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98269B1 - 배달물 수납장치를 갖는 현관문 - Google Patents

배달물 수납장치를 갖는 현관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98269B1
KR101098269B1 KR1020110067864A KR20110067864A KR101098269B1 KR 101098269 B1 KR101098269 B1 KR 101098269B1 KR 1020110067864 A KR1020110067864 A KR 1020110067864A KR 20110067864 A KR20110067864 A KR 20110067864A KR 101098269 B1 KR101098269 B1 KR 10109826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opening
plate
storage door
stor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678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나진원
Original Assignee
나진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나진원 filed Critical 나진원
Priority to KR102011006786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9826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9826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9826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7/00Special arrangements or measures in connection with doors or windows
    • E06B7/28Other arrangements on doors or windows, e.g. door-plates, windows adapted to carry plants, hooks for window cleaners
    • E06B7/32Serving doors; Passing-through doors ; Pet-doo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9/00Supports, holders, or containers for household use,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7G1/00-A47G27/00 or A47G33/00 
    • A47G29/12Mail or newspaper receptacles, e.g. letter-boxes; Openings in doors or the like for delivering mail or newspaper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70Door leaves
    • E06B3/72Door leaves consisting of frame and panels, e.g. of raised panel type
    • E06B3/76Door leaves consisting of frame and panels, e.g. of raised panel type with metal pane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Supports Or Holders For Household Us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수납도어가 닫힌 상태에서 노루발못뽑이와 같은 도구를 이용하여 외부에서 도어를 개방할 수 없게 함에 따라 범죄자가 수납도어를 개방하여 실내로 침입하는 것을 사전에 예방하는 배달물 수납장치를 갖는 현관문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수납장치를 갖는 현관문은, 외측 철판에 외측 개방부가 형성되고 내측 철판에 내측 개방부가 형성된 문 본체와, 상기 내측 개방부에 내측에서 삽입 장착되는 틀체와, 상기 틀체의 내부에 장착되어 개방을 통해 배달물을 수납하는 수납도어와, 상기 틀체의 측판과 수납도어의 양측에 구비되어 수납도어의 개방 속도를 서서히 줄이면서 수납도어를 개방시키는 댐퍼 힌지부와, 상기 수납도어의 외측면에 부착되어 상기 외측 개방부를 막는 외측 돌출판을, 포함한다.

Description

배달물 수납장치를 갖는 현관문{FRONT DOOR WITH A DELIVERY GOODS RECEIVING DEVICE}
본 발명은 배달물 수납장치를 갖는 현관문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수납도어가 닫힌 상태에서 노루발못뽑이와 같은 도구를 이용하여 외부에서 도어를 개방할 수 없게 함에 따라 범죄자가 수납도어를 개방하여 실내로 침입하는 것을 사전에 예방하는 배달물 수납장치를 갖는 현관문에 관한 것이다.
최근들어 유선매체를 통한 판매 광고의 확산과 인터넷 사용의 보편화로 인하여 물건을 주문하여 택배로 받는 경우가 급증하고 있다. 그리고 서구화된 식습관과 핵가족화로 인하여 배달을 통해 음식물을 시켜 먹는 가정이 증가하는 추세이다.
그런데, 각 가정에서 택배물(이하, "배달물"이라 한다.)을 받거나 배달시킨 음식물(이하, "배달물"이라 한다.)을 받을 경우에는, 대부분이 배달자의 신원을 확인하지 않고 현관문을 열고 배달물을 받고 있다. 따라서 최근 들어 택배나 음식물 등의 배달원을 가장한 범죄가 급증하여 큰 사회적 문제로 대두되고 있다.
이에,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소하고자,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2010-0077904호의 "택배 도어"(이하,"종래의 택배도어"라 한다.)가 알려져 있다.
도 7은 종래의 택배 도어가 닫힌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8은 종래의 택배 도어가 개방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택배도어는, 현관 도어(100)에 형성된 개구부(101)와, 상기 개구부(101)에는 실내측(A)으로 개방되도록 결합되는 보조도어(200)가 구비되어 있는 것이다.
상기 보조도어(200)에는, 상기 보조도어(200)의 개방을 억제하는 고정수단(300)이 구비되며, 실내를 향한 내측에 위치되는 내측판(201)과, 상기 내측판(201)에 상기 내측판(201)의 면적보다 작게 형성되어 단턱부(203)를 형성하며 실외를 향하게 결합되는 외측판(202)이 구비되어 있는 것이다.
상기 개구부(101)의 가장자리를 이루는 상기 현관 도어(100)의 외부판(103)과 내부판(102)을 감싸는 내벽케이싱이 결합되고, 상기 내벽케이싱에는 상기 단턱부(203)를 가리는 가로브래킷(500)이 더 형성되는 것이다.
그런데, 상기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보조도어를 닫은 상태에서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조도어(200)의 상부가 내측으로 경사지게 됨으로써, 보조도어(200)의 외측판(202)의 상부와 내벽케이싱을 구성하는 가로브래킷(500)의 사이에 틈이 발생된다.
따라서 상기 보조도어(200)가 닫힌 상태에서 침입자가 상기 보조도어(200)의 외측판(202)의 상부와 가로브래킷(500)의 사이에 형성된 틈에 노루발못뽑이(일명 "빠루"라 한다)를 삽입하여 젖히게 되면 보조도어(202)의 상부가 내측으로 밀려 보조도어(200)가 개방된다.
그러므로 침입자가 외부에서 노루발못뽑이와 같은 도구를 이용하여 보조도어(200)를 용이하게 개방시킨 후, 손을 투입하여 현관문의 시건장치를 해제 한 다음, 현관문을 개방시켜 실내로 용이하게 침할 수 있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다.
또한, 상기 보조도어를 닫은 상태에서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조도어(200)의 상부가 내측으로 경사지게 닫히게 됨에 따라, 외부에서 현관문의 볼 때 보조도어(200)가 개방된 것과 같이 보임에 따라, 범죄를 유발하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고, 현관문의 외부 미관을 해치는 문제점도 가지고 있었다.
또한, 상기 보조도어가 직각으로 회전되어 개방된 상태에서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조도어(200)의 하단부가 개구부(101)에 위치됨에 따라, 택배나 소포 또는 음식물 등의 배달물을 개방된 보조도어(200)의 상부에 올려놓을 경우에는 배달자가 머리를 숙이고 팔을 개구부(101)에 투입하여 배달물을 보조도어(200)의 상부에 올려놓아야 하는 불편한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다.
또한, 내부에서 고정수단(300)을 조작하여 보조도어(200)를 개방시키는 순간에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량물인 도어가 힌지축(400)을 중심으로 순간적으로 개방됨으로써, 고정수단(300)을 개방 조작한 다음 다른 손으로 보조도어(200)를 받치면서 개방해야 하는 불편한 문제점도 가지고 있었다.
한국공개특허 제2010-0077904호(주식회사 신흥강판) 2010. 07. 08.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수납도어가 닫힌 상태에서 수납도어의 외측둘레와 현관문을 구성하는 외측 철판의 외측 개방부의 둘레을 밀착시키고 외측 개방부의 상부를 보강 돌출판으로 보강함에 따라 노루발못뽑이와 같은 도구를 이용하여 외부에서 수납도어를 개방할 수 없게 하고, 수납도어가 닫힌 상태에서 현관문의 외측면과 수납도어의 외면이 일치되게 하며, 수납도어를 개방시킨 상태에서 수납도어의 하부를 외부로 돌출시켜 외부에서 배달물을 개방된 수납도어에 용이하게 올려놓을 수 있게 하고, 수납도어의 개방시 수납도어를 서서히 열리게 할 수 있는 배달물 수납장치를 갖는 현관문을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수납도어의 외측 상부에 형성된 함몰홈에 자석부를 더 구비함으로써, 수납도어의 닫힌 상태를 견고하게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배달물 수납장치를 갖는 현관문을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외측 개방부의 둘레에 둘레패킹을 구비함으로써, 수납도어를 닫는 순간에 소음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배달물 수납장치를 갖는 현관문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외측 철판에는 양측으로 길게 형성된 외측 개방부가 형성되고, 내측 철판에는 상기 외측 개방부와 상응되는 위치에 외측 개방부보다 양측이 넓고 상부가 높게 형성된 내측 개방부가 형성된 문 본체와; 상기 내측 개방부에 내측에서 삽입되어 내측의 돌출 둘레판이 상기 내측 개방부의 둘레에 다수의 고정부로 고정되며, 둘레에는 현관문의 내부 둘레를 커버하는 상,하판과 양 측판이 구비되고, 상기 상판의 내측에는 록킹홀이 형성되고, 상판의 외측에는 상기 외측 개방부의 내면에 밀착되어 하부와 외측 개방부의 내면 사이에 도어 걸림홈을 형성하는 보강 돌출판이 구비되며, 상기 하판의 내측에는 상부가 좁아지게 외측 경사면을 가진 단속 돌출부가 구비되고, 상기 하판의 외측에는 상기 외측 개방부의 하단부에 걸리는 걸림턱이 구비되며, 상기 양 측판의 중간 하부에는 힌지축 장착홀이 형성된 틀체와; 상기 틀체의 내부에 장착되며, 양측에는 상기 힌지축 장착홀과 상응되는 위치에 댐퍼 장착홀이 형성되며, 외측면 상부에는 상기 보강 돌출판이 삽입되는 함몰홈이 형성되어 외측면의 상부가 상기 도어 걸림홈에 걸리게 삽입되고, 내측면의 하부에는 상기 단속 돌출부에 밀착되는 경사 함몰부가 형성되며, 내측 상부에는 상기 록킹홀을 단속하거나 해제하는 시건 장치부가 구비된 수납도어와; 상기 댐퍼 장착홀에 댐퍼몸체가 장착되고 힌지축이 상기 힌지축 장착홀에 장착되어 수납도어의 개방시 개방 속도를 서서히 줄어들게 하는 댐퍼 힌지부와; 상기 수납도어의 외측면에 돌출되게 부착되고, 상기 외측 개방부와 둘레 형상과 두께가 동일하게 형성되어 상기 외측 개방부의 둘레를 틈이 생기지 않게 막는 외측 돌출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수납도어는, 상기 함몰홈의 외면에 함몰 장착되는 하나 이상의 자석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외측 개방부는, 양측과 상부 단부에 끼워지는 둘레패킹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은, 수납도어가 닫힌 상태에서 노루발못뽑이와 같은 도구를 이용하여 외부에서 도어를 개방할 수 없게 함에 따라 범죄자가 수납도어를 개방하여 실내로 침입하는 것을 사전에 예방하는 범죄예방의 효과가 있고, 수납도어가 닫힌 상태에서 현관문의 외측면과 수납도어의 외면이 일치되게 함에 따라 도어가 닫힌 상태를 외부에서 식별하여 범죄의 충동을 예방할 수 있고 외부의 미관을 향상시키는 효과도 있으며, 수납도어를 개방시킨 상태에서 수납도어의 하부를 외부로 돌출시켜 외부에서 배달물을 개방된 수납도어에 용이하게 올려놓을 수 있게 함에 따라 배달자에게 편의성을 제공할 수 있고, 수납도어의 개방시 서서히 열리게 할 수 있음에 따라 수납도어의 개방시 편리성을 제공하는 효과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수납도어의 외측 상부에 형성된 함몰홈에 자석부를 더 구비하여 수납도어의 닫힘 상태를 견고하게 유지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시건 장치부를 조작하여 수납도어를 개방하는 순간에 수납도어가 갑자기 열려 손이나 손등에 상처를 주는 현상을 사전에 예방하는 효과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외측 개방부의 둘레에 둘레 패킹을 구비하여 수납도어를 닫는 순간에 소음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공동 주거공간에서 소음으로 인한 피해를 예방할 수 있는 효과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수납장치를 갖는 현관문을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수납도어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3은 도 1의 A-A선 단면도.
도 4는 도 1의 B-B선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댐퍼 힌지부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수납도어가 개방된 상태를 나타낸 것으로,
도 6a는 사시도이고,
도 6b는 도 6a의 C-C선 단면도.
도 7은 종래의 택배 도어가 닫힌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8은 종래의 택배 도어가 개방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이하,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다만,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것일 뿐이며, 본 발명의 기술사상이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님은 당연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수납장치를 갖는 현관문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수납도어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1의 A-A선 단면도이고, 도 4는 도 1의 B-B선 단면도이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수납장치를 갖는 현관문은, 외측 철판(11)에 외측 개방부(12)가 형성되고 내측 철판(13)에 내측 개방부(14)가 형성된 문 본체(1)와, 상기 내측 개방부(14)에 내측에서 삽입 장착되는 틀체(2)와, 상기 틀체(2)의 내부에 장착되어 개방을 통해 배달물을 수납하는 수납도어(3)와, 상기 틀체(2)의 측판(23)과 수납도어(3)의 양측에 구비되어 수납도어(3)의 개방 속도를 서서히 줄이면서 수납도어(3)를 개방시키는 댐퍼 힌지부(4)와, 상기 수납도어(3)의 외측면에 부착되어 상기 외측 개방부(12)를 막는 외측 돌출판(5)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문 본체(1)는,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앙이 개방되어 상기 틀체(2)를 장착시킬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하는 역할을 한다. 그리고 상기 문 본체(1)는 외측 철판(11)과 내측 철판(13)으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외측 철판(11)에는 상기 외측 개방부(12)가 형성되고, 상기 내측 철판(13)에는 상기 외측 개방부(12)와 상응되는 위치에는 상기 내측 개방부(14)가 형성된다.
상기 외측 개방부(12)는, 상기 외측 돌출판(5)이 삽입 장착되는 것으로, 양측이 길게 장방향의 사각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양측 상부의 모서리부에는 문 본체(1)의 외부의 미관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라운드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이다.
상기 내측 개방부(14)는, 상기 틀체(2)가 내측에서 외측으로 삽입 장착되게 형성된 개방홀로서, 상기 외측 개방부(12)와 마찬가지로 양측이 길게 장방형의 사각 형상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내측 개방부(14)는, 상기 외측 개방부(12)보다 양측이 넓고 상부가 높게 형성됨으로써, 내측에서 외측으로 삽입되는 틀체(2)가 외측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상기 내측 개방부(14)의 둘레에는 상기 틀체(2)를 고정하기 위한 다수의 조립홀(141)이 형성되어 있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상기 틀체(2)는, 상기 내측 개방부(14)에 내측에서 외측으로 삽입되어 내측의 돌출 둘레판(24)이 상기 내측 개방부(14)의 둘레에 형성된 다수의 조립홀(141)에 다수의 고정부(26)의 고정을 통해 고정 장착된다. 그리고 상기 틀체(2)는, 둘레에 문 본체(1)의 내부 둘레인 내측 개방부(14)의 둘레를 커버하는 수평의 상,하판(21)(22)과 수직의 양 측판(23)을 포함한다. 아울러 상기 고정부(26)는, 틀체(2)의 내측 둘레에 형성된 돌출 둘레판(24)에 다수로 형성된 조립홀에 삽입되어 고정되는 리벳(261)이나 볼트와 너트로 구성될 수 있는데, 첨부된 도면에서는 리벳(261)으로 구성된 상태를 도시하였다.
그리고 상기 틀체(2)를 구성하는 상판(21)의 내측에는 수납도어(3)의 개방을 단속하는 록킹홀(211)이 형성되고, 상판(21)의 외측에는 상기 외측 개방부(12)의 내면에 밀착되는 보강 돌출판(212)이 구비된다. 따라서 상기 보강 돌출판(212)은, 외측 철판(11)을 보강함에 따라 외부에서 노루발못뽑이와 같은 도구를 이용하여 외측 개방부(12)의 상부를 손상시키는 것을 미연에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보강 돌출판(212)의 하단은 상기 외측 개방부(12)의 상부 단부보다 상부에 위치되어 있음에 따라, 상기 보강 돌출판(212)의 하단과 외측 개방부(12)의 상부 내면의 사이에 수납도어(3)의 외면 상부가 걸리는 도어 걸림홈(25)이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도어 걸림홈(25)은, 수납도어(3)가 닫힌 상태에서 외측 개방부(12)의 상부 내면과 수납도어(3)의 외면 상부를 밀착시켜 외측 개방부(12)의 상부 내면과 수납도어(3)의 외면 상부에 틈이 발생되는 것으로 방지하고, 수납도어(3)의 상부가 외측으로 돌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아울러 상기 틀체(2)를 구성하는 하판(22)의 내측에는 단속 돌출부(221)가 구비되고, 상기 하판(22)의 외측에는 상기 외측 개방부(12)의 하단부에 걸리는 걸림턱(223)이 구비된다. 따라서 상기 단속 돌출부(221)는, 수납도어(3)의 내측 하부를 막아주어 노루발못뽑이와 같은 도구를 이용하여 수납도어(3)의 하부를 개방시키는 것을 미연에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단속 돌출부(221)는 상부가 좁아지게 형성된 외측 경사면(222)을 포함한다. 상기 외측 경사면(222)은 수납도어(3)의 개방시 걸림 없이 수납도어(3)를 원활하게 개방시키는 역할을 한다.
또한 상기 틀체(2)를 구성하는 양 측판(23)의 중간 하부에는, 상기 댐퍼 힌지부(4)를 구성하는 힌지축(422)이 장착되는 힌지축 장착홀(231)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힌지축 장착홀(231)은 힌지축(422)의 형상과 동일하게 사각홀로 형성되어 있는 것이다.
본 발명 따른 상기 수납도어(3)는,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틀체(2)의 내부에 장착되어 개방을 통해 배달물을 수납하는 역할을 한다. 그리고 상기 수납도어(3)는, 양측에 상기 틀체(2)의 양측에 형성된 힌지축 장착홀(231)과 상응되는 위치에 형성된 댐퍼 장착홀(31)과, 외측면 상부에 상기 보강 돌출판(212)이 삽입되게 형성된 함몰홈(32)과, 내측면의 하부에 형성되어 상기 단속 돌출부(221)에 밀착되는 경사 함몰부(33)와, 내측 상부에 형성되어 상기 록킹홀(211)을 단속하거나 해제하는 시건 장치부(34)를 포함한다.
상기 함몰홈(32)에는 상기 보강 돌출판(212)이 삽입되고, 수납도어(3)의 외면의 상부가 상기 도어 걸림홈(25)에 걸리게 됨으로써, 수납도어(3)의 상부가 외측으로 회전되는 것을 방지함은 물론, 외부에서 노루발못뽑이와 같은 도구를 삽입을 예방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댐퍼 장착홀(31)은 원형의 홀로 형성되어 후술할 댐퍼 힌지부(4)가 삽입 장착되는 것이다.
상기 경사 함몰부(33)는, 상기 틀체(2)에 형성된 단속 돌출부(221)의 경사면(222)에 밀착될 수 있도록 경사면을 갖는 것이다.
상기 시건 장치부(34)는, 수납도어(3)의 내부 상부에 장착된 몸체(342)와, 몸체(342)의 내측과 연결되어 수납도어(3)의 내면 상부에 구비된 손잡이(341)와, 상기 몸체(342)의 상부와 수납도어(3)의 상부로 돌출되어 상기 손잡이(341)의 회전을 통해 승강되어 상기 틀체(2)의 록킹홀(211)을 단속하거나 해제하는 록킹축(343)을 포함한다. 그런데 상기 몸체(342)는 손잡이(341)의 회전을 통해 록킹축(343)을 승강시키는 역할을 하는데, 이러한 구성은 이미 공지된 것으로 그 구체적인 구성과 작동관계는 생략하기로 한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댐퍼 힌지부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댐퍼 힌지부(4)는,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댐퍼 장착홀(31)에 댐퍼몸체(42)가 장착되고 힌지축(422)이 상기 힌지축 장착홀(231)에 장착되어 수납도어(3)의 개방시 개방 속도를 서서히 줄어들게 하는 역할을 한다. 그리고 상기 댐퍼 힌지부(4)는, 상기 수납도어(3)의 측부에 형성된 댐퍼 장착홀(31)에 삽입 장착되고 내측에는 사각관(411)이 구비된 원통관(41)과; 상기 사각관(411)과 원통관(41)의 내부에 외측에서 내측으로 끼워져 삽입되고, 내측에는 사각축 형상의 내측 삽입축(421)이 구비되고, 외측에는 상기 틀체(2)의 측판(23)에 형성된 힌지 장착홀(231)에 삽입되는 사각축 형상의 힌지축(422)이 구비되며, 내부에는 작동유체가 채워진 댐퍼몸체(42)를; 포함한다.
상기 원통관(41)은, 외측 단부가 상기 수납도어(3)의 측부에 형성된 댐퍼 장착홀(31)의 둘레에 용접을 통해 견고하게 고정되어 있는 것이다.
따라서 수납도어(3)를 개방할 경우에는 상기 댐퍼 힌지부(4)를 구성하는 댐퍼몸체(42)에 채워진 작동유체의 압축을 통해, 수납도어(3)가 초기에 빠른 속도로 개방되다가 속도가 점차적으로 줄어들게 된다. 즉 수납도어(3)의 개방시 초기 개방 각도가 약 60도까지는 신속히 개방되다가 약 60도 이후에는 서서히 개방된다. 그러므로 수납도어(3)의 개방시 수납도어(3)를 서서히 열리게 함으로써, 수납도어(3)의 개방시 수납도어(3)를 손으로 받칠 필요가 없는 편리성을 가진 배달물 수납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외측 돌출판(5)은, 상기 수납도어(3)의 외면에 돌출되게 부착되는 것으로, 상기 외측 개방부(12)와 둘레 형상과 두께가 동일하게 형성되어 상기 외측 개방부(12)를 둘레를 틈이 생기지 않게 막는 역할을 한다.
상기 외측 돌출판(5)은, 문 본체(1)가 방화문의 역할도 충분히 할 수 있도록 불연성 재질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므로 상기 외측 돌출판(5)은 불연성의 재질인 멜라민으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기 외측 돌출판(5)이 상기 외측 개방부(12)를 막은 상태에서는 외측 돌출판(5)의 둘레가 외측 개방부(12)의 둘레에 밀착됨으로써, 침입자가 외부에서 노루발못뽑이와 같은 도구를 외측 돌출판(5)의 둘레에 끼울 수 없게 된다. 그러므로 범죄자의 외부 침입을 방지할 수 있는데, 그 구체적인 설명은 후술하기로 한다.
또한 수납도어(3)가 닫힌 상태에서 현관문의 외측면과 수납도어(3)의 외면이 일치되게 함으로써, 도어가 닫힌 상태를 외부에서 식별하여 범죄자의 범죄충동을 예방할 수 있는 장점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수납장치를 갖는 현관문은,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수납도어(3)의 외면 상부에 형성된 함몰홈(32)의 외면에 함몰 장착되는 하나 이상의 자석부(6)를 더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자석부(6)는 상기 함몰홈(32)의 외면에 용접을 통해 삽입 고정되고 외측이 개방된 케이스(61)와, 케이스(61)의 내부에 삽입되는 자석(62)으로 구성된다.
따라서 상기 자석부(6)는, 상기 틀체(2)를 구성하는 보강 돌출판(212)에 부착되는 것이다. 그러므로 상기 자석부(6)를 통해 수납도어(3)의 닫힘 상태를 견고하게 유지할 수 있음 따라, 시건 장치부를 조작하여 수납도어(3)를 개방하는 순간에 수납도어(3)가 갑자기 열려 손이나 손등에 상처를 주는 현상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수납장치를 갖는 현관문은,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측 개방부(12)의 양측과 상부 단부에 끼워지는 둘레패킹(7)을 더 포함한다.
상기 둘레패킹(7)은, 수납도어(3)를 닫는 순간에 소음을 방지 할 수 있도록 신축성을 가진 재질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함으로써, 실리콘으로 구성된 것이다.
따라서 외측 개방부(12)의 둘레에 둘레패킹(7)을 구비하여 수납도어(3)를 닫는 순간에 소음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공동 주거공간에서 소음으로 인한 피해를 예방하는 저소음의 수납도어를 제공할 수 있는 것이다.
이하,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작동관계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틀체(2)와 수납도어(3)를 장착하는 과정을 설명하면,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틀체(2)의 내부에 수납도어(3)를 내측에서 외측으로 삽입하여 장착하면서, 수납도어(3)의 양측에 구비된 댐퍼 힌지부(4)의 힌지축(422)을 틀체(2)의 양 측판(23)에 형성된 힌지 장착홀(231)에 삽입 장착한다.
다음 틀체(2)를 문 본체(1)의 내측 철판(13)에 구비된 내측 개방부(14)에 내측에서 외측으로 밀어 삽입한 다음, 틀체(2)를 하부로 내려 하판(22) 전방에 형성된 걸림턱(223)을 외측 철판(11)의 외측 개방부(12)의 하단에 걸리게 한다. 즉 상기와 같이 내측 개방부(14)에 틀체(2)를 삽입한 상태에서 하부로 내려 조립할 수 있는 것은, 상기 내측 철판(13)에 형성된 내측 개방부(14)의 상단이 외측 철판(11)에 형성된 외측 개방부(12)의 상단보다 높게 형성됨으로써 가능한 것이다.
다음 틀체(2)의 둘레에 형성된 돌출 둘레판(24)을 내측 철판(13)에 밀착시킨 다음, 돌출 둘레판(24)에 형성된 조립홀들과 외측 개방부(12)의 둘레에 형성된 조립홀(141)들을 일치시킨 후, 다수의 리벳(261)이나 볼트와 너트를 통해 틀체(2)를 문 본체(1)에 고정함으로써, 본 발명의 수납도어(3)의 장착을 완료하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수납도어(3)가 조립된 틀체(2)를, 먼저 상기 내측 철판(13)에 형성된 내측 개방부(14)에 삽입한 상태에서 하부로 내리고 틀체(2)의 돌출 둘레판(24)을 내측 철판(13)에 고정하는 과정만으로 본 발명의 수납도어(3)를 간단하게 장착할 수 있는 장점도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수납도어의 개폐 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수납도어가 개방된 상태를 나타낸 것으로, 도 6a는 사시도이고, 도 6b는 도 6a의 C-C선 단면도이다.
먼저, 본 발명에 따른 수납도어(3)가 닫힌 상태에서는,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건 장치부가 록킹 상태를 유지함으로써 외부에서 도어의 상부를 밀더라도 수납도어(3)가 개방되지 않게 된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수납도어(3)가 닫힌 상태에서는, 수납도어(3)의 외측 상부에 형성된 함몰홈(32)의 외면에 구비된 하나 이상의 자석부(6)의 자석(62)이 상기 틀체(2)의 상부 외측에 형성된 보강 돌출판(212)에 부착된다.
또한 수납도어(3)의 외면에 부착된 외측 돌출판(5)이 외측 철판(11)의 외측 개방부(12)를 막게 된다. 이와 같이 외측 돌출판(5)이 상기 외측 개방부(12)를 막는 상태에서는 외측 돌출판(5)의 둘레가 외측 개방부(12)의 둘레에 밀착됨으로써, 침입자가 외부에서 노루발못뽑이와 같은 도구를 외측 돌출판(5)의 둘레에 끼울 수 없게 한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노루발못뽑이와 같은 도구를 외측 돌출판(5)의 둘레에 끼울 수 없게 함으로써, 범죄자가 수납도어(3)를 개방하여 실내로 침입하는 것을 사전에 예방하는 범죄의 예방의 효과을 얻을 수 있는 장점도 있다.
한편 범죄자가 노루발못뽑이와 같은 도구를 강제적으로 외측 돌출판(5)의 상단에 끼운 후 젖힘을 통해 수납도어(3)의 개방을 시도하더라도, 상기 수납도어(3)의 외면 둘레가 외측 개방부(12)의 둘레 내면에 밀착되어 있고, 외측 개방부(12)의 상부 내면에는 틀체(2)와 연결된 보강 돌출판(212)이 더 구비됨에 따라, 내측 개방부(14)의 상부와 양측이 전체적으로 휘어지지 않아 수납도어(3)의 개방이 불가능한 것이다. 그러므로 상술한 바와 같이, 범죄자가 수납도어(3)를 개방하여 실내로 침입하는 것을 사전에 예방할 수 있는 것이다.
반대로, 본 발명에 따른 수납도어를 개방할 경우에는, 도 1 내지 도 3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납도어(3)의 내측 상부에 내측으로 돌출된 시건 장치부(34)의 손잡이(341)를 회전시켜 록킹축(343)을 하강시킴에 따라, 시건 장치부의 록킹 상태를 해제한다.
다음 손잡이(341)를 전방으로 당겨 수납도어(3)의 외측 상부에 구비된 자석부(6)의 자석(62)을 틀체(2)의 보강 돌출판(212)으로 부터 분리시키고 손잡이(341)를 놓는다. 그러면 수납도어(3)가 양측의 댐퍼 힌지부(4)의 힌지축(422)을 중심으로, 약 60도 까지 빠른 속도로 개방된 후, 약 60도를 넘게 개방되면 댐퍼몸체(42)에 채워진 작동유체의 압축력으로 인하여 서서히 개방되어 90도로 개방된다.
이와 같이 상기 수납도어(3)가 완전히 개방되면, 틀체(2)의 하판(22)의 내측에 형성된 단속 돌출부(221)의 상단에 수납도어(3)의 내측면이 밀착되어 수평상태를 유지하며, 수납도어(3)의 하부가 상기 힌지축(422)을 중심으로 전방으로 돌출되게 된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수납도어(3)의 개방시 양측의 댐퍼 힌지부(4)를 통해 수납도어(3)를 서서히 열리게 할 수 있음에 따라, 수납도어(3)의 개방시 편리성을 제공하는 장점도 있다.
또한 수납도어(3)를 개방시킨 상태에서 수납도어(3)의 하부를 외부로 돌출시킴에 따라, 외부에서 배달물을 개방된 수납도어(3)에 용이하게 올려놓을 수 있게 하는 장점이 있다. 즉 배달자가 배달물을 수납도어(3)에 올려놓는 과정에서 머리를 숙일 필요가 없고 팔을 도어의 내부에 넣을 필요도 없음에 따라 배달자에게 편의성을 제공하는 장점도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에 의한 배달물 수납장치를 갖는 현관문을 구체적으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양태를 기재한 것일 뿐,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그 범위가 결정되어지고 한정되어진다. 또한,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나 본 발명의 명세서에 기재내용에 의하여 다양한 변형 및 모방을 행할 수 있는 것이나, 이 역시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난 것이 아님은 명백하다고 할 것이다.
1 : 문 본체
11 : 외측 철판
12 : 외측 개방부
13 : 내측 철판
14 : 내측 개방부
141 : 조립홀
2 : 틀체
21 : 상판
211 : 록킹홀, 212 : 보강 돌출판
22 : 하판
221 : 단속 돌출부, 222 : 경사면, 223 : 걸림턱
23 : 측판
231 : 힌지축 장착홀
24 : 돌출 둘레판
25 : 도어 걸림홈
26 : 고정부
261 : 리벳
3 : 수납도어
31 : 댐퍼 장착홀
32 : 함몰홈
33 : 경사 함몰부
34 : 시건 장치부
341 : 손잡이, 342 : 몸체, 343 : 록킹축
4 : 댐퍼 힌지부
41 : 원통관
411 : 사각관
42 : 댐퍼몸체
421 : 내측 삽입축, 422 : 힌지축
5 : 외측 돌출판
6 : 자석부
61 : 케이스, 62 : 자석
7 : 둘레패킹

Claims (3)

  1. 외측 철판(11)에는 양측으로 길게 형성된 외측 개방부(12)가 형성되고, 내측 철판(13)에는 상기 외측 개방부(12)와 상응되는 위치에 외측 개방부(12)보다 양측이 넓고 상부가 높게 형성된 내측 개방부(14)가 형성된 문 본체(1)와;
    상기 내측 개방부(14)에 내측에서 삽입되어 내측의 돌출 둘레판(24)이 상기 내측 개방부(14)의 둘레에 다수의 고정부(26)로 고정되며, 둘레에는 현관문의 내부 둘레를 커버하는 상,하판(21)(22)과 양 측판(23)이 구비되고, 상기 상판(21)의 내측에는 록킹홀(211)이 형성되고, 상판(21)의 외측에는 상기 외측 개방부(12)의 내면에 밀착되어 하부와 외측 개방부(12)의 내면 사이에 도어 걸림홈(25)을 형성하는 보강 돌출판(212)이 구비되며, 상기 하판(22)의 내측에는 상부가 좁아지게 외측 경사면(222)을 가진 단속 돌출부(221)가 구비되고, 상기 하판(22)의 외측에는 상기 외측 개방부(12)의 하단부에 걸리는 걸림턱(223)이 구비되며, 상기 양 측판(23)의 중간 하부에는 힌지축 장착홀(231)이 형성된 틀체(2)와;
    상기 틀체(2)의 내부에 장착되며, 양측에는 상기 힌지축 장착홀(231)과 상응되는 위치에 댐퍼 장착홀(31)이 형성되며, 외측면 상부에는 상기 보강 돌출판(212)이 삽입되는 함몰홈(32)이 형성되어 외측면의 상부가 상기 도어 걸림홈(25)에 걸리게 삽입되고, 내측면의 하부에는 상기 단속 돌출부(221)에 밀착되는 경사 함몰부(33)가 형성되며, 내측 상부에는 상기 록킹홀(211)을 단속하거나 해제하는 시건 장치부(34)가 구비된 수납도어(3)와;
    상기 댐퍼 장착홀(31)에 댐퍼몸체(42)가 장착되고 힌지축(422)이 상기 힌지축 장착홀(231)에 장착되어 수납도어(3)의 개방시 개방 속도를 서서히 줄어들게 하는 댐퍼 힌지부(4)와;
    상기 수납도어(3)의 외측면에 돌출되게 부착되고, 상기 외측 개방부(12)와 둘레 형상과 두께가 동일하게 형성되어 상기 외측 개방부(12)의 둘레를 틈이 생기지 않게 막는 외측 돌출판(5)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달물 수납장치를 갖는 현관문.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납도어(3)는,
    상기 함몰홈(32)의 외면에 함몰 장착되는 하나 이상의 자석부(6)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달물 수납장치를 갖는 현관문.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외측 개방부(12)는,
    양측과 상부 단부에 끼워지는 둘레패킹(7)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달물 수납장치를 갖는 현관문.
KR1020110067864A 2011-07-08 2011-07-08 배달물 수납장치를 갖는 현관문 KR10109826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67864A KR101098269B1 (ko) 2011-07-08 2011-07-08 배달물 수납장치를 갖는 현관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67864A KR101098269B1 (ko) 2011-07-08 2011-07-08 배달물 수납장치를 갖는 현관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98269B1 true KR101098269B1 (ko) 2011-12-23

Family

ID=455068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67864A KR101098269B1 (ko) 2011-07-08 2011-07-08 배달물 수납장치를 갖는 현관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98269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23564B1 (ko) * 2012-05-15 2014-08-01 나진원 배달물 수납장치를 갖는 현관문
KR102005758B1 (ko) * 2018-11-22 2019-10-01 김민후 비상상황에 용이한 안전문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83446B1 (ko) 2000-12-15 2003-05-14 김송기 현관문의 배달물 투입구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83446B1 (ko) 2000-12-15 2003-05-14 김송기 현관문의 배달물 투입구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23564B1 (ko) * 2012-05-15 2014-08-01 나진원 배달물 수납장치를 갖는 현관문
KR102005758B1 (ko) * 2018-11-22 2019-10-01 김민후 비상상황에 용이한 안전문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D841107S1 (en) Tent
KR101744160B1 (ko) 방수형 무인 택배함
KR101499098B1 (ko) 손 끼임 방지기능을 가지는 문짝
USD874527S1 (en) Refrigerator
US9988833B2 (en) Static hinge disabler
KR101098269B1 (ko) 배달물 수납장치를 갖는 현관문
USD540151S1 (en) Bracket for a portable deadbolt lock
USD914363S1 (en) Container
USD992081S1 (en) UV sanitizing cabinet
KR102112574B1 (ko) 사물함 도어 장치
US20080036217A1 (en) Double door hook for an oven
KR101157164B1 (ko) 택배 도어
KR101169299B1 (ko) 도어 결합부의 안전성과 보안성이 보강된 체결부 은폐형 목재 사물함
JP5719156B2 (ja) 異種材料キャビネット
JP5324624B2 (ja) 墓石の外柵における燈明台装置
USD958849S1 (en) Door with refrigerator and delivery storage box
USD981775S1 (en) Corner stand with door
KR200409750Y1 (ko) 우편함
USD545394S1 (en) Water treatment assembly
JP3215161U (ja) スーツケース
JP3169456U (ja) 郵便受け
JP4560684B2 (ja) 抽斗付き筐体
KR101423564B1 (ko) 배달물 수납장치를 갖는 현관문
USD957688S1 (en) Door
USD968508S1 (en) Mobile printer and storage compartment unit assembl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2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06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