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81172B1 - 안내 서비스 제공 방법 및 그를 위한 내비게이션 - Google Patents

안내 서비스 제공 방법 및 그를 위한 내비게이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81172B1
KR100981172B1 KR1020080054497A KR20080054497A KR100981172B1 KR 100981172 B1 KR100981172 B1 KR 100981172B1 KR 1020080054497 A KR1020080054497 A KR 1020080054497A KR 20080054497 A KR20080054497 A KR 20080054497A KR 100981172 B1 KR100981172 B1 KR 10098117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i
search
cost
category
pat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544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128647A (ko
Inventor
이지나
Original Assignee
(주)엠앤소프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엠앤소프트 filed Critical (주)엠앤소프트
Priority to KR102008005449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81172B1/ko
Publication of KR2009012864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12864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8117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8117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21/00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 G01C21/26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specially adapted for navigation in a road network
    • G01C21/34Route searching; Route guidance
    • G01C21/36Input/output arrangements for on-board computers
    • G01C21/3679Retrieval, searching and output of POI information, e.g. hotels, restaurants, shops, filling stations, parking faciliti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21/00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 G01C21/26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specially adapted for navigation in a road network
    • G01C21/34Route searching; Route guidance
    • G01C21/3453Special cost functions, i.e. other than distance or default speed limit of road segments
    • G01C21/3476Special cost functions, i.e. other than distance or default speed limit of road segments using point of interest [POI] information, e.g. a route passing visible POI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21/00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 G01C21/26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specially adapted for navigation in a road network
    • G01C21/34Route searching; Route guidance
    • G01C21/36Input/output arrangements for on-board computers
    • G01C21/3697Output of additional, non-guidance related information, e.g. low fuel level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09Arrangements for giving variable traffic instructions
    • G08G1/0962Arrangements for giving variable traffic instructions having an indicator mounted inside the vehicle, e.g. giving voice messages
    • G08G1/0968Systems involving transmission of navigation instructions to the vehicle
    • G08G1/0969Systems involving transmission of navigation instructions to the vehicle having a display in the form of a map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Navig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사용자로부터 관심 카테고리를 입력받는 제 1단계와; 현재 위치로부터 일정 거리 또는 도달 가능 시간 내에 존재하는 관심 카테고리의 POI를 검색하는 제 2단계와; 상기 관심 카테고리에 대한 이벤트 또는 가격 정보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표출하는 제 3단계와; 상기 관심 카테고리의 POI별 도달 경로를 탐색하는 제 4단계와; 상기 탐색에 따른 비용을 산출하여 표출하는 제 5단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안내 서비스 제공 방법 및 그를 위한 내비게이션에 관한 것으로, 주변 관심 POI 중 같은 분류 POI의 세일기간, 세일 품목, 할인율, 행사, 경품 정보 등을 추출하여 비교, 분석하고 도달 거리에 따른 비용까지 산출하여 제공하기 때문에 보다 편리하고 효율적이며 쇼핑을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카테고리, 이벤트, 가격, 비용

Description

안내 서비스 제공 방법 및 그를 위한 내비게이션{Navigation and Method for offering service guidance}
본 발명은 내비게이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관심 카테고리 POI의 이벤트, 가격 또는 도달 거리에 따른 비용을 산출하여 효율적인 쇼핑 정보를 제공하는 안내 서비스 제공 방법 및 그를 위한 내비게이션에 관한 것이다.
요즘 많은 내비게이션들이 출시되고 있는 가운데 다양한 기능들로 운전자들을 유혹하고 있다. 그 중 한가지인 통합검색 기능은 자주 가는 인터넷 사이트를 즐겨찾기 하듯 자주 사용하는 메뉴는 MY MENU로 등록하여 한번 등록하면 QUICK 메뉴로 자주 이용하는 메뉴를 빠르고 쉽게 찾아갈 수 있도록 해준다.
즉, 관심정보지역(POI·point of interest)이라는 기능인데, 현재의 경로위에 있는 의미있는 POI들을 이용하겠다는 개념이다.
예를 들어, 화면의 일 부분에 출발지에서 목적지로 이동하는 경로 위에 위치해 있는 모든 백화점 정보를 리스트업 할 수 있게 되어 사용자는 백화점이 필요할 경우 이동하는 경로상에서 순차적으로 가까운 POI를 이용하여 쇼핑하면 되는 것이다.
경로상 POI는 필요에 따라 백화점, 마트, 전자제품 상가 등 사용자가 원하는 종별로 변경 이용할 수 있다.
그러나, 사용자가 백화점, 마트, 전자제품 상가 등 가격 정보 또는 세일 품목을 모두 알 수 없기 때문에 여러 장소에 다니면서 직접 비교하여 쇼핑하기 때문에 시간이 많이 걸리고, 이동에 따른 비용도 많이 들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현재 위치에서 일정 범위 내에 존재하는 같은 분류의 POI를 비교 또는 도달 가능 시간에 따른 비용을 계산하여 효율적인 쇼핑 정보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안내 서비스 제공 방법 및 그를 위한 내비게이션은 주변 관심 POI 중 같은 분류 POI의 세일기간, 세일 품목, 할인율, 행사, 경품 정보 등을 추출하여 비교, 분석하고 도달 거리에 따른 비용까지 산출하여 제공하기 때문에 보다 편리하고 효율적이며 쇼핑을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사업자 입장에서는 광고효과까지 낼 수 있는 유용한 서비스며, 쇼핑뿐만 아니라, 음식점, 영화관, 호텔 등 여러 분야에 적용될 수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안내 서비스 제공 방법은 사용자로부터 관심 카테고리를 입력받는 제 1단계와; 현재 위치로부터 일정 거리 또는 도달 가능 시간 내에 존재하는 관심 카테고리의 POI를 검색하는 제 2단계와; 상기 관심 카테고리에 대한 이벤트 또는 가격 정보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표출하는 제 3단계와; 상기 관심 카테고리의 POI별 도달 경로를 탐색하는 제 4단계와; 상기 탐색에 따른 비용을 산출하여 표출하는 제 5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내비게이션은 GPS로부터 위치정보를 수신하는 수신부와; 관심 카테고리를 입력받는 입력부와; 현재 위치로부터 관심 카테고리의 POI를 검색하여 이벤트 또는 가격 정보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표출하고, 상기 관심 카테고리의 POI별 도달 경로를 탐색함과 동시에 탐색에 따른 비용을 산출하는 제어부와; 상기 관심 카테고리 POI의 이벤트 또는 가격 정보를 표출하는 표시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술한 목적, 특징들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통하여 보다 분명해질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내비게이션의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수신부(100)는 GPS로부터 위치정보를 수신한다. 또한, 수신부(100)는 양방향 무선통신 정보를 추가로 수신한다. 즉, 본 발명은 또 하나의 수신부(미도시)인 정보수신부를 추가로 구성하고 있다.
상기 정보수신부는 양방향 무선통신 정보를 수신하는데, 실시간 도로의 교통 정보를 반영한 도로의 교통상황과 소통 속도 등을 미리 알려준다.
바람직하게, 상기 양방향 무선통신의 일 예로 TPEG을 들 수 있다.
입력부(110)는 유저 인터페이스로서, 복수의 기능 키를 구비하고, 상기 키들 에 대한 키 신호를 제어부(150)로 출력한다.
바람직하게, 사용자로부터 관심 카테고리를 입력받는다.
메모리(120)는 상기 내비게이션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는 소정 프로그램과 상기 내비게이션의 제어동작이 수행될 때 입출력되는 각종 데이터들을 저장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메모리(120)는 관심 카테고리의 세일기간, 세일 품목, 할인율, 행사, 경품 등 POI에 관련된 정보를 상기 수신부(100)를 통해 수시로 업데이트 한다.
음향출력부(130)는 내비게이션에 구비된 스피커로 구성되며, 제어부(150)의 제어에 의해 메모리(120)에 저장된 음향신호를 가청음 상태로 출력한다.
표시부(140)는 상기 관심 카테고리 POI의 이벤트 또는 가격 정보를 표출한다.
제어부(150)는 현재 위치로부터 관심 카테고리의 POI를 검색하여 이벤트 또는 가격 정보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표출하고, 상기 관심 카테고리의 POI별 도달 경로를 탐색함과 동시에 탐색에 따른 비용을 산출한다.
또한, 제어부(150)는 현재 위치로부터 일정 거리 또는 도달 가능 시간 내에 존재하는 관심 카테고리의 POI를 검색한다.
상기 일정 거리는 현재 차량을 중심 반경으로 검색하거나 차량 주행 방향을 기준으로 편심되게 구성하여 검색한다.
상기 편심되게 구성한다는 뜻은 차량을 중심점으로 하여 반경을 검색한다는 의미가 아니라 차량 주행 방향에 대한 특정 방향으로 중심점을 옮긴다는 뜻이다.
즉, 차량 주행 방향이 전방으로 향하고 있으면, 검색 반경을 좌,우,후방 쪽보단 전방에 가중치를 좀 더 두어서 검색한다.
또한, 관심 카테고리의 POI를 검색할 때, 도달 가능 시간도 고려하는데, 이는 도로 구간이 정체, 지체 등으로 인하여 비록 원하는 정보의 POI를 검색하더라고 사용자로 하여금 다른 장소의 POI로 경로 안내를 할 수 있도록 한다.
결국, 제어부(150)는 탐색 경로에 따른 비용을 산출할 때, 도로 정체 구간을 고려하여 안내한다.
또한, 제어부(150)는 상기 탐색에 따른 비용을 해당 POI의 도달 시간 비용 또는 연료비용 중 어느 하나 이상을 고려하여 산출한다.
또한, 제어부(150)는 상기 탐색 경로에 따른 비용을 산출할 때, 차량의 주행 시간을 금액으로 환산하여 비용을 산출한다.
예를 들어, 시속 50km로 이동시, 1분을 500원으로 환산하여 산출하는 것이다.
또한, 제어부(150)는 상기 탐색에 따른 비용을 산출하여 표출한 후, 입력부를 통해 선택된 해당 POI의 경로 또는 상기 제어부에서 추천하는 경로를 제공한다. 즉, 관심 카테고리 중 같은 분류의 POI에 대한 이벤트, 가격정보 또는 도달 경로에 따른 비용을 표출하면, 가격이 싸면서 거리가 먼 POI가 있을 수 있고, 가격은 비싸지만 거리가 가까운 POI가 있을 수 있기 때문에 사용자로 선택에 따라 해당 경로를 제공한다. 이때 선택된 POI에 대한 최단 및 최적 경로를 함께 제공한다. 이 것은 일반적인 내비게이션의 최적 경로 탐색 시스템을 적용한 것이다.
또한, 사용자가 선택하지 않으면, 제어부(150)에서 자체적으로 추천 경로를 제공한다. 상기 추천 경로는 가격과 연료비를 고려하여 산출된 데이터이다.
또한, 제어부(150)는 탐색에 따른 비용을 산출하여 표출한 후, 리턴경로의 유,무에 따라 추천 경로를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제공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리턴경로는 경유지 또는 목적지를 의미하는 것으로, 리턴경로가 있으면 가격보다는 시간이 절약될 수 있는 POI를 추천하고, 리턴경로가 없으면 가격이 저렴한 곳의 POI를 추천한다.
또한, 제어부(150)는 관심 카테고리의 POI를 검색하여 표출시, 상기 표시부에 표시되는 POI의 표출 갯수를 제어한다.
즉, 현재 위치로부터 반경 200m 이내의 관심 카테고리를 검색했는데, 수십개의 POI가 검색되면, 표시부(140)에 표출할 수 있는 POI가 너무 많아서 시인성이 떨어진다. 따라서 표시부(140)에 표출되는 POI의 갯수를 제어한다.
이하, 도 2를 통해 사용자가 관심 카테고리를 선택하여 효율적인 쇼핑을 할 수 있는 방법에 대해 알아본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안내 서비스 제공 방법의 일 실시예 흐름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사용자로부터 관심 카테고리를 입력받는다(S200). 상기 관심 카테고리는 백화점, 마트, 전자제품 상가, 서점 등 상업 시설을 의미한다.
그리고, 현재 위치로부터 일정 거리 또는 도달가능 시간 내에 존재하는 관심 카테고리의 POI를 검색한다(S210).
바람직하게, 상기 관심 카테고리의 POI를 검색시, 차량을 중심 반경으로 검색하거나 차량 주행 방향을 기준으로 편심되게 구성하여 검색한다.
상기 검색된 관심 카테고리에 대한 이벤트 또는 가격 정보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표출한다(S220).
바람직하게, 상기 이벤트는 해당 카테고리의 세일기간, 품목, 할인율, 행사 또는 경품 중 어느 하나 이상인 것이다.
이벤트 또는 가격 정보뿐만 아니라 도달 경로 탐색을 위한 교통 정보는 TPEG을 통해 실시간으로 수신하기 때문에 해당 POI의 이벤트 또는 가격 정보는 수시로 업데이트 된다.
이벤트 또는 가격 정보 외에 현재 위치에서 해당 POI까지 이동하는 시간도 고려해야하기 때문에 관심 카테고리의 POI별 도달 경로를 탐색한다(S230).
그리고, 탐색에 따른 비용을 산출하여 표출한다(S240).
바람직하게, 상기 탐색 경로에 따른 비용을 산출할 때, 도로 정체 구간을 고려하여 안내한다. 상기 도로 정체 구간은 TPEG 정보를 수신하기 때문에 실시간으로 알 수 있다.
보다 더 바람직하게, 상기 탐색에 따른 비용은 해당 POI의 도달 시간 또는 연료비용 중 어느 하나 이상이다.
또한, 상기 도달 시간 비용은 차량의 주행 시간을 금액으로 환산하여 비용을 산출한다.
예를 들어, 시속 30km로 1분간 이동하면 300원이 소요된다고 가정하여 산출 한다. 상기 차량의 주행 시간을 금액으로 환산하는 것을 주유소 유류의 평균값을 반영한 값이다.
또한, 상기 탐색에 따른 비용을 산출하여 표출한 후, 사용자로부터 선택된 해당 POI의 경로 또는 내비게이션에서 추천하는 경로를 제공한다.
예를 들어, 전자제품을 사려고 하는데, 같은 분류의 POI를 비교한 결과, 약 10분 정도 소요되는 A지점 POI가 가장 저렴하다면, A지점으로 이동하겠지만, 사용자가 바쁜 용무가 있어서 5분 이내로 쇼핑을 해야 한다면, 비록 가격이 좀 비싸더라도 가까운 타 지점의 POI를 이용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타 지점의 POI에 대한 경로를 안내한다.
또한, 상기 탐색에 따른 비용을 산출하여 표출한 후, 리턴경로의 유,무에 따라 추천 경로를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제공한다.
상기 리턴경로는 경유지 또는 목적지로서 같은 분류의 POI별 이벤트 또는 가격 정보와 함께 도달 예상 시간은 표출한 후, 리턴경로의 유,무에 따라 추천 경로를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제공한다. 먼저, 리턴경로가 없는 경우를 설명하기로 한다. 전방 5km에 위치한 A라는 POI의 텔레비전이 이벤트 또는 가격 정보를 산출했을 때, 가장 저렴하다면 상기 A라는 POI를 추천 경로로 안내한다. 다음, 리턴경로가 있는 경우를 설명하기로 한다.
전방 10km에 위치한 A라는 POI의 냉장고가 이벤트 또는 가격 정보를 산출했을 때, 가장 저렴하지만 목적지는 후방 30km에 위치한다. 그런데 후방 10km에 위치한 B라는 POI의 냉장고는 A라는 POI의 냉장고보다 1만원 더 비싸다. 비록 A라는 POI의 냉장고가 저렴하지만, 목적지가 후방에 위치하고 있기 때문에 도달 시간대비 연료비용을 따진다면 B라는 POI의 냉장고를 구입하는데 이익이다. 따라서 추천경로를 B라는 POI로 안내한다.
또한, 관심 카테고리의 POI를 검색하여 표출시, 상기 POI의 표출 갯수를 제어한다. 즉, 반경 500m 이내의 미용실을 검색했는데, 그 숫자가 100여 개나 된다면 오히려 시인성이 떨어질 수 있기 때문에, 예를 들어 POI의 표출 수를 1O개 또는 30개 등으로 설정하거나 POI의 수에 따라 검색 반경을 자동으로 넓히거나 줄이도록 한다.
도 3a 내지 도 3b는 본 발명에 따른 관심 카테고리를 검색하기 위한 반경 검색 방법을 나타낸 일 실시예 화면 설명도이다.
도 3a는 현재 위치에서 차량을 중심으로 관심 카테고리를 검색하기 위한 화면이다.
도 3b는 현재 위치에서 차량 주행 방향을 기준으로 편심되게 구성하여 관심 카테고리를 검색하기 화면이다. 차량이 전방을 향해 주행하고 있기 때문에 후방은 제외하고, 좌, 우측 방향과 전방에 가중치를 좀 더 두어서 검색을 한다.
도 4a 내지 도 4c는 본 발명에 따른 안내 서비스 제공 방법을 나타낸 일 실시예 화면 설명도이다.
도 4a를 참조하면, 사용자가 관심 카테고리를 "전자상가"로 선택하면 화면에 현재 위치로부터 일정 거리 또는 도달 가능시간 내에 존재하는 전자 상가를 표시한 화면이다. 상기 도달 가능시간은 현재 위치에서 일정 시간 내에 도착할 수 있는 시 간을 의미하는 것으로, 예를 들어 A에서 F지점까지 10분 내로 도착할 수 있는 지점을 의미한다.
도 4b는 검색된 전자상가에 대한 이벤트 또는 가격 정보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표출한 화면으로서, 상기 이벤트는 해당 전자상가의 세일기간, 품목, 할인율, 행사 또는 경품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의미한다. 이벤트 또는 가격 정보는 화면에 버블 상태로 표출하거나 아이콘으로만 표시하고, 화면의 일부분에 상세 정보를 표출할 수도 있다.
바람직하게, 도4b에서는 전자상가의 물품 중 냉장고에 대한 이벤트와 가격 정보를 제공한다.
도 4c는 각각의 냉장고에 대한 이벤트 또는 가격정보와 더불어 현재 위치에서 각각의 전자상가에 도달 가능한 시간을 나타낸다. 또한, 일정 시간단위를 금액으로 환산하여 비용으로 산출한 정보를 함께 표출한다. 예를 들어, 1분을 1000원으로 환산하여 산출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비용은 해당 POI의 도달 시간 비용 또는 연료비용 중 어느하나 이상이다.
따라서, 사용자는 A에서부터 F지점의 냉장고 가격과 이벤트 그리고 탐색에 따른 비용을 분석한 데이터를 보고 편리하게 쇼핑을 할 수 있다.
좀더 자세히 설명하면, 텔레비전을 구입하고자 하는 사람이 쇼핑을 위해 집을 나섰다. 집에서 차를 타고 5분밖에 걸리지 않는 한 전자상가에서 여름맞이 특가 세일로 A사 텔레비전을 100만원에 판매한다. 그런데 집에서부터 15분이 걸리는 한 A사 전자제품 대리점에서는 여름맞이 특가 세일 뿐만 아니라 개점 1주년 이벤트로 모든 상품의 10%를 더 할인해주어 같은 텔레비전을 90만원에 판매한다. 그리고 집에서 A사 전자제품 대리점으로 이동하는 연료비용은 5만원이 나왔다.
비록 A사 대리점은 보다 먼 거리에 있지만, 그 곳까지 가는 비용을 감안하다라도 저렴한 가격에 텔레비전을 구입할 수 있다.
정리하면, 본 발명은 현재 위치에서 어디로 가는 것이 가장 저렴한 가격에 최상의 서비스를 누릴 수 있는지 제공해 주는 서비스로서 사용자가 항상 모든 정보를 파악하고 인지할 수 없으므로 이러한 서비스를 통해 보다 편리하고 효율적인 쇼핑을 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있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므로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내비게이션의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안내 서비스 제공 방법의 일 실시예 흐름도이다.
도 3a 내지 도 3b는 본 발명에 따른 관심 카테고리를 검색하기 위한 반경 검색 방법을 나타낸 일 실시예 화면 설명도이다.
도 4a 내지 도 4c는 본 발명에 따른 안내 서비스 제공 방법을 나타낸 일 실시예 화면 설명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호에 대한 설명>
100 : 수신부 110 : 키입력부
120 : 메모리 130 : 음향출력부
140 : 표시부 150 : 제어부

Claims (21)

  1. 사용자로부터 관심 카테고리를 입력받는 제 1단계;
    현재 위치로부터 일정 거리 또는 도달 가능 시간 내에 존재하는 관심 카테고리의 POI를 검색하는 제 2단계;
    상기 관심 카테고리에 대한 이벤트 또는 가격 정보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표출하는 제 3단계;
    상기 관심 카테고리의 POI별 도달 경로를 탐색하는 제 4단계; 및
    상기 탐색에 따른 비용을 산출하여 표출하는 제 5단계
    로 이루어지되,
    상기 탐색에 따른 비용은 해당 POI의 도달 시간 비용 또는 연료비용 중 어느 하나 이상이고, 상기 5단계 이후 리턴경로의 유,무에 따라 추천 경로를 적어도 하나 이상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내 서비스 제공 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관심 카테고리는 상업 시설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내 서비스 제공 방법.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이벤트는 해당 카테고리의 세일기간, 품목, 할인율, 행사 또는 경품 중 어느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내 서비스 제공 방법.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2단계에서 관심 카테고리의 POI를 검색시, 차량을 중심 반경으로 검색하거나 차량 주행 방향을 기준으로 편심되게 구성하여 검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내 서비스 제공 방법.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3단계의 관심 카테고리에 대한 이벤트 또는 가격 정보와 상기 제 4단계에의 도달 경로 탐색을 위한 교통정보는 양방향 무선통신을 통해 실시간으로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내 서비스 제공 방법.
  6. 제 1항 내지 제 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5단계에서 탐색 경로에 따른 비용을 산출할 때, 도로 정체 구간을 고려하여 안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내 서비스 제공 방법.
  7. 삭제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도달 시간 비용은 차량의 주행 시간을 금액으로 환산하여 비용을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내 서비스 제공 방법.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탐색에 따른 비용을 산출하여 표출한 후, 사용자로부터 선택된 해당 POI의 경로 또는 내비게이션에서 추천하는 경로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내 서비스 제공 방법.
  10. 삭제
  11.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관심 카테고리의 POI를 검색하여 표출시, 상기 POI의 표출 갯수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내 서비스 제공 방법.
  12. GPS로부터 위치정보를 수신하는 수신부;
    관심 카테고리를 입력받는 입력부;
    현재 위치로부터 관심 카테고리의 POI를 검색하여 이벤트 또는 가격 정보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표출하고, 상기 관심 카테고리의 POI별 도달 경로를 탐색함과 동시에 탐색에 따른 비용을 산출하는 제어부; 및
    상기 관심 카테고리 POI의 이벤트 또는 가격 정보를 표출하는 표시부
    로 이루어지되,
    상기 제어부는 상기 탐색에 따른 비용을 해당 POI의 도달 시간 비용 또는 연료비용 중 어느 하나 이상을 고려하여 산출하고, 상기 산출된 상기 탐색에 따른 비용을 산출하여 표출한 후 리턴경로의 유,무에 따라 추천 경로를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비게이션.
  13.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현재 위치로부터 일정 거리 또는 도달 가능 시간 내에 존재하는 관심 카테고리의 POI를 검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비게이션.
  14.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부는 양방향 무선통신 정보를 추가로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비게이션.
  15.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관심 카테고리의 POI를 검색시, 차량을 중심 반경으로 검색하거나 차량 주행 방향을 기준으로 편심되게 구성하여 검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비게이션.
  16.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탐색 경로에 따른 비용을 산출할 때, 도로 정체 구간을 고려하여 안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비게이션.
  17. 삭제
  18.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탐색 경로에 따른 비용을 산출할 때, 차량의 주행 시간을 금액으로 환산하여 비용을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비게이션.
  19.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탐색에 따른 비용을 산출하여 표출한 후, 입력부를 통해 선택된 해당 POI의 경로 또는 상기 제어부에서 추천하는 경로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비게이션.
  20. 삭제
  21.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관심 카테고리의 POI를 검색하여 표출시, 상기 표시부에 표시되는 POI의 표출 갯수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비게이션.
KR1020080054497A 2008-06-11 2008-06-11 안내 서비스 제공 방법 및 그를 위한 내비게이션 KR10098117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54497A KR100981172B1 (ko) 2008-06-11 2008-06-11 안내 서비스 제공 방법 및 그를 위한 내비게이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54497A KR100981172B1 (ko) 2008-06-11 2008-06-11 안내 서비스 제공 방법 및 그를 위한 내비게이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28647A KR20090128647A (ko) 2009-12-16
KR100981172B1 true KR100981172B1 (ko) 2010-09-10

Family

ID=416888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54497A KR100981172B1 (ko) 2008-06-11 2008-06-11 안내 서비스 제공 방법 및 그를 위한 내비게이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8117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26405B1 (ko) * 2013-01-25 2013-11-20 팅크웨어(주) 관심지점 안내장치 및 방법
KR101865729B1 (ko) * 2016-06-23 2018-06-08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전기자동차 경로 안내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955524B1 (ko) * 2016-09-30 2019-03-07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지능형 정보 추천 시스템, 방법 및 그에 대한 기록매체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184030A (ja) * 2004-12-24 2006-07-13 Onepass:Kk ナビゲーション装置
KR100767594B1 (ko) 2006-04-27 2007-10-17 팅크웨어(주) 경로와 연관된 테마존 제공 방법 및 시스템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184030A (ja) * 2004-12-24 2006-07-13 Onepass:Kk ナビゲーション装置
KR100767594B1 (ko) 2006-04-27 2007-10-17 팅크웨어(주) 경로와 연관된 테마존 제공 방법 및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28647A (ko) 2009-12-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813874B2 (en) On-vehicle navigation system, route guide method, and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KR102195831B1 (ko) 이동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US8924157B2 (en) Navigation device
US6728635B2 (en) Landmark update system and navigation device
US20080120021A1 (en) Guide Route Search Device, Guide Route Search Method, and Computer Program Thereof
US20090105947A1 (en) Computer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Warnings to a User for Completing Tasks From the Task List
US20110144908A1 (en) Method of locating nearby low priced items using a personal navigation device
JP2010513989A (ja) 移動地図作成のための仮想位置マーカー
US20060111838A1 (en) System and method for displaying vehicle location information
JP6223378B2 (ja) ナビゲーションサーバシステム及びナビゲーション方法
JP2007193391A (ja) 施設選択装置及び施設選択方法
JP4736714B2 (ja) ナビゲーション装置
JP4097029B2 (ja) ナビゲーション装置およびその装置における探索経路の表示方法
JP2023179712A (ja) 経路案内装置、制御方法、プログラム及び記憶媒体
KR100981172B1 (ko) 안내 서비스 제공 방법 및 그를 위한 내비게이션
JP5780030B2 (ja) カーナビゲーション装置
US20110166778A1 (en) Information providing device and information providing system
US20080306685A1 (en) Method, system and computer program for exploiting idle times of a navigation system
KR101039902B1 (ko) 우회비용을 고려한 주변 poi 정보를 제공하는 내비게이션 시스템
KR20070101558A (ko) 네비게이션의 목적지 탐색 및 추천 경유지 안내방법
JP3389693B2 (ja) 車両用経路誘導装置
KR101535347B1 (ko) 클라우드 데이터를 활용한 사용자 맞춤 내비게이션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그 운영방법
JP2004286455A (ja) ナビゲーション装置、ナビゲーション方法、そのプログラム及びその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記録媒体
KR20170064700A (ko) 내비게이션 시스템 이의 관심 지점 제공 방법
JP6515681B2 (ja) 目的地取得システム、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0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0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0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0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29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27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25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