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97294B1 - 점자입력장치 - Google Patents

점자입력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97294B1
KR101097294B1 KR1020090076831A KR20090076831A KR101097294B1 KR 101097294 B1 KR101097294 B1 KR 101097294B1 KR 1020090076831 A KR1020090076831 A KR 1020090076831A KR 20090076831 A KR20090076831 A KR 20090076831A KR 101097294 B1 KR101097294 B1 KR 10109729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aille
key
input
points
key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768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19213A (ko
Inventor
윤양택
임현섭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힘스인터내셔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힘스인터내셔널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힘스인터내셔널
Priority to KR102009007683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97294B1/ko
Publication of KR201100192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1921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9729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9729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2Input arrangements using manually operated switches, e.g. using keyboards or dials
    • G06F3/0202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input devic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2Input arrangements using manually operated switches, e.g. using keyboards or dials
    • G06F3/023Arrangements for converting discrete items of information into a coded form, e.g. arrangements for interpreting keyboard generated codes as alphanumeric codes, operand codes or instruction cod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23Construction or mounting of dials or of equivalent devices; Means for facilitating the use thereof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04M1/724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with interactive means for internal management of messag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75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specially adapted for disabled users
    • H04M1/72481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specially adapted for disabled users for visually impaired us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Input From Keyboard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점자입력장치는 하나 이상의 점자(點字) 및 상기 각 점자에 대응하는 묵자(墨字)가 기록된 점자 일람표를 유지하는 데이터베이스; 6개의 점(1점 내지 6점)으로 구성되는 상기 점자의 입력을 위하여 상기 6개의 점에 각각 매칭(matching)되는 6개의 키(key)를 포함하는 점자 입력부; 및 상기 점자 입력부에서 상기 6개의 키의 조합을 통해 점자 입력방법과 동일한 순서로 키 이벤트가 발생하는 경우 상기 키 이벤트의 발생을 통해 입력된 하나 이상의 숫자키 정보를 점자패턴에 부합하도록 하는 로직(logic) 처리과정을 통해 상기 키 이벤트가 발생한 각 키에 대응하는 점들을 돌기로 인식하고 상기 키 이벤트가 발생하지 않은 각 키에 대응하는 점들을 홈으로 인식하여 점자를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상기 점자에 대응하는 묵자를 상기 점자 일람표로부터 독출하고 사용자에 대한 상기 묵자의 제공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점자, 점자 일람표, 시각장애인, 키패드부

Description

점자입력장치{BRAILLE INPUT DEVICE}
본 발명은 점자입력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점자에 익숙한 시각장애인이 이동통신 단말기 등의 모바일 디바이스가 포함하는 3×4 배열의 키패드부에서 시각 장애인의 문자 체계인 점자와 동일한 패턴으로 하나 이상의 키(key)를 조합하여 묵자를 입력할 수 있는 점자입력장치에 관한 것이다.
지금까지 시각 장애인들은 숫자 키패드를 이용하여 이동통신 단말기 등의 모바일 디바이스의 기본적인 기능인 전화 통화 기능 이외의 문자 메시지 서비스, 무선 인터넷 등과 같은 모바일 디바이스의 다양한 기능을 극히 제한적인 범위로만 사용할 수 밖에 없거나 아예 이용할 수 없었다.
종래의 일부 제품 또는 일부 특허에서 시각 장애인을 위하여 숫자 버튼에 점자 혹은 돌기를 포함시켜 시각 장애인이 숫자 버튼을 누르기 편리하게 해주는 기능의 제공과 시각 장애인으로부터 선택된 숫자 버튼의 숫자 값을 음성 신호로 출력해 줌으로써 올바르게 전화번호가 눌려졌는지의 여부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방법이 제안되어 왔다.
그러나, 상술한 바와 같이 현대의 모바일 디바이스의 기능이 단순한 음성 통 신 이외에 단문 메시지 서비스(SMS; Short Message Service)를 활용한 무선 메일 송수신 기능, 무선 인터넷을 이용한 문자 기반의 인터넷 서비스 등으로 그 활용 분야가 급속하게 확대되고 있다.
그러나, 대부분의 모바일 디바이스의 경우에는 문자의 디스플레이 수단으로 액정 디스플레이(LCD: Liquid Crystal Display) 혹은 액정 표시창을 활용하고 있어서 시각 장애인에게는 이용이 불가능한 형태의 방법이었다.
일부 이동통신 단말기 등의 모바일 디바이스의 제조업체들을 중심으로 이러한 액정 표시창을 통해 디스플레이되는 문자 메시지를 음성 정보로 변환하여 출력해 주는 기술에 대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으며, 일부 상품화가 이루어지고는 있으나, 이 경우에도 결정적인 문제는 문자의 입력이 문제로 대두된다.
현재의 문자 입력 방법은 영문자의 경우에 1번 버튼을 한 번 누르면 a가 입력되고, 두 번 누르면 b가 입력되는 등의 방식으로 하나의 키가 여러 개의 음소를 대표하고 있으며, 한글의 경우에도 10개(0 내지 9)의 숫자 버튼에 각각 복수개의 음소를 대응시켜 해당 숫자 버튼을 누른 횟수에 따라 ㄱ, ㄴ 또는 ㅏ,ㅑ 등이 입력되도록 하고 있다.
이러한 입력 방법은 시각 장애인은 물론 사용에 익숙하지 않은 비장애인 중에서 시력이 쇠퇴한 노약자에게 있어 이용이 어려운 것이 현실이다. 또한, 현재 비장애인들이 누리고 있는 이동통신 단말기 등의 모바일 디바이스의 전화번호부 기능 등의 편리함을 시각 장애인의 경우에는 문자 입력의 어려움으로 인하여 이러한 편리한 기능이 있다는 사실조차 모르고 있으며, 알고 있다고 하더라도 실제 사용이 불가능한 것이 현실이다.
종래의 모바일 디바이스의 경우 해당 키(key)를 누른 횟수에 따라 선정된 음소의 배열이 순환되어 입력되도록 설계되어 있어 시각 장애인에게는 대단히 불편하고 더욱이 원하는 음소가 입력되었는지의 여부를 액정 표시창(LCD)을 통해 확인할 수 있도록 되어 있어 액정 표시창을 볼 수 없는 시각 장애인에게는 신속성과 정확성을 보장할 수 없다.
또한, 종래의 기술에서는 6개의 키가 6개의 점(점자)의 배열 구조(2×3 배열 구조)와 동일한 구조로 위치하고 왼손의 세 개 손가락, 오른손의 세 개 손가락을 동시에 사용하여 점자를 입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나, 이러한 방법은 작은 단말기를 두 손으로 잡고 동시에 여섯 개 손가락을 이용하여 점자를 입력해야 하고, 여섯 개의 손가락을 이용하여 정확히 동일한 힘으로 동일한 시점에 키를 눌러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통상 시각 장애인들이 점자를 외우는 방법은, 예를 들어, 초성 "ㄱ"은 4점, 초성 "ㄴ"은 1점-4점, 초성 "ㄷ"은 2점-4점, 약어인 "인"은 1점-2점-3점-4점-5점과 같은 방법으로 음소와 음절을 점자 번호와 일치하여 외우는 것이다.
따라서, 시각 장애인들에게 가장 친숙한 문자 체계인 점자를 이용하여 문자 메시지를 자유롭게 입력할 수 있도록 해주는 장치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또한, 시각 장애인들이 사용하기 편리한 형태의 특수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함으로써 종래의 어려운 문자 입력 방식으로 인한 불편과 액정 표시창을 통한 문자 메시지 디스플레이 방식에만 의존해온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개선함으로써 시각 장애인 들도 편리하게 문자 메시지의 송수신, 전화번호부 기능을 포함한 모바일 디바이스의 다양한 부가 기능 활용, 무선 인터넷을 이용한 각종 정보의 이용이 편리하도록 하는 점자입력장치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하나 이상의 키를 동시에 눌러야 하는 불편함을 없애고 시각 장애인들이 점자를 외우는 방법 그대로, 예를 들어, "인"이라는 점자 약어를 입력하고자 하는 경우 엄지손가락 하나로 1점-2점-3점-4점-5점 각각에 대응하는 숫자키 1키 내지 5키를 순차적으로 누르도록 함으로써 사용의 편리성과 입력의 정확성을 도모할 수 있는 점자입력장치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을 개선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종래의 이동통신 단말기 등의 모바일 디바이스를 시각 장애인이 사용하기 편리하도록 하는 새로운 방식의 인터페이스 개발에 관한 것이다. 문자 메시지를 포함한 다양한 묵자 데이터의 작성을 위한 키(key) 입력 방법에 있어서 시각 장애인들에게 가장 친숙한 문자 체계인 점자를 활용하여 키패드부가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숫자키를 조합하여 점자 입력방법과 동일한 순서로 점자를 입력하도록 함으로써 별도의 묵자 체계 이해 및 묵자 입력 학습 없이 보다 신속하게 묵자 데이터를 입력할 수 있도록 하는 점자입력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키패드부의 숫자키 입력에 대응하는 숫자키 정보, 즉, 숫자 데이터를 점자패턴에 부합하도록 하는 로직(logic) 처리과정을 거쳐 숫자키 정보를 하나의 점자 셀(cell)이 6점의 조합으로 구성되는 점자패턴으로 재구성하고, 점자 셀 단위에 대응하는 묵자가 기록된 점자 일람표를 유지하는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재구성된 각각의 점자 셀 단위에 대응하는 묵자를 독출하는 점자입력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숫자키 정보를 점자패턴에 부합하도록 하는 로직 처리과정의 예외적인 경우를 위하여 하나 이상의 점자를 음절 단위로 구분하는 키와 선정된 시간이 경과하는 경우 하나 이상의 점자를 음절 단위로 구분하도록 하는 로직 처리과정을 포함하는 점자입력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한글 점자의 경우 초성 자음, 중성 모음, 종성 자음 등의 조합으로 하나의 음절을 구성하는 정자, 사용빈도가 높은 접속 부사, 특정 모음으로 구성되는 1종 약자와 2종 약자, 및 점자의 특성인 초성 "ㅇ" 생략 원칙과 중성 "ㅏ" 생략 원칙, 영어 점자의 경우 영어의 단일 알파벳인 "Grade 1"과 하나 이상의 알파벳으로 조합된 특정 의미의 단어를 약자화시킨 "Grade 2" 등과 같은 보편적으로 사용되는 한글 점자 및 영어 점자에 대하여 선정된 묵자를 데이터베이스로부터 독출하는 점자입력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의 목적을 이루고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점자입력장치는, 하나 이상의 점자(點字) 및 상기 각 점자에 대응하는 묵자(墨字)가 기록된 점자 일람표를 유지하는 데이터베이스; 6개의 점(1점 내지 6점)으로 구성되는 상기 점자의 입력을 위하여 상기 6개의 점에 각각 매칭(matching)되는 6개의 키(key)를 포함하는 점자 입력부; 및 상기 점자 입력부에서 상기 6개의 키의 조합을 통해 점자 입력방법과 동일한 순서로 키 이벤트가 발생하는 경우 상기 키 이벤트의 발생을 통해 입력된 하나 이상의 숫자키 정보를 점자패턴에 부합하도록 하는 로직(logic) 처리과정을 통해 상기 키 이벤트가 발생한 각 키에 대응하는 점들을 돌기로 인식하고 상기 키 이벤트가 발생하지 않은 각 키에 대응하는 점들을 홈으로 인식하여 점자를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상기 점자에 대응하는 묵자를 상기 점자 일람표로부터 독출하고 사용자에 대한 상기 묵자의 제공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점자입력장치는, 제1 키 이벤트가 발생하는 경우, 상기 제1 키 이벤트의 발생 횟수에 따라 점자 입력 모드를 설정하는 제1 키; 제2 키 이벤트가 발생하는 경우, 상기 사용자에게 하나 이상의 특수문자 각각에 대응하는 키 이벤트의 입력이 가능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제2 키; 제3 키 이벤트가 발생하는 경우, 상기 사용자로부터 입력 받은 상기 각 키 이벤트에 대응하는 특수문자의 입력을 수행하고 상기 제어부로부터 독출된 상기 묵자를 메모리 수단에 기록하는 제3 키; 및 제4 키 이벤트가 발생하는 경우, 상기 묵자를 음소 또는 글자 단위로 삭제하는 제4 키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점자입력장치는, 제5 키 이벤트가 발생하는 경우, 상기 사용자로부터 입력 받는 하나 이상의 점자를 음절(音節) 단위로 구분하는 제5 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점자입력장치는, TTS(Text-To-Speech)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점자입력장치의 디스플레이 수단을 통해 디스플레이되는 묵자를 상기 TTS 모듈을 이용하여 음성 정보로 변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점자입력장치에 따르면, 문자 메시지를 포함한 다양한 묵자 데이터의 작성을 위한 키(key) 입력 방법에 있어서 시각 장애인들에게 가장 친숙한 문자 체계인 점자를 활용하여 키패드부가 포함하는 숫자키를 조합하여 점자 입력방법과 동일한 순서로 점자를 입력하도록 함으로써 별도의 묵자 체계 이해 및 묵자 입 력 학습 없이 보다 신속하게 묵자 데이터를 입력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점자입력장치에 따르면, 이동통신 단말기 등의 모바일 디바이스가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수단을 통해 재생 또는 디스플레이되는 문자 메시지를 음성 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함으로써, 원하는 음소가 올바르게 입력되었는지의 여부를 음성 신호를 통해 확인할 수 있도록 하여 시각 장애인으로 하여금 보다 정확하면서도 효율적인 묵자의 입력을 가능케 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점자입력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점자입력장치(100)는 키패드부(110), 디스플레이 수단(120), 제어부(130), 데이터베이스(140), 및 메모리 수단(150)을 포함한다.
점자입력장치(100)는 이동통신 단말기 등의 모바일 디바이스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점자입력장치(100)는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폰, WCDMA(Wideband CDMA)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셀룰러폰, PCS(Personal Communication Service)폰, 핸드 헬드 PC(Hand-Held PC), CDMA-2000(1X, 3X)폰, WCDMA(Wideband CDMA)폰, 듀얼 밴드/듀얼 모드(Dual Band/Dual Mode)폰, GSM(Global Standard for Mobile)폰, MBS(Mobile Broadband System)폰, 위성/지상파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폰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점자입력장치(100)는 주로 시각 장애인 및 점 자에 익숙한 사용자가 항상 소지하고 다닐 수 있다. 상기 사용자는 키패드부가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숫자키를 조합하여 점자 입력방법과 동일한 순서로 점자를 입력할 수 있다.
키패드부(110)는 6개의 점으로 구성되는 점자의 입력을 위하여 상기 6개의 점에 각각 매칭(matching)되는 6개의 키(key)를 포함하는 점자 입력부, 제1 키 이벤트가 발생하는 경우, 상기 제1 키 이벤트의 발생 횟수에 따라 점자 입력 모드를 설정하는 제1 키, 제2 키 이벤트가 발생하는 경우, 상기 사용자에게 하나 이상의 특수문자 각각에 대응하는 키 이벤트의 입력이 가능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제2 키, 제3 키 이벤트가 발생하는 경우, 상기 사용자로부터 입력 받은 상기 각 키 이벤트에 대응하는 특수문자의 입력을 수행하고 제어부(130)가 독출한 묵자를 메모리 수단(150)에 기록하는 제3 키, 및 상기 묵자를 음소 또는 글자 단위로 삭제하는 제4 키를 포함한다.
상기 제1 키 이벤트를 포함한 모든 키 이벤트는 상기 사용자에 의한 키(key)의 입력을 의미한다. 상기 점자는 상술한 바와 같이 6개의 점으로 구성된다. 왼쪽 위에서부터 1점, 2점, 및 3점으로 각각 구현되고 오른쪽 위에서부터 4점, 5점, 및 6점으로 각각 구현된다.
키패드부(110)는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키패드부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키패드부(110)는 상술한 바와 같이, 점자 입력부(111), 제1 키(112), 제5 키(113), 제2 키(114), 제3 키(115), 및 제4 키(116)를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점자 입력부(111)이 키패드부(110)의 숫자 버튼 중 1키 내지 6키로, 제1 키(112)가 9키로, 제5 키(113)가 8키로, 제2 키(114)가 7키로, 제3 키(115)가 키패드부(110)의 #키로, 및 제4 키(116)가 *키로 각각 구현되는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하지만, 점자 입력부(111)의 위치 또는 제1 키(112) 내지 제5 키(113)를 포함하는 기능키의 개수와 위치는 당업자의 판단에 따라 다양한 방법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상기 점자를 구성하는 상기 6개의 점 중에서 1점이 키패드부(110)의 숫자 버튼 중 1키로, 2점이 2키로, 3점이 3키로, 4점이 4키로, 5점이 5키로, 및 6점이 6키로 각각 구현되는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하지만, 상술한 바와 같이 점자 입력부(111)의 상기 6개의 키의 위치는 당업자의 판단에 따라 다양한 방법으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6개의 키는 위에서 아래로 3점, 좌우 두 줄로 배열되는 6개의 점(점자)의 배열 구조와 동일한 구조로 위치하는 6개의 키로 설정될 수 있다. 즉, 상기 6개의 점 중에서 1점이 키패드부(110)의 숫자 버튼 중 1키로, 2점이 4키로, 3점이 7키로, 4점이 2키로, 5점이 5키로, 및 6점이 8키로 각각 구현될 수도 있다. 이러한 경우, 상기 6개의 키의 위치가 상기 점자의 배열 구조와 동일하여 상기 사용자로부터 하여금 별도의 묵자 입력 학습 없이 보다 신속하게 묵자 데이터를 입력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제어부(130)는 점자 입력부(111)에서 상기 6개의 키의 조합을 통해 점자 입 력방법과 동일한 순서로 키 이벤트가 발생하는 경우 상기 키 이벤트의 발생을 통해 입력된 하나 이상의 숫자키 정보를 점자패턴에 부합하도록 하는 로직(logic) 처리과정을 통해 상기 키 이벤트가 발생한 각 키에 대응하는 점들을 돌기로 인식하고 상기 키 이벤트가 발생하지 않은 각 키에 대응하는 점들을 홈으로 인식하여 점자를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상기 점자에 대응하는 묵자를 데이터베이스(140)로부터 독출하고 상기 사용자에 대한 상기 묵자의 제공을 제어한다.
제어부(130)는 상기 묵자를 메모리 수단(150)에 기록하고, 디스플레이 수단(120)을 통한 상기 묵자의 재생 또는 디스플레이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30)는 상기 묵자를 음성 신호로 변환하고, 점자입력장치(100)의 스피커와 같은 음성출력수단을 활성화하여 상기 음성 신호가 출력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제어부(130)는 점자 입력부(111)에서 상기 6개의 키의 조합을 통해 점자 입력방법과 동일한 순서로 키 이벤트가 발생하는 경우 상기 키 이벤트가 발생한 각 키에 대응하는 점들을 돌기로 인식하고 상기 키 이벤트가 발생하지 않은 각 키에 대응하는 점들을 홈으로 인식하는 키 인식부, 상기 키 인식부로부터 인식된 상기 돌기 및/또는 홈을 이용하여 점자를 생성하는 점자 생성부, 상기 점자 생성부로부터 생성된 상기 점자에 대응하는 묵자를 데이터베이스(140)에서 독출하는 묵자 독출부, 상기 독출된 상기 묵자를 음성 신호로 변환하고 상기 음성 신호의 출력을 제어하는 음성 제어부, 및 디스플레이 수단(120)을 통한 상기 묵자의 재생 또는 디스플레이를 제어하는 데이터 제어부를 포함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제어부(130)는 점자입력장치(1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함과 동시에, 상기 사용자로부터 입력하고자 하는 묵자에 대응하는 점자 입력부(111)의 하나 이상의 키를 입력받는 경우 상기 입력받은 각 키에 대한 점들을 돌기로 인식하여 점자를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상기 점자를 묵자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절차에 대한 제어를 수행한다. 제어부(130)는 점자입력장치(100)가 포함하는 각종 구성들의 제어를 수행한다.
제어부(130)는 상기 제1 키 이벤트가 발생하는 경우 상기 제1 키 이벤트의 발생 횟수에 따라 한글, 영문자, 숫자 중 어느 하나의 점자 입력 모드로 설정되도록 제어한다. 예를 들어, 상기 사용자로부터 제1 키(112)를 1회 입력받는 경우 제어부(130)는 한글 입력 모드를 실행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사용자로부터 제1 키(112)를 연속적으로 2회 입력받는 경우 제어부(130)는 영문자 입력 모드를 실행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사용자로부터 제1 키(112)를 연속적으로 3회 입력받는 경우 제어부(130)는 숫자 입력 모드를 실행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점자입력장치(100)는 기본 입력 모드를 한글 입력 모드로 하고, 상기 사용자로부터 제1 키(112)를 1회 입력받는 경우 영문자 입력 모드로, 상기 사용자로부터 제1 키(112)를 2회 입력받는 경우 숫자 입력 모드로 변환되도록 구현될 수도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점자 입력 모드는 순차적으로 전환될 수 있다.
데이터베이스(140)는 하나 이상의 점자 및 상기 각 점자에 대응하는 묵자가 기록된 점자 일람표를 유지한다. 상기 점자 일람표는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메모리 수단(150)은 상기 묵자와 같은 데이터의 기록을 위하여 다양한 용량 의 USB 메모리와, CF 메모리, SD 메모리, 미니 SD 메모리, XD 메모리, 메모리스틱, 메모리스틱 듀오, SMC 메모리, MMC 메모리, 또는 RS-MMC를 포함하는 메모리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메모리 수단(150)은 점자입력장치(100)의 내부 구성에 포함되는 내장형일 수도 있고, 외부에 위치하는 외장형이 될 수도 있다. 메모리 수단(150)은 상기 설명에서 기술한 메모리 타입뿐만 아니라, 상변화 메모리(PRAM), 강유전 메모리(FRAM), 강자성 메모리(MRAM)와 같이 향후 개발되어 나타날 수 있는 모든 방식의 메모리 타입을 지원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사용자가 "ㄱ"을 입력하고자 하는 경우, 제어부(130)는 상기 사용자로부터 제1 키(112)를 1회 입력받아 한글 입력 모드를 실행시킬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사용자로부터 상기 입력하고자 하는 "ㄱ"에 대응하는 점자 입력부(111)의 4키를 입력받고 이러한 경우 제어부(130)는 상기 입력받은 4키에 대응하는 4점을 돌기로 인식하고 상기 4점을 제외한 나머지 점들을 홈으로 인식하여 점자를 생성할 수 있다.
제어부(130)는 데이터베이스(140)로부터 상기 생성된 상기 점자에 대응하는 묵자 "ㄱ"을 독출하여 디스플레이 수단(120)을 통한 상기 묵자 "ㄱ"의 디스플레이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30)는 디스플레이 수단(120)을 통해 디스플레이되는 상기 묵자 "ㄱ"을 점자입력장치(100)가 포함하는 TTS 모듈(Text-To-Speech) 모듈을 이용하여 음성 정보로 변환하고, 상기 음성 정보의 출력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사용자가 "임현섭"을 입력하고자 하는 경우, 제어부(130)는 상기 사용자로부터 제1 키(112)를 1회 입력받아 한글 입력 모드를 실행시킬 수 있다. 다시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사용자로부터 상기 입력하고자 하는 "임현섭"의 "임"에 대응하는 점자 입력부(111)의 1키, 3키, 5키, 2키, 및 6키를 입력받고 이러한 경우 제어부(130)는 상기 키에 대응하는 1점, 3점, 및 5점을 돌기로 인식하여 모음에 대한 점자를 생성할 수 있고 2점 및 6점을 돌기로 인식하여 종성에 대한 점자를 생성할 수 있다.
제어부(130)는 데이터베이스(140)로부터 상기 생성된 상기 각 점자에 대응하는 묵자 "ㅣ" 및 묵자"ㅁ"을 독출하여 디스플레이 수단(120)을 통한 묵자 "임"의 디스플레이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30)는 디스플레이 수단(120)을 통해 디스플레이되는 상기 묵자 "임"을 점자입력장치(100)가 포함하는 TTS 모듈(Text-To-Speech) 모듈을 이용하여 음성 정보로 변환하고, 상기 음성 정보의 출력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사용자로부터 상기 입력하고자 하는 "임현섭"의 "현"에 대응하는 점자 입력부(111)의 2키, 4키, 5키, 1키, 및 6키를 입력받고 이러한 경우 제어부(130)는 상기 키에 대응하는 2점, 4점, 및 5점을 돌기로 인식하여 초성에 대한 점자를 생성할 수 있고 1점 및 6점을 돌기로 인식하여 약자에 대한 점자를 생성할 수 있다.
제어부(130)는 데이터베이스(140)로부터 상기 생성된 상기 각 점자에 대응하는 묵자 "ㅎ" 및 묵자"
Figure 112009050748209-pat00001
"을 독출하여 디스플레이 수단(120)을 통한 묵자 "현"의 디스플레이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30)는 디스플레이 수단(120)을 통해 디스플레이되는 상기 묵자 "현"을 점자입력장치(100)가 포함하는 TTS 모듈(Text- To-Speech) 모듈을 이용하여 음성 정보로 변환하고, 상기 음성 정보의 출력을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130)는 상기 제5 키 이벤트가 발생하는 경우 상기 사용자로부터 입력받는 하나 이상의 점자를 음절 단위로 구분하도록 제어한다. 예를 들어, 상기 사용자가 "일기"를 입력하고자 하는 경우, 제어부(130)는 상기 사용자로부터 제1 키(112)를 1회 입력받아 한글 입력 모드를 실행시킬 수 있다. 상기 사용자로부터 상기 입력하고자 하는 "일기"의 "일"에 대응하는 점자 입력부(111)의 1키, 3키, 5키, 및 2키를 입력받고 이러한 경우 제어부(130)는 상기 키에 대응하는 1점, 3점, 및 5점을 돌기로 인식하여 모음에 대한 점자를 생성할 수 있고 2점을 돌기로 인식하여 종성에 대한 점자를 생성할 수 있다.
제어부(130)는 데이터베이스(140)로부터 상기 생성된 상기 각 점자에 대응하는 묵자 "ㅣ" 및 묵자"ㄹ"을 독출하여 디스플레이 수단(120)을 통한 묵자 "일"의 디스플레이를 제어할 수 있다.
상기 묵자 "일"의 입력이 완료된 경우 상기 사용자는 제5 키(113)인 8키를 입력하여 음절을 구분할 수 있다. 즉, 상기 사용자는 1키, 3키, 5키, 및 2키를 입력한 후 8키를 입력함으로써 음절 구분을 할 수 있다.
상기 입력하고자 하는 "일기"의 "기"에 대응하는 점자 입력부(111)의 4키, 1키, 3키, 및 5키를 입력받고 이러한 경우 제어부(130)는 상기 키에 대응하는 4점을 돌기로 인식하여 초성에 대한 점자를 생성할 수 있고 1점, 3점, 및 5점을 돌기로 인식하여 모음에 대한 점자를 생성할 수 있다.
제어부(130)는 데이터베이스(140)로부터 상기 생성된 상기 각 점자에 대응하는 묵자 "ㄱ" 및 묵자"ㅣ"을 독출하여 디스플레이 수단(120)을 통한 묵자 "기"의 디스플레이를 제어할 수 있다. 즉, 상기 "일기"를 입력하고자 하는 경우 1키, 3키, 5키, 및 2키를 입력한 후 8키를 입력하고, 4키, 1키, 3키, 및 5키를 입력함으로써 묵자 "일기"를 입력할 수 있다. 상기 사용자가 빈 칸을 입력하고자 하는 경우 제5 키(113)인 8키를 2회 연속으로 입력함으로써 상기 빈 칸을 입력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30)는 선정된(predetermined) 시간이 경과하는 경우 하나 이상의 점자를 음절 단위로 구분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사용자가 "입수"을 입력하고자 하는 경우, 1키, 3키, 5키, 1키, 및 2키를 입력하고 상기 선정된 시간이 경과한 시점(time point)에 6키, 1키, 3키, 및 4키를 입력함으로써 묵자 "입수"를 입력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30)는 점자 번호(1점 내지 6점)를 비교하여 상기 비교 결과 N번째에 입력된 키에 대한 점의 점자 번호가 N-1번째에 입력된 키에 대한 점의 점자 번호보다 작거나 같은 경우 상기 N-1번째에 입력된 키에 대한 음소와 상기 N번째에 입력된 키에 대한 음소 간의 자모를 판단하고 이를 독립된 점자의 각 셀로 구분하며, 상기 구분된 각각의 독립된 셀들의 연속적인 구성을 점자패턴으로 재구성하여 각 음절별 구분을 수행하도록 제어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사용자가 "임현섭"을 입력하고자 하는 경우, 제어부(130)는 상기 사용자로부터 상기 입력하고자 하는 "임현섭"에 대응하는 점자 입력부(111)의 1키, 3키, 5키, 2키, 6키, 2키, 4키, 5키, 1키, 6키, 6키, 2키, 3키, 4키, 1키, 및 2키를 연속적으로 입력받을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제어부(130)는 N번째에 입력된 키에 대한 점의 점자 번호 및 N-1번째에 입력된 키에 대한 점의 점자 번호를 비교할 수 있다. 상기 비교 결과, 제어부(130)는 "1키, 3키, 및 5키", "2키 및 6키", "2키, 4키, 및 5키", "1키 및 6키", "6키", "2키, 3키, 및 4키", 및 "1키 및 2키" 각각에 대한 6점 조합의 7개의 독립된 셀을 구성하고, 상기 구성된 상기 7개의 셀을 연속적인 셀들의 재구성을 통해 각각의 묵자 음절로 처리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점자입력장치(100)에 따르면 약자 체계가 체계적으로 구성되어 있는 영어의 경우 종래의 묵자 처리 단말기보다 키스트록(keystrock)이 적어 빠른 입력패턴을 유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영어 약자의 경우 상기 사용자로부터 단독 알파벳 "k"에 대응하는 점자 입력부(111)의 1키 및 3키를 입력받으면 제어부(130)는 이를 묵자패턴으로 분석 및 재구성하여 "knowledge" 등과 같은 단어를, "ab"에 대응하는 점자 입력부(111)의 1키, 1키, 및 2키를 입력받으면 이를 상술한 바와 같이, 묵자패턴으로 분석 및 재구성하여 "about" 등과 같은 단어를, "nec"에 대응하는 점자 입력부(111)의 1키, 3키, 4키, 5키, 1키, 5키, 1키, 및 4키를 입력받으면 이를 분석 및 재구성하여 "necessary" 등과 같은 단어를 상기 사용자에게 제공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130)는 상기 제2 키 이벤트가 발생하는 경우 상기 사용자에게 하나 이상의 특수문자 각각에 대응하는 키 이벤트의 입력이 가능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도록 제어한다.
상기 특수문자는 그리스어, 전각기호, 반각기호, 수학식기호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키 이벤트의 발생 횟수에 따라 그리스어, 전각기호, 반각기호, 수학식기호 등과 같은 특수문자가 순차적으로 제공되고 동시에 각 특수문자에 대한 키 이벤트의 입력이 가능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또한 제공된다.
제어부(130)는 상기 제3 키 이벤트가 발생하는 경우 상기 사용자로부터 입력받은 상기 각 키 이벤트에 대응하는 특수문자의 입력을 수행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독출한 상기 묵자를 메모리 수단(150)에 기록한다. 예를 들어, 상기 사용자가 "☆"라는 특수문자를 입력하고자 하는 경우 상기 제2 키를 몇 차례 입력하여 순차적으로 제공되는 하나 이상의 특수문자 중에서 상기 "☆"라는 특수문자를 찾은 후 상기 "☆"에 대응하는 숫자 값을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입력할 수 있다.
즉, 상기 사용자는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에 해당하는 숫자 버튼을 입력한 후 상기 제3 키를 입력함으로써 상기 "☆"라는 특수문자를 입력할 수 있다. 상기 사용자가 상기 묵자를 메모리 수단(150)에 저장 혹은 기록하고자 하는 경우 상기 제3 키를 입력할 수 있다.
제어부(130)는 상기 제4 키 이벤트가 발생하는 경우 상기 묵자를 음소 또는 글자 단위로 삭제하도록 제어한다. 즉, 제4 키(116)는 일반적인 키패드부가 포함하는 백스페이스키의 역할을 수행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점자 일람표를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점자 일람표(300)는 상술한 바와 같이, 하나 이 상의 점자 및 상기 각 점자에 대응하는 묵자가 기록된 점자 일람표를 유지한다. 예를 들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1점 및 4점이 돌기이고 2점, 3점, 5점, 및 6점이 흠인 점자에 대응하여 초성"ㄴ"이라는 묵자가 기록될 수 있다.
또한, 1점, 2점, 및 6점이 돌기이고 3점, 4점, 및 5점이 흠인 점자에 대응하여 모음"ㅏ"라는 묵자가 기록될 수 있다. 또한, 1점, 4점, 5점, 및 6점이 돌기이고 2점 및 3점이 흠인 점자에 대응하여 약저"억"이라는 묵자가 기록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문자 메시지를 포함한 다양한 묵자 데이터의 작성을 위한 키(key) 입력 방법에 있어서 시각 장애인들에게 가장 친숙한 문자 체계인 점자를 활용하여 별도의 묵자 체계 이해 및 묵자 입력 학습 없이 보다 신속하게 묵자 데이터를 입력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이동통신 단말기 등의 모바일 디바이스가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수단을 통해 재생 또는 디스플레이되는 문자 메시지를 음성 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함으로써, 원하는 음소가 올바르게 입력되었는지의 여부를 음성 신호를 통해 확인할 수 있도록 하여 시각 장애인으로 하여금 보다 정확하면서도 효율적인 묵자의 입력을 가능케 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이는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 사상은 아래에 기재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만 파악되어야 하고, 이의 균등 또는 등가적 변형 모두는 본 발명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점자입력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키패드부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점자 일람표를 도시한 도면.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점자입력장치 110: 키패드부
120: 디스플레이수단 130: 제어부
140: 데이터베이스 150: 메모리수단

Claims (4)

  1. 하나 이상의 점자(點字) 및 상기 각 점자에 대응하는 묵자(墨字)가 기록된 점자 일람표를 유지하는 데이터베이스;
    6개의 점(1점 내지 6점)으로 구성되는 상기 점자의 입력을 위하여 상기 6개의 점에 각각 매칭(matching)되는 6개의 키(key)를 포함하는 점자 입력부; 및
    상기 점자 입력부에서 상기 6개의 키의 조합을 통해 점자 입력방법과 동일한 순서로 키 이벤트가 발생하는 경우 상기 키 이벤트의 발생을 통해 입력된 하나 이상의 숫자키 정보를 점자패턴에 부합하도록 하는 로직(logic) 처리과정을 통해 상기 키 이벤트가 발생한 각 키에 대응하는 점들을 돌기로 인식하고 상기 키 이벤트가 발생하지 않은 각 키에 대응하는 점들을 홈으로 인식하여 점자를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상기 점자에 대응하는 묵자를 상기 점자 일람표로부터 독출하고 사용자에 대한 상기 묵자의 제공을 제어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되,
    상기 로직 처리과정은 N번째에 입력된 키에 대한 점의 점자 번호가 N-1번째에 입력된 키에 대한 점의 점자 번호보다 작거나 같은 경우 상기 N-1번째에 입력된 키에 대한 음소와 상기 N번째에 입력된 키에 대한 음소 간의 자모를 판단하고 이를 독립된 점자의 각 셀로 구분하며 상기 구분된 각각의 독립된 셀들의 연속적인 구성을 점자패턴으로 재구성하여 각 음절별 구분을 수행하는 것을 포함하는 점자입력장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키 이벤트가 발생하는 경우, 상기 사용자로부터 입력 받는 하나 이상의 점자를 음절(音節) 단위로 구분하는 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자입력장치.
  4. 삭제
KR1020090076831A 2009-08-19 2009-08-19 점자입력장치 KR10109729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76831A KR101097294B1 (ko) 2009-08-19 2009-08-19 점자입력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76831A KR101097294B1 (ko) 2009-08-19 2009-08-19 점자입력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19213A KR20110019213A (ko) 2011-02-25
KR101097294B1 true KR101097294B1 (ko) 2011-12-22

Family

ID=437766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76831A KR101097294B1 (ko) 2009-08-19 2009-08-19 점자입력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9729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66439B1 (ko) 2018-01-31 2019-04-25 (주)브레일리스트 점자입력 장치 및 그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073291B (zh) * 2016-11-09 2022-07-12 北京搜狗科技发展有限公司 一种输入方法和装置、一种用于输入的装置
KR102201811B1 (ko) * 2019-01-08 2021-01-11 (주)건융아이비씨 외부단말기 연동 점자입력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045135A (ja) * 1999-07-27 2001-02-16 Ddi Corp 点字形式によるダイヤルキー文字入力方法、通信システム及び通信端末装置
JP2006246108A (ja) 2005-03-04 2006-09-14 Fujitsu Ltd 点字出力機能を備えた携帯電話端末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045135A (ja) * 1999-07-27 2001-02-16 Ddi Corp 点字形式によるダイヤルキー文字入力方法、通信システム及び通信端末装置
JP2006246108A (ja) 2005-03-04 2006-09-14 Fujitsu Ltd 点字出力機能を備えた携帯電話端末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66439B1 (ko) 2018-01-31 2019-04-25 (주)브레일리스트 점자입력 장치 및 그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19213A (ko) 2011-02-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03015803A (ja) 小型キーパッド用日本語入力メカニズム
KR101097294B1 (ko) 점자입력장치
KR100579814B1 (ko) 이동 단말기용 문자 입력 시스템과 이를 이용한 이동 단말기
CN101098357B (zh) 支持盲文输入的通信终端及在该终端上发送盲文的方法
KR100201211B1 (ko) 콤팩트 키보드의 한글코드 입력장치
KR101368770B1 (ko) 학습용 단말을 위한 입력 장치 및 방법
KR100373332B1 (ko)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한글문자 입력 방법
KR100373330B1 (ko)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한글문자 입력 방법
KR100980384B1 (ko) 휴대용 단말기의 문자 입력 방법
KR100450587B1 (ko) 문자데이터 입력장치
KR100436426B1 (ko) 다중문자를 구현하는 자판장치 및 그 입력 방법
KR100764113B1 (ko) 문자입력장치
KR100428691B1 (ko) 한글 입력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0427225B1 (ko) 훈민정음의 기본 자음에 의한 문자열 검색장치
JP2002116862A (ja) リング状文字入力および機能選択システム
KR20110078541A (ko) 대화식 문자표시 장치 및 표시방법
KR100577675B1 (ko) 한글 키패드
KR100603531B1 (ko) 문자입력장치
JP2008139835A (ja) 発音学習法
JP2009515272A (ja) 文字入力方法
KR100363548B1 (ko) 이동 통신 단말기의 한글 코드 발생 장치
KR200318329Y1 (ko) 숫자 키패드를 통한 한글입력 장치 및 방법
CN100489743C (zh) 重复字快速输入方法及使用上述输入方法的移动式通讯装置
KR101402478B1 (ko) 문자 입력 방법
KR19990075540A (ko) 통신단말기에서의 문자 입력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1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05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16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28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