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90410B1 - 반도체 메모리 장치 - Google Patents

반도체 메모리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90410B1
KR101090410B1 KR1020100064008A KR20100064008A KR101090410B1 KR 101090410 B1 KR101090410 B1 KR 101090410B1 KR 1020100064008 A KR1020100064008 A KR 1020100064008A KR 20100064008 A KR20100064008 A KR 20100064008A KR 101090410 B1 KR101090410 B1 KR 10109041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ta
memory banks
transmission line
output
inpu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640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성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Priority to KR102010006400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90410B1/ko
Priority to US12/962,501 priority patent/US20120005434A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9041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9041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CSTATIC STORES
    • G11C7/00Arrangements for writing information into, or reading information out from, a digital store
    • G11C7/10Input/output [I/O] data interface arrangements, e.g. I/O data control circuits, I/O data buffers
    • G11C7/1006Data managing, e.g. manipulating data before writing or reading out, data bus switches or control circuits therefor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CSTATIC STORES
    • G11C7/00Arrangements for writing information into, or reading information out from, a digital store
    • G11C7/10Input/output [I/O] data interface arrangements, e.g. I/O data control circuits, I/O data buffers
    • G11C7/1006Data managing, e.g. manipulating data before writing or reading out, data bus switches or control circuits therefor
    • G11C7/1012Data reordering during input/output, e.g. crossbars, layers of multiplexers, shifting or rotating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CSTATIC STORES
    • G11C7/00Arrangements for writing information into, or reading information out from, a digital store
    • G11C7/18Bit line organisation; Bit line lay-out

Landscapes

  • Dram (AREA)

Abstract

반도체 메모리 장치는 데이터 선택부, 제 1 데이터 처리부 및 제 2 데이터처리부를 포함한다. 상기 데이터 선택부는 어드레스 신호에 응답하여 제 1 전송라인 및 제 2 전송라인 중 하나를 데이터 패드와 연결한다. 상기 제 1 데이터 처리부는 상기 제 1 전송라인 및 적어도 하나의 메모리 뱅크와 연결되어 데이터의 입출력 동작을 수행한다. 상기 제 2 데이터 처리부는 상기 제 2 전송 라인 및 적어도 다른 하나의 메모리 뱅크와 연결되어 데이터의 입출력 동작을 수행한다.

Description

반도체 메모리 장치 {SEMICONDUCTOR MEMORY APPARATUS}
본 발명은 반도체 메모리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효율적인 배치 및 구조에 관한 것이다.
반도체 메모리 장치는 복수개의 메모리 셀을 구비하여 데이터를 저장하고, 다수의 데이터 입출력 라인 및 데이터 패드를 구비하여 외부 컨트롤러와 통신한다. 상기 복수개의 메모리 셀은 메모리 뱅크 영역에 위치하는데, 상기 데이터 입출력 라인은 상기 메모리 뱅크 영역과 상기 데이터 패드를 연결하여 데이터를 전송하는 라인이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에서, 상기 반도체 메모리 장치는 8개의 메모리 뱅크(BK0~BK7)를 구비하고, 16개의 데이터 패드(DQ<0:15>)를 구비하여 16개의 직렬 데이터를 입출력할 수 있다. 16개의 데이터를 한꺼번에 입출력하기 위해서는 총 16개의 데이터 입출력 라인이 필요하며, 상기 직렬 데이터를 병렬 데이터로 변환하여 연속적인 리드 또는 라이트 동작을 수행하는 반도체 메모리 장치는 더 많은 수의 데이터 입출력 라인을 필요로 한다. 예를 들어 버스트 랭스(Burst Length)가 8인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경우에는 16*8, 즉, 128개의 데이터 입출력 라인이 필요하다.
위와 같이, 상기 데이터 입출력 라인의 수가 증가하는 경우 반도체 메모리장치의 동작속도를 개선시키기 어렵고, 전류소모는 증가할 수 밖에 없다. 상기 각각의 메모리 뱅크에 할당된 데이터 입출력 라인(GIO_1~GIO_4)이 하나의 데이터 입출력 라인(GIO)으로 연결되기 때문이다. 예를 들어, 상기 제 1 메모리 뱅크(BK0)에 저장된 데이터가 출력되어야 하는 경우 상기 제 1 메모리 뱅크(BK0)로부터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드라이버가 동작하고, 나머지 제 2 내지 제 7 메모리 뱅크(BK1~BK7)로부터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데이터 드라이버는 턴오프된다. 이 때, 상기 제 1 메모리 뱅크(BK0)의 데이터를 전송하는 드라이버는 상기 데이터 입출력 라인(GIO)을 구동해야 하므로, 상기 데이터 입출력 라인(GIO)을 데이터에 따라 구동하기 위해서는 큰 사이즈의 데이터 처리부(10) 및 드라이버를 필요로 하며, 구동 속도 또한 감소할 수 밖에 없다. 도 1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상기 제 2 메모리 뱅크(BK1)로부터 상기 제 8 메모리 뱅크(BK7)까지의 가로 거리는 약 1000 마이크로미터 정도이다. 따라서, 긴 거리에 걸쳐 배치되는 데이터 입출력 라인(GIO)의 로딩을 한꺼번에 바라볼 수밖에 없다.
또한, 상기 메모리 뱅크 사이의 영역 전체에 걸쳐 데이터 입출력 라인이 배치되므로,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칩 면적 확보에 어려움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데이터 입출력 라인의 길이를 감소시킬 수 있는 반도체 메모리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반도체 메모리 장치는 어드레스 신호에 응답하여 제 1 전송라인 및 제 2 전송라인 중 하나를 데이터 패드와 연결하는 데이터 선택부; 상기 제 1 전송라인 및 적어도 하나의 메모리 뱅크와 연결되어 데이터의 입출력 동작을 수행하는 제 1 데이터 처리부; 및 상기 제 2 전송 라인 및 적어도 다른 하나의 메모리 뱅크와 연결되어 데이터의 입출력 동작을 수행하는 제 2 데이터 처리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반도체 메모리 장치는 제 1 내지 제 4 메모리 뱅크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및 제 2 메모리 뱅크는 일측에 배치되며 상기 제 3 및 제 4 메모리 뱅크는 타측에 배치되는 반도체 메모리 장치로서, 상기 제 1 내지 제 4 메모리 뱅크 사이의 영역에 배치되고, 제 1 및 제 2 전송라인, 데이터 패드와 통신하도록 구성된 데이터 선택부; 상기 제 1 전송라인과 연결되고, 상기 제 1 및 제 2 메모리 뱅크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제 1 및 제 2 메모리 뱅크 중 하나와 통신하도록 구성된 제 1 데이터 처리부; 및 상기 제 2 전송라인과 연결되고, 상기 제 3 및 제 4 메모리 뱅크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제 3 및 제 4 메모리 뱅크 중 하나와 통신하도록 구성된 제 2 데이터 처리부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반도체 메모리 장치는 제 1 내지 제 8 메모리 뱅크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내지 제 4 메모리 뱅크는 일측에 배치되고, 상기 제 5 내지 제 8 메모리 뱅크는 타측에 배치되며, 상기 제 1 및 제 2 메모리 뱅크와 상기 제 5 내지 제 6 메모리 뱅크는 각각 인접하여 상부에 배치되고 상기 제 3 및 제 4 메모리 뱅크와 상기 제 7 및 제 8 메모리 뱅크는 각각 인접하여 하부에 배치되는 반도체 메모리 장치로서, 상기 제 1 내지 제 8 메모리 뱅크 사이의 중앙부에 배치되어 데이터 패드, 제 1 및 제 2 전송라인과 통신하는 데이터 선택부; 상기 제 1 내지 제 4 메모리 뱅크 사이의 중앙부에 배치되어 상기 제 1 전송라인, 상기 제 1 내지 제 4 메모리 뱅크와 통신하는 제 1 데이터 처리부; 및 상기 제 5 내지 제 6 메모리 뱅크 사이의 중앙부에 배치되어 상기 제 2 전송라인, 상기 제 5 내지 제 8 메모리 뱅크와 통신하는 제 2 데이터 처리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데이터 입출력 라인의 길이를 감소시킴으로써,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칩 면적을 확보하고, 동작속도를 개선할 수 있으며, 데이터 입출력 동작에 사용되는 전류소모를 감소시킬 수 있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도면,
도 3은 도 2의 제 1 메모리 뱅크 및 제 1 데이터 처리부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도면,
도 4는 도 2의 데이터 선택부의 실시예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에서, 상기 반도체 메모리 장치(1)는 제 1 내지 제 8 메모리 뱅크(BK0~BK7)를 포함하지만, 메모리 뱅크의 개수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도 2 에서, 상기 제 1 내지 제 4 메모리 뱅크(BK0~BK3)는 일측, 예를 들어, 좌측에 배치되고, 상기 제 5 내지 제 8 메모리 뱅크(BK4~BK7)는 타측, 예를 들어, 우측에 배치된다. 상기 제 1 및 제 2 메모리 뱅크(BK0, BK1)는 인접하여 상부에 배치되고, 상기 제 3 및 제 4 메모리 뱅크(BK2, BK3)는 인접하여 하부에 배치된다. 마찬가지로, 상기 제 5 및 제 6 메모리 뱅크(BK4, BK5)는 인접하여 상부에 배치되고, 상기 제 7 및 제 8 메모리 뱅크(BK6, BK7)는 인접하여 하부에 배치된다.
상기 반도체 메모리 장치(1)는 데이터 선택부(100), 제 1 데이터 처리부(200) 및 제 2 데이터 처리부(300)를 포함한다. 상기 데이터 선택부(100)는 상기 데이터 패드(DQ<0:15>), 제 1 전송라인(TIO_1) 및 제 2 전송라인(TIO_2)과 연결되어 상기 데이터 패드(DQ<0:15>), 제 1 데이터 처리부(200) 및 제 2 데이터 처리부(300)과 통신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데이터 선택부(100)는 상기 데이터 패드(DQ<0:15>)로부터 입력되는 데이터를 상기 제 1 및 제 2 전송라인(TIO_1, TIO_2) 중 하나로 출력한다. 또한, 상기 데이터 선택부(100)는 상기 제 1 및 제 2 전송라인(TIO_1, TIO_2)으로부터 입력되는 데이터를 상기 데이터 패드(DQ<0:15>)로 출력한다.
상기 데이터 선택부(100)는 어드레스 신호(ADD)를 이용하여 상기 제 1 및 제 2 전송라인(TIO_1, TIO_2)과 선택적으로 통신할 수 있다. 상기 어드레스 신호(ADD)는 상기 제 1 내지 제 8 메모리 뱅크(BK0~BK7)를 선택하기 위해서 상기 반도체 메모리 장치(1) 외부로부터 입력될 수 있는 신호이다. 상기 반도체 메모리 장치(1)는 8개의 메모리 뱅크를 포함하므로, 예를 들어 3개의 어드레스 신호를 이용하여 제 1 내지 제 8 메모리 뱅크(BK0~BK7)를 개별적으로 선택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데이터 선택부(100)는 상기 어드레스 신호 중 어느 하나의 어드레스 신호를 이용할 수 있다.
상기 제 1 데이터 처리부(200)는 상기 제 1 내지 제 4 메모리 뱅크(BK0~BK3)와 연결되고, 상기 제 1 전송라인(TIO_1)과 연결되어 상기 데이터 선택부(100)와 통신한다. 상기 제 1 데이터 처리부(200)는 제 1 데이터 입출력 라인(GIO_1)을 통해 상기 제 1 및 제 3 메모리 뱅크(BK0, BK2)와 연결되고 제 2 데이터 입출력 라인(GIO_2)을 통해 상기 제 2 및 제 4 메모리 뱅크(BK1, BK3)와 연결된다.
상기 제 1 데이터 처리부(200)는 상기 제 1 내지 제 4 메모리 뱅크(BK0~BK3)로부터 출력되는 병렬 데이터를 수신하고, 상기 병렬 데이터를 직렬 데이터로 변환하여 상기 제 1 전송라인(TIO_1)으로 출력한다. 또한, 상기 제 1 데이터 처리부(200)는 상기 제 1 전송라인(TIO_1)으로부터 직렬 데이터를 수신하고, 상기 직렬 데이터를 병렬 데이터로 변환하여 상기 제 1 내지 제 4 메모리 뱅크(BK0~BK3)로 출력한다. 상기 제 1 데이터 처리부(200)는 상기 어드레스 신호(ADD)에 응답하여 상기 제 1 및 제 2 데이터 입출력 라인(GIO_1, GIO2) 중 하나와 선택적으로 통신한다. 따라서, 상기 제 1 데이터 처리부(200)는 상기 어드레스 신호(ADD)에 따라 상기 제 1 및 제 3 메모리 뱅크(BK0, BK2)와 통신하거나 상기 제 2 및 제 4 메모리 뱅크(BK1, BK3)와 통신할 수 있다.
상기 제 1 데이터 처리부(200)와 유사하게, 상기 제 2 데이터 처리부(300)는 상기 제 5 내지 제 8 메모리 뱅크(BK4~BK7)와 연결되고, 상기 제 2 전송라인(TIO_2)과 연결되어 상기 데이터 선택부(100)와 통신한다. 상기 제 2 데이터 처리부(300)는 제 3 데이터 입출력 라인(GIO_3)을 통해 상기 제 5 및 제 7 메모리 뱅크(BK4, BK7)와 연결되고 제 4 데이터 입출력 라인(GIO_4)을 통해 상기 제 6 및 제 8 메모리 뱅크(BK5, BK7)와 연결된다.
상기 제 2 데이터 처리부(300)는 상기 제 5 내지 제 8 메모리 뱅크(BK4~BK7)로부터 출력되는 병렬 데이터를 수신하고, 상기 병렬 데이터를 직렬 데이터로 변환하여 상기 제 2 전송라인(TIO_2)으로 출력한다. 또한, 상기 제 2 데이터 처리부(300)는 상기 제 2 전송라인(TIO_2)으로부터 직렬 데이터를 수신하고, 상기 직렬 데이터를 병렬 데이터로 변환하여 상기 제 5 내지 제 8 메모리 뱅크(BK4~BK7)로 출력한다. 상기 제 2 데이터 처리부(300)는 상기 어드레스 신호(ADD)에 응답하여 상기 제 3 및 제 4 데이터 입출력 라인(GIO_3, GIO4) 중 하나와 선택적으로 통신한다. 따라서, 상기 제 2 데이터 처리부(300)는 상기 어드레스 신호(ADD)에 따라 상기 제 5 및 제 7 메모리 뱅크(BK4, BK6)와 통신하거나 상기 제 6 및 제 8 메모리 뱅크(BK5, BK7)와 통신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반도체 메모리 장치(1)의 구성요소의 배치도 함께 보여준다. 상기 데이터 선택부(100)는 상기 제 1 내지 제 8 메모리 뱅크(BK0~BK7) 사이의 중앙부에 배치된다. 상기 제 1 데이터 처리부(200)는 상기 제 1 내지 제 4 메모리 뱅크 사이(BK0~BK3)의 중앙부에 배치되고, 상기 제 2 데이터 처리부(300)는 상기 제 5 내지 제 8 메모리 뱅크(BK4~BK7)의 중앙부에 배치된다. 이를 수치적으로 설명하면, 상기 데이터 선택부(100)는 상기 제 1 내지 제 8 메모리 뱅크(BK0~BK7)가 배치되는 가로 길이를 따라 가장 좌측으로부터 약 1/2이 되는 부분에 배치되고, 상기 제 1 데이터 처리부(200)는 상기 가장 좌측으로부터 약 1/4이 되는 부분에 배치되며, 상기 제 2 데이터 처리부(300)는 상기 가장 좌측으로부터 약 3/4이 되는 부분에 배치된다. 따라서, 상기 제 1 데이터 처리부(200)와 데이터 선택부(100) 사이의 거리 및 상기 데이터 선택부(100)와 상기 제 2 데이터 처리부(300) 사이의 거리는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또한, 상기 데이터 선택부(100)와 상기 제 1 데이터 처리부(200)를 연결하는 제 1 전송라인(TIO_1), 상기 제 1 데이터 처리부(200) 및 상기 제 1 내지 제 4 메모리 뱅크(BK0~BK3)를 연결하는 제 1 및 제 2 데이터 입출력 라인(GIO_1, GIO2)의 가로 길이는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또한, 상기 데이터 선택부(100)와 상기 제 2 데이터 처리부(300)를 연결하는 제 2 전송라인(TIO_2), 상기 제 2 데이터 처리부(300) 및 상기 제 5 내지 제 8 메모리 뱅크(BK4~BK7)를 연결하는 제 3 및 제 4 데이터 입출력 라인(GIO_3, GIO_4)의 가로 길이는 실질적으로 동일하게 된다.
위와 같은 배치 및 구성을 통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반도체 메모리 장치(1)는 상기 데이터 선택부(100)를 구비하여 상기 제 1 내지 제 4 메모리 뱅크(BK0~BK3)로/로부터 데이터가 입출력 되는 경우의 데이터 입출력 라인의 로딩 및 상기 제 5 내지 제 8 메모리 뱅크(BK4~BK7)로/로부터 데이터가 입출력 되는 경우의 데이터 입출력 라인의 길이 및 로딩이 종래기술에 따른 입출력 라인의 길이 및 로딩의 약 1/2이 될 수 있다. 더 나아가, 상기 제 1 데이터 처리부(200)가 상기 제 1 내지 제 4 메모리 뱅크(BK0~BK3) 중 두 개의 메모리 뱅크와 선택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제 2 데이터 처리부(300)가 상기 제 5 내지 제 8 메모리 뱅크(BK4~BK7) 중 두 개의 뱅크와 선택적으로 연결되기 때문에, 데이터 입출력 라인의 길이 및 로딩은 종래기술의 입출력 라인의 길이 및 로딩의 약 1/4이 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데이터 입출력 라인을 통해 데이터를 전송할 때, 데이터에 따라 구동되는 상기 데이터 입출력 라인의 로딩이 작아지므로, 상기 데이터 입출력 라인을 구동하는 드라이버의 사이즈를 감소시킬 수 있고 상기 드라이버에서 소모되는 전류를 감소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16개의 데이터를 한꺼번에 입출력할 수 있고, 연속적인 리드 또는 라이트 동작을 수행하여 버스트 랭스가 8인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경우, 상기 제 1 내지 제 4 데이터 입출력 라인(GIO_1~GIO_4)은 종래기술과 동일하게 128개의 라인이 된다. 그러나, 종래기술에서는 상기 128개의 데이터 입출력 라인이 상기 제 1 내지 제 8 메모리 뱅크(BK0~BK7) 사이의 영역 전체에 걸쳐 배치되므로(도 1 참조) 칩 면적을 확보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그러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반도체 메모리 장치(1)에서, 상기 제 1 및 제 2 데이터 입출력 라인(GIO_1, GIO_2)은 상기 제 1 내지 제 4 메모리 뱅크(BK0~BK3) 및 상기 제 1 데이터 처리부(200)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제 3 및 제 4 데이터 입출력 라인(GIO_3, GIO_4)은 상기 제 5 내지 제 8 메모리 뱅크(BK4~BK7) 사이에 배치되면 충분하므로, 칩 면적을 보다 효율적으로 확보할 수 있다.
상기 제 1 및 제 2 전송라인(TIO_1, TIO_2)은 직렬 데이터가 전송되는 경로이므로, 데이터 패드(DQ<0:15>)의 수와 동일한 수의 라인을 갖는다. 따라서, 상기 제 1 및 제 2 전송라인(TIO_1, TIO_2)은 16개의 라인일 수 있다.
도 3은 제 1 메모리 뱅크, 제 1 데이터 처리부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도면이다. 상기 제 1 메모리 뱅크(BK0)는 워드라인(WL), 비트라인 쌍(BL, BLB), 메모리 셀(MC), 비트라인 센스앰프(BLSA), 리드 드라이버(RD)와 라이트 드라이버(WT)를 포함한다. 상기 제 1 데이터 처리부(200)는 데이터 정렬부(ALIGN), 입력 버퍼(DIN), 제 1 먹스(MUX1), 제 2 먹스(MUX2), 파이프 래치(PIPE_LATCH), 출력 버퍼(DOUT)를 포함한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여 데이터의 입출력 동작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제 1 메모리 뱅크(BK0)로/로부터 데이터가 입출력 되는 경우를 예로 설명한다.
먼저 데이터의 입력을 설명하면, 상기 데이터 패드(DQ<0:15>)를 통해 입력된 직렬 데이터는 상기 데이터 선택부(100)로 입력되고, 상기 데이터 선택부(100)는 상기 어드레스 신호(ADD)에 응답하여 상기 데이터를 상기 제 1 전송라인(TIO_1)으로 출력한다. 상기 제 1 전송라인(TIO_1)을 통해 전송된 직렬 데이터는 상기 제 1 데이터 처리부(200)로 입력된다. 상기 직렬 데이터는 상기 데이터 정렬부(ALIGN)를 통해 병렬 데이터로 변환된다. 상기 병렬 데이터는 상기 입력 버퍼(DIN)를 통해 증폭되고 상기 제 1 먹스(MUX1)를 통해 상기 제 1 데이터 입출력 라인(GIO_1)으로 출력된다. 도 3에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상기 제 1 먹스(MUX1)는 상기 제 1 데이터 입출력 라인(GIO_1)뿐만 아니라 상기 제 2 데이터 입출력 라인(GIO_2)과도 연결되며, 상기 어드레스 신호(ADD)에 따라 데이터를 상기 제 2 데이터 입출력 라인(GIO_2)으로 출력할 수도 있다.
상기 제 1 먹스(MUX1)로부터 출력된 데이터는 상기 제 1 데이터 입출력 라인(GIO_1)을 통해 라이트 드라이버(WT)로 입력되고, 상기 라이트 드라이버(WT)는 상기 제 1 데이터 입출력 라인(GIO_1)을 통해 전송된 데이터를 증폭하며, 증폭된 데이터는 상기 비트라인 센스앰프(BLSA)를 통해 상기 비트라인 쌍(BL, BLB)에 로딩되고, 상기 메모리 셀(MC)에 저장될 수 있다.
반대로 데이터의 출력을 설명하면, 상기 메모리 셀(MC)에 저장된 데이터는 워드라인(WL)이 활성화되면서 비트라인 쌍(BL, BLB)으로 로딩되고, 비트라인 센스앰프(BLSA)를 통해 증폭되어 상기 리드 드라이버(RD)로 입력된다. 상기 리드 드라이버(RD)는 전송된 데이터 증폭하여 상기 제 1 데이터 입출력 라인(GIO_1)으로 출력한다. 상기 제 2 먹스(MUX2)는 상기 어드레스 신호(ADD)에 응답하여 상기 제 1 데이터 입출력 라인(GIO_1)으로부터 전송되는 병렬 데이터를 수신한다. 상기 파이프 래치(PIPE_LATCH)는 상기 제 2 먹스(MUX2)로부터 출력되는 병렬 데이터를 직렬데이터로 변환하고, 상기 출력 버퍼(DOUT)는 상기 파이프 래치(PIPE_LATCH)로부터 출력되는 직렬 데이터를 증폭하여 출력한다. 상기 직렬 데이터는 상기 제 1 전송라인(TIO_1)을 통해 상기 데이터 선택부(100)로 입력되고, 상기 데이터 선택부(100)는 상기 데이터를 상기 데이터 패드(DQ<0:15>)로 출력한다. 따라서, 상기 제 1 메모리 뱅크(BK0)에 저장된 데이터가 상기 데이터 패드(DQ<0:15>)를 통해 출력될 수 있다.
상기 제 2 데이터 처리부(300)는 상기 제 1 데이터 처리부(200)와 동일한 구성을 갖고 상기 제 1 데이터 처리부(200)와 마찬가지로 상기 제 5 내지 제 8 메모리 뱅크(BK4~BK7)로/로부터 데이터를 입출력할 수 있다.
도 4는 도 2의 데이터 선택부의 실시예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4에서, 상기 데이터 선택부(100)는 먹스부(MUX, 110) 및 디먹스부(DEMUX, 120)를 포함한다. 상기 먹스부(110)는 상기 데이터 패드(DQ<0:15>)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고 상기 어드레스 신호(ADD)에 응답하여 상기 데이터를 상기 제 1 및 제 2 전송라인(TIO_1, TIO_2) 중 하나로 출력한다. 상기 디먹스부(120)는 상기 어드레스 신호(ADD)에 응답하여 상기 제 1 및 제 2 전송라인(TIO_1, TIO_2) 중 하나로부터 전송되는 데이터를 수신하여 상기 데이터 패드(DQ<0:15>)로 상기 데이터를 출력한다.
따라서, 상기 데이터 선택부(100)는 상기 어드레스 신호(ADD)에 따라 상기 제 1 및 제 2 전송라인(TIO_1, TIO_2) 중 하나와 통신하므로, 상기 제 1 및 제 2 데이터 처리부(200, 300)와 선택적으로 통신하도록 구성된다.
제 1 메모리 뱅크(BK0)로/로부터 데이터가 입출력 될 때, 상기 데이터 선택부(100)는 상기 제 1 전송라인(TIO_1)과 연결되어 데이터 입출력 라인의 길이 및 로딩을 종래기술 대비 약 1/2로 감소시킨다. 상기 제 1 데이터 처리부(200)는 상기 제 1 및 제 2 데이터 입출력 라인(GIO_1, GIO_2) 중 상기 제 1 데이터 입출력 라인(GIO_1)과 연결되고, 상기 제 1 데이터 입출력 라인(GIO_1)의 가로 길이는 상기 제 1 내지 제 8 메모리 뱅크(BK0~BK7)가 배치되는 가로 길이의 1/4이므로, 상기 데이터가 전송되는 상기 데이터 입출력 라인의 길이 및 로딩은 종래기술에 비해 약 1/4로 감소될 수 있다. 이는 제 2 내지 제 7 메모리 뱅크(BK1~BK7)의 데이터가 입출력되는 경우에도 마찬가지이다.
따라서, 상기 데이터 입출력 라인을 구동하기 위한 드라이버, 예를 들어, 상기 라이트 드라이버(WT), 상기 리드 드라이버(RD), 상기 입력 버퍼(DIN) 및 상기 출력 버퍼(DOUT)의 사이즈는 감소될 수 있으며, 상기 드라이버에서 소모되는 전류도 감소될 수 있다. 또한, 종래기술과 다르게, 상기 데이터 입출력 라인이 상기 메모리 뱅크 사이 영역 전체에 걸쳐 배치되지 않으므로, 칩 면적을 확보하기 용이하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으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BK0~BK7: 제 1 내지 제 8 메모리 뱅크 100: 데이터 선택부
200: 제 1 데이터 처리부 300: 제 2 데이터 처리부

Claims (20)

  1. 어드레스 신호에 응답하여 제 1 전송라인 및 제 2 전송라인 중 하나를 데이터 패드와 연결하는 데이터 선택부;
    상기 제 1 전송라인 및 적어도 하나의 메모리 뱅크와 연결되어 데이터의 입출력 동작을 수행하는 제 1 데이터 처리부; 및
    상기 제 2 전송 라인 및 적어도 다른 하나의 메모리 뱅크와 연결되어 데이터의 입출력 동작을 수행하는 제 2 데이터 처리부를 포함하는 반도체 메모리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선택부는, 상기 어드레스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데이터 패드로부터 입력되는 데이터를 제 1 및 제 2 전송라인 중 하나로 출력하는 먹스부; 및
    상기 어드레스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제 1 및 제 2 전송라인을 통해 입력되는 데이터를 상기 데이터 패드로 출력하는 디먹스부로 구성되는 반도체 메모리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데이터 처리부는 상기 메모리 뱅크로부터 병렬 데이터를 수신하고 상기 병렬 데이터를 직렬 데이터로 변환하여 상기 제 1 전송라인으로 출력하며, 상기 제 1 전송라인으로부터 직렬 데이터를 수신하고 상기 직렬 데이터를 병렬 데이터로 변환하여 상기 메모리 뱅크로 출력하는 반도체 메모리 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데이터 처리부는, 상기 메모리 뱅크로부터 병렬 데이터를 수신하고 상기 병렬 데이터를 직렬 데이터로 변환하여 상기 제 2 전송라인으로 출력하며, 상기 제 2 전송라인으로부터 직렬 데이터를 수신하고 상기 직렬 데이터를 병렬 데이터로 변환하여 상기 메모리 뱅크로 출력하는 반도체 메모리 장치.
  5. 제 1 내지 제 4 메모리 뱅크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및 제 2 메모리 뱅크는 일측에 배치되며 상기 제 3 및 제 4 메모리 뱅크는 타측에 배치되는 반도체 메모리 장치로서,
    상기 제 1 내지 제 4 메모리 뱅크 사이의 영역에 배치되고, 제 1 및 제 2 전송라인, 데이터 패드와 통신하도록 구성된 데이터 선택부;
    상기 제 1 전송라인과 연결되고, 상기 제 1 및 제 2 메모리 뱅크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제 1 및 제 2 메모리 뱅크 중 하나와 통신하도록 구성된 제 1 데이터 처리부; 및
    상기 제 2 전송라인과 연결되고, 상기 제 3 및 제 4 메모리 뱅크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제 3 및 제 4 메모리 뱅크 중 하나와 통신하도록 구성된 제 2 데이터 처리부를 포함하는 반도체 메모리 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선택부는, 어드레스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데이터 패드로부터 입력되는 데이터를 상기 제 1 및 제 2 전송 라인 중 하나로 출력하는 먹스부; 및
    상기 어드레스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제 1 및 제 2 전송라인으로부터 입력되는 데이터를 상기 데이터 패드로 출력하는 디먹스부로 구성된 반도체 메모리 장치.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데이터 처리부는, 상기 제 1 및 제 2 메모리 뱅크로부터 병렬 데이터를 수신하고 상기 병렬 데이터를 직렬 데이터로 변환하여 상기 제 1 전송라인으로 출력하며, 상기 제 1 전송라인으로부터 직렬 데이터를 수신하고 상기 직렬 데이터를 병렬 데이터로 변환하여 상기 제 1 또는 제 2 메모리 뱅크로 출력하는 반도체 메모리 장치.
  8.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데이터 처리부는, 상기 제 3 또는 제 4 메모리 뱅크로부터 병렬 데이터를 수신하고 상기 병렬 데이터를 직렬 데이터로 변환하여 상기 제 2 전송라인으로 출력하며, 상기 제 2 전송라인으로부터 직렬 데이터를 수신하고 상기 직렬 데이터를 병렬 데이터로 변환하여 상기 제 3 또는 제 4 메모리 뱅크로 출력하는 반도체 메모리 장치.
  9. 제 1 내지 제 8 메모리 뱅크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내지 제 4 메모리 뱅크는 일측에 배치되고, 상기 제 5 내지 제 8 메모리 뱅크는 타측에 배치되며, 상기 제 1 및 제 2 메모리 뱅크와 상기 제 5 내지 제 6 메모리 뱅크는 각각 인접하여 상부에 배치되고 상기 제 3 및 제 4 메모리 뱅크와 상기 제 7 및 제 8 메모리 뱅크는 각각 인접하여 하부에 배치되는 반도체 메모리 장치로서,
    상기 제 1 내지 제 8 메모리 뱅크 사이의 중앙부에 배치되어 데이터 패드, 제 1 및 제 2 전송라인과 통신하는 데이터 선택부;
    상기 제 1 내지 제 4 메모리 뱅크 사이의 중앙부에 배치되어 상기 제 1 전송라인, 상기 제 1 내지 제 4 메모리 뱅크와 통신하는 제 1 데이터 처리부; 및
    상기 제 5 내지 제 8 메모리 뱅크 사이의 중앙부에 배치되어 상기 제 2 전송라인, 상기 제 5 내지 제 8 메모리 뱅크와 통신하는 제 2 데이터 처리부를 포함하는 반도체 메모리 장치.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선택부는, 어드레스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데이터 패드로부터 입력되는 데이터를 상기 제 1 및 제 2 전송라인 중 하나로 출력하는 먹스부; 및
    상기 어드레스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제 1 및 제 2 전송라인으로부터 입력되는 데이터를 상기 데이터 패드로 출력하는 디먹스부를 포함하는 반도체 메모리 장치.
  11.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데이터 처리부는, 상기 제 1 내지 제 4 메모리 뱅크로부터 병렬 데이터를 수신하고 상기 병렬 데이터를 직렬 데이터로 변환하여 상기 제 1 전송라인으로 출력하며, 상기 제 1 전송라인으로부터 직렬 데이터를 수신하고 상기 직렬 데이터를 병렬 데이터로 변환하여 상기 제 1 내지 제 4 메모리 뱅크로 출력하는 반도체 메모리 장치.
  12.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데이터 처리부는, 어드레스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제 1 및 제 3 메모리 뱅크 또는 상기 제 2 및 제 4 메모리 뱅크와 선택적으로 통신하는 반도체 메모리 장치.
  13.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데이터 처리부는, 상기 제 5 내지 제 8 메모리 뱅크로부터 병렬 데이터를 수신하고 상기 병렬 데이터를 직렬 데이터로 변환하여 상기 제 2 전송라인으로 출력하며, 상기 제 2 전송라인으로부터 직렬 데이터를 수신하고 상기 직렬 데이터를 병렬 데이터로 변환하여 상기 제 5 내지 제 8 메모리 뱅크로 출력하는 반도체 메모리 장치.
  14.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데이터 처리부는, 어드레스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제 5 및 제 7 메모리 뱅크 또는 제 6 및 제 8 메모리 뱅크와 선택적으로 통신하는 반도체 메모리 장치.
  15.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데이터 처리부와 상기 제 1 및 제 3 메모리 뱅크를 연결하는 제 1 데이터 입출력 라인을 더 포함하는 반도체 메모리 장치.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데이터 처리부와 상기 제 2 및 제 4 메모리 뱅크를 연결하는 제 2 데이터 입출력 라인을 더 포함하는 반도체 메모리 장치.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데이터 입출력 라인, 상기 제 2 데이터 입출력 라인 및 상기 제 1 전송라인의 가로 길이는 실질적으로 일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메모리 장치.
  18.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데이터 처리부와 상기 제 5 및 제 7 메모리 뱅크를 연결하는 제 3 데이터 입출력 라인을 더 포함하는 반도체 메모리 장치.
  19.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데이터 처리부와 상기 제 6 및 제 8 메모리 뱅크를 연결하는 제 4 데이터 입출력 라인을 더 포함하는 반도체 메모리 장치.
  20.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제 3 데이터 입출력 라인, 상기 제 4 데이터 입출력 라인 및 상기 제 2 전송라인의 가로 길이는 실질적으로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메모리 장치.
KR1020100064008A 2010-07-02 2010-07-02 반도체 메모리 장치 KR101090410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64008A KR101090410B1 (ko) 2010-07-02 2010-07-02 반도체 메모리 장치
US12/962,501 US20120005434A1 (en) 2010-07-02 2010-12-07 Semiconductor memory apparatu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64008A KR101090410B1 (ko) 2010-07-02 2010-07-02 반도체 메모리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90410B1 true KR101090410B1 (ko) 2011-12-06

Family

ID=454006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64008A KR101090410B1 (ko) 2010-07-02 2010-07-02 반도체 메모리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20120005434A1 (ko)
KR (1) KR10109041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401186B2 (en) 2014-12-22 2016-07-26 SK Hynix Inc. Semiconductor memory apparatus and data transmissio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094371B2 (en) 2019-03-11 2021-08-17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mory device for processing operation and method of operating the same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59780B1 (ko) * 2006-09-05 2007-09-20 삼성전자주식회사 반도체 메모리 장치 및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데이터 입출력 방법
US7817470B2 (en) * 2006-11-27 2010-10-19 Mosaid Technologies Incorporated Non-volatile memory serial core architecture
US7529149B2 (en) * 2006-12-12 2009-05-05 Mosaid Technologies Incorporated Memory system and method with serial and parallel modes
KR101062776B1 (ko) * 2010-01-29 2011-09-06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반도체 메모리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401186B2 (en) 2014-12-22 2016-07-26 SK Hynix Inc. Semiconductor memory apparatus and data transmiss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20005434A1 (en) 2012-01-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I254943B (en) Multi-port memory device having serial I/O interface
JP5019910B2 (ja) マルチポートメモリ素子
JP5052842B2 (ja) ポイントツーポイントリンクを有するメモリシステム及び方法
JP2007095284A (ja) 直列入/出力インターフェイスを有するマルチポートメモリ素子
JP2004362760A (ja) マルチポートメモリ装置
KR100933806B1 (ko) 반도체 메모리장치
KR100582821B1 (ko) 멀티-포트 메모리 소자
KR100757925B1 (ko) 반도체 메모리의 데이터 출력 장치 및 제어방법
US9472266B2 (en) Semiconductor device
US7876624B2 (en) Data input circuit and semiconductor memory device including the same
KR101090410B1 (ko) 반도체 메모리 장치
KR100942967B1 (ko) 반도체 메모리장치
CN102467953A (zh) 半导体存储装置及包括半导体存储装置的半导体系统
US7209393B2 (en) Semiconductor memory device and method for multiplexing write data thereof
KR101062776B1 (ko) 반도체 메모리 장치
KR100599444B1 (ko) 글로벌 데이터 버스 연결회로를 구비하는 멀티-포트메모리 소자
US9159399B2 (en) Data transmission circuit and semiconductor memory device having the same
KR100713913B1 (ko) 메모리 장치
KR100780621B1 (ko) 멀티 포트 메모리 소자
KR100890046B1 (ko) 입출력라인 선택회로 및 이를 이용한 반도체 메모리 장치
KR20140029977A (ko) 반도체 메모리 장치
KR20100063202A (ko) 메모리 모듈 및 이를 구비하는 메모리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