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89857B1 - 콘텐츠 재생 장치, 콘텐츠 기록 장치, 네트워크 시스템, 및콘텐츠 기록·재생 방법 - Google Patents

콘텐츠 재생 장치, 콘텐츠 기록 장치, 네트워크 시스템, 및콘텐츠 기록·재생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89857B1
KR101089857B1 KR1020050017638A KR20050017638A KR101089857B1 KR 101089857 B1 KR101089857 B1 KR 101089857B1 KR 1020050017638 A KR1020050017638 A KR 1020050017638A KR 20050017638 A KR20050017638 A KR 20050017638A KR 101089857 B1 KR101089857 B1 KR 10108985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ent
stream
network
information processing
encrypt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176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43370A (ko
Inventor
시게끼 나까무라
Original Assignee
소니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소니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소니 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06004337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4337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8985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8985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5/00Digital computers in general; Data processing equipment in general
    • G06F15/16Combinations of two or more digital computers each having at least an arithmetic unit, a program unit and a register, e.g. for a simultaneous processing of several progra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76Television signal recording
    • H04N5/765Interface circuits between an apparatus for recording and another apparatu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7/00Digital computing or data processing equipment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func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7Server based end-user applications
    • H04N21/274Storing end-user multimedia data in response to end-user request, e.g. network recorder
    • H04N21/2747Remote storage of video programs received via the downstream path, e.g. from the serv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26Internal components of the client ; Characteristics thereof
    • H04N21/42684Client identification by a unique number or address, e.g. serial number, MAC address, socket I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3Content storage operation, e.g. storage operation in response to a pause request, caching operations
    • H04N21/4334Recording oper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6Interfacing a local distribution network, e.g. communicating with another STB or one or more peripheral devices inside the home
    • H04N21/43615Interfacing a Home Network, e.g. for connecting the client to a plurality of peripher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6Interfacing a local distribution network, e.g. communicating with another STB or one or more peripheral devices inside the home
    • H04N21/43622Interfacing an external recording devi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6Interfacing a local distribution network, e.g. communicating with another STB or one or more peripheral devices inside the home
    • H04N21/4367Establishing a secure communication between the client and a peripheral device or smart card

Abstract

본 발명은, 시스템에의 증설이나 교환 등의 자유도가 높고, 기록되어 있는 콘텐츠에 개별적으로 재생 제한을 설정할 수 있는 네트워크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콘텐츠를 수신하여 재생하는 클라이언트 AV 기기와 콘텐츠를 기록하는 장치로서의 홈 서버를 네트워크를 통해 접속한다. 클라이언트 AV 기기는 수신한 콘텐츠를 자장치의 비밀 키로 암호화하여, 네트워크를 통해 홈 서버에 전송하고, 홈 서버는 암호화된 콘텐츠를, 콘텐츠 ID, 송신원인 정보 처리 장치 ID, 콘텐츠의 메타 정보 등의 정보와 함께 테이블화하여 기록한다. 클라이언트 AV 기기는 홈 서버에 대하여 콘텐츠의 취득을 요구하며, 홈 서버는 이 요구원 기기의 정보 처리 장치 ID 및 지정된 콘텐츠 ID에 기초하여 테이블로부터 해당하는 콘텐츠를 검색하여 클라이언트 AV 기기로 송신한다.
Figure R1020050017638
정보 처리 장치, 네트워크, 메인 프로세서, 서브 프로세서, 외부 기록부

Description

콘텐츠 재생 장치, 콘텐츠 기록 장치, 네트워크 시스템, 및 콘텐츠 기록·재생 방법{CONTENT REPRODUCTION APPARATUS, CONTENT RECORDING APPARATUS, NETWORK SYSTEM, AND CONTENT RECORDING/REPRODUCING METHOD}
도 1은 본 발명의 네트워크 시스템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정보 처리 장치가 구비하는 정보 처리 컨트롤러의 설명을 위해 제공되는 도면.
도 3은 소프트웨어 셀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
도 4는 DMA 커맨드가 스테이터스 회신 커맨드인 경우의 소프트웨어 셀의 데이터 영역을 나타내는 도면.
도 5는 복수의 정보 처리 장치가 가상적인 1대의 정보 처리 장치로서 동작하는 형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6은 정보 처리 컨트롤러의 소프트웨어 구성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네트워크 AV 시스템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
도 8은 도 7의 시스템에서의 클라이언트 AV 기기의 하드웨어의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
도 9는 도 8의 클라이언트 AV 기기의 소프트웨어의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
도 10은 도 7의 시스템에서의 홈 서버의 하드웨어의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
도 11은 도 10의 홈 서버의 소프트웨어의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
도 12는 도 7의 시스템에서 콘텐츠를 기록할 때의 각 정보 처리 장치 간에서의 교환을 나타내는 도면.
도 13은 콘텐츠의 기록의 동작을 나타내는 도면.
도 14는 콘텐츠 관리 테이블(43)의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
도 15는 콘텐츠의 재생 동작을 나타내는 도면.
도 16은 콘텐츠의 공개의 동작을 나타내는 도면.
도 17은 공개 콘텐츠의 재생 동작을 나타내는 도면.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2, 3 : 정보 처리 장치
9 : 네트워크
11, 12, 13 : 정보 처리 컨트롤러
21-1∼21-3 : 메인 프로세서
22-1, 22-2 : LS(로컬 스토리지)
23-1∼23-5 : 서브 프로세서
25-1, 25-2 : DMAC
26-1∼26-3 : 메인 메모리
28-1∼28-5 : 외부 기록부
[특허 문헌 1] 일본 특개2002-112220호 공보(단락 [0006] 등).
본 발명은, 각각 네트워크 대응의 콘텐츠 재생 장치, 콘텐츠 기록 장치, 네트워크 시스템, 및 콘텐츠 기록·재생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DTV(디지털 텔레비전)이나 HDD/DVD를 내장한 레코더 등의 AV(Audio Visual) 기기의 네트워크로의 대응화가 진행되고 있다. 이들 네트워크 대응의 AV 기기는, 네트워크 경유하여 PC(Personal Computer)로부터의 프로그램 예약이나 원격 조작 등에 대응한 것이 대부분이다.
또한, MEPG2 인코더를 탑재한 네트워크 대응의 레코더 등에서는, 이것에 기록되어 있는 콘텐츠를 MEPG2 인코드에 의해 네트워크 전송에 적합한 압축률의 스트림으로 부호화하고, 레코더와 네트워크를 통해 접속된 PC나 콘텐츠 재생 기능을 갖는 AV 기기 등에 전송하여, 재생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그러나, 일반적으로 콘텐츠의 스트림의 외부 입력 및 방송 수신으로부터 기록까지의 일련의 기능은 레코더가 담당하고 있기 때문에, 동시 기록 프로그램의 수를 늘리고자 하거나, 새로운 방송 형식에 대응하고자 하면, 신규로 레코더를 추가 도입해야만 하며, 또한, 복수의 레코더의 전체적인 기록 용량을 늘리고자 하는 경우에는, 개개의 레코더 내의 하드디스크 드라이브 등의 스토리지를 보다 대용량인 것으로 변환해야만 하였다.
또한, 일반적으로 레코더에 기록된 각각의 콘텐츠에는 소유자 권한 등에 의한 재생 제한을 설정하고 있지 않기 때문에, 레코더를 네트워크 상의 복수의 PC나 콘텐츠 재생 기능을 갖는 AV 기기의 콘텐츠 기록 수단으로서 공용한 경우에, 기록 콘텐츠를 어떤 기기로부터라도 열람 재생할 수 있게 되는 등의 시큐러티 상의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이러한 실정을 감안하여, 시스템에의 증설이나 교환 등의 자유도가 높고, 기록 콘텐츠에 개별적으로 재생 제한을 설정할 수 있는 콘텐츠 재생 장치, 콘텐츠 기록 장치, 네트워크 시스템, 및 콘텐츠 기록·재생 방법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의 콘텐츠 재생 장치는, 오리지널 콘텐츠의 스트림을 수신하는 오리지널 콘텐츠 수신 수단과, 상기 오리지널 콘텐츠 수신 수단에 의해 수신한 상기 오리지널 콘텐츠의 스트림을 암호화하여, 암호화된 콘텐츠의 스트림을 네트워크를 통해 외부의 콘텐츠 기록 장치에 기록되도록 송신하는 암호화 콘텐츠 송신 수단과, 적어도 자장치(self apparatus)의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상기 암호화된 콘텐츠와 관련된 정보를, 상기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콘텐츠 기록 장치의 기억 매체에 상기 암호화된 콘텐츠의 스트림과 관련되어 기록되도록 송신하는 정보 송신 수단과, 상기 콘텐츠 기록 장치에 대하여, 상기 기억 매체에 자장치의 식별 정보와 관련되어 기록되어 있는 상기 암호화된 콘텐츠의 스트림의 취득을 상기 네트워크를 통해 요구하는 콘텐츠 요구 수단과, 상기 요구에 따라 상기 콘텐츠 기록 장치로부터 상기 네트워크를 통해 송신된, 상기 암호화된 콘텐츠의 스트림을 수신하여, 수신한 상기 암호화된 콘텐츠의 스트림을 복호하는 복호 수단과, 복호한 상기 콘텐츠의 스트림을 재생하는 콘텐츠 재생 수단과, 상기 복호한 콘텐츠의 스트림을, 상기 네트워크에 접속된 다른 콘텐츠 재생 장치가 재생 가능한 공개 콘텐츠로서 상기 기억 매체에 기록되도록, 상기 콘텐츠 기록 장치에 상기 네트워크를 통해 송신하는 공개 콘텐츠 송신 수단과, 상기 콘텐츠 기록 장치에 대하여, 상기 기억 매체에 기록되어 있는 상기 공개 콘텐츠의 스트림의 취득을 상기 네트워크를 통해 요구하는 공개 콘텐츠 요구 수단을 구비한다.
또한, 본 발명의 콘텐츠 기록 장치는, 콘텐츠 재생 장치로부터 암호화된 콘텐츠의 스트림을 네트워크를 통해 수신하는 암호화 콘텐츠 수신 수단과, 상기 콘텐츠 재생 장치로부터, 적어도 상기 콘텐츠 재생 장치의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상기 암호화된 콘텐츠와 관련된 정보를 수신하는 정보 수신 수단과, 적어도, 상기 암호화 콘텐츠 수신 수단에 의해 수신한 상기 암호화된 콘텐츠의 스트림 및 상기 정보 수신 수단에 의해 수신한 상기 암호화된 콘텐츠와 관련된 정보를 관련시켜서 기억 매체에 기록하는 기록 수단과, 상기 콘텐츠 재생 장치로부터의 요구에 따라, 상기 콘텐츠 재생 장치의 식별 정보와 관련되어 상기 기억 매체에 기록되어 있는 상기 암호화된 콘텐츠의 스트림을 상기 콘텐츠 재생 장치로 회신하는 콘텐츠 응답 수단과, 상기 콘텐츠 재생 장치로부터, 상기 암호화된 콘텐츠의 스트림이 복호된 콘텐츠의 스트림을, 상기 네트워크에 접속된 다른 콘텐츠 재생 장치가 재생 가능한 공개 콘텐츠로서 상기 네트워크를 통해 수신하는 공개 콘텐츠 수신 수단과, 상기 콘텐츠 재생 장치로부터 상기 네트워크를 통해 수신한 상기 공개 콘텐츠의 스트림으로, 상기 기억 매체에 기록되어 있는 상기 암호화된 콘텐츠의 스트림을 갱신하는 갱신 수단과, 상기 기억 매체에 기록되어 있는 콘텐츠의 공개와 비공개의 속성을 관리하고, 상기 갱신 수단에 의해 상기 공개 콘텐츠의 스트림으로 갱신된 콘텐츠에 대하여 상기 공개의 속성을 부여하는 속성 관리 수단과, 상기 콘텐츠 재생 장치로부터의 공개 콘텐츠의 스트림의 취득의 요구에 따라, 상기 공개의 속성이 부여되어 있는 상기 공개 콘텐츠의 스트림을 상기 콘텐츠 재생 장치로 회신하는 공개 콘텐츠 응답 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의 발명에 따르면, 콘텐츠의 스트림을 기록·재생하는 시스템에서, 콘텐츠의 스트림을 수신하여 재생하는 장치와, 콘텐츠의 스트림을 기록하는 장치가 분리됨으로써, 각각의 장치를 추가 도입하거나 변경할 때의 자유도가 높아진다.
또한, 콘텐츠 기록 장치에 기록된 콘텐츠는 자장치의 식별 정보와 관련시켜서 관리되어 있기 때문에, 각각의 콘텐츠 재생 장치는, 자신이 콘텐츠 기록 장치로 송신한 콘텐츠 이외의 콘텐츠를 취득할 수 없게 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기록 콘텐츠를 어떤 장치로부터라도 열람 재생할 수 있게 되는 등의 시큐러티 상의 문제가 해소된다.
또한, 콘텐츠 기록 장치에 기록되는 콘텐츠의 스트림은, 송신원의 콘텐츠 재생 장치에 의해 비밀 키 등으로 암호화되어 있기 때문에, 만약, 콘텐츠 기록 장치 에 기록되어 있는 콘텐츠의 스트림이 외부로 추출되었다고 하여도 재생되게 되지는 않는다.
또한, 본 발명의 콘텐츠 재생 장치는, 네트워크를 통해 콘텐츠 기록 장치로부터 수신한 암호화된 콘텐츠의 스트림을 복호하고, 이것을 기억 매체에 공개 콘텐츠로서 기록되도록, 콘텐츠 기록 장치로 네트워크를 통해 송신하는 공개 콘텐츠 송신 수단을 구비하는 것이어도 된다.
한편, 본 발명의 콘텐츠 기록 장치는, 콘텐츠 재생 장치로부터 네트워크를 통해 수신한 공개 콘텐츠의 스트림으로, 기억 매체에 기록되어 있는 암호화된 콘텐츠의 스트림을 갱신하는 갱신 수단을 구비하는 것이어도 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암호화를 해제한 스트림을 공개 콘텐츠로서 콘텐츠 기록 장치에 기록할 수 있으므로, 홈 서버 상의 콘텐츠를 다른 클라이언트 AV 기기에 의해 재생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콘텐츠 기록 장치는, 보다 구체적으로는, 기억 매체에 기록되어 있는 콘텐츠의 공개와 비공개의 속성을 관리하여, 갱신 수단에 의해 공개 콘텐츠의 스트림으로 갱신된 콘텐츠에 대하여 공개의 속성을 부여하는 속성 관리 수단과, 콘텐츠 재생 장치로부터의 공개 콘텐츠의 요구에 따라, 공개의 속성이 부여되어 있는 공개 콘텐츠의 스트림을 콘텐츠 재생 장치로 회신하는 공개 콘텐츠 응답 수단을 구비하는 것이어도 된다.
이것에 의해, 콘텐츠 재생 장치로부터 공개 콘텐츠의 취득을 요구함으로써, 콘텐츠 재생 장치에서의 공개 콘텐츠의 재생이 가능해진다.
본 발명의 다른 관점에 기초하는 네트워크 시스템은, 네트워크를 통해 접속된 콘텐츠 재생 장치와 콘텐츠 기록 장치를 갖는 네트워크 시스템으로서, 상기 콘텐츠 재생 장치는, 오리지널 콘텐츠의 스트림을 수신하는 오리지널 콘텐츠 수신 수단과, 상기 오리지널 콘텐츠 수신 수단에 의해 수신한 상기 오리지널 콘텐츠의 스트림을 암호화하여, 암호화된 콘텐츠의 스트림을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콘텐츠 기록 장치에 기록되도록 송신하는 암호화 콘텐츠 송신 수단과, 적어도 자장치의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상기 암호화된 콘텐츠와 관련된 정보를, 상기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콘텐츠 기록 장치의 기억 매체에 상기 암호화된 콘텐츠의 스트림과 관련되어 기록되도록 송신하는 정보 송신 수단과, 상기 콘텐츠 기록 장치에 대하여, 상기 기억 매체에 자장치의 식별 정보와 관련되어 기록되어 있는 상기 암호화된 콘텐츠의 스트림의 취득을 상기 네트워크를 통해 요구하는 콘텐츠 요구 수단과, 상기 요구에 따라 상기 콘텐츠 기록 장치로부터 상기 네트워크를 통해 송신된, 상기 암호화된 콘텐츠의 스트림을 수신하여, 수신한 상기 암호화된 콘텐츠의 스트림을 복호하는 복호 수단과, 복호한 상기 콘텐츠의 스트림을 재생하는 콘텐츠 재생 수단과, 상기 복호한 콘텐츠의 스트림을, 상기 네트워크에 접속된 다른 콘텐츠 재생 장치가 재생 가능한 공개 콘텐츠로서 상기 기억 매체에 기록되도록, 상기 콘텐츠 기록 장치로 상기 네트워크를 통해 송신하는 공개 콘텐츠 송신 수단과, 상기 콘텐츠 기록 장치에 대하여, 상기 기억 매체에 기록되어 있는 상기 공개 콘텐츠의 스트림의 취득을 상기 네트워크를 통해 요구하는 공개 콘텐츠 요구 수단을 구비하며, 상기 콘텐츠 기록 장치는, 상기 콘텐츠 재생 장치로부터 암호화된 콘텐츠의 스트림을 네트워크를 통해 수신하는 암호화 콘텐츠 수신 수단과, 상기 콘텐츠 재생 장치로부터, 적어도 상기 콘텐츠 재생 장치의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상기 암호화된 콘텐츠와 관련된 정보를 수신하는 정보 수신 수단과, 적어도, 상기 암호화 콘텐츠 수신 수단에 의해 수신한 상기 암호화된 콘텐츠의 스트림 및 상기 정보 수신 수단에 의해 수신한 상기 암호화된 콘텐츠와 관련된 정보를 관련시켜서 기억 매체에 기록하는 기록 수단과, 상기 콘텐츠 재생 장치로부터의 요구에 따라, 상기 콘텐츠 재생 장치의 식별 정보와 관련되어 상기 기억 매체에 기록되어 있는 상기 암호화된 콘텐츠의 스트림을 상기 콘텐츠 재생 장치로 회신하는 콘텐츠 응답 수단과, 상기 콘텐츠 재생 장치로부터, 상기 암호화된 콘텐츠의 스트림이 복호된 콘텐츠의 스트림을, 상기 네트워크에 접속된 다른 콘텐츠 재생 장치가 재생 가능한 공개 콘텐츠로서 상기 네트워크를 통해 수신하는 공개 콘텐츠 수신 수단과, 상기 콘텐츠 재생 장치로부터 상기 네트워크를 통해 수신한 상기 공개 콘텐츠의 스트림으로, 상기 기억 매체에 기록되어 있는 상기 암호화된 콘텐츠의 스트림을 갱신하는 갱신 수단과, 상기 기억 매체에 기록되어 있는 콘텐츠의 공개와 비공개의 속성을 관리하고, 상기 갱신 수단에 의해 상기 공개 콘텐츠의 스트림으로 갱신된 콘텐츠에 대하여 상기 공개의 속성을 부여하는 속성 관리 수단과, 상기 콘텐츠 재생 장치로부터의 상기 공개 콘텐츠의 스트림의 취득의 요구에 따라, 상기 공개의 속성이 부여되어 있는 상기 공개 콘텐츠의 스트림을 상기 콘텐츠 재생 장치로 회신하는 공개 콘텐츠 응답 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네트워크 시스템에 따르면, 콘텐츠의 스트림을 수신하여 재생하는 장치와, 콘텐츠의 스트림을 기록하는 장치가 분리됨으로써, 각각의 장치를 추가 도입하거나 변경할 때의 자유도가 높아진다.
또한, 콘텐츠 기록 장치에 기록된 콘텐츠는 자장치의 식별 정보와 관련시켜서 관리되어 있기 때문에, 각각의 콘텐츠 재생 장치는, 자신이 콘텐츠 기록 장치로 송신한 콘텐츠 이외의 콘텐츠를 취득할 수 없게 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기록 콘텐츠를 어떤 장치로부터라도 열람 재생할 수 있게 되는 등의 시큐러티 상의 문제가 해소된다.
또한, 콘텐츠 기록 장치에 기록되는 콘텐츠의 스트림은, 송신원의 콘텐츠 재생 장치에 의해 비밀 키 등으로 암호화되어 있기 때문에, 만약, 콘텐츠 기록 장치에 기록되어 있는 콘텐츠의 스트림이 외부로 추출되었다고 하여도 재생되게 되지는 않는다.
또한, 본 발명의 네트워크 시스템에서, 콘텐츠 재생 장치는, 네트워크를 통해 콘텐츠 기록 장치로부터 수신한 암호화된 콘텐츠의 스트림을 복호하고, 이것을 기억 매체에 공개 콘텐츠로서 기록되도록, 콘텐츠 기록 장치로 네트워크를 통해 송신하는 공개 콘텐츠 송신 수단을 더 구비하며, 콘텐츠 기록 장치는, 콘텐츠 재생 장치로부터 네트워크를 통해 수신한 공개 콘텐츠의 스트림으로, 기억 매체에 기록되어 있는 암호화된 콘텐츠의 스트림을 갱신하는 갱신 수단을 더 구비하는 것이어도 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암호화를 해제한 스트림을 공개 콘텐츠로서 콘텐츠 기록 장치에 기록할 수 있으므로, 홈 서버 상의 콘텐츠를 다른 클라이언트 AV 기기에 의해 재생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관점에 기초하는 콘텐츠 기록·재생 방법은, 콘텐츠 재생 장치와 콘텐츠 기록 장치를 네트워크를 통해 접속해두고, 상기 콘텐츠 재생 장치에서, 오리지널 콘텐츠의 스트림을 수신하고, 수신한 상기 오리지널 콘텐츠의 스트림을 암호화하여, 암호화된 콘텐츠의 스트림을 상기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콘텐츠 기록 장치로 송신함과 함께, 적어도 자장치의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상기 암호화된 콘텐츠와 관련된 정보를, 상기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콘텐츠 기록 장치로 송신하고, 상기 콘텐츠 기록 장치에서, 상기 콘텐츠 재생 장치로부터 수신한 상기 암호화된 콘텐츠의 스트림과 상기 콘텐츠에 관한 정보를 관련시켜서 기억 매체에 기록하며, 상기 콘텐츠 재생 장치에서, 상기 콘텐츠 기록 장치에 대하여, 상기 기억 매체에 자장치의 식별 정보와 관련되어 기록되어 있는 상기 암호화된 콘텐츠의 스트림의 취득을 상기 네트워크를 통해 요구하고, 상기 요구에 따라 상기 콘텐츠 기록 장치로부터 네트워크를 통해 송신된, 상기 암호화된 콘텐츠의 스트림을 수신하여, 수신한 상기 암호화된 콘텐츠의 스트림을 복호하여, 복호한 상기 콘텐츠의 스트림을 콘텐츠 기록 장치에 상기 네트워크를 통해 회신하며, 상기 콘텐츠 기록 장치에서, 상기 콘텐츠 재생 장치로부터 네트워크를 통해 수신한 오리지널 콘텐츠의 스트림으로, 상기 기억 매체에 기록되어 있는 상기 암호화된 콘텐츠의 스트림을 갱신하여, 오리지널 콘텐츠의 스트림으로 갱신된 콘텐츠에 대하여, 상기 네트워크에 접속된 다른 콘텐츠 재생 장치가 재생 가능한 공개 콘텐츠인 것을 나타내는 공개의 속성을 부여하고, 상기 콘텐츠 재생 장치에서, 상기 콘텐츠 기록 장치에 대하여, 상기 기억 매체에 기록되어 있는 상기 공개 콘텐츠의 스트림의 취득을 상기 네트워크를 통해 요구하며, 상기 콘텐츠 기록 장치에서, 상기 요구에 따라, 상기 공개의 속성이 부여되어 있는 상기 오리지널 콘텐츠의 스트림을 상기 콘텐츠 재생 장치로 회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콘텐츠 기록·재생 방법에 따르면, 콘텐츠의 스트림을 수신하여 재생하는 장치와, 콘텐츠의 스트림을 기록하는 장치가 분리됨으로써, 각각의 장치를 추가 도입하거나 변경할 때의 자유도가 높아진다.
또한, 콘텐츠 기록 장치에 기록된 콘텐츠는 자장치의 식별 정보와 관련시켜서 관리되어 있기 때문에, 각각의 콘텐츠 재생 장치는, 자신이 콘텐츠 기록 장치로 송신한 콘텐츠 이외의 콘텐츠를 취득할 수 없게 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기록 콘 텐츠를 어떤 장치로부터라도 열람 재생할 수 있게 되는 등의 시큐러티 상의 문제가 해소된다.
또한, 콘텐츠 기록 장치에 기록되는 콘텐츠의 스트림은, 송신원의 콘텐츠 재생 장치에 의해 비밀 키 등으로 암호화되어 있기 때문에, 만약, 콘텐츠 기록 장치에 기록되어 있는 콘텐츠의 스트림이 외부로 추출되었다고 하여도 재생되게 되지는 않는다.
또한, 본 발명의 콘텐츠 기록·재생 방법에서, 콘텐츠 재생 장치는, 네트워크를 통해 콘텐츠 기록 장치로부터 수신한 암호화된 콘텐츠의 스트림을 복호하여 오리지널 콘텐츠의 스트림을 복원하고, 이것을 콘텐츠 기록 장치에 네트워크를 통해 회신하며, 콘텐츠 기록 장치는, 콘텐츠 재생 장치로부터 네트워크를 통해 수신한 오리지널 콘텐츠의 스트림으로, 기억 매체에 기록되어 있는 암호화된 콘텐츠의 스트림을 갱신하는 것으로 하여도 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암호화를 해제한 스트림을 공개 콘텐츠로서 콘텐츠 기록 장치에 기록할 수 있으므로, 홈 서버 상의 콘텐츠를 다른 클라이언트 AV 기기에 의해 재생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실시예〉
도 1은, 본 발명의 네트워크 시스템의 일례를 나타내며, 네트워크(9)를 통해 복수의 정보 처리 장치(1, 2, 3)가 접속된 것이다.
(정보 처리 장치 및 정보 처리 컨트롤러)
정보 처리 장치(1)에 대하여 나타내면, 정보 처리 장치(1)는, 컴퓨터 기능부 로서 정보 처리 컨트롤러(11)를 구비한다. 정보 처리 컨트롤러(11)는, 메인 프로세서(21-1), 서브 프로세서(23-1, 23-2, 23-3), DMAC(다이렉트 메모리 액세스 컨트롤러)(25-1) 및 DC(디스크 컨트롤러)(27-1)를 갖는다.
메인 프로세서(21-1)는, 서브 프로세서(23-1, 23-2, 23-3)에 의한 프로그램 실행(데이터 처리)의 스케줄 관리와, 정보 처리 컨트롤러(11)(정보 처리 장치(1))의 전반적인 관리를 행한다. 단, 메인 프로세서(21-1) 내에서 관리를 위한 프로그램 이외의 프로그램이 동작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그 경우에는, 메인 프로세서(21-1)는 서브 프로세서로서도 기능하게 된다. 메인 프로세서(21-1)는, LS(로컬 스토리지)(22-1)를 갖는다.
서브 프로세서는, 1개이어도 되지만, 바람직하게는 복수로 한다. 이 예에서는, 복수인 경우이다.
각 서브 프로세서(23-1, 23-2, 23-3)는, 메인 프로세서(21-1)의 제어에 의해 병렬적이며 또한 독립적으로, 프로그램을 실행하여, 데이터를 처리한다. 또한, 경우에 따라 메인 프로세서(21-1) 내의 프로그램이 서브 프로세서(23-1, 23-2, 23-3) 내의 프로그램과 제휴하여 동작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후술하는 기능 프로그램도 메인 프로세서(21-1) 내에서 동작하는 프로그램이다. 각 서브 프로세서(23-1, 23-2, 23-3)도, LS(로컬 스토리지)(24-1, 24-2, 24-3)를 갖는다.
DMAC(25-1)는, 정보 처리 컨트롤러(11)에 접속된 DRAM(다이내믹 RAM) 등으로 이루어지는 메인 메모리(26-1)에 저장되어 있는 프로그램 및 데이터에 액세스하는 것이며, DC(27-1)는, 정보 처리 컨트롤러(11)에 접속된 외부 기록부(28-1, 28-2)에 액세스하는 것이다.
외부 기록부(28-1, 28-2)는, 고정 디스크(하드디스크)이어도, 리무버블 디스크이어도 되며, 또한, MO, CD±RW, DVD±RW 등의 광 디스크, 메모리 디스크, SRAM(스태틱 RAM), ROM 등, 여러가지를 이용할 수 있다. 따라서, DC(27-1)는, 디스크 컨트롤러라 하지만, 외부 기록부 컨트롤러이다.
도 1의 예와 같이, 정보 처리 컨트롤러(11)에 대하여 외부 기록부(28)를 복수 접속할 수 있도록, 정보 처리 컨트롤러(11)를 구성할 수 있다.
메인 프로세서(21-1), 각 서브 프로세서(23-1, 23-2, 23-3), DMAC(25-1) 및 DC(27-1)는, 버스(29-1)에 의해 접속된다.
정보 처리 컨트롤러(11)에는, 해당 정보 처리 컨트롤러(11)를 구비하는 정보 처리 장치(1)를 네트워크 전체를 통해 일의적으로 식별할 수 있는 식별자가, 정보 처리 장치 ID로서 할당된다.
메인 프로세서(21-1) 및 각 서브 프로세서(23-1, 23-2, 23-3)에 대해서도 마찬가지로, 각각을 특정할 수 있는 식별자가, 메인 프로세서 ID 및 서브 프로세서 ID로서 할당된다.
정보 처리 컨트롤러(11)는, 원 칩 IC(집적 회로)로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른 정보 처리 장치(2, 3)도, 마찬가지로 구성된다. 여기서, 모 번호(parent number)가 동일한 유닛은 브랜치 번호가 상이하여도, 특별히 거절이 없는 한 동일한 기능을 하는 것으로 한다. 또한, 이하의 설명에서 브랜치 번호가 생략 되어 있는 경우에는, 브랜치 번호의 차이에 있는 차이를 발생하지 않는 것으로 한다.
(각 서브 프로세서로부터 메인 메모리로의 액세스)
전술한 바와 같이, 1개의 정보 처리 컨트롤러 내의 각 서브 프로세서(23)는, 독립적으로 프로그램을 실행하여, 데이터를 처리하지만, 상이한 서브 프로세서가 메인 메모리(26) 내의 동일한 영역에 대하여 동시에 판독 또는 기입을 행한 경우에는, 데이터의 부정합을 생길 수 있다. 따라서, 서브 프로세서(23)로부터 메인 메모리(26)로의 액세스는, 이하와 같은 수순에 의해 행한다.
도 2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메인 메모리(26)는, 복수의 어드레스를 지정할 수 있는 메모리 로케이션에 의해 구성된다. 각 메모리 로케이션에 대해서는, 데이터의 상태를 나타내는 정보를 저장하기 위한 추가 세그먼트가 할당된다. 추가 세그먼트는, F/E 비트, 서브 프로세서 ID 및 LS 어드레스(로컬 스토리지 어드레스)를 포함하는 것으로 된다. 또한, 각 메모리 로케이션에는, 후술한 액세스 키도 할당된다. F/E 비트는, 이하와 같이 정의된다.
F/E 비트=0은, 서브 프로세서(23)에 의해 판독되고 있는 처리 중의 데이터, 또는 빈 상태이기 때문에 최신 데이터가 아닌 무효 데이터이어서, 판독 불가인 것을 나타낸다. 또한, F/E 비트=0은, 해당 메모리 로케이션에 데이터 기입 가능한 것을 나타내며, 기입 후에 1로 설정된다.
F/E 비트=1은, 해당 메모리 로케이션의 데이터가 서브 프로세서(23)에 의해 판독되어 있지 않아서, 미처리된 최신 데이터인 것을 나타낸다. 해당 메모리 로케 이션의 데이터는 판독 가능하고, 서브 프로세서(23)에 의해 판독된 후에 0으로 설정된다. 또한, F/E 비트=1은, 해당 메모리 로케이션이 데이터 기입 불가인 것을 나타낸다.
또한, 상기 F/E 비트=0(판독 불가/기입 가능)의 상태에서, 해당 메모리 로케이션에 대하여 판독 예약을 설정하는 것은 가능하다. F/E 비트=0의 메모리 로케이션에 대하여 판독 예약을 행하는 경우에는, 서브 프로세서(23)는, 판독 예약을 행하는 메모리 로케이션의 추가 세그먼트에, 판독 예약 정보로서 해당 서브 프로세서(23)의 서브 프로세서 ID 및 LS 어드레스를 기입한다.
그 후, 데이터 기입측의 서브 프로세서(23)에 의해, 판독 예약된 메모리 로케이션에 데이터가 기입되고, F/E 비트=1(판독 가능/기입 불가)로 설정되었을 때, 미리 판독 예약 정보로서 추가 세그먼트에 기입된 서브 프로세서 ID 및 LS 어드레스로 판독된다.
복수의 서브 프로세서에 의해 데이터를 다단계로 처리할 필요가 있는 경우, 이와 같이 각 메모리 로케이션의 데이터의 판독/기입을 제어함으로써, 전(前)단층의 처리를 행하는 서브 프로세서(23)가, 처리 완료한 데이터를 메인 메모리(26) 상의 소정의 어드레스에 기입한 후에 바로, 후단층의 처리를 행하는 다른 서브 프로세서(23)가 전(前) 처리 후의 데이터를 판독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도 2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각 서브 프로세서(23) 내의 LS(24)도, 복수의 어드레스를 지정할 수 있는 메모리 로케이션에 의해 구성된다. 각 메모리 로케이션에 대해서는, 마찬가지로 추가 세그먼트가 할당된다. 추가 세그먼트는, 비지 비트를 포함하는 것으로 된다.
서브 프로세서(23)가 메인 메모리(26) 내의 데이터를 자신의 LS(24)의 메모리 로케이션에 판독할 때에는, 대응하는 비지 비트를 1로 설정하여 예약한다. 비지 비트가 1인 메모리 로케이션에는, 다른 데이터는 저장할 수 없다. LS(24)의 메모리 로케이션으로 판독 후, 비지 비트는 0으로 되어, 임의의 목적으로 사용할 수 있게 된다.
도 2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또한, 각 정보 처리 컨트롤러와 접속된 메인 메모리(26)에는, 복수의 샌드박스가 포함된다. 샌드박스는, 메인 메모리(26) 내의 영역을 획정하는 것이며, 각 샌드박스는, 각 서브 프로세서(23)에 할당되며, 그 서브 프로세서를 배타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즉, 각각의 서브 프로세서(23)는, 자신에게 할당된 샌드박스를 사용할 수 있지만, 이 영역을 넘어서 데이터의 액세스를 행할 수는 없다.
메인 메모리(26)는, 복수의 메모리 로케이션으로 구성되는데, 샌드박스는, 이들 메모리 로케이션의 집합이다.
또한, 메인 메모리(26)가 배타적인 제어를 실현하기 위해, 도 2의 (c)에 도시한 바와 같은 키 관리 테이블이 이용된다. 키 관리 테이블은, 정보 처리 컨트롤러 내의 SRAM과 같은 비교적 고속의 메모리에 저장되며, DMAC(25)와 관련된다. 키 관리 테이블 내의 각 레코드에는, 서브 프로세서 ID, 서브 프로세서 키 및 키 마스크가 포함된다.
서브 프로세서(23)가 메인 메모리(26)를 사용할 때의 프로세스는, 이하와 같 다. 먼저, 서브 프로세서(23)는 DMAC(25)에, 판독 또는 기입 커맨드를 출력한다. 이 커맨드에는, 자신의 서브 프로세서 ID와, 사용 요구처인 메인 메모리(26)의 어드레스가 포함된다.
DMAC(25)는, 이 커맨드를 실행하기 전에, 키 관리 테이블을 참조하여, 사용 요구원의 서브 프로세서의 서브 프로세서 키를 조사한다. 다음으로, DMAC(25)는, 조사한 사용 요구원의 서브 프로세서 키와, 사용 요구처인 메인 메모리(26) 내의 도 2의 (a)에 나타낸 메모리 로케이션에 할당된 액세스 키를 비교하여, 2개의 키가 일치한 경우에만, 상기 커맨드를 실행한다.
도 2의 (c)에 나타낸 키 관리 테이블 상의 키 마스크는, 그 임의의 비트가 1로 됨으로써, 그 키 마스크에 관련된 서브 프로세서 키의 대응하는 비트가 0 또는 1로 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서브 프로세서 키가 1010으로 한다. 통상적으로, 이 서브 프로세서 키에 의해 1010의 액세스 키를 갖는 샌드박스로의 액세스만이 가능해진다. 그러나, 이 서브 프로세서 키와 관련된 키 마스크가 0001로 설정되어 있는 경우에는, 키 마스크의 비트가 1로 설정된 자릿수에 대해서만, 서브 프로세서 키와 액세스 키의 일치 판정이 마스크되고, 이 서브 프로세서 키 1010에 의해 액세스 키가 1010 또는 1011 중 어느 하나인 액세스 키를 갖는 샌드박스로의 액세스가 가능해진다.
이상과 같이 하여, 메인 메모리(26)의 샌드박스의 배타성이 실현된다. 즉, 1개의 정보 처리 컨트롤러 내의 복수의 서브 프로세서에 의해 데이터를 다단계로 처리할 필요가 있는 경우, 이상과 같이 구성함으로써, 전단층의 처리를 행하는 서브 프로세서와, 후단층의 처리를 행하는 서브 프로세서만이, 메인 메모리(26)의 소정 어드레스에 액세스할 수 있게 되어서, 데이터를 보호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이하와 같이 사용하는 것을 생각할 수 있다. 먼저, 정보 처리 장치의 기동 직후에는, 키 마스크의 값은 모두 제로이다. 메인 프로세서 내의 프로그램이 실행되어, 서브 프로세서 내의 프로그램과 제휴 동작하는 것으로 한다. 제1 서브 프로세서에 의해 출력된 처리 결과 데이터를 일단 메인 메모리에 저장하고, 제2 서브 프로세서에 입력하고자 할 때에는, 해당하는 메인 메모리 영역은, 당연히 어느 쪽의 서브 프로세서로부터도 액세스 가능할 필요가 있다. 그와 같은 경우에, 메인 프로세서 내의 프로그램은, 키 마스크의 값을 적절하게 변경하여, 복수의 서브 프로세서로부터 액세스할 수 있는 메인 메모리 영역을 설치함으로써, 서브 프로세서에 의한 다단계적인 처리를 가능하게 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다른 정보 처리 장치로부터의 데이터→제1 서브 프로세서에 의한 처리→제1 메인 메모리 영역→제2 서브 프로세서에 의한 처리→제2 메인 메모리 영역, 등의 수순으로 다단계 처리가 행해질 때에는,
제1 서브 프로세서의 서브 프로세서 키 : 0100,
제1 메인 메모리 영역의 액세스 키 : 0100,
제2 서브 프로세서의 서브 프로세서 키 : 0101,
제2 메인 메모리 영역의 액세스 키 : 0101
과 같은 설정 그대로라면, 제2 서브 프로세서는 제1 메인 메모리 영역에 액 세스할 수 없다. 따라서, 제2 서브 프로세서의 키 마스크를 0001로 함으로써, 제2 서브 프로세서에 의한 제1 메인 메모리 영역으로의 액세스를 가능하게 할 수 있다.
(소프트웨어 셀의 생성 및 구성)
도 1의 네트워크 시스템에서는, 정보 처리 장치(1, 2, 3) 간에서의 분산 처리를 위해, 정보 처리 장치(1, 2, 3) 간에서 소프트웨어 셀이 전송된다. 즉, 임의의 정보 처리 장치 내의 정보 처리 컨트롤러에 포함되는 메인 프로세서(21)는, 커맨드, 프로그램 및 데이터를 포함하는 소프트웨어 셀을 생성하여, 네트워크(9)를 통해 다른 정보 처리 장치로 송신함으로써, 처리를 분산할 수 있다.
도 3에, 소프트웨어 셀의 구성의 일례를 나타낸다. 이 예의 소프트웨어 셀은, 전체로서, 송신원 ID, 송신처 ID, 응답처 ID, 셀 인터페이스, DMA 커맨드, 프로그램, 및 데이터에 의해 구성된다.
송신원 ID에는, 소프트웨어 셀의 송신원인 정보 처리 장치의 네트워크 어드레스 및 해당 장치 내의 정보 처리 컨트롤러의 정보 처리 장치 ID, 또한, 그 정보 처리 장치 내의 정보 처리 컨트롤러가 구비하는 메인 프로세서(21) 및 각 서브 프로세서(23)의 식별자(메인 프로세서 ID 및 서브 프로세서 ID)가 포함된다.
송신처 ID 및 응답처 ID에는, 각각, 소프트웨어 셀의 송신처인 정보 처리 장치, 및 소프트웨어 셀의 실행 결과의 응답처인 정보 처리 장치에 대한, 동일한 정보가 포함된다.
셀 인터페이스는, 소프트웨어 셀의 이용에 필요한 정보이고, 글로벌 ID, 필요한 서브 프로세서의 정보, 샌드박스 사이즈, 및 전회의 소프트웨어 셀 ID로 구성 된다.
글로벌 ID는, 네트워크 전체를 통해 해당 소프트웨어 셀을 일의적으로 식별할 수 있는 것이며, 송신원 ID, 및 소프트웨어 셀의 작성 또는 송신 일시(날짜 및 시각)에 기초하여 작성된다.
필요한 서브 프로세서의 정보는, 해당 소프트웨어 셀의 실행에 필요한 서브 프로세서의 수가 설정된다. 샌드박스 사이즈는, 해당 소프트웨어 셀의 실행에 필요한 메인 메모리(26) 내 및 서브 프로세서(23)의 LS(24) 내의 메모리량이 설정된다.
전회의 소프트웨어 셀 ID는, 스트리밍 데이터 등의 순차적인 실행을 요구하는 1 그룹의 소프트웨어 셀 내의, 전회의 소프트웨어 셀의 식별자이다.
소프트웨어 셀의 실행 섹션은, DMA 커맨드, 프로그램 및 데이터로 구성된다. DMA 커맨드에는, 프로그램의 기동에 필요한 일련의 DMA 커맨드가 포함되며, 프로그램에는, 서브 프로세서(23)에 의해 실행되는 서브 프로세서 프로그램이 포함된다. 여기서의 데이터는, 이 서브 프로세서 프로그램을 포함하는 프로그램에 의해 처리되는 데이터이다.
또한, DMA 커맨드에는, 로드 커맨드, 퀵 커맨드, 기능 프로그램 실행 커맨드, 스테이터스 요구 커맨드, 및 스테이터스 회신 커맨드가 포함된다.
로드 커맨드는, 메인 메모리(26) 내의 정보를 서브 프로세서(23) 내의 LS(24)에 로드하는 커맨드이며, 로드 커맨드 자체 이외에, 메인 메모리 어드레스, 서브 프로세서 ID 및 LS 어드레스를 포함한다. 메인 메모리 어드레스는, 정보의 로드원인 메인 메모리(26) 내의 소정 영역의 어드레스를 나타낸다. 서브 프로세서 ID 및 LS 어드레스는, 정보의 로드처인 서브 프로세서(23)의 식별자 및 LS(24)의 어드레스를 나타낸다.
퀵 커맨드는, 프로그램의 실행을 개시하는 커맨드이며, 퀵 커맨드 자체 이외에, 서브 프로세서 ID 및 프로그램 카운터를 포함한다. 서브 프로세서 ID는, 퀵 대상의 서브 프로세서(23)를 식별하며, 프로그램 카운터는, 프로그램 실행용 프로그램 카운터를 위한 어드레스를 부여한다.
기능 프로그램 실행 커맨드는, 후술한 바와 같이, 임의의 정보 처리 장치가 다른 정보 처리 장치에 대하여, 기능 프로그램의 실행을 요구하는 커맨드이다. 기능 프로그램 실행 커맨드를 수신한 정보 처리 장치 내의 정보 처리 컨트롤러는, 후술한 기능 프로그램 ID에 의해, 기동할 기능 프로그램을 식별한다.
스테이터스 요구 커맨드는, 송신처 ID로 나타내는 정보 처리 장치의 현재의 동작 상태(상황)에 관한 장치 정보를, 응답처 ID로 나타내는 정보 처리 장치 앞으로 송신 요구하는 커맨드이다. 기능 프로그램에 대해서는 후술하지만, 도 6에 나타내는 정보 처리 컨트롤러의 메인 메모리(26)가 기억하는 소프트웨어의 구성도에서 기능 프로그램으로 카테고라이즈되는 프로그램이다. 기능 프로그램은, 메인 메모리(26)에 로드되어, 메인 프로세서(21)에 의해 실행된다.
스테이터스 회신 커맨드는, 상기 스테이터스 요구 커맨드를 수신한 정보 처리 장치가, 자신의 장치 정보를 해당 스테이터스 요구 커맨드에 포함되는 응답처 ID로 나타내는 정보 처리 장치에 응답하는 커맨드이다. 스테이터스 회신 커맨드 는, 실행 섹션의 데이터 영역에 장치 정보를 저장한다.
도 4에, DMA 커맨드가 스테이터스 회신 커맨드인 경우에서의 소프트웨어 셀의 데이터 영역의 구조를 나타낸다.
정보 처리 장치 ID는, 정보 처리 컨트롤러를 구비하는 정보 처리 장치를 식별하기 위한 식별자이며, 스테이터스 회신 커맨드를 송신하는 정보 처리 장치의 ID를 나타낸다. 정보 처리 장치 ID는, 전원 투입 시, 그 정보 처리 장치 내의 정보 처리 컨트롤러에 포함되는 메인 프로세서(21)에 의해, 전원 투입 시의 일시, 정보 처리 장치의 네트워크 어드레스 및 정보 처리 장치 내의 정보 처리 컨트롤러에 포함되는 서브 프로세서(23)의 수 등에 기초하여 생성된다.
정보 처리 장치 종류 ID에는, 해당 정보 처리 장치의 특징을 나타내는 값이 포함된다. 정보 처리 장치의 특징이란, 예를 들면, 후술한 DTV(디지털 텔레비전) 등의 각종 AV 기기, 홈 서버 등이다. 또한, 정보 처리 장치 종류 ID는, 영상 음성 기록, 영상 음성 재생 등, 정보 처리 장치의 기능을 나타내는 것이어도 된다. 정보 처리 장치의 특징이나 기능을 나타내는 값은 미리 결정되어 있는 것으로 하며, 정보 처리 장치 종류 ID를 판독함으로써, 해당 정보 처리 장치의 특징이나 기능을 파악하는 것이 가능하다.
MS(마스터/슬레이브) 스테이터스는, 후술한 바와 같이 정보 처리 장치가 마스터 장치 또는 슬레이브 장치 중 어느 것으로 동작하고 있는지를 나타내는 것으로서, 이것이 0으로 설정되어 있는 경우에는 마스터 장치로서 동작하고 있는 것을 나타내며, 1로 설정되어 있는 경우에는 슬레이브 장치로서 동작하고 있는 것을 나타 낸다.
메인 프로세서 동작 주파수는, 정보 처리 컨트롤러 내의 메인 프로세서(21)의 동작 주파수를 나타낸다. 메인 프로세서 사용률은, 메인 프로세서(21)에서 현재 동작하고 있는 모든 프로그램에 대한, 메인 프로세서(21)에서의 사용률을 나타낸다. 메인 프로세서 사용률은, 대상 메인 프로세서의 전체 처리 능력에 대한 사용 중인 처리 능력의 비율을 나타낸 값으로, 예를 들면 프로세서 처리 능력 평가를 위한 단위인 MIPS를 단위로 하여 산출되거나, 또는 단위 시간당 프로세서 사용 시간에 기초하여 산출된다. 후술한 서브 프로세서 사용률에 대해서도 마찬가지이다.
서브 프로세서 수는, 해당 정보 처리 컨트롤러가 구비하는 서브 프로세서(23)의 수를 나타낸다. 서브 프로세서 ID는, 해당 정보 처리 컨트롤러 내의 각 서브 프로세서(23)를 식별하기 위한 식별자이다.
서브 프로세서 스테이터스는, 각 서브 프로세서(23)의 상태를 나타내는 것이며, unused, reserved, busy 등의 상태가 있다. unused는, 해당 서브 프로세서가 현재 사용되고 있지 않으며, 사용 예약도 되어 있지 않은 것을 나타낸다. reserved는, 현재는 사용되고 있지 않지만, 예약되어 있는 상태를 나타낸다. busy는, 현재 사용 중인 것을 나타낸다.
서브 프로세서 사용률은, 해당 서브 프로세서에서 현재 실행하고 있거나, 또는 해당 서브 프로세서에 실행이 예약되어 있는 프로그램에 대한, 해당 서브 프로세서에서의 사용률을 나타낸다. 즉, 서브 프로세서 사용률은, 서브 프로세서 스테이터스가 busy인 경우에는, 현재의 사용률을 나타내며, 서브 프로세서 스테이터스 가 reserved인 경우에는, 후에 사용될 예정인 추정 사용률을 나타낸다.
서브 프로세서 ID, 서브 프로세서 스테이터스 및 서브 프로세서 사용률은, 1개의 서브 프로세서(23)에 대하여 1조로 설정되며, 1개의 정보 처리 컨트롤러 내의 서브 프로세서(23)에 대응하는 조 수가 설정된다.
메인 메모리의 총 용량 및 메인 메모리 사용량은, 각각, 해당 정보 처리 컨트롤러에 접속되어 있는 메인 메모리(26)의 총 용량 및 현재 사용 중인 용량을 나타낸다.
외부 기록부의 수는, 해당 정보 처리 컨트롤러에 접속되어 있는 외부 기록부(28)의 수를 나타낸다. 외부 기록부 ID는, 해당 정보 처리 컨트롤러에 접속되어 있는 외부 기록부(28)를 일의적으로 식별하는 정보이다. 외부 기록부 종류 ID는, 해당 외부 기록부의 종류(예를 들면, 하드디스크, CD±RW, DVD±RW, 메모리 디스크, SRAM, ROM 등)를 나타낸다.
외부 기록부의 총 용량 및 외부 기록부의 사용량은, 각각, 외부 기록부 ID에 의해 식별되는 외부 기록부(28)의 총 용량 및 현재 사용 중인 용량을 나타낸다.
서버 대응/비대응 속성은, 해당 정보 처리 장치가 서버로서 속성을 갖는지 여부를 나타낸다.
외부 기록부 ID, 외부 기록부 종류 ID, 외부 기록부의 총 용량 및 외부 기록부의 사용량은, 1개의 외부 기록부(28)에 대하여 1조로 설정되는 것이며, 해당 정보 처리 컨트롤러에 접속되어 있는 외부 기록부(28)의 수의 조의 수만큼 설정된다. 즉, 1개의 정보 처리 컨트롤러에 복수의 외부 기록부가 접속되어 있는 경우, 각각 의 외부 기록부에는 상이한 외부 기록부 ID가 할당되며, 외부 기록부 종류 ID, 외부 기록부의 총 용량 및 외부 기록부의 사용량도 따로 관리된다.
(소프트웨어 셀의 실행)
임의의 정보 처리 장치 내의 정보 처리 컨트롤러에 포함되는 메인 프로세서(21)는, 이상과 같은 구성의 소프트웨어 셀을 생성하여, 네트워크(9)를 통해 다른 정보 처리 장치 및 해당 장치 내의 정보 처리 컨트롤러로 송신한다. 송신원인 정보 처리 장치, 송신처인 정보 처리 장치, 응답처인 정보 처리 장치, 및 각 장치 내의 정보 처리 컨트롤러는, 각각, 상기 송신원 ID, 송신처 ID 및 응답처 ID에 의해 식별된다.
소프트웨어 셀을 수신한 정보 처리 장치 내의 정보 처리 컨트롤러에 포함되는 메인 프로세서(21)는, 그 소프트웨어 셀을 메인 메모리(26)에 저장한다. 또한, 송신처의 메인 프로세서(21)는, 소프트웨어 셀을 판독하여, 그것에 포함되는 DMA 커맨드를 처리한다.
구체적으로, 송신처의 메인 프로세서(21)는, 먼저, 로드 커맨드를 실행한다. 이것에 의해, 로드 커맨드로 지시된 메인 메모리 어드레스로부터, 로드 커맨드에 포함되는 서브 프로세서 ID 및 LS 어드레스에 의해 특정되는 서브 프로세서 내의 LS(24)의 소정 영역에, 정보가 로드된다. 여기서 로드되는 정보는, 수신한 소프트웨어 셀에 포함되는 서브 프로세서 프로그램 또는 데이터, 혹은 그 밖의 지시된 데이터이다.
다음으로, 메인 프로세서(21)는, 퀵 커맨드를, 이것에 포함되는 서브 프로세 서 ID로 지시된 서브 프로세서로, 마찬가지로 퀵 커맨드에 포함되는 프로그램 카운터와 함께 출력한다.
지시된 서브 프로세서는, 그 퀵 커맨드 및 프로그램 카운터에 따라서, 서브 프로세서 프로그램을 실행한다. 그리고, 실행 결과를 메인 메모리(26)에 저장한 후, 실행을 완료한 것을 메인 프로세서(21)에 통지한다.
덧붙여서, 송신처인 정보 처리 장치 내의 정보 처리 컨트롤러에서 소프트웨어 셀을 실행하는 프로세서는 서브 프로세서(23)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메인 프로세서(21)가 소프트웨어 셀에 포함되는 기능 프로그램 등의 메인 메모리용 프로그램을 실행하도록 지정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 경우에는, 송신원인 정보 처리 장치는, 송신처인 정보 처리 장치 앞으로, 서브 프로세서 프로그램 대신, 메인 메모리용 프로그램 및 그 메인 메모리용 프로그램에 의해 처리되는 데이터를 포함하며, DMA 커맨드가 로드 커맨드인 소프트웨어 셀을 송신하고, 메인 메모리(26)에 메인 메모리용 프로그램 및 그것에 의하여 처리되는 데이터를 기억시킨다. 다음으로, 송신원인 정보 처리 장치는, 송신처인 정보 처리 장치 앞으로, 송신처인 정보 처리 장치 내의 정보 처리 컨트롤러에 대한 메인 프로세서 ID, 메인 메모리 어드레스, 메인 메모리용 프로그램을 식별하기 위한 후술한 기능 프로그램 ID 등의 식별자, 및 프로그램 카운터를 포함하며, DMA 커맨드가 퀵 커맨드 또는 기능 프로그램 실행 커맨드인 소프트웨어 셀을 송신하고, 메인 프로세서(21)에 해당 메인 메모리용 프로그램을 실행시킨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네트워크 시스템에서는, 송신원인 정보 처리 장치 는, 서브 프로세서 프로그램 또는 메인 메모리용 프로그램을 소프트웨어 셀에 의해 송신처인 정보 처리 장치로 송신함과 함께, 해당 서브 프로세서 프로그램을 송신처인 정보 처리 장치 내의 정보 처리 컨트롤러에 포함되는 서브 프로세서(23)에 로드시켜서, 해당 서브 프로세서 프로그램 또는 해당 메인 메모리용 프로그램을 송신처인 정보 처리 장치에 실행시킬 수 있다.
송신처인 정보 처리 장치 내의 정보 처리 컨트롤러에서는, 수신한 소프트웨어 셀에 포함되는 프로그램이 서브 프로세서 프로그램인 경우에는, 해당 서브 프로세서 프로그램을 지정된 서브 프로세서에 로드시킨다. 그리고, 소프트웨어 셀에 포함되는 서브 프로세서 프로그램 또는 메인 메모리용 프로그램을 실행시킨다.
따라서, 사용자가 송신처인 정보 처리 장치를 조작하지 않더라도 자동적으로, 해당 서브 프로세서 프로그램 또는 해당 메인 메모리용 프로그램을 송신처인 정보 처리 장치 내의 정보 처리 컨트롤러에 실행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하여 정보 처리 장치는, 자장치 내의 정보 처리 컨트롤러가 서브 프로세서 프로그램 또는 기능 프로그램 등의 메인 메모리용 프로그램을 갖고 있지 않은 경우에는, 네트워크에 접속된 다른 정보 처리 장치로부터 이들을 취득할 수 있다. 또한, 각 서브 프로세서 간에서는 DMA 방식에 의해 데이터 전송을 행하고, 또한 전술한 샌드박스를 사용함으로써, 1개의 정보 처리 컨트롤러 내에서 데이터를 다단계로 처리할 필요가 있는 경우라도, 고속이며 또한 높은 시큐러티로 처리를 실행할 수 있다.
소프트웨어 셀의 사용에 의한 분산 처리 결과, 도 5의 상단에 나타낸 바와 같이 네트워크(9)에 접속되어 있는 복수의 정보 처리 장치(1, 2, 3)는, 도 5의 하단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가상적인 1대의 정보 처리 장치(7)로서 동작한다. 단, 이를 위해서는, 이하와 같은 구성에 의해, 이하와 같은 처리가 실행될 필요가 있다.
(시스템의 소프트웨어 구성과 프로그램의 로드)
도 6에, 개개의 정보 처리 컨트롤러의 메인 메모리(26)가 기억하는 소프트웨어의 구성을 도시한다. 이들 소프트웨어(프로그램)는, 정보 처리 장치에 전원이 투입되기 전에는, 해당 정보 처리 컨트롤러에 접속되는 외부 기록부(28)에 기록되어 있는 것이다.
각 프로그램은, 기능 또는 특징에 의해, 제어 프로그램, 기능 프로그램 및 디바이스 드라이버로 카테고라이즈된다.
제어 프로그램은, 각 정보 처리 컨트롤러가 동일한 것을 구비하며, 각 정보 처리 컨트롤러의 메인 프로세서(21)가 실행함으로써, 후술한 MS(마스터/슬레이브) 매니저 및 능력 교환 프로그램을 포함한다.
기능 프로그램은, 메인 프로세서(21)가 실행함으로써, 기록용, 재생용, 소재 검색용 등, 정보 처리 컨트롤러마다 정보 처리 장치에 따른 것이 구비된다.
디바이스 드라이버는, 정보 처리 컨트롤러(정보 처리 장치)의 입출력(송수신)용으로, 방송 수신, 모니터 출력, 비트 스트림 입출력, 네트워크 입출력 등, 정보 처리 컨트롤러마다 정보 처리 장치에 따른 것이 구비된다.
케이블의 삽입 등에 의해 정보 처리 장치가 물리적으로 네트워크(9)에 접속된 상태에서, 정보 처리 장치에 주전원이 투입되어, 정보 처리 장치가 전기적·기 능적으로도 네트워크(9)에 접속되면, 그 정보 처리 장치의 정보 처리 컨트롤러의 메인 프로세서(21)는, 제어 프로그램에 속하는 각 프로그램, 및 디바이스 드라이버에 속하는 각 프로그램을, 메인 메모리(26)에 로드한다.
로드 수순으로서는, 메인 프로세서(21)는, 먼저, DC(27)에 판독 명령을 실행시킴으로써, 외부 기록부(28)로부터 프로그램을 판독하고, 다음으로, DMAC(25)에 기입 명령을 실행시킴으로써, 그 프로그램을 메인 메모리(26)에 기입한다.
기능 프로그램에 속하는 각 프로그램에 대해서는, 필요할 때에 필요한 프로그램만을 로드하도록 구성하여도 되거나, 또는, 다른 카테고리에 속하는 프로그램과 마찬가지로, 주전원 투입 직후에 각 프로그램을 로드하도록 구성하여도 된다.
여기서, 기능 프로그램에 속하는 각 프로그램은, 네트워크에 접속된 모든 정보 처리 장치의 외부 기록부(28)에 기록되어 있을 필요는 없으며, 어느 하나의 정보 처리 장치의 외부 기록부(28)에 기록되어 있으면, 전술한 방법에 의해 다른 정보 처리 장치로부터 로드할 수 있으므로, 결과적으로 도 5의 하단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가상적인 1대의 정보 처리 장치(7)로서 기능 프로그램을 실행할 수 있다.
여기서, 상술한 바와 같이 메인 프로세서(21)에 의해 처리되는 기능 프로그램은, 서브 프로세서(23)에 의해 처리되는 서브 프로세서 프로그램과 제휴 동작하는 경우가 있다. 따라서, 메인 프로세서(21)가 외부 기록부(28)로부터 기능 프로그램을 판독하여, 메인 메모리(26)에 기입할 때에 대상으로 되는 기능 프로그램과 제휴 동작하는 서브 프로세서 프로그램이 존재하는 경우에는, 해당 서브 프로세서 프로그램도 더불어 동일한 메인 메모리(26)에 기입하는 것으로 한다. 이 경우, 제 휴 동작하는 서브 프로세서 프로그램은 1개인 경우도 있으며, 복수개인 경우도 있을 수 있다. 복수개인 경우에는, 모든 제휴 동작하는 서브 프로세서 프로그램을 메인 메모리(26)에 기입하게 된다. 메인 메모리(26)에 기입된 서브 프로세서 프로그램은 그 후, 서브 프로세서(23) 내의 LS(24)에 기입되며, 메인 프로세서(21)에 의해 처리되는 기능 프로그램과 제휴 동작한다.
도 3의 소프트웨어 셀로 나타낸 바와 같이, 기능 프로그램에는, 프로그램마다 프로그램을 일의적으로 식별할 수 있는 식별자가, 기능 프로그램 ID로서 할당된다. 기능 프로그램 ID는, 기능 프로그램의 작성 단계에서, 작성 일시나 정보 처리 장치 ID 등으로부터 결정된다.
그리고, 서브 프로세서 프로그램에도 서브 프로세서 프로그램 ID가 할당되며, 이것에 의해 서브 프로세서 프로그램을 일의적으로 식별 가능하다. 할당되는 서브 프로세서 프로그램 ID는, 제휴 동작하는 상대로 되는 기능 프로그램의 기능 프로그램 ID와 관련성이 있는 식별자, 예를 들면 기능 프로그램 ID를 모 번호로 한 후에 최후미에 브랜치 번호를 부가시킨 것 등인 것도 있을 수 있으며, 제휴 동작하는 상대로 되는 기능 프로그램의 기능 프로그램 ID와는 관련성이 없는 식별자이어도 된다. 어느 것이든 간에 기능 프로그램과 서브 프로세서 프로그램이 제휴 동작하는 경우에는, 양자 모두 상대 식별자인 프로그램 ID를 자(自)프로그램 내에 상호 기억해둘 필요가 있다. 기능 프로그램이 복수개의 서브 프로세서 프로그램과 제휴 동작하는 경우에도, 해당 기능 프로그램은 복수개의 모든 서브 프로세서 프로그램의 서브 프로세서 프로그램 ID를 기억해두게 된다.
메인 프로세서(21)는, 자신이 동작하는 정보 처리 장치의 장치 정보(동작 상태에 관한 정보)를 저장하기 위한 영역을 메인 메모리(26)에 확보하고, 해당 정보를 자장치의 장치 정보 테이블로서 기록한다. 여기서의 장치 정보는, 도 4에 나타낸 정보 처리 장치 ID 이하의 각 정보이다.
(시스템에서의 마스터/슬레이브의 결정)
전술한 네트워크 시스템에서는, 임의의 정보 처리 장치로의 주전원 투입 시, 그 정보 처리 장치의 정보 처리 컨트롤러의 메인 프로세서(21)는, 마스터/슬레이브 매니저(이하, MS 매니저)를 메인 메모리(26)에 로드하여, 실행한다.
MS 매니저는, 자신이 동작하는 정보 처리 장치가 네트워크(9)에 접속되어 있는 것을 검지하면, 동일한 네트워크(9)에 접속되어 있는 다른 정보 처리 장치의 존재를 확인한다. 여기서의 「접속」 또는 「존재」는, 전술한 바와 같이, 정보 처리 장치가 물리적으로 네트워크(9)에 접속되어 있을 뿐만 아니라, 전기적·기능적으로도 네트워크(9)에 접속되어 있는 것을 나타낸다.
또한, 자신이 동작하는 정보 처리 장치를 자장치, 다른 정보 처리 장치를 다른 장치라 한다. 해당 장치도, 해당 정보 처리 장치를 나타내는 것으로 한다.
MS 매니저가 동일한 네트워크(9)에 접속되어 있는 다른 정보 처리 장치의 존재를 확인하는 방법을 이하에 나타낸다.
MS 매니저는, DMA 커맨드가 스테이터스 요구 커맨드이며, 송신원 ID 및 응답처 ID가 해당 정보 처리 장치에서, 송신처 ID를 특정하지 않은 소프트웨어 셀을 생성하여, 해당 정보 처리 장치가 접속된 네트워크 상으로 송신하고, 네트워크 접속 확인용 타이머를 설정한다. 타이머의 타임아웃 시간은, 예를 들면 10분으로 된다.
해당 네트워크 시스템 상에 다른 정보 처리 장치가 접속되어 있는 경우, 상기 다른 장치는, 상기 스테이터스 요구 커맨드의 소프트웨어 셀을 수신하고, 상기 응답처 ID로 특정되는 스테이터스 요구 커맨드를 발행한 정보 처리 장치에 대하여, DMA 커맨드로서 스테이터스 회신 커맨드를 지정하며, 또한 데이터로서 자신(상기 다른 장치)의 장치 정보를 포함하는 소프트웨어 셀을 송신한다. 이 스테이터스 회신 커맨드의 소프트웨어 셀에는, 적어도 해당 다른 장치를 특정하는 정보(정보 처리 장치 ID, 메인 프로세서에 관한 정보, 서브 프로세서에 관한 정보 등) 및 해당 다른 장치의 MS 스테이터스가 포함된다.
스테이터스 요구 커맨드를 발행한 정보 처리 장치의 MS 매니저는, 상기 네트워크 접속 확인용 타이머가 타임아웃될 때까지, 해당 네트워크 상의 다른 장치로부터 송신되는 스테이터스 회신 커맨드의 소프트웨어 셀의 수신을 감시한다. 그 결과, MS 스테이터스=0(마스터 장치)을 나타내는 스테이터스 회신 커맨드가 수신된 경우에는, 자장치의 장치 정보 테이블에서의 MS 스테이터스를 1로 설정한다. 이것에 의해, 해당 장치는, 슬레이브 장치로 된다.
한편, 상기 네트워크 접속 확인용 타이머가 타임아웃될 때까지의 기간 동안에 스테이터스 회신 커맨드가 전혀 수신되지 않은 경우, 또는 MS 스테이터스=0(마스터 장치)을 나타내는 스테이터스 회신 커맨드가 수신되지 않은 경우에는, 자장치의 장치 정보 테이블에서의 MS 스테이터스를 0으로 설정한다. 이것에 의해, 해당 장치는, 마스터 장치로 된다.
즉, 어느 장치도 네트워크(9)에 접속되어 있지 않은 상태, 또는 네트워크(9) 상에 마스터 장치가 존재하지 않은 상태에서, 새로운 정보 처리 장치가 네트워크(9)에 접속되면, 해당 장치는 자동적으로 마스터 장치로서 설정된다. 한편, 네트워크(9) 상에 이미 마스터 장치가 존재하는 상태에서, 새로운 정보 처리 장치가 네트워크(9)에 접속되면, 해당 장치는 자동적으로 슬레이브 장치로서 설정된다.
마스터 장치 및 슬레이브 장치 중 어느 것에 대해서도, MS 매니저는, 정기적으로 스테이터스 요구 커맨드를 네트워크(9) 상의 다른 장치로 송신하여 스테이터스 정보를 조회함으로써, 다른 장치의 상황을 감시한다. 그 결과, 네트워크(9)에 접속되어 있는 정보 처리 장치의 주전원이 차단되거나, 또는 네트워크(9)로부터 정보 처리 장치가 분리됨으로써, 미리 판정용으로 설정된 소정 기간 내에 특정한 다른 장치로부터 스테이터스 회신 커맨드가 회신되지 않은 경우나, 네트워크(9)에 새로운 정보 처리 장치가 접속된 경우 등, 네트워크(9)의 접속 상태에 변화가 있었던 경우에는, 그 정보를 후술한 능력 교환 프로그램에 통지한다.
(마스터 장치 및 슬레이브 장치에서의 장치 정보의 취득)
메인 프로세서(21)는, MS 매니저로부터, 네트워크(9) 상의 다른 장치의 조회 및 자장치의 MS 스테이터스의 설정 완료의 통지를 받으면, 능력 교환 프로그램을 실행한다.
능력 교환 프로그램은, 자장치가 마스터 장치인 경우에는, 네트워크(9)에 접속되어 있는 모든 다른 장치의 장치 정보, 즉 각 슬레이브 장치의 장치 정보를 취득한다.
다른 장치의 장치 정보의 취득은, 전술한 바와 같이, DMA 커맨드가 스테이터스 요구 커맨드인 소프트웨어 셀을 생성하여 다른 장치로 송신하고, 그 후, DMA 커맨드로서 스테이터스 회신 커맨드를 지정하며, 또한 데이터로서 다른 장치의 장치 정보를 포함하는 소프트웨어 셀을 다른 장치로부터 수신함으로써 가능하다.
능력 교환 프로그램은, 마스터 장치인 자장치의 장치 정보 테이블과 마찬가지로, 네트워크(9)에 접속되어 있는 모든 다른 장치(각 슬레이브 장치)의 장치 정보를 저장하기 위한 영역을 자장치의 메인 메모리(26)에 확보하고, 이들 정보를 다른 장치(슬레이브 장치)의 장치 정보 테이블로서 기록한다.
즉, 마스터 장치의 메인 메모리(26)에는, 자장치를 포함하는 네트워크(9)에 접속되어 있는 모든 정보 처리 장치의 장치 정보가, 장치 정보 테이블로서 기록된다.
한편, 능력 교환 프로그램은, 자장치가 슬레이브 장치인 경우에는, 네트워크(9)에 접속되어 있는 모든 다른 장치의 장치 정보, 즉 마스터 장치 및 자장치 이외의 각 슬레이브 장치의 장치 정보를 취득하여, 이들 장치 정보에 포함되는 정보 처리 장치 ID 및 MS 스테이터스를, 자장치의 메인 메모리(26)에 기록한다.
즉, 슬레이브 장치의 메인 메모리(26)에는, 자장치의 장치 정보가, 장치 정보 테이블로서 기록됨과 함께, 자장치 이외의 네트워크(9)에 접속되어 있는 마스터 장치 및 각 슬레이브 장치에 대한 정보 처리 장치 ID 및 MS 스테이터스가, 다른 장치 정보 테이블로서 기록된다.
또한, 마스터 장치 및 슬레이브 장치 중 어느 것에 대해서도, 능력 교환 프 로그램은, 상기한 바와 같이 MS 매니저로부터, 새롭게 네트워크(9)에 정보 처리 장치가 접속된 것이 통지되었을 때에는, 그 정보 처리 장치의 장치 정보를 취득하여, 전술한 바와 같이 메인 메모리(26)에 기록한다.
덧붙여서, MS 매니저 및 능력 교환 프로그램은, 메인 프로세서(21)에 의해 실행되는 것에 한하지 않으며, 어느 하나의 서브 프로세서(23)에 의해 실행되어도 된다. 또한, MS 매니저 및 능력 교환 프로그램은, 정보 처리 장치의 주전원이 투입되어 있는 동안에는 항상 동작하는 상주 프로그램인 것이 바람직하다.
마스터 장치 및 슬레이브 장치 중 어느 것에 대해서도, 능력 교환 프로그램은, 상기한 바와 같이 MS 매니저로부터, 네트워크(9)에 접속되어 있는 정보 처리 장치의 주전원이 차단되거나, 또는 네트워크(9)로부터 정보 처리 장치가 분리된 것이 통지되었을 때에는, 그 정보 처리 장치의 장치 정보 테이블을 자장치의 메인 메모리(26)로부터 삭제한다.
또한, 이와 같이 네트워크(9)로부터 절단된 정보 처리 장치가 마스터 장치인 경우에는, 이하와 같은 방법에 의해, 새롭게 마스터 장치가 결정된다.
구체적으로, 예를 들면, 네트워크(9)로부터 절단되어 있지 않은 정보 처리 장치는, 각각, 자장치 및 다른 장치의 정보 처리 장치 ID를 수치로 치환하고, 자장치의 정보 처리 장치 ID를 다른 장치의 정보 처리 장치 ID와 비교하여, 자장치의 정보 처리 장치 ID가 네트워크(9)로부터 절단되어 있지 않은 정보 처리 장치 중에서 최소인 경우, 그 슬레이브 장치는, 마스터 장치로 이행하고, MS 스테이터스를 0으로 설정하며, 마스터 장치로서, 전술한 바와 같이, 네트워크(9)에 접속되어 있는 모든 다른 장치(각 슬레이브 장치)의 장치 정보를 취득하여, 메인 메모리(26)에 기록한다.
(각 정보 처리 장치 및 시스템의 구체예)
도 7은, 네트워크(9)를 통해 상호 접속되는 정보 처리 장치(1, 2, 3)로서 DTV(디지털 텔레비전) 등의 클라이언트 AV 기기와 홈 서버를 채용하여, 네트워크 AV 시스템으로서 구성한 예이다. 여기서, 정보 처리 장치(1, 2)는 클라이언트 AV 기기이며, 정보 처리 장치(3)는 홈 서버이다.
도 8은, 도 1의 정보 처리 장치(1)에 상당하는 클라이언트 AV 기기의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클라이언트 AV 기기는, 도 1에 나타낸 외부 기록부(28-1)로서, 하드디스크 드라이브를 접속 가능하게 되며, 도 1에 나타낸 외부 기록부(28-2)로서, DVD±R/RW, CD±R/RW, Bluray-Disc(등록 상표) 등의 광 디스크 드라이브를 장착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단, 이 클라이언트 AV 기기에서는, 콘텐츠를 기록하는 수단으로서, 이들 외부 기록부(28-1, 28-2)는 반드시 필수인 것은 아니다.
정보 처리 컨트롤러(11)의 버스(29-1)에 접속된 버스(31-1)에는, 방송 수신부(32-1), 영상 입력부(33-1), 음성 입력부(34-1), 영상 출력부(35-1), 음성 출력부(36-1), 조작 패널부(37-1), 리모콘 수광부(38-1) 및 네트워크 접속부(39-1)가 접속되어 있다.
방송 수신부(32-1), 영상 입력부(33-1) 및 음성 입력부(34-1)는, 방송 신호를 수신하거나, 또는 정보 처리 장치(1)의 외부로부터 영상 신호 및 음성 신호를 입력하여, 각각 소정 포맷의 디지털 데이터로 변환하고, 정보 처리 컨트롤러(11)에 의한 처리를 위해 버스(31-1)로 송출하는 것이며, 영상 출력부(35-1) 및 음성 출력부(36-1)는, 정보 처리 컨트롤러(11)로부터 버스(31-1)로 송출된 영상 데이터 및 음성 데이터를 처리하고, 디지털 데이터 그대로, 또는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하여, 정보 처리 장치(1)의 외부로 송출하는 것이며, 리모콘 수광부(38-1)는, 리모콘 송신기(43-1)로부터의 리모콘(원격 조작) 적외선 신호를 수신하는 것이다. 또한, 이 디지털 텔레비전의 영상 출력부(35-1)에는 모니터 표시 장치(41)가 접속되며, 음성 출력부(36-1)에는 스피커 장치(42)가 접속된다.
정보 처리 컨트롤러(11)는, 메인 프로세서(21-1), 서브 프로세서(23-1, 23-2, 23-3), DMAC(다이렉트 메모리 액세스 컨트롤러)(25-1), DC(디스크 컨트롤러)(27-1) 및 버스(29-1)를 구비하고, 그 메인 프로세서(21-1)는, LS(로컬 스토리지)(22-1)를 가지며, 각 서브 프로세서(23-1, 23-2, 23-3)는, LS(로컬 스토리지)(24-1, 24-2, 24-3)를 갖는다.
또한, 도 1의 정보 처리 장치(2)에 상당하는 클라이언트 AV 기기도 마찬가지의 하드웨어 구성을 갖고 있다.
또한, 이 정보 처리 장치(1, 2)인 클라이언트 AV 기기는, 소프트웨어로서,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어 프로그램, 기능 프로그램 및 디바이스 드라이버를 갖고 있다. 제어 프로그램으로서는, MS 매니저 및 능력 교환 프로그램이 있다. 기능 프로그램은, 클라이언트 AV 기기가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기능을 실현하는 것이며, 예를 들면, 방송 수신부(32-1), 영상 입력부(33-1) 및 음성 입력부(34-1) 등 으로부터 입력한 오리지널 콘텐츠의 스트림을 리얼타임으로 암호화하는 프로그램이나, 네트워크로부터 수신한 암호화된 콘텐츠의 스트림을 리얼타임으로 복호하면서 재생하는 프로그램 등이 있다. 콘텐츠의 스트림을 외부 기억부(28-1, 28-2)에 기록하는 프로그램은 있어도 되지만 필수는 아니다. 디바이스 드라이버는, 방송 수신, 모니터 출력, 비트 스트림 입출력, 네트워크 입출력 등을 담당하는 프로그램이다.
도 10은, 도 1의 정보 처리 장치(3)에 상당하는 홈 서버의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홈 서버는, 외부 기록부(28-5)로서 하드디스크 드라이브, 또한 외부 기록부(28-6)로서 DVD±R/RW, CD±R/RW, Bluray-Disc(등록 상표) 등의 광 디스크 드라이브를 장착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정보 처리 컨트롤러(13)의 버스(29-3)에 접속된 버스(31-3)에는, 방송 수신부(32-3), 영상 입력부(33-3), 음성 입력부(34-3), 영상 출력부(35-3), 음성 출력부(36-3), 조작 패널부(37-3), 리모콘 수광부(38-3) 및 네트워크 접속부(39-3)의 접속이 가능하며, 영상 출력부(35-3) 및 음성 출력부(36-3)에는, 모니터 표시 장치(41) 및 스피커 장치(42)의 접속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단, 이 홈 서버를 서버 용도로 사용하는 한, 방송 수신부(32-3), 영상 입력부(33-3), 음성 입력부(34-3), 영상 출력부(35-3) 및 음성 출력부(36-3)는 반드시 필요한 것은 아니다.
정보 처리 컨트롤러(13)는, 메인 프로세서(21-3), 서브 프로세서(23-7, 23-8, 23-9), DMAC(다이렉트 메모리 액세스 컨트롤러)(25-3), DC(디스크 컨트롤러)(27-3) 및 버스(29-3)를 구비하고, 그 메인 프로세서(21-3)는, LS(로컬 스토리지 )(22-3)를 가지며, 각 서브 프로세서(23-7, 23-8, 23-9)는, LS(로컬 스토리지)(24-7, 24-8, 24-9)를 갖는다.
또한, 이 정보 처리 장치(3)인 홈 서버는, 소프트웨어로서,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어 프로그램, 기능 프로그램 및 디바이스 드라이버를 갖고 있다. 제어 프로그램으로서는, MS 매니저 및 능력 교환 프로그램이 있다. 기능 프로그램은, 홈 서버가 사용자에 제공하는 기능을 실현하는 것이며, 예를 들면, 네트워크(9)를 통해 정보 처리 장치(1, 2)인 클라이언트 AV 기기로부터 수신한, 암호화된 콘텐츠의 스트림을 외부 기억부(28-5, 28-6)에 기록하여 관리하는 프로그램이나, 클라이언트 AV 기기로부터의 요구를 받아서, 외부 기억부(28-5, 28-6)에 기록되어 있는 암호화된 콘텐츠의 스트림을 검색하여, 네트워크(9)를 통해 송신하는 프로그램 등이 있다. 디바이스 드라이버는, 방송 수신, 모니터 출력, 비트 스트림 입출력, 네트워크 입출력 등을 담당하는 프로그램이다. 단, 이 홈 서버를 서버 용도로 사용하는 한, 방송 수신이나 모니터 출력을 위한 디바이스 드라이버는 필요하지 않다.
다음으로, 상기 네트워크 AV 시스템의 동작을 설명한다.
도 12는 콘텐츠를 기록할 때의 각 정보 처리 장치 간에서의 교환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에 나타낸 네트워크 AV 시스템에서, 이미 설명한 마스터/슬레이브의 결정 수순에 따라, 정보 처리 장치(1)인 클라이언트 AV 기기가 슬레이브 A(MS 스테이터스=1), 정보 처리 장치(2)인 클라이언트 AV 기기가 마스터(MS 스테이터스=0), 정 보 처리 장치(3)인 홈 서버가 슬레이브 B(MS 스테이터스=1)로서, 각각 설정되어 있는 것으로 한다.
각 정보 처리 장치(1, 2, 3)는, 자장치의 MS 스테이터스의 설정이 완료되면 능력 교환 프로그램을 기동하지만, 마스터 장치인 정보 처리 장치(2)의 능력 교환 프로그램은, 네트워크(9)에 접속되어 있는 자장치를 포함하는 각 장치의 장치 정보를 취득한다. 마스터 장치인 정보 처리 장치(2)의 능력 교환 프로그램은, 취득한 장치 정보에 포함되어 있는, 적어도 서버 대응/비대응 속성에 기초하여 서버를 결정한다. 이 예에서는, 정보 처리 장치(3)인 홈 서버로부터 취득한 장치 정보의 서버 대응/비대응 속성만이 「서버 대응」을 나타내는 값으로 되어 있기 때문에, 해당 정보 처리 장치(3)인 홈 서버가 서버로서 결정된다.
마스터 장치인 정보 처리 장치(2)의 능력 교환 프로그램은, 서버가 결정되면, 그 서버의 정보 처리 장치 ID를 포함하는 서버 결정 통지 커맨드를 슬레이브 장치인 각 정보 처리 장치(1, 2)로 보낸다.
여기서, 슬레이브 A인 정보 처리 장치(1)는, 수취한 정보 처리 장치 ID를 유지하고, 이후 이 정보 처리 장치 ID가 나타내는 정보 처리 장치(3)를 서버로서 인식한다. 한편, 슬레이브 B인 정보 처리 장치(3)는 수취한 정보 처리 장치 ID에 의해 자신이 서버로 된 것을 인식한다. 덧붙여서, 마스터 장치인 정보 처리 장치(2)도, 서버로서 결정된 정보 처리 장치(3)의 정보 처리 장치 ID를 유지하고, 이후 이 정보 처리 장치 ID가 나타내는 정보 처리 장치(3)를 서버로서 인식한다.
(콘텐츠의 기록)
여기에서부터는, 도 12와 함께 도 13을 참조하여, 콘텐츠의 기록을 행하는 경우의 동작을 설명한다.
1. 사용자는, 클라이언트 AV 기기인 정보 처리 장치(1)(클라이언트 AV 기기)에 대하여, 조작 패널부(37-1)를 조작 등을 행하여 콘텐츠 기록 요구를 행한다.
2. 클라이언트 AV 기기인 정보 처리 장치(1)는, 이 콘텐츠 기록 요구를 받으면, 스테이터스 요구 커맨드를 서버인 정보 처리 장치(3)(홈 서버)로 보낸다.
3. 서버인 정보 처리 장치(3)는 이 스테이터스 요구 커맨드를 받아서, 스테이터스 회신 커맨드를 정보 처리 장치(1)에 응답한다.
4. 클라이언트 AV 기기인 정보 처리 장치(1)는, 이 스테이터스 회신 커맨드에 기초하여 서버가 네트워크(9)에 접속되어 있는 것을 확인한 후, 기록 요구 커맨드를 서버인 정보 처리 장치(3)로 보낸다. 이 때, 기록 요구 커맨드에는, 기록하는 콘텐츠를 일의적으로 식별하는 콘텐츠 ID, 자장치의 정보 처리 장치 ID, 콘텐츠의 메타 정보 등 콘텐츠에 관한 정보가 부가된다. 콘텐츠의 메타 정보에는, 녹화 일시, 콘텐츠명, 비트 레이트, 사이즈, 콘텐츠의 장르, 코멘트 등이 포함된다. 즉, 콘텐츠 ID, 정보 처리 장치 ID, 콘텐츠의 메타 정보 등을 포함하는, 콘텐츠에 관한 정보가, 서버인 정보 처리 장치(3)로 송신된다.
5. 서버인 정보 처리 장치(3)는, 해당 기록 요구 커맨드를 받으면, 해당 콘텐츠의 기록이 가능한지의 여부를 판정하여, 그 결과를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하는 기록 요구 회신 커맨드를 정보 처리 장치(1)에 응답한다.
클라이언트 AV 기기인 정보 처리 장치(1)는, 기록이 불가인 것을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하는 기록 요구 회신 커맨드를 수신한 경우에는, 기록 요구를 행한 사용자에게 대하여 모니터 표시 장치 등을 통해 기록 불가를 통지하고, 기록 처리를 중단한다.
6. 또한, 클라이언트 AV 기기인 정보 처리 장치(1)는, 기록이 가능한 것을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하는 기록 요구 회신 커맨드를 수신한 경우에는, 예를 들면, 방송 수신부(32-1), 영상 입력부(33-1) 및 음성 입력부(34-1)를 통해 외부로부터 오리지널 콘텐츠의 스트림을 수신한다.
7. 계속해서, 클라이언트 AV 기기인 정보 처리 장치(1)는, 수신한 오리지널 콘텐츠의 스트림을 암호화하여, 서버인 정보 처리 장치(3)에 네트워크(9)를 통해 전송한다.
서버인 정보 처리 장치(3)는, 정보 처리 장치(1)로부터 수신한 콘텐츠의 암호화 스트림을, 이미 수신하고 있는 콘텐츠에 관한 정보인, 콘텐츠 ID, 정보 처리 장치 ID, 콘텐츠의 메타 정보 등 모두 외부 기억부(28-5) 또는 외부 기억부(28-6) 상의 콘텐츠 관리 테이블에 등록한다.
도 14에, 콘텐츠 관리 테이블(43)의 구성을 도시한다. 도 1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콘텐츠 관리 테이블(43)의 개개의 레코드는, 콘텐츠 ID, 정보 처리 장치 ID, 공개 플래그, 콘텐츠의 메타 정보, 콘텐츠의 스트림(암호화 스트림, 오리지널(평문) 스트림)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공개 플래그는, 콘텐츠가 공개 상태나 비공개 상태 중 어느 하나의 상태를 나타내는 플래그이다. 공개 플래그는, 콘텐츠 관리 테이블(43)에 등록된 콘텐츠의 스트림이 암호화되어 있을 때 비공개 상태를 나타내 는 값으로 세트되며, 암호화되어 있을 때 공개 상태를 나타내는 값으로 세트된다.
클라이언트 AV 기기인 정보 처리 장치(1)는, 서버인 정보 처리 장치(3)로 송신할 콘텐츠의 스트림이 없어졌을 때 기록 종료 커맨드를 정보 처리 장치(3)에 보내고, 정보 처리 장치(3)는 이 기록 종료 커맨드를 받아서 스트림의 기록 동작을 종료한다.
(콘텐츠의 재생)
다음으로, 홈 서버로써 기록되어 있는 콘텐츠를 클라이언트 AV 기기에 의해 재생하는 경우의 동작을 설명한다.
1. 도 1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사용자는 클라이언트 AV 기기인 정보 처리 장치(1)에 대하여, 조작 패널부(37-1)를 조작 등을 행하여 콘텐츠 검색 요구를 행한다.
2. 클라이언트 AV 기기인 정보 처리 장치(1)는, 사용자로부터의 콘텐츠 검색 요구를 받으면, 서버인 정보 처리 장치(3)에 대하여, 자장치의 정보 처리 장치 ID를 포함하는 콘텐츠 검색 요구를 발한다.
3. 서버인 정보 처리 장치(3)는, 콘텐츠 검색 요구를 받으면, 도 14에 나타낸 콘텐츠 관리 테이블(43)로부터, 콘텐츠 검색 요구에 포함되는 정보 처리 장치 ID를 포함하는 레코드를 검색하여, 해당하는 콘텐츠에 관한 정보의 일람인 콘텐츠 리스트를 작성한다.
4. 서버인 정보 처리 장치(3)는, 작성한 콘텐츠 리스트를 클라이언트 AV 기기인 정보 처리 장치(1)로 네트워크(9)를 통해 송신한다.
5. 클라이언트 AV 기기인 정보 처리 장치(1)는, 서버인 정보 처리 장치(3)로부터 수신한 콘텐츠 리스트를 모니터 표시 장치(41)를 통해 사용자에게 제시하고, 사용자로부터의 콘텐츠 재생 요구를 대기한다. 사용자는, 콘텐츠 리스트를 참조하여 재생하고자 하는 콘텐츠의 콘텐츠 ID를 지정하여, 콘텐츠 재생 요구를 행한다.
6. 클라이언트 AV 기기인 정보 처리 장치(1)는, 서버인 정보 처리 장치(3)에 대하여, 사용자에 의해 지정된 콘텐츠 ID를 포함하는 콘텐츠 취득 요구를 발한다.
7. 서버인 정보 처리 장치(3)는, 콘텐츠 취득 요구를 받으면, 이 콘텐츠 취득 요구에 포함되는 콘텐츠 ID에 기초하여 콘텐츠 관리 테이블(43)로부터 해당하는 암호화된 콘텐츠의 스트림을 검색하여, 네트워크(9)를 통해 클라이언트 AV 기기인 정보 처리 장치(1)로 송신한다.
8. 클라이언트 AV 기기인 정보 처리 장치(1)는, 서버인 정보 처리 장치(3)로부터 암호화된 콘텐츠의 스트림을 수신하면, 이것을 자장치의 비밀 키를 이용하여 복호하여, 재생을 행한다.
(콘텐츠의 공개)
다음으로, 클라이언트 AV 기기가 홈 서버에 기록한 콘텐츠를 공개하는 경우의 동작을 설명한다.
1. 도 1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먼저, 사용자는 클라이언트 AV 기기인 정보 처리 장치(1)에 대하여, 조작 패널부(37-1)를 조작 등을 행하여 콘텐츠 검색 요구를 행한다.
2. 클라이언트 AV 기기인 정보 처리 장치(1)는, 이 사용자로부터의 콘텐츠 검색 요구를 받으면, 서버인 정보 처리 장치(3)(홈 서버)에 대하여, 자장치의 정보 처리 장치 ID를 포함하는 콘텐츠 검색 요구를 발한다.
3. 서버인 정보 처리 장치(3)는, 콘텐츠 검색 요구를 받으면, 콘텐츠 관리 테이블(43)로부터, 해당 콘텐츠 검색 요구에 포함되는 정보 처리 장치 ID를 포함하는 레코드를 검색하여, 해당하는 콘텐츠에 관한 정보의 일람인 콘텐츠 리스트를 작성한다.
4. 서버인 정보 처리 장치(3)는, 작성한 콘텐츠 리스트를 클라이언트 AV 기기인 정보 처리 장치(1)로 네트워크(9)를 통해 송신한다.
5. 클라이언트 AV 기기인 정보 처리 장치(1)는, 서버인 정보 처리 장치(3)로부터 수신한 콘텐츠 리스트를 모니터 표시 장치(41)를 통해 사용자에게 제시하고, 사용자로부터의 콘텐츠 공개 요구를 대기한다. 사용자는, 콘텐츠 리스트를 참조하여 공개하고자 하는 콘텐츠의 콘텐츠 ID를 지정하여, 콘텐츠 취득 요구를 행한다.
6. 클라이언트 AV 기기인 정보 처리 장치(1)는, 서버인 정보 처리 장치(3)에 대하여, 사용자에 의해 지정된 콘텐츠 ID를 포함하는 콘텐츠 취득 요구를 발한다.
7. 서버인 정보 처리 장치(3)는, 이 콘텐츠 취득 요구를 받으면, 이 콘텐츠 취득 요구에 포함되는 콘텐츠 ID에 기초하여 콘텐츠 관리 테이블(43)로부터 해당하는 암호화된 콘텐츠의 스트림을 검색하고, 이것을 클라이언트 AV 기기인 정보 처리 장치(1)로 네트워크(9)를 통해 송신한다.
8. 클라이언트 AV 기기인 정보 처리 장치(1)는, 암호화된 콘텐츠의 스트림을 수신하면, 이것을 자장치의 비밀 키를 이용하여 복호한다.
9. 계속해서, 클라이언트 AV 기기인 정보 처리 장치(1)는, 복호한 (평문) 콘텐츠를, 서버인 정보 처리 장치(3)로 네트워크(9)를 통해 송신한다.
10. 서버인 정보 처리 장치(3)는, 클라이언트 AV 기기인 정보 처리 장치(1)로부터 수신한 평문 콘텐츠를 외부 기억부(28-1) 또는 외부 기억부(28-2) 상의 콘텐츠 관리 테이블(43)에 공개 콘텐츠로서 기록하며, 콘텐츠 관리 테이블(43)의 해당하는 레코드의 공개 플래그를 비공개 상태를 나타내는 값으로부터 공개 상태를 나타내는 값으로 변경함과 함께, 원래의 암호화된 콘텐츠의 스트림을 콘텐츠 관리 테이블(43)로부터 삭제한다.
(공개 콘텐츠의 재생)
다음으로, 홈 서버에 기록된 공개 콘텐츠를 클라이언트 AV 기기에 의해 재생하는 경우의 동작을 설명한다.
1. 도 1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사용자는 클라이언트 AV 기기인 정보 처리 장치(1)에 대하여, 조작 패널부(37-1)를 조작 등을 행하여, 공개 콘텐츠의 검색 요구를 행한다.
2. 클라이언트 AV 기기인 정보 처리 장치(1)는, 사용자로부터의 공개 콘텐츠 검색 요구를 받으면, 서버인 정보 처리 장치(3)에 대하여, 공개 콘텐츠 검색 요구를 발한다.
3. 서버인 정보 처리 장치(3)는, 공개 콘텐츠 검색 요구를 받으면, 콘텐츠 관리 테이블(43)로부터, 공개 플래그가 ON인 레코드를 검색하여, 해당하는 공개 콘텐츠에 관한 정보의 일람인 공개 콘텐츠 리스트를 작성한다.
4. 서버인 정보 처리 장치(3)는, 작성한 공개 콘텐츠 리스트를 클라이언트 AV 기기인 정보 처리 장치(1)로 네트워크(9)를 통해 송신한다.
5. 클라이언트 AV 기기인 정보 처리 장치(1)는, 서버인 정보 처리 장치(3)로부터 수신한 공개 콘텐츠 리스트를 모니터 표시 장치(41)를 통해 사용자에게 제시하고, 사용자로부터의 공개 콘텐츠 재생 요구를 대기한다. 사용자는, 공개 콘텐츠 리스트를 참조하여 재생하고자 하는 공개 콘텐츠의 콘텐츠 ID를 지정하고, 공개 콘텐츠 취득 요구를 행한다.
6. 클라이언트 AV 기기인 정보 처리 장치(1)는, 서버인 정보 처리 장치(3)에 대하여, 사용자에 의해 지정된 콘텐츠 ID를 포함하는 공개 콘텐츠 취득 요구를 발한다.
7. 서버인 정보 처리 장치(3)는, 클라이언트 AV 기기인 정보 처리 장치(1)로부터의 공개 콘텐츠 취득 요구를 받으면, 이 공개 콘텐츠 취득 요구에 포함되는 콘텐츠 ID에 기초하여 콘텐츠 관리 테이블(43)로부터 해당하는 공개 콘텐츠를 검색하고, 이것을 정보 처리 장치(1)로 네트워크(9)를 통해 송신한다.
8. 클라이언트 AV 기기인 정보 처리 장치(1)는, 수신한 공개 콘텐츠의 스트림을 재생한다.
이상 설명한 네트워크 AV 시스템에 의하면, 클라이언트 AV 기기의 기능으로 외부로부터 수신한 암호화된 콘텐츠의 스트림을, 네트워크(9)를 통해 홈 서버로 송신하여 기록하며, 이 홈 서버에 기록된 콘텐츠의 스트림을 각 클라이언트 AV 기기에 의해 재생하는 구조가 실현된다. 이것에 의해, 다음과 같은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콘텐츠의 스트림을 수신·재생하는 정보 처리 장치(클라이언트 AV 기기)와, 콘텐츠의 스트림을 기록하는 정보 처리 장치(홈 서버)가 분리됨으로써, 각각의 정보 처리 장치를 스캐일러블하게 증설하거나, 교환할 수 있다.
콘텐츠의 스트림을 수신하는 정보 처리 장치의 증설에 의해, 동시 녹화 수를 늘릴 수 있다.
네트워크 AV 시스템 전체의 기억 용량을, 홈 서버의 하드디스크 등의 기억 매체의 교환 등에 의해, 일원적으로 증설할 수 있다.
또한, 클라이언트 AV 기기는, 수신한 오리지널 콘텐츠의 스트림을 자장치의 비밀 키로 암호화하여 홈 서버에 전송하기 때문에, 다른 클라이언트 AV 기기에 의한 스트림 재생에 제한을 설정할 수 있다. 또한, 암호화를 해제한 스트림을 공개 콘텐츠로서 홈 서버에 기록할 수도 있기 때문에, 홈 서버 상의 콘텐츠를 다른 클라이언트 AV 기기에 의해 재생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덧붙여서, 본 발명은, 전술한 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가지 변경을 가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네트워크(9) 상의 서버는, 반드시 홈 서버와 같은 로컬 서버인 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인터넷 상에 설치된 글로벌 서비스 서버이어도 된다.
본 발명의 콘텐츠 재생 장치, 콘텐츠 기록 장치, 네트워크 시스템, 및 콘텐츠 기록·재생 방법에 따르면, 시스템에의 장치의 증설이나 교환 등의 자유도가 높 아짐과 함께, 기록 콘텐츠에 개별적으로 재생 제한을 설정할 수 있다.

Claims (12)

  1. 오리지널 콘텐츠의 스트림을 수신하는 오리지널 콘텐츠 수신 수단과,
    상기 오리지널 콘텐츠 수신 수단에 의해 수신한 상기 오리지널 콘텐츠의 스트림을 암호화하여, 암호화된 콘텐츠의 스트림을 네트워크를 통해 외부의 콘텐츠 기록 장치에 기록되도록 송신하는 암호화 콘텐츠 송신 수단과,
    적어도 자장치(self apparatus)의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상기 암호화된 콘텐츠와 관련된 정보를, 상기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콘텐츠 기록 장치의 기억 매체에 상기 암호화된 콘텐츠의 스트림과 관련되어 기록되도록 송신하는 정보 송신 수단과,
    상기 콘텐츠 기록 장치에 대하여, 상기 기억 매체에 자장치의 식별 정보와 관련되어 기록되어 있는 상기 암호화된 콘텐츠의 스트림의 취득을 상기 네트워크를 통해 요구하는 콘텐츠 요구 수단과,
    상기 요구에 따라 상기 콘텐츠 기록 장치로부터 상기 네트워크를 통해 송신된, 상기 암호화된 콘텐츠의 스트림을 수신하여, 수신한 상기 암호화된 콘텐츠의 스트림을 복호하는 복호 수단과,
    복호한 상기 콘텐츠의 스트림을 재생하는 콘텐츠 재생 수단과,
    상기 복호한 콘텐츠의 스트림을, 상기 네트워크에 접속된 다른 콘텐츠 재생 장치가 재생 가능한 공개 콘텐츠로서 상기 기억 매체에 기록되도록, 상기 콘텐츠 기록 장치에 상기 네트워크를 통해 송신하는 공개 콘텐츠 송신 수단과,
    상기 콘텐츠 기록 장치에 대하여, 상기 기억 매체에 기록되어 있는 상기 공개 콘텐츠의 스트림의 취득을 상기 네트워크를 통해 요구하는 공개 콘텐츠 요구 수단
    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텐츠 재생 장치.
  2. 삭제
  3. 삭제
  4. 콘텐츠 재생 장치로부터 암호화된 콘텐츠의 스트림을 네트워크를 통해 수신하는 암호화 콘텐츠 수신 수단과,
    상기 콘텐츠 재생 장치로부터, 적어도 상기 콘텐츠 재생 장치의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상기 암호화된 콘텐츠와 관련된 정보를 수신하는 정보 수신 수단과,
    적어도, 상기 암호화 콘텐츠 수신 수단에 의해 수신한 상기 암호화된 콘텐츠의 스트림 및 상기 정보 수신 수단에 의해 수신한 상기 암호화된 콘텐츠와 관련된 정보를 관련시켜서 기억 매체에 기록하는 기록 수단과,
    상기 콘텐츠 재생 장치로부터의 요구에 따라, 상기 콘텐츠 재생 장치의 식별 정보와 관련되어 상기 기억 매체에 기록되어 있는 상기 암호화된 콘텐츠의 스트림을 상기 콘텐츠 재생 장치로 회신하는 콘텐츠 응답 수단과,
    상기 콘텐츠 재생 장치로부터, 상기 암호화된 콘텐츠의 스트림이 복호된 콘텐츠의 스트림을, 상기 네트워크에 접속된 다른 콘텐츠 재생 장치가 재생 가능한 공개 콘텐츠로서 상기 네트워크를 통해 수신하는 공개 콘텐츠 수신 수단과,
    상기 콘텐츠 재생 장치로부터 상기 네트워크를 통해 수신한 상기 공개 콘텐츠의 스트림으로, 상기 기억 매체에 기록되어 있는 상기 암호화된 콘텐츠의 스트림을 갱신하는 갱신 수단과,
    상기 기억 매체에 기록되어 있는 콘텐츠의 공개와 비공개의 속성을 관리하고, 상기 갱신 수단에 의해 상기 공개 콘텐츠의 스트림으로 갱신된 콘텐츠에 대하여 상기 공개의 속성을 부여하는 속성 관리 수단과,
    상기 콘텐츠 재생 장치로부터의 공개 콘텐츠의 스트림의 취득의 요구에 따라, 상기 공개의 속성이 부여되어 있는 상기 공개 콘텐츠의 스트림을 상기 콘텐츠 재생 장치로 회신하는 공개 콘텐츠 응답 수단
    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텐츠 기록 장치.
  5. 삭제
  6. 삭제
  7. 네트워크를 통해 접속된 콘텐츠 재생 장치와 콘텐츠 기록 장치를 갖는 네트워크 시스템으로서,
    상기 콘텐츠 재생 장치는,
    오리지널 콘텐츠의 스트림을 수신하는 오리지널 콘텐츠 수신 수단과,
    상기 오리지널 콘텐츠 수신 수단에 의해 수신한 상기 오리지널 콘텐츠의 스트림을 암호화하여, 암호화된 콘텐츠의 스트림을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콘텐츠 기록 장치에 기록되도록 송신하는 암호화 콘텐츠 송신 수단과,
    적어도 자장치의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상기 암호화된 콘텐츠와 관련된 정보를, 상기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콘텐츠 기록 장치의 기억 매체에 상기 암호화된 콘텐츠의 스트림과 관련되어 기록되도록 송신하는 정보 송신 수단과,
    상기 콘텐츠 기록 장치에 대하여, 상기 기억 매체에 자장치의 식별 정보와 관련되어 기록되어 있는 상기 암호화된 콘텐츠의 스트림의 취득을 상기 네트워크를 통해 요구하는 콘텐츠 요구 수단과,
    상기 요구에 따라 상기 콘텐츠 기록 장치로부터 상기 네트워크를 통해 송신된, 상기 암호화된 콘텐츠의 스트림을 수신하여, 수신한 상기 암호화된 콘텐츠의 스트림을 복호하는 복호 수단과,
    복호한 상기 콘텐츠의 스트림을 재생하는 콘텐츠 재생 수단과,
    상기 복호한 콘텐츠의 스트림을, 상기 네트워크에 접속된 다른 콘텐츠 재생 장치가 재생 가능한 공개 콘텐츠로서 상기 기억 매체에 기록되도록, 상기 콘텐츠 기록 장치로 상기 네트워크를 통해 송신하는 공개 콘텐츠 송신 수단과,
    상기 콘텐츠 기록 장치에 대하여, 상기 기억 매체에 기록되어 있는 상기 공개 콘텐츠의 스트림의 취득을 상기 네트워크를 통해 요구하는 공개 콘텐츠 요구 수단
    을 구비하며,
    상기 콘텐츠 기록 장치는,
    상기 콘텐츠 재생 장치로부터 암호화된 콘텐츠의 스트림을 네트워크를 통해 수신하는 암호화 콘텐츠 수신 수단과,
    상기 콘텐츠 재생 장치로부터, 적어도 상기 콘텐츠 재생 장치의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상기 암호화된 콘텐츠와 관련된 정보를 수신하는 정보 수신 수단과,
    적어도, 상기 암호화 콘텐츠 수신 수단에 의해 수신한 상기 암호화된 콘텐츠의 스트림 및 상기 정보 수신 수단에 의해 수신한 상기 암호화된 콘텐츠와 관련된 정보를 관련시켜서 기억 매체에 기록하는 기록 수단과,
    상기 콘텐츠 재생 장치로부터의 요구에 따라, 상기 콘텐츠 재생 장치의 식별 정보와 관련되어 상기 기억 매체에 기록되어 있는 상기 암호화된 콘텐츠의 스트림을 상기 콘텐츠 재생 장치로 회신하는 콘텐츠 응답 수단과,
    상기 콘텐츠 재생 장치로부터, 상기 암호화된 콘텐츠의 스트림이 복호된 콘텐츠의 스트림을, 상기 네트워크에 접속된 다른 콘텐츠 재생 장치가 재생 가능한 공개 콘텐츠로서 상기 네트워크를 통해 수신하는 공개 콘텐츠 수신 수단과,
    상기 콘텐츠 재생 장치로부터 상기 네트워크를 통해 수신한 상기 공개 콘텐츠의 스트림으로, 상기 기억 매체에 기록되어 있는 상기 암호화된 콘텐츠의 스트림을 갱신하는 갱신 수단과,
    상기 기억 매체에 기록되어 있는 콘텐츠의 공개와 비공개의 속성을 관리하고, 상기 갱신 수단에 의해 상기 공개 콘텐츠의 스트림으로 갱신된 콘텐츠에 대하여 상기 공개의 속성을 부여하는 속성 관리 수단과,
    상기 콘텐츠 재생 장치로부터의 상기 공개 콘텐츠의 스트림의 취득의 요구에 따라, 상기 공개의 속성이 부여되어 있는 상기 공개 콘텐츠의 스트림을 상기 콘텐츠 재생 장치로 회신하는 공개 콘텐츠 응답 수단
    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시스템.
  8. 삭제
  9. 삭제
  10. 콘텐츠 재생 장치와 콘텐츠 기록 장치를 네트워크를 통해 접속해두고,
    상기 콘텐츠 재생 장치에서, 오리지널 콘텐츠의 스트림을 수신하고, 수신한 상기 오리지널 콘텐츠의 스트림을 암호화하여, 암호화된 콘텐츠의 스트림을 상기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콘텐츠 기록 장치로 송신함과 함께, 적어도 자장치의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상기 암호화된 콘텐츠와 관련된 정보를, 상기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콘텐츠 기록 장치로 송신하고,
    상기 콘텐츠 기록 장치에서, 상기 콘텐츠 재생 장치로부터 수신한 상기 암호화된 콘텐츠의 스트림과 상기 콘텐츠에 관한 정보를 관련시켜서 기억 매체에 기록하며,
    상기 콘텐츠 재생 장치에서, 상기 콘텐츠 기록 장치에 대하여, 상기 기억 매체에 자장치의 식별 정보와 관련되어 기록되어 있는 상기 암호화된 콘텐츠의 스트림의 취득을 상기 네트워크를 통해 요구하고, 상기 요구에 따라 상기 콘텐츠 기록 장치로부터 네트워크를 통해 송신된, 상기 암호화된 콘텐츠의 스트림을 수신하여, 수신한 상기 암호화된 콘텐츠의 스트림을 복호하여, 복호한 상기 콘텐츠의 스트림을 콘텐츠 기록 장치에 상기 네트워크를 통해 회신하며,
    상기 콘텐츠 기록 장치에서, 상기 콘텐츠 재생 장치로부터 네트워크를 통해 수신한 오리지널 콘텐츠의 스트림으로, 상기 기억 매체에 기록되어 있는 상기 암호화된 콘텐츠의 스트림을 갱신하여, 오리지널 콘텐츠의 스트림으로 갱신된 콘텐츠에 대하여, 상기 네트워크에 접속된 다른 콘텐츠 재생 장치가 재생 가능한 공개 콘텐츠인 것을 나타내는 공개의 속성을 부여하고,
    상기 콘텐츠 재생 장치에서, 상기 콘텐츠 기록 장치에 대하여, 상기 기억 매체에 기록되어 있는 상기 공개 콘텐츠의 스트림의 취득을 상기 네트워크를 통해 요구하며,
    상기 콘텐츠 기록 장치에서, 상기 요구에 따라, 상기 공개의 속성이 부여되어 있는 상기 오리지널 콘텐츠의 스트림을 상기 콘텐츠 재생 장치로 회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텐츠 기록·재생 방법.
  11. 삭제
  12. 삭제
KR1020050017638A 2004-03-04 2005-03-03 콘텐츠 재생 장치, 콘텐츠 기록 장치, 네트워크 시스템, 및콘텐츠 기록·재생 방법 KR10108985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4060012A JP4649850B2 (ja) 2004-03-04 2004-03-04 コンテンツ再生装置、コンテンツ記録装置、ネットワークシステム、およびコンテンツ記録・再生方法
JPJP-P-2004-00060012 2004-03-04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43370A KR20060043370A (ko) 2006-05-15
KR101089857B1 true KR101089857B1 (ko) 2011-12-05

Family

ID=349091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17638A KR101089857B1 (ko) 2004-03-04 2005-03-03 콘텐츠 재생 장치, 콘텐츠 기록 장치, 네트워크 시스템, 및콘텐츠 기록·재생 방법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7970137B2 (ko)
EP (1) EP1589753A3 (ko)
JP (1) JP4649850B2 (ko)
KR (1) KR101089857B1 (ko)
CN (1) CN100401773C (ko)
MY (1) MY146417A (ko)
TW (1) TWI260554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908244B2 (en) * 2005-08-31 2011-03-15 Ascent Media Group, Llc Localized media content management
EP1947799A4 (en) * 2005-11-08 2014-03-19 Sony Computer Entertainment Inc DATA COMMUNICATION METHOD, COMPUTER AND INFORMATION STORAGE MEDIUM
US9667918B2 (en) * 2009-02-20 2017-05-30 At&T Intellectual Property I, L.P. Network recording system
JP2010218146A (ja) * 2009-03-16 2010-09-30 Canon Inc 情報処理装置およびその制御方法
KR101666895B1 (ko) * 2010-01-21 2016-10-17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지털 방송 수신기 및 컨텐츠 관리 방법
JP5615316B2 (ja) * 2012-04-13 2014-10-29 株式会社ソニー・コンピュータエンタテインメント 情報処理システムおよびメディアサーバ
US9473736B2 (en) * 2013-10-24 2016-10-18 Arris Enterprises, Inc. Mediaword compression for network digital media recorder applications
US11882182B2 (en) * 2021-08-04 2024-01-23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 network management system for determining storage node for a network elem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3032620A2 (en) 2001-10-05 2003-04-17 Ucentric Holdings, Inc. Centralized digital video recording and playback system accessible to multiple control units via a home area network
WO2003067594A1 (en) 2002-02-08 2003-08-14 Ucentric Holdings, Inc. Centralized digital video recording system with bookmarking and playback from multiple locations

Family Cites Families (2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276735A (en) * 1992-04-17 1994-01-04 Secure Computing Corporation Data enclave and trusted path system
JP3404863B2 (ja) * 1994-02-17 2003-05-12 株式会社日立製作所 情報受信装置
US5592549A (en) * 1995-06-15 1997-01-07 Infosafe System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retrieving selected information from a secure information source
US6628325B1 (en) * 1998-06-26 2003-09-30 Fotonation Holdings, Llc Camera network communication device
CN1867068A (zh) * 1998-07-14 2006-11-22 联合视频制品公司 交互式电视节目导视系统及其方法
US6226618B1 (en) * 1998-08-13 2001-05-01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Electronic content delivery system
JP2000165842A (ja) * 1998-11-27 2000-06-16 Sony Corp 情報供給システム及び方法、並びに情報再生装置
JP2001024973A (ja) * 1999-07-06 2001-01-26 Nippon Telegr & Teleph Corp <Ntt> 映像提供方法及び装置
US7120251B1 (en) * 1999-08-20 2006-10-10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Data player, digital contents player, playback system, data embedding apparatus, and embedded data detection apparatus
US7107462B2 (en) * 2000-06-16 2006-09-12 Irdeto Access B.V. Method and system to store and distribute encryption keys
AU2001283050A1 (en) * 2000-07-28 2002-02-13 360 Degree Web, Inc. Smart card security information configuration and recovery system
JP2002077862A (ja) * 2000-09-05 2002-03-15 Minolta Co Ltd デジタル画像通信システム
JP2002112220A (ja) 2000-10-03 2002-04-12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動画情報配信方法
US6642966B1 (en) * 2000-11-06 2003-11-04 Tektronix, Inc. Subliminally embedded keys in video for synchronization
JP2002171503A (ja) * 2000-12-04 2002-06-14 Minolta Co Ltd デジタル画像通信システム及びサーバ並びに端末装置
US7987510B2 (en) * 2001-03-28 2011-07-26 Rovi Solutions Corporation Self-protecting digital content
US20020146237A1 (en) * 2001-04-06 2002-10-10 General Instrument Corporation Portable content by way of a set-top device/home-gateway
US20030014630A1 (en) * 2001-06-27 2003-01-16 Spencer Donald J. Secure music delivery
JP4007898B2 (ja) * 2001-10-25 2007-11-14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コンテンツ利用条件管理システム
JP3925218B2 (ja) * 2002-01-30 2007-06-06 ソニー株式会社 ストリーミングシステム及びストリーミング方法、ストリーミングサーバ及びデータ配信方法、クライアント端末及びデータ復号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及び記録媒体
US20030158958A1 (en) * 2002-02-20 2003-08-21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Distributed storage network architecture using user devices
US8302144B2 (en) * 2002-03-13 2012-10-30 Cox Communications, Inc. Distribution of content in an information distribution system
JPWO2003081499A1 (ja) * 2002-03-22 2005-07-28 株式会社日立製作所 ライセンス管理方法およびライセンス管理装置
JP2004060012A (ja) 2002-07-30 2004-02-26 Akebono Brake Res & Dev Center Ltd 成形型、及び成形体の成形方法
JP3861765B2 (ja) * 2002-07-31 2006-12-20 オンキヨー株式会社 Avシステム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3032620A2 (en) 2001-10-05 2003-04-17 Ucentric Holdings, Inc. Centralized digital video recording and playback system accessible to multiple control units via a home area network
WO2003067594A1 (en) 2002-02-08 2003-08-14 Ucentric Holdings, Inc. Centralized digital video recording system with bookmarking and playback from multiple location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0401773C (zh) 2008-07-09
US20050196145A1 (en) 2005-09-08
JP4649850B2 (ja) 2011-03-16
US7970137B2 (en) 2011-06-28
CN1678065A (zh) 2005-10-05
EP1589753A2 (en) 2005-10-26
KR20060043370A (ko) 2006-05-15
TW200530939A (en) 2005-09-16
JP2005250822A (ja) 2005-09-15
TWI260554B (en) 2006-08-21
MY146417A (en) 2012-08-15
EP1589753A3 (en) 2008-03-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89857B1 (ko) 콘텐츠 재생 장치, 콘텐츠 기록 장치, 네트워크 시스템, 및콘텐츠 기록·재생 방법
CN1312592C (zh) 信息处理系统及信息处理方法
JP4552540B2 (ja) コンテンツ記録装置、コンテンツ再生装置、コンテンツ記録方法、コンテンツ再生方法及びプログラム
EP1569114B1 (en) Network system, distributed processing method and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WO2005076131A1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情報処理システムおよび情報処理用プログラム
CN100534159C (zh) 信息处理系统以及信息处理方法
EP1569457A2 (en)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computer program
JP4239747B2 (ja) 情報処理装置、およびコンテンツ情報管理方法、並びに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KR101210114B1 (ko) 정보 처리 시스템, 정보 처리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 판독가능한 기록 매체
CN100412854C (zh) 信息处理系统和信息处理方法
JP2006031481A (ja) 情報処理システム及び情報処理方法、並びに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JP4349189B2 (ja) ネットワークシステム、番組録画予約方法および情報処理装置
JP2005252402A (ja) コンテンツ記録システム及びコンテンツ記録方法、並びに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JP2005339174A (ja) 情報処理システム及び情報処理方法、並びに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JP2005235246A (ja) サーバ装置
JP4552116B2 (ja) 録画システム、録画依頼装置および録画依頼方法、録画予約装置および録画予約方法、録画装置および録画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
JP2005267150A (ja) 情報処理システム及び情報処理方法、並びに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JP2005252403A (ja) コンテンツ記録システム及びコンテンツ記録方法、並びに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JP2005339401A (ja) 情報処理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情報処理コントローラ、情報処理ユニット及びその制御方法、並びに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JP2005301678A (ja) ネットワークシステム、代理表示方法、情報処理装置
JP2005276164A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情報処理システムおよび情報処理用プログラム
JP2008257559A (ja) コンテンツ再生装置、コンテンツ再生方法、およ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JP2006018343A (ja) 情報処理装置、ネットワークシステム、および情報処理装置の機能拡張方法
JP2005251163A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情報処理システムおよび情報処理用プログラム
JP2006025164A (ja) 情報処理装置、ネットワークシステムおよび遠隔操作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25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