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98089B1 - 간헐 통신 시스템의 방법, 통신 시스템 및 이동국 장치 - Google Patents

간헐 통신 시스템의 방법, 통신 시스템 및 이동국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98089B1
KR101098089B1 KR1020117006517A KR20117006517A KR101098089B1 KR 101098089 B1 KR101098089 B1 KR 101098089B1 KR 1020117006517 A KR1020117006517 A KR 1020117006517A KR 20117006517 A KR20117006517 A KR 20117006517A KR 101098089 B1 KR101098089 B1 KR 10109808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se station
handover
mobile station
intermittent
communic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70065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33963A (ko
Inventor
요시하루 다지마
가즈히사 오부찌
요시노리 다나까
요시히로 가와사끼
요시아끼 오따
가쯔마사 스기야마
Original Assignee
후지쯔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후지쯔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후지쯔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1003396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3396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9808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9808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08Reselecting an access poi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20Manipulation of established connections
    • H04W76/27Transitions between radio resource control [RRC] stat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0005Control or signalling for completing the hand-off
    • H04W36/0011Control or signalling for completing the hand-off for data sessions of end-to-end connection
    • H04W36/0016Hand-off preparation specially adapted for end-to-end data sess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24Reselection being triggered by specific parameters
    • H04W36/30Reselection being triggered by specific parameters by measured or perceived connection quality dat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4/00Wireless channel access
    • H04W74/08Non-scheduled access, e.g. ALOHA
    • H04W74/0833Random access procedures, e.g. with 4-step acces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2Power saving arrangements
    • H04W52/0209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20Manipulation of established connections
    • H04W76/28Discontinuous transmission [DTX]; Discontinuous reception [DRX]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D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ICT],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AIMING AT THE REDUCTION OF THEIR OWN ENERGY USE
    • Y02D30/0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 Y02D30/7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in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Transceivers (AREA)

Abstract

기지국(3)과 이동국(2) 사이에서 간헐 통신을 행할 수 있는 간헐 통신 시스템(1)에서, 이동국(2)의 송신 수단은, 핸드오버가 필요하다고 판단하면, 간헐 통신을 정지하여 통상의 통신을 개시시키기 위한 요구를, 간헐 통신과는 다른 타이밍에서 송신한다. 천이 수단은, 송신 수단에 의해 요구가 송신된 후에, 간헐 통신으로부터 통상의 통신으로 천이시킨다. 핸드오버 실행 수단은, 천이 수단에 의해 통상의 통신으로의 천이가 완료되면, 핸드오버를 실행한다.

Description

간헐 통신 시스템의 방법, 통신 시스템 및 이동국 장치{METHOD FOR INTERMITTENT COMMUNICATION SYSTEM, COMMUNICATION SYSTEM, AND MOBILE STATION APPARATUS}
본 발명은, 간헐 통신을 행할 수 있는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의 핸드오버 기술에 관한 것이다.
휴대 전화 등의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는, 현재로는 제3세대 방식인 CDMA(Code Didsion Multiple Access) 방식에 의해 각종의 서비스가 제공되어 오고 있다. 보다 고속의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차세대 이후의 이동 통신 방식에 관해서는, 현재 그 검토가 한창 이루어지고 있다. 3GPP(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에서는, LTE(Long Term Evolution)에 대해서 검토가 행해지고 있다. 예를 들면, LTE에서는 대기 중 뿐만 아니라 통신 중이어도 이동국이 간헐 수신(DRX, 불연속 수신)을 적용하는 방식이 채용된다. 이것은, 통신이 고속화되는 것에 수반하여 이동국의 소비 전력이 증대화하게 되므로, 이동국의 소비 전력을 억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도 1은, 간헐 송수신에서의 이동국의 송신 및 수신의 타이밍을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상단에는 기지국으로부터 이동국에의 송신 타이밍을 나타내고, 하단에는 이동국으로부터 기지국에의 송신 타이밍을 나타낸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간헐 수신을 적용하고 있는 동안에는, 이동국은 정기적으로 자국 앞의 데이터 송신이 있는지의 여부를 확인한다. 상향 송신에 대해서도 마찬가지로, 이동국은 간헐 통신의 동기를 유지하기 위하여 정기적으로 간헐 송신(DTX, 불연속 송신)을 행한다.
그런데, 종래 기술에서는, 간헐 통신 중에 이동국이 이동함으로써 핸드오버를 실행하여 접속처의 기지국이 절환될 필요가 생긴 경우에는, 이동국은 핸드오버 처리를 실행하기 전에, 우선, 통신 상태를 간헐 통신 상태로부터 액티브 상태로 절환할 필요가 있다. 이동국은, 통신 상태를 액티브 상태로 천이시키기 위한 상태 천이 요구를, 핸드오버가 필요하다고 판단하면, 그 다음의 간헐 송신의 타이밍에서 기지국에 송신한다.
도 2는, 종래에서의 간헐 통신 중에 핸드오버를 실행하는 경우의 이동국측의 데이터 송수신 타이밍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동국은, 정기적으로 수신 신호 강도 등의 수신 레벨을 측정하고, 측정 결과에 기초하여 이동국이 핸드오버의 실시가 필요하다고 판단하면, 다음의 송신 타이밍에서 상태 천이 요구를 기지국을 향하여 송신한다. 상태 천이 요구를 수신한 기지국은, 자장치 즉 기지국측에 대해서 간헐 통신 상태로부터 액티브 상태로 절환함과 함께, 이동국에 대해 간헐 통신 상태로부터 액티브 상태로 천이시키도록 요구하는 지시 메시지를, 기지국의 송신 타이밍에서 이동국을 향하여 송신한다. 기지국 및 이동국의 쌍방에서 간헐 통신 상태로부터 액티브 상태로의 천이가 완료되면, 그 후 핸드오버를 실시한다.
도 3은, 종래 기술에 따른 간헐 통신 시에 핸드오버를 실시하는 경우의 동작 시퀀스이다. 종래는, 액티브 상태로의 천이를 요구하는 상태 천이 요구는, 간헐 송신 타이밍에서 송신할 필요가 있다. 또한, 상태 천이 요구를 수신한 기지국이 이동국에 대해 상태 천이 지시를 송신하는 타이밍도, 간헐 송신 타이밍에 송신할 필요가 있다. 이 때문에,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간헐 송수신 기간에서의 핸드오버는, 통상의 통신(액티브) 상태의 경우와 비교하여 지연 시간이 길어진다고 하는 문제가 있었다. 나아가서는, 상태 천이 요구를 송신할 때까지의 시간이 길어짐으로써 핸드오버가 소정의 기간 내에 완료되지 않아, 올바르게 핸드오버를 행할 수 없는 경우가 생기는 등의 문제가 있었다.
또한, 이 외의 핸드오버 기술에 관해서는, 간헐 통신 시에 핸드오버를 실시하는 것이 필요로 되었을 때에, RRC 커넥션 요구에 기초하여 무선 통신 확립 상태로 천이하는 기술(예를 들면, 특허 문헌 1)이나, 간헐 통신하는 단말기가 페이징 그룹을 형성하고, 그 일련의 시퀀스 중에서 소프트 핸드오버를 고려한 기술(예를 들면, 특허 문헌 2), 비동기 시스템에서 페이징 채널을 이용하여 핸드오버를 행하는 기술(예를 들면, 특허 문헌 3), 기지국이 주도하여 핸드오버를 행하는 기술(예를 들면, 특허 문헌 4)에 대해서 제공되어 있다.
본 발명은, 핸드오버 등을 실행할 필요가 있는 이동국 및 기지국에서, 보다 빠르게 간헐 통신 상태로부터 통상의 통신 상태로 절환하기 위한 기술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특허 문헌 1 : 일본 특허 공개 제2005-286807호 공보
특허 문헌 2 : 일본 특허 공개 제2004-194015호 공보
특허 문헌 3 : 일본 특허 공개 제2004-504783호 공보
특허 문헌 4 : 일본 특허 공개 제2000-69523호 공보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간헐 통신 시스템은, 기지국 장치와 이동국 장치 사이에서 간헐 통신을 행할 수 있는 간헐 통신 시스템으로서, 상기 이동국 장치는, 핸드오버가 필요하다고 판단하면, 간헐 통신을 정지하여 통상의 통신을 개시시키기 위한 요구를, 간헐 통신과는 다른 타이밍에서 송신하는 송신 수단과, 상기 송신 수단에 의해 상기 요구가 송신된 후에, 간헐 통신으로부터 통상의 통신으로 천이시키는 천이 수단과, 상기 천이 수단에 의해 통상의 통신으로의 천이가 완료되면, 핸드오버를 실행하는 핸드오버 실행 수단을 구비한 구성으로 한다.
간헐 통신 상태에 있는 이동국 장치는, 핸드오버가 필요하다고 판단하면, 통신을 통상의 통신 상태로 절환하는 취지의 요구를, 다음의 간헐 송신 타이밍을 대기하지 않고 즉시 기지국 장치에 송신한다. 또한, 요구를 송신함과 함께, 간헐 통신으로부터 통상의 통신으로 천이한다. 그리고, 통상의 통신으로의 천이가 완료되면, 핸드오버를 개시한다. 간헐 송신 타이밍에 의하지 않고 상기의 요구를 기지국 장치에 송신하므로, 핸드오버 처리에 요하는 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
상기 요구는, 핸드오버처의 기지국 장치를 식별하기 위한 기지국 장치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핸드오버 요구로 구성되고, 상기 천이 수단은, 상기 핸드오버 요구를 인식하면, 간헐 통신으로부터 통상의 통신으로의 천이를 개시시키는 것으로 하여도 된다. 간헐 통신 중에 수신한 핸드오버 요구에 기초하여 통신 상태를 천이시키고, 천이의 완료 후에 핸드오버 처리를 실행함으로써, 핸드오버 처리를 더욱 조기에 개시시킬 수 있다.
상기 요구는, 공통 채널을 이용하여 상기 이동국 장치로부터 상기 기지국 장치에 송신된다. 또한, 상기 요구는, 간헐 통신을 행하는 주기가 소정의 임계값보다도 큰 경우에는 L1(레이어1, 물리 레이어)의 정보로서 생성되어 상기 송신 수단에 의해 송신되고, 그 주기가 소정의 임계값 이하인 경우에는 L3(레이어3, 네트워크 레이어)의 정보로서 생성되어 간헐 통신의 송신 타이밍에서 송신되는 것으로 하여도 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의 간헐 통신 시스템에 한하지 않는다. 상기의 간헐 통신 방법을 적용하는 기지국 장치, 이동국 장치, 그 방법을 컴퓨터에서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 등이어도, 본 발명에 포함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간헐 통신 중에 핸드오버가 필요해진 경우라도, 간헐 송신 타이밍에 의하지 않고 상태를 천이하도록 기지국 장치에 요구하는 요구가 공통 채널을 이용하여 송신된다. 다음의 간헐 송신 타이밍을 대기하지 않고 요구를 송신하기 때문에, 간헐 통신 상태로부터 통상의 통신 상태로의 천이에 요하는 시간이 단축되고, 이에 의해 핸드오버 완료까지 필요로 하는 시간이 단축된다. 따라서, 핸드오버 처리가 장기화되는 것에 수반하여 생기는 통신 품질의 열화나 핸드오버 처리의 실패 등의 문제를 개선할 수 있다.
도 1은 간헐 송수신에서의 이동국의 송신 및 수신의 타이밍을 나타내는 도면.
도 2는 종래에서의 간헐 통신 중에 핸드오버를 실행하는 경우의 이동국측의 데이터 송수신 타이밍을 나타내는 도면.
도 3은 종래 기술에 따른 간헐 통신 시에 핸드오버를 실시하는 경우의 동작 시퀀스.
도 4는 제1 실시 형태에 따른 이동국의 구성도.
도 5는 제1 실시 형태에 따른 기지국의 구성도.
도 6은 제1 실시 형태에 따른 이동국에서의 데이터의 송수신의 타이밍을 설명하는 도면.
도 7은 제1 실시 형태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간헐 통신 중에 핸드오버를 실행하는 처리의 시퀀스.
도 8은 제1 실시 형태에 따른 상태 천이 요구의 포맷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
도 9는 제1 실시 형태에 따른 이동국측의 처리를 설명한 플로우차트.
도 10은 제1 실시 형태에 따른 기지국측의 처리를 설명한 플로우차트.
도 11은 제2 실시 형태에 따른 이동국의 구성도.
도 12는 제2 실시 형태에 따른 기지국의 구성도.
도 13은 제2 실시 형태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간헐 통신 중에 핸드오버를 실행하는 처리의 시퀀스.
도 14는 제2 실시 형태에 따른 핸드오버 요구의 포맷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
도 15는 제2 실시 형태에 따른 이동국측의 처리를 설명한 플로우차트.
도 16은 제2 실시 형태에 따른 기지국측의 처리를 설명한 플로우차트.
도 17은 제3 실시 형태에 따른 이동국의 구성도.
도 18은 제3 실시 형태에 따른 이동국측의 처리를 설명한 플로우차트.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에 대해서 도면을 참조하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또한, 이하에서 설명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1)은, 이동국(2) 및 기지국(3)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동국(2)의 주변에 위치하는 기지국(3)은 복수 존재하고, 이동국(2)은, 각 기지국으로부터의 수신 신호 강도 등의 수신 레벨을 측정하고, 수신 레벨에 기초하여 복수의 기지국(3) 중으로부터 접속처의 기지국(3)을 결정한다.
LTE 등의 차세대 이후의 무선 통신 시스템(1)에서는 이동국(2) 및 기지국(3) 모두 전력 절약화를 위해, 통신 중이어도 간헐 송수신(DTX, DRX)을 행하고 있지만, 측정한 수신 레벨에 기초하여 핸드오버가 필요하다고 판정된 경우에는, 핸드오버를 실시하기 위해, 통상의 통신 상태로 천이시킨다.
<제1 실시 형태>
도 4는,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이동국(2)의 구성도이다. 이동국(2)은 안테나(20), 수신기(21), 주변 레벨 측정부(22), 핸드오버 판정부(도면에서는 HO 판정부라고 표기)(23), 제어부(24), 간헐 송신/간헐 수신 주기 설정부(도면에서는 DTX/DRX 주기 설정부라고 표기, 이하 주기 설정부라고 약기)(25), 데이터 처리부(26) 및 송신기(27)를 포함한다.
안테나(20)는, 기지국(3)에 대한 신호의 송출 혹은 기지국(3)으로부터 송신된 신호의 수신에 이용한다. 또한, 도 4에서는 송신 안테나와 수신 안테나를 나누지 않고 기재하고 있다.
수신기(21)는, 안테나(20)를 통하여 수신한 신호에 대해 증폭, 복조 처리를 행한다. 복조한 신호 중, 수신 레벨에 대해서는, 주변 레벨 측정부(22)에 공급된다. 주변 레벨 측정부(22)는, 이동국(2)의 주변에 위치하는 기지국(3)의 각각으로부터 수신한 수신 레벨을 측정한다.
핸드오버 판정부(23)는, 주변 레벨 측정부(22)의 측정 결과에 기초하여, 핸드오버를 행할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핸드오버를 행한다고 판정한 경우에는, 주기 설정부(25)에 핸드오버 실시의 정보를 공급한다.
주기 설정부(25)는, 핸드오버 판정부(23)로부터 핸드오버를 실시하는 취지의 정보를 수취하면, 간헐 송수신의 주기를 다시 설정한다. 예를 들면, 간헐 송수신의 주기의 값을 제로로 설정하거나, 혹은 「설정값 없음」으로 함으로써, 이동국(2)은 간헐 통신 상태로부터 통상의 통신 상태 즉 액티브 상태로의 통신 상태 천이 처리를 실행한다. 또한, 「액티브 상태」란, 현세대의 통신 방식에서는 대기 상태에 대한 통신 상태를 나타내고 있지만, LTE 등의 차세대 방식에서는, 통신 중이어도 간헐 통신을 행하는 것이 가능하기 때문에, 이하의 설명에서는, 간헐 통신 상태에 대한 통신 상태 즉 비간헐 통신을 행하고 있는 상태를 「액티브 상태」로 정의한다.
데이터 처리부(26)는, 수신기(21)에서 복조하여 얻어진 정보를 처리하고, 기지국(3)에 송신할 데이터를 송신기(27)에 공급한다. 데이터 처리부(26)가 송신기(27)에 공급하는 데이터에는, 통신 상태를 간헐 통신 상태로부터 액티브 상태로 절환하도록 기지국(3)에 대해 요구하는 상태 천이 요구가 포함된다. 송신기(27)는, 데이터의 변조 처리를 행한다. 송신기(27)에서 변조된 신호는, 안테나(20)를 통하여 무선 공간에 송출된다.
제어부(24)는, 입력된 정보에 기초하여 각종의 제어를 행한다. 간헐 통신 상태일 때에 핸드오버가 필요하다고 판정된 경우에는, 예를 들면 주기 설정부(25)에서 간헐 송신/간헐 수신의 주기를 재설정하도록 지시를 하거나, 송신기(27)가 기지국(3)에 대해 상태 천이 요구를 L1로 송신하기 위한 변조 처리를 실행하도록 제어하거나 한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제어부(24)는 간헐 통신 상태에 있을 때이어도, 간헐 송신의 타이밍에 의하지 않고 상기의 상태 천이 요구를 기지국(3)에 대해 송신한다.
도 5는, 본 실시 형태에 따른 기지국(3)의 구성도이다. 기지국(3)은 안테나(30), 수신기(31), 상태 천이 요구 판정부(32), 상태 관리부(33), 스케줄러(34) 및 송신기(35)를 포함한다.
안테나(30)는, 이동국(2)으로부터의 신호의 수신 및 이동국(2)에의 신호의 송출을 행한다. 도 5에서는 송신 안테나와 수신 안테나를 나누지 않고 기재되어 있는 점에 대해서는, 도 4의 이동국(2)의 안테나(20)와 마찬가지이다.
수신기(31)는, 안테나(30)를 통하여 수신한 신호의 증폭 및 복조 처리를 행한다. 복조 처리에서 얻어진 정보 중, 제어 정보 및 데이터에 대해서는 상위에 공급되고, L1로 수신한 정보에 대해서는 상태 천이 요구 판정부(32)에 공급된다.
상태 천이 요구 판정부(32)는, 이동국(2)이 송신한 정보 중 L1의 정보(상태 천이 요구)가 공급되고, 그 정보의 내용을 판단한다. 상태 천이 요구는, 도 4의 설명에 대해서 기술한 바와 같이, 기지국(3)에서 간헐 통신 상태로부터 액티브 상태에로 통신 상태를 절환하여 기지국(3)을 핸드오버 실시 가능한 통신 상태로 하기 위한 요구 신호이다.
상태 관리부(33)는, 상태 천이 요구 판정부(32)의 판단 결과에 기초하여, 기지국(3)측의 통신 상태를 관리한다. 구체적으로는, 간헐 통신 상태 및 액티브 상태 중 어느 하나의 통신 상태에서, 기지국(3) 관리 하의 각 이동국(2)과 통신할지를 관리한다.
스케줄러(34)는, 상태 관리부(33)에서의 기지국(3) 관리 하의 각 이동국(2)의 통신 상태의 관리 상황에 따라서, 데이터의 송신 타이밍을 제어한다. 스케줄러(34)에 의해 송신 타이밍이 제어되는 데이터 중에는, 이동국(2)에 대해 통신 상태를 간헐 통신 상태로부터 액티브 상태로 절환하도록 지시하는 상태 천이 지시가 포함된다. 상태 천이 지시 신호는, 이동국(2)으로부터 수신한 상태 천이 요구에 따라서, 그 이동국(2)에 대해 송신된다.
송신기(35)는, 데이터나 각종의 제어 정보에 대해 변조 처리를 실행한다. 변조 처리에 의해 얻어진 신호는, 안테나(30)를 통하여 무선 공간에 송출된다. 이 중, 상기의 상태 천이 지시에 대해서는, 간헐 통신 중이어도, 간헐 송신의 타이밍에 의하지 않고 송출한다.
도 6은,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이동국(2)에서의 데이터의 송수신의 타이밍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6의 상단에는, 기지국(3)으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는 타이밍, 하단에는, 기지국(3)에 데이터를 송신하는 타이밍을 나타낸다. 횡축 방향은, 시간 t를 나타내고, 종축 방향은, 레벨이 제로가 아닌 기간이, 각각 송신/수신 가능한 기간을 나타내고 있다.
간헐 통신을 행하고 있을 때에, 측정의 결과 수신 레벨이 저하된 것이 이동국(2)에서 검출되면, 이동국(2)은 핸드오버가 필요하다고 판단한다. 그리고, 핸드오버를 실시하기 위해, 상태 천이 요구를 기지국(3)에 대해 송신하고, 간헐 통신 상태로부터 액티브 상태로 절환하도록 요구한다.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이동국(2)은, 간헐 통신의 간헐 송신 타이밍과는 다른 타이밍에서 상태 천이 요구를 송신한다. 즉, 핸드오버가 필요하다고 판단하면, 이동국(2)은, 다음의 간헐 송신 타이밍을 대기하지 않고 즉시 상태 천이 요구를 접속처의 기지국(3)에 대해 송신한다. 이 때의 송신은, 통상의 간헐 송신 타이밍에 할당된 점유 채널이 아니라, 랜덤 액세스 채널 등의 공통 채널을 이용한다. 이와 같은 채널에서는, 통상의 채널과 같이 측정 보고 등의 L3 정보를 송신하는 데에는 적합하지 않지만, 상태 천이 요구와 같은 정보는 데이터량이 적으므로 L1로서 송신하는 것이 가능하며, 따라서 랜덤 액세스 채널의 적용이 가능하다.
또한, 기지국(3)은, 이동국(2)이, 간헐 송수신 상태에 있어서도, 그 랜덤 액세스 채널 등의 공통 채널의 수신은, 그 간헐 송수신 타이밍에 관계없이 행하고 있어, 이동국(2)으로부터 간헐 송신 타이밍 외에서 송신된 상태 천이 요구를 수신할 수 있다.
이동국(2)은, 기지국(3)에 대해 상태 천이 요구를 송신하여 기지국(3)에서 통신 상태를 절환하는 것을 요구함과 함께, 이동국(2)의 통신 상태에 대해서도, 간헐 통신 상태로부터 액티브 상태로 절환한다.
이동국(2)에서의 액티브 상태로의 천이는, 우선, 수신의 타이밍을 간헐 수신으로부터 액티브 상태로 천이시킨다. 앞서 수신 상태를 액티브 상태로 절환함으로써, 기지국(3)으로부터의 L3 정보인 상태 천이 지시의 수신이 가능하게 된다.
기지국(3)은, 이동국(2)으로부터 상태 천이 요구를 수신하면 기지국(3)측의 통신 상태를 간헐 통신 상태로부터 액티브 상태로 절환하고 나서, 이동국(2)에 대해 상태 천이 지시를 송신한다. 간헐 수신 상태로부터 액티브 상태로 상태 천이를 완료한 이동국(2)은, 기지국(3)으로부터 상태 천이 지시를 수신한다. 그리고, 간헐 송신으로부터 액티브 상태로 천이시키고, 이동국(2)에서 간헐 통신 상태로부터 액티브 상태로 통신 상태의 천이가 완료되면, 핸드오버 처리를 개시한다. 또한, 기지국(3)으로부터의 상태 천이 지시를 수신하기 전에(예를 들면 상태 천이 요구 신호의 송신을 계기로 하여) 수신 상태뿐만 아니라 송신 상태도 액티브로 할(송수신 상태를 비간헐 송수신 상태로 할)수도 있다.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동국(2)의 수신 레벨이 저하하여 핸드오버가 필요로 되었을 때에, 이동국(2)은 다음의 간헐 송신 타이밍을 대기하지 않고 L1을 이용하여 상태 천이 요구를 기지국(3)에 대해 송신한다. 이 때문에, 간헐 송신 타이밍을 대기하여 상태 천이 요구를 송신하는 경우와 비교하여 상태 천이의 처리가 조기에 이루어져, 상태 천이에 요하는 시간이 단축된다. 상태 천이의 처리에 요하는 시간이 단축화됨으로써 핸드오버 처리를 보다 조기에 개시할 수 있고, 이에 의해 핸드오버 처리를 완료할 때까지 요하는 시간을 단축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다음으로, 상태 천이 요구를 간헐 송신 타이밍과 다른 타이밍에서 송신하는 방법에 대해서,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7은, 본 실시 형태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1)에서 간헐 통신 중에 핸드오버를 실행하는 처리의 시퀀스이다. 핸드오버 전에 접속하고 있었던 기지국(3)을 기지국(3A), 핸드오버 후의 접속처의 기지국(3)을 기지국(3B)으로 한다.
이동국(2)은 주변 기지국(3)의 수신 레벨을 측정한 결과, 핸드오버가 필요하다고 판단하면, 상태 천이 요구를 기지국(3A)에 송신한다. 종래의 상태 천이 요구는 L3 정보로서 개별 채널을 이용하여 송신되어 있는 것에 대해, 본 실시 형태에서는, 상태 천이 요구를, 랜덤 액세스 채널 등의 공통 채널을 이용하여 L1의 정보로서 송신한다.
상태 천이 요구를 수신한 기지국(3A)은, 기지국측의 통신을 액티브 상태로 절환함과 함께, 이동국(2)에 상태 천이 지시를 송신하여 스케줄링 정보 등을 통지한다. 이동국(2)은, 상태 천이 지시의 수신 후, 기지국(3A)에 대해 측정 보고를 송신한다. 이동국(2)으로부터의 측정 보고에 대해, 기지국(3A)은, 핸드오버처의 기지국(3B)과의 네고시에이션을 행한 후, 이동국(2)에 대해 핸드오버 지시를 송신한다. 이동국(2) 및 기지국(3A)의 쌍방에서 액티브 상태로의 상태 천이가 완료되면, 핸드오버 처리가 개시된다. 이후의 처리, 즉 동기를 확립하여 핸드오버가 완료되면 이동국(2)이 핸드오버 완료 통지를 기지국(3B)에 대해 송신하는 처리에 대해서는, 종래에서의 처리와 마찬가지이며, 공지 기술이다.
도 8은,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상태 천이 요구의 포맷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상태 천이 요구는, 유저 식별 정보(도 8에서는 유저 ID) 및 상태 천이 요구 비트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유저 식별 정보는, 이동국(2)을 식별하기 위한 정보이며, 기지국(3)을 포함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1)에서는 이 유저 식별 정보에 의해 이동국(2)이 일의로 결정된다. 상태 천이 요구 비트는, 예를 들면 「1」이 저장되어 있을 때에는, 상태 천이 요구를 나타내고, 「0」이 저장되어 있을 때에는, 상태 천이 요구는 하지 않는 것을 나타낸다. 또한, 실시예에서는 기지국(3)에 대해 송신하는 정보로서, 기지국측의 상태 천이를 요구하는 취지의 통지만을 예시하고 있지만, 이것에는 한하지 않는다. LTE에서 금후 책정되는 각종의 사양에 따라서 각종 요구 등에 대해서 값을 미리 각각 설정해 둠으로써, 랜덤 액세스 채널을 이용하여 각종 정보를 기지국(3)에 통지할 수 있다.
여기서, 랜덤 액세스 채널이란, 예를 들면 LTE에서는 Synchronized Random Access Channel(동기 랜덤 액세스 채널)이 이에 상당한다. 동기 랜덤 액세스 채널은, 기지국(3)과 이동국(2) 즉 단말기 사이의 상향 링크가 기지국(3)에 의해 시간 동기되어 있을 때에 사용된다. 이동국(2)은 이 채널을 이용하여 상향 데이터 전송을 위한 리소스를 확보한다. 동기 랜덤 액세스의 프로시저를 이용함으로써, 대체로 레이턴시를 경감할 수 있다.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이동국(2)은, 도 8에 도시한 포맷의 상태 천이 요구를 기지국(3)에 L1의 정보로서 랜덤 액세스 채널 등을 이용하여 송신하고, L3 정보와 비교하여 데이터량을 작게 억제하면서, 간헐 송신의 타이밍을 대기하지 않고 이동국(2)으로부터 기지국(3)에 대해 필요한 정보를 통지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이동국(2)측 및 기지국(3)측의 각각에서의 상기의 핸드오버 처리의 실행 방법에 대해서, 플로우차트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9는,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이동국(2)측의 처리를 설명한 플로우차트이다. 도 9에 도시한 처리는 기지국(3)으로부터의 수신 레벨의 측정 주기나, 기지국(3)으로부터의 요구 등에 따라서 실행된다.
우선, 스텝 S1에서, 이동국(2)의 위치의 주변에 있는 복수의 기지국(3)을 각각 식별하기 위한 식별 정보 i의 초기값으로서 하나를 설정한다. 그리고, 스텝 S2에서, i번째의 기지국에 대해서 수신 레벨을 측정하고, 스텝 S3에서, i의 값이 측정 대상의 기지국수(N으로 함)보다도 작은지의 여부를 판정하고, i가 측정 대상의 기지국수 N보다도 작을 때에는, 스텝 S4로 진행하여 i에 1을 가산하고, 스텝 S2로 되돌아간다. 스텝 S3의 판정에서, 주변 기지국의 식별 정보인 i의 크기가 측정 대상의 기지국수 N과 동등하게 되면, 모든 기지국(3)에 대한 수신 레벨의 측정을 끝냈다고 판정하여, 스텝 S5로 진행한다.
스텝 S5에서, N대의 기지국(3)에 대해 측정한 수신 레벨에 기초하여, 핸드오버가 필요한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핸드오버가 불필요하다고 판정된 경우에는, 처리를 종료한다. 핸드오버가 필요하다고 판정된 경우에는, 스텝 S6으로 진행한다.
스텝 S6에서, 이동국(2)은 간헐 송신 타이밍에 의하지 않고 즉시 기지국(3)에 상태 천이 요구를 송신하고, 스텝 S7에서, 통신을 간헐 통신 상태로부터 액티브 상태로 절환하여, 처리를 종료한다. 이미 설명한 바와 같이, 도 9에 도시한 처리를 종료한 후에는, 기지국(3)으로부터의 상태 천이 지시에 의해 스케줄링 정보를 수취하고, 기지국(3)으로부터의 핸드오버 지시에 따라서 핸드오버 처리를 개시한다.
도 10은, 본 실시 형태에 따른 기지국(3)측의 처리를 설명한 플로우차트이다. 또한, 도 10에 도시한 처리는, 기지국(3)의 에리어 내에서 간헐 통신 상태에 있는 모든 이동국(2)의 각각에 대해서 실행한다.
기지국(3)에서는, 우선 스텝 S11에서, 이동국(2)으로부터 상태 천이 요구가 있는지의 여부에 대해서 판정한다. 상태 천이 요구가 없는 경우에는, 스텝 S12로 진행하고, 특히 처리를 행하지 않고 간헐 통신 상태를 계속하는 것으로 하여, 처리를 종료한다. 이동국(2)으로부터 상태 천이 요구를 수신하면, 스텝 S13으로 진행하여, 기지국(3)측의 통신 상태를, 간헐 통신 상태로부터 액티브 상태로 절환하여, 처리를 종료한다.
기지국(3)은, 액티브 상태로 천이한 후에는, 상태 천이 요구를 통지한 이동국(2)에 대해 상태 천이 지시를 송신하여 스케줄링 정보를 통지하고, 또한 이동국(2)으로부터 송신되는 측정 보고에 따라서 그 이동국(2)에 대해 핸드오버 지시를 공급한다. 핸드오버 지시를 수신한 이동국(2)은, 핸드오버를 개시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1)에 따르면, L1의 정보의 데이터량은 L3 정보의 그것과 비교하여 작기 때문에, 상태 천이 요구를, L1의 정보로서 공통 채널을 이용하여 송신한다. 그리고, 상태 천이 요구의 송신에 공통 채널을 이용함으로써, 간헐 통신을 행하고 있는 이동국(2)에 대해 핸드오버를 실행할 필요가 생겼을 때, 간헐 송신의 타이밍과는 다른 타이밍에서, 기지국(3)에 대해 상태 천이 요구를 송신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이 점으로부터, 이동국(2)은 핸드오버가 필요하다고 판단하면 즉시 상태 천이 요구를 기지국(3)에 송신할 수 있고, 기지국(3)에서는 통신을 액티브 상태로 천이시키는 처리를 보다 조기에 실행할 수 있다. 상태 천이에 요하는 시간이 단축됨으로써, 핸드오버를 조기에 개시할 수 있고, 또한 핸드오버 처리가 완료될 때까지의 기간을 단축화할 수 있다. 이에 의해, 핸드오버에 요하는 시간이 장기화되는 것에 수반하여 생기는 통신 품질의 열화나 핸드오버 처리의 실패 등의 문제를 개선하는 것에 이바지한다.
<제2 실시 형태>
본 실시 형태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1)은, 이동국(2)으로부터 기지국(3)에 대해 L1의 정보로서 주변 기지국을 나타내는 정보가 통지되었을 때에는, 그 정보에 기초하여, 간헐 통신 상태를 액티브 상태로 절환하는 점에 특징을 갖는다.
도 11은,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이동국(2)의 구성도이다. 상기의 제1 실시 형태에 따른 이동국과 비교하여, 주변 기지국 정보 관리부(28)를 더 구비하는 점에서 상이하다. 다른 구성에 대해서는, 도 4와 마찬가지이다.
주변 기지국 정보 관리부(28)는, 접속처의 기지국(3)으로부터 수신한 주변 기지국에 대한 정보를 유지한다. 여기서, 주변 기지국에 대한 정보란, 이동국(2)의 내부에서, 주변의 기지국을 각각 식별하기 위한 식별 정보이다.
도 12는, 본 실시 형태에 따른 기지국(3)의 구성도이다. 상기의 제1 실시 형태에 따른 기지국과 비교하여, 주변 기지국 정보 관리부(36)를 더 구비하는 점에서 상이하다. 다른 구성에 대해서는 도 5와 마찬가지이다.
주변 기지국 관리부(36)는, 핸드오버 판정부(32)로부터 입력된 핸드오버의 필요 여부에 관한 정보에 기초하여, 핸드오버가 필요하다고 판단되었을 때에는, 핸드오버처의 기지국에 관한 정보를 상태 관리부(33)에 공급함과 함께, 제어 정보로서, 상위에 그 정보를 공급한다. 상태 관리부(33)는, 주변 기지국 정보 관리부(36)로부터 수취한 핸드오버처의 기지국 정보에 기초하여, 핸드오버가 필요한 것을 인식하고, 기지국측에서의 통신 상태를 제어한다.
도 13은 본 실시 형태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1)에서 간헐 통신 중에 핸드오버를 실행하는 처리의 시퀀스이다. 제1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로, 핸드오버 전에 이동국(2)이 접속하고 있었던 기지국(3)을 기지국(3A)이라고 표기하고, 핸드오버처의 기지국(3)을 기지국(3B)으로 표기한다. 도 7에 도시한 상기의 실시 형태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의 시퀀스와 비교하여, 서로 다른 점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우선, 통신 상태를 액티브 상태로부터 간헐 통신 상태로 천이시킬 때에, 기지국(3A)은 이동국(2)에 대해 상태 천이 지시를 송신한다. 여기서 송신되는 상태 천이 지시에는, 기지국(3A)에서 유지하고 있는 주변 기지국을 식별하기 위한 정보가 포함되어 있다. 기지국(3A)으로부터 상태 천이 지시를 수신한 이동국(2)은, 지시에 따라서 통신 상태를 간헐 통신 상태로 천이시킴과 함께, 수신한 정보를 그 주변 기지국 정보 관리부(28)에 유지한다.
간헐 통신 중의 이동국(2)은, 수신 레벨의 저하에 수반하여 핸드오버가 필요하다고 판단하면, 랜덤 액세스 채널 등을 이용하여 핸드오버 요구(도 13에서는 HO 요구) 신호를 L1의 정보로서 기지국(3A)에 송신한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핸드오버 요구는 L1의 정보로서 송신되기 때문에, 간헐 송신의 타이밍과는 다른 타이밍에서 송신할 수 있다.
핸드오버 요구에는, 핸드오버처의 기지국을 나타내는 기지국 식별 정보가 포함되어 있다. 이동국(2)은, 핸드오버 요구를 송신한 후에, 우선, 간헐 수신 상태로부터 액티브 상태로 천이시켜, 기지국(3A)으로부터의 L3 정보를 수신 가능한 상태로 대기한다. 기지국(3A)에서는, L1의 정보에 기초하여 핸드오버 요구를 수신하였다고 판단하여, 핸드오버처의 기지국(3B)과의 네고시에이션 후, 이동국(2)에 대해 핸드오버 지시를 송신한다.
이동국(2)은, 기지국(3A)으로부터 핸드오버 지시를 수신하면, 간헐 송신으로부터 액티브 상태로 천이시킨다. 또한, 이동국(2)에서의 간헐 수신 및 간헐 송신으로부터 액티브 상태로의 천이의 타이밍은, 상기의 실시 형태에서는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각각 상태 천이 요구의 송신 후 및 상태 천이 지시의 수신 후인 것에 대해, 본 실시 형태에서는, 각각 핸드오버 요구의 송신 후 및 핸드오버 지시의 수신 후이다.
이후에는, 도 7에 도시한 상기의 실시 형태에 따른 시퀀스와 마찬가지로, 동기 확립을 행하여, 핸드오버를 실행한다. 핸드오버 처리가 완료되면, 핸드오버 완료 통지를 핸드오버처의 기지국(3B)에 송신하여, 처리를 종료한다.
미리 이동국(2)에 대해 통지되는 상태 천이 지시는, 기지국 식별 정보(도 13에서는 기지국 ID라고 표기)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기지국 식별 정보는, 기지국(3A)이 간이적으로 할당하는 값으로도 충분하고, 기지국(3A) 및 이동국(2)은 공통인 값을 유지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이동국(2)은 기지국 식별 정보를 L1의 정보에 포함시켜 핸드오버원의 기지국(3A)에 통지하기 때문에, 데이터량은 작게 억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면 주변 기지국의 수가 10국이면, 데이터는 4비트 확보하면 충분하다.
도 14는, 본 실시 형태에 따른 핸드오버 요구의 포맷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핸드오버 요구에는, 유저 식별 정보(도 14에서는 유저 ID) 및 기지국 식별 정보(도 14에서는 기지국 ID)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핸드오버 요구에 의해 기지국(3)에 통지되는 정보는, 이동국(2)을 식별하기 위한 유저 식별 정보와, 핸드오버처의 주변 기지국을 나타내는 기지국 식별 정보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LTE에서는 대기 시 이외의, 예를 들면 통신 중 등이어도 간헐 통신을 행하고 있으므로, 도 14에 도시한 핸드오버 요구를 수신한 기지국(3)에서는, 핸드오버 요구의 수신으로써 통신 상태의 천이가 필요하다고 인식하고, 통신 상태에 대해 상태 천이 처리를 실행한다.
상기의 제1 실시 형태와 달리, 우선, 상태 천이 요구에 기초하여 기지국측의 통신을 액티브 상태로 절환해 두고, 그 후 재차 핸드오버처의 기지국(3)에 관한 정보를 송수하는 처리가, 본 실시 형태에서는 불필요하게 된다. 이에 의해, 핸드오버 처리에 요하는 시간을 보다 단축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도 15는,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이동국(2)측의 처리를 설명한 플로우차트이다. 도 9에 도시한 제1 실시 형태에 따른 처리와 비교하여, 서로 다른 처리를 중심으로 설명한다.
우선, 스텝 S21 내지 스텝 S24에 대해서는, 각각 도 9의 스텝 S1 내지 스텝 S4에 대응하고 있고, 마찬가지의 처리를 행한다. 스텝 S23에서 측정 대상인 주변 기지국(3)의 모두에 대해 측정을 끝냈다고 판정하면, 스텝 S25로 진행한다.
스텝 S25에서, 이동원 기지국 BS0의 수신 레벨과 비교하여, 보다 강한 수신 레벨의 기지국 BSi가 있는지의 여부를, 측정 결과에 기초하여 판정한다. 이동원 기지국보다도 강한 수신 레벨의 기지국이 존재하지 않을 때에는, 처리를 종료한다. 이동원 기지국보다 강한 수신 레벨의 기지국이 존재할 때에는, 스텝 S26으로 진행한다.
스텝 S26에서, 가장 수신 레벨이 큰 기지국 BSi를 선택하면, 스텝 S27에서, 선택한 기지국 BSi의 기지국 식별 정보의 값 i를 핸드오버 요구에 저장하고, 이동원 기지국에 송신한다. 그리고, 스텝 S28에서 액티브 상태로 천이하고, 처리를 종료한다. 이후의 처리에 대해서는, 상기의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이다.
도 16은, 본 실시 형태에 따른 기지국(3)측의 처리를 설명한 플로우차트이다. 제1 실시 형태에 따른 기지국과 마찬가지로, 기지국(3)의 에리어 내에서 간헐 통신 상태에 있는 모든 이동국(2)의 각각에 대해서 실행한다.
도 16에 도시한 처리 중, 스텝 S31 내지 스텝 S32의 처리, 즉 이동국(2)으로부터 핸드오버 요구를 수신하지 않은 경우의 처리에 대해서는 도 10의 스텝 S11 내지 스텝 S12의 처리와 마찬가지이다.
스텝 S31에서, 이동국(2)으로부터 핸드오버 요구를 수신하였다고 판정하면, 스텝 S33으로 진행한다. 스텝 S33에서 액티브 상태로 절환하면, 스텝 S34에서 이동국(2)에 대해 핸드오버 지시를 송신한다.
본 실시 형태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1)은, 핸드오버 요구에 핸드오버처의 기지국을 나타내는 기지국 식별 정보가 포함되어 있고, 핸드오버 요구는 L1의 정보로서 송신된다. 이에 의해, 기지국(3)은 핸드오버 요구에 포함되는 핸드오버처의 기지국에 대한 식별 정보에 따라서, 기지국의 통신 상태를 액티브 상태로 천이시켜, 핸드오버 지시를 이동국(2)에 송신할 수 있다. 상기의 실시 형태에서는, 우선 통신 상태를 천이시키기 위한 상태 천이 요구를 수신한 것을 인식하여 통신 상태를 액티브 상태로 천이시키고, 다음으로 핸드오버 요구를 수신한 것을 인식하여 핸드오버 처리를 개시시키기 위한 각종의 처리를 실행하고 있었던 것에 대해, 핸드오버 처리에 요하는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제2 실시 형태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1)에 따르면, 간헐 통신 중에 핸드오버가 필요로 되었을 때, 이동국(2)은 랜덤 액세스 채널 등의 공통 채널을 이용하여 핸드오버 요구를 기지국(3)에 송신한다. 이동원의 기지국(3)은 간헐 통신 중에 핸드오버 요구를 수신하면, 그 핸드오버 요구의 송신원인 이동국(2)에 대해 핸드오버를 실행시키기 위해, 기지국(3)측의 통신 상태를 액티브로 천이시킨다. 그리고, 기지국(3)측의 통신 상태가 액티브 상태로 되면, 핸드오버 요구에 포함되는 핸드오버처의 기지국을 나타내는 기지국 식별 정보에 기초하여, 핸드오버 지시를 송신한다.
핸드오버의 필요한 이동국(2)으로부터 기지국(3)에 대해 핸드오버 요구를 송신하고, 핸드오버 요구에 핸드오버처의 기지국을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시켜 통지하는 것만으로, 이동국(2) 및 기지국(3)의 쌍방에서 통신 상태를 천이시키므로, 이동국(2)으로부터 통신 상태를 천이시키도록 요구하는 요구와 핸드오버 요구를 별개로 기지국(3)에 송신하는 방법과 비교하여, 핸드오버 처리에 요하는 시간을 보다 단축할 수 있다. 이에 의해, 핸드오버 처리에 요하는 시간이 장기화되는 것에 수반하여 생기는 통신 품질의 열화나 핸드오버 처리의 실패 등의 문제를 개선하는 것에 이바지한다.
<제3 실시 형태>
본 실시 형태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1)은, 간헐 송수신의 주기에 따라서 통신 상태를 액티브 상태로 천이시키기 위한 요구를 기지국(3)에 송신하는 방법을 설정하여 핸드오버를 실시하는 점에 특징을 갖는다.
도 17은,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이동국(2)의 구성도이다. 상기의 제1 실시 형태에 따른 이동국과 비교하여, 주기 설정부(25)가 핸드오버 판정부(23)에 대해 간헐 송수신의 주기에 관한 정보를 공급하는 점에서 상이하다. 다른 구성에 대해서는, 도 4와 마찬가지이다.
핸드오버 판정부(23)는, 주기 설정부(25)로부터 공급된 간헐 송수신의 주기에 관한 정보에 기초하여, 핸드오버의 실시 방법, 구체적으로는 통신 상태의 천이 요구를 기지국(3)에 송신하는 방법을 결정한다. 핸드오버 판정부(23)에서 결정한 내용은 주기 설정부(25)에 공급되고, 주기 설정부(25)는 입력된 정보에 기초하여, 기지국(3)에 송신하는 요구의 송신 타이밍을 결정하여 송신기(27)에 공급함과 함께, 이동국(2)의 간헐 송수신의 주기를 재설정하여 액티브 상태로 천이시킨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따른 기지국(3)의 구성에 대해서는, 도 5에 도시한 제1 실시 형태에 따른 기지국(3)의 구성과 마찬가지이므로 여기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도 18은,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이동국(2)측의 처리를 설명한 플로우차트이다. 또한, 기지국(3)측의 처리는, 도 10의 제1 실시 형태에 따른 기지국(3)의 처리와 마찬가지이다. 여기서는, 도 9에 도시한 제1 실시 형태에 따른 이동국(2)의 처리와 비교하여, 서로 다른 처리를 중심으로 설명한다.
우선, 스텝 S41의 초기화 처리로부터 스텝 S45의 핸드오버 필요 여부의 판정까지는, 각각 도 9의 스텝 S1 내지 스텝 S5에 대응하고 있고, 마찬가지의 처리를 행한다. 스텝 S45에서 핸드오버가 불필요하다고 판정된 경우에는 처리를 종료한다. 스텝 S45에서 핸드오버가 필요하다고 판정된 경우에는, 스텝 S46으로 진행한다.
스텝 S46에서, 간헐 송수신의 주기가, 소정의 임계값 이하인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간헐 송수신의 주기가 소정의 임계값보다도 큰 값을 취하는 경우에는, 스텝 S47로 진행하여, 이동국(2)은 간헐 송신의 타이밍을 대기하지 않고 즉시 상태 천이 요구를 기지국(3)에 대해 송신한다. 스텝 S46에서 간헐 송수신의 주기가 소정의 임계값 이하라고 판정된 경우에는, 스텝 S48로 진행하여, 다음의 간헐 송신의 타이밍에서 상태 천이 요구를 기지국(3)에 송신한다. 상태 천이 요구의 송신 후, 스텝 S49로 진행한다. 스텝 S49에서, 이동국(2)의 통신 상태를 액티브 상태로 천이시켜, 처리를 종료한다.
간헐 송수신의 주기가 비교적 긴 경우에는, 다음의 간헐 송수신의 타이밍까지 상태 천이 요구의 송신을 대기한다고 하면, 핸드오버 처리에서의 지연도 커지기 때문에, 랜덤 액세스 채널 등의 공통 채널을 이용하여 간헐 송수신 타이밍에 의하지 않고 상태 천이 요구를 송신하는 것이 유효하게 된다. 그 한편, 랜덤 액세스 채널을 이용함으로써, 복수의 이동국(2)이 있는 기지국(3)에 대해 상태 천이 요구를 송신한 경우에 상태 천이 요구의 사이에서 충돌이 발생할 가능성이 있다.
이상의 점을 고려하여, 본 실시 형태에서는 간헐 송수신의 주기가 소정의 임계값보다도 큰 값을 취하는 경우에는 핸드오버 처리의 지연을 저감시키는 효과가 큰 것으로서 랜덤 액세스 채널 등의 공통 채널을 이용하여 간헐 송신 타이밍에 의하지 않고 상태 천이 요구를 송신하고, 간헐 송수신의 주기가 소정의 임계값 이하인 값을 취하는 경우에는 핸드오버 처리의 지연을 저감하는 효과는 그 만큼 크지 않고, 오히려 충돌을 회피하는 쪽을 중시하여, 간헐 송신 타이밍에서 상태 천이 요구를 송신하여, 핸드오버를 실행하고 있다.
또한, 도 18의 스텝 S47 및 스텝 S48에서는, 이동국(2)으로부터 기지국(3)에 대해 상태 천이 요구를 송신하는 것으로 하고 있지만, 이것에는 한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제2 실시 형태에 따른 핸드오버 요구를 송신하는 것으로 하여도 된다. 이러한 핸드오버 처리 방법을 실현하기 위해서는, 도 11의 이동국(2)의 구성을, 주기 설정부(25)로부터 핸드오버 판정부(23)에 대해 간헐 송수신의 주기 정보를 공급하는 구성으로 한다. 이 구성에 따르면, 핸드오버 판정부(23)는 간헐 송수신의 주기 정보에 기초하여, 핸드오버 요구를 L1의 정보로서 송신하거나 혹은 종래대로 L3 정보로서 송신할지를 판단함으로써, 마찬가지의 효과가 얻어진다.
이상과 같이, 기지국 장치와 이동국 사이의 송신 및 수신을 간헐적인 소정 주기로 행하고 있는 상태에서, 기지국 장치는, 소정 주기로 찾아오는 이동국 장치의 송신 타이밍 이외의 타이밍에서도 신호의 수신 처리를 행하고, 기지국 장치는, 그 수신 처리에 의해, 송신 타이밍 이외의 타이밍에서, 이동국 장치로부터의 제1 신호를 수신한 경우에, 소정 주기 외에서의 이동국 장치에의 제2 신호의 송신을 허용하고, 이동국 장치는 송신 타이밍 이외의 타이밍에서의 제1 신호의 송신을 행하는 경우에, 소정 주기로 찾아오는 수신 타이밍 이외의 타이밍에서도 신호의 수신 처리를 행함으로써, 제2 신호의 수신을 행한다.

Claims (4)

  1. 기지국 장치와 이동국 장치 사이에서 간헐 통신을 행할 수 있는 간헐 통신 시스템에서의 핸드오버 방법으로서,
    상기 이동국 장치는, 상기 간헐 통신에서 수신한 수신 신호의 측정 결과에 기초하는 상태 천이를 요구하는 정보를 상기 기지국 장치에 송신하고, 간헐 통신의 수신 주기의 값을 제로로 설정하거나, 또는 「설정값 없음」으로 함으로써, 상기 간헐 통신의 수신 주기를 변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간헐 통신 시스템에서의 핸드오버 방법.
  2. 기지국 장치와 이동국 장치 사이에서 간헐 통신을 행할 수 있는 통신 시스템으로서,
    상기 간헐 통신에서 수신한 수신 신호의 측정 결과에 기초하는 상태 천이를 요구하는 정보를 송신하고, 간헐 통신의 수신 주기의 값을 제로로 설정하거나, 또는 「설정값 없음」으로 함으로써, 상기 간헐 통신의 수신 주기를 변경하는 이동국 장치와,
    상기 이동국 장치로부터의 상기 정보를 수신하는 기지국 장치
    를 구비한 통신 시스템.
  3. 기지국 장치와 간헐 통신을 행할 수 있는 이동국 장치로서,
    상기 간헐 통신에서 수신한 수신 신호를 측정하고, 측정 결과에 관한, 상태 천이를 요구하는 정보를 상기 기지국 장치에 송신하는 송신부와,
    상기 정보에 기초하여, 간헐 통신의 수신 주기의 값을 제로로 설정하거나, 또는 「설정값 없음」으로 함으로써, 상기 간헐 통신의 수신 주기를 변경하는 설정부
    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국 장치.
  4. 기지국 장치와 이동국 장치 사이에서 간헐 통신을 행할 수 있는 간헐 통신 시스템에서의 핸드오버 방법으로서,
    상기 이동국 장치는, 상기 간헐 통신에서 수신한 수신 신호의 측정 결과에 기초하는 상태 천이를 요구하는 정보를 상기 기지국 장치에 송신하고, 상기 측정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간헐 통신으로부터 통상 통신으로 변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간헐 통신 시스템에서의 핸드오버 방법.
KR1020117006517A 2007-01-22 2007-01-22 간헐 통신 시스템의 방법, 통신 시스템 및 이동국 장치 KR10109808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JP2007/050878 WO2008090592A1 (ja) 2007-01-22 2007-01-22 間欠通信システム、基地局装置及び移動局装置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7015680A Division KR101042502B1 (ko) 2007-01-22 2007-01-22 간헐 통신 시스템, 기지국 장치 및 이동국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33963A KR20110033963A (ko) 2011-04-01
KR101098089B1 true KR101098089B1 (ko) 2011-12-26

Family

ID=39644174

Famil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7006516A KR101098143B1 (ko) 2007-01-22 2007-01-22 간헐 통신 시스템의 방법
KR1020097015680A KR101042502B1 (ko) 2007-01-22 2007-01-22 간헐 통신 시스템, 기지국 장치 및 이동국 장치
KR1020117006517A KR101098089B1 (ko) 2007-01-22 2007-01-22 간헐 통신 시스템의 방법, 통신 시스템 및 이동국 장치

Family Applications Before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7006516A KR101098143B1 (ko) 2007-01-22 2007-01-22 간헐 통신 시스템의 방법
KR1020097015680A KR101042502B1 (ko) 2007-01-22 2007-01-22 간헐 통신 시스템, 기지국 장치 및 이동국 장치

Country Status (10)

Country Link
US (2) US8170029B2 (ko)
EP (4) EP2129138B1 (ko)
JP (1) JP4690467B2 (ko)
KR (3) KR101098143B1 (ko)
CN (1) CN101589643B (ko)
AU (1) AU2007344826B2 (ko)
CA (2) CA2938591A1 (ko)
ES (2) ES2535834T3 (ko)
RU (6) RU2469503C2 (ko)
WO (1) WO200809059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023467B2 (en) 2007-04-27 2011-09-20 Research In Motion Limited Method and system for efficient DRX operation during handover in LTE
JP5135117B2 (ja) 2008-08-08 2013-01-30 株式会社エヌ・ティ・ティ・ドコモ 移動局、無線基地局及び移動通信方法
US8520632B2 (en) 2008-12-29 2013-08-27 Qualcomm Incorporated Method and apparatus for synchronization during a handover failure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JP5313119B2 (ja) * 2009-12-02 2013-10-09 シャープ株式会社 通信装置、通信装置の制御方法、通信装置制御プログラム、及び該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コンピュータ読み取り可能な記録媒体
JP5782925B2 (ja) * 2011-08-31 2015-09-24 富士通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プログラム、および制御方法
US10085184B2 (en) * 2015-12-07 2018-09-25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Methods and devices for triggering mobility reference signaling
EP3389315B1 (en) 2015-12-31 2020-02-05 Huawei Technologies Co., Ltd. Mobility management method, user equipment, storage node, and base station
CN108811015B (zh) * 2015-12-31 2021-06-29 华为技术有限公司 移动性管理的方法、用户设备和基站
US11678245B2 (en) * 2019-12-23 2023-06-13 Qualcomm Incorporated User equipment (UE) requested enablement for L1/L2 inter-cell mobility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224646A (ja) 1998-07-24 2000-08-11 Toshiba Corp Cdma移動端末装置
JP2002199428A (ja) 2000-12-27 2002-07-12 Toshiba Corp 移動通信端末装置とそのハンドオーバ制御方法及び制御プログラム
JP2003179539A (ja) * 2001-12-10 2003-06-27 Ntt Docomo Inc 移動通信システム、移動通信方法、移動端末及び通信基地局

Family Cites Families (3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101698B2 (ja) * 1986-04-25 1994-12-12 日本電気株式会社 無線電話装置
JPH06216833A (ja) * 1993-01-14 1994-08-05 N T T Idou Tsuushinmou Kk 移動通信方式
JP3267059B2 (ja) * 1994-08-09 2002-03-18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ディジタル無線電話装置
CN101282133A (zh) * 1998-03-26 2008-10-08 三菱电机株式会社 频谱扩展通信装置和频谱扩展通信方法
WO2000005910A1 (fr) * 1998-07-24 2000-02-03 Kabushiki Kaisha Toshiba Dispositif terminal mobile a acces multiple par code de repartition (amcr)
ATE492074T1 (de) * 1998-07-28 2011-01-15 Samsung Electronics Co Ltd Geschaltete übertragung im steuerhaltestatus in einem cdma kommunikationssystem
JP4177924B2 (ja) 1998-08-17 2008-11-05 富士通株式会社 無線通信システム並びに無線通信システムに使用される移動局及び無線通信システムに使用される基地局並びに無線通信システムにおけるパケット送信方法
US6522873B1 (en) * 1999-12-30 2003-02-18 Samsung Electronics Co., Ltd. System and method for changing a wireless mobile station between slotted mode operation and non-slotted mode operation
US6625467B2 (en) 2000-07-13 2003-09-23 Qualcomm, Incorporated Method and apparatus for performing idle mode reacquisition and handoff in an asynchronous communication system
KR100338661B1 (ko) * 2000-08-18 2002-07-13 윤종용 무선 패킷 데이터시스템의 도먼트상태 관리장치 및 방법
KR100375541B1 (ko) * 2000-11-11 2003-03-10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통신 시스템의 패킷 도먼트 핸드오프 방법
US7136845B2 (en) * 2001-07-12 2006-11-14 Microsoft Corporation System and method for query refinement to enable improved searching based on identifying and utilizing popular concepts related to users' queries
US7327704B2 (en) * 2001-10-03 2008-02-05 Motorola,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facilitating dormant mode, packet data mobile handoffs
US7558226B2 (en) * 2001-11-16 2009-07-07 Qualcomm Incorporated Performing an idle mode handoff in a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KR100594140B1 (ko) * 2002-04-13 2006-06-28 삼성전자주식회사 무선통신시스템의 패킷 데이터 서비스 방법
US7133702B2 (en) * 2002-08-27 2006-11-07 Qualcomm Incorporated Idle mode cell reacquisition and reselection
US7551613B2 (en) * 2002-09-06 2009-06-23 Motorola, Inc. Method of supporting reactivation of a dormant session using stored service configurations
US7110377B2 (en) * 2002-10-10 2006-09-19 Qualcomm Incorporated Dormant handoff in a packet data network
JP4206742B2 (ja) * 2002-12-12 2009-01-14 日本電気株式会社 無線制御装置及びそれを用いた移動通信システム並びにその動作制御方法
KR100483007B1 (ko) * 2002-12-24 2005-04-18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차세대 이동통신 시스템에서의 핸드오버 방법
KR20050024125A (ko) * 2003-09-04 2005-03-10 삼성전자주식회사 광대역 무선 접속 통신 시스템에서 핸드오버를 고려한모드 천이 방법
KR100567211B1 (ko) * 2003-12-11 2006-04-03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직교주파수분할 다중접속에서의 임의 접속용 데이터 전송시스템 및 그 방법
JP4625814B2 (ja) * 2004-01-08 2011-02-02 エスケーテレコム株式会社 非同期網と同期網が混在する移動通信網におけるパケットデータサービスのための移動通信システム及びハンドオーバー方法
CA2557267C (en) * 2004-03-01 2013-04-23 Kraft Foods Holdings, Inc. Multi-purpose food preparation kit
JP4479307B2 (ja) 2004-03-30 2010-06-09 日本電気株式会社 無線通信端末及びその無線通信早期確立方法
US7359353B2 (en) * 2004-04-21 2008-04-15 Motorola, Inc. Access network and method for improved inter-PDSN dormant mode handoff
JP4396379B2 (ja) * 2004-04-23 2010-01-13 日本電気株式会社 受信ダイバーシティシステムおよびその制御方法
US7558222B2 (en) * 2004-05-27 2009-07-07 Samsung Electronics Co., Ltd. System and method for sending IP packets to a mobile station transitioning from dormant state to active state
KR100893860B1 (ko) * 2004-06-10 2009-04-20 엘지전자 주식회사 광대역 무선 접속 시스템에 적용되는 핸드오버 수행 방법및 핸드오버 실패시 통신 재개 방법
JP4735145B2 (ja) * 2004-10-18 2011-07-27 ソニー株式会社 無線通信システム,無線通信装置,およ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JP4181107B2 (ja) * 2004-11-25 2008-11-12 株式会社カシオ日立モバイルコミュニケーションズ ハンドオフ制御方法及び移動通信端末
KR100948219B1 (ko) * 2005-05-16 2010-03-18 후아웨이 테크놀러지 컴퍼니 리미티드 고속 패킷 데이터 네트워크에 있어서 활성 상태에서 인터-액세스 네트워크 핸드오프를 구현하기 위한 방법 및 시스템
US7647078B2 (en) * 2006-03-07 2010-01-12 Samsung Electronics Co., Ltd. Power-saving method for wireless sensor network
US8064401B2 (en) * 2006-07-14 2011-11-22 Qualcomm Incorporated Expedited handoff
US7869837B2 (en) * 2006-12-13 2011-01-11 Nokia Corporation System and method for implementing mobile IP node lossless transition from an idle state to an awake state
US7710987B2 (en) * 2006-12-14 2010-05-04 Motorola, Inc. Efficient transitions between operating states in a communication network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224646A (ja) 1998-07-24 2000-08-11 Toshiba Corp Cdma移動端末装置
JP2002199428A (ja) 2000-12-27 2002-07-12 Toshiba Corp 移動通信端末装置とそのハンドオーバ制御方法及び制御プログラム
JP2003179539A (ja) * 2001-12-10 2003-06-27 Ntt Docomo Inc 移動通信システム、移動通信方法、移動端末及び通信基地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597928A2 (en) 2013-05-29
JPWO2008090592A1 (ja) 2010-05-13
EP2542013A3 (en) 2013-04-24
RU2012142021A (ru) 2014-04-27
RU2521603C2 (ru) 2014-07-10
RU2521601C2 (ru) 2014-07-10
AU2007344826B2 (en) 2010-12-23
EP2542014A2 (en) 2013-01-02
EP2542014A3 (en) 2013-04-24
RU2482626C2 (ru) 2013-05-20
RU2011110832A (ru) 2012-09-27
KR101098143B1 (ko) 2011-12-26
CA2674748A1 (en) 2008-07-31
ES2535834T3 (es) 2015-05-18
US20090264132A1 (en) 2009-10-22
AU2007344826A1 (en) 2008-07-31
RU2012141987A (ru) 2014-05-10
ES2573307T3 (es) 2016-06-07
EP2129138B1 (en) 2015-04-22
EP2129138A4 (en) 2011-10-19
RU2482627C2 (ru) 2013-05-20
RU2469503C2 (ru) 2012-12-10
CA2938591A1 (en) 2008-07-31
KR20110033962A (ko) 2011-04-01
EP2597928B1 (en) 2016-05-18
EP2129138A1 (en) 2009-12-02
KR20100004922A (ko) 2010-01-13
RU2011110835A (ru) 2012-09-27
US20120129455A1 (en) 2012-05-24
KR20110033963A (ko) 2011-04-01
RU2011110879A (ru) 2012-09-27
WO2008090592A1 (ja) 2008-07-31
US8170029B2 (en) 2012-05-01
KR101042502B1 (ko) 2011-06-16
JP4690467B2 (ja) 2011-06-01
CN101589643B (zh) 2012-05-23
CN101589643A (zh) 2009-11-25
RU2012142018A (ru) 2014-04-10
EP2542013A2 (en) 2013-01-02
EP2597928A3 (en) 2013-09-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98089B1 (ko) 간헐 통신 시스템의 방법, 통신 시스템 및 이동국 장치
JP5069546B2 (ja) 通信制御方法、基地局及びユーザ装置
JP5539556B2 (ja) 無線通信端末装置及び無線通信方法
EP2564637B1 (en) Method, apparatus and system for mobility enhancement in drx
JP5043108B2 (ja) 無線インターフェース上でユーザ端末のハンドオーバ処理をする方法、そのための基地局およびネットワーク
KR20190028550A (ko) Ue의 상태 전환 방법 및 장치
US20060073830A1 (en) Soft handoff system, mobile terminal having the same, and soft handoff method
JP2006352489A (ja) 移動局、無線アクセスネットワーク装置および移動通信システム並びに間欠受信方法
US9509594B2 (en) Mobile terminal preparation
WO2016183816A1 (zh) 通信方法和设备
KR101015739B1 (ko) 무선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핸드오버 시스템 및 방법
JP2009273185A (ja) 移動局、無線アクセスネットワーク装置および移動通信システム並びに間欠受信方法
WO2022236632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ue-to-network relay handover
JP5391625B2 (ja) 移動無線端末装置
RU2420035C2 (ru) Система прерывистой связи, устройство базовой станции и устройство мобильной станции
CN115884256A (zh) 一种控制传输的方法及相关装置
KR20130124197A (ko) 이동 중계기 및 그 핸드오버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2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1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2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1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15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