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91128B1 - 스마트 진료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스마트 진료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91128B1
KR101091128B1 KR1020100071943A KR20100071943A KR101091128B1 KR 101091128 B1 KR101091128 B1 KR 101091128B1 KR 1020100071943 A KR1020100071943 A KR 1020100071943A KR 20100071943 A KR20100071943 A KR 20100071943A KR 101091128 B1 KR101091128 B1 KR 10109112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medical
prescription
reservation
bar co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719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지현철
Original Assignee
(주)쓰리제이커뮤니케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쓰리제이커뮤니케이션 filed Critical (주)쓰리제이커뮤니케이션
Priority to KR102010007194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9112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9112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9112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4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 G16H40/4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for the management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e.g. scheduling maintenance or upgrade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patient-related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0/6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patient-related medical or healthcare data for patient-specific data, e.g. for electronic patient record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2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rapies or health-improving plans, e.g. for handling prescriptions, for steering therapy or for monitoring patient compliance
    • G16H20/1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rapies or health-improving plans, e.g. for handling prescriptions, for steering therapy or for monitoring patient compliance relating to drugs or medications, e.g. for ensuring correct administration to patient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4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 G16H40/2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e.g. managing hospital staff or surgery roo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Epidemi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dical Treatment And Welfare Office Work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스마트 진료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본 발명의 스마트 진료 시스템 및 방법은 사용자로부터 진료예약정보를 수신하여 예약바코드정보를 생성하는 병원서버; 상기 예약바코드정보에 따라 진료접수를 수행하는 병원 스마트 진료단말; 및 상기 병원서버로부터 상기 예약바코드정보를 수신한 후, 출력하여 상기 병원 스마트 진료단말에 전달하는 개인단말; 을 포함하되, 상기 병원 스마트 진료단말은 상기 진료예약이 완료되면, 상기 사용자에게 진료차례, 수납안내 및 처방전바코드정보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본 발명의 스마트 진료 시스템 및 방법은 병원 진료절차를 편리하고 신속하게 진행할 수 있다.

Description

스마트 진료 시스템 및 방법{Smart treatment process system and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스마트 진료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병원 진료절차를 편리하고 신속하게 진행할 수 있는 스마트 진료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들어, 데이터 통신기술의 급속한 발전은 초고속 전송 네트워크의 대중화를 가져왔으며 이는 통신 기술의 발달과 맞물려 기존에 오프라인에서 직접 행하여 지던 여러 가지 서비스를 원격지에서 온라인으로 수행 가능하도록 하는 기반이 되고 있다.
이러한 통신기술은 의료분야에도 적용 또는 응용되고 있는데 대표적으로 병원의 진료예약을 들 수 있다.
종래의 진료예약방법을 살펴보면, 대학병원과 같은 대형병원에서 자체적으로 많은 비용을 들여 자체적인 웹사이트를 운영하고, 상기 대형병원에 진료를 예약하고자 하는 환자 또는 환자의 보호자는 상기 웹사이트에 접속하여, 진료예약을 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경우, 상기 환자 또는 환자의 보호자가 컴퓨터를 사용하는데 있어 어려움을 겪는 노인 또는 장애인인 경우, 병원의 웹사이트를 통한 진료예약을 원활하게 수행하기 어렵다.
이와 달리, 대학병원과 같이 웹사이트를 자체적으로 구축할 만한 자본력이 있는 소수의 대형병원을 제외하고, 일반병원의 경우에는 자체적인 웹사이트를 구축하는데 드는 비용으로 인하여 자체적인 웹사이트를 운영하지 못하고 있다.
이에 따라, 환자 또는 환자의 보호자는 직접 해당병원에 방문하거나, 전화접수를 통해서만 진료예약을 할 수 있었다.
또한, 환자 또는 환자의 보호자는 진료를 받고, 다시 원무과에 줄을 서서 진료비용을 납부하고 있다. 하지만, 이러한 진료비용 납부방법은 각종 진료와 많은 검사로 인해 심신이 힘든 환자 또는 환자의 보호자에게 진료비용 납부를 위해 별도의 시간소모 및 잦은 이동으로 인한 체력적인 피로감을 주고 있다.
게다가, 병원의 진료비용을 납부한 환자 또는 환자의 보호자는 다시 의사로부터 종이처방전을 발급받아, 근처 약국에 줄을 서서 기다려야만 처방약을 받을 수 있었다.
이로 인하여, 이미 많은 검사와 진료를 통해 심신이 피곤해진 환자 또는 환자의 보호자는 다시 처방약 수급 및 납부를 위해 많은 시간을 소모해야만 했었다.
뿐만 아니라, 개개인의 환자마다 각각의 종이로 된 처방전이 발급됨에 따라, 자원낭비를 일으킬 수 있고, 낱장의 종이처방전을 들고 이동함에 따라, 환자의 개인정보가 외부로 노출될 가능성이 있으며, 종이처방전이 분실되는 문제점이 발생했다.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특히 사용자가 진료절차 (예를 들면, 진료접수 및 진료비용)를 진행할 때, 별도의 시간소모 없이 신속하고 편리하게 진행할 수 있는 스마트 진료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사용자가 종이처방전 없이도 처방약을 받을 수 있는 스마트 진료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위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한 특징에 따른 스마트 진료 시스템은 사용자로부터 진료예약정보를 수신하여 예약바코드정보를 생성하는 병원서버; 상기 예약바코드정보에 따라 진료예약을 수행하는 병원 스마트 진료단말; 및 상기 병원서버로부터 상기 예약바코드정보를 수신한 후, 출력하여 상기 병원 스마트 진료단말에 전달하는 개인단말;을 포함하되, 상기 병원 스마트 진료단말은 상기 진료예약이 완료되면, 상기 사용자에게 진료차례, 수납안내 및 처방전바코드정보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특히, 병원 내 접수영역, 대기영역 및 수납영역 중 적어도 하나의 영역에 하나 이상씩 구비되어 있는 병원 스마트 진료 단말을 포함할 수 있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처방전바코드정보를 해석하는 약국 스마트 진료 단말;을 더 포함하고, 상기 처방전바코드정보를 수신한 후, 출력하여 상기 약국 스마트 진료 단말에 전달하는 개인단말을 포함할 수 있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개인단말로부터 상기 사용자에 대한 진료예약정보를 수신하는 수신부; 수신한 상기 진료예약정보에 따라 진료접수를 처리하는 진료예약처리부; 상기 사용자에 대한 진료접수를 처리함에 따라, 예약완료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예약완료정보를 바코드화 또는 QR코드화하여 예약바코드정보를 생성하는 예약바코드정보생성부; 상기 예약바코드정보를 상기 개인단말로 전송하는 송신부;를 포함하는 병원서버를 포함할 수 있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개인단말로부터 출력된 진료접수처리에 따른 예약바코드정보를 스캔하여 수신하는 수신부; 상기 예약바코드정보에 분석하여 상기 사용자의 진료대기순서를 나타내는 진료대기자명단정보를 생성하는 진료대기자명단생성부; 상기 사용자로부터 제공받은 병원진료에 따른 진료비용을 수납하는 진료비용수납부; 수납한 진료비용에 수납완료정보 및 진료에 따른 처방전정보를 생성하고, 생성한 상기 수납완료정보 및 상기 처방전정보를 바코드화 또는 QR코드화하여 처방전바코드정보를 생성하는 처방전바코드정보생성부; 상기 진료대기자명단정보와 상기 수납완료정보 및 상기 처방전바코드정보를 상기 개인단말로 무선통신을 통해 전송하는 송신부; 상기 진료대기자명단정보를 외부로 출력하는 출력부;를 포함하는 병원 스마트 진료 단말을 포함할 수 있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사용자로부터 진료예약을 위한 진료예약정보를 입력 받는 입력부; 병원진료를 예약하고자 하는 사용자에 대한 진료예약정보를 상기 병원서버로 전송하는 송신부; 상기 병원서버로부터 생성된 상기 예약바코드정보와, 상기 병원 스마트 진료 단말로부터 생성된 상기 진료대기자명단정보 및 진료비용 수납에 따른 수납완료정보와 처방전정보를 바코드화 또는 QR코드화한 처방전바코드정보를 수신하는 수신부; 상기 예약바코드정보와 상기 진료대기자명단정보 및 상기 처방전바코드정보를 상기 사용자에게 출력하는 출력부;를 포함하는 개인단말을 포함할 수 있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개인단말로부터 상기 처방전바코드정보를 무선통신을 통해 수신하는 수신부; 상기 처방전바코드정보를 분석하여 처방전정보를 확인하는 바코드정보분석부; 상기 처방전정보를 약국 내 약사에게 출력하는 출력부; 처방약조제에 따른 처방비용을 수납하는 처방비용수납부; 상기 처방비용을 수납하여 수납확인정보를 생성하는 수납완료정보생성부;를 포함하되, 상기 출력부는 상기 수납확인정보를 사용자에게 출력하는 것을 포함하는 약국 스마트 진료 단말을 포함할 수 있다.
특히, 사용자의 이름, 나이, 성별, 진료과목, 원하는 진료시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정보인 진료예약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특히, 상기 진료예약정보에 따라 진료예약을 완료한 예약완료정보를 바코드화 또는 QR코드화한 예약바코드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특히, 상기 사용자의 이름, 나이, 약품의 명칭, 상기 약품의 분류사항, 상기 약품의 조제방법, 상기 약품의 복용방법, 상기 약품의 주의사항, 상기 약품의 용량, 의사 및 약사의 서명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포함하는 처방전바코드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위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른 스마트 진료 방법은 병원서버가 병원에 진료예약을 하고자 하는 사용자로부터 진료예약정보를 입력받는 진료예약정보입력단계; 병원서버가 수신한 진료예약정보에 따라 상기 사용자의 진료접수를 수행하고, 예약완료정보를 생성한 후, 이를 바코드화 또는 QR코드화한 예약바코드정보를 상기 개인단말로 무선통신을 통해 전송하는 예약바코드정보생성단계; 상기 개인단말이 상기 병원서버로부터 수신한 상기 예약바코드정보를 출력하고, 병원 스마트 진료 단말이 상기 예약바코드정보를 스캔하는 예약바코드정보스캔단계; 및 상기 병원 스마트 진료 단말이 스캔한 상기 예약바코드정보를 분석하여 상기 사용자의 진료대기순서를 나타내는 진료대기자명단정보를 생성하고, 생성한 상기 진료대기자명단정보를 상기 개인단말로 전달하거나, 외부로 출력하는 진료대기자명단정보생성단계;를 포함하여, 병원의 진료접수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병원 스마트 진료 단말이 상기 사용자로부터 진료비용을 수납하는 진료비용수납단계; 상기 병원 스마트 진료 단말이 상기 진료비용의 수납을 완료하면, 수납한 진료비용에 대한 수납완료정보 및 처방전바코드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개인단말로 무선통신을 통해 전송하는 처방전바코드정보생성단계;를 더 포함하여, 진료비용의 수납처리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개인단말이 수신한 처방전바코드정보를 출력하는 처방전바코드정보출력단계; 상기 약국 스마트 진료 단말이 상기 처방전바코드정보를 스캔하여, 상기 처방전바코드정보를 분석하고, 분석한 처방전정보를 약사에게 출력하는 처방전바코드정보분석단계; 상기 약국 스마트 진료 단말이 사용자로부터 상기 처방약의 조제에 따른 처방비용을 수납하는 처방약수납단계;를 더 포함하여, 처방약을 수급받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특히, 사용자의 이름, 나이, 성별, 진료과목, 원하는 진료시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정보인 진료예약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특히, 상기 진료예약정보에 따라 진료접수처리한 예약완료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예약완료정보를 바코드화 또는 QR코드화한 예약바코드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특히, 상기 사용자의 이름, 나이, 약품의 명칭, 상기 약품의 분류사항, 상기 약품의 조제방법, 상기 약품의 복용방법, 상기 약품의 주의사항, 상기 약품의 용량, 의사 및 약사의 서명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포함하는 처방전바코드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진료 시스템 및 방법은 환자 또는 환자의 보호자인 사용자가 자신이 가지고 있는 개인단말을 병원에 비치되어 있는 스마트 진료 단말 또는 약국에 비치되어 있는 스마트 진료 단말에 접속함으로써, 진료예약과 진료비용 납부 및 처방약 수급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더불어, 본 발명의 스마트 진료 시스템 및 방법은 사용자가 병원의 진료예약, 진료비용 납부를 위해 원무과에 줄을 서서 기다리는 등의 진료와 상관없이 별도로 소모되는 시간을 최소화시킬 수 있다. 또한, 진료 및 각종 검사로 인해 심신이 피로한 사용자가 이동하는 동선을 줄임으로써, 상기 사용자의 체력소모를 최소화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본 발명의 스마트 진료 시스템 및 방법은 병원 스마트 진료 단말이 처방전바코드정보를 생성하고, 약국 스마트 진료 단말이 상기 처방전바코드정보를 수신 후 분석하여 처방약을 조제하도록 함에 따라, 별도의 종이처방전을 발행하지 않고도 사용자가 처방약을 수급할 수 있어, 종이처방전 발행을 위해 사용되는 종이의 사용량을 줄여 자원낭비를 줄일 수 있다.
더욱이, 본 발명의 스마트 진료 시스템 및 방법은 종이처방전을 발행하지 않고, 처방전바코드정보를 이용하여 처방약이 수급됨에 따라, 상기 종이처방전에 기재된 사용자의 개인정보가 외부로 누출될 가능성을 줄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종이처방전에 대한 분실 및 훼손의 위험을 줄여, 사용자가 종이처방전의 재발행 해야 하는 번거로움을 줄일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스마트 진료 시스템의 개략도이다.
도 2는 도 1의 병원서버의 블록도이다.
도 3은 도 1의 병원 스마트 진료 단말의 블록도이다.
도 4는 도 1의 개인 단말의 블록도이다.
도 5는 도 1의 약국 스마트 진료 단말의 블록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스마트 진료 방법의 순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스마트 진료 시스템에서 사용되는 바코드 및 QR코드의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 예와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스마트 진료 시스템의 개략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스마트 진료 시스템(100)은 병원서버(110)가 사용자로부터 진료예약정보를 수신하여 진료예약을 접수한 후, 예약바코드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예약바코드정보가 병원 내 비치된 병원 스마트 진료단말(120)에 전달되어 진료접수가 완료됨으로써, 사용자에게 진료차례, 수납안내 및 처방전바코드정보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특히,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스마트 진료 단말은 DID단말이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DID 단말이라 함은 디지털정보디스플레이(Digital Information Display)의 약자로서, 기업광고 또는 홍보를 위해 설치 및 운용되는 옥내외용 디스플레이장치를 말한다. 이러한 DID단말은 전광판을 통한 광고활성화와 병원, 쇼핑몰, 호텔 등과 같이 유동인구가 많은 지역에서 사용될 수 있는 새로운 홍보수단의 하나로 이용되고 있다. 특히, 상기 DID단말은 액정표시장치 즉, 엘씨디(LCD) 패널을 사용함으로써, 그 개발비가 종래의 발광다이오드 즉 엘이디(LED)를 사용하는 광고판과 대비하여 30% 이하일 뿐만 아니라, 네트워크 등과 연동이 자유로움에 따라, 현재 그 수요가 급격히 증가하고 있는 장치이다.
이러한 스마트 진료 시스템(100)은 병원서버(110), 병원 스마트 진료 단말(120), 개인단말(130) 및 약국 스마트 진료 단말(140)을 포함한다.
이하,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스마트 진료 시스템의 병원서버에 대하여 자세히 살펴보도록 한다.
도 2는 도 1의 병원서버의 블록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스마트 진료 시스템(100)의 병원서버(110)는 수신부(112), 진료예약처리부(114), 예약바코드정보생성부(116), 송신부(118)를 포함한다.
수신부(112)는 상기 사용자의 진료예약 시 필요한 진료예약정보를 수신한다. 이 때, 상기 진료예약정보라 함은, 진료를 받고자 하는 사용자의 이름, 나이, 성별, 진료과목, 원하는 진료시간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포함한다.
진료예약처리부(114)는 상기 수신부(112)에서 수신한 상기 진료예약정보에 따라 상기 사용자의 진료접수를 처리한다.
예약바코드정보생성부(116)는 상기 진료예약처리부(114)에서 상기 사용자에 대한 진료접수를 처리함에 따라 예약완료정보를 생성하고, 생성된 예약완료정보를 바코드화 또는 QR코드화하여 예약바코드정보를 생성한다.
이러한, 예약바코드정보는 도 7의 (a),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진료예약정보에 대응하여 진료접수가 처리됨에 따라 생성된 예약완료정보가 바코드화 또는 QR코드화된 것으로서, 상기 사용자단말로 전달된다.
이 때, 사용되는 바코드는 컴퓨터가 읽고 입력하기 쉬운 형태로 만들기 위해, 문자나 숫자를 흑과 백의 막대 기호와 조합한 코드를 말하는 것으로서, 광학식 마크판독장치로 자동 판독되며, 상품의 종류, 도서 분류, 신분증명서 등에 사용된다.
뿐만 아니라, 이러한 바코드 외에 사용되는 QR코드는 흑백 격자 무늬 패턴으로 정보를 나타내는 매트릭스 형식의 이차원 바코드로서, 형식과 내용을 확장한 2차원의 바코드임에 따라 종횡의 정보를 가져서 숫자 외에 문자의 데이터를 저장한다.
송신부(118)는 상기 예약바코드정보를 무선통신을 통해 상기 개인단말(130)로 전송한다.
이하,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스마트 진료 시스템의 병원 스마트 진료 단말에 대하여 자세히 살펴보도록 한다.
도 3은 도 1의 병원 스마트 진료 단말의 블록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스마트 진료 시스템(100)의 병원 스마트 진료 단말(120)은 수신부(121), 진료대기자명단생성부(122), 진료비용수납부(123), 처방전바코드정보생성부(124), 송신부(125) 및 출력부(126)를 포함하며, 병원 내 접수영역, 대기영역 및 수납영역 중 적어도 하나의 영역에 하나 이상씩 구비된다.
수신부(121)는 상기 개인단말(130)로부터 출력된 진료접수처리에 따른 예약바코드정보를 스캔한다.
진료대기자명단생성부(122)는 스캔한 상기 예약바코드정보를 분석하여 상기 사용자의 진료대기순서 및 대기시간을 나타내는 진료대기자명단정보를 생성한다.
진료비용수납부(123)는 상기 사용자가 결제한 병원진료에 따른 진료비용을 수납한다.
처방전바코드정보생성부(124)는 진료비용의 수납완료에 따른 수납완료정보 및 진료에 따른 처방전정보를 생성하고, 생성한 상기 처방전정보를 바코드화 또는 QR코드화하여 처방전바코드정보를 생성한다.
이러한, 상기 처방전바코드정보는 사용자의 이름, 나이 및 진료에 따른 약품의 명칭, 상기 약품의 분류사항, 상기 약품의 조제방법, 상기 약품의 복용방법, 상기 약품의 주의사항, 상기 약품의 용량, 의사 및 약사의 서명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포함한다. 이처럼, 상기 처방전바코드정보는 처방전정보를 바코드화 또는 QR코드화되어 무선통신을 통해 상기 개인단말로 전달되므로, 별도의 종이처방전을 사용하지 않고도, 기존의 종이처방전에 포함된 여러 처방전정보를 개인단말이 수신한다.
송신부(125)는 상기 진료대기자명단정보와 상기 수납완료정보 및 상기 처방전바코드정보를 상기 개인단말(130)로 무선통신을 통해 전송하되, 상기 진료대기자명단정보를 출력부(126)로도 전달한다.
출력부(126)는 상기 진료대기자명단정보를 외부로 출력한다. 이에 따라, 진료예약을 한 사용자는 병원 스마트 진료 단말(120)의 출력부(126) 또는 개인단말(110)의 출력부(116)를 통해 상기 진료대기자명단정보를 확인하여, 자신의 진료대기순서 및 예상대기시간 등을 미리 확인할 수 있게 된다. 이처럼, 사용자는 상기 진료대기자명단정보에 기재된 진료대기순서 및 예상대기시간에 맞춰 진료실에 방문하게 되므로, 병원 내에서 대기시간을 줄일 수 있다.
이하,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스마트 진료 시스템의 개인단말에 대하여 자세히 살펴보도록 한다.
도 4은 도 1의 개인단말의 블록도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스마트 진료 시스템(100)의 개인단말(130)은 입력부(132), 송신부(134), 수신부(136), 출력부(138)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병원 및 약국의 스마트 진료 단말과 통신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구현할 수 있는 것이면 특별한 제한 없이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PMP, PDA, 휴대폰, 스마트폰, 노트북 등과 같은 이동이 가능한 단말에 입력부(132), 송신부(134), 수신부(136), 출력부(138)를 구현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입력부(132), 송신부(134), 수신부(136), 출력부(138)는 별도의 하드웨어로 구성될 수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단말에 다양한 형태로 구성된 어플리케이션이 다운로드되어 해당 단말의 송신 수단, 수신 수단, 출력수단 등을 제어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입력부(132)는 진료를 받고자 하는 사용자로부터 진료예약을 위한 진료예약정보를 입력받는다. 이러한 진료예약정보는 진료를 받고자 하는 사용자의 이름, 나이, 성별, 진료과목, 원하는 진료시간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포함한다.
송신부(134)는 상기 사용자로부터 입력받은 진료예약정보를 상기 병원서버(110)로 무선통신을 통해 전송한다. 이러한 상기 송신부(134)는 병원 내부 곳곳에 설치되어 있는 무선공유기, wi-fi 등을 이용한다. 이러한 송신부(134)는 병원서버에서 진료예약이 완료됨에 따라, 상기 병원서버(110)에서 생성된 예약바코드정보 및 병원 스마트 진료 단말(120)로부터 생성된 진료대기자명단정보를 출력부(138)로 전달한다.
수신부(136)는 상기 병원서버(110)로부터 생성된 상기 예약바코드정보와 상기 병원 스마트 진료 단말(120)로부터 생성된 상기 진료대기자명단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예약바코드정보를 상기 송신부(134)에 전달한다. 또한, 상기 수신부(134)는 진료비용의 수납완료에 따른 수납완료정보와 진료에 따른 처방전정보를 바코드화 또는 QR코드화한 처방전바코드정보를 수신한다.
출력부(138)는 상기 병원서버(110)로부터 생성된 예약바코드정보와 상기 병원 스마트 진료 단말(120)로부터 생성된 진료대기자명단정보 및 상기 병원 스마트 진료 단말(120)로부터 생성된 처방전바코드정보를 외부로 출력한다.
따라서, 진료예약을 한 사용자는 개인단말(110)의 출력부(116) 또는 병원 스마트 진료 단말(120)의 출력부(126)를 통해 진료대기자명단정보를 확인하여, 자신의 진료대기순서 및 예상대기시간 등을 미리 확인할 수 있게 된다. 이처럼, 사용자는 상기 진료대기자명단정보에 기재된 진료대기순서 및 예상대기시간에 맞춰 진료실에 방문하게 되므로, 병원 내에서 대기시간을 줄일 수 있다.
이하,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스마트 진료 시스템의 약국 스마트 진료 단말에 대하여 자세히 살펴보도록 한다.
도 5은 도 1의 약국 스마트 진료 단말의 블록도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스마트 진료 시스템(100)의 약국 스마트 진료 단말(140)은 수신부(141), 바코드정보분석부(143), 출력부(145), 처방비용수납부(147), 수납완료정보생성부(149)를 포함한다.
수신부(141)는 상기 개인단말(130)로부터 상기 처방전바코드정보를 스캔하여 수신한다
바코드정보분석부(143)는 상기 처방전바코드정보를 분석하여 처방전정보를 확인한다.
출력부(145)는 분석한 상기 처방전정보를 약국 내 약사에게 출력한다. 또한 출력부(145)는 수납완료정보생성부(149)에서 생성된 수납확인정보를 사용자에게 출력한다.
처방비용수납부(147)는 사용자로부터 처방약조제에 따른 처방비용을 수납한다.
수납완료정보생성부(149)는 상기 처방비용을 수납완료를 확인함에 따라, 수납확인정보를 생성한다.
따라서, 사용자는 병원의 진료예약접수부터 비용수납 및 처방약 수급까지에 해당하는 진료절차에 대하여 개인단말에서 출력된 바코드정보를 병원 스마트 진료 단말 및 약국 스마트 진료 단말이 스캔하도록 함으로써, 신속하고 편리하게 진료절차를 진행할 수 있다.
이하,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스마트 진료 방법에 대하여 자세히 살펴보도록 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스마트 진료 방법의 순서도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스마트 진료 방법은 병원서버가 사용자로부터 개인단말을 통해 진료접수 시 필요한 상기 사용자에 대한 진료예약정보를 입력받는다(S210). 이 때, 상기 진료예약정보는 진료를 받고자 하는 사용자의 이름, 나이, 성별, 진료과목, 원하는 진료시간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포함한다.
이 후, 상기 병원서버가 수신한 진료예약정보에 따라 상기 사용자의 진료예약을 수행하고, 상기 진료예약을 완료하면 예약바코드정보를 생성한다(S220). 상기 예약바코드정보에 대하여 보다 자세히 살펴보면, 상기 병원서버가 상기 사용자의 진료예약을 처리 완료한 후, 예약완료정보를 생성한다. 상기 병원서버가 생성된 상기 예약완료정보를 바코드화 또는 QR코드화하여 상기 예약바코드정보를 생성한다. 이러한, 예약바코드정보는 도 7의 (a),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진료예약정보에 대응하여 진료접수가 처리됨에 따라 생성된 예약완료정보가 바코드화 또는 QR코드화된 것으로서, 상기 사용자단말로 전달된다.
이 후, 상기 병원서버가 생성한 상기 예약바코드정보를 무선통신을 통해 상기 개인단말로 전송한다.
따라서, 상기 개인단말이 상기 병원서버로부터 생성된 예약바코드정보를 수신하면, 수신한 상기 예약바코드정보를 외부로 출력한다. 이어서, 병원 스마트 진료 단말이 상기 개인단말로부터 출력된 상기 예약바코드정보를 스캔한다(S230).
상기 병원 스마트 진료 단말이 스캔한 상기 예약바코드정보를 분석하여, 진료대기자명단정보를 생성하고, 생성한 진료대기자명단정보를 외부로 출력하고(S240), 상기 진료대기자명단정보를 무선통신을 통해 상기 개인단말로 전송한다. 따라서, 진료예약을 한 사용자가 상기 병원 스마트 진료 단말 또는 개인단말로부터 출력된 상기 진료대기자명단정보를 확인하여, 자신의 진료대기순서 및 예상대기시간 등을 미리 확인할 수 있게 된다. 이처럼, 사용자는 상기 진료대기자명단정보에 기재된 진료대기순서 및 예상대기시간에 맞춰 진료실에 방문하게 되므로, 병원 내에서 대기시간을 줄일 수 있다.
이러한 접수절차를 거친 사용자가 진료를 받고 난 후, 병원 내 수납영역에 비치되는 병원 스마트 진료 단말을 이용하여 진료비용을 결제함으로써, 상기 병원 스마트 진료 단말이 상기 진료비용을 수납한다(S250). 이처럼, 상기 사용자는 병원 원무과에 직접 줄을 서서 진료비용을 결제해야하는 번거로움을 겪을 필요 없이, 병원 스마트 진료 단말을 통해 진료비용을 결제함으로써, 신속하고 편리하게 진료비용을 결제할 수 있다.
이처럼, 상기 병원 스마트 진료 단말이 상기 사용자의 진료비용을 수납하면, 수납완료정보와 의사로부터 작성된 처방전정보를 포함하는 처방전바코드정보를 생성한다(S260). 특히, 이러한 처방전바코드정보는 상기 처방전정보를 바코드화 또는 QR코드화하여 생성되는데, 상기 사용자의 이름, 나이, 약품의 명칭, 상기 약품의 분류사항, 상기 약품의 조제방법, 상기 약품의 복용방법, 상기 약품의 주의사항, 상기 약품의 용량, 의사 및 약사의 서명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처방전바코드정보의 생성에 따라, 종래의 종이처방전을 발행할 필요가 없어지게 되므로, 종이사용으로 인한 자원낭비 및 사용자의 개인정보 누출 가능성을 줄일 수 있게 된다.
이 후, 상기 병원 스마트 진료 단말이 생성한 상기 처방전바코드정보를 상기 무선통신을 통해 개인단말로 무선통신을 통해 전송한다.
이어서, 상기 개인단말이 수신한 상기 처방전바코드정보를 출력하고, 약국 내 비치된 약국 스마트 진료 단말이 상기 개인단말로부터 출력된 상기 처방전바코드정보를 스캔한다(S270).
이처럼 상기 처방전바코드정보를 스캔한 상기 약국 스마트 진료 단말은 스캔한 상기 처방전바코드정보를 분석하고, 상기 처방전바코드정보 내 포함된 처방전정보를 확인하여, 상기 처방전정보를 약국 내 약사에게 출력한다(S280).
이후, 상기 약국 스마트 진료 단말로부터 출력된 상기 처방전정보를 확인한 약사가 처방약을 조제하면, 사용자가 상기 처방약을 수급한다.
이에 따라, 상기 사용자가 상기 처방약 조제에 따른 처방비용을 상기 약국 스마트 진료 단말을 통해 결제함으로써, 상기 약국 스마트 진료 단말이 상기 처방비용을 수납한다(S290).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진료 시스템 및 방법은 환자 또는 환자의 보호자인 사용자가 자신이 가지고 있는 개인단말을 병원에 비치되어 있는 스마트 진료 단말 또는 약국에 비치되어 있는 스마트 진료 단말에 접속함으로써, 진료예약과 진료비용 납부 및 처방약 수급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더불어, 본 발명의 스마트 진료 시스템 및 방법은 사용자가 병원의 진료예약, 진료비용 납부를 위해 원무과에 줄을 서서 기다리는 등의 진료와 상관없이 별도로 소모되는 시간을 최소화시킬 수 있다. 또한, 진료 및 각종 검사로 인해 심신이 피로한 사용자가 이동하는 동선을 줄임으로써, 상기 사용자의 체력소모를 최소화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본 발명의 스마트 진료 시스템 및 방법은 병원 스마트 진료 단말이 처방전바코드정보를 생성하고, 약국 스마트 진료 단말이 상기 처방전바코드정보를 수신 후 분석하여 처방약을 조제하도록 함에 따라, 별도의 종이처방전을 발행하지 않고도 사용자가 처방약을 수급할 수 있어, 종이처방전 발행을 위해 사용되는 종이의 사용량을 줄여 자원낭비를 줄일 수 있다.
더욱이, 본 발명의 스마트 진료 시스템 및 방법은 종이처방전을 발행하지 않고, 처방전바코드정보를 이용하여 처방약이 수급됨에 따라, 상기 종이처방전에 기재된 사용자의 개인정보가 외부로 누출될 가능성을 줄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종이처방전에 대한 분실 및 훼손의 위험을 줄여, 사용자가 종이처방전의 재발행 해야 하는 번거로움을 줄일 수 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 사상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로 변형하여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 또한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하는 것은 당연하다.
110: 병원서버 120: 병원 스마트 진료 단말
130: 개인단말 140: 약국 스마트 진료 단말

Claims (16)

  1. 사용자로부터 진료예약정보를 수신하여 예약바코드정보를 생성하는 병원서버;
    상기 예약바코드정보에 따라 진료예약을 수행하는 병원 스마트 진료단말; 및
    상기 병원서버로부터 상기 예약바코드정보를 수신한 후, 출력하여 상기 병원 스마트 진료단말에 전달하는 개인단말;
    을 포함하되,
    상기 병원 스마트 진료단말은
    상기 진료예약이 완료되면, 상기 사용자에게 진료차례, 수납안내 및 처방전바코드정보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진료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병원 스마트 진료 단말은
    병원 내 접수영역, 대기영역 및 수납영역 중 적어도 하나의 영역에 하나 이상씩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진료 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처방전바코드정보를 해석하는 약국 스마트 진료 단말;을 더 포함하고,
    상기 개인단말은
    상기 처방전바코드정보를 수신한 후, 출력하여 상기 약국 스마트 진료 단말에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진료 시스템.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병원서버는
    상기 개인단말로부터 상기 사용자에 대한 진료예약정보를 수신하는 수신부;
    수신한 상기 진료예약정보에 따라 진료접수를 처리하는 진료예약처리부;
    상기 사용자에 대한 진료접수를 처리함에 따라, 예약완료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예약완료정보를 바코드화 또는 QR코드화하여 예약바코드정보를 생성하는 예약바코드정보생성부;
    상기 예약바코드정보를 상기 개인단말로 전송하는 송신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진료 시스템.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병원 스마트 진료 단말은
    상기 개인단말로부터 출력된 진료접수처리에 따른 예약바코드정보를 스캔하여 수신하는 수신부;
    상기 예약바코드정보에 분석하여 상기 사용자의 진료대기순서를 나타내는 진료대기자명단정보를 생성하는 진료대기자명단생성부;
    상기 사용자로부터 제공받은 병원진료에 따른 진료비용을 수납하는 진료비용수납부;
    수납한 진료비용의 수납완료정보 및 진료에 따른 처방전정보를 생성하고, 생성한 상기 수납완료정보 및 상기 처방전정보를 바코드화 또는 QR코드화하여 처방전바코드정보를 생성하는 처방전바코드정보생성부;
    상기 진료대기자명단정보와 상기 수납완료정보 및 상기 처방전바코드정보를 상기 개인단말로 무선통신을 통해 전송하는 송신부;
    상기 진료대기자명단정보를 외부로 출력하는 출력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진료 시스템.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개인단말은
    상기 사용자로부터 진료예약을 위한 진료예약정보를 입력 받는 입력부;
    병원진료를 예약하고자 하는 사용자에 대한 진료예약정보를 상기 병원서버로 전송하는 송신부;
    상기 병원서버로부터 생성된 상기 예약바코드정보와, 상기 병원 스마트 진료 단말로부터 생성된 진료대기자명단정보 및 진료비용 수납에 따른 수납완료정보와 처방전정보를 바코드화 또는 QR코드화한 처방전바코드정보를 수신하는 수신부;
    상기 예약바코드정보와 상기 진료대기자명단정보 및 상기 처방전바코드정보를 외부로 출력하는 출력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진료 시스템.
  7.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약국 스마트 진료 단말은
    상기 개인단말로부터 상기 처방전바코드정보를 스캔하여 수신하는 수신부;
    상기 처방전바코드정보를 분석하여 처방전정보를 확인하는 바코드정보분석부;
    상기 처방전정보를 약국 내 약사에게 출력하는 출력부;
    처방약조제에 따른 처방비용을 수납하는 처방비용수납부;
    상기 처방비용을 수납하여 수납확인정보를 생성하는 수납완료정보생성부;를 포함하되,
    상기 출력부는
    상기 수납확인정보를 사용자에게 출력하는 것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진료 시스템.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적어도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진료예약정보는
    사용자의 이름, 나이, 성별, 진료과목, 원하는 진료시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정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진료 시스템.
  9. 제1항 내지 제7항 중 적어도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예약바코드정보는
    상기 진료예약정보에 따라 진료예약을 완료한 예약완료정보를 바코드화 또는 QR코드화한 정보임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진료 시스템.
  10. 제1항 내지 제7항 중 적어도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처방전바코드정보는
    상기 사용자의 이름, 나이, 약품의 명칭, 상기 약품의 분류사항, 상기 약품의 조제방법, 상기 약품의 복용방법, 상기 약품의 주의사항, 상기 약품의 용량, 의사 및 약사의 서명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진료 시스템.
  11. 병원서버가 병원에 진료예약을 하고자 하는 사용자로부터 진료예약정보를 입력받는 진료예약정보입력단계;
    병원서버가 수신한 진료예약정보에 따라 사용자의 진료접수를 수행하고, 예약완료정보를 생성한 후, 이를 바코드화 또는 QR코드화한 예약바코드정보를 개인단말로 무선통신을 통해 전송하는 예약바코드정보생성단계;
    상기 개인단말이 상기 병원서버로부터 수신한 상기 예약바코드정보를 출력하고, 병원 스마트 진료 단말이 상기 예약바코드정보를 스캔하는 예약바코드정보스캔단계; 및
    상기 병원 스마트 진료 단말이 스캔한 상기 예약바코드정보를 분석하여 상기 사용자의 진료대기순서를 나타내는 진료대기자명단정보를 생성하고, 생성한 상기 진료대기자명단정보를 상기 개인단말로 전달하거나, 외부로 출력하는 진료대기자명단정보생성단계;
    를 포함하여, 병원의 진료접수를 수행하는 스마트 진료 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병원 스마트 진료 단말이 상기 사용자로부터 진료비용을 수납하는 진료비용수납단계;
    상기 병원 스마트 진료 단말이 상기 진료비용의 수납을 완료하면, 수납한 진료비용에 대한 수납완료정보 및 처방전바코드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개인단말로 무선통신을 통해 전송하는 처방전바코드정보생성단계;
    를 더 포함하여, 진료비용의 수납처리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진료 방법.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개인단말이 수신한 처방전바코드정보를 출력하는 처방전바코드정보출력단계;
    약국 스마트 진료 단말이 상기 처방전바코드정보를 스캔하여, 상기 처방전바코드정보를 분석하고, 분석한 처방전정보를 약사에게 출력하는 처방전바코드정보분석단계;
    상기 약국 스마트 진료 단말이 사용자로부터 처방약의 조제에 따른 처방비용을 수납하는 처방약수납단계;
    를 더 포함하여, 처방약을 수급받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진료 방법.
  14. 제11항 내지 제13항 중 적어도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진료예약정보는
    사용자의 이름, 나이, 성별, 진료과목, 원하는 진료시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정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진료 방법.
  15. 제11항 내지 제13항 중 적어도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예약바코드정보는
    상기 진료예약정보에 따라 진료접수처리한 예약완료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예약완료정보를 바코드화 또는 QR코드화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진료 방법.
  16. 제11항 내지 제13항 중 적어도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처방전바코드정보는
    상기 사용자의 이름, 나이, 약품의 명칭, 상기 약품의 분류사항, 상기 약품의 조제방법, 상기 약품의 복용방법, 상기 약품의 주의사항, 상기 약품의 용량, 의사 및 약사의 서명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진료 방법.

KR1020100071943A 2010-07-26 2010-07-26 스마트 진료 시스템 및 방법 KR10109112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71943A KR101091128B1 (ko) 2010-07-26 2010-07-26 스마트 진료 시스템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71943A KR101091128B1 (ko) 2010-07-26 2010-07-26 스마트 진료 시스템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91128B1 true KR101091128B1 (ko) 2011-12-09

Family

ID=455058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71943A KR101091128B1 (ko) 2010-07-26 2010-07-26 스마트 진료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91128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004302A1 (ko) * 2016-06-30 2018-01-04 주식회사 하렉스인포텍 결제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80119780A (ko) * 2017-04-26 2018-11-05 하기현 치과 예약 환자를 관리하는 시스템
KR20210076748A (ko) * 2019-12-16 2021-06-24 건국대학교 글로컬산학협력단 진료 정보 제공 장치 및 방법
KR20210114631A (ko) * 2020-03-11 2021-09-24 (주)링크올 온라인을 이용한 의료서비스 제공방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325355A (ja) 2000-05-12 2001-11-22 Nec Corp 病院の診療予約方式
JP2002132962A (ja) 2000-10-27 2002-05-10 Yoshiaki Kondo 患者誤認防止のための病院医療情報システム。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325355A (ja) 2000-05-12 2001-11-22 Nec Corp 病院の診療予約方式
JP2002132962A (ja) 2000-10-27 2002-05-10 Yoshiaki Kondo 患者誤認防止のための病院医療情報システム。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004302A1 (ko) * 2016-06-30 2018-01-04 주식회사 하렉스인포텍 결제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80003064A (ko) * 2016-06-30 2018-01-09 주식회사 하렉스인포텍 결제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2053450B1 (ko) * 2016-06-30 2020-01-08 주식회사 하렉스인포텍 결제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80119780A (ko) * 2017-04-26 2018-11-05 하기현 치과 예약 환자를 관리하는 시스템
KR101962627B1 (ko) * 2017-04-26 2019-03-27 (주)헬스허브 치과 예약 환자를 관리하는 시스템
KR20210076748A (ko) * 2019-12-16 2021-06-24 건국대학교 글로컬산학협력단 진료 정보 제공 장치 및 방법
KR102344258B1 (ko) * 2019-12-16 2021-12-27 건국대학교 글로컬산학협력단 진료 정보 제공 장치 및 방법
KR20210114631A (ko) * 2020-03-11 2021-09-24 (주)링크올 온라인을 이용한 의료서비스 제공방법
KR102381334B1 (ko) * 2020-03-11 2022-03-31 (주)링크올 온라인을 이용한 의료서비스 제공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082807B2 (en) Hardware system for active RFID identification and location tracking
US20080109260A1 (en) Electronic data capture in a medical workflow system
US20090295541A1 (en) Directional rfid reader
US8284024B2 (en) System and method of issuing patient identification devices
US20050187948A1 (en) Patient admission and information access system
WO2020186905A1 (zh) 诊疗引导方法、装置和系统、计算机可读存储介质
KR101655762B1 (ko) 의료용 전자문서의 통합 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091128B1 (ko) 스마트 진료 시스템 및 방법
Köstinger et al. Developing a NFC based patient identification and ward round system for mobile devices using the android platform
US20120096023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pharmacy guide
CN103377314A (zh) 一种医疗就诊业务系统及其实现的方法
JP2018084896A (ja) 医業情報管理システム
US20130238350A1 (en) Caregiving management systems, methods and article
EP3326394B1 (en) Wireless bridge hardware system for active rfid identification and location tracking
CN104537596A (zh) 一种医疗引导系统
Devendran et al. Mobile Healthcare–Proposed NFC Architecture
JP2024023918A (ja) 受付システム、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TWM480732U (zh) 藥事照護系統
KR20210137777A (ko) 키오스크를 이용한 처방전 처리시스템
KR101701214B1 (ko) 환자 이동 경로 안내 시스템
KR101296915B1 (ko) 공용 혈압계를 이용한 개인혈압정보 관리시스템 및 그 방법
Fletcher et al. Stakeholder-led design of a mobile HIV clinic model to enhance engagement and retention in HIV care in the Southern United States
TW201401215A (zh) 醫院報到暨排隊叫號管理系統
KR101645817B1 (ko) 셀프차트 서비스 제공 시스템, 서버 및 방법
JP7284969B1 (ja) 医療情報共有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