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93814B1 - 등자 - Google Patents

등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93814B1
KR101093814B1 KR1020090041255A KR20090041255A KR101093814B1 KR 101093814 B1 KR101093814 B1 KR 101093814B1 KR 1020090041255 A KR1020090041255 A KR 1020090041255A KR 20090041255 A KR20090041255 A KR 20090041255A KR 101093814 B1 KR101093814 B1 KR 10109381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irrup
footrest
edge portion
hook
foo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412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122289A (ko
Inventor
현정석
현지선
고성언
김혜영
Original Assignee
제주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제주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제주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09004125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93814B1/ko
Publication of KR2010012228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2228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9381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9381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8SADDLERY; UPHOLSTERY
    • B68CSADDLES; STIRRUPS
    • B68C3/00Stirrups
    • B68C3/02Stirrups with side part or sole plate attached to other parts of the stirrup movably, e.g. pivotall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Emergency Lowering Mea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등자에 관한 것으로, 말 안장에 연결되며 기수의 발을 수용하여 지지하는 등자에 있어서, 상기 기수의 발을 지지하고, 가장자리 부분에 2 이상의 고정홈을 형성하는 발판, 상기 발판 가장자리 부분과 양쪽 단부가 각각 결합되어 기수의 발을 둘러싸는 테두리부, 및 상기 테두리부와 상기 말 안장을 연결하는 연결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발판과 결합되는 상기 테두리부의 단부에는 상기 가장자리 부분의 고정홈에 삽입되는 후크 형상의 삽입부재와, 상기 테두리부와 상기 후크 형상의 삽입부재는 스프링부재를 매개로 연결되어 있고 상기 고정홈은 깊이 들어갈수록 그 직경이 점차로 커지는 나팔관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등자, 발판, 후크, 고정홈, 나팔관, 스프링부재

Description

등자{Stirrup}
본 발명은 갈고리형 등자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갈고리를 이용하여 등자를 연결하고 필요한 경우 또는 긴급한 경우 맞물려 있는 갈고리가 풀려 분리될 수 있도록 한 갈고리형 등자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등자는 말을 탈 때 말의 등에 얹어서 기수가 위치하는 안장에 연결하여 말에 오를 때나 타고 있을 때 기수의 발을 받쳐주는 역할을 한다.
승마를 할때 이용하던 기존의 등자는 기수들이 발을 끼우는 위치를 정확하게 맞추지 못해서 발을 등자에 너무 깊숙이 넣는 경우가 있다.
발을 등자에 깊숙이 넣으면 말에서 떨어지는 경우 발이 쉽게 빠지지 않아 더 큰 사고로 이어지는 경우가 있다.
기수들이 직면하고 있는 가장 큰 위험 중의 하나가 안장으로부터 내던져지거나 떨어질 때 발이 등자쇠에 걸리게 되는 것이라는 것은 잘 알려져 있다. 이런 경우, 기수가 땅에 끌려가거나 말발굽 또는 다른 장애물에 부딪칠 수 있기 때문에 심각한 부상을 입거나 죽음을 초래할 수도 있다.
그러한 상황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기수의 안전을 확실하게 확보할 수 있는 장치가 되어 있는 등자를 필요로 하게 되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이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안출된 것으로, 승마를 하는 경우 낙마 사고시에 등자에서 발이 끼워져 있는 부분이 후크로 걸려 있어 기수가 넘어지면서 발이 전후로 쏠리면 후크가 빠지면서 등자의 테두리부와 발판이 분리될 수 있게 함으로써 기수의 안전을 확실하게 확보하도록 한 등자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등자는, 말 안장에 연결되며 기수의 발을 수용하여 지지하는 등자에 있어서, 상기 기수의 발을 지지하고, 가장자리 부분에 2 이상의 고정홈을 형성하는 발판, 상기 발판 가장자리 부분과 양쪽 단부가 각각 결합되어 기수의 발을 둘러싸는 테두리부, 및 상기 테두리부와 상기 말 안장을 연결하는 연결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발판과 결합되는 상기 테두리부의 단부에는 상기 가장자리 부분의 고정홈에 삽입되는 후크 형상의 삽입부재와, 상기 테두리부와 상기 후크 형상의 삽입부재는 스프링부재를 매개로 연결되어 있고 상기 고정홈은 깊이 들어갈수록 그 직경이 점차로 커지는 나팔관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등자에 의하면, 위급한 경우에 후크부와 고정홈에 서로 삽입되어 결합되었던 등자는 발판과 테두리부로 분리되어 기수의 발이 등자로부터 풀리 면서 쉽게 탈출할 수 있도록 하고, 재사용시에는 스프링에 의하여 원래 형태로 발판과 결합 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에 대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도1은 본 발명에 따른 등자의 개략 단면도이고, 도2는 본 발명에 따른 등자의 개략적인 측면도이다. 도3은 본 발명에 따른 등자가 분리되는 모습을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1, 도2, 도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등자는, 말 안장에 연결되며 기수의 발을 수용하여 지지하는 것으로서, 등자 본체는 등자의 발판 부분(20)과, 상기 등자의 발판과 결합하여 기수의 발을 수용하는 공간을 형성하는 테두리부(10)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등자 본체는 말 안장(도시되지 않음)에 연결부재(30)에 의하여 연결되도록 이루어져 있다.
도1,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수의 발을 지지하기 위한 상기 발판(20)과 상기 발판(20)과 일체로 결합되어 기수의 발을 삽입하여 수용하는 테두리부(10)는 상기 테두리부(10)의 단부에 형성된 삽입부재(11)와 상기 발판(20)의 가장자리부에 마련된 고정홈(22)이 걸려 고정되면서 기수의 발이 올라서면 이를 지탱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이때, 상기 테두리부(10)의 단부에 형성된 삽입부재(11)는 후크 형상으로 이 루어져 있고, 상기 고정홈(22)에 삽입 결합됨으로써 테두리부(10)와 발판(20)은 기수의 발을 수용하여 지탱하게 된다.
도2에 도시된 것처럼 상기 후크 형상의 삽입부재(11)가 삽입되는 상기 고정홈(22)은 깊이 들어갈수록 그 직경이 점차로 커지는 나팔관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상기 고정홈(22)은 테두리부(10)의 모양에 따라 발판(20) 가장자리 부분에 2 이상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테두리부(10)의 일단에는 삽입부재(11)가 자유롭게 회전할 수 있도록 스프링이 구비되어 있고, 상기 삽입부재(11)와 상기 발판(10)이 수직으로 결합되는 경우에는 상기 고정홈(22)에서 상기 삽입부재(11)가 분리되지 않게 된다.
그런 한편, 기수가 말에서 떨어지는 경우에 기수의 몸이 앞으로 쏠리거나 또는 뒤로 몸이 쏠리게 된다.
도3을 참조하면, 기수의 몸이 앞으로 쏠리는 경우에는 상기 발판(10)과 수직으로 결합되어 있던 상기 테두리부(10)가 앞쪽으로 급하게 쏠리면서 상기 고정홈(22)내부에 걸려서 결합되었던 후크 형상의 삽입부재(11)는 비스듬하게 화살표 방향과 같이 상기 고정홈(22)의 내벽과 분리된다.
또한, 기수의 몸이 뒤로 쏠리는 경우에는 상기 발판(10)과 수직으로 결합되어 있던 상기 테두리부(10)가 뒷쪽으로 급하게 쏠리면서 상기 고정홈(22)내부에 걸려서 결합되었던 후크 형상의 삽입부재(11)는 비스듬하게 화살표 방향과 같이 상대적으로 고정홈(22)의 내벽과의 결합이 풀리면서 분리된다.
또한, 상기 테두리부(10)와 상기 후크 형상의 삽입부재(11)는 스프링부재(12)를 매개로 연결되어 있다.
상기 스프링 부재(12)는 등자의 테두리부(10)와 발판(20)이 분리되었다가 다시 결합하여 재사용하는 경우에는 삽입부재(11)의 후크 형상을 한 말단이 다시 원래 형태로 복귀되도록 한다.
또한, 스프링 부재(12)로 인하여 상기 발판의 고정홈(22) 내부에 있는 삽입부재의 후크 형상 부분이 재결합시 고정홈 내부로 용이하게 삽입되어 고정될 수 있도록 전후로 움직일 수 있도록 한다.
상기 등자는 한 개의 구조로 이루어졌던 것을 낙마 사고가 발생하는 경우에는 등자 테두리부와 발판으로 기수가 넘어지는 순간에 저절로 분리할 수 있도록 하고 분리가 확실하게 되도록 나팔관 형상의 삽입홈과 후크형상의 삽입부재가 동시에 기능하게 되는 것이다.
이상에서 본 발명은 기재된 구체적인 실시예에 대해서만 상세히 설명되었만 본 발명의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수정이 가능함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함은 당연한 것이다.
도1은 본 발명에 따른 등자의 개략 단면도이다.
도2는 본 발명에 따른 등자의 개략적인 측면도이다.
도3은 본 발명에 따른 등자가 분리되는 모습을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테두리부 11 : 삽입부재
12 : 스프링부재 20 : 발판
22 : 고정홈 30 : 발판
16 : 스프링부재 17 : 고리부
20 : 등자연결부 30 : 연결부재

Claims (1)

  1. 말 안장에 연결되며 기수의 발을 수용하여 지지하는 등자에 있어서,
    상기 기수의 발을 지지하고, 가장자리 부분에 2 이상의 고정홈을 형성하는 발판;
    상기 발판 가장자리 부분과 양쪽 단부가 각각 결합되어 기수의 발을 둘러싸는 테두리부; 및
    상기 테두리부와 상기 말 안장을 연결하는 연결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발판과 결합되는 상기 테두리부의 단부에는 상기 가장자리 부분의 고정홈에 삽입되는 후크형상의 삽입부재가 마련되고, 상기 후크형상의 삽입부재가 자유롭게 회전할 수 있도록 상기 테두리부와 상기 후크형상의 삽입부재는 스프링부재를 매개로 연결되어 있고 상기 고정홈은 깊이 들어갈수록 그 직경이 점차로 커지는 나팔관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등자.
KR1020090041255A 2009-05-12 2009-05-12 등자 KR10109381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41255A KR101093814B1 (ko) 2009-05-12 2009-05-12 등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41255A KR101093814B1 (ko) 2009-05-12 2009-05-12 등자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22289A KR20100122289A (ko) 2010-11-22
KR101093814B1 true KR101093814B1 (ko) 2011-12-19

Family

ID=434072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41255A KR101093814B1 (ko) 2009-05-12 2009-05-12 등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9381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56651B1 (ko) * 2012-02-10 2014-02-03 김종일 안전등자
KR101956470B1 (ko) 2017-09-29 2019-03-08 이근효 개폐기능을 가지는 등자
FR3077565B1 (fr) 2018-02-02 2020-02-28 Philippe Maloigne Etrier de securite pour l'equitation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282827B1 (en) 1999-02-04 2001-09-04 Kenneth Holmes Picture frame and stand therefor
US20050076620A1 (en) * 2003-09-15 2005-04-14 Rolf Sjosward Safety stirrup with detachable elastic portion
US20050229552A1 (en) 2002-02-22 2005-10-20 Yann Dubourg Stirrup with automatic fixing
US20090260336A1 (en) 2007-04-26 2009-10-22 Robert Gottlieb Stirrup assembly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282827B1 (en) 1999-02-04 2001-09-04 Kenneth Holmes Picture frame and stand therefor
US20050229552A1 (en) 2002-02-22 2005-10-20 Yann Dubourg Stirrup with automatic fixing
US20050076620A1 (en) * 2003-09-15 2005-04-14 Rolf Sjosward Safety stirrup with detachable elastic portion
US20090260336A1 (en) 2007-04-26 2009-10-22 Robert Gottlieb Stirrup assembly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22289A (ko) 2010-11-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93814B1 (ko) 등자
ES2526692T1 (es) Sistema de rescate asistido
US3910015A (en) Stirrup
EP2985258B1 (en) Stirrup for horse-riding
KR101026509B1 (ko) 고리형 등자
US8850781B2 (en) Western safety stirrup
KR101356651B1 (ko) 안전등자
AU2015101976A4 (en) A stirrup
KR101093815B1 (ko) 등자
KR101026508B1 (ko) 스프링 등자
US9873473B2 (en) Cyclist power link
US3816974A (en) Releasable stirrup
JP3151519U (ja) 引張犬散歩ベルト
SE533625C2 (sv) Stigbygel för ridning och skodon för användning därmed
CN203402920U (zh) 防套镫马镫
EP3594177B1 (en) Stirrup comprising means for simple attachment of stirrup leather
DE29915316U1 (de) Lösbarer Sicherungssattel
ITPD20090340A1 (it) Sella biposto per moto e scooter con seggiolino per passeggero integrato
US10450188B2 (en) Safety lock for welding/mounting onto stirrups
SE539169C2 (sv) Mellanstycke för sammankoppling av stigbygel och stigläder på en ridsadel
FR3057175B1 (fr) Dispositif de securite pour supporter les barres d'obstacles pour chevaux
ES1128280U (es) Elemento de seguridad para estriberas de monturas de equitación.
US3555781A (en) Safety stirrup
JP2004512879A (ja)
AU2014100100A4 (en) A running rail post ground fixing connecto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