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98096B1 - 적응 멀티 안테나를 이용하는 이동체 통신 시스템 - Google Patents

적응 멀티 안테나를 이용하는 이동체 통신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98096B1
KR101098096B1 KR1020107004929A KR20107004929A KR101098096B1 KR 101098096 B1 KR101098096 B1 KR 101098096B1 KR 1020107004929 A KR1020107004929 A KR 1020107004929A KR 20107004929 A KR20107004929 A KR 20107004929A KR 101098096 B1 KR101098096 B1 KR 10109809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ntenna
station
mobile terminal
base station
communic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70049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40326A (ko
Inventor
마사히로 와따나베
마꼬또 요시다
히로시 후지따
Original Assignee
후지쯔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후지쯔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후지쯔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000403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4032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9809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9809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02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 H04B7/04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 H04B7/06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 H04B7/0686Hybrid systems, i.e. switching and simultaneous transmission
    • H04B7/0689Hybrid systems, i.e. switching and simultaneous transmission using different transmission schemes, at least one of them being a diversity transmission schem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02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 H04B7/04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 H04B7/0413MIMO syste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02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 H04B7/04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 H04B7/06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 H04B7/0602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using antenna switching
    • H04B7/0608Antenna selection according to transmission parameters
    • H04B7/061Antenna selection according to transmission parameters using feedback from receiving sid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02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 H04B7/04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 H04B7/06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 H04B7/0613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using simultaneous transmiss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8Access point devices

Abstract

적응 멀티 안테나를 이용하는 이동체 통신 시스템에서, 무선 중계국 수의 변화에 상관없이 동일한 멀티 안테나 통신 방식의 적용을 계속한 경우에 비해, 수신 특성의 향상이나 대역의 유효 이용, 처리량의 최적화를 실현할 수 있다. 이러한 적응 멀티 안테나를 이용하는 이동체 통신 시스템은, 무선 기지국과, 무선 중계국과, 상기 무선 중계국을 통하여 상기 무선 기지국과 통신을 행하는 이동 단말국으로 구성되고, 상기 무선 기지국은, 멀티 안테나를 갖고, 상기 이동 단말국과의 통신을, 상기 무선 중계국을 통과하여 송신을 행할 때에, 상기 무선 중계국의 수의 변화의 유무를 판정하고, 상기 무선 중계국의 수의 변화가 있을 때에, 상기 이동 단말국으로부터의 피드백 신호의 지연 시간에 대응하여 상기 멀티 안테나를 사용하는 멀티 안테나 통신 방식을 절환하는 것에 특징을 갖는다.

Description

적응 멀티 안테나를 이용하는 이동체 통신 시스템{MOBILE COMMUNICATION SYSTEM USING ADAPTIVE MULTIANTENNA}
본 발명은, 적응 멀티 안테나를 이용하는 이동체 통신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최근 이동체 통신에서는, 종래의 휴대 전화에서의 음성 통화 주체의 통신을 대신하여, 인터넷 액세스, 스트리밍 방송, 음악ㆍ영상 등의 리치 콘텐츠의 배포 등이 증가되고 있다. 이에 수반하여, 액세스의 고속화, 스루풋 성능의 향상이 요구되고 있다.
이와 같은 요구에 대응하기 위해, 각종의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는 복수의 송수신 안테나를 사용하는 멀티 안테나 시스템의 도입이나 검토가 한창 행해지고 있다. 멀티 안테나 시스템에는 다이버시티 방식, 빔 포밍 방식, MIMO(Multi Input Multi Output) 방식 등 다양한 방식이 있고, 각각 환경ㆍ용도 등을 고려하여 적용 방식이 선택된다.
또한, 이동체 통신에서 무선 기지국으로부터 이동 단말국에의 통신에 멀티 안테나 시스템을 적용하는 경우, 예를 들면, 이동 단말국의 이동 속도를 추정하여 멀티 안테나 통신 방식을 선택하고, 이에 의해, 최적의 다이버시티 이득을 얻는 것이 제안되어 있다(특허 문헌 1 참조).
멀티 안테나 시스템의 제어 방법인 멀티 안테나 통신 방식의 하나로서, 무선 기지국으로부터 송신된 포워드 링크 송신 신호의 수신 상태의 정보를 이동 단말국으로부터 무선 기지국에 피드백시키고, 무선 기지국에서, 그 수신 상태 정보를 반영하여 송신함으로써 높은 성능을 얻는 클로즈드 루프 방식이 있다.
이에 대해, 멀티 안테나 시스템의 다른 제어 방법인, 피드백 정보를 필요로 하지 않는 오픈 루프 방식이 있다. 이 오픈 루프 방식에는, 시공간 부호화를 이용하는 송신 다이버시티 등이 이용된다.
다른 분류로서는, 안테나마다, 비교적 고속인 전파로 변동에 추종하도록 제어하는 추종 제어 방법과, 각 안테나간에서는 상관이 높은 것을 가정하여, 이동 단말국에 대한 전파로 방향에 대해 복수의 안테나에 의해 형성되는 지향성을 추종하도록 제어하는 방향 제어 방법이 있다.
일반적으로 상기한 클로즈드 루프 방식은 최적의 피드백 정보를 이용할 수 있는 경우는 양호한 특성이 얻어지고, 이동 단말국측의 처리량도 적게 되므로 바람직하다. 그러나, 피드백 정보를 적용하는 타이밍이, 이동 단말국이 포워드 링크 송신 신호의 상태를 측정한 타이밍으로부터 전파로의 상태가 변화되고 있는 경우는, 특성이 현저하게 열화된다고 하는 결점이 있다.
이해를 위해, 도면을 이용하여 더욱 상기에 대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적용 대상으로 되는 이동 통신 시스템의 개념도이다. 무선 기지국(10)은 이동 단말국(11a, 11b)(이후, 구별을 요하지 않을 때는, 간단히 이동 단말국(11)이라고 부름)과, 무선 중계국을 통하지 않고 직접 또는 무선 중계국(12)을 통하여 통신을 행한다.
무선 기지국(10)으로부터 이동 단말국(11)에의 하향 회선에 의한 송신을 포워드 링크 통신 FC, 이동 단말국(11)으로부터 무선 기지국(10)에의 상향 회선에 의한 송신을 리버스 링크 통신 RC라고 부른다.
멀티 안테나를 이용한 통신을 행하는 경우, 안테나 설치 방법이나 전파 환경 등에 의해, 최적의 멀티 안테나 통신 방식은 상이하다. 또한 클로즈드 루프형의 멀티 안테나 제어를 사용하는 경우, 피드백 정보를 적용할 때까지의 지연 시간에 의해 최적의 방식이 상이하다.
일반적으로 이동 단말국(11)은 무선 기지국(10)과 비교한 경우, 단말기 사이즈의 제한에 의해 안테나 이득이 작아, 송신 전력에도 제한이 있다. 이 때문에, 리버스 링크 통신 RC의 커버 에리어가 포워드 링크 통신 FC의 커버 에리어(13)보다도 작게 되는 경우가 있다.
특허문헌1:일본특허공개제2004-40801호공보
이를 보충하기 위해,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포워드 링크 통신 FC와 리버스 링크 통신 RC의 커버 에리어의 상이를 보충하기 위해, 도 1에서의 이동 단말국(11b)과 같이 포워드 링크 통신 FC와 리버스 링크 통신 RC 중, 리버스 링크 통신 RC만 무선 중계국(12)을 경유하는 통신으로 하는 것이 생각된다.
다른 구성으로서,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무선 중계국(12) 자신이 멀티 안테나를 구비하는 경우, 무선 중계국(12)의 장치 규모ㆍ코스트 삭감 등의 이유에 의해, 무선 중계국(12)에서는 트래픽 데이터의 중계 처리는 행하지만, 그 제어에 대해서는 무선 기지국(10)이 그 역할을 담당하는 것이 생각된다.
이와 같은 경우, 무선 중계국(12)의 멀티 안테나 통신에 관계되는 피드백 정보를 일단 무선 기지국(10)에 전송하여 해석ㆍ안테나 웨이트 생성 등의 처리를 하고, 무선 중계국(12)은 무선 기지국(10)의 지시에 의해 멀티 안테나 제어를 행한다.
상기한 바와 같은 무선 중계국(12)의 존재에 의해 피드백 정보의 전달에 요하는 지연 시간이 크게 변동되는 경우가 있다. 따라서, 멀티 안테나 시스템에 클로즈드 루프 방식을 적용하는 경우, 피드백 정보가 적용될 때까지의 지연 시간이 크게 변동되는 경우가 있다. 또한, 무선 중계국(10)과 이동 단말국과의 통신을 행할 때에, 경유하는 중계국의 수(홉수)가 많을수록, 중계 처리에 요하는 시간이 증대되고, 지연 시간이 증대되는 경우가 있다.
이하, 지연 시간이 변동되는 요인에 대해서 설명한다.
무선 기지국(10)이, 관리 하(자신의 무선 에리어 내)에 무선 중계국(12)이 존재하지 않은 경우는, 무선 중계국(12)과의 사이에서 무선 통신을 행하기 위한 대역을 확보할 필요는 특별히 없다.
그러나, 무선 기지국(10)이 새롭게 무선 중계국(12)과의 사이에서 무선 통신을 행하도록 하거나, 반대로, 무선 기지국(10)이 무선 통신을 행하고 있는 무선 중계국(12)과의 사이에서 무선 통신을 행할 필요가 없어진 경우 등에는, 무선 기지국(10)이 무선 중계국(12)과의 사이의 무선 통신을 행하기 위해 확보할 대역을 변경(0으로부터 유한한 대역을 설정하거나, 유한한 대역을 증감시키거나, 유한한 대역을 0으로 하거나 함)할 필요가 생긴다.
새롭게 무선 중계국(12)과의 사이에서 무선 통신을 행하게 되는 예로서는, 무선 중계국(12)이 대기 상태로부터 기동된 경우나, 이동해 와서 무선 기지국(10)의 관리 하에 진입해 온 경우를 들 수 있다.
무선 중계국과의 사이에 확보할 대역을 변경하는 다른 예로서는, 이동 단말국의 위치적인 분포나 통신량의 변동에 의해 무선 중계국에 할당할 통신 대역이 변동된 경우이다.
어떠한 경우라도,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무선 프레임 구성이 동적으로 변경되고, 상술한 지연 시간이 변동되는 경우가 있다.
즉, 도 3의 (A)에 도시한 예는, 무선 중계국(12)을 통하지 않고 통신이 행해지는 경우의 무선 프레임 포맷이며, 포워드 링크 FL에 무선 기지국 관리 하의 이동 단말국용의 포워드 링크 대역과, 이동 단말국 리버스 링크 RL에 무선 기지국 관리 하의 이동 단말국용의 리버스 링크 대역이 설정된다.
포워드 링크 대역 내에 포워드 링크 측정 타이밍 A가 주어지고, 리버스 링크 대역 내에 피드백 정보 송신 타이밍 B가 주어지고, 다음의 프레임의 포워드 링크 대역 내에 피드백 정보에 대응하여 이를 적용하는 통신을 행하는 피드백 정보 적용 통신 타이밍 C가 설정된다.
이 때의, 포워드 링크 측정 타이밍 A부터 피드백 정보 통신 타이밍 C까지의 지연 시간은 작고, 피드백 정보 통신은, 포워드 링크 측정 결과에 올바르게 대응한 멀티 안테나 통신 방식이 얻어지므로, 특성 열화가 생길 우려가 적다.
이에 대해, 새롭게 무선 중계국(12)이 추가된 경우, 무선 기지국(10)과 이동 단말국(11)간에 통신이 행해지는 경우는, 도 3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포워드 링크 측정 타이밍 A부터 피드백 정보 적용 통신 타이밍 C까지의 지연 시간이 커진다.
왜냐하면, 도 3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무선 기지국(10)과 이 무선 중계국(12) 사이의 통신 시간을 확보하기 위해, 포워드 링크 FL의 기간에 무선 기지국 관리 하의 단말기용 포워드 링크 대역 외에, 무선 기지국 관리 하의 무선 중계국용 포워드 링크 대역을 설정하도록 프레임 포맷이 변경되고, 측정 타이밍과 피드백 송신 타이밍과의 사이가 시간적으로 벌어지기 때문이다. 마찬가지로, 리버스 링크 RL의 기간에는 무선 기지국 관리 하의 단말기용 리버스 링크 대역 외에, 무선 기지국 관리 하의 무선 중계국용 리버스 링크 대역이 필요로 된다.
이에 의해, 포워드 링크 측정 타이밍 A 시점과, 피드백 정보 통신 타이밍 C까지의 사이에 환경의 변동이 커서, 정확하게 피드백 정보를 살릴 수 없기 때문에, 특성 열화가 커진다고 할 가능성이 높아진다.
또한, 무선 기지국(10)의 에리어 내에서의 중계국의 수는 일정하여도 1개의 이동 단말국에 대한 홉수가 증대되면, 그 단말국에 있어서 중계 처리 지연의 총합에 따른 피드백 신호의 지연이 생기게 된다. 이 경우 프레임 포맷은 변경되지 않지만, 이동 단말국에서의 측정 타이밍과, 피드백 신호가 무선 기지국(10)에 도달할 때까지 요하는 시간이, 홉수의 증대에 의해 증대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이와 같은 변화에 적응적으로 대응하여 멀티 안테나 통신 방식을 선택함으로써, 스루풋ㆍ통신 품질의 향상 및 단말기 처리량을 경감하는 적응 멀티 안테나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에 있다.
본 발명에서는, 적응 멀티 안테나를 이용하는 이동체 통신 시스템에 있어서, 무선 기지국과, 무선 중계국과, 상기 무선 중계국을 통하여 상기 무선 기지국과 통신을 행하는 이동 단말국을 구비하고, 상기 무선 기지국은, 멀티 안테나를 갖는다. 그리고, 상기 이동 단말국으로부터의 피드백 신호의 지연 시간의 추정에 따라서 멀티 안테나 통신 방식을 절환하거나(예를 들면, 클로즈드 방식으로부터 오픈 루프 방식으로 절환하거나), 혹은, 트래픽량에 따라서 멀티 안테나 통신 방식을 절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해, 멀티 안테나 통신 방식의 적용을 동일한 것에 계속한 경우에 비해, 수신 특성의 향상이나 대역의 유효 이용, 처리량의 최적화를 실현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적용 대상으로 되는 이동 통신 시스템의 제1 개념도.
도 2는 본 발명의 적용 대상으로 되는 이동 통신 시스템의 제2 개념도.
도 3은 도 1 및 도 2에 대응하는 경우의 무선 프레임 구성을 설명하는 도면.
도 4는 본 발명을 적용하는 무선 기지국의 제1 구성예를 도시하는 도면.
도 5는 본 발명을 적용하는 무선 기지국의 제2 구성예를 도시하는 도면.
도 6은 본 발명을 적용하는 이동 단말국의 구성예를 도시하는 도면.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멀티 안테나 통신의 제어의 수순의 개략 플로우도.
도 8은 이동 단말국의 모빌리티의 변화에 대응하는 처리를 행하는 본 발명에 따른 멀티 안테나 통신의 제어의 수순의 개략 플로우도.
도 9는 피드백용 대역 사용률에 대응하여 클로즈드 루프 방식과 오픈 루프 방식의 멀티 안테나 통신을 절환하는 제어를 행하는 처리 플로우도.
도 10은 무선 중계국 수의 변동에 의한 지연 시간에 따라서 클로즈드 루프 방식과 오픈 루프 방식의 멀티 안테나 통신을 절환하는 제어를 행하는 처리 플로우도.
도 11은 무선 중계국 수의 변동에 의한 피드백용 대역의 변동에 따라서 클로즈드 루프 방식과 오픈 루프 방식의 멀티 안테나 통신을 절환하는 제어를 행하는 처리 플로우도.
이하, 도면에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 형태예를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을 적용하는 무선 기지국(10)의 제1 구성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6은, 이에 대응하는 이동 단말국(11a, 11b)(이하 간단히 11로 참조함)의 구성예이다.
이 제1 실시예 구성에서는, 무선 기지국(10)에 4개의 송수 공용 안테나 AT1∼AT4를, 이동 단말국(11)에는 1개의 송수 공용 안테나 AT5, 1개 수신 전용 안테나 AT6을 설치하고 있다.
안테나 구성은 본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전파ㆍ설치 환경 조건 등에 따라 적절하게 선택할 수 있다. 또한, 통신 방식으로서는, FDMA, TDMA, CDMA, OFDMA 등의 각 방식에 적용할 수 있다.
각 방식에 대응하여, 예를 들면 CDMA 방식에서의 확산ㆍ역확산, OFDMA 방식에서의 IFFT(역푸리에 변환), FFT(푸리에 변환) 등의 기능 블록은 장치 구성에 의해 적절하게 삽입하면 된다. 따라서, 도 4, 도 5에는 이들 기능부는 도시 생략하고 있다.
또한, 통신 제어부(115)나 멀티 안테나 방식 선택부(118) 등의 일부의 기능에 대해서는 무선 기지국 이외의 무선 제어국 등에 그 기능을 실장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4에 의해, 우선 무선 기지국(10)의 구성을 설명한다.
본 실시예 구성에서는, 무선 기지국 관리 하의 무선 중계국 수나 홉수의 변화에 의한 지연 시간ㆍ이동 단말국의 모빌리티에 의해, 멀티 안테나 통신 방식을 채널 추종형의 복수의 클로즈드 루프 방식과 오픈 루프 방식으로부터 선택한다.
4개의 송수 공용 안테나 AT1∼AT4는, 각각의 설치 간격 거리를 반송파의 파장에 대해 충분히 넓게 확보하고, 수평ㆍ수직 편파를 이용하는 등의 방법에 의해 안테나간의 공간 상관이 낮아지도록 설치된다.
이들 안테나 AT1∼AT4는 안테나 공용기(101a∼101d)에 의해 송신기(102a∼102d), 수신기(103a∼103d)와 접속된다.
이동 단말국(11)에 송신하는 데이터는 주로 유저가 이용하는 유저 생성부(104)로부터의 데이터와, 이동 단말국(11)의 MAC 레이어나 또한 상위 레이어에서 통신 제어에 사용되는 제어 정보 생성부(105)에서 생성되는 제어 정보가 포함된다.
채널 코딩부(106)에서는, 이동 단말국(11)에 송신하는 이들 데이터의 오류 정정 부호화, 인터리브 등의 처리가 행해진다.
변조부(107)에서는 QPSK나 QAM 등의 변조, 비트 반복 처리, 물리 레이어에서 사용되는 파일럿 신호(108)나 프리앰블 신호의 부가 등이 행해진다.
멀티 안테나 제어부(109)에서는, 안테나마다의 웨이팅 처리나 STBC(시공간 부호화) 인코드 등, 사용하는 방식에 대응한 처리가, 안테나 웨이트 생성부(112) 및 통신 제어부(115)로부터의 제어 정보에 기초하여 행해진다.
멀티 안테나 제어부(109)로부터의 안테나마다의 송신 디지털 베이스밴드 신호는 송신기(102a∼102d)에 전달된다. 송신기(102a∼102d)에는 직교 변조기, D/A 변환기, 주파수 변환기, 필터, 파워 앰프 등을 포함하고, 송신 신호가 안테나 공용기(101a∼101d)를 통하여 안테나 AT1∼AT4에 의해 송신된다.
적용하는 멀티 안테나 통신 방식이나, 변조ㆍ코딩 방법에 의해, 채널 코딩부(106), 변조부(107), 멀티 안테나 제어부(109)에서 취급되는 데이터의 형식(스트림수 등)은 상이하다.
예를 들면, 멀티 스트림 MIMO가 사용되는 경우, 대응하는 스트림수의 데이터가 채널 코딩부(106)로부터 변조부(107), 멀티 안테나 제어부(109)에 전달되고, 각각 웨이팅 처리되어 안테나 AT1∼AT4로부터 송신된다.
또한, 1스트림의 STBC(시공간 부호화)가 행해지는 경우, 1스트림의 데이터 계열이 채널 코딩부(106)로부터 변조부(107), 멀티 안테나 제어부(109)에 전달되고, 멀티 안테나 제어부(109)에서 STBC 인코드되어 안테나 AT1∼AT4로부터 송신된다.
한편, 수신측 구성에서, 수신기(103a∼103d)에는 로우 노이즈 앰프, 주파수 변환기, 필터, A/D 변환기, 직교 복조기 등을 포함하고, 안테나 AT1∼AT4로부터 수신한 신호를 디지털 베이스밴드 신호로 변환하고, 이후의 베이스밴드 처리에 인터페이스한다.
복조부(110)에서는 리버스 링크 통신 RC에 대응한 복조 처리가 행해진다. 채널 디코드부(111)에서는 리버스 링크 통신 RC에 대응한 디인터리브, 오류 정정 복호화 등이 행해져, 제어 정보 성분이나 유저 데이터 성분으로 분리된다.
제어 정보 성분이나 유저 데이터 성분은, 각각 제어 정보 추출부(113), 및 유저 데이터 추출부(114)에 입력되고, 접속 제어 정보, 및 유저 데이터가 추출된다.
안테나 웨이트 생성부(112)에서는 클로즈드 루프 적용 시에는 제어 정보 추출부(113)에 의해 추출된 피드백 정보에 기초한 안테나 웨이트의 생성이 행해진다.
통신 제어부(115)는, 전체의 스케줄링이나, 제어 정보 성분으로부터 추출된 단말기 수신 품질 정보 등을 이용한 각 이동 단말국에 적용하는 통신 방식의 결정, 무선 기지국 송수신의 동작 제어, 수신 신호로부터 추출되는 접속 제어 정보에 의한 무선 중계국(10)의 접속 제어 등을 행한다.
수신 품질 추정부(116)는, 이동 단말국(11)으로부터의 리버스 링크 통신 RC의 수신 품질을 추정한다.
추정된 수신 품질은, 통신 제어부(115)에 통지되고, 통신 방식의 절환, 전력 제어나, 필요하면 무선 중계국(12)에의 통신로 변경의 지시를 행한다.
이 경우, 통신 제어부(115)로부터 무선 중계국 정보(무선 기지국 관리 하의 중계국 수 정보, 홉수 정보, 프레임 구성의 변화의 정보 등)가 지연 시간 추정부(117)에 전달되고, 추정된 지연 시간에 기초하여, 임계값 테이블(121)에 미리 저장되어 있는 임계값 지연 시간과 비교하고, 필요하면 멀티 안테나 방식 선택부(118)에서 멀티 안테나 통신 방식의 변경이 행해진다.
무선 중계국(12)의 접속 제어에 의해 무선 중계국과의 사이의 통신에 할당하는 대역의 변경이 있었던 경우(예를 들면, 셀 내의 무선 중계국 수에 증감이 있었던 경우), 홉수가 증대된 경우에, 지연 시간이 변동되므로, 마찬가지로 멀티 안테나 통신 방식의 선택 제어가 행해진다.
단말기 모빌리티에 대해서는, 무선 기지국(10)의 단말기 이동도 추정부(119)에서 수신하는 해당 이동 단말국으로부터의 리버스 링크 신호로부터 추정하여도 되고, 이동 단말국(11)에서 측정한 모빌리티를 리버스 링크 통신 RC의 제어 정보로 무선 기지국(10)에 통지하도록 하여도 된다.
단말기 이동도 추정부(119)에서 추정되는 정보 및, 제어 정보 추출부(113)로부터의 단말기 이동도 정보에 기초하여 단말기 이동도 판정부(120)에서 결정된 단말기의 모빌리티 정보가, 멀티 안테나 방식 선택부(118)에 통지되고, 방식 선택에 사용되는 지연 시간의 임계값 테이블(121)의 변경에 사용된다.
멀티 안테나 방식 선택부(118)에는 이동 단말국(11)과의 통신에 사용되고 있는 적응 변조 방식, 단말기 수신 품질, 트래픽량 등의 상태가 통신 상태 정보로서 통지되고, 스루풋이나 처리량, 대역의 이용 효율이 고려되어 멀티 안테나 통신 방식이 선택된다.
멀티 유저의 통신에 대해서는, 유저마다 지연 시간ㆍ모빌리티를 고려함으로써, 다른 멀티 안테나 통신 방식을, 시간 방향이나 주파수 방향으로 분할하여 적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5는, 본 발명을 적용하는 무선 기지국(10)의 제2 구성예 블록도이다.
이 실시예 구성은, 멀티 안테나 통신 방식에, 채널 추종 방식 또는 방향 추종 방식을 선택하기 위한 구성예를 도시하고 있다.
도 4의 제1 구성예와 상이한 부분에 대해서 설명한다. 피드백 지연의 증가에 대한 열화를 방지하기 위해, 방향 추종 방식에 이용하기 위해 안테나간의 상관이 높은 구성을 갖는 제1 안테나의 조(組) AT10과, 반대로 멀티 스트림 송신에 유리하게 되도록 안테나마다의 채널 독립성을 높여서 상관이 낮아지도록 구성되고, 채널 추종 방식에 이용하는 제2 안테나의 조(組) AT11을 준비한다.
구체적으로는 제1 안테나의 조(組) AT10은 인접 안테나 간격을 반송파 파장의 0.5배 내지 1배로 되는 근처에 설치하여 상관을 높게 한다. 한편, 제2 안테나의 조(組) AT11은 설치 거리를 반송파 파장에 대해 충분히 넓게 하거나, 혹은, 수평ㆍ수직 편파를 이용하는 등의 방법에 의해 상관이 낮아지도록 설치된다.
또한,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안테나의 조(組) AT10과 제2 안테나의 조(組) AT11을 각각의 별개의 안테나로서 준비할 필요는 없고, 일부의 안테나를 각각에 조에 공용할 수도 있다.
이 안테나의 조(組) AT10, AT11을, 사용하는 멀티 안테나 통신 방식에 따라서 통신 제어부(115)의 지시에 의해 절환하여 사용한다.
안테나의 조(組) AT10, AT11의 절환을 행하는 장소는, 도 5에 도시한 안테나 직후의 무선 주파수(RF) 부분에서의 안테나 절환기(20)에 의한 구성에 한정되지 않는다. 즉, 안테나의 조(組) AT10 및 AT11로서, 이중화할 수 있는 범위에서 선택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송수신기(102a∼102d 및 103a∼103d)를 각 안테나만큼 준비하여 디지털 베이스밴드단에서의 처리에 의해 절환하여도 된다.
방향 추종 방식을 사용하는 경우는, 이동체 단말국(11)으로부터의 피드백 정보에 기초한 안테나 웨이트를 생성하여도 되고, 무선 기지국(10)에서 수신하는 이동 단말국(11)으로부터의 리버스 링크 통신의 수신 신호로부터 도래 방향 추정부(131)에서의 도래 방향 추정이나, MMSE 기준에 의한 수속 알고리즘 등으로부터 구한 안테나 웨이트를 사용하여도 된다.
방향 추종 방식을 이용하는 경우는 RF 부분의 캘리브레이션 처리부(130)에서 캘리브레이션이 필요로 되는 경우가 있다. 무선 기지국 처리량, 소비 전력 삭감을 위해, 방향 추종 방식이 사용되어 있지 않은 경우는 이 캘리브레이션 처리를 정지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무선 기지국의 구성을 이용함으로써, 채널 추종 방식과 방향 추종 방식을, 무선 중계국 수의 증감, 이동 단말국 모빌리티의 변화에 대해 적응적으로 절환하여 사용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6에 도시한 이동 단말국(11)의 구성을 설명한다. 각 블록의 기능은 무선 기지국의 기능과 거의 마찬가지이다. 무선 기지국(10)의 기능과 마찬가지의 기능부에 대해서는, 도 4에서 이용한 참조 번호에 첨자(m)를 붙여서 표시한다.
이동 단말국(11)에서는 수신 안테나 AT5 및 AT6에서 수신한 포워드 링크 통신 FC의 신호를 수신기(103m 및 203), 복조부(110m)를 통하여 얻어지는, 포워드 링크 통신 FC의 제어 정보 부분에 부가된 통신 방식의 정보를 바탕으로, 무선 기지국(10)이 이용하는 멀티 안테나 통신 방식을 인식하고, 복조부(110m), 채널 디코드부(111m)에서 대응하는 수신 방식을 결정한다.
예를 들면, 무선 기지국 송신이 프리 코딩형 MIMO를 채용하는 경우, 2개의 수신 안테나 ANT5, 6으로부터의 수신 신호를, 복조부(110m)에서 단순하게 다이버시티 합성을 행하여 복조한다.
무선 기지국(10)이 STBC 송신을 행하는 경우는, 복조부(110m)는, STBC 디코드 처리를 행한 후에 다이버시티 합성을 행한다. 멀티 안테나 정보 생성부(205)에서는, 클로즈드 루프 방식의 동작에 필요한 정보를 생성한다. 예를 들면 안테나 선택형 MIMO 방식에서는, 무선 기지국(10)에서 안테나마다 삽입된 파일럿 신호에 기초하여, 채널 정보를 추정하고, 안테나 선택 정보를 생성한다.
코드북(Codebook)을 사용한 MIMO 방식에서는, 코드북에 규정된 웨이트의 조(組)를 적용한 경우의 단말기 수신 품질을 추정하고, 최적의 웨이트의 조를 나타내는 정보를 생성한다.
본 실시예의 구성을 이용함으로써, 오픈 루프 방식과 클로즈드 루프 방식을, 무선 중계국 수의 증감, 이동 단말국 모빌리티의 변화에 대해 적응적으로 절환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기의 무선 기지국(10)과 이동 단말국(11)의 구성예를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적응 멀티 안테나를 이용하는 이동체 통신 시스템에서의 제어의 수순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멀티 안테나 통신의 제어의 수순의 개략 플로우도이다.
도 4에 도시한 무선 기지국(10)의 멀티 안테나 방식 선택부(118)에 의해, 임계값 테이블(121)에, 멀티 안테나 통신 방식을 절환하기 위한 피드백 지연 시간 임계값을 미리 설정한다(스텝 S01).
통신 제어부(115)로부터 무선 중계국 정보를 받아, 지연 시간 판정부(117)에 의해, 대상으로 되는 이동 단말국(11)의 무선 기지국(10)과의 사이의 지연 시간을 추정한다(스텝 S02). 멀티 안테나 방식 선택부(118)는, 이 추정된 지연 시간과 임계값 테이블(121)에 설정되어 있는 지연 시간의 임계값과 비교하여, 멀티 안테나 통신 방식을 선택한다(스텝 S03).
또한, 지연 시간의 추정은, 측정에 이용되는 신호의 송신으로부터 리버스 링크를 통하여 피드백 정보를 수신할 때까지의 실측 시간에 의해 추정할 수도 있지만, 무선 중계국에 할당할 대역의 변화에 따라서 변경되는 무선 프레임 구성에 기인하여 연산에 의해 산출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도 3의 (B)와 같이 변화하는 경우는, (1)과 (2) 사이의 시간(또는 (1)에서 측정에 이용되는 신호의 송신 타이밍과 리버스 링크를 통하여 피드백 신호를 수신하는 수신 타이밍과의 차에 대응하는 시간)을 산출함으로써 지연 시간을 추정할 수 있다. 또한, 무선 중계국과의 사이에 할당할 대역의 변화에 상관없이, 피드백 정보의 송신을 복수의 단말기에서 공유하는 경우는, 혼잡도(피드백 정보를 송신할 단말기의 수 등)에 의해, 측정으로부터 피드백 정보의 송신이 지연되는 시간을 추정하여 지연 시간으로서 구할 수도 있다.
또한, 혼잡에 한하지 않고, 피드백 정보의 송신 대역이 축소된 경우 등에는, 지연 시간이 증대되므로, 피드백 정보의 송신 대역에 의해 지연 시간을 추정(송신 대역이 소(小)이면 지연은 대(大), 송신 대역이 대(大)이면 지연은 소(小))할 수도 있다.
이러한 멀티 안테나 통신 방식의 선택(스텝 S03)에서, 피드백 정보의 지연 시간이 임계값보다 작은 경우에는, 클로즈드 루프 방식을 선택하고, 지연 시간이 임계값보다 큰 경우에는 오픈 루프 방식을 이용한다.
여기서, 임계값 테이블(121)에 설정되는 절환의 지연 시간 임계값은 전파 환경ㆍ단말기 이동도ㆍ사용 변조 방식 등의 요인으로부터 클로즈드 루프 방식, 오픈 루프 방식 각각을 적용한 경우에 예측되는 특성으로부터, 방식을 절환함으로써 적용 효과가 높아지는 값으로 설정된다.
또한, 멀티 안테나 통신 방식의 선택(스텝 S03)에서, 지연 시간이 임계값보다 작은 경우에는 안테나마다의 제어가 채널의 변동에 추종하는 채널 추종 방식을 선택하고, 지연 시간이 큰 경우에는 공간적인 송신 방향에 추종하는 방향 추종 방식을 이용하는 방식 선택으로 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 경우의 절환의 지연 시간 임계값도, 전파 환경ㆍ단말기 이동도ㆍ사용 변조 방식 등의 요인으로부터 채널 추종 방식, 방향 추종 방식 각각을 적용한 경우에 예측되는 특성으로부터, 방식을 절환함으로써 효과가 높아지는 값으로 설정된다.
도 7에서, 멀티 안테나 통신 방식의 선택(스텝 S03)이 완료되면, 통신 제어부(115)에 의해 선택된 방식으로 송수신이 행해지도록 제어한다(스텝 S04).
통신이 종료될 때까지(스텝 S05, "아니오"), 무선 중계국과의 사이의 무선 통신에 할당하는 대역의 변화(무선 중계국 수의 변화)나 홉수의 변화가 있으면(스텝 S06, "예"), 다시 스텝 S02로 되돌아가고, 지연 시간의 추정 처리가 행해진다.
상기 설명한 바와 같이, 통신 중에 이동 단말국의 이동 등에 의해 무선 기지국과 이동 단말국 사이의 통신에 개재하는 무선 중계국 수가 변화되는 경우 등, 그 무선 중계국 수를 감시함으로써 지연의 증가를 예측할 수 있기 때문에, 이러한 무선 중계국 수의 변화에 따라서 멀티 안테나 통신 방식을 선택한다. 이에 의해, 피드백 지연 시간의 변화에 대응하여 최적의 통신을 행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따르면, 무선 중계국 수의 변화(홉수의 변화)에 상관없이 동일한 멀티 안테나 통신 방식의 적용을 계속한 경우에 비해, 수신 특성의 향상이나 대역의 유효 이용, 처리량의 최적화를 실현할 수 있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 따르면, 통신에 개재하는 무선 중계국 수를 감시함으로써 지연의 증가를 예측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지연 증가에 의해 클로즈드 루프 방식의 특성이 오픈 루프 방식보다도 열화된다고 예측되는 경우에서, 특성 열화없이 오픈 루프 방식으로 절환함으로써, 통신 품질의 유지와 불필요한 피드백용 트래픽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피드백 지연이 적어진다고 예측되는 경우는, 클로즈드 루프 방식을 선택하고, 특성의 향상과 단말기의 처리량 삭감을 실현할 수 있다. 즉, 피드백 지연의 변화에 대응하여 적절한 멀티 안테나 통신 방식을 선택할 수 있다.
여기서, 이동 단말국(11)의 모빌리티, 즉 이동도에 변화가 있는 경우는, 임계값 테이블(121)에 설정한 임계값에서는, 재설정이 필요하게 되는 경우가 있다.
도 8은, 이러한 처리를 설명하는 플로우이며, 도 7에서 설명한 플로우에 대해, 스텝 S11∼S15 및 S19는, 스텝 S01∼S05 및 S06에 대응하고, 스텝 S16∼S18에서 이동 단말국의 모빌리티의 변화에 대응한 처리를 행한다.
즉, 도 8에서, 단말기 모빌리티의 측정을 행하고(스텝 S16), 이동 단말국(11)의 모빌리티의 변화의 유무를 판정한다(스텝 S17). 이동 단말국(11)의 모빌리티에 변화가 없으면(스텝 S17, "아니오"), 무선 중계국 수의 변화를 검출한다(스텝 S19). 무선 중계국 수의 변화가 있으면(스텝 S19, "예"), 지연 시간의 추정(스텝 S12)으로 이행한다. 무선 중계국 수의 변화가 없으면, 스텝 S14로 되돌아가고, 송수신을 계속한다(스텝 S19, "아니오").
모빌리티의 변화가 있으면(스텝 S17, "예"), 임계값 테이블(121)의 지연 시간 임계값을 변경하고(스텝 S18), 지연 시간의 추정(스텝 S12)으로 이행한다.
또한, 수신 신호의 방향의 변동은, 위상ㆍ진폭의 변동에 대해 압도적으로 느리기 때문에, 방향 추종 방식의 쪽이 피드백 지연에 대한 특성 열화의 내성이 강하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통신에 개재하는 무선 중계국 수의 변화를 감시함으로써 지연의 증가를 예측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지연 증가에 의해 클로즈드 루프 제어가 채널 변동에 추종할 수 없게 되고, 방향 추종 방식의 쪽이, 효과가 높아진다고 예측되는 경우에서는, 특성 열화없이 방향 추종 방식으로 절환한다. 이에 의해, 채널 변동에 상관없이 상기 이동 단말국에의 통신로 방향으로 지향성이 형성되고, 통신 품질의 열화를 저감할 수 있어, 불필요한 트래픽 처리를 삭감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이동 단말국의 모빌리티가 높아지면, 채널의 코히어런트 시간이 짧아져, 클로즈드 루프 방식 적용 시는 지연 시간 증가에 수반하여 급속하게 특성이 열화된다.
반대로 모빌리티가 낮은 경우는 지연 시간에 대한 내성이 높아진다. 따라서, 지연 시간에 대한 멀티 안테나 통신 방식의 적용 효과는 모빌리티에 의해 변동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각 방식간을 절환하기 위한 임계값을 모빌리티에 의해 제어함으로써, 피드백 지연 시간에 의해 특성에 영향을 미치는 정도가 단말기의 모빌리티에 의해 변하는 경우에도, 최적의 멀티 안테나 통신 방식을 선택할 수 있다.
한편, 피드백 지연이 적어진다고 예측되는 경우는, 안테나마다의 채널의 독립성을 이용한 채널 추종 방식을 이용함으로써, 방향 추종 방식에 대해 스루풋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9는, 클로즈드 루프 방식의 멀티 안테나 통신을 행하고 있을 때에, 대역 사용률에 대응하여 오픈 루프 방식으로 절환하는 제어를 행하는 처리 플로우도이다.
도 9에 도시한 예에서는, 클로즈드 루프 방식의 멀티 안테나 통신을 행하고 있을 때, 피드백 정보의 송신에 사용하는 대역의 사용률을 감시하고, 오버로드에 의해 피드백 지연 시간이 커질 가능성이 있는 경우, 또는 피드백 정보의 송신에 의해 다른 트래픽에 지연이 발생할 가능성이 있는 경우, 피드백 정보의 송신을 필요로 하지 않는 오픈 루프 방식으로 절환하는 제어를 행한다.
또한, 피드백 정보의 송신에 사용하는 대역 부족의 관계로 오픈 루프 방식을 채용하고 있을 때, 트래픽량에 여유가 생긴 경우에는, 클로즈드 루프 방식으로 절환하는 판정을 행한다.
즉, 도 9에서, 도 4에 도시한 무선 기지국(10)의 멀티 안테나 방식 선택부(118)에 의해, 임계값 테이블(121)에, 멀티 안테나 통신 방식을 절환하기 위한 피드백 지연 시간 임계값을 미리 설정한다(스텝 S21).
이어서, 피드백 대역의 트래픽량의 한계치를 임계값 테이블(121)에 설정한다(스텝 S22).
통신 제어부(115)로부터 무선 중계국 정보를 받아, 지연 시간 판정부(117)에 의해, 대상으로 되는 이동 단말국(11)의 무선 기지국(10)과의 사이의 지연 시간을 추정한다(스텝 S23).
멀티 안테나 방식 선택부(118)는, 이 추정된 지연 시간과 임계값 테이블(121)에 설정되어 있는 지연 시간의 임계값과 비교하여, 멀티 안테나 통신 방식을 선택한다(스텝 S24).
즉, 이러한 멀티 안테나 통신 방식의 선택(스텝 S24)에서, 피드백 정보의 지연 시간이 임계값보다 작은 경우에는, 클로즈드 루프 방식을 선택하고, 지연 시간이 임계값보다 큰 경우에는 오픈 루프 방식을 이용한다.
지금, 클로즈드 루프 방식을 선택하고 있다고 상정한다. 클로즈드 루프 방식에서 송수신 처리가 행해진다(스텝 S25). 통신 처리가 종료되어 있지 않으면(스텝 S26, "아니오"), 클로즈드 루프의 사용 중이므로(스텝 S27, "예"), 앞서, 임계값 테이블(121)에 설정된 피드백 대역의 트래픽량의 한계치와 비교하여, 피드백용의 대역이 부족한지의 가부의 판정을 행한다(스텝 S28).
피드백용의 대역이 부족하다고 판정되는 경우는(스텝 S28, "예"), 스텝 S24로 되돌아가고, 멀티 안테나 통신 방식을 클로즈드 루프 방식으로부터 오픈 루프 방식을 이용하도록 선택을 절환한다.
이에 의해, 스텝 S27에서 클로즈드 루프 방식이 사용되지 않는다고 판단되고(스텝 S27, "아니오"), 그리고, 클로즈드 루프 방식이 사용되지 않는 이유가, 피드백용의 대역의 부족이 아닌 경우(스텝 S29, "아니오"), 및, 현재 클로즈드 루프 방식이 사용되지 않은 이유가, 피드백용의 대역이 부족하고(스텝 S29, "예"), 또한 아직 피드백용 대역이 부족한 경우(스텝 S30, "예")는, 멀티 안테나 통신 방식의 선택을 바꾸지 않고, 스텝 S25로 되돌아가, 송수신 처리를 계속한다.
한편, 현재 클로즈드 루프 방식이 사용되지 않은 이유가, 피드백용의 대역이 부족하고(스텝 S29, "예"), 또한 현재 피드백용의 대역의 부족이 해소되어 있는 경우(스텝 S30, "아니오"), 스텝 S23으로 되돌아가고, 지연 시간을 변경하여 지연 시간의 추정을 행한다.
또한, 스텝 S28에서, 피드백용의 대역이 부족하지 않다고 판정되는 경우는(스텝 S28, "아니오"), 무선 중계국 수의 변화를 검출한다(스텝 S19). 무선 중계국 수의 변화가 있으면(스텝 S19, "예"), 지연 시간의 추정(스텝 S23)으로 이행한다. 무선 중계국 수의 변화가 없으면, 스텝 S25로 되돌아가고, 송수신을 계속한다(스텝 S19, "아니오").
또한, 상기에서, 피드백 루프용 대역의 판정은, 통신 제어부(115)에 의해 행해진다.
다음으로, 도 10에 도시한 처리는, 도 3에 설명한 바와 같이, 무선 기지국(10)이 커버하는 셀 내의 무선 중계국 수의 변동에 의한 지연 시간에 따라서 클로즈드 루프 방식과 오픈 루프 방식의 멀티 안테나 통신을 절환하는 제어를 행하는 처리 플로우도이다.
무선 기지국(10)이 커버하는 셀 내에 새롭게 이동 무선 중계국(12)이 엔트리 하여, 그 통신용 대역을 확보하기 위해 무선 프레임 구성이 변하는 경우로, 방식 선택을 위해 단말기가 행한 측정 타이밍과 피드백 정보를 반영한 멀티 안테나 통신을 행하는 타이밍간의 지연 시간이 증가되는 경우, 멀티 안테나 통신 방식의 선택을 행한다.
또한, 이동 무선 중계국(12)의 셀 내에서의 이탈에 의해 프레임 구성에 변경이 생긴 경우, 지연 시간 오버의 관계로 오픈 루프 방식을 사용하고 있는 경우, 멀티 안테나 통신 방식의 선택을 행한다.
플로우에 따라, 더욱 설명하면, 도 10에서, 스텝 S31∼스텝 S35까지의 처리는, 도 7에 도시한 기본 플로우에서의 처리와 동일하다. 도 10에 도시한 예에서는, 멀티 안테나 통신 중의 이동 단말국이 접속하고 있는 무선 중계국뿐만 아니라, 무선 기지국(10)에 접속하는 모든 무선 중계국 수를 감시한다. 셀 내 무선 중계국 수에 변동이 있는 경우(스텝 S36, "예"), 프레임 구성에 변경이 있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스텝 S37). 프레임 구성에 변경이 없으면, 송수신 처리를 계속한다(스텝 S37, "아니오"). 프레임 구성에 변경이 있는 경우는(스텝 S37, "예"), 또한 클로즈드 루프 방식을 사용 중이면(스텝 S38, "예"), 스텝 S32의 지연 시간의 추정 처리로 되돌아간다.
클로즈드 루프 방식을 사용 중이 아니면(스텝 S37, "아니오"), 지연량 확대에 의해 오픈 루프 방식을 사용하고 있는 것인지를 판정한다(스텝 S39). 지연량 확대에 의한 경우는(스텝 S39, "예"), 프레임 구성의 변경에 의해 상황이 개선되어 있을 가능성이 있으므로, 스텝 S32로 되돌아가고, 다시 지연 시간의 추정을 행하는 처리를 행한다.
또한, 오픈 루프 방식의 사용이, 지연량 확대에 의한 경우가 아니면(스텝 S39, "아니오"), 송수신 처리를 계속한다(스텝 S34).
도 11은, 또 다른 처리 플로우도이며, 무선 기지국(10)이 커버하는 셀 내의 무선 중계국 수의 변동에 의한 피드백용 대역의 변동에 따라서 클로즈드 루프 방식과 오픈 루프 방식의 멀티 안테나 통신을 절환하는 제어를 행하는 경우의 처리이다.
피드백 정보에 사용할 수 있는 대역이 감소하고, 지연이 발생하는 것이 예측되는 경우에, 멀티 안테나 통신 방식의 선택을 행한다. 또한, 무선 중계국의 이탈에 의해 프레임 구성에 변경이 생긴 경우, 피드백용 대역 부족의 관계로 오픈 루프 방식을 사용하고 있는 경우, 멀티 안테나 통신 방식의 재선택을 행한다.
즉, 도 11에서, 도 4에 도시한 무선 기지국(10)의 멀티 안테나 방식 선택부(118)에 의해, 임계값 테이블(121)에, 멀티 안테나 통신 방식을 절환하기 위한 피드백 지연 시간 임계값을 미리 설정한다(스텝 S41).
이어서, 피드백 대역의 트래픽량의 한계치를 임계값 테이블(121)에 설정한다(스텝 S42).
통신 제어부(115)로부터 무선 중계국 정보를 받아, 지연 시간 판정부(117)에 의해, 대상으로 되는 이동 단말국(11)의 무선 기지국(10)과의 사이의 지연 시간을 추정한다(스텝 S43).
멀티 안테나 방식 선택부(118)는, 이 추정된 지연 시간과 임계값 테이블(121)에 설정되어 있는 지연 시간의 임계값과 비교하여, 멀티 안테나 통신 방식을 선택한다(스텝 S44).
즉, 이러한 멀티 안테나 통신 방식의 선택(스텝 S44)에서, 피드백 정보의 지연 시간이 임계값보다 작은 경우에는, 클로즈드 루프 방식을 선택하고, 지연 시간이 임계값보다 큰 경우에는 오픈 루프 방식을 이용한다.
지금, 클로즈드 루프 방식을 선택하고 있다고 상정한다. 클로즈드 루프 방식으로 송수신 처리가 행해진다(스텝 S45).
통신 처리가 종료되어 있지 않으면(스텝 S46, "아니오"), 셀 내 무선 중계국 수에 변동이 있는 여부를 판정하고, 셀 내 무선 중계국 수에 변동이 없는 경우는 송수신 처리를 계속한다(스텝 S47, "아니오").
셀 내 무선 중계국 수에 변동이 있는 경우(스텝 S47, "예"), 또한 프레임 구성에 변경이 있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스텝 S48). 프레임 구성에 변경이 없으면, 송수신 처리를 계속한다(스텝 S48, "아니오").
프레임 구성에 변경이 있는 경우는(스텝 S48, "예"), 다시 클로즈드 루프 방식을 사용 중인지의 여부를 판정한다(스텝 S49).
클로즈드 루프 방식을 사용 중이며(스텝 S49, "예"), 피드백용 대역이 부족하지 않으면, 송수신 처리를 계속한다(스텝 S50, "아니오"). 피드백용 대역이 부족하면(스텝 S50, "예"), 멀티 안테나 통신 방식의 선택으로 되돌아간다(스텝 S44).
또한, 스텝 S49에서, 클로즈드 루프 방식의 사용 중이 아니면(스텝 S49, "아니오"), 피드백 대역 부족때문에 오픈 루프가 사용 중인지의 여부를 판단하고(스텝 S51), 오픈 루프의 사용이 피드백 대역 부족 때문이 아니면(스텝 S51, "아니오"), 그대로 송수신 처리(스텝 S45)를 계속한다.
오픈 루프의 사용이 피드백 대역 부족 때문이며(스텝 S51, "예"), 피드백 대역이 회복되어 있지 않으면(스텝 S52, "예"), 그대로 송수신 처리(스텝 S45)를 계속하고, 피드백 대역이 회복되어 있으면, 멀티 안테나 통신 방식의 선택 처리로 이행한다(스텝 S44).
상기에, 본 발명을 도면에 따라 설명한 바와 같이, 멀티 안테나를 갖는 무선 기지국에서, 피드백 신호의 지연 시간 변동에 따라서, 멀티 안테나 통신 방식을 절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환경의 변화에 적응적으로 대응하여 멀티 안테나 통신 방식을 절환하는 것이 가능하므로, 스루풋ㆍ통신 품질의 향상, 단말기 처리량을 경감하는 적응 멀티 안테나 시스템의 제공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산업상 기여하는 바가 크다.
[부기]
<부기 1>
무선 기지국과,
무선 중계국과,
상기 무선 중계국을 통하여 상기 무선 기지국과 통신을 행하는 이동 단말국을 구비하고,
상기 무선 기지국은, 멀티 안테나를 갖고,
상기 이동 단말국으로부터의 피드백 신호의 지연 시간의 추정에 따라서 멀티 안테나 통신 방식을 절환하며,
절환하는 멀티 안테나 통신 방식은, 상기 멀티 안테나의 안테나마다의 제어를 무선 전파로의 변동에 추종하는 채널 추종형과, 최적의 송신 방향으로 지향성을 형성하는 방향 추종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응 멀티 안테나를 이용하는 이동체 통신 시스템.
<부기 2>
무선 기지국과,
무선 중계국과,
상기 무선 중계국을 통하여 상기 무선 기지국과 통신을 행하는 이동 단말국을 구비하고,
상기 무선 기지국은, 멀티 안테나를 갖고,
상기 이동 단말국으로부터의 피드백 신호의 지연 시간의 추정에 따라서 멀티 안테나 통신 방식을 절환하며,
상기 멀티 안테나 통신 방식을 절환하는 피드백 신호의 지연 시간의 임계값을 상기 이동 단말국의 모빌리티에 의해 변화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응 멀티 안테나를 이용하는 이동체 통신 시스템.
<부기 3>
이동체 통신 시스템에서 무선 중계국을 통하여 이동 단말국과 통신을 행하는 멀티 안테나를 갖는 무선 기지국으로서,
상기 이동 단말국과의 통신을, 상기 무선 중계국을 통하여 송신을 행할 때에, 상기 무선 중계국의 수의 변화의 유무를 판정하는 판정부와,
상기 이동 단말국으로부터의 피드백 신호의 지연 시간을 판정하는 지연 시간 판정부와,
상기 판정 수단에 의해 상기 무선 중계국의 수의 변화가 있다고 판단될 때, 상기 이동 단말국으로부터의 피드백 신호의 지연 시간에 대응하여 상기 멀티 안테나를 사용하는 멀티 안테나 통신 방식을 절환하는 멀티 안테나 방식 선택부
를 가지며,
상기 멀티 안테나 방식 선택부는, 절환하는 멀티 안테나 통신 방식으로서, 상기 멀티 안테나의 안테나마다의 제어를 무선 전파로의 변동에 추종하는 채널 추종형과, 최적의 송신 방향으로 지향성을 형성하는 방향 추종형을 절환 선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체 통신 시스템에서의 무선 기지국.
<부기 4>
이동체 통신 시스템에서 무선 중계국을 통하여 이동 단말국과 통신을 행하는 멀티 안테나를 갖는 무선 기지국으로서,
상기 이동 단말국과의 통신을, 상기 무선 중계국을 통하여 송신을 행할 때에, 상기 무선 중계국의 수의 변화의 유무를 판정하는 판정부와,
상기 이동 단말국으로부터의 피드백 신호의 지연 시간을 판정하는 지연 시간 판정부와,
상기 판정 수단에 의해 상기 무선 중계국의 수의 변화가 있다고 판단될 때, 상기 이동 단말국으로부터의 피드백 신호의 지연 시간에 대응하여 상기 멀티 안테나를 사용하는 멀티 안테나 통신 방식을 절환하는 멀티 안테나 방식 선택부
를 가지며,
상기 멀티 안테나 통신 방식을 절환하는 피드백 신호의 지연 시간 임계값이 설정되는 임계값 테이블과,
상기 이동 단말국의 모빌리티를 판정하는 단말기 이동도 판정부를 더 갖고,
상기 단말기 이동도 판정부에 의해 판정되는 상기 이동 단말국의 모빌리티가 변화될 때, 상기 임계값 테이블에 설정되는 지연 시간 임계값이 갱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체 통신 시스템에서의 무선 기지국.
<부기 5>
이동체 통신 시스템에서 무선 중계국을 통하여 이동 단말국과 통신을 행하는 멀티 안테나를 갖는 무선 기지국으로서,
상기 이동 단말국과의 통신을, 상기 무선 중계국을 통하여 송신을 행할 때에, 상기 무선 중계국의 수의 변화의 유무를 판정하는 판정부와,
상기 이동 단말국으로부터의 피드백 신호의 지연 시간을 판정하는 지연 시간 판정부와,
상기 판정 수단에 의해 상기 무선 중계국의 수의 변화가 있다고 판단될 때, 상기 이동 단말국으로부터의 피드백 신호의 지연 시간에 대응하여 상기 멀티 안테나를 사용하는 멀티 안테나 통신 방식을 절환하는 멀티 안테나 방식 선택부
를 가지며,
상기 멀티 안테나 방식 선택부는, 멀티 안테나 통신 방식으로서, 상기 이동 단말국으로부터의 피드백 신호를 이용하는 클로즈드 루프 방식과, 상기 피드백 신호를 이용하지 않는 오픈 루프 방식을 절환 선택하고,
상기 멀티 안테나 방식 선택부는, 상기 클로즈드 루프 방식에 사용하는 피드백 신호용 대역의 트래픽량에 따라서, 상기 클로즈드 루프 방식과 오픈 루프 방식을 절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체 통신 시스템에서의 무선 기지국.
<부기 6>
이동체 통신 시스템에서 무선 중계국을 통하여 이동 단말국과 통신을 행하는 멀티 안테나를 갖는 무선 기지국으로서,
상기 이동 단말국과의 통신을, 상기 무선 중계국을 통하여 송신을 행할 때에, 상기 무선 중계국의 수의 변화의 유무를 판정하는 판정부와,
상기 이동 단말국으로부터의 피드백 신호의 지연 시간을 판정하는 지연 시간 판정부와,
상기 판정 수단에 의해 상기 무선 중계국의 수의 변화가 있다고 판단될 때, 상기 이동 단말국으로부터의 피드백 신호의 지연 시간에 대응하여 상기 멀티 안테나를 사용하는 멀티 안테나 통신 방식을 절환하는 멀티 안테나 방식 선택부
를 가지며,
상기 멀티 안테나 방식 선택부는, 멀티 안테나 통신 방식으로서, 상기 이동 단말국으로부터의 피드백 신호를 이용하는 클로즈드 루프 방식과, 상기 피드백 신호를 이용하지 않는 오픈 루프 방식을 절환 선택하고,
상기 멀티 안테나 방식 선택부는, 상기 멀티 안테나 통신 방식을 클로즈드 루프 방식에 사용하는 피드백 신호용 대역의 변화에 따라서, 상기 클로즈드 루프 방식과 오픈 루프 방식을 절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체 통신 시스템에서의 무선 기지국.

Claims (16)

  1. 무선 기지국과,
    무선 중계국과,
    상기 무선 중계국을 통하여 상기 무선 기지국과 통신을 행하는 이동 단말국을 구비하고,
    상기 무선 기지국은, 멀티 안테나를 갖고,
    상기 이동 단말국으로부터의 피드백 신호의 지연 시간의 추정에 따라서 멀티 안테나 통신 방식을 절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응 멀티 안테나를 이용하는 이동체 통신 시스템.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멀티 안테나 통신 방식은, 상기 이동 단말국으로부터의 피드백 신호를 이용하는 클로즈드 루프 방식과, 상기 피드백 신호를 이용하지 않는 오픈 루프 방식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응 멀티 안테나를 이용하는 이동체 통신 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단말국으로부터의 피드백 신호의 지연 시간은, 상기 멀티 안테나 통신 방식에 사용하는 이동 단말국에서의 측정 타이밍과, 상기 측정의 결과를 상기 무선 기지국에 피드백한 정보에 기초하는 멀티 안테나 송신 타이밍간의 지연 시간에 대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응 멀티 안테나를 이용하는 이동체 통신 시스템.
  5. 삭제
  6. 삭제
  7. 이동체 통신 시스템에서 무선 중계국을 통하여 이동 단말국과 통신을 행하는 멀티 안테나를 갖는 무선 기지국으로서,
    상기 이동 단말국과의 통신을, 상기 무선 중계국을 통하여 송신을 행할 때에, 상기 무선 중계국의 수의 변화의 유무를 판정하는 판정부와,
    상기 이동 단말국으로부터의 피드백 신호의 지연 시간을 판정하는 지연 시간 판정부와,
    상기 판정 수단에 의해 상기 무선 중계국의 수의 변화가 있다고 판단될 때, 상기 이동 단말국으로부터의 피드백 신호의 지연 시간에 대응하여 상기 멀티 안테나를 사용하는 멀티 안테나 통신 방식을 절환하는 멀티 안테나 방식 선택부
    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체 통신 시스템에서의 무선 기지국.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멀티 안테나 방식 선택부는, 멀티 안테나 통신 방식으로서, 상기 이동 단말국으로부터의 피드백 신호를 이용하는 클로즈드 루프 방식과, 상기 피드백 신호를 이용하지 않는 오픈 루프 방식을 절환 선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체 통신 시스템에서의 무선 기지국.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단말국으로부터의 피드백 신호의 지연 시간은, 상기 멀티 안테나 통신 방식에 사용하는 이동 단말국에서의 측정 타이밍과, 상기 측정의 결과를 상기 무선 기지국에 피드백한 정보에 기초하는 멀티 안테나 송신 타이밍간의 지연 시간에 대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체 통신 시스템에서의 무선 기지국.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멀티 안테나 방식 선택부는, 절환하는 멀티 안테나 통신 방식으로서, 상기 멀티 안테나의 안테나마다의 제어를 무선 전파로의 변동에 추종하는 채널 추종형과, 최적의 송신 방향으로 지향성을 형성하는 방향 추종형을 절환 선택하며,
    상기 무선 기지국은,
    안테나간의 상관을 높게 하는 배치 간격으로 배치된 복수의 안테나의 조(組)로 구성된 방향 추종형용의 제1 안테나와, 안테나간의 상관을 낮게 하는 배치 간격으로 배치된 복수의 안테나의 조(組)로 구성된 채널 추종형용의 제2 안테나와,
    상기 제1 안테나와 제2 안테나를 절환하는 안테나 절환기와,
    상기 멀티 안테나 방식 선택부에 의한 채널 추종형, 또는 방향 추종형의 선택에 대응하여 상기 제1 안테나와 제2 안테나를 절환하도록 상기 안테나 절환기를 제어하는 통신 제어부
    를 더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체 통신 시스템에서의 무선 기지국.
  11. 삭제
  12. 삭제
  13. 삭제
  14. 삭제
  15. 삭제
  16. 삭제
KR1020107004929A 2007-09-06 2007-09-06 적응 멀티 안테나를 이용하는 이동체 통신 시스템 KR10109809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JP2007/000969 WO2009031184A1 (ja) 2007-09-06 2007-09-06 適応マルチアンテナを用いる移動体通信システム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40326A KR20100040326A (ko) 2010-04-19
KR101098096B1 true KR101098096B1 (ko) 2011-12-26

Family

ID=404285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7004929A KR101098096B1 (ko) 2007-09-06 2007-09-06 적응 멀티 안테나를 이용하는 이동체 통신 시스템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8532646B2 (ko)
EP (1) EP2187540B1 (ko)
JP (1) JP5136557B2 (ko)
KR (1) KR101098096B1 (ko)
CN (1) CN101796740A (ko)
WO (1) WO200903118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86075B1 (ko) * 2008-06-30 2015-01-23 삼성전자주식회사 줄어든 램프 메모리를 갖는 무선통신 장치 및 그장치에서의 램핑 데이터 전송방법
US8340001B2 (en) * 2008-12-11 2012-12-25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Research Institute System and method for spatial division multiple access using wireless repeater having single transmitting/receiving antenna
CN101873159B (zh) * 2009-04-21 2013-01-16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多输入多输出下行传输控制方法及装置
US20110116531A1 (en) * 2009-05-11 2011-05-19 Qualcomm Incorporated Removal of multiplicative errors in frequency domain channel estimation for wireless repeaters
US20100284447A1 (en) * 2009-05-11 2010-11-11 Qualcomm Incorporated Frequency domain feedback channel estimation for an interference cancellation repeater including sampling of non causal taps
US9049065B2 (en) * 2009-05-11 2015-06-02 Qualcomm Incorporated Removal of ICI/ISI errors in frequency domain channel estimation for wireless repeaters
EP2548314B1 (en) * 2010-03-16 2019-06-19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Switching between open and closed loop multi-stream transmission
JP5441172B2 (ja) * 2010-05-19 2014-03-12 日本電気株式会社 無線ネットワーク中継装置及び無線ネットワーク中継装置の変調方法並びに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JP5865358B2 (ja) 2010-06-04 2016-02-17 ボード・オブ・リージエンツ,ザ・ユニバーシテイ・オブ・テキサス・システム 無線通信方式、システムおよ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製品
US9794949B2 (en) 2010-07-30 2017-10-17 Board Of Regents, The University Of Texas System Distributed rate allocation and collision detection in wireless networks
US9030364B2 (en) 2010-09-07 2015-05-12 Kunjie Zhuang Dual-polarized microstrip antenna
WO2012122508A2 (en) 2011-03-09 2012-09-13 Board Of Regents Network routing system, method,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CN106100715B (zh) * 2011-04-19 2019-12-17 太阳专利托管公司 接收装置及其接收方法
JP5776791B2 (ja) 2011-12-08 2015-09-09 富士通株式会社 無線基地局、無線通信システム、送信電力制御方法及び無線端末
KR101304432B1 (ko) 2012-01-05 2013-09-06 국방과학연구소 이동기지국의 안테나 자동변환시스템, 이의 동작방법 및 기록매체
JP5928263B2 (ja) * 2012-09-05 2016-06-01 富士通株式会社 基地局、無線通信システム及び無線通信方法
JP2015037220A (ja) * 2013-08-12 2015-02-23 三菱電機株式会社 移動端末
CN104244437B (zh) * 2014-10-13 2018-01-16 西安电子科技大学 一种用于协作下行传输的动态中继激励公平调度的方法
US10122415B2 (en) * 2014-12-27 2018-11-06 Energous Corporation Systems and methods for assigning a set of antennas of a wireless power transmitter to a wireless power receiver based on a location of the wireless power receiver
US11665678B2 (en) * 2017-12-21 2023-05-30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Antenna configuration in a communication network
JP6911789B2 (ja) * 2018-02-13 2021-07-28 日本電信電話株式会社 無線通信システムおよび無線通信方法
WO2021152931A1 (ja) * 2020-01-30 2021-08-05 住友電気工業株式会社 移動中継局、移動通信システム、及び移動中継局の制御方法
US11272457B1 (en) * 2020-09-09 2022-03-08 Apple Inc. Listen-before-talk systems, devices, and methods based on intra-device operations
US11411613B2 (en) * 2020-12-31 2022-08-09 Rockwell Collins, Inc. Adaptation of coordinated radio frequency transmissions and receptions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134035A (ja) 2001-10-25 2003-05-09 Ntt Docomo Inc 無線基地局及び無線通信制御方法
JP2007049367A (ja) * 2005-08-09 2007-02-22 Ntt Docomo Inc 移動通信システムの制御方法、制御装置、移動通信システム

Family Cites Families (2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594473B1 (en) * 1999-05-28 2003-07-15 Texas Instruments Incorporated Wireless system with transmitter having multiple transmit antennas and combining open loop and closed loop transmit diversities
WO2001069814A1 (en) * 2000-03-15 2001-09-20 Nokia Corporation Transmit diversity method and system
JP2002016532A (ja) * 2000-06-30 2002-01-18 Toshiba Corp 移動無線端末
US6621693B1 (en) * 2000-07-05 2003-09-16 Network Engines, Inc. Low profile, high density storage array
JP4176463B2 (ja) * 2000-08-10 2008-11-05 富士通株式会社 送信ダイバーシチ通信装置
US7340279B2 (en) * 2001-03-23 2008-03-04 Qualcomm Incorporated Wireless communications with an adaptive antenna array
US7499709B2 (en) * 2002-02-07 2009-03-03 Alcatel-Lucent Usa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closed loop transmit diversity in a wireless communications system
KR100899735B1 (ko) 2002-07-03 2009-05-27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적응적 전송 안테나 다이버시티장치 및 방법
ATE375634T1 (de) * 2002-08-05 2007-10-15 Nokia Corp Sende-diversität mit zwei kreuzpolarisationsgruppenantennen
US6987952B2 (en) * 2002-09-30 2006-01-17 Nokia Corporation Apparatus, and associated method, for effectuating transmit diversity in a communication system
US7039412B2 (en) 2003-08-08 2006-05-02 Intel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wireless signals on multiple frequency channels in a frequency agile network
US7460494B2 (en) 2003-08-08 2008-12-02 Intel Corporation Adaptive signaling in multiple antenna systems
US20050070285A1 (en) 2003-09-29 2005-03-31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Handover for use with adaptive antennas
JP4604545B2 (ja) 2004-05-10 2011-01-05 ソニー株式会社 無線通信システム、無線通信装置及び無線通信方法ム
US20060009168A1 (en) * 2004-07-12 2006-01-12 Lucent Technologies, Inc. Method for controlling transmissions using both diversity and nondiversity transmission schemes
JP4523429B2 (ja) 2005-01-17 2010-08-11 株式会社エヌ・ティ・ティ・ドコモ 通信システム、基地局、無線制御装置及び送信電力制御方法
JP2007104505A (ja) * 2005-10-06 2007-04-19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移動体端末
US7539458B2 (en) * 2005-10-24 2009-05-26 The Regents Of The University Of California Apparatus and method for a system architecture for multiple antenn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s using round robin channel estimation and transmit beam forming algorithms
WO2007106366A2 (en) * 2006-03-10 2007-09-20 Interdigital Technology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scaling soft bits for decoding
CN100581072C (zh) 2006-07-25 2010-01-13 三维通信股份有限公司 Td-scdma直放站上下行收发转换自适应控制系统及方法
US7702029B2 (en) * 2006-10-02 2010-04-20 Freescale Semiconductor, Inc. MIMO precoding enabling spatial multiplexing, power allocation and adaptive modulation and coding
US8417255B2 (en) * 2007-03-16 2013-04-09 Qualcomm Incorporated Data transmission and power control in a multihop relay communication system
US7701705B1 (en) * 2007-12-10 2010-04-20 Western Digital Technologies, Inc. Information storage device with sheet metal projections and elastomeric inserts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134035A (ja) 2001-10-25 2003-05-09 Ntt Docomo Inc 無線基地局及び無線通信制御方法
JP2007049367A (ja) * 2005-08-09 2007-02-22 Ntt Docomo Inc 移動通信システムの制御方法、制御装置、移動通信システ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WO2009031184A1 (ja) 2010-12-09
US20100222051A1 (en) 2010-09-02
EP2187540A1 (en) 2010-05-19
KR20100040326A (ko) 2010-04-19
EP2187540B1 (en) 2016-04-06
EP2187540A4 (en) 2013-11-06
WO2009031184A1 (ja) 2009-03-12
CN101796740A (zh) 2010-08-04
US8532646B2 (en) 2013-09-10
JP5136557B2 (ja) 2013-02-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98096B1 (ko) 적응 멀티 안테나를 이용하는 이동체 통신 시스템
US7433339B2 (en) Data transmission method and equipment
CA2759526C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etermining channel quality index in multiple user-mimo communication networks
JP4734210B2 (ja) 無線通信方法
AU2005225108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high-speed data communication in a mobile communication system with a plurality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antennas
JP4708351B2 (ja) 通信システム、基地局制御装置、基地局装置、通信方法、送信信号形成方法、及び制御情報送出方法
US8891390B2 (en) Wireless base station for controlling antenna transmission power
CN100561884C (zh) 基于分布式发射源的多输入多输出通信方式
US8233939B2 (en) Multiuser sector micro diversity system
AU740612B2 (en) Method and system for changing forward traffic channel power allocation during soft handoff
CN101606329B (zh) 用于在移动通信系统中传输数据的方法、移动站和基站
KR20060048586A (ko) 복수 안테나를 사용하는 송수신기 및 송수신 방법
KR101106692B1 (ko) 다중입출력 통신시스템의 동작 모드 선택 장치 및 방법
US20070037524A1 (en) Method of controlling mobile communication system, control device, and mobile communication system
US20100232538A1 (en) Transmitting Apparatus, Transmission Control Method, And Communication Apparatus
KR20050106657A (ko) Ofdm/tdd 방식의 상향링크용 고유빔을 형성하기위한 스마트 안테나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754990B1 (ko) 통신 시스템에서의 협력 통신 방법 및 장치
KR100678263B1 (ko) 이동통신시스템에서 송신 안테나 다이버시티 제어방법 및 장치
KR20090054133A (ko) 통신 시스템에서 채널 변화량에 따라 적응형 수신 신호복호 장치 및 방법
JP2009060176A (ja) 無線通信装置および無線受信方法
KR101798712B1 (ko) 다중 안테나 시스템에서 시공간 부호에 대한 효율적인 링크 적응 방법
JP2004363891A (ja) 基地局装置
KR20160082664A (ko) 다중 안테나 시스템에서 시공간 부호에 대한 효율적인 링크 적응 방법
KR20090045906A (ko) Mimo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stc 모드 결정 방법 및 장치, 결정된 stc 모드의 응답 방법 및 장치
KR20100092583A (ko)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전송 방식 결정을 위한 장치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2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1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2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1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15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