3)

  1. 용기바닥면부와 상기 용기바닥면부의 둘레연부로부터 절곡 형성된 용기둘레면부를 갖는 용기바디부와;
    통기관과 상기 통기관의 상단으로부터 외측을 향해 연장형성되고 일 영역에 천장통수공이 형성되어 있는 하우징천장면부와 상기 용기바닥면부에 형상 맞춤되고 상기 통기관을 둘러싸도록 상기 하우징천장면부로부터 연장형성된 하우징둘레면부와 상기 하우징둘레면부의 하단과 상기 통기관의 하단을 연결하도록 형성되고 일 영역에 바닥통수공이 형성되어 있는 하우징바닥면부를 구비한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설치된 정수필터와 상기 하우징둘레면부의 외표면에 둘레방향을 따라 설치된 밀폐링을 가지고, 상기 하우징바닥면부가 상기 용기바닥면부를 향하고 상기 밀폐링이 상기 용기둘레면부의 내표면에 밀착되도록 상기 용기바디부의 내부에 설치된 필터카트리지와;
    상기 필터카트리지를 상기 용기바닥면부를 향해 가압할 수 있도록 상기 하우징에 결합된 가압봉과;
    통기개폐판을 가지고, 상기 용기바닥면부에서 상기 하우징천장면부를 향하는 방향을 따라 수압이 가해질 때 상기 통기개폐판이 상기 통기관의 하측개구를 폐쇄하고 상기 용기바닥면부와 상기 하우징바닥면부의 사이에 부압이 발생할 때 상기 통기개폐판이 상기 통기관의 하측개구를 개방하도록 상기 하우징에 결합된 통기밸브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정수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통기관은 상기 하우징천장면부와 상기 하우징바닥면부의 중앙영역에 형성되고, 상기 가압봉은 상기 통기관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정수기.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통수개폐판을 가지고, 상기 용기바닥면부에서 상기 하우징천장면부를 향하는 방향을 따라 상기 통수개폐판에 수압이 가해질 때 상기 통수개폐판이 상기 천장통수공을 개방하고 상기 통수개폐판에 가해진 수압이 해제될 때 상기 통수개폐판이 상기 천장통수공을 폐쇄하도록 상기 하우징천장면부에 결합된 통수밸브체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정수기.
KR1020100053316A 2010-06-07 2010-06-07 휴대용 정수기 KR10109842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53316A KR101098426B1 (ko) 2010-06-07 2010-06-07 휴대용 정수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53316A KR101098426B1 (ko) 2010-06-07 2010-06-07 휴대용 정수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33745A KR20110133745A (ko) 2011-12-14
KR101098426B1 true KR101098426B1 (ko) 2011-12-23

Family

ID=455012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53316A KR101098426B1 (ko) 2010-06-07 2010-06-07 휴대용 정수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98426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33533B1 (ko) 2013-08-21 2014-08-22 (주)기영하이테크 휴대용 정수기
WO2018221945A1 (ko) * 2017-05-29 2018-12-06 이남석 수소함유수 제조 기능이 구비된 휴대용 텀블러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212067B2 (en) 2012-05-30 2015-12-15 Flozinc, Llc Water bottle with flow meter
EP2864015A1 (en) 2012-06-25 2015-04-29 Grayl Inc. Filtration container assemblies and methods
US11014827B2 (en) 2018-09-11 2021-05-25 Access Business Group International Llc Water treatment system
WO2020169587A1 (de) 2019-02-21 2020-08-27 Trappe Lars Transportable wasserreinigungsvorrichtung
KR102179285B1 (ko) * 2019-03-22 2020-11-16 김봉재 음료 용기
CN110104816A (zh) * 2019-05-31 2019-08-09 汉高(天津)技术有限公司 净水器
CN112919699B (zh) 2019-12-06 2024-06-11 捷通国际有限公司 水处理系统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33533B1 (ko) 2013-08-21 2014-08-22 (주)기영하이테크 휴대용 정수기
WO2018221945A1 (ko) * 2017-05-29 2018-12-06 이남석 수소함유수 제조 기능이 구비된 휴대용 텀블러
KR101929496B1 (ko) * 2017-05-29 2018-12-14 이남석 수소함유수 제조 기능이 구비된 휴대용 텀블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33745A (ko) 2011-12-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98426B1 (ko) 휴대용 정수기
US8597512B2 (en) Drinking container with filter filling reservoir
US20170326482A1 (en) Systems and apparatus for a fluid filtration device
JPH06246109A (ja) 水ろ過器カートリッジ
US8277666B2 (en) Drinking container with filter filling reservoir
JP7065095B2 (ja) 水筒
RU2006119450A (ru) Укупорочное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емкостей, имеющее подвижный элемент
EP3241601B1 (en) Water treatment apparatus
KR101869389B1 (ko) 휴대용 정수기
US9725333B2 (en) Fluid vessel with removable and reversible filtration unit
JP2010247129A (ja) ピッチャー型浄水器
US9701546B2 (en) Water filtration device and filter therefor
US9308472B2 (en) Composite filter apparatus
JP3775150B2 (ja) 浄水カートリッジ
KR200237669Y1 (ko) 휴대용 정수기
KR200420696Y1 (ko) 정수용 필터
JP4441271B2 (ja) 浄水カートリッジ及び浄水器
US20080223772A1 (en) Purification Device
CN210145644U (zh) 一种滤芯的逆止结构
EP3351511B1 (en) Device for treating water for household use
JP2014087785A (ja) 浄水器
JP3158722U (ja) シャワー用浄水器
KR20190000115A (ko) 무동력 휴대용 간이정수장치
JP5601544B2 (ja) 浄水カートリッジを備えている水栓
JP6343061B1 (ja) 携帯用浄水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0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2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0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19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19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10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