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91302B1 - 최적 이동경로 탐색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최적 이동경로 탐색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91302B1
KR101091302B1 KR1020050111762A KR20050111762A KR101091302B1 KR 101091302 B1 KR101091302 B1 KR 101091302B1 KR 1020050111762 A KR1020050111762 A KR 1020050111762A KR 20050111762 A KR20050111762 A KR 20050111762A KR 101091302 B1 KR101091302 B1 KR 10109130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i
link
starting point
map information
destin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1117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053929A (ko
Inventor
이대근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11176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91302B1/ko
Publication of KR2007005392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5392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9130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9130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21/00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 G01C21/26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specially adapted for navigation in a road network
    • G01C21/34Route searching; Route guidance
    • G01C21/3407Route searching; Route guidance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 G01C21/3415Dynamic re-routing, e.g. recalculating the route when the user deviates from calculated route or after detecting real-time traffic data or accident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21/00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 G01C21/26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specially adapted for navigation in a road network
    • G01C21/34Route searching; Route guidance
    • G01C21/3453Special cost functions, i.e. other than distance or default speed limit of road segments
    • G01C21/3476Special cost functions, i.e. other than distance or default speed limit of road segments using point of interest [POI] information, e.g. a route passing visible POI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21/00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 G01C21/26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specially adapted for navigation in a road network
    • G01C21/34Route searching; Route guidance
    • G01C21/36Input/output arrangements for on-board computers
    • G01C21/3679Retrieval, searching and output of POI information, e.g. hotels, restaurants, shops, filling stations, parking facilitie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09Arrangements for giving variable traffic instructions
    • G08G1/0962Arrangements for giving variable traffic instructions having an indicator mounted inside the vehicle, e.g. giving voice messages
    • G08G1/0968Systems involving transmission of navigation instructions to the vehicle
    • G08G1/0969Systems involving transmission of navigation instructions to the vehicle having a display in the form of a map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Navig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최적 이동경로 탐색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최적이동경로 탐색 시스템은 지도 정보가 저장된 메모리;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지도 정보가 표시되는 표시부; 저장된 상기 지도 정보 중 입력되는 출발점과 목적지 간에 분포된 각 링크 들의 속성에 따라 링크 속도를 추정하는 링크 속성 추정부; 상기 링크 속성 추정부가 검사하는 링크의 주변요소를 검사하는 POI 주변 검사부; 상기 링크 속성 추정부 및 상기 POI 주변 검사부의 결과에 따라 최적 이동경로를 탐색하는 탐색부; 상기 출발점 및 목적지를 입력할 수 있는 입력부; 및 상기 각 구성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최적 이동경로 탐색 시스템 및 방법{Optimized Moving Path Serch System And Method thereof}
도 1은 종래의 최단 이동경로 탐색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최적 이동경로 탐색 시스템을 나타내는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최적 이동경로 탐색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메모리 20 : 표시부
30 : 링크 속성 추정부 40 : POI 주변 검사부
50 : 탐색부 60 : 입력부
70 : 제어부
본 발명은 최적 이동경로 탐색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POI의 종류 및 밀도 등을 고려하여 출발점에서 지정된 목표지점까지의 이동경로를 최적으로 할 수 있는 최적 이동경로 탐색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자신에게 주어진 업무 및 일에 더 많은 책임감과 의무감을 가지고, 이러한 업무를 보다 열심히 하기 위하여 휴식보다는 업무에 치중하던 시대를 지나, 이제는 업무 만큼이나 휴식을 중요시 하며, 자기발전과 가족사랑에 비중이 높아지는 시대가 도래하였다. 이러한 자기발전과 가족사랑은 주 5일 근무제와 맞물려 주말이 되면 많은 사람들이 가족과 함께 나들이를 떠나는 경우가 빈번하게 발생하게 되었다. 이러한 나들이를 위하여 자동차 운전자들은 지도와 음식 등을 준비하여 가까운 공원이나, 산 등과 같은 휴식장소를 찾아가게 된다. 그러나, 일반적으로 나들이의 목적지가 되는 이 휴식장소는 자동차 운전자들에게 있어서는 초행길이 대부분이며, 그에 따라, 출발점에서부터 목표지점까지의 이동을 단지 지도만을 이용하여 이동하기에는 이동경로에 대한 정보가 너무도 빈약한 실정이다. 최근에는 이러한 이동경로에 대한 정보를 지원하기 위하여 네비게이션 시스템이 보편화되어가고 있는 추세이다. 이 네비게이션 시스템은 이러한 초행길에 대한 정보 뿐만 아니라, 평일 집에서 회사까지 출근하는 도로의 이동경로를 운전자에게 제공해 주고 있다. 이러한 종래의 네비게이션 시스템의 이동경로 탐색 방법이 도 1에 도시되어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종래의 이동경로 탐색 방법은 먼저, 네비게이션 시스템에 전원이 공급되고, 지도 정보가 로딩된다.(S1 단계)
이후, 운전자는 출발점과 목적지를 선택한다.(S2 단계)
네비게이션 시스템은 선택된 출발점과 목적지 사이의 각 링크를 검출하고, 검출된 각 링크의 속성에 따라 링크들의 속도를 추정한다.(S3 단계)
여기서, 링크의 속성은 링크 간 회전정보를 포함하며, 링크의 속도 추정은 임의 값으로 조정된 가중치에 의해 계산된다.
속도 추정이 완료되면, 각 링크의 통행시간과 관련된 통행시간 비용을 계산하여 그 합이 최소가 되도록 갱신한다.(S4 단계)
갱신된 최단거리 혹은 최단시간 주행경로에 맞는 링크 통행 비용을 토대로 출발점과 목적지 사이의 경로를 탐색한다.(S5 단계)
탐색된 경로는 네비게이션 표시부에 도시된다.(S6 단계)
이와 같은 구조를 가지는 종래의 이동경로 탐색 시스템 및 방법은 실제 도로 상황에 적절하게 대응하지 못한다. 구체적으로, 도심의 경우, 넓은 도로가 구비되어 있는 링크라 하더라도, 링크 내에 교통량을 폭발적으로 증가시킬 수 있는 요소 예를 들면, 백화점, 문화행사장 등이 위치할 경우, 넓은 도로에 많은 교통량이 발생하게 되고, 이 경우에는 넓은 도로에 관계없이 교톱이 혼잡하게 되어 소통이 원할하지 못하게 된다. 또한, 좁은 도로를 형성된 링크라 하더라도, 이 링크 내에 교통량을 증가시킬만한 요소가 없는 예를 들면, 개활지나 인적이 없는 무주택가 등일 경우에는 소통이 원할하게 된다. 이와 같이, 종래의 이동경로 탐색 시스템 및 방법은 이러한 주변적 요소를 고려하지 않고 이동경로를 탐색하기 때문에, 효율적인 네비게이션 운용이 어려운 상황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주변지역의 POI를 고려하여 교통량 유발 시설물이 많은 지역은 비용을 높게 설정하고, 반대일 경우, 비용을 낮게 설정함으로써 출발점에서 도착점까지의 이동경로를 최적으로 설정할 수 있는 최적 이동경로 탐색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최적이동경로 탐색 시스템은 지도 정보가 저장된 메모리;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지도 정보가 표시되는 표시부; 저장된 상기 지도 정보 중 입력되는 출발점과 목적지 간에 분포된 각 링크 들의 속성에 따라 링크 속도를 추정하는 링크 속성 추정부; 상기 링크 속성 추정부가 검사하는 링크의 주변요소를 검사하는 POI 주변 검사부; 상기 링크 속성 추정부 및 상기 POI 주변 검사부의 결과에 따라 최적 이동경로를 탐색하는 탐색부; 상기 출발점 및 목적지를 입력할 수 있는 입력부; 및 상기 각 구성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POI 주변 검사부는 상기 출발점과 상기 목적지 사이에 포함된 POI의 종별에 따른 종별 펙터에 상기 POI의 규모를 곱하고, 그 합을 구하여 미리 정의된 테이블을 바탕으로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탐색부는 상기 POI 밀집도에 따른 비용과, 회전비용 및 신호등 비용의 합산 중 최소의 비용을 가지는 이동경로를 탐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최적 이동경로 탐색 방법은 지도 정보를 로딩하는 제 1 단계; 출발점과 목적지 정보를 입력하는 제 2 단계; 상기 입력된 출발점에서부터 목적지 간에 분포된 각 링크 들의 속도를 추정하는 제 3 단계; 상기 추정된 각 링크의 주변 POI 밀집도를 계산하여 적용하는 제 4 단계; 상기 POI 밀집도가 최소인 최적 이동경로를 상기 지도 정보 상에 표시하는 제 5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목적 외에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특징들은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한 실시 예에 대한 설명을 통하여 명백하게 드러나게 될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최적 이동경로 탐색 시스템을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최적 이동경로 탐색 시스템은 지도 정보가 저장된 메모리(10)와, 메모리(10)에 저장된 지도 정보가 표시되는 표시부(20)와, 저장된 지도 정보 중 각 링크 들의 속성에 따라 링크의 속도를 추정하는 링크 속성 추정부(30)와, 링크 속성 추정부(30)가 검사하는 동일 링크의 POI(Point of Interest) 주변요소를 검사하는 POI 주변 검사부(40)와, 링크 속성 추정부(30) 및 POI 주변 검사부(40)의 결과에 따라 통행시간과 관련된 통행시간 비용을 갱신하여 지도 정보 중 최적 이동경로를 탐색하여 표시부(20) 상에 표시하는 탐색부(50)와, 출발점 및 목적지 등을 입력할 수 있는 입력부(60) 및 상기 각 구성을 제어하는 제어부(70)를 구비한다.
메모리(10)는 지도 정보를 저장한다. 이 지도 정보는 최적 이동경로 탐색 시스템 제조시 메모리(10)에 저장될 수 있으며, 통신채널을 이용하여 메모리(10)에 지도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이 통신 채널을 이용하여 메모리(10)에 저장된 지도 정보는 갱신이 가능하다.
표시부(20)는 메모리(10)에 저장된 지도 정보를 표시함과 아울러, 표시된 지도 정보 상에서 운전자가 지정한 출발점과 목적지 사이에 최적 이동경로를 표시한다. 이러한 표시부(20)는 CRT 모니터 뿐만 아니라, 액정표시장치, 유기EL, PDP, FED 등의 평판 디스플레이 등이 채택될 수 있다.
링크 속성 추정부(30)는 운전자 지정한 출발점과 목적지 간에 포함되는 각 링크의 속성에 대응되는 링크의 속도를 추정한다. 이때, 속도 추정은 임의 값으로 조정된 가중치에 의해 계산된다.
POI 주변 검사부(40)는 링크 속성 추정부(30)에 의해 속도 추정이 되는 각 링크의 주변에 배치되는 POI를 검사한다. 특히, POI 주변 검사부(40)는 교차로의 주변 사방 1Km 이내에 포함되는 링크에 각각 배치되는 POI의 규모를 바탕으로 혼잡유발계수를 계산하여 링크 속성 추정부(30)에 추정된 속도 추정에 이 값을 합하게 된다. 여기서, 혼잡유발 계수는 교차로의 반경 1Km 이내의 모든 POI의 종별에 의해 미리 지정된 종별 펙터(Factor)와 POI의 규모(주차대수)를 곱하고 그 합을 구하여 미리 정의된 POI 밀집도를 기재하는 테이블을 바탕으로 결정한다. 이러한 혼잡유발 계수에 따른 테이블이 정의 된 POI의 밀집도는 수학식 1에 기재되어 있다.
Figure 112005067177625-pat00001
여기서, 펙터는 큰 교통량을 유발할 가능성이 있는 큰 종별일수록 1에 가깝게 설정한다. 또한, 혼잡유발 계수는 S의 크기에 따라 0.5 ~ 2의 크기로 결정한다.
탐색부(50)는 운전자가 지정하는 출발점에서 목적지까지의 여러 비용요소를 고려하여 최적 이동경로를 탐색한다. 이러한 탐색부(50)는 최적 이동경로를 수학식 2에 기재된 방식으로 계산하여, 이 중 최소의 값을 선택함으로써 최적 이동경로를 탐색하게 된다.
Figure 112005067177625-pat00002
입력부(60)는 운전자 입력하는 출발점 및 목적지 정보등을 입력하는 입력수단으로서, 터치패널이나, 특정 버튼 등으로 구성된다.
제어부(70)는 입력부(60)에 의해 입력된 출발점 및 목적지 간에 최적 이동경로를 계산하도록 링크 속성 추정부(30) 및 POI 주변 검사부(40)를 제어하여 결과값을 산출하고, 산출된 결과값에 따라 탐색부(50)가 최적 이동경로를 계산하도록 제어하고, 계산된 값에 따른 이동경로를 표시부(20)에 표시하도록 제어한다.
이와 같은 구조를 가지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다른 최적 이동경로 탐색 시스템을 이용한 최적 이동경로 탐색 방법에 대하여 도 3을 참조하여 상세히 살펴보기 로 한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최적 이동경로 탐색 방법은 먼저, 지도 정보를 로딩한다(S11 단계)
제어부(70)는 최적 이동경로 탐색 시스템이 턴온되면 메모리(10)에 저장된 지도 정보를 로딩하고, 표시부(20)에 지도 정보를 표시하도록 한다.
입력부(60)는 출발점과 목적지 정보를 입력한다.(S12 단계)
링크 속성 추정부(30)는 입력된 출발점에서부터 목적지 간에 분포된 각 링크 들의 속도를 추정한다.(S13 단계)
속도 추정은 임의 값으로 조정된 가중치에 의해 계산된다.
POI 주변 검사부(40) 는 링크 속성 추정부(30)에 의해 속도 추정된 각 링크의 주변 POI 밀집도를 계산하여 적용한다.(S14 단계)
여기서, POI 밀집도는 교차로 주변의 POI 종별에 따른 팩터와 POI 규모를 곱하고 그 합을 구하여 혼잡유발 계수를 계산하고, 계산된 값을 미리 정의 테이블에 적용함으로써 결정한다.
탐색부(50)는 최적 이동경로를 탐색하여 표시부(20)에 표시한다.(S15 단계)
이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최적 이동경로 탐색 시스템 및 방법은 출발점과 목적지 사이에 분포된 교통량 유발 시설물을 고려함으로써 실질적이고 효율적인 이동경로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최적 이동경로 탐색 시스템 및 방법은 실제로 운전자가 운전하는 경우와 유사한 경로탐색이 이루어지게 되며, 경로탐색의 품질이 향상되어 교통체증이 상대적으로 적은 이동경로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최적 이동경로 탐색 시스템 및 방법은 운전자가 지정하는 장소를 절대적으로 거치는 경우를 제외하고 교통량이 많은 이동경로를 제외하여 이동경로를 탐색함으로써, 교통량의 분산효과를 가져오고, 이에 따른 이동시간 단축 및 사회 간접자본의 효율제고 및 낭비비용의 절감효과를 달성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내용을 통해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일탈하지 아니하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명세서의 상세한 설명에 기재된 내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특허 청구의 범위에 의해 정하여 져야만 할 것이다.

Claims (7)

  1. 지도 정보가 저장된 메모리;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지도 정보가 표시되는 표시부;
    저장된 상기 지도 정보 중 입력되는 출발점과 목적지 간에 분포된 각 링크 들의 속성에 따라 링크 속도를 추정하는 링크 속성 추정부;
    상기 링크 속성 추정부가 검사하는 링크의 주변요소를 검사하는 POI 주변 검사부;
    상기 링크 속성 추정부 및 상기 POI 주변 검사부의 결과에 따라 최적 이동경로를 탐색하는 탐색부;
    상기 출발점 및 목적지를 입력할 수 있는 입력부; 및
    상기 각 구성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구비하며,
    상기 POI 주변 검사부는 상기 출발점과 상기 목적지 사이에 포함된 POI의 종별에 따른 종별 펙터에 상기 POI의 규모를 곱하고, 그 합을 구하여 미리 정의된 테이블을 바탕으로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최적 이동경로 탐색 시스템.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POI는
    상기 출발점과 상기 목적지 사이에 포함된 교차로의 반경 1Km 이내에 분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최적 이동경로 탐색 시스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탐색부는
    상기 POI 밀집도에 따른 비용과, 회전비용 및 신호등 비용의 합산 중 최소의 비용을 가지는 이동경로를 탐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최적 이동경로 탐색 시스템.
  5. 지도 정보를 로딩하는 제 1 단계;
    출발점과 목적지 정보를 입력하는 제 2 단계;
    상기 입력된 출발점에서부터 목적지 간에 분포된 각 링크 들의 속도를 추정하는 제 3 단계;
    상기 추정된 각 링크의 주변 POI 밀집도를 계산하여 적용하는 제 4 단계;
    상기 POI 밀집도가 최소인 최적 이동경로를 상기 지도 정보 상에 표시하는 제 5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제 4 단계는 교차로 주변의 POI 종별에 따른 팩터와 POI 규모를 곱하고 그 합을 구하고, 이 계산된 값을 미리 정의 테이블에 적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최적 이동경로 탐색 방법.
  6. 삭제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 5 단계는
    상기 POI 밀집도에 회전 비용과 신호등 비용을 합산하고 그 합이 최소인 이동경로를 최적 이동경로로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최적 이동경로 탐색 방법.
KR1020050111762A 2005-11-22 2005-11-22 최적 이동경로 탐색 시스템 및 방법 KR10109130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11762A KR101091302B1 (ko) 2005-11-22 2005-11-22 최적 이동경로 탐색 시스템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11762A KR101091302B1 (ko) 2005-11-22 2005-11-22 최적 이동경로 탐색 시스템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53929A KR20070053929A (ko) 2007-05-28
KR101091302B1 true KR101091302B1 (ko) 2011-12-07

Family

ID=382759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111762A KR101091302B1 (ko) 2005-11-22 2005-11-22 최적 이동경로 탐색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91302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279365A (ja) 2002-03-25 2003-10-02 Aisin Aw Co Ltd ナビゲーションシステム、ナビゲーションプログラム、記録媒体及び快速道路情報作成方法
JP2004317327A (ja) 2003-04-17 2004-11-11 Aisin Aw Co Ltd ナビゲーション装置並びに該装置用プログラム及び記録媒体
JP2005010168A (ja) * 2004-08-11 2005-01-13 Kenwood Corp カーナビゲーションシステム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279365A (ja) 2002-03-25 2003-10-02 Aisin Aw Co Ltd ナビゲーションシステム、ナビゲーションプログラム、記録媒体及び快速道路情報作成方法
JP2004317327A (ja) 2003-04-17 2004-11-11 Aisin Aw Co Ltd ナビゲーション装置並びに該装置用プログラム及び記録媒体
JP2005010168A (ja) * 2004-08-11 2005-01-13 Kenwood Corp カーナビゲーションシステ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53929A (ko) 2007-05-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019531B2 (en) Navigation device and method for displaying alternative routes
US10175059B2 (en) Method, apparatus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for a navigation system user interface
US20070083428A1 (en) System and method for navigation by advertising landmark
JP4637073B2 (ja) ナビゲーション装置、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2010060325A (ja) 車両用ナビゲーション装置
WO2017061135A1 (ja) 運転快適度算出装置、運転快適度算出方法、および運転快適度算出システム
JPH11304518A (ja) ナビゲーション装置
EP1312893B1 (en) Navigation apparatus
JP2009204481A (ja) ナビゲーション装置及びプログラム
JP2005077299A (ja) ナビゲーションシステム、及び、プログラム
JP4949189B2 (ja) ナビゲーション装置、ナビゲーション方法、ナビゲーションプログラム、および記録媒体
US20080306685A1 (en) Method, system and computer program for exploiting idle times of a navigation system
JP2007078627A (ja) ナビゲーション装置、その制御方法及び制御プログラム
JP5191965B2 (ja) 地図表示システム、地図表示装置及び地図表示方法
KR101091302B1 (ko) 최적 이동경로 탐색 시스템 및 방법
JP2008164910A (ja) 情報処理装置、プログラム、及び情報処理方法
US10401187B2 (en) Method, apparatus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for a navigation system user interface
JP4550456B2 (ja) 車載ナビゲーション装置、地図配信装置
KR100981172B1 (ko) 안내 서비스 제공 방법 및 그를 위한 내비게이션
JPH08327385A (ja) ナビゲーション装置
JP4421928B2 (ja) ナビゲーション装置
JP2001174279A (ja) 情報表示装置
JP7417372B2 (ja) 経路案内システム、経路案内装置、経路案内方法及びプログラム
WO2011108591A1 (ja) 経路案内装置
JP2010169588A (ja) 情報提供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28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