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91976B1 - 탈부착 스티커 - Google Patents

탈부착 스티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91976B1
KR101091976B1 KR1020090125246A KR20090125246A KR101091976B1 KR 101091976 B1 KR101091976 B1 KR 101091976B1 KR 1020090125246 A KR1020090125246 A KR 1020090125246A KR 20090125246 A KR20090125246 A KR 20090125246A KR 101091976 B1 KR101091976 B1 KR 10109197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dhesive layer
decorative
film
laminating
lay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1252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68345A (ko
Inventor
박윤수
황정호
염효상
Original Assignee
박윤수
염효상
황정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윤수, 염효상, 황정호 filed Critical 박윤수
Priority to KR102009012524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91976B1/ko
Priority to CN2010101776863A priority patent/CN102101369B/zh
Publication of KR2011006834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6834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9197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9197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3/00Labels, tag tickets, or similar identification or indication means; Seals; Postage or like stamps
    • G09F3/02Forms or construc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12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next to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7/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on between layer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ve orientation of features between layers, or by the relative values of a measurable parameter between layers, i.e. products comprising layers having different 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04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12Interconnection of layers using interposed adhesives or interposed materials with bonding propertie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3/00Labels, tag tickets, or similar identification or indication means; Seals; Postage or like stamps
    • G09F3/08Fastening or securing by means not forming part of the material of the label itself
    • G09F3/10Fastening or securing by means not forming part of the material of the label itself by an adhesive layer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9/00Screening of apparatus or components against electric or magnetic fields
    • H05K9/0073Shielding material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3/00Labels, tag tickets, or similar identification or indication means; Seals; Postage or like stamps
    • G09F3/02Forms or constructions
    • G09F2003/0255Forms or constructions laminat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Laminated Bodies (AREA)
  • Adhesive Tap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여러 가지 목적으로 사용되는 탈부착 가능한 스티커에 관한 것으로 사용 장소에 탈부착하기 위한 착탈층; 상기 착탈층 위에 결합된 베이스 필름; 상기 베이스 필름 위에 접착층를 통하여 결합된 폼시트; 및 상기 폼시트 위에 접착층를 통하여 결합된 장식시트로 된 적층 스티커를 제공한다.
이러한 적층 장식 스티커는 부착하였을 때는 장식 효과 또는 전자기기에 전자파 흡수 효과를 가질 수 있고 사용 시에 탈착하여 청소를 수행 할 수 있다. 이러한 장식 스티커는 전자기기 뿐만 아니라 유리창 또는 벽 또는 광고판의 표시용으로 사용될 수도 있다.
탈부착, 스티커, 와이핑, 착탈층

Description

탈부착 스티커{attachable and removable sticker}
본 발명은 여러가지 목적으로 사용되는 탈부착 가능한 스티커, 특히 휴대용 전자기기 특히 휴대폰과 스마트 폰과 같은 휴대용 통신기기에 사용되고 다양한 기능을 가지는 탈부착 가능한 스티커에 관한 것이다.
현대생활에서 PMP, MP3, 넷북, PDA폰, 테블렛 PC, 스마트 폰, 핸드폰 등과 같이 디스플레이 기능, 통신기능 및/또는 컴퓨팅 기능을 가진 다양한 휴대용 전자기기가 사용된다. 이러한 기기에는 전자파 차폐, 디스플레이 화면을 비롯한 기기 외부 청소를 하기 위한 기능을 부여하거나 또는 소지자의 개인의 취미에 맞추어 장식을 하기 위한 다양한 스티커 용품이 널리 사용되고 있다.
전자기기 특히 핸드폰과 같은 휴대형 전자기기에 스티커처럼 부쳐 사용할 수 있는 시트 소위 와이핑 시트가 사용되고 있다. 일본 실용신안 제 3108270호에는 초극세 섬유천과 점착성 아크릴계 폴리머 시트를 적층한 와이핑 시트가 제안되어 있고 일본특허공보 제 3663203호에는 기재 수지 필름 면의 일면에 시트 상 물질과 타면에 착탈 기능층이 적층된 시트를 개시하고 있다. 또한 일본 특허공개 2007151950호에는 표면 기공을 갖는 저발포 플라스틱 기재 위에 양면 접착 테이프 를 통하여 부착된 초극세사 천으로 된 와이핑 시트를 개시하고 있다. 그러나 일본 실용신안 제 3108270호에 개시된 와이핑 시트는 약한 강도의 기재 위에 천을 적층한 것으로 강도가 약하여 형태를 계속하여 유지하기 어렵다. 반면에 일본특허공보 제 3663203호의 와이핑 시트는 기재 필름의 유연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특허공개 2007151950호의 와이핑 시트는 미세포 표면기공을 이용하여 탈착기능을 부여함으로 비교적 평탄면에만 부착할 수 있고 부착강도가 약한 문제가 있다. 또한 기재의 선정에 제한이 있다.
본 발명은 휴대용 전자기기에 탈부착할 수 있는 와이핑, 장식 및/또는 전자파 흡수 기능을 가진 스티커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양면 장식 기능을 가진 탈부착할 수 있는 장식 스티커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여, 사용 장소에 탈부착하기 위한 착탈층; 상기 착탈층 위에 결합된 베이스 필름; 상기 베이스 필름 위에 접착제를 통하여 결합된 폼시트; 및 상기 폼시트 위에 접착제를 통하여 결합된 장식시트로 된 적층 스티커가 제공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여, 이형 처리가 된 기재 위에 2-에틸헥실 아크릴레이트 + 저급 알킬아크릴레이트의 공중합 올리고머와 광개시제 조성물로 일정 두께로 코팅하고 UV램프(27)로 광조사하여 착탈층을 형성하는 단계; PET 필름을 상기 착탈층과 합지 시키는 단계; 이형처리된 종이 위에 우레탄 또는 아크릴 접착제로 제1 접착층을 형성시키는 단계; 상기 베이스 PET 필름의 코팅이 안 된 면과 상기 제1 접착층을 합지 시키는 단계; 상기 베이스 PET 필름에 합지된 제1 접착층의 이형지를 떼어 내고 폼시트와 합지 시키는 단계; 이형처리된 종이 위에 우레탄 또는 아크릴 접착제로 제2 접착층을 형성시키는 단계; 장식필름이나 장식 극세사 천과 상기 제2 접착층을 합지 시키는 단계; 및 상기 제2 접착층이 전사된 장식필름이나 장식 천에서 이형지를 떼어내고 상기 폼시트와 합지시키는 단계; 를 포함하는 장식 필름 또 는 극세사 장식 천, 제2 접착층, 폼시트, 제1 접착층, PET 베이스 필름과 착탈층으로 이루어지는 다기능 적층 스티커를 제조하는 방법이 제공된다. 합지 순서는 경우에 따라서 다양하게 조합할 수 있다.
상기 장식시트는 섬유 또는 초극세사 섬유로 된 천 또는 부직포로 통신기기의 청소기능을 가질 수 있다. 또는 상기 베이스 필름 및/또는 장식시트는 장식 또는 홀로그램 등의 표시기능을 갖는 수지 필름일 수 있다.
상기 베이스 필름은 스티커의 기재로서 특별히 제한되지는 않지만 바람직하게는 폴리에스테르 필름이다. 상기 폴리에스테르 필름은 투명도, 강도, 제조의 용이성으로 널리 사용되고 특히 PET(폴리에틸테레프탈레이트) 소재는 다양한 두께의 시트가 시장에서 구득 가능하다. 상기 폴리에스테르 베이스 필름에 스티커의 성능을 표시하는 홀로그램을 인쇄할 수 있다. 유리 같은 기재에 부착하여 양면을 표시하거나 부착 시에는 보이지 않지만 유통 중에 보이므로 스티커의 용도와 품질을 알리는 데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폴리에스테르 시트의 두께는 바람직하게는 12 내지 36 미크론이다. 시트의 두께가 12 미크론 이하면 적층 시트의 강도가 약하고 합지 중에 주름이 생길 수가 있다. 너무 두꺼우면 공정이 어렵고 적층 시트의 유연성이 떨어진다.
상기 착탈층은 2-에틸헥실 아크릴레이트를 주제로 하는 공중합 올리고머를 유화중합 또는 광중합하여 제조한다. 이러한 착탈층은 상기 베이스 필름 위에 올리고머와 광개시제 조성물을 도포한 후에 광조사하여 직접 형성할 수도 있으나 이형처리가 된 시트에 일차로 코팅한 후 베이스 필름에 전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러한 착탈층은 바람직하게는 2-에틸헥실 아크릴레이트(2-ethylhexyl acrylate; 2-EHA) 50 내지 95 중량부와 저급알킬 아트릴레이트 예를 들면, n-부틸 아크릴레이트(n-butyl acrylate; n-BA) 5 내지 50 중량부를 함유하는 아크릴 공중합체 올리고머; 와 상기 아크릴 공중합체 올리고머를 기준으로 0.05 내지 2 중량부의 광개시제를 포함하는 조성물을 이형 처리가 된 종이 위에 도포한 뒤에 UV를 조사하여 제조한다. 상기 아크릴 공중합체 올리고머는 10 중량부 이하의 아크릴산(acrylic acid; AA) 단량체를 더 함유할 수 있다. 상기 조성물은 소량의 점착 부여제, 예를 들면, 로진 또는 테르펜 10 중량% 이하의 범위에서 더 함유할 수 있다.
상기 폼시트는 스티커의 질감과 미감을 증가시키고 스티커가 와이핑시트로 기능할 때 스키커에 적절한 탄력성을 부여하여 사용을 용이하게 한다. 이러한 폼시트는 다양한 발포시트가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폴리에틸렌 폼 시트, EVA 폼시트, 폴리우레탄 폼 시트 또는 아크릴 폼 시트 등이다.
상기 장식시트는 섬유 바람직하게는 극세사 섬유를 사용한 천 또는 부직포를 사용한다. 극세사를 사용하는 멜트블로운 플리프로필렌 부직포가 극세사 부직포의 한 예이다. 이러한 장식시트는 외부에 드러나기 때문에 여러 가지 장식효과를 주는 인쇄가 가능하다. 와이핑 기능이 없이 단순히 식별이나 장식의 목적으로 PET 홀로그램 시트를 사용할 수 있다.
베이스 필름, 폼시트와 장식시트 사이에 사용하는 접착층은 아크릴 계 접착제 또는 우레탄 계 접착제가 널리 사용된다. 전체 적층 시트의 변형을 줄이기 위해서 접착제의 적용은 직접 기재에 코팅하는 것보다 실리콘과 같은 이형처리가 된 종 이 또는 플라스틱 시트 상에 접착층을 형성하고 베이스 필름 또는 폼시트와 합지하여야 정밀한 두께와 규격을 갖춘 접착층을 얻을 수 있다.
상기 폼시트는 전자파 흡수용 분말, 즉 카본성 분말, 금속 또는 페로실리콘, 페로 망간과 같은 금속 합금 분말을 혼입하여 발포함으로써 전자파 차단이나 흡수 효과를 부여할 수 있다. 경우에 따라서 장식시트를 접착하기 위한 상기 접착층에 전자파 흡수용 분말을 1 내지 5 중량%의 양으로 혼입하여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아크릴 계 접착제는 아크릴 공중합체와 용제로 구성된다. 필요에 따라 중합성 단량체와 올리고머와 개시제를 더 포함하여 열적 또는 광조사 환경에서 더 경화시킬 수 있다. 에텔렌계 카르본산 단량체 부분이 0∼10중량부이고 점도가 500∼50,000 센티포아즈인 하나 이상의 아크릴 에스테르 단량체 + 에틸렌계 카르본산 단량체의 아크릴 공중합체를 주성분으로 한다. 아크릴 공중합체에 사용되는 아크릴 에스테르 단량체로는 메틸아크릴레이트, 메틸메타크릴레이트, 에틸아크릴레이트, 에틸메타크릴레이트, 부틸아크릴레이트, 디메틸푸말레이트, 디에틸푸말레이트, 디메틸말레이트, 디메틸이타코네이트, 모노메틸푸말레이트, 모노에틸푸말레이트, 2-에틸헥실아크릴레이트 등이 있다. 바람직하게는 메틸아크릴레이트, 메틸메타크릴레이트, 에틸아크릴레이트 또는 에틸메타크릴레이트이고 가장 바람직하게는 에틸메타크릴레이트이다. 에틸렌계 불포화 카르본산 단량체로서는 아크릴산, 메타크릴산, 크로톤산, 말레인산, 푸말산, 이타콘산 등을 들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아크릴산이다. 아크릴산이 공중합 올리고머에서 바람직하게는 1 내지 6 중량부 사용된다. 필요에 따라 에틸렌 계 단량체와 개시제를 더 포함하여 더 경화 시킬 수 있다. 광개시제는 예를 들면, 벤조페논, 클로로아세토페논, 디에톡시아세토페논, 하이드록시아세톤페논, 1-하이드록시 사이클로헥실페닐케톤, 벤조인에테르, 벤질디메틸케탈, 티옥산토온 또는 이들의 혼합물이다. 바람직하게는 1-하이드록시 사이클로헥실페닐케톤 0.3 내지 1 중량부이다.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폴리우레탄 접착제는 여러가지 포물레이션으로 준비될 수 있다. 하나의 예로서 폴리우레탄 프리폴리머를 주성분으로 하여 소량의 보호된 디이소시아네이트를 첨가하여 상온 건조 조건에서는 용매의 증발에 의하여 가경화되고 가열 해리 반응에 의하여 보호된 이소시아네이트가 활성화되어 우레탄 반응에 의하여 경화된다. 디이소시아네이트 보호제로는 페놀, 페놀 유도체, 옥심, 락탐, 디알킬말로네이트, 피라졸 유도체, 트리아졸과 이미다졸 등이 있다.
다른 방식으로는 폴리우레탄 프리폴리머를 주성분으로 하고 우레탄 프리폴리머디아크릴레이트를 첨가하고 가교 성분을 소량 첨가하여 가교반응을 일으켜 열경화시킬 수 있다. 이 때 가교 성분으로는 친핵성 열반응성 가교 성분과 친전자성 열반응성 가교성분이 사용된다. 친핵성 열반응성 가교 성분으로의 히드록시 알킬기를 함유하는 단량체는 2-히드록시에틸아크릴레이트, 2-히드록시메틸메타크릴레이트, 히드록시프로필아크릴레이트, 히드록시프로필메타크릴레이트, 히드록시부틸아크릴레이트, 히드록시부틸메타크릴레이트, 3-클로로-2-히드록시프로필메타크릴레이트와 2-히드록시-3-페녹시프로필아크릴레이트 등이 사용될 수 있으며, 에틸렌계 아마이드와 에틸렌계 아민으로는 아크릴아미드, 메타크릴아미드, N-메틸롤아크릴아미드, N-메틸올메타크릴아미드, N,N-디메틸아크릴아미드와 대응하는 이들의 아민이 사용 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아크릴아마이드 0.1 내지 3 중량부를 사용한다. 또한 친전자성 열반응성 가교성분으로 글리시딜화합물로는 글리시딜아크릴레이트, 글리시딜메타크릴레이트, 메틸글리시딜아크릴레이트, 알릴글리시딜에테르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친전자성 알킬, 아릴 또는 아랄킬 퍼옥시드로는 3급부틸퍼옥시벤조에이트, 디-ter-부틸퍼옥시드, 라우릴퍼옥시드, 벤조익퍼옥시드등이 사용된다.또한 말레산 무수물도 사용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글리시딜메타크릴레이트 0.1내지 3 중량부가 사용된다.
또 다른 방식으로는 폴리우레탄 프리폴리머를 주성분으로 하고 개시제와 아크릴레이트를 첨가하여 우레탄계 접착제를 배합할 수 있다. 아크릴레이트로는 모노아크릴레이트 및/또는 디아크릴레이트가 사용된다. 디아크릴레이트 화합물로는 예를 들면, 우레탄 프리폴리머 디아크릴레이트, 1,6-헥산디올디아크릴레이트, 1,6-헥산디올에톡실화디아크릴레이트, 1,4-부탄디올디아크릴레이트, 테트라에틸렌디아크릴레이트, 히드록시피발산네오펜틸글리콜디아크릴레이트, 트리프로필렌글리콜디아크릴레이트, 디프로필렌글리콜디아크릴레이트, 폴리에틸렌글리콜디아크릴레이트, 폴리에틸렌글리콜디아크릴레이트, 비스페놀A에톡실화디아크릴레이트, 트리메틸롤프로판트리알킬레이트, 글리세린프로폭실화트리아크릴레이트, 펜타에리트리톨트리아크릴레이트, 디펜타에리트리톨펜타아크릴레이트 또는 디(펜타에리트리톨헥사아크릴레이트) 등이 있다. 모노아크릴레이트 화합물로는 예를 들면, 이소보닐아크릴레이트, 이소보닐메타크릴레이트, 2-히드록시에틸메타크릴레이트, 2-히드록시에틸아크릴레이트, 메타아크릴산, 아크릴산, 메틸메타크릴레이트, 메틸아크릴레이트 또는 에틸렌글리콜디메타크릴레이트, 트리에틸렌글리콜디메타크릴레이트 등이다. 개시제로는 분해온도가 비교적 높은 R-N=N-R' 구조식의 아조화합물이 사용된다.
이러한 아크릴 접착제 또는 우레탄 접착제의 고형물은 용제에 의하여 2배 이상 희석된다. 흔히 사용되는 용제로는 BTX 용제와 케톤류, 예를 들면, MIBK와 MEK 등이 사용된다. 이러한 우레탄 접착제는 롤코팅 또는 콤마 코팅에 의하여 바람직하게는 20㎛ 내지 150㎛의 범위의 두께로 일정하게 피복된다. 이형처리된 종이에 피복된 접착제는 전사에 사용되기 전에 40 내지 70℃ 범위에서 조정되는 항온 체임버 내에서 열풍 건조된다. 이러한 열풍건조는 바람직하게는 1분 내지 수 분 동안 이루어진다.
본 발명에 의한 탈부착할 수 있는 장식 스티커는 부착하였을 때는 장식 효과 또는 는 전자기기에 전자파 흡수 효과를 가질 수 있고 사용 시에 탈착하여 청소를 수행 할 수 있다. 이러한 장식 스티커는 전자기기 뿐만 아니라 유리창 또는 벽 또는 광고판의 표시용으로 사용될 수도 있다.
도면에 의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이러한 설명은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으로 이에 의하여 본 발명의 보호범위가 제한되지 않는다. 실리콘 등 이형 처리가 된 와인더(11)의 종이 기재 위에 2-에틸헥실 아크릴레이트 + 저급 알킬아크릴레이트의 공중합 올리고머와 광개시제 조성물로 롤코터(21)와 닥터 나이프(26)을 이용하여 일정 두께로 코팅하고 UV램프(27)로 광조사하여 착탈층을 형성 하고 와인더(12)의 12 미크론에서 36미크론의 PET 필름을 상기 착탈층과 합지롤(31)로 합지 시킨다. 합지 후 숙성로(40)에서 40도 에서 70도 사이에서 6시간 숙성시킨다. 착탈층의 두께는 60미크론에서 100미크론 정도의 법위에서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EVA 폼시트에 상기 제조된 착탈층을 합지하기 전에 우선 아크릴공중합체와 에틸아세테이트와 용제를 3;1:6으로 배합 비로 와인더(13)의 이형처리된 종이 위에 롤코터(22)과 닥터 나이프(26)을 이용하여 40미크론을 도포한 뒤 건조로(41)에서 80도에서 90도 사이에 열건조하여 접착층을 형성한다. 이때의 건조속도는 분당 15m 이하에서 이루어지게 한다. 용제 건조가 되어 나온 전사종이의 접착층과 상기 베이스 PET 필름 코팅이 안된 면을 40도 정도의 열을 가하며 합지롤(33)를 이용해 합지를 한다. 상기 접착층에서 이형지를 떼어내고 EVA 폼시트를 합지한다.
와인더(17)의 이형처리된 종이 기재 위에 상기 접착층 형성과 동일하게 하되 배합비를 아크릴 공중합체와 에틸아세테이트와 용제를 3:1:6으로 하고 이들 배합을 100중량%로 잡고 페로망간 파우더 3중량%를 더 첨가한다. 와인더(18)의 홀로그램이 인쇄된 PET 장식필름이나 장식 극세사 천과 합지롤(35)를 통하여 합지한다.
와인더(19)의 상기 접착층이 전사된 장식필름이나 장식 천을 이형지를 떼어내고 와인더(16)의 상기 착탈층이 합지된 EVA 폼시트를 최종적으로 합지한다. 전체 합지 공정이 끝난 적층시트를 숙성로(45)에서 40도에서 60도 사이에서 12시간 정도를 숙성시켜 적층시트를 완성한다. 상기 적층시트를 냉각롤(37)로 상온으로 냉각한 후에 와인더(20)에 감는다. 와인더(20)의 최종 적층시트를 개별 스티커로 절단하여 최종제품으로 수득한다. 도2에 보이는 바와 같이 절단된 적층 스티커는 위로부터 극세사 장식 천(1) + 전자파 흡수 파우더 함유 접착층(2) + EVA 폼시트(3) + 접착층(4) + PET 베이스 필름(5) + 착탈층(6) + 이형지(7)로 이루어진다.
도1은 본 발명의 캘린더링 공정을 보여주는 개략도.
도2는 본 발명의 적층 스티커의 단면도
*주요도면부호의 설명
1; 극세사 장식 천 2; 전자파 흡수 파우더 함유 접착층
3; EVA 폼시트 4; 접착층
5; PET 베이스 필름 6; 착탈층
7; 이형지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와인더
21, 22, 23, 24; 롤코터 26;닥터나이프
31, 33, 34, 35, 36; 합지롤 25, 28, 29, 30; 구동롤
37; 냉각롤 38; 가이드롤
40, 41, 44, 45; 건조 또는 가열로

Claims (10)

  1. 사용 장소에 탈부착하기 위한 착탈층; 상기 착탈층 위에 결합된 베이스 필름; 상기 베이스 필름 위에 접착층를 통하여 결합된 폼시트; 및 상기 폼시트 위에 접착층를 통하여 결합된 장식시트로 된 적층 스티커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착탈층은 2-에틸헥실 아크릴레이트 50 내지 95 중량부와 저급 알킬 아크릴레이트 5 내지 50 중량부를 함유하는 아크릴 공중합체 올리고머; 와 상기 아크릴 공중합체 올리고머를 기준으로 0.05 내지 2 중량부의 광개시제로 이루어지는 조성물을 이형 처리가 된 종이 위에 도포한 뒤에 UV를 조사하여 제조하는 적층 스티커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장식시트는 섬유 또는 초극세사 섬유로 된 천 또는 부직포이고 상기 적층 스티커는 청소기능을 가진 적층 스티커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필름은 홀로그램이 인쇄된 PET 필름인 적층 스티커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장식시트는 홀로그램이 인쇄된 PET 필름인 적층 스티커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필름은 12 내지 36 미크론의 PET 필름인 적층 스티커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층은 아크릴 접착제 또는 폴리우레탄 접착제를 이형처리된 종이에 형성한 뒤에 합지되어 도입되는 적층 스티커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장식시트를 상기 폼시트에 접착하여 고정하기 위한 상기 접착층은 아크릴 에스테르 단량체와 에틸렌계 카르본산 단량체의 아크릴 공중합체를 주성분으로 하고 전체 접착층에 대하여 전자파 흡수 파우더 1 내지 5 중량%의 양을 혼입한 적층 스티커
  9. 이형 처리가 된 기재 위에 2-에틸헥실 아크릴레이트와 저급 알킬아크릴레이트의 공중합 올리고머와 광개시제 조성물로 일정 두께로 코팅하고 UV램프(27)로 광조사하여 착탈층을 형성하는 단계; PET 필름을 상기 착탈층과 합지 시키는 단계; 이형처리된 종이 위에 우레탄 또는 아크릴 접착제로 제1 접착층을 형성시키는 단계; 상기 베이스 PET 필름의 코팅이 안 된 면과 상기 제1 접착층을 합지 시키는 단계; 상기 베이스 PET 필름에 합지된 제1 접착층의 이형지를 떼어 내고 폼시트와 합지 시키는 단계; 이형처리된 종이 위에 우레탄 또는 아크릴 접착제로 제2 접착층을 형성시키는 단계; 장식필름이나 장식 극세사 천과 상기 제2 접착층을 합지 시키는 단계; 및 상기 제2 접착층이 전사된 장식필름이나 장식 천에서 이형지를 떼어내고 상기 폼시트와 합지시키는 단계; 를 포함하는 장식 필름 또는 극세사 장식 천, 제2 접착층, 폼시트, 제1 접착층, PET 베이스 필름과 착탈층으로 이루어지는 다기능 적층 스티커를 제조하는 방법
  10. 이형 처리가 된 기재 위에 2-에틸헥실 아크릴레이트와 저급 알킬아크릴레이트의 공중합 올리고머와 광개시제 조성물로 일정 두께로 코팅하고 UV램프(27)로 광조사하여 착탈층을 형성하는 단계; PET 필름을 상기 착탈층과 합지 시키는 단계; 이형처리된 종이 위에 우레탄 또는 아크릴 접착제로 제1 접착층을 형성시키는 단계; 상기 베이스 PET 필름의 코팅이 안 된 면과 상기 제1 접착층을 합지 시키는 단계; 이형처리된 종이 위에 우레탄 또는 아크릴 접착제로 제2 접착층을 형성시키는 단계; 장식필름이나 장식 극세사 천과 상기 제2 접착층을 합지 시키는 단계; 상기 제2 접착층이 전사된 장식필름이나 장식 천에서 이형지를 떼어내고 폼시트와 합지시키는 단계; 및 상기 폼시트와 상기 베이스 PET 필름에 합지된 제1 접착층을 이형지를 떼어 내고 합지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장식 필름 또는 극세사 장식 천, 제2 접착층, 폼시트, 제1 접착층, PET 베이스 필름과 착탈층으로 이루어지는 다기능 적층 스티커를 제조하는 방법
KR1020090125246A 2009-12-16 2009-12-16 탈부착 스티커 KR101091976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25246A KR101091976B1 (ko) 2009-12-16 2009-12-16 탈부착 스티커
CN2010101776863A CN102101369B (zh) 2009-12-16 2010-05-20 可贴可揭的基板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25246A KR101091976B1 (ko) 2009-12-16 2009-12-16 탈부착 스티커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68345A KR20110068345A (ko) 2011-06-22
KR101091976B1 true KR101091976B1 (ko) 2011-12-08

Family

ID=441545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125246A KR101091976B1 (ko) 2009-12-16 2009-12-16 탈부착 스티커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091976B1 (ko)
CN (1) CN102101369B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77455B1 (ko) 2021-11-04 2022-03-22 김경호 폼 스티커 및 그 제조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TWI466613B (zh) * 2011-08-03 2014-12-21 Innolux Corp 機殼及應用其之電子裝置
KR200483891Y1 (ko) * 2013-04-18 2017-07-19 (주)엘지하우시스 카달로그 보관성이 우수한 샘플북
TWI536073B (zh) * 2014-04-30 2016-06-01 國森企業股份有限公司 電子基材之製程、顯示面板之製程與所應用的接著劑
CN109294512B (zh) * 2018-10-11 2021-08-27 江苏卫星新材料股份有限公司 高转移性uv光固化胶黏剂及其制备方法和应用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156343A (ja) * 1993-12-06 1995-06-20 Kureha Chem Ind Co Ltd 積層フィルムおよびマ−キングフィルム
CN2505544Y (zh) * 2001-08-30 2002-08-14 重庆华福车用制品有限公司 新型装饰板
JP2004115657A (ja) * 2002-09-26 2004-04-15 Three M Innovative Properties Co 自動車外装用保護フィルム
KR20040083782A (ko) * 2003-03-25 2004-10-06 주식회사 마프로 인테리어 폼 시트
KR20040058144A (ko) * 2004-06-10 2004-07-03 박성숙 장식용 스티커의 제조공정
KR20080024560A (ko) * 2006-09-14 2008-03-19 안영철 악세사리 겸용 화면 클리너
KR20090004087U (ko) * 2009-03-05 2009-05-04 김종헌 질감 및 심미감이 우수한 장식용 스티커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77455B1 (ko) 2021-11-04 2022-03-22 김경호 폼 스티커 및 그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2101369A (zh) 2011-06-22
KR20110068345A (ko) 2011-06-22
CN102101369B (zh) 2013-09-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41357B1 (ko) 수압 전사용 필름 및 이를 이용한 수압 전사체의 제조 방법
KR102160936B1 (ko) 접착성 수지층, 접착성 수지 필름, 적층체 및 적층체의 제조 방법
KR101091976B1 (ko) 탈부착 스티커
CN102504732B (zh) 一种聚乙烯保护膜用溶剂型网纹形状压敏胶及其制备方法
CN108230900A (zh) 图像显示装置
KR101806813B1 (ko) 점착 시트 및 적층체와 그 제조 방법
CN101857780B (zh) 两面粘着胶带
CN104854488A (zh) 双面带粘合剂的光学薄膜以及使用该光学薄膜制造图像显示装置的方法
CN105246996A (zh) 双面粘合带
CN102870019A (zh) 偏光板
CN108169833A (zh) 带粘合剂的偏振板和图像显示装置
JP2015030765A (ja) 粘着シート、粘着層付き光学フィルム、および画像表示装置
TW201736546A (zh) 黏著帶、電子機器零件固定用黏著帶及光學用透明黏著帶
CN107400469A (zh) 背面研磨带
JP2017106000A (ja) 粘着剤組成物及び粘着シート
CN107406731A (zh) 带有剥离衬垫的石墨粘合带
JP2020186330A (ja) 粘着シート及び積層体
JPH11207885A (ja) 化粧板及び家具
KR100985148B1 (ko) 표면보호지 및 그 제조방법
JP6784109B2 (ja) 粘着剤組成物、及びこれを用いた粘着シート
JPH0734041A (ja) 粘着シート
KR20170096708A (ko) 디스플레이패널용 고투명 무기재 점착테이프 및 이의 제조방법
JPH07103245B2 (ja) 被覆物の製造方法
JP4164597B2 (ja) 水圧転写用フィルム、その製造方法及び水圧転写体の製造方法
JP2020083911A (ja) 積層シー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24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