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90122B1 - 변형이 가능한 차량용 시트 - Google Patents

변형이 가능한 차량용 시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90122B1
KR101090122B1 KR1020090047694A KR20090047694A KR101090122B1 KR 101090122 B1 KR101090122 B1 KR 101090122B1 KR 1020090047694 A KR1020090047694 A KR 1020090047694A KR 20090047694 A KR20090047694 A KR 20090047694A KR 101090122 B1 KR101090122 B1 KR 10109012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nk
seat
coupling
driving
seat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476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128983A (ko
Inventor
유진곤
Original Assignee
유진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진곤 filed Critical 유진곤
Priority to KR102009004769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90122B1/ko
Publication of KR2010012898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2898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9012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9012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0224Non-manual adjustments, e.g. with electrical operation
    • B60N2/02246Electric motor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6/00Other features of vehicle sub-units
    • B60Y2306/09Reducing nois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eats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의 시트를 전후방향으로 휘어지게 하여 다양한 탑승자의 체형에 대응할 수 있는 변형이 가능한 차량용 시트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변형이 가능한 차량용 시트는 시트본체와; 상기 시트본체의 내부에 장착되어 상기 시트본체의 전면을 다양한 형상으로 변형시키는 링크부재와; 상기 시트본체의 내부에 장착되어 상기 링크부재에 구동력을 부가하는 구동체;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링크부재는 제1링크, 제2링크, 제3링크가 일렬로 힌지결합되어 이루어지고, 상기 제1링크와 제3링크에는 상기 제2링크 방향으로 결합홈이 각각 형성되며, 상기 제2링크의 양단에는 상기 결합홈에 삽입되는 결합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결합돌기는 상기 결합홈에 삽입되어 힌지축에 의해 힌지결합되며, 상기 구동체는 상기 링크부재와 시트본체의 후면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구동체는 다수개로 이루어져 각각의 상기 링크에 결합되며, 다수개의 상기 링크는 다수개의 상기 구동체에 의해 상호 독립적으로 구동된다.
시트, 변형, 링크

Description

변형이 가능한 차량용 시트 { A deformable seat for vehicle }
본 발명은 변형이 가능한 차량용 시트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시트의 전면이 탑승자의 체형에 맞게 다양하게 변형되는 변형이 가능한 차량용 시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의 탑승자가 앉게 되는 차실 내의 시트는 자동차의 주행 안정성 내지는 승차감과도 밀접한 관계가 있어 점차 그 중요성이 대두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상기 자동차용 시트(1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탑승자의 엉덩이가 닿게 되는 시트쿠션(2)과, 상기 시트쿠션(2)의 후측단에 형성되어 탑승자의 허리와 등을 지지하는 시트백(4)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시트(10)의 외부는 섬유재질의 천으로 덮여있고, 내부에는 충격을 흡수할 수 있는 쿠션부재(미도시)가 내장되어 탑승자가 주행중 장시간 앉아있더라도 신체에 무리가 없도록 제작되고 있다.
그러나, 종래의 자동차용 시트는 시트(10)에 내장된 상기 쿠션부재가 시간이 지남에 따라 그 쿠션력을 잃게 됨에 따라 탑승자가 안락함을 느끼지 못함과 더불어 장시간 앉아 있게 되는 경우, 자세의 불편함에서 초래되는 피로감을 느낄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의 자동차용 시트(10) 및 상기 시트(10)에 내장된 쿠션부재는 보통의 체형 및 체중을 가진 탑승자를 상정하여 제작되었으므로 일반 체형 및 체중에서 과도하게 벗어난 탑승자는 표준화된 상기 시트를 사용함에 있어 앉은 자세가 매우 불편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차량의 시트를 전후방향으로 휘어지게 하여 다양한 탑승자의 체형에 대응할 수 있는 변형이 가능한 차량용 시트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변형이 가능한 차량용 시트는 시트본체와; 상기 시트본체의 내부에 장착되어 상기 시트본체의 전면을 다양한 형상으로 변형시키는 링크부재와; 상기 시트본체의 내부에 장착되어 상기 링크부재에 구동력을 부가하는 구동체;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링크부재는 제1링크, 제2링크, 제3링크가 일렬로 힌지결합되어 이루어지고, 상기 제1링크와 제3링크에는 상기 제2링크 방향으로 결합홈이 각각 형성되며, 상기 제2링크의 양단에는 상기 결합홈에 삽입되는 결합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결합돌기는 상기 결합홈에 삽입되어 힌지축에 의해 힌지결합되며, 상기 구동체는 상기 링크부재와 시트본체의 후면 사이에 배치되고,상기 구동체는 다수개로 이루어져 각각의 상기 링크에 결합되며, 다수개의 상기 링크는 다수개의 상기 구동체에 의해 상호 독립적으로 구동된다.
상기 구동체는 피스톤실린더로 이루어진다.
상기 구동체는, 각각의 상기 링크에 결합 되고, 외주면에 제1나사산이 형성된 스크류바와; 상기 스크류바가 삽입장착되고, 내주면에 상기 제1나사산에 대응되는 제2나사산이 형성된 회전체와; 상기 회전체를 회전시키는 모터; 로 이루어지되, 상기 모터의 회전에 의해 상기 스크류바는 상기 회전체에 대해 직선 이동하여 상기 링크를 구동시킨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변형이 가능한 차량용 시트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다수개의 상기 구동체를 각각 상기 링크에 결합시켜 상호 독립적으로 구동되게 함으로써, 각각의 상기 링크의 위치를 서로 다르게 변형하여 시트의 전면을 탑승자의 체형에 맞게 다양하게 변형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상기 구동체를 피스톤실린더로 구성함으로써, 상기 구동체에 의해 상기 링크부재가 변형될 때 진동 없이 부드럽게 변형되게 하고, 시트에 전체적으로 쿠션감을 주어 탑승감을 좋게 한다.
각각의 상기 링크에 상기 스크류바를 결합하고, 상기 모터에 의해 회전하는 상기 회전체의 회전력을 이용하여 상기 스크류바를 직선 이동시킴으로써, 기계적 마찰이 비교적 적어 상기 링크부재의 구동시 발생하는 소음을 줄이고, 모터에서 직접 동력을 전달받으므로 전체적인 구성을 간소화하는 효과가 있다.
제1실시예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변형이 가능한 차량용 시트의 사시도이 며,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변형이 가능한 차량용 시트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2의 A-A에서 바라본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변형이 가능한 차량용 시트의 작동 상태도이다.
도 2 내지 도 4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변형이 가능한 차량용 시트는 시트본체(100), 링크부재(200) 및 구동체(300)로 이루어진다.
상기 시트본체(100)는 차량 탑승자가 앉는 의자로써, 탑승자의 하체를 지지하는 좌판부(110)와 상체를 지지하는 등받이부(120)로 이루어진다.
상기 좌판부(110)는 사각형 형상으로 평형하게 형성되며, 상기 좌판부(110)의 후방에는 상기 등받이부(120)가 장착된다.
상기 등받이부(120)는 상기 좌판부(110)의 후방에서 상방향으로 길게 돌출 형성된다.
이러한 상기 시트본체(100)는 각각의 골격을 유지하는 프레임(101)과, 상기 프레임(101)의 전면에 장착되는 쿠션부재(102)와, 상기 쿠션부재(102)와 상기 프레임(101)을 감싸는 외피부재(103)로 이루어진다.
상기 프레임(101)은 알루미늄합금이나 강철과 같은 단단한 재질로 이루어져 탑승자의 무게를 충분히 견딜 수 있도록 형성된다.
상기 쿠션부재(102)는 스폰지나 우레탄폼과 같은 쿠션감이 있는 재질로 이루어지며, 상기 프레임(101)의 전면에 장착된다.
상기 외피부재(103) 신축성이 있는 가죽이나 합성섬유 재질 등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쿠션부재(102)와 상기 프레임(101)을 감싸 상기 시트본체(100)의 외관을 보기 좋게 한다.
한편 상기 시트본체(100)에는 상기 링크부재(200)가 각각 삽입 장착된다.
상기 링크부재(200)는 상기 시트본체(100)의 내부에 장착되어 상기 시트본체(100)의 전면을 다양한 형상으로 변형시킨다.
구체적으로 상기 링크부재(200)는 다수개의 링크가 일렬로 힌지결합된 것으로써, 제1링크(210), 제2링크(220) 및 제3링크(230)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1링크(210), 상기 제2링크(220) 및 상기 제3링크(230)는 원통형의 형상으로 상기 시트본체(100)의 양측방향으로 길게 형성된다.
상기 제2링크(220)는 상기 제1링크(210)와 상기 제3링크(230)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제1링크(210)와 상기 제3링크(230)는 일단이 각각 상기 제2링크(220)의 양단에 힌지결합되어 회전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링크(210)와 상기 제3링크(230)의 일단에는 상기 시트본체(100)의 전후방향 즉 상기 제1링크(210)와 상기 제3링크(230)의 회전방향으로 개방된 결합홈(201) 각각 형성되고, 상기 제2링크(220)의 양단에는 상기 결합홈(201)에 삽입되어 전후방향으로 회전하는 결합돌기(202)가 형성된다.
이러한 상기 결합돌기(202)는 상기 결합홈(201)에 삽입되며, 상기 결합홈(201)과 상기 결합돌기(202)에 상하방향 관통하여 삽입되는 힌지축(203)에 의해 힌지결합되어 전후방향으로 회전한다.
또한 상기 제1링크(210)와 상기 제3링크(230) 타단은 각각 상기 시트본체(100)의 양측방향으로 배치된다.
경우에 따라서 상기 링크부재(200)는 상기 제1링크(210), 상기 제2링크(220) 및 상기 제3링크(230) 이외에 더 많은 링크를 일렬로 상호 힌지결합시켜 사용할 수 있으며, 상기 제1링크(210)와 상기 제2링크(220)만 힌지결합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이러한 상기 링크부재(200)는 상기 좌판부(110)에 1개, 상기 등받이부(120)에 2개 총 3개로 이루어지며, 상기 시트본체(100)의 상기 쿠션부재(102)의 내부에 장착된다.
물론 경우에 따라서 상기 링크부재(200)를 상기 좌판부(110)와 상기 등받이부(120)에 여러개 장착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상기 링크부재(200)를 상기 쿠션부재(102)의 후방에 장착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링크부재(200)에는 상기 링크부재(200)에 구동력을 부가하는 구동체(300)가 장착된다.
상기 구동체(300)는 상기 시트본체(100) 내부에 장착되며, 다수개로 이루어져 각각의 상기 링크에 결합된다.
즉 상기 구동체(300)는 상기 제1링크(210), 상기 제2링크(220) 및 상기 제3링크(230)에 각각 힌지결합된다.
그리고 상기 구동체(300)는 상기 링크부재(200)와 상기 시트본체(100)의 후면 사이에 배치된다.
즉, 상기 구동체(300)는 상기 등받이부(120)의 내부에서 상기 링크부재(200)의 후방에 배치된다.
이와 같이 상기 구동체(300)가 상기 링크부재(200)의 후방에 배치됨으로써, 상기 구동체(300)가 차량 탑승자의 등이 접하는 상기 등받이부(120)의 전방으로 돌출되지 않아 차량 탑승자가 상기 등받이부(120)에 기대어 상기 쿠션부재(102)가 압축되어도 차량 탑승자에게 불편함을 주지 않는다.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서 상기 구동체(300)는 피스톤실린더로 이루어진다.
피스톤실린더는 유압에 의해 실린더(310)에 삽입된 피스톤(320)이 상기 실린더(310)의 직선 방향으로 왕복 이동되게 하는 것이며, 물론 경우에 따라 공압으로 상기 실린더(310)를 이동되게 할 수도 있다.
이러한 피스톤실린더는 직선 이동하는 상기 피스톤(320)의 일단이 각각 상기 제1링크(210), 상기 제2링크(220) 및 상기 제3링크(230)에 회전되게 힌지결합되고, 상기 실린더(310)가 상기 시트본체(100)의 프레임(101)에 장착 고정된다.
이와 같이 상기 구동체(300)를 피스톤실린더로 구성함으로써, 상기 구동체(300)에 의해 상기 링크부재(200)가 변형될 때 진동 없이 부드럽게 변형되게 하고, 시트에 전체적으로 쿠션감을 주어 탑승감을 좋게 한다.
위 구성으로 이루어진 제1실시예에 따른 변형이 가능한 차량용 시트는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링크(210), 상기 제2링크(220) 및 상기 제3링크(230)에 장착된 각각의 상기 피스톤(320)이 모두 동일한 길이로 돌출되면, 상기 제1링크(210), 상기 제2링크(220) 및 상기 제3링크(230)가 일렬로 배치되어 상기 시트본체(100)의 전면이 평평하게 된다.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링크(210)와 상기 제3링크(230)에 장착된 각각의 상기 피스톤(320)이 공압에 의해 상기 시트본체(100)의 전방향으로 이동하면, 상기 제1링크(210)와 상기 제3링크(230)는 상기 제2링크(220)와의 힌지결합점을 중심으로 전방향으로 각각 회전한다.
이때 상기 시트본체(100)의 상기 쿠션부재(102)와 상기 외피부재(103)는 신축성이 갖고 있어 상기 제1링크(210) 및 상기 제3링크(230)에 의해 전방향으로 늘어나면서 돌출된다.
따라서 상기 시트본체(100)의 전면은 양측이 전방향으로 돌출되고 가운데 부분은 평평하게 변형되어 탑승자가 상기 시트본체(100)의 양측방향으로 기울어지지 않게 지지할 수 있게 된다.
경우에 따라서 상기 링크부재(200)를 상기 시트본체(100)의 상하방향으로 일렬 배치하여 상기 시트본체(100)의 상하부를 전후방향으로 변형되게 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다수개의 상기 구동체(300)를 각각 상기 링크에 결합시켜 상호 독립적으로 구동되게 함으로써, 각각의 상기 링크의 위치를 서로 다르게 변형하여 시트의 전면을 탑승자의 체형에 맞게 다양하게 변형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제2실시예
도 5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링크부재와 구동체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6은 도 2의 A-A에서 바라본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변형이 가능한 차량용 시트의 작동 상태도이다.
도 5 및 도 6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변형이 가능한 차량용 시트는 제1실시예에서 상기 구동체(300)를 제외하고 모두 동일한바,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제2실시예에 따른 구동체(400)는 상기 시트본체(100)의 내부에 배치되며, 스크류바(410), 회전체(420) 및 모터(430)로 이루어진다.
상기 스크류바(410)는 원통형 형상으로 상기 시트본체(100)의 전후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며, 외주면에 제1나사산(411)이 형성된다.
이러한 스크류바(410)는 상기 제1링크(210), 상기 제2링크(210), 상기 제3링 크(230)의 후방에 각각 힌지결합된다.
상기 회전체(420)는 중공의 원통형 형상으로 상기 시트의 전후방향으로 길게 형성되고, 내주면에 상기 제1나사산(411)에 대응되는 제2나사산(421)이 형성된다.
이러한 상기 회전체(420)의 전방에는 상기 스크류바(410)가 나사결합되며, 상기 회전체(420)의 회전시 상기 스크류바(410)는 상기 회전체(420)에 대해 전후방향으로 직선 이동한다.
또한 상기 회전체(420)의 후방에는 상기 모터(430)가 장착된다.
상기 모터(430)는 상기 시트본체(100)의 전후방향으로 배치되어 상기 프레임(101)에 장착 고정되며, 상기 모터(430)의 회전축이 상기 회전체(420)와 결합되어 상기 회전체(420)를 회전시킨다.
위 구성으로 이루어진 제2실시예에 따른 변형이 가능한 차량용 시트는 도 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링크(210), 상기 제2링크(210), 상기 제3링크(230)에 장착된 각각의 상기 스크류바(410)가 상기 회전체(420)에서 모두 동일한 길이로 돌출되면, 상기 제1링크(210), 상기 제2링크(210), 상기 제3링크(230)가 일렬로 배치되어 상기 시트본체(100)의 전면이 평평하게 된다.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모터(430)가 회전하여 상기 제1링크(210)와 상기 제3링크(230)에 장착된 각각의 상기 스크류바(410)가 상기 회전체(420)에 대해 전방향으로 이동하면, 상기 제1링크(210)와 상기 제3링크(230)의 일단은 상기 제2링크(220)와의 힌지결합점을 중심으로 전방향으로 각각 회전한다.
이때 상기 시트본체(100)의 상기 쿠션부재(102)와 상기 외피부재(103)는 신 축성이 갖고 있어 상기 제1링크(210) 및 상기 제3링크(230)에 의해 전방향으로 늘어나면서 돌출된다.
따라서 상기 시트본체(100)의 전면은 양측이 전방향으로 돌출되고 가운데 부분은 평평하게 변형되어 탑승자가 상기 시트본체(100)의 양측방향으로 기울어지지 않게 지지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다수개의 상기 구동체(400)를 각각 상기 링크에 결합시켜 상호 독립적으로 구동되게 함으로써, 각각의 상기 링크의 위치를 서로 다르게 변형하여 시트의 전면을 탑승자의 체형에 맞게 다양하게 변형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인 변형이 가능한 차량용 시트는 전술한 실시예에 국한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이 허용되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차량용 시트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변형이 가능한 차량용 시트의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변형이 가능한 차량용 시트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2의 A-A에서 바라본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변형이 가능한 차량용 시트의 작동 상태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링크부재와 구동체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6은 도 2의 A-A에서 바라본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변형이 가능한 차량용 시트의 작동 상태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시트본체, 200 : 링크부재, 201 : 결합홈, 202 : 결합돌기, 210 : 제1링크, 220 : 제2링크, 230 : 제3링크, 300,400 : 구동체, 310 : 실린더, 320 : 피스톤, 410 : 스크류바, 420 : 회전체, 430 : 모터,

Claims (3)

  1. 시트본체와;
    상기 시트본체의 내부에 장착되어 상기 시트본체의 전면을 다양한 형상으로 변형시키는 링크부재와;
    상기 시트본체의 내부에 장착되어 상기 링크부재에 구동력을 부가하는 구동체;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링크부재는 제1링크, 제2링크, 제3링크가 일렬로 힌지결합되어 이루어지고,
    상기 제1링크와 제3링크에는 상기 제2링크 방향으로 결합홈이 각각 형성되며,
    상기 제2링크의 양단에는 상기 결합홈에 삽입되는 결합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결합돌기는 상기 결합홈에 삽입되어 힌지축에 의해 힌지결합되며,
    상기 구동체는 상기 링크부재와 시트본체의 후면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구동체는 다수개로 이루어져 각각의 상기 링크에 결합되며, 다수개의 상기 링크는 다수개의 상기 구동체에 의해 상호 독립적으로 구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형상 변형이 가능한 차량용 시트.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체는 피스톤실린더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형상 변형이 가능한 차량용 시트.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체는,
    각각의 상기 링크에 결합 되고, 외주면에 제1나사산이 형성된 스크류바와;
    상기 스크류바가 삽입장착되고, 내주면에 상기 제1나사산에 대응되는 제2나 사산이 형성된 회전체와;
    상기 회전체를 회전시키는 모터; 로 이루어지되,
    상기 모터의 회전에 의해 상기 스크류바는 상기 회전체에 대해 직선 이동하여 상기 링크를 구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형상 변형이 가능한 차량용 시트.
KR1020090047694A 2009-05-29 2009-05-29 변형이 가능한 차량용 시트 KR10109012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47694A KR101090122B1 (ko) 2009-05-29 2009-05-29 변형이 가능한 차량용 시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47694A KR101090122B1 (ko) 2009-05-29 2009-05-29 변형이 가능한 차량용 시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28983A KR20100128983A (ko) 2010-12-08
KR101090122B1 true KR101090122B1 (ko) 2011-12-13

Family

ID=435057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47694A KR101090122B1 (ko) 2009-05-29 2009-05-29 변형이 가능한 차량용 시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9012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66089B1 (ko) * 2017-11-10 2019-04-05 주식회사 서연이화 가변형 자동차 내장재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46472B1 (ko) * 1999-12-22 2002-07-2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의 시트백 측부 높낮이 조절장치
JP2005125861A (ja) 2003-10-22 2005-05-19 T S Tec Kk 座席装置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46472B1 (ko) * 1999-12-22 2002-07-2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의 시트백 측부 높낮이 조절장치
JP2005125861A (ja) 2003-10-22 2005-05-19 T S Tec Kk 座席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66089B1 (ko) * 2017-11-10 2019-04-05 주식회사 서연이화 가변형 자동차 내장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28983A (ko) 2010-12-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873360B2 (en) Flexible seatback system
EP3275725B1 (en) Vehicle seat
US9114880B2 (en) Aircraft seat back with improved comfort and reduced size
CN106183932B (zh) 腰部支撑组件
US20150145303A1 (en) Flexible seatback system
CN101933730B (zh) 车辆用座椅
US20090200850A1 (en) Reclining device for seats in vehicles
JP2007186075A (ja) 自転車用サドル
EP2765026B1 (en) Vehicle seat
CN108698525A (zh) 座椅结构
JP5827894B2 (ja) ヘッドレスト及び車両用シート
US6811227B2 (en) Firm cushion
JP5884638B2 (ja) 車両用シート
KR101090122B1 (ko) 변형이 가능한 차량용 시트
JP4642523B2 (ja) 車両用シート
JP3607861B2 (ja) シート
JP7266069B2 (ja) シート用サポート駆動部及びこれを含むサポートアセンブリ
JP2009234286A (ja) 車両用ヘッドレスト装置
CN208036037U (zh) 一种双调节驾驶座椅
JP2022058119A (ja) 乗り物用シート
CN112895998A (zh) 车用座椅
JP4417220B2 (ja) 車両用シート
US9119472B2 (en) Movable seat insert
JP2023142101A (ja) 車両用シート
JP6455471B2 (ja) 車両用シー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1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2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2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2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25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02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