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93673B1 - 연약 지반 보강재 - Google Patents

연약 지반 보강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93673B1
KR101093673B1 KR1020090009550A KR20090009550A KR101093673B1 KR 101093673 B1 KR101093673 B1 KR 101093673B1 KR 1020090009550 A KR1020090009550 A KR 1020090009550A KR 20090009550 A KR20090009550 A KR 20090009550A KR 101093673 B1 KR101093673 B1 KR 10109367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ard
hard sheet
soft ground
reinforcement
sheet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095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90344A (ko
Inventor
윤윤모
조관영
이임락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대한아이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대한아이엠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대한아이엠
Priority to KR102009000955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93673B1/ko
Publication of KR2010009034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9034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9367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9367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3/00Improving or preserving soil or rock, e.g. preserving permafrost soil
    • E02D3/02Improving by compacting
    • E02D3/10Improving by compacting by watering, draining, de-aerating or blasting, e.g. by installing sand or wick drai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3/00Engineering works in connection with control or use of streams, rivers, coasts, or other marine sites; Sealings or joints for engineering works in general
    • E02B3/04Structures or apparatus for, or methods of, protecting banks, coasts, or harbours
    • E02B3/12Revetment of banks, dams, watercourses, or the like, e.g. the sea-floor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17/00Excavations; Bordering of excavations; Making embankments
    • E02D17/20Securing of slopes or inclin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7/00Foundations as substructures
    • E02D27/28Stressing the soil or the foundation structure while forming founda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aleontology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Soil Sciences (AREA)
  • Agronomy & Crop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it Excavations, Shoring, Fill Or Stabilisation Of Slop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표면에 대하여 수직 방향으로 구부러지는 유연성을 가지며 일방향으로 길게 연장된 길이를 갖는 복수의 경질 시트가 국부적으로 상호 결합되며, 결합된 경질 시트는 상호 복합적으로 망목 구조를 형성하여 경질 시트 간 결합 부위들 사이에 내부 공간을 형성하는 연약 지반 보강재로서, 상기 경질 시트에는 결합 부위를 포함하여 복수의 천공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약 지반 보강재를 제공한다. 상기 경질 시트에는 높이 방향 표면으로부터 만입된 슬릿이 형성되어 이 슬릿이 경질 시트 상호 간 결합 부위로 작용할 수 있다.
연약지반 보강재, 천공, 마찰력, 슬릿

Description

연약 지반 보강재{REINFORCEMENT FOR SOFT GROUND}
본 발명은 연약 지반 보강재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시공성과 생산성이 우수한 개선된 연약 지반 보강재를 제안한다.
사면, 호안은 강우와 유수에 의하여 침식 및 붕괴가 발생되기 쉬우며 연약지반은 구조물의 하중보다 기초지반의 지지력이 작아서 변형을 일으키는 지반이다. 이러한 사면 및 호안 제방을 축조할 경우 사면침식 및 붕괴가 발생하지 않도록 보강재를 설치하여야 하며, 연약 지반 위에 제방이나 도로를 시공할 경우에도 지반의 지지력을 증대시키고 지반의 침하가 일어나지 않도록 보강 구조물을 설치하여야 한다.
사면 및 호안의 친환경적 보호와 축대, 옹벽, 도로 기층 등의 기초재로 사용되는 보강재는 신축성이 뛰어나고 포장과 운반이 용이하면서 내하중성, 침식 억제력 등이 우수하며 초경량이어서 시공성이 우수할 뿐만 아니라 간단한 설비로 제작 가능하여 제조단가가 저렴한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사면 보호 및 연약지반용 보강재의 예로서 도 1을 참조하면, 고밀도 폴리에틸렌으로 제조되며 소정의 길이로 형성된 띠(110)가 복수로 겹쳐 이루어진 보강재(100)가 도시되어 있다. 복수의 띠는 일부분(114)에서 상호 융착에 의하여 결합되어 있으며, 전체 구조물을 띠의 융착부에 수직 방향으로 당기면 내부에 셀(cell) 형태의 빈 공간(120)이 있는 웹 구조를 형성한다.
상기 복수의 띠는 표면에 다수의 기공(112)이 형성되어 수분의 이동이나 식물의 뿌리 또는 줄기 등이 통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한다. 상기 띠(110)의 끝단의 결합부(116)는 다른 보강재 세트의 결합부와 클립 등의 결합 수단을 이용하여 연결되어 보다 큰 웹 구조의 보강재를 구성할 수 있다.
종래의 보강재의 경우,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띠(110) 표면에 형성된 복수의 기공(112)이 띠 간 결합부(114)가 형성된 영역(B)을 제외한 부분(A1, A2)에만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기공 형성 영역이 제한되는 이유는 띠 간 결합 부위의 강도를 높이기 위한 것이지만, 다음과 같은 문제를 안고 있다. 지반에 보강재가 매설된 이후에 보강재의 빈 공간(120)에는 자갈이나 토사 등이 배치되는데 결합부에는 기공이 형성되지 않아 지반 내부에서 물의 흐름이 방해되어 지반의 안정성을 떨어뜨린다. 또한, 기공이 형성되지 않은 결합부가 식물의 생장을 억제하여 환경 친화적이지 못한 단점이 있다.
또한, 결합 부위는 띠와 띠를 맞대어놓은 상태에서 융착 등의 방법으로 결합되기 때문에 한번 보강재를 제조한 이후에는 변형이나 재활용이 어려운 단점이 있고, 융착 공정이 요구되어 보강재 제조 과정이 복잡해질 뿐만 아니라 생산 단가를 절감시키기 어려운 문제가 있다.
뿐만 아니라, 종래의 연약지반 보강재는 생산시 고가의 설비가 필요하며 제조단가가 높은 반면, 접합강도가 낮으며 대형 및 소형의 사면보호용 보강재를 제조하기 위해서는 공장에서 크기에 맞게 다시 생산하거나 2개 이상의 보강재를 스터플러나 철끈 등으로 이어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특히, 종래의 보강재는 복수의 보강재 세트를 연속하여 대규모로 지반에 매설하는 경우 각 보강재 세트를 지반에 고정시키기 위해 많은 고정핀을 설치하여야 하는 부담이 있다. 이러한 이유는 복수의 띠를 인접하여 융착시킨 후 일방향으로 당김으로써 내부 셀이 마련된 망목 구조의 웹 보강재를 형성하게 되는데, 웹 구조를 구성하는 복수의 띠가 원래 상태로 회복하려는 복귀력에 의하여 보강재의 웹 구조를 유지시키기가 어렵기 때문이다. 이와 같은 특성은 시공 현장에서 보강재를 설치하는데 많은 인력과 장비를 요구하게 되며, 결국 시공 비용의 증가 및 시공 시간의 연장을 가져올 수밖에 없는 단점이 있다.
한편, 종래의 보강재는 내부에 복수의 공간이 마련된 웹 구조를 제공하는 반면 표면이 매끄럽기 때문에 토사나 작은 자갈 등이 미끄러지기 쉬우며 연약 지반을 보강하기에 충분한 마찰력을 제공하지 못하였다.
본 발명은 전술한 기술적 배경하에서 창안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조립 및 시공성이 우수하며 친환경적인 연약 지반 보강재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생산이 용이하고 제조 단가가 저렴한 연약 지반 보강재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하며 지반의 구성 요소에 충분한 마찰력을 부여하는 연약 지반 보강재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표면에 대하여 수직 방향으로 구부러지는 유연성을 가지며 일방향으로 길게 연장된 길이를 갖는 복수의 경질 시트가 국부적으로 상호 결합되며, 결합된 경질 시트는 상호 복합적으로 망목 구조를 형성하여 경질 시트 간 결합 부위들 사이에 내부 공간을 형성하는 연약 지반 보강재로서, 상기 경질 시트에는 결합 부위를 포함하여 복수의 천공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약 지반 보강재를 제공한다.
일실시예에서, 상기 경질 시트는 크기가 서로 다른 복수의 천공이 형성될 수 있으며, 또한 상호 간격이 서로 다른 복수의 천공이 형성될 수 있다. 경우에 따라, 상기 경질 시트에 형성된 천공은 시트 상부와 하부에서의 크기가 서로 다르게 형성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상기 경질 시트에 형성된 천공은 시트 간 결합 부위 및 비결합 부위에서의 크기가 서로 다르게 형성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 상기 경질 시트에 형성된 천공 주변에 시트 표면으로부터 연장되는 돌출부가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표면에 대하여 수직 방향으로 구부러지는 유연성을 가지며 일방향으로 길게 연장된 길이를 갖는 복수의 경질 시트가 국부적으로 상호 결합되며, 결합된 경질 시트는 상호 복합적으로 망목 구조를 형성하여 경질 시트 간 결합 부위들 사이에 내부 공간을 형성하는 연약 지반 보강재로서, 상기 경질 시트의 높이 방향 표면으로부터 만입된 슬릿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약 지반 보강재를 제공한다.
상기 슬릿은 경질 시트의 높이 방향 양 표면으로부터 만입되며 상호 소정 간격으로 이격되어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슬릿 주변으로 두껍게 형성된 보강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슬릿은 경질 시트 표면으로부터 내부로 폭이 감소하도록 경사지게 형성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연약 지반 보강재의 강도가 우수하면서도 토양수의 이동이나 식생의 성장이 용이하다. 또한, 보강재의 제조 생산성 및 시공성이 우수하며, 표면 마찰력이 향상되어 지반과의 결합력이 뛰어나다. 뿐만 아니라, 보강재 조립 및 해체가 용이하여 다양한 구조로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환경 친화적인 보강재 시공이 가능하며 시공 기간 및 비용 절감에 유리하다.
본 발명은 사면 보호 또는 연약 지반 보강용 구조물로서 소위 지오웹(geoweb) 구조물에 관련된다.
지오웹 공법은 지반의 지지력 향상을 위하여, 종래의 마찰력, 다공조직, 얽힘조직의 원리를 이용한 섬유나 망 형태의 토목섬유를 이용하는 것보다는 지반 보강재가 토양을 수용할 수 있는 복합구조체를 사용할 경우 월등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는 개념과 실험적 결과에 의해 얻어진 독특한 지반보강 시스템이다. 이러한 복 합 구조체는 폴리에틸렌 띠를 초음파 융착법에 의해 벌집 형태의 셀(Cell)형의 매트리스 형태로 개발된 바 있다.
본 발명은 기존의 지오웹이 갖고 있는 여러가지 단점을 보완하여 사면 보호 및 연약 지반 보강에 최적인 친환경적 구조물로 개발한 것으로 제조 생산성 및 시공성이 우수할 뿐만 아니라, 다양한 토목 현장에 최적으로 적용할 수 있는 새로운 보강재를 제안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연약 지반 보강재를 구성하는 경질 시트(210)보인 것으로, 상기 경질 시트에는 (경질 시트 간) 결합 부위를 포함하여 표면(S)에 전체적으로 복수의 천공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경질 시트는 일방향으로 길게 연장된 길이를 가지며, 표면(S)에 대하여 수직 방향으로 구부러지는 유연성을 가지는 반면, 길이 방향(L)과 높이 방향(H)으로는 휨이나 변형이 억제되도록 경질의 재질로 형성된다.
상기 경질 시트를 복수로 배치하고 경질 시트들을 국부적으로 상호 결합시킴으로써, 도 1에서와 유사하게 결합된 경질 시트들이 상호 복합적으로 망목 구조를 형성할 수 있다. 경질 시트 간의 국부적인 결합에는 융착에 의한 직접 결합이나 다른 결합 수단을 체결하는 간접 결합 등 다양한 방법이 이용될 수 있을 것이다.
도 3의 실시예에서 상기 경질 시트에 형성된 복수의 천공(212a, 212b, 212c)은 서로 크기와 간격이 다르게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은 천공의 배치는 연약 지반 보강재가 설치되었을 때 식생의 성장이 용이하여 환경 친화적인 사면 보호, 옹벽 구축, 기타 지반 설계가 가능하다.
그러나, 본 발명의 연약 지반 보강재에 있어서, 경질 시트에 형성된 천공의 크기 또는 간격이 균일하게 배치되는 것을 배제하지는 않는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경질 시트를 보인 것으로, 경질 시트(210) 표면에 형성된 복수의 천공(212)이 영역별로 상호 크기가 다르게 형성되어 있다. 이 실시예에서는 경질 시트의 결합 부위(Pa)에서의 천공의 크기가 다른 비결합 부위(Pb1, Pb2)에서의 천공들 보다 상대적으로 작게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은 천공의 배치는 경질 시트 표면에 전체적으로 천공을 형성하면서도 경질 시트의 결합 부위의 강도를 상대적으로 크게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경질 시트를 보인 것으로, 경질 시트(210) 표면에 형성된 복수의 천공이 상호 크기가 다르게 형성되어 있으며, 시트 상부의 천공(Ph1)이 하부의 천공(Ph2) 보다 작은 크기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볼 수 있다.
경질 시트가 지반에 매설되면 토양수 및 기타 수분의 이동이 경질 시트 하면에 집중될 수 있는데, 하부의 천공을 상대적으로 크게 함으로써 수분 이동을 원활하게 할 수 있다. 수분 이동이 막힘으로써 토양의 안정성이 저하되거나 식생의 성장이 방해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연약 지반 보강재용 경질 시트는 지반에 매설시 보강재 내부에 배치되는 토사나 자갈과의 결합을 향상시키고 매설 안정성을 증가시키기 위해서 마찰이 증가된 표면 구조를 포함할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경질 시트(210)에 형성된 천공(P) 주변에 시트 표면으로부 터 연장되는 돌출부(Ta)가 형성된 것을 볼 수 있다. 이 돌출부는 도 7의 확대도에서와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시트 표면으로 돌출된 원기둥 형태의 돌출 구조물일 수 있다. 이 경우 각각의 돌출부(Ta1, Ta2, Ta3)의 직경, 돌출된 길이는 상호 다르게 형성하여 경질 시트의 표면 마찰력을 더욱 크게 할 수 있을 것이다.
경질 시트 표면에 형성된 돌출 구조물의 다른 실시예를 도 8 및 도 9에 도시하였다. 앞선 도 6의 예에서와 달리 천공(P) 근처에 형성된 돌출부(Tb)의 구조가 반원형인 것을 알 수 있다. 각각의 돌출부(Tb1, Tb2)의 반경, 돌출된 길이는 상호 다르게 형성할 수 있다. 이 실시예의 경우, 경질 시트 표면에 형성하는 천공 형성 작업과 동시에 돌출 구조물을 형성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예를 들어, 원형의 천공을 형성하는 대신, 반원형의 천공을 형성하면서 천공된 시트 표면의 일부분을 시트 표면으로부터 이격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반원형 돌출부를 형성할 수 있을 것이다.
도 9a 및 9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경질 시트를 보인 것으로 돌출 구조물(Tc1, Tc2)이 경질 시트 표면으로부터 천공(P)의 외주 영역에 분포되어 있는 것을 볼 수 있다. 이 돌출 구조물은 경질 시트 표면에 다수의 천공(P)을 형성하면서 천공 과정에서 경질 시트가 국부적으로 파쇠되어 경질 시트 표면으로부터 이격적으로 돌출된 것이다.
이와 같은 돌출 구조물(Tc1, Tc2)은 경질 시트에 복수의 천공을 형성할 때 원추형 (또는 이와 유사한 다각뿔 형상의) 천공기로 경질 시트에 압력을 가함으로써 또는 열과 압력을 동시에 가함으로써 여러가지 다양한 형태로 형성할 수 있다. 천공과 동시에 돌출 구조물을 형성하기 때문에 생산성이 향상되고 제조비를 저감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 돌출 구조물(Tc1, Tc2)은 경질 시트의 양 표면에 고르게 분포하여 망목 구조의 보강재를 구성할 때 경질 시트의 일 표면 및 다른 면에서 균일한 마찰력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의 형태, 크기, 간격 등은 특별히 제한될 필요가 없을 것이다. 예를 들어, 천공을 육각 형태로 형성하는 경우 각 돌출부는 여섯 개의 삼각 조각이 상호 인접한 형태로 형성될 것이다.
본 발명은 연약 지반 보강재가 웹 형태의 망목 구조를 형성함에 있어서 기존의 융착에 의한 결합이나 별도의 결합 수단을 채용하는 것과 다른 방식을 제안한다.
도 10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연약 지반 보강재용 경질 시트(310)를 도시한 것이다. 앞선 실시예에서와 달리, 경질 시트의 높이 방향 표면으로부터 만입된 슬릿(Xa, Xb)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볼 수 있다.
상기 슬릿(Xa, Xb)은 경질 시트의 높이 방향 양 표면으로부터 만입되며 상호 소정 간격으로 이격되어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슬릿들은 경질 시트 간의 결합에 별도의 결합 부재를 사용하거나 추가적인 결합 공정을 요구하지 않은 채 직접 결합하는 것을 가능케 한다. 이로 인하여 연약 지반 보강재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제조 비용을 절감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지반에 보강재를 매설하는 작업의 편이성을 증대시킬 수 있다.
슬릿이 형성된 경질 시트들은 상호 끼움 방식으로 결합이 가능하여 하나의 거대한 망목 구조의 보강재를 구성할 수 있으며, 보강재 세트간의 결합 시에도 클립 등의 보조 결합 수단이 불필요하다. 또한, 결합 시트들을 상호 끼움 결합하여 망목 구조의 보강재를 구성한 후, 원상태로 회복하려는 복귀력이 작용하지 않아 보강재 시공시 고정핀이 불필요하다.
도 10의 실시예에서 천공(312)의 크기와 간격은 균일하게 형성되었으나, 이와 달리 앞선 실시예에서 보인 것처럼 크기 또는 간격을 불균일하게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11은 슬릿에 의하여 경질 시트가 상호 결합된 보강재를 보인 평면도로서, 경질 시트 결합 부위 사이의 내부 공간(320a)이 정방형으로 구성되어 있다. 각 경질 시트에 붙여진 숫자는 결합 순서의 일례를 보인 것으로, 결합 순서는 이와 달리 변경할 수 있다. 또한, 도 11은 예시적으로 총 6개의 경질 시트만을 결합하여 망목 구조를 형성한 것이나 실제로는 이 보다 많은 수의 경질 시트로 전체적인 보강재를 구성할 수 있다.
도 12는 슬릿에 의하여 경질 시트가 상호 결합된 보강재를 보인 다른 평면도로서, 경질 시트 결합 부위 사이의 내부 공간(320b)이 사변형으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러한 형태는 도 11의 보강재를 양방향에서 힘(F)을 가함으로써 전체적인 형태를 간단하게 변형시켜 형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연약 지반 보강재는 그 형상의 변형이 자유로울 뿐만 아니라, 일방향으로 회복하려는 복귀 성향이 존재하지 않아 보강재 매설 시 고정핀이 불필요하고 시공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다.
도 13은 결합된 경질 시트를 일방향으로 접어 내부 공간이 축소된 보강재(310')를 보인 것이다. 부피가 감소된 보강재는 운반 및 적재가 편리하여 경질 시트들이 상호 조립된 상태에서도 장거리로 이동시키기에 용이하다.
도 14는 경질 시트에 형성된 슬릿(X) 주변으로 두껍게 보강부(X')를 더 형성한 것을 보인 것이다. 슬릿은 경질 시트 간의 결합 및 분리가 빈번하게 발생될 수 있으므로 경질 시트의 다른 부분 보다 강도가 더 클 필요가 있으며, 보강부를 형성함으로써 경질 시트의 내구성을 증진시킬 수 있을 것이다.
도 15는 다른 실시예로서, 경질 시트에 형성된 슬릿(X)을 경질 시트 표면으로부터 내부로 폭이 감소하도록 θ의 각도로 경사지게 형성한 것을 보이고 있다. 슬릿의 형태를 폭이 좁아지도록 경사지게 형성함으로써 경질 시트 간 결합은 용이한 반면 쉽게 탈착되지 않도록 한 것이다. 또한, 경사진 슬릿의 끝단에는 경질 시트가 결합된 후 상호 고정될 수 있도록 경사진 슬릿의 폭 보다 크게 홈(Y)이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은 슬릿의 구조 변형을 통해 경질 시트 간 결합 시 시공자는 누름 작용에 의하여 결합감을 느낄 수 있어 경질 시트 간의 조립이 매우 용이하며, 결합된 경질 시트 간의 분리가 억제되어 전체적인 보강재의 결합 강도를 강하고 균일하게 유지시킬 수 있을 것이다.
도 16은 본 발명에 따른 연약 지반 보강재에 있어서, 경질 시트 상호간의 결합 방법의 일례를 도시한 것이다. 인접하는 경질 시트(210a, 210b)의 소정 위치에 두 시트가 결합되도록 연결핀(250)이 끼움 결합되어 있다. 이 연결핀은 예를 들어, 탄성을 갖는 고강도 플라스틱이나 철, 알루미늄 등의 금속 또는 합금 재질로 제조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예시적으로 제시한 연결핀은 단순히 클립 형태의 구조 뿐만 아니라 경질 시트의 표면 전체를 감아서 고정하는 연결끈 또는 기타 다양하게 변형된 고리 형태의 연결 수단을 포괄한다.
연결핀을 사용하여 복수의 경질 시트 간 이음부를 결합시키는 방식은 연약 지반 보강재에서 망목 구조를 형성함에 있어서 시공상의 많은 이점을 줄 수 있다. 예를 들어, 작업 현장에서 연약 지반 보강재의 망목 구조 내부 공간을 지반의 상태에 따라 다양하게 변경시킬 수 있다. 또한, 경질 시트간 결합이 용이하여 전체적인 보강재의 시공성 및 현장 적용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으며, 경질 시트 간 탈부착이 용이하기 때문에 보강재에서 부분적으로 경질 시트가 파손되는 경우에도 국부적인 보수가 가능하여 보강재 유지 보수에 매우 효과적이다. 뿐만 아니라, 시공된 경질 시트를 재활용하여 다른 형태의 보강재 구조로 변형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도 17은 연결핀(250)을 사용하여 망목 구조의 보강재를 시공한 상태를 보인 것으로, 경질 시트(210)는 연결핀에 의하여 균일하거나 혹은 다양한 크기를 갖는 내부 공간(220)이 형성되어 자연 친화적인 보강 구조를 형성시킬 수 있을 것이다.
이상에서 바람직한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예시적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와 같은 특정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에서 제시한 기술적 사상, 구체적으로는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범주 내에서 다양한 형태로 수정, 변경, 또는 개선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사면 보호용 보강재를 보인 사시도.
도 2는 도 2의 보강재의 일부분을 보인 확대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연약 지반 보강재를 구성하는 경질 시트를 보인 정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연약 지반 보강재를 구성하는 경질 시트를 보인 정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연약 지반 보강재를 구성하는 경질 시트를 보인 정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연약 지반 보강재를 구성하는 경질 시트를 보인 정면도.
도 7은 도 6의 실시예에 따른 경질 시트의 부분 확대 사시도.
도 8a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연약 지반 보강재를 구성하는 경질 시트를 보인 정면도.
도 8b는 도 8a의 실시예에 따른 경질 시트의 부분 확대 사시도.
도 9a 및 9b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연약 지반 보강재를 구성하는 경질 시트를 보인 정면도 및 평면도.
도 1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연약 지반 보강재를 구성하는 경질 시트를 보인 정면도.
도 11은 도 10의 경질 시트가 결합된 보강재를 보인 평면도.
도 12는 도 10의 경질 시트가 결합된 보강재를 보인 다른 평면도.
도 13은 도 10의 경질 시트가 결합된 보강재를 보인 또 다른 평면도.
도 14는 도 10의 경질 시트의 변형된 예를 보인 확대도.
도 15는 도 10의 경질 시트의 변형된 다른 예를 보인 확대도.
도 16은 본 발명에 따른 연약 지반 보강재에서 연결핀으로 이음부를 결합한 모습을 보인 사시도.
도 17은 연결핀으로 결합된 망목 구조의 보강재 모습을 보인 평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210:경질 시트 212:천공
P:천공 Ta,Tb:돌출부
Xa,Xb:슬릿

Claims (17)

  1. 표면에 대하여 수직 방향으로 구부러지는 유연성을 가지며 일방향으로 길게 연장된 길이를 갖는 복수의 경질 시트가 국부적으로 상호 결합되며, 결합된 경질 시트는 상호 복합적으로 망목 구조를 형성하여 경질 시트 간 결합 부위들 사이에 내부 공간을 형성하는 연약 지반 보강재로서,
    상기 경질 시트에는 결합 부위를 포함하여 복수의 천공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천공 주변으로 경질 시트 표면에 천공 과정에서 경질 시트가 국부적으로 파쇠되어 경질 시트 표면으로부터 이격되어 돌출된 돌출부를 포함하며,
    상기 경질 시트의 높이 방향 표면으로부터 만입된 슬릿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특징으로 하는 연약 지반 보강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경질 시트는 크기가 서로 다른 복수의 천공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약 지반 보강재.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경질 시트는 상호 간격이 서로 다른 복수의 천공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약 지반 보강재.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경질 시트에 형성된 천공은 시트 상부와 하부에서의 크기가 서로 다르게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약 지반 보강재.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경질 시트에 형성된 천공은 시트 간 결합 부위 및 비결합 부위에서의 크기가 서로 다르게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약 지반 보강재.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13. 삭제
  14. 삭제
  15. 삭제
  16. 삭제
  17. 표면에 대하여 수직 방향으로 구부러지는 유연성을 가지며 일방향으로 길게 연장된 길이를 갖는 복수의 경질 시트가 국부적으로 상호 결합되며, 결합된 경질 시트는 상호 복합적으로 망목 구조를 형성하여 경질 시트 간 결합 부위들 사이에 내부 공간을 형성하는 연약 지반 보강재로서,
    상기 경질 시트에는 결합 부위를 포함하여 복수의 천공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천공 주변으로 경질 시트 표면에 천공 과정에서 경질 시트가 국부적으로 파쇠되어 경질 시트 표면으로부터 이격되어 돌출된 돌출부를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경질 시트는 복수의 연결핀으로 상호 국부적으로 결합되어 상호 복합적으로 망목 구조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약 지반 보강재.
KR1020090009550A 2009-02-06 2009-02-06 연약 지반 보강재 KR10109367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09550A KR101093673B1 (ko) 2009-02-06 2009-02-06 연약 지반 보강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09550A KR101093673B1 (ko) 2009-02-06 2009-02-06 연약 지반 보강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90344A KR20100090344A (ko) 2010-08-16
KR101093673B1 true KR101093673B1 (ko) 2011-12-15

Family

ID=427559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09550A KR101093673B1 (ko) 2009-02-06 2009-02-06 연약 지반 보강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93673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87092B1 (ko) 2021-10-28 2023-01-18 주식회사 퍼즐기초 지반 보강재 및 이를 이용한 지반 보강방법
KR102688653B1 (ko) 2024-03-12 2024-07-26 주식회사 퍼즐이앤씨 연약 지반 보강용 개량형 혼합 골재 및 이의 제조 방법, 그리고 이를 이용한 연약 지반 개량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11312B1 (ko) * 2019-12-16 2021-10-08 전한용 마찰력 조절이 가능한 시이트형 지오그리드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34784B1 (ko) * 2007-12-20 2008-06-10 주식회사 골든포우 토립자 구속 벌집형 보강재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34784B1 (ko) * 2007-12-20 2008-06-10 주식회사 골든포우 토립자 구속 벌집형 보강재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87092B1 (ko) 2021-10-28 2023-01-18 주식회사 퍼즐기초 지반 보강재 및 이를 이용한 지반 보강방법
KR102688653B1 (ko) 2024-03-12 2024-07-26 주식회사 퍼즐이앤씨 연약 지반 보강용 개량형 혼합 골재 및 이의 제조 방법, 그리고 이를 이용한 연약 지반 개량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90344A (ko) 2010-08-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217064B1 (en) Reinforcement of arch type structure with beveled/skewed ends
RU2567578C2 (ru) Сооружение из армированного грунта
KR101093673B1 (ko) 연약 지반 보강재
JP2023503648A (ja) 伸縮型有孔管
JP2008144440A (ja) 土留め構造体及び土留め施工方法
KR101847002B1 (ko) 내부강관으로 보강되도록 제작된 phc파일 및 그 시공방법
JP2017179963A (ja) ジオグリッド・ハニカム擁壁
KR20060110973A (ko) 파형강판과 이의 결합구조체
KR101314764B1 (ko) 파형강판을 이용한 옹벽 및 그 시공방법
CA2531547C (en) Reinforcement for arch type structure with beveled/skewed ends
KR20090039258A (ko) 보강토옹벽 그린블록 및 지지구조
JP3853304B2 (ja) 補強土構造物
JP2006063563A (ja) 補強土構造物
JP4109607B2 (ja) 壁体および壁体構造物
KR101284514B1 (ko) 에이치형강의 플랜지 좌굴 방지를 위한 스티프너
KR20160014436A (ko) 하천호안 및 법면보호용 매트리스 및 이의 시공방법
KR100424040B1 (ko) 고강도 나선관
KR101034517B1 (ko) 결속부재가 구비된 합성수지 코로게이트관
KR200394047Y1 (ko) 파형강판과 이의 결합구조체
KR200381763Y1 (ko) 상.하수관 보수 연결용 슬리브 구조
KR101407503B1 (ko) 지반보강재 및 이를 구비하는 옹벽구조물
JP2007063790A (ja) 盛土補強構造
JP5827138B2 (ja) 道路の補強構造及び補強方法
JP3616970B2 (ja) 面状排水材の接続構造
CN218757835U (zh) 一种可焊接高强度支撑过滤凹凸排水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1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1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06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