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91965B1 - 휴면주화를 이용한 자동복권당첨시스템 및 그 운용방법 - Google Patents

휴면주화를 이용한 자동복권당첨시스템 및 그 운용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91965B1
KR101091965B1 KR1020110021454A KR20110021454A KR101091965B1 KR 101091965 B1 KR101091965 B1 KR 101091965B1 KR 1020110021454 A KR1020110021454 A KR 1020110021454A KR 20110021454 A KR20110021454 A KR 20110021454A KR 101091965 B1 KR101091965 B1 KR 10109196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nning
server
data
purchase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214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전승만
Original Assignee
전승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승만 filed Critical 전승만
Priority to KR102011002145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9196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9196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91965B1/ko
Priority to PCT/KR2012/001732 priority patent/WO2012121564A2/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34Betting or bookmaking, e.g. Internet betting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 Pinball Game Machines (AREA)
  • Time Recorders, Dirve Recorders, Access Contro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휴면주화를 유통하기 위한 동기를 사용자에게 제공하기 위해 휴면주화의 수거시 자동복권당첨여부를 확인하도록, 주화를 투입받고, 투입된 주화에 대응하여 생성된 복권의 구매시간 및 구매금액을 포함하는 구매내역데이터를 전송하고, 상기 구매내역데이터에 대응하여 상기 복권의 당첨결과데이터를 수신하여 당첨결과화면으로 표시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단말기;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단말기로부터 상기 구매내역데이터을 각각 수신하여, 상기 단말기 별로 수신된 상기 구매내역데이터에 포함된 상기 구매시간의 순서대로 상기 각 단말기 별로 상기 구매금액을 누적한 구매집계데이터를 생성하여 통보하는 구매서버; 및 상기 구매서버로부터 수신한 상기 구매집계데이터를 통해 상기 복권의 당첨결과데이터를 생성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단말기로 전송하는 당첨서버; 를 포함하며, 상기 당첨서버는 실시간으로 당첨금액을 결정하고, 상기 당첨결과데이터는 당첨데이터와 탈락데이터를 포함하며, 상기 당첨데이터는 상기 구매집계데이터에서 상기 당첨금액을 마지막으로 달성 또는 초과하는 상기 단말기에만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복권당첨시스템을 제공한다.

Description

휴면주화를 이용한 자동복권당첨시스템 및 그 운용방법{Automatic lottery winning system and method of operating the system}
본 발명은 휴면주화를 이용한 자동복권당첨시스템 및 그 운용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휴면주화를 수거하는 단말기와 이와 연계된 서버를 포함하는 자동복권당첨시스템 및 그 운용방법에 관한 것이다.
정부에서는 매년 새로운 주화(coin)를 발행하기 위하여 많은 예산을 사용하고 있다. 그러나 이렇게 발행된 주화는 대부분이 저금통이나 서랍 등지에서 방치된 채 잠자고 있다. 이렇게 유통을 위해 발행되었으나, 유통되지 못하고 방치된 주화를 휴면주화라고 한다. 이러한 휴면주화로 인해 국가적으로 막대한 재정적 손실이 발생하고 있어 휴면주화를 효율적으로 회수하기 위한 시스템의 개발이 시급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휴면주화를 수거하는 단말기 및 이와 연계된 서버를 통해 휴면주화를 수거할 때 자동당첨여부를 확인할 수 있는 복권을 구매하게 하는 자동복권당첨시스템 및 그 운용방법을 제공하는 데에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주화를 투입받고, 투입된 주화에 대응하여 생성된 복권의 구매시간 및 구매금액을 포함하는 구매내역데이터를 전송하고, 상기 구매내역데이터에 대응하여 상기 복권의 당첨결과데이터를 수신하여 당첨결과화면으로 표시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단말기;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단말기로부터 상기 구매내역데이터을 각각 수신하여, 상기 단말기 별로 수신된 상기 구매내역데이터에 포함된 상기 구매시간의 순서대로 상기 각 단말기 별로 상기 구매금액을 누적한 구매집계데이터를 생성하여 통보하는 구매서버; 및 상기 구매서버로부터 수신한 상기 구매집계데이터를 통해 상기 복권의 당첨결과데이터를 생성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단말기로 전송하는 당첨서버; 를 포함하며, 상기 당첨서버는 실시간으로 당첨금액을 결정하고, 상기 당첨결과데이터는 당첨데이터와 탈락데이터를 포함하며, 상기 당첨데이터는 상기 구매집계데이터에서 상기 당첨금액을 마지막으로 달성 또는 초과하는 상기 단말기에만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복권당첨시스템을 제공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단말기, 구매서버 및 당첨서버가 서로 유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데이터를 주고받는 자동복권당첨시스템의 운용방법에 있어서, 단말기가 주화를 투입받고 투입된 상기 주화에 대응하여 생성된 복권의 구매시간 및 구매금액을 포함하는 구매내역데이터를 생성하여 구매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구매서버가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단말기로부터 상기 구매내역데이터을 각각 수신하여, 상기 단말기 별로 수신된 상기 구매내역데이터에 포함된 상기 구매시간의 순서대로 상기 각 단말기 별로 상기 구매금액을 누적한 구매집계데이터를 생성하여 당첨서버로 통보하는 단계; 및 상기 구매서버로부터 수신한 상기 구매집계데이터를 통해 상기 복권의 당첨결과데이터를 생성하여 상기 단말기로 전송하고 단말기가 당첨결과화면으로 표시하는 단계; 를 포함하며, 상기 당첨서버는 실시간으로 당첨금액을 결정하고, 상기 당첨결과데이터는 당첨데이터와 탈락데이터를 포함하며, 상기 당첨데이터는 상기 구매집계데이터에서 상기 당첨금액을 마지막으로 달성 또는 초과하는 상기 단말기에만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복권당첨시스템의 운용방법을 제공한다.
전술한 것 외의 다른 측면, 특징, 이점이 이하의 도면, 특허청구범위 및 발명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명확해질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휴면주화를 수거하는 단말기 및 이와 연계된 서버를 통해 휴면주화를 수거할 때 자동당첨여부를 확인할 수 있는 복권을 구입하게 함으로써, 사용자로 하여금 휴면 상태의 주화를 유통시키기 위한 동기를 부여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휴면주화를 수거하는 단말기 및 이와 연계된 서버를 통해 수거된 휴면주화를 사용자가 원하는 종류의 기부금으로 활용할 수 있게 하여 사용자로 하여금 휴면 주화의 회수를 촉진시키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자동복권당첨시스템을 도시한 개략적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구매서버 및 당첨서버의 운용방법을 도시한 설명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자동복권당첨시스템에 포함된 단말기의 개략적인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자동복권당첨시스템의 운용방법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자동복권당첨시스템의 운용방법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록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에 대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자동복권당첨시스템을 도시한 개략적인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자동복권당첨시스템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단말기(10), 단말기(10)와 유무선 네트워크(NT)를 통해 데이터를 주고 받는 구매서버(20), 당첨서버(30), 기부금서버(40), 메시지발송서버(50), 관리서버(60) 및 데이터베이스(database, DB)(70)를 포함한다.
단말기(10)는 휴면주화를 수거하는 장치로써, 주화의 사용이 빈번한 상점, 교통수단의 정류장 및 학교 등에 설치할 수 있다. 단말기(10)는 사용자로부터 휴면주화를 투입받고, 투입된 주화에 대응하여 구매내역데이터를 생성한다. 한편, 단말기(10)는 서버들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고, 수신된 데이터를 화면에 표시하며,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정보를 데이터화하여 서버에 전송하기도 한다. 자동복권시스템에는 복수개의 단말기(10)가 포함될 수 있으며, 도 1에서는 제1단말기(M1), 제2단말기(M2) 내지 제n단말기(Mn)로 도시하였다.
구매서버(20)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단말기(10)로부터 구매내역데이터를 전송받아 구매집계데이터를 생성한다. 즉, 구매서버(20)는 각 단말기(10)에서 정보를 수집한 후 분석 및 종합하여 당첨서버(30)로 전송하는 바, 당첨결과를 도출하기 위한 정보를 당첨서버(30)에 제공하는 역할을 한다.
당첨서버(30)는 구매서버(20)로부터 얻은 정보를 통해 당첨결과데이터를 생성하고, 단말기(10)로 당첨결과를 전송한다. 한편, 당첨서버(30)는 실시간으로 랜덤하게 결정된 당첨금액 만으로 당첨 단말기를 추출하는 방법과, 실시간으로 랜덤하게 결정된 당첨금액 외에도 실시간으로 랜덤하게 결정된 가상구매액을 함께 이용하여 당첨 단말기를 추출하는 방법이 있다. 이와 같은 방법을 통해 당첨결과를 도출함으로써, 당첨서버(30)는 사용자가 복권을 얼마나 구매해야 당첨이 될 수 있는지, 어느 시점에 복권을 구매해야 당첨이 되는지 등 당첨과 관련된 조건을 예상할 수 없도록 하는 특징이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구매서버(20) 및 당첨서버(30)의 운용방법을 도시한 설명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먼저 (a)에 복수개의 구매내역데이터의 예시가 도시되어 있다. 구매내역데이터란 단말기의 고유번호에 따른 복권의 구매금액 및 구매시간을 포함하는 것으로, 필요에 따라 사용자의 정보를 함께 포함할 수도 있다. 즉, 구매내역데이터란, 해당 단말기(10))에서 사용자가 구매한 복권내역에 관한 정보를 나타내는 것이다. 이러한 구매내역데이터는 각 단말기(10)에서 생성되어, 구매서버(20)로 전송된다.
구매서버(20)는 각 단말기(10)에서 전송된 구매내역데이터를 통해 구매집계데이터를 생성한다. (b)에는 구매집계데이터의 예시가 도시되어 있다. 여기서 구매집계데이터란, 단말기(10) 별로 수신된 구매내역데이터에 각각 포함된 구매시간의 순서대로 단말기(10) 별 구매내역데이터를 재정렬하고, 재정렬된 구매내역데이터에 포함된 구매금액을 누적한 데이터를 의미한다. 한편, 구매시간의 선후는 시, 분, 1/1000초 단위까지 고려하여 결정된다. 만약 1/1000초 미만에서도 동일한 구매시간을 가진 단말기(10)가 존재하는 경우에는 단말기(10)의 고유번호 순서대로 구매내역데이터를 직렬화하여 돌아가면서 구매시간의 선후를 결정한다. (b)를 보면, 서로 다른 시간대 별로 각 구매내역데이터가 정렬되어 있으며, 구매금액의 누적액 또한 함께 표시된다. 구매서버(20)는 이러한 구매내역데이터를 생성하여, 당첨서버(30)로 전송한다.
(c)에는 당첨서버(30)에서 구매내역데이터를 통해 당첨결과데이터를 도출하는 방법을 나타낸다. 먼저, 당첨서버(30)에서 실시간으로 당첨금액을 1000원이라고 결정한다. 이 당첨금액은 구매내역데이터를 기반으로 랜덤하게 결정된다. 한편, 당첨금액을 랜덤하게 결정하는 랜덤기준값은 당첨서버(30)에 연결된 단말기에서 최초의 주화가 투입된 시간으로부터 초기화되어 결정된다. 따라서 외부에서는 구매내역데이터를 랜덤하게 결정하는 랜덤함수조차 용이하게 예측이 불가능하다. 이렇게 결정된 당첨금액을 구매내역데이터에 적용하여, 당첨금액을 마지막으로 달성 또는 초과하는 단말기가 당첨되는 것이다. (b) 및 (c)를 참조하면, 당첨금액인 1000원을 마지막으로 달성 또는 초과하는 제3단말기(M3)가 당첨된다. 당첨서버(30)는 구매집계데이터에 포함된 모든 단말기(10)로 당첨결과데이터를 전송한다. 당첨결과데이터에는 복권이 당첨되었음을 증명하는 당첨데이터와 복권이 당첨되지 않았음을 증명하는 탈락데이터가 있다. 따라서, 금번 예에서 당첨서버(3)는 제3단말기(M3)에 당첨데이터를 전송하고, 나머지 제1단말기(M1), 제3단말기(M3) 및 제4단말기(M4)에는 탈락데이터를 전송한다.
다음으로 (d) 는 당첨서버(30)에서 구매내역데이터를 통해 당첨결과데이터를 도출하는 다른 방법을 나타낸다. 구체적으로, 당첨서버(30)에서 실시간으로 당첨금액을 1500원이라고 결정한다. 그리고, 실시간으로 가상구매액을 300이라고 결정한다. 이 당첨금액 및 가상구매액은 구매내역데이터를 기반으로 랜덤하게 결정된다. 한편, 당첨금액 및 가상구매액을 랜덤하게 결정하는 랜덤기준값은 당첨서버에 연결된 단말기에서 최초의 주화가 투입된 시간으로부터 초기화되어 결정된다. 따라서 외부에서는 당첨금액 및 가상구매액을 랜덤하게 결정하는 랜덤함수조차 용이하게 예측이 불가능하다. 특히 가상구매액은 항상 당첨금액보다 작은 금액으로 결정된다. 다음으로 결정된 당첨금액에서 가상구매액을 뺀 결과금액을 구매내역데이터에 적용한 결과, 결과금액 1200원을 마지막으로 달성 또는 초과하는 제4단말기(M4)가 당첨된다. 당첨서버(30)는 구매집계데이터에 포함된 모든 단말기(10)로 당첨결과데이터를 전송하나, 제4단말기(M4)에는 당첨데이터를 전송하고, 나머지 제1단말기(M1), 제2단말기(M2) 및 제3단말기(M3)에는 탈락데이터를 전송한다.
다시 도 1로 돌아와 나머지 서버에 대해 자세히 알아본다.
기부금서버(40)는 단말기(10)로부터 기부금선택데이터를 전송받아 저장한다. 그 이전에 단말기(10)는 구매내역데이터를 기부금서버(40)로 전송하고 기부금서버(40)로부터 기부금종류데이터를 전송받을 수 있으며, 사용자는 기부금종류데이터에서 기부금종류를 선택할 수 있다. 여기서 기부금선택데이터란, 이렇게 선택된 기부금의 종류 및 금액이 포함된 데이터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사용자는 휴면동전을 유통시킴과 더불어, 수거된 휴면동전이 자신이 선택한 종류에 따라 기부금으로 활용될 수 있게 하는 효과가 있다.
메시지발송서버(50)는 단말기(10)로부터 당첨결과를 발송할 것인지에 대한 당첨결과발송데이터를 전송받고, 이에 대응하여 입력된 휴대전화번호로 메시지를 전송하거나, 메시지를 전송하도록 이동통신서버를 제어한다. 메시지발송서버(50)는 당첨된 복권과 관련된 메시지를 사용자의 휴대전화로 직접 전송해, 사용자가 당첨금 확인을 용이하게 하도록 한다.
관리서버(60)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단말기(10)의 상태를 나타내는 관리정보 및 각종 서버의 상태를 나타내는 장애여부를 확인하고 이에 따라 단말기(10) 및 각종 서버를 제어한다. 여기서 관리정보는 단말기의 개폐여부 및, 주화보관한계 초과여부에 대한 정보일 수 있다. 예를 들어 관리서버(60)는 특정 서버의 장애를 확인한 경우 해당 서버의 사용을 중지하도록 하고 대체 서버의 사용을 허가할 수 있다. 한편, 관리서버(60)는 단말기(10) 및 각종 서버의 장애여부 및 관리정보를 데이터베이스에 따로 저장하도록 한다.
데이터베이스(70)에는 관리서버(60)에서 수신한 각종 정보 외에도 구매서버(20)에서 수신한 복권 구매와 관련된 모든 데이터, 당첨서버(30)에서 수신한 복권 당첨과 관련된 모든 데이터, 기부금서버(40)에서 수신한 기부금과 관련된 모든 데이터, 메시지발송서버(50)에서 수신한 당첨결과 관련 모든 데이터를 저장 및 백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자동복권당첨시스템에 포함된 단말기(10)의 개략적인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단말기(10)는 전송부(102), 수신부(103), 표시부(104), 입력부(101), 및 제어부(100)를 포함한다. 이 외에도 단말기(10)는 휴면주화를 투입받는 투입구(11) 및 투입구(11)로부터 투입되는 휴면주화의 종류, 개수 및 투입시각 등을 센싱하는 투입센서(12)를 더 포함한다. 또한, 수거된 휴면주화를 보관하는 보관통(15) 및 보관통(15)에 보관된 휴면주화의 양을 체크할 수 있는 계수센서(16), 보관통(15)과 연결되어 수거된 휴면주화를 외부에서 회수할 수 있도록 달린 개폐구(13) 및 개폐구(13)의 개폐여부를 감지하는 개폐센서(1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단말기(10)는 복권 당첨결과를 프린트할 수 있는 인쇄부(미도시)를 더 구비할 수도 있다.
전송부(102)는 각종 데이터를 서버로 전송하는 역할을 한다. 예를 들어, 전송부(102)는 제어부(100)에 의해 생성된 구매내역데이터를 유무선네트워크(NT)를 통해 구매서버(20)로 전송한다. 그 외에도 선택된 기부금의 종류를 포함하는 기부금선택데이터를 기부금서버(40)로 전송한다. 또한, 제어부(100)에 의해 생성된 당첨결과발송데이터를 메시지발송서버(50)로 전송하기도 하며, 개폐구(13)의 개폐여부와 주화의 보관한계 초과여부를 포함하는 관리정보를 관리서버(60)로 전송한다.
수신부(103)는 서버로부터 각종 데이터를 수신하는 역할을 한다. 예를 들어 당첨서버(30)로부터 당첨결과데이터를 수신하며, 기부금서버(40)로부터 기부금종류데이터를 수신하기도 한다.
표시부(104)는 각종 서버들로부터 수신된 데이터에 대응하여 사용자가 볼 수 있는 화면을 표시한다. 표시부(104)는 액정표시장치, 유기발광표시장치 또는 플라즈마표시장치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표시부(104)는 당첨결과데이터에 대응하는 당첨결과화면을 표시하며, 기부금종류데이터에 대응하는 기부금종류선택화면을 표시한다. 그 밖에도 복권구매여부확인화면이나, 당첨결과발송여부확인화면 등을 추가로 표시하여 사용자의 선택을 입력 받을 수도 있다.
입력부(101)는 사용자로부터 선택을 입력받아 데이터로 변환할 수 있다. 입력부(101)는 터치형 디스플레이, 자판, 마우스 또는 조그스틱 등으로 구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입력부(101)는 기부금종류 및 기부비율을 입력받거나, 복권구매여부 또는 당첨결과발송여부를 입력받을 수 있다. 그 외에도 휴대전화 번호를 포함한 사용자의 정보를 입력부(101)를 통해 입력받을 수 있다. 한편, 입력부(101)는 사용자의 선택 외에도 정해진 프로그램에 따른 선택을 입력받을 수도 있다.
제어부(100)는 단말기(10)에 포함된 각 구성부분을 총괄적으로 제어한다. 특히 제어부(100)는 구매내역데이터를 생성하기도 한다. 여기서 구매내역데이터란, 복권의 구매금액 및 구매시간을 포함하는 것이다. 구매금액은 투입구에 투입된 휴면주화의 금액을 투입센서(12)가 확인하여 자동으로 결정될 수 있다. 구매시간은 휴면주화가 투입된 시각을 투입센서(12)가 확인하여 자동으로 결정될 수 있다. 구매내역데이터는 단말기의 고유번호에 대응하여 이렇게 결정된 구매금액 및 구매정보 외에도 사용자의 정보를 함께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100)는 기부금선택데이터를 생성하기도 한다. 기부금선택데이터는 선택된 기부금의 종류, 기부금 금액, 단말기의 고유번호와 사용자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00)는 당첨결과발송데이터를 생성하기도 한다. 당첨결과발송데이터는 당첨데이터에 대응하여 생성되는 것으로, 당첨데이터, 단말기의 고유번호와 사용자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자동복권당첨시스템의 운용방법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흐름도이다. 또한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자동복권당첨시스템의 운용방법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록도이다.
먼저 도 4를 참조하면, 적어도 하나 이상의 단말기(10), 구매서버(20), 당첨서버(30) 및 메시지발송서버(50)의 운영방법에 대해서 자세히 알 수 있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단말기(10)는 2개만 표시하였으나, 이에 한정하지 않고 3개 이상의 단말기(10)가 사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시되지 않았으나, 초기에 각 단말기(10)가 기본 상태를 자동으로 점검하고, 서버 리스트를 수신하여 구매서버(20), 당첨서버(30), 기부금서버(40), 메시지발송서버(50) 및 관리서버(50)에 유무선네트워크(NT)를 통해 접속한다.
S10 단계에서 사용자에 의해 휴면주화가 제1단말기(M1)에 투입된다. 투입센서(12)에 의해 휴면주화의 투입이 확인되면, S11 단계에서 제1단말기(M1)의 제어부(100)는 복권 구매 여부를 확인하는 안내창을 표시부(104)에 표시한다. 만약, 복권 구매를 원하지 않는 경우 S12 단계에 의해 투입된 주화는 반납된다. 한편, 복권의 구매를 원하는 경우, S13 단계에 의해 제1단말기(M1)는 구매금액 및 구매시간 등을 포함하는 제1구매내역데이터를 생성한다. 한편, S11 내지 S12 단계는 필요에 의해 생략될 수도 있다.
한편, S14 단계에 의하면 제2단말기(M2)에도 휴면주화가 투입된다. S15 단계에 의하면, 휴면주화가 투입되면 복권의 구매금액 및 구매시간을 포함하는 제2구매내역데이터가 생성된다. 제2단말기(M2)에서도 복권의 구매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가 포함될 수도 있으나, 이 단계는 생략될 수 있고, 무엇보다 S11 내지 S13 단계에서 이미 설명하였으므로 중복되는 기술은 피하도록 한다.
S16 단계에서 제1단말기(M1)에서 생성된 제1구매내역데이터 및 제2단말기(M2)에서 생성된 제2구매내역데이터가 유무선네트워크(NT)를 통해 구매서버(20)로 전송된다. S17 단계에서 구매서버(20)는 각 구매내역데이터를 종합하여 구매집계데이터를 생성한다. 도 2에서 자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구매집계데이터는 제1 및 제2구매내역데이터에 포함된 구매시간의 순서대로 각 단말기(M1, M2) 별로 구매금액을 누적한 것일 수 있다. 그리고 구매서버(20)는 S18 단계에서 각 단말기(M1, M2)로 구매집계가 완료되었음을 통보할 수 있다.
한편, S19 단계에서 구매서버(20)는 생성된 구매집계데이터를 당첨서버(30)로 전송한다. S20 단계에서 당첨서버(30)는 구매집계데이터를 바탕으로 복권의 당첨결과데이터를 생성한다. 일 실시예로 당첨서버(30)는 실시간으로 당첨금액을 결정하고 당첨금액을 마지막으로 달성 또는 초과하는 구매집계데이터의 누적금액에 대응하는 단말기는 당첨시키고, 나머지 단말기는 탈락시키는 당첨결과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 당첨서버(30)는 실시간으로 당첨금액 및 가상구매액을 결정하고 당첨금액에서 가상구매액을 뺀 결과금액을 마지막으로 달성 또는 초과하는 구매집계데이터의 누적금액에 대응하는 단말기는 당첨시키고, 나머지 단말기는 탈락시키는 당첨결과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도 4에서는 제2단말기(M2)가 당첨된 것이라고 가정한다.
S21 단계에서 당첨서버(30)는 제2단말기(M2)에 당첨데이터를 포함하는 당첨결과데이터를 전송하고, S22 단계에서 당첨서버(30)는 제1단말기(M1)에 탈락데이터를 포함하는 당첨결과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S23 단계에 의하면, 각 단말기(M1, M2)는 당첨서버(30)로부터 수신한 당첨결과데이터를 당첨결과화면으로 표시한다.
한편, 당첨데이터를 수신한 제2단말기(M2)는 S31 단계에서 당첨결과를 사용자의 휴대전화 메시지로 전송받을 것인지 선택받을 수 있다. 만약 사용자가 당첨결과를 메시지로 수신하는 것을 원하지 않는다면 이 단계는 종료된다. 그러나 사용자가 당첨결과를 메시지로 수신하는 것을 원하는 경우, S32 단계에서 제2단말기(M2)는 당첨결과데이터로부터 당첨결과발송데이터를 생성한다. 여기서 당첨결과발송데이터에는 복권이 당첨되었음을 증명하는 당첨데이터, 사용자의 휴대전화 번호 및 제2단말기(M2)의 고유번호 등이 포함되어, 메시지발송서버(50)가 사용자의 휴대전화로 복권 당첨과 관련된 메시지를 전달하도록 하는 제어데이터일 수 있다.
S33 단계에서 제2단말기(M2)는 생성된 당첨결과발송데이터를 메시지발송서버(50)로 전송한다. S34 단계에서 메시지발송서버(50)는 사용자의 휴대전화로 메시지를 전송한다.
다음으로 도 5를 참조하면, 적어도 하나 이상의 단말기(10) 및 기부금서버(40)의 운영방법에 대해서 자세히 알 수 있다.
먼저, 도 4의 S13 단계 및 S15 단계와 동일하게, 제1단말기(M1) 및 제2단말기(M2)에서 구매내역데이터를 생성한다. 다음으로 S41 단계에서 각 단말기(M1, M2)는 생성된 구매내역데이터를 기부금서버(40)로 각각 전송한다.
S42 단계에서 기부금서버(40)는 구매내역데이터들을 수신하고, 각 구매내역데이터에 대응하는 단말기(M1, M2)로 기부금종류데이터를 각각 전송한다. 여기서 기부금종류데이터란, 사용자가 기부금의 종류를 선택할 수 있도록 각종 기부금의 종류 및 비율을 열거한 것으로, 예를 들어 불우이웃기부, 환경단체기부, 비영리교육단체기부 등으로 그 종류를 구분하고, 각 종류에 대한 기부 비율을 구분할 수 있다.
S43 단계에서 각 단말기(M1, M2)는 기부금종류데이터에 대응하는 기부금종류선택화면을 표시한다. S44 단계에서 사용자에 의해 선택되거나, 프로그램에 의해 선택된 기부금종류를 선택하고, 선택결과를 포함하는 기부금선택데이터를 기부금서버(40)로 다시 전송한다. (S45) S46 단계에서 기부금서버(40)는 각 단말기들(M1, M2)로부터 전송받은 기부금선택데이터를 저장하여 차후 실제 기부금 사용에 참조할 수 있게 한다.
다음으로 도 6을 참조하면, 적어도 하나 이상의 단말기(10), 각종서버, 관리서버(60) 및 데이터베이스(70)의 운영방법에 대해서 자세히 알 수 있다.
도 6에서 단말기(10)는 관리서버(60)로 관리정보를 전송한다. 여기서 관리정보란, 개폐센서를 통해 측정된 개폐여부, 계수센서를 통해 측정된 주화보관한계 초과여부 외에도 단말기의 장애여부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관리서버(60)는 구매서버(20), 당첨서버(30), 기부금서버(40) 및 메시지발송서버(50)로부터 장애여부를 수신할 수 있다.
그리고 관리서버(60)는 수신된 관리정보 및 장애여부에 대응하여 단말기(10), 구매서버(20), 당첨서버(30), 기부금서버(40) 및 메시지발송서버(50)의 사용중지 여부를 결정하여 통보한다. 한편 관리서버(60)는 장애가 생긴 서버의 사용을 중지함과 동시에 대체 서버로 단말기(10)를 우회 연결할 수도 있다. 그 외에도 관리서버(60)는 관리정보 및 장애여부를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자동복권당첨시스템에 의하면, 기부 및 복권 당첨이라는 동기를 통해 휴면동전의 유통을 촉진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휴면동전을 대체할 신규동전의 생산에 필요한 예산을 절감하고, 능동적인 기부행위로 기부문화의 선진화를 이룰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일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보호 범위는 첨부된 청구 범위에 의해서만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 단말기 M1, M2,M3, M4, Mn: 제1, 제2, 제3, 제4, 제n단말기
20: 구매서버 30: 당첨서버
40: 기부금서버 50: 메시지발송서버
60: 관리서버 70: 데이터베이스
NT: 네트워크 11: 투입구
12: 투입센서 13: 개폐구
14: 개폐센서 15: 보관통
16: 계수센서 101: 입력부
102: 전송부 103: 수신부
104: 표시부 100: 제어부

Claims (11)

  1. 주화를 투입받고, 투입된 주화에 대응하여 생성된 복권의 구매시간 및 구매금액을 포함하는 구매내역데이터를 전송하고, 상기 구매내역데이터에 대응하여 상기 복권의 당첨결과데이터를 수신하여 당첨결과화면으로 표시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단말기;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단말기로부터 상기 구매내역데이터를 각각 수신하여, 상기 단말기 별로 수신된 상기 구매내역데이터에 포함된 상기 구매금액을 누적한 구매집계데이터를 생성하여 통보하는 구매서버; 및
    상기 구매서버로부터 수신한 상기 구매집계데이터를 통해 상기 복권의 당첨결과데이터를 생성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단말기로 전송하는 당첨서버;
    를 포함하며,
    상기 당첨서버는 실시간으로 당첨금액을 결정하고, 상기 당첨결과데이터는 당첨데이터와 탈락데이터를 포함하며, 상기 당첨데이터는 상기 구매집계데이터에서 상기 당첨금액을 마지막으로 달성 또는 초과하는 상기 단말기의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단말기 또는 상기 구매서버로부터 상기 구매내역데이터를 수신하고, 상기 구매내역데이터에 대응하는 단말기로 기부금종류데이터를 전송하며, 기부금선택데이터를 수신하여 저장하는 기부금서버;
    를 더 포함하고,
    상기 단말기는 상기 기부금종류데이터를 수신하여 기부금종류선택화면으로 표시하고, 입력부를 통해 선택된 기부금종류를 상기 기부금선택데이터로써 상기 기부금서버에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복권당첨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당첨서버는 실시간으로 당첨금액 및 가상구매액을 결정하고, 상기 당첨데이터는 상기 구매집계데이터에서 상기 당첨금액에서 상기 가상구매액을 뺀 금액을 마지막으로 달성 또는 초과하는 상기 단말기의 정보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복권당첨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는
    주화를 투입받는 투입구;
    상기 구매내역데이터를 상기 구매서버로 전송하는 전송부;
    상기 당첨서버로부터 상기 당첨결과데이터를 수신하는 수신부;
    상기 수신부로부터 수신된 상기 당첨결과데이터를 상기 당첨결과화면으로 표시하는 표시부; 및
    상기 투입구에 투입된 상기 주화의 금액을 통해 상기 구매금액을 결정하고, 상기 주화가 투입된 시각을 통해 상기 구매금액에 대응한 상기 구매시간을 추출하여 상기 구매내역데이터를 생성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는, 자동복권당첨시스템.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로부터 당첨결과발송데이터를 수신하고, 상기 당첨결과발송데이터에 대응하는 메시지를 사용자의 휴대전화단말기로 전송하는 메시지발송서버;
    를 더 포함하고,
    상기 단말기는 상기 당첨결과데이터로부터 당첨결과발송데이터를 생성하여 상기 메시지발송서버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복권당첨시스템.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로부터 단말기의 개폐여부 및, 주화보관한계 초과여부에 대한 관리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구매서버, 상기 당첨서버, 상기 기부금서버 및 상기 메시지발송서버의 장애여부를 확인하고, 수신된 관리정보 및 확인된 상기 장애여부에 대응하여 상기 단말기, 상기 구매서버, 상기 당첨서버, 상기 기부금서버 및 상기 메시지발송서버의 사용중지 여부를 결정하여 통보하는 관리서버; 및
    상기 관리서버로부터 상기 관리정보 및 상기 장애여부를 수신하여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
    를 더 포함하고,
    상기 단말기는 개폐센서를 통해 개폐여부를 측정하고, 계수센서를 통해 주화보관한계 초과여부를 측정하여 상기 관리정보로써 상기 관리서버에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복권당첨시스템.
  7. 적어도 하나 이상의 단말기, 구매서버 및 당첨서버가 서로 유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데이터를 주고받는 자동복권당첨시스템의 운용방법에 있어서,
    단말기가 주화를 투입받고 투입된 상기 주화에 대응하여 생성된 복권의 구매시간 및 구매금액을 포함하는 구매내역데이터를 생성하여 구매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구매서버가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단말기로부터 상기 구매내역데이터을 각각 수신하여, 상기 단말기 별로 수신된 상기 구매내역데이터에 포함된 상기 구매시간의 순서대로 상기 각 단말기 별로 상기 구매금액을 누적한 구매집계데이터를 생성하여 당첨서버로 통보하는 단계; 및
    상기 구매서버로부터 수신한 상기 구매집계데이터를 통해 상기 복권의 당첨결과데이터를 생성하여 상기 단말기로 전송하고 단말기가 당첨결과화면으로 표시하는 단계;
    를 포함하며,
    상기 당첨서버는 실시간으로 당첨금액을 결정하고, 상기 당첨결과데이터는 당첨데이터와 탈락데이터를 포함하며, 상기 당첨데이터는 상기 구매집계데이터에서 상기 당첨금액을 마지막으로 달성 또는 초과하는 상기 단말기의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기부금서버가 상기 단말기 또는 상기 구매서버로부터 상기 구매내역데이터를 수신하고, 상기 구매내역데이터에 대응하는 단말기로 기부금종류데이터를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단말기가 상기 기부금종류데이터를 수신하여 기부금종류선택화면으로 표시하고, 선택된 기부금종류를 기부금선택데이터로 상기 기부금서버에 전송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자동복권당첨시스템의 운용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당첨서버는 실시간으로 당첨금액 및 가상구매액을 결정하고, 상기 당첨데이터는 상기 구매집계데이터에서 상기 당첨금액에서 상기 가상구매액을 뺀 금액을 마지막으로 달성 또는 초과하는 상기 단말기의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복권당첨시스템의 운용방법.
  9. 삭제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는 상기 당첨결과데이터로부터 당첨결과발송데이터를 생성하여 메시지발송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메시지발송서버가 상기 단말기로부터 상기 당첨결과발송데이터를 수신하고, 상기 당첨결과발송데이터에 대응하는 메시지를 사용자의 휴대전화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자동복권당첨시스템의 운용방법
  11.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가 개폐센서를 통해 개폐여부를 측정하고, 계수센서를 통해 주화보관한계 초과여부를 측정하여 관리정보로써 관리서버에 전송하는 단계;
    상기 관리서버가 상기 단말기로부터 상기 관리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구매서버, 상기 당첨서버, 상기 기부금서버 및 메시지발송서버의 장애여부를 확인하고, 수신된 상기 관리정보 및 확인된 상기 장애여부에 대응하여 상기 단말기, 상기 구매서버, 상기 당첨서버, 상기 기부금서버 및 상기 메시지발송서버의 사용중지 여부를 결정하여 통보하는 단계; 및
    데이터베이스가 상기 관리서버로부터 상기 관리정보 및 상기 장애여부를 수신하여 저장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자동복권당첨시스템의 운용방법.
KR1020110021454A 2011-03-10 2011-03-10 휴면주화를 이용한 자동복권당첨시스템 및 그 운용방법 KR101091965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21454A KR101091965B1 (ko) 2011-03-10 2011-03-10 휴면주화를 이용한 자동복권당첨시스템 및 그 운용방법
PCT/KR2012/001732 WO2012121564A2 (ko) 2011-03-10 2012-03-09 휴면주화를 이용한 자동복권당첨시스템 및 그 운용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21454A KR101091965B1 (ko) 2011-03-10 2011-03-10 휴면주화를 이용한 자동복권당첨시스템 및 그 운용방법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88556A Division KR20120103403A (ko) 2011-09-01 2011-09-01 휴면주화를 이용한 자동복권당첨시스템 및 그 운용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91965B1 true KR101091965B1 (ko) 2011-12-08

Family

ID=455059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21454A KR101091965B1 (ko) 2011-03-10 2011-03-10 휴면주화를 이용한 자동복권당첨시스템 및 그 운용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091965B1 (ko)
WO (1) WO2012121564A2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679479A (zh) * 2013-12-20 2014-03-26 北京奇虎科技有限公司 针对业务对象的数据处理方法、系统、服务器以及客户端
CN104299039A (zh) * 2014-09-26 2015-01-21 苏州奖多多科技有限公司 一种信息订制方法、装置及终端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47101A (ko) * 2001-12-07 2003-06-18 주식회사 엔지넷 인터넷을 이용한 복권 서비스 방법 및 시스템
KR100480014B1 (ko) * 2002-03-15 2005-03-30 현의섭 전자복권 자동판매 시스템
KR20040020402A (ko) * 2002-08-30 2004-03-09 장황진 전자복권 판매시스템 및 판매방법
KR20100059632A (ko) * 2008-11-26 2010-06-04 홍순경 주화 교환 및 입금 시스템과 그 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679479A (zh) * 2013-12-20 2014-03-26 北京奇虎科技有限公司 针对业务对象的数据处理方法、系统、服务器以及客户端
CN104299039A (zh) * 2014-09-26 2015-01-21 苏州奖多多科技有限公司 一种信息订制方法、装置及终端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2121564A3 (ko) 2012-11-15
WO2012121564A2 (ko) 2012-09-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830322B2 (en) Electronic gaming system with dynamic return to player and method of use
JP5243193B2 (ja) 遊技情報管理システム
US10134230B2 (en) Game information integration system
US20100280878A1 (en) System and method for managing, reconciling, balancing, and forecasting financial media in self-service devices
KR101091965B1 (ko) 휴면주화를 이용한 자동복권당첨시스템 및 그 운용방법
JP6293620B2 (ja) 投票処理システム、投票処理方法、投票券発券装置および情報処理装置
JP2016221272A (ja) 遊技管理装置
KR101381786B1 (ko) 아케이드 게임전용 전자화폐를 이용한 게임운영정보 관리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JP2016200870A (ja) 情報取集装置及び情報提供システム
TWM573496U (zh) Cloud exchange system and currency device
KR20120103403A (ko) 휴면주화를 이용한 자동복권당첨시스템 및 그 운용방법
AU2020200769B2 (en) A System for Providing an Electronic Gaming Machine with a Control Signal Indicative of One or More Gaming Credits
CN105608788B (zh) 监视装置及监视系统
JP2019063197A (ja) 遊技場用システム
JP6850471B2 (ja) 遊技管理装置および遊技管理システム
JP5248872B2 (ja) 遊技機装置
JP2019204325A (ja) 現金処理装置
JP6767827B2 (ja) 遊技場用システム
KR20170068851A (ko) 현금 투입감지 저금통의 운영방법
JP2016224991A (ja) 情報収集装置及び情報提供システム
JP6476028B2 (ja) 管理端末、表示装置、遊技店情報共有システム、及び遊技店情報共有方法
JP2016093349A (ja) 遊技ユニットおよび遊技方法
JP2023076139A (ja) オンラインカジノシステム及びシステム制御方法
JP2020173516A (ja) オペレーション端末装置、自動販売機及びオペレーション管理方法
JP2019162323A (ja) 遊技場用管理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0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2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0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21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